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4-03)

화훼장식기능사
(2005-04-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훼장식재료

1. 동양꽃꽂이의 기본형태로 사용하는 용어가 아닌 것은?

  1. 직립 기본형
  2. 경사 기본형
  3. 하수형
  4. S자형
(정답률: 70%)
  • "S자형"은 동양꽃꽂이의 기본형태가 아닙니다. 동양꽃꽂이의 기본형태는 "직립 기본형"과 "경사 기본형"으로 나뉘며, 이 두 형태를 조합하여 "하수형"을 만들어냅니다. "S자형"은 특정한 형태를 가진 꽃꽂이이지만, 동양꽃꽂이의 기본형태로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서양식 꽃꽂이에 골격을 형성하는 선형꽃(line flower)으로 이용하기에 적당치 못한 형태를 갖고 있는 화훼종류는?

  1. 스토크
  2. 장미
  3. 아이리스
  4. 금어초
(정답률: 58%)
  • 장미는 꽃잎이 너무 두껍고 둥글기 때문에 골격을 형성하는 선형꽃으로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개더링(gathering)기법으로 한 송이 장미꽃에 다른 장미의 꽃잎을 붙여 큰 송이의 장미꽃처럼 만드는 것은?

  1. 빅토리안 로즈(Victorian rose)
  2. 더치스 튤립(Dutchess tulip)
  3. 유칼리 로즈(Eucalytus rose)
  4. 릴리멜리아(Lilymellia)
(정답률: 85%)
  • 개더링 기법은 여러 개의 꽃잎을 모아 하나의 큰 꽃으로 만드는 기법입니다. 이 중에서 빅토리안 로즈는 19세기 영국의 여성들이 선호한 장미 꽃으로, 여러 개의 장미 꽃잎을 모아 큰 송이의 장미꽃처럼 만드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빅토리안 로즈(Victorian ros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혼합눈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잎눈과 꽃눈이 동시에 있는 눈이다.
  2. 잎눈이 퇴화한 것이다.
  3. 꽃눈이 퇴화한 것이다.
  4. 환경에 따라 잎이 되거나 꽃이 될 수 있다.
(정답률: 55%)
  • 잎눈과 꽃눈이 동시에 있는 눈은 혼합눈으로, 잎눈과 꽃눈이 함께 발달하여 하나의 눈에 함께 나타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동양식 꽃꽂이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간과 선을 강조한 정적 표현의 형태이다.
  2. 꽃이나 나무로 한 주지를 기본양식으로 한다.
  3. 화려하고 다양한 색을 사용하기도 한다.
  4. 일반적으로 기하학적인 구성으로 전체적인 형태미를 중요시 한다.
(정답률: 45%)
  • 일반적으로 동양식 꽃꽂이는 기하학적인 구성으로 전체적인 형태미를 중요시합니다. 이는 꽃꽂이의 조화와 균형을 강조하며, 선과 공간을 활용하여 조화로운 미를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동양식 꽃꽂이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이보다는 형태미를 중요시하는 것이 더욱 강조되는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유한화서에 속하는 것은?

  1. 베고니아
  2. 글라디올러스
  3. 금어초
  4. 거베라
(정답률: 25%)
  • 정답은 "베고니아"입니다. 베고니아는 유한화서에 속하는 식물로, 꽃잎의 수가 유한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에 글라디올러스, 금어초, 거베라는 꽃잎의 수가 무한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무한화서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화단 및 정원용 식물로 가장 적합한 목본화훼로 짝지워진 것은?

  1. 동백 - 스타티스
  2. 아이비 - 아네모네
  3. 철쭉 - 수국
  4. 시네나리아 - 용담
(정답률: 47%)
  • 화단 및 정원에서 가장 적합한 식물은 견고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철쭉은 견고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으며, 수국은 다양한 색상과 크기로 화단을 장식할 수 있기 때문에 화단 및 정원용 식물로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철쭉과 수국이 가장 적합한 목본화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꽃 색이 흰색계열이 아닌 것은?

  1. 오리엔탈백합 몽블랑(Lilium 'Mont Blanc')
  2. 은방울꽃(Convallaria keiskei Miq.)원종
  3. 극락조화(Strelitsia reginae Ait.)원종
  4. 안개초(집소필라) (Gypsophylla elegans Bieb.) 원종
(정답률: 66%)
  • 극락조화는 주로 주황색과 파란색 계열의 꽃잎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흰색계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수 천 송이의 꽃', '많은 꽃'이라는 의미로 여러 가지 질감, 색, 꽃을 한꺼번에 꽂아 주는 기법으로 19세기 유럽에서 유행한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밀 드 프레르(Mille de fleur)
  2. 워터폴(Waterfall)
  3. 비더마이어(Biedermeier)
  4. 보태니컬(Botanical)
(정답률: 73%)
  • 밀 드 프레르(Mille de fleur)는 '수 천 송이의 꽃'이라는 의미로, 여러 가지 질감, 색, 꽃을 한꺼번에 꽂아 주는 기법으로 19세기 유럽에서 유행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기법이 가장 적당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화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것은?

  1. 채소나 과일은 화훼재료로 부적합하다.
  2. 화훼식물을 이용하여 우리 생활환경을 보다 아름답고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다.
  3. 감상이나 가꾸는 것 외에 원예치료의 효과도 거둘 수 있다.
  4. 생활환경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절화류, 분화류, 관엽식물 및 건조화 등의 이용이 폭 넓다.
(정답률: 72%)
  • "채소나 과일은 화훼재료로 부적합하다." 이유는 채소나 과일은 일반적으로 식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장기적인 보존이 어렵고 빠르게 상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화훼로 사용되는 식물은 보통 꽃이나 잎이 아름다운 것이 많은데, 채소나 과일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화훼재료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수선화과의 문주란의 학명표기법 중 'asiaticum' 가 나타내는 것은?

  1. 종명
  2. 속명
  3. 명명자
  4. 변종명
(정답률: 38%)
  • 'asiaticum'은 종명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학명은 생물 분류체계에서 종을 구분하는 가장 작은 단위이며, 종명은 그 중에서도 특정 종을 나타내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asiaticum'은 다음 수선화과의 특정 종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화훼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관상가치가 있는 초본류, 목본류 등 모두를 포함한다.
  2. 기호성이 강하여, 고품질로 생산해야 한다.
  3. 노동, 자본, 기술 집약성이 높고, 고수익성이다.
  4. 국제성이 없고, 지역, 국가간의 특징이 약하다.
(정답률: 70%)
  • 노동, 자본, 기술 집약성이 높고, 고수익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초화류의 분류 중 구근류가 아닌 것은?

  1. 나리
  2. 칼란코에
  3. 크로커스
  4. 아네모네
(정답률: 59%)
  • 칼란코에는 초화류 중 구근류가 아닌 대표적인 종류입니다. 나리, 크로커스, 아네모네는 모두 구근류에 속하는데, 칼란코에는 구근이 아닌 덩굴로 엮인 줄기가 있어서 구근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잎의 착생양식이 대생하는 식물이 아닌 것은?

  1. 개나리
  2. 숙근안개초
  3. 거베라
  4. 용담
(정답률: 52%)
  • 거베라는 착생양식이 아닌 것은 아닙니다. 모든 보기에서 대생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정답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일반적인 식물체의 줄기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식물체를 지지하는 기능
  2. 향기의 기능
  3. 물질의 통로 기능
  4. 양분 저장 기능
(정답률: 68%)
  • 일반적인 식물체의 줄기 기능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향기의 기능"입니다. 줄기는 식물체를 지지하고 물질의 통로 역할을 하며 양분을 저장하는 기능을 합니다. 하지만 향기는 식물체의 생식 및 생존 전략에 관련된 것으로, 줄기의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꽃 중 형태별 구분 시 라인(line)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글라디올러스
  2. 리아트리스
  3. 스토크
  4. 스타티스
(정답률: 48%)
  • 스타티스는 라인(line)형이 아닌 꽃입니다. 스타티스는 꽃잎이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꽃잎의 길이와 너비가 비슷하여 둥글게 보입니다. 따라서 라인(line)형이 아닌 원형(round)형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숙근초화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사막이나 건조지방에서 잘 자라며, 잎이 가시로 변한 식물을 말한다.
  2. 영양번식으로 번식되므로 품종의 특성이 장기간 유지될 수 없다.
  3. 파종 후 여러 해 동안 식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살아남아 개화 결실하는 종류를 말한다.
  4. 봄에 씨를 뿌려 당년에 꽃을 피우며, 고사하는 화훼를 말한다.
(정답률: 57%)
  • 파종 후 여러 해 동안 식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살아남아 개화 결실하는 종류를 말한다. 이는 숙근초화류의 특징으로, 파종 후 오랜 기간 동안 생존하며 꽃과 열매를 맺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다육식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건조지방에서 잘 자란다.
  2. 사막이나 태양광선이 강한 곳에서 잘 자란다.
  3. 식물체가 연약하므로 잦은 관수를 통해 유지해야 한다.
  4. 주로 분화용으로 많이 이용하며 분주, 삽목 등의 영양 번식을 주로 한다.
(정답률: 71%)
  • "주로 분화용으로 많이 이용하며 분주, 삽목 등의 영양 번식을 주로 한다."는 다육식물에 대한 설명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식물체가 연약하므로 잦은 관수를 통해 유지해야 한다."는 다육식물의 특징 중 하나로, 다육식물은 물을 많이 주면 안 되고, 적게 주는 것이 좋지만, 뿌리가 얇고 물을 저장하는 능력이 약하기 때문에 자주 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봄화단용으로 사용되는 초화류로 알맞지 않은 않은 것은?

  1. 금잔화
  2. 데이지
  3. 튤립
  4. 루드베키아
(정답률: 63%)
  • 루드베키아는 봄화단용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루드베키아는 여름과 가을에 꽃이 피는 식물로, 봄에는 꽃이 피지 않습니다. 따라서 봄화단용으로 사용되는 초화류로는 금잔화, 데이지, 튤립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덩어리 꽃(mass flower)으로 작품의 중심에 꽂는데 많이 이용하는 꽃은?

  1. 안스리움
  2. 안개초
  3. 수국
  4. 프리지어
(정답률: 54%)
  • 수국은 꽃잎이 많이 모여 덩어리 꽃으로 꽂기에 적합하며, 다양한 색상과 모양으로 다양한 작품에 활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훼장식 제작 및 유지관리

21. 절화를 꽂는 물에 식초를 몇 방울 넣어주는 주된 이유는?

  1. 꽃에 영양분을 주기 위하여
  2. 물을 산성화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3. 줄기의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4. 화색을 좋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63%)
  • 절화를 꽂는 물에 식초를 몇 방울 넣어주는 이유는 물을 산성화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자연적인 성장 형태에 어긋나지 않게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이므로 식물의 생태적 분야를 고려하여 디자인하는 것은?

  1. 수평적 형태
  2. 선형적 형태
  3. 장식적 형태
  4. 식생적 형태
(정답률: 70%)
  • 식물은 자연적인 성장 과정에서 환경에 적응하며 특정한 형태를 갖게 됩니다. 이러한 생태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따라서 "식생적 형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토양의 수분이 과다할 경우 발생하는 현상이 아닌 것은?

  1. 토양 속의 공기함량이 감소한다.
  2. 통기 불량으로 뿌리가 썩는다.
  3.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한다.
  4. 토양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한다.
(정답률: 50%)
  • 토양의 수분이 과다할 경우, 토양 속의 공기함량이 감소하고 통기 불량으로 뿌리가 썩을 수 있습니다. 또한, 토양 미생물의 활동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기물의 분해는 수분이 많을 때 촉진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데 필요한 화학 반응을 촉진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대자연의 식물 형태에서 비롯된 동양 꽃꽂이의 화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반구형
  2. 하수형
  3. 직립형
  4. 경사형
(정답률: 62%)
  • 반구형은 대자연의 식물 형태에서 비롯된 동양 꽃꽂이의 화형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반구형이 대부분의 꽃이 아닌 과일이나 열매의 형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꽃꽂이에서는 반구형이 아닌 하수형, 직립형, 경사형 등의 화형이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한국의 분식물 장식에 대한 역사적인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한국의 전통적인 분식물은 자생 목본식물이 주종을 이룬 분재나 분경이었다.
  2. 고려 후기에는 소나무를 비롯한 매화나무와 대나무가 주종이었다.
  3. 오늘날 실내공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식물은 자생식물이다.
  4. 1970년대 경제발전으로 인한 생활의 여유와 주거양식의 변화로 분식물장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정답률: 53%)
  • 1970년대 경제발전으로 인한 생활의 여유와 주거양식의 변화로 분식물장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신부 꽃다발(bridal bouquet)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철사로 만들어지는 꽃다발에는 난류와 다육질의 꽃이 선호된다.
  2. 신부 꽃다발의 수명은 하루이므로 꽃의 증산작용이 활발해도 좋다.
  3. 18세기 영국에서는 꽃다발을 방향성 식물로 만들어 악령과 질병을 막아주는 것으로 이용하기도 하였다.
  4. 원형, 폭포형, 삼각형, 초생달형, S자형, 링형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다.
(정답률: 57%)
  • "18세기 영국에서는 꽃다발을 방향성 식물로 만들어 악령과 질병을 막아주는 것으로 이용하기도 하였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결혼식에 사용되는 화훼장식품들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동(花童)의 꽃도 신부용 부케와 비슷한 형으로 제작한다.
  2. 자연스러운 바구니형 부케는 야외결혼식에 적합하다.
  3. 라운드부케는 신부부케의 일종이다.
  4. 웨딩케익 장식의 포칼 포인트(focal point)는 가장 아랫부분이다.
(정답률: 56%)
  • "웨딩케익 장식의 포칼 포인트(focal point)는 가장 아랫부분이다."가 틀린 것이다. 웨딩케익 장식의 포칼 포인트는 보통 케익의 상단 부분에 위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절화 보존제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절화 수명을 연장한다.
  2. 원래의 화색을 보존한다.
  3. 에틸렌 발생을 증가시켜 피해를 준다.
  4. 꽃의 개화를 돕는다.
(정답률: 83%)
  • 에틸렌은 식물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가스로, 과일의 숙성과 꽃의 시들음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절화 보존제는 에틸렌 발생을 억제하여 꽃의 상태를 유지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에틸렌 발생을 증가시켜 피해를 준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배양토와 그 특징의 연결이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부엽 : 보수성, 보비력은 좋으나 약 알카리성이다.
  2. 피트모스 : 보수성, 보비력, 염기치환 능력이 좋다.
  3. 버미큘라이트 : 규산 화합물이며, 모래의 1/15무게이다
  4. 펄라이트 : 통기성이 좋으나 염기치환용량이 적다. 중성, 약알카리성으로 삽목용토에 적합하다.
(정답률: 36%)
  • 정답은 "부엽 : 보수성, 보비력은 좋으나 약 알카리성이다."입니다. 이유는 부엽은 보수성과 보비력이 좋지만, 약 알카리성이기 때문에 삽목용토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삽목용토는 중성 또는 약 산성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일반적으로 절화의 수분 흡수를 저해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절단 후 도관 중에 기포가 생겨 수분의 상승을 방해 하는 것
  2. 박테리아, 곰팡이 등 미생물이 도관을 막는 것
  3. 절단면에 유액이 분비되어 절구가 굳어 버리는 것
  4. 줄기의 절단면에서 물을 빨아 들여 세포 팽압을 유지하는 것
(정답률: 64%)
  • 절화의 수분 흡수를 저해하는 원인 중에서 유일하게 수분 흡수를 유지하는 것은 "줄기의 절단면에서 물을 빨아 들여 세포 팽압을 유지하는 것" 입니다. 이는 줄기 내부의 도관을 통해 물이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줄기의 세포들이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면서 도관 내부의 물이 위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세포 팽압이 유지되면서 수분 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는 수분 흡수를 저해하는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공간장식을 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간의 전체적인 구도
  2. 장식할 공간의 전체적인 분위기
  3. 공간내부의 주 색상
  4. 장식공간의 주변 외부환경
(정답률: 60%)
  • 장식공간의 주변 외부환경은 공간 내부의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하지만 외부환경은 공간의 분위기와 느낌을 크게 좌우할 수 있으며, 장식물의 색상과 디자인을 선택할 때에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외부환경에 따라 조명과 가구 배치 등의 선택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식공간의 주변 외부환경은 공간장식을 계획할 때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식사용 테이블장식에 대한 설명 중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향이 강하고 짙은 식물을 선택하여 호기심과 식욕을 유발한다.
  2. 좌식 테이블에서는 가능한 한 시야를 가리지 못하게 낮게 디자인한다.
  3. 장식물의 부피가 테이블의 폭보다 지나치게 크지 않아야 한다.
  4. 사용하는 식물, 화기 등이 다른 용도의 테이블 장식보다 특히 청결하여야 한다.
(정답률: 64%)
  • "향이 강하고 짙은 식물을 선택하여 호기심과 식욕을 유발한다."는 부적당한 설명입니다. 이유는 향이 강한 식물을 선택하면 식사 중 냄새가 강하게 나서 식사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향이 강하지 않은 식물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꽃받침이나 씨방 또는 줄기에 철사를 직각으로 꽂고 꽃이 크고 더 무거운 경우에는 철사를 +자 모양이 되게 두개의 철로 한번 더 처리하여 한층 안정감을 주는 기법은?

  1. 시큐어링법
  2. 트위스트법
  3. 헤어핀법
  4. 피어스법
(정답률: 61%)
  • 이 기법은 꽃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꽃받침이나 씨방, 줄기에 철사를 꽂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중에서도 꽃받침이나 씨방, 줄기에 직각으로 꽂은 철사를 +자 모양으로 한번 더 처리하여 안정감을 더해주는 방법을 피어스법이라고 합니다. 이는 철사를 꽂는 모양이 피어스(Pierce)한 것과 같아서 이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핸드타이드 부케(Handtied Bouquet)로 불리는 꽃다발을 제작할 때의 주의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묶음점 아래 부분의 줄기는 깨끗이 다듬어 준다.
  2. 묶음점은 굵은 철사로 단단하게 여러 번 묶는다.
  3. 일반적으로 줄기는 나선형으로 돌려가며 조립한다.
  4. 묶음점을 단단하게 묶는다.
(정답률: 67%)
  • 묶음점은 꽃다발의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 굵은 철사로 단단하게 여러 번 묶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꽃다발이 흩어지거나 모양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디자인의 색상, 질감, 형태의 대비를 이루면서 소재들을 종류나 질감이 유사한 것끼리 모아서 높든 낮든 하나된 느낌으로 표현하는 방법은?

  1. 클러스터링(culustering)
  2. 그루핑(grouping)
  3. 조닝(zoning)
  4. 스테킹(stacking)
(정답률: 25%)
  • 클러스터링은 비슷한 속성을 가진 것들을 묶어서 하나의 그룹으로 만드는 방법입니다. 디자인에서는 색상, 질감, 형태 등의 속성을 비교하여 유사한 것끼리 묶어서 일관된 느낌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클러스터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각종 연회와 모임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여성용으로 가슴이나 어깨, 팔목 등을 장식하며, 의복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양식으로 디자인되는 결혼식 꽃장식은?

  1. 코사지
  2. 부토니아
  3. 꽃다발
  4. 오브젯장식
(정답률: 67%)
  • 코사지는 각종 연회와 모임에서 널리 사용되는 꽃장식으로, 여성용으로 가슴이나 어깨, 팔목 등을 장식합니다. 결혼식에서는 신부나 신랑, 그리고 가족들이 착용하며, 의복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양식으로 디자인됩니다. 따라서, 코사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신부화를 만들 때 일반적으로는 철사처리를 하게 된다. 식물을 철사처리 한 후 마감으로 손잡이부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접착력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1. 색철사
  2. 플로랄테이프
  3. 라피아
  4. 접착제
(정답률: 59%)
  • 플로랄테이프는 식물을 철사에 고정한 후 마감할 때 사용되는 재료로, 손잡이 부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접착력을 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신부화를 만들 때 일반적으로 철사처리 후 마감할 때 플로랄테이프를 사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화분식물의 토양수분 관리법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용기재배의 경우 물기둥현상은 용기가 높을수록 높게 형성된다.
  2. 점토의 비율이 50%이상일 때 건조의 피해를 덜 받는다.
  3. 화분벽과 토양사이의 공간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점토 함량을 낮춘다.
  4. 일반적으로 토양 상황은 액상:기상:고상의 비율이 20 : 30 : 50이 된다.
(정답률: 36%)
  • 화분벽과 토양사이의 공간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점토 함량을 낮춘다. - 점토는 입자가 작아 공간을 메우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면 화분벽과 토양사이의 공간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점토 함량을 낮추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웨딩 부케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모든 부케의 기본 형태는 원형이다.
  2. 캐스케이드형(cascade) 부케란 상부의 원형부케와 하부의 흐름을 갈란드로 연결한 것이다.
  3. 초생달형(crescent) 부케는 선의 흐름을 최대한 돋보이게 하고 대칭적, 자율적인 비대칭적 제작 구성이 가능하다.
  4. 트라이앵글형 부케는 아름다운 곡선이 돋보이는 형태이다.
(정답률: 69%)
  • "트라이앵글형 부케는 아름다운 곡선이 돋보이는 형태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트라이앵글형 부케는 선의 흐름이 각진 삼각형 모양으로 구성된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대기오염에 의한 식물의 피해 현상이 아닌 것은?

  1. 반점 현상
  2. 조기 낙엽
  3. 형태 변화
  4. 꽃눈 형성
(정답률: 82%)
  • 꽃눈 형성은 대기오염에 의한 식물의 피해 현상이 아닙니다. 꽃눈 형성은 일반적으로 식물의 꽃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꽃잎이나 꽃받침에 물방울이 형성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대기 중 물분자가 꽃의 표면에 응축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대기오염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화훼장식론

41. 광원에 따라 물체의 색이 달라지는 광원의 특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연색성
  2. 광도
  3. 전광속
  4. 조도
(정답률: 42%)
  • 광원에 따라 물체의 색이 달라지는 광원의 특성을 "연색성"이라고 합니다. 이는 광원의 스펙트럼이 물체에 반사되어 나타나는 색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즉, 광원의 색상이 물체의 색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연색성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용기의 질감에 대한 느낌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플라스틱 : 매끈한 질감으로 무겁게 느껴진다.
  2. 유리 : 단순하고 우아하며, 탁한 느낌을 준다.
  3. 금속 도자기 : 매끈한 질감으로 현대적이며, 빈약해 보인다.
  4. 나무 바구니 : 거친질감으로 서민적이고 자연적인 느낌을 준다.
(정답률: 85%)
  • 나무 바구니는 거친 질감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자연적이고 서민적인 느낌을 줍니다. 이는 나무 자체가 자연적이고 서민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플로랄폼(Floral foam)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물에 띄워 스스로 물을 흡수하여 가라 앉도록 한다.
  2. 한번 꽂았던 자리에 다시 꽂을 수 있다.
  3. 꽂히는 길이는 10cm 이상으로 깊게 꽂는다.
  4. 플로랄폼은 한번 사용한 것은 자연건조시켜 재활용이 가능하다.
(정답률: 69%)
  • 플로랄폼은 물에 띄워 스스로 물을 흡수하여 가라 앉도록 한다는 것은, 플로랄폼이 물에 담긴 그릇에 놓이면 자연스럽게 물을 흡수하여 무게가 무거워져 가라앉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가라앉은 플로랄폼은 꽃꽂이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압화로 만들기 쉬운 화훼장식품은?

  1. 꽃꽂이
  2. 갈란드
  3. 평면장식
  4. 리스
(정답률: 67%)
  • 압화는 평면적인 형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평면적인 형태의 화훼장식품인 평면장식이 압화로 만들기 쉬운 화훼장식품입니다. 꽃꽂이, 갈란드, 리스는 모두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압화로 만들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꽃꽂이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꽃을 잘라 줄기가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용기에 꽂는데서 시작하였다.
  2. 고정용 소재로는 반드시 플로럴 폼만 사용해야 한다.
  3. 장소의 특성,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디자인이 달라질 수 있다.
  4. 다양한 식물외에 부소재와 조형물을 함께 응용할 수 있다.
(정답률: 67%)
  • "다양한 식물외에 부소재와 조형물을 함께 응용할 수 있다."는 꽃꽂이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다른 특징들과는 달리 플로럴 폼과 관련이 없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고정용 소재로는 반드시 플로럴 폼만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플로럴 폼은 꽃을 꽂을 때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주며, 물을 충분히 흡수시켜 꽃을 오래 싱싱하게 유지시켜주기 때문입니다. 다른 소재를 사용하면 꽃이 불안정하게 꽂히거나, 물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해 꽃이 빨리 시들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꽃꽂이에서는 고정용 소재로 플로럴 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청량한 음향효과를 내며 주변의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분식물장식의 첨경소재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수경소재
  2. 가공소재
  3. 자연소재
  4. 동물소재
(정답률: 43%)
  • 수경소재는 물 속에서 자라는 식물로, 물 속에서 자라기 때문에 청량한 음향효과를 내며 주변의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공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분식물장식으로 적합합니다. 따라서 수경소재가 가장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화훼장식의 육체적, 정신적 치료효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준다.
  2. 녹색식물은 눈의 피로를 덜어준다.
  3. 분식물의 배치는 사람들의 통행을 조절해 준다.
  4. 향기식물은 우울증이나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정답률: 90%)
  • 분식물의 배치는 사람들의 통행을 조절해 준다는 것은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화훼장식의 기능 중에서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화훼장식이 가지는 육체적, 정신적 치료효과 중 일부입니다.

    분식물의 배치는 사람들의 통행을 조절해 준다는 이유는, 분식물이나 다른 장식물들이 건물 내부나 외부에 배치될 때, 그 위치와 크기 등이 고려되어야 합니다. 이는 건물 내부나 외부의 통행이나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큰 식물이나 장식물이 복도나 계단에 배치되면, 사람들의 통행이 방해되거나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식물의 배치는 건물 내부나 외부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하여 조절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색의 삼속성의 하나로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포화도라고도 하는 것은?

  1. 명도
  2. 색상
  3. 채도
  4. 순색
(정답률: 49%)
  • 채도는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성질입니다. 색의 진하고 밝은 정도를 나타내며, 색의 포화도라고도 합니다. 다른 보기인 "명도"는 색의 밝기를, "색상"은 색의 종류를, "순색"은 순수한 색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황갈색의 가벼운 종려 섬유질로 꽃들을 받쳐주기 위하여 매듭 또는 보를 만들어 단순한 뜻으로 장식하거나, 부케를 둘러싼 종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색철사
  2. 플로랄테이프
  3. 라피아
  4. 접착제
(정답률: 68%)
  • 라피아는 가벼운 종려 섬유질로 꽃들을 받쳐주기 위해 매듭이나 보를 만들어 사용되며, 부케를 둘러싼 종이를 보호하기 위해서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라피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특별한 기술이나 도구 없이 꽃을 건조시키는 방법 중 가장 비용이 적게 들고 대량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은?

  1. 동결건조
  2. 열풍건조
  3. 자연건조
  4. 실리카겔건조
(정답률: 61%)
  • 자연건조는 특별한 기술이나 도구 없이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진 곳에 꽃을 걸어 말리는 방법으로, 비용이 적게 들고 대량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꽃의 향과 색이 자연스럽게 유지되며 건조한 꽃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화훼장식의 기능에 대한 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스트레스를 줄이고, 일의 효율과 창의력을 높여준다.
  2. 실내공간의 공기를 정화시켜준다.
  3. 정서적 안정과 같은 정신적인 치료효과를 준다.
  4. 시각적인 혼란으로 상업공간에서 구매 의욕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준다.
(정답률: 92%)
  • "시각적인 혼란으로 상업공간에서 구매 의욕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준다."는 화훼장식의 기능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이는 오히려 화훼장식이 없는 상업공간보다 구매 의욕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화훼장식의 역할 중 공기 중 습도와 기온의 조절, 공기정화 능력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치료효과
  2. 정서함양
  3. 환경조절
  4. 공간장식
(정답률: 87%)
  • 화훼장식은 실내 환경을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이 중에서도 공기 중 습도와 기온의 조절, 공기정화 능력의 기능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입니다. 이는 화훼장식이 물을 흡수하고 증발시켜 공기 중 습도를 유지하며, 또한 광합성 작용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공기를 정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환경조절이라는 역할이 가장 적당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화훼장식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호텔, 백화점, 무대 등의 다양한 화훼장식공사를 담당한다.
  2. 화원의 경영자나 직원으로 일 할 수 있다.
  3. 화훼상품 제조업체 등에서 근무하거나, 프리랜서로 활동 할 수 있다.
  4. 시설내에서 화훼식물 생산자도 화훼장식가이다.
(정답률: 70%)
  • "시설내에서 화훼식물 생산자도 화훼장식가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이유는 화훼식물 생산자는 화훼를 생산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화훼장식가는 화훼를 장식하는 업무를 담당하기 때문입니다. 두 업무는 서로 다른 분야이므로, 화훼식물 생산자와 화훼장식가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장식품의 전시에서 이용되는 조명 중 광원의 빛을 대부분 천장이나 벽에 부딪혀 확산된 반사광으로 비추는 방식으로 효율이 떨어지지만 그늘짐이나 눈부심이 없는 것은?

  1. 전반확산조명
  2. 간접조명
  3. 반간접조명
  4. 직접조명
(정답률: 62%)
  • 장식품의 전시에서는 광원의 빛이 직접적으로 비추면 그늘짐이나 눈부심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광원의 빛을 천장이나 벽에 부딪혀 확산된 반사광으로 비추는 방식인 간접조명이 사용됩니다. 이 방식은 효율은 떨어지지만 그늘짐이나 눈부심이 없어서 장식품의 전시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우리나라 화훼장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우리나라의 화훼장식은 꽃꽂이로부터 시작되었다.
  2. 문헌이나 벽화, 조형물들을 통해 역사적인 배경을 알 수 있다.
  3. 조선시대부터 일지화, 문인화 등의 전문용어가 생겼다.
  4. 한국의 화훼장식은 종교적인 배경과는 관련이 없다.
(정답률: 71%)
  • 한국의 화훼장식은 종교적인 배경과는 관련이 없다는 것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종교와 관련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화훼장식의 역사나 전문용어 등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종교와는 관련이 없다는 것은 화훼장식이 종교적인 의미나 의식과는 관련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플라워디자인을 할 때 우선적으로 구체적인 용도에 맞도록 몇 가지 고려사항이 있는데 그 중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시간
  2. 장소
  3. 목적 및 동기
  4. 독창성
(정답률: 46%)
  • 포함되지 않는 것은 "독창성"입니다. 이는 디자인의 개성과 창의성을 나타내는 요소이지만, 구체적인 용도에 맞도록 고려해야 할 사항은 시간, 장소, 목적 및 동기입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디자인의 기본적인 요건으로서, 디자인의 효과적인 전달과 활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유럽의 신부용부케의 기원에서 사용된 '벼이삭'의 의미는?

  1. 행복
  2. 다산
  3. 약속
  4. 순종
(정답률: 67%)
  • '벼이삭'은 풍성하고 풍요로운 년환이 오기를 기원하는 상징물입니다. 이 중에서 '다산'은 풍부한 수확을 상징하는 산물로, 유럽에서는 부부의 행복과 번영을 기원하는 신부용 부케에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꽃꽂이에 이용되는 '철사'에 관한 설명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은?

  1. 굵기는 홀수 번호로 표시된다.
  2. 번호 숫자가 클수록 가늘다.
  3. 철사는 꽃의 줄기를 대신하는 용도로 이용되기도 한다.
  4. 번호가 없지만 장식용이나 고정용으로 이용되는 카파와이어, 늘림 와이어 등도 사용된다.
(정답률: 72%)
  • "번호가 없지만 장식용이나 고정용으로 이용되는 카파와이어, 늘림 와이어 등도 사용된다."는 꽃꽂이에 이용되는 '철사'에 관한 설명이 아니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굵기는 홀수 번호로 표시된다."는 이유는 홀수 번호의 철사가 둥그렇고 굵기가 크기 때문입니다. 짝수 번호의 철사는 납작하고 얇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핸드타이드 부케에 사용되는 꽃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카틀레야
  2. 장미
  3. 나리
  4. 델피니움
(정답률: 32%)
  • 카틀레야는 핸드타이드 부케에 사용하기에는 너무 크고 무거우며, 꽃잎이 두껍고 단단하여 부드러운 느낌을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꽃잎이 빠지기 쉬우며, 보관이 어렵기 때문에 부케의 지속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핸드타이드 부케에는 카틀레야보다는 다른 꽃들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건조 소재의 보존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건조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한다.
  2. 햇빛이 잘 닿는 곳에 걸어 놓아둔다.
  3. 아크릴 상자 속에 건조제와 함께 보관한다.
  4. 가능하면 피막처리하여 보관한다.
(정답률: 63%)
  • 정답: "햇빛이 잘 닿는 곳에 걸어 놓아둔다."

    설명: 건조한 소재는 습기를 흡수하기 쉽기 때문에 보존 시 습기가 적은 어두운 곳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햇빛이 잘 닿는 곳에 보관하면 소재가 변색하거나 변형될 수 있으며, 습기가 증가할 수 있어 보존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