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9-27)

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09-09-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정적 안정과 동적 안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적안정이 음(-)이면 정적안정은 반드시 음(-)이다
  2. 정적안정이 음(-)이면 동적안정은 반드시 양(+)이다
  3. 정적안정이 양(+)이면 동적안정은 반드시 양(+)이다
  4. 동적안정이 양(+)이면 정적안정은 반드시 양(+)이다
(정답률: 43%)
  • 정적 안정은 물체가 정지 상태에서 안정한 상태를 말하며, 동적 안정은 물체가 운동 상태에서 안정한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동적 안정이 양(+)이면 물체가 운동 상태에서 안정한 상태이므로 정적 안정도 양(+)이어야 한다. 즉, 물체가 운동 상태에서 안정하면 정지 상태에서도 안정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단위면적당 항력과 운동에너지의 비를 나타내는 항력계수의 단위는?

  1. cm3/s
  2. ㎏/HP
  3. ㎏·m/s
  4. 단위가 없다.
(정답률: 55%)
  • 항력계수는 단위면적당 항력과 운동에너지의 비를 나타내는 값이므로, 항력과 운동에너지의 단위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만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항력과 운동에너지의 단위는 각각 N과 J로 다르기 때문에, 항력계수는 단위가 없는 상수로 표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헬리콥터 주 회전날개의 운동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플래핑
  2. 버핏
  3. 페더링
  4. 리드-래그
(정답률: 84%)
  • 헬리콥터 주 회전날개의 운동 중 버핏은 회전축 주위로 수직으로 움직이는 운동이며, 다른 보기들은 회전축 주위로 수평으로 움직이는 운동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빗놀이 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항공기 진행방향과 시위선이 이루는 각
  2. 옆미끄럼각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각
  3. 비행기의 가로축과 비행기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
  4. 방향키를 자유로이 했을 때 공기력에 의하여 방향키가 자유로이 변위되는 각
(정답률: 29%)
  • 정답은 "옆미끄럼각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각"입니다. 이유는 빗놀이 각이란 두 직선이 만나는 각도를 말하는데, 이 때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이면서 옆으로 미끄러지는 것처럼 만나는 경우를 옆미끄럼각이라고 합니다. 이 때, 옆미끄럼각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각을 빗놀이 각이라고 합니다. 이는 수학적으로 증명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흐름이 없는 즉 정지된 유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압과 동압의 크기가 같다.
  2. 전압의 크기는 영(0)이 된다.
  3. 동압의 크기는 영(0)이 된다.
  4. 정압의 크기는 영(0)이 된다.
(정답률: 40%)
  • 정지된 유체는 흐름이 없기 때문에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를 정압이라고 하며, 정압은 모든 지점에서 동일하다. 따라서 동압의 크기는 영(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행기 작용하는 항력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추력항력
  2. 마찰항력
  3. 유도항력
  4. 조파항력
(정답률: 73%)
  • 추력항력은 비행기의 엔진에서 발생하는 힘으로, 비행기를 앞으로 밀어주는 힘이므로 항력이 아닙니다. 다른 항력들은 비행기가 공기 중에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저항력으로, 비행기의 운동을 방해하거나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주 조종면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플랩
  2. 승강키
  3. 도움날개
  4. 방향키
(정답률: 87%)
  • 플랩은 주 조종면의 종류가 아니라, 기체의 날개 부분에 부착되어 날개의 곡률을 변경하여 공기저항을 증가시키거나 상승력을 증가시키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플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활공기가 1000m 상공에서 양항비 20인 상태로 활공한다면 도달할 수 있는 수평활공거리는 몇 m인가?

  1. 50
  2. 1000
  3. 10000
  4. 20000
(정답률: 81%)
  • 활공기의 양항비가 20이므로, 활공기가 날개를 펴고 수평으로 날아갈 때, 수직으로 떨어지는 거리는 수평거리의 20배가 된다. 즉, 1000m 상공에서 활공기가 수평으로 1m 날아갈 때, 동시에 수직으로 20m 떨어진다는 뜻이다. 따라서, 활공기가 수직으로 떨어지는 거리가 1000m이 되려면, 수평으로는 1000 ÷ 20 = 50m을 날아가야 한다. 이제 활공기가 수평으로 50m를 날아가면서 동시에 수직으로 1000m을 떨어지므로, 이때의 수평거리가 활공기가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수평활공거리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m × 20000 = 1000000m = 20000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대기가 안정하여 구름이 없고, 기온이 낮으며, 공기가 희박하여 제트기의 순항고도로 적합한 곳은?

  1. 대류권과 성층권의 경계면 부근
  2. 성층권과 중간권의 경계면 부근
  3. 중간권과 열권의 경계면 부근
  4. 열권과 극외권의 경계면 부근
(정답률: 86%)
  • 정답은 "대류권과 성층권의 경계면 부근"입니다. 이곳은 대기가 안정하여 구름이 없고, 기온이 낮으며, 공기가 희박하기 때문에 제트기의 순항고도로 적합합니다. 대류권과 성층권의 경계면 부근은 대기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지점으로, 이 지점 이상으로는 대기가 매우 희박해져서 비행기의 엔진이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날개의 길이가 11m, 평균시위의 길이가 1.44m인 타원날개에서 양력계수가 0.8일 때 가로세로비는 약 얼마인가?

  1. 4.9
  2. 6.1
  3. 7.6
  4. 8.8
(정답률: 57%)
  • 양력계수(C_L)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C_L = (2 * pi * A * e) / (A + 2 * l)

    여기서 A는 날개 면적, e는 오일러 상수(약 0.9), l은 시위 길이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A = (pi * a * b) / 4
    = (pi * 5.5 * 0.72) / 4
    ≈ 1.23 m^2

    l = 1.44 m

    C_L = 0.8

    0.8 = (2 * pi * 1.23 * 0.9) / (1.23 + 2 * 1.44)

    이 식을 풀면, a/b = 7.6가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가로세로비는 약 7.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플랩의 종류 중 캠버의 증가뿐만 아니라 날개의 면적까지 증가되어 양력의 증가가 가장 큰 그림과 같은 형태의 플랩은?

  1. 크루거 플랩
  2. 스플릿 플랩
  3. 슬롯 플랩
  4. 파울러 플랩
(정답률: 52%)
  • 파울러 플랩은 캠버와 날개 면적이 모두 증가하여 양력의 증가가 가장 큰 형태의 플랩이다. 다른 보기인 크루거 플랩, 스플릿 플랩, 슬롯 플랩은 각각 다른 형태의 플랩으로, 양력 증가보다는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 데 더 특화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75m/s로 비행하는 비행기의 항력이 1000kgf라면 이 때 비행기의 필요마력은 약 몇 HP인가?

  1. 530
  2. 660
  3. 725
  4. 1000
(정답률: 60%)
  • 필요마력 = 항력 × 비행속도
    항력은 1000kgf로 주어졌고, 비행속도는 75m/s로 주어졌으므로
    필요마력 = 1000kgf × 75m/s = 75000kgm²/s²
    1마력 = 75kgm²/s² 이므로
    필요마력 = 75000kgm²/s² ÷ 75kgm²/s² = 1000HP
    따라서 정답은 "1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날개골에서 충격파가 발생할 때 충격파 후면에서의 밀도, 온도, 압력의 변화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밀도, 온도, 압력 모두 증가한다.
  2. 밀도, 온도, 압력이 모두 감소한다.
  3. 온도와 밀도는 증가하고 압력은 감소한다.
  4. 밀도와 압력은 증가하고 온도는 감소한다.
(정답률: 49%)
  • 정답: 밀도, 온도, 압력 모두 증가한다.

    충격파는 고속으로 움직이는 기체 분자들이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파동이다. 이 때 충돌로 인해 분자들의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고, 이는 온도 상승으로 이어진다. 또한 분자들이 서로 밀집하게 모이면서 밀도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압력도 증가한다. 따라서 충격파 후면에서는 밀도, 온도, 압력이 모두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헬리콥터에서 전진과 후퇴 시에 깃의 피치각을 변화시키는 운동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페더링
  2. 실속
  3. 플래핑
  4. 풍차식 제동
(정답률: 67%)
  • 페더링은 헬리콥터의 깃을 조절하여 전진 및 후퇴 시에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줄이는 운동입니다. 이는 헬리콥터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비행 효율을 높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페더링은 헬리콥터 비행에서 매우 중요한 운동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로펠러 깃의 풍압중심의 기본적인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1. 깃 끝 부근
  2. 깃의 앞전 부근
  3. 깃 뿌리 부근
  4. 깃의 뒷전 부근
(정답률: 54%)
  • 프로펠러 깃은 회전하는 프로펠러 블레이드에 의해 발생하는 풍압을 받아 선박의 이동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깃의 풍압중심은 프로펠러 블레이드 앞쪽에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깃의 앞전 부근이 풍압중심의 기본적인 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불안전한 행위로 발생되는 사고와 거리가 먼 것은?

  1. 지시상의 결함
  2. 정돈 불량
  3. 작업자의 능력 부족
  4. 규칙, 절차 무시
(정답률: 39%)
  • 정돈 불량은 작업장이나 작업환경에서 물건이나 장비 등을 제 위치에 정확하게 정리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는 작업자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작업 시 물건이나 장비가 제 위치에 없어 작업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작업자가 물건이나 장비를 찾는 과정에서 다른 위험한 상황에 노출될 가능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정돈 불량은 작업 환경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소계통의 세척제(Oxygen system cleaner)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케로신
  2. 메틸 에틸 케톤
  3. 드라이크리닝 솔벤트
  4. 염화불화, 탄화수소와 이소프로필알코올의 혼합물
(정답률: 39%)
  • 산소계통은 매우 민감한 시스템으로, 오염물질이 존재하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세척제는 산소와 호환성이 있어야 하며, 동시에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염화불화, 탄화수소와 이소프로필알코올의 혼합물은 산소와 호환성이 뛰어나며,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세척제입니다. 따라서 이것이 산소계통의 세척제로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항공장비를 수리, 조절 및 검사 중일 때, 이들 장비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표지의 색은?

  1. 적색
  2. 청색
  3. 녹색
  4. 황색
(정답률: 51%)
  • 항공장비를 수리, 조절 및 검사 중일 때, 이들 장비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표지의 색은 "청색"입니다. 이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서 제정한 규정에 따라 정해진 것으로, 청색은 "작업 중"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사용됩니다. 적색은 위험을 나타내는 색상, 녹색은 안전을 나타내는 색상, 황색은 경고를 나타내는 색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정확한 피치의 나사를 이용하여 실제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용 기기는?

  1. 다이얼게이지
  2. 높이게이지
  3. 마이크로미터
  4. 버니어캘리퍼스
(정답률: 47%)
  • 정확한 피치의 나사를 이용하여 실제의 길이를 측정하는 기능을 가진 측정용 기기는 나사나 나사형태의 물체의 측정에 적합한 기기입니다. 이러한 측정을 위해서는 미세한 측정이 필요하며, 마이크로미터는 1/1000mm 단위의 미세한 측정이 가능한 측정용 기기로, 나사의 피치 측정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피치의 나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마이크로미터가 적합한 측정용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와셔의 역할로 틀린 것은?

  1. 볼트의 길이가 짧을 때 사용한다.
  2. 진동을 흡수하고,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3. 볼트나 스크루의 그립 길이를 조정 가능하도록 한다.
  4. 볼트와 너트에 의한 작용력을 고르게 분산되도록 한다.
(정답률: 69%)
  • "볼트의 길이가 짧을 때 사용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와셔는 볼트와 너트 사이에 끼워져 작용력을 고르게 분산시키고, 진동을 흡수하며 너트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며, 볼트나 스크루의 그립 길이를 조정 가능하도록 합니다. 따라서 와셔는 볼트의 길이와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다음 중 자분탐상검사 시 자력선이 가장 쉽게 통과하는 재료는?

  1. 구리
  2. 티타늄
  3. 알루미늄
(정답률: 56%)
  • 자분탐상검사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물질 내부의 성분을 분석하는 기술입니다. 자력선이 물질을 통과할 때, 물질 내부의 전자들이 자기장에 의해 움직이면서 자기장을 방해하게 됩니다. 이 때, 전자의 움직임이 많을수록 자력선이 방해를 받아 통과하기 어려워지게 됩니다.

    따라서, 자분탐상검사 시 자력선이 가장 쉽게 통과하는 재료는 전자의 움직임이 적은 재료입니다. 철은 전자의 움직임이 적어 자력선이 쉽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반면, 구리와 알루미늄은 전자의 움직임이 많아 자력선이 방해를 받아 통과하기 어려워집니다. 티타늄은 철보다는 전자의 움직임이 많지만, 구리와 알루미늄보다는 적어 자력선이 상대적으로 쉽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떤 재료에 종극하중 이하의 하중이 반복 가해지게 되어 재료가 파괴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응력
  2. 부하
  3. 피로
  4. 전단
(정답률: 79%)
  • 재료에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해 재료 내부의 결함이 발생하고 이 결함이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재료가 파괴되는 현상을 피로라고 합니다. 이는 재료 내부의 결함이나 미세한 균열이 하중에 의해 확대되어 재료의 내구성이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어저스트에블 렌치(Adjustable wrench)는?

(정답률: 54%)
  • 정답은 "" 입니다. 어떤 크기의 볼트나 너트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한 렌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CO2소화기와 CBM 소화기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소화기는?

  1. 할론 소화기
  2. 포말 소화기
  3. 분말 소화기
  4. 중탕 소화기
(정답률: 64%)
  • 할론 소화기는 CO2소화기와 CBM 소화기의 단점인 소화력 부족과 사용이 어려운 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소화기입니다. 할론 소화기는 물 대신 할론 가스를 사용하여 불을 끄며, 불꽃이나 열에 의해 발생하는 산화반응을 억제하여 불을 진압합니다. 또한 사용이 간편하며,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 안전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할론 소화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표면의 검사나 표면 바로 밑에서 바깥으로 갈라진 불연속면에 특정 액체를 스미게 하여 결함을 발견하는 비파괴검사법은?

  1. 와전류탐상검사
  2. 자분탐상검사
  3. 방사선투과검사
  4. 침투탐상검사
(정답률: 84%)
  • 침투탐상검사는 표면의 검사나 표면 바로 밑에서 바깥으로 갈라진 불연속면에 특정 액체를 스미게 하여 결함을 발견하는 비파괴검사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와전류탐상검사, 자분탐상검사, 방사선투과검사는 이와 다른 검사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항공기 기체에 대한 오버홀(Overhaul)이라고 볼 수 있는 점검은?

  1. A 점검
  2. B 점검
  3. C 점검
  4. D 점검
(정답률: 75%)
  • 항공기 기체에 대한 오버홀은 항공기의 모든 부품을 분해하고 정밀하게 점검하며, 필요한 부품을 교체하고 조립하는 작업입니다. 이 중에서도 D 점검은 항공기의 수명 주기마다 수행되는 가장 철저한 점검으로, 항공기의 모든 부품을 분해하고 검사하며, 필요한 부품을 교체하고 조립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작업이며, 항공기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아크 용접에서 피복제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아크를 안정시킨다.
  2. 용접물의 산화를 방지한다.
  3. 용접 부위의 조직 변화를 방지한다.
  4. 용접 부위의 냉각속도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71%)
  • 피복제는 용접 부위의 냉각속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피복제는 용접 부위의 냉각속도를 감소시켜 용접 부위의 조직 변화를 방지하고, 용접물의 산화를 방지하며, 아크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설명 중 밑줄 친 부분의 의미로 옳은 것은?

  1. 수평축
  2. 수직안정판
  3. 수직축
  4. 수평안정판
(정답률: 66%)
  • 이미지에서 밑으로 내려가는 힘에 대응하여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는 부분이 수직안정판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미지에서 해당되지 않는 개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항공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행하는 장비의 정비작업은?

  1. 벤치체크
  2. 오버홀
  3. 기능점검
  4. 노화표본검사
(정답률: 66%)
  • 항공기에 장착된 장비의 정비작업은 기능점검이다. 이는 해당 장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작업으로, 항공기가 운행 중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중요한 작업이다. 벤치체크는 장비를 분해하여 부품들의 상태를 확인하는 작업이고, 오버홀은 장비를 완전히 분해하여 부품을 교체하거나 정비하는 작업이다. 노화표본검사는 부품의 수명을 예측하기 위해 일부 부품을 채취하여 검사하는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턴버클이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케이블
  2. 튜브
  3. 호스
  4. 판재
(정답률: 78%)
  • 턴버클은 주로 케이블을 고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케이블은 턴버클의 구조와 잘 맞아 끈을 조이고 풀기 쉽기 때문입니다. 튜브, 호스, 판재는 턴버클로 고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재질이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판재 굴곡 시 굴곡반경이 작을수록 굴곡부에서 일어나는 응력과 비틀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응력과 비틀림 모두 커진다.
  2. 응력과 비틀림 모두 작아진다.
  3. 응력은 작아지고 비틀림은 커진다.
  4. 응력은 커지고 비틀림은 작아진다.
(정답률: 34%)
  • 굴곡반경이 작을수록 판재의 곡률이 크기 때문에 굴곡부에서는 응력과 비틀림이 모두 커진다. 이는 판재의 굴곡이 심해질수록 굴곡부에서의 응력과 비틀림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응력과 비틀림 모두 커진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지상 보조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윤활유 탱크의 윤활유 보급 장비는 수동식과 진공식이 있다
  2. GPU는 항공기에 전기적인 동력을 공급하여 주는 장비이다
  3. 항공기의 지상 전력 공급 장비는 교류 115V, 400Hz, 3상이다
  4. GTC는 다량의 저압공기를 배출하여 항공기 가스터빈 기관의 시동계통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장비이다
(정답률: 33%)
  • "윤활유 탱크의 윤활유 보급 장비는 수동식과 진공식이 있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정비를 언제, 어떻게, 얼마나 수행할 것인가를 계획 및 조정하고, 통제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정비 품질 관리
  2. 정비 생산 관리
  3. 신뢰성 정비 관리
  4. 예방 정비 관리
(정답률: 31%)
  • 정비 생산 관리는 정비를 계획하고 조정하며, 효율적인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비를 언제, 어떻게, 얼마나 수행할 것인지를 계획하고 조정하며, 통제하는 것이 정비 생산 관리의 핵심 역할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정비의 다른 측면을 다루고 있지만, 정비 생산 관리는 생산성과 효율성을 중심으로 정비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문장이 의미하는 것은?

  1. Volt
  2. Ohm
  3. Ampere
  4. Watt
(정답률: 52%)
  • 전기의 단위는 보통 전압(Volt), 전류(Ampere), 저항(Ohm), 전력(Watt)으로 나타내는데, 이 중에서 전류의 단위는 Ampere입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전류를 나타내는 화살표가 그려져 있으므로 정답은 Amper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케이블 주위에 구리로 된 8(팔)자형 관 모양의 슬리브를 둘러 압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케이블 단자를 연결하는 방법은?

  1. 랩솔더 이용 방법
  2. 5단 엮기 이음 방법
  3. 스웨이징 단자 방법
  4. 니코프레스 처리 방법
(정답률: 55%)
  • 니코프레스 처리 방법은 구리로 된 8자형 관 모양의 슬리브를 케이블 주위에 둘러 압착하여 케이블 단자를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압착력이 강하고 안정적이며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케이블 단자 연결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헬리콥터 조종 시 조종사가 조종장치에서 손을 떼어도 조종장치가 중립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것은?

  1. 토크 튜브
  2. 센터링 장치
  3. 벨크랭크
  4. 동력 부스터
(정답률: 73%)
  • 센터링 장치는 조종사가 조종장치에서 손을 떼어도 조종장치가 중립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헬리콥터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조종사가 조종장치를 놓았을 때 헬리콥터가 자동으로 안정된 상태로 돌아가게 됩니다. 따라서 센터링 장치는 헬리콥터 조종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착륙장치에 대한 사항이 아닌 것은?

  1. 작동시험
  2. 자유 낙하시험
  3. 기체구조 하중전달시험
  4. 여유에너지 흡수 낙하시험
(정답률: 42%)
  • 기체구조 하중전달시험은 착륙장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시험으로, 비행기의 구조적 강도와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입니다. 따라서 착륙장치와 관련된 작동시험, 자유 낙하시험, 여유에너지 흡수 낙하시험은 착륙장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기체구조 하중전달시험과는 다른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헬리콥터의 동력구동축에 대한 설명으로 관계가 먼 것은?

  1. 동력구동축은 기관구동축, 주 회전날개 구동축 및 꼬리 회전 날개구동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2. 구동축의 양끝은 스플라인으로 되어 있거나 스플라인으로 된 유연성 커플링이 장착되어 있다.
  3.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동적인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4. 지지베어링에 의해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회전을 고려한 베어링의 편심을 이뤄야 한다.
(정답률: 54%)
  • "동력구동축은 기관구동축, 주 회전날개 구동축 및 꼬리 회전 날개구동축으로 구성되어 있다."와 "구동축의 양끝은 스플라인으로 되어 있거나 스플라인으로 된 유연성 커플링이 장착되어 있다."는 동력구동축의 구성과 관련된 내용이므로 관계가 높습니다.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동적인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는 동력구동축의 설계와 관련된 내용이므로 관계가 높습니다. 하지만 "지지베어링에 의해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회전을 고려한 베어링의 편심을 이뤄야 한다."는 베어링의 설계와 관련된 내용이므로 동력구동축의 구성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관계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구조 전체에 작용하는 중력, 자기력 및 관성력과 같은 하중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면 하중
  2. 분포하중
  3. 집중하중
  4. 체적하중
(정답률: 53%)
  • 체적하중은 구조물 전체에 작용하는 모든 하중을 의미합니다. 즉, 면 하중, 분포하중, 집중하중 등 모든 하중을 합한 것이 체적하중입니다. 따라서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할 때는 체적하중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미국표준규격(CS)에서 규정하는 항공기 도면 중 D 표준도면의 크기(inch)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11×17
  2. 17×22
  3. 22×34
  4. 34×44
(정답률: 54%)
  • D 표준도면은 항공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크기가 크고 상세한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22×34 인치의 크기를 갖습니다. 이는 충분한 정보를 담을 수 있는 크기이면서도 작업 공간에서 적절한 크기로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다음 중 시효경화에 대하여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스스로 연해지는 성질
  2. 입자의 분포가 서서히 균일해지는 성질
  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료의 취성이 변하는 성질
  4.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도와 경도가 증가하는 성질
(정답률: 84%)
  • 재료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도와 경도가 증가하는 성질을 시효경화라고 합니다. 이는 재료 내부의 분자나 입자들이 서서히 정렬되어 결합력이 강화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재료의 물성이 변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조종실 앞쪽의 창문은 여압에 견딜 수 있으며, 외부 이물질이 충돌하더라도 손상되지 않는 구조와 강도를 가져야 하는데 이런 구조의 부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샌드위치 패널
  2. 이중 거품 패널
  3. 컴파운드 패널
  4. 윈드실드 패널
(정답률: 72%)
  • 조종실 앞쪽의 창문은 외부 이물질 충돌에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강도가 높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윈드실드 패널이 사용됩니다. 윈드실드 패널은 여러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와 내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강도를 높이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이중 거품 패널, 샌드위치 패널, 컴파운드 패널과 같은 다른 패널들은 조종실 앞쪽의 창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스케치를 이용한 항공기의 결한 보고서 작성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항공기의 이력사항을 기록한다.
  2. 손실부위의 위치를 명화하게 표시한다.
  3. 결함 발생 부위에 수행될 수리형태를 기록한다.
  4. 결함 발생 부위 근처에 이전에 유사한 수리가 수행 되었는지 여부를 기록한다.
(정답률: 42%)
  • "결함 발생 부위에 수행될 수리형태를 기록한다."는 틀린 내용이 아닙니다. 항공기 결함 보고서에는 결함 발생 부위에 대한 수리 형태와 방법이 기록되어야 합니다. 이는 해당 부위를 수리할 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자들에게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알루미늄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백색의 가벼운 비자성체이다.
  2. 순도가 낮을수록 연성을 갖는다.
  3. 전기 전도율은 은(Ag) 보다 낮다.
  4. 산화알루미늄의 얇은 보호 피막으로 인하여 내식성이 좋다.
(정답률: 40%)
  • 알루미늄의 특징 중 순도가 낮을수록 연성을 갖는다는 것은 틀린 정보입니다. 순도가 높을수록 알루미늄은 더 강한 결정 구조를 가지며, 이는 연성을 감소시킵니다. 따라서 순도가 높을수록 알루미늄은 더 단단하고 부서지기 쉽지 않은 속성을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관 마운트를 날개에 장착할 경우 발생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저항의 증가
  2. 날개의 강도 증가
  3. 공기 역학적 성능 저하
  4. 파일론으로 인한 무게의 증가
(정답률: 48%)
  • 기관 마운트를 날개에 장착할 경우, 날개의 강도는 증가하지 않습니다. 이는 기관 마운트가 날개에 부착되는 것이기 때문에, 날개 자체의 강도와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날개의 강도 증가"는 영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경질 공구용 합금 중 WC, TiC, TaC 등의 금속 탄화물을 Co로 소결한 비철합금으로서 소결 탄화물 공구하고도 불리는 재료는?

  1. 고속도강
  2. 스테인리스강
  3. 스텔라이드
  4. 소결 초경합금
(정답률: 29%)
  • WC, TiC, TaC 등의 금속 탄화물을 Co로 소결한 비철합금은 고강도, 내마모성, 내열성 등의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어 경질 공구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소결 탄화물 공구재료를 일컫는 용어로 "소결 초경합금"이라는 이름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조종 케이블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플라스틱이나 나무로 만든 케이블 가이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풀리(Pulley)
  2. 페어리드(Fairlead)
  3. 턴버클(turnbuckle)
  4. 쿼드란트(Quadrant)
(정답률: 47%)
  • 조종 케이블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이드를 페어리드(Fairlead)라고 합니다. 이는 케이블이 마모되거나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이 움직일 때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다른 보기인 풀리, 턴버클, 쿼드란트는 모두 다른 기능을 가진 조종 장치나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AA 규격에 의한 알루미늄 합금의 식별기호 “2024-T" 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첫째자리 2는 알루미늄과 구리합금을 의미한다.
  2. 둘째자리 0은 개량처리를 하지 않은 합금을 의미한다.
  3. 셋째, 넷째자리 24는 합금의 분류번호를 의미한다.
  4. T는 냉간 가공한 것을 의미한다.
(정답률: 51%)
  • T는 열처리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냉간 가공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T는 냉간 가공한 것을 의미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날개의 단면이 공기역학적인 날개골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날개의 모양을 형성해 주는 구조부재는?

  1. Skin
  2. Rib
  3. Spar
  4. Stiffener
(정답률: 77%)
  • 날개의 단면이 공기역학적인 날개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해 주는 구조부재는 "Rib"입니다. Rib은 날개의 곡률을 유지하고, 날개의 강도와 유연성을 높여주며, 날개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날개의 구조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착륙 시 브레이크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미끄럼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시켜주는 것은?

  1. 오토 브레이크
  2. 조향 장치
  3. 팽창 브레이크
  4. 안티 스키드 장치
(정답률: 83%)
  • 안티 스키드 장치는 착륙 시 브레이크를 밟을 때 바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브레이크 효율을 높이는 장치입니다. 이는 바퀴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여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미끄럼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길이 10㎝ 금속재 봉이 인장력을 받아 11㎝가 되었다면, 이 봉의 변형률은?

  1. 1
  2. 1/10
  3. 1/11
  4. 10/11
(정답률: 50%)
  • 변형률은 (변형된 길이-원래 길이)/원래 길이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1-10)/10 = 1/10 이 됩니다. 즉, 길이가 10㎝인 봉이 1㎝만큼 늘어났으므로 변형률은 1/1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조종계통의 조종방식 중 기체에 가해지는 중력가속도나 기울기를 감지한 결과를 컴퓨터로 계산하여 조종사의 감지 능력을 보충하도록 하는 방식의 조종장치는?

  1. 유압조종장치(hydraulic)
  2. 수동조종장치(manual control)
  3. 플라이바이와이어(fly-by-wire)
  4. 동력조종장치(powered control)
(정답률: 70%)
  • 플라이바이와이어 조종장치는 기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컴퓨터로 계산하고, 이를 통해 기체를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조종사의 감지 능력을 보충하고, 안전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유압조종장치는 유압력을 이용하여 기체를 제어하며, 수동조종장치는 조종사의 직접적인 조작에 의해 기체를 제어합니다. 동력조종장치는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기체를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설계하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한계하중이라고도 한다.
  2. 한계하중보다 작은 값이다
  3. 한계하중과 안전계수의 합이다
  4. 기체구조 설계 시 안전계수는 주로 1.5이다.
(정답률: 43%)
  • 설계하중은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을 의미하며, 이를 초과하면 구조물이 파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설계 시에는 이러한 파괴 가능성을 고려하여 안전계수를 적용합니다. 안전계수는 한계하중보다 작은 값으로, 한계하중에 대한 여유를 나타냅니다. 기체구조 설계 시에는 주로 안전계수를 1.5로 적용하며, 이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일반적인 기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체구조 설계 시 안전계수는 주로 1.5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대형 항공기의 도장(Painting) 재료로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는?

  1. PVC
  2. 폴리에틸렌
  3. 나일론
  4. 폴리우레탄
(정답률: 43%)
  • 열경화성 수지는 고온에서 경화되는 수지로, 대형 항공기의 도장에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는 내구성과 내화성이 뛰어나야 합니다. 이 중에서 폴리우레탄은 내구성과 내화성이 뛰어나며, 높은 강도와 탄성을 가지고 있어 대형 항공기의 도장에 적합한 재료입니다. 따라서 폴리우레탄이 대형 항공기의 도장 재료로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항공기의 이륙거리 단축과 이⦁착륙속도의 감소를 목적으로 날개골과 날개면적을 변화시키는 날개의 부착 장치는?

  1. 조종면
  2. 스포일러
  3. 고양력장치
  4. 방빙장치
(정답률: 38%)
  • 고양력장치는 날개의 부착 장치 중 하나로,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여 항공기의 이륙거리를 단축하고 이착륙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날개의 양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항공기의 안정성과 연료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고양력장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자장비를 이용한 헬리콥터 꼬리회전 날개의 궤도점검 시 회전날개 깃의 단면에 그림과 같이 반사테이프를 붙이고 검사를 할 때, 정상궤도로 판정 할 수 있는 상의 모양은?

  1. |
  2. – |
(정답률: 72%)
  • 반사테이프가 붙은 깃을 전자장비로 검사할 때, 정상적인 궤도를 그리는 경우에는 깃의 단면에 대해 대칭적인 형태가 나타납니다. 즉, 깃의 양쪽 끝이 대칭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정상적인 궤도입니다. 이에 반해, "–", "|", "– |" 모양은 대칭적이지 않으므로 비정상적인 궤도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대칭적인 형태인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헬리콥터가 전진비행을 할 때 동체의 수평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1. 스키드
  2. 수직 핀
  3. 수평 안정판
  4. 테일 붐
(정답률: 66%)
  • 헬리콥터가 전진비행을 할 때는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으로 기울어져야 합니다. 이때 수평 안정판은 헬리콥터의 동체를 수평으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수평 안정판은 헬리콥터의 중심축 주변에 위치하며, 공기 저항을 이용하여 헬리콥터의 기울기를 조절합니다. 따라서 전진비행을 할 때 수평 안정판은 헬리콥터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헬리콥터의 스키드 기어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비가 쉽다.
  2. 구조가 간단하다
  3. 지상활주에 사용된다.
  4. 소형 헬리콥터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70%)
  • "지상활주에 사용된다."가 틀린 것입니다. 스키드 기어형은 지상에서 이륙 및 착륙 시 사용되는 기어로, 지상활주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스키드 기어형은 바퀴가 아닌 스키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면에 직접 착륙하며, 눈이나 얼음 위에서도 안정적으로 착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파투과성, 내후성 및 높은 강도를 가지므로 레이돔, 동체 및 날개 등의 구조재용 복합재료의 모재수지로 사용되며, 항공기 구조물용 접착제나 도료의 재료로도 사용되는 열경화성 수지는?

  1. ABS 수지
  2. 폴리비닐알콜
  3. 셀룰로이드
  4. 에폭시 수지
(정답률: 69%)
  • 에폭시 수지는 전파투과성, 내후성 및 높은 강도를 가지므로 레이돔, 동체 및 날개 등의 구조재용 복합재료의 모재수지로 사용되며, 항공기 구조물용 접착제나 도료의 재료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피로시험의 S-N곡선에서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곡선은 아래로 감소하다가 일정한 값이 되면 수평을 유지하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피로 한도
  2. 피로 파괴
  3. 피로 감쇄
  4. 피로 균형
(정답률: 42%)
  • 회전수가 증가함에 따라 피로가 누적되어 곡선이 아래로 감소하다가 일정한 값이 되면 더 이상 피로가 증가하지 않는데, 이때의 값이 해당 재료 또는 부품의 피로 한도이다. 이는 해당 재료 또는 부품이 얼마나 많은 회전수를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따라서 정답은 "피로 한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