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1-22)

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06-01-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팽창파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유체가 통과할 경우 압력이 감소한다.
  2. 에너지 손실이 생긴다.
  3. 초음속 흐름에서만 생긴다.
  4. 표면에 항상 경사지게 된다.
(정답률: 39%)
  • 팽창파는 유체 내부에서 압력과 밀도의 변화가 일어나는 파동으로, 유체가 통과할 경우 압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때, 압력의 감소로 인해 에너지가 손실되는데, 이것이 팽창파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에너지 손실이 생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비행기의 수직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방향을 좌 또는 우로 변경하는 데 관련된 가장 중요한 것은?

  1. 옆놀이 모멘트(rolling moment)
  2. 키놀이 모멘트(pitching moment)
  3. 빗놀이 모멘트(yawing moment)
  4. 비틀림 모멘트(twisting moment)
(정답률: 76%)
  • 비행기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방향을 변경하는 것은 빗놀이 모멘트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는 비행기의 수직축 주변에 발생하는 회전력으로, 비행기의 수평축과 수직축 사이의 각도를 변경합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방향을 좌 또는 우로 변경하려면 빗놀이 모멘트를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NACA 5자 계열의 날개골을 표시한 다음의 예에서 밑줄 친 '20'이 의미하는 것은?

  1. 최대 두께가 시위의 20%이다.
  2. 최대 캠버의 크기가 시위의 20%이다.
  3. 최대 캠버의 위치가 시위의 20%이다.
  4. 평균 캠버선의 뒤쪽 20%가 직선이다.
(정답률: 61%)
  • 밑줄 친 '20'은 해당 날개골의 최대 두께가 해당 곳에서 시위(chord)의 20%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날개골의 두께가 시위의 어느 지점에서 가장 두꺼운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는 날개골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공기보다 무거운 항공기의 분류가 아닌 것은?

  1. 기구
  2. 비행기
  3. 활공기
  4. 헬리콥터
(정답률: 80%)
  • 기구는 공기보다 무거운 항공기의 분류가 아닙니다. 기구는 공기 중에서 부력을 이용하여 비행하는 항공기로, 공기보다 무거운 항공기의 분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비행기, 활공기, 헬리콥터는 모두 공기를 이용하여 비행하는 항공기이며, 공기보다 무거운 항공기의 분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항공기 날개 표면에 부착하는 와류발생장치(Vortex generator)의 주목적은 무엇인가?

  1. 흐름의 떨어짐(박리; Separation)현상을 촉진한다.
  2. 흐름의 떨어짐 현상을 지연시킨다.
  3. 착륙거리 단축에 주목적이 있다.
  4. 날개 좌우의 균형을 맞추어 준다.
(정답률: 67%)
  • 와류발생장치는 항공기 날개 표면에 부착되어 흐름의 떨어짐 현상을 지연시킵니다. 이는 날개 상부에서 발생하는 고속의 공기와 하부에서 발생하는 저속의 공기가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압력 차이를 줄여주어 날개 표면에 붙어있는 공기의 흐름을 유지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항공기의 기체력을 향상시키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행기의 상승률이 좋아지게 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는?

  1. 이용마력
  2. 상승마력
  3. 여유마력
  4. 최대마력
(정답률: 39%)
  • 비행기의 상승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여유마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여유마력은 비행기가 현재 필요한 마력보다 더 많은 마력을 가지고 있어서 예기치 않은 상황이나 비상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는 여유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여유마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비행기는 상승하는 도중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이는 비행기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 ) 안에 알맞은 말은?

  1. 양력계수 ×항력계수
  2. (양력계수)1/2 × 항력계수
(정답률: 39%)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문제에서 주어진 공식인 "양력계수 × 항력계수"에서 양력계수가 1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양(+)의 동적안정(positive dynamic stability)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 하는가?

  1. 수평 비행 시 가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경향
  2. 평형상태에서 벗어난 뒤에 다시 평형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초기의 경향
  3. 비행기가 평형상태에서 이탈된 후, 그 변화의 진폭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되는 것
  4. 비행기가 평형상태에서 이탈된 후, 그 변화의 진폭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되는 것
(정답률: 51%)
  • 양(+)의 동적안정(positive dynamic stability)이란 비행기가 평형상태에서 이탈된 후, 그 변화의 진폭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비행기가 초기에는 평형상태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이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경향이 강해지면서 비행기의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행기가 평형상태에서 이탈된 후, 그 변화의 진폭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조종사가 5000의 상공을 일정 속도로 낙하산으로 하강하고 있다. 조종사의 무게가 90kgf, 낙하산 지름이 6, 항력 계수 CD가 2.0일 때 속도는 몇 m/s인가? (단, 공기의 밀도는 ρ=1.0kg/m3이고, g는 중력가속도이다.)

(정답률: 53%)
  • 먼저, 중력과 항력이 평형을 이루어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중력 = 항력

    mg = 1/2ρv^2CDπr^2

    여기서, m은 조종사의 질량, g는 중력가속도, ρ는 공기의 밀도, v는 속도, CD는 항력 계수, r은 낙하산 지름이다.

    따라서, 속도 v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 = √(2mg/ρCDπr^2)

    여기에 조종사의 무게와 낙하산 지름, 항력 계수, 공기의 밀도, 중력가속도를 대입하면,

    v = √(2×90×9.8/(1.0×2.0×π×(6/2)^2)) ≈ 14.7 (m/s)

    따라서, 속도는 약 14.7m/s이다.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병렬식 회전날개 헬리콥터의 단점에 대한 설명 내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평 비행 시 유해항력이 크다.
  2. 세로안정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꼬리날개를 가진다.
  3. 무게 중심 이동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대형기에만 적합하다.
  4. 회전날개 상호간의 충돌을 피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정답률: 45%)
  • 병렬식 회전날개 헬리콥터는 회전날개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날개의 간격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무게 중심 이동범위가 제한되어 대형기에만 적합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헬리콥터 플래핑 힌지(flapping hinge)의 주목적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회전날개 깃이 회전면 안에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해주는데 있다.
  2. 회전날개 깃이 회전면 안에서 앞 뒤 방향으로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3. 회전날개 면에서의 양력 불균형 현상을 제거하는데 있다.
  4. 회전날개 깃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정답률: 49%)
  • 헬리콥터의 회전날개는 회전면에서의 양력 불균형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회전날개 플래핑 힌지는 회전면에서의 양력 불균형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비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회전날개 면에서의 양력 불균형 현상을 제거하는데 있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수직꼬리날개와 동체 상부에 장착하여 방향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은?

  1. 실속 스트립(stall strip)
  2. 볼텍스 발생장치(vortex generator)
  3. 슬롯(slot)
  4. 도살 핀(dorsal fin)
(정답률: 92%)
  • 도살 핀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동체 상부에 위치하여 항공기의 방향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항공기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A, B, C 3대의 비행기가 각각 1000m, 5000m, 10000m의 고도에서 동일한 마하 속도로 비행하고 있다. 각 비행기의 마하계가 지시하는 마하수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A < B < C
  2. A > B > C
  3. A > C > B
  4. A = B = C
(정답률: 80%)
  • 마하수는 비행기가 비행 중인 대기의 속도와 비교하여 나타내는 비행기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대기의 밀도가 높을수록 비행기의 마하수는 낮아지고, 대기의 밀도가 낮을수록 비행기의 마하수는 높아진다.

    따라서, 고도가 높을수록 대기의 밀도가 낮아져 비행기의 마하수는 높아진다. 따라서 A, B, C 비행기의 마하수는 A < B < C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비행기의 하중배수를 수식으로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비행기 무게 /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
  2. 비행기에 작용하는 항력 / 비행기 무게
  3. 비행기 무게 / 비행기에 작용하는 항력
  4.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 / 비행기 무게
(정답률: 58%)
  • 정답은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 / 비행기 무게"입니다.

    비행기가 비행 중에는 공기의 압력과 중력 등 여러 가지 힘이 작용합니다. 이 중에서 비행기가 날아가는 데 가장 중요한 힘은 항력과 추력입니다. 항력은 비행기가 공기 중에서 날아가면서 공기의 압력과 마찰력 등으로 발생하는 반대 방향의 힘입니다. 추력은 비행기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힘으로, 비행기를 앞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비행기가 안정적으로 비행하기 위해서는 항력과 추력이 비행기의 무게와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하중배수는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항력+추력)을 비행기의 무게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이는 비행기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는 조건을 나타내는 수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대기권에서 전리층이 존재하며 전파를 흡수·반사하는 작용을 하여 통신에 영향을 끼치는 곳은?

  1. 대류권
  2. 성층권
  3. 열권
  4. 중간권
(정답률: 70%)
  • 정답인 "열권"은 대기권에서 가장 높은 고도에 위치하며, 이곳은 전파를 흡수하고 반사하는 작용을 하여 통신에 영향을 끼칩니다. 이는 지상과 우주 사이를 연결하는 위성 통신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기를 강풍이나 돌풍으로부터 기체를 보호하기 위한 작업을 무슨 작업이라고 하는가?

  1. 항공기 계류작업
  2. 항공기 견인작업
  3. 항공기 유도작업
  4. 항공기 고정작업
(정답률: 78%)
  • 항공기 계류작업은 강풍이나 돌풍으로부터 항공기를 보호하기 위해 항공기를 고정하는 작업이 아니라, 항공기를 공중에 떠있게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조종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목적과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항공기 계류작업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문장이 뜻하는 계기로 옳은 것은?

  1. Air speed indicator
  2. Altimeter
  3. vertical velocity indicator
  4. turn and slip indicator
(정답률: 70%)
  • 이미지에는 고도계(Altimeter)의 이미지가 나타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ltime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항공기에서 납산 축전지보다 니켈-카드뮴 축전지가 많이 쓰이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큰 전류를 일시에 써도 무리가 없다.
  2. 유지비가 저렴하다.
  3. 재충전 소요시간이 짧다.
  4. 가격이 저렴하다.
(정답률: 48%)
  •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은 다른 보기에 비해 경제적인 선택이기 때문에 항공기에서 많이 쓰인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항공기 기관이나 기체의 점검창을 정비하거나 검사할 목적으로 신속히 열고 닫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은 무엇인가?

  1. 아이볼트
  2. 자동고정너트
  3. 턴 로크 파스너
  4. 솔리드 생크 리벳
(정답률: 52%)
  • 턴 로크 파스너는 빠르게 열고 닫을 수 있으며, 기체나 기계의 점검창을 정비하거나 검사할 때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이는 특히 항공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체 내부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비파괴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자력검사
  2. 방사선검사
  3. 와전류검사
  4. 조직검사
(정답률: 74%)
  • 조직검사는 생체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 등을 이용하여 조직의 구조나 세포의 형태, 기능 등을 분석하는 검사이므로 비파괴검사에 속하지 않습니다. 반면 자력검사, 방사선검사, 와전류검사는 물체의 내부나 표면을 검사하는 비파괴검사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활주로 횡단 시 관제탑에서 사용하는 신호등에 의한 신호가 녹색등일 때 조치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안전 - 빨리 횡단하기
  2. 안전 - 횡단 가능
  3. 사주를 경계한 후 횡단 가능
  4. 위험- 빨리 횡단하기
(정답률: 81%)
  • 안전 - 횡단 가능은 활주로를 횡단할 수 있는 안전한 상황이라는 뜻입니다. 신호등이 녹색으로 바뀌면 비행기가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 활주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활주로를 횡단해도 안전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주의해야 하며, 활주로를 빠르게 횡단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정한 작동시간에 도달되면 항공기에서 장탈하여 오버홀을 해야 하는 항공기 부분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시간 검사성 품목
  2. 시간 안전성 품목
  3. 시간 신뢰성 품목
  4. 시간 한계성 품목
(정답률: 67%)
  • 시간 한계성 품목은 일정한 작동시간에 도달하면 교체 또는 오버홀이 필요한 부품으로, 작동시간이 지나면 안전성과 신뢰성이 저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품은 정기적인 점검과 교체가 필요하며, 이를 미루면 항공기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은 볼트의 식별 방법을 표시한 것이다. 식별 내용 중 볼트 머리에 구멍이 난 상태를 알려주는 것은?

  1. AN
  2. DD
  3. H
  4. A
(정답률: 54%)
  • 정답인 "H"는 볼트 머리에 구멍이 난 상태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볼트의 크기, 나사의 간격 등과 같은 다른 식별 방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항공기 외부 세척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습식 세척
  2. 건식 세척
  3. 광택 작업
  4. 쇼트 블라스트 세척
(정답률: 65%)
  • 쇼트 블라스트 세척은 항공기 외부에 있는 녹, 오염물, 부식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 고압 공기나 물을 사용하여 세척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세척 방법들은 모두 항공기 외부를 물로 세척하는 방법이지만, 쇼트 블라스트 세척은 고압 공기나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거리가 먼 세척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토크렌치로 어떤 볼트를 180in-lbs로 조이려고 한다. 토크 렌치 길이가 10inch이고 여기에 길이가 2inch인 어댑터(ADAPTER)를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 토크렌치에 지시되어야 할 TORQUE 값은?

  1. 150inch-lbs
  2. 180inch-lbs
  3. 210inch-lbs
  4. 220inch-lbs
(정답률: 53%)
  • 토크렌치와 어댑터가 직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토크렌치의 토크 값과 어댑터의 토크 값은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어댑터에 가해지는 토크 값은 180in-lbs입니다.

    어댑터의 길이가 2인치이므로, 토크렌치의 토크 값은 어댑터의 토크 값에 2를 곱한 값과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토크렌치에 지시되어야 할 토크 값은 180in-lbs x 2in = 360in-lbs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토크렌치의 길이가 10인치이므로, 실제로 가해지는 토크 값은 360in-lbs / 10in = 36lb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6lb x 4.17in = 150inch-lb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밑줄 친 부분을 의미하는 올바른 단어는?

  1. 이륙
  2. 착륙
  3. 순항
  4. 급강하
(정답률: 74%)
  • 위 그림은 비행기가 이륙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이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접지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정전기의 축적을 막는다.
  2. 정전기를 축적 시킨다.
  3. 번개의 위험을 벗어나기 위한 작업이다.
  4. 모든 항공기에는 접지 장치가 별도로 있다.
(정답률: 77%)
  • 접지의 목적은 정전기의 축적을 막는 것입니다. 이는 전기적으로 충전된 물체가 지면과 연결되어 정전기가 분산되어 안전하게 방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정전기로 인한 화재나 폭발 등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항공기의 급유 및 배유 시 유의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3점 접지를 해야 한다.
  2. 지정된 위치에 소화기를 배치해야 한다.
  3. 지정된 위치에 감시요원을 반드시 위치시킬 필요는 없다.
  4. 연료 차량은 항공기와 충분한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정답률: 85%)
  • 항공기의 급유 및 배유 시에는 지정된 위치에 감시요원을 반드시 위치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이는 항공기의 급유 및 배유 시에는 안전을 위해 감시요원이 필요하지만, 이를 반드시 지정된 위치에 위치시킬 필요는 없기 때문입니다. 다만, 3점 접지를 해야 하고, 지정된 위치에 소화기를 배치해야 하며, 연료 차량은 항공기와 충분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자분탐상검사에 대한 설명 내용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미세한 균열검사에는 건식자분이 좋다.
  2. 비자성체에도 적용 가능하다.
  3. 탈자는 반드시 교류를 이용한다.
  4. 검사전 시험편 표면의 기름, 도료, 녹을 제거한다.
(정답률: 59%)
  • 자분탐상검사는 검사 시험편의 표면을 자연상태로 관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 때, 검사전 시험편 표면의 기름, 도료, 녹을 제거해야 하는 이유는 이러한 물질들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물질들을 제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기체 구조를 수리할 때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사항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원래의 강도 유지
  2. 원래의 형태 유지
  3. 최소 무게 유지
  4. 최소의 정비 비용
(정답률: 75%)
  • 기체 구조를 수리할 때 최소의 정비 비용을 지켜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체 구조를 수리할 때 원래의 강도와 형태를 유지하면서 최소한의 무게를 유지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따라서, 수리 작업을 할 때는 최소한의 정비 비용을 지켜야 합니다.

    만약 수리 작업을 할 때 원래의 강도와 형태를 유지하면서 최소한의 무게를 유지하는 것이 우선시된다면,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됩니다. 이는 부품을 새로 구입하거나, 특수한 기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최소한의 정비 비용을 지켜서 수리 작업을 한다면,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체 구조를 수리하는 데 필요한 부품을 재활용하거나, 보다 간단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체 구조를 수리할 때는 최소한의 정비 비용을 지켜야 합니다. 이는 비용을 절약할 뿐만 아니라, 기체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데도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판재의 모서리와 이웃하는 리벳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리벳간격
  2. 열간격
  3. 연거리
  4. 가공거리
(정답률: 48%)
  • 판재의 모서리와 이웃하는 리벳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연거리라고 합니다. 이는 리벳이 판재에 고정되는 거리를 나타내며, 연결된 부품이나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연거리는 제조 과정에서 정확하게 측정되어야 하며, 설계 시에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A급 화재 진압용 소화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포말 소화기
  2. 브로모 클로로메탄 소화기
  3. 이산화탄소 소화기
  4. 물펌프 소화기
(정답률: 70%)
  • A급 화재는 고체물질인 종이, 나무, 섬유 등이 연소되는 화재를 말합니다. 이러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는 산소를 차단하거나 냉각시켜야 합니다. 이 중에서 물펌프 소화기는 물을 분사하여 불을 끄고, 동시에 불을 냉각시키는 효과가 있어 A급 화재 진압에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토크 작업 시 사용하는 공구 중 비교적 작은 토크 값으로 스크류를 체결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Preset torque driver
  2. Deflecting beam torque wrench
  3. Rigid frame torque wrench
  4. Audible indicating torque wrench
(정답률: 37%)
  • 정해진 작은 토크 값을 설정하여 스크류를 체결할 수 있는 공구는 Preset torque driver입니다. 다른 공구들은 토크 값을 조절할 수 있지만, Preset torque driver는 미리 설정된 값만큼만 체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은 토크 값으로 체결할 때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작은 바이스처럼 부품을 잡아주며 부러진 스터드나 꽉 낀 코터핀을 장탈하는데 가장 적합하게 사용되는 공구는?

  1. 록킹 플라이어(locking pliers)
  2. 스냅 링 플라이어(snap ring pliers)
  3. 슬립 조인트 플라이어(slip joint pliers)
  4. 컨넥터 플라이어(connector pliers)
(정답률: 36%)
  • 록킹 플라이어는 특별한 잠금장치로 부품을 꽉 잡아주어 부러진 스터드나 꽉 낀 코터핀을 쉽게 장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은 바이스처럼 부품을 잡아주며 부러진 스터드나 꽉 낀 코터핀을 장탈하는데 가장 적합한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예방정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처음부터 고장 발생을 전제로 한다.
  2. 부품을 고장과 상관없이 일정시간 후에 교체한다.
  3. 잦은 교환과 분해 작업으로 조기 고장의 원인이 된다.
  4. 장비품이나 부품을 조기에 떼어 내므로 부품의 특성 파악이 용이하다.
(정답률: 32%)
  • "장비품이나 부품을 조기에 떼어 내므로 부품의 특성 파악이 용이하다."는 예방정비의 장점으로, 부품이나 장비를 일정 주기마다 분해하여 점검하고 교체함으로써, 부품의 상태를 파악하고 미리 대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예방정비의 단점이나 부작용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와는 거리가 먼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구조부재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봉재는 길이가 나비와 두께에 비하여 짧은 1차원 구조부재이다.
  2. 길이와 수직 방향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굽힘이 발생하는 부조는 보(beam)이다.
  3. 봉재 중 비교적 긴 부재로서, 길이방향으로 인장을 받는 부재는 기둥(column)이다.
  4. 막대로만 연결된 구조를 모노코크구조라 하며, 외피는 하중을 담당한다.
(정답률: 39%)
  • 보(beam)는 길이와 수직 방향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굽힘이 발생하는 부조이다. 이는 보가 길이 방향으로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굽힘에 강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길이와 수직 방향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굽힘이 발생하는 부조는 보(beam)이다."가 가장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헬리콥터 비행 중에 회전 날개의 깃이 회전할 때에 각각의 깃의 궤적간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플래핑
  2. 궤도
  3. 회전면
  4. 피치
(정답률: 54%)
  • 회전 날개의 깃이 회전할 때 각각의 깃은 서로 다른 궤도를 그리며 움직입니다. 이 궤도를 궤도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궤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안전결선용 와이어, 부싱, 나사, 로드, 코터핀 및 케이블 등 항공요소에 쓰이는 철강재료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순철
  2. 탄소강
  3. 특수강
  4. 주철
(정답률: 56%)
  • 안전결선용 와이어, 부싱, 나사, 로드, 코터핀 및 케이블 등 항공요소에 쓰이는 철강재료는 고강도와 내구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탄소강이 가장 적합합니다. 탄소강은 탄소와 철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가공이 용이합니다. 또한,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구할 수 있어 경제적입니다. 따라서, 안전결선용 와이어, 부싱, 나사, 로드, 코터핀 및 케이블 등 항공요소에 쓰이는 철강재료로는 탄소강이 가장 올바른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5×5㎝인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막대(bar)에 1000N의 힘이 작용할 때, 단면에서의 응력 σ은 몇 N/cm2인가?

  1. 2
  2. 4
  3. 20
  4. 40
(정답률: 56%)
  • 응력은 힘에 단면적을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응력 σ = 힘(F) / 단면적(A) 입니다.

    단면적은 5×5=25㎠ 이므로,

    σ = 1000N / 25㎠ = 40N/㎠ = 40N/cm2

    따라서, 정답은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비행 중 날개의 상부와 하부에 작용하는 응력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전단, 인장
  2. 전단, 압축
  3. 압축, 인장
  4. 압축, 굽힘
(정답률: 65%)
  • 비행 중 날개는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상부는 압축, 하부는 인장이 발생합니다. 상부는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압축되어 날개가 축소되는 반면, 하부는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늘어나기 때문에 인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답은 "압축, 인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조종용 케이블에서 와이어나 스트랜드가 굽어져 영구 변형되어 있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버드 케이지(Bird cage)
  2. 킹크 케이블(Kink cable)
  3. 와이어 부식(Corrosion wire)
  4. 와이어 절단(Broken wire)
(정답률: 65%)
  • 조종용 케이블에서 와이어나 스트랜드가 굽어져 영구 변형되어 있는 상태를 "킹크(Kink)"라고 합니다. 이는 와이어나 스트랜드가 강제로 굽혀져서 그 형태가 영구적으로 변형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킹크 케이블(Kink cable)"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기체구조에 부착되는 벌집구조부의 알루미늄 코어의 손상 시 대체용으로 자주 쓰이는 벌집구조부 코어의 재질은?

  1. 마그네슘
  2. 스테인리스강
  3. 티타늄
  4. 유리섬유
(정답률: 52%)
  • 벌집구조부는 경량화와 강성을 동시에 충족시키기 위해 알루미늄 코어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알루미늄 코어가 손상될 경우 대체용으로 자주 사용되는 재료는 유리섬유입니다. 이는 유리섬유가 경량화와 강성을 동시에 갖춘 재료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유리섬유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부식에 강하며, 열과 전기 저항성이 높아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알루미늄 합금의 성질별 기호에서 T가 의미하는 것은?

  1. 제조 상태 그대로인 것
  2. 냉간 가공한 것
  3. 열처리한 것
  4. 용체화 처리 후 자연 시효 한 것
(정답률: 58%)
  • T는 열처리를 의미합니다. 알루미늄 합금은 열처리를 통해 강도와 경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T로 표기된 합금은 열처리를 거친 합금으로, 높은 강도와 경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회전 날개 깃의 재료가 아닌 것은?

  1. 목재
  2. 금속
  3. 복합재료
  4. 석면
(정답률: 63%)
  • 석면은 고온에서도 유지되는 내열성이 있지만, 회전 날개 깃은 고온과 고압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내열성이 필요하지만 내화성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석면은 회전 날개 깃의 재료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열경화성 수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페놀수지
  2. 폴리염화비닐수지
  3. 폴리우레탄수지
  4. 에폭시 수지
(정답률: 49%)
  • 열경화성 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폴리염화비닐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되지 않습니다. 폴리염화비닐수지는 열가소성 수지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헬리콥터 회전날개 깃의 피치를 변화시키는 것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플래핑 힌지
  2. 페더링 힌지
  3. 항력 힌지
  4. 댐퍼
(정답률: 54%)
  • 페더링 힌지는 회전날개 깃의 피치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회전날개가 회전할 때 헬리콥터의 방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헬리콥터의 안정성과 조종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플래핑 힌지는 회전날개의 상승과 하강을 조절하며, 항력 힌지는 회전날개의 회전 방향을 조절합니다. 댐퍼는 헬리콥터의 진동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착륙 시 항공기 무게가 지면에 가해지는 앞·뒷바퀴의 달라진 하중을 균등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장치는?

  1. 트럭 빔 (Truck beam)
  2. 제동평형로드 (Brake equalizer rod)
  3. 토션링크 (Torsion link)
  4. 트러니언 (Trunnion)
(정답률: 50%)
  • 제동평형로드는 착륙 시 항공기의 무게가 지면에 가해지는 앞·뒷바퀴의 달라진 하중을 균등하게 작용하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실제의 착륙상태, 또는 그 이상의 조건에서 착륙 장치의 완충능력 및 하중 전달 구조물의 강도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방법은?

  1. 정하중시험
  2. 낙하시험
  3. 피로시험
  4. 지상진동시험
(정답률: 55%)
  • 낙하시험은 실제 착륙 상황을 모방하여 착륙 장치의 완충 능력과 하중 전달 구조물의 강도를 확인하는 시험 방법입니다. 이는 실제 착륙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과 진동을 모방하여 시험을 진행하므로, 실제 상황에서의 성능을 가장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착륙 장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낙하시험이 가장 적합한 시험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특정 항공기에 인가된 최대하중이란?

  1. gross weight
  2. tare weight
  3. empty weight
  4. zero weight
(정답률: 51%)
  • 최대하중은 항공기의 총 중량을 의미하며, 이 중에는 항공기 자체의 무게뿐만 아니라 승객, 수하물, 연료 등 추가적인 무게도 포함됩니다. 따라서 최대하중은 항공기의 총 중량인 "gross weight"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헬리콥터 꼬리회전 날개의 전자장비를 이용한 궤도점검 방법에서 회전날개 깃의 단면에 그림과 같이 반사테이프를 붙이고 장비를 작동시켰을 때, 정상 궤도에서는 어떻게 상이 보이는가?

  1. |
  2. – |
(정답률: 77%)
  • 회전날개가 회전하면서 반사테이프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궤도상에서는 회전하는 깃면이 반사테이프를 가리게 되어 반사테이프가 보이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정상 궤도에서는 "╂" 모양이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나셀(nacell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나셀은 기체에 장착된 기관을 둘러싼 부분을 말한다.
  2. 나셀은 공기저항을 작게하기 위하여 유선형으로 만든다.
  3. 나셀의 구성요소 중 방화벽이란 기관과 기관 주위를 둘러싼 덮개를 말한다.
  4. 나셀은 냉각과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유입하는 흡기구와 배기를 위한 배기구가 있다.
(정답률: 37%)
  • 나셀은 비행기나 헬리콥터 등의 기체에 장착된 기관을 둘러싼 부분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나셀의 구성요소 중 방화벽이란 기관과 기관 주위를 둘러싼 덮개를 말한다." 입니다. 이는 나셀 내부에서 엔진이 작동할 때 발생하는 열과 화재로부터 기체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동체의 구조에서 세미모노코크(SEMI-MONOCOQUE)구조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다수의 부재(MEMBER)를 연결하여 강체(RIGID)구조를 이루는 구조형이다.
  2. 공기역학적으로 효율적인 유선형의 박판을 접합시킨 구조형태로서 외피(SKIN)가 하중의 일부를 담당한다.
  3. 고강도 구조가 요구되는 현대 항공기의 구조형태로서 벌크헤드(BULKHEAD), 정형재(FORMER), 스트링거(STRINGER), 론저론(LONGERON), 외피(SKIN)로 구성되어 부분 수리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4. 고 고도를 비행하는 대형 항공기에 적합한 형태의 구조로서 객실 여압 장치에 따른 것이며, 주로 다경로 하중 구조이다.
(정답률: 63%)
  • 세미모노코크(SEMI-MONOCOQUE)구조는 고강도 구조가 요구되는 현대 항공기의 구조형태로서 벌크헤드(BULKHEAD), 정형재(FORMER), 스트링거(STRINGER), 론저론(LONGERON), 외피(SKIN)로 구성되어 부분 수리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는 다수의 부재(MEMBER)를 연결하여 강체(RIGID)구조를 이루는 구조형이며, 외피(SKIN)가 하중의 일부를 담당하므로 공기역학적으로 효율적인 유선형의 박판을 접합시킨 구조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조종장치의 운동 및 조종면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Lateral control system - Rolling - Aileron
  2. Lateral control system - Pitching - Aileron
  3. Lateral control system - Pitching - Elevator
  4. Lateral control system - Yawing - Rudder
(정답률: 36%)
  • 조종장치의 운동 및 조종면을 바르게 연결하는 것은 비행기를 안전하게 조종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Lateral control system은 비행기의 좌우 움직임을 제어하는 시스템입니다. Pitching은 비행기의 상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며, Elevator는 비행기의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하는 조종면입니다. 따라서, Lateral control system - Pitching - Elevator은 비행기의 상하 움직임을 제어하는 조종면과 좌우 움직임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바르게 연결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이 가운데 있는 봉을 양쪽으로 당겼다. 이 중앙의 봉에 발생하는 하중의 형태가 가장 올바른 것은?

  1. 인장
  2. 압축
  3. 전단
  4. 비틀림
(정답률: 63%)
  • 중앙의 봉을 당기면서 봉의 양쪽 끝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봉의 중앙부분은 상하로 이동하면서 변형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변형은 봉의 중앙부분에서 발생하는 수평적인 전단력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따라서 이 형태의 하중은 "전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페일 세이프(Fail-safe) 구조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된 것은?

  1. 일부가 파괴되어도 나머지 부분이 하중을 지지하여 항공기 구조상 결함을 보완하는 구조이다.
  2. 무게를 경감하기 위한 구조이다.
  3. 제작하는 원가를 최소화하는 경비행기에 사용된다.
  4. 내부공간을 최대화하기 위한 구조이다.
(정답률: 75%)
  • 페일 세이프 구조는 일부가 파괴되어도 나머지 부분이 하중을 지지하여 항공기 구조상 결함을 보완하는 구조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로, 만약 어떤 부분이 손상되어도 항공기가 계속해서 비행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AA규격이란?

  1. 미국 철강협회의 규격으로 알루미늄 규격이다.
  2. 미국 알루미늄 협회의 규격으로 알루미늄 합금용의 규격이다.
  3. 미국 재료시험 협회의 규격으로 마그네슘 합금에 많이 쓰인다.
  4. SAE의 항공부가 민간항공기 재료에 대해 정한 규격으로 티타늄 합금, 내열합금에 많이 쓰인다.
(정답률: 76%)
  • AA규격은 미국 알루미늄 협회의 규격으로 알루미늄 합금용의 규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정상수평 비행상태에서 날개의 한계하중을 나타낸 식은? (단 : W=한계하중)

  1. 기체의 모든 무게÷(날개의 무게×한계하중계수)
  2. 기체의 모든 무게-(날개의 무게×한계하중계수)
  3. (기체의 모든 무게-날개의 무게)×한계하중계수
  4. (기체의 모든 무게÷날개의 무게)×한계하중계수
(정답률: 40%)
  • 날개의 한계하중은 기체가 정상수평 비행상태에서 견딜 수 있는 최대 중량이므로, 이를 나타내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W = (기체의 모든 무게 - 날개의 무게) × 한계하중계수

    여기서 기체의 모든 무게는 비행기의 무게를 의미하며, 이는 비행기의 고정 부품, 연료, 승객 등 모든 무게를 합한 값입니다. 날개의 무게는 비행기의 날개 부분의 무게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기체의 모든 무게에서 날개의 무게를 뺀 값은 비행기의 남은 부분의 무게를 의미하며, 이 값에 한계하중계수를 곱하면 비행기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중량인 날개의 한계하중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베어링용 합금이 갖고 있어야 하는 성질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경도가 크고 취성이 있어야 한다.
  2. 하중에 대한 내구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내식성이 커야 한다.
  4. 열전도율이 커야 한다.
(정답률: 41%)
  • 베어링용 합금은 경도가 크고 취성이 있어야 합니다. 이는 베어링이 매우 높은 하중을 견디기 때문에, 경도가 높아야 하중에 대한 내구력이 강화되고, 취성이 있어야 베어링이 깨지거나 변형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내식성이 커야 하는 이유는 베어링이 노출된 환경에서 부식되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며, 열전도율이 커야 하는 이유는 베어링이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재료의 기계적 성질에서 후크의 법칙(Hooke's Law)에 관하여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일정한 탄성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응력과 변형률이 서로 비례관계에 있다.
  2. 재료의 탄성계수는 동일 재료에서도 다른 값을 가진다.
  3. 일정한 탄성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응력과 변형률은 서로 반비례 관계에 있다.
  4. 재료의 탄성계수는 영률(Young's modules) 과는 다르다.
(정답률: 50%)
  • 일정한 탄성 범위 내에서 대응하는 응력과 변형률이 서로 비례관계에 있다는 것은, 재료에 힘을 가하면 일정 범위 내에서 변형률이 증가할 때 대응하는 응력도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후크의 법칙에 따라 일어나는 현상으로, 재료의 탄성계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기관의 무게를 지지하고 추력을 기체에 전달하는 구조물의 명칭은?

  1. 카울링
  2. 카울링플랩
  3. 엔진마운트
  4. 엑서서리 케이스
(정답률: 66%)
  • 엔진마운트는 엔진을 비롯한 기관의 무게를 지지하고, 추력을 기체에 전달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카울링은 비행기의 외부를 둘러싸는 외부 케이스를 말하며, 카울링플랩은 카울링의 일종으로, 비행기의 기체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입니다. 엑서서리 케이스는 엔진 주변에 위치한 부속품들을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