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1-27)

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02-01-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비행기를 이.착륙 방법에 의하여 분류한 것은?

  1. 겹날개 비행기, 중간날개 비행기, 높은날개 비행기, 낮은날개 비행기
  2. 단발 비행기, 쌍발 비행기, 다발 비행기
  3. 육상 비행기, 수상 비행기, 수륙양용 비행기, 비행정
  4. 활공기, 회전날개 항공기, 전환식 항공기
(정답률: 72%)
  • 비행기를 이착륙 방법에 따라 분류하는 것은 비행기가 어떤 환경에서 이착륙을 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육상 비행기는 땅에서 이착륙을 할 수 있으며, 수상 비행기는 물에서 이착륙을 할 수 있습니다. 수륙양용 비행기는 땅과 물 모두에서 이착륙을 할 수 있습니다. 비행정은 이착륙이 아닌 고도를 유지하며 비행하는 비행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육상 비행기, 수상 비행기, 수륙양용 비행기, 비행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비행기가 공기중을 수평등속도 비행할 때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이 아닌 것은?

  1. 추력
  2. 항력
  3. 중력
  4. 가속력
(정답률: 87%)
  • 비행기가 수평등속도 비행을 하고 있을 때, 가속력은 0이기 때문에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은 모두 상쇄됩니다. 따라서 가속력은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행기가 V의 속도를 갖고 수평선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상승하고 있을 때 상승률(RATE OF CLIMB)을 구하는 식은?

  1. V x cosθ
  2. V x tanθ
  3. V2 x sinθ
  4. V x sinθ
(정답률: 46%)
  • 비행기가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지 않고 수평선에 대해 상승하고 있으므로, 비행기의 상승 속도는 비행기의 속도 V와 비행기가 상승하는 각도 θ의 사인 값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상승률을 나타내는 식은 V x sin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 ) 안에 알맞는 뜻은?

  1. 속도
  2. 하중
  3. 진폭
  4. 양력
(정답률: 61%)
  • 이미지에서 보이는 그래프는 시간에 따른 운동의 변화를 나타내는데, 이 때 진폭은 그래프의 최대 높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진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이 초음속 흐름에 수평으로 놓인 다이아몬드형 날개골에서 발생하는 팽창파의 위치는?

  1. ①과 ④
  2. ②와 ⑤
  3. ③과 ⑥
  4. ①과 ⑥
(정답률: 87%)
  • 다이아몬드형 날개골에서 초음속 흐름이 발생하면, 흐름이 빠르고 느린 부분이 생기게 됩니다. 이 때 빠른 부분에서는 압력이 낮아지고, 느린 부분에서는 압력이 높아지면서, 이러한 압력 차이로 인해 초음속 흐름이 방향을 바꾸게 됩니다. 이때, 방향이 바뀌는 지점에서는 압력이 가장 크게 변화하므로, 팽창파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②와 ⑤에서 팽창파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의 날개골 중에서 층류 날개골(laminar flow airfoil)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1. NACA 2412
  2. NACA 23015
  3. NACA 651 - 215
  4. Clark - Y
(정답률: 51%)
  • 층류 날개골은 공기의 흐름이 부드럽게 유지되는 형태의 날개골을 말합니다. 이 중 NACA 651-215은 앞쪽 부분이 뾰족하고 뒷쪽 부분이 둥글게 굽어진 형태로, 고속 비행에 적합한 날개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층류 날개골이 아니거나, 다른 용도에 적합한 형태의 날개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빗놀이 모멘트(Yawing Moment)를 계수형으로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단, q : 동압, S : 날개면적, b : 날개길이, CN : 빗놀이 모멘트 계수로 오른쪽 회전이 (+))

  1. N = CN×q×s2×b2
  2. N = CN×q×s×b
  3. N =(s×b)/(CN×q)
  4. N =(CN×q)/(s2×b2)
(정답률: 63%)
  • 정답은 "N = CN×q×s×b" 입니다.

    빗놀이 모멘트는 날개가 공기를 만나면서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를 의미합니다. 이 모멘트는 날개면적, 날개길이, 동압 등의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빗놀이 모멘트 계수인 CN과 동압인 q, 날개면적인 S, 날개길이인 b를 곱하여 계산합니다. 이 때, S와 b는 각각 제곱하여 곱하는 것이 아니라 곱하기만 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식은 "N = CN×q×s×b"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헬리콥터의 회전날개 허브에 대해 요구하는 특징이 아닌 것은?

  1. 가벼운 무게
  2. 많은 부품 수
  3. 정비 용이성
  4. 긴 수명
(정답률: 85%)
  • 헬리콥터의 회전날개 허브에 대해 요구하는 특징 중에서 "많은 부품 수"는 요구되지 않습니다. 이는 오히려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가벼운 무게와 긴 수명, 그리고 정비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많은 부품 수"는 올바르지 않은 요구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헬리콥터의 깃이 받는 상대풍속이 최대가 되는 곳은?

  1. 회전속도와 전진속도가 반대 방향일 때
  2. 회전속도와 전진속도가 같은 방향일 때
  3. 회전속도와 전진속도가 직각 방향일 때
  4. 모든 방향에서 상대풍속은 같다.
(정답률: 50%)
  • 헬리콥터가 전진하면서 회전할 때, 회전 방향과 전진 방향이 반대 방향이면 상대풍속이 작아지게 되고, 회전 방향과 전진 방향이 직각 방향이면 상대풍속이 더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상대풍속이 최대가 되는 경우는 회전속도와 전진속도가 같은 방향일 때입니다. 이 경우, 회전과 전진이 서로 상쇄되지 않고 더해져서 상대풍속이 가장 크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동적 세로 안정의 단주기 운동 발생시 조종사가 대처해야하는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즉시 조종간을 작동 시켜야 한다.
  2. 비행 불능상태 이므로 즉시 탈출하여야 한다.
  3. 조종간을 자유롭게 놓아야 한다.
  4. 받음각이 작아 지도록 조작해야 한다.
(정답률: 75%)
  • 동적 세로 안정의 단주기 운동 발생시 비행기의 세로 방향이 불안정해지므로, 조종간을 자유롭게 놓아야 비행기가 자연스럽게 안정화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상황에서는 적절하지 않은 대처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항공기 날개 표면에 부착하는 와류발생장치(Vortex generator)는?

  1. 흐름의 떨어짐(박리; Separation)현상을 촉진한다.
  2. 흐름의 떨어짐 현상을 지연시킨다.
  3. 착륙거리 단축에 주 목적이 있다.
  4. 날개 좌우의 균형을 맞추어 준다.
(정답률: 66%)
  • 와류발생장치는 항공기 날개 표면에 부착되어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와류발생장치는 흐름의 떨어짐 현상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즉, 날개 표면에 부착된 와류발생장치는 흐름을 조절하여 날개 표면에서의 압력 차이를 줄이고, 이로 인해 흐름의 떨어짐 현상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됩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정성과 비행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어떤 항공기가 200[m/s]로 비행하고 있다. 이 때의 항력이 3,500[kg]이라면 필요마력은 얼마인가? (단, 1HP는 75[kg·m/s]로 한다.)

  1. 약 1313 HP
  2. 약 2625 HP
  3. 약 5250 HP
  4. 약 9333 HP
(정답률: 66%)
  • 필요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필요마력 = 항력 × 비행속도

    항력은 3,500[kg]으로 주어졌고, 비행속도는 200[m/s]로 주어졌으므로,

    필요마력 = 3,500[kg] × 200[m/s] = 700,000[kg·m/s]

    1HP는 75[kg·m/s]이므로, 필요마력을 HP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필요마력(HP) = 700,000[kg·m/s] ÷ 75[kg·m/s/HP] ≈ 9,333[HP]

    따라서, 정답은 "약 9333 H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V-n 선도에 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항공기 속도에 대한 양력과 항력의 관계를 표시한다.
  2. 표준대기 상태에서 고도에 따른 압력, 밀도, 온도 등의 변화 현황을 보여 준다.
  3. 비행속도와 하중배수와의 관계로써 항공기의 안전비행 한계를 표시한다.
  4. 받음각의 변화에 따른 양력의 증가 또는 감소 현황을 나타낸다.
(정답률: 51%)
  • V-n 선도는 항공기의 비행속도와 하중배수와의 관계로써 항공기의 안전비행 한계를 표시합니다. 즉, 항공기가 어느 속도에서 어느 정도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이를 통해 항공기 운전자들은 안전한 비행을 위해 항공기의 속도와 하중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순항방식중 고속 순항방식은?

  1. 연료를 소비하는데 따라 순항속도를 점차 줄여가는 순항방식
  2. 연료소비에 관계없이 순항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순항방식
  3. 비행기의 성능이 허용하는 최고속도로 비행하는 방식
  4. 기관의 출력을 일정하게 하여, 연료를 소비함에 따라 속도가 증가하는 순항방식
(정답률: 58%)
  • 기관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연료를 소비함에 따라 속도가 증가하는 순항방식은, 기관의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연료를 소비할 때마다 비행기의 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고속 순항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비행기의 실용상승한계는 절대상승한계의 약 몇 %로 정하는가?

  1. 60 ∼ 70 %
  2. 70 ∼ 80 %
  3. 80 ∼ 90 %
  4. 90 ∼ 100 %
(정답률: 42%)
  • 비행기의 실용상승한계는 공기의 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엔진의 효율이 감소하고, 날개의 양력이 감소하여 상승할 수 있는 한계가 생깁니다. 이러한 이유로 비행기의 실용상승한계는 절대상승한계보다 낮습니다.

    절대상승한계는 비행기가 상승할 수 있는 최대한도를 의미하며, 이는 고도 10,000m 이상에서 발생하는 대기압의 감소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에 비해 실용상승한계는 비행기가 실제로 운용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요소들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실용상승한계는 비행기의 종류, 엔진의 성능, 기체의 무게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절대상승한계의 80 ~ 90% 정도로 설정됩니다. 이는 비행기가 실제로 운용될 때 안전하게 상승할 수 있는 한계를 고려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법을 기준으로 하여 항공회사가 정비작업에 관해 안전성 확보 및 효과적인 정비작업의 수행을 목적으로 설정된 기술적인 규칙과 기준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정비조직
  2. 정비규정
  3. 정비관리
  4. 정비지시
(정답률: 82%)
  • 항공법에서는 항공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비작업에 대한 기술적인 규칙과 기준을 정비규정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비규정은 항공기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항공법상 필수적인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항공기 제작회사나 관련기관으로부터 발행되는 기술지시 중 구속력을 갖는 것으로 강제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것은?

  1. 감항성 개선 명령(AIRWORTHINESS DIRECTIVE)
  2. 정비 기술 정보(SERVICE VULLETIN)
  3. 오버홀 교범(OVERHAUL MANUAL)
  4. 전송 정보(TELEX INFORMATION)
(정답률: 65%)
  • 감항성 개선 명령은 항공기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발행되는 것으로, 항공기 운영에 있어서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의무가 있다. 따라서 강제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수직공간이 제한된 곳에 사용되는 스크류 드라이버의 명칭은?

  1. 리이드 스크류 드라이버
  2. 프린스 스크류 드라이버
  3. 오프세트 스크류 드라이버
  4. 래치드 스크류 드라이버
(정답률: 64%)
  • 수직공간이 제한된 곳에서 사용되는 스크류 드라이버는 오프세트 스크류 드라이버입니다. 이는 스크류 드라이버의 머리와 손잡이가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약간의 각도로 떨어져 있어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카운터 싱크(counter sink)는 무엇을 하는데 사용하는 공구인가?

  1. 리벳의 구멍 언저리를 원추모양으로 절삭하는데 사용
  2. 리벳의 구멍을 늘리는데 사용
  3. 리벳을 하고 밖으로 튀어나온 부분을 연마하는데 사용
  4. 리벳이나 스크류를 절단하는데 사용
(정답률: 48%)
  • 카운터 싱크는 리벳의 구멍 언저리를 원추모양으로 절삭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리벳의 머리가 부드럽게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카운터 싱크가 사용되는 목적과는 다른 작업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AN315D-5R너트의 규격을 식별하는 방법에서 5의 의미는?

  1. 사용 볼트의 재질
  2. 사용 볼트의 지름
  3. 사용 볼트의 길이
  4. 사용 볼트의 나사산
(정답률: 59%)
  • AN315D-5R 너트에서 5는 사용하는 볼트의 지름을 나타냅니다. 이는 너트와 볼트가 함께 사용될 때, 너트의 크기가 볼트의 지름과 일치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5R 너트는 지름이 5인 볼트와 함께 사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두께 0.1㎝의 판을 굽힘 반지름 25cm 로서 90° 로 굽히려고 한다. 이때 세트 백(Set back)은 얼마인가?

  1. 25.1㎝
  2. 24.9㎝
  3. 20.1㎝
  4. 19.95㎝
(정답률: 73%)
  • 세트 백(Set back)은 굽힘으로 인해 생기는 길이의 차이를 말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반지름이 25cm 이므로, 굽힌 부분의 둘레는 2π × 25 × (90/360) = 39.27cm 입니다. 이때 판의 두께가 0.1cm 이므로, 굽힌 부분의 둘레에 더해줘야 할 길이는 0.1 × π = 0.314cm 입니다. 따라서 세트 백은 39.27 + 0.314 = 39.584cm 이 됩니다. 이 값을 반지름으로 나누어 주면, 39.584 ÷ (2π × 25) = 0.251cm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0.032인치(inch)두께의 알루미늄 두판을 접합 시키는데 필요한 유니버셜(Universal)rivet는?

  1. AN430 AD-4-3
  2. AN470 AD-4-4
  3. AN426 AD-3-5
  4. AN442 AD-4-4
(정답률: 42%)
  • AN470 AD-4-4은 0.032인치 알루미늄 두께에 적합한 크기의 유니버셜 리벳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두께나 크기가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금속의 표면상의 손상에서 표면에 날카로운 물체로 인해서 좁고 얕게 새겨진 자국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찍힘(nick)
  2. 긁힘(scratches)
  3. 새김(scoring)
  4. 패임(pitting)
(정답률: 75%)
  • 긁힘은 표면에 날카로운 물체가 긁어서 생긴 좁고 얕은 자국을 뜻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긁힘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세성 형광침투 검사에서 유제(Emulsifier)의 기능은?

  1. 허위 결함지시를 제거하여 준다.
  2. 침투제를 물로 세척할 수 있게 해준다.
  3. 현상제의 흡입작용을 도와준다.
  4. 침투제의 침투능력을 증대시켜 준다.
(정답률: 44%)
  • 유제(Emulsifier)는 침투제와 물 사이의 계면장력을 낮춰주어 침투제가 물로 세척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침투제를 물로 세척할 수 있게 해준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고음만 차음할 수 있는 귀마개는 몇 종 인가?

  1. 제 1종
  2. 제 2종
  3. 제 3종
  4. 제 4종
(정답률: 55%)
  • 고음만 차단하는 귀마개는 제 2종 귀마개입니다. 제 1종 귀마개는 낮은 주파수 소음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이며, 제 3종 귀마개는 중간 주파수 소음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입니다. 제 4종 귀마개는 모든 주파수의 소음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일상적인 사용에는 불편하고 비싸기 때문에 특수한 상황에서만 사용됩니다. 따라서 고음만 차단하는 귀마개는 제 2종 귀마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산소취급시의 주의사항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산소자체는 가연성 물질이므로 폭발의 위험 보다는 화재에 유의 한다.
  2. 15m 이내에서 인화성 물질을 취급해서는 않된다.
  3. 취급자의 의류 또는 공구에 유류가 묻어있지 않도록 한다.
  4. 액체산소를 취급할 때는 동상에 걸릴 위험이 있다.
(정답률: 67%)
  • 산소는 자체적으로는 불을 일으킬 수는 없지만, 불이 이미 붙어있는 물질에 대한 연소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에 대한 유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산소취급시에는 화재 예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의 영문 물음에 가장 올바른 것은?

  1. 118°
  2. 90°
  3. 65°
  4. 45°
(정답률: 51%)
  • 삼각형 내각의 합은 180°이므로, 빈칸에 들어갈 각도는 180° - 45° - 17° = 118°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1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 )안에 알맞는 뜻은 ?

  1. 15feet
  2. 25feet
  3. 35feet
  4. 45feet
(정답률: 48%)
  • 이미지에서 보이는 두 개의 빨간색 기둥 사이의 거리가 25피트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비파괴 검사시 변환기, 증폭기, 발전기 등이 필요한 검사법은?

  1. 와전류 검사법
  2. 초음파 탐상법
  3. 침투탐상 검사
  4. 자분탐상 검사
(정답률: 46%)
  • 초음파 탐상법은 소리의 진동수가 20kHz 이상인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 불량 등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변환기로 전기 신호를 초음파로 변환하고, 증폭기로 신호를 증폭시키며, 발전기로 초음파를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변환기, 증폭기, 발전기 등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필러 게이지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두께가 다른 강제의 얇은 편을 모아서 점검 또는 홈의 간격 등의 점검과 측정에 사용
  2. 점화 플러그의 간극을 측정하고 게이지에 부착된 간극 조절용 레버로 플러그 간극을 조절하는 측정 기구
  3. 나사 절삭 바이트의 기준 측정에 사용
  4. 안지름이나 홈을 측정하는 보조 측정기구
(정답률: 56%)
  • "두께가 다른 강제의 얇은 편을 모아서 점검 또는 홈의 간격 등의 점검과 측정에 사용"이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이는 필러 게이지가 두께가 다른 강제의 얇은 편을 모아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이용하여 점검 및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불안전한 행위로 발생되는 사고와 관계 없는 것은?

  1. 물리적 위험 상태
  2. 주위 집중의 산만
  3. 작업자의 능력 부족
  4. 불안전한 습관
(정답률: 46%)
  • 물리적 위험 상태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물리적인 상황이나 조건을 말합니다. 따라서 불안전한 행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작업자의 능력 부족이나 불안전한 습관 등은 물리적 위험 상태와 함께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주위 집중의 산만은 작업자의 주의력을 분산시켜 사고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불안전한 행위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최신형 항공기 조종계통의 비상 작동을 위한 동력 공급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고압 가스는?

  1. 수소
  2. 산소
  3. 히드라진
  4. 할로겐
(정답률: 66%)
  • 히드라진은 고압 상태에서도 안정적이며, 높은 열량을 가지고 있어서 비상 상황에서 급격한 동력 공급이 필요한 항공기 조종계통에 적합합니다. 또한, 히드라진은 산소와 달리 불꽃을 일으키지 않아서 안전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안전에 직접 관련된 설비 및 구급용 치료 설비 등을 쉽게 알아보게 하기 위하여 칠하는 색깔은?

  1. 청색
  2. 황색
  3. 오랜지색
  4. 녹색
(정답률: 87%)
  • 녹색은 안전을 상징하는 색깔 중 하나로, 구급차나 구급함 등 구급용 치료 설비에 사용되며, 화학물질이나 방사선 등 위험한 환경에서도 안전한 지역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녹색은 자연과 친화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안전과 관련된 설비에 적합한 색깔로 인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정기적인 육안검사나 측정 및 기능시험 등의 수단에 의해 장비나 부품의 감항성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정비 방식에 해당되는 것은?

  1. 상태 정비
  2. 기록 정비
  3. 감항성 정비
  4. 오버홀 정비
(정답률: 54%)
  • 상태 정비는 정기적인 검사나 측정을 통해 장비나 부품의 상태를 확인하고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감항성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도 상태 정비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기체 표면을 수리할 때 수리가 된 부분은 원래의 윤곽과 표면의 매끄러움을 유지해야 한다. 고속 항공기에서 이러한 목적으로 패치를 부착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플러시 패치(flush path) 방법
  2. 오버 패치(over patch) 방법
  3. 언더 패치(under patch) 방법
  4. 더블 패치(double patch) 방법
(정답률: 58%)
  • 플러시 패치 방법은 기체 표면에 부착되는 패치가 원래의 윤곽과 표면의 매끄러움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방법이다. 따라서 패치와 기체 표면이 완전히 평행하게 부착되어 표면의 마찰을 최소화하고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승강타 트림탭의 조절은 어느 축에 대하여 항공기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인가?

  1. 종축(longitudinal)
  2. 수직(vertical)
  3. 횡축(lateral)
  4. 수평(horizontal)
(정답률: 37%)
  • 승강타 트림탭은 항공기의 롤 제어에 영향을 미치는 횡축(lateral)에 대하여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승강타 트림탭이 항공기의 좌우 균형을 조절하며, 롤 제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승강타 트림탭의 조절은 횡축(lateral)에 대한 영향이 가장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조종용 케이블에서 와이어나 스트랜드가 굽어져 영구변형 되어 있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Bird cage
  2. Kink cable
  3. Corrosion wire
  4. Broken wire
(정답률: 54%)
  • Kink cable은 케이블에서 와이어나 스트랜드가 굽어져 영구변형 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Bird cage"는 와이어가 엉겨 붙어 새장처럼 보이는 상태를 말하며, "Corrosion wire"는 부식된 와이어를 말합니다. "Broken wire"는 와이어가 부러진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에서 정답은 "Kink cab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날개쪽 방향으로 날개의 외판을 부착하는 것으로 날개의 굽힘강도를 크게하는데 작용하는 것은?

  1. 퍼머
  2. 날개보
  3. 리브
  4. 스트링거
(정답률: 35%)
  • 스트링거는 날개쪽 방향으로 날개의 외판을 부착하여 날개의 굽힘강도를 크게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날개가 고속 비행 중에 발생하는 공기 압력에 대한 저항을 줄이고, 날개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안전성을 높이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대형 항공기 날개표피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합금 2024-T6 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알루미늄-구리 합금이다.
  2. 풀림처리로 열처리한 것이다.
  3. 담금질을 한 후 인공시효 경화한 것이다.
  4. 인장강도가 다른 알루미늄 합금에 비하여 상당히 크다.
(정답률: 36%)
  • 풀림처리는 알루미늄 합금을 열처리하여 결정 구조를 조절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풀림처리로 열처리한 것이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며, 옳은 설명은 "담금질을 한 후 인공시효 경화한 것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하중계수(LOAD FACTOR)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비행중 날개에 작용하는 수직분력과 항공기 총무게와의 비이다.
  2. 정상 수평 비행시의 하중계수는 0 이다.
  3. 수평비행시의 하중계수는 T류에 있어서는 그 값이 2정도이다.
  4. LOAD FACTOR = 1+(관성력/비행기 무게)로 표시한다.
(정답률: 49%)
  • "정상 수평 비행시의 하중계수는 0 이다."가 틀린 것이다. 정상 수평 비행시에도 날개에는 공기가 흐르고, 이에 따라 수직분력이 작용하므로 하중계수는 0이 아니다. 하중계수는 비행기가 받는 중력의 크기를 비행기의 무게로 나눈 값으로, 비행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헬리콥터의 회전날개중 플래핑힌지,페더링힌지,항력힌지의 세 개의 힌지를 모두 갖춘 회전날개의 형식은?

  1. 관절형 회전날개
  2. 반고정형 회전날개
  3. 고정식 회전날개
  4. 베어링리스 회전날개
(정답률: 68%)
  • 관절형 회전날개는 플래핑힌지, 페더링힌지, 항력힌지의 세 가지 힌지를 모두 갖춘 회전날개 형식입니다. 이는 회전날개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헬리콥터가 더욱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형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헬리콥터 꼬리회전날개의 전자장비를 이용한 궤도점검방법에서 회전날개 깃의 단면에 그림과 같이 반사테이프를 붙이고 장비를 작동시켰을 때,정상궤도에서는 어떻게 상이 보이는가?

  1. -
  2. 1
  3. +
  4. -1
(정답률: 72%)
  • 회전날개 깃에 반사테이프를 붙였을 때, 궤도점검 장비에서는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회전날개의 위치를 파악합니다. 정상궤도에서는 회전날개가 일정한 속도와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반사된 빛도 일정한 주기로 감지됩니다. 따라서 "+" 모양의 그림이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응력과 변형률 관계의 재료시험에서 응력이 증가하지 않아도 변형이 저절로 증가하게 되는 점은?

  1. 비례한도점
  2. 항복점
  3. 탄성점
  4. 최대응력점
(정답률: 50%)
  • 항복점은 재료가 일정한 응력 범위 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다가 일정한 응력 이상이 되면 비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지점을 말합니다. 이러한 항복점 이전에는 재료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응력이 증가하지 않아도 변형률이 저절로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응력과 변형률 관계의 재료시험에서 응력이 증가하지 않아도 변형이 저절로 증가하는 이유는 항복점 이전에는 재료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헬리콥터가 자동회전비행을 할 때에 회전날개 구동축을 기관구동축과 분리시키는 장치는?

  1. 자동비행 분리축
  2. 기관분리 구동축
  3. 자동비행장치
  4. 자유회전장치
(정답률: 31%)
  • 헬리콥터가 자동회전비행을 할 때에는 회전날개 구동축을 기관구동축과 분리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바로 자유회전장치입니다. 자유회전장치는 회전날개 구동축과 기관구동축을 분리시켜 회전날개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회전날개는 공기저항을 받아 회전하며, 이로 인해 헬리콥터는 안전하게 감속하고 착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항공기 객실여압은 객실고도 2,400m(8000ft)로 유지한다. 지상의 기압으로 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인간에게 가장 적합하기 때문에
  2. 동체의 강도한계 때문에
  3. 여압펌프의 한계 때문에
  4. 엔진의 한계 때문에
(정답률: 62%)
  • 항공기가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객실 내부의 공기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객실 내부의 공기를 압축해서 유지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객실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 장치는 동체의 강도한계 때문에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만들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항공기 객실의 여압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항공기 출입문중 동체스킨(Skin)의 안으로 여는 형식은?

  1. 플러그형(Plug Type)
  2. 티형(T Type)
  3. 팽창형(Expand Type)
  4. 밀폐형(Seal Type)
(정답률: 66%)
  • 플러그형 출입문은 동체스킨에 구멍을 내고 그 구멍에 출입문이 들어가는 형태로, 출입문이 동체스킨과 밀착되어 완전한 밀폐가 가능하며, 간단하고 신속한 출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접개들이식 착륙장치의 작동 순서가 가장 올바르게 나열 된 것은?

  1. 착륙장치레버작동-다운래치풀림-도어열림-착륙장치내려감-도어가 닫힘
  2. 착륙장치레버작동-도어열림-다운래치풀림-착륙장치내려감-도어가 닫힘
  3. 착륙장치레버작동-업래치풀림-도어열림-착륙장치내려감-도어가 닫힘
  4. 착륙장치레버작동-도어열림-업래치풀림-착륙장치내려감-도어가 닫힘
(정답률: 43%)
  • 접개들이식 착륙장치의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착륙장치레버작동-도어열림-업래치풀림-착륙장치내려감-도어가 닫힘". 이는 착륙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착륙장치레버를 작동시켜야 하며, 이후에 도어를 열어야 합니다. 그리고 업래치를 풀어서 착륙장치가 내려가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도어를 닫아서 착륙장치가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합니다. 따라서 이 순서가 가장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허니컴 구조(Honeycomb Structure)에 있어서 외피(Skin)가 들떠 있거나, 떨어지는 현상을 점검하는 간단한 방법은?

  1. 코인(Coin) 검사
  2. X-선 촬영
  3. 와류탐상 검사
  4. 촉각에 의한 검사
(정답률: 71%)
  • 코인은 평평하고 무게가 일정하여 외피가 들떠 있거나 떨어지는 현상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허니컴 구조의 외피가 들떠 있거나 떨어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코인을 외피 위에 올려놓고 미끄러지거나 떨어지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열가소성 수지중 유압 백업링(Backup Ring), 호스(Hose), 패킹(Packing), 전선피복(Coating)등에 사용되는 수지는?

  1. 폴리에틸렌수지
  2. 테프론(Taflon)
  3. 아크릴수지
  4. 염화비닐수지
(정답률: 51%)
  • 테프론은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PTFE) 수지의 상표명으로, 매우 높은 내열성과 내화학성을 가지고 있어 유압 백업링, 호스, 패킹, 전선피복 등에 사용됩니다. 또한, 테프론은 물에 녹지 않고, 부식되지 않으며, 마찰 계수가 낮아서 매우 미끄러워서 마찰이 적은 환경에서 사용하기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AISI(SAE) 4130 에서"30"에 대한 가장 올바른 설명은?

  1. 탄소를 0.3% 포함한다.
  2. Ni 을 30% 포함한다.
  3. 탄소를 30% 포함한다.
  4. Ni 을 0.3% 포함한다.
(정답률: 57%)
  • AISI(SAE) 4130은 크롬-몰리브덴 강으로, "30"은 탄소 함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탄소를 0.3% 포함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 강종은 탄소 함량이 0.28-0.33% 범위 내에 있으며, 이는 강도와 경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Ni(니켈) 함량은 1.25-2.00% 범위 내에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마그네슘 합금의 특성중 틀린 것은?

  1. 절삭성이 우수하다.
  2. 실용금속중 가장 가볍다.
  3. 내열성, 내마모성이 떨어진다.
  4. 항공기의 구조대로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34%)
  • 정답은 "내열성, 내마모성이 떨어진다."입니다.

    마그네슘 합금은 가볍고 강도가 높아서 항공기의 구조대, 엔진 부품, 자동차 부품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절삭성이 우수하여 가공이 용이합니다. 하지만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온에서 사용되는 부품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재료의 피로(Fatigue)파괴라 함은?

  1. 재료의 인성과 취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법이다.
  2. 합금성질을 변화시키려하는 성질
  3. 시험편(Test Piece)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고 이것에 일정한 하중을 가할때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현상
  4. 재료에 반복하여 하중이 작용하면 그 재료의 파괴응력보다 훨씬 낮은 응력으로 파괴되는 현상
(정답률: 78%)
  • 재료의 피로(Fatigue)파괴는 재료에 반복하여 하중이 작용하면 그 재료의 파괴응력보다 훨씬 낮은 응력으로 파괴되는 현상입니다. 즉, 재료가 반복적인 하중에 노출되면서 점차적으로 손상되어 결국 파괴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재료의 내구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항공기의 구조시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낙하시험
  2. 비행시험
  3. 피로시험
  4. 진동시험
(정답률: 55%)
  • 비행시험은 항공기의 구조나 시스템 등을 실제 비행 상황에서 검증하는 시험이 아니기 때문에, 주어진 보기 중 구조시험의 종류가 아닙니다. 비행시험은 항공기의 비행 성능, 안전성, 안정성 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항공기가 실제 비행 상황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스키드 기어(skid gear)형 착륙장치의 구성품이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전방가로버팀대,후방가로버팀대,스키드,스키드 슈,휠
  2. 전방가로버팀대,휠,스키드,피팅,스키드 슈
  3. 전방가로버팀대,후방가로버팀대,스키드,휠, 완충버팀대
  4. 전방가로버팀대,스키드,스키드 슈,고무부싱,휠
(정답률: 46%)
  • 스키드 기어 착륙장치는 비행기가 땅에 착륙할 때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전방가로버팀대와 후방가로버팀대는 비행기가 착륙할 때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스키드는 비행기가 땅에 닿을 때 마찰력을 제공합니다. 스키드 슈는 스키드와 땅 사이의 마찰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며, 휠은 비행기가 착륙 후 이동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구성품은 "전방가로버팀대, 후방가로버팀대, 스키드, 스키드 슈, 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항공기 구조부에 작용하는 내부하중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압축,전단,비틀림,인장
  2. 압축,전단,비틀림,인장,굽힘
  3. 압축,항력,비틀림,굽힘
  4. 양력,추력,항력,중력
(정답률: 60%)
  • 항공기 구조부에 작용하는 내부하중은 다양한 형태의 힘들이 작용하는데, 이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압축, 전단, 비틀림, 인장, 굽힘입니다.

    - 압축: 구조물의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
    - 전단: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
    - 비틀림: 구조물의 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
    - 인장: 구조물의 축 방향으로 늘어나는 힘
    - 굽힘: 구조물의 수직 방향으로 굽어지는 힘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내부하중이 항공기 구조부에 작용하므로, 항공기 구조부는 이러한 힘들에 대한 강도와 내구성을 충분히 갖추어야 합니다. 따라서 압축, 전단, 비틀림, 인장, 굽힘은 항공기 구조부에 작용하는 내부하중으로 가장 올바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알루미늄 합금에 있어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1. 열처리
  2. 냉간가공
  3. 재료성분
  4. 도장
(정답률: 68%)
  • 알루미늄 합금의 강도는 열처리와 냉간가공, 재료성분 등에 따라 영향을 받지만, 도장은 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도장은 단지 표면을 보호하거나 미관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브레이크 장치가 가열되어 브레이크 라이닝이 소손됨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스키드현상(SKID)
  2. 드래깅현상(DRAGGING)
  3. 그래빙현상(GRABBING)
  4. 페이딩현상(FADING)
(정답률: 32%)
  • 브레이크 장치가 가열되어 브레이크 라이닝이 소손됨으로 브레이크 효과가 감소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브레이크 라이닝과 타이어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미끄러지는 현상을 페이딩현상(FADING)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항공기의 중심위치를 계산할 때 쓰는 모멘트라는 것은 어느 것을 뜻하는가?

  1. 길이 x 무게
  2. 길이 + 무게
  3. 무게 - 길이
  4. (무게 x 길이) % 2
(정답률: 66%)
  • 모멘트는 물체의 회전력을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물체의 질량과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곱한 값입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중심위치를 계산할 때는 항공기의 각 부분의 무게와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곱한 값을 모두 더한 후, 총 무게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이때 거리는 길이를 사용하므로 "길이 x 무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항공기의 최대중량이란?

  1. 자기중량+승무원+최대연료+화물+수화물
  2. 자기중량+승무원+승객+고정된 장비
  3. 자기중량+승무원+고정된장비
  4. 자기중량+유효탑재물
(정답률: 76%)
  • 항공기의 최대중량은 항공기가 안전하게 이륙하고 비행할 수 있는 최대 무게를 의미합니다. 이 중량은 항공기의 자체 무게인 자기중량과 승무원, 승객, 화물, 수화물 등을 포함합니다. 또한, 최대연료도 항공기가 비행할 수 있는 시간과 거리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최대중량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최대중량은 자기중량+승무원+최대연료+화물+수화물로 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그림과 같이 A 지점에 힘이 직각으로 3N과 4N이 작용한다면 합력 F는 얼마인가?

  1. 2.75N
  2. 4.86N
  3. 5.00N
  4. 5.25N
(정답률: 68%)
  • 주어진 힘들의 방향이 직각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합력을 구할 수 있다.

    $$F = sqrt{3^2 + 4^2} = sqrt{9 + 16} = sqrt{25} = 5$$

    따라서 합력 F는 5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