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29)

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09-03-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무게가 2000kgf 인 항공기가 30°로 선회하는 경우 이 항공기에 발생하는 양력은 약 몇 kgf 인가?

  1. 1214
  2. 1723
  3. 2000
  4. 2309
(정답률: 47%)
  • 양력은 항력과 같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항력을 구해야 합니다. 항력은 공기의 밀도, 기체의 속도, 기체의 단면적, 기체의 공기저항계수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이러한 값들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대략적인 값을 이용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먼저, 항공기의 무게가 2000kgf 이므로, 이 항공기가 공기 중에서 받는 중력은 2000kgf 입니다. 이 항공기가 30°로 선회하면, 중력은 수직 방향이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 경우, 중력을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나누어 계산해야 합니다.

    중력의 수직 성분은 2000kgf × sin 30° = 1000kgf 입니다. 이는 항공기가 공기 중에서 받는 상승력과 같습니다. 따라서, 항공기가 공기 중에서 상승하는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중력의 수평 성분은 2000kgf × cos 30° = 1732.05kgf 입니다. 이는 항공기가 공기 중에서 받는 항력과 같습니다. 따라서, 이 항공기에 발생하는 항력은 약 1732.05kgf 입니다.

    하지만 이 값은 대략적인 값일 뿐이며, 실제 항공기의 항력은 이보다 훨씬 복잡한 요소들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대략적인 값을 이용하여 계산한 것이며, 실제 항공기의 항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어떤 유체관의 입구 단면적은 8cm2, 출구 단면적은 16cm2 이며, 이 때 관의 입구 속도가 10m/s 인 경우 출구에서의 속도는 몇 m/s 인가?(단, 유체는 비압축성 유체이다.)

  1. 2
  2. 5
  3. 8
  4. 10
(정답률: 71%)
  • 유체의 질량은 보존되므로, 유체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유량은 같습니다. 따라서, 유체의 입구와 출구에서의 유속은 역수 관계에 있습니다. 즉, 출구에서의 속도는 입구에서의 속도의 단면적 비율의 역수인 5m/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행기 날개의 양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력은 날개 면적에 비례한다.
  2. 양력은 유체의 밀도에 비례한다.
  3. 양력은 날개의 무게에 비례한다.
  4. 양력은 비행기 속도제곱에 비례한다.
(정답률: 60%)
  • 정답은 "양력은 날개 면적에 비례한다."입니다.

    양력은 공기의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힘으로, 날개 면적이 크면 공기의 압력 차이가 커져 양력이 커지게 됩니다. 유체의 밀도가 높을수록 공기의 압력 차이가 커져 양력이 커지기는 하지만, 이는 비행기의 고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에 날개의 무게와 비행기 속도는 양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날개의 무게가 무거워지면 양력이 감소하거나 증가하지 않습니다. 비행기 속도가 빨라져도 양력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공기의 저항이 증가하여 양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왕복기관을 이용한 프로펠러 비행기의 이용마력(Pa)을 옳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53%)
  • 정답은 ""입니다.

    왕복기관을 이용한 프로펠러 비행기의 이용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이용마력(Pa) = 공기밀도(ρ) x 비행기속도(V) x 프로펠러효율(η) x 프로펠러날개면적(S) x 프로펠러회전수(N) x 프로펠러날개각도(θ)

    따라서, 보기에서 ""가 정답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은 비행기속도(V)와 프로펠러회전수(N)이 모두 0이므로 이용마력이 0이 됩니다.
    - ""은 프로펠러효율(η)이 0이므로 이용마력이 0이 됩니다.
    - ""은 프로펠러날개각도(θ)가 0이므로 이용마력이 0이 됩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프로펠러에서 프로펠러의 회전면과 특정 깃의 시위선이 이루는 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생크
  2. 스큐
  3. 깃각
  4. 피치각
(정답률: 77%)
  • 프로펠러의 회전면과 특정 깃의 시위선이 이루는 각을 깃각이라고 합니다. 이는 프로펠러의 회전면과 선박의 이동 방향이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힘의 크기와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깃각은 선박의 항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꼬리 날개의 수직 안정판에 부착되는 조종면은?

  1. 승강키
  2. 도움날개
  3. 방향키
  4. 스포일러
(정답률: 82%)
  • 꼬리 날개의 수직 안정판은 방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부착된 조종면은 방향키입니다. 방향키를 조작하여 비행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승강키는 비행기의 상승과 하강을 조절하며, 도움날개는 비행기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스포일러는 비행기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며, 방향을 조절하는 조종면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은 항공기 날개의 형태는?

  1. 오지형
  2. 테이퍼형
  3. 삼각형
  4. 뒤젖힘형
(정답률: 89%)
  • 항공기 날개의 형태 중 테이퍼형은 날개가 뿔의 형태처럼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말합니다. 그림에서 보면 날개가 뿔의 형태를 띄고 있으며,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테이퍼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비행기가 정적세로안정(Static Longitudinal Stability)을 갖는 경우는?

  1. 받음각의 변화에 의해 발생된 키놀이 모멘트가 비행기를 원래의 평형된 받음각 상태로 돌려보낼 때
  2. 도움날개의 변화에 의해 발생된 키놀이 모멘트가 비행기를 원래의 평형된 받음각보다 커지는 상태가 될 때
  3. 받음각의 변화에 의해 발생된 빗놀이 모멘트가 비행기를 원래의 평형된 받음각보다 커지는 상태가 될 때
  4. 받음각의 변화에 의해 발생된 옆놀이 모멘트가 비행기를 원래의 평형된 받음각보다 커지는 상태가 될 때
(정답률: 60%)
  • 정답은 "받음각의 변화에 의해 발생된 키놀이 모멘트가 비행기를 원래의 평형된 받음각 상태로 돌려보낼 때"입니다.

    비행기가 정적세로안정을 갖기 위해서는 받음각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키놀이 모멘트가 비행기를 원래의 평형된 받음각 상태로 돌려보내야 합니다. 이는 비행기가 받음각을 증가시키면 앞날개와 꼬리날개의 양력이 증가하여 비행기의 앞뒤 중심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앞뒤 중심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모멘트가 키놀이 모멘트입니다. 이 모멘트가 비행기를 원래의 평형된 받음각 상태로 돌려보내면 비행기는 정적세로안정을 갖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헬리콥터에서 주회전날개의 피치를 동시에 크게 하거나 작게 해서 수직으로 상승, 하강시키는 조종장치는?

  1. 꼬리날개
  2. 동시 피치 제어간
  3. 방향페달
  4. 주기적 피치 제어간
(정답률: 82%)
  • 헬리콥터에서는 주회전날개의 피치를 조절하여 상승 및 하강을 조절합니다. 이때, 주회전날개의 피치를 동시에 크게 하거나 작게하여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을 조절하는 조종장치를 동시 피치 제어간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시 피치 제어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수평 등속도로 비행하는 항공기에 작용하는 공기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추력이 항력보다 크다.
  2. 추력과 항력은 같다.
  3. 양력이 비행기의 무게보다 크다.
  4. 양력이 비행기의 무게보다 작다.
(정답률: 78%)
  • 수평 등속도로 비행하는 항공기에 작용하는 공기력은 추력과 항력이 있습니다. 추력은 비행기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힘으로, 비행기를 앞으로 밀어주는 힘입니다. 항력은 비행기가 공기를 가르치면서 발생하는 저항력으로, 비행기를 늦춰주는 힘입니다.

    수평 등속도로 비행하는 항공기는 추력과 항력이 같아야 합니다. 만약 추력이 항력보다 크다면 비행기는 가속하게 되고, 항력이 추력보다 크다면 비행기는 감속하게 됩니다. 따라서 수평 등속도로 비행하는 항공기에서는 추력과 항력이 같아야 합니다.

    양력은 비행기가 날개를 이용하여 공기를 위로 밀어내면서 발생하는 상승력으로, 비행기를 떠오르게 해주는 힘입니다. 양력은 비행기의 무게보다 크게 발생해야 비행기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A, B, C 3대의 비행기가 각각 10000m, 5000m, 1000m 의 고도에서 동일한 속도로 비행하고 있다. 각 비행기의 마하계가 지시하는 마하수의 크기를 비교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A< B< C
  2. A >B >C
  3. A >C >B
  4. A = B = C
(정답률: 63%)
  • 마하수는 비행기가 비행 중인 대기의 속도를 의미한다. 이는 대기의 밀도와 온도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의 밀도가 낮아져 마하수가 증가한다.

    따라서 A 비행기가 가장 높은 고도에 있으므로 가장 높은 마하수를 가지게 된다. B 비행기는 A 비행기보다 고도가 낮으므로 마하수가 더 낮아진다. 마지막으로 C 비행기는 가장 낮은 고도에 있으므로 가장 낮은 마하수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A > B > C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날개의 뒷전에 출발 와류가 생기게 되면 앞전 주위에도 이것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와류가 생기는 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속박 와류
  2. 말굽형 와류
  3. 유도 와류
  4. 날개 끝 와류
(정답률: 60%)
  • 날개의 뒷전에 생긴 와류가 앞전 주위에도 같은 크기와 반대 방향으로 생기는 이유는 날개가 공기를 가르며 생기는 압력 차이 때문입니다. 이 압력 차이로 인해 생긴 와류가 서로 상쇄되면서 속박 와류가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속박 와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헬리콥터 비행시 역풍지역이 가장 커지게 되는 비행 상태는?

  1. 정지비행
  2. 상승가속비행
  3. 자동회전비행
  4. 전진가속비행
(정답률: 55%)
  • 전진가속비행 상태에서는 헬리콥터가 공기를 밀어내며 전진하면서 비행기동력을 얻기 때문에 역풍지역이 가장 커지게 됩니다. 이는 공기의 저항이 증가하고, 공기의 흐름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진가속비행 상태에서는 헬리콥터 조종사는 역풍에 대한 대처를 더욱 신중하게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항공기 날개에 쳐든각을 주는 주된 목적은?

  1. 선회성능을 좋게 하기 위해서
  2. 날개저항을 적게 하기 위해서
  3. 날개끝 실속을 방지하기 위해서
  4. 옆놀이의 안정성 향상을 위해서
(정답률: 58%)
  • 항공기가 비행 중에 옆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옆놀이라고 합니다. 이 옆놀이는 항공기의 안정성을 해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날개에 쳐든 각을 조절하여 옆놀이를 최소화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대기권에서 전리층이 존재하는 곳은?

  1. 열권
  2. 중간권
  3. 극외권
  4. 성층권
(정답률: 71%)
  • 정답은 "열권"입니다. 열권은 대기권에서 가장 낮은 고도에 위치하며, 지표면과 가장 가까운 곳입니다. 따라서 지표면에서 발생한 열이 상승하면서 열권에서 전리층이 형성됩니다. 이는 대기 중의 오존과 같은 대기 오염물질이 축적되어 고농도로 존재하게 되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은 리벳 건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A 에 해당되는 명칭은?

  1. 조절기
  2. 리벳 세트
  3. 피스톤
  4. 스로틀 밸브
(정답률: 79%)
  • A에 해당하는 명칭은 "스로틀 밸브"이다.

    "조절기"가 정답인 이유는, 스로틀 밸브는 엔진 내부에서 공기와 연료의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로틀 밸브는 조절기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리벳 세트"는 그림에서 보이는 구조물의 일부분으로, 리벳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피스톤"은 엔진 내부에서 상하운동을 하는 부품으로, 연료와 공기를 압축하고 폭발력을 발생시켜 움직임을 만들어낸다.

    따라서, "스로틀 밸브"가 조절기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금속을 두드려서 나오는 음향으로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은?

  1. 가압법
  2. 타진법
  3. 침지법
  4. 초음파법
(정답률: 93%)
  • 금속을 두드려서 나오는 음향으로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은 타진법입니다. 이는 금속 내부의 결함이나 불균일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음향의 특성을 이용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정비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록과 수행이 완료된 모든 정비문서는 공장 자체에서 모두 폐기한다.
  2. 정비문서의 종류로는 작업지시서, 점검카드작업시트, 점검표 등이 있다.
  3. 확인 및 점검내용을 명확히 기록하고 수치값은 실측값을 기록한다.
  4.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날인을 한다.
(정답률: 88%)
  • "기록과 수행이 완료된 모든 정비문서는 공장 자체에서 모두 폐기한다."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해당 설명은 정비문서의 보안과 기밀 유지를 위한 것입니다. 완료된 정비문서가 공장 외부로 유출되면, 기계나 설비 등의 정보가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폐기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너트나 볼트를 이용한 고정작업을 할 때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치수에 맞는 공구를 사용하여 머리 부분이 손상이 되지 않게 한다.
  2. 적당히 조인 후 토크렌치를 사용하여 규정 토크값으로 조인다.
  3. 토크렌치를 사용할 때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나사산에 절삭유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4. 규정 토크값으로 조인 볼트를 안전결선이나 고정핀을 끼울 때 항상 약간 더 조인 후 결선작업을 한다.
(정답률: 85%)
  • "적당히 조인 후 토크렌치를 사용하여 규정 토크값으로 조인한다."는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입니다.

    규정 토크값으로 조인 볼트를 안전결선이나 고정핀을 끼울 때 항상 약간 더 조인 후 결선작업을 하는 이유는, 조인 후에도 볼트나 너트가 약간의 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 변형은 온도, 진동, 부하 등에 따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형을 보상하기 위해 약간 더 조인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항공기 방식작업의 하나로 전해액에 담겨진 금속을 양극으로 하여 전류를 통한 다음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에 의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하는 부식 처리 방식은?

  1. 양극 산화 처리
  2. 알로다인 처리
  3. 인산염 피막 처리
  4. 알크래드 처리
(정답률: 73%)
  • 양극 산화 처리는 전해액에 담긴 금속을 양극으로 하여 전류를 통해 산화피막을 형성하는 부식 처리 방식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양극 산화 처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리벳작업에 사용되는 공구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C-클램프는 리벳생크 끝을 받치는 공구이다.
  2. 딤플링(dimpling)은 벅테일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공구이다.
  3. 시트 파스너(sheet fastener)는 판재의 구멍 주위를 움푹 파는 공구이다.
  4. 버킹바(bucking bar)는 리벳의 벅테일을 만들 때 리벳생크 끝을 받치는 공구이다.
(정답률: 64%)
  • 버킹바는 리벳의 벅테일을 만들 때 리벳생크 끝을 받치는 공구입니다. 이는 리벳을 고정하고 벅테일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과정 중 하나이며, 리벳생크 끝을 받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버킹바가 리벳작업에 필수적인 공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drag
  2. thrust
  3. tails
  4. slats
(정답률: 60%)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비행기의 날개 부분입니다. 이 부분에는 "slats"라는 장치가 있습니다. 이 장치는 비행기가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 날개의 공기 역학적 특성을 조절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slat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항공기 외부 세척작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습식 세척
  2. 건식 세척
  3. 광택 작업
  4. 블라스트 세척
(정답률: 68%)
  • 블라스트 세척은 항공기 외부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방식으로, 항공기의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항공기 외부 세척작업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볼트나 너트를 공구와 분리하지 않고 더욱 빠르게 풀고 조이기 위해 만들어진 공구는?

  1. 박스 렌치
  2. 오픈엔드 렌치
  3. 조합 렌치
  4. 라쳇(Ratchet)핸들 렌치
(정답률: 65%)
  • 라쳇 핸들 렌치는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볼트나 너트를 공구와 분리하지 않고 더욱 빠르게 풀고 조이기 위해 만들어진 공구입니다. 라쳇 핸들 렌치는 특별한 잠금장치를 가지고 있어서, 볼트나 너트를 조이거나 푸는 동작을 할 때, 공구를 다시 돌리지 않고도 계속해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라쳇 핸들 렌치는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그림과 같은 표준 유도신호의 의미는?

  1. 후진
  2. 기관정지
  3. 촉 장착
  4. 속도감소
(정답률: 89%)
  • 그림의 표준 유도신호는 빨간색 원형으로, "정지"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기관정지"가 정답인 이유는, 이 신호가 나타나면 차량은 반드시 정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볼트의 호칭 기호가 "AN 4 3 - 6" 일 때 지름과 길이로 옳은 것은?

  1. 지름은 4/8in, 길이는 6/16in 이다.
  2. 지름은 3/16in, 길이는 6/8in 이다.
  3. 지름은 6/8in, 길이는 3/16in 이다.
  4. 지름은 6/16in, 길이는 4/8in 이다.
(정답률: 64%)
  • 정답은 "지름은 3/16in, 길이는 6/8in 이다." 이다.

    AN 4 3 - 6에서 AN은 Aerospace Standard의 약자이며, 4는 나사의 지름을 1/16인치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4/16인치가 되며, 이를 기압 단위로 표현하면 1/4인치가 된다.

    3은 나사의 나사 간격을 1/8인치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3/8인치가 된다.

    -6은 나사의 길이를 1/8인치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6/8인치가 되며, 이를 기압 단위로 표현하면 3/4인치가 된다.

    따라서, 지름은 3/16인치, 길이는 6/8인치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비행장에 설치된 시설물, 장비 및 각종 기기 등에 색채를 이용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청색의 안전색채가 의미하는 것은?

  1. 방사능 유출위험이 있는 것을 말한다.
  2. 수리 및 조절 검사 중인 장비를 의미한다.
  3. 기계 또는 전기 설비의 위험 위치를 의미한다.
  4. 충돌, 추락, 전복 등의 위험 장비를 의미한다.
(정답률: 70%)
  • 청색의 안전색채는 수리 및 조절 검사 중인 장비를 의미합니다. 이는 작업자들이 해당 장비가 작동 중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정비 지원 업무가 아닌 것은?

  1. 품질 관리 업무
  2. 인력 관리 업무
  3. 정비 관리 업무
  4. 자재 관리 업무
(정답률: 74%)
  • 인력 관리 업무는 정비 지원 업무와는 관련이 없는 인사 관리 업무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정비 지원 업무와 관련된 업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관제탑에서 지시하는 신호의 종류 중 활주로 유도로 상에 있는 인원 및 차량은 사주를 경계한 후 즉시 본 장소를 떠나라는 의미의 신호는?

  1. 녹색등
  2. 점멸 녹색등
  3. 흰색등
  4. 점멸 적색등
(정답률: 73%)
  • 점멸 적색등은 비상 상황을 나타내는 신호로, 활주로 유도로 상에 있는 인원 및 차량이 즉시 해당 장소를 떠나야 함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이는 비상 상황이 발생하여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점멸 적색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은 최소 측정값 1/100mm 인 마이크로 미터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측정값은 몇 mm 인가?

  1. 6.25
  2. 6.75
  3. 8.75
  4. 9.00
(정답률: 81%)
  • 그림에서 가장 가까운 눈금은 8.75mm 이다. 이유는 1mm를 100등분한 마이크로 미터로 측정하였으므로, 가장 가까운 눈금은 0.01mm이다. 따라서, 8750/1000 = 8.75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캐슬 너트, 핀과 같이 풀림 방지를 할 필요가 있는 부품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피팅
  2. 파스너
  3. 코터 핀
  4. 실(seal)
(정답률: 84%)
  • 코터 핀은 부품을 고정할 때 풀림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부품으로, 핀과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어 부품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캐슬 너트와 같이 풀림 방지를 필요로 하는 부품을 고정할 때 코터 핀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압축기 깃에 발생하는 손상으로 국부적으로 색깔이 변했거나 심한 경우 재료가 떨어져 나간 형태로 과열에 의해 손상되는 상태는?

  1. 마손(burr)
  2. 구부러짐(bow)
  3. 균열(crack)
  4. 소손(burning)
(정답률: 72%)
  • 압축기 깃에 과열이 발생하면 재료가 녹아내리거나 증발하여 손상되는데, 이 과정에서 색깔이 변하거나 녹아내린 재료가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소손(burn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압축기 깃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결국은 교체를 해야하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항공기 정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항공기 제작
  2. 항공기 개조
  3. 항공기 세척
  4. 항공기 연료 보급
(정답률: 60%)
  • 항공기 제작은 이미 완성된 항공기가 아니라 새로운 항공기를 만드는 것으로, 정비와는 다른 분야입니다. 따라서 항공기 정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Which terms means 0.001A ?

  1. 1μA
  2. 1mA
  3. 1kA
  4. 1nA
(정답률: 82%)
  • 1mA means 1 milliampere, which is equal to 0.001A. "Milli" is a prefix that means one-thousandth, so 1 milliampere is 0.001 amperes. Therefore, the answer is 1mA.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전기화재 또는 유류화재에 가장 부적당한 소화기는?

  1. 분말 소화기
  2. 이산화탄소 소화기
  3. 물 소화기
  4. 브롬클로로메탄 소화기
(정답률: 75%)
  • 물 소화기는 전기화재나 유류화재에 부적합합니다. 전기화재의 경우 물이 전기를 전도하기 때문에 화재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고, 유류화재의 경우 물이 유체를 흩뿌리면서 불을 퍼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기화재나 유류화재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분말 소화기나 이산화탄소 소화기 등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론저론(Longero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가벼운 판금에 강성을 주기 위하여 플랜지를 갖는 부재
  2. 날개의 스파(Spar)를 결합하기 위한 세로방향 부재
  3. 동체나 낫셀에 있어서 앞ㆍ뒤 방향으로 배치된 강재
  4. 기관이나 연소실을 객실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수직 부재
(정답률: 38%)
  • 론저론은 동체나 낫셀에 있어서 앞ㆍ뒤 방향으로 배치된 강재입니다. 이는 비행기의 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비행 중에 발생하는 압력과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론저론은 비행기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항공기의 기체구조 중 파괴시 항행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부재를 1차 구조라 하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날개
  2. 카울링
  3. 동체
  4. 기관 마운트
(정답률: 71%)
  • 카울링은 항공기의 외부를 보호하고 윤활유나 연료 등을 보관하는 역할을 하지만, 항행 중 파괴되어도 항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1차 구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1차 구조는 항공기의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파괴되면 항행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날개, 동체, 기관 마운트는 모두 1차 구조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기체나 유체를 넣는 두께가 얇은 탱크 안에 내부 압력이 작용할 때, 다음 중 집중 응력이 가장 작게 작용하는 탱크의 모양은?

  1. 삼각형
  2. 사각형
  3. 원통형
  4. 사다리형
(정답률: 76%)
  • 원통형 탱크는 모양이 균일하고 고르기 때문에 내부 압력이 고르게 분포되어 집중 응력이 가장 작게 작용합니다. 반면에 삼각형이나 사각형은 모서리 부분에서 집중 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내부 압력이 높을수록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사다리형도 마찬가지로 모서리 부분에서 집중 응력이 발생하므로 안정성이 낮습니다. 따라서 원통형이 가장 안전한 모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항공기술 자료의 이용 편의를 위하여 부여한 번호와 해당하는 계통이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1. 21 - Air conditioning
  2. 29 - Hydraulic power
  3. 32 - Lights
  4. 70 - Power plant
(정답률: 50%)
  • 정답은 "32 - Lights"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21 - Air conditioning: 항공기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29 - Hydraulic power: 항공기의 유압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32 - Lights: 항공기 내부 및 외부의 조명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70 - Power plant: 항공기의 동력원인 엔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32번은 조명 시스템을 의미하므로, 다른 항목들과는 다른 계통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항공기 조종석의 장치와 이들에 의해 조종되어지는 장치를 짝지은 것으로 틀린 것은?

  1. 페달 - 러더키
  2. 조종간 - 승강키
  3. 핸들 또는 틸러 - 강착장치
  4. 스로틀 레버 - 기관출력장치
(정답률: 66%)
  • 핸들 또는 틸러와 강착장치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장치이기 때문에 짝지을 수 없습니다. 핸들 또는 틸러는 비행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이고, 강착장치는 비행기의 속도를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이 둘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짝지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항공기 기체에서 낫셀(Nacel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관을 고정하는 장착대
  2. 기관 냉각을 위해 여닫는 덮개
  3. 날개와 기관을 연결하는 지지대
  4. 기체에 장착된 기관을 둘러싼 부분
(정답률: 63%)
  • 낫셀은 항공기에 장착된 엔진을 둘러싸고 있는 부분으로, 엔진을 고정하는 장착대와 함께 엔진의 냉각을 위해 여닫는 덮개, 날개와 엔진을 연결하는 지지대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기체에 장착된 기관을 둘러싼 부분"이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수직 구조 부재와 수평 구조 부재로 이루어진 구조에 외피를 부착한 구조를 이루며 대부분의 헬리콥터 동체 구조로 사용되는 구조 형식은?

  1. 일체형
  2. 트러스형
  3. 모노코크형
  4. 세미모노코크형
(정답률: 61%)
  • 세미모노코크형은 수직 구조 부재와 수평 구조 부재로 이루어진 구조에 외피를 부착한 구조 형식 중에서도 수평 구조 부재가 일부만 사용되는 형태이다. 이는 헬리콥터의 회전 날개가 부착되는 부분이 수직 구조 부재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수평 구조 부재가 일부만 사용되어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의 약칭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투명도가 우수하고, 가볍고 강인하여 항공기 창문이나 객실 내부의 장식품 등에 사용되는 수지는?

  1. 아크릴 수지
  2. 페놀 수지
  3. 에폭시 수지
  4. 폴리염화비닐 수지
(정답률: 45%)
  • 아크릴 수지는 투명도가 우수하고 가볍고 강인하여 항공기 창문이나 객실 내부의 장식품 등에 사용되는 수지로,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의 약칭으로도 불립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아크릴 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로서 이것의 복합재료는 알루미늄 합금보다 인장강도가 4배 이상 높으나 온도변화에 대한 신축성이 큰 단점이 있는 섬유는?

  1. 탄소 섬유
  2. 아라미드 섬유
  3. 보론 섬유
  4. 알루미나 섬유
(정답률: 59%)
  • 아라미드 섬유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로, 인장강도가 4배 이상 높은 장점이 있지만, 온도변화에 대한 신축성이 큰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합금과 비교하면 인장강도는 높지만, 온도에 민감한 환경에서는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헬리콥터 주회전날개 형식 중 페더링 힌지만 있는 것은?

  1. 관절형 회전날개
  2. 반고정형 회전날개
  3. 고정형 회전날개
  4. 베어링리스 회전날개
(정답률: 49%)
  • 고정형 회전날개는 페더링 힌지만 있고, 다른 관절형, 반고정형, 베어링리스 회전날개와는 달리 회전축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회전날개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어서 헬리콥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날개의 휨 강도나 비틀림 강도를 증가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날개의 길이 방향으로 리브 주위에 배치되는 부재는?

  1. 탭(Tab)
  2. 스트링거(Stringer)
  3. 스파(Spar)
  4. 응력스킨(Stressed skin)
(정답률: 63%)
  • 날개의 길이 방향으로 리브 주위에 배치되는 부재는 스트링거(Stringer)입니다. 스트링거는 날개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날개의 휨 강도나 비틀림 강도를 증가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탭은 부재를 연결하는 부품, 스파는 날개의 중심축을 따라 배치되어 날개의 강도를 유지하는 부재, 응력스킨은 날개의 표면에 있는 스킨 패널과 같은 부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헬리콥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직 이ㆍ착륙과 공중정지비행이 가능하다.
  2. 3차원의 모든 방향으로 직선이동이 불가능하다.
  3. 꼬리회전날개의 회전으로 비행방향을 결정한다.
  4. 주회전날개를 회전시켜 양력과 추력을 발생시킨다.
(정답률: 82%)
  • 3차원의 모든 방향으로 직선이동이 불가능한 이유는, 헬리콥터가 비행할 때는 항상 회전하면서 비행하기 때문입니다. 회전하는 동안에는 항력과 추력을 조절하여 비행방향을 결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헬리콥터는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서로 밀착된 부품 사이에서 아주 작은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접촉 표면에 흠이 발생하는 부식은 무엇인가?

  1. 표면 부식(surface corrosion)
  2. 응력 부식(stress corrosion)
  3. 찰과 부식(fretting corrosion)
  4. 이질 금속 간 부식(galvanic corrosion)
(정답률: 50%)
  • 찰과 부식은 서로 밀착된 부품 사이에서 아주 작은 진동이 발생할 때 발생하는 부식 현상입니다. 이러한 진동으로 인해 접촉 표면에 마이크로 스케일에서의 마찰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표면에 흠이 생기며 부식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찰과 부식은 접촉 부식의 일종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항공기 재료에 쓰이는 금속 중 가장 가벼운 금속으로 장비품의 하우징 등에 사용되는 금속은?

  1. 알루미늄
  2. 마그네슘
  3. 티타늄
(정답률: 70%)
  • 마그네슘은 알루미늄보다 더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아서 항공기 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내식성이 좋아서 부식에 강합니다. 따라서 장비품의 하우징 등에 사용되는 금속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조종간을 당기면 항공기의 자세는 어떻게 변하는가?

  1. 기수상승
  2. 좌선회
  3. 기수하강
  4. 우선회
(정답률: 83%)
  • 조종간을 당기면 항공기의 앞쪽 날개인 상부 날개가 올라가게 되어 기체의 앞쪽 부분이 위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항공기의 기울기가 증가하게 되며, 이를 기수상승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헬리콥터가 전진비행 중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주 로터 블레이드의 피치를 바꾼다.
  2. 주 로터 블레이드의 회전수를 감소시킨다.
  3. 주 로터 블레이드의 회전수를 증가시킨다.
  4. 원하는 방향으로 주 로터 디스크를 경사지게 한다.
(정답률: 54%)
  • 헬리콥터의 전진비행 중 방향을 변경하려면, 주 로터 디스크를 원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방향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는 주 로터 블레이드의 피치를 바꾸는 것과 같은 원리로 작용하며, 주 로터 블레이드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것보다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성가공은 어렵지만 인성 및 피로강도가 우수하고 고온 산화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항공기의 기관에 사용되는 금속은?

  1. 니켈합금
  2. 알루미늄합금
  3. 티탄합금
  4. 마그네슘합금
(정답률: 67%)
  • 항공기의 기관은 고온과 고압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내구성과 내열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금속 중에서도 소성가공이 어려운 티탄합금이 선택되는 것입니다. 또한 티탄합금은 고온 산화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서 항공기의 엔진 부품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피로시험에 사용되는 그래프로 응력의 반복횟수와 그 진폭과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은?

  1. S-N 곡선
  2. 응력 곡선
  3. 로그 곡선
  4. 하중배수 곡선
(정답률: 55%)
  • S-N 곡선은 응력과 반복횟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으로, S는 응력(stress)을 나타내고 N은 반복횟수(number of cycles)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피로시험에서 사용되는 그래프는 응력의 반복횟수와 그 진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S-N 곡선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과 같이 항공기 부재에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50N 의 두 힘이 수직거리가 10m 만큼 떨어져 작용하고 있다면 이러한 짝힘(Couple Force)에 의한 모멘트는 몇 N-m 인가?

  1. 250
  2. 500
  3. 2500
  4. 5000
(정답률: 65%)
  • 짝힘(Couple Force)에 의한 모멘트는 두 힘의 크기를 곱한 후 수직거리를 곱한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50N의 두 힘이 수직거리 10m 만큼 떨어져 작용하므로, 모멘트는 50N x 50N x 10m = 2500 N-m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모멘트의 크기를 N-m 대신 Nm으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답인 2500을 1000으로 나누어 50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기체손상의 유형 중 마모(abras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선이나 이랑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손상의 형태이다.
  2. 외부 물체의 충격을 받아 소량의 재료가 떨어져 나간 현상이다.
  3. 외부 물체에 끌리거나 긁혀져서 표면이 거칠고 불균일하게 된 현상이다.
  4. 화학적 반응에 의해 재료의 성질이 변화 또는 퇴화되는 현상이다.
(정답률: 62%)
  • 외부 물체에 끌리거나 긁혀져서 표면이 거칠고 불균일하게 된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항공기용 타이어 구조에서 코드가 손상을 받거나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드바디의 측면을 일차적으로 덮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비드(Bead)
  2. 브레이커(Breakers)
  3. 트레이드(Tread)의 홈
  4. 사이드월(Sidewall)
(정답률: 44%)
  • 항공기용 타이어 구조에서 코드바디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사이드월입니다. 사이드월은 타이어의 측면을 덮는 부분으로, 코드바디를 보호하고 타이어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코드바디가 손상을 받거나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이드월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주회전날개 트랜스미션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시동기와 연결
  2. 유압 펌프나 발전기 구동
  3. 오토로테이션시 기관과의 연결을 차단
  4. 기관의 출력을 감속시켜 회전날개에 전달
(정답률: 46%)
  • 주회전날개 트랜스미션은 기관의 출력을 감속시켜 회전날개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시동기와 연결"은 주회전날개 트랜스미션의 역할이 아닙니다. 시동기는 엔진을 가동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지상진동 시험은 기체의 일부분 또는 기체구조 전체에 인위적인 진동을 주어 구조 자체의 고유진동수, 진폭을 측정하게 되는데 이 때 사용하는 측정계기는?

  1. 가진기(exciter)
  2. 공진계(resonancemeter)
  3. 가속도계(accelerometer)
  4.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정답률: 28%)
  • 지상진동 시험에서는 구조물에 인위적인 진동을 주어 구조의 고유진동수와 진폭을 측정합니다. 이 때, 가속도계는 구조물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진동의 크기를 파악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가속도계는 지상진동 시험에서 구조물의 진동을 측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측정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강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킬드강
  2. 세미킬드강
  3. 림드강
  4. 스테인리스강
(정답률: 49%)
  • 스테인리스강은 강괴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스테인리스강은 일반적인 강과는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스테인리스강은 크롬, 니켈 등의 합금 원소를 첨가하여 내식성, 내열성, 내부식성 등의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스테인리스강은 일반적인 강과는 구성과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강괴의 종류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설계하중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설계하중 = 한계하중 ÷ 안전계수
  2. 설계하중 = 극한하중 ÷ 안전계수
  3. 설계하중 = 한계하중 × 안전계수
  4. 설계하중 = 극한하중 × 안전계수
(정답률: 78%)
  • 설계하중은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최대치인 극한하중을 기준으로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안전계수를 곱한 값으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설계하중 = 극한하중 × 안전계수"가 옳은 식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안전계수를 잘못 사용하거나, 한계하중을 사용하여 설계하중을 구하는 식으로 잘못 이해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