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3-30)

사진기능사
(2008-03-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진일반

1. 카메라를 이용하지 않고 투명체, 반투명체, 불투명체의 물체를 인화지 위에 올려 놓고 그림자를 만들어 노출하여 현상한 사진 또는 그 기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연조 인화법(soft focusing)
  2. 몽타주(Montage)
  3. 포토그램(Photogram)
  4. 디포메이션(Deformation)
(정답률: 92%)
  • 포토그램은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 물체를 인화지 위에 올려 놓고 그림자를 만들어 노출하여 현상한 사진 또는 그 기법입니다. 따라서 인화지와 물체만으로 사진을 만들어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그림에서 A부분을 아주 뚜렷하게 튀어나오게 하려면 A부분은 어떤 색이 가장 적합한가?

  1. 남색
  2. 감청
  3. 노랑
  4. 자주
(정답률: 83%)
  • A부분을 뚜렷하게 튀어나오게 하려면 대비가 큰 색상이 적합합니다. 노랑은 배경색인 파랑과 대비가 크기 때문에 A부분을 뚜렷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노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빛의 굴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빛은 유리(둥근모양)를 투과할 때 두꺼운 쪽으로 굴절한다.
  2. 빛은 공기에서 유리로 투과(예각)할 때 진행 방향이 달라진다.
  3. 빛은 유리를 투과할 때 입사광이 직각보다 예각일수록 굴절율을 적게 한다.
  4. 투명한 물체인 경우 빛의 일부는 반사, 흡수, 굴절한다.
(정답률: 36%)
  • "빛은 유리를 투과할 때 입사광이 직각보다 예각일수록 굴절율을 적게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입사광이 직각보다 예각일수록 굴절율은 더 크게 됩니다. 굴절율은 빛이 진행하던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빛의 속도가 달라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굴절각과 관련이 있습니다. 굴절각은 빛이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빛의 진행 방향이 달라지는 각도를 말합니다. 입사광이 직각보다 예각일수록 굴절각은 더 커지므로 굴절율도 더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선명한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높은 해상도의 렌즈 선택
  2. 구멍이 큰 렌즈 및 사이즈가 큰 피사체 선택
  3. 떨림이 없는 셔터 속도의 선택
  4. 적절한 조리개 값 선택
(정답률: 84%)
  • 구멍이 큰 렌즈는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사이즈가 큰 피사체는 더 많은 디테일을 담을 수 있기 때문에 선명한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검정 배경 색지 위에 작은 흰 색지를 대비시켰을 때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대비 현상은?

  1. 명도 대비
  2. 색상 대비
  3. 채도 대비
  4. 보색 대비
(정답률: 69%)
  • 검정 배경 색지와 작은 흰 색지는 색상이 다르지만, 명도가 크게 차이나기 때문에 명도 대비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명도 대비는 색상이 같더라도 밝기가 다른 두 색을 대비시켰을 때 나타나는 대비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기와 같이 컬러사진에서 두 색이 겹치면 또 다른 색이 된다. ( ) 안에 들어 갈 가장 적합한 색은?

  1. Black
  2. Green
  3. Blue
  4. White
(정답률: 90%)
  • 두 색이 겹치면서 만들어진 색을 보면, 녹색이 가장 적합한 색으로 보인다. 따라서 정답은 "Gree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컬러 리버셜 필름인 경우에 제1현상에서 흑화되지 않은 부분에 빛 또는 처리제를 사용하여 포지티브 상의 발색 현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처리 과정은?

  1. 색소 표백
  2. 반전 현상
  3. 색소 전염
  4. 표백 현상
(정답률: 42%)
  • 컬러 리버셜 필름은 제1현상에서 음영부분이 흑백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발색을 위해서는 흑백이 아닌 밝은 부분을 얻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제1현상에서 흑화되지 않은 부분에 빛 또는 처리제를 사용하여 포지티브 상의 발색 현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처리 과정을 반전 현상이라고 합니다. 즉, 음영부분을 밝은 부분으로, 밝은 부분을 음영부분으로 바꾸는 과정을 거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전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재해 발생 원인 중 기술적 원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건물, 기계장치 등의 설계 불량
  2. 구조, 재료 등의 부적합
  3. 점검, 정비, 보존 등의 불량
  4. 작업지시의 부적합
(정답률: 87%)
  • 작업지시의 부적합은 기술적인 원인이 아니라 인적인 원인으로 분류됩니다. 작업지시의 부적합은 작업자에게 부적절한 지시를 내리거나, 작업자의 능력과 경험을 고려하지 않은 지시를 내리는 등의 인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지시의 부적합은 기술적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연지색을 보고 입술연지나 요염함을 생각했다거나 루비와 같은 보석을 관련시켰다면 이것은 주로 색에 대한 어떤 작용이나 현상 때문인가?

  1. 색의 대비현상
  2. 색의 등화현상
  3. 색의 연상작용
  4. 색의 잔상현상
(정답률: 92%)
  • 색의 연상작용은 어떤 색을 보면 그 색과 관련된 이미지나 감정이 떠오르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연지색을 보면 루비와 같은 보석이나 요염한 이미지가 떠오르는 것입니다. 이는 우리 뇌가 색과 관련된 이미지, 감정, 경험 등을 연결시켜서 생기는 현상으로, 색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뉴튼(Newton)에 의해 주장된 '빛의 입자설'로 설명될 수 없는 현상은?

  1. 직진
  2. 반사
  3. 굴절
  4. 간섭
(정답률: 77%)
  • 간섭은 빛이 파동의 형태로 전파되는 것을 설명하는 '빛의 파동설'에서만 설명될 수 있으며, 빛의 입자설에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입니다. 간섭은 빛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파동의 크기와 방향이 변화하는 현상으로, 두 개 이상의 빛이 만나면 서로 간섭하여 굴절, 반사, 굴절 등의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빛이 입자로서 움직인다는 뉴튼의 입자설에서는 설명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콜로디온 습판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다게레오 타입이나 칼로 타입보다 조작이 간단하나 인화시간이 길다.
  2. 노출시간이 매우 길고 현상과정이 매우 간단하다.
  3. 1장의 네거티브로 여러장의 포지티브를 얻을 수 있다.
  4. 인화한 프린트의 상이 흐리고 인화시간이 길다.
(정답률: 70%)
  • 콜로디온 습판법은 네거티브(음영이 반대인 사진)를 사용하여 포지티브(원래 사진과 같은 음영의 사진)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하나의 네거티브를 사용하여 여러 장의 포지티브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1장의 네거티브로 여러장의 포지티브를 얻을 수 있다."는 설명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컬러 리버셜 필름으로 촬영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색온도
  2. 적정 노광
  3. 조명광원의 종류
  4. 실내 온도
(정답률: 78%)
  • 컬러 리버셜 필름은 색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촬영 환경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색감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내 온도를 고려하여 촬영을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현대 사진기의 직계 선조라 할 수 있는 카메라 옵스큐라와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색온도
  2. 적정 노광
  3. 조명광원의 종류
  4. 실내 온도
(정답률: 66%)
  • 카메라 옵스큐라는 사진을 찍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장치로, 실내 온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사진 촬영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들이지만, 실내 온도는 사진 촬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빛의 3원색을 같은 양(等量)으로 혼합하면 무슨 색이 가장 가깝게 되는가?

  1. 흰색
  2. 빨강
  3. 검정
  4. 청록
(정답률: 91%)
  • 빛의 3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을 같은 양으로 혼합하면 흰색이 됩니다. 이는 빛의 삼원색 혼합에서 가장 밝고 균일한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흰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컬러 사진에서 올바른 색재현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필터는?

  1. 6L 필터
  2. PL 필터
  3. ND 필터
  4. CC 필터
(정답률: 60%)
  • CC 필터는 컬러 보정 필터로, 색온도를 조절하여 올바른 색재현을 돕는 필터입니다. 따라서 컬러 사진에서 올바른 색재현을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정착액으로 사용되는 약품 중 정착 속도가 가장 느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AgCl
  2. AgBr
  3. Agl
  4. AgF
(정답률: 16%)
  • 정착액으로 사용되는 약품 중 정착 속도가 가장 느린 것은 Agl입니다. 이는 Agl의 용해도가 가장 낮기 때문입니다. AgCl, AgBr, AgF는 각각 Ag+, Cl-, Br-, F- 이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온들은 용액 중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Agl은 Ag+, I- 이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I- 이온은 용액 중에서 상대적으로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Agl의 용해도와 정착 속도가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C-41 현상액은 주로 어떤 감광재료의 현상액으로 사용되는가?

  1. 내식 컬러 리버셜 필름
  2. 외식 컬러 리버셜 필름
  3. 컬러 네거티브 필름
  4. 컬러 RC 인화지
(정답률: 57%)
  • C-41 현상액은 컬러 네거티브 필름의 현상액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컬러 네거티브 필름이 C-41 현상액을 사용하여 현상되기 때문입니다. 컬러 네거티브 필름은 촬영한 이미지를 반전시켜 음성 이미지로 만들어주는 필름입니다. 따라서 이 필름을 현상할 때는 색상을 보존하면서도 음성 이미지로 만들어주는 C-41 현상액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특성 곡선에서 솔라리제이션(solarization)부분에 해당되는 구간은?

  1. AB
  2. BC
  3. CD
  4. DE
(정답률: 38%)
  • 솔라리제이션은 이미지 처리 기술 중 하나로, 밝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부분과 일정 수준 이하인 부분을 반전시켜서 색상이 반전된 이미지를 만드는 것입니다.

    위 그래프에서는 x축이 밝기, y축이 빈도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래프의 왼쪽 부분은 어두운 색상, 오른쪽 부분은 밝은 색상을 나타냅니다.

    솔라리제이션은 밝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부분과 일정 수준 이하인 부분을 반전시키는 것이므로, 그래프의 중간 부분인 "DE" 구간이 솔라리제이션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D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확대 인화를 할 때, 인화지를 가로 또는 세로로 구부려 인화하면 화상의 일부가 과장되어 나오는데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는 사진기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이중인화(double printing)
  2. 에칭(etching)
  3. 디테일(detail)
  4. 디포메이션(deformation)
(정답률: 48%)
  • 디포메이션은 인화지를 구부려 인화하는 사진기법으로, 인화지의 형태를 변형시켜 일부분을 과장하여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화상을 일부분을 과장하여 나타내는 이 방법을 디포메이션(deformation)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정착액 속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물질은?

  1. 메타중아황산칼륨
  2. 티오황산암모늄
  3. 칼륨명반
  4. 탄산나트륨
(정답률: 37%)
  • 정착액은 일반적으로 물과 용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탄산나트륨은 이중염기성 염으로, 물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와 나트륨이온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정착액 속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재료 및 현상

21. 다음 그림은 필름의 특성곡선이다. 가장 콘트라스트가 높은 것은?

(정답률: 80%)
  • 정답은 "①"입니다.

    특성곡선에서 콘트라스트는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콘트라스트가 가장 높은 필름은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차이가 가장 큰 필름입니다.

    위의 특성곡선에서는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차이가 가장 큰 구간이 "①"입니다. 따라서 "①"이 가장 콘트라스트가 높은 구간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사진굴절 중 정착 굴절에 대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노광부분의 할로겐화은을 모두 제거하는 과정이다.
  2. 미노광부분의 할로겐화은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3. 노광부분의 젤라틴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4. 미노광부분의 젤라틴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정답률: 43%)
  • 사진굴절 중 정착 굴절은 미노광부분의 할로겐화은을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광학적인 성질을 개선하고 이미지의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현상액 중 메톨(met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새도우와 하이라이트가 동시에 현상되어 농도차가 큰 경조 현상액이다.
  2. 유도기기 짧은 급성 현상 주약이다.
  3. 현상액의 온도와 억제제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4. 단독으로 이용되기 보다는 콘트라스트를 강조하는 현상주약과 함께 사용된다.
(정답률: 32%)
  • "새도우와 하이라이트가 동시에 현상되어 농도차가 큰 경조 현상액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인 이유는, 메톨은 새도우와 하이라이트를 동시에 현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주로 하이라이트를 강조하는 현상주약으로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새도우와 하이라이트가 동시에 현상되어 농도차가 큰 경조 현상액이다."는 메톨에 대한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할로겐화은 중 주로 브롬화은과 요드화은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감광재료는?

  1. 밀착 인화지
  2. 확대용 인화지
  3. 저감도 필름
  4. 고감도 필름
(정답률: 45%)
  • 할로겐화은은 빛에 노출되면 은과 할로겐화물이 반응하여 은 입자를 생성하고, 이로 인해 색이 변하는 현상을 이용한 감광재료입니다. 이 중 브롬화은과 요드화은을 혼합하여 제조한 고감도 필름은 빛에 노출되는 양이 적어도 높은 감도로 빛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감도 필름은 사진 촬영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흑백 필름 및 인화지 현상주약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열된 것은?

  1. 메톨, 하이드로퀴논
  2. 메톨, 탄산나트륨
  3. 하이드로퀴논, 탄산칼슘
  4. 탄산칼슘, 수산화나트륨
(정답률: 73%)
  • 흑백 필름 및 인화지 현상주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주로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화학물질입니다. 메톨은 현상액의 염기성을 조절하여 필름의 밝기와 대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하이드로퀴논은 필름의 현상속도를 높여서 더욱 선명한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화학물질이 흑백 필름 및 인화지 현상주약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현상 중에 필름에 적당한 빛을 쬐어 한 장의 화면에 음화와 양화가 함께 나타나게 하는 사진 기법은?

  1. 몽타쥬
  2. 솔라리제이션
  3. 하이키 인화법
  4. 로우키 인화법
(정답률: 62%)
  • 솔라리제이션은 필름에 적당한 빛을 쬐어 음화와 양화가 함께 나타나게 하는 사진 기법입니다. 이는 필름에 빛을 직접 쬐어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이미지를 일부러 왜곡시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솔라리제이션은 필름에 적당한 빛을 쬐어 음화와 양화가 함께 나타나게 하는 특별한 기법으로, 다른 보기들과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자 사진법 중 제로그래피 방식의 처리 공정을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1. 감광화-노광-현상-전사-정착
  2. 현상-노광-정착-정지-수세-건조
  3. 현상-표백-제1수세-정착-제2수세-안정-건조
  4. 제1현상-수세-반전-발색현상-전표백-표백-정착-수세-건조
(정답률: 34%)
  • 감광화는 민감한 광감도 물질을 사용하여 빛을 받아 전하를 생성하는 과정이며, 노광은 미리 만들어진 마스크를 이용하여 광원을 조절하여 광감도 물질에 빛을 비추는 과정입니다. 이후 현상 과정에서는 감광화 및 노광 과정에서 노출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화학적인 차이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전사는 이미지를 전송하는 과정이며, 정착은 이미지를 고정시키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감광화-노광-현상-전사-정착"이 옳은 처리 공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현상액 피로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현상주약의 감소
  2. 현상주약 산화율의 증가
  3. 할로겐 이온의 증가
  4. pH의 증가
(정답률: 41%)
  • 현상액 피로의 원인은 주로 현상주약의 감소, 현상주약 산화율의 증가, 할로겐 이온의 증가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pH의 증가는 현상액 피로의 원인이 아닙니다. pH가 증가하면 현상액의 산성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현상주약이 더 잘 용해되어 피로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pH의 증가는 현상액 피로의 원인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주로 필름이나 인화지가 유제면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층은?

  1. 보호층
  2. 유제층
  3. 밀실층
  4. 컬링(curling) 방지층
(정답률: 50%)
  • 컬링은 필름이나 인화지가 습기나 온도 변화에 노출되어 휘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필름이나 인화지의 밑면에는 컬링 방지층이 추가됩니다. 이 층은 보통 접착제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필름이나 인화지를 평평하게 유지시켜 컬링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임안 반사식 카메라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시차가 생기지 않는다.
  2. 렌즈 교환이 자유롭다.
  3. 파인더를 렌즈와 촬영용 렌즈가 분리되어 있다.
  4. 초점이 맞는 범위를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정답률: 48%)
  • 임안 반사식 카메라는 렌즈와 파인더가 분리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파인더를 렌즈와 촬영용 렌즈가 분리되어 있다."는 일반적인 특징이 아닙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미러리스 카메라나 DSLR 카메라에서 볼 수 있는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사진 스포팅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손을 깨끗이 닦고 완전히 말린 후 작업한다.
  2. 작은 부분을 스포팅하기 위해서는 확대경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스포팅 해야될 부분 주변에 보호지를 대고 농도와 컬러를 비교해 보는 테스트가 선행되어야 한다.
  4. 스포팅은 밝은 부분부터 시작하여 점차 어두운 부분으로 진행해야 한다.
(정답률: 75%)
  • "스포팅은 밝은 부분부터 시작하여 점차 어두운 부분으로 진행해야 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스포팅 작업은 밝은 부분부터 어두운 부분으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밝은 부분에서 발생한 먼지나 얼룩을 먼저 제거하고, 어두운 부분에서 발생한 먼지나 얼룩을 나중에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카메라 셔터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피사체에서 반사되는 광선을 모아 초점면에서 영상을 형성
  2. 광선을 받아 들이는 시간을 조절
  3. 촬영 범위를 결정
  4. 렌즈를 통과하는 광선의 질을 조절
(정답률: 80%)
  • 카메라 셔터는 광선을 받아들이는 시간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촬영하는 대상의 움직임이나 빛의 양에 따라 적절한 노출을 위해 필요합니다. 셔터가 열리는 시간이 길면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이게 되어 밝은 사진이 나오고, 짧으면 적은 빛을 받아들이게 되어 어두운 사진이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셔터의 열리는 시간을 조절하여 적절한 노출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포컬플레인 셔터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선막과 후막의 주행차에 의한 간격에 의해 노출한다.
  2. 고속 셔터를 이용할 수 있다.
  3. 렌즈의 교환이 쉽다.
  4.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셔터막이 열린다.
(정답률: 36%)
  • 다른 보기들은 포컬플레인 셔터방식의 장점들을 설명하고 있지만,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셔터막이 열린다."는 포컬플레인 셔터방식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 것입니다. 이는 셔터막이 열리는 순서를 나타내며, 중심부에서부터 주변부로 열리기 때문에 노출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렌즈 후드 선택 시 가장 중요 시 해야 할 것은?

  1. 렌즈의 초점거리
  2. 렌즈의 길이와 수치
  3. 렌즈의 색깔
  4. 렌즈의 마운트
(정답률: 61%)
  • 렌즈 후드는 렌즈에서 발생하는 빛 반사와 빛이 새어나오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렌즈 후드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렌즈의 초점거리입니다. 왜냐하면 렌즈의 초점거리가 다르면 빛이 새어나오는 각도가 다르기 때문에, 그에 맞는 크기와 모양의 렌즈 후드를 선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렌즈 후드를 선택할 때는 반드시 렌즈의 초점거리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확대기(Enlarger)에 35㎜필름을 사용하여 확대하려고 할 때 가장 알맞은 확대기 렌즈의 초점거리는?

  1. 35㎜
  2. 50㎜
  3. 75㎜
  4. 100㎜
(정답률: 54%)
  • 35mm 필름은 24mm x 36mm 크기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확대기에서 이 프레임을 최대한 크게 확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초점거리의 렌즈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35mm 필름을 확대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확대기 렌즈의 초점거리는 50mm입니다. 이는 35mm 필름의 프레임 크기와 가장 적절한 확대 비율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35mm 필름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50mm의 확대기 렌즈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광축 밖의 한 점에서 나온 빛이 한 점으로 모이지 않고 꼬리 모양을 남기는 것과 같이 되는 렌즈의 수차는?

  1. 평면 수차
  2. 코마 수차
  3. 비점 수차
  4. 색수차
(정답률: 88%)
  • 코마 수차는 렌즈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빛이 굴절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광축 밖의 한 점에서 나온 빛이 한 점으로 모이지 않고 꼬리 모양을 남기는 현상입니다. 이는 렌즈의 곡면이 구형이 아니라서 발생하는데, 이러한 수차는 망원경이나 카메라 등에서 이미지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코마 수차가 발생하는 렌즈는 이미지의 품질이 좋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자연광에서 촬영할 때 노출의 결정에 가장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1. 필름의 감도
  2. 조리개 값
  3. 셔터 속도
  4. 피사체의 거리
(정답률: 66%)
  • 자연광에서 촬영할 때 노출의 결정에 가장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피사체의 거리"입니다. 이는 피사체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져도 노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노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기 때문에 노출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카메라 조리개 값이 f/16일 때의 적정 노출 시간이 1/30초이었다. 노출시간을 1/15초로 하려면 조리개 값은 얼마에 맞추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1. f/5.6
  2. f/8
  3. f/16
  4. f/22
(정답률: 52%)
  • 노출 시간과 조리개 값은 역의 관계에 있으므로, 노출 시간을 1/15초로 늘리려면 조리개 값을 2배로 줄여야 합니다. 따라서 f/16에서 조리개 값을 2배로 줄인 f/22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확대기 속에 있는 전구가 공급하는 빛을 네거티브 필름에 균일하게 모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프리즘(prism)
  2. 볼록렌즈(convex lens)
  3. 콘덴서(condenser)
  4. 이젤(easel)
(정답률: 45%)
  • 확대기 속에 있는 전구가 발산하는 빛을 콘덴서가 모아서 네거티브 필름에 균일하게 비추어 주기 때문입니다. 즉, 콘덴서는 빛을 집중시켜서 더 밝고 선명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프리즘은 빛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고, 볼록렌즈는 빛을 수직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하며, 이젤은 그림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대기중에 극히 미량으로 존재하는 가스 원소로서, 네온사인 등에도 사용되며, 일렉트로닉 플래쉬 방전관이나 영사기의 광원, 스튜디오용 램프에 사용되는 물질은?

  1. 크세논
  2. 형광재
  3. 자외선
  4. 아르곤
(정답률: 83%)
  • 크세논은 일렉트로닉 플래쉬 방전관이나 영사기의 광원, 스튜디오용 램프에 사용되는 물질로서, 자외선을 방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네온사인 등에도 사용되며, 형광재로도 활용됩니다. 아르곤은 일반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가스 원소이며, 크세논과는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기계 및 촬영

41. 노출계에 사용되는 수광 소자로 볼 수 없는 것은?

  1. SDP
  2. CdS
  3. GPD
  4. LED
(정답률: 95%)
  • SDP, CdS, GPD는 모두 빛을 감지하거나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 광전자소자이지만, LED는 빛을 발생시키는 광전자소자이기 때문에 수광 소자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뷰 카메라에서 사용하는 필름의 크기는 어느 정도 인가?

  1. 10.0 × 12.7 ㎝
  2. 2.4 × 3.6 ㎝
  3. 5.0 × 6.6 ㎝
  4. 6.0 × 6.5 ㎝
(정답률: 50%)
  • 뷰 카메라는 대형 필름 카메라로, 일반적으로 4인치 × 5인치 (약 10.0 × 12.7 ㎝) 크기의 필름을 사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부분 소형 필름 카메라에서 사용하는 크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필터를 3등분하여 양측면을 구면으로 만든 필터로 중앙부의 상은 선명하고 양측면 상은 흐리게 묘사되는 35㎜ 표준렌즈용 특수 필터는?

  1. Center image 필터
  2. Linear focus 필터
  3. Color image 필터
  4. Cromo 필터
(정답률: 57%)
  • Linear focus 필터는 필터를 3등분하여 양측면을 구면으로 만들어 중앙부의 상을 선명하게, 양측면 상을 흐리게 묘사하는 필터입니다. 따라서 이 필터는 주로 중앙부의 대상을 강조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레트로 포커스(Retro focus)형의 광각렌즈는 특히 다음 중 어떤 방식의 카메라에 사용하는가?

  1. 일안 반사식
  2. 이안 반사식
  3. 거리계 연동식
  4. 스테레오식
(정답률: 38%)
  •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 사용합니다. 이유는 레트로 포커스 형 광각렌즈는 뒷초점 거리가 길어서 일반적인 렌즈와 달리 뒷부분이 더욱 볼록하게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렌즈에서는 발생할 수 있는 빛의 반사와 굴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일안 반사식 카메라에서는 거울을 이용하여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광각렌즈의 용도를 잘 못 나타낸 것은?

  1. 시야를 넓게 찍을 때
  2. 원근감을 과장할 때
  3.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할 때
  4. 표준렌즈보다 좁은 각도의 화면을 찍을 때
(정답률: 70%)
  • 광각렌즈는 시야를 넓게 찍을 때 사용하는 렌즈이기 때문에, 표준렌즈보다 좁은 각도의 화면을 찍을 때는 오히려 너무 많은 부분을 포함하여 원하는 부분이 작게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준렌즈보다 좁은 각도의 화면을 찍을 때는 표준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입사광식 노출계의 측정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피사체에 닿는 광량을 카메라의 위치에서 피사체를 향하여 측정한다.
  2. 피사체에 닿는 광량을 피사체의 위치에서 카메라르 향하여 측정한다.
  3. 피사체에 닿는 광량을 카메라의 위치에서 45도 각도로 피사체를 향하여 측정한다.
  4. 피사체에 닿는 광량을 90도 각도로 피사체를 향하여 측정한다.
(정답률: 58%)
  • 입사광식 노출계는 피사체에 닿는 광량을 피사체의 위치에서 카메라를 향하여 측정합니다. 이는 실제로 촬영할 때 카메라가 위치한 곳에서 피사체에 얼마나 많은 빛이 닿는지를 측정하기 때문에 가장 정확한 측정 방법입니다. 다른 각도로 측정하면 실제 촬영 시의 조건과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이 가장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피사체와 촬영 거리를 멀게 한다.
  2. 초점거리를 짧게 한다.
  3. 조리개를 조인다.
  4. 망원렌즈를 사용한다.
(정답률: 59%)
  • 망원렌즈를 사용하는 것은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망원렌즈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멀리 하지 않고도 멀리 있는 피사체를 가까이 보이게 해주는 렌즈입니다. 따라서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하기 위해서는 초점거리를 길게 하거나 조리개를 크게 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렌즈의 거리계를 무한대에 맞추었을 때 렌즈의 제2주점에서 필름면까지의 거리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초점거리
  2. 피사계심도
  3. 유효거리
  4. 유효구경
(정답률: 71%)
  • 초점거리는 무한대에 있는 물체를 초점으로 맞추었을 때 렌즈와 필름면 사이의 거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무한대에 맞추었으므로 렌즈와 필름면 사이의 거리를 초점거리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사진 촬영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인공 조명은?

  1. 텅스텐 할로겐 램프
  2. 플레쉬 벌브
  3. 일렉트로닉 벌브
  4. 가정용 램프
(정답률: 64%)
  • 가정용 램프는 주로 따뜻한 노란색 빛을 내며, 색온도가 낮습니다. 이는 사진에서 색감을 왜곡시키고, 인물이나 물체의 색상을 실제와 다르게 보이게 합니다. 따라서 사진 촬영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인공 조명은 가정용 램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피사계 심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카메라와 피사체와의 거리
  2. 조리개 값
  3. 렌즈의 초점거리
  4. 현상액 주성분
(정답률: 84%)
  • 피사계 심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현상액 주성분"입니다. 피사계 심도는 카메라와 피사체와의 거리, 조리개 값, 렌즈의 초점거리 등에 영향을 받는데, 현상액 주성분은 필름이나 디지털 센서에 노출된 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상액 주성분은 피사계 심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일렉트로닉 플래쉬 라이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색온도가 자연광에 가까운 5500~6000K 정도로 데이리이트 타입 필름을 사용할 수 없다.
  2. 발광 지속시간이 아주 짧아 상이 흔들리지 않는다.
  3. 동적인 피사체를 고정하여 촬영할 때 적합하다.
  4. 기동성과 신속성이 좋다.
(정답률: 69%)
  • 일렉트로닉 플래쉬 라이트의 특징 중에서 "색온도가 자연광에 가까운 5500~6000K 정도로 데이리이트 타입 필름을 사용할 수 없다."는 특징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일렉트로닉 플래쉬 라이트의 특징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이러한 색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페닝 기법으로 움직이는 물체를 촬영하고자 한다. 가장 적합한 촬영 방법은? (단, 소형카메라, 100㎜ 망원렌즈를 사용한다.)

  1. 카메라 고정, 1/1000초
  2. 카메라 고정, 1/30초
  3. 카메라 회전, 1/500초
  4. 카메라 회전, 1/60초
(정답률: 47%)
  • 페닝 기법은 카메라를 움직여서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가며 촬영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카메라를 고정시키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또한, 물체가 빠르게 움직이므로 셔터 스피드가 빠를수록 움직임을 잘 잡아낼 수 있다. 따라서 1/1000초는 너무 빠르고, 1/30초는 너무 느리다. 1/500초는 적당하지만, 더 높은 셔터 스피드가 필요하다면 1/60초가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가이드 넘버가 220 이고, 플레쉬로부터 촬영될 피사체와의 거리가 10m라면 적정 노출을 위한 조리개 값은?

  1. f/22
  2. f/16
  3. f/11
  4. f/8
(정답률: 84%)
  • 적정 노출을 위해서는 가이드 넘버와 거리, ISO 값을 이용하여 조리개 값이 계산되어야 합니다.

    조리개 값 = 가이드 넘버 ÷ 거리 ÷ √(ISO)

    여기서 가이드 넘버는 220, 거리는 10m이므로,

    조리개 값 = 220 ÷ 10 ÷ √(ISO)

    ISO 값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ISO 100으로 가정하면,

    조리개 값 = 220 ÷ 10 ÷ √100 = 2.2

    하지만, 조리개 값은 일반적으로 f/1.4, f/2, f/2.8, f/4, f/5.6, f/8, f/11, f/16, f/22, f/32 등의 값으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계산 결과인 2.2에 가까운 값 중에서 가장 가까운 조리개 값인 f/2.8, f/4, f/5.6, f/8, f/11, f/16, f/22 중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f/22이 가장 적절한 조리개 값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f/22은 다른 값들에 비해 더 작은 조리개 구멍을 가지므로, 더 많은 빛을 차단하여 적정 노출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f/22은 깊이가 깊은 초점을 가지므로, 피사체 전체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
    - f/22은 다른 값들에 비해 더 큰 깊이를 가지므로, 전체적인 피사체의 선명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대형 카메라와 비교할 때 소형카메라의 장점은?

  1. 기동성과 속사성이 있다.
  2. 화질이 좋다.
  3. 확대시 선명해진다.
  4. 주룸막 조작이 가능하다.
(정답률: 95%)
  • 소형카메라는 대형 카메라에 비해 더 작고 가벼워서 쉽게 지니고 다닐 수 있으며, 빠르게 움직이는 대상을 촬영할 때도 더 빠르게 반응할 수 있어서 속사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기동성과 속사성이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채광중 피사체의 음영이 가장 강하게 표현되는 광선은?

  1. 순광
  2. 역광
  3. 천정광
  4. 측광
(정답률: 58%)
  • 역광은 피사체의 뒷면이 빛을 받아 그림자가 생기는 조명 상황입니다. 이 때 피사체의 형태가 뚜렷하게 드러나며, 음영이 가장 강하게 표현됩니다. 따라서, 다음 채광중 피사체의 음영이 가장 강하게 표현되는 광선은 "역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감광 재료의 보관 방법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습기가 많고 15℃ 이하에서 보관한다.
  2. 습기가 많고 30℃ 이상에서 보관한다.
  3. 햇빛이 잘드는 25℃ 이상에서 보관한다.
  4. 온도가 낮고 습기가 적은 곳에 보관한다.
(정답률: 90%)
  • 감광 재료는 습기와 높은 온도에 노출되면 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온도가 낮고 습기가 적은 곳에 보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러한 조건에서 보관하면 감광 재료의 성능과 수명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주광용컬러필름으로 색온도변환용필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1. 태양의 직사광
  2. 태양광과 스트로보광의 조합
  3. 하이라이트 측정법
  4. 백색 사진전구의 반사광
(정답률: 46%)
  • 주광용 컬러필름으로 색온도 변환용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백색 사진전구의 반사광을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백색 사진전구는 색온도가 약 5500K로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필터를 적용하면 일관된 색온도 조절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ND필터의 주된 용도로 옳은 것은?

  1. 광량을 감소시킬 때 사용하는 필터
  2. 색온도를 변환할 때 사용하는 필터
  3. 콘트라스트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필터
  4. 초점 심도를 깊게할 때 사용하는 필터
(정답률: 74%)
  • ND필터는 광량을 감소시키는 필터입니다. 이 필터를 사용하면 카메라 렌즈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줄일 수 있어서 밝은 조명에서도 적절한 노출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ND필터를 사용하면 노출 시간을 늘릴 수 있어서 슬로우 셔터 스피드로 촬영할 때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촬영자 자신을 촬영하기 위하여 셔터 버튼을 눌러서부터 10 여초 경과 후 비로소 릴리즈가 작동하여 셔터가 개방되는 장치는?

  1. 셔터 다이알(shutter dial)
  2. 셔터 블레이드(shutter blades)
  3. 셀프 타이머(self timer)
  4. 셀프 콕킹(self cocking)
(정답률: 79%)
  • 셀프 타이머는 촬영자가 자신을 촬영할 때 사용하는 기능으로, 셔터 버튼을 누르면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셔터가 작동되도록 설정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셔터 버튼을 누르고 나서 10 여초 후에 셔터가 개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일렉트로닉 플레쉬 촬영 시 조명효과를 미리 점검하기 위해 플레쉬 안에 설치한 텅스텐 전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HMI 램프
  2. 형광 램프
  3. 모델링 램프
  4. 크세논 램프
(정답률: 62%)
  • 모델링 램프는 일렉트로닉 플레쉬 촬영 시 조명효과를 미리 점검하기 위해 플레쉬 안에 설치된 텅스텐 전구로, 모델의 얼굴이나 몸체 등을 조명하여 그림자와 빛의 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MI 램프는 대형 스튜디오나 야외 촬영에 사용되는 강력한 램프이며, 형광 램프는 주로 조명용으로 사용되는 램프입니다. 크세논 램프는 자동차나 영화 촬영 등에 사용되는 램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