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4-04)

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04-04-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비행기가 수평선과 θ의 각으로 상승비행하고 있다고 하면 힘의 평형식은 진행방향에 대하여 어떤 식으로 나타나는가? (단, T : 추력, W : 비행기의 무게, D : 항력)

  1. D = T sinθ + W
  2. W = T sinθ + D
  3. T = W sinθ + D
  4. sinθ = T D + W
(정답률: 74%)
  • 비행기가 상승비행을 하고 있으므로, 중력과 추력의 합력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때, 수평방향으로는 항력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평방향으로의 힘의 평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T cosθ = D

    여기서, T는 추력, θ는 상승각, D는 항력입니다. 이 식을 cosθ로 나누어주면,

    T = D / cosθ

    cosθ = W / T

    여기서, W는 비행기의 무게입니다. 따라서, T를 구하기 위해서는 D와 W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수직방향으로의 힘의 평형식을 살펴보면,

    T sinθ = W

    따라서, T = W sinθ + D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헬리콥터가 공중에 뜰 수 있다는 것을 처음 밝힌 사람은 누구인가?

  1. 레오나르도다빈치
  2. 케일리
  3. 코르뉘
  4. 시크르스키
(정답률: 81%)
  • 레오나르도다빈치는 15세기 이탈리아의 예술가이자 과학자였습니다. 그는 인간의 날개를 모방하여 비행기를 발명하려는 실험을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공중에 뜰 수 있는 헬리콥터의 아이디어를 제시하였습니다. 따라서 레오나르도다빈치가 헬리콥터가 공중에 뜰 수 있다는 것을 처음 밝힌 사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압축성 유체의 흐름에서 연속 방정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관의 단면적과 유체의 속도는 반비례한다.
  2. 관을 통과하는 유량과 유체의 속도는 반비례한다.
  3. 관의 단면적이 증가하면 유체의 속도는 증가한다.
  4. 관속 유체의 밀도가 감소하면 속도가 감소한다.
(정답률: 53%)
  • 연속 방정식은 유체의 질량 보존 법칙을 나타내는데, 유체의 질량은 유체의 밀도와 유체의 속도, 그리고 관의 단면적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유체의 질량이 보존되어야 하므로, 유체의 속도와 관의 단면적은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관의 단면적이 증가하면 유체의 속도는 감소하고, 관의 단면적이 감소하면 유체의 속도는 증가합니다. 따라서, "관의 단면적과 유체의 속도는 반비례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활공기가 고도 1000m에서 20㎞의 수평활공 거리를 활공할때 양항비는 얼마인가?

  1. 0.2
  2. 2
  3. 20
  4. 50
(정답률: 56%)
  • 양항비는 높이와 수평거리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양항비 = 높이 / 수평거리 입니다. 고도 1000m에서 20㎞의 수평활공 거리를 활공한다는 것은 높이와 수평거리가 1:20의 비율로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양항비는 1:20 이므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비행기가 정상선회를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원심력과 구심력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어야 한다.
  2. 원심력과 구심력은 크기가 같고 방향도 같아야 한다.
  3. 원심력과 구심력은 크기가 다르고 방향이 반대이어야 한다.
  4. 원심력과 구심력은 크기가 다르고 방향이 같아야 한다.
(정답률: 70%)
  • 비행기가 정상선회를 하기 위해서는 중심축 주위를 회전할 때 원심력과 구심력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원심력은 회전하는 물체가 중심축에서 멀어질수록 커지는 힘으로, 비행기가 회전할 때 발생합니다. 반면 구심력은 회전하는 물체가 중심축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려는 힘으로, 비행기가 중심축을 따라 직진하려는 힘입니다. 따라서 원심력과 구심력이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어야 비행기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행기의 정적가로안정을 가장 좋게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1. 동체를 원형으로 만든다.
  2. 쳐든각 날개를 단다.
  3. 꼬리날개를 작게 한다.
  4. 날개의 모양을 원형으로 한다.
(정답률: 83%)
  • 비행기가 공중에서 안정적으로 비행하기 위해서는 정적가로안정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비행기의 날개가 공기를 잘 붙잡아야 합니다. 쳐든각 날개를 달면 공기가 날개 아래쪽으로 흐르면서 날개 위쪽으로 압력을 만들어내어 비행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쳐든각 날개를 달면 비행기의 정적가로안정을 가장 좋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헬리콥터에서 균형의 의미로서 가장 올바른 설명 내용은?

  1. 직교하는 2개의 축에 대하여 힘의 합이"0" 이 되는것
  2. 직교하는 2개의 축에 대하여 모멘트의 합이 각각 "0"이 되는것
  3.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힘과 모멘트의 합이 각각 "0" 이 되는것
  4.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모든 방향의 힘의 합이 "0" 이 되는것
(정답률: 74%)
  • 헬리콥터는 3차원 공간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힘과 모멘트의 합이 각각 "0"이 되어야 균형 상태에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각 축 방향으로 힘과 모멘트가 상쇄되어서, 헬리콥터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힘과 모멘트의 합이 각각 "0" 이 되는것"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크루거 플랩에 대한 설명중 잘못된 것은?

  1. 기구가 복잡하고 작동장치가 크다.
  2. 소형 항공기에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3. 공기역학적으로 슬롯 등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4. 앞전 플랩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33%)
  • 잘못된 것은 "공기역학적으로 슬롯 등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입니다. 크루거 플랩은 공기역학적으로 슬롯과 같은 효과를 갖지 않습니다. 슬롯은 날개 상부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고속 비행시 날개 상부의 고압과 하부의 저압을 연결하여 날개의 양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크루거 플랩은 기체의 흐름을 방향을 바꾸어서 양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크루거 플랩은 슬롯과는 다른 역할을 하며, 공기역학적으로도 다른 효과를 갖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유체흐름의 천이현상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유체의흐름 속도
  2. 유체의 점성계수
  3. 유체의 온도
  4. 흐름에 놓여있는 물체의 형상
(정답률: 55%)
  • 유체의 온도는 유체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유체의 천이현상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유체의 흐름 속도와 점성계수는 유체의 천이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흐름에 놓여있는 물체의 형상은 유체의 천이현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고속 비행기의 날개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뒤젖힘 날개
  2. 삼각날개
  3. 사각날개
  4. 오지날개
(정답률: 81%)
  • 사각날개는 고속 비행기에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공기 저항이 크기 때문입니다. 사각날개는 날개 끝이 직각이기 때문에 공기가 날개 끝에서 만나면 각도가 바뀌어서 공기 저항이 크게 발생합니다. 따라서 고속 비행기에서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뒤젖힘 날개나 삼각날개, 오지날개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천음속 비행시 날개에 이상 진동이 발생하는 현상은?

  1. 시미(shimmy) 현상
  2. 더치롤(dutch roll) 현상
  3. 턱언더(tuck under) 현상
  4. 버피팅(buffeting) 현상
(정답률: 74%)
  • 천음속 비행시 날개 주변의 공기가 불규칙하게 흐르면서 날개에 압력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날개에 이상 진동이 발생하는 현상을 버피팅(buffeting)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안정성을 해치는 위험한 현상으로, 대처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NACA 24120 에 대한 설명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첫자리 숫자 및 셋째자리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4자 계열과 같다.
  2. 마지막 두자리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4자 계열과 다르다.
  3. 평균캠버선의 뒤쪽 반이 곡선이다.
  4. 최대두께가 시위의 10 %이다.
(정답률: 53%)
  • NACA 24120은 4자 계열의 항공기 날개 프로파일 중 하나이며, 평균캠버선의 뒤쪽 반이 곡선인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날개의 양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첫 번째 숫자는 최대 캠버 위치를 나타내고, 마지막 두 자리 숫자는 최대 두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두 번째 보기는 틀린 설명입니다. 네 번째 보기는 최대 두께가 시위의 10%임을 나타내는데, 이는 NACA 24120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문제에서 묻는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비행기에서 실용상승한계는 상승률이 얼마인 경우인가?

  1. 0 m/s 일 때의 고도
  2. 0.5 m/s 일 때의 고도
  3. 1.0 m/s 일 때의 고도
  4. 1.5 m/s 일 때의 고도
(정답률: 48%)
  • 비행기가 상승하는 속도는 엔진의 힘과 공기의 밀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비행기가 상승하는 속도가 높을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서 상승하는 데 필요한 엔진의 힘이 감소합니다. 그러나 일정한 엔진의 힘으로는 어느 정도까지나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비행기가 상승하는 속도가 0.5 m/s일 때, 엔진의 힘으로는 더 이상 상승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실용상승한계에 도달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5 m/s 일 때의 고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항공기에서 큰 날개에 부착되는 조종면은 어느 것인가?

  1. 승강키
  2. 방향키
  3. 도움날개
  4. 태브
(정답률: 82%)
  • 도움날개는 항공기의 큰 날개에 부착되는 조종면으로, 항공기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비행 중에 발생하는 힘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승강키는 항공기의 상승과 하강을 조절하는 조종면이고, 방향키는 항공기의 좌우 방향을 조절하는 조종면입니다. 태브는 항공기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조종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주회전날개(main rotor)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반작용 토크를 상쇄하기 위하여 꼬리회전날개(tail rotor)가 필요한 헬리콥터는?

  1. 단일회전날개 헬리콥터
  2. 직렬식 헬리콥터
  3. 동축역회전식 헬리콥터
  4. 병렬식 헬리콥터
(정답률: 63%)
  • 단일회전날개 헬리콥터는 주회전날개와 꼬리회전날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쇄토크를 상쇄시키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꼬리회전날개가 필요합니다. 다른 세 가지 헬리콥터는 상쇄토크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방식의 회전날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기의 중요부품은 일정한 작동시간에 도달하면 항공기에서 장탈하여 오버홀(overhaul)하여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일정한 작동시간을 정한 규정은?

  1. 항공법
  2. 정비규정
  3. 시행규칙
  4. 정비업무규칙
(정답률: 82%)
  • 정비규정은 항공기의 정비와 관련된 규정으로, 항공기의 중요부품들이 일정한 작동시간에 도달하면 오버홀을 해야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비규정이 정답이 되는 것이다. 항공법, 시행규칙, 정비업무규칙은 항공기의 운영과 관련된 규정이지만, 정비규정은 항공기의 정비와 관련된 규정으로 구체적인 작동시간 등을 규정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항공기와 그 부품, 장비의 손상 및 기능불량 등을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키는 작업은?

  1. 경미한 보수
  2. 일반적인 보수
  3. 개조
  4. 수리
(정답률: 88%)
  • 항공기와 그 부품, 장비의 손상 및 기능불량 등을 원래의 상태로 회복시키는 작업은 "수리"입니다. 이는 손상된 부분을 고쳐서 기능을 복구시키는 것으로, 개조나 일반적인 보수와는 목적과 방법이 다릅니다. 경미한 보수는 작은 고장이나 손상을 수리하는 것이며, 일반적인 보수는 정기적으로 필요한 유지보수 작업을 의미합니다. 개조는 항공기의 성능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장비를 추가하는 등의 변경 작업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외측 마이크로미터의 각부 기능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앤빌과 스핀들은 마이크로미터를 보관할 때 0점 조정을 위해 사용
  2. 클램프와 슬리브 사이에는 측정물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3. 래치스톱은 측정력 이상의 힘이 작용되면 공회전 하도록 되어있다.
  4. 래치노브는 심블의 안쪽둘레에 설치되어 있다.
(정답률: 48%)
  • 외측 마이크로미터의 각부 기능을 설명한 것 중에서 가장 올바른 것은 "래치스톱은 측정력 이상의 힘이 작용되면 공회전 하도록 되어있다."입니다. 이유는 측정력 이상의 힘이 작용하면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래치스톱이 작동하여 스프링이 풀리고 공회전하게 되면 측정값이 정확하게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리벳(Rivet)작업에 있어서 리벳(Rivet)직경을 D라고 했을 때, 리벳의 최소 끝 거리는 얼마인가?

  1. 2D
  2. 4D
  3. 12D
  4. 22D
(정답률: 57%)
  • 리벳 작업에서 리벳을 고정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두 개의 판을 리벳으로 고정시키는 것입니다. 이때, 리벳의 길이는 두 판의 두께를 포함해야 합니다. 즉, 리벳의 최소 끝 거리는 두 판의 두께와 리벳 직경의 합인 2D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용접하기전에 알루미늄을 미리 가열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팽창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2. 산화막을 태워버리기 위해
  3. 용접면이 용제를 받아들일 준비를 하기위하여
  4. 용접하기전에 가열되는 것을 막기위하여
(정답률: 48%)
  • 알루미늄은 높은 열팽창률을 가지고 있어, 용접 시 온도가 높아지면 급격한 팽창으로 인해 용접 부위가 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하기 전에 알루미늄을 미리 가열하여 팽창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AN315D-5R너트의 규격을 식별하는 방법에서 5의 의미는?

  1. 사용 볼트의 재질
  2. 사용 볼트의 지름
  3. 사용 볼트의 길이
  4. 사용 볼트의 나사산
(정답률: 59%)
  • AN315D-5R 너트에서 5는 사용하는 볼트의 지름을 나타냅니다. 이는 너트와 볼트가 함께 사용될 때, 너트의 크기가 볼트의 지름과 일치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5R 너트는 지름이 5인 볼트와 함께 사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검출하기 쉬운 결함 방향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자분탐상검사:자속과 직각방향
  2. 초음파검사:초음파 진행방향과 평행한 방향
  3. 와전류검사:소용돌이 전류흐름을 차단하는 방향
  4. 방사선검사:방사선 진행방향과 평행한 방향
(정답률: 42%)
  • 초음파검사에서 검출하기 쉬운 결함 방향은 "초음파 진행방향과 평행한 방향"이 아니라 "초음파 진행방향과 수직인 방향"입니다. 이유는 초음파는 결함이 있는 부분에서 반사되어 돌아오기 때문에, 결함이 있는 부분과 수직인 방향에서 반사파가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간접 육안검사(Visual Inspection)용 장비가 아닌 것은?

  1. 카메라
  2. 검사용 거울
  3. 확대경
  4. 블랙 라이트
(정답률: 77%)
  • 블랙 라이트는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대상을 보조하는 장비가 아니라, 빛의 파장을 이용하여 물질의 특성을 파악하는 분석용 장비입니다. 따라서 간접 육안검사용 장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항공기 세척제 중 그리이스, 오일, 타르(Tar) 등과 같은 것이 심하게 오염된 부분을 제거하는데 특히 유용한 것은?

  1. 워터 에멀션 세척제(Water emulsion cleaner)
  2. 솔벤트 에멀션 세척제(Solvent emulsion cleaner)
  3. 세척용 컴파운드(Cleaning compound)
  4. 중조(Baking soda)
(정답률: 86%)
  • 솔벤트 에멀션 세척제는 그리이스, 오일, 타르와 같은 오염물질을 용해시키는 솔벤트와 함께 물과 에멀젼을 형성하여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기 세척에서는 이러한 오염물질이 많이 존재하는 부분을 세척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공항 시설물과 각종 장비에는 안전색채가 표시되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한다. 녹색의 안전색채 표시는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가?

  1. 검사중인 장비
  2. 응급처치장비
  3. 보일러
  4. 전원스위치
(정답률: 84%)
  • 녹색의 안전색채 표시는 "안전"을 나타내며, 응급처치장비는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응급처치를 위한 장비이기 때문에 녹색의 안전색채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 ) 안에 알맞는 말은?

  1. Turnbuckle
  2. Tension regulator
  3. Pully
  4. Tension meter
(정답률: 56%)
  • 주어진 그림에서 보이는 것은 긴 철사 두 개가 서로 교차되어 있는 것입니다. 이 두 철사 사이의 긴 철사를 조절하는 장치가 그림 가운데에 있습니다. 이 장치는 긴 철사의 긴장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이러한 기능 때문에 "Tension regulator"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아래 보기의 내용중 "vertical stabilizer"이 의미하는 올바른 단어는?

  1. 수평안정판
  2. 수직안정판
  3. 수직축
  4. 수평축
(정답률: 71%)
  • "Vertical stabilizer"은 비행기의 수직안정판을 의미합니다. "Vertical"은 수직을 뜻하고, "stabilizer"는 안정판을 뜻합니다. 따라서 이 단어는 비행기의 수직 방향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부품을 가리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최소 측정값이 1/50 mm인 버니어 캘리퍼스에서 다음 그림의 측정값은 얼마인가?

  1. 4.52
  2. 4.70
  3. 4.72
  4. 4.75
(정답률: 76%)
  • 버니어 캘리퍼스는 최소 측정값이 1/50 mm 이므로, 가장 가까운 1/50 mm 단위로 측정한 값이 정답이 됩니다.

    위 그림에서 측정한 값은 4.72 mm 입니다.

    - 4.70 mm: 1/50 mm 단위로 반올림하면 4.72 mm 가 됩니다.
    - 4.52 mm: 1/50 mm 단위로 반올림하면 4.50 mm 가 됩니다.
    - 4.75 mm: 1/50 mm 단위로 반올림하면 4.74 mm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7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비파괴 검사법 중 안전에 가장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는 검사법은?

  1. 와전류 검사
  2. 방사선 투과 검사
  3. 침투탐상 검사
  4. 자분탐상 검사
(정답률: 77%)
  • 방사선 투과 검사는 X선이나 감마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를 살펴보는 검사법으로, 검사 대상물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검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방사선은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안전에 가장 철저한 관리가 요구됩니다. 검사 전후에 방사선 측정을 하고, 검사를 수행하는 인력은 방사선 안전 교육을 받아야 하며, 검사장소와 검사대상물은 방사선 안전 기준에 맞게 관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방사선 투과 검사는 안전에 가장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는 검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나사산에 기름이나 그리스가 묻어있을 경우 볼트의 조임 상태는 어떠한가?

  1. 과소 토큐
  2. 정확한 토큐
  3. 드라이 토큐
  4. 과다 토큐
(정답률: 76%)
  • 과다 토큐입니다. 기름이나 그리스가 묻어있을 경우 볼트와 너트 사이에 마찰력이 감소하게 되어 조임력이 충분하지 않아서 느슨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과다한 토큐를 적용하여 볼트와 너트를 더욱 강하게 조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항공기가 이륙하여 착륙할 때 까지의 시간으로 정비분야에서 사용하는 시간은?

  1. 운항시간
  2. 비행시간
  3. 실제비행시간
  4. 사용시간
(정답률: 44%)
  • 항공기가 이륙하여 착륙할 때까지의 시간은 비행시간으로 정비분야에서 사용하는 시간은 비행시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항공기가 실제로 공중에서 비행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정비분야에서는 이 시간을 기준으로 항공기의 정비 계획을 수립하고 작업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정비분야에서 사용하는 시간은 비행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항공기 견인 속도가 틀린 것은?

  1. 시속 8km이다.
  2. 보행 속도이다.
  3. 5mph이다.
  4. 시속 10km이다.
(정답률: 75%)
  • 항공기를 견인할 때는 일반적으로 시속 10km 이상의 속도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시속 10km이다."가 정답입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항공기 견인에는 적합하지 않은 속도나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C급 화재시 사용되는 소화기 중 가장 알맞은 것은?

  1. CO2소화기, CBM 소화기
  2. CBM 소화기, 소화전 소화기
  3. form 소화기, 분말 소화기
  4. 소화전 소화기, 분말 소화기
(정답률: 73%)
  • C급 화재는 전기기기, 전선, 전기판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전기를 차단하고 불꽃을 직접 소화할 수 있는 소화제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CO2 소화기와 CBM 소화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CO2 소화기는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산소를 차단하고 불꽃을 직접 소화합니다. CBM 소화기는 전기기기 내부에 분사되어 전기를 차단하고 불꽃을 직접 소화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소화기가 C급 화재에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기에 급유 또는 배유 시에는 반드시 정전기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3점 접지를 해야한다. 3점 접지와 관계 없는 것은?

  1. 항공기와 사람
  2. 항공기와 연료차
  3. 항공기와 지면
  4. 연료차와 지면
(정답률: 82%)
  • 3점 접지는 항공기와 지면, 연료차와 지면 간의 전기적 차이를 최소화하여 정전기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항공기와 사람은 정전기와 관련이 없으므로 3점 접지와 관계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기를 정비하거나 검사할 때 점검창(access panel)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기능을 하는 특수 고정 부품은 어느 것인가?

  1. 턴 로크 패스너
  2. 고전단 리벳
  3. 고정 볼트
  4. 조볼트
(정답률: 63%)
  • 턴 로크 패스너는 회전하는 동작으로 점검창을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빠르고 쉽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기 정비 및 검사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턴 로크 패스너"가 정답입니다. 고전단 리벳은 단단한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리벳, 고정 볼트는 나사와 유사한 고정 부품, 조볼트는 조임력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착륙장치(LANDING GEAR)의 구조에서 쇽크압서버 스트러트(SHOCK ABSORBER STRUT)의 가장 중요한 역활은?

  1. 항공기 속도에 따라 BRAKE POWER를 자동제어한다.
  2. TIRE(바퀴)의 BEARING을 지지한다.
  3. 착륙장치에 걸린 하중을 동체로 전달한다.
  4. 수직운동 충격에너지(ENERGY)를 흡수한다.
(정답률: 47%)
  • 쇽크압서버 스트러트는 항공기가 착륙할 때 발생하는 수직운동 충격을 흡수하여 항공기와 스트러트 자체를 보호합니다. 이 충격은 항공기와 바닥 사이에 발생하며, 이를 스트러트가 흡수하지 않으면 항공기와 바닥 모두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쇽크압서버 스트러트는 항공기의 안전한 착륙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날개 윗면의 바깥판 일부를 움직여 도움날개와 같이 비행기를 조종하거나 착륙 활주 중에 스피드 브레이크(Speed Brake)의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는?

  1. 플랩(flap)
  2. 스포일러(spoiler)
  3. 도움날개(aileron)
  4. 슬랫(slat)
(정답률: 84%)
  • 스포일러는 날개 윗면의 일부를 올려서 공기 저항을 증가시켜 비행기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착륙 활주 중에 사용되어 비행기가 빠르게 감속하고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비행 중에도 스피드 브레이크로 사용되어 비행기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포일러(spoil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조종계통의 케이블(CABLE)이 온도변화 또는 구조(STRUCTURE)변형에 따른 CABLE의 인장력(TENSION)이 변화하지 않도록 설치된 부품은?

  1. 콘트롤 칼럼(CONTROL COLLUM)
  2. 케이블 텐숀메타(CABLE TENSION METER)
  3. 케이블 텐숀 레규레이타(CABLE TENSION REGULATOR)
  4. 턴버클(TURNBUCKLE)
(정답률: 65%)
  • 케이블 텐숀 레규레이타는 케이블의 인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부품입니다. 온도변화나 구조변형에 따라 케이블의 길이가 변화하면 인장력도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 텐숀 레규레이타는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여 인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따라서 조종계통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케이블 텐숀 레규레이타가 설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샌드위치 구조에 대한 설명중 잘못된 것은?

  1. 보강재를 끼워넣기 어려운 부분이나 동체 마루판에 사용된다.
  2. 무게를 감소시키는 잇점이 있다.
  3. 국부적인 휨 응력이나 피로에 강하다.
  4. 트러스 구조에서 외피로 쓰인다.
(정답률: 67%)
  • 정답은 "트러스 구조에서 외피로 쓰인다."입니다.

    트러스 구조는 보조적인 구조물로, 주로 지붕이나 다리 등에서 사용됩니다. 이 구조물은 보조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외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트러스 구조에서 외피로 쓰인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항공기 주 날개의 외피,날개보,기체구조 부분등에 사용되는 슈퍼 듀랄루민인 7075 S (AA 표기법)는 AL과 무엇의 합금인가?

  1. 구리(Cu)
  2. 망간(Mn)
  3. 규소(Si)
  4. 아연(Zn)
(정답률: 38%)
  • 슈퍼 듀랄루민 7075 S는 알루미늄(AL)과 아연(Zn)의 합금입니다. 이는 아연이 알루미늄과 함께 혼합되면서 강도와 내식성이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아연은 알루미늄과 함께 혼합되면서 강도를 높이고, 동시에 부식에 대한 저항력도 높여주기 때문에 항공기와 같은 고강도 구조물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특수강의 식별방법에 사용되는 SAE 식별방법중 SAE 2330에 관한 설명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탄소강을 나타낸다.
  2. 니켈의 함유량이 23%이다.
  3. 크롬-바나듐강이다.
  4. 탄소의 함유량이 0.30%이다.
(정답률: 66%)
  • SAE 2330은 탄소강을 나타내며, 탄소의 함유량이 0.30%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식별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하는 강종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지만, SAE 2330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탄소 함유량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열가소성 수지로서 가공이 용이하고 기계적 성질이 뛰어나며, 또한 열에 대해 안정하여 약 290℃ 정도의 온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모재수지는?

  1. 에폭시수지
  2.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수지
  3. 폴리아미드수지
  4.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정답률: 53%)
  • 모재수지는 열에 대해 안정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기계적 성질이 뛰어나야 합니다. 이 중에서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수지는 열가소성이 뛰어나고, 가공이 용이하며 기계적 성질이 우수합니다. 또한 약 290℃ 정도의 온도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모재수지로서 매우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폴리에테르 에테르케톤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총무게가 4,000㎏인 항공기에 무게 500㎏의 화물을 현 중심위치에서 부터 50㎝ 뒷쪽에다 실었을때,이 항공기의 중심위치는 원래의 중심 위치로부터 어떻게 이동되는가?

  1. 원래의 중심 위치보다 5.6㎝ 앞쪽으로 이동한다.
  2. 원래의 중심 위치보다 5.6㎝ 뒷쪽으로 이동한다.
  3. 원래의 중심 위치보다 12.3㎝ 앞쪽으로 이동한다.
  4. 원래의 중심 위치보다 12.3㎝ 뒷쪽으로 이동한다.
(정답률: 64%)
  • 이 문제는 무게와 중심 위치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공기의 중심 위치는 항공기의 무게 중심이 위치하는 곳을 말합니다. 무게 중심은 항공기의 무게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경우 항공기의 중심 위치와 일치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500㎏의 화물을 현 중심 위치에서 50㎝ 뒷쪽에 실었다고 합니다. 이 경우, 항공기의 무게 중심은 화물의 무게 중심과 항공기의 무게 중심의 위치에 따라 이동합니다.

    화물의 무게 중심은 화물의 무게 중심 위치와 항공기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 위에 있습니다. 따라서, 화물을 50㎝ 뒷쪽에 실었을 때, 항공기의 중심 위치는 원래의 중심 위치보다 화물의 무게 중심 위치와 항공기의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만큼 뒤로 이동합니다.

    이 거리는 화물의 무게 중심 위치와 항공기의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를 구해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화물의 무게가 항공기의 총 무게의 1/8이므로, 화물의 무게 중심 위치는 항공기의 중심 위치에서 1/8만큼 뒤쪽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화물을 50㎝ 뒤쪽에 실었을 때, 항공기의 중심 위치는 원래의 중심 위치보다 50㎝ × 1/8 = 6.25㎝ 뒤쪽으로 이동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화물의 무게 중심 위치와 항공기의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가 5.6㎝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화물의 무게 중심 위치와 항공기의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를 구할 때, 화물의 무게 중심 위치를 항공기의 중심 위치에서 1/7만큼 뒤쪽으로 위치시켰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중심 위치는 원래의 중심 위치보다 5.6㎝ 뒤쪽으로 이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헬리콥터 동체구조의 형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트러스형
  2. 모노코크형
  3. 세미모노코크형
  4. 샌드위치형
(정답률: 81%)
  • 샌드위치형은 헬리콥터의 동체구조 형식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헬리콥터의 동체구조 형식 중 하나인데, 샌드위치형은 존재하지 않는 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헬리콥터의 주회전날개 깃의 피치각이 같을 때 양력의 불균형으로 인해 회전날개가 위.아래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플래핑운동
  2. 코리올리스효과
  3. 리드-래그운동
  4. 페더링
(정답률: 73%)
  • 플래핑운동은 양력의 불균형으로 인해 주회전날개 깃의 피치각이 같을 때 회전날개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회전하는 공기의 힘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 힘은 회전축 주변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주회전날개 깃의 피치각이 같을 때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헬리콥터에서 기관이 정상작동을 할 때에는 기관의 출력을 주 회전날개에 전달하지만 기관의 고장이나 출력감소에 의해 기관의 회전이 주회전날개보다 늦을 경우 기관을 회전날개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은?

  1. 구동축
  2. 원심클러치
  3. 오버러닝클러치
  4. 토크미터
(정답률: 71%)
  • 기관의 회전이 주 회전날개보다 늦을 경우, 오버러닝클러치는 회전날개와 분리되어 회전날개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회전날개의 속도를 유지하면서 기관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오버러닝클러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항공용 타이어 구조에서 비드 토우(Bead Toe)란?

  1. 트레드 절단과 손상을 방지해주는 합성고무 쿠션
  2. 비드 주위에 부가적으로 만든 고무띠
  3. 타이어 중심에 가장 가까운 내부 비드의 끝단부분
  4. 휠 플렌지(Wheel Flange)에 붙는 외부 비드의 끝부분
(정답률: 54%)
  • 비드 토우는 타이어가 휠 플렌지에 밀착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타이어 중심에 가장 가까운 내부 비드의 끝단부분을 말합니다. 이 부분이 휠 플렌지와 밀착되어야 타이어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비드 토우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으면 타이어가 휠에서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드 토우는 타이어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벌크헤드의 수리시 구조부재의 단면적이 최소 어느 정도 손상 되면 벌크헤드 전체를 교환하는가?

  1. 구조부재의 단면적이 1/2 이상
  2. 구조부재의 단면적이 1/3 이상
  3. 구조부재의 단면적이 1/4 이상
  4. 구조부재의 단면적이 1/5 이상
(정답률: 49%)
  • 벌크헤드는 선박의 안전을 보장하는 중요한 구조물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벌크헤드의 구조부재가 손상되면 선박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구조부재의 단면적이 1/3 이상 손상되면 벌크헤드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안전에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전체를 교환해야 합니다. 이는 구조부재의 단면적이 1/2, 1/4, 1/5 이상 손상되었을 때보다 더 많은 손상이 있어야 전체 교환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복합재료의 초음파검사(Ultrasonic lnspection)중 낮은 주파수의 음향을 피검사물에 주고, 그것에 대한 피검사물로부터의 응답을 이용하는 방법은?

  1. 반사법
  2. 공진법
  3. 투과법
  4. X선검사
(정답률: 43%)
  • 공진법은 피검사물에 낮은 주파수의 음파를 주입하여, 그 음파가 피검사물 내부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면서 공진 현상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공진 현상이 발생하는 주파수는 피검사물의 물성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측정하여 피검사물의 결함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진법은 피검사물의 내부 결함을 검출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시효경화에서 용체화 처리후 가열에 의해 진행하는 시효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상온시효
  2. 인공시효
  3. 가공경화
  4. 냉간가공
(정답률: 42%)
  • 용체화 처리 후 가열에 의해 진행하는 시효를 인공시효라고 합니다. 이는 인위적으로 시간을 단축시켜 시효경화를 진행시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상온시효는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시효이며, 가공경화는 재료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시효입니다. 냉간가공은 재료를 가공할 때 냉각된 상태에서 가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10 x 10㎝인 정사각형 단면보에서 휨 모멘트 2,000㎏·m 가 작용할 때 최대 휨 응력을 구하면 얼마인가?

  1. 1050.5(㎏/㎝2)
  2. 1100.4(㎏/㎝2)
  3. 1200.4(㎏/㎝2)
  4. 1300(㎏/㎝2)
(정답률: 49%)
  • 휨 응력은 M*c/I로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M은 휨 모멘트, c는 단면의 중립축까지의 거리, I는 단면의 관성 모멘트입니다.

    정사각형 단면의 경우 중립축까지의 거리는 한 변의 길이의 절반인 5㎝이며, 관성 모멘트는 (1/12)*a^4입니다. 여기서 a는 한 변의 길이입니다. 따라서 정사각형 단면의 관성 모멘트는 (1/12)*10^4 = 833.3㎠^4입니다.

    따라서 휨 응력은 2,000*5/833.3 = 12,000/833.3 = 14.4(㎏/㎝^2)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최대 휨 응력을 구하는 것이므로, 단면의 가장 먼 지점에서의 응력을 구해야 합니다. 정사각형 단면에서는 가장 먼 지점이 모서리이며, 모서리에서의 응력은 최대 응력입니다.

    모서리에서의 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약 7.07㎝입니다. 따라서 모서리에서의 휨 응력은 2,000*7.07/833.3 = 16.9(㎏/㎝^2)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0.4(㎏/㎝^2)"가 아니라 "1300(㎏/㎝^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정상수평 비행상태에서 양력의 합은 기체의 모든 무게와 평형을 이룬다. 이때 날개의 한계하중은 어떻게 나타내는가?

  1. 한계하중 = {(기체의 모든무게) - (날개의 무게)} x 한계하중배수
  2. 한계하중 = {(기체의 모든무게) + (날개의 무게)} x 한계하중배수
  3. 한계하중 = {(기체의 모든무게) - (날개의 무게)} ÷ 한계하중배수
  4. 한계하중 = {(기체의 모든무게) + (날개의 무게)} ÷ 한계하중배수
(정답률: 38%)
  • 정상수평 비행상태에서 양력의 합은 기체의 모든 무게와 평형을 이루므로, 날개의 항력은 기체의 무게와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날개의 한계하중은 날개가 버틸 수 있는 최대 항력과 같습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한계하중 = 날개의 최대 항력

    날개의 최대 항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날개의 최대 항력 = 날개의 면적 x 한계하중배수

    여기서 한계하중배수는 날개의 형태와 각도, 공기의 밀도 등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입니다.

    따라서, 날개의 한계하중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한계하중 = 날개의 면적 x 한계하중배수

    날개의 면적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한계하중은 한계하중배수에 비례합니다. 그리고 기체의 모든 무게는 항상 일정하므로, 한계하중은 날개의 무게를 빼고 한계하중배수로 나눈 값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수식이 성립합니다.

    한계하중 = {(기체의 모든무게) - (날개의 무게)} x 한계하중배수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힘을 나타내는 벡터(Vector)량의 요소가 아닌 것은?

  1. 능률
  2. 크기
  3. 방향
  4. 작용점
(정답률: 67%)
  • 능률은 힘을 나타내는 벡터량의 요소가 아니며, 힘의 크기, 방향, 작용점은 모두 힘을 나타내는 벡터량의 요소입니다. 능률은 일반적으로 기계나 장치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힘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항공기가 지상에서 날개의 상부표면(Upper Skin)에서 주로 받고 있는 하중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압축(Compression)
  2. 전단(Shear)
  3. 굽힘(Bending)
  4. 인장(Tension)
(정답률: 51%)
  • 항공기가 지상에서 날개의 상부표면에서 주로 받고 있는 하중은 압축입니다. 이는 항공기가 지상에서 주로 자신의 무게를 지탱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하중으로, 날개의 상부표면은 압축하중을 받아들일 수 있는 강도와 강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알루미늄 합금의 부식방지 처리법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알클레드
  2. 양극처리
  3. 알로다인 처리
  4. 파아카라이징
(정답률: 67%)
  • 알루미늄 합금의 부식방지 처리법 중 파아카라이징은 다른 처리법과는 달리 전기적인 방법이 아닌 화학적인 방법으로 부식방지를 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알클레드, 양극처리, 알로다인 처리와는 가장 관계가 먼 것입니다. 파아카라이징은 알루미늄 합금 표면에 나노 두께의 산화막을 형성하여 부식방지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변화시키기 때문에 다른 처리법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헬리콥터 동체 뒤에 위치하면서 꼬리 회전 날개 등이 부착될 수 있는 구조물을 뭐라고 하는가?

  1. 테일 붐
  2. 윈드실드
  3. 랜딩기어
  4. 스키드
(정답률: 87%)
  • 헬리콥터의 동체 뒤에 위치하면서 꼬리 회전 날개 등이 부착될 수 있는 구조물을 "테일 붐"이라고 합니다. 이는 헬리콥터의 안정성과 조종성을 높이기 위한 부품으로, 회전하는 날개를 통해 공기 저항을 만들어 헬리콥터의 방향을 조절합니다. 또한, 테일 붐은 헬리콥터의 전체 무게 중에서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므로 강도와 내구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현대 항공기에서 조향장치(STEERING)가 있는 GEAR는?

  1. NOSE GEAR
  2. TAIL GEAR
  3. MAIN GEAR
  4. FLOAT GEAR
(정답률: 48%)
  • 조향장치(STEERING)는 비행기를 지상에서 조종할 때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지상 조종을 담당하는 전방에 위치한 노즈(NOSE) 부분에 있는 기어가 조향장치(STEERING)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NOSE GEA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항공기의 재료로 쓰이는 금속중 가장 가벼운 금속으로 전연성, 절삭성이 우수한 합금은?

  1. 니켈합금
  2. 마그네슘합금
  3. 티탄합금
  4. 구리합금
(정답률: 78%)
  • 마그네슘합금은 가장 가벼운 금속으로, 전연성과 절삭성이 우수하여 항공기의 구조물이나 엔진 부품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내식성이 뛰어나고 고온에 강한 특성이 있어 항공기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에 기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외력을 받는 평면 구조물이 그 지지점에서 반력이 생겨 평형을 유지한다면, 이 계에 작용하는 평면 구조물의 평형 방정식에서 포함되지 않는 내용은?

  1. 모든 수평 분력의 합은 0 이다.
  2. 모든 수직 분력의 합은 0 이다.
  3. 임의의 점에 대한 모멘트의 합은 0 이다.
  4. 모든 인장 및 압축의 합은 0 이다.
(정답률: 43%)
  • 평면 구조물이 평형을 유지하려면, 모든 외력과 반력의 합이 0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모든 수평 분력의 합과 모든 수직 분력의 합이 0이 되어야 합니다. 또한, 임의의 점에 대한 모멘트의 합도 0이 되어야 합니다. 이때, 인장과 압축은 구조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내력이므로, 외력과 반력의 합을 구하는 평형 방정식에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모든 인장 및 압축의 합은 0 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피로 파괴에서 피로(fatigu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피로란 반복하중에 의하여 재료의 저항력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2. 피로란 일정한 응력을 받는 재료가 시간에 따라 변형률이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3. 피로란 진동에 의해서 재료가 응력이 증가되는 현상을 말한다.
  4. 피로란 열응력에 의해서 재료의 한계가 증가되는 현상을 말한다.
(정답률: 65%)
  • 피로는 반복하중에 의하여 재료의 저항력이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재료 내부의 결함이나 미세한 균열 등이 반복적인 응력에 의해 확대되어 재료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피로 파괴는 반복적인 응력에 노출된 재료에서 발생하는 파괴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