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3-28)

화훼장식기능사
(2010-03-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훼장식재료

1. 철사의 표준치수 중 가장 굵은 것은?

  1. #24철사
  2. #22철사
  3. #20철사
  4. #18철사
(정답률: 97%)
  • 철사의 굵기는 게이지(Gauge)라는 단위로 표시됩니다. 게이지가 작을수록 철사가 더 굵은 것이며, 게이지가 커질수록 철사가 더 얇아집니다. 따라서 "#18철사"가 가장 굵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을에 씨를 뿌려 봄 화단에 이용하는 한해살이 화초가 아닌 것은?

  1. 팬지
  2. 매리골드
  3. 데이지
  4. 프리뮬라
(정답률: 57%)
  • 매리골드는 한해살이 화초이며, 가을에 씨를 뿌리면 봄에 꽃이 피어 화단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여름에 피는 계절꽃이나 다년생 화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절엽 또는 분화용으로 주로 이용되는 식물이 아닌 것은?

  1. 아스파라거스
  2. 알로카시아
  3. 회양목
  4. 엽란
(정답률: 53%)
  • 아스파라거스, 알로카시아, 회양목, 엽란 중에서 회양목은 절엽 또는 분화용으로 이용되는 식물이 아닙니다. 회양목은 대부분 나무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로 목재나 가구 등에 이용됩니다. 반면에 아스파라거스는 식용으로 이용되는 채소이고, 알로카시아와 엽란은 실내 장식용으로 이용되는 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형태에 따른 분류에서 선형(line)꽃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글라디올러스
  2. 리아트리스
  3. 스토크
  4. 카틀레야
(정답률: 76%)
  • 선형 꽃은 꽃잎이 길고 좁아서 선 모양을 띄는 꽃으로 분류됩니다. 그러나 카틀레야는 꽃잎이 넓고 둥글어서 선형 꽃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카틀레야는 선형 꽃에 속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절지용으로 이용되지 않는 식물은?

  1. 버드나무
  2. 철쭉
  3. 삼지닥나무
  4. 홍화
(정답률: 57%)
  • 절지용이란 식물을 건조시켜서 보존하는 것을 말하는데, 홍화는 건조시키면 색이 변하고 모양이 변형되기 때문에 절지용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알리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추식구근이다.
  2. 내한성이 강한 편이다.
  3. 구근류의 분류상 괴근에 속한다.
  4. 줄기가 비대해져 알뿌리 모양으로 된 것이다.
(정답률: 59%)
  • 다알리아는 구근류 식물 중 하나로, 괴근 속에 속해 있기 때문에 "구근류의 분류상 괴근에 속한다"는 설명이 옳습니다. 다알리아는 추식구근이며, 내한성이 강한 편입니다. 줄기가 비대해져 알뿌리 모양으로 된 것도 맞지만, 이것은 다알리아의 특징 중 하나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상업적인 디스플레이용 화훼장식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고객으로 하여금 상품을 구입하도록 동기를 만들어 준다.
  2. 예술가로서 또는 화훼장식 전문가로서의 홍보와 아이디어를 선보인다.
  3. 단순한 공간장식보다는 성업공간의 이미지 전달과 홍보를 위한 시선 집중을 유도한다.
  4. 계절별 주제를 잡아 이에 어울리는 화훼식물을 도입하는 경우가 많다.
(정답률: 65%)
  • 상업적인 디스플레이용 화훼장식의 특징 중 거리가 먼 것은 "예술가로서 또는 화훼장식 전문가로서의 홍보와 아이디어를 선보인다." 이다. 이는 화훼장식이 단순한 공간장식이 아니라 성업공간의 이미지 전달과 홍보를 위한 시선 집중을 유도하며, 계절별 주제를 잡아 이에 어울리는 화훼식물을 도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술적인 가치보다는 비즈니스적인 목적이 우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꽃꽂이 소재로 주로 열매를 관상대상으로 이용하는 것은?

  1. 좀작살나무
  2. 수국
  3. 꽝꽝나무
  4. 개나리
(정답률: 67%)
  • 좀작살나무는 열매가 작고 귀여워서 꽃꽂이 소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에 수국은 열매가 없고, 꽝꽝나무와 개나리는 열매가 크고 불규칙하여 관상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건조 등 환경적응력이 강한 식물로 독특한 모양으로 인해 실내 분식물 장식에서 관엽식물 다음으로 많이 이용되는 식물은?

  1. 고산식물
  2. 구근류
  3. 화목류
  4. 다육식물
(정답률: 90%)
  • 다육식물은 건조 등 환경적응력이 강한 식물로, 그 독특한 모양 때문에 실내 분식물 장식에서 관엽식물 다음으로 많이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화훼식물의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아름다운 꽃을 의미한다.
  2. 꽃과 화목류를 의미한다.
  3. 꽃과 풀 그리고 나무를 의미한다.
  4. 아름다운 꽃과 열매 등 미적인 관상을 목적으로 기르는 식물이다.
(정답률: 72%)
  • 화훼식물은 아름다운 꽃과 열매 등 미적인 관상을 목적으로 기르는 식물이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꽃뿐만 아니라 열매 등도 포함되어 있으며, 그 목적이 미적인 관상에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육식물로만 나열된 것은?

  1. 꽃잔디, 원추리, 국화
  2. 크로톤, 드라세나, 옥잠화
  3. 바위솔, 알로에, 용설란
  4. 관음죽, 종려, 벤자민
(정답률: 85%)
  • 바위솔, 알로에, 용설란은 모두 다육식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화훼식물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군자란은 난과식물이다.
  2. 팔손이는 관엽식물이다.
  3. 아이리스, 크로커스는 구근류에 속한다.
  4. 숙근류는 다년생으로 자라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62%)
  • "군자란은 난과식물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군자란은 관엽식물 중 하나로, 난과식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구 및 부재료의 보관 방법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본 및 포장지는 광선에 의해 변색되기 쉬우므로 광과 습기가 들어가지 않는 장소에 보관 한다.
  2. 스프레이는 화재 위험이 없는 곳에 보관한다.
  3. 플로랄 테이프는 접착성 물질이 굳지 않도록 따뜻한 곳에 보관한다.
  4. 플로랄 폼은 상자에 넣은 채로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정답률: 94%)
  • 정답인 "플로랄 테이프는 접착성 물질이 굳지 않도록 따뜻한 곳에 보관한다."는 이유는 플로랄 테이프의 접착성 물질은 고온에 노출되면 굳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따뜻한 곳에 보관하여 접착성 물질이 유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건조용 소재별 주요 이용 부위로 틀린 것은?

  1. 장미 - 꽃
  2. 아킬레아 - 잎
  3. 라그러스 - 이삭
  4. 연밥 - 열매
(정답률: 42%)
  • 아킬레아는 잎이 아닌 꽃을 이용하는데, 아킬레아는 꽃이 작고 깔끔하여 꽃다발이나 꽃바구니 등 꽃장식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학명의 표기 방법 중 명명자의 표기에 관한 설명으로 틀 린 것은?

  1. 명명자와 기재자가 다를 경우, 영어의 from에 해당하는 al 을 붙인다.
  2. 명명자의 표기는 약자로 표기할 수 있다.
  3. 명명자가 2~3명일 경우, 점속사 et를 사용하여 Sied. et Zucc. 와 같이 표기한다.
  4. Tagg ex Nakai et Koidz는 Nakai와 Koidz가 기재하여 Tagg의 명명을 유효화 했을 경우이다
(정답률: 47%)
  • "명명자와 기재자가 다를 경우, 영어의 from에 해당하는 al 을 붙인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는 학명의 표기 방법 중 하나로, 종명을 명명한 사람과 기재한 사람이 다를 경우, 명명자의 이름 뒤에 "al"을 붙여서 표기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종명의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토양수분 중 식물의 흡수 및 생육에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흡착수
  2. 모관수
  3. 지하수
  4. 중력수
(정답률: 66%)
  • 식물이 토양으로부터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모관수입니다. 모관수는 식물의 뿌리에서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미세한 흡수관으로, 뿌리의 표면적을 크게 늘려주어 물과 영양분의 흡수를 촉진합니다. 따라서 모관수가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경우, 식물은 물과 영양분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고 생육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동양식 꽃꽂이의 화형 중 제 1주지가 화기의 입구 아래로 늘어지는 형은?

  1. 직립형
  2. 경사형
  3. 중간형
  4. 하수형
(정답률: 89%)
  • 화기의 입구 아래로 늘어지는 형태는 물이 아래로 흐르는 하수관의 모양과 비슷하다고 해서 하수형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대칭형 방사선 줄기배열의 장식적 구성양식에서 깊이감 혹은 입체감을 강조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지 않은 기법은?

  1. 쉐도잉(shadowing)
  2. 시퀀싱(sequencing)
  3. 조닝(zoning)
  4. 레이어링(layering)
(정답률: 65%)
  • 조닝(zoning)은 대칭형 방사선 줄기배열의 장식적 구성양식에서 깊이감 혹은 입체감을 강조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하지 않은 기법입니다. 조닝은 공간을 분할하여 각각의 영역에 다른 색상이나 패턴을 적용하는 기법으로, 일정한 패턴을 반복하거나 대조적인 색상을 사용하여 입체감을 강조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하지만 대칭형 방사선 줄기배열에서는 조닝을 사용하면 균형감이 깨지고, 대칭성이 훼손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낚시 바늘 모양으로 구부린 철사를 꽃 중심에 꽂아 줄기 안으로 밀어 넣은 철사 처리법은?

  1. 피어싱(piercing)법
  2. 인서션(insertion)법
  3. 후킹(hooking)법
  4. 크로싱(crossing)법
(정답률: 85%)
  • 이 처리법은 낚시 바늘 모양으로 구부린 철사를 꽃 중심에 꽂아 줄기 안으로 밀어 넣는 것으로, 꽃잎이나 줄기가 철사에 걸리면서 꽃을 고정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처럼 철사를 꽂아서 고정시키는 것이 마치 낚시에서 물고기를 걸어 올리는 것과 비슷하다는 모습에서 후킹(hooking)법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테이블장식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진한 향과 색의 꽃을 꽂는다.
  2.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도록 꽂는다.
  3. 장식물이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꽂는다.
  4. 꽃이나 잎이 잘 떨어지는 소재는 피한다.
(정답률: 96%)
  • "진한 향과 색의 꽃을 꽂는다."는 틀린 것입니다. 테이블장식에서는 향기나 색감이 강한 꽃보다는 부드러운 향과 색감을 가진 꽃이나 잎을 꽂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식사 중에도 불쾌감을 일으키지 않고, 식사와 어울리는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훼장식 제작 및 유지관리

21. 작은 보석들을 바탕 금속이 보이지 않도록 빽빽하게 모아 배치하는 데서 유래한 형식으로 편평한 용기에 소재들을 조밀하게 배치하여 색과 질감을 대비시켜 구성하는 화훼 장식 디자인은?

  1. 파페 디자인
  2. 뉴 컨벤션 디자인
  3. 풍경식 디자인
  4. 밀 드 플레 디자인
(정답률: 86%)
  • 파페 디자인은 작은 보석들을 바탕 금속이 보이지 않도록 빽빽하게 모아 배치하는 형식에서 유래한 화훼 장식 디자인으로, 소재들을 조밀하게 배치하여 색과 질감을 대비시켜 구성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철사 처리법 중 주로 인서션(insertion)법으로 처리하는 소재로 나열된 것은?

  1. 안개초, 백합
  2. 거베라, 장미
  3. 나팔수선, 칼라
  4. 카네이션, 라넌큘러스
(정답률: 74%)
  • 나팔수선과 칼라는 둘 다 꽃잎이 얇고 부드러워서 인서션법으로 처리하기 적합한 소재입니다. 반면 안개초와 백합은 꽃잎이 두껍고 단단하여 인서션법으로 처리하기 어렵고, 거베라와 장미는 꽃잎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어 인서션법으로 처리하기 어렵습니다. 카네이션과 라넌큘러스는 꽃잎이 얇고 부드러우나 다른 소재들에 비해 인서션법으로 처리하기에는 조금 더 어려움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방사선 배열로 된 꽃꽂이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원형, 평행형, 폭포형, 수평형 등이 있다.
  2. 교차선 배열에서 발전된 형으로 유연한 선이 흐름이다.
  3. 모든 줄기의 선이 한 개의 초점에서 사방으로 전개되는 배열이다.
  4. 일정한 규칙 없이 배열되거나 줄기를 짧게 잘라 꽃송이 나 꽃잎만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정답률: 83%)
  • 방사선 배열로 된 꽃꽂이 형태는 모든 줄기의 선이 한 개의 초점에서 사방으로 전개되는 배열이다. 이는 꽃잎이나 꽃송이를 중심으로 줄기가 방사형으로 퍼져나가는 형태를 말한다. 다른 보기들은 꽃꽂이의 형태에 대한 다양한 예시를 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절화의 노화를 촉진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적당한 저온상태의 보관
  2. 호흡에 의한 양분의 소모
  3. 수분흡수 불량에 의한 수분결핍
  4. 성숙한 꽃에서 발생한 에틸렌 가스
(정답률: 81%)
  • 적당한 저온상태의 보관은 절화의 노화를 촉진하는 요인이 아닙니다. 이는 저온상태에서 대사 활동이 감소하고, 호흡에 의한 양분의 소모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서 보관하면 절화의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절화의 수명 단축에 관여하는 요인과 수명 연장 방법에 대 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 중의 에틸렌가스 농도가 높아지면 잎의 황화와 노화가 촉진된다.
  2. 공중 습도가 90% 이상으로 지나치게 높은 상태에서 기온이 상승하면 꽃이 부패하지 쉽다.
  3. 물의 흡수면적을 넓혀 주기 위해 절단면이 90°가 되도록 자른다.
  4. 질산은(AgNO3)과 타오황산은(silverthioul fate)용액은 에틸렌가스 발생을 억제시킨다.
(정답률: 83%)
  • "물의 흡수면적을 넓혀 주기 위해 절단면이 90°가 되도록 자른다." 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보면, 절화의 줄기를 45° 각도로 자르면 물 흡수면적이 줄어들어 수분 공급이 어려워져서 수명이 단축될 수 있기 때문에 90° 각도로 자르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자생지가 온대산인 식물의 화분갈이 시기로 가장 적절한 때는?

  1. 낙엽이 지는 가을철
  2. 생장이 완료되어 휴면이 시작되기 전
  3. 겨울철 휴면기간
  4. 휴면이 끝나고 생장 직전
(정답률: 75%)
  • 자생지가 온대산인 식물은 겨울철에 휴면기간을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화분갈이 시기는 휴면이 끝나고 생장 직전인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이유는 휴면기간 동안 식물은 생장을 멈추고 에너지를 절약하기 때문에 화분갈이를 하면 생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휴면이 끝나고 생장 직전에 화분갈이를 하면 식물이 더욱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자연적인 구성형식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장식적(decorative) 구성
  2. 식물학적(botanical) 구성
  3. 식생적(vegetative) 구성
  4. 풍경식(landscape) 구성
(정답률: 85%)
  • 장식적 구성은 주로 예술 작품에서 사용되는 형식으로, 자연적인 구성 형식과는 다르게 디자인적인 요소가 강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자연적인 구성 형식으로 보기 어려운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증산의 대부분은 잎의 어느 부위에서 이루어 지는가?

  1. 해면조직
  2. 책상조직
  3. 기공
  4. 상표피
(정답률: 78%)
  • 증산은 기공에서 이루어집니다. 기공은 잎의 표면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이를 통해 수증기와 산소가 교환됩니다. 따라서 기공은 증산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에틸렌에 가장 민감한 화훼류는?

  1. 툴립
  2. 거베라
  3. 카네이션
  4. 안스리움
(정답률: 64%)
  • 카네이션은 에틸렌에 가장 민감한 화훼류 중 하나입니다. 이는 카네이션의 꽃이 개화할 때 에틸렌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카네이션을 보관할 때는 에틸렌 방지제를 사용하여 꽃의 수명을 연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형선적(formal linear) 구성에서 고려할 요소가 아닌 것은?

  1. 소재의 양은 가능 한 많이 사용한다.
  2. 색채의 뚜렷한 대비가 이루어지도록 표현한다.
  3. 각소재의 형태와 운동성을 분명하게 표현한다.
  4. 선들간의 명확한 대조가 이루어지도록표현한다
(정답률: 90%)
  • 답은 "소재의 양은 가능 한 많이 사용한다." 입니다.

    형선적 구성은 주로 직선, 곡선, 평면 등의 기하학적 요소를 강조하는 구성입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소재의 양보다는 소재의 형태와 운동성, 선들간의 대조 등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소재의 양은 가능 한 많이 사용한다."는 형선적 구성에서 고려할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밴딩(banding)의 제작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품의 특성 부분에 시선을 끌기 위해 울타리 역할의 소재를 배치하는 기술이다.
  2. 장식적인 목적으로 강조하기 위하여 묶는 기술 이다.
  3. 질감과 색감을 부여해서 주의를 끌기 위한 기술이다.
  4. 주로 라피아(raffia), 색상 철사, 리본, 잎을 이용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작품의 특성 부분에 시선을 끌기 위해 울타리 역할의 소재를 배치하는 기술이다."가 아닌 "장식적인 목적으로 강조하기 위하여 묶는 기술 이다."입니다.

    밴딩은 작품의 특정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울타리 역할의 소재를 배치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시선을 집중시키고 작품의 미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품의 특성 부분에 시선을 끌기 위해 울타리 역할의 소재를 배치하는 기술이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절화를 꽂는 물에 구연산을 넣어주는 주된 이유는?

  1. 화색을 좋게 하기 위하여
  2. 꽃에 영양분을 주기 위하여
  3. 줄기의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4. 물을 신성화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정답률: 74%)
  • 절화를 꽂는 물에 구연산을 넣어주는 이유는 물을 신성화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절화의 수명연장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목본성 줄기를 가진 절화는 90~100°C 물에 약 60초간 담근다.
  2. 유액이 나오는 절화는 절단면을 강한 불에 약 5분간 그을린다.
  3. 1~2일 마다 절단면을 물속에서 2~3cm 정도 재 절단하며, 물도 갈아 준다.
  4. 물은 끓여서 식힌 후 침전물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58%)
  • "유액이 나오는 절화는 절단면을 강한 불에 약 5분간 그을린다."는 적당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유는 절화의 절단면을 그을리면서 유액이 나오는 것은 절화의 성분이 파괴되고 손상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절화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분식물의 제작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분 밑의 배수구는 망사나 돌로 막는다.
  2. 잔돌이나 굵은 모래를 용기 높이의 1/5 정도까지 깐다.
  3. 배수층 위에 혼합된 토양을 깔고 식물을 심어 나간다.
  4. 풍성한 느낌이 나도록 분토를 화분 높이보다 높게 돋운 다.
(정답률: 91%)
  • 정답은 "풍성한 느낌이 나도록 분토를 화분 높이보다 높게 돋운 다."입니다. 이유는 분식물의 제작 과정에서는 토양을 화분 높이보다 높게 돋우는 것이 오히려 식물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분식물은 토양이 깊지 않은 환경에서 자라는 식물이기 때문에, 토양을 적당한 높이까지만 채우고 식물을 심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냉장보관하지 않아야 하는 꽃은?

  1. 히야신스
  2. 나팔수선
  3. 튤립
  4. 안스리움
(정답률: 71%)
  • 안스리움은 냉장보관을 하면 잎이 검게 변색되고 꽃이 시들어지기 때문에 냉장보관하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핸드타이드 부케를 만들 때 지켜야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줄기 끝을 사선으로 자른다.
  2. 소재 줄기는 나선형으로 돌리거나 작렬로 모아 묶는다.
  3. 소재나 색상은 반드시 그룹핑으로 해야 한다.
  4. 바인딩 포인트 아래줄기의 잎은 모두 떼어낸다
(정답률: 83%)
  • 소재나 색상을 그룹핑으로 해야하는 이유는 부케를 보는 사람이 한눈에 부케의 디자인과 색감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룹핑을 하지 않으면 부케가 혼돈스러워 보일 수 있고, 부케를 받는 사람이나 구매하는 사람이 원하는 색상이나 디자인을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재나 색상을 그룹핑하여 부케를 만들면 보기 좋고 구매자의 만족도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화훼류 재배 배양토의 가장 적정한 pH 범위는?

  1. hP 3.0~3.5
  2. pH 4.0~4.6
  3. hP 5.0~7.0
  4. pH 8.0~9.0
(정답률: 75%)
  • 화훼류는 대부분 약산성 환경을 선호하며, pH 5.0~7.0 사이의 범위에서 가장 적절한 생장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pH가 너무 낮으면 뿌리가 손상을 입고 생장이 어렵고, pH가 너무 높으면 뿌리가 영양분을 흡수하지 못해 생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H 5.0~7.0 사이의 범위에서 배양토를 조절하여 화훼류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절화 수확 후 절화의 흡수를 증진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물속에서 줄기를 자른다.
  2. 줄기의 절단 부위를 삶는다.
  3. 줄기의 절단 부위를 태운다.
  4. 줄기 절단 부위를 95% 알콜에 오래 담근다.
(정답률: 83%)
  • 줄기 절단 부위를 95% 알콜에 오래 담근다는 것은 세균, 곰팡이 등의 병원체를 제거하여 절화의 흡수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입니다. 물속에서 자르거나 삶거나 태우는 것은 오히려 병원체의 번식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적절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절화보존용액의 효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절화의 관상기간을 연장시킨다.
  2. 절화의 물올림을 원활하게 해준다.
  3. 조기 채화되어 봉오리인 꽃의 개화를 돕는다.
  4. 상온에서도 절화를 장시간 저장할 수 있게 한다.
(정답률: 40%)
  • 절화보존용액은 상온에서도 절화를 장시간 저장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이용자들은 더 이상 꽃을 구매하기 위해 멀리 가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화훼장식품의 제작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번들링(bundling)은 유사한 재료를 다발로 묶어 장식하는 기법이다.
  2. 레이어링(layering)은 포기나 덩어리를 둘 이상 나누어 꽂는 기법이다.
  3. 그룹핑(grouping)은 같은 종류, 색, 질감 등의 소재를 함께 모아 소재가 두드러져 보이도록 하는 기법이다.
  4. 시퀀싱(sequencing)은 크기, 색 등의 요소에 점진적인 변화를 주어 꽂는 기법이다.
(정답률: 76%)
  • 정답: "레이어링(layering)은 포기나 덩어리를 둘 이상 나누어 꽂는 기법이다."가 틀린 것이다. 레이어링은 여러 개의 꽃을 겹쳐서 꽂는 기법으로, 포기나 덩어리를 나누어 꽂는 것은 디바이딩(dividing) 기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화훼장식론

41. 테라싱(terracing)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일한 소재들을 크기에 따라 앞 뒤 수평이 되게 일정 한 간격으로 계단처럼 배치한다.
  2. 특수한 요소를 강조하거나 주의를 끌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기법이다.
  3. 동일한 단위로 알아볼 수 있도록 모아 시각적인 효과를 거두도록 하는 기법이다.
  4. 보석박기, 작은 알돌들을 가능한 빡빡하게 모으는 것처럼 소재를 구성하는 것이다.
(정답률: 86%)
  • 테라싱(terracing) 기법은 동일한 소재들을 크기에 따라 앞 뒤 수평이 되게 일정한 간격으로 계단처럼 배치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경사지의 토양 유실을 막고,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평지를 만들어주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화훼장식의 디자인 요소 중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선(line)
  2. 형태(form)
  3. 공간(space)
  4. 질감(texture)
(정답률: 81%)
  • 위 그림에서 보이는 화훼장식은 선(line)을 중심으로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선은 화훼장식에서 가장 기본적인 디자인 요소 중 하나이며, 꽃과 잎사귀 등의 요소를 연결하고 조화롭게 배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도 선이 꽃과 잎사귀를 연결하고,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장미를 건조 시킬 때 적합하지 않은 방법은?

  1. 자연 건조
  2. 실리카겔 건조
  3. 열풍 건조
  4. 탄화 건조
(정답률: 65%)
  • 탄화 건조는 고온과 고압으로 건조하는 방법으로, 장미의 꽃잎이나 줄기를 손상시키고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화훼가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연건조에 적합한 꽃은 튤립이다.
  2. 향이 좋은 식물체를 건조하여 감상하는 것을 토피어리라 한다.
  3. 글리세린 건조법에서 물과 글리세린의 혼합비율은 1:5 가 적합하다.
  4. 수산화칼륭(KOH)은 망사잎(skeletonizing leaves)의 가공에 사용되는 약제이다.
(정답률: 49%)
  • 수산화칼륭(KOH)은 망사잎(skeletonizing leaves)의 가공에 사용되는 약제이다. 이유는 수산화칼륭은 식물의 세포벽을 녹여서 망사잎의 조직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깊이감을 주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줄기선의 각도를 조절하다.
  2. 꽃을 부분적으로 겹치게 배열한다.
  3. 색, 크기, 질감의 변화를 이용한다.
  4. 선명하고 짙은 색은 뒷부분에 높게, 옅고 가벼운 색은 앞부분에 낮게 배치한다.
(정답률: 71%)
  • 선명하고 짙은 색은 뒷부분에 높게, 옅고 가벼운 색은 앞부분에 낮게 배치하는 것은 깊이감을 주는 방법 중 하나인데, 다른 보기들은 모두 깊이감을 주는 방법이므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화훼장식의 기능 및 효과로 거리가 먼 것은?

  1. 노인의 재활 치료 효과
  2. 화훼 재료에 대한 교육 효과
  3. 상업공간에서 나타나는 경제적 효과
  4. 심리적 편안함에 따른 작업기피 효과
(정답률: 82%)
  • 화훼장식은 실내 공간을 아름답게 꾸미는 역할을 하며, 노인의 재활 치료 효과나 화훼 재료에 대한 교육 효과, 상업공간에서 나타나는 경제적 효과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심리적 편안함에 따른 작업기피 효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화훼장식이 너무나 아름답고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일을 하기보다는 그 분위기에 빠져들어 작업을 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화훼장식을 사용할 때는 작업 효율을 고려하여 적절한 배치와 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화훼장식 디자인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1. 형태
  2. 깊이
  3. 움직임
(정답률: 82%)
  • 화훼장식 디자인에서 형태, 깊이, 색은 모두 시각적인 요소로서 화훼장식의 미적인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움직임은 시각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공간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화훼장식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면, 공간에 생기와 활기를 더해주어 더욱 생동감 있고 활기찬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움직임은 화훼장식 디자인에서 거리가 먼 요소가 아니라, 오히려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화훼장식 디자인의 조형 형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장식적 구성은 식물이 자연의 식생에서 보여주고 있는 모습과는 관계없이 디자이너의 의도로 소재를 자유롭게 구성하는 방법이다.
  2. 식생적 구성은 식물의 생리, 생태적인 면을 고려하여 식물이 자연상태에서 살아있는 것과 같은 형태로 조형하는 방법이다.
  3. 형선적 구성은 형 또는 매스를 최소로 표현하고 여백을 이용하여 꽃, 잎, 줄기의 아름다움을 강조한다.
  4. 꽃꽂이의 입체적인 형태는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기준으로 하여 조형 형태를 구분한다.
(정답률: 66%)
  • "꽃꽂이의 입체적인 형태는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기준으로 하여 조형 형태를 구분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어떤 두 색이 맞붙어 있을 경우, 그 경계의 언저리가 경계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는 부분보다 3 속성 대비가 강하게 일어나는 현상은?

  1. 연변대비
  2. 계시대비
  3. 동시대비
  4. 색상대비
(정답률: 59%)
  • 두 색이 맞붙어 있을 경우, 그 경계의 언저리에서는 두 색이 섞이는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때, 연변대비는 두 색이 섞이는 경계 부근에서 색상의 대비가 강하게 일어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경계 부근에서 색상이 서로 섞이면서 색상의 밝기나 채도 등이 변화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연변대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황갈색의 가벼운 종려 섬유질로 매듭 또는 보를 만들어 장식하거나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은?

  1. 지철사
  2. 플로랄 테이프
  3. 라피아
  4. 카파와이어
(정답률: 91%)
  • 라피아는 황갈색의 가벼운 종려 섬유질로 매듭 또는 보를 만들어 장식하거나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이는 다른 보기인 지철사, 플로랄 테이프, 카파와이어와는 구분되는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화훼장식의 디자인 원리 중 비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연에서 식물의 꽃, 잎, 가지의 배열 등은 황금분할에 해당하는 것이 많다.
  2. 황금분할은 유클리드에 의해 알려진 이상적인 비율이다.
  3. 주그룹, 대항그룹, 보조그룹의 크기는 3:5:8의 비율이 적절하다.
  4. 비례는 전체 구성에 대한 부분 구성의 비율로 나타낸다.
(정답률: 67%)
  • 정답은 "주그룹, 대항그룹, 보조그룹의 크기는 3:5:8의 비율이 적절하다."입니다. 이유는 화훼장식에서는 주로 황금분할 비율을 따르기 때문에, 주그룹과 대항그룹의 크기는 1:1.618의 비율로 구성되며, 보조그룹은 이들의 합과 대략적으로 같은 크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5:8의 비율이 적절하다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누름 건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화라고도 불리며 입체적인 장식에 주로 이용된다.
  2.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으며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3. 꽃이나 잎을 흡습지 사이에 넣고, 눌러서 건조 시킨다.
  4. 식물의 잎과 줄기, 야채, 과일, 해초 등 재료가 다양하다.
(정답률: 63%)
  • "압화라고도 불리며 입체적인 장식에 주로 이용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색(col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장파장의 색상은 따뜻한 색이다.
  2. 명도가 낮은 색은 높은 색보다 가벼워 보인다.
  3. 동일 면적에서 주황색은 노란색보다 커보인다.
  4. 배경이 어두울 때는 밝은 색보다 어두운 색이 진출되어 보인다.
(정답률: 65%)
  • "장파장의 색상은 따뜻한 색이다."는 색온도가 높은 색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훼장식의 디자인 요소인 선의 종류별 효과로 바르게 짝 지어진 것은?

  1. 수직선 - 느리고 여유있는 움직임
  2. 수평선 - 직접적이고 강직
  3. 사선 - 평화적이고 안정감
  4. 곡선 - 부드러움
(정답률: 90%)
  • 곡선은 부드러운 라인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화훼장식에 사용하면 부드러운 느낌을 주어서 디자인에 우아함과 여유를 더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노랑(yellow)색상의 특성과 이미지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 가 먼 것은?

  1. 노란색의 보색은 (남색PB)이다.
  2. 노랑은 빨강이나 주황과 같이 난색이며, 후퇴색이므로 크게 보인다.
  3. 가시스펙트럼에서 570~580nm 사이의 색으로 색상 중 가장 밝은 기본색이다.
  4. ‘조심’의 뜻을 지니고 있어 주의 또는 방사능 표지등에 사용된다.
(정답률: 61%)
  • "노랑은 빨강이나 주황과 같이 난색이며, 후퇴색이므로 크게 보인다."가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노랑색의 특성이나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반면, 이 보기는 노랑색의 색상적 특성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화훼장식의 디자인 원리 중 균형의 원리를 적용한 것은?

  1. 같은 색을 반복할 경우 명도나 채도를 다르게 배열한다.
  2. 현관문을 기준으로 양쪽에 동일한 크기의 벤자민 고무나무를 배치한다.
  3. 주황색 꽃을 이용하여 빨강과 노랑꽃을 시각적으로 연결시켜 시선의 흐름을 부드럽게 만든다
  4. 현관에서 로비로 통하는 길에 반구형의 꽃꽂이 디자인을 반복적으로 배치하여 방문객을 로비로 안내한다.
(정답률: 72%)
  • 균형의 원리는 디자인 요소들이 서로 균형을 이루도록 배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현관문을 기준으로 양쪽에 동일한 크기의 벤자민 고무나무를 배치하는 것은 좌우 대칭을 이루어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시선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안정적인 느낌을 주며, 화훼장식에서 매우 기본적인 원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화훼장식 디자인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중심 테마를 반복하면서도 대비적 요소를 만든다.
  2. 디자인에서 각 요소들 간의 유사한 요소를 반복한다.
  3. 디자인의 시각적인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비대칭균형의 사용을 피한다.
  4. 사람의 시선을 끌어당기는 하나의 초점을 만들어 디자인을 통합시킨다.
(정답률: 62%)
  • 디자인의 시각적인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비대칭균형의 사용을 피하는 것은 적당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비대칭균형은 디자인에 독특하고 흥미로운 요소를 추가할 수 있으며, 중심 테마를 강조하고 사람의 시선을 끌어당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자인에서 비대칭균형을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조화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색의 속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색상은 색채의 이름을 말한다.
  2. 색을 혼합할수록 채도는 높아진다.
  3. 유채색의 구성요소는 색상, 명도, 채도이다.
  4. 무채색과 유채색은 모두 명도를 가진다.
(정답률: 75%)
  • "색을 혼합할수록 채도는 높아진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색을 혼합할수록 채도는 낮아지고, 명도는 어두워집니다. 이는 혼합된 색상이 원래 색상보다 더 많은 빛을 흡수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노란색을 혼합하면 주황색이 되는데, 이는 빨간색과 노란색 중 일부 빛이 흡수되기 때문에 더 어두운 색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농업 서적과 관련된 저자 또는 역자의 연결로 틀린 것은?

  1. 산림경제 - 정다산
  2. 성소부부고 - 허균
  3. 양화소록 - 강희안
  4. 임원십육지 - 서유구
(정답률: 60%)
  • 정답은 "산림경제 - 정다산"입니다. 이유는 "산림경제"는 저자가 아니라 출판사명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서양의 시대별 화훼장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고대 이집트 - 질서 있고 간결한 디자인으로 리스나 갈 란드가 있었다.
  2. 바로크 - 화려한 꽃 장식으로 선명한 색을 많이 사용하였다.
  3. 로코코 - 엘레강스한 디자인으로 파스텔 보다 원색을 주로 사용하였다.
  4. 빅토리안 - 야채와 과일을 곁들인 디자인으로 아트 플라워도 사용하였다.
(정답률: 60%)
  • 로코코 시대의 화훼장식은 파스텔보다는 원색을 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엘레강스한 디자인으로 파스텔 색상을 선호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