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4-02)

사진기능사
(2007-04-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진일반

1. 다음 가시스펙트럼의 컬러중 파장이 가장 긴색은?

  1. 파랑
  2. 초록
  3. 노랑
  4. 빨강
(정답률: 79%)
  • 가시스펙트럼에서 파장이 가장 긴 색은 빨강입니다. 이는 빛의 파장이 짧은 순서대로 보라, 파랑, 초록, 노랑, 주황, 빨강 순으로 배열되는데, 파장이 긴 색일수록 빛의 진폭이 크기 때문에 더 밝게 보입니다. 따라서 파장이 가장 긴 빨강색은 다른 색보다 더 밝게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현상 처리 전 컬러 네가티브(Negative) 필름의 유제 속에 있는 청색(Blue) 감광층은 현상처리 후에는 어떤 색으로 발색하는가?

  1. 황색(Yellow)
  2. 적색(Magenta)
  3. 청색(Blue)
  4. 녹색(Green)
(정답률: 72%)
  • 컬러 네가티브 필름은 현상처리 과정에서 각 색상 감광층이 각각의 색상으로 발색됩니다. 청색 감광층은 현상처리 후에 황색으로 발색되는데, 이는 청색과 반대되는 보색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황색(Yello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정적이면서 차분 한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조용하고 침착한 환경의 색채관리에 가장 효과적인 배색은?

  1. 난색계의 배색
  2. 한색계의 배색
  3. 난색과 무채색계의 배색
  4. 보색계의 배색
(정답률: 74%)
  • 한색계의 배색은 한 가지 색조에서 다양한 채도와 명도를 조합하여 만들어지는 배색으로, 색감이 조화롭고 안정적이며 차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조용하고 침착한 환경에서 적합하며, 다른 색 계열과의 조화도 용이합니다. 따라서 정적이면서 차분한 효과를 원하는 환경에서는 한색계의 배색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가시광선 중 청색(Blue)의 파장 범위를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1. 380 ~ 430nm
  2. 467 ~ 483nm
  3. 586 ~ 597nm
  4. 640 ~ 780nm
(정답률: 66%)
  • 가시광선은 380nm에서 780nm까지의 파장을 가지는데, 이 중 청색은 467nm에서 483nm까지의 파장을 가집니다. 이는 빛의 파장이 짧아서 눈에 파란색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67 ~ 483n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프린트한 인화지에 겁은 스크래치선이 있다면 가장 큰 원인이 되는 것은?

  1. 네거티브 필름의 유제층 상에 스크래치선이 있을 때
  2. 노출하기 전에 먼지가 필름위에 묻었을 때
  3. 네가티브, 인화프레임 유리, 유리네거티브, 케리어 위에 미세한 먼지가 묻었을 때
  4. 기름기나 지문이 케리어에 묻었을 때
(정답률: 74%)
  • 프린트한 인화지에 겁은 스크래치선이 있다면 가장 큰 원인은 "네거티브 필름의 유제층 상에 스크래치선이 있을 때"입니다. 이는 인화지에 이미지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필름의 유제층에 스크래치가 생기면 그림자가 생겨 인화지에 스크래치가 남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가격이 비싼 초기의 사진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유리에 클로디온을 입혀 만든 사진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사진 제작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탈보드(talbot) 타입
  2. 틴(tin) 타입
  3. 칼로(calo) 타입
  4. 앰브로(ambro) 타입
(정답률: 39%)
  • 앰브로 타입은 유리판에 클로디온을 입혀 만든 사진 제작 방식입니다. 초기의 사진은 가격이 비싸서 대중적으로 보급되지 않았는데, 이 방식은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사진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어서 대중화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앰브로(ambro) 타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무채색과 강한 순색의 조화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배색효과로 가장 옳은 것은?

  1. 온화한 느낌
  2. 자극적인 느낌
  3. 어둡고 무거운 느낌
  4. 수수하고 평정된 느낌
(정답률: 50%)
  • 무채색은 차가운 느낌을 주고, 강한 순색은 화려하고 선명한 느낌을 줍니다. 이 두 가지를 조화롭게 사용하면 무게감 있는 색감을 만들어내며, 이는 자극적인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극적인 느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스냅사진 촬영을 가능하게 하여 사진의 대중화 시대를 열게 한 사람은?

  1. 다르게
  2. 니에프스
  3. 이스트만
  4. 슐츠
(정답률: 72%)
  • 스냅사진 촬영을 가능하게 한 사람은 이스트만입니다. 이스트만은 1888년에 카메라인 "코닥"을 발명하면서 스냅사진 촬영이 가능해졌고, 이를 통해 사진의 대중화 시대를 열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카메라 원리가 되는 카메라 옵스큐라는 피사체를 역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역상으로 보이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1. 빛의 직진
  2. 빛의 굴절
  3. 빛의 회절
  4. 렌즈의 수차
(정답률: 59%)
  • 카메라 옵스큐라에서 피사체를 역상으로 보여주는 가장 큰 이유는 "빛의 직진"입니다. 빛은 직진으로 진행하다가 피사체에 부딪히면 그 방향이 바뀌게 되는데, 이 때 역상이 형성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옵스큐라에서는 빛이 직진으로 진행하다가 피사체에 부딪혀 역상이 형성되는 것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역상으로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컬러 인화지 유제층 중에서 제일 윗층에 위치한 감광 유제층은?

  1. 청색 감광유제층
  2. 녹색 감광유제층
  3. 적색 감광유제층
  4. 황색 감광유제층
(정답률: 46%)
  • 컬러 인화지에서는 적색, 녹색, 청색의 감광 유제층이 사용되며, 이들 중에서도 적색 감광 유제층은 제일 윗층에 위치합니다. 이는 적색이 가장 빛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화지에 빛이 닿으면 적색 감광 유제층이 먼저 반응하여 이미지를 형성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암실에서 작업 할 경우 지켜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암실에서 작업 할 때에는 정기적으로 환기를 시켜주는 것이 좋다.
  2. 알카리성 약품은 산성약품으로 변환하여 처리한다.
  3. 사용한 약품은 폐기물 처리를 별도로 해야 한다.
  4. 작업 후에는 항상 손을 깨끗이 씻는다.
(정답률: 86%)
  • 알카리성 약품은 산성약품으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이유는, 알카리성 약품은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낮아서 폐기물 처리 시 폭발이나 화재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성약품으로 변환하여 안전하게 처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사진 촬영시 눈에 있는 망막의 반사로 눈동자가 붉게 나타나는 현상은?

  1. 상반칙 불괘 현상
  2. 적목 현상
  3. 패러럭스(parallax) 현상
  4. 포그(fog) 현상
(정답률: 92%)
  • 사진 촬영시 눈에 있는 망막의 반사로 인해 눈동자가 붉게 나타나는 현상을 적목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빛의 파장 중에서도 붉은색 파장이 다른 파장보다 더 많이 반사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스튜디어 조명장비 중 빛을 부드럽게 하며 확산시키는 용도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라이트 소프트 박스
  2. 스누트(snoot)
  3. 엄브렐러 리플렉터
  4. 리플렉터
(정답률: 69%)
  • 스누트는 빛을 집중시켜 강한 광선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조명장비이며, 빛을 부드럽게 하거나 확산시키는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누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컬러 필름 현상시 발색 현상주약의 산화생성물과 반응 하여 색소 화상으로 바뀌는 것은 무엇일까?

  1. 옐로우 필터층
  2. 커플러(coupler)
  3. 염화은(Agcl)
  4. 콜로이드 은
(정답률: 72%)
  • 컬러 필름 현상시 발색 현상주약의 산화생성물과 반응하여 색소 화상으로 바뀌는 것은 커플러입니다. 커플러는 현상약과 함께 필름에 첨가되어 있으며, 현상약이 화학 반응을 일으켜 생성된 산화생성물과 결합하여 색소를 형성합니다. 따라서 커플러는 필름 현상시 발생하는 색소의 색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백색광을 프리즘으로 분광 했을 때 나타나는 스펙트럼은 부로 빛의 어떤 설징 때문인가?

  1. 반사
  2. 직진
  3. 굴절
  4. 회절
(정답률: 70%)
  • 백색광은 여러 색깔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색깔의 빛은 각기 다른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프리즘은 이러한 다양한 파장의 빛을 받아서 굴절시키는데, 이 때 각 색깔의 빛은 서로 다른 각도로 굴절됩니다. 따라서 백색광을 프리즘으로 분광하면 다양한 색깔의 빛이 나타나는 스펙트럼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광선이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이 때 광선은 경계면에서 굴절되어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굴절 현상이 스펙트럼을 만들어내는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흑백사진 감광재료 중 주로 촬영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고감도 감광 재료는?

  1. AgF
  2. AgBr
  3. AgCl
  4. A히
(정답률: 61%)
  • 고감도 감광재료는 빛에 노출되면 빛에 의해 화학적으로 변화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AgBr은 다른 보기보다 더 높은 감도를 가지고 있어서 촬영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AgBr은 빛에 노출되면 Ag+와 Br- 이온으로 분해되어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기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포토 플로(Photo-Flo)가 사용되는 시기가 가장 옳은 것은?

  1. 노출 후
  2. 현상 및 정지 후
  3. 정착 후
  4. 수세 완료 후
(정답률: 40%)
  • 포토 플로(Photo-Flo)는 필름 현상 후 필름 표면에 남아있는 화학물질을 제거하고 필름을 건조시키기 전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수세 완료 후에 사용하는 것이 가장 옳은 시기입니다. 노출 후에는 아직 필름이 현상되지 않았으므로 사용할 필요가 없고, 현상 및 정지 후에는 이미 필름 표면에 화학물질이 제거되었기 때문에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정착 후에는 이미 필름이 건조되었기 때문에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감광재료가 일정한 빛에 대하여 어느 정도 민감하게 반응 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은?

  1. 관용도
  2. 감광도
  3. 분광감도
  4. 시감도
(정답률: 85%)
  • 감광재료가 일정한 빛에 대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 감광도입니다. 따라서 감광재료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감광도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 현상 약품은 무엇인가?

  1. 메톨
  2. 하이드로퀴논
  3. 페니돈
  4. 하이포
(정답률: 56%)
  • 주어진 구조에서 산소 원자와 수소 원자가 결합하여 케톤 기호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케톤 기호가 하이드로퀴논의 구조와 일치하기 때문에 정답은 "하이드로퀴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현상 약품 중 포그(fog)방지제에 해당하는 것은?

  1. 메톨
  2. 페니돈
  3. 붕산
  4. 벤조트리아졸
(정답률: 52%)
  • 포그(fog) 방지제는 습기로 인해 발생하는 안개 현상을 방지하는 약품입니다. 벤조트리아졸은 이러한 포그 방지제 중 하나로, 습기로 인해 발생하는 안개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벤조트리아졸이 포그 방지제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재료 및 현상

21. 현상 억제제는 유기물과 무기물로 나눌 수 있는데 유기 억제제로 사용되는 것은?

  1. 브롬화 칼륨
  2. 브롬화 알미늄
  3. 벤지미다졸
  4. 탄산수소나트륨
(정답률: 55%)
  • 벤지미다졸은 유기 화합물로, 현상 억제제 중 하나입니다. 이는 식물 보호제, 살충제, 항균제 등으로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유기 억제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현상액 중 보항제 역할을 하는 것은?

  1. 브롬화칼륨
  2. 탄산나트륨
  3. 수산화칼륨
  4. 아황산나트륨
(정답률: 69%)
  • 아황산나트륨은 현상액 중 보항제 역할을 하는데, 이는 아황산이 물과 반응하여 황산과 나트륨 이온으로 분해되면서 pH를 낮추어서 혼합물의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황산나트륨은 산화방지제로서 식품 및 의약품 산업에서도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콘텍트 프린트(contact print)의 의미로서 가장 옳은 것은?

  1. 확대인화
  2. 축소인화
  3. 밀착인화
  4. 촬영인화
(정답률: 68%)
  • 콘텍트 프린트란 필름이나 인화지를 원래 크기 그대로 인화하여 만든 사본으로, 밀착인화라고도 합니다. 필름이나 인화지를 원래 크기 그대로 인화하기 때문에 원본과 동일한 크기와 비율로 사본이 만들어지며, 이를 통해 원본의 세부적인 부분까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필름의 구조에서 처음 감광막을 뚫고 들어간 빛이 다시 감광막에 재반사되는 것을 막아 유제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은?

  1. 보호막
  2. 필터층
  3. 발색층
  4. 할레이션 방지층
(정답률: 68%)
  • 할레이션은 필름의 유제층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감광막과 유제층 사이에서 빛이 반사되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할레이션은 필름의 이미지 품질을 저하시키고, 유제층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름 구조에서는 이러한 할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해 할레이션 방지층이 존재합니다. 이 층은 감광막과 유제층 사이에 위치하여 빛이 반사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필름의 이미지 품질을 유지하고, 유제층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현상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D-76은 미립자 현상액이다.
  2. 현상액은 현상주약, 산화방지제, 촉진제, 악제제등으로 구성된다
  3. 하이드로퀴논은 현상액의 온도와 억제제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는다.
  4. 메톨과 하이드로퀴논을 사용한 것이 PQ현상액이다.
(정답률: 74%)
  • "메톨과 하이드로퀴논을 사용한 것이 PQ현상액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Q현상액은 파라아민페놀과 퀴놀린을 사용한 현상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사진에서 (NH4)2S2O3는 주로 어디에 사용 되는가?

  1. 현상 촉진제
  2. 현상 주약
  3. 정착 주약
  4. 현상 보충
(정답률: 41%)
  • (NH4)2S2O3는 주로 현상 과정에서 사용되며, 정착 주약으로 분류됩니다. 이는 은 염료가 필름 상에 고르게 분포되어 정확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 필요합니다. (NH4)2S2O3는 은 염료를 화학적으로 안정화시켜 필름 상에서 더 오래 유지되도록 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 필요한 필름 현상 과정에서 (NH4)2S2O3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컬러네거티브 필름의 현상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것은?

  1. E - 6 처리
  2. C - 41 처리
  3. K - 14 (또는 E - 3)
  4. CR - 56 처리
(정답률: 54%)
  • 컬러네거티브 필름은 색상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색상을 담당하는 색상층이 필름 안에 존재합니다. 이러한 색상층을 현상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색상층에 해당하는 염료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현상약은 C-41 처리입니다. C-41 처리는 컬러네거티브 필름의 색상층을 활성화시키고, 색상을 형성하는 염료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41 처리는 컬러네거티브 필름의 현상 프로세스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RC 인화지가 수세나 건조시간이 짧은 이유로 옳은 것은?

  1. 보호 젤라틴층이 있기 때문에
  2. 유제층이 있기 때문에
  3. 폴리 에틸렌 수지층이 있기 때문에
  4. 바리타층이 있기 때문에
(정답률: 47%)
  • RC 인화지는 폴리 에틸렌 수지층이 있기 때문에 수세나 건조시간이 짧습니다. 폴리 에틸렌 수지층은 물을 흡수하지 않으며, 물기를 빠르게 배출하여 인화지의 건조를 촉진합니다. 따라서 RC 인화지는 빠른 건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현상액의 처리가 끝난 유제는 알카리에 의해 젤라틴이 부풀어 약간의 자극에 의해서도 상처가 생기기 쉽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착액에 사용되는 보조제는?

  1. 붕산
  2. 칼륨 명반
  3. 메타붕산나트륨
  4. 티오황산나트륨
(정답률: 28%)
  • 칼륨 명반은 pH 조절과 안정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정착액에 사용되는 보조제로 적합합니다. 또한, 알카리에 의해 젤라틴이 부풀어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칼륨 명반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현상 과다로 인하여 콘트라스트가 강해진 네거티브를 화상 각부분의 농도에 비례해서 농도의 차를 좁게하기 위한 후 처리 방법은?

  1. 비례 보력
  2. 비례 감력
  3. 새도우 보력
  4. 조색
(정답률: 73%)
  • 화상에서 발생하는 현상 중 하나인 네거티브 현상은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대조가 강해져서 선명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후처리 방법 중 하나인 비례 감력은 화상의 각 부분의 농도에 비례해서 농도의 차를 좁게 만들어주는 방법입니다. 즉,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대조를 줄여서 선명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례 감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이안 반사식 카메라의 경우 근접 촬영시 파인더으 위치와 촬영 렌즈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은?

  1. 시차(視差)
  2. 코마수차
  3. 구면수차
  4. 화상왜곡
(정답률: 73%)
  • 이안 반사식 카메라의 경우 근접 촬영시 파인더와 렌즈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아서, 렌즈에서 들어오는 빛이 파인더에서 보이는 이미지와 다르게 인식됩니다. 이 때문에 물체의 위치가 파인더와 렌즈 사이에 있을 때, 물체가 파인더에서 보이는 위치와 렌즈에서 실제로 찍히는 위치가 다르게 인식되는데, 이것을 시차(視差)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화면의 대각선 길이보다 짧은 초점거리를 가자며 피사계 심도가 깊고 화각이 넓은 렌즈는?

  1. 광각렌즈
  2. 망원렌즈
  3. 표준렌즈
  4. 줌렌즈
(정답률: 95%)
  • 화면의 대각선 길이보다 짧은 초점거리를 가지는 렌즈는 광각렌즈입니다. 이는 화각이 넓고 피사계 심도가 깊어서 넓은 영역을 한번에 담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접사를 주목적으로 하며 가까운 촬영거리에 대하여 수차를 보정하고 고해상력으로 설계된 렌즈는?

  1. 마이크로 렌즈
  2. 비구면 렌즈
  3. 반사 렌즈
  4. 시프트 렌즈
(정답률: 72%)
  • 마이크로 렌즈는 주목적으로 하며 가까운 촬영거리에 대하여 수차를 보정하고 고해상력으로 설계된 렌즈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흑백 컬러 겸용 필터로서 반사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터는?

  1. PL
  2. G
  3. YG
  4. O
(정답률: 79%)
  • PL 필터는 편광 필터로, 반사를 제거하고 색감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흑백과 컬러 모두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컬러 리버셜 필름으로 촬영하고자 할 때 흐린날이나 비오는 날 푸른색을 감소시키기 위해 어떤 필터를 사용하면 가장 효과적인가?

  1. Blue계 필터
  2. Green계 필터
  3. Amber계 필터
  4. UV 필터
(정답률: 71%)
  • 컬러 리버셜 필름은 푸른색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푸른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반대 색상인 주황색을 강조하는 필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Amber계 필터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Blue계 필터는 오히려 푸른색을 강조하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Green계 필터는 초록색을 강조하므로 푸른색 감소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UV 필터는 빛의 파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만, 색감 보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중 순간 셔터로서 1초 이하의 고속 촬영용으로 사용되는 셔터는?

  1. T(Time) 셔터
  2. B(Blue) 셔터
  3. I(Instant) 셔터
  4. 자동(Self time) 셔터
(정답률: 46%)
  • I(Instant) 셔터는 순간적으로 열리고 닫히는 셔터로서, 1초 이하의 고속 촬영에 적합합니다. T(Time) 셔터는 일정 시간동안 열려있는 셔터이며, B(Blue) 셔터는 수동으로 셔터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셔터입니다. 자동(Self time) 셔터는 일정 시간 후 자동으로 셔터가 작동하는 기능을 가진 셔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카메라의 셔터에 내장되어 있는 싱크로 장치의 전기 접전 종류가 아닌 것은?

  1. M
  2. X
  3. N
  4. FP
(정답률: 5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중 색온도가 낮을수록 어떤 색이 많이 나타나는가?

  1. 청색
  2. 빨강
  3. 노랑
  4. 초록
(정답률: 65%)
  • 색온도가 낮을수록 빨강색이 많이 나타납니다. 이는 빛의 파장이 길어지면서 빨강색이 더 많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색온도가 낮을수록 더 따뜻하고 노란색/빨강색 계열의 색조가 강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사진용구 중 사각외에서 오는 잡광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는?

  1. 펜타프리즘
  2. 중간링
  3. 릴리즈
  4. 후드
(정답률: 78%)
  • 사각외에서 오는 잡광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빛이 렌즈에 직접 들어오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렌즈 주변에 설치되는 것이 후드입니다. 후드는 렌즈 주변을 덮고 있어서 사각외에서 오는 빛이 렌즈에 직접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며, 이를 통해 잡광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후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릴리즈(Release)는 특히 어떤 경우에 사용하는가?

  1. 표준렌즈보다 초점거리를 짧게 하고자 할 때
  2. 표준렌즈보다 초점거리를 길게 하고자 할 때
  3. 카메라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할 때
  4. 화각 밖에서 렌즈로 투입되는 빛을 차단하고자 할 때
(정답률: 86%)
  • 릴리즈는 카메라의 흔들림을 방지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이는 셔터 버튼을 눌렀을 때 카메라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진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기계 및 촬영

41. 뷰 카메라(View Camera)에서 물체를 왜곡시킬 수 있는 동작을 의미하는 것은?

  1. 핫 슈
  2. 무브멘트
  3. 홀더
  4. 핸드그리프
(정답률: 86%)
  • 뷰 카메라에서 물체를 왜곡시키는 동작은 무브멘트입니다. 이는 카메라의 렌즈와 필름(또는 디지털 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물체의 크기와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동작으로 인해 물체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핫 슈는 카메라에 플래시나 마이크를 부착하는 장치이고, 홀더는 필름을 보관하는 장치입니다. 핸드그리프는 카메라를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손잡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촬영 날짜를 사진에 기입하는 역할을 하는 카메라 액세서리는?

  1. 데이터 백
  2. 릴리즈
  3. 컨버트
  4. 후드
(정답률: 87%)
  • 데이터 백은 카메라에 부착하여 촬영 날짜와 시간을 기록하는 액세서리입니다. 이를 통해 나중에 사진을 볼 때 언제 촬영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슬라이드 필름으로 촬영할 때에는 노출의 과부족에 대하여 민감하므로 노출의 실수를 보완하는 기능은?

  1. 브라켓팅(Bracketing)
  2. 크래킹(Cracking)
  3. 컨버터(Converter)
  4. 클로즈업(Close up)
(정답률: 76%)
  • 슬라이드 필름으로 촬영할 때에는 노출의 과부족에 대한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노출의 실수를 보완하기 위해 브라켓팅(Bracketing) 기능을 사용합니다. 이는 한 장면을 여러 번 촬영하여 각각 다른 노출값으로 촬영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노출값이 적절한 사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가이드 넘버가 40 인 스트로보 ISO 100인 필름을 사용하여 5m 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 가장 적절힌 조리개 수치는?

  1. f/5.6
  2. f/8
  3. f/11
  4. f/16
(정답률: 84%)
  • 가이드 넘버 40은 스트로보의 출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ISO 100에서 5m 거리까지 적절한 조리개 수치를 구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넘버를 거리로 나눈 값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40/5 = 8 이므로, 가장 적절한 조리개 수치는 f/8 입니다. 이는 스트로보의 출력과 필름의 민감도, 그리고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피사계 심도와 가장 거리가 먼 곳은?

  1. 필름의 성질
  2. 촬영거리
  3. 렌즈의 초점거리
  4. 조리개의 크기
(정답률: 79%)
  • 정답은 "촬영거리"입니다. 필름의 성질은 촬영된 이미지의 해상도와 색감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촬영거리는 물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필름의 성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렌즈의 초점거리와 조리개의 크기는 촬영된 이미지의 밝기와 깊이감 등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지만, 필름의 성질과도 간접적으로 연관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렌즈 조리개를 한 단계 조일 때마다 밝기는 어떻게 변하는가?

  1. 1/2씩 감소
  2. 1/4씩 감소
  3. 2배씩 증가 한다.
  4. 4배씩 증가한다.
(정답률: 76%)
  • 렌즈 조리개를 한 단계 조일 때마다 조리개의 넓이가 2배씩 감소하기 때문에, 빛이 들어오는 양도 2배씩 감소합니다. 따라서 밝기는 1/2씩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좋은 암실이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온수와 냉수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급수시설을 설치할 것
  2. 환기 장치를 설치할 때에는 빛이 새지 않도록 주의할 것.
  3. 빛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암막장치를 설치 할 것
  4. 필름전용 암실의 벽은 검정색이나 청색으로 칠할 것
(정답률: 70%)
  • 필름전용 암실의 벽을 검정색이나 청색으로 칠하는 것은 암실 내부에서 빛이 반사되어 필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는 좋은 암실이 갖추어야 할 조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피사체를 선택적으로 좁은 부분만 측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며 화각이 1~5 ̊정도 되는 노출계는?

  1. 입사식 노출계
  2. 스폿 노출계
  3. 반사식 노출계
  4. 스트로보용 노출계
(정답률: 80%)
  • 피사체를 선택적으로 좁은 부분만 측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노출계는 스폿 노출계입니다. 이는 화각이 1~5 ̊정도로 좁아서 특정한 부분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입사식 노출계는 전체적인 조도를 측정하며, 반사식 노출계는 물체가 반사하는 빛을 측정합니다. 스트로보용 노출계는 플래시나 스트로보 등의 광원에서 발생하는 광량을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현상 중에 필름에 적당한 빛을 쬐어 한 장의 화면에 음화와 양화가 함께 나타나게 하는 효과는?

  1. 몽타주
  2. 포토그램
  3. 솔라리제이션
  4. 릴리프
(정답률: 55%)
  • 솔라리제이션은 필름에 적당한 빛을 쬐어 음화와 양화가 함께 나타나는 효과를 말합니다. 이는 필름이 과도한 빛에 노출되어 생기는 현상으로, 필름의 민감도와 노출 시간에 따라 다양한 결과물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효과는 사진의 일부분이 반전되어 나타나는 등 독특하고 흥미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카메라의 부품 중 사람의 홍채에 해당되는 것은?

  1. 셔터
  2. 조리개
  3. 렌즈
  4. 파인더
(정답률: 84%)
  • 조리개는 카메라 렌즈 내부에 위치하며, 빛의 양을 조절하여 사진에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합니다. 이 때, 조리개의 크기와 모양은 빛이 들어오는 각도와 양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는 사람의 홍채와 유사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조리개가 사람의 홍채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ASA 100필름으로 촬영할 때 노출이 1/125초 이고 조리개가 11일 때, 같은 필름으로 셔터 속도를 1/500초 로 하고자 할 때 적합한 조리개 수지는?

  1. 4
  2. 5.6
  3. 8
  4. 11
(정답률: 62%)
  • 노출량은 셔터 속도와 조리개 크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노출량이 같은 두 가지 조건에서 셔터 속도를 1/125에서 1/500으로 빠르게 하려면, 빛이 들어오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조리개 크기를 작게 해야 합니다. 따라서, 조리개 수지는 작아져야 합니다.

    노출량은 조리개 수지와 셔터 속도의 곱으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노출량이 같은 두 가지 조건에서 조리개 수지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노출량 = 조리개 수지 x 셔터 속도

    노출량이 같으므로,

    11 x 1/125 = 조리개 수지 x 1/500

    조리개 수지를 구하면,

    조리개 수지 = (11 x 1/125) / (1/500) = 5.6

    따라서, 셔터 속도를 1/500으로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조리개 수지를 5.6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일반 반사식 카메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렌즈 교환이 용이하다.
  2. 시차가 있다.
  3. 대구경 렌즈의 설치가 용이하다.
  4. 필터 등의 효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정답률: 80%)
  • 시차가 있다는 것은 일반 반사식 카메라에서 빛이 렌즈를 통과한 후 반사되어 센서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물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시차가 있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확대기를 조명형식에 따라 분류 할 때 오팔 그라스를 투과한 부드럽고 고른 빛으로 필름을 지춰확대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작된 형식은?

  1. 집광식
  2. 산광식
  3. 반사식
  4. 스크린식
(정답률: 74%)
  • 산광식은 오팔 그라스를 사용하여 부드럽고 고른 빛을 만들어내어 필름을 지춰 확대 화상을 형성하는 형식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집광식은 빛을 집중하여 확대하는 형식, 반사식은 거울을 사용하여 빛을 반사하여 확대하는 형식, 스크린식은 확대된 화상을 스크린에 투사하여 보는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흑백 현상처리 순서로 옳은 것은?

  1. 정지 - 정착 - 현상 - 건조 - 수세
  2. 정착 - 현상 - 정지 - 수세 - 건조
  3. 현상 - 정지 - 정착 - 수세 - 건조
  4. 정지 - 현상 - 정착 - 건조 - 수세
(정답률: 68%)
  • 흑백 현상처리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상: 필름이나 인화지에 노출된 이미지를 화학약품에 담그면서 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입니다.
    2. 정지: 현상 후에 남아있는 화학약품을 제거하여 이미지가 더 이상 변하지 않도록 하는 과정입니다.
    3. 정착: 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해 화학약품에 담그는 과정입니다.
    4. 수세: 정착 후에 남아있는 화학약품을 제거하여 이미지를 깨끗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5. 건조: 이미지를 건조시켜 완성된 상태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현상 - 정지 - 정착 - 수세 - 건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카메라의 손질과 점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바디와 렌즈에 낀 먼지는 블로워로 털어낸다.
  2. 렌즈는 가능한 한 청결히 유지해야 한다.
  3. 렌즈나 필터는 가끔 올리브 오일로 닦아 낸다.
  4. 렌즈를 심하게 닦으면 코팅된 부분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정답률: 89%)
  • 다른 항목들은 카메라 손질과 점검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이지만, "렌즈나 필터는 가끔 올리브 오일로 닦아 낸다."는 비교적 특이한 내용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 내용은 렌즈나 필터에 묻은 먼지나 지문 등을 제거하고 윤활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으로, 다른 항목들과는 달리 특정한 유지보수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확대기 구조 중 필름 화면 사이즈에 따라 2장의 금속판이나 유리판으로 만들어 졌으며 확대하고자 하는 필름을 고정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이젤 마스크
  2. 필름 캐리어
  3. 레드 필터
  4. 플레어
(정답률: 75%)
  • 확대기에서 필름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은 필름 캐리어입니다. 필름 캐리어는 필름을 고정시켜 확대기의 렌즈와 연결되어 있는 두 장의 금속판이나 유리판 사이에서 움직이면서 필름을 확대합니다. 이젤 마스크는 그림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레드 필터는 색상 보정을 위해 사용되고, 플레어는 빛의 반사를 막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원근에 의한 피사체의 왜곡을 가장 적절하게 수정할 수 있는 카메라는?

  1. 일안 반사식 카메라
  2. 뷰 카메라
  3. 이안 반사식 카메라
  4. 거리계 연동식 카메라
(정답률: 50%)
  • 뷰 카메라는 원근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피사체와의 거리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피사체를 실제와 같은 비례로 보여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근에 의한 피사체의 왜곡을 가장 적절하게 수정할 수 있는 카메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렌즈 근을 광축에 대해 직각으로 슬라이드 시킬 수 있는 렌즈오서 어느 정도 카메라 무브먼트의 효과를 얻을수 있는 것은?

  1. 반사렌즈
  2. 광각렌즈
  3. S.F 렌즈
  4. P.C 렌즈
(정답률: 44%)
  • P.C 렌즈는 Perspective Control 렌즈의 약자로, 렌즈 근을 광축에 대해 직각으로 슬라이드 시킬 수 있어 수평/수직 선을 보정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카메라 무브먼트의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렌즈들은 이와 같은 기능이 없거나 제한적이기 때문에 P.C 렌즈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노출계 수광체가 아닌 것은?

  1. CdS
  2. GPD
  3. SPD
  4. LUD
(정답률: 60%)
  • LUD는 노출계 수광체가 아닌 것입니다. CdS는 카드뮴설파이드, GPD는 글라스피버즈, SPD는 실리콘광전자소자로 모두 노출계 수광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디지털 카메라에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주는 것은?

  1. CTP
  2. CCD
  3. DPI
  4. CDA
(정답률: 85%)
  • 디지털 카메라에서 빛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주는 것은 CCD입니다. CCD는 Charge-Coupled Device의 약자로, 빛을 받아 전하를 축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CD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이미지를 캡처하는 핵심적인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