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7-13)

사진기능사
(2008-07-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진일반

1. 다음 조명광원 중에서 색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태양광(Dayliht)
  2. 일렉트로닉 플레시(Electronic flash)
  3. 할로겐 램프(Halogen lamp)
  4. 플레시 벌브(Flash bulb)
(정답률: 78%)
  • 할로겐 램프는 색온도가 약 3000K로 가장 낮은 조명광원입니다. 이는 램프 내부에 할로겐 가스가 채워져 있어 더욱 따뜻한 빛을 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물 사진 촬영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인 광선의 각도는?

  1. 15 ̊
  2. 35 ̊
  3. 45 ̊
  4. 90
(정답률: 92%)
  • 일반적으로 인물 사진 촬영에서 가장 일반적인 광선의 각도는 45 ̊입니다. 이는 인물의 얼굴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면서도 그림자를 적절하게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15 ̊나 35 ̊는 너무 낮은 각도로 인물의 얼굴이 너무 밝아지거나 그림자가 너무 짙어질 수 있습니다. 반면 90 ̊는 인물의 얼굴을 평면적으로 보여주어 입체감이 부족해지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미레드 값(mired value)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1000/색온도(K)
  2. 색온도(K)/1000
  3. 1000000/색온도(K)
  4. 색온도(K)/1000000
(정답률: 72%)
  • 미레드 값은 색온도(K)의 역수에 1000000을 곱한 값입니다. 이는 색온도가 높아질수록 미레드 값이 낮아지기 때문에, 색온도(K)의 역수를 사용하여 미레드 값이 색온도와 반비례하도록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1000000/색온도(K)"가 옳은 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굴절율이 가장 작은 것은?

  1. 주황
  2. 노랑
  3. 파랑
  4. 보라
(정답률: 70%)
  • 주황색이 굴절율이 가장 작은 것입니다. 이는 주황색의 파장이 다른 색에 비해 길기 때문입니다. 굴절율은 빛이 물질을 통과할 때 속도가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파장이 길수록 굴절율이 작아집니다. 따라서 주황색의 굴절율이 가장 작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영국의 탈보트가 발명한 사진기법으로, 그리스어로 “아름다운 이미지” 라는 뜻의 용어와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1. 칼로 타입
  2. 알부민 인화법
  3. 다게레오 타입
  4. 클로디온 습판법
(정답률: 75%)
  • 칼로 타입은 영국의 탈보트가 발명한 사진기법으로, 그리스어로 “아름다운 이미지” 라는 뜻의 용어와 가장 관련이 있습니다. 이 기법은 미국의 대통령인 에이브러햄 링컨의 초상화를 그린 것으로 유명하며, 사진을 인쇄할 때 사용하는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사진의 해상도와 선명도가 높아서 매우 정확한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사진적 감색혼합의 결과를 옳게 나타내는 것은?

  1. Cyan + Magenta = Green
  2. Yellow + Cyan = Blue
  3. Yellow + Magenta = Red
  4. Yellow + Magenta + Cyan = Blue
(정답률: 91%)
  • 사진적 감색 혼합은 빛의 삼원색인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노랑(Yellow)을 혼합하여 다양한 색상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Yellow + Magenta = Red"가 옳은 이유는 노랑과 마젠타가 혼합되면 빨강색이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노랑은 빨간색과 초록색의 혼합으로 이루어져 있고, 마젠타는 빨간색과 파란색의 혼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노랑과 마젠타를 섞으면 빨강색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Yellow + Magenta = Red"가 옳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청색(Blue)광과 녹색(Green)광을 같은 비율로 혼합하였을 경우 나타나는 색은?

  1. 시안(Cyan)
  2. 자주(Magenta)
  3. 노랑(Yellow)
  4. 회색(Gray)
(정답률: 94%)
  • 청색과 녹색은 각각 시안과 자주와 함께 삼원색 중 하나입니다. 삼원색은 빛의 삼원색 원리에 따라 모든 색을 혼합하여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청색과 녹색을 같은 비율로 혼합하면 시안이라는 색이 나타납니다. 시안은 청록색으로, 청색과 녹색의 혼합으로 만들어지는 색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육안으로 강하게 감지되는 색으로 파장이 550nm 인 것은?

  1. 적색광
  2. 황록색광
  3. 청색광
  4. 보라색광
(정답률: 57%)
  • 황록색광은 파장이 550nm로, 인간의 눈으로 가장 밝고 선명하게 인식되는 색 중 하나입니다. 이는 인간의 시각적 감각에서 가장 중요한 색 중 하나로, 자연에서도 많이 나타나는 색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흑백사진에서 푸른 하늘을 가장 어둡게 만들 수 있는 필터는?

  1. 빨강
  2. 파랑
  3. 노랑
  4. 초록
(정답률: 62%)
  • 푸른 하늘은 파란색 빛의 파장이 가장 많이 반사되기 때문에, 파란색 필터를 사용하면 더 밝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푸른 하늘을 가장 어둡게 만들기 위해서는 파란색 필터가 아닌, 파란색과 반대되는 색인 빨간색 필터를 사용해야 합니다. 빨간색 필터는 파란색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푸른 하늘을 어둡게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컬러 리버셜 필름의 현상처리 과정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제 1현상 - 수세 - 반전욕 - 발색현상 - 표백 - 정착 - 수세 - 안정 - 건조
  2. 제 1현상 - 수세 - 발색현상 - 반전욕 - 표백 - 정착 - 수세 - 안정 - 건조
  3. 제 1현상 - 수세 - 반전욕 - 발색현상 - 정착 - 표백 - 안정 - 수세 - 건조
  4. 제 1현상 - 수세 - 린스 - 발색현상 - 표백 - 반전욕 - 수세 - 안정- 건조
(정답률: 46%)
  • 컬러 리버셜 필름의 현상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제 1현상: 필름에 노출된 이미지를 개시하는 과정
    2. 수세: 필름을 물에 씻어서 필름 표면의 화학적 잔여물을 제거하는 과정
    3. 반전욕: 필름을 반전시켜 음영을 양영으로, 양영을 음영으로 바꾸는 과정
    4. 발색현상: 필름에 색을 부여하는 과정
    5. 표백: 필름을 표백액에 담그고, 필름 표면의 은염을 제거하는 과정
    6. 정착: 필름에 부여된 색을 고정시키는 과정
    7. 수세: 필름을 다시 물에 씻어서 필름 표면의 화학적 잔여물을 제거하는 과정
    8. 안정: 필름을 안정액에 담그고, 필름의 색상을 안정화시키는 과정
    9. 건조: 필름을 건조시켜 완성된 컬러 리버셜 필름을 얻는 과정

    따라서, 옳은 현상처리 과정은 "제 1현상 - 수세 - 반전욕 - 발색현상 - 표백 - 정착 - 수세 - 안정 - 건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유제층 속에 커플러를 넣지 않고 현상액 속에 커플러를 넣어 발색시키는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내형 발색 방식
  2. 외형 발색 방식
  3. DIR 커플러 방식
  4. 에멀젼 발색 방식
(정답률: 66%)
  • 외형 발색 방식은 유제층 속이 아닌 현상액 속에 커플러를 넣어 발색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즉, 외부에서 발색을 시키는 방식이므로 외형 발색 방식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스펙트럼(spectrum)과 가장 관계있는 빛의 현상은?

  1. 편광
  2. 굴절
  3. 반사
  4. 회절
(정답률: 89%)
  • 스펙트럼은 빛의 색깔을 나타내는데, 이는 빛의 파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때 빛이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파장이 다른 빛들은 서로 다르게 굴절됩니다. 따라서 스펙트럼과 가장 관계있는 빛의 현상은 굴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컬러 리버셜 필름의 현상과정 중 반전욕(reversal bath)에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 1현상과 발색현상의 중간 단계이다.
  2. 제 1현상을 한 다음 컬러리버셜 필름을 포지티브로 만들기 위한 과정이다.
  3. E-6 처리에서 염화 제 1주석을 주약으로 사용한다.
  4. 색소화상에 불필요한 금속은을 없애기 위해 할로겐화은으로 치환시키는 과정이다.
(정답률: 55%)
  • 정답은 "색소화상에 불필요한 금속은을 없애기 위해 할로겐화은으로 치환시키는 과정이다."입니다. 반전욕은 컬러 리버셜 필름의 현상과정 중 마지막 단계로, 이미지를 고정하고 나머지 은염을 제거하며, 할로겐화은을 사용하여 은을 제거하고 필름을 반전시키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상반칙불괘(Reciprocity law failure)의 법칙에 대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현상시 교반의 불규칙으로 화상에 얼룩이 생기는 현상
  2. 노광량이 증가 될수록 감광재료의 농도 역시 정비례로 증가 되는 현상
  3. 1초 이상의 저속 촬영이나 낮은 조도에서 촬영시 노출 부족이나 색 균형이 좋지 않게 되는 현상
  4. 스트로보를 이용한 저속 촬영시 셔터막의 불규칙한 움직임으로 노출 얼룩이 생기는 현상
(정답률: 79%)
  • 상반칙불괘(Reciprocity law failure)의 법칙은 노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노광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감광재료 내에서 광자가 충돌하여 전하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화학반응에 기인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1초 이상의 저속 촬영이나 낮은 조도에서 촬영시 노출 부족이나 색 균형이 좋지 않게 되는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1초 이상의 저속 촬영이나 낮은 조도에서 촬영시 노출 부족이나 색 균형이 좋지 않게 되는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원고사진이라고도 하며 사용료를 받고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사진은?

  1. 스록 사진
  2. 광고 사진
  3. 창작 사진
  4. 상업 사진
(정답률: 58%)
  • 스록 사진은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사진으로, 사용료를 받고 주는 것이 목적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광고나 창작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스록 사진은 명확하게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사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정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감광재료를 필요 이상으로 정착액 속에 장시간 담가 놓으면 흑화된 화상 부분을 감력 시킨다.
  2. AgCl을 주재료로 한 감광재료는 Agl를 포함하는 감광재료보다 정착시간이 빠르다.
  3. 고온의 정착액은 정착능력을 높혀주나 막면을 경화시키고 정착액의 피로를 빨리오게 한다.
  4. 정착이란 미노광 부분의 할로겐화은을 용해하여 유출 시키는 것이다.
(정답률: 50%)
  • 고온의 정착액은 정착능력을 높혀주나 막면을 경화시키고 정착액의 피로를 빨리오게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고온의 정착액은 오히려 정착능력을 감소시키고 막면을 녹여서 정착액의 피로를 더욱 심화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육안으로 보는 것과 같이 모든 색에 감광할 수 있도록 만든 일반 촬영용 필름의 감색성은?

  1. 청감성
  2. 정색성
  3. 전정색성
  4. 입상성
(정답률: 76%)
  • 전정색성은 모든 색에 대해 감광할 수 있는 필름의 감색성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육안으로 볼 때와 같이 모든 색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특정 색에 대해 감광하는 감색성을 나타내는데, 전정색성은 모든 색에 대해 감광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촬영용 필름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현상액의 조성 중 초진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젤라틴 막을 강하게 하여 현상을 촉진 시켜 주며, 주로 요오드화 칼륨이 사용된다.
  2. 현상주약의 산화작용을 강하게 하여 현상을 도와준다.
  3. 탄산나트륨, 붕사 등이 사용한다.
  4. 현상액을 산화시켜 현상을 고르게 한다.
(정답률: 48%)
  • 초진제는 현상액의 pH를 조절하여 현상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탄산나트륨과 붕사는 알칼리성을 가지고 있어서 현상액의 pH를 상승시켜 초진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흑백 다계조 인화지를 컬러 확대기를 이용하여 인화하고자 할 때 콘트라스트를 조절을 위하여 컬러확대기에서 사용하는 필터는?

  1. Y.M
  2. M.C
  3. Y.C
  4. Y.M.C
(정답률: 40%)
  • 컬러확대기에서 사용하는 필터는 일반적으로 노란색(Y), 마젠타색(M), 청록색(C)의 3가지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흑백 다계조 인화지를 컬러 확대기를 이용하여 인화할 때는 노란색(Y) 필터와 마젠타색(M) 필터를 사용합니다. 이유는 흑백 다계조 인화지는 주로 노란색과 마젠타색의 색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Y.M 필터를 사용하여 콘트라스트를 조절하면 더욱 선명하고 생동감 있는 컬러 인화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인화지의 노출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거리가 먼 것은?

  1. 확대 배율
  2. 광원의 밝기
  3. 네거티브의농도
  4. 인화 현상액의 양
(정답률: 48%)
  • 인화지의 노출시간은 인화 현상액의 양에 영향을 받습니다. 인화 현상액이 많을수록 인화지에 더 많은 빛이 들어가게 되어 노출시간이 짧아집니다. 따라서 인화 현상액의 양은 인화지의 노출시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확대 배율, 광원의 밝기, 네거티브의 농도는 인화지의 노출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지만, 인화 현상액의 양보다는 덜 중요한 요인입니다. 거리가 먼 것은 인화지의 노출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재료 및 현상

21. 다음 중 유제에 묻어 있는 알카리를 중화하고, 현상 작용을 확실히 정지시켜 사진농도나 콘트라스트를 정확하게 하고 현상 얼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약품은?

  1. 빙초산
  2. 아미돌
  3. 브롬화 칼륨
  4. 하이드로퀴논
(정답률: 46%)
  • 빙초산은 유제에 묻어 있는 알카리를 중화시켜 현상 작용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사진농도나 콘트라스트를 정확하게 하고 현상 얼룩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빙초산은 사진 현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약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흑백필름의 현상 주약에 해당되는 것은?

  1. 티오황산나트륨 결정(Na2S2O3 5H2O)
  2. 수산화나트륨(NaOH)
  3. 하이드로퀴논(1.4-dihydroxyl benzene)
  4. 제 2인산나트륨(Na2HPO4 12H2O)
(정답률: 71%)
  • 흑백필름의 현상 주약은 은염과 함께 사용되며, 은염은 빛에 노출된 실버 할라이드 결정을 검은 실버 메탈 결정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은염만 사용하면 현상 속도가 너무 느리기 때문에 현상 주약에는 알칼리성을 띤 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중 하이드로퀴논은 은염과 함께 사용되면 빠른 현상 속도와 높은 해상도를 보장해주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흑백필름의 현상 주약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네거티브 농도가 낮을 때 화상의 농도를 증가시켜 콘트라스트를 강하게 하는 구제처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감력
  2. 증감
  3. 보력
  4. 감감
(정답률: 50%)
  • 보력은 네거티브 농도가 낮을 때 화상의 농도를 증가시켜 콘트라스트를 강하게 하는 구제처리를 말합니다. 이는 화상의 밝기를 증가시켜 이미지의 명암 대비를 높이는 것으로, 보통은 네거티브 농도가 낮을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보력"이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필름의 상대적 감도를 높이는 현상을 말하며, 정상적인 감광도에서는 빛이 약하여 촬영할 수 없을 때 정상적인 네거티브의 농도를 얻을 수 있는 현상 방법은?

  1. 조색 현상
  2. 감력 현상
  3. 증감 현상
  4. 보력 현상
(정답률: 83%)
  • 증감 현상은 필름의 상대적 감도를 높이는 현상으로, 촬영할 때 빛이 부족하여 정상적인 감광도에서는 촬영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필름에 노출시켜서 정상적인 네거티브의 농도를 얻을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필름의 민감도를 높여주는 효과를 가지며, 촬영 조건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적절한 노출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저감도 필름의 일반적인 특성이 아닌 것은?

  1. 주로 ISO 50 이하의 필름을 말한다.
  2. 고속셔터로 촬영할 수 있다.
  3. 입상성이 좋다.
  4. 해상력이 좋다.
(정답률: 74%)
  • 저감도 필름은 빛에 민감한 정도가 낮아서 주로 ISO 50 이하의 필름을 말하며, 고속셔터로 촬영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인 특성입니다. 따라서 "고속셔터로 촬영할 수 있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과 같은 구조식을 갖는 약품은?

  1. 메톨
  2. 페니돈
  3. 하이드로퀴논
  4. 아황산나트륨
(정답률: 39%)
  • 주어진 구조식은 페니돈의 구조식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페니돈"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구조식이 다르기 때문에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비은염 감광 재료로만 나열된 것은?

  1. 염화은, 중크롬산칼륨
  2. 브롬화은, 포토크로믹 물질
  3. 디아조늄염, 중크롬산염
  4. 요오드화은, 플루오르화은
(정답률: 65%)
  • 디아조늄염과 중크롬산염은 모두 감광재료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따라서, 비은염 감광재료로만 나열된 것은 디아조늄염과 중크롬산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현상조건 중 농도와 콘트라스트에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치는 것은?

  1. 현상 온도
  2. 수세
  3. 교반
  4. 현상시간
(정답률: 52%)
  • 농도와 콘트라스트는 현상 조건 중에서 화학적인 성질에 관련된 것이며, 수세는 물의 움직임에 관련된 것입니다. 따라서 농도와 콘트라스트는 수세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에 수세가 농도와 콘트라스트에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감광재료를 노출 후에 현상하지 않고 오랫동안 방치하면 잠상이 서서히 소실되어, 감도와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가져오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상반칙 불괘
  2. 잠상 퇴행
  3. 잠상 숙성
  4. 잠상 흡수
(정답률: 91%)
  • 감광재료를 노출 후에 오랫동안 방치하면 감광재료가 서서히 소실되어 감도와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가져오는 현상을 "잠상 퇴행"이라고 합니다. 이는 감광재료가 노출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감광재료 내부의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며, 이로 인해 감광재료의 특성이 변화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감광재료를 노출한 후에는 적절한 시간 내에 현상을 해야 감광재료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완성된 흑백 프린트에서 원 하지 않는 디테일을 제거 하고자 할 때 그 부분을 표백처리 하여 흑화 은을 제거 한다. 이 때 표백제로 사용되는 약품은?

  1. 탄산수소나트륨
  2. 적혈염
  3. 빙초산
  4. 칼륨명반
(정답률: 46%)
  • 적혈염은 강력한 산성 특성을 가지고 있어, 흑백 프린트에서 원하지 않는 디테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백제로 적합합니다. 적혈염은 흑화 은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며, 높은 농도로 사용될 경우에는 종이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핀홀(Pinhole) 카메라는 주로 빛의 어떠한 성질을 이용하여 상을 형성하는가?

  1. 반사
  2. 굴절
  3. 직진
  4. 분광
(정답률: 80%)
  • 핀홀 카메라는 빛의 직진성질을 이용하여 상을 형성합니다. 빛은 작은 구멍을 통과할 때 직진하며, 이를 이용하여 빛을 모아 이미지를 형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조리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f/11에서 f/16으로 변경 시키면 노출량은 증가한다.
  2. 구경이 커질수록 빛의 양이 많아진다.
  3. 수치가 작아질수록 조리개 구경이 커진다.
  4. f/2 는 f/4 비해서 노출량이 4배 많다.
(정답률: 79%)
  • "f/11에서 f/16으로 변경 시키면 노출량은 증가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조리개의 수치가 작아질수록 조리개 구경이 커지기 때문에 빛이 더 많이 들어오게 되어 노출량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f/16은 f/11보다 더 작은 수치이므로 노출량이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감색 인화법에 의한 컬러 인화시 필터의 색이 아닌 것은?

  1. Yellow
  2. Magenta
  3. Cyan
  4. Blue
(정답률: 91%)
  • 감색 인화법은 빨강, 초록, 파랑의 3가지 기본색을 혼합하여 모든 색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Yellow", "Magenta", "Cyan"은 감색 인화시 필터의 색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Blue"는 감색 인화시 필터의 색으로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반사식 노출 측정방법 중 적정노출을 얻기 위해 피사체에 근접하여 배경의 영향을 피하고 주 피사체로 부터의 반사광만을 측정하는 방법은?

  1. 클로즈업 측정
  2. 평균 측정
  3. 전면 측정
  4. 입사식 측정
(정답률: 62%)
  • 클로즈업 측정은 피사체에 근접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배경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주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만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정노출을 얻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클로즈업 측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컬러 확대기에 사용되는 광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크세논 램프
  2. 크립톤 전구
  3. 백열 전구
  4. 할로겐 램프
(정답률: 63%)
  • 컬러 확대기는 색상을 더욱 선명하게 보여주기 위해 밝은 광원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할로겐 램프는 높은 색온도와 광도를 가지고 있어 색상을 더욱 선명하게 보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컬러 확대기에는 할로겐 램프가 가장 적절한 광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6×9cm 판 카메라의 표준렌즈는 몇 mm 인가?

  1. 75 mm
  2. 105 mm
  3. 127 mm
  4. 150 mm
(정답률: 65%)
  • 표준렌즈의 초점거리는 일반적으로 50mm에서 55mm 사이입니다. 따라서 105mm는 6×9cm 판 카메라의 표준렌즈로 적합한 초점거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유니버셜 파인더의 주된 사용 목적으로 옳은 것은?

  1. 거리 측정
  2. 보출 측정
  3. 렌즈 교황
  4. 반사식 파인더 보조
(정답률: 44%)
  • 유니버셜 파인더의 주된 사용 목적은 렌즈 교황입니다. 이는 다양한 렌즈를 사용하는 사진작가들이 렌즈를 교체할 때마다 파인더를 조정하지 않고도 정확한 화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거리나 보출 측정, 반사식 파인더 보조 등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유니버셜 파인더의 가장 큰 장점은 렌즈 교황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사진 촬영시 노출을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피사체의 밝기
  2. 렌즈의 초점거리
  3. 사용 필름의 특성
  4. 채광, 피사체 상태
(정답률: 52%)
  • 렌즈의 초점거리는 사진에서 피사체의 크기와 거리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피사체가 크게 보이고, 거리가 가까워집니다. 반대로 초점거리가 길어질수록 피사체가 작게 보이고, 멀어집니다. 따라서 노출을 결정할 때 렌즈의 초점거리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카메라의 셔터에 내장되어 있는 싱크로 장치의 전기접점 중 포컬플레인 셔터 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1. F 접점
  2. M 접점
  3. X 접점
  4. FP 접점
(정답률: 67%)
  • FP 접점은 포컬플레인 셔터 전용으로 사용되는 전기접점입니다. F 접점은 일반적인 셔터 속도에 사용되며, M 접점은 속도 우선순위가 높은 셔터 속도에 사용됩니다. X 접점은 외부 플래시와 함께 사용됩니다. 따라서, 포컬플레인 셔터 전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FP 접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피사계 심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리개를 조일수록 깊어진다.
  2. 사용 렌즈의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깊어진다.
  3. 촬영거리가 멀수록 깊어진다.
  4. 초점이 맞는 범위가 좁을수록 깊어진다.
(정답률: 61%)
  • 초점이 맞는 범위가 좁을수록 깊어진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올바른 설명은 초점이 맞는 범위가 넓을수록 깊어진다는 것입니다. 이는 초점이 맞는 범위가 넓을수록 전체적으로 선명하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초점이 맞는 범위가 좁을수록 그 범위 안에서만 선명하게 보이고, 그 범위를 벗어나면 흐려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진기계 및 촬영

41. ISO 100 인 film 으로 조리개 f/8, 셔터속도 1/125초인 경우 적정노출이었다. 같은 장소에서 ISO 400 인 film 으로 촬영한다면 조리개가 f/8 일 때 셔터속도는 얼마나 맞추어야 적정노출이 되는가?

  1. 1/125 초
  2. 1/250 초
  3. 1/500 초
  4. 1/1000 초
(정답률: 78%)
  • ISO 400 인 film 은 ISO 100 인 film 보다 4배 더 빛을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적정노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더 짧은 셔터속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셔터속도를 1/125 초에서 1/500 초로 줄여야 한다. 이는 1/125 초에서 1/250 초로 줄이면 2배, 1/250 초에서 1/500 초로 줄이면 다시 2배가 되므로, 총 4배 빠른 셔터속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1/500 초"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인공 조명하에서 태양광과 같은 입체 광원을 얻기 위한 가자 적합한 기본 채광 방향은?

  1. 85도 위에서
  2. 45도 위레서
  3. 수평으로
  4. 45도 아래에서
(정답률: 79%)
  • 태양은 지평선에서 약 45도의 각도로 떠오르고, 45도 위에서는 태양광이 수직으로 비추어지기 때문에 가장 효율적인 입체 광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85도 위에서는 너무 각도가 높아서 광원이 약해지고, 45도 아래에서는 그림자가 생겨서 적합하지 않습니다. 수평으로는 광원이 너무 넓게 퍼져서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뷰 카메라로 촬영할 때 초점 스크린에 비친 화상의 상태를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1. 피사체 그대로 결상된다.
  2. 피사체의 상하만 바뀌어 결상된다.
  3. 피사체의 좌우만 바뀌어 결상된다.
  4. 피사체의 상하 좌우가 모두 바뀌어 결상된다.
(정답률: 68%)
  • 정답은 "피사체의 상하 좌우가 모두 바뀌어 결상된다."입니다. 이는 뷰 카메라가 사용하는 렌즈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뷰 카메라는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반전시켜서 센서에 전달합니다. 이 과정에서 상하좌우가 모두 반전되기 때문에, 촬영된 화상도 상하좌우가 모두 반전되어 결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출장 촬영시 휴대하기에 편리하면서도 카메라 무브멘트를 구사할 수 있는 카메라는?

  1. 일안 반사식 카메라
  2. 필드 카메라
  3. 이안 반사식 카메라
  4. 파노라마 카메라
(정답률: 63%)
  • 필드 카메라는 출장 촬영시 휴대하기에 편리하면서도 카메라 무브멘트를 구사할 수 있는 카메라입니다. 필드 카메라는 작고 가벼우며, 렌즈와 본체가 분리되어 있어서 무게 분산이 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카메라를 손으로 들고 촬영할 때 더욱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하며, 무브멘트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필드 카메라는 렌즈 교환이 가능하며, 다양한 렌즈를 사용하여 다양한 촬영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흑백사진에서 인물의 정색묘사에 가장 효과적인 필터는?

  1. UV 필터
  2. R 필터
  3. YG 필터
  4. B 필터
(정답률: 79%)
  • YG 필터는 녹색과 노란색을 강조하는 필터로, 피부톤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며 인물의 얼굴색을 더욱 생생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흑백사진에서 인물의 정색묘사에 가장 효과적인 필터는 YG 필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층막 코팅처리로 투과 광량을 증대시키고 플레어와 고스트 이미지를 감소시키기 위한 필터는?

  1. MC 필터
  2. FL 필터
  3. ND 필터
  4. UV 필터
(정답률: 54%)
  • MC 필터는 다층막 코팅 처리로 투과 광량을 증대시키고 플레어와 고스트 이미지를 감소시키기 위한 필터입니다. FL 필터는 형광 물질을 이용하여 색감을 보정하는 필터, ND 필터는 중성밀도 필터로 빛의 양을 조절하는 필터, UV 필터는 자외선 차단 필터입니다. 따라서 MC 필터가 플레어와 고스트 이미지를 감소시키는 다층막 코팅 처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데이라이트 타입 컬러 필름으로 다음과 같은 조명을 사용 하여 촬영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스트로보
  2. 태양광
  3. 청색 사진전구
  4. 백열 전구
(정답률: 54%)
  • 백열 전구는 노란색 빛을 발산하며, 데이라이트 타입 컬러 필름은 자연광과 유사한 흰색 빛을 재현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백열 전구를 사용하면 촬영된 사진이 노란색이 도드라지게 되어 자연스럽지 않은 결과물이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백열 전구는 가장 적합하지 않은 조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작은 부분 또는 반사되는 빛이나 모델의 얼굴 혹은 몸의 특정 부분을 측정하려면 어떤 노출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1. 플래시 노출계
  2. 입사식 노출계
  3. 반사식 노출계
  4. 스포트 노출계
(정답률: 74%)
  • 스포트 노출계는 작은 부분이나 반사되는 빛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작은 지역에 집중된 빛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확대전구에서 나온 빛을 콘덴서로 모아서 밝고 센 빛으로 화상을 만들도록 구성된 확대기는?

  1. 집광식
  2. 산광식
  3. 입사광식
  4. 측광식
(정답률: 85%)
  • 확대전구에서 나온 빛을 콘덴서로 모아서 밝고 센 빛으로 화상을 만들도록 구성된 확대기는 집광식이다. 이는 콘덴서를 사용하여 빛을 집중시켜 확대하는 방식으로, 빛을 모아서 집중시키기 때문에 밝고 센 빛으로 화상을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렌즈 후드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시 하여야 할 사항은?

  1. 렌즈의 밝기
  2. 렌즈의 길이와 무게
  3. 렌즈의 구경과 중간링
  4. 렌즈의 화각
(정답률: 86%)
  • 렌즈 후드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시 하여야 할 사항은 렌즈의 화각입니다. 렌즈의 화각에 따라 빛이 들어오는 각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적절한 크기와 모양의 후드를 선택하여 불필요한 빛이나 반사를 막아주어 더욱 선명하고 깨끗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렌즈 후드를 선택할 때는 렌즈의 화각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와 모양의 후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초점거리가 50mm 인 렌즈로 1/30초, f/16 의 조명 조건에서 클로즈업 촬영을 하려고 한다. 이 때 늘어난 주름막의 길이가 100mm 이었을 때 보정된 조리개 값은 얼마인가?(단, 셔터 스피드는 1/30 초 이다.)

  1. f/22
  2. f/ 11
  3. f/8
  4. f/5.6
(정답률: 64%)
  • 늘어난 주름막의 길이가 100mm 이므로, 초점거리의 2배인 100mm 에 해당하는 초점 거리를 가지는 이미지가 센서에 찍히게 된다. 이 때, 클로즈업 촬영을 하므로 깊이가 얕아지기 때문에 f/16 으로는 깊이가 부족하다. 따라서, f 값이 작아져 깊이가 깊어지는 f/8 이 적당한 보정된 조리개 값이 된다. f/22 는 너무 작아서 빛이 부족해지고, f/11 은 깊이가 부족하다. f/5.6 은 f/8 보다 크므로 깊이가 더 얕아지므로 적당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매크로 렌즈로 더 접사를 하려고 할 때 필요하지 않는 것은?

  1. 편광 필터
  2. 주름막
  3. 중간링
  4. 클로즈업 렌즈
(정답률: 74%)
  • 매크로 렌즈로 더 접사를 하려고 할 때 필요한 것은 주름막, 중간링, 클로즈업 렌즈입니다. 이들은 물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가까이 하여 작은 물체를 더 선명하게 찍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이와 달리 편광 필터는 빛의 굴절을 조절하여 반사되는 빛을 제거하거나 강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매크로 렌즈로 더 접사를 하려고 할 때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카메라 조리개를 2단계 열어주면 통과하는 빛의 양은 몇배가 되는가?

  1. 2배
  2. 4배
  3. 6배
  4. 8배
(정답률: 90%)
  • 카메라 조리개를 2단계 열어주면 조리개의 크기가 2배 커지므로, 통과하는 빛의 양은 조리개의 면적에 비례하여 4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35mm 필름용 일안 반사식(single lens reflex) 카메라 와 거리계 연동식(range finder) 카메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거리계 연동식 카메라는 시차(parallax)가 있다.
  2. 거리계 연동식 카메라는 렌즈 교환이 자유롭다.
  3. 일안 반사식 카메라는 반사경이 있다.
  4. 일안 반사식 카메라는 대부분 포컬플레인 셔터를 사용한다.
(정답률: 77%)
  • "거리계 연동식 카메라는 렌즈 교환이 자유롭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거리계 연동식 카메라는 렌즈와 거리계가 연동되어 있어서 렌즈를 교환하면 거리계와의 연동이 끊어져서 다시 조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렌즈 교환이 자유롭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망원 렌즈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원근감이 축소된다.
  2. 화각이 좁다.
  3. 피사계 심도가 깊다.
  4. 대체로 표준렌즈보다 무게가 무겁다.
(정답률: 80%)
  • 망원 렌즈는 원근감을 축소시키고 화각이 좁아지는 특징이 있으며, 대체로 표준렌즈보다 무게가 무겁습니다. 하지만 피사계 심도가 깊지 않습니다. 이는 망원 렌즈의 초점 거리가 길어지면서 광학 시스템 내부에서 빛이 집중되는 영역이 좁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망원 렌즈를 사용할 때는 초점 조절이 민감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흐르는 시냇물을 정지 화상이 아닌 가장 유연한 동감으로 표현할 수 있는 셔터 속도는?

  1. 1/1000 초
  2. 1/500 초
  3. 1/60 초
  4. 1/15 초
(정답률: 83%)
  • 흐르는 시냇물을 정지 화상이 아닌 가장 유연한 동감으로 표현하려면 셔터 속도를 느리게 설정해야 합니다. 셔터 속도가 느리면 카메라의 셔터가 열려 있는 시간이 길어져서 시간이 지나면서 움직이는 물결이 부드럽게 흐르는 것처럼 보입니다. 따라서 1/15 초가 가장 적절한 셔터 속도입니다. 1/1000 초나 1/500 초는 너무 빠르기 때문에 시냇물이 정지된 것처럼 보일 수 있고, 1/60 초는 셔터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시냇물이 부드럽게 흐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가이드 넘버를 구하는 식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조리개 값 × 렌즈의 내경
  2. 조리개 값 × 조명 거리
  3. 조명 거리 × 초점 거리
  4. (렌즈 외경 - 렌즈 내경) × 조명 거리
(정답률: 74%)
  • 가이드 넘버는 플래시의 출력과 조명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값입니다. 조리개 값은 플래시의 출력을 조절하는 요소 중 하나이며, 조명 거리는 플래시에서 대상까지의 거리입니다. 따라서 가이드 넘버는 조리개 값과 조명 거리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일광용 컬러 필름으로 백색 사진전구 아래에서 촬영시 사용되는 필터 색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노랑색(Yellow)
  2. 앰버색(Amber)
  3. 청색(Blue)
  4. 암녹색(Dark Green)
(정답률: 44%)
  • 일광용 컬러 필름은 백색 광원에서 촬영할 때 가장 적합한 필름입니다. 이 경우, 백색 전구 아래에서 촬영할 때는 빨간색과 녹색 빛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이를 균형잡기 위해 파란색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청색(Blu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텅스텐용(Tungaten type) 컬러필름의 적정 색온도 범위는?

  1. 3200 ~ 3400 K
  2. 4200 ~ 4500 K
  3. 5000 ~ 5500 K
  4. 6000 ~ 6500 K
(정답률: 84%)
  • 텅스텐은 일반적으로 3200K의 색온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맞게 만들어진 텅스텐용 컬러필름은 이 색온도 범위에서 가장 정확한 색상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적정 색온도 범위는 3200 ~ 3400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흑백 쵤영시 Y2 필터로 맑은 하늘에 구름을 촬영했을 때 다음 중 어떤 효과를 얻을 수 있는가?

  1. 구름은 검게, 하늘은 희게 나온다.
  2. 구름과 하늘이 모두 희게 나온다.
  3. 구름은 희게, 하늘은 검게 나온다.
  4. 구름과 하늘이 모두 검게 나온다.
(정답률: 65%)
  • 정답은 "구름은 희게, 하늘은 검게 나온다."이다. Y2 필터는 노란색과 녹색을 강조하고 파란색을 약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맑은 하늘의 파란색이 약해지면서 검게 나오고, 구름의 흰색이 강조되어 희게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