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1-28)

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07-01-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압력을 표시하는 단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N/m2
  2. mmHg
  3. mmAq
  4. lb-in
(정답률: 71%)
  • "N/m^2", "mmHg", "mmAq"는 모두 압력을 표시하는 단위입니다. 하지만 "lb-in"은 토크(회전력)를 표시하는 단위이므로 압력을 표시하는 단위에 속하지 않습니다. "lb-in"은 파운드-인치로, 1 파운드의 힘을 1 인치의 거리에 가해 생기는 회전력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유관의 입구지름이 20cm 이고 출구의 지름이 40cm 이다. 이 때 입구에서의 유체속도가 4m/s 이면출구에서의 유체 속도는 약 몇 m/s 인가?

  1. 1
  2. 2
  3. 4
  4. 16
(정답률: 51%)
  • 유체의 연속성 방정식에 의하면 유체의 질량 유량은 일정합니다. 즉, 입구와 출구에서의 유체의 질량 유량은 같습니다.

    질량 유량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질량 유량 = 유체의 밀도 x 단면적 x 유체의 속도

    입구와 출구에서의 유체의 밀도는 같으므로, 단면적과 유체의 속도의 비례 관계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입구의 단면적 x 입구에서의 유체 속도 = 출구의 단면적 x 출구에서의 유체 속도

    이를 출구에서의 유체 속도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출구에서의 유체 속도 = (입구의 단면적 / 출구의 단면적) x 입구에서의 유체 속도

    입구의 지름이 20cm 이므로 반지름은 10cm, 출구의 지름이 40cm 이므로 반지름은 20cm 입니다.

    따라서,

    출구에서의 유체 속도 = (10cm / 20cm)^2 x 4m/s = 1m/s

    즉, 정답은 "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행기가 정상선회를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원심력과 구심력은 크기가 같고 방향도 같아야 한다.
  2. 원심력과 구심력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어야 한다.
  3. 원심력과 구심력은 크기가 다르고 방향이 같아야 한다.
  4. 원심력과 구심력은 크기가 다르고 방향이 반대이어야 한다.
(정답률: 76%)
  • 비행기가 정상선회를 하기 위해서는 중심축 주위를 회전할 때 원심력과 구심력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원심력은 물체가 회전하는 중심에서 벗어나는 위치에서 발생하는 힘으로, 물체를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입니다. 반면 구심력은 회전하는 물체가 중심으로 향하는 힘으로,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발생하는 방향입니다. 따라서 원심력과 구심력이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어야 비행기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행기가 공기 중을 수평 등속도 비행할 때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이 아닌 것은?

  1. 추력
  2. 항력
  3. 중력
  4. 가속력
(정답률: 89%)
  • 비행기가 수평 등속도 비행을 유지하고 있다면, 가속력은 0이기 때문에 가속력은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이 아닙니다. 추력은 비행기를 앞으로 밀어주는 힘, 항력은 공기 저항에 의한 힘, 중력은 지구의 중력에 의한 힘이며, 이들은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비행기의 수직축에 대해서 기수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키는 모멘트가 양(+)의 빗놀이 모멘트 이다. 이 빗놀이 모멘트(N)를 식의 계수형으로 나타낸 것은? (단, q : 동압, S : 날개면적, b : 날개길이 Cn : 빗놀이 모멘트 계수) (문제 오류로 보기가 없습니다. 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게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3번 입니다.)

  1. 보기 없음
  2. 보기 없음
  3. 보기 없음
  4. 보기 없음
(정답률: 84%)
  • 문제에서 빗놀이 모멘트를 식의 계수형으로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보기가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속도
  2. 하중
  3. 진폭
  4. 양력
(정답률: 60%)
  • 이 그래프는 시간에 따른 운동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y축은 운동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이를 진폭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진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헬리콥터의 지면효과가 있을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양력의 크기가 증가한다.
  2. 항력의 크기가 증가한다.
  3. 회전날개 깃의 받음각이 증가하게 된다.
  4. 같은 기관의 출력으로 많은 무게를 지탱 할 수 있다.
(정답률: 62%)
  • "양력의 크기가 증가한다."는 헬리콥터의 지면효과로 인해 맞는 설명입니다. 지면효과는 지면과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공기의 압축이 증가하여 양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항력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양력의 크기가 증가하게 됩니다. 회전날개 깃의 받음각이 증가하게 되는 것은 맞지만, 이는 양력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같은 기관의 출력으로 많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것도 지면효과로 인해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마하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비행속도가 일정하면 마하수는 온도가 높을수록 비례하여 커진다.
  2. 비행속도가 일정하면 고도에 관계없이 마하수도 일정하다
  3. 마하수의 단위는 m/s 이다.
  4. 마하수는 음속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59%)
  • 마하수는 음속에 반비례한다는 것은 음속이 높을수록 마하수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음속이 높을수록 공기의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비행체가 이동하는데 필요한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비행체의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행속도가 일정하면 마하수는 음속이 낮을수록 커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V-n선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항공기 속도에 대한 양력과 항력의 관계를 표시한다.
  2. 받음각의 변화에 따른 양력의 증가 또는 감소를 나타낸다.
  3. 비행속도와 하중배수와의 관계로서 항공기의 안전비행 한계를 표시한다.
  4. 표준 대기상태에서 고도에 따른 압력, 밀도, 온도 등의 변화를 보여 준다.
(정답률: 52%)
  • V-n선도는 항공기의 비행속도와 하중배수와의 관계로서 항공기의 안전비행 한계를 표시합니다. 이는 항공기가 어느 속도에서 어느 정도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항공기 운항 시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정보입니다. 따라서 "비행속도와 하중배수와의 관계로서 항공기의 안전비행 한계를 표시한다."가 가장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무게가 3000kg,날개면적 20m2 인 비행기가 해발고도에서 양력계수 0.96인 상태를 등속수 평비행을할 때 비행기의 최소속도를 구하면 약 얼마인가? (단, 공기의 밀도 p=0.123kg∙s2/m4)

  1. 90km/h
  2. 180km/h
  3. 250km/h
  4. 360km/h
(정답률: 47%)
  • 비행기가 등속수 평비행을 하고 있다는 것은 상승력과 중력이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승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L = 1/2 * p * v^2 * S * Cl

    여기서, L은 상승력, p는 공기의 밀도, v는 비행기의 속도, S는 날개면적, Cl은 양력계수입니다.

    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W = m * g

    여기서, W는 중력, m은 비행기의 질량, g는 중력가속도입니다.

    등속수 평비행을 하고 있다는 것은 상승력과 중력이 같다는 것이므로,

    L = W

    1/2 * p * v^2 * S * Cl = m * g

    여기서, v를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v = √(2 * m * g / (p * S * Cl))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v = √(2 * 3000 * 9.8 / (0.123 * 20 * 0.96)) ≈ 180km/h

    따라서, 비행기의 최소속도는 약 180km/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프로펠러 깃각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프로펠러의 허브와 캠버선이 이루는 각이다.
  2. 프로펠러의 허브와 시위선이 이루는 각이다.
  3. 프로펠러의 회전면과 시위선이 이루는 각이다.
  4. 프로펠러의 회전면과 캠버선이 이루는 각이다.
(정답률: 62%)
  • 프로펠러의 회전면은 프로펠러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면을 말하고, 시위선은 프로펠러 블레이드의 평면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프로펠러 깃각은 프로펠러의 회전면과 시위선이 이루는 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행기가 수평비행이나 급강하로 속도가 증가하여 천음속영역에 도달하게 되면 한쪽 날개가 충격실속을 일으켜서 갑자기 양력을 상실하여 급격한 옆 놀이를 일으키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턱 언더
  2. 날개 드롭
  3. 피치 업
  4. 디프 실속
(정답률: 55%)
  • 비행기가 수평비행이나 급강하로 속도가 증가하여 천음속영역에 도달하면 공기의 압력이 갑자기 낮아지게 되어 날개의 양력을 상실하게 됩니다. 이때 한쪽 날개가 다른 날개보다 더 많은 양력을 상실하면 비행기는 한쪽으로 기울어져서 옆으로 떨어지는데, 이를 "날개 드롭"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2개의 주 회전 날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각각의 회전날개에서 발생하는 토크가 상쇄되어 조종성이 좋은 회전날개 헬리콥터는?

  1. 단일 회전날개 헬리콥터
  2. 직렬식 회전날개 헬리콥터
  3. 병렬식 회전날개 헬리콥터
  4. 동축 역회전식 회전날개 헬리콥터
(정답률: 71%)
  • 동축 역회전식 회전날개 헬리콥터는 2개의 주 회전 날개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각각의 회전날개에서 발생하는 토크가 상쇄되어 조종성이 좋습니다. 이는 다른 회전날개 헬리콥터들과는 달리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추가적인 균형 조절 장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대기권에서 전리층이 존재하는 곳은?

  1. 중간권
  2. 열권
  3. 극외권
  4. 성층권
(정답률: 76%)
  • 전리층은 대기권에서 대기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하는 지점을 말합니다. 이러한 전리층은 대기의 이동과 성질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항공기 운항이나 기상 예측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전리층은 대기권의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인 열권에서 가장 잘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비행기 날개에서 압력중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압력이 작용하는 합력점을 압력 중심이라 한다.
  2. 받음각이 클수록 압력중심은 앞으로 이동 한다.
  3. 비행기가 급강하할 때 압력중심은 전방으로 이동한다.
  4. 압력중심의 이동과 비행기의 안정성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정답률: 46%)
  • "압력이 작용하는 합력점을 압력 중심이라 한다."와 "받음각이 클수록 압력중심은 앞으로 이동 한다."는 압력중심과 관련된 내용이므로 관계가 높습니다. 하지만 "비행기가 급강하할 때 압력중심은 전방으로 이동한다."는 비행기의 운동과 관련된 내용이므로 다른 두 내용과는 관계가 떨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압력중심의 이동과 비행기의 안정성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기 정비 관련용어 중 “오버홀 시간간격“을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TRP
  2. MPL
  3. TBO
  4. FOD
(정답률: 67%)
  • 정답은 "TBO"입니다.

    TBO는 "Time Between Overhaul"의 약어로, 한 번의 오버홀에서 다음 오버홀까지 걸리는 시간 간격을 의미합니다. 이는 항공기 엔진 등의 부품이 얼마나 오래 사용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TBO는 항공기 제조사나 엔진 제조사에서 정해진 기준에 따라 결정되며, 이를 기준으로 정기적인 정비가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TBO는 항공기 운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장비나 부품 중에서 시한성 정비방식에 의하지 않고 정기적인 육안검사나 측정 및 기능시험 등의수단에 의해 장비나 부품의 감항성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정비방식은 무엇인가?

  1. 신뢰성정비
  2. 상태정비
  3. 작동점검
  4. 기능점검
(정답률: 57%)
  • 상태정비는 시한성 정비방식에 의존하지 않고, 정기적인 육안검사나 측정 및 기능시험 등의 수단에 의해 장비나 부품의 감항성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정비방식입니다. 따라서, 상태정비는 장비나 부품의 상태를 유지하고, 이를 통해 장애를 예방하고 신뢰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위의 보기 중에서 "상태정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문장의( )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flap
  2. ailerons
  3. spoilers
  4. leading edge device(slats)
(정답률: 44%)
  • 주어진 비행기 이미지를 보면, (flap), (spoilers), (leading edge device(slats))는 모두 날개 부분에 위치하고 있지만, (ailerons)은 수직 꼬리날개 부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aileron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높이 게이지 측정작업에 대한 안전 및 유의사항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측정대는 깨끗한 일반 작업대 위에 놓고 측정 작업을 한다.
  2. 스크라이버를 필요 이상으로 길게 내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3. 높이 게이지의 눈금을 읽는 눈의 높이는 눈금선과 수평 방향이어야 한다.
  4. 오프셋 스크라이버를 끼우고 사용할 때는 게이지 베이스면에 닿을 수 있어, 조심스럽게 측정 작업을 해야 한다.
(정답률: 45%)
  • 측정대를 깨끗한 일반 작업대 위에 놓는 것은 안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가장 관계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다이 페네트란트 검사의 절차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전처리
  2. 침투
  3. 현상
  4. 현미경 투시
(정답률: 68%)
  • 다이 페네트란트 검사의 절차는 전처리, 침투, 현상, 현미경 검사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현미경 투시"입니다. 이유는 이미 현상을 거친 후에는 검사 대상물이 이미 색소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현미경으로 검사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금속을 두드려서 나오는 음향으로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은?

  1. 타진법
  2. 가압법
  3. 침지법
  4. 초음파법
(정답률: 88%)
  • 금속을 두드려서 나오는 음향으로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은 "타진법"입니다. 이는 금속의 질감, 두께, 밀도 등에 따라 나오는 소리의 특성을 이용하여 결함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타진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며,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귀 보호 장구 중 저음에서 부터 고음까지 차음할 수 있는 귀마개는 몇 종인가?

  1. 제 0 종
  2. 제 1 종
  3. 제 2 종
  4. 제 3 종
(정답률: 43%)
  • 귀 보호 장구 중 저음에서 고음까지 차음할 수 있는 귀마개는 1종류입니다. 이유는 귀마개는 주파수에 따라 차단 효과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저음에서 고음까지 모두 차단할 수 있는 귀마개는 디자인과 재질 등이 매우 복잡하고 고급스러워야 가능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귀마개는 특정 주파수 범위에서만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주파수 범위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음에서 고음까지 모두 차단할 수 있는 귀마개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밑줄 친 부분을 의미하는 올바른 영어는?

  1. 최고속도
  2. 상승속도
  3. 순항속도
  4. 경제속도
(정답률: 76%)
  • The underlined part means "cruising speed". The reason why the answer is "cruising speed" is because it refers to the speed at which an aircraft maintains a stable altitude and direction during a long fligh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maximum speed or the speed during takeoff and climb (which would be "maximum speed" or "climb speed"). "Economy speed" is also a possible answer, but it usually refers to a slower speed used to save fuel rather than a specific speed for maintaining stability during flight.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항공기의 정비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리 : 고장이나 파손된 상태를 본래의 상태로 회복시키는 것이다.
  2. 분해점검 : 구성품이 지침서에 명시된 허용 한계값 이내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분해, 검사 및 점검하는 것이다.
  3. 구성품 : 특정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단독으로 떼어 내거나 또는 부착이 가능하지만 분해하면 본래 기능이 상실된다.
  4. 결함 : 항공기의 구성품 또는 부품 고장으로 계통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상태이다.
(정답률: 75%)
  • 정답은 "구성품 : 특정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단독으로 떼어 내거나 또는 부착이 가능하지만 분해하면 본래 기능이 상실된다." 입니다. 이유는 구성품은 분해하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에, 분해 후에는 새로운 구성품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따라서, 구성품은 단독으로 떼어내거나 부착이 가능하지만, 분해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라쳇 핸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원통 모양의 물건을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고 돌리기 위해 사용한다.
  2. 협소한 공간에서 단단하게 조여져 있는 볼트나 너트를 풀 때 사용한다.
  3. 단단하게 조여져 있는 볼트나 너트를 풀거나 더욱 조이는데 사용한다.
  4. 협소한 공간에서 매우 유용하며, 풀거나 조일 때 한쪽 방향으로만 작용하며, 단단하게 조여져 있는 볼트나 너트에는 사용 하지 않는다.
(정답률: 48%)
  • 라쳇 핸들은 협소한 공간에서 매우 유용하며, 풀거나 조일 때 한쪽 방향으로만 작용하며, 단단하게 조여져 있는 볼트나 너트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는 라쳇 핸들이 회전 방향이 한쪽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단단하게 조여져 있는 볼트나 너트를 풀거나 조이는데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라쳇 핸들은 원통 모양의 물건을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고 돌리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발생되는 사고가 불안전한 상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물리적 위험상태
  2. 정돈 불량
  3. 건물상태의 불안전
  4. 주위집중 산만
(정답률: 50%)
  • 주위집중 산만은 발생되는 사고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불안전한 상태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다른 세 가지 보기는 물리적 위험상태, 정돈 불량, 건물상태의 불안전으로 인해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불안전한 상태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최신형 항공기 조종계통의 비상작동을 위한 동력 공급원으로 이용하는 것은?

  1. 수소
  2. 산소
  3. 히드라진
  4. 할로겐
(정답률: 73%)
  • 히드라진은 최신형 항공기 조종계통의 비상작동을 위한 동력 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이유는 안정적인 연소와 높은 발열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히드라진은 고도의 화학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서 안전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복선식 안전결선 작업에서 고정 작업을 해야 할 부품이 4~6in의 넓은 간격으로 떨어져 있을 때, 연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부품의 수는 최대 몇 개로 제한되어 있는가?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76%)
  • 복선식 안전결선 작업에서 고정 작업을 해야 할 부품이 4~6in의 넓은 간격으로 떨어져 있을 때, 연속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부품의 수는 최대 3개로 제한된다. 이는 안전결선 작업에서 사용되는 고정 부품의 크기와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4~6in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부품을 4개 이상 연속적으로 고정하게 되면, 부품 간의 간격이 너무 좁아져 안전결선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최대 3개의 부품을 연속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금속표면이 국부적을 깊게 침식되어 콩알만한 작은 점을 만드는 부식은?

  1. fatigue corrosion
  2. pitting corrosion
  3. stress corrosion
  4. galvanic corrosion
(정답률: 50%)
  • 금속표면이 국부적으로 깊게 침식되어 콩알만한 작은 점을 만드는 부식은 "pitting corrosion"입니다. 이는 금속표면에 발생한 국부적인 결함이 부식작용에 노출되어 침식이 진행되는 것으로, 다른 부식과는 달리 국부적으로 발생하며 깊이가 깊어질수록 침식이 더욱 심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항공기 관의 연결 계통에서 잦은 분리가 필요한 부분에 사용되는 연결 방식은?

  1. 플레어관 접합 방식
  2. 비드에 의한 연결 방식
  3. 스웨이징 접합기구 방식
  4. 플레어리스 접합기구 방식
(정답률: 47%)
  • 스웨이징 접합기구 방식은 항공기 관의 연결 부분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잦은 분리가 필요한 부분에 사용됩니다. 이 방식은 관의 끝을 확장시켜 다른 관과 연결하는 방식으로, 플레어관 접합 방식과 비슷하지만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항공기에서는 스웨이징 접합기구 방식이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평와셔의 사용 역할이 아닌 것은?

  1. 볼트, 너트의 풀림을 방지한다.
  2. 부품의 조이는 힘을 분산시켜, 평균화 함
  3. 볼트나 스크루의 그립 길이를 조정하는데 사용한다.
  4. 구조물과 장착 부품을 충격과 부식으로부터 보호한다.
(정답률: 37%)
  • 정답: "볼트, 너트의 풀림을 방지한다."

    이유: 평와셔는 부품의 조이는 힘을 분산시켜, 평균화하고 구조물과 장착 부품을 충격과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볼트나 스크루의 그립 길이를 조정하는 역할은 너트나 볼트를 사용하여 수행됩니다. 따라서 평와셔는 볼트, 너트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항공기의 세척에 사용되는 안전 솔벤트는?

  1. 메틸크로로포름
  2. 방향족 나프타
  3. 메틸에틸케톤
  4. 케로신
(정답률: 49%)
  • 항공기의 세척에는 기름과 그리스 같은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강력한 용제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메틸크로로포름은 강력한 용해력과 증발성을 가지고 있어 항공기의 부품과 재질에 대한 부식이 적고, 안전성이 높기 때문에 안전 솔벤트로 사용됩니다. 또한, 환경오염물질로 분류되는 방향족 나프타나 케로신 등과는 달리, 메틸크로로포름은 대기 중에 분해되기 쉬워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6각 구멍을 가진 볼트를 풀거나 조일때 사용하는 공구는?

  1. adjustable wrench
  2. allen wrench
  3. barrel
  4. thimble
(정답률: 54%)
  • 정답은 "allen wrench"입니다. 6각 구멍을 가진 볼트를 풀거나 조일 때는 allen wrench가 필요합니다. 이 공구는 6각형 모양의 끝이 달린 L자형으로, 볼트의 구멍에 꼽아서 회전시키면서 조이거나 풀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공구를 사용하여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C급 화재에 사용되는 소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CO2소화기
  2. CBM 소화기
  3. 분말 소화기
(정답률: 82%)
  • 물은 C급 화재에 사용되는 소화 방법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C급 화재가 전기적인 화재이기 때문에 물을 사용하면 전기적인 충격을 일으키고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급 화재에는 CO2 소화기, CBM 소화기, 분말 소화기 등이 적합한 소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항공기를 견인할 때 견인차의 최대 속도는 얼마로 제한하는가?

  1. 시속 8km
  2. 시속 16km
  3. 시속 24km
  4. 시속 32km
(정답률: 73%)
  • 항공기를 견인할 때 견인차의 최대 속도는 시속 8km으로 제한됩니다. 이는 항공기가 이륙할 때 견인차가 항공기를 빠르게 움직이게 하면 항공기가 공중으로 뜨기 전에 견인차와의 연결이 끊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견인차의 속도는 항공기가 안전하게 이륙할 수 있는 속도인 시속 8km로 제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여압식 동체에서 공기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격벽판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동체가 비틀림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막아주는 동체의 부재는?

  1. 프레임
  2. 스트링거
  3. 세로대
  4. 벌크헤드
(정답률: 48%)
  • 벌크헤드는 여압식 동체에서 공기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격벽판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동체가 비틀림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막아주는 동체의 부재입니다. 다른 보기인 프레임, 스트링거, 세로대는 모두 동체의 구조를 지탱하거나 강화하는 역할을 하지만, 벌크헤드는 특히 공기압력을 유지하는 역할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벌크헤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회전날개 항공기의 조종계통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리트리팅 조종계통
  2. 사이클릭 피치조종계통
  3. 켈렉티브 피치조종계통
  4. 방향조종 계통
(정답률: 50%)
  • 리트리팅 조종계통은 회전날개 항공기에서 수평적인 비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다른 조종계통들은 비행 중에 방향, 고도, 속도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케블러라 불리우는 섬유형 강화재는?

  1. 아라미드 섬유
  2. 알루미나 섬유
  3. 보론 섬유
  4. 탄소 섬유
(정답률: 64%)
  • 케블러라 불리우는 강화재는 고강도와 내열성이 뛰어난 섬유형 강화재입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섬유 중에서 아라미드 섬유가 가장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정답은 "아라미드 섬유"입니다. 아라미드 섬유는 폴리아미드 중 하나로, Kevlar와 Nomex 등의 상표명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고강도와 내열성이 뛰어나며, 높은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케블러와 같은 강화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운항자기무게에 속하는 것은?

  1. 유압계통의 작동유 무게
  2. 연료계통의 사용 가능한 연료의 무게
  3. 승객의 무게
  4. 화물의 무게
(정답률: 54%)
  • 운항자기무게란 비행기가 이륙할 때 필요한 총 무게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유압계통의 작동유 무게는 비행기가 안전하게 운항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유압계통은 비행기의 조종과 제어를 위해 필요한 시스템 중 하나이며, 작동유는 이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데 필요한 윤활유입니다. 따라서 유압계통의 작동유 무게는 비행기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케이블 조종계통 정비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은?

  1. 케이블 손상의 주원인은 풀리나 페어리드 및 케이블 드럼과의 접촉에 의한 것이다.
  2. 케이블 손상은 헝겊을 케이블에 감고 길이 방향으로 움직여 보아 알 수 있다.
  3. 부식된 케이블은 브러쉬로 부식을 제거한 후 솔벤트 등으로 깨끗이 세척한다.
  4. 케이블의 장력 점검은 조종계통이 완전히 조절된 상태에서 케이블이 제한된 장력범위 내에있는가를 검토하는 작업이다.
(정답률: 55%)
  • "케이블 손상의 주원인은 풀리나 페어리드 및 케이블 드럼과의 접촉에 의한 것이다."가 가장 관계가 먼 내용이다. 이는 케이블 조종계통 정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다음은 헬리콥터의 주 회전날개 궤도점검을 스트로보스코프를 사용할 때의 각종 장비와 장착부분을 짝지어 놓은 것이다. 가장 올바르게 표시된 것은?

  1. 회전날개 끝과 차단장치
  2. 회전경사판과 반사표적
  3. 회전날개 기스이 선단과 점검용 깃발
  4. 고정경사판과 자기발생장치
(정답률: 26%)
  • 헬리콥터의 주 회전날개 궤도점검을 스트로보스코프를 사용할 때, 회전하는 날개를 정지시켜서 궤도를 확인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고정경사판과 자기발생장치가 필요하다. 고정경사판은 회전하는 날개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자기발생장치는 스트로보스코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준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장비와 장착부분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일반적으로 항공기 타이어의 원료로 사용하는 고무는?

  1. 불소고무
  2. 합성고무
  3. 부틸고무
  4. 천연고무
(정답률: 37%)
  • 항공기 타이어는 고속으로 움직이는 차량이기 때문에 내구성과 탄성이 뛰어난 고무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고무 중에서도 천연고무는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이기 때문에 항공기 타이어의 원료로 주로 사용됩니다. 천연고무는 탄성이 뛰어나고 내구성이 높아서 항공기 타이어의 고속 주행에 적합하며, 또한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알루미늄 합금 중 2017의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파괴 인성이 좋고 피로특성에도 우수하므로 인장하중이 큰 날개 밑면의 스킨이나 동체의 스킨에 사용된다.
  2. 연질 리벳으로 많이 사용된다.
  3. 초 두랄루민이라 불리우며 소형 항공기 날개의 스킨 등에 사용된다.
  4. 두랄루민으로 불리우며 오직 리벳으로만 사용된다.
(정답률: 41%)
  • 2017 알루미늄 합금은 "두랄루민으로 불리우며 오직 리벳으로만 사용된다." 이유는 리벳으로 연결할 때 파괴 인성이 좋고 피로특성에도 우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장하중이 큰 부분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리벳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합금강의 분류에서 SAE 1025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탄소강을 나타낸다.
  2. 니켈강을 나타낸다.
  3. 합금원소는 크롬이다.
  4. 탄소의 함유량은 5%이다.
(정답률: 62%)
  • SAE 1025는 탄소강을 나타내는 합금강으로, 탄소의 함유량이 0.25%인 강재입니다. 탄소강은 탄소의 함유량에 따라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0.2% 이하의 저탄소강, 0.2%~0.5%의 중탄소강, 0.5% 이상의 고탄소강으로 구분됩니다. 따라서 SAE 1025는 중탄소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세장비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세장비는 기둥의 길이를 기둥 단면의 회전 반지름으로 나눈 것이다.
  2. 세장비가 큰 봉은 인장강도에 의하여 파괴된다.
  3. 세장비가 작은 기둥은 인장강도에 의하여 파괴된다.
  4. 일반적으로 연강인 경우에 세장비가 90보다 크면 짧은 기둥이라고 한다.
(정답률: 48%)
  • 세장비는 기둥의 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둥의 길이를 기둥 단면의 회전 반지름으로 나눈 것입니다. 이는 기둥이 얼마나 휘어지거나 굴러가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기둥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세장비가 큰 봉은 더 안정적이며, 작은 기둥은 인장강도에 의해 파괴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세장비가 90보다 크면 짧은 기둥이라고 하는 것은 일반적인 경향성을 나타내는 것이지, 정확한 기준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헬리콥터의 스키드 기어형 착륙장치에서 스키드 슈의 사용 목적을 가장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휠을 스키드에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2. 회전날개의 진동을 줄이기 위해
  3. 스키드가 지상에 정확히 닿게 하기 위해
  4. 스키드의 부식과 손상의 방지를 위해
(정답률: 68%)
  • 헬리콥터가 착륙할 때 스키드가 지면에 닿게 되는데, 이때 스키드 슈는 스키드의 하단 부분에 부착되어 지면과 마찰하면서 착륙을 안정적으로 도와줍니다. 그러나 스키드 슈는 지면과 마찰하면서 부식과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스키드의 부식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스키드 슈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항공기 출입문 중 동체 외벽의 안으로 여는 형식은?

  1. 플러그형
  2. 티형
  3. 팽창형
  4. 밀폐형
(정답률: 66%)
  • 플러그형 출입문은 동체 외벽에 있는 구멍에 플러그를 꽂아서 밀착시키는 형식으로, 간단하고 신속한 개폐가 가능하며 공기 밀폐성이 높아서 비행 중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헬리콥터의 동체구조 형식 중 트러스형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일반적으로 강관을 삼각형태로 용접하여 만든다.
  2. 중량에 비해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다.
  3. 세미모노코크 동체구조 형식에 비해 유효 공간이 크다.
  4. 모노코크 동체구조 형식에 비행 정비가 쉽다.
(정답률: 63%)
  • 트러스형 구조는 일반적으로 강관을 삼각형태로 용접하여 만들어지며, 중량에 비해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세미모노코크 동체구조 형식에 비해 유효 공간이 크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트러스형 구조는 구조물 내부에 많은 지지대가 있어 유효 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항온 열처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마템퍼링
  2. 마퀜칭
  3. 오스템퍼링
  4. 노말라이징
(정답률: 50%)
  • 노말라이징은 항온 열처리가 아닙니다. 항온 열처리는 재료를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가열하여 조직을 안정화시키는 과정입니다. 이에 반해 노말라이징은 고온에서 가열한 후 빠르게 냉각하여 조직을 섬세하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노말라이징은 항온 열처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헬리콥터가 전진 비행을 할 때 수평 안정판이 하는 역할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전진 비행시 수평안정판의 공기력이 위로 작용하여 수평을 유지시킨다.
  2. 전진 비행시 수평 안정판의 공기력이 아래로 작용하여 수평을 유지시킨다.
  3. 주 회전날개의 수평을 유지시킨다.
  4. 꼬리회전날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정답률: 51%)
  • 전진 비행시 헬리콥터의 전진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면서 수평 안정판에 압력을 가하게 됩니다. 이때 수평 안정판의 공기력은 아래로 작용하여 헬리콥터의 수평을 유지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진 비행시 수평 안정판의 공기력이 아래로 작용하여 수평을 유지시킨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구조상의 최대하중으로 기체의 영구변형이 일어나더라도 파괴되지 않는 하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한계하중
  2. 최고하중
  3. 극한하중
  4. 돌풍하중
(정답률: 56%)
  • 극한하중은 구조물이 파괴되지 않는 최대하중을 의미합니다. 이는 구조물의 재료와 구조적인 설계 등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구조물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최대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극한하중"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항공기에 작용하는 하중 중 시간에 따라 크기가 변화하면서 작용하는 동하중이 아닌 것은?

  1. 반복하중
  2. 교번하중
  3. 충격하중
  4. 표면하중
(정답률: 34%)
  • 표면하중은 항공기의 표면에 일정하게 분포된 하중으로, 시간에 따라 크기가 변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간에 따라 크기가 변화하는 동하중, 즉 반복하중, 교번하중, 충격하중은 항공기에 작용하는 동적인 하중이며, 표면하중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단일 회전날개 헬리콥터에서 연료탱크는 대부분 어느 곳에 위치하는가?

  1. 테일 붐
  2. 파일론
  3. 동체
  4. 날개
(정답률: 66%)
  • 단일 회전날개 헬리콥터에서 연료탱크는 대부분 동체에 위치합니다. 이는 헬리콥터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연료탱크가 날개나 테일 붐에 위치하면, 연료가 소진됨에 따라 중심축이 변하게 되어 헬리콥터의 안정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연료탱크는 동체에 위치하여 중심축을 유지하고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대형 항공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브레이크 형식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팽창튜브 브레이크
  2. 싱글 디스크 브레이크
  3. 멀티 디스크 브레이크
  4. 세그먼트 로터 브레이크
(정답률: 71%)
  • 멀티 디스크 브레이크는 대형 항공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브레이크 형식입니다. 이는 여러 개의 디스크를 사용하여 브레이크 효과를 증대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멀티 디스크 브레이크는 높은 속도에서의 제동 효과가 뛰어나며, 대형 항공기의 무게와 속도를 제어하는 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힘과 모멘트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올바른 내용은?

  1. 모멘트는 외력에 대한 구조 내부에서 생기는 힘이다.
  2. 평면 구조물의 평형방정식은 힘의 회전능률로서 길이와 힘의 곱으로 나타낸다.
  3. 힘은 크기, 방향, 작용점을 가지며 벡터량 이다.
  4. 방향과 작용점만을 가지고 물리량은 스칼라량이라 한다.
(정답률: 64%)
  • 힘은 크기와 방향, 그리고 작용점을 가지므로 벡터량이다. 크기와 방향만으로는 힘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작용점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힘은 크기, 방향, 작용점을 가지며 벡터량 이다."가 가장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면의 주요 4요소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설계란
  2. 표제란
  3. 변경란
  4. 일반주석란
(정답률: 34%)
  • 설계란은 도면의 주요 4요소 중 하나가 아니며, 도면의 설계 과정에서 사용되는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도면의 주요 4요소는 표제란, 변경란, 일반주석란, 그리고 그림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일정한 응력을 받는 재료가 일정한 온도에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중이 일정하더라도 변형률이변화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항복
  2. 소성
  3. 크리프
  4. 피로
(정답률: 60%)
  • 크리프는 일정한 응력을 받는 재료가 일정한 온도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중이 일정하더라도 변형률이 변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시간에 따라 재료 내부의 결함이나 구조적 변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크리프 현상은 고온에서 작동하는 장비나 구조물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크리프"가 정답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항공기 구조의 특정위치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항공기상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동체 위치선
  2. 동체 수위선
  3. 날개 위치선
  4. 날개 수위선
(정답률: 41%)
  • 날개 수위선은 항공기의 구조적인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항공기의 비행 상태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항공기 구조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날개의 구조부재 중 날개골 모양을 하고 있으며, 날개외피에 작용하는 하중을 날개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앞전
  2. 리브
  3. 스트링거
  4. 스포일러
(정답률: 71%)
  • 리브는 날개의 구조부재 중 하나로, 날개골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날개외피에 작용하는 하중을 날개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리브는 날개의 강도와 안정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항공기 재료에 쓰이는 금속 중 가장 가벼운 금속으로 장비품의 하우징 등에 사용되는 재료는?

  1. 알루미늄
  2. 마그네슘
  3. 티탄
  4. 니켈
(정답률: 68%)
  • 마그네슘은 알루미늄보다 더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아서 항공기 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내식성이 좋아서 부식에 강합니다. 따라서 장비품의 하우징 등에 사용되는 재료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