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장식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4-14)

화훼장식기능사
(2013-04-1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훼장식재료

1. 화훼원예의 주요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종류와 품종수가 극히 적은 편이다.
  2. 고도의 생산기술의 요구한다.
  3. 문화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발전한다.
  4. 경영상 시설을 이용한 연중 집약재배를 실시한다.
(정답률: 93%)
  • 화훼원예에서 종류와 품종수가 적은 이유는 다양한 종류와 품종을 관리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화훼원예는 경영상 시설을 이용한 연중 집약재배를 실시하므로 한정된 공간에서 효율적인 생산을 위해 특정 종류와 품종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두상화서(頭狀花序)로 꽃이 피는 화훼류는?

  1. 장미
  2. 카네이션
  3. 국화
  4. 칼라
(정답률: 70%)
  • 두상화서(頭狀花序)는 꽃이 꽃차례대로 배열되어 있는 꽃의 형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형태를 가진 화훼류 중에서 국화는 대표적인 종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국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광에 따른 생육정도에 따라 음생식물과 양생식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다음 중 양생식물에 속하는 것은?

  1. 아스파라거스
  2. 베고니아
  3. 군자란
  4. 백일홍
(정답률: 63%)
  • 백일홍은 충분한 양의 햇빛을 받으면 잎이 더욱 붉어지고 꽃이 더욱 풍부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백일홍은 양생식물에 속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흙에 심지 않고 나무나 돌 등에 붙여 재배하는 난의 종류는?

  1. 반다
  2. 심비디움
  3. 춘란
  4. 한란
(정답률: 78%)
  • 반다는 에피피티움속의 난으로, 흙에 심지 않고 나무나 돌 등에 붙여 재배하는 난의 종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흙에 심어서 재배하는 난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설명하는 식물은?

  1. 제라늄
  2. 샐비어
  3. 글라디올러스
  4. 피튜니아
(정답률: 86%)
  • 이미지에서 보이는 꽃의 형태와 색상이 글라디올러스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줄기면에 부착하는 잎의 배열양식, 엽서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카네이션 - 호생
  2. 회양목 - 대생
  3. 제비꽃 - 윤생
  4. 둥굴레 - 근생
(정답률: 68%)
  • 회양목은 대생 양식으로 잎이 줄기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엽서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회양목 - 대생입니다. 카네이션은 호생 양식으로 잎이 번갈아가며 배열되어 있고, 제비꽃은 윤생 양식으로 잎이 한쪽으로 치우쳐져 있습니다. 둥굴레는 근생 양식으로 잎이 줄기에 가까이 붙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식물명과 학명이 틀린 것은?

  1. 무궁화 -Hibiscus syriacus
  2. 튤립 - Hyacinthus tulipa
  3. 스토크 - Matthiola incana
  4. 채송화 - Portulaca grandiflora
(정답률: 52%)
  • 튤립의 학명은 Tulipa spp. 이며, Hyacinthus는 수선화의 학명입니다. 따라서 "튤립 - Hyacinthus tulipa"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괴근(塊根, 덩이뿌리)에 해당하는 구근류(알뿌리)는?

  1. 수선화
  2. 글라디올러스
  3. 칼라
  4. 다알리아
(정답률: 71%)
  • 괴근은 덩어리 형태의 뿌리를 의미하며, 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 구근류는 알뿌리라고 합니다. 이 중에서도 다알리아는 덩어리 형태의 알뿌리를 가지고 있어 괴근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다알리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화훼장식에서 사용하는 용기 중 다공성 재질로 통기성이 좋고 자연미가 있으며, 모양과 크기가 다양하나 깨어질 위험이 있는 것은?

  1. 테라코타
  2. 유리
  3. 스테인리스 스틸
  4. 플라스틱
(정답률: 77%)
  • 테라코타는 다공성 재질로 통기성이 좋고 자연미가 있으며, 모양과 크기가 다양하지만 깨어질 위험이 있는 재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화훼의 용어에 대한 정의가 틀린 것은?

  1. 화는 꽃을 의미한다.
  2. 훼는 생산되어지는 울타리 안을 의미한다.
  3. 절화, 분화, 종묘, 구근, 지피식물 등을 포함한다.
  4. 꽃, 줄기, 잎, 열매에 관상가치가 있는 초본과 목본식 물을 의미한다.
(정답률: 89%)
  • "훼는 생산되어지는 울타리 안을 의미한다."가 틀린 정의인 이유는, 화훼는 꽃과 관련된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훼는 일반적으로 농경지나 정원 등에서 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울타리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화훼와 관련된 정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화훼장식에 사용되는 도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플로랄 테이프는 쭉 펴서 감아주면 잘 들러붙도록 다양한 색상의 종이에 접착체 성분이 있다.
  2. 철사는 지름에 따라 번호가 매겨져서, 수가 증가할수록 굵은 철사이다.
  3. 워터튜브는 절화 줄기가 짧아 플로랄 폼에 바로 꽂을수 없을 때 사용한다.
  4. 글루건은 글루스틱을 녹여 이용하는 기구이다.
(정답률: 94%)
  • "철사는 지름에 따라 번호가 매겨져서, 수가 증가할수록 굵은 철사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철사의 지름은 번호로 구분되며, 번호가 높을수록 굵은 철사입니다. 이는 철사의 두께와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1년초로 분류되는 식물로만 나열된 것은?

  1. 가자니아, 피튜니아, 살비어, 크로커스
  2. 색비름, vis지, 시네라리아, 달리아
  3. 루드베키아, 원추리, 금어초, 마가렛
  4. 메리골드, 금잔화, 한련화, 팬지
(정답률: 82%)
  • 메리골드, 금잔화, 한련화, 팬지는 모두 1년초로 분류되는 꽃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구조물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자연적 소재만을 이용 할 수 있다.
  2. 기능적 구조물과 장식적 구조물이 있다.
  3. 최근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이 사용되고 있다.
  4. 기능적 구조물의 경우 서포터 역할을 많이 한다.
(정답률: 95%)
  • "자연적 소재만을 이용 할 수 있다."는 적절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인공적인 소재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현대 구조물에서는 철, 콘크리트, 유리 등 다양한 인공 소재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자연적 소재와 인공적 소재를 모두 이용할 수 있다."가 적절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일반적인 식물체의 줄기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식물체를 지지 하는 기능
  2. 향기의 기능
  3. 물질의 통로 기능
  4. 양분 저장기능
(정답률: 95%)
  • 일반적인 식물체의 줄기는 지지하는 기능, 물질의 통로 기능, 양분 저장 기능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향기의 기능은 줄기가 아닌 꽃에서 발휘됩니다. 따라서 향기의 기능은 줄기의 기능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생활공간용 화훼장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활공간용 화훼장식은 이용되는 장소에 따라 특색을 가진다.
  2. 주거용 공간에 크고 작은 다양한 종류의 분식물이 많이 이용된다.
  3. 사무용 공간에는 업무 중간에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녹색의 실내정원을 조성하기도 한다.
  4. 상업용 공간은 창의적인 디자인보다 단순하고 실용적인 디자인을 선호한다.
(정답률: 87%)
  • 생활공간용 화훼장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없습니다.

    상업용 공간은 창의적인 디자인보다 단순하고 실용적인 디자인을 선호하는 이유는, 상업용 공간은 주로 고객을 유치하고 매출을 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너무 복잡하거나 개성이 강한 디자인보다는 깔끔하고 실용적인 디자인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소매상에서의 절화취급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올림 후 절화 품질과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작물별 특성에 따라 적정 절화보존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2. 생산자에 의해서 출하 전 STS제가 전처리되었다면, 소매상에서는 STS제를 재처리해서는 안된다.
  3. 생산자에 의해 질산은제가 함유된 전처리제를 사용했다면, 물올림 과정에서 재절단을 하는 것이 좋다.
  4. 열대산 절화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절화는 저온(5℃)에서 전시하거나 보관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60%)
  • 정답은 "생산자에 의해 질산은제가 함유된 전처리제를 사용했다면, 물올림 과정에서 재절단을 하는 것이 좋다."입니다. 이유는 질산은 제가 함유된 전처리제를 사용하면 꽃이 빨리 시들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 때문에 꽃 줄기가 막혀서 물이 잘 흡수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올림 후 재절단을 하면 꽃 줄기를 깨끗하게 다듬어서 물 흡수를 촉진시키고, 꽃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온대성 화훼류 종자를 장기간 저장할 경우 가장 적당한 저장온도는?

  1. 1 ~9℃
  2. 10 ~ 16℃
  3. 20 ~ 29℃
  4. 30 ~ 39℃
(정답률: 65%)
  • 온대성 화훼류 종자는 저온에서 저장할 경우 보존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1 ~ 9℃가 가장 적당한 저장온도이다. 또한, 고온에서 저장할 경우 종자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여 발아율이 떨어지고, 고온과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곰팡이 등의 병원균이 번식하여 종자의 품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30 ~ 39℃는 저장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핸드타이드(hand-tied) 꽃다발을 만드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줄기는 나선형으로 돌려가며 조립한다.
  2. 이용목적과 대상, 분위기 등을 고려하여 형태나 색상 들을 정한다.
  3. 묶음점 아래부분의 줄기는 깨끗이 다듬어준다.
  4. 나선형 꽃다발에서 끈을 묶을 때는 되도록 폭을 넓게 묶어 단단히 고정해 준다.
(정답률: 90%)
  • 나선형 꽃다발에서 끈을 묶을 때는 되도록 폭을 넓게 묶어 단단히 고정해 준다는 것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올바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식물의 생육과 광의 연관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개화하는 식물 혹은 열매를 맺는 식물 및 무늬가 있는 식물들은 보통 관엽식물보다 많은 광을 필요로 한다.
  2. 탄소동화작용으로 잎에서 영양분을 만들기 위해서 겨울에도 광선은 꼭 필요하다.
  3. 광은 호흡 작용에 의한 영양분의 소모를 조장한다.
  4. 광은 식물의 광합성 작용 뿐만 아니라 조직이나 기관의 분화, 종자의 발달 등 식물의 형태형성에도 관여한다.
(정답률: 69%)
  • "광은 호흡 작용에 의한 영양분의 소모를 조장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광은 광합성 작용을 통해 식물이 영양분을 만들어내는 데 필요한 역할을 합니다. 호흡 작용은 영양분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이므로 광과는 반대의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고전적 삼각형 꽃꽂이에서 나타나는 생장점(줄기의 출발점)은?

  1. 무 생장점
  2. 하나의 생장점
  3. 두 개의 생장점
  4. 여러개의 생장점
(정답률: 82%)
  • 고전적 삼각형 꽃꽂이에서는 하나의 생장점에서 줄기가 뻗어나와 세 개의 꽃잎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하나의 생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훼장식 제작 및 유지관리

21. 꽃 품질이 떨어지는 외관적인 원인이 아닌 것은?

  1. 위조(시듬)
  2. 낙화(꽃떨어짐)
  3. 잎의 황화
  4. 비료부족
(정답률: 93%)
  • 비료부족은 꽃의 품질이 떨어지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비료가 부족하면 꽃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색상이 흐려지고, 꽃잎이 작아지는 등 외관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비료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꽃 소재와 철사 처리기법의 연결로 틀린 것은?

  1. 안개초 - 피어스 법
  2. 칼라 - 인서트 법
  3. 국화 - 후크 법
  4. 아이비 - 헤어핀 법
(정답률: 78%)
  • 안개초는 피어스 법이 아니라 헤어핀 법으로 처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디자인 형태 중 고전형(traditional desig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형태가 뚜렸해야 한다.
  2. 주로 페러럴(Parallel)로 꽂는다.
  3. 균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장식한다.
  4. 다양한 전통적 꽃을 사용한다.
(정답률: 71%)
  • "주로 페러럴(Parallel)로 꽂는다."는 고전형 디자인의 특징이 아니라 꽃꽂이 기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주로 균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장식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신부 부케 제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인은?

  1. 신부의 취향
  2. 신부의 신체 크기
  3. 신부의 허리 크기
  4. 웨딩 드레스 형태와 색상
(정답률: 91%)
  • 신부 부케 제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인은 "신부의 허리 크기"입니다. 이는 부케의 크기와 모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신부의 취향, 신체 크기, 웨딩 드레스 형태와 색상은 부케 제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동양식 꽃꽂이에서 2개 이상의 화기와 화형을 선택하여 꽂는 꽃꽂이 형은?

  1. 부화형(浮花型)
  2. 분리형(分離型)
  3. 복형(複型)
  4. 배합형(配合型)
(정답률: 76%)
  • 복형(複型)은 2개 이상의 화기와 화형을 조합하여 꽂는 꽃꽂이 형태를 말합니다. 다른 형태들은 한 가지 화기와 화형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복형은 여러 가지를 조합하여 다양한 느낌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속이 비었거나 연한 자연줄기를 그대로 살리고 싶을 때 철사를 줄기 속에 넣어 제작하는 테크닉은?

  1. 소잉(sewing)법
  2. 피어스(pierce)법
  3. 인서션(insertion)법
  4. 시큐어링(securing)법
(정답률: 90%)
  • 인서션(insertion)법은 철사를 줄기 속에 넣어 제작하는 테크닉으로, 속이 비었거나 연한 자연줄기를 그대로 살리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다른 보기인 소잉(sewing)법은 바늘과 실을 사용하여 재료를 이어붙이는 방법, 피어스(pierce)법은 구멍을 뚫어서 체인 등을 걸어서 사용하는 방법, 시큐어링(securing)법은 물건을 고정시키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절화의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줄기가 절단될 때 공기가 도관 속으로 들어가 도관을 막아 줄기를 통한 물의 정상적인 이동이 방해되는 꽃은 물 속 줄기절단이 좋다.
  2. 박테리아와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이 줄기 기부에 침입하여 번식하면서 도관이 막혀 시드는 경우도 있으므로 물통을 깨끗하게 유지해준다.
  3. 장미의 잎은 기부로부터 가능한 많은 엽수를 남기는 것이 저장 양분을 많이 보유할 수 있으므로 수명 연장에 효과 적이다.
  4. 가위보다 믐 날카로운 칼로 줄기를 자르면 줄기의 상처를 줄여 도관을 막는 미생물의 증식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84%)
  • "장미의 잎은 기부로부터 가능한 많은 엽수를 남기는 것이 저장 양분을 많이 보유할 수 있으므로 수명 연장에 효과 적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엽수가 많다고 해서 저장 양분이 많은 것은 아니며, 오히려 많은 엽수를 유지하면서 생명력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엽수를 많이 남기는 것이 수명 연장에 효과적이라는 주장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자연적인 성장 형태에 어긋나지 않게 사실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식물의 생태적 분야를 고려하여 디자인하는 것은?

  1. 수평적 형태
  2. 선형적 형태
  3. 장식적 형태
  4. 식생적 형태
(정답률: 93%)
  • 식물은 자연적인 환경에서 자라기 때문에 자연적인 성장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식물의 생태적 분야를 고려하여 디자인할 때는 이러한 자연적인 성장 형태에 어긋나지 않도록 사실적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이를 식생적 형태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화훼류 중 가장 발아 적온이 낮은 것은?

  1. 프리뮬라
  2. 나팔꽃
  3. 맨드라미
  4. 샐비어
(정답률: 65%)
  • 프리뮬라는 따뜻한 기후에서 자라는 화훼이며, 발아 적온이 15도 이상이 필요합니다. 반면에 나팔꽃, 맨드라미, 샐비어는 발아 적온이 20도 이상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프리뮬라가 가장 발아 적온이 낮은 화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절화를 상점에서 사온 후 소비자가 우선적으로 하여야 할 것은?

  1. 절화를 찬물에 담금
  2. 절화를 따뜻한 물에 담금
  3. 절화를 냉장고에 넣어 시원하게 함
  4. 절화의 아랫부분을 물속자르기로 재절단함
(정답률: 85%)
  • 절화의 아랫부분을 물속자르기로 재절단함은 절화의 수급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절화는 물을 흡수하여 꽃잎이 살아있는 상태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절화의 아랫부분이 물에 닿지 않으면 수급이 차단되어 꽃잎이 시들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절화를 상점에서 사온 후 소비자가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절화의 아랫부분을 물속자르기로 재절단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절화가 물을 충분히 흡수하여 오랫동안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장식적인 디자인 테크닉(design technique)의 하나로 시험관 등을 이용하여 재료가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은?

  1. 프리센트 테크닉(fliessend technique)
  2. 플로팅 테크닉(floating technique)
  3. 팬싱 테크닉(fencing technique)
  4. 밴딩 테크닉(banding technique)
(정답률: 83%)
  • 플로팅 테크닉은 시험관 등을 이용하여 재료를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플로팅(floating)"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서양식 절화장식에서 골격을 형성하는 선형꽃(lineflower)으로 주로 이용되는 소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스토크
  2. 장미
  3. 글라디올러스
  4. 금어초
(정답률: 81%)
  • 장미는 서양식 절화장식에서 골격을 형성하는 선형꽃으로 주로 이용되는 소재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장미가 다른 꽃들에 비해 가늘고 길쭉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선형꽃으로 이용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스토크, 글라디올러스, 금어초는 모두 선형꽃으로 이용되는 소재 중에서 장미보다 더 가까운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꽃바구니 제작시 유의사항으로 틀리 것은?

  1. 용도와 장소에 맞게 제작한다.
  2. 제작 후 플로랄 폼이 보이지 않도록 한다.
  3. 바구니의 물 빠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닥에 비닐 등 을 깔지 말아야 한다.
  4. 바구니에 맞추어 메인 플라워가 강조되도록 한다.
(정답률: 94%)
  • 바구니의 물이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바닥에 구멍이 있어야 하며, 비닐 등을 깔면 물이 제대로 빠지지 않아서 꽃이 썩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장식적인 목적으로 강조를 하거나 주의를 끌 필요가 있을 때 꽃 재료를 묶는 디자인 기법은?

  1. 밴딩(banding)
  2. 바인딩(binding)
  3. 번들링(bundling)
  4. 레이어링(layering)
(정답률: 80%)
  • 꽃을 묶는 디자인 기법 중 "밴딩(banding)"은 꽃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묶는 기법으로, 장식적인 목적으로 강조하거나 주의를 끌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바인딩(binding)"은 꽃을 묶는 기술 중 하나로, 꽃을 중심으로 묶어서 꽃다발을 만드는 기법입니다. "번들링(bundling)"은 여러 개의 꽃을 묶어서 하나의 큰 꽃다발을 만드는 기법이며, "레이어링(layering)"은 꽃을 겹쳐서 층을 이루는 기법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밴딩(banding)"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분식물 장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디시 가든(dish garden)이란 접시와 같이 넓고, 깊이가 얕은 용기에 키가 크고 생육속도가 빠른 열대 식물을 심은 작은 정원을 말한다.
  2. 분식 토피ㄹ어리(Toyiary)는 용기에서 자라는 식물을 동물이나 기하학적인 형으로 전정하여 형태를 만들거나 틀을 부착시켜 넝쿨식물을 틀의 형태로 유인하여 키우는 분식물을 말한다.
  3. 비바리움(Vivarium)은 유리용기에 식물을 심고 연못을 만들어 물고기를 넣어 함께 키우는 것을 말한다.
  4. 식물을 심은 용기에 동물과 함께 생활 하도록 만든 것은 아쿠아리움(Aquarium)이라 한다.
(정답률: 78%)
  • 분식 토피어리는 용기에서 자라는 식물을 동물이나 기하학적인 형으로 전정하여 형태를 만들거나 틀을 부착시켜 넝쿨식물을 틀의 형태로 유인하여 키우는 분식물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플랜터(planter)는 바닥 위로 돌출한 형과 바닥에 묻힌 매몰형이 있다. 매몰형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식재면의 높이가 바닥과 같아 자연과 같은 느낌이다.
  2. 통행이 많은 백화점, 쇼핑센터에 이용하면 좋다.
  3. 잉여수분의 처리가 곤란하다.
  4. 사람과 수목의 일체감을 갖는데 효과적이다.
(정답률: 79%)
  • 잉여수분의 처리가 곤란하다는 것은, 매몰형 플랜터는 바닥에 묻혀 있기 때문에 물이 쉽게 배출되지 않아 물이 과다하게 쌓일 경우 뿌리가 썩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매몰형 플랜터를 사용할 경우 물 관리에 특히 신경써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각각의 소재가 가지고 있는 형태, 크기, 색, 재질감 뿐만 아니라 소재의 배열이 나타내는 표면의 조직이나 구성, 재질감, 즉 구조의 효과를 전면에 부각시키는 화훼장식 구성은?

  1. 장식적 구성
  2. 식생적 구성
  3. 구조적 구성
  4. 형-선적 구성
(정답률: 76%)
  • 구조적 구성은 소재의 배열이나 구성, 재질감 등 구조적인 특징을 강조하여 화훼장식을 구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소재의 형태, 크기, 색상 등 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조화롭게 배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화훼장식의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하며, 소재의 구조적인 특징을 살려서 보다 효과적인 장식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절화 장식물에서 플로랄 폼이나 기초 부분을 가려줄 수 있는 기법은?

  1. 테러싱(terracing)
  2. 번들링(bundling)
  3. 그루핑(grouping)
  4. 프레이밍(framing)
(정답률: 73%)
  • 테러싱(terracing)은 절화 장식물에서 플로랄 폼이나 기초 부분을 가려줄 수 있는 기법으로, 작은 조각들을 쌓아 올리듯이 층층이 쌓아서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기법은 절화 장식물의 높이감을 조절하고, 더욱 풍성하고 복잡한 디자인을 만들 수 있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신부 부케의 종류별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클러치 부케(clutch bouquet)는 원형이 길어진 형태의 부케이다.
  2. 포멀 리니어(formal linear)는 장식적우로 구성한 부케이다.
  3. 개더링 부케(gathering bouquet) 는 꽃잎을 겹쳐서 만든 부케이다.
  4. 호가스 부케(hogarth bouquet)는 두 개의 갈란드를 연결하여 초생달 형태가 되도록 조립한 부케이다
(정답률: 66%)
  • 정답은 "개더링 부케(gathering bouquet) 는 꽃잎을 겹쳐서 만든 부케이다."입니다. 이유는 "개더링"이란 단어가 "모으다, 모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꽃잎을 겹쳐서 모아 만든 부케라는 뜻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클러치 부케, 포멀 리니어 부케, 호가스 부케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생산자가 채화를 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꽃봉오리에서 화색을 구별할 수 있을 때 채화한다,
  2. 온실에서 수확한 절화는 통로에 놓아 두었다가 한꺼번에 선별장으로 운반한다.
  3. 기온이 낮은 계절에는 꽃이 피기 시작 무렵에 채화 한다.
  4. 고온기에는 서늘한 아침, 저녁에 채화하고, 예냉과 소독을한다.
(정답률: 86%)
  • "온실에서 수확한 절화는 통로에 놓아 두었다가 한꺼번에 선별장으로 운반한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온실에서 수확한 절화를 통로에 놓아 두었다가 한꺼번에 선별장으로 운반하는 이유는 생산량이 많기 때문입니다. 생산자들은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일일이 운반하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한꺼번에 운반합니다. 이렇게 한꺼번에 운반하면 생산자들도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소비자들도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화훼장식론

41. 전후좌우 어느 방향에서도 감상할 수 있는 디자인 형태는?

  1. 피라미드형(pyramid style)
  2. 부채형(fan style)
  3. 수직형(vertical style)
  4. 삼각형(triangular style)
(정답률: 90%)
  • 피라미드형 디자인은 위로 올라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삼각형 모양의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느 방향에서도 일관된 감상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즉, 전후좌우 어느 방향에서도 동일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며, 균형잡힌 디자인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건조화를 제작할 때 식물을 응달에서 건조시키는 주된 이유는?

  1. 소재의 색상을 그대로 보존하기 위하여
  2. 소재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3. 건조시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4. 소재가 튼튼해지므로
(정답률: 78%)
  • 식물을 응달에서 건조시키는 주된 이유는 "소재의 색상을 그대로 보존하기 위하여"입니다. 이는 건조과정에서 소재가 변색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화훼장식에 있어서 절화장식이나 분식물이 환경 개선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 정화
  2. 습도 유지
  3. 음이온 발생
  4. 이산화탄소(CO2)
(정답률: 85%)
  • 이산화탄소(CO2)는 화훼장식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호흡과 같은 외부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절화장식이나 분식물이 환경 개선에 미치는 영향과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CO2)는 옳지 않은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디자인 요소가 아닌 것은?

  1. 균형
  2. 색채
  3. 형태
  4. 질감
(정답률: 68%)
  • 균형은 디자인의 기본 원칙 중 하나이며, 디자인 요소가 아닙니다. 디자인 요소는 색채, 형태, 질감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오늘날 일본의 꽃꽂이에서 “꽃에 생명을 준다.”는 의미로 일반화 된 명칭은?

  1. 리카
  2. 쇼카
  3. 이케바나
  4. 나게이레
(정답률: 81%)
  • 정답은 "이케바나"입니다. 이는 일본의 전통적인 꽃꽂이 기술로, 꽃을 꽂을 때 꽃의 생명력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꽂이의 구조와 꽂이에 사용되는 재료, 꽃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꽃을 꽂는 기술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일본의 꽃꽂이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이케바나와 같이 꽃의 생명력을 살리는 기술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화훼장식 디자인에 있어 주제, 형태, 크기. 재료, 질감, 무늬와 같은 요소들이 일치된 속에서 통일된 균형을 이루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1. 규모
  2. 조화
  3. 강조
  4. 리듬
(정답률: 86%)
  • 화훼장식 디자인에서 주제, 형태, 크기, 재료, 질감, 무늬와 같은 요소들이 일치되어 조화를 이루면, 디자인 전체가 통일되고 균형있게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조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화훼장식 디자인 원리에서 강조(emphasi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강조점은 디자인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두드러지기 때문에 사람들은 디자인에서 이 부분을 가장 먼저 보게 된다.
  2. 구성 내에서 디자인의 크기, 모양, 위치에 따라 강조요소는 1개 또는 여러 개가 될 수도 있다.
  3. 헬리코니아 극락조화와 같은 폼 플라워나 크고 활짝 핀 꽃 등은 그렇지 않은 꽃에 비해 시선을 유도하는 측면이 있어서 강조에 적합하다.
  4. 모든 디자인에는 반드시 강조점을 2개 이상 두는 것이 좋다.
(정답률: 94%)
  • 정답: "모든 디자인에는 반드시 강조점을 2개 이상 두는 것이 좋다."

    이유: 강조점은 디자인의 중요한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므로, 디자인의 종류나 목적에 따라 강조점의 개수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디자인에 반드시 2개 이상의 강조점을 두는 것이 좋다는 것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글리세린 건조작업 시 글리세린과 물이 잘 혼합되도록 넣는 물질은?

  1. 트윈(tween)80
  2. 8-HQC
  3. 황산은
  4. 질산은
(정답률: 63%)
  • 트윈80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글리세린과 물의 표면장력을 낮춰서 두 물질이 잘 혼합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글리세린의 건조작업 시에는 안정적인 분산을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트윈80이 글리세린과 물이 잘 혼합되도록 넣는 물질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설명하는 화훼장식 디자인 요소는?

  1. 긴장
  2. 강조
  3. 깊이
  4. 조화
(정답률: 77%)
  • 이 화훼장식 디자인 요소는 깊이를 나타냅니다. 그 이유는 이미지에서 꽃들이 서로 다른 크기와 위치로 배치되어 있어, 더 멀리 있는 꽃들은 뒤쪽에 위치하고, 더 가까운 꽃들은 앞쪽에 위치하여 깊이감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색이 선명하고 맑은 정도를 나타내는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색의 순도를 의미하는 용어는?

  1. 명도
  2. 채도
  3. 틴트(tint)
  4. 톤(tone)
(정답률: 78%)
  • 채도는 색의 선명도와 순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색의 밝기나 색조를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채도는 색의 진한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채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일상적으로 꽃과 식물이 애호되고 전문도서와 화훼장식 기술학교가 설립되는 등 서양의 화훼장식이 체계화되기 시작한 시대는?

  1. 르네상스 시대
  2. 바로크 시대
  3. 로코코 시대
  4. 빅토리아 시대
(정답률: 71%)
  • 빅토리아 시대는 19세기 영국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상승하면서 꽃과 식물을 애호하는 문화가 확산되었고, 이에 따라 전문도서와 화훼장식 기술학교가 설립되어 서양의 화훼장식이 체계화되기 시작한 시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향기와 관련한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유(essential oil) : 정유는 식물체의 특수한 세포나 조직 내에 아주 작은 방울로 존재하고 있으며, 유성을 갖는 액체로서 식물체를 증유, 냉각하여 억을 수 있다.
  2. 향미(flavor) : 냄새 중 향기로운 것으로 기화상태의 것이며, 특히 꽃의 향기를 지칭하는 경우를 말한다.
  3. 향(aroma) : 방향보다 포괄적인 의미의 향을 지칭할 때 사용하며 기체상태만이 아니고 근원 물질을 지칭할 때 도 쓰인다.
  4. 향수(perfume) : “연기에 의해(by smoke) 또는 연기를 통해서 (through somke)”의 의미인 라틴어에서 유래된 말로서 19세기까지는 대부분의 향수가 방향성 정유였다.
(정답률: 7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고려시대의 화훼장식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수월관음도
  2. 수덕사 대웅전의 야화도
  3. 불교문화
  4. 산화도
(정답률: 68%)
  • 산화도는 고려시대의 화훼장식과 관련이 없습니다. 산화도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그림으로, 산과 바다의 경치를 그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훼장식의 활용 범위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우리의 생활환경을 아름답게 꾸며준다.
  2. 축하, 감사, 기념 등 사회적인 소통이 될 수 있다.
  3. 행사주최자의 지위를 과시할 수 있다.
  4. 상품이나 서비스의 판매를 촉진한다.
(정답률: 93%)
  • 화훼장식은 행사나 행사장을 아름답게 꾸며주는 역할을 하며, 축하, 감사, 기념 등의 사회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상품이나 서비스의 판매를 촉진하는 역할도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행사주최자의 지위를 과시할 수 있다." 입니다. 이는 화훼장식이 행사주최자의 지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화훼장식 기능 중 회사원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일의 효율성과 창의성을 높여주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하는 기능은?

  1. 장식적 기능
  2. 심리적 기능
  3. 환경적 기능
  4. 교육적 기능
(정답률: 89%)
  • 화훼장식의 심리적 기능은 회사원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일의 효율성과 창의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실내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만들어주고, 자연의 아름다움과 색채감으로 인해 직원들의 기분을 안정시켜주며, 이는 일의 집중도와 창의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또한, 화훼장식은 회사의 이미지를 높여주는 역할도 하며, 직원들의 자부심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화훼장식은 회사 내부의 심리적 안정과 일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장미를 신속하게 말리도 자연스러운 색상을 보다 잘 보존시켜주기 위해 사용하는 건조법은?

  1. 자연건조
  2. 실리카겔 건조
  3. 열풍 건조
  4. 탄화 건조
(정답률: 63%)
  • 실리카겔은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장미를 말리는데 적합합니다. 또한 실리카겔은 열에 강하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장미의 색상을 보존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실리카겔 건조법이 장미를 신속하게 말리면서도 자연스러운 색상을 보존시켜주는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디자인 원리 중 비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명한 수직인 질서로 조화의 근본이 되는 균형을 말한다.
  2. 절대적인 크기로서 다른 요소들이나 기준과 비교해서 측정한다.
  3. 길이나 거리, 높이나 넓이, 부피나 중량에 대한 비이다.
  4. 1:1.618은 고재부터 중시되어 온 기본적인 비례이다.
(정답률: 61%)
  • "절대적인 크기로서 다른 요소들이나 기준과 비교해서 측정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비례는 다른 요소나 기준과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절대적인 크기"가 아닌 "상대적인 크기"로서 다른 요소나 기준과 비교해서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화훼장식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훼장식은 조화 소재를 주로 사용하여 실내공간을 장식하는 것이다.
  2. 화훼장식이란 장식물을 제작, 설치, 유지 및 관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3. 화훼장식 중 실내 장식의 형태는 절화 장식, 분식물 장식, 실내 정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화훼장식의 재료에서 화훼장식는 관상의 대상이 되는 초본 식물과 목본식물을 총괄하는 식물을 말한다.
(정답률: 88%)
  • 정답: "화훼장식의 재료에서 화훼장식은 관상의 대상이 되는 초본 식물과 목본식물을 총괄하는 식물을 말한다."

    화훼장식은 조화 소재를 주로 사용하여 실내공간을 장식하는 것이다. 이는 화훼장식의 일반적인 정의이다. 화훼장식은 장식물을 제작, 설치, 유지 및 관리하는 기술을 말하며, 실내 장식의 형태는 절화 장식, 분식물 장식, 실내 정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화훼장식의 재료에서 화훼장식은 관상의 대상이 되는 초본 식물과 목본식물을 총괄하는 식물을 말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유럽의 화훼장식의 역사 중 좌우대칭에서 부드러운 비대칭 형태로 변화하고 S라인의 꽃꽂이 형태가 만들어진 시기는?

  1. 비잔틴
  2. 바로크
  3. 로코코
  4. 르네상스
(정답률: 56%)
  • 바로크 시기에는 대칭적인 화훼장식에서 벗어나 부드러운 비대칭 형태가 주류가 되었으며, S라인의 꽃꽂이 형태가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바로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질감(texture)의 구분과 그에 따른 감정 표현의 연결로 틀린 것은?

  1. 무게 - 가볍다, 약하다
  2. 빛에 대한 반응 - 반투명하다, 광택이 있다
  3. 구조와 조직 - 조밀하다, 불규칙적이다
  4. 촉감 - 야무지다, 느슨하다
(정답률: 83%)
  • 촉감은 손으로 만져보았을 때 느껴지는 질감을 말합니다. 야무지다는 부드럽고 촉촉한 느낌을, 느슨하다는 탄력이 없고 무거운 느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촉감과 야무지다, 느슨하다는 서로 반대되는 의미이므로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