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2-13)

화훼장식기능사
(2011-02-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훼장식재료

1. 화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상가치가 있는 모든 초본과 목본 식물을 포함한다.
  2. 노동과 자본 집약적이고 토지생산성이 높다.
  3. 종류와 품종이 다양하며 한 품종의 인기가 길다.
  4. 국내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일인당 꽃 소비액은 일본과 유럽보다 낮다.
(정답률: 73%)
  • "종류와 품종이 다양하며 한 품종의 인기가 길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화훼는 관상용으로 쓰이는 모든 식물을 포함하며, 종류와 품종이 다양하고 인기도 높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모두 맞는 설명입니다.

    단, 마지막 보기에서는 국내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일인당 꽃 소비액이 일본과 유럽보다 낮다는 것이 언급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덩굴성이 아닌 식물은?

  1. 클레마티스
  2. 후박나무
  3. 인동덩굴
  4. 능소화
(정답률: 56%)
  • 후박나무는 덩굴성이 아닌 나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숙근초로 내한성이 있는 것은?

  1. 거베라
  2. 군자란
  3. 아퀼레기아
  4. 아프리칸 바이올렛
(정답률: 34%)
  • 숙근초는 일반적으로 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식물로, 내한성이 낮은 편입니다. 그러나 아퀼레기아는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자라는 종으로, 내한성이 높아서 한국의 겨울철에도 잘 자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숙근초 중에서도 아퀼레기아는 내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분화장식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천남성과 식물이나 접란 등의 관엽식물의 뿌리를 토양 대신에 물속에 넣어 키우는 것을 수경재배(Water culture)라 한다.
  2. 유리용기에 수생식물을 심고 한쪽으로 물고기를 넣어서 키우는 것을 비바리움(Vivarium)이라 한다.
  3. 접시처럼 넓고 깊이가 div은 용기에 식물을 심어 작은 정원을 만드는 것을 디시가든(Dish garden)이라고 한다.
  4. 바구니나 플라스틱분 등의 용기에 덩굴식물을 심어 아래로 늘어뜨리는 것을 걸이분(Hanging basket)이라고 한다.
(정답률: 91%)
  • "유리용기에 수생식물을 심고 한쪽으로 물고기를 넣어서 키우는 것을 비바리움(Vivarium)이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비바리움은 물고기뿐만 아니라 파충류, 양서류, 곤충 등 다양한 동물들을 함께 기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한쪽으로 물고기를 넣는 것"이 비바리움의 정의에는 부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알뿌리 화초 중 덩이뿌리(괴근)로 번식하는 종류는?

  1. 칸나
  2. 튤립
  3. 수선화
  4. 달리아
(정답률: 69%)
  • 달리아는 덩이뿌리(괴근)로 번식하는 알뿌리 화초 종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화훼의 원예학적 분류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1,2년생 초화 - 거베라, 카네이션, 원추리
  2. 다년생 숙근초화 - 석죽, 라넌큘러스, 접시꽃
  3. 화목류 - 쟈스민, 익소라, 부겐빌레아
  4. 관엽식물 - 헤마리아, 카틀레야, 온시디움
(정답률: 33%)
  • 화목류는 나무나 관목 등의 다년생 식물들을 포함하며, 쟈스민, 익소라, 부겐빌레아는 모두 나무나 관목으로서 화목류에 속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화목류 - 쟈스민, 익소라, 부겐빌레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초화나 숙근초화, 관엽식물 등 다른 분류에 속하는 식물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화훼장식용 철사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소재에 맞는 철사 규격을 선정한다.
  2. 철사가 굵을수록 철사의 표준수치 수치는 커진다.
  3. 철사 지름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가지고 있다.
  4. 철사 규격은 꽃의 무게와 용도에 따라 선정한다.
(정답률: 98%)
  • 정답은 "철사가 굵을수록 철사의 표준수치 수치는 커진다."이다. 이유는 철사의 표준수치는 철사의 지름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름이 커질수록 표준수치도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연소재로 연중 구입이 가능하고, 염색이나 박피 등의 가공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장식할 때 물이 필요 없는 소재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절화
  2. 절지
  3. 절엽
  4. 건조소재
(정답률: 90%)
  • 건조소재는 자연소재로 연중 구입이 가능하고, 염색이나 박피 등의 가공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장식할 때 물이 필요 없는 소재로 가장 적당합니다. 이는 건조과정을 거쳐 물분이 증발하여 내구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조소재가 가장 적합한 소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지생란(地生蘭)이 아닌 것은?

  1. 건란
  2. 풍란
  3. 보세란
  4. 심비디움
(정답률: 54%)
  • 풍란은 지생란과는 다른 종류의 난초과이며, 주로 중국에서 자생하는 종류입니다. 따라서 지생란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실내에서 분식물로 널리 사용되는 Ficus benjamina L.의 일반명은?

  1. 호야
  2. 싱고니움
  3. 벤자민 고무나무
  4. 디펜바키아
(정답률: 89%)
  • Ficus benjamina L.은 일반적으로 벤자민 고무나무라고 불리는데, 이는 그것이 Ficus속에 속하고, 잎이 매우 유연하며 고무처럼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식물은 실내에서 많이 사용되며, 그 중에서도 분식물로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벤자민 고무나무라는 이름이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화훼장식용 도구의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플로랄 테이프란 식물에 철사를 연결하여 줄기를 지지하였을 경우, 접착성으로 줄기와 철사의 접합을 돕는다.
  2. 라피아는 꽃다발을 단단하게 묶는데 사용한다.
  3. 워터픽은 플라스틱 제품으로서 그 속에 물을 넣어 식물을 꽂아 묶음 작업에 많이 사용한다.
  4. 전지가위는 리본, 직물, 종이의 절단에 사용한다.
(정답률: 94%)
  • "전지가위는 리본, 직물, 종이의 절단에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다. 전지가위는 전지를 절단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플로랄 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오아시스(Oasis)는 플로랄 폼의 상품명이다.
  2. 생화용 플로랄 폼은 물을 충분히 흡수하도록 해야 하며 줄기를 꽂을 때는 플로랄 폼에 한 번에 꽂도록 한다.
  3. 생화용 플로랄 폼을 우레탄, 스티로폼으로 만들어진다.
  4. 생화용 플로랄 폼은 물이 빨리 흡수되도록 상제로 밀어 포화시켜서는 안 된다.
(정답률: 81%)
  • "생화용 플로랄 폼을 우레탄, 스티로폼으로 만들어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생화용 플로랄 폼은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집니다. 폴리우레탄은 우레탄과는 다른 화학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관엽식물류가 아닌 것은?

  1. 아네모네
  2. 행운목
  3. 디펜바키아
  4. 팔손이
(정답률: 71%)
  • 아네모네는 꽃식물이며, 나머지 보기는 모두 관엽식물류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1년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종자로부터 발아하여 1년 이내에 개화 및 결실하여 일생을 마치는 화훼를 말한다.
  2. 춘파 1년초와 추파 1년초로 나눈다.
  3. 봄에 파종하여 가을이나 그 이전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는 종류를 추파 1년초라고 한다.
  4. 추파 1년초는 팬지, 시네라리아, 칼세올라리아가 있다.
(정답률: 83%)
  • "종자로부터 발아하여 1년 이내에 개화 및 결실하여 일생을 마치는 화훼를 말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1년초는 종자로부터 발아하여 1년 이내에 개화 및 결실하여 일생을 마치는 화훼를 말하지만, 이 설명은 "일생을 마치는"이라는 부분이 틀립니다. 1년초는 일반적으로 한 해 동안만 생존하며, 다음해에는 새로운 종자로부터 발아하여 자라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열매를 감상할 수 있는 내음성 식물은?

  1. 철쭉
  2. 백량금
  3. 모란
  4. 군자란
(정답률: 73%)
  • 백량금은 열매가 없고, 대신 꽃이 피어날 때 강한 향기를 뿜어내기 때문에 "내음성 식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절화의 기부를 물속에서 자르는 가장 큰 이유는?

  1. 도관 내 기포발생 방지
  2. 절단면의 세균번식 방지
  3. 절단면의 상처를 최소화
  4. 도관의 면적 증대
(정답률: 88%)
  • 절화를 물속에서 자를 때는 도관 내 기포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자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관 내부에서 기포가 발생하면 수송 효율이 떨어지고, 도관이 막히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절화를 자를 때는 도관 내부에서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자르는 것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평행 디자인의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직, 수평, 사선의 평행 테크닉이 표현된다.
  2. 평행 그래픽 디자인(Parallel graphic design)에서는 소재의 가치와 효과를 반드시 고려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3. 평행 장식적 디자인(Parallel decorative design)은 풍성하고 화려하며 닫혀진 윤곽을 표현한다.
  4. 평행 시스템 디자인(Parallel system design)은 평행 그룹으로 음화적 공간을 갖지 않는 매스 구성이다.
(정답률: 31%)
  • "평행 그래픽 디자인(Parallel graphic design)에서는 소재의 가치와 효과를 반드시 고려하지 않아도 가능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평행 그래픽 디자인에서도 소재의 가치와 효과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식물의 대사·호흡에 이용되는 당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노화를 지연시킨다.
  2. 기공을 폐쇄하여 수분손실을 적게 한다.
  3. 삼투압을 높여서 영양분을 공급한다.
  4. 에틸렌을 합성한다.
(정답률: 86%)
  • 식물의 대사·호흡에 이용되는 당의 역할에 대한 설명 중 "에틸렌을 합성한다."는 다른 것들과는 거리가 먼 설명입니다. 이유는 에틸렌은 당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식물 호르몬으로, 성장, 개화, 과실의 성숙 등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종자의 발아에 필수적인 환경조건은 아니지만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발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충분한 산소
  2. 충분한 광선
  3. 충분한 수분공급
  4. 알맞은 온도
(정답률: 58%)
  • 충분한 광선은 광합성을 통해 식물이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광선은 식물의 생장과 발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충분한 광선이 없으면 식물은 약해지고 성장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분한 광선은 식물의 발아와 생장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신부장식에서 신부가 부케를 들 때의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케의 손잡이는 몸 선과 나란히 포컬 포인트(focal point)를 다소 위로 향하게 하면 아름답다.
  2. 부케는 양손으로 힘 있게 잡고 꽃의 표정은 아래를 보도록 한다.
  3. 자연줄기로 만든 부케나 소품으로 만든 부케는 편안한 모습으로 자연스럽게 드는 것이 매력적이다.
  4.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부케는 한 손으로 꽃을 안은 듯 들고 나머지 손은 꽃다발 줄기를 잡은 듯 가볍게 든다.
(정답률: 93%)
  • 부케를 양손으로 힘 있게 잡고 꽃의 표정은 아래를 보도록 하는 것은 신부가 부케를 안정적으로 들고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부케를 아래를 보도록 하면 얼굴이 가려지지 않아 사진 촬영 시 더욱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훼장식 제작 및 유지관리

21. 에틸렌(ethylen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무색·무취의 액체상 호르몬이다.
  2. 국화보다 카네이션이 에틸렌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3. 식물의 노화억제 호르몬이다.
  4. 에틸렌에 대한 민감도는 고온에서 감소된다.
(정답률: 72%)
  • 에틸렌은 식물에서 발생하는 가스 상태의 호르몬으로, 식물의 성장, 개화, 노화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국화와 카네이션은 꽃이 노는 과정에서 에틸렌을 방출하는데, 이 때 카네이션이 국화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카네이션이 에틸렌 수용체가 더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카네이션은 국화보다 더 빨리 시들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절화보존제의 주성분이 아닌 것은?

  1. 살균제
  2. 살충제
  3. 당류
  4. 생장조절제
(정답률: 80%)
  • 절화보존제는 꽃이나 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주성분은 살균제, 당류, 생장조절제입니다. 살충제는 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농약으로, 꽃이나 식물의 신선도 유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절화보존제의 주성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100ppm의 1BA용액 250ml를 조제하기 위해서 순도 100%인 1BAQ를 넣는 양으로 옳은 것은? (단, 비중은 1이다.)

  1. 100ml
  2. 75ml
  3. 50ml
  4. 25ml
(정답률: 76%)
  • 100ppm의 1BA용액은 1L(1000ml)의 용액에 0.1g의 1BA가 포함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250ml의 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0.025g의 1BA가 필요합니다.

    순도가 100%인 1BAQ를 사용한다는 것은 1ml의 1BAQ에 1mg의 1BA가 포함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0.025g(=25mg)의 1BA를 넣기 위해서는 25ml의 1BAQ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m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장식적인 목적으로 강조를 하거나 주의를 끌 필요가 있을 때 꽃 재료를 묶는 꽃꽂이의 기법은?

  1. 밴딩(banding)
  2. 바인딩(bainding)
  3. 번들링(bundling)
  4. 레이어링(layering)
(정답률: 82%)
  • 밴딩은 꽃을 묶을 때 꽃잎이나 줄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하여 묶는 기법으로, 꽃을 더욱 강조하고 시선을 끌기 위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기법을 나타내는데, 밴딩과 가장 유사한 바인딩은 꽃을 묶을 때 줄기를 감아서 묶는 기법입니다. 번들링은 여러 개의 꽃을 묶어서 한 묶음으로 만드는 기법이며, 레이어링은 꽃을 겹쳐서 묶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작은 보석을 빽빽하게 배치하는데서 유래하여, 편평한 용기에 꽃, 잎, 줄기 등을 플로랄 폼이 보이지 않도록 조밀하게 배치하여 색과 질감을 대비시켜 구성하는 방법은?

  1. 뉴컨벤션 디자인
  2. 파베 디자인
  3. 폭포형 디자인
  4. 비더마이어 디자인
(정답률: 92%)
  • 파베 디자인은 작은 보석을 빽빽하게 배치하는 것에서 유래하며, 꽃, 잎, 줄기 등을 조밀하게 배치하여 색과 질감을 대비시켜 구성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디자인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토양의 종류와 그의 특성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모래 - 배구성과 통기성이 좋고 보비력이 우수하다.
  2. 피트모스 - 물이끼를 건조시킨 것으로 난류의 재배에 이용된다.
  3. 배양토 - 나뭇잎을 완전히 썩힌 것으로 보수력과 보비력이 높다.
  4. 바크 - 나무껍질을 이용하여 발효, 살균처리 한 것으로 양난의 식재에 이용된다.
(정답률: 63%)
  • 바크는 나무껍질을 이용하여 발효, 살균처리 한 것으로 양난의 식재에 이용된다. 이는 바크가 발효와 살균처리를 거쳐 양난의 식재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서양의 디자인 양식 중 작품 안에 음화적 공간을 요구하며 명확한 선(Lines)이 강조되어 동양 꽃꽂이와 가장 유사한 디자인 양식은?

  1. 플레미시(flemish)
  2. 워터폴(waterfall)
  3. 포멀리니어(formal linear)
  4. 비더마이어(biedermeier)
(정답률: 73%)
  • 포멀리니어 디자인 양식은 음화적 공간을 요구하며, 명확한 선이 강조되어 동양 꽃꽂이와 유사합니다. 이 양식은 대칭적이고 조화롭게 배치된 꽃과 잎사귀, 그리고 직선적인 가지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포멀리니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작품에 입체적인 깊이를 주기 위해 먼저 꽂은 소재의 근처에 똑같은 소재를 하나 더 꽂아 작품에 통일감과 입체감을 주는 기법은?

  1. 쉐도잉(Shadwing)
  2. 베일링(Veiling)
  3. 번칭(Bunching)
  4. 번들링(Bundling)
(정답률: 77%)
  • 쉐도잉은 입체적인 깊이를 표현하기 위해 먼저 꽂은 소재의 근처에 똑같은 소재를 하나 더 꽂아 작품에 통일감과 입체감을 주는 기법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작품에 입체감을 주는 기법이지만, 쉐도잉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품을 표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원예용 특수 토양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피트모스
  2. 펄라이트
  3. 버미큘라이트
  4. 찰흙
(정답률: 96%)
  • 원예용 특수 토양 중에서 찰흙은 다른 성분들과는 달리 거리가 먼 것입니다. 찰흙은 고도의 점성과 끈적임을 가지고 있어서 토양 내부의 공기와 물의 이동을 방해하고, 뿌리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찰흙은 다른 토양 성분들과 함께 사용하기보다는 적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절화장식의 기본 기술인 절화줄기의 고정에 사용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용기 안에 철망을 말아 넣어 철망의 구멍사이로 꽃과 나뭇가지를 고정하는 방법
  2. 소형 개별 워터튜브나 유리시험관을 이용하여 필요한 곳에 고정하는 방법
  3. 절화 줄기에 방수테이프를 붙여서 용기에 고정하는 방법
  4. 용기 내에 돌, 구슬, 자갈 등을 넣어 줄기를 그 사이에 넣어 고정하는 방법
(정답률: 67%)
  • 절화 줄기에 방수테이프를 붙여서 용기에 고정하는 방법은 절화줄기를 고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용기에 고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꽃꽂이 형태 중 줄기 배열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교차선 배열
  2. 수직선 배열
  3. 감는선 배열
  4. 병행선 배열
(정답률: 36%)
  • 수직선 배열은 꽃을 줄기를 기준으로 위아래로 나누어 배열하는 것이 아니라, 한 줄에 꽃을 일렬로 배열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줄기 배열에 의한 분류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직선 배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과 같은 고려사항이 요구되는 유러피언 스타일(european style)의 디자인은?

  1. 식생형(Vegetative)
  2. 장식형(Decorative)
  3. 형 - 선형적 구성(Formal - linear)
  4. 병행형(Parallel)
(정답률: 85%)
  • 유러피언 스타일의 디자인은 대체로 자연을 모티브로 하며, 식물이나 동물 등의 생명체를 장식 요소로 활용합니다. 따라서 "식생형(Vegetative)"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식물소재를 철사 등에 엮어서 길게 늘어뜨린 장식물로 기둥의 둘레를 감거나 문을 장식하는 데에 이용되는 화훼장식물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오브제적 구성
  2. 부토니아
  3. 갈랜드
  4. 콜라주
(정답률: 87%)
  • 갈랜드는 식물소재를 철사 등에 엮어서 길게 늘어뜨린 장식물로, 기둥의 둘레를 감거나 문을 장식하는 데에 이용되는 화훼장식물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갈랜드와는 관련이 없는 단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설명하는 관수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파이프 관수
  2. 저면 관수
  3. 스크링쿨러 관수
  4. 점적 관수
(정답률: 88%)
  • 이 그림에서는 물이 지면 아래로 흐르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면 아래로 물을 공급하는 "저면 관수"가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파이프 관수는 물을 지면 위에서부터 공급하는 방법이고, 스크링쿨러 관수는 물을 분사하여 공급하는 방법입니다. 점적 관수는 지정된 지점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통 유럽식 꽃꽂이 디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더마이어 디자인(Biedermeier design)
  2. 밀 드 플레 디자인(Mille de fleurs design)
  3. 폭포형 디자인(Waterfall design)
  4. 풍경식 디자인(Landscape design)
(정답률: 78%)
  • 풍경식 디자인은 다른 세 가지 디자인과 달리 꽃을 자연스러운 풍경 속에 배치하여 자연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디자인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다른 디자인들은 꽃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꽃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와이어에 플로랄 테이프를 감고 다시 그 위에 리본을 감은 후 와이어의 양 끝을 꼬아 숫자나 이니셜 모양을 만들어 활용할 수 있는 리본 작업은?

  1. 컬리큐스(Curlicues)
  2. 레인보우 워크(Rainbow work)
  3. 롤드 리본(Rolled ribbon)
  4. 스파클 보(Sparkle bow)
(정답률: 45%)
  • 컬리큐스는 와이어를 꼬아 숫자나 이니셜 모양을 만들어 활용하는 리본 작업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절화 수명단축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높은 온도
  2. 높은 습도
  3. 에틸렌 발생
  4. 박테리아 등 미생물 번식
(정답률: 68%)
  • 절화는 높은 습도에 노출되면 잎이 부패하고 뿌리가 썩어서 수명이 단축됩니다. 높은 습도는 뿌리 주변의 공기 중 수분이 많아져서 뿌리가 물에 잠기게 되고, 이로 인해 부패와 썩음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높은 습도는 절화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의 상황에서 분식물에 시비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엽면시비(葉面施肥)
  2. 저면시비(低面施肥)
  3. 탄산시비(炭酸施肥)
  4. 표면시비(表面施肥)
(정답률: 81%)
  • 위의 사진에서는 식물의 잎이 노랗게 변하고 있으며, 이는 영양분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엽면시비가 가장 적합합니다. 엽면시비는 잎의 표면에 비료를 분무하여 영양분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뿌리로부터 영양분을 흡수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에 유용합니다. 따라서 잎이 노랗게 변하는 경우에는 엽면시비를 통해 식물에게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백합처럼 봉오리에서 만개한 꽃까지 점차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화훼장식 작품에 도입하였다. 어떤 제작기법을 이용한 것인가?

  1. 시퀀싱(Sequencing)
  2. 테라싱(Terracing)
  3. 클러스터링(Clustering)
  4. 바인딩(Binding)
(정답률: 76%)
  • 시퀀싱은 일련의 단계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기법으로, 이 작품에서는 백합의 봉오리에서부터 만개한 꽃까지의 변화를 단계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시퀀싱 기법을 이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후크(Hook) 기법을 사용하는 소재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국화
  2. 스프레이 카네이션
  3. 나리
  4. 장미
(정답률: 69%)
  • 국화는 후크 기법을 사용하기 적합한 소재입니다. 국화는 꽃잎이 매우 얇고 부드러워서 후크로 잡아당기기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국화는 꽃잎이 많아서 후크를 많이 사용해도 꽃잎이 손상되지 않아서 소재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화훼장식론

41. 분식물 장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식물 장식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치될 공간의 환경조건을 고려하여 식물을 선택해야 한다.
  2. 분식물 장식 시 1년초, 숙근초 등의 초화류는 햇빛을 충분히 보아야 꽃이 오래 가므로 적절한 장소에 배치한다.
  3. 관엽식물을 이요한 분식물 장식은 여름에 직사광선 등 햇빛이 잘 비치는 베란다에 배치한다.
  4. 분식물 장식에도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식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형물, 나뭇가지, 돌, 섬유 등을 이용한다.
(정답률: 82%)
  • 정답은 "관엽식물을 이요한 분식물 장식은 여름에 직사광선 등 햇빛이 잘 비치는 베란다에 배치한다."입니다. 이유는 관엽식물은 그늘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직사광선이 잘 비치는 곳에 배치하면 잎이 타서 망가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관엽식물을 이용한 분식물 장식은 그늘에서 잘 자라는 식물과 함께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수덕사 대웅전의 벽화 가운데 야생화도(野生花圖)에 그려진 좌우대칭 형태는 어느 시대의 불전헌공화인가?

  1. 삼국시대
  2. 고구려시대
  3. 신라시대
  4. 고려시대
(정답률: 65%)
  • 수덕사는 고려시대에 건립되었으며, 대웅전 벽화는 고려시대 중기인 12세기에 그려졌습니다. 따라서 야생화도의 좌우대칭 형태는 고려시대의 불전헌공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공기 중 습도와 기온의 조절, 공기정화 능력을 하는 화훼장식의 기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치료효과
  2. 정서함양
  3. 환경조절
  4. 공간장식
(정답률: 92%)
  • 화훼장식은 식물의 증산작용을 통해 공기 중 습도와 기온을 조절하고, 뿌리를 통해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 공기질을 개선하는 환경조절 능력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작품에 깊이를 주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같은 질감으로만 배치한다.
  2. 줄기를 모두 같은 각도로 꽂는다.
  3. 큰 꽃은 아래에 꽂고 작은 꽃은 위에 꽂는다.
  4. 꽃을 배열할 때 다른 꽃잎과 겹치지 않게 나란히 꽂는다.
(정답률: 87%)
  • 작품에 깊이를 주는 방법은 "큰 꽃은 아래에 꽂고 작은 꽃은 위에 꽂는다." 입니다. 이는 꽃들을 배치할 때 크기에 따라 깊이를 조절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입니다. 큰 꽃을 아래에 꽂으면 작은 꽃보다 더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이고, 작은 꽃을 위에 꽂으면 큰 꽃보다 더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렇게 깊이를 조절하면 작품이 더욱 입체적이고 생동감 있게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디자인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훼장식에서는 물리적 균형과 시각적 균형 사이에 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2. 작품의 상관요소들을 선택, 정리하여 하나의 완성체로 단일화 하는 것이 통일이다.
  3. 주가 되는 것을 강하게 표현함으로써 단조로움을 벗어나게 하는 것이 강조이다.
  4. 균형은 단위 형태가 주기성과 규칙성을 가지고 흐르거나 움직이는 상태를 말한다.
(정답률: 73%)
  • "균형은 단위 형태가 주기성과 규칙성을 가지고 흐르거나 움직이는 상태를 말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균형은 단순히 물리적인 균형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균형도 포함됩니다. 또한, 균형은 정적인 상태뿐만 아니라 동적인 상태에서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채도에서 파스텔 색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화사하고 안정적이며 흥분이 덜하다.
  2. 무겁고 단단하며 완벽한 느낌을 준다.
  3. 백색, 회색, 흑색 계통이다.
  4. 탁한 색으로 무채색에 이를수록 명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89%)
  • 파스텔 색조는 채도가 낮아 화려하지 않고 부드럽고 차분한 느낌을 줍니다. 이에 따라 화사하고 안정적이며 흥분이 덜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주황색의 나리(lily)를 주소재로 하여 꽃다발을 제작할 때, 꽃을 보다 강하고 뚜렷하게 보이고자 할 때 포장지의 색상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빨강
  2. 노랑
  3. 파랑
  4. 자주
(정답률: 91%)
  • 주황색과 대비되는 색상 중에서 가장 강렬하고 뚜렷한 색상은 파랑이기 때문입니다. 파란색은 주황색과 대비되는 보색이며, 이러한 대비는 눈에 더욱 뚜렷하게 보이도록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주황색의 나리를 강조하고자 할 때는 파란색 포장지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강조를 위한 소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극락조화
  2. 안수리움
  3. 헬리코니아
  4. 소국
(정답률: 82%)
  • "소국"은 다른 세 소재인 "극락조화", "안수리움", "헬리코니아"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덜 유명하고, 더욱 먼 거리에 위치한 소재이기 때문에 강조를 위한 소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이 설명하는 화훼장식 디자인 요소는?

  1. 선(line)
  2. 형태(form)
  3. 공간(space)
  4. 색(color)
(정답률: 59%)
  • 위 그림은 화훼장식 디자인에서 형태(form) 요소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형태는 물체의 외형, 크기, 비례, 구조 등을 의미하며, 이 그림에서는 꽃과 잎의 형태가 다양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화훼장식의 디자인적인 효과를 높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르네상스시대의 특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많은 종류의 꽃들이 장식되었으며, 줄기가 보이지 않도록 빽빽하게 구성하였다.
  2. 매우 화려하고 충성한 이미지를 준다.
  3. 발랄함과 우아함, 아름다움을 추구하였으며, 신전을 장식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었다.
  4. 대칭삼각형, 원형, 원추형, 갈랜드, 패스툰과 같이 정형화된 형태가 주류를 이루었다.
(정답률: 46%)
  • "많은 종류의 꽃들이 장식되었으며, 줄기가 보이지 않도록 빽빽하게 구성하였다."는 르네상스시대의 특징 중 하나로 맞는 설명이다. 그러나 "매우 화려하고 충성한 이미지를 준다."는 르네상스시대의 특징은 아니며, "대칭삼각형, 원형, 원추형, 갈랜드, 패스툰과 같이 정형화된 형태가 주류를 이루었다."는 르네상스시대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발랄함과 우아함, 아름다움을 추구하였으며, 신전을 장식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었다."는 르네상스시대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건조소재의 보존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건조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한다.
  2. 가능하면 피막처리하여 보관한다.
  3. 햇빛이 잘 닿는 곳에 걸어 놓아둔다.
  4. 아크릴 상자 속에 건조제와 함께 보관한다.
(정답률: 90%)
  • 햇빛이 잘 닿는 곳에 걸어 놓는 것은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고 습기가 들어가기 쉬워서 적합하지 않습니다.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건조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하거나 가능하면 피막처리하여 보관하거나 아크릴 상자 속에 건조제와 함께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설명하는 화훼장식의 주요 기능은?

  1. 장식적 기능
  2. 심리적 기능
  3. 환경적 기능
  4. 교육적 기능
(정답률: 76%)
  • 화훼장식은 주로 장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며, 공간을 더욱 아름답고 화사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요 기능은 "장식적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리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리듬은 형태의 동일한 크기가 점진적으로 변화할 때만 나타난다.
  2. 리듬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의 반복 속에서 시작된다.
  3. 어떤 단위 형태가 계속 교차, 반복됨으로써 규칙적인 결과를 낳는 것을 말한다.
  4. 리듬은 눈의 흐름을 만드는 동세(動勢)와 관련이 있다.
(정답률: 75%)
  • "리듬은 형태의 동일한 크기가 점진적으로 변화할 때만 나타난다."라는 설명이 틀린 이유는, 리듬은 형태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강한 비트와 약한 비트가 번갈아 나타나는 경우나, 강도나 길이가 서로 다른 음표들이 반복되는 경우에도 리듬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리듬은 형태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도 나타날 수 있다."라는 내용이 추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바로크시대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꽃꽂이는 직선보다 곡선이 많이 이용되었다.
  2. 윌리암 호가스에 의해 S선의 형태가 만들어졌다.
  3. 비대칭의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4. 원추형 디자인이 등장하였다.
(정답률: 64%)
  • 원추형 디자인은 바로크시대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유는 바로크시대는 곡선과 비대칭의 형태가 많이 이용되었지만, 원추형 디자인은 보다 이전 시기인 르네상스 시대에 등장하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화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식용가치가 중요하다.
  2. 환경의 장식에 이용된다.
  3. 종류와 품종수가 많다.
  4. 고도의 생산기술을 요한다.
(정답률: 95%)
  • 정답: "식용가치가 중요하다."

    화훼는 대부분 식용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주로 환경의 장식이나 감상용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식용가치보다는 꽃의 아름다움과 장식적 가치가 더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질감(Textur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조화와 생화의 질감은 다르다.
  2. 질감에서 느껴지는 감정은 모든 사람이 동일하다.
  3. 일반적으로 거친 질감은 남성적이고 고운 질감은 여성적이다.
  4. 질감은 물체의 표면이 촉각적으로나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질감이다.
(정답률: 97%)
  • "질감에서 느껴지는 감정은 모든 사람이 동일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각각의 개인은 자신의 경험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질감에서 느껴지는 감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거친 질감을 남성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다른 사람은 거친 질감을 불안정하고 불안정한 감정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질감에서 느껴지는 감정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그림의 화형에서 ①소재와 ②소재의 길이 비율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①소재의 길이는 90㎝이다.)

  1. 90㎝ : 30㎝
  2. 90㎝ : 60㎝
  3. 90㎝ : 90㎝
  4. 90㎝ : 120㎝
(정답률: 89%)
  • 화형에서 ①소재와 ②소재의 길이 비율은 화형의 대각선과 각 소재의 교차점에서의 길이 비율과 같다. 따라서, 대각선의 길이가 120㎝이고 ①소재와 ②소재가 교차하는 점에서의 비율이 90㎝ : 60㎝이므로, 정답은 "90㎝ : 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먼셀 표색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4가지 색을 기본색으로 사용하였다.
  2. 색상, 명도, 채도의 기호는 각각 H, C, V이다.
  3. 색상, 명도, 채도를 표기하는 순서는 HC/V이다.
  4. 채도단계에서 회색을 시작점으로 놓고 0이라고 표기한다.
(정답률: 41%)
  • 먼셀 표색계에서 채도는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는데, 이때 0은 회색에 가까운 무채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채도의 시작점을 회색으로 놓고 0으로 표기하는 것은 색의 선명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빨간색은 활력이 넘치는 색으로 따뜻하고 강한 느낌을 준다.
  2. 흰색은 색상환의 제일 앞에 위치하며, 화훼디자인에 있어서 일반적인 색이라 할 수 있다.
  3. 분홍색은 빨강에 흰색을 혼합한 색으로 낭만적이고 여성스러운 느낌을 준다.
  4. 색상환에서 빨강(R)과 청록(BG)은 보색관계에 있다.
(정답률: 76%)
  • 정답은 "흰색은 색상환의 제일 앞에 위치하며, 화훼디자인에 있어서 일반적인 색이라 할 수 있다."입니다. 이유는 흰색은 색상환에서 가장 앞쪽에 위치하며, 다른 모든 색상을 혼합할 수 있는 기본적인 색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화훼디자인에서는 흰색이 깨끗하고 신선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건조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건조에 적합한 장소는 공기의 유입과 순환이 자유로운 곳이 좋다.
  2. 자연건조법은 건조방법 중에서 가장 특별한 기술과 재료를 요구하는 방법이다.
  3. 건조소재는 가벼운 중량감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4. 식물의 장식을 위한 건조에는 관상가치가 높은 꽃과 잎, 줄기, 열매에 이르는 모든 부위가 가능하다.
(정답률: 89%)
  • "자연건조법은 건조방법 중에서 가장 특별한 기술과 재료를 요구하는 방법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자연건조법은 일반적으로 가장 간단하고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특별한 기술이나 재료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건조에 적합한 장소는 공기의 유입과 순환이 자유로운 곳이 좋으며, 건조소재는 가벼운 중량감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물의 장식을 위한 건조에는 관상가치가 높은 꽃과 잎, 줄기, 열매에 이르는 모든 부위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