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1-18)

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09-01-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다음 ( ) 안에 알맞은 용어는?

  1. 아음속
  2. 천음속
  3. 초음속
  4. 극초음
(정답률: 49%)
  • 이 그림은 비행기가 아음속으로 비행하고 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음속은 음속보다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를 말합니다. 이 그림에서 비행기는 음속보다 느린 속도로 움직이고 있으므로 아음속으로 비행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30°선회각으로 정상 수평 선회비행을 하는 비행기에 걸리는 하중배수는 약 얼마인가?

  1. 0.8
  2. 1.0
  3. 1.15
  4. 1.35
(정답률: 68%)
  • 선회각이 30°인 경우, 비행기의 날개에는 중력과 상승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이때, 하중배수는 상승력과 중력의 비율로 계산됩니다.

    30°선회각에서의 상승력은 중력의 1.15배가 됩니다. 따라서 하중배수는 1.15이 됩니다.

    즉, 비행기가 수평선회비행을 할 때, 하중배수는 1.1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행기가 그림과 같이 θ만큼 경사진 직선 비행경로를 따라 등속도로 상승할 때, 비행기에 작용하는 비행방향의 추력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직선 비행경로의 수평 중력 성분
  2. 직선 비행경로의 수직 중력 성분
  3. 양력 + 직선 비행경로의 중력 성분
  4. 항력 + 직선 비행경로의 중력 성분
(정답률: 42%)
  • 비행기가 경사진 직선 비행경로를 따라 상승할 때, 비행기에는 중력과 항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중력은 항상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비행기에는 수직 방향으로 중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이 중력은 비행기의 질량과 지구의 중력 가속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반면에 항력은 비행기의 속도와 공기의 밀도, 비행기의 형태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항력은 비행기의 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비행기가 경사진 직선 비행경로를 따라 상승할 때, 비행기에 작용하는 비행방향의 추력은 항력과 직선 비행경로의 중력 성분이 됩니다. 이는 비행기가 수직 방향으로 중력을 극복하면서도, 항력을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항력 + 직선 비행경로의 중력 성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충격파를 통과한 공기의 특성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압력과 속도가 감소한다.
  2. 밀도는 감소하고, 속도가 증가한다.
  3. 압력이 감소하고, 속도가 증가한다.
  4. 압력이 증가하고, 속도는 감소한다.
(정답률: 63%)
  • 충격파를 통과한 공기는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속도는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압력이 증가하면 속도가 감소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압력이 증가하고, 속도는 감소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공기에 대하여 온도가 일정할 때 압력이 증가하면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밀도와 체적이 모두 감소한다.
  2. 밀도와 체적이 모두 증가한다.
  3. 체적은 감소하고 밀도는 증가한다.
  4. 체적은 증가하고 밀도는 감소한다.
(정답률: 54%)
  • 가스 입자들은 압력이 증가하면 더욱 가까이 모여들어 체적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입자들 간의 충돌 빈도가 증가하고, 이는 밀도의 증가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온도가 일정할 때 압력이 증가하면 체적은 감소하고 밀도는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행기가 실속에 접근하면 생기는 현상으로 날개 주위의 공기 흐름이 떨어진 후류가 날개나 꼬리날개를 진동시키는 현상은?

  1. 버핏(Buffet)
  2. 드릴링(Drilling)
  3. 볼텍스(Vortex)
  4. 더치롤(Dutch roll)
(정답률: 89%)
  • 비행기가 실속에 접근하면 생기는 현상으로 날개 주위의 공기 흐름이 떨어진 후류가 날개나 꼬리날개를 진동시키는 현상을 "버핏(Buffet)"이라고 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안정성을 해치는 요인 중 하나이며, 비행기의 구조나 조종 기술 등을 개선하여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헬리콥터가 전후좌우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일정고도를 유지하면서 떠 있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정지비행
  2. 수직비행
  3. 횡전비행
  4. 전진비행
(정답률: 88%)
  • 헬리콥터가 전후좌우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일정고도를 유지하면서 떠 있는 상태를 "정지비행"이라고 합니다. 이는 헬리콥터의 로터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역학적인 힘과 엔진의 힘을 조절하여 유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헬리콥터가 이동하지 않고 고도를 유지하는 상태를 정지비행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항공기 날개의 단면형상을 나타낸 코드 "NACA 24120"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최대두께가 시위의 10% 이다.
  2. 평균캠버선의 뒤 쪽 반이 곡선이다.
  3. 마지막 두 자리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4자 계열의 것과 다르다.
  4. 첫째자리 숫자 및 셋째자리 숫자가 의미하는 것은 4자 계열의 것과 같다.
(정답률: 47%)
  • "NACA 24120"은 항공기 날개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코드로, "24"는 최대두께가 시위의 10%를 나타내고, "1"은 평균캠버선의 위치가 시위의 1/100을 나타냅니다. "120"은 평균캠버선의 뒤 쪽 반이 곡선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평균캠버선의 뒤 쪽 반이 곡선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프로펠러에 작용하는 원심력과 굽힘 효과의 관계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굽힘 효과는 원심력에 의해 발생한다.
  2. 원심력이 추력으로 발생한 굽힘 효과를 감소시킨다.
  3. 원심력이 추력으로 발생한 굽힘 효과를 증가시킨다.
  4. 원심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굽힘 효과를 감소시킨다.
(정답률: 40%)
  • 프로펠러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원심력은 프로펠러 블레이드를 굽히는 힘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이러한 굽힘 효과는 프로펠러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원심력이 추력으로 발생한 굽힘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은 프로펠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고도 1000m에서 공기의밀도가0.1kgfㆍs2/m4 이고 비행기의 속도가 720km/h 일 때, 압력을 측정하는 비행기의 피토관 입구에 작용하는 동압은 몇 kgf/m2인가?

  1. 360
  2. 2000
  3. 4000
  4. 7200
(정답률: 42%)
  • 동압은 고도와 관련이 있으므로, 먼저 고도 1000m에서의 기압을 구해야 합니다. 대기압은 해수면에서 약 1.01325 × 105 Pa 이므로, 고도 1000m에서의 기압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P = P0 × e-h/8000
    = 1.01325 × 105 × e-1000/8000
    ≈ 8.988 × 104 Pa

    여기서 P0은 해수면에서의 기압, h는 고도입니다. 이제 이 기압을 이용하여 동압을 구할 수 있습니다.

    동압 = 1/2 × 공기밀도 × 비행기속도2 = 1/2 × 0.1 × (720 × 1000/3600)2 ≈ 2000 kgf/m2

    따라서 정답은 "2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앞전 플랩의 한 종류로 날개 밑면에 접혀져 날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나, 조작하면 앞 쪽으로 꺾여 구부러지고 앞전 반지름을 크게 하는 효과를 얻는 장치는?

  1. 경계층 제어장치
  2. 크루거 플랩(Kruger flap)
  3. 슬랫(Slat) 또는 슬롯(slot)
  4. 드루프 앞전(Drooped leading edge)
(정답률: 55%)
  • 크루거 플랩은 날개 밑면에 접혀져 있으며, 조작하면 앞 쪽으로 꺾여 구부러지고 앞전 반지름을 크게 하는 효과를 얻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이 장치가 앞전 반지름을 크게 하는 효과를 얻는 것이 특징인 크루거 플랩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날개길이 방향의 양력계수 분포가 일률적이고 유도항력이 최소인 날개는?

  1. 타원 날개
  2. 뒤젖힘 날개
  3. 앞젖힘 날개
  4. 테이퍼 날개
(정답률: 62%)
  • 타원 날개는 날개 길이 방향의 양력계수 분포가 일률적이면서도 유도항력이 최소인 날개이기 때문입니다. 타원 날개는 전체적으로 날개 길이가 일정하면서도 날개 뿔의 각도가 작아서 양력계수 분포가 일률적이며, 또한 날개 끝이 둥글게 둥글어져서 유도항력이 최소화됩니다. 따라서 타원 날개는 비행기나 새 등의 날개 구조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항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력항력의 크기는 물체의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
  2. 압력항력과 마찰항력을 합쳐서 형상항력이라 한다.
  3. 날개끝 와류와 같은 현상으로 유도항력이 발생한다.
  4. 공기와 물체의 마찰력이 클수록 마찰항력은 감소한다.
(정답률: 74%)
  • 공기와 물체의 마찰력이 클수록 마찰항력은 적어진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공기와 물체의 마찰력이 클수록 마찰항력은 증가합니다. 이는 마찰력이 물체와 공기 사이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와 물체의 마찰력이 클수록 마찰항력은 감소한다."가 아닌 "압력항력의 크기는 물체의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헬리콥터에서 주기적 피치 제어간(Cyclic pitch control lever)을 사용하여 조종할 수 없는 비행은?

  1. 전진비행
  2. 상승비행
  3. 측면비행
  4. 후퇴비행
(정답률: 65%)
  • 주기적 피치 제어간은 헬리콥터의 전방, 후방, 좌우로 이동하는 비행을 조종하는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상승비행은 헬리콥터의 상승과 하강을 조종하는데 사용되는 스로틀을 이용하여 조종합니다. 따라서 주기적 피치 제어간으로는 상승비행을 조종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비행기의 정적가로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좋은 방법은?

  1. 꼬리날개를 작게 한다.
  2. 동체를 원형으로 만든다.
  3. 날개의 모양을 원형으로 한다.
  4. 양쪽 주 날개에 상반각을 준다.
(정답률: 83%)
  • 양쪽 주 날개에 상반각을 주는 것은 비행기의 안정성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상반각을 주게 되면 날개의 압력 분포가 균일해지고, 공기의 흐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비행기의 정적가로안정성이 향상되어 비행 중에 비행기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기 기체 검사시 플래쉬 라이트, 거울, 확대경만을 이용하여 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는?

  1. 육안검사
  2. 초음파탐상검사
  3. 자분탐상검사
  4. 방사선투과검사
(정답률: 87%)
  • 육안검사는 항공기 기체 검사시 플래쉬 라이트, 거울, 확대경만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비파괴검사 중에서는 가장 간단하고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초음파탐상검사, 자분탐상검사, 방사선투과검사는 보다 정밀하고 복잡한 검사 방법으로, 각각 소리, 입자, 방사선을 이용하여 검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고장난 부품이나 사용수명이 다 되어 장탈한 부품으로서 수리를 해야 할 요구 부품에는 어떤 색깔의 표찰을 붙이는가?

  1. 회색
  2. 초록색
  3. 노란색
  4. 빨간색
(정답률: 51%)
  • 초록색은 재사용 가능한 부품을 나타내는 색깔이며, 고장난 부품이나 사용수명이 다 된 부품은 수리를 해야 할 요구 부품으로서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초록색 표찰이 아닌 다른 색깔의 표찰을 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금속 합금의 입자 경계면을 따라서 발생하는 선택적인 부식이며, 또한 부적절한 열처리에서 합금조직의 균일성의 결여로 인해 발생 하는 부식의 종류는?

  1. 점 부식
  2. 찰과 부식
  3. 입자간 부식
  4. 이질 금속간 부식
(정답률: 73%)
  • 금속 합금의 입자 경계면을 따라서 발생하는 선택적인 부식은 입자간 부식이라고 합니다. 이는 합금 내부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화학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부식이 진행됨에 따라 입자 경계면이 더욱 뚜렷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와 달리 점 부식은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는 부식, 찰과 부식은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부식, 이질 금속간 부식은 서로 다른 금속 간의 부식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중 0.001A(암페어)와 같은 것은?

  1. 1μA
  2. 1mA
  3. 1kA
  4. 1MA
(정답률: 81%)
  • 0.001A는 1mA와 같습니다. 이는 1밀리암페어(milliampere)로 표기되며, 1밀리암페어는 0.001암페어와 같습니다. 따라서 0.001A는 1mA와 같은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문장 중 ( )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는?

  1. 1100
  2. 2117
  3. 2017
  4. 2024
(정답률: 58%)
  • 주어진 그림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2"와 "4"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0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다음 중 접지된 페인팅 대상물과 페인팅 기구간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페인팅하는 기법은?

  1. 정전 페인팅
  2. 스프레이(Spray) 페인팅
  3. 터치업(Touch up) 페인팅
  4. 에어레스 스프레이(Airless spray) 페인팅
(정답률: 81%)
  • 정전 페인팅은 접지된 페인팅 대상물과 페인팅 기구간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페인팅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페인트 입자를 분사시키는 방식으로, 페인트 입자가 정전기적으로 충전되어 대상물에 부착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전 페인팅은 페인트 입자의 분사와 부착이 더욱 정밀하고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페인트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비 작업 사고 방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작업장 주위 환경을 항상 깨끗이 정리,정돈하여 사고의 잠재요인을 없애야 한다.
  2. 작업시에는 반드시 절차에 따른 보호장구를 착용 해야 한다.
  3. 지상 사고 원인의 대부분은 불가항력(자연 현상)으로 일어나므로 일기예보를 주시한다.
  4. 모든 작업자에게 정기 또는 수시로 안전교육을 실시하여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지시킨다.
(정답률: 83%)
  • "지상 사고 원인의 대부분은 불가항력(자연 현상)으로 일어나므로 일기예보를 주시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사고는 자연 현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인적 요인이나 기계적 결함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일기예보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 교육과 보호장구 착용 등 다양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계류시간, 구성품 및 부품 부족 등으로 감항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규정에 의거하여 정비 작업을 다음 정비 기지나 이후 정시 점검시까지 보류한다는 의미의 항공정비 용어는?

  1. 하드 타임
  2. 온-컨디션
  3. 정비 이월
  4. 컨디션 모니터링
(정답률: 72%)
  • 정비 이월은 계류시간이나 부품 부족 등으로 인해 정비 작업을 다음 정비 기지나 이후 정시 점검시까지 보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정비 작업을 일정 기간 보류하고 나중에 다시 진행하는 것입니다. 이는 감항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규정에 따라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A급 화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유류 화재
  2. 종이 화재
  3. 기구 화재
  4. 직물 화재
(정답률: 85%)
  • 유류 화재는 B급 화재로 분류되며, 종이, 기구, 직물 화재는 모두 A급 화재로 분류됩니다. A급 화재는 일반적으로 유기물이 연소되는 화재로, 물로 직접 소화할 수 없으며, 소화기나 소화전 등의 특수 장비가 필요합니다. 반면, B급 화재는 액체 연료나 가스 등이 연소되는 화재로, 소화기로 쉽게 진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류 화재는 A급 화재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이 토크 렌치와 연장 공구를 이용하여 볼트를 300in-lb 로 조이려고 한다. 토크렌치의 지시값이 몇 in-lb를 지시할 때까지 조이면 되는가?

  1. 80
  2. 90
  3. 100
  4. 200
(정답률: 52%)
  • 연장 공구를 통해 토크렌치의 토크 출력이 2배가 되었으므로, 실제로 볼트에 가해지는 토크는 300 x 2 = 600 in-lb 이다. 따라서, 토크렌치의 지시값이 600 in-lb 일 때까지 조이면 된다. 이때, 보기에서 유일하게 600 in-lb 에 가장 가까운 값은 "200" 이므로 정답은 "2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표면 결함의 검사가 주 목적인 것은?

  1. 인장시험 검사
  2. 방사선투과검사
  3. 형광침투탐상검사
  4. 초음파탐상검사
(정답률: 80%)
  • 형광침투탐상검사는 표면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 중 하나로, 검사 대상에 형광액을 침투시켜 UV 램프 아래에서 검사하여 결함을 발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표면 결함의 검사가 주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고장의 자료와 품질에 관한 자료를 감시,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것에 대한 처리 대책을 강구하는 정비 방식은?

  1. 공장 정비관리
  2. 예방 점검관리
  3. 정시 정비관리
  4. 신뢰성 정비관리
(정답률: 48%)
  • 신뢰성 정비관리는 고장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자료와 품질을 감시하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더욱 신뢰성 높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와 관련하여 가장 적합한 정답은 신뢰성 정비관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안내 및 구급용 치료 설비 등을 나타내는 표지의 색은?

  1. 적색
  2. 청색
  3. 녹색
  4. 황색
(정답률: 89%)
  • 녹색은 안전을 나타내는 색으로, 구급용 치료 설비나 안내 표지 등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녹색이 안전과 보호를 상징하는 색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녹색은 자연과 환경을 나타내는 색으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환경보호와 관련된 표지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영문의 내용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정비를 할 때는 상사의 업무지시에 따른다.
  2. 정비 교범절차에 따라 주의를 해야 한다.
  3. 정비 교범절차에 꼭 따를 필요는 없다.
  4. 정비를 할 때는 사람을 주의해야 한다.
(정답률: 82%)
  • 정비 교범절차는 정비를 수행할 때 필요한 절차와 안전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기 때문에 정비를 할 때는 정비 교범절차에 따라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Electrical Connector의 장, 탈착에 사용되는 공구는?

  1. Ring plier
  2. Connector plier
  3. Diagonal cutter
  4. Inter locking joint plier
(정답률: 60%)
  • Electrical Connector는 작고 복잡한 부품으로, 손으로는 장, 탈착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Connector plier와 같은 전용 공구를 사용하여 쉽게 장, 탈착할 수 있습니다. Ring plier는 링형태의 부품을 잡을 때 사용하고, Diagonal cutter는 전선을 자를 때 사용합니다. Inter locking joint plier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을 잡을 때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강관 구조부재의 수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균열이 존재하면 정비 드릴로 뚫어 균열의 진행을 차단한다.
  2. 덧붙임하는 관의 부재는 손상된 강판과 동일한 재질과 두께를 가진 것을 선택한다.
  3. 손상이 끝으로부터 양쪽으로 강관 지름의 1.5배 만큼의 치수를 가지는 스카프 수리방식 이나 피시마우스 수리방식이 있다.
  4. 강관의 우그러진 깊이가 지름이1/10이상 이고, 범위가 강관 원주의 1/4이상의 경우에는 패치수리를 한다.
(정답률: 43%)
  • 정답은 "강관의 우그러진 깊이가 지름이1/10이상 이고, 범위가 강관 원주의 1/4이상의 경우에는 패치수리를 한다."이다. 이유는 강관의 우그러진 깊이가 지름의 1/10 이상이고, 범위가 원주의 1/4 이상인 경우에는 패치수리를 하는 것이 아니라, 교체를 해야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보기]에서 격납고 내의 항공기에 배유 작업이나 정비작업 중의 접지(ground)점을 모두 나타낸 것은?

  1. 연료차, 지면
  2. 항공기 기체, 작업자
  3. 항공기 기체, 연료차, 지면
  4. 항공기 기체, 연료차, 지면, 작업자
(정답률: 87%)
  • 격납고 내의 항공기에 배유 작업이나 정비작업 중에는 항공기 기체와 연료차가 접지점을 갖고 있어야 안전하게 작업이 가능합니다. 또한, 작업자가 항공기 내부에 진입할 경우에도 항공기 기체와 지면이 접지점을 갖고 있어야 안전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항공기 기체, 연료차, 지면" 입니다. 작업자는 이미 항공기 기체와 연료차가 접지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따로 나타내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과 같은 리벳의 규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접시머리 리벳이다.
  2. 특수 표면처리 되어 있다.
  3. 리벳의 지름은 6/16인치이다.
  4. 리벳의 길이는 16/16인치이다.
(정답률: 37%)
  • 리벳의 규격은 "접시머리 리벳"으로 지름이 6/16인치이며, 길이는 16/16인치이다. 즉, 지름은 3/8인치이고, 길이는 1인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안전 고정 작업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턴 버클 작업
  2. 코터 핀 작업
  3. 안전 결선 작업
  4. 자동 고정 너트 조임 작업
(정답률: 54%)
  • 자동 고정 너트 조임 작업은 안전을 위해 필요한 작업이 아닙니다. 다른 작업들은 각각 특정 부품이나 장치를 고정하거나 결선하는 등 안전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작업이지만, 자동 고정 너트 조임 작업은 단순히 부품을 조임하는 작업으로, 안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동 고정 너트 조임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판재의 가장 자리에서 첫번째 리벳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끝거리
  2. 리벳간격
  3. 열간격
  4. 가공거리
(정답률: 63%)
  • 판재의 가장 자리에서 첫번째 리벳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끝거리" 라고 합니다. 이는 첫번째 리벳이 판재의 끝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첫번째 리벳의 중심까지의 거리는 해당 판재의 끝거리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4×4in 인 정사각형 단면봉에 2000lb 의 인장 하중을 받는 다면, 이봉에 작용하는 응력은 몇 lb/in2인가?

  1. 62
  2. 125
  3. 250
  4. 500
(정답률: 67%)
  • 응력은 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단면적 = 4 × 4 = 16 in2
    응력 = 2000 lb ÷ 16 in2 = 125 lb/in2

    따라서 정답은 "1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강화재 중 탄소섬유는 일반적으로 어떤 색깔인가?

  1. 흰색
  2. 노란색
  3. 파란색
  4. 검정색
(정답률: 67%)
  • 탄소섬유는 검정색이다. 이는 탄소섬유가 카본블랙이라는 검은색 염료로 처리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기관 마운트를 선택하기 전에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기관의 제조기간
  2. 기관 마운트의 장착 위치
  3. 기관의 형식 및 특성
  4. 기관 마운트의 장착 방향
(정답률: 73%)
  • 기관의 제조기간은 기관 마운트를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기관의 제조기간은 단지 기관을 구매하기 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일 뿐이며, 기관 마운트의 선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기관 마운트를 선택하기 전에는 기관의 제조기간을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청동의 성분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구리 + 아연
  2. 구리 + 주석
  3. 구리 + 망간
  4. 구리 + 알루미늄
(정답률: 76%)
  • 청동은 구리와 주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구리가 높은 전도성과 연성을 가지고 있어 청동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고, 주석이 청동의 내식성과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리 + 주석"이 옳은 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착륙장치의 주요 구성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바퀴
  2. 제동장치
  3. 나셀
  4. 충격흡수장치
(정답률: 85%)
  • 나셀은 착륙장치의 주요 구성품이 아닙니다. 나셀은 비행기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추력을 조절하는 기계적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일반적으로 설계하중을 정의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한계하중 + 하중배수
  2. 한계하중 × 하중배수
  3. 한계하중 + 안전계수
  4. 한계하중 × 안전계수
(정답률: 53%)
  • 설계하중은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인 한계하중에 안전을 고려하여 적용하는 안전계수를 곱한 값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한계하중 × 안전계수"가 옳은 정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피로(Fatigue)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피로시험은 응력-변형률 곡선 선도를 사용한다.
  2. 피로(Fatigue)란 반복 하중에 의하여 재료가 파괴되는 현상을 말한다.
  3. 피로(Fatigue)에 의해서 파괴될 때까지의 강도를 피로 강도라 한다.
  4.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각종 재료의 피로 강도의 평가는 단순한 반복 응력에 대한 시험으로 정한다.
(정답률: 32%)
  • 정답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각종 재료의 피로 강도의 평가는 단순한 반복 응력에 대한 시험으로 정한다."입니다.

    피로시험은 반복 하중에 의해 재료가 파괴되는 현상을 모사하여 시험하는 것입니다. 이 때, 응력-변형률 곡선 선도를 사용하는 이유는 재료의 피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입니다. 응력-변형률 곡선 선도를 통해 재료의 피로 수명, 피로 한계, 피로 균열 발생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V-n 선도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1. 양력을 항공기 속도에 대해 그래프로 나타낸 것
  2. 하중배수를 항공기 속도에 대해 그래프로 나타낸 것
  3. 항공기의 수직속도를 수평속도에 대해 그래프로 나타낸 것
  4. 등가대기속도를 항공기 속도에 대해 그래프로 나타 낸 것
(정답률: 51%)
  • V-n 선도는 항공기의 하중배수를 항공기 속도에 대해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 그래프는 항공기가 어떤 속도에서 어떤 하중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며, 항공기의 안전한 비행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하중배수를 항공기 속도에 대해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헬리콥터의 운동중 페달로 조종하는 운동은?

  1. 전ㆍ후진운동
  2. 좌우운동
  3. 수직방향운동
  4. 방향조종운동
(정답률: 58%)
  • 페달은 헬리콥터의 방향조종을 담당하는 조종기구입니다. 페달을 밟으면 헬리콥터의 꼬리 로터가 회전하게 되어 방향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운동은 방향조종운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왕복기관을 장착한 헬리콥터에서 기관의 시동 또는 저속 운전시 기관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품은?

  1. 트랜스미션(Transmission)
  2. 원심 클러치(Centrifugal clutch)
  3. 프리휠 클러치(Freewheel clutch)
  4. 오버 러닝 클러치(Over running clutch)
(정답률: 40%)
  • 원심 클러치는 회전하는 축에 부착된 무게를 이용하여 회전력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만 클러치가 작동하여 기계의 부하를 줄이는 부품입니다. 따라서 헬리콥터에서 기관의 시동 또는 저속 운전시 기관에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원심 클러치가 장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미국 알루미늄 협회의 규격에 따라 재질을 “1100”으로 표기할 때 첫째자리 “1”이 나타내는 의미로 옳은 것은?

  1. 소숫점 이하의 순도가 1%이내이다.
  2. 알루미늄-마그네슘계 합금이다.
  3. 알루미늄-망간계 합금이다.
  4. 99% 순수 알루미늄이다.
(정답률: 76%)
  • 첫째자리 "1"은 순수 알루미늄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99% 순수 알루미늄이다."입니다. 이유는 "99%"가 순도를 나타내며, "순수 알루미늄"이므로 다른 합금 성분이 섞여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플라스틱 가운데 투명도가 가장 높으며, 광학적 성질이 우수하여 항공기용 창문유리로 사용되는 재료는?

  1. 폴리염화비닐(PVC)
  2. 에폭시수지(Epoxy resin)
  3. 페놀수지(Phenolic resin)
  4. 폴리메타크릴산메틸(Polymethyl methacrylate)
(정답률: 61%)
  •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은 투명도가 높고 광학적 성질이 우수하여 빛을 잘 투과하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가벼워 항공기용 창문유리로 적합합니다. 반면, PVC는 내구성이 낮고 열에 약하며, 에폭시수지와 페놀수지는 내구성은 높지만 투명도가 낮아 광학적 성질이 좋지 않습니다. 따라서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이 항공기용 창문유리로 사용되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헬리콥터의 개략도에서 A, B의 명칭은?

  1. A : 테일붐, B : 파일론
  2. A : 파일론, B : 테일붐
  3. A : 방향판, B : 파일론
  4. A : 테일붐, B : 방향판
(정답률: 60%)
  • A는 헬리콥터의 꼬리 부분에 위치한 부품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고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테일붐이라고 합니다. B는 메인로터 블레이드의 회전 중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부품으로, 파일론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테일붐, B : 파일론"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플라이 바이 와이어 조종 장치(fly-by-wire control system)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컴퓨터
  2. 전기적인 신호
  3. 조종 케이블
  4. 유압식 작동기
(정답률: 60%)
  • 조종 케이블은 전통적인 방식의 비행기 조종 시스템으로, 조종석에서 조종 케이블을 통해 직접적으로 연결된 기계장치를 통해 비행기를 조종합니다. 반면에 플라이 바이 와이어 조종 장치는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비행기를 조종하는 첨단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종 케이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항공기기체 구조시험이 필요한 이유로 틀린 것은?

  1. 설계기준으로 선택된 재료의 기계적 성질이 실제 사용된 재료의 값과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2. 새로운 재료의 출현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방법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3. 설계과정에 사용된 공식과 가정이 반드시 실제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4. 모든 조건을 고려하여 설계할 수 있어 실제와는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정답률: 70%)
  • "모든 조건을 고려하여 설계할 수 있어 실제와는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는 올바른 이유입니다. 항공기는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에는 기체의 안정성, 내구성, 안전성, 성능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항공기기체 구조시험은 이러한 조건들을 고려하여 설계된 항공기의 실제 성능을 확인하고,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수직 꼬리날개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

  1. 승강키
  2. 도살 핀
  3. 방향키
  4. 수직 안정판
(정답률: 70%)
  • 승강키는 비행기의 조종을 돕는 조종 장치이지만, 수직 꼬리날개의 구성품은 아닙니다. 수직 꼬리날개의 구성품으로는 도살 핀, 방향키, 수직 안정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날개 외피에 작용하는 하중을 전달하며, 공기 역학적인 날개골(캠버)을 유지시키는 날개구조 부재는?

  1. 리브
  2. 벌크헤드
  3. 날개보
  4. 스트링어
(정답률: 64%)
  • 리브는 날개 외피에 작용하는 하중을 전달하며, 공기 역학적인 날개골(캠버)을 유지시키는 가장 중요한 부재입니다. 벌크헤드는 비행기의 구조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날개의 구조를 유지하는 것은 아닙니다. 날개보와 스트링어는 날개의 구조를 유지하는데 일부 기여하지만, 리브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리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기체손상의 유형 중 긁힘(Scratch)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손상 깊이를 가진다.
  2. 손상 길이를 가진다.
  3. 날카로운 물체와 접촉되어 발생된다.
  4. 단면적의 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률: 67%)
  • 단면적의 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긁힘은 표면에 일어나는 손상으로, 손상 깊이와 손상 길이를 가지며, 날카로운 물체와 접촉되어 발생됩니다. 따라서 긁힘이 발생하면 표면의 단면적이 변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체구조의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트러스형 구조는 대부분 경비행기의 동체 및 날개의 구조에 사용한다.
  2. 응력 외피형 구조는 내부공간을 크게 할 수 있고, 외형을 유선형으로 할 수 있다.
  3. 응력 외피형 구조에는 모노코크형과 세미모노코크형이 있다.
  4. 샌드위치 구조는 필요한 강도 및 강성을 가지고 있으나 항공기 무게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66%)
  • 정답은 "샌드위치 구조는 필요한 강도 및 강성을 가지고 있으나 항공기 무게를 증가시킨다." 이다. 샌드위치 구조는 내부에 경량화된 코어 소재를 두고 그 주위에 강화재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강도와 강성을 높일 수 있지만, 코어 소재가 추가되어 무게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여러 부품이 한 곳에 결합되어 조립체를 이루는 방법과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은?

  1. 조립도
  2. 상세도
  3. 장착도
  4. 배선도
(정답률: 79%)
  • 조립도는 여러 부품이 한 곳에 결합되어 조립체를 이루는 방법과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입니다. 따라서 이 도면은 부품들이 어떻게 결합되어 전체 제품이 만들어지는지를 보여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상세도는 부품의 구체적인 형상과 크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장착도는 부품이 어떻게 설치되는지를 보여주는 도면입니다. 배선도는 전기적인 부품들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헬리콥터 수직 핀(Vertical fi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직 핀은 전진비행시 수평을 유지시킨다
  2. 테일붐 위쪽에 있는 핀은 회전날개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상쇄시키는데 기여한다
  3. 테일붐 위쪽에 있는 핀은 아래쪽의 수직핀과 날개골의 형태가 비대칭 구조로 되어있다
  4. 수직 핀은 착륙시 꼬리 회전날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수직 핀 아래쪽에 꼬리회전날개 보호대가 설치되어 있다
(정답률: 39%)
  • "수직 핀은 전진비행시 수평을 유지시킨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수직 핀은 항공기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전진비행시에는 항공기의 방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금속 판재를 접합한 형태로 제작한 금속회전날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응력이 고르게 분포된다.
  2. 부식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3. 솔리드 금속깃보다 무게가 가볍다.
  4. 고정 접착면이 유연하고 쉽게 파괴되지 않는다.
(정답률: 52%)
  • 금속 판재를 접합한 형태로 제작한 금속회전날개는 응력이 고르게 분포되어 강도가 높아지고, 솔리드 금속깃보다 무게가 가볍습니다. 또한 고정 접착면이 유연하고 쉽게 파괴되지 않아 내구성이 뛰어납니다. 하지만 부식이 잘 일어나지 않는 것은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항공기 재료에 사용되는 금속들을 비중이 가벼운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Al < Ti < Mg < 스테인리스강
  2. Mg < Al < Ti < 스테인리스강
  3. Mg < 스테인리스강 < Ti < Al
  4. Al < Mg < Ti < 스테인리스강
(정답률: 67%)
  • 비중이 가벼운 순서대로 나열하면 Mg(마그네슘) < Al(알루미늄) < Ti(티타늄) < 스테인리스강이 됩니다. 이는 각 금속의 밀도가 순서대로 가벼워지기 때문입니다. Mg는 가장 가벼운 금속으로, 알루미늄은 마그네슘보다 밀도가 높지만 여전히 가벼우며, 티타늄은 알루미늄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가지지만 여전히 가벼워서 항공기 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스테인리스강은 비교적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어서 가장 무거운 금속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제품을 가열하여 그 표면에 다른 종류의 금속을 피복시키는 동시에 확산에 의하여 합금피복층을 얻는 표면경화법은?

  1. 질화법
  2. 침탄처리법
  3. 금속침투법
  4. 고주파 담금질법
(정답률: 56%)
  • 제품의 표면에 다른 종류의 금속을 피복시키는 것은 금속침투법입니다. 이 방법은 가열된 기체나 액체 상태의 금속을 이용하여 표면에 침투시키는 방법으로, 확산에 의해 합금층이 형성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질화법은 질소를 이용하여 표면을 경화시키는 방법, 침탄처리법은 고온에서 기체나 액체 상태의 금속을 이용하여 표면을 경화시키는 방법, 고주파 담금질법은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표면을 경화시키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객실 창문을 원형 또는 둥근 모양으로 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설계와 가공이 쉽기 때문이다.
  2. 응력의 집중을 줄이기 위함이다.
  3. 재료 구입과 설치가 쉽기 때문이다.
  4. 외관상 보기 좋게 하기 위해서이다.
(정답률: 86%)
  • 원형 또는 둥근 모양의 객실 창문은 각 부분에서 받는 압력을 고르게 분산시키기 때문에 응력의 집중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