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7-11)

화훼장식기능사
(2010-07-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훼장식재료

1. 화훼장식의 부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철사는 재료를 지탱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장 가는 것을 선택한다.
  2. 흡수성 플로럴 폼 사용시 제조회사의 상표명이 하부에 오도록 하여 사용한다.
  3. 유리용기를 사용할 경우 반드시 접착점토를 이용한다.
  4. 글루건은 글루팬에 비해 여러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하기 용이하다.
(정답률: 70%)
  • "철사는 재료를 지탱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장 가는 것을 선택한다."는 철사가 강도가 높아서 무거운 물체를 지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사를 사용할 때는 지탱해야 하는 물체의 무게와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두께와 강도의 철사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수경재배 식물 소재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열된 것은?

  1. 반다, 수레국화
  2. 사라세니아, 스킨답서스
  3. 히아신스, 싱고니움
  4. 러브체인, 온시디움
(정답률: 57%)
  • 히아신스와 싱고니움은 둘 다 수경재배에 적합한 식물이며, 히아신스는 꽃이 아름답고 다양한 색상을 가지며, 싱고니움은 잎이 아름답고 다양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인기가 많습니다. 또한 둘 다 수경에서 잘 자라고 유지되며, 관리가 비교적 쉽기 때문에 수경재배 초보자들도 쉽게 시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봄에 심는 알뿌리 화초로만 나열된 것은?

  1. 칸나, 달리아, 글라디올러스
  2. 칸나, 튤립, 수선화
  3. 글로시니아, 백합, 크로커스
  4. 칼라, 수선화, 글라디올러스
(정답률: 59%)
  • 봄에 심는 알뿌리 화초로만 나열된 것이므로, 봄에 심는 화초 중에서 알뿌리로 번식하는 화초들을 찾아야 합니다. 칸나, 달리아, 글라디올러스는 모두 알뿌리로 번식하는 화초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줄기가 곧게 외대로 직립하는 성향의 식물로만 나열된 것은?

  1. 아이비, 스킨답서스, 옥시카르디움
  2. 클레마티스, 바위취, 접란
  3. 종려죽, 관음죽, 세이브리지 야자
  4. 프리지아, 칼라데아, 보스톤 고사리
(정답률: 67%)
  • 종려죽, 관음죽, 세이브리지 야자는 모두 줄기가 직립하는 성향을 가진 식물이기 때문에 해당 보기에 나열되었다. 다른 보기에 나열된 식물들은 줄기가 휘거나 덩굴을 타고 올라가는 등 다양한 성향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아마릴리스의 학명 표기가 바르게 된 것은?

  1. Hippeastrum hhybridum Hort
  2. Hippeastrum Hybridum Hort
  3. Hippeastrum Hhybridum Hort
  4. Hippeastrum hybridum Hort
(정답률: 66%)
  • 아마릴리스의 학명은 Hippeastrum이며, 이는 라틴어로 "말의 별"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 식물은 인공적으로 교배되어 만들어진 재배종이므로 hybridum이라는 종에 속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학명 표기는 "Hippeastrum hybridum Hor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절화용 용기의 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물과 꽃줄기를 충분히 담글 수 있어야 한다.
  2. 전체 꽃의 무게를 지탱 할 수 있는 무게를 가져야 한다.
  3. 줄기를 고정하기 위한 어떤 도구도 감출 수 있어야 한다.
  4. 장식 목적과 효과에 따라 배수구가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정답률: 83%)
  • 절화용 용기는 꽃을 담는 용기이므로 물과 꽃줄기를 충분히 담을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전체 꽃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무게를 가져야 하며, 줄기를 고정하기 위한 어떤 도구도 감출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절화용 용기는 장식 목적과 효과를 고려하여 배수구가 있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장식 목적과 효과에 따라 배수구가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숙근초에 해당되는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종자로부터 발아하여 1년 이내에 모든 영양 및 생식생장 즉 생활환을 마치는 초본성 식물이다.
  2. 식물체의 일부인 뿌리, 지하경이 남아서 월동하고, 2년 이상 생장과 개화를 반복하는 목본류 이외의 식물이다.
  3. 개화에 춘화처리를 필요로 하고 파종 후 개화, 결실 등의 모든 생육을 마치는 데에만 1~2년 소요되는 식물이다.
  4. 대부분 종자번식을 하는 식물이다.
(정답률: 72%)
  • 숙근초는 뿌리와 지하경이 남아서 월동하고, 2년 이상 생장과 개화를 반복하는 목본류 이외의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을에 파종하여 이듬해 꽃을 피우는 식물은?

  1. 샐비어
  2. 맨드라미
  3. 프리뮬라
  4. 해바라기
(정답률: 60%)
  • 프리뮬라는 가을에 파종하여 다음해 봄에 꽃을 피우는 식물이다. 다른 보기인 샐비어, 맨드라미, 해바라기는 가을에 파종하여 다음해 봄이 아닌 여름이나 가을에 꽃을 피우는 식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잎의 형태가 원형인 식물은?

  1. 소나무
  2. 팬지
  3. 코레우스
  4. 한련화
(정답률: 57%)
  • 한련화는 잎의 형태가 원형이며, 다른 보기들은 잎의 형태가 원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주로 절화용으로 사용되는 화훼류가 아닌 것은?

  1. 숙근안개초
  2. 극락조화
  3. 칼랑코에
  4. 오리엔탈나리
(정답률: 69%)
  • 칼랑코에는 주로 교향곡이나 오페라 등 음악 공연에서 무대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식물입니다. 따라서 절화용으로 사용되는 화훼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화훼의 생태학적 분류방식이 아닌 것은?

  1. 기후형에 따른 분류
  2. 광도에 따른 분류
  3. 광주기에 따른 분류
  4. 형태에 따른 분류
(정답률: 67%)
  • 화훼의 생태학적 분류방식 중 "형태에 따른 분류"는 화훼의 외부적인 형태나 구조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으로, 생태학적인 측면보다는 분류학적인 측면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화훼를 분류하는 방식이지만, "형태에 따른 분류"는 예외적으로 분류학적인 측면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동양란으로 분류되는 것은?

  1. 춘란
  2. 심비듐
  3. 카틀레야
  4. 팔레놉시스
(정답률: 93%)
  • 춘란은 동양란 중 가장 대표적인 종류로, 봄에 꽃이 피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나머지 보기는 동양란 종류가 아니거나, 특정한 특징이 없어서 춘란과 구분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갖춘꽃이 구비해야 할 필수적 기관이 아닌 것은?

  1. 암술과 수술
  2. 꽃받침
  3. 꽃잎
  4. 불염포
(정답률: 92%)
  • 불염포는 꽃이 갖추어야 할 필수적 기관이 아닙니다. 암술과 수술은 꽃의 생식기관이며, 꽃받침은 꽃을 지탱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꽃잎은 꽃의 아름다움과 색채를 담당합니다. 하지만 불염포는 꽃에게 필수적인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육식물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잎이나 줄기가 다육질화 되어 있다.
  2. 수분을 저장하기위해 몸이 비대해진다.
  3. 거칠고 가시나 털이 있기도 하다.
  4. 물속에 잠겨서 생육하는 식물이다.
(정답률: 89%)
  • 물속에 잠겨서 생육하는 것은 다육식물의 특성이 아닙니다. 다육식물은 건조한 환경에서 생육하기 위해 수분을 저장하는 능력이 강화된 식물이며, 이를 위해 몸이 비대해지고 잎이나 줄기가 다육질화됩니다. 또한, 거칠고 가시나 털이 있을 수 있지만, 물속에서 생육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화훼의 용어에 대한 정의가 틀린 것은?

  1. 화는 꽃을 의미한다.
  2. 훼는 생산되어지는 울타리 안을 의미한다.
  3. 절화, 분화, 종묘, 구근, 지피식물 등을 포함한다.
  4. 꽃, 줄기, 잎, 열매 관상가치가 있는 초본과 목본식물을 의미한다.
(정답률: 92%)
  • "훼는 생산되어지는 울타리 안을 의미한다."가 틀린 정의인 이유는, "훼"는 식물의 일부분이 아니라, 식물을 둘러싸고 있는 울타리나 장벽을 의미하는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훼"는 생산되어지는 울타리 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되어지는 울타리나 장벽을 둘러싸고 있는 식물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코사지나 부케를 만들 때 식물 종류 별 철사감기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프리지아 - 트위스팅 법(twisting method)
  2. 칼라 - 인서션 법(insertion method)
  3. 장미 - 피어스 법(pierce method)
  4. 아이비 - 헤어핀 법(hair-pin method)
(정답률: 71%)
  • 프리지아는 트위스팅 법으로 철사를 감으면 꽃잎이 부러질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배양토의 종류 중 광물질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버미큘라이트 - 질석을 약 1,000˚C 정도로 가열하여 입자내의 공극을 팽창시킨 것
  2. 펄라이트 - 진주암을 약 1,000˚C 정도에서 부풀게 한 것
  3. 암면 - 약 1,500˚C에서 응용된 암석을 섬유상으로 가공한 것
  4. 하이드로 볼 - 1,800˚C 전˙후의 온도에서 현무암을 구운 다공질의 소재
(정답률: 69%)
  • 하이드로 볼은 현무암을 구운 다공질의 소재가 아니라, 현무암을 가열하여 만든 유리상의 소재입니다. 따라서 "하이드로 볼 - 1,800˚C 전˙후의 온도에서 현무암을 구운 다공질의 소재"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공간장식 계획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은?

  1. 화훼장식의 양감 구성
  2. 화훼장식을 할 대상공간의 특징 및 규모 파악
  3. 화훼장식 재료의 색채와 질감 선택
  4. 화훼장식의 형태 결정
(정답률: 96%)
  • 공간장식 계획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것은 화훼장식을 할 대상공간의 특징 및 규모 파악입니다. 이는 화훼장식의 양감 구성, 재료의 색채와 질감 선택, 그리고 형태 결정 등 다른 요소들을 결정하는 기초가 되기 때문입니다. 대상공간의 크기, 형태, 색상, 조명 등을 파악하여 화훼장식을 어떻게 구성할지 결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대상공간의 특징과 규모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우선적인 작업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식물 구조 및 식물의 생장과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해 주는 자연적 스타일의 조형 형태는?

  1. 평행적 스타일
  2. 식물학적 스타일
  3. 정원식 스타일
  4. 자연 장식적 스타일
(정답률: 58%)
  • 식물학적 스타일은 식물의 구조와 생장과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형태로, 자연적이면서도 과학적인 느낌을 줍니다. 이는 식물을 중심으로 한 조경 디자인에서 많이 사용되며, 식물의 생태계와 생태적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꽃다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꽃을 모아 줄기가 모이는 부분을 묶어 다발로 만든 형태이다.
  2. 실생활에 꽃꽂이와 함께 많이 이용되는 절화장식물이다.
  3. 종류로는 노즈게이, 리스, 갈란드가 있다.
  4. 화형의 디자인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만들어 질 수 있다.
(정답률: 88%)
  • 다른 보기들은 꽃다발의 특징이나 용도에 대한 설명이지만, "종류로는 노즈게이, 리스, 갈란드가 있다."는 꽃다발을 이루는 꽃들의 종류에 대한 설명이므로 다른 보기들과는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훼장식 제작 및 유지관리

21. 그 자체만으로는 구성요소로 인식하기에 너무 작은 소재들을 색, 질감, 형태 단위로 모아 빈틈없이 덩어리를 만들어 꽂는 기술을?

  1. 바인딩(binding)
  2. 프레이밍(framing)
  3. 클러스터링(clustering)
  4. 그룹핑(grouping)
(정답률: 67%)
  • 클러스터링은 작은 소재들을 모아서 덩어리를 만드는 기술로, 색, 질감, 형태 등의 단위로 구성요소를 인식하여 빈틈없이 꽂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클러스터링(cluster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절화의 신선도를 높이고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처리하는 약제의 명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장기처리제
  2. 절화보존제
  3. 수명연장제
  4. 선도유지제
(정답률: 62%)
  • "장기처리제"는 절화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로, 절화의 신선도를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절화보존제", "수명연장제", "선도유지제"와는 달리, 절화의 장기적인 보존을 위한 처리제라는 점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구성의 밑부분에 색다른 질감과 시작적인 비중을 더해 줌으로써 좀 더 강한 흥미와 외형적 안정성의 기반이 되는 화훼장식 표현기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테러싱(terracing)
  2. 파베(pave)
  3. 팔로잉(pillowing)
  4. 쉐도잉(shadowing)
(정답률: 51%)
  • 쉐도잉은 구성의 밑부분에 그림자 효과를 주어 색다른 질감과 시작적인 비중을 더해주는 기법입니다. 이를 통해 화훼장식의 외형적 안정성과 강한 흥미를 더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테러싱, 파베, 팔로잉은 이와는 다른 기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우리나라의 전통 화훼장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압화사는 고려시대의 꽃을 거두는 벼슬아치 이다.
  2. 꽃꽂이 방법이 소개된 임원십륙지는 홍석모의 저서이다.
  3. 한 화기에 두 개의 침봉을 사용한 것을 복형이라 한다.
  4. 주지의 삼각구성 이론은 동양사상인 천지인의 삼재(三才)사상에 근거를 두고 있다.
(정답률: 57%)
  • 주지의 삼각구성 이론은 동양사상인 천지인의 삼재(三才)사상에 근거를 두고 있다. - 이유: 주지의 삼각구성 이론은 천지인의 삼재(三才)사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천(天)은 둥글고 지(地)는 넓으며 인(人)은 세로로 길쭉하다는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장식적(decorative)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좌우 비대칭의 구성으로 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다.
  2. 사실적이고 자유로운 질서가 있다.
  3. 식물의 생태적 특성보다는 주어진 형태 안에서 장식효과를 높이는데 주안점을 둔다.
  4. 선과 면의 강한 대비를 통해 긴장감과 고조를 유도한다.
(정답률: 85%)
  • 정답은 "식물의 생태적 특성보다는 주어진 형태 안에서 장식효과를 높이는데 주안점을 둔다."입니다. 이유는 장식적 구성은 주로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식물의 생태적 특성보다는 주어진 형태 안에서 장식효과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식물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는 것보다는 디자인적인 측면에서의 장식적 효과를 높이는 것이 주안점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핸드타이드 부케(hand-tied bouquet)를 제작할 때 모든 줄기들이 교차하는 묶음점에 적용되는 기법으로 물리적·기능적으로 소재를 결합하기 위한 기법은?

  1. 밴딩(banding)
  2. 프레이밍(framing)
  3. 그룹핑(grouping)
  4. 바인딩(binding)
(정답률: 78%)
  • 핸드타이드 부케를 만들 때 줄기들을 교차하는 묶음점에서 소재들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은 바로 바인딩(binding)입니다. 바인딩은 소재들을 묶어주는 것으로, 부케를 만들 때 필수적인 기술 중 하나입니다. 바인딩을 통해 소재들이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부케가 무너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괄호에 들어갈 단어는?

  1. 알칼리성
  2. 약알칼리성
  3. 중성
  4. 약산성
(정답률: 66%)
  • 주어진 pH 값이 6.5로 산성에 가깝지만 7보다 작으므로 약산성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산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대칭 디자인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매우 안정된 형태이다.
  2. 견고하고 균형 잡힌 느낌을 준다.
  3. 기하학적인 중심축과 대칭축은 일치하지 않는다.
  4. 좌우 대칭이 되도록 시각적인 무게감이 균등하게 배열한다.
(정답률: 88%)
  • 기하학적인 중심축과 대칭축은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대칭 디자인에서 중심축은 도형의 무게중심을 나타내는 반면, 대칭축은 도형을 대칭시키기 위한 축으로서 두 축이 서로 다른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보광시(補光時)작물의 반응이 가장 민감한 생육시기는?

  1. 발아기
  2. 본엽이 출현하기 시작하는 생육초기
  3. 생육최성기
  4. 결실기
(정답률: 69%)
  • 보광시는 작물이 빛을 받는 시간을 늘려 광합성 활동을 촉진시켜 생육을 촉진시키는 것입니다. 이 때, 작물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기는 본엽이 출현하기 시작하는 생육초기입니다. 이는 작물이 씨앗에서 발아하여 첫 잎새가 나오는 시기로, 이후 생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광시를 이 시기에 적용하면 생육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벽면을 장식하기에 부적합한 형태는?

  1. 리스(wreath)
  2. 갈란드(garland)
  3. 사방화(四方花)
  4. 콜라주(collage)
(정답률: 85%)
  • 사방화는 네모난 형태의 꽃무늬를 말하며, 벽면을 장식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원형이나 선형적인 형태로 벽면을 장식하기에 적합하지만, 사방화는 네모난 형태로 벽면에 부자연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작품을 제작한 후 올바른 관리 방법이 아닌 것은?

  1. 절화보존제를 사용한다.
  2.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한다.
  3. 균형 면에서 안정성을 확인한다.
  4. 더울 때는 에어콘 바람을 직접 쐬어 온도를 낮춰 준다.
(정답률: 94%)
  • 작품을 관리할 때 에어컨 바람을 직접 쐬어 온도를 낮춰 주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작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작품의 안정성을 해치기 때문입니다. 작품을 보존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절화보존제를 사용하며, 주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며, 균형 면에서 안정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교차선의 아름다움을 강조한 디자인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복수 생장점을 갖는다.
  2. 그루핑(grouping)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3. 장식적 구성이 가능하다.
  4. 일초점을 갖는다.
(정답률: 65%)
  • 일초점을 갖는다는 것은 디자인에서 하나의 중심점을 가지고 그것을 중심으로 모든 요소들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교차선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시선을 집중시키고 조화로운 느낌을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리스(wreath)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형을 이루면서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에 맞게 제작한다.
  2. 크기와 두께의 비율이 적절해야 아름답게 제작될 수 있다.
  3. 정적인 장식이며, 둥근 모양에 어울리게 느슨하게 제작해야 한다.
  4. 리스의 몸체는 리스 장식과 조화롭게 어울려야 한다.
(정답률: 89%)
  • "정적인 장식이며, 둥근 모양에 어울리게 느슨하게 제작해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는 리스는 대개 원형을 이루며,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에 맞게 제작되어야 하며, 크기와 두께의 비율이 적절해야 아름답게 제작될 수 있습니다. 또한 리스의 몸체는 리스 장식과 조화롭게 어울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식사초대를 위한 유럽스타일의 테이블장식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아침식사 테이블은 상쾌한 햇살에 어울리는 흰색이나 파란색 또는 악센트로 색상이 조금 있는 것을 살짝 곁들인다.
  2. 점심테이블은 짙고 옅은 색의 배합으로 고상하게 장식하거나 특별한 손님이나 관심이 가는 손님 앞에는 특별한 색을 하나 더하여 정성을 곁들인다.
  3. 가든(garden)테이블은 뜰에 피는 작은 꽃을 모아 꽂아 친숙한 느낌을 주고, 꽃이나 잎을 조금 높게 꽂아 바람에 살랑거리게 하여 시원함을 준다.
  4. 테이블은 초청자가 선호하는 꽃으로 하되 꽃향기가 강하고, 형태가 큰 꽃과 짙은 색 한 종류로 대범하게 연출한다.
(정답률: 90%)
  • "테이블은 초청자가 선호하는 꽃으로 하되 꽃향기가 강하고, 형태가 큰 꽃과 짙은 색 한 종류로 대범하게 연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에틸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에틸렌은 무색, 무취의 기체로서 식물의 노화 호르몬이다.
  2. 에틸렌은 공기 중 불완전 연소의 부산물로서 발생하거나 성숙한 과일, 노화된 꽃에서 발생된다.
  3. 에틸렌에 대한 민감도는 고온에서 감소되기 때문에 보관 시 고온처리가 효과적이다.
  4. 에틸렌은 꽃봉오리와 꽃의 개화를 막고 시들게하며, 꽃잎의 탈리를 일으킨다.
(정답률: 86%)
  • 에틸렌에 대한 민감도는 고온에서 증가되기 때문에 보관 시 저온처리가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꽃다발을 만들 때 같은 종류나 같은 색끼리 대칭적이며, 둥근 공 모양 또는 원추 모양으로 원형이나 나선형의 모양으로 배열해 나가는 것은?

  1. 비더마이어(biedermeier)
  2. 크리센트(crescent)
  3. 암(arm)부케
  4. 케스케이드(cascade)부케
(정답률: 78%)
  • 비더마이어 스타일은 19세기 초 유럽에서 유행한 양식으로, 꽃다발을 만들 때 대칭적이고 균형잡힌 형태로 배열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양식은 단순하고 깔끔한 디자인으로 인기를 끌었으며, 꽃다발을 만드는 기술적인 면에서도 혁신적인 방법을 도입했습니다. 따라서 꽃다발을 만들 때 같은 종류나 같은 색끼리 대칭적으로 배열하는 것이 비더마이어 스타일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절화, 절엽 등을 길게 엮어 만든 인공줄기의 장식물을 뜻하는 용어는?

  1. 고블릿(goblet)
  2. 갈란드(garland)
  3. 고블린(gobelin)
  4. 그리드(grid)
(정답률: 92%)
  • 갈란드는 절화나 절엽 등을 길게 엮어 만든 인공줄기의 장식물을 뜻하는 영어 단어 "garland"에서 유래한 것으로, 다른 보기들은 각각 고블릿은 잔, 고블린은 요정, 그리드는 격자를 뜻하는 단어들이므로 정답은 갈란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플라워 디자인 기법 중에서 작품의 밑 부분에 비슷한 소재를 계단식으로 꽂는 기법은?

  1. 클러스터링(clustering)
  2. 프레밍(framing)
  3. 테라싱(terracing)
  4. 조닝(zoning)
(정답률: 84%)
  • 테라싱(terracing)은 작품의 밑 부분에 비슷한 소재를 계단식으로 꽂는 기법입니다. 이는 작품의 높이를 조절하고, 균형을 맞추며, 시각적인 흐름을 만들어내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방사선 배열의 사방화 꽃꽂이 작품으로 테이블 센터피스(table centerpiece)장식으로 많이 활용되는 화형은?

  1. 초승달형
  2. 수평형
  3. 부채형
  4. 호가스형
(정답률: 72%)
  • 수평형은 방사선 배열의 꽃잎이 수평으로 펼쳐져 있는 형태로, 테이블 위에 놓았을 때 안정적이고 균형잡힌 느낌을 주기 때문에 테이블 센터피스로 많이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한국 전통 꽃꽂이 형태는?

  1. 원추형
  2. 경사형
  3. 폭포형
  4. 더치플래시미형
(정답률: 72%)
  • 한국 전통 꽃꽂이 형태는 경사형입니다. 이는 꽃을 조금씩 높이어 올려가며 꽂는 형태로, 꽃의 높이와 간격을 조절하여 균형감 있게 꽂을 수 있습니다. 또한, 꽃의 색상과 모양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아름다운 꽃꽂이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화훼장식론

41. 철사처리법 중 후킹(hooking method)에 적합하지 않은 꽃은?

  1. 데이지
  2. 국화
  3. 금잔화
  4. 장미
(정답률: 71%)
  • 장미는 가지가 더군다나 가시가 많아 후킹 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색에 의해서 사람의 관심을 끄는 주목성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명시성이 낮은 색은 주목성이 높아지게 된다.
  2. 따뜻한 난색은 차가운 한색보다 주목성이 높다
  3. 명도와 채도가 높은 색은 주목성이 낮다.
  4. 빨강, 노랑 등과 같은 원색 일수록 주목성이 낮다.
(정답률: 78%)
  • 따뜻한 난색은 시각적으로 더 밝고 활기차게 느껴지기 때문에 차가운 한색보다 더 눈에 띄고 주목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빨간색은 주목성이 높은 색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식물이 사람에게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공기를 전화시키는 기능은?

  1. 장식적 기능
  2. 환경적 기능
  3. 건축적 기능
  4. 심리적 기능
(정답률: 96%)
  • 식물이 사람에게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공기를 전화시키는 기능은 환경적 기능입니다. 이는 환경을 개선하고 건강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화훼장식의 정의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식물을 주재료로 하여 장식한다.
  2. 실내 공간만을 대상으로 효율적으로 장식한다.
  3. 꽃과 식물을 이용한 입체조형 활동이다.
  4. 절화장식, 분식물장식, 실내정원 등을 포함한다.
(정답률: 90%)
  • 화훼장식은 주로 실내 공간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실내 공간만을 대상으로 효율적으로 장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정의 요소 중 하나이다. 다른 보기들은 화훼장식의 구체적인 형태나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지, 정의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디자인에서 색채의 영향으로 틀린 것은?

  1. 색채는 시각적 균형을 유지시켜 준다.
  2. 한색과 난색을 같이 사용하여 시각적 깊이감을 강조한다.
  3. 색을 반복하여 사용하면 색의 통일감이나 조화의 기능이 떨어진다.
  4. 색채는 디자인의 원리들을 완성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정답률: 88%)
  • 색을 반복하여 사용하면 색의 통일감이나 조화의 기능이 떨어진다는 것은, 너무 많은 색상을 사용하거나, 같은 색상을 지나치게 반복해서 사용하면 시각적으로 지루하고 단조로워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색상의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선(line)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곡선은 유동적인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
  2. 수평선은 안정돼 보이는 반면 권태로운 단점도 있다.
  3. 사선은 강한 에너지의 운동성을 지닌다.
  4. 수직선은 높이가 강조되며 여성적이며 유연한 느낌을 준다.
(정답률: 88%)
  • 수직선은 세로 방향으로 높이가 강조되기 때문에 여성적이고 유연한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빈민가에 아름다운 화단을 조성하여 생활의 활력을 일으키려는 노력 등이 있다. 이는 화훼장식의 어떤 기능을 이용한 것인가?

  1. 교육적 기능
  2. 장식적 기능
  3. 환경적 기능
  4. 심리적 기능
(정답률: 65%)
  • 빈민가에 아름다운 화단을 조성하여 생활의 활력을 일으키려는 노력은 환경적 기능과 함께 심리적 기능을 이용한 것입니다. 이는 화단이 주는 아름다움과 색채, 향기 등이 주민들의 마음을 안정시키고 기분을 좋게 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오스트발트 색상환의 색상배치에 기본이 된 이론은?

  1. 먼셀의 5원색설
  2. 헤링의 4원색설
  3. 영- 헬름홀츠의 3원색설
  4. 뉴턴의 프리즘설
(정답률: 54%)
  • 오스트발트 색상환의 색상배치에 기본이 된 이론은 "헤링의 4원색설"입니다. 이 이론은 빨강, 노랑, 파랑, 그리고 녹색이라는 4가지 색상이 모든 색상을 형성한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오스트발트는 이 4가지 색상을 중심으로 색상환을 구성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광원에 따라 물체의 색이 달라지는 광원의 특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연색성
  2. 광도
  3. 전광속
  4. 조도
(정답률: 38%)
  • 광원에 따라 물체의 색이 달라지는 광원의 특성을 "연색성"이라고 합니다. 이는 광원의 스펙트럼이 물체에 반사되어 나타나는 색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즉, 광원의 스펙트럼이 다르면 물체의 색상도 다르게 보이게 됩니다. 예를 들어, 태양광과 형광등의 스펙트럼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물체라도 태양 아래에서는 다르게 보이고, 형광등 아래에서는 다르게 보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연색성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건조시키는 도중에 꽃의 크기 변화가 가장 적은 건조법은?

  1. 열풍건조
  2. 동결건조
  3. 매몰건조
  4. 자연건조
(정답률: 81%)
  • 동결건조는 꽃을 얼린 후 진공 상태에서 물을 증발시키는 방법으로, 꽃의 크기 변화가 가장 적습니다. 이는 꽃의 세포 구조를 보호하면서 물기를 제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꽃을 건조시키는 도중에 크기 변화를 최소화하고 싶다면 동결건조가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화훼장식품의 제작시 배색의 유의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색의 이미지와 기호, 계절, 유행을 고려하여 적용한다.
  2. 작품이 놓일 환경과 목적에 부합되어야 한다.
  3. 작품은 인공조명의 영향을 거의 받지는 않으므로 조명의 영향은 배제한다.
  4. 화기와 리본의 색도 전체 작품의 색과 고려하여 선택한다.
(정답률: 93%)
  • 화훼장식품은 대부분 실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인공조명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작품이 인공조명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배색을 선택할 때 조명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서양의 화훼장식 역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르네상스 시대에 코누코피아가 만들어졌다.
  2. 바로크시대의 꽃은 용기 높이 2~3배로 고딕 건축물과 같이 꽂았다.
  3. 1,600년대에 빅토리아 스타일이 만들어졌다.
  4. 다수의 출판 서적, 기술을 지도하는 전문가 및 전문학교는 빅토리아 시대에 등장하였다.
(정답률: 76%)
  • 서양의 화훼장식 역사에서 다수의 출판 서적, 기술을 지도하는 전문가 및 전문학교는 빅토리아 시대에 등장하였습니다. 이는 빅토리아 시대에 화훼장식이 큰 발전을 이루었기 때문입니다. 빅토리아 시대는 19세기 영국의 여왕 빅토리아의 통치 시기로, 이 시기에는 화훼장식이 매우 인기를 끌었고, 이를 위해 다양한 기술과 지식이 발전하였습니다. 따라서 다수의 출판 서적, 기술을 지도하는 전문가 및 전문학교가 등장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디자인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색채 - 반사된 광선들에 대한 눈의 시각적 반응으로 심리적 호소력이 없다.
  2. 선 - 디자인을 구성하기 위한 기본 단위로 작가의 감정을 전달하기 어렵다.
  3. 형태 - 높이와 넓이의 2차원적 모양으로 디자인의 중요한 요소다.
  4. 질감 - 사용되는 꽃 소재나 재료의 느낌으로 심미적인 시작전달효과가 있다.
(정답률: 78%)
  • 질감은 사용되는 꽃 소재나 재료의 느낌으로 심미적인 시작전달효과가 있다. 이는 디자인 요소 중에서도 소재나 재료의 느낌을 통해 감성적인 호소력을 전달할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즉, 디자인에 사용되는 소재나 재료의 질감은 디자인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느낌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훼장식의 속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예술성
  2. 철학성
  3. 실용성
  4. 모방성
(정답률: 75%)
  • 화훼장식의 속성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모방성"입니다. 이는 화훼장식이 자연에서 발견되는 실제 꽃이나 식물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인공물임을 의미합니다. 다른 성질들은 화훼장식이 가지는 다양한 측면을 나타내지만, 모방성은 화훼장식의 본질과는 거리가 먼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통일성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근접성
  2. 반복성
  3. 연계성
  4. 대비
(정답률: 79%)
  • 대비는 통일성을 나타내는 방법이 아닙니다. 대비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요소를 비교하여 강조하거나 대조시키는 것으로, 통일성을 나타내는 방법이 아니라 차이나 대조를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대비는 통일성을 나타내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비례는 폭, 길이, 높이 등의 치수와 비교되는 분량의 측정관계이다. 가장 기본적인 비율로 3:5:8:13:··의 연속적인 분할 비율을 나타내는 것은?

  1. 황금비율
  2. 정상비율
  3. 과소비율
  4. 과대비율
(정답률: 86%)
  • 정답은 "황금비율"입니다.

    황금비율은 1:1.618로, 대상을 미적으로 아름답게 만드는 비율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비율은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예술, 건축, 자연 현상 등에서 발견되어 왔습니다. 예를 들어, 인체의 얼굴 비율이 황금비율에 가까울수록 미적으로 아름답다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황금사다리라는 용어도 있을 정도로 건축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3:5:8:13:··의 연속적인 분할 비율이 황금비율과 일치하기 때문에 정답은 "황금비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리스·로마 시대에 유행했던 화훼장식물이 아닌 것은?

  1. 리스
  2. 갈란드
  3. 화관
  4. 노즈게이
(정답률: 85%)
  • 노즈게이는 꽃이 아닌 향기를 내는 식물로, 그리스·로마 시대에는 화훼장식물로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조선시대 강희안의 대표적인 원예서적은?

  1. 조선왕조실록
  2. 양화소록
  3. 산림경제
  4. 임원심육지
(정답률: 83%)
  • 강희안은 조선시대 원예가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대표적인 원예서적으로는 "양화소록"이 있다. 이 책은 꽃과 나무의 종류, 재배법, 가꾸는 방법 등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어, 조선시대 원예 기술의 발전과 함께 꽃과 나무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 책은 당시의 예술적 가치를 담은 그림과 함께 출판되어, 예술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건조소재의 보존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1. 다습한 곳에서 보관한다.
  2. 직사광선이 비춰지는 곳에서 보관한다.
  3. 매몰건조에 의해 건조된 소재는 압력에 의한 손상에 유의해야 한다.
  4. 매몰건조에 의해 건조된 소재는 저장 중 습기를 제거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78%)
  • 매몰건조는 소재를 완전히 건조시키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소재 내부에 남아있는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매몰건조에 의해 건조된 소재는 저장 중에도 습기가 재생산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소재 내부에서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은 소재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매몰건조에 의해 건조된 소재는 압력에 대한 유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병치혼합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회전혼합과 같은 평균혼합이므로 명도와 채도가 평균값으로 지각된다.
  2. 병치혼합의 원리를 이용한 효과를 베졸드(Willheln von Bzold)효과라고 한다.
  3. 색료 자체의 혼합이 아니기 때문에 가법혼색에 속한다.
  4. 채도가 떨어진 상태에서 중간색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45%)
  • 채도가 떨어진 상태에서 중간색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병치혼합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정답이 아닙니다.

    채도가 떨어진 상태에서 중간색을 얻을 수 있는 이유는, 병치혼합이 회전혼합과 같은 평균혼합이기 때문입니다. 회전혼합은 두 색상을 균등하게 섞어서 중간색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병치혼합도 두 색상을 균등하게 섞어서 중간색을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