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7-12)

화훼장식기능사
(2009-07-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훼장식재료

1. 잎 표면의 특색과 특징을 가지고 식물 분류 시 형태에 따른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은?

  1. 엽선(葉先) - 예두(銳頭)
  2. 엽저(葉底) - 의저(의底)
  3. 엽연(葉緣) - 원형(圓形)
  4. 엽형(葉形) - 타원형(楕圓形)
(정답률: 52%)
  • 잎 표면의 특징 중 하나인 엽연(葉緣)은 잎의 가장자리 부분을 의미합니다. 원형(圓形)은 가장자리가 둥글게 둥근 형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엽연이 원형인 경우에는 잎의 가장자리가 둥글게 둥근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는 형태에 따른 연결이 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밀폐된 유리용기 속에 토양층을 형성하여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만든 것은?

  1. 디쉬가든
  2. 테라리움
  3. 토피어리
  4. 수경재배
(정답률: 97%)
  • 밀폐된 유리용기 속에 토양층을 형성하여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만든 것은 테라리움입니다. 디쉬가든은 일반적으로 식물을 키우는 용도로 사용되지 않으며, 토피어리는 토양 대신 코코넛 껍질 등의 배지를 사용하여 식물을 키우는 방법입니다. 수경재배는 물 속에서 식물을 키우는 방법이므로 테라리움과는 다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벤자민 고무나무(Ficus benjamina)의 원산지는?

  1. 칠레
  2. 브라질
  3. 아프리카
  4. 인도
(정답률: 52%)
  • 벤자민 고무나무는 인도 원산지이다. 이는 해당 종의 첫 번째 학명인 Ficus benjamina에서 유래된다. "benjamina"는 힌디어로 "벤야민"을 의미하며, 이는 인도에서 매우 흔한 이름이다. 또한, 벤자민 고무나무는 인도를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인도에서는 자연적으로 자라는 것뿐만 아니라 인간이 심은 것도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열매를 보는 장식용 소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피라칸타
  2. 낙상홍
  3. 박태기나무
  4. 호랑가시나무
(정답률: 44%)
  • 박태기나무는 열매가 없는 나무이기 때문에 장식용 소재로 사용되는 열매를 보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나무들과 비교하여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흙에 심지 않고 나무나 돌 등에 붙여 재배하는 난의 종류는?

  1. 반다
  2. 심비디움
  3. 춘란
  4. 한란
(정답률: 71%)
  • 반다는 에피피티움속의 난으로, 흙에 심지 않고 나무나 돌 등에 붙여 재배하는 난의 종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흙에 심어서 재배하는 난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노지 화단에서 튤립의 꽃을 볼 수 있는 시기는?

  1. 1~2월
  2. 4~5월
  3. 7~8월
  4. 10~11월
(정답률: 88%)
  • 튤립은 봄에 개화하는 꽃으로, 일반적으로 4~5월에 화단에서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1~2월, 7~8월, 10~11월은 튤립이 개화하지 않는 시기이기 때문에 정답은 4~5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화훼장식에 사용되는 도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플로랄 테이프는 쭉 펴서 감아주면 잘 들러붙도록 다양한 색상의 종이에 접착제 성분이 있다.
  2. 철사는 지름에 따라 번호가 매겨지며, 수가 증가할수록 굵은 철사이다.
  3. 워터튜브는 절화의 줄기가 짧아 플로랄 폼에 바로 꽂을 수 없을 때 사용한다.
  4. 글루건은 전기를 이용하여 글루스틱을 녹여 접착제로 이용하는 기구이다.
(정답률: 96%)
  • 정답은 "철사는 지름에 따라 번호가 매겨지며, 수가 증가할수록 굵은 철사이다."가 아닙니다. 철사는 지름에 따라 번호가 매겨지며, 수가 증가할수록 얇은 철사입니다. 번호가 낮을수록 굵은 철사입니다. 철사의 지름은 번호로 표시되며, 번호 18이 가장 얇고, 번호 4가 가장 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유도화라고도 불리은 관상수목으로 내한성(耐寒性)이 약해 우리나라 중부이북의 노지에서는 월동이 어려운 식물은?

  1. 목련
  2. 은행나무
  3. 협죽도
  4. 산수유
(정답률: 56%)
  • 협죽도는 내한성이 약해 중부이북 지역에서는 월동이 어려운 관상수목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협죽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절화장식에 사용되는 화기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테라리움 용기
  2. 수반
  3. 콤포트
(정답률: 83%)
  • 절화장식은 불이 붙지 않는 장식이어야 하므로, 테라리움 용기는 식물을 담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선인장과(科)에 해당되는 것은?

  1. 용설란
  2. 비모란
  3. 알로에
  4. 칼랑코에
(정답률: 44%)
  • 선인장과(科)는 선인장과 식물들을 포함하는 과이며, 비모란은 선인장과에 속하는 식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덩이줄기(傀莖)에 속하는 화훼는?

  1. 히아신스
  2. 크로커스
  3. 아네모네
  4. 프리지어
(정답률: 42%)
  • 덩이줄기에 속하는 화훼는 지하에 뿌리가 있고 줄기가 짧아서 덩어리처럼 생긴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아네모네"는 덩이줄기에 속하는 화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화훼장식에서 매스 플라워(mass flower)의 뜻과 용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길다란 꽃대에 꽃이 하나씩 달려있다.
  2. 국화, 달리아, 장미, 카네이션이 대표적인 꽃이다.
  3. 꽃꽂이 전체에서 주로 중심이 되는 부분에 꽂혀진다.
  4. 작품에서 매스플라워의 큰 꽃들을 주로 바깥쪽에 꽂고 중심으로 갈수록 작은 꽃들을 꽂아야 안정감이 든다.
(정답률: 77%)
  • 작품에서 매스플라워의 큰 꽃들을 주로 바깥쪽에 꽂고 중심으로 갈수록 작은 꽃들을 꽂아야 안정감이 든다. - 이유: 큰 꽃들이 바깥쪽에 있으면 무게중심이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작은 꽃들을 중심으로 배치하여 안정감을 높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절화장식품을 완성한 후 점검해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작품의 견고성 여부를 확인한다.
  2. 소재의 생리적 특성을 파악한다.
  3. 수분의 흡수 상태를 파악한다.
  4. 플로랄 폼이 완전히 가려졌는지 확인한다.
(정답률: 82%)
  • 절화장식품은 식물을 사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소재의 생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식물의 종류, 생육환경, 수분 흡수 등을 고려하여 작품의 유지보수와 보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재의 생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절화장식품의 장기간 보존과 유지보수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난에서 줄기가 다육화한 양분저장 기관을 뜻하는 것은?

  1. 괴근
  2. 인경
  3. 구근
  4. 위구경
(정답률: 45%)
  • 위구경은 난에서 줄기가 다육화하여 양분을 저장하는 기관을 뜻합니다. "위"는 위쪽을 뜻하고 "구경"은 줄기의 두께를 뜻하는데, 이러한 기관이 줄기의 위쪽에 위치하며 두께가 두꺼워서 위구경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화훼원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영어로 floriculture인데 꽃을 의미하는 flori와 재배를 나타내는 culture의 합성어이다.
  2. 형태 및 목적에 따라 생산화훼, 전시화훼, 취미원예로 구분하다.
  3. 절화, 분화, 화단묘 등의 화훼를 생산, 유통, 이용, 가공, 판매하는 것이다.
  4. 이용방향에 따라 과수, 채소로 나뉜다.
(정답률: 94%)
  • 이용방향에 따라 과수, 채소로 나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화훼원예는 꽃과 관련된 작물을 재배하고 이용하는 분야이며, 이용방향에 따라 생산화훼, 전시화훼, 취미원예로 나뉩니다. 과수나 채소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최소한의 소재를 사용하여 소재의 형과 선 그리고 각도를 강조한 방사선 줄기 배열의 꽃꽂이는?

  1. 형-선적 구성의 꽃꽂이
  2. 풍경식 디자인의 꽃꽂이
  3. 비더마이어 디자인의 꽃꽂이
  4. 구조적 구성의 꽃꽂이
(정답률: 87%)
  • 이 꽃꽂이는 최소한의 소재를 사용하여 형과 선, 각도를 강조한 디자인이기 때문에 "형-선적 구성의 꽃꽂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디자인 요소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화훼장식의 디자인 기법 중 비슷한 종류나 색상의 재료를 한 곳에 모아주면서 서로의 길이를 다르게 표현하는 것은?

  1. 그룹핑
  2. 스태킹
  3. 번들링
  4. 프레밍
(정답률: 74%)
  • 그룹핑은 비슷한 종류나 색상의 재료를 한 곳에 모아주면서 서로의 길이를 다르게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재료들을 묶어서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효과를 가지며, 시각적으로 균형잡힌 느낌을 주는 디자인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낚시줄 같은 끈으로 꽃을 꿰어 행사 때나 송영식(送迎式)때 목에 걸어주는 것으로 리스와 유사한 형태는

  1. 팬던트(pandant)
  2. 레이(lei)
  3. 리슬렛(wristlet)
  4. 코사지(corsage)
(정답률: 52%)
  • 리스와 유사한 형태의 것은 목에 걸어주는 것이며, 다른 보기들은 팔목이나 옷에 달거나 손목에 끈으로 묶는 것이므로, 정답은 "레이(le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핸드타이드 부케 제작 시 주의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바인딩 포인트는 단단히 묶는다.
  2. 줄기의 끝은 예리한 칼로 일자로 자른다.
  3. 줄기는 나선형 또는 평행형으로 제작한다.
  4. 바인딩 포인트를 기준으로 아래 부분의 줄기는 깨끗이 다듬어 준다.
(정답률: 86%)
  • 줄기의 끝을 예리한 칼로 일자로 자르는 이유는 깨끗하고 예쁜 외관을 만들기 위해서입니다. 일자로 자르면 부드럽고 깔끔한 끝이 생기고, 이는 부케의 전체적인 미적인 효과를 높여줍니다. 또한 일자로 자르면 줄기가 더 잘 묶이기 때문에 바인딩 포인트에서 더 단단하게 묶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한국전통 꽃꽂이 화형 구성에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1주지는 제일 긴 가지로 작품의 화형을 결정한다.
  2. 2주지는 중간 길이로 작품의 넓이 부피를 구성한다.
  3. 3주지는 전체적인 조화를 찾아 흐름을 마무리 해주는 역할을 한다.
  4. 종지는 주지를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하며 주지보다 더 길게 꽂는다.
(정답률: 95%)
  • 종지는 주지를 보완해 주는 역할을 하며 주지보다 더 길게 꽂는다는 것은 꽃꽂이에서 일반적인 규칙이 아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종지는 보통 주지와 비슷한 길이로 꽂아서 꽃꽂이 작품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훼장식 제작 및 유지관리

21. 절화 수명의 연장을 위한 목표와 해당 처리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미생물 증식 억제-8HQC 처리
  2. 에틸렌가스 억제-구연산처리
  3. 영양공급-2~5% 설탕처리
  4. 수분공곱-45℃물속 자르기
(정답률: 58%)
  • 절화 수명의 연장을 위한 목표는 꽃이 더 오래 지속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꽃이 빠르게 시들어지는 원인을 제거하거나 억제하는 처리가 필요합니다.

    미생물 증식 억제-8HQC 처리는 꽃에 붙어있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꽃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처리입니다.

    에틸렌가스 억제-구연산처리는 꽃이 방출하는 에틸렌가스를 억제하여 꽃의 시들음을 방지하는 처리입니다. 따라서 이 처리가 절화 수명의 연장을 위한 목표와 가장 연결이 잘 된 처리입니다.

    영양공급-2~5% 설탕처리는 꽃에 영양을 공급하여 꽃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처리입니다.

    수분공급-45℃물속 자르기는 꽃의 수분 증발을 방지하여 꽃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처리입니다.

    따라서, 절화 수명의 연장을 위한 목표와 해당 처리의 연결이 틀린 것은 "에틸렌가스 억제-구연산처리"를 제외한 나머지 처리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카네이션, 장미와 같이 꽃받기 부위가 발달하여 단단한 꽃 종류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꽃받침 기부에 철사를 관통시켜 구부리는 철사처리 방법은?

  1. 후크(hook)법
  2. 인서션(insertion)법
  3. 헤어핀(hairpin)법
  4. 피어스(pierce)법
(정답률: 76%)
  • 피어스(pierce)법은 꽃받침에 철사를 관통시켜 구부리는 방법으로, 철사를 꽃받침 안쪽으로 끌어 넣는 것이 아니라 바깥쪽에서 꽃받침을 관통시켜 철사를 삽입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꽃받침이 단단하고 발달한 꽃 종류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화훼장식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생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無)생장점의 디자인도 가능하다.
  2. 식물의 뿌리와 같은 것으로 근원적인 점이다.
  3. 식생디자인에서는 복수 생장점의 작품을 만들 수 있다.
  4. 기하학적 형태에서는 한 점에 모이는 부분을 초점과 구분하여 생장점이라 한다.
(정답률: 55%)
  • 정답: "식물의 뿌리와 같은 것으로 근원적인 점이다."

    해설: 생장점은 화훼장식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디자인의 중심이 되는 점을 의미합니다. 기하학적 형태에서는 한 점에 모이는 부분을 초점이라 하고, 이와 구분하여 생장점이라고 부릅니다. 무생장점의 디자인도 가능하며, 복수 생장점의 작품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물의 뿌리와 같은 것으로 근원적인 점이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베란다 및 발코니 장식을 위한 계절별 분식물로 부적합한 것은?

  1. 3~5월의 시네라리아
  2. 6~8월의 페튜니아
  3. 9~10월의 프리뮬라
  4. 10~12월의 꽃양배추
(정답률: 47%)
  • 프리뮬라는 9~10월에 피는 꽃으로, 더운 여름을 지나고 서서히 날씨가 선선해지는 가을에 적합한 분식물입니다. 따라서 베란다나 발코니에서는 9~10월에 프리뮬라를 장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다른 분식물들은 각각의 계절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속이 비었거나 연한 꽃의 자연줄기를 그대로 살리고 싶을 때 철사를 줄기 속에 넣어 제작하는 테크닉은?

  1. 소잉(sewing)법
  2. 피어스(pierce)법
  3. 인서션(insertion)법
  4. 시큐어링(securing)법
(정답률: 93%)
  • 인서션(insertion)법은 철사를 줄기 속에 넣어 꽃을 고정하는 방법으로, 속이 비었거나 연한 꽃의 자연줄기를 그대로 살리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인서션(insertion)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걸이 화분용 소재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안스리움
  2. 구즈마니아
  3. 러브체인
  4. 테이블야자
(정답률: 75%)
  • 걸이 화분은 무게가 가벼워야 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물에 잘 감기지 않아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고려하면 러브체인이 가장 적합합니다. 러브체인은 가볍고 내구성이 있으며, 물에 잘 감기지 않아서 걸이 화분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부케 홀더를 이용해 부케를 제작했다. 아이비 잎을 이용하여 뒷면을 마감하려고 할 때 아이비 잎에 처리 할 적당한 철사처리 방법은?

  1. 후크(hook)법
  2. 피어스(pierce)법
  3. 트위스트(twist)법
  4. 헤어핀(hairpin)법
(정답률: 78%)
  • 아이비 잎은 부드러운 재질로 구부리기 쉽기 때문에 후크나 피어스 방법으로 철사를 고정하기 어렵습니다. 트위스트 방법은 아이비 잎이 망가질 우려가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헤어핀법을 사용합니다. 헤어핀은 아이비 잎에 철사를 꽂아서 고정하는 방법으로, 아이비 잎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철사를 잘 고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한국의 결혼식장에서 주로 이용되는 화훼장식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례단상 장식
  2. 화관
  3. 화동의 꽃바구니
  4. 십자가 장식
(정답률: 96%)
  • 한국의 결혼식은 대개 기독교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십자가 장식은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그림의 형태로 작품을 구성할 경우 ①~⑦위치의 외곽선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소재는?

  1. 스프레이 카네이션
  2. 스프레이 장미
  3. 리아트리스
  4. 나리
(정답률: 74%)
  • ①~⑦ 위치의 외곽선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소재는 "리아트리스"입니다. 이유는 리아트리스는 가늘고 유연한 성질로 인해 복잡한 곡선을 그리기에 적합하며, 색상도 다양하여 다양한 색감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스프레이 카네이션과 장미는 꽃잎의 형태가 단순하여 복잡한 곡선을 표현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나리는 꽃잎이 너무 얇아서 구성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절화장식의 분류 중 구성 형식에 의한 분류에서 꽃 소재를 인위적으로 재구성하여 다른 형태로 구성하는 것은?

  1. 장식적 구성
  2. 선형적 구성
  3. 평행적 구성
  4. 자연적 구성
(정답률: 89%)
  • 꽃 소재를 인위적으로 재구성하여 다른 형태로 구성하는 것은 장식적 구성에 해당합니다. 이는 꽃의 원래 형태와는 다른 형태로 재구성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더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꽃을 무리지어서 벽면에 붙이거나, 꽃잎을 분리하여 다른 형태로 조합하는 등의 방법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한국의 분식물 장식에 대한 역사적인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한국의 전통적인 분식물은 자생 목본식물이 주종을 이룬 분재나 분경이었다.
  2. 고려 후기에는 소나무를 비롯한 매화나무와 대나무가 주종이 되었다.
  3. 1970년대 경제발전으로 인한 생활의 여유와 주거양식의 변화로 분식물 장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4. 오늘날 실내공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식물은 자생식물이다.
(정답률: 65%)
  • 한국의 분식물 장식에 대한 역사적인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오늘날 실내공간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식물은 자생식물이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다. 이유는 이 보기는 현재 상황에 대한 설명이며, 다른 보기들은 과거의 역사적인 설명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소재의 바로 뒤와 아래에 똑같은 소재를 하나 더 가깝게 꽂아서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는 기법은?

  1. 파베(pave)
  2. 필로잉(pillowing)
  3. 쉐도잉(shadowing)
  4. 베이징(basing)
(정답률: 77%)
  • 쉐도잉은 입체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 소재의 바로 뒤와 아래에 똑같은 소재를 하나 더 가깝게 꽂아서 그림자 효과를 내는 기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는 단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절호를 물에 꽂았을 때 줄기 기부가 잘 갈라지는 종류가 아닌 것은?

  1. 아마릴리스
  2. 상사화
  3. 칼라
  4. 아이리스
(정답률: 35%)
  • 아이리스는 줄기가 굵고 단단하여 물에 꽂았을 때 잘 갈라지지 않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 달리 줄기 기부가 잘 갈라지지 않는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진주암을 1000℃정도의 고온에서 가열한 무균 인조 토양으로 공극량이 많은 토양은?

  1. 피트모스
  2. 질석
  3. 펄라이트
  4. 훈탄
(정답률: 92%)
  • 펄라이트는 진주암을 고온에서 가열하여 만든 무균 인조 토양으로, 고온에서 팽창하면서 공극을 형성합니다. 따라서 공극량이 많은 토양으로 사용되며, 수분과 공기 순환을 잘 할 수 있어 식물의 생장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식물체내의 수분의 역할 중 식물 체온조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공기습도가 포화되면 엽온은 안정된다.
  2. 증산작용을 통해 식물체온의 상승을 막는다.
  3. 세포내의 팽압 유지로 식물의 체온을 유지 시킨다.
  4. 각종 효소의 활성을 증대시켜 식물 체온이 상승하도록 한다.
(정답률: 62%)
  • 식물체내의 수분은 증산작용을 통해 식물체온의 상승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수분이 증발함으로써 열을 흡수하고, 열을 방출하는 과정에서 식물체온이 상승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분은 식물체내의 체온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반드시 세워서 저장 및 수송해야 하는 것은?

  1. 숙근 안개초
  2. 개나리
  3. 글라디올러스
  4. 국화
(정답률: 74%)
  • 글라디올러스는 길고 가늘고 끝이 예리한 줄기를 가지고 있어서 세워서 저장 및 수송해야 합니다. 다른 꽃들은 줄기가 짧거나 끝이 둥글기 때문에 세워서 저장 및 수송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분화류 관수방법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흙의 표면이 약간 말라보일 때 관수한다.
  2. 화분 바닥으로 충분히 물이 흘러나오도록 관수한다.
  3. 겨울철 관수시 수돗물을 틀어서 즉시 관수한다.
  4. 관수 시기는 봄, 가을에는 오전 9~10시에 한번 관수한다.
(정답률: 92%)
  • 겨울철에 수돗물을 즉시 관수하는 것은 불필요한 낭비이며, 뿐만 아니라 식물에게 해로울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는 대부분의 식물들이 휴면 상태에 있기 때문에 물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식물의 상태와 관련된 적절한 관수 주기를 고려하여 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식물의 가지의 수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하는 광의 파장범위는?

  1. 400~450nm
  2. 500~600nm
  3. 600~700nm
  4. 700이상
(정답률: 60%)
  • 광합성에서는 엽록소라는 화학물질이 태양광을 흡수하여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이 엽록소는 파란색과 녹색 빛을 가장 잘 흡수합니다. 따라서 파란색 광선이 가지의 수를 증가시키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합니다. 파란색 광선의 파장은 대략 400~450nm 사이에 위치하므로, 이 범위의 광선이 가지의 수를 증가시키는 데 가장 큰 기여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절화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열대성 절화는 0-4℃의 온도에서 저온 저장한다.
  2. 절화의 관상 가치를 위해 꽃 냉장고에 과일과 함께 보관한다.
  3. 보존용액은 pH5정도의 약산성 용액을 사용한다
  4. 절화 수명연장을 위한 최적습도는 RH 95% 이상이다.
(정답률: 86%)
  • 보존용액은 pH5정도의 약산성 용액을 사용한다는 이유는 꽃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섬유소를 분해하는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를 통해 꽃의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클러스터링(cluster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디자인의 입체적 깊이를 위한 그림자 주기 기법
  2. 작은 소재들은 색상과 질감이 유사한 것끼리 모아서 사용하는 뭉치기 기법
  3. 작품의 아랫 부분을 강조하기 위한 계단식 포개기 기법
  4. 소재를 작은 것에서 큰 것끼리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변화주기 기법
(정답률: 80%)
  • 클러스터링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데이터들을 그룹으로 묶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작은 소재들은 색상과 질감이 유사한 것끼리 모아서 사용하는 뭉치기 기법"은 클러스터링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습니다. 이는 디자인에서 작은 소재들을 묶어서 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만들기 위한 기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화훼장식론

41. 강조하고자 하는 소재에 장식적인 목적으로 라피아, 리본 등을 이용하여 가볍게 묶는 기법은?

  1. 바인딩(binding)
  2. 밴딩(banding)
  3. 번들링(bundling)
  4. 조닝(zoning)
(정답률: 77%)
  • 밴딩은 강조하고자 하는 소재에 장식적인 목적으로 라피아, 리본 등을 이용하여 가볍게 묶는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소재를 강조하는 동시에 장식적인 요소로 활용할 수 있어 인기가 있습니다. "밴딩(banding)"이 정답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는 기법이 아니거나,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건조가공한 장식물과 거리가 먼 것은?

  1. 포푸리
  2. 갈란드
  3. 드라이플라워
  4. 프레스플라워
(정답률: 64%)
  • 갈란드는 일반적으로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건조된 잎이나 꽃 등을 연결하여 만든 장식물이며, 거리가 먼 것은 연결된 부분이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포푸리, 드라이플라워, 프레스플라워는 모두 건조가공한 꽃이나 잎을 사용하여 만든 장식물이지만, 각각 다른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화훼장식에 있어서 절화장식이나 분식물이 환경 개선에 미치는 영향으로 틀린 것은?

  1. 공기정화
  2. 습도 유지
  3. 음이온 발생
  4. 이산화탄소 발생
(정답률: 87%)
  • 정답: 이산화탄소 발생

    이유: 절화장식이나 분식물은 공기정화와 습도 유지, 음이온 발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이산화탄소 발생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산화탄소는 인체에 해로운 가스 중 하나로, 과다한 농도에서는 머리가 어지럽고 혼란스러워지며, 심한 경우 의식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화훼장식을 선택할 때는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은 화훼장식 디자인 요소 중 무엇에 대한 설명 인가?

  1. 균형
  2. 질감
  3. 색상
(정답률: 87%)
  • 위 그림은 화훼장식 디자인에서 사용되는 질감 요소를 나타낸 것입니다. 질감은 꽃이나 잎사귀 등의 표면의 느낌이나 질감을 의미하며, 디자인에 깊이와 차원감을 더해주어 시각적인 흥미를 더해줍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질감 요소가 강조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후좌우 어느 방향에서도 감상할 수 있는 디자인 형태는?

  1. 피라미드형
  2. L형
  3. 역T형
  4. 직립 기본형
(정답률: 85%)
  • 피라미드형은 네 면이 모두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어느 방향에서도 각도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이지 않고 일관된 디자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색의 온도감은 난색, 한색, 중성색으로 나뉘는데, 다음 중 가장 차가운 한색에 속하는 것은?

  1. 빨강
  2. 노랑
  3. 보라
  4. 파랑
(정답률: 90%)
  • 색의 온도감은 색의 밝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난색은 밝고 따뜻한 느낌을 주며, 한색은 어두우면서 차가운 느낌을 주고, 중성색은 중간적인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가장 차가운 한색은 파랑입니다. 파란색은 어두우면서 차가운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유럽의 신부용 부케에서 사용된 벼이삭의 의미는?

  1. 행복
  2. 다산
  3. 약속
  4. 순종
(정답률: 88%)
  • 유럽의 신부용 부케에서 사용된 벼이삭은 풍성한 수확과 풍요로움을 상징합니다. "다산"은 풍부한 수확과 풍요로움을 뜻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화훼장식의 디자인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구성-일치감, 동일성과 관련된 구성 요소들을 배합하여 나타내는 미적본질
  2. 조화-물리적, 시각적 안정감을 주는 배치에 의해 이루어지는 원리
  3. 균형-소재들 간의 상대적인 크기의 관계
  4. 강조-부분적이고 소극적으로 특정 부분을 강하게 표현
(정답률: 42%)
  • 화훼장식에서 강조는 특정 부분을 강하게 표현하여 시선을 집중시키는 원리입니다. 이는 부분적이고 소극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꽃다발에서 특정 꽃이나 잎사귀를 강조하여 더욱 아름답게 보이도록 배치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소재를 선택할때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디자인 형태
  2. 장식할 공간
  3. 작가가 선호하는 색상
  4. 화기와의 조화
(정답률: 91%)
  • 작가가 선호하는 색상은 소재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작가의 개인적인 취향이나 색상에 대한 선호는 디자인 형태나 장식할 공간, 화기와의 조화 등과는 별개의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재를 선택할 때는 작가의 색상 선호를 고려하는 것보다는 디자인 형태나 장식할 공간, 화기와의 조화 등을 중심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색채가 갖는 감정효과로 거리가 먼 것은?

  1. 팽창과 수축
  2. 성글고 조밀함
  3. 가볍고 무거움
  4. 따뜻하고 차가움
(정답률: 75%)
  • "성글고 조밀함"은 색채의 감정효과 중에 밀도와 관련된 것으로, 거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팽창과 수축"은 크기와 관련된 감정효과, "가볍고 무거움"은 무게와 관련된 감정효과, "따뜻하고 차가움"은 온도와 관련된 감정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바로크시대 화훼장식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향기가 있는 꽃다발
  2. 곡선적이면서 화려함
  3. 비대칭적인 형태
  4. 호가스형
(정답률: 58%)
  • 바로크시대 화훼장식의 특징은 곡선적이면서 화려함, 비대칭적인 형태, 호가스형 등이다. 하지만 "향기가 있는 꽃다발"은 화훼장식의 특징이 아니라 꽃의 향기를 강조한 것으로, 다른 특징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홍만선의 「산림경제」에서 다룬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조선 초기 발간되어 분식물의 감상법과 이용법이 설명되어있다.
  2. 조선 중기 발간되어 분식물의 종류, 가꾸는 방법, 관리시 주의 사항이 설명되어있다.
  3. 조선 초기 발간되어 식물에 따른 어울리는 수형, 심는법, 분 놓는 법이 설명되어 있다.
  4. 조선 후기 발간되어 식물의 재배요령과 분토에 이끼를 생기게 하는 요령이 설명되어 있다.
(정답률: 49%)
  • 홍만선의 「산림경제」에서 다룬 내용 중 옳은 것은 "조선 중기 발간되어 분식물의 종류, 가꾸는 방법, 관리시 주의 사항이 설명되어있다."입니다. 이유는 문장에서 명시적으로 "조선 중기 발간되어 분식물의 종류, 가꾸는 방법, 관리시 주의 사항이 설명되어있다."라고 언급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화훼장식에 사용되는 소재 중 가장 부드러운 질감에 속하는 것은?

  1. 아킬레아
  2. 리아트리스
  3. 알스트로메리아
  4. 카네이션
(정답률: 56%)
  • 알스트로메리아는 꽃잎이 매우 부드럽고 촉감이 부드러워 화훼장식에 많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인 아킬레아, 리아트리스, 카네이션은 알스트로메리아보다 더 굳고 딱딱한 느낌이 있어 부드러운 질감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훼장식의 디자인 요소인 질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거친 질감과 울퉁불퉁하거나 광택이 없는 표면은 형식적이며 우아한 느낌을 준다.
  2. 고운 질감의 식물은 시각적으로 멀어지는 느낌이 있으므로 가깝게 배치한다.
  3. 칼라는 카네이션이나 맨드라미와 대조적인 질감의 강조를 표현할 수 있다.
  4. 무거운 색채의 단단하고 품위 있는 질감으로 화분을 선택하였다면 화분 받침이나 식물도 그와 같은 느낌을 갖는 것으로 선택한다.
(정답률: 64%)
  • "거친 질감과 울퉁불퉁하거나 광택이 없는 표면은 형식적이며 우아한 느낌을 준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이러한 질감은 부드러운 질감보다 형식적이고 우아한 느낌을 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디자인 구성 원리 중 다른 재료들과의 구성을 하는데 있어서 일정한 한 부분에 시선을 집중 시키게 하는 원리는 무엇인가?

  1. 비례
  2. 강조
  3. 대비
  4. 조화
(정답률: 93%)
  • 강조는 디자인 구성 원리 중 다른 재료들과의 구성을 하는데 있어서 일정한 한 부분에 시선을 집중 시키게 하는 원리입니다. 이는 디자인에서 중요한 요소를 강조하여 눈에 띄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강조는 다른 디자인 구성 원리들과 함께 사용되어 디자인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변이, 반복, 확산 등으로 표현되는 디자인의 원리는?

  1. 대비
  2. 통일
  3. 리듬
  4. 비례
(정답률: 86%)
  • 디자인에서 리듬은 변화와 반복을 통해 일정한 패턴을 만들어내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변이와 반복, 그리고 확산 등의 디자인 원리는 모두 리듬을 형성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도형이나 색상은 리듬을 형성하며, 이를 통해 디자인에 조화와 움직임을 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리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화훼장식의 디자인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1. 선(lind)
  2. 구조(structure)
  3. 형태(form)
  4. 색(color)
(정답률: 64%)
  • 화훼장식에서 거리가 먼 디자인 요소는 "구조(structure)"입니다. 이는 화훼장식에서 꽃과 잎사귀 등의 실제 물질적인 요소들을 배치하는 방식과 그들의 상호작용을 의미합니다. 다른 요소들은 모두 물질적인 측면에서 꽃과 잎사귀 등의 요소들과 연관이 있지만, 구조는 이러한 요소들을 배치하는 방식과 그들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것입니다. 따라서 구조는 화훼장식에서 거리가 먼 디자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두가지 이상의 디자인 요소가 서로 분리하거나 배척하지 않고 각 요소가 통합된 감각적 효과를 발휘 할 때 일어나는 미적원리는?

  1. 비례
  2. 균형
  3. 조화
  4. 대비
(정답률: 79%)
  • 조화는 두 가지 이상의 디자인 요소가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져 하나의 통일된 감각적 효과를 발휘할 때 나타나는 미적 원리입니다. 따라서, 조화는 디자인 요소들이 서로 분리되거나 배척되지 않고 조화롭게 조합되어 통합된 느낌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화훼장식의 대칭 균형(symmetrical balanc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연스럽고 비정형적이며 시각적 움직임으로 인한 생동감이 느껴진다.
  2. 상상에 의한 중앙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양쪽요소를 동일하게 배열한다.
  3. 단조롭거나 인위적인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4. 편안하고 안정된 느낌과 공식적이고 위엄이 있는 듯이 보인다.
(정답률: 74%)
  • "상상에 의한 중앙의 수직축을 기준으로 양쪽요소를 동일하게 배열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대칭 균형은 양쪽 요소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안정적이고 공식적인 느낌을 주지만, 자연스럽고 비정형적이며 시각적 움직임으로 인한 생동감이 느껴진다는 것은 비대칭적인 균형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형태와 구조를 만드는데 기초가 된다.
  2. 면적은 없지만 방향감을 느낄 수 있다.
  3. 크기는 없고 위치만 있지만 디자인 요소로서 최소의 존재이다.
  4. 대상을 표현하는 동시에 독자적인 시각대상이 된다.
(정답률: 67%)
  • 정답은 "크기는 없고 위치만 있지만 디자인 요소로서 최소의 존재이다."입니다. 이유는 선은 크기가 없고 위치만 있기 때문에 면적을 가지지 않지만 방향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형태와 구조를 만드는 기초가 되며 대상을 표현하는 동시에 독자적인 시각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