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10-01)

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0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관의 입구 단면적은 8cm2, 출구 단면적은 16cm2이며, 이때 관의 입구 속도가 10m/s인 경우 출구에서의 속도는 몇 m/s인가? (단, 유체는 비압축성 유체이다.)

  1. 2
  2. 5
  3. 6
  4. 10
(정답률: 68%)
  • 유체의 질량 보존 법칙에 의해, 유체의 질량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입구에서 유체의 질량유량과 출구에서 유체의 질량유량은 같다.

    유체의 질량유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입구에서의 유체의 질량유량 = 입구 단면적 x 입구에서의 속도 x 유체의 밀도
    출구에서의 유체의 질량유량 = 출구 단면적 x 출구에서의 속도 x 유체의 밀도

    입구에서의 유체의 질량유량과 출구에서의 유체의 질량유량이 같으므로,

    입구 단면적 x 입구에서의 속도 x 유체의 밀도 = 출구 단면적 x 출구에서의 속도 x 유체의 밀도

    입구에서의 속도와 출구에서의 속도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입구 단면적 x 입구에서의 속도 = 출구 단면적 x 출구에서의 속도

    8 x 10 = 16 x 출구에서의 속도

    출구에서의 속도 = 5m/s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날개에 쳐든각을 주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1. 날개 끝 실속을 방지하기 위해서
  2. 옆놀이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서
  3. 선회성능을 좋게 하기 위해서
  4. 날개성장을 적게 하기 위해서
(정답률: 71%)
  • 옆놀이를 할 때 날개 끝이 쳐지면서 안정성이 떨어지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날개에 쳐든 각을 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옆놀이를 할 때 더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공기의 밀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온도가 일정할 때 공기의 밀도 변화는 압력 변화에 반비례한다.
  2. 밀도는 체적에 비례한다.
  3. 주어진 공기에 압력을 가하면 체적은 증가한다.
  4. 온도가 일정할 때 공기의 밀도 변화는 압력 변화에 정비례한다.
(정답률: 48%)
  • 온도가 일정할 때 공기의 분자들은 서로 충돌하며 운동하고, 이 운동에 의해 공기의 압력이 결정된다. 따라서 압력이 증가하면 분자들의 운동이 더 격렬해지고, 이로 인해 공기 분자들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밀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온도가 일정할 때 공기의 밀도 변화는 압력 변화에 정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행기가 가속도가 없는 정상비행인 경우의 하중배수(LOAD FACTOR)는 얼마인가?

  1. 무한대
(정답률: 62%)
  • 비행기가 가속도가 없는 정상비행인 경우의 하중배수는 "1"입니다. 이는 비행기가 수직 방향으로 가속도가 없기 때문에 중력과 상승력이 균형을 이루어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이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하중배수는 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대기권에서 오존층이 존재하는 곳은?

  1. 대류권
  2. 성층권
  3. 중간권
  4. 열권
(정답률: 71%)
  • 오존층은 대기권 상층인 성층권에 존재합니다. 이는 성층권이 자외선을 많이 차단할 수 있는 높은 농도의 오존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공기 중을 수평 등속도로 비행하는 항공기에 작용하는 공기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추력이 항력보다 크다.
  2. 추력과 항력은 같다.
  3. 항력이 추력보다 크다.
  4. 추력은 항력의 1/2이다.
(정답률: 79%)
  • 공기 중을 수평 등속도로 비행하는 항공기에 작용하는 공기력은 추력과 항력이 있습니다. 추력은 항공기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힘으로, 항공기를 앞으로 밀어주는 힘입니다. 항력은 항공기가 공기 중을 움직일 때 발생하는 저항 힘으로, 항공기를 늦추는 힘입니다.

    수평 등속도로 비행하는 항공기에서는 추력과 항력이 서로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즉, 항공기가 앞으로 나아가는 힘과 늦추는 힘이 서로 상쇄되어 항공기의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추력과 항력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항공기가 가속하거나 감속하는 경우에는 추력과 항력이 다르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추력이 항력보다 크면 항공기는 가속하게 되고, 항력이 추력보다 크면 항공기는 감속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헬리콥터에서 후퇴하는 것의 성능을 좋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작은 받음각을 가져야 한다.
  2. 캠버가 없어야 한다.
  3. 깃이 얇고 캠버가 작아야 한다.
  4. 깃이 두껍고 캠버가 커야 한다.
(정답률: 78%)
  • 헬리콥터가 후퇴할 때는 역추진을 사용하므로, 깃이 두껍고 캠버가 커야 역추진 효과가 더욱 강력해지기 때문입니다. 작은 받음각은 전진 비행에 유리한 성능을 가지지만, 후퇴 비행에서는 오히려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캠버가 없거나 작은 깃은 역추진 효과를 줄여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비행기 기준축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모멘트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옆놀이 모멘트
  2. 빗놀이 모멘트
  3. 축놀이 모멘트
  4. 키놀이 모멘트
(정답률: 92%)
  • 비행기 기준축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모멘트의 종류는 "옆놀이 모멘트", "빗놀이 모멘트", "키놀이 모멘트"이며, "축놀이 모멘트"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비행기의 기준축은 중심축이며, 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멘트는 "축놀이 모멘트"가 아니라 "회전모멘트"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날개골의 모양에 따른 공력 특성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얇은 날개골은 받음각이 작으면 항력이 작아진다.
  2. 앞전 반지름이 큰 날개골은 받음각이 작으면 앞전 반지름이 작을 때 보다 항력이 작아진다.
  3. 같은 받음각에 대해서 캠버가 큰 날개 일수록 큰 양력을 얻을 수 있다.
  4. 시위 길이가 길면 큰 받음각에서도 쉽게 흐름의 떨어짐이 생기지 않는다.
(정답률: 48%)
  • 시위 길이가 길면 큰 받음각에서도 쉽게 흐름의 떨어짐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은 날개의 형태와 관계없이 공력 특성에 대한 설명이 아니기 때문에 가장 관계가 먼 내용입니다.

    앞전 반지름이 큰 날개골은 받음각이 작으면 앞전 반지름이 작을 때 보다 항력이 작아진다는 이유는, 앞전 반지름이 큰 날개골은 공기를 더 많이 삼키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이 더 커지고, 이에 따라 항력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즉, 날개골의 형태가 항력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

    얇은 날개골은 받음각이 작으면 항력이 작아진다는 것은, 얇은 날개골은 공기를 덜 삼키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이 작아지고, 이에 따라 항력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같은 받음각에 대해서 캠버가 큰 날개 일수록 큰 양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캠버가 큰 날개는 공기를 더 많이 삼키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이 더 커지고, 이에 따라 양력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직렬식 회전날개 헬리콥터의 단점에 대한 서령으로 옳은 것은?

  1. 무거운 물체 운반에 부적합하다.
  2. 가로 안정성이 나쁘다.
  3. 앞에서 본 단면 면적이 작고 구조가 복잡하다.
  4. 긴 꼬리 부분 때문에 격납 시 불편하다.
(정답률: 62%)
  • 직렬식 회전날개 헬리콥터는 회전날개가 한 줄로 직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력이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하게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가로 안정성이 나쁘며, 특히 무거운 물체를 운반할 때는 안정성이 더욱 중요해지는데 이에 취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큰 옆미끄럼각에서 동체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수직꼬리 날개의 유효 가로세로비를 감소시켜 실속각을 증가시키는 것은?

  1. 앞젖힘 날
  2. 뒷젖힘 날개
  3. 도살핀
  4. 페더링
(정답률: 71%)
  • 큰 옆미끄럼각에서 동체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앞젖힘 날"과 "뒷젖힘 날개"입니다. 하지만 이는 수직꼬리 날개의 유효 가로세로비를 감소시켜 실속각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상쇄시키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도살핀"입니다. "페더링"은 깃털을 정리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살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양력을 증가시키는 고양력장치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뒷전플랩
  2. 앞전플랩
  3. 경계층 제어장치
  4. 에어 브레이크
(정답률: 75%)
  • 양력을 증가시키는 고양력장치는 비행기의 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반해, 에어 브레이크는 비행기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양력을 증가시키는 고양력장치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에어 브레이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비행기 속도가 음속 가까이 접근할 때 기수가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것이 조종력에 역작용을 일으키는 현상이 일어나는 데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턱 언더(tuck under)
  2. 실속(deep stall)
  3. 피치 업(pitch up)
  4. 오토 로테이션(auto rotation)
(정답률: 68%)
  • 비행기 속도가 음속 가까이 접근할 때 기체의 앞부분이 상승하고 뒷부분이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턱 언더(tuck under)"라고 합니다. 이는 기체의 기동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된 고속 비행기에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 현상이 발생하면 기수가 조종력을 잃게 되어 비행기가 추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고도 1000m에서 공기의 밀도가 0.1kgf·sec2/m4이고 비행기의 속도가 720㎞/h일 때, 이 비행기 토관 입구에 작용하는 동압은 몇 kgf/m2인가?

  1. 7200
  2. 4000
  3. 2000
  4. 360
(정답률: 52%)
  • 동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동압 = 1/2 x 공기 밀도 x 비행기 속도의 제곱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동압 = 1/2 x 0.1 x (720/3.6)2 = 2000 kgf/m2

    따라서 정답은 "2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비행기에 작용하는 공기력 중에서 압력항력과 점성항력을 합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조파항력
  2. 유도항력
  3. 형상항력
  4. 마찰항력
(정답률: 66%)
  • 비행기가 공기를 이동하면서 만나는 공기의 압력 차이와 비행기의 형상에 따라 발생하는 항력을 형상항력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형상항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사고발생 요인 중에서 인간의 불안전한 행위를 유발하도록 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불안정한 습관
  2. 주의력 집중의 산만
  3. 작업자의 능력부족
  4. 장비 및 기기의 결함
(정답률: 61%)
  • 장비 및 기기의 결함은 인간의 행위와는 무관한 외부적인 원인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간의 불안전한 행위를 유발하는 원인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장비 및 기기의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SELF-LOCKING NUT의 사용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비행 후 정기적 정비를 위해 수시로 열고 닫는 악세스 판넬에는 셀프락킹 너트를 반드시 사용 한다.
  2. 셀프락킹 너트는 가공해서 사용한다.
  3. 회전력을 받는 곳에는 셀프락킹 너트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4. 카드뮴 도금된 셀프락킹 너트는 티타늄 합금의 볼트에만 사용한다.
(정답률: 50%)
  • "회전력을 받는 곳에는 셀프락킹 너트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가 정답입니다. 이유는 회전력을 받는 부분에서는 셀프락킹 너트의 잠금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회전력을 받는 부분에는 일반적인 너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케이블 터미널의 종류에서 AN 667의 명칭은?

  1. 볼 엔드 케이블 터미널
  2. 로드 엔드 케이블 터미널
  3. 포크 엔드 케이블 터미널
  4. 아이 엔드 케이블 터미널
(정답률: 39%)
  • AN 667은 포크 엔드 케이블 터미널입니다. 이는 케이블을 포크 모양의 끝으로 끼워서 연결하는 방식으로, 케이블을 빠르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보장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케이블 터미널은 자동차, 항공기, 선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핸들 양쪽 끝을 둥글게 하고 육각형 또는 12각형의 요철로 만들어진 공구는?

  1. box wrench
  2. combination wrench
  3. socket wrench
  4. auto wrench
(정답률: 49%)
  • 정답은 "box wrench"입니다. 이유는 핸들 양쪽 끝이 둥글게 되어 있고, 육각형 또는 12각형의 요철로 만들어진 공구는 볼트나 너트를 꽉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모양은 볼트나 너트를 미끄러지지 않게 잡아주는 특징이 있어서, 특히 좁은 공간에서 작업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제작회사나 관련기관으로부터 전달되는 기술지시에서 AD는 무엇을 나타내는 가?

  1. 시한성 기술지시
  2. 감항성 개선명령
  3. 도해부품 목록
  4. 최소 구비장비 목록
(정답률: 56%)
  • AD는 "감항성 개선명령"을 나타냅니다. 이는 항공기나 항공부품의 안전성, 신뢰성, 성능 등을 개선하기 위해 제작회사나 관련기관에서 발행하는 기술지시 중 하나로, 해당 부품이나 시스템에서 발견된 결함이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지시사항을 의미합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지시사항이며, 제작회사나 관련기관에서 발행한 AD에 따라 항공기나 항공부품의 유지보수가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리벳(RIVET)의 부품번호 AN 430 A 4-5에서 끝의 숫자 5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RIVET의 직경이 5/32인치
  2. RIVET의 직경이 5/16인치
  3. RIVET의 길이가 5/32인치
  4. RIVET의 길이가 5/16인치
(정답률: 54%)
  • AN 430 A 4-5에서 끝의 숫자 5는 리벳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RIVET의 길이가 5/16인치" 입니다. AN 430 A 4-5에서 4는 리벳의 직경을 나타내고, 5는 길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AN 430 A 4-5는 직경이 4/32인치(즉, 1/8인치)이고 길이가 5/16인치인 리벳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영문의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정비를 할 때는 상사의 자문을 구한다.
  2. 정비 교범절차에 따라 주의를 해야 한다.
  3. 정비 교범절차에 꼭 따를 필요는 없다.
  4. 정비를 할 때는 사람을 주의해야 한다.
(정답률: 90%)
  • 이미지는 자동차 정비를 위한 교범절차를 안내하는 것으로, 정비를 할 때는 이 교범절차에 따라 주의를 해야 한다는 것이 올바른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항공용 볼트의 식별부호 중 알루미늄 합금 볼트의 머리표시는?

(정답률: 69%)
  • 알루미늄 합금은 비교적 부식에 강하고 가벼우며, 전기전도성이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항공기 부품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항공용 볼트의 식별부호 중 알루미늄 합금 볼트의 머리표시는 ""로 표시됩니다. 이는 알루미늄 합금의 특성을 나타내는 "A"와 머리 모양을 나타내는 "2"가 결합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이질 금속간의 부식은 어느 것인가?

  1. 응력 부식
  2. 동전기 부식
  3. 입자간 부식
  4. 표면 부식
(정답률: 25%)
  • 이질 금속간의 부식 중에서 동전기 부식은 두 개의 이질 금속이 전해질 수 있는 전해질 속에서 발생하는 부식 현상입니다. 이는 두 금속 간의 전기적인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 차이로 인해 하나의 금속이 양극, 다른 하나의 금속이 음극이 되어 전해질 속에서 전기적인 반응이 일어나 부식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동전기 부식은 이질 금속간의 부식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현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항공기 주기작업 시 안전조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모든 조종면을 중립위치에 고정한다.
  2. 기관 흡입구나 배기구 및 피토관 등에 덮개를 씌운다.
  3. 촉(chock)을 바퀴에 고인다.
  4. 항공기를 계류 로프로 지상에 고정하며 항공기를 접지할 필요는 없다.
(정답률: 87%)
  • 항공기를 계류 로프로 지상에 고정하는 것은 안전조치에 해당하지만, 항공기를 접지하지 않는 것은 안전조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항공기를 접지하지 않으면 정전기가 발생하여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금속에서 볼 수 있는 화재는?

  1. A급 화재
  2. B급 화재
  3. D급 화재
  4. E급 화재
(정답률: 81%)
  • 금속은 고온에서 쉽게 녹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불이 붙은 부분에서 금속이 녹아 흘러내려 화재를 확대시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금속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D급 화재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할 때의 주의 사항 중 틀린 것은?

  1. 눈금을 읽을 때 눈의 위치에 의한 오차를 주의해야 한다.
  2. 스핀들의 앞끝을 기준면에 직각으로 접촉시키고 눈금판을 0 에 맞추어야 한다.
  3. 첨부되어있는 오차선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오차 중 가장 큰 범위의 것을 선정하여 사용해야 한다.
  4. 스핀들을 2~3회 움직여 스핀들과 바늘의 작동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정답률: 74%)
  • "스핀들을 2~3회 움직여 스핀들과 바늘의 작동상태를 확인해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다이얼 게이지를 사용할 때는 스핀들과 바늘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이는 주의 사항이 아니라 사용 전에 해야 할 사항입니다. 따라서, "첨부되어있는 오차선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오차 중 가장 큰 범위의 것을 선정하여 사용해야 한다."가 정답입니다. 이는 다이얼 게이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오차 범위를 최소화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비파괴검사 시에 변환기, 증폭기, 발전기 등이 필요한 검사법은?

  1. 와전류검사법
  2. 초음파탐상법
  3. 침투탐상검사법
  4. 자분탐상검사법
(정답률: 56%)
  • 초음파탐상법은 소리의 진동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이나 불균일성을 탐지하는 검사법입니다. 이를 위해 변환기로 전기 신호를 초음파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기로 신호를 증폭시키며, 발전기로 초음파를 발생시킵니다. 이러한 장비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파괴검사 시에 변환기, 증폭기, 발전기 등이 필요한 검사법으로 초음파탐상법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산소 취급 시의 주의사항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산소 자체는 가연성 물질이므로 폭발의 위험보다는 화재에 유의한다.
  2. 취급장소로부터 15m 이내에서는 인화성 물질을 취급해서는 안 된다.
  3. 취급자의 의류 또는 공구에 유류가 묻어있지 않도록 한다.
  4. 액체산소를 취급할 때는 동상에 걸릴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정답률: 66%)
  • 산소는 자체적으로는 불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불이 이미 있을 경우에는 불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산소 취급 시에는 화재에 대한 예방조치가 중요하다. 폭발의 위험성은 산소가 가연성 물질과 접촉하여 폭발할 때 발생하므로, 취급 시에는 가연성 물질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산소 자체는 가연성 물질이므로 폭발의 위험보다는 화재에 유의한다."가 가장 관계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항공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행하는 정비작업으로 장비품이 규정된 지사와 허용 한계값 내에 있는가를 체크하는 점검은?

  1. 작동 점검
  2. 기능 점검
  3. 벤치 체크
  4. 주기 점검
(정답률: 48%)
  • 항공기에 장착된 장비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능 점검"이라고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점검이나 특정 부품의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것 등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정비작업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정비작업은 크게 정상작업과 특별작업으로 분류한다.
  2. 정상작업은 항공기 부품과 장비품의 품질유지가 목적이다.
  3. 특별작업은 항공기 및 관련 장비의 기능변경을 목적으로 하여 설계변경을 시키는 개조 작업을 말한다.
  4. 개조나 비계획 정비를 특별작업이라 한다.
(정답률: 41%)
  • "정비작업은 크게 정상작업과 특별작업으로 분류한다."와 "정상작업은 항공기 부품과 장비품의 품질유지가 목적이다."는 모두 일반적으로 알려진 내용이므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아니다. "특별작업은 항공기 및 관련 장비의 기능변경을 목적으로 하여 설계변경을 시키는 개조 작업을 말한다."와 "개조나 비계획 정비를 특별작업이라 한다."는 같은 내용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유는 개조나 비계획 정비가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필요한 작업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정상작업과는 구분하여 특별작업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일반적인 형광침투시험법으로 검사할 수 있는 것은?

  1. 편석
  2. 균열
  3. 결정용액
  4. 내부기공
(정답률: 71%)
  • 일반적인 형광침투시험법은 금속재료의 표면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표면에 있는 균열, 편석, 내부기공 등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균열은 표면 결함 중에서 가장 크기가 크고 깊이가 깊어서 더욱 뚜렷하게 검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균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영문 중 밑줄 친 부분의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연료
  2. 추력
  3. 양력
  4. 중력
(정답률: 90%)
  • 이 그림은 힘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여기서 밑줄 친 "추력"은 "운동 에너지를 가진 물체가 다른 물체에 부딪혀서 생기는 힘"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추력"은 다른 힘들과 함께 나열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그림에서 다루고 있는 힘 중 하나이며, "추력"이라는 용어가 가장 적절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그림은 지상에서 항공기 표준 유도신호를 나타낸 것이다. 신호가 뜻하는 것은?

  1. 속도감소
  2. 촉 장착
  3. 정지
  4. 후진
(정답률: 82%)
  • 이 그림은 항공기가 착륙할 때 사용하는 표준 유도신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이 신호는 "촉 장착"을 뜻합니다. 이는 항공기가 착륙장에 안전하게 착륙하기 위해 착륙장의 촉매력을 이용하여 항공기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바퀴를 착륙장에 닿게 하여 안정적으로 착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촉 장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의 인치식 버니어 캘리퍼스(최소 측정값 ) 눈금을 가장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정답률: 40%)
  •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인치식 버니어 캘리퍼스의 최소 측정값이 0.01인데, ""과 ""는 0.02씩 증가하므로 최소 측정값을 벗어나게 됩니다. ""는 0.005씩 증가하므로 너무 작아서 측정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 올바른 눈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그림과 같은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틀린 것은?

  1. BC : 비례한도
  2. B : 항복점
  3. G : 극한강도
  4. OA : 후크의 법칙 성립
(정답률: 67%)
  • BC는 비례한도를 나타내는 지점이 아니라 탄성한도를 나타내는 지점입니다. 비례한도는 선형 탄성 영역에서 응력과 변형률이 비례하는 지점을 말하며, 이 지점 이전에는 훨씬 더 큰 응력이 가해져도 물체는 탄성적으로 변형됩니다. 따라서 BC가 비례한도를 나타내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날개 윗면의 바깥만 일부를 움직여 도움날개와 같이 비행기를 조종하거나 착륙 활주 중에 스피드 브레이크(Speed Brake)의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는?

  1. 플랩(flap)
  2. 스포일러(spoiler)
  3. 도움날개(aileron)
  4. 슬랫(slat)
(정답률: 82%)
  • 스포일러는 날개 윗면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올려서 공기 저항을 증가시켜 비행기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착륙 활주 중에 사용되어 비행기가 빠르게 감속하고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또한 비행기의 고도를 조절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스포일러가 스피드 브레이크의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헬리콥터 주 회전날개의 평형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진동은 회전날개와 기체구조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므로 회전날개는 평형을 맞추어야 한다.
  2. 주 회전날개의 진동은 시위방향과 길이방향의 평형이 맞지 않을 경우 나타난다.
  3. 떼어낸 상태에서 회전날개의 평형을 맞추는 것을 정적평형작업이라 한다.
  4. 동적평형작업이 끝난 후에 정적평형작업을 실시한다.
(정답률: 53%)
  • "주 회전날개의 진동은 시위방향과 길이방향의 평형이 맞지 않을 경우 나타난다."가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모두 회전날개의 평형작업과 진동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보기는 진동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단응력은 서로 직각으로 이웃하는 단면에서 쌍으로 발생하는데, 이것을 전단응력의 무엇이라 하는가?

  1. 공액관계
  2. 대치관계
  3. 평형관계
  4. 공유관계
(정답률: 42%)
  • 전단응력은 서로 직각으로 이웃하는 단면에서 쌍으로 발생하는데, 이것을 공액관계라고 합니다. 이는 두 개의 단면이 서로 맞닿아 있어서 하나의 단면에서 발생한 전단응력이 다른 단면으로 전달되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공액관계는 단면이 서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하나의 단면에서 발생한 전단응력이 다른 단면으로 전달되어 발생하므로, 두 단면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공액관계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구조형식에 따른 항공기 브레이크 중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팽창 튜브형
  2. 싱글 디스크형
  3. 멀티 디스크형
  4. 스플리트형
(정답률: 65%)
  • 스플리트형은 구조적으로 다른 세 가지 브레이크 형식과는 다르게 브레이크 패드가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쪽에 위치하고, 브레이크 디스크가 중앙에서 분리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브레이크 디스크가 더 크게 설계될 수 있어서 더욱 효과적인 제동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헬리콥터가 기관의 동력 없이 회전날개의 자유회전에 의해서만 비행하는 상태는?

  1. 호버링 (hovering)
  2. 오토 로테이션 (auto rotation)
  3. 플래핑 (flapping)
  4. 페더링 (feathering)
(정답률: 73%)
  • 오토 로테이션은 헬리콥터가 엔진 동력 없이 회전날개의 자유회전에 의해 비행하는 상태입니다. 이는 회전날개가 공기저항을 받아 회전하면서 공기를 받아들여 상승하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이 상태에서는 헬리콥터가 일정한 고도를 유지하며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샌드위치 구조형식에서 두 개의 외판사이에 넣는 부재의 형태가 아닌 것은?

  1. 페일형
  2. 파형
  3. 거품형
  4. 벌집형
(정답률: 34%)
  • 페일형은 샌드위치 구조에서 두 개의 외판을 연결하는 부재가 아닌 형태입니다. 페일형은 일반적으로 선반이나 테이블 등의 가구에서 사용되는 형태로, 두 개의 다리 사이에 수평으로 놓인 판자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샌드위치 구조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세미모노코크형 항공기 동체구조에서 항공기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는 구조 부재는?

  1. 프레임(Frame)
  2. 정형재(Former)
  3. 스트링어(Stringer)
  4. 벌크헤드(Bulkhead)
(정답률: 67%)
  • 세미모노코크형 항공기 동체구조에서는 항공기 길이 방향으로 스트링어(Stringer)가 장착됩니다. 스트링어는 항공기 동체의 길이 방향으로 놓인 얇은 금속판으로, 항공기의 구조 강화와 유지를 위해 사용됩니다. 스트링어는 항공기 동체의 외부 형태를 유지하고, 내부 구조물과 연결되어 항공기의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세미모노코크형 항공기 동체구조에서는 스트링어가 중요한 부재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헬리콥터에서 기관이 정상작동을 할 때에는 기관의 출력을 주 회전날개에 전달하지만 기관의 고장이나 출력감소에 의해 기관의 회전이 주 회전날개보다 늦을 경우 기관을 회전날개와 분리되도록 하는 것은?

  1. 구동축
  2. 원심클러치
  3. 오버러닝클러치
  4. 토크미터
(정답률: 68%)
  • 기관의 회전이 주 회전날개보다 늦을 경우, 오버러닝클러치는 회전날개와 분리되어 회전날개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는 회전날개의 속도를 유지하면서 기관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오버러닝클러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가장 가벼운 금속 원소는?

  1. Zn
  2. Mg
  3. Cr
  4. Ai
(정답률: 89%)
  • 원자량이 가장 작은 것이 가장 가벼운 원소이므로, Mg가 가장 가벼운 금속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금속의 표면만을 경화시킬 목적으로 수행하는 표면경화법의 중류에 속하는 것은?

  1. 주조법
  2. 침탄법
  3. 뜨임법
  4. 연화법
(정답률: 55%)
  • 침탄법은 금속의 표면에 다른 금속을 침탄시켜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중류에 속합니다. 이 방법은 주로 강철 등의 금속을 경화시키는 데에 사용되며, 침탄시킨 금속이 표면에 침투하여 경도와 내식성을 높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비행 중 양력으로 인하여 날개에 굽힘(Bending)응력이 발생할 때 날개 아랫면에 작용하는 응력은?

  1. 인장응력
  2. 압축응력
  3. 전단응력
  4. 비틀림응력
(정답률: 66%)
  • 날개에 양력이 작용하면 날개의 상부와 하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어 굽힘응력이 발생합니다. 이 굽힘응력은 날개의 상부에서는 압축응력이 발생하고, 하부에서는 인장응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날개 아랫면에 작용하는 응력은 인장응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헬리콥터 동체가 세미모노코크형 구조일 때 구성품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정형재
  2. 리브
  3. 외피
(정답률: 45%)
  • 헬리콥터 동체가 세미모노코크형 구조일 때, "링"은 메인로터와 헬리콥터 동체를 연결하는 중요한 부품이며, "정형재"는 동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보강재로 사용됩니다. "외피"는 동체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의 보호재이며, 따라서 구성품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리브"입니다. "리브"는 헬리콥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메인로터와 엔진을 연결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복합 소재에 쓰이는 강화재가 아닌 것은?

  1. 유리 섬유
  2. 탄소 섬유
  3. 열가소성 수지
  4. 세라믹 섬유
(정답률: 55%)
  • 강화재는 보통 강도나 경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소재를 혼합하여 만든 소재를 말합니다.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세라믹 섬유는 모두 강화재로 사용되는 소재입니다. 하지만 열가소성 수지는 강화재가 아닙니다. 열가소성 수지는 열에 강한 특성을 가진 수지로, 보통 절연재나 접착제 등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열가소성 수지는 강화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미국의 ASTM 규격에서 정한 합금의 종별기호 다음에 붙이는 질별기호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H : 담금질 후 시효경화가 진행 중인 것
  2. W : 풀림 처리를 한 것
  3. F : 주조한 그대로의 상태의 것
  4. O : 가공경화한 것
(정답률: 46%)
  • 질별기호는 합금의 열처리 상태를 나타내는데, F는 주조한 그대로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열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합금이 주조되어 있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는 다른 질별기호와 달리 열처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항공기를 설계할 때 기체의 강도는 한계하중보다 좀 더 높은 하중에서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 이유를 설명한 것으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항공역학 및 구조역학 등의 이론적 계산에서 많은 가정이 있기 때문에
  2. 재료의 기계적 성질 등이 실제의 값과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3. 항공기는 비행 중 한계하중보다 큰 하중을 받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4. 제작가공 및 검사방법 등에 따라 측정한 수치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률: 56%)
  • "재료의 기계적 성질 등이 실제의 값과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림과 같이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두 힘이 수직거리인 d만큼 떨어져 작용하는 짝힘(Couple Force)에 의한 Moment의 크기를 구하면?

  1. M = d2 · f
  2. M = d2 · f2
  3. M = d · f2
  4. M = d · f
(정답률: 57%)
  • 짝힘은 두 개의 힘이 수직거리 d만큼 떨어져 작용하는 힘이므로, 이 두 힘의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이다. 따라서 이 두 힘에 의한 토크는 각각 d/2만큼의 팔력을 가지며, 이 두 토크는 서로 상쇄되지 않고 합쳐져서 M = d · f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M = d · f"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재료의 피로(Fatigue)파괴를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재료의 인성과 취성을 측정할 때에 재료의 파괴시점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법이다.
  2. 합금성질을 변화시키려 하는 성질이다.
  3. 시험편(Test Piece)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고 이것에 일정한 하중을 가할 때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현상이다.
  4. 재료에 반복하여 하중이 작용하면 그 재료의 파괴 응력보다 훨씬 낮은 응력으로 파괴되는 현상이다.
(정답률: 76%)
  • 재료의 피로(Fatigue)파괴는 재료에 반복하여 하중이 작용하면 그 재료의 파괴 응력보다 훨씬 낮은 응력으로 파괴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재료가 반복적인 하중에 노출될 때, 재료 내부의 결함이나 미세한 균열이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파괴되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재료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쇽스트러트(Shock Strut)의 실린더와 피스톤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은?

  1. 센터링 캠(Centering Cam)
  2. 토션 링크(Torsion Link)
  3. 스트러트내의 작동유
  4. 번지 스프링(Bungee Spring)
(정답률: 72%)
  • 쇽스트러트 내부에서 실린더와 피스톤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토션 링크입니다. 토션 링크는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 방향에 대한 제어를 담당합니다. 이는 쇽스트러트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헬리콥터에서 수직 핀(vertical fi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수직핀은 전진비행 시 수평을 유지시킨다.
  2. 테일붐 위쪽에 있는 핀은 회전날개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상쇄시키는데 기여한다.
  3. 테일붐 위쪽에 있는 날개골의 형태가 비대칭 구조로 되어 있다.
  4. 수직핀은 착륙 시 꼬리 회전날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 핀 아래쪽에 꼬리회전날개 보호대가 설치되어 있다.
(정답률: 45%)
  • "테일붐 위쪽에 있는 핀은 회전날개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상쇄시키는데 기여한다."가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이다. 수직핀은 전진비행 시 수평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테일붐 위쪽에 있는 날개골의 비대칭 구조와 꼬리회전날개 보호대는 수직핀의 역할과 관련된 보조적인 기능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미국 알루미늄 협회에서 사용하는 규격표시는?

  1. AISI 규격
  2. SAE 규격
  3. AA 규격
  4. MIL 규격
(정답률: 73%)
  • 미국 알루미늄 협회에서는 알루미늄 합금의 특성을 표시하기 위해 AA (Aluminum Association) 규격을 사용합니다. AISI 규격은 강철 합금, SAE 규격은 자동차 엔진 부품 등에 사용되는 합금, MIL 규격은 군사용 부품 등에 사용되는 규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응력외피형 날개(Wing)의 구조부재 중 전단력과 횡하중을 주로 담당하는 부재는?

  1. 스티프너(Stiffener)
  2. 리브(Rib)
  3. 스킨(Skin)
  4. 스파(Spar)
(정답률: 44%)
  • 응력외피형 날개의 구조는 스파, 리브, 스킨, 스티프너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전단력과 횡하중을 주로 담당하는 부재는 스파입니다. 스파는 날개의 중앙에 위치하며, 날개의 길이를 따라 뻗어나가는 주축 역할을 합니다. 스파는 날개의 구조를 유지하고, 날개가 비행 중에 발생하는 전단력과 횡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스파는 날개의 핵심적인 부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항공기의 무게와 균형의 이론에서 무게의 영향은 직접적으로 어디로부터의 거리에 의해 가장 크게 좌우되는가?

  1. 항공기의 중심선
  2. 기체의 중심
  3. 무게중심
  4. 항공기의 가로축 중심
(정답률: 53%)
  • 무게중심은 항공기의 전체 무게를 나타내는 중심점으로, 항공기의 안정성과 조종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무게중심이 항공기의 중심선과 일치해야 항공기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으며, 무게중심이 앞뒤로 치우쳐져 있으면 항공기의 기울기와 방향을 제어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게중심은 항공기의 안정성과 조종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철강합금에서 스테인리스강은 18-8강이라고도 한다. 여기에서 18과 8이 의미하는 것은?

  1. 크롬과 니켈의 함유량 비율이다.
  2. 철과 알루미늄 합금 비율이다.
  3. 철과 탄소의 함유랑 비율이다.
  4. 철의 강도를 의미한다.
(정답률: 49%)
  • 18-8강에서 18은 크롬의 함유량을 나타내고, 8은 니켈의 함유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크롬과 니켈의 함유량 비율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항공기의 구조시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낙하시험
  2. 비행시험
  3. 피로시험
  4. 진동시험
(정답률: 59%)
  • 비행시험은 항공기의 구조나 시스템 등을 실제 비행 상황에서 검증하는 시험이 아니기 때문에, 주어진 보기 중 구조시험의 종류가 아닙니다. 비행시험은 항공기의 비행 성능, 안전성, 안정성 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항공기가 실제 비행 상황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