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7-22)

화훼장식기능사
(2012-07-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훼장식재료

1. 리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재의 줄기가 모이는 부분에 달아주는 것이 무난하다.
  2. 작품의 크기에 비례하여 리본의 폭이 적절하여야 한다.
  3. 리본 색의 선정은 전체 작품의 색과 전혀 관계가 없다.
  4. 사용한 리본의 부피만큼 꽃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91%)
  • 리본은 꽃을 장식하는 재료로 사용되며, 꽃의 색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선택되는 경우가 많지만, 전체 작품의 색과는 관계가 없다는 것은 장식의 대상이 꽃이 아니라 리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꽃의 색과는 조화를 이루어야 하지만, 전체 작품의 색과는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서양식 꽃꽂이에서 형태 잎(form foliage)으로 장식하기에 가장 적합한 소재는?

  1. 엽란
  2. 필로덴드론
  3. 극락조화 잎
  4. 산세베리아
(정답률: 37%)
  • 필로덴드론은 큰 잎과 긴 줄기로 구성되어 있어서 꽃꽂이에서 형태 잎으로 장식하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잎의 색상과 질감이 다양하여 다양한 스타일의 꽃꽂이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엽란은 잎이 작고 단순하여 꽃꽂이에서 형태 잎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극락조화 잎은 잎이 얇고 부드러워서 꽃꽂이에서 사용하기에는 취약합니다. 산세베리아는 잎이 작고 둥글기 때문에 꽃꽂이에서 형태 잎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화훼장식에 사용한 테이프의 용도로 틀린 것은?

  1. 플로랄 테이프 - 철사를 감싸거나 소재를 묶기
  2. 플로랄 테이프 - 코사지, 부토니아 만들 때 사용
  3. 방수 테이프 - 용기에 플로랄 폼을 고정
  4. 양면 테이프 - 줄기 고정용 격자를 만들 때 사용
(정답률: 71%)
  • 양면 테이프는 두 면에 접착제가 덜어져 있어서 줄기를 격자 모양으로 고정할 때 사용합니다. 다른 테이프들은 철사를 감싸거나 소재를 묶거나 용기에 폼을 고정하는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관엽식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대부분 열대 및 아열대 원산의 사철 푸른 식물이다.
  2. 그늘에 약하며 높은 습도를 싫어한다.
  3. 잎의 모양이나 색을 감사하는 식물이 다.
  4. 페페로미아(peperomia), 칼라데아(calathea), 몬스테라(monster) 등이 이에 속한다.
(정답률: 80%)
  • "그늘에 약하며 높은 습도를 싫어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는 관엽식물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그늘에 약하며 높은 습도를 싫어하는 이유는, 대부분 열대 및 아열대 원산의 식물이기 때문입니다. 이 지역에서는 직사광선이 강하고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그에 적응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실내에서도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것이 좋으며, 물을 주는 빈도도 높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절화 줄기를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재료 중 디자인의 형태를 고려해 표현할 경우 다양한 형태의 조형이 어려워 제약이 가장 많이 따르는 것은?

  1. 철망
  2. 격자
  3. 침봉
  4. 플로랄 폼
(정답률: 68%)
  • 침봉은 길고 가늘고 직선적인 형태로, 다양한 곡선적인 디자인을 표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제약이 가장 많이 따르는 재료입니다. 따라서 절화 디자인에서 침봉을 사용할 경우 디자인의 형태가 단순해지거나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학명표기에 대한 표현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단어의 종류 및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종명 - 속명 - 명명자
  2. 속명 - 종명 - 명명자
  3. 종명 - 명자 - 속명
  4. 명명자 - 속명 - 종명
(정답률: 65%)
  • 학명표기에서는 먼저 종명을 적고, 그 다음에 속명을 적습니다. 마지막으로 명명자를 적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속명 - 종명 - 명명자"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늘어지는 화훼식물이 아닌 것은?

  1. 코르딜리네(Cordyline terminalis)
  2. 스킨답서스(Epipermnum aureum)
  3. 스마일락스 아스파라거스(Asperagus asparagoides)
  4. 빈카(Vinca major)
(정답률: 22%)
  • 코르딜리네는 화훼식물 중에서도 나무나 관목과 같은 큰 식물로, 늘어지는 성장 패턴을 보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는 코르딜리네가 늘어지는 화훼식물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변형된 잎이 아닌 것은?

  1. 선인장의 가시
  2. 생이 가래의 잎
  3. 네펜데스이 포충낭
  4. 금잔화의 잎
(정답률: 75%)
  • 금잔화의 잎은 일반적인 잎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다른 세 가지 보기는 모두 변형된 형태의 잎이기 때문에 정답은 "금잔화의 잎"입니다. 선인장의 가시는 잎 대신 보호 기능을 가진 가시이며, 생이 가래의 잎은 가래 형태로 변형된 잎입니다. 네펜데스의 포충낭은 덫잎으로 변형된 것이므로 일반적인 잎의 형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채우기(filler flower) 꽃으로 다음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리아트리스
  2. 숙근안개초
  3. 장미
  4. 극락조화
(정답률: 87%)
  • 숙근안개초는 채우기 꽃으로서 꽃봉오리가 작고 꽃잎이 작아서 다른 꽃들과 함께 사용하기 좋으며, 다양한 색상으로 제공되어 다양한 꽃다발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화훼식물의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아름다운 꽃을 의미한다.
  2. 꽃과 화목류를 의미한다.
  3. 꽃과 풀 그리고 나무를 의미한다.
  4. 아름다운 꽃과 열매 등 미적인 관상을 목적으로 기르는 식물이다.
(정답률: 70%)
  • 화훼식물은 아름다운 꽃과 열매 등 미적인 관상을 목적으로 기르는 식물이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꽃뿐만 아니라 열매 등도 포함되어 있으며, 그 목적이 미적인 관상에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미선나무의 분류학상 해당되는 과(科)는?

  1. 천남성과
  2. 물푸레나무과
  3. 장미과
  4. 차나무과
(정답률: 57%)
  • 미선나무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합니다. 이는 물푸레나무과의 대표적인 종으로, 잎이 물푸레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물푸레나무과는 주로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낙엽수로서 봄에 싹이 돋아나 여름에 잎이 자라고 가을에는 노란색으로 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광도 요구도에 따른 식물 분류에서 채송화, 맨드라미, 선인장류, 소나무 등이 속하는 것은?

  1. 양지식물
  2. 반음지식물
  3. 음지식물
  4. 수생식물
(정답률: 72%)
  • 채송화, 맨드라미, 선인장류, 소나무 등은 광도 요구도가 높은 식물들이며, 이러한 식물들은 양지에서 자라는 양지식물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화훼장식물 제작과정에 사용되는 도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철사는 번호가 작을수록 굵다.
  2. 플로랄 테이프는 풀이나 본드를 사용하여 감아준다.
  3. 칼은 너무 예리하므로 줄기를 자르는데 적당하지 않다.
  4. 디자인에 상관없이 화기는 도자기 재질이 가장 좋다.
(정답률: 89%)
  • "철사는 번호가 작을수록 굵다."는 철사의 굵기를 나타내는 번호가 작을수록 직경이 크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18번 철사는 1.02mm의 직경을 가지고 있고, 22번 철사는 0.71mm의 직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번호가 작을수록 더 굵은 철사를 사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꽃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튤립은 꽃받침이 꽃잎의 구분이 불분명하다.
  2. 홑꽃과 겹꽃은 한 겹 또는 두 겹 이상의 꽃잎 배열로 구분한다.
  3. 난초과 식물은 현화식물 중 가장 진화한 식물이다.
  4. 무한화서는 선단 또는 중심부의 꽃이 먼저 핀다.
(정답률: 46%)
  • "무한화서는 선단 또는 중심부의 꽃이 먼저 핀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무한화서는 여러 개의 꽃이 한 줄기 위에 연속적으로 핀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때, 선단 또는 중심부의 꽃이 먼저 핀다는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이유는 줄기의 성장 방향으로부터 가장 먼저 핀 꽃이 선단 또는 중심부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천남성과 식물인 것은?

  1. 나리
  2. 칼라
  3. 무스카리
  4. 산세베리아
(정답률: 38%)
  • 칼라는 천남성과 식물 모두에 속하는 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꽃꽂이 형태에서 줄기 배열을 구분할 때 한 개의 초점으로 사방으로 전개되는 줄기 배열은?

  1. 방사선 배열
  2. 교차선 배열
  3. 수직선 배열
  4. 평행선(병행선)배열
(정답률: 92%)
  • 꽃꽂이 형태에서 줄기 배열을 구분할 때 한 개의 초점으로 사방으로 전개되는 배열을 방사선 배열이라고 합니다. 이는 줄기가 한 점에서 시작하여 여러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형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방사선 배열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분식물인 아프리칸 바이올렛에 대기온도보다 낮은 찬물을 급수하고 직사광선을 쬐면 일어나는 현상은?

  1. 잎이 싱싱해진다.
  2. 꽃이 싱싱해진다.
  3. 잎에 흰 반점이 생긴다.
  4. 잎이 병에 걸린다.
(정답률: 80%)
  • 아프리칸 바이올렛은 찬물을 급수하고 직사광선을 쬐면 잎의 기공이 축소되어 수분이 증발하지 않고 잎 내부에 머무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잎의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고, 이 물방울이 직사광선을 거치면서 빛을 굴절시켜 흰 반점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잎에 흰 반점이 생긴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줄기배열에 의한 분류에서 줄기배열이 없는 구성(freeline of arrangement)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절화의 줄기가 어떤 일정한 규칙 없이 배열되어 있다.
  2. 줄기를 짧게 잘라 꽃송이나 꽃잎만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방식이다.
  3. 구형으로 감은 모양, 둥글게 돌려놓은 모양 등의 여러 가지 변형이 있다.
  4. 플로랄 콜라주(floral collage)와 같이 편평한 물체에 붙인 것 등 의 구성이 이에 해당한다.
(정답률: 37%)
  • "구형으로 감은 모양, 둥글게 돌려놓은 모양 등의 여러 가지 변형이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줄기배열에 있어서도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동양식 꽃꽂이에서 자연묘사에 따른 형태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화형 : 수반에 물을 채우고 연꽃모양으로 꽃을 꽂는 형
  2. 방사형 : 중심축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균일하게 꽂는 형
  3. 분리형 : 한 개 혹은 두 개의 수반에 분리하여 꽂는 형
  4. 복합형 : 두 개 이상의 수반을 복합적으로 배치하여 꽂는 형
(정답률: 68%)
  • "부화형 : 수반에 물을 채우고 연꽃모양으로 꽃을 꽂는 형"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부화형은 수반에 물을 채우고 꽃을 꽂는 형태이지만, 꽂는 형태는 연꽃모양이 아니라 부화형의 특징인 물고기가 부화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절화장식의 구성 형식에 의한 분류에서 형 - 선적구성(formal - linear composi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디자이너의 의도로 소재를 자유롭고 인위적으로 구성하는 형태
  2. 식물의 생리, 생태적인 면을 고려하여 식물이 자연 상태에서 살아있는 것과 같은 형태로 조형
  3. 각 식물의 소재가 가지고 있는 형태와 동적인 특성이 잘 나타나도록 형과 선을 명확히 표현
  4. 식물을 다른 소재와 조합하여 그 형이나 색채, 질감을 대비나 조화 등을 비사실적 기법에 의한 순수한 구성미를 가진 형태로 표현
(정답률: 86%)
  • 절화장식의 구성 형식에 의한 분류에서 형 - 선적구성은 각 식물의 소재가 가지고 있는 형태와 동적인 특성이 잘 나타나도록 형과 선을 명확히 표현하는 것이다. 이는 식물의 형태와 특성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조화롭고 아름다운 디자인을 만들기 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훼장식 제작 및 유지관리

21. 결혼식장에서 남성의 상의 칼라 단추 구멍에 꽂는 몸장식용 꽃은?

  1. 갈란드
  2. 코사지
  3. 부토니어
  4. 에포렛
(정답률: 85%)
  • 상의 칼라 단추 구멍에 꽂는 몸장식용 꽃은 부토니어라고 합니다. 이는 다른 보기인 갈란드, 코사지, 에포렛과는 달리 칼라 단추 구멍에 꽂는 작은 꽃으로, 결혼식 등의 정장 자리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스트링잉(stringing) 제작 기법에 사용되는 소재는?

  1. 집게, 망치
  2. 끈, 줄, 실
  3. 파이프, 철판
  4. 통나무, 유리
(정답률: 90%)
  • 스트링잉 제작 기법은 물건을 끈이나 줄, 실로 연결하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끈, 줄, 실이 필수적인 소재입니다. 집게나 망치, 파이프나 철판, 통나무나 유리는 이와 관련이 없는 다른 재료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피어스 메소드(pierce method)를 이용할 수 없는 식물은?

  1. 장미
  2. 카네이션
  3. 다알리아
  4. 국화
(정답률: 54%)
  • 국화는 피어스 메소드를 이용하여 쉽게 번식할 수 없는 식물입니다. 이는 국화의 씨앗이 작고 발아율이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국화는 다른 번식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줄기배열 방식 중 교차(cross)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평행의 변형·발전된 형식이다.
  2. 적은 소재를 써서 큰 스케일의 디자인이 가능하다.
  3. 줄기를 꽂는 점이 겹쳐도 방향성이 좋으면 관계없다.
  4. 구조적 구성에서 많이 나타난다.
(정답률: 80%)
  • "줄기를 꽂는 점이 겹쳐도 방향성이 좋으면 관계없다."는 이유는 교차 방식에서는 줄기를 꽂는 점이 겹쳐도 상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평행의 변형·발전된 형식으로, 적은 소재를 써서 큰 스케일의 디자인이 가능하며, 구조적 구성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절화와 절엽 등을 길게 엮은 장식물로, 길고 유연성이 있어 어깨에 걸치거나 기둥의 둘레를 감거나 난간, 문등을 장식할 수 있는 것은?

  1. 리스
  2. 형상물
  3. 갈란드
  4. 콜라주
(정답률: 86%)
  • 절화와 절엽 등을 길게 엮은 장식물을 갈란드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갈란드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그림의 형태로 작품을 구성할 경우 ①~⑦ 위치의 외곽선을 표현하기로 가장 적합한 소재는?

  1. 스프레이 카네이션
  2. 스프레이 장미
  3. 리아트리스
  4. 나리
(정답률: 73%)
  • ①~⑦ 위치의 외곽선을 표현하기에는 리아트리스가 가장 적합합니다. 리아트리스는 섬유소재로 만들어진 가느다란 줄이며, 다양한 형태로 구부러지고 휘어지며 고정될 수 있어서 원하는 형태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복잡한 곡선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며, 그림의 외곽선을 표현하는 데에도 적합합니다. 스프레이 카네이션, 스프레이 장미, 나리는 꽃잎 등의 부드러운 곡선을 표현하기에 적합하지만, 그림의 외곽선을 표현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실내공간을 위한 식물 모아심기를 할 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선택한 식물군의 생장속도
  2. 적절한 배양도의 선택
  3. 선택한 식물군이 동일한 정도의 수분 요구도를 가지는가의 여부
  4. 선택한 식물군이 동일한 색상으로 통일되어 있는지 여부
(정답률: 83%)
  • 선택한 식물군이 동일한 색상으로 통일되어 있는지 여부는 실내공간을 위한 식물 모아심기를 할 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디자인적인 측면으로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택한 식물군의 생장속도, 적절한 배양도의 선택, 선택한 식물군이 동일한 정도의 수분 요구도를 가지는가의 여부는 모두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밀레 드 플레드(mille de fleur) 디자인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9세기 중반 유럽에서 시작되었다.
  2. 다양한 꽃과 잎, 과일이나 채소를 밀집되게 장식하는 형태이다.
  3. 1000송이 꽃 또는 많은 꽃이라는 뜻이다.
  4. 둥근형 모양이 일반적이지만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형도 있다.
(정답률: 44%)
  • "다양한 꽃과 잎, 과일이나 채소를 밀집되게 장식하는 형태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밀레 드 플레드 디자인은 꽃 한 종류를 밀집하게 배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다양한 꽃과 잎, 과일이나 채소를 밀집되게 장식하는 형태이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개화가 진행된 상태에서 절화해야 하는 것은?

  1. 거베라
  2. 작약
  3. 아이리스
  4. 나리
(정답률: 66%)
  • 개화가 진행된 상태에서는 이미 꽃이 피어있기 때문에 절화해야 합니다. 그 중에서도 거베라는 꽃이 지속적으로 개화하면서 꽃이 떨어지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빠르게 절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분식물 장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갈란드
  2. 테라리움
  3. 디쉬가든
  4. 걸이분(hanging basket)
(정답률: 76%)
  • 갈란드는 분식물 장식이 아닌 꽃나무 등을 장식하는 데 사용되는 장식품입니다. 따라서 갈란드가 분식물 장식에 속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화훼장식 작품 제작 시 사용되는 기법 중 그 성격이 다른 하나는?

  1. 밴딩(banding)
  2. 바인딩(binding)
  3. 번들링(bundling)
  4. 시퀀싱(sequencing)
(정답률: 83%)
  • 시퀀싱은 다른 기법들과 달리 꽃을 일정한 패턴이나 순서로 배열하여 작품을 만드는 기법입니다. 다른 기법들은 꽃을 묶거나 묶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거나, 일정한 패턴이나 순서 없이 자유롭게 배치하는 것에 비해 시퀀싱은 꽃을 일정한 순서로 배열하여 조화롭고 균형잡힌 작품을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크리스마스 디스플레이에서 주로 이용되는 소재가 아닌 것은?

  1. 포인세티아
  2. 전나무
  3. 백합
  4. 조팝나무
(정답률: 47%)
  • 크리스마스 디스플레이에서 주로 이용되는 소재는 겨울철에 피는 꽃이나 나무, 빨간색이나 녹색 등의 색상이 많이 사용됩니다. 그 중에서도 조팝나무는 크리스마스와는 별 연관이 없는 나무이기 때문에 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비더마이어(biedermeier) 디자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700년대 낭만주의 시대의 디자인이다.
  2. 로맨틱하고 향기로운 꽃이 소재에 포함되어 낭만적인 느낌을 준다.
  3. 피라미드 모양의 나선형은 스위스 스타일이다.
  4. 단단하고 촘촘하게 구성되어서 손으로 묶는 부케로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26%)
  • "1700년대 낭만주의 시대의 디자인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비더마이어 디자인은 19세기 초 유럽에서 유행한 스타일로, 1815년부터 1848년까지의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중산층 문화를 대표하는 디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절화의 줄기를 사선으로 자르는 가장 큰 이유는?

  1. 잘 꽂아지게 하기 위해
  2. 절단면의 면적을 늘려 수분 흡수면적을 넓히기 위해
  3. 키가 커 보이게 하기 위해
  4. 세균의 번식을 줄이기 위해
(정답률: 94%)
  • 절화의 줄기를 사선으로 자르는 가장 큰 이유는 "절단면의 면적을 늘려 수분 흡수면적을 넓히기 위해"입니다. 이렇게 하면 더 많은 수분을 흡수할 수 있어서 식물의 생장에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장미꽃 한 송이에 다른 장미꽃 잎을 한장 한장 겹쳐서 커다란 장미꽃으로 만든 것은?

  1. 빅토리안 로즈(Victorian rose)
  2. 피어니 로즈(peony rose)
  3. 롤드 로즈(rolled rose)
  4. 카멜리아 로즈(camellia rose)
(정답률: 86%)
  • 장미꽃 한 송이에 다른 장미꽃 잎을 한장 한장 겹쳐서 만든 것은 롤드 로즈입니다. 빅토리안 로즈는 장미꽃과 다른 꽃들을 혼합하여 만든 꽃으로, 피어니 로즈는 피오니와 장미꽃을 혼합하여 만든 꽃입니다. 카멜리아 로즈는 카멜리아와 장미꽃을 혼합하여 만든 꽃입니다. 따라서, 롤드 로즈가 주어진 보기에서는 빅토리안 로즈와는 다른 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절화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대성 절화인 경우 상온(15~25°C)에서 유통한다.
  2. 공중 습도 80~90%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3. 서늘하고 바람을 받지 않은 곳이 보관한다.
  4. 수돗물을 끓인 후 식혀 침전물을 제거한 후에 사용하는 것이 수명연장에 유리하다.
(정답률: 52%)
  • "수돗물을 끓인 후 식혀 침전물을 제거한 후에 사용하는 것이 수명연장에 유리하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이는 오히려 절화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절화를 끓이거나 침전물을 제거하면, 절화 내의 유익한 미생물이 파괴되어 오히려 절화의 효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절화를 보관할 때는 냉장고에 보관하거나, 서늘하고 바람을 받지 않은 곳에 보관하며, 공기 중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온대성 절화인 경우 상온(15~25°C)에서 유통한다"는 이유는 이러한 온도에서 절화의 효능이 가장 잘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식물체내의 수분의 역할 중 식물 체온조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공기습도가 포화되면 엽온은 안정된다.
  2. 증산작용을 통해 식물체온의 상승을 막는다.
  3. 세포내의 팽압 유지로 식물의 체온을 유지시킨다.
  4. 각종 효소의 활성을 증대시켜 식물 체온이 상승하도록 한다.
(정답률: 53%)
  • 식물체내의 수분은 증산작용을 통해 식물체온의 상승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증산작용은 수분이 증발함으로써 식물체내의 pH를 낮추는 작용을 말하며, 이는 엽면의 물방울이 수분을 증발시키면서 일어납니다. 이러한 증산작용은 엽면의 수분이 부족할 때는 일어나지 않으며, 공기습도가 낮을 때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수분 공급과 공기습도 조절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전후좌우 어느 방향에서도 감상할 수 있는 입체적인 디자인 형태는?

  1. 피라이드형
  2. L형
  3. 역T형
  4. 직립 기본형
(정답률: 91%)
  • 피라이드형은 네 면이 모두 각도를 이루어 뾰족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전후좌우 어느 방향에서도 입체적인 디자인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한쪽 방향으로 더욱 강조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전방향에서의 입체감이 부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구성형식에 의한 분류에서 장식적 구성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디자이너의 의도로 소재를 자유롭게 인위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2. 소재의 독자적인 매력보다는 전체적으로 풍성한 부피감과 역동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3. 전형적인 형태로는 대칭형의 방사선 줄기 배열이 있다.
  4. 식물의 생리, 생태적인 면을 고려하여 식물이 자연 상태에 살아있는 형태로 조형된다.
(정답률: 78%)
  • 정답: "소재의 독자적인 매력보다는 전체적으로 풍성한 부피감과 역동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해설: 구성형식에 의한 분류에서 장식적 구성의 특징은 디자이너의 의도로 소재를 자유롭게 인위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전형적인 형태로는 대칭형의 방사선 줄기 배열이 있다는 것입니다. 반면에 "식물의 생리, 생태적인 면을 고려하여 식물이 자연 상태에 살아있는 형태로 조형된다."는 자연주의적 구성의 특징입니다. 이는 식물을 자연 상태에 가깝게 표현하여 자연의 아름다움을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나온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마사징(massaging) 제작 기법을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 하지 않는 소재는?

  1. 장미
  2. 칼라
  3. 버들
  4. 튤립
(정답률: 45%)
  • 마사징 제작 기법은 소재의 섬세한 디테일을 살리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입니다. 그러나 장미는 꽃잎이 매우 얇고 부드러워서 마사징 기법을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장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화훼장식론

41. 코뉴코피아(cornucopia)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풍요의 의미를 갖고 있다.
  2. 원뿔모양의 바구니(화기)이다.
  3. 크리스마스 장식에 어울린다.
  4.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유래되었다.
(정답률: 72%)
  • 정답은 "크리스마스 장식에 어울린다."입니다. 코뉴코피아는 크리스마스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풍요와 풍성함의 상징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크리스마스 장식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아래 설명이 의미하는 것은?

  1. 색상대비
  2. 보색대비
  3. 명도대비
  4. 계시대비
(정답률: 71%)
  • 이 그림은 색상대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색상대비는 서로 다른 두 색상이 얼마나 대비적으로 구분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그림에서는 빨간색과 초록색이 대비적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식물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때 공기 중의 벤젠, 포름알데히드 등의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것은 화훼장식의 어떤 기능에 속하는가?

  1. 심리적 기능
  2. 환경적 기능
  3. 치료적 기능
  4. 교육적 기능
(정답률: 92%)
  • 식물이 공기를 정화하는 것은 환경적 기능에 속합니다. 이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주변 환경을 개선하고, 인간의 건강과 생활환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화훼장식은 단순히 심리적 기능뿐만 아니라 환경적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명도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검은색을 많이 사용하면 명도는 높아진다.
  2. 검정을 0, 흰색을 9로 하여 10단계로 명도를 구분한다.
  3. 채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명암의 효과가 나타난다.
  4. 명도는 빛의 반사율을 척도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정답률: 64%)
  • 명도는 물체가 빛을 얼마나 잘 반사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빛의 반사율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명도는 빛의 반사율을 척도화하여 나타낸 것이다."가 가장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화훼장식 대상물에 따른 질감의 표현으로 가장 잘못된 것은?

  1. 루나리아. 스위트피 : 우리화기처럼 투명하다.
  2. 팜파스그라스, 목화솜 : 순모의 털처럼 투명하다.
  3. 아킬레아 솔리다고 : 벨벳 같은 질감으로 부드럽다.
  4. 안스리움, 베고니아 : 크롬, 알루미늄처럼 금속의 질감을 가진다.
(정답률: 42%)
  • "아킬레아 솔리다고 : 벨벳 같은 질감으로 부드럽다."가 가장 잘못된 것이다. 아킬레아 솔리다고는 벨벳과는 달리 거친 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부드럽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우리나라 화훼장식을 나타내는 역사물 중 고려시대의 작품이 아닌 것은?

  1. 수덕사 대웅전의 수화도
  2. 해인사 대적광전의 벽화
  3. 강서대표 현실 북벽의 비천상의 꽃을 흩뿌리는 산화도
  4. 수월관음도
(정답률: 65%)
  • "강서대표 현실 북벽의 비천상의 꽃을 흩뿌리는 산화도"는 고려시대 작품이 아니라 조선시대 작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화훼장식 디자인 요소인 공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훼장식물을 중심으로 볼 때 공간은 물리적인 공간과 화훼장식물의 공간으로 나뉠 수 있다.
  2. 화훼장식 작품 안에서 공간은 양성적 공간과 음성적 공간으로 나뉠 수 있다.
  3. 음성적 공간은 양성적 공간에 비하여 디자이너가 의도적으로 계획한 적극적 공간이다.
  4. 양성적 공간은 재료가 꽉 채워진 공간이다.
(정답률: 74%)
  • "음성적 공간은 양성적 공간에 비하여 디자이너가 의도적으로 계획한 적극적 공간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음성적 공간은 디자이너가 의도적으로 조절하여 만든 공간으로, 양성적 공간보다 더 적극적인 공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화훼장식의 기능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공기정화, 습도유지, 산소발생 기능
  2. 차폐효과를 이용한 사생활 보호기능
  3. 상업공간에서 나타나는 경제적 기능
  4. 심리적 편안함에 따른 작업 기피 효과
(정답률: 78%)
  • 화훼장식은 실내 공기를 정화하고 습도를 유지하며 산소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차폐효과를 이용하여 사생활 보호 기능을 제공하며, 상업공간에서는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심리적으로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작업 기피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는 화훼장식이 인간의 감정과 심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 환경에서는 화훼장식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통일감을 이루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동일 질감의 재료 선택
  2. 유사색의 사용
  3. 대조되는 선의 이용
  4. 일괄된 기술의 사용
(정답률: 74%)
  • 대조되는 선의 이용은 통일감을 이루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대조되는 선을 이용하여 강조하거나 대비시켜서 다양한 느낌을 표현하는 것으로, 일관된 통일감을 이루는 것과는 상반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대조되는 선의 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염색화 제작 시에 사용되는 표백제가 아닌 것은?

  1. 하이포아염소산염
  2. 구연산
  3. 아염소산나트륨
  4. 과산화수소
(정답률: 63%)
  • 염색화 제작 시에 사용되는 표백제는 대부분 산화제이며, 이 중에서도 하이포아염소산염, 아염소산나트륨, 과산화수소는 표백제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구연산은 산화력이 약하고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표백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구연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오늘날에도 많이 이용되는 화관, 리스, 갈란드, 칼라 등의 절화 장식물이 일상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한 시대는?

  1. 고대 이집트
  2. 고대 그리스
  3. 로마
  4. 중세
(정답률: 64%)
  • 고대 이집트에서는 화관, 리스, 갈란드, 칼라 등의 절화 장식물이 일상적으로 이용되었습니다. 이들 장식물은 권력자나 신성한 인물들의 머리에 쓰이거나, 건물이나 묘지 등의 장식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절화 장식물은 고대 이집트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현재까지도 이집트 문화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균형의 종류 중 직선과 곡선, 딱딱함과 부드러움, 강하고 약함에 대한 균형은 어떤 균형에 속하는가?

  1. 무게의 균형
  2. 재질의 균형
  3. 크기의 균형
  4. 색채의 균형
(정답률: 84%)
  • 직선과 곡선, 딱딱함과 부드러움, 강하고 약함은 모두 재질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이는 "재질의 균형"에 속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무게, 크기, 색채에 대한 균형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강조(accen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가 되는 것을 강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전달내용의 주체와 핵심을 확인하고 유도하여 개성과 특성을 나타낸다.
  2. 대비되는 요소에 의하여 시선을 집중시킨다.
  3. 단색에서는 복합색의 부분이 강조되고, 명암의 대비는 약 2배 이상 차이가 날 경우 강조 효과를 볼 수 있다.
  4. 반복에 의해서는 강조효과 볼 수 없기 때문에 특정부위를 강조하기 위해서는 반복기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정답률: 72%)
  • "반복에 의해서는 강조효과 볼 수 없기 때문에 특정부위를 강조하기 위해서는 반복기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강조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반복이나 대비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훼장식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훼는 관상을 대상으로 하는 초본식물과 목본식물을 총괄하는 식물을 말한다.
  2. 꽃꽂이, 꽃예술, 화훼디자인 등에서는 절화보다는 분식물을 이용한 장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3. 장식물의 배치공간에 따라 실내 장식과 실외장식으로 나눌 수 있다.
  4. 화훼장식은 화훼식물을 주 소재로 인간의 창의력과 표현 능력을 이용하여 공간의 기능 과 미적 효율성을 높여주는 장식물 제작, 설치, 유지 관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정답률: 88%)
  • 화훼장식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모든 설명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압화의 재료로 사용하기 가장 어려운 소재는?

  1. 주름이 많은 꽃
  2. 색상의 선명도가 높은 꽃
  3. 구조가 간단한 꽃
  4. 수분함량이 적은 잎
(정답률: 87%)
  • 주름이 많은 꽃은 압력을 가하면 쉽게 찢어지거나 변형되기 때문에 압화의 과정에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압화의 재료로 사용하기 가장 어려운 소재는 주름이 많은 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형태(form)의 특징과 관계가 먼 것은?

  1. 형태는 3차원적인 입체 공간을 말한다.
  2. 자연적 형태는 사실적이며, 동적이다.
  3. 기하학적 형태는 안정, 간결, 명료감을 준다.
  4. 비기하학적 형태는 아름답고 매력적이며 우아하고 여성적인 느낌을 준다.
(정답률: 33%)
  • "자연적 형태는 사실적이며, 동적이다."는 형태의 특징과 관계가 먼 것이다. 형태의 특징은 3차원적인 입체 공간을 말하며, 자연적 형태는 사실적이고 동적인 특징을 가진다는 것은 형태의 특징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아니라 자연적인 형태의 특징을 설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형태의 특징과는 관계가 먼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특별한 기술이나 도구 없이 꽃을 건조시키는 방법 중 가장 비용이 적게 들고 대량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은?

  1. 동결건조
  2. 열풍건조
  3. 자연건조
  4. 실리카겔건조
(정답률: 86%)
  • 자연건조는 특별한 기술이나 도구 없이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진 곳에 꽃을 걸어 말리는 방법으로, 비용이 적게 들고 대량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꽃의 향과 색이 자연스럽게 유지되며 건조한 꽃을 보관하기도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압화 재료의 채집 시 유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여름 한낮에는 온도가 높아 수분 증발속도가 빠르고 곧 위축되므로 한낮을 피한다.
  2. 손으로 거칠게 뽑아서 재료가 손상되지 않도록 꽃과 잎을 따로 담아 꽃이 눌리는 것을 방지한다.
  3. 비닐 주머니를 밀봉하기 전에 공기를 채워 재료가 눌리지 않게 한다.
  4. 채집 후 담은 비닐주머니는 양지바른 곳에 둬서 충분히 광합성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76%)
  • 채집 후 담은 비닐주머니는 양지바른 곳에 둬서 충분히 광합성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이유: 압화 재료는 광합성을 통해 영양분을 얻기 때문에 충분한 광합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재료의 상태가 나빠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화훼장식 디자인에서 유사색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되풀이되는 변화를 주어 시각적인 즐거움을 주는 것은 다음 디자인 원리 중 어느 것과 관계있는가?

  1. 리듬
  2. 강조
  3. 균형
  4. 비례
(정답률: 84%)
  • 리듬은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는 요소들이 시각적인 운동감을 주어 시선을 이끌고, 조화롭고 일관된 느낌을 주는 디자인 원리입니다. 화훼장식 디자인에서 유사색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되풀이되는 변화를 주는 것은 이러한 리듬의 원리에 따라 시각적인 즐거움을 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르네상스 시대는 종교적인 상징을 표현하는 화훼장식이 성행하였다. 다음 중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화훼장식의 형태가 아닌 것은?

  1. 피라미드형
  2. 원추형
  3. 플레미쉬형
  4. 대칭삼각형
(정답률: 49%)
  • 플레미쉬형은 르네상스 시대에 유럽 북부 지역에서 발전한 화훼장식 형태로, 꽃과 잎사귀를 묶어서 대칭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른 세 형태는 모두 꼭대기가 뾰족한 형태로, 플레미쉬형과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