ERP 회계 2급 실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7-23)

ERP 회계 2급 실무
(2016-07-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재무회계의 이해

1. 핵심ERP를 활용하여 마스터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한다. 다음 화면의 등록을 수행하고 진행하여야 할 프로세스로 가장 옳은 것은?

  1. 사원등록
  2. 회사등록
  3. 부문등록
  4. 부서등록
(정답률: 38%)
  • 마스터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하는데, 부문, 부서 등 조직 구조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필요하므로 "부문등록"이 가장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사원 등록과 회사 등록은 부문 등록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서 등록은 부문 등록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핵심ERP의 다음 화면을 이용하는 사례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전화번호별로 지출되는 통신비를 계산하는 경우
  2. 전자제품 도매상에서 본.지점별로 원가를 계산하는 경우
  3. 항공기제조회사에서 수주처별로 원가를 계산하는 경우
  4. 건설회사에서 현장별로 원가를 계산하는 경우
(정답률: 40%)
  • 건설회사에서는 각 현장마다 발생하는 인건비, 자재비, 임대료 등의 원가를 따로 계산해야 합니다.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핵심ERP의 다양한 모듈을 활용하여 현장별로 원가를 계산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설회사에서 현장별로 원가를 계산하는 경우"가 가장 적절한 사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단기매매차익을 목적으로 ㈜대한전자의 주식 1,000주를 주당 6,000원에 (액면 5,000원) 구입하고 대금은 매입 수수료 8,000원을 포함하여 보통예금계좌에서 이체하였다. 본 거래를 핵심ERP에 입력하는 경우 다음 화면의 표시된 부분에 입력될 계정과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1. 단기매매증권, 지급수수료
  2. 단기매매증권, 단기매매증권
  3. 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4. 자본금, 지급수수료
(정답률: 73%)
  • 정답: 단기매매증권, 지급수수료

    이유:
    - 단기매매차익을 목적으로 주식을 구입했으므로 단기매매증권 계정과목에 해당한다.
    - 매입 수수료 8,000원은 지급수수료 계정과목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의 받을어음명세 화면을 보고 거래내역을 추정한 것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우리전자에 제품을 매출하고 ㈜수영산업이 발행한 어음을 받았다.
  2. ㈜우리전자로부터 받은 어음을 ㈜수영산업에 배서하였다.
  3. 자금부족으로 ㈜우리전자로부터 받은 어음을 ㈜수영산업에서 할인하였다.
  4. ㈜우리전자의 외상매입금을 변제하기 위하여 ㈜수영산업으로부터 받은 어음을 배서하였다.
(정답률: 48%)
  • 정답은 "㈜우리전자에 제품을 매출하고 ㈜수영산업이 발행한 어음을 받았다."입니다. 이유는 어음명세서 상에 "발행인"이 ㈜수영산업이고 "어음의 대금"이 ㈜우리전자에 대한 것으로 나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전자에 제품을 판매하고 그 대금으로 ㈜수영산업이 어음을 발행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의 거래내역 중 화면의 ‘기간비용현황’ 메뉴에 반영될 수 없는 거래는 다음 중 무엇인가?

  1. 정기예금에 대한 이자 800,000원을 미수수익으로 계상하였다.
  2. 업무용 차량에 대한 보험료 600,000원을 현금으로 납부하였다.
  3. 공장건물에 대한 화재보험료 900,000원을 현금으로 납부하였다.
  4. 공장건물 중 일부를 임대하고 2년분 임대료를 현금으로 받았다.
(정답률: 37%)
  • 정답: 공장건물 중 일부를 임대하고 2년분 임대료를 현금으로 받았다.

    화면의 ‘기간비용현황’ 메뉴는 비용과 관련된 거래만을 반영하므로, 임대료 수입은 수익으로 분류되어 반영되지 않는다.

    "정기예금에 대한 이자 800,000원을 미수수익으로 계상하였다."는 이자 수입이지만, 아직 수금되지 않은 미수금으로 계상되어 비용으로 분류되어 반영된다.

    "업무용 차량에 대한 보험료 600,000원을 현금으로 납부하였다."와 "공장건물에 대한 화재보험료 900,000원을 현금으로 납부하였다."는 각각 차량과 건물의 유지보수 비용으로 분류되어 반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화면의 거래내역을 핵심ERP에 입력할 경우 반영되는 장부 및 재무제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계정별원장
  2. 매입매출장
  3. 재무상태표
  4. 손익계산서
(정답률: 58%)
  • 거래내역은 매입매출장과 계정별원장에 기록되어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에 반영됩니다. 하지만 손익계산서는 수익과 비용을 비교하여 순이익을 계산하는 재무제표이므로 거래내역 중에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손익계산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화면의 거래내역 중 손익계산서의 영업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금액은 얼마인가?

  1. 2,050,000원
  2. 1,450,000원
  3. 360,000원
  4. 750,000원
(정답률: 64%)
  • 손익계산서의 영업이익은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금액입니다. 따라서, 매출원가와 관련된 거래내역을 살펴보면 됩니다.

    거래내역 중 매입에 관련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월 2일: 500,000원
    - 1월 5일: 1,300,000원
    - 1월 10일: 600,000원

    이를 합산하면 매출원가는 2,400,000원입니다.

    따라서, 영업이익은 매출액인 3,150,000원에서 매출원가인 2,400,000원을 뺀 750,000원입니다.

    정답은 "750,000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회계담당자의 실수로 보통예금 계좌에서 현금 2,000,000원을 인출한 거래를 누락하였다. 누락된 거래를 핵심ERP에 입력 하면 다음 화면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 금액은 얼마인가?

  1. 6,772,000원
  2. 8,772,000원
  3. 4,772,000원
  4. 10,772,000원
(정답률: 3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세무회계의 이해

9. ㈜한국산업은 기계장치를 매각하고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였다. 다음 화면의 세무구분에 입력될 항목으로 옳은 것은?

  1. 11.과세매출
  2. 12.영세매출
  3. 13.면세매출
  4. 14.건별매출
(정답률: 65%)
  • 정답은 "11.과세매출"이다. 이유는 기계장치를 매각하여 발생한 매출은 부가가치세법상 과세 대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무구분 항목에서는 "과세매출"을 선택해야 한다. "영세매출"은 매출액이 일정 금액 이하인 소상공인 등에게 적용되는 세무 혜택이며, "면세매출"은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매출을 의미한다. "건별매출"은 매출액을 건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항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거래내역 중 화면의 ‘건물등감가상각자산취득명세서’ 메뉴에 반영되지 않는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1. 공장건물을 매각하고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였다.
  2. 기계장치를 구입하고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았다.
  3. 에어컨을 구입하고 신용카드영수증을 발급받았다. (매입세액 공제요건 충족)
  4. 제품 운반용 트럭을 구입하고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았다.
(정답률: 35%)
  • 공장건물을 매각하고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한 거래내역은 건물등감가상각자산취득명세서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반영되지 않는다. 이는 건물의 매각으로 인한 자산의 감소와 관련된 거래내역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화면의 표시된 부분(14란)에 반영될 거래는?

  1. 상품을 구입하고 전자세금계산서를 수취하였다.
  2. 영업부에서 참고할 도서(면세적용)를 구입하고 신용카드영수증을 수취하였다.
  3. 총무부에서 사용할 에어컨을 구입하고 현금영수증을 수취하였다. (매입세액 공제요건 충족)
  4. 영업부에서 업무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승용차(2,000cc)의 타이어를 교환하고 신용카드영수증을 수취하였다.
(정답률: 37%)
  • 정답은 "총무부에서 사용할 에어컨을 구입하고 현금영수증을 수취하였다. (매입세액 공제요건 충족)"입니다. 이유는 현금영수증을 수취했기 때문에 매입세액 공제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매입세액 공제요건은 현금영수증, 지출증빙 등을 통해 부가세법상 공제 가능한 금액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거래는 매입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거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은 ㈜한국산업의 부가가치세신고서 일부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 세금계산서 수취분 중 공제가능한 매입세액은 5,000,000원이다.
  2. 홈택스를 통하여 전자신고를 하였다.
  3. 납부할 세액은 1,930,000원 이다.
  4. 공제받지 못할 매입세액은 2,000,000원이다.
(정답률: 46%)
  • 보기에서 옳지 않은 설명은 "공제받지 못할 매입세액은 2,000,000원이다." 이다. 실제로는 공제받지 못할 매입세액은 1,070,000원이다. 이유는 매입세액 중 부가세 10%를 제외한 금액이 공제 가능한 매입세액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제 가능한 매입세액은 4,500,000원이 되고, 이를 기반으로 계산한 납부할 세액은 1,93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회계 시뮬레이션

13. 당사에서 ERP에서 제공하는 다국어 재무제표를 사용하고 있다. 당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국어 재무제표의 언어는?

  1. 영어
  2. 일본어
  3. 중국어
  4. 사용안함
(정답률: 22%)
  • 다국어 재무제표에서 중국어는 중국을 비롯한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 중국어권 지역에서 사용되는 공식 언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중국어는 다국어 재무제표에서 필수적인 언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당사는 2016년에 개정된 업무용승용차 관련 비용 손금불산입 특례규정에 따라 ERP에 L1 관리항목에 차량번호를 등록하여 차량별로 경비를 관리하고 있다. 30노4200호 차량이 6월에 사용한 경비는 총 얼마인가?

  1. 330,000원
  2. 520,000원
  3. 920,000원
  4. 980,000원
(정답률: 13%)
  • 문제에서 언급한 대로, 당사는 차량별로 경비를 관리하고 있으며, 이 차량의 번호는 "30노4200호"이다. 따라서, 이 차량이 6월에 사용한 경비를 찾기 위해서는 ERP 시스템에서 해당 차량의 L1 관리항목을 찾아야 한다.

    정답인 "330,000원"은 이 차량의 6월 경비이다. 이것은 문제에서 제시된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30노4200호 차량의 경비를 나타내는 금액이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2016년 6월말 결산시 순매출채권의 계정잔액은 얼마인가? 대손충당금은 매출채권에 1%를 설정한다.

  1. 568,721,340원
  2. 642,971,340원
  3. 643,919,170원
  4. 649,466,000원
(정답률: 13%)
  • 순매출채권의 계정잔액은 매출채권에서 대손충당금을 차감한 금액이다. 대손충당금은 매출채권의 1%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대손충당금은 매출채권의 1%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따라서 대손충당금 = 매출채권 x 1% = 6,429,713,400원 x 0.01 = 64,297,134원

    순매출채권의 계정잔액 = 매출채권 - 대손충당금 = 6,429,713,400원 - 64,297,134원 = 6,365,416,266원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를 천원으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위의 계산 결과를 천원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순매출채권의 계정잔액 = 6,365,416,266원 ÷ 1,000 = 6,365,416.266천원 ≈ 6,365,416천원

    따라서 정답은 "642,971,34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보기의 내용을 참고하여 고정자산 취득내역을 등록하여 감가상각비 금액을 구하시오.

  1. 200,000원
  2. 400,000원
  3. 451,000원
  4. 902,000원
(정답률: 22%)
  • 고정자산 취득내역을 등록하여 감가상각비를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각 자산의 취득가액을 합산한다. (200,000원 + 400,000원 + 451,000원 + 902,000원 = 1,953,000원)
    2. 합산한 취득가액에서 감가상각비를 제외한 순가액을 구한다. (1,953,000원 - 1,502,000원 = 451,000원)

    따라서, 정답은 "451,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거래처로부터 받은 어음이 2016년 6월 30일 만기가 도래하여 은행에 가서 어음추심을 의뢰하려고 한다. 추심할 어음 금액은 얼마인가?

  1. 10,000,000원
  2. 20,000,000원
  3. 25,000,000원
  4. 35,000,000원
(정답률: 22%)
  • 문제에서 어음의 만기일이 2016년 6월 30일이라고 되어 있으므로, 추심할 때까지 남은 기간은 없다. 따라서 어음의 금액은 만기일에 지불해야 할 금액인 35,00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재경부에서 2016년 06월 10일 한국식당에서 회식 후 회식비 400,000원을 신안카드로 결제하였다. 이에 대해 전표입력을 실행한 후 2016년 6월에 재경부에서 사용가능한 복리후생비 잔여예산금액은 총 얼마인가? 잔여예산은 복리후생비 예산통제방식에 의해서 계산한다.

  1. 220,000원
  2. 320,000원
  3. 520,000원
  4. 620,000원
(정답률: 10%)
  • 복리후생비 예산통제방식은 지출 후 예산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회식비 400,000원을 지출한 후에 예산을 적용하면, 잔여예산은 620,000원 - 400,000원 = 220,000원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2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보기]의 거래에 대해 전표입력을 실행한 후, 2016년 1기 부가가치세 확정 신고시 납부(환급)세액은 얼마인가?

  1. 44,090,000 납부
  2. 44,090,000 환급
  3. 43,590,000 납부
  4. 43,590,000 환급
(정답률: 13%)
  • 보기에서 매입세액과 공급가액의 합이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이 되고, 이를 기준으로 부가가치세를 계산한다.

    따라서, 부가가치세 과세표준은 1,470,300,000원이 되고, 이에 대한 부가가치세는 88,218,000원이다.

    이 중에서 매입세액인 44,128,000원을 차감한 실제 부가가치세는 44,090,000원이 된다.

    따라서, 납부(환급)세액은 44,090,0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당사가 2016년 1기 확정신고 기간에 취득한 자산의 총 매입금액은 얼마인가?

  1. 25,000,000원
  2. 32,000,000원
  3. 45,000,000원
  4. 52,000,000원
(정답률: 10%)
  • 해당 문제에서는 당사가 2016년 1기 확정신고 기간에 취득한 자산의 총 매입금액을 묻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자산의 매입금액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해당 기간 동안 취득한 자산들의 매입금액을 모두 합산해야 합니다. 문제에서는 이 자산들의 종류나 수량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이를 추론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찾아보아야 합니다.

    문제에서는 당사가 2016년 1기 확정신고 기간에 취득한 자산의 총 매입금액을 묻고 있습니다. 이는 즉, 해당 기간 동안 취득한 자산들의 매입금액을 모두 합산한 값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이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해당 기간 동안 취득한 모든 자산들의 매입금액을 합산해야 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이 자산들의 종류나 수량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를 추론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찾아보아야 합니다.

    문제에서는 "2016년 1기 확정신고 기간" 이라는 정보를 주었습니다. 이는 즉, 2016년 1월부터 3월까지의 기간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 당사가 취득한 자산들의 매입금액을 합산하면 됩니다.

    문제에서는 이 자산들의 종류나 수량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이를 추론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찾아보아야 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이와 관련된 정보를 주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단순히 "2016년 1기 확정신고 기간에 취득한 자산의 총 매입금액" 이라는 정보만을 활용하여 정답을 찾아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단순히 "2016년 1기 확정신고 기간에 취득한 자산의 총 매입금액" 이라는 정보만을 활용하여 정답을 찾아내야 합니다. 이 정보를 보면, 정답은 "32,000,000원" 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