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7-15)

사진기능사
(2007-07-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진일반

1. 컬러 네거티브 필름에서 녹색 감광 유제층과 적색 감광 유제층에 불필요한 청색광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층은?

  1. 옐로우 필터층
  2. 헐레이션 방지층
  3. 보호층
  4. 중간층
(정답률: 60%)
  • 옐로우 필터층은 파란색 빛을 흡수하여 녹색 감광 유제층과 적색 감광 유제층에 들어가는 불필요한 청색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컬러 네거티브 필름에서 옐로우 필터층은 불필요한 색조 변화를 막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조리개를 F/1.4로 하여 촬영했을 경우 노출값이 1/2 이 되었다. 같은 조건에서 조리개 값을 F/4로 한다면 노출값은 어떻게 되는가?

  1. 1/4
  2. 1/8
  3. 1/16
  4. 1/32
(정답률: 56%)
  • 노출값은 조리개 값과 셔터 스피드에 따라 결정됩니다. 조리개 값을 F/4로 낮추면 빛이 들어오는 양이 4배 줄어들게 되므로 셔터 스피드를 4배 늘려야 합니다. 따라서 노출값은 1/2 x 4 = 1/8이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16이 정답인데, 이는 노출값이 1/2에서 1단계 내려갈 때마다 2배씩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2 -> 1/4 -> 1/8 -> 1/16 순으로 노출값이 줄어들게 되므로, 조리개 값을 F/4로 낮추면 노출값은 1/16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발색 현상법에 의하여 컬러 화싱을 만드는 방법 중 발색 현상주약과 커플러의 반응에 의하여 색소를 형성하는 방법은?

  1. 색소 생성법
  2. 색소 표백법
  3. 색소상 확산법
  4. 색소 전염법
(정답률: 55%)
  • 발색 현상주약과 커플러의 반응에 의해 색소를 형성하는 방법은 색소 생성법입니다. 이 방법은 발색 현상주약과 커플러의 반응으로 인해 색소가 생성되는데, 이 색소는 물질 내부에 형성되어 더욱 안정적이며 오래 지속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컬러 화싱의 효과를 오래 유지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컬러 필름의 감광막은 3가지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황감 유제층
  2. 청감 유제층
  3. 녹감 유제층
  4. 적감 유제층
(정답률: 89%)
  • 컬러 필름의 감광막은 청감 유제층, 녹감 유제층, 적감 유제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황감 유제층은 감광막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황감 유제층은 흑백 필름에서 사용되는 층으로, 컬러 필름에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드라마틱한 효과를 가져오며 피사체의 형상이나 윤곽이 가장 잘 드러난 광선은?

  1. 측면광(side lighting)
  2. 측면상부광선(high side lighting)
  3. 후측면광(side rear lighting)
  4. 정면광(front lighting)
(정답률: 49%)
  • 후측면광은 피사체의 형상이나 윤곽을 강조하기 위해 뒤쪽에서 비추는 광선으로, 그림자를 만들어내어 드라마틱한 효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피사체의 형태와 윤곽이 가장 잘 드러나는 광선은 후측면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종이로 된 인화지를 사용하는 사진을 발명한 사람과 그 인화법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다게르 - 다게레오 타입
  2. 탈보트 - 칼로 타입
  3. 아처 - 클로디온 습판법
  4. 빅토르 - 암브로 타입
(정답률: 80%)
  • 종이로 된 인화지를 사용하는 사진을 발명한 사람은 탈보트이고, 그 인화법은 칼로 타입이다. 이는 탈보트가 1851년에 칼로 타입이라는 인화법을 발명하면서 종이로 된 인화지를 사용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빛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반사면이 고르면 반사광의 질은 입사광과 유사하며, 이 경우 반사각과 입사각은 같다.
  2. 반사면이 거친 경우 반사광은 고르게 세분되지 못하여 여러 방향으로 흩어진다.
  3. 매개물이 투명체인 경우 빛의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흡수되며, 일부는 굴절한다.
  4. 조명의 밝기는 거리비의 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71%)
  • "조명의 밝기는 거리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조명의 밝기는 거리와 반비례합니다. 즉, 조명과 대상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밝기는 약해집니다.

    조명의 밝기가 거리비의 제곱에 비례하는 이유는, 빛이 진행하는 동안 공간에서 희미해지기 때문입니다. 빛은 직진하면서 공간과 상호작용하며, 이 과정에서 일부 빛이 흡수되거나 반사되어 에너지가 손실됩니다. 이러한 손실은 거리가 멀어질수록 더욱 커지므로, 거리비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회색 양복이 흰색 와이셔츠를 입고 짙은 빨간색 넥타이를 매었을 때 그 넥타이는 더욱 짙게 보인다. 이와 가장 관련 있는 대비 현상은?

  1. 명도 대비
  2. 채도 대비
  3. 색상 대비
  4. 보색 대비
(정답률: 54%)
  • 채도 대비입니다. 회색 양복과 흰색 와이셔츠는 채도가 낮은 색상이므로, 짙은 빨간색 넥타이와 대비가 크게 나타납니다. 채도 대비는 색상의 선명도와 강도를 비교하여 대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경우에는 넥타이의 채도가 높아서 회색 양복과 흰색 와이셔츠와 대비가 더욱 강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사진 약품의 보관 장소로 가장 적합한 곳은?

  1. 그늘지고 서늘한곳
  2. 그늘지고 습기 찬곳
  3. 햇볕 드는 실내
  4. 했볕 드는 실외
(정답률: 98%)
  • 사진 약품은 높은 온도나 습도, 직접적인 햇볕 등에 노출되면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그늘지고 서늘한 곳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온도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직접적인 햇볕이 없어 약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네거트브 컬러 인화시 기본 필터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인화지 상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색상은?

  1. 보라
  2. 파랑
  3. 녹색
  4. 빨강
(정답률: 49%)
  • 네거티브 컬러에서는 색상이 반전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인화지 상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색상은 원래 색상의 보색입니다. 빨강의 보색은 청록색이지만, 주어진 보기에서는 청록색이 없으므로 빨강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색의 명시성(明視性)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색의 명시성은 주위 색과는 관계없이 독립적이다.
  2. 색의 명시성은 색의 3속성 중 색상의 효과가 가장 크다.
  3. 색의 명시성은 명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4. 황색 배경에 흑색 글씨는 황색 배경에 적색 글씨보다 색의 명시성이 낮다.
(정답률: 84%)
  • 색의 명시성은 색상, 명도, 채도의 세 가지 속성 중에서 명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이는 색의 밝기나 어둡기가 쉽게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같은 색상이라도 명도가 다르면 색의 명시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감색법으로 Yellow 와 Magents를 합쳤을 때 나타나는 색은?

  1. 빨강
  2. 녹색
  3. 파랑
  4. 검정
(정답률: 86%)
  • 감색법에서 Yellow와 Magenta를 합치면 빨강색이 나타납니다. 이는 Yellow가 녹색과 파란색을 흡수하고, Magenta가 녹색과 파란색을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녹색과 파란색이 없어지고, 빨간색만 남게 되어 빨강색이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에서 노랑색이 연두기미가 많은 노랑으로 보인다면 무슨 대비 현상 인가?

  1. 색상 대비
  2. 보색 대비
  3. 채도 대비
  4. 명도 대비
(정답률: 57%)
  • 그림에서 노랑색과 연두기미의 색상이 유사하여 구분하기 어렵게 보이므로, 이는 색상 대비의 부족으로 인한 현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색상 대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Fiber based 인화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지체에 황산바륨이 도포되어 백색도 가 뛰어나다.
  2. 유제에 포함된 은량이 풍부하여 계조가 풍부하다.
  3. 현상시간이 2~3분 정도로 RC 인화지에 비해 다소 길다.
  4. 신축성이 거의 없고 수세와 건조 시간이 짧다.
(정답률: 52%)
  • Fiber based 인화지는 신축성이 거의 없고 수세와 건조 시간이 짧지 않습니다. 오히려 RC 인화지에 비해 더욱 느리게 수세되고 건조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신축성이 거의 없고 수세와 건조 시간이 짧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피사체가 받은 빛의 최대량과 최소량의 차이는 무엇인가?

  1. 반사율
  2. 흡수율
  3. 콘트라스트
  4. 조명비
(정답률: 52%)
  • 피사체가 받는 빛의 최대량과 최소량의 차이는 조명비입니다. 조명비란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밝기 차이를 의미하며, 피사체의 형태와 색감을 강조하고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사진 촬영이나 조명 설계에서 조명비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현상액은 현상주약, 보항제, 촉진제, 억제제, 첨가제 등의 약품 구성되어 있다. 보항제를 포함시키는 가장큰 이유는?

  1. 현상 속도를 빠르게 하여 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2. 공기중 산소에 의해 주약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제라틴 막을 연화하여 현상액의 침투를 좋게 하려고
  4. 현상의 진행을 조절하고, 포근(fog)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62%)
  • 보항제는 현상액에 포함되는 이유 중 하나로, 공기중 산소에 의해 주약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보기] 중 MQ 현상액의 주성분만으로 나열 된 것은?

  1. ①, ②
  2. ①, ③
  3. ②, ④
  4. ①, ⑤
(정답률: 77%)
  • MQ 현상액의 주성분은 다이메틸포름아미드(DMF)와 수산화나트륨(NaOH)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DMF와 NaOH가 함께 나열된 "①, ③"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현상 결과를 좌우하는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현상액 온도
  2. 교반 회수
  3. 현상 시간
  4. 현상실 습도
(정답률: 77%)
  • 현상 결과는 필름의 현상액과 필름의 특성, 그리고 현상 조건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 현상실 습도는 필름의 현상액과 필름의 특성을 좌우하는 조건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현상실 습도가 낮으면 필름의 현상액이 빨리 증발하여 필름의 표면에 밀착하지 못하고, 반대로 습도가 높으면 필름의 현상액이 느리게 증발하여 필름의 표면에 과도하게 밀착하여 필름의 특성을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현상실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름 현상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수세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세온도는 20℃ 정도이고, 시간은 흐르는 물에 30~60분 정도가 적당하다.
  2. 수세는 금속은 화상을 할로겐화은으로 변화시켜 씻어내는 역할을 한다.
  3. 수세 방법에는 유수법과 치환법이 있다.
  4. 수세의 목적은 잔류 하이포를 씻어 내는데 있다.
(정답률: 78%)
  • 수세는 금속은 화상을 할로겐화은으로 변화시켜 씻어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금속 표면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깨끗한 표면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신속 정착액으로 주로 사용되는 약품은?

  1. 티오황산나트륨
  2. 티오황산칼륨
  3. 티오황산암모늄
  4. 아황산나트륨
(정답률: 30%)
  • 신속 정착액은 물질의 농도를 빠르게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품입니다. 이 중에서 티오황산암모늄은 다른 성분들과 달리 물에 잘 녹아 빠르게 반응하여 농도를 측정하기 용이하며, 안정성이 높아 신뢰성이 높은 약품입니다. 따라서 티오황산암모늄이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재료 및 현상

21. 그림은 필름에 강한 빛이 들어 올 때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헬레이션 현상이 발생하는 위치?

(정답률: 57%)
  • 헬레이션 현상은 강한 빛이 들어오면서 필름과 렌즈 사이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그림에서는 빛이 렌즈를 통과한 후 필름에 닿기 전에 렌즈와 필름 사이를 지나가는 경로가 나타나 있다. 이 경로가 헬레이션 현상이 발생하는 위치이므로 정답은 "④"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필름 타입으로 자외선, 청색, 녹색, 그리고 약간의 황색광에 감광되는 흑백필름의 감색성은?

  1. 정색성
  2. 전정색성
  3. 청감색성
  4. 적외선
(정답률: 41%)
  • 정색성은 필름이 정확하게 색상을 재현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즉, 필름이 자외선, 청색, 녹색, 그리고 약간의 황색광에 감광되어도 실제 색상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정색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름 사진 약품 중 주로 중간 정지액으로 사용되는 것은?

  1. 탄산수소나트륨
  2. 빙초산
  3. 제3 인산나트륨
  4. 메타 붕산나트륨
(정답률: 77%)
  • 중간 정지액은 pH를 조절하여 약물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약물의 용해도를 증가시켜 흡수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빙초산은 pH 조절제로서 널리 사용되며, 안정성이 높고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 중간 정지액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현상시간을 연장해야 할 경우에 해당되는 것은?

  1. 세로운 현상액일 때
  2. 액온이 높을 때
  3. 연속 교반할 때
  4. 증감 처리할 때
(정답률: 80%)
  • 증감 처리할 때 현상시간을 연장해야 합니다. 이는 증감 처리 시 필름의 밀도가 변화하므로, 현상시간을 연장하여 필름의 밀도를 안정화시키기 위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현상시간을 연장할 필요가 없는 경우입니다. 새로운 현상액일 때는 현상액의 농도를 조절하여 적절한 현상시간을 설정하면 되고, 액온이 높을 때는 현상시간을 단축시켜야 합니다. 연속 교반할 때는 현상액의 교반을 통해 현상시간을 유지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K3Fe(CN)6는 주로 무엇으로 사용되는가?

  1. 현상 촉진제
  2. 현상 억제제
  3. 정착액
  4. 파머씨 감력액
(정답률: 46%)
  • K3Fe(CN)6는 파머씨 감력액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적색 혈구의 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혈액 검사 시약입니다. K3Fe(CN)6는 적혈구를 파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적혈구의 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머씨 감력액은 혈액 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흑백 RC인화지의 유제를 도포하는 쪽에 백색도를 높이고 계조 표현을 풍부하게 하기 위하여 주로 도포하는 것은?

  1. 염화바륨
  2. 이산화티타늄
  3. 황산바륨
  4. 아산화바륨
(정답률: 25%)
  • 이산화티타늄은 백색안료로서 높은 광택성과 높은 밝기를 가지고 있어 흑백 RC인화지의 유제를 도포하는 쪽에 주로 사용됩니다. 또한, 이산화티타늄은 계조 표현을 풍부하게 해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선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산화티타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인화지의 종류를 할로겐화은의 구성 방식에 따라 분류할 때 감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가스라이트지
  2. 브로마이드지
  3. 클로로브로마이드지
  4. 펜크로지
(정답률: 53%)
  • 할로겐화은의 구성 방식에 따라 인화지는 감도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이 중에서 감도가 가장 낮은 것은 가스라이트지입니다. 이는 가스라이트지가 할로겐화은의 구성 방식 중에서 가장 적은 양의 은화합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스라이트지는 다른 인화지에 비해 감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노출이 지나쳐 형상결과 필름화상이 검고 콘트라스트가 너무 강할 때 필름을 특수약물 처리하여 화상의 농도와 콘트라스트를 낮추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보력
  2. 감력
  3. 조색
  4. 조제
(정답률: 87%)
  • 감력은 노출이 지나쳐 형상결과 필름화상이 검고 콘트라스트가 너무 강할 때 필름을 특수약물 처리하여 화상의 농도와 콘트라스트를 낮추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감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컬러네거티브 필름으로 흑백 인화시 사용되는 인화지는?

  1. Bromide
  2. Gaslight
  3. Pnaluer
  4. Ektaprint
(정답률: 31%)
  • 컬러네거티브 필름으로 흑백 인화시 사용되는 인화지는 Gaslight입니다. Gaslight는 흑백 인화에 최적화된 종이로, 높은 대조와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합니다. 또한, Gaslight는 높은 흑백 음영과 깊이감 있는 그레이톤을 표현할 수 있어 인화 작업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컬러 네거티브 시험인화에서 옐로우 기미가 강하다면 가장 적절한 보정 방법은?

  1. 옐로우 수치를 높여준다.
  2. 마젠타 수치를 높여준다.
  3. 사이안 수치를 높여준다.
  4. 블루 수치를 높여준다.
(정답률: 59%)
  • 컬러 네거티브 시험인화에서 옐로우 기미가 강하다는 것은 옐로우 색상이 과도하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옐로우 수치를 높여줌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보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색상의 수치를 높여준다고 해도 옐로우 기미를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화면의 크기로 카메라를 분류하면 소형 중형 대형 카메라로 분류되는데 중형 브로니판의 화면 사이즈는?

  1. 6 × 4.5
  2. 6 × 6
  3. 6 × 7
  4. 6 ×9
(정답률: 41%)
  • 중형 브로니판 카메라는 대형 카메라보다는 작지만 소형 카메라보다는 큰 카메라로 분류됩니다. 이 중형 브로니판 카메라의 화면 사이즈는 6 × 9 입니다. 이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필름의 크기를 나타내며, 6 × 9는 다른 보기들보다 가로와 세로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모양의 필름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카메라는 더 넓은 영역을 촬영할 수 있으며,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망원렌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피사계 심도가 얕다.
  2. 초점거리가 짧다.
  3. 좁은 공간에 많은 것을 촬영할 수 있다.
  4. 화각이 넓다.
(정답률: 86%)
  • 망원렌즈는 초점거리가 짧고 화각이 넓은 특징이 있어서 좁은 공간에 많은 것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피사계 심도가 얕아서 초점이 맞춰진 부분만 선명하게 나오고, 그 외의 부분은 흐릿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장마철 인화지 보관이나 카메라 손질법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일반적으로 열과 습기는 카메라나 필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카메라가 젖었을 경우 직접 불에 쬐이거나 볕에 말리지 않는다.
  3. 인화지는 방습제와 함께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4. 카메라는 마른거즈 등으로 습기 찬 곳을 잘 닦아 낸다.
(정답률: 91%)
  • "일반적으로 열과 습기는 카메라나 필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설명이 잘못되었습니다. 열과 습기는 카메라나 필름에 영향을 미치며,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보관하거나 사용할 경우 필름이 부식되거나 이미지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카메라와 필름은 건조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컬러 슬라이드 필름으로 장시간 노출시 컬러 바란스가 깨어지는 현상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1. 디포메이션
  2. 색수차
  3. 상반칙 불괘
  4. 헬레이션
(정답률: 72%)
  • 컬러 슬라이드 필름으로 장시간 노출시 컬러 바란스가 깨어지는 현상은 "상반칙 불괘"와 관련이 있습니다. 상반칙 불괘란, 색상의 보존을 위해 필름의 각 색상 층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불괘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불괘가 깨어지면 색상이 변형되어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컬러 슬라이드 필름에서 장시간 노출시 상반칙 불괘가 깨어지면 컬러 바란스가 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확대기에 35mm 필름을 사용하여 확대하려고 할 때 확대기용 렌즈의 초점거리는 몇 mm인가?

  1. 24mm
  2. 50mm
  3. 75mm
  4. 100mm
(정답률: 79%)
  • 35mm 필름의 대각선 길이는 약 43mm입니다. 확대기는 필름을 확대하여 이미지를 더 크게 보여주는데, 이때 필요한 렌즈의 초점거리는 필름의 대각선 길이와 비례합니다. 따라서 35mm 필름을 사용할 때 확대기용 렌즈의 초점거리는 약 50m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FP접점에 대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포컬플레인 셔터식 카메라에 장치된 싱크로 접점
  2. 발광시간이 짧은 플래시에 연결하는 싱크로 접점
  3. 스트로보를 주로 연결하는 접점
  4. 플래시 포인트의 약자로 약간 촬영시 시용하는 접점
(정답률: 71%)
  • FP접점은 포컬플레인 셔터식 카메라에 장치된 싱크로 접점으로, 발광시간이 짧은 플래시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접점은 카메라의 셔터가 열리는 동안 플래시를 발광시키는데, 이때 발광시간이 짧은 플래시를 사용하면 빠른 셔터 스피드에서도 충분한 조명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FP접점은 고속 촬영이 필요한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수 분의 시간 내에 현상과 인화를 카메라 몸체에서 완성하는 카메라는?

  1. 인스턴트 카메라
  2. 이안반사식 카메라
  3. 스테레오 카메라
  4. 파노라마 카메라
(정답률: 86%)
  • 인스턴트 카메라는 촬영한 사진을 즉시 인화하여 출력할 수 있는 카메라로, 수 분 내에 현상과 인화를 완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카메라를 함께 움직이면서 촬영 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조리개 개방 기법
  2. 고감도 필름 사용 기법
  3. 패닝 기법
  4. 고속 촬영법
(정답률: 91%)
  • 패닝 기법은 피사체의 움직임을 따라 카메라를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면서 촬영하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피사체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패닝 기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원근감을 극단적으로 과장되게 표현하는 렌즈는?

  1. 광각 렌즈
  2. 망원 렌즈
  3. 표준 렌즈
  4. 컨버젼 렌즈
(정답률: 72%)
  • 광각 렌즈는 시야각이 넓어서 원근감이 왜곡되어 보이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원근감을 극단적으로 과장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안반사식 카메라에 부착되어 롤 필름을 자동적으로 진행시켜 연속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는?

  1. 모터드라이브
  2. 렌즈후드
  3. 어테치먼트
  4. 센타포커스
(정답률: 80%)
  • 일안반사식 카메라에 부착되어 롤 필름을 자동적으로 진행시켜 연속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는 필름을 움직이는 모터를 구동하는 기능을 가진 "모터드라이브"입니다. 다른 보기인 렌즈후드, 어테치먼트, 센타포커스는 필름을 움직이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기계 및 촬영

41. 셔터속도 1/60초, 조리개 8 이 적정노출일 때, 셔터 속도를 1/250초로 할 때에 가장 적합한 조리개 수치는?

  1. 4
  2. 5.6
  3. 11
  4. 16
(정답률: 74%)
  • 셔터 속도를 1/60초에서 1/250초로 빠르게 변경하면 더 많은 양의 빛을 통과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더 작은 조리개 값이 필요합니다.

    노출량은 셔터 속도와 조리개 값의 곱으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1/60초와 f/8에서의 노출량은 1/250초와 f/4에서의 노출량과 동일합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조리개 값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노출계가 지시하는 노츨의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 흰색
  2. 18% 중성 회색
  3. 50% 빨강색
  4. 100% 검정색
(정답률: 83%)
  • 노출계는 사진에서 밝기를 측정하는데,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중성 회색이다. 중성 회색은 밝기가 중간 정도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노출을 측정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따라서 노출계가 지시하는 노출의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8% 중성 회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형 카메리일 경우 교환 렌즈의 화각을 두루 갖춘 보조 파인더는?

  1. 유니버셜 파인터
  2. 투시 파인더
  3. 프리즘 파인더
  4. 반사 파인더
(정답률: 71%)
  • 소형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미러리스 카메라나 컴팩트 카메라 등이며, 이러한 카메라는 작은 크기로 인해 보조 파인더를 내장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교환 렌즈를 사용할 때 필요한 화각을 두루 갖춘 보조 파인더가 필요합니다. 이때 유니버셜 파인더는 다양한 화각을 지원하며, 다양한 카메라와 렌즈에 호환되는 범용적인 파인더입니다. 따라서 소형 카메라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카메라 몸통(body)속에 있는 필름 압착판의 주된 역할은?

  1. 필름의 진행을 도와 준다.
  2. 광선을 차단한다.
  3. 필름의 평탄성을 유지시킨다.
  4. 촬영 매수를 계산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77%)
  • 필름의 평탄성을 유지시키는 것은 카메라에서 이미지를 정확하게 촬영하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필름이 평평하지 않으면 이미지가 왜곡되거나 흐릿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필름 압착판은 필름을 평평하게 유지하여 정확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컬러 네거티브 필름을 취급시 가장 안전한 암실의 조명은?

  1. 완전 암실
  2. 노란색 안전등
  3. 빨강색 안전등
  4. 파랑색 안전등
(정답률: 62%)
  • 컬러 네거티브 필름은 색상을 반전시키는 필름으로, 빨간색, 파란색, 녹색 등의 색상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필름을 처리할 때는 정확한 색상을 유지하기 위해 정확한 조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완전 암실이 가장 안전한 조명입니다. 완전 암실은 완전히 어두운 공간으로, 어떠한 빛도 들어오지 않습니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필름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정확한 색상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노란색, 빨강색, 파랑색 안전등은 모두 필름의 색상을 왜곡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카메라 내부에 설치된 센서로 광량을 측정하는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TTL 측광 방식
  2. AUTO FLASH 방식
  3. MANUAL 방식
  4. NON FRASH 방식
(정답률: 91%)
  • TTL 측광 방식은 카메라 내부에 설치된 센서로 광량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TTL은 "Through The Lens"의 약자로,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측정하여 적절한 노출 값을 계산합니다. 따라서 촬영 대상과 배경의 밝기 차이가 큰 상황에서도 정확한 노출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시트(Sheet) 필름을 사용 할 Eo 유제면 판별하는 가장 적절한 방식은?

  1. 필름 면을 손으로 만져서 판별한다.
  2. 필름을 긇어 보고 판별한다
  3. 명실에서 형태와 감각으로 판별한다.
  4. 필름의 노츠 코드(Notch code)로 판별한다.
(정답률: 93%)
  • 시트 필름은 Eo 유제면과 비유제면이 있기 때문에, 시트 필름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Eo 유제면과 비유제면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필름의 노츠 코드(Notch code)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노츠 코드는 필름의 특정 위치에 구멍을 뚫어놓은 것으로, 이를 통해 Eo 유제면과 비유제면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름의 노츠 코드를 확인하여 Eo 유제면과 비유제면을 판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플래시(Flash)를 주광원으로 하여 촬영할 때 노출에 영향을 주는 요소만으로 나열한 것은?

  1. 가이드넘버, 셔터속도, 피사체거리, 조리개수치
  2. 필름감도, 피사체거리, 조리개수치, 셔터속도
  3. 셔터속도, 필름감도, 피사체거리, 가이드번호
  4. 필름감도, 가이드번호, 피사체거리, 조리개수치
(정답률: 48%)
  • 플래시를 주광원으로 촬영할 때 노출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주로 플래시의 세기와 거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가이드번호는 플래시의 세기와 거리를 고려한 값으로,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피사체거리는 플래시와 촬영 대상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조리개수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필름감도는 필름의 민감도를 나타내며, 셔터속도는 노출 시간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플래시를 주광원으로 촬영할 때 노출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필름감도, 가이드번호, 피사체거리, 조리개수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인물사진 촬영시 눈의 생동감을 빛나는 받은 흰점이 생기도록 광원을 조절하는 것과 가장 돤게 깊은 것은?

  1. 플랜 라이트(Plane light)
  2. 톱 라이트(Top light)
  3. 캐치 라이트(Catch light)
  4. 헤어 라이트(Hair light)
(정답률: 79%)
  • 캐치 라이트는 광원이 눈에 반사되어 눈의 생동감을 더해주는 효과를 주는 것입니다. 이는 인물의 눈을 더욱 생생하게 보이게 하여 사진의 인상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인물사진 촬영시 가장 돋보이게 깊은 것은 캐치 라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IOS 100/21 일 때 Guide Number 가 40인 전자플래시로 5m 거리의 피사체를 촬영코자 한다. 다음 중 가장 적당한 F값은?(단, 반사나 노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은 배제)

  1. F/4
  2. F/503
  3. F/8
  4. F/11
(정답률: 83%)
  • Guide Number = 거리 x F값
    F값 = Guide Number / 거리

    따라서 F값 = 40 / 5 = 8

    따라서 가장 적당한 F값은 F/8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광량 만을 감소시키며 색에 대해서는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 필터는?

  1. ND 필터
  2. FL 필터
  3. SF 필터
  4. MC 필터
(정답률: 91%)
  • ND 필터는 Neutral Density 필터의 약자로, 광량을 감소시키는 필터입니다. 이 필터는 색에 대해서는 변화를 가져오지 않기 때문에, 색을 보존하면서도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량을 조절하면서도 원래의 색상을 유지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필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두 눈의 시차로 거리와 입체를 지각하는 육안의 원리를 이용하여 입체 화상을 기록하기 위한 카메라는?

  1. 리플렉스 카메라
  2. 스테레오 카메라
  3. 파노라마 카메라
  4. 폴라로이드 랜드 카메라
(정답률: 72%)
  • 스테레오 카메라는 두 눈의 시차를 이용하여 입체를 지각하는 육안의 원리를 모방하여 두 개의 렌즈를 사용하여 두 개의 이미지를 동시에 촬영합니다. 이를 통해 입체 화상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데이라이트 칼라 타입 필름의 경우 정상적인 색으로 발색하기 위하여 다음 어느 날씨에 맞추어져 만들어 졌는가?

  1. 청명한 날 아침의 태양광
  2. 비오는 날 오후의 태양광
  3. 청명한 날 정오의 태양광
  4. 흐린날 오후의 태양광
(정답률: 83%)
  • 정답은 "청명한 날 정오의 태양광"입니다. 이는 청명한 날의 태양광이 가장 밝고 선명하며, 색감이 가장 정확하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아침이나 오후의 태양광은 그에 따른 색감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흐린 날의 태양광은 색감이 탁해지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피사체를 선택적으로 좁은 부분만 측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기 편리한 노출계는?

  1. 입사식
  2. 스포트식
  3. 반사식
  4. 셀랜식
(정답률: 95%)
  • 스포트식 노출계는 작은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빛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피사체의 좁은 부분만 측정하기에 적합합니다. 다른 종류의 노출계들은 넓은 영역을 측정하는 데에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확대기의 구조에서 [보기]의 부품이 위레서 아래로 배열되는 순서가 옳은 것은?

  1. ① -> ② -> ③ -> ④ -> ⑤ -> ⑥
  2. ① -> ③ -> ⑤ -> ④ -> ② -> ⑥
  3. ① -> ④ -> ② -> ③ -> ⑤ -> ⑥
  4. ① -> ③ -> ② -> ⑤ -> ④ -> ⑥
(정답률: 52%)
  • 확대기의 구조에서 빛은 렌즈(①)를 통과하여 물체를 확대한 후, 다시 렌즈(③)를 통과하여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이 이미지는 빛을 받아 증폭시키는 광전지(②)에 도달하고, 광전지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는 전자회로(⑤)를 통해 증폭되어 출력되는데, 이 출력 신호는 플루오로스코프(④)를 통해 화면에 표시됩니다. 마지막으로,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⑥)가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① -> ③ -> ② -> ⑤ -> ④ -> 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흑백 촬영에서 구름이 있는 풍경을 촬영할 때, 푸른 하늘이 짙은 회색이 되어 구름과 분리되기 쉽도록 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필터는?

  1. UV 필터
  2. Blue필터
  3. Orange 필터
  4. Green 필터
(정답률: 71%)
  • Orange 필터는 푸른 하늘을 어둡게 만들어 구름과 분리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흑백 촬영에서 구름이 있는 풍경을 촬영할 때 가장 적합한 필터입니다. UV 필터는 주로 빛의 산란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Blue 필터는 주로 색온도를 낮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Green 필터는 초록색을 강조시키는 역할을 하며, 구름과 하늘을 분리시키는 효과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동일한 거리에서 촬영할 때 피사체의 배경을 흐리게 (out focus)하는데 가장 적합한 렌즈는?

  1. 망원 렌즈
  2. 표준 렌즈
  3. 광각 렌즈
  4. 어안 렌즈
(정답률: 86%)
  • 망원 렌즈는 초점 거리가 길어서 피사체와 배경 사이의 거리를 멀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배경을 흐리게 만드는데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망원 렌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사진술의 발달 순서가 가장 옳게 나열 된 것은?

  1. 헬리오그래피 -> 다게레오타입 -> 칼로타입 -> 클로디온습판법 -> 건판사진
  2. 다게레오타입 ->건판사진 -> 클로디온습판법 -> 칼로타입 -> 헬리오그래피
  3. 헬리로그래피 -> 다게레오타입 -> 건판사진 -> 클로디온습판법 -> 칼로타입
  4. 칼리타입 -> 다게레오타입 -> 헬리오그래피 -> 클로디온습판법 -> 건판사진
(정답률: 85%)
  • 헬리오그래피는 1826년에 개발되었고, 다게레오타입은 1839년, 칼로타입은 1841년, 클로디온습판법은 1851년, 건판사진은 1871년에 개발되었습니다. 따라서, 시간순으로 나열하면 "헬리오그래피 -> 다게레오타입 -> 칼로타입 -> 클로디온습판법 -> 건판사진"이 가장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암실에서 사진 작업시 유의할 사항과 관계가 먼 것은?

  1. 사진현상 처리액은 인체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환풍장치를 설치한다.
  2. 젖은 손에 의한 전기장치 조작을 삼간다.
  3. 암실의 온도를 최대한 낮추어 주의를 집중 시킨다.
  4. 사진처리액 폐수는 환경오염을 유발 시킬수 있으므로 폐수처리 장치를 설치한다.
(정답률: 88%)
  • 암실에서 작업할 때 온도가 높으면 불쾌감이 생기고 집중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온도를 최대한 낮추어 주의를 집중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유백색 반구가 장치된 노출계로 피사체 위치에서 피사체로 입사되는 빛을 측정하는 노출 측정법은?

  1. 스포트식 측정법
  2. 하이라이트 측정법
  3. 입사식 측정법
  4. 평균 측정법
(정답률: 74%)
  • 유백색 반구가 장치된 노출계는 피사체 위치에서 피사체로 직접적으로 들어오는 빛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이를 입사식 측정법이라고 부릅니다. 스포트식 측정법은 특정 부분만을 측정하는 방법, 하이라이트 측정법은 밝은 부분만을 측정하는 방법, 평균 측정법은 전체적인 밝기를 평균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