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10-03)

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10-10-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비행기의 중량이 2650kgf, 날개의 면적이 80m2, 지상에서의 실속속도가 47.2㎧ 일 대 이비행기의 최대 양력계수는 약 얼마인가? (단, 공기밀도는 0.125kgf·s2/m4 이다.)

  1. 0.04
  2. 0.14
  3. 0.24
  4. 0.34
(정답률: 65%)
  • 양력계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CL = 2L / (ρv2S)

    여기서 L은 양력, ρ는 공기밀도, v는 비행기의 속도, S는 날개의 면적입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CL = 2L / (0.125 × 47.22 × 80)

    이 식에서 L을 구하기 위해서는 양력의 크기를 알아야 합니다. 양력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L = 1/2ρv2SCL

    여기서 CL은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값입니다. 따라서 이 식을 CL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CL = 2L / (ρv2S) = 2 / (v2S) × L / ρ

    양력의 크기 L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L = 중력 - 역학적 저항 - 기타 저항

    여기서 중력은 비행기의 중량인 2650kgf에 지구 중력가속도 9.8m/s2를 곱한 값입니다. 역학적 저항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D = 1/2ρv2SCD

    여기서 CD는 항력계수로, 일반적으로 비행기의 항력계수와 비슷한 값입니다. 문제에서는 이 값을 주지 않았으므로, 여기서는 CD = 0.04로 가정하겠습니다. 기타 저항은 비행기의 기체저항, 바퀴저항 등을 포함한 값으로, 여기서는 0으로 가정하겠습니다.

    따라서 역학적 저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D = 1/2ρv2SCD = 1/2 × 0.125 × 47.22 × 80 × 0.04 = 225.536kgf

    중력과 역학적 저항을 빼면 양력의 크기가 나옵니다.

    L = 2650 × 9.8 - 225.536 = 25699.664kgf

    이 값을 CL의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CL = 2 / (47.22 × 80) × 25699.664 / 0.125 = 0.24

    따라서 정답은 0.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회전날개의 추력을 구하는 방법은?

  1. 와류 이론
  2. 깃 요소 이론
  3. 운동량 이론
  4. 파스칼의 원리
(정답률: 54%)
  • 운동량 이론은 회전하는 물체의 운동량 변화량을 이용하여 추력을 구하는 이론입니다. 회전날개가 회전하면서 공기 입자들이 회전날개의 모양에 따라 방향이 바뀌면서 운동량 변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 때,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공기 입자들의 운동량 변화량은 회전날개에 작용하는 추력으로 전환되게 됩니다. 따라서 회전날개의 추력을 구하는 방법은 운동량 이론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실속속도를 작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하중을 크게 한다.
  2. 날개면적을 크게 한다.
  3. 공기의 밀도는 작게 한다.
  4. 최대항력계수를 크게 한다.
(정답률: 78%)
  • 날개면적을 크게 하면, 날개 위에 작용하는 공기의 압력이 분산되어 날개의 하중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속속도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날개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단일 회전날개 헬리콥터의 양력과 추력에 관하여 옳은 것은?

  1. 양력은 주회전 날개에 의하여 발생되며, 추력은 꼬리 회전날개에 의하여 발생된다.
  2. 양력은 꼬리 회전 날개에 의하여 발생되며, 추력은 주 회전날개에 의하여 발생된다.
  3. 양력은 주 회전 날개와 꼬리 회전날개, 그리고 추력은 꼬리 회전 날개에 의하여 발생된다.
  4. 양력과 추력 모두가 주 회전날개에 의하여 발생된다.
(정답률: 62%)
  • 단일 회전날개 헬리콥터에서는 주 회전날개가 회전함으로써 공기를 압축하고, 이 압축된 공기는 날개의 뒷면에서 팽창하여 양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주 회전날개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헬리콥터의 몸통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 운동으로 인해 꼬리 회전날개가 공기를 밀어내어 추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단일 회전날개 헬리콥터에서는 양력과 추력 모두가 주 회전날개에 의하여 발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비행기가 정적중립(Static neutral)인 상태일 때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받음각이 변화된 후 원래의 평형상태로 돌아간다.
  2. 조종에 대해 과도하게 민감하며, 교란을 받게 되면 평형상태로 되돌아오지 않는다.
  3. 비행기의 자세와 속도를 변화시켜 평형을 유지시킨다.
  4. 반대 방향으로의 조종력이 작용되면 원래의 평형상태로 되돌아 간다.
(정답률: 51%)
  • 비행기가 정적중립 상태일 때는 어떠한 외부 요인도 작용하지 않는 상태이며, 이때 비행기는 평형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상태에서는 조종에 대해 과도하게 민감하며, 교란을 받게 되면 평형상태로 되돌아오지 않습니다. 이는 정적 안정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적 안정성을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대류권을 이루고 있는 공기의 구성성분을 구성비에 따라 큰 것부터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질소 - 산소 - 아르곤 - 이산화탄소
  2. 질소 - 산소 - 이산화탄소 - 아르곤
  3. 산소 - 질소 - 아르곤 - 이산화탄소
  4. 산소 - 질소 - 이산화탄소 - 아르곤
(정답률: 59%)
  • 정답은 "질소 - 산소 - 아르곤 - 이산화탄소" 입니다.

    이유는 대류권을 이루고 있는 공기의 구성성분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질소(N2)이며, 그 다음으로 산소(O2)가 차지합니다. 아르곤(Ar)은 대류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지만, 질소와 산소 다음으로 많은 양을 차지합니다. 이산화탄소(CO2)는 대류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적지만, 지구 온난화와 관련된 문제로 인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질소 - 산소 - 아르곤 - 이산화탄소" 순서가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조파항력(wave drag)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일반적으로 아음속 흐름에서도 존재한다
  2. 초음속 흐름에서 충격파로 인하여 발생되는 항력이다.
  3. 날개골의 받음각, 캠버선의 모양 그리고 길이에 대한 두께의 비에 따라 결정된다.
  4. 조파항력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초음속 날개골의 앞전을 뾰족하게 하고 두께는 얇게 해야 한다.
(정답률: 60%)
  • "초음속 흐름에서 충격파로 인하여 발생되는 항력이다."와 "날개골의 받음각, 캠버선의 모양 그리고 길이에 대한 두께의 비에 따라 결정된다."는 모두 조파항력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일반적으로 아음속 흐름에서도 존재한다"는 조파항력이 초음속 흐름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속도에서도 발생한다는 것을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이는 모든 유체가 일정 속도 이상에서는 조파항력을 경험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헬리곱터에서 균형(Trim)을 이루었다는 의미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직교하는 2개의 축에 대하여 힘의 합이 “0”이 되는 것
  2. 직교하는 2개의 축에 대하여 힘과 모멘트의 합이 각각 “1”이 되는 것
  3.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힘과 모멘트의 합이 각각 “0”이 되는 것
  4.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모든 방향의 힘의 합이 “1”이 되는 것
(정답률: 78%)
  • 헬리콥터에서 균형(Trim)을 이루었다는 의미는, 헬리콥터가 공중에 떠있을 때, 직교하는 3개의 축에 대하여 힘과 모멘트의 합이 각각 “0”이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헬리콥터가 안정적으로 공중에 떠있을 수 있는 조건이며, 헬리콥터의 모든 부품들이 올바르게 조정되어 있어야 가능한 상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캠버란 비행기 날개에서 무엇을 의미하는가?

  1. 시위선과 최대 캠버선까지의 길이
  2. 시위선에서 평균 캠버선까지의 길이
  3. 평균 캠버선과 날개 윗면까지의 길이
  4. 평균 캠버선과 최대 캠버선까지의 길이
(정답률: 64%)
  • 캠버란 비행기의 날개는 캠버선이라는 곡률이 있는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이 캠버선은 날개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최대값을 가지며, 이를 최대 캠버선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최대 캠버선과 날개 윗면 사이의 거리를 시위선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시위선에서 평균 캠버선까지의 길이는 캠버란 비행기의 날개에서 캠버선의 곡률을 나타내는 중요한 값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베르누이 정리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은?

  1. 피토관을 이용한 유속 측정원리
  2. 유체 중 날개에서의 양력 발생원리
  3. 관의 면적에 따른 속도와 압력의 관계
  4. 유체흐름 중 물체주변의 난류 유동원리
(정답률: 50%)
  • 베르누이 정리는 유체의 속도와 압력, 면적 등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이론입니다. 그러나 물체 주변의 난류 유동원리는 베르누이 정리로 설명할 수 없습니다. 이는 유체의 흐름이 불안정하게 되어 속도와 압력이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난류 유동은 예측하기 어렵고, 현실적인 문제에서는 수치해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근사적으로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실용적으로 제한된 곡예비행에만 적합한 항공기의 감항류로 옳은 것은?

  1. T류
  2. A류
  3. N류
  4. U류
(정답률: 62%)
  • U류 항공기는 고속 비행이 아닌 저속 비행에서 안정성이 높으며, 제한된 공간에서의 곡예비행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실용적으로 제한된 곡예비행에만 적합한 항공기의 감항류로 U류가 옳은 것입니다. T류는 초음속 비행에 적합하며, A류는 고속 비행에 적합합니다. N류는 고도가 높은 대기에서 비행하는 것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비행기의 방향안정성 향상과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도살핀
  2. 날개의 쳐든각
  3. 수직 안정판
  4. 날개의 뒷젖힘각
(정답률: 37%)
  • 날개의 쳐든각은 비행기의 방향안정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날개의 쳐든각은 비행기가 공중에서 일정한 고도를 유지하면서 전진할 수 있도록 날개를 기울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방향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요소들에 더 집중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비행기가 항력을 이기고 전진하는데 필요한 마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이용마력
  2. 여유마력
  3. 필요마력
  4. 제동마력
(정답률: 82%)
  • 비행기가 항력을 이기고 전진하는데 필요한 마력은 "필요마력"입니다. 이는 비행기가 공기 저항과 중력을 이길 수 있도록 필요한 최소한의 마력을 말합니다. 이용마력은 비행기가 최대 속도로 비행할 때 필요한 마력을 의미하며, 여유마력은 비행기가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비하여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마력을 말합니다. 제동마력은 비행기가 착륙할 때 사용되는 마력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압력의 변화에 관계없이 밀도가 일정한 유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항밀도 유체
  2. 점성 유체
  3. 비점성 유체
  4. 비압축성 유체
(정답률: 57%)
  • 압력의 변화에 관계없이 밀도가 일정한 유체를 비압축성 유체라고 합니다. 이는 유체 내 분자 간 거리가 일정하기 때문에 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밀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압축성 유체는 압력이나 외부의 변화에도 형태나 부피가 거의 변하지 않아 매우 안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옆놀이 모멘트(Rolling moment)란 무엇인가?

  1. 비행기의 전후축(세로축;Longitudinal axis)을 중심으로 날개를 내리거나 올리는데 관련된 모멘트이다.
  2. 비행기의 수직축(Vertical axis)을 중심으로 비행기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데 관련된 모멘트이다.
  3. 비행기의 좌우축(가로축;Lateral axis)을 중심으로 기수를 내리거나 올리는데 관련된 모멘트이다.
  4. 동체의 비틀림 모멘트(Twsting moment)를 말한다.
(정답률: 58%)
  • 옆놀이 모멘트는 비행기의 전후축(세로축;Longitudinal axis)을 중심으로 날개를 내리거나 올리는데 관련된 모멘트입니다. 즉, 비행기가 전후로 기울어질 때 발생하는 모멘트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Which term means 0.001A?

  1. 1
  2. 1mA
  3. 1kA
  4. 1nA
(정답률: 74%)
  • 1mA means "1 milliampere," and milli- is the prefix that represents a factor of 0.001. Therefore, 1mA is equivalent to 0.001A.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접지된 페인팅 대상물과 페인팅 기구간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페인팅 하는 기법은?

  1. 정전 페인팅
  2. 스프레이(Spray) 페인팅
  3. 터치 업(Touch up) 페인팅
  4. 에어레스 스프레이(Airless spray) 페인팅
(정답률: 81%)
  • 정전 페인팅은 접지된 대상물과 페인팅 기구간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페인팅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페인트 입자를 분사시키는 방식으로, 페인트 입자가 정전기력에 의해 대상물에 부착되어 균일하고 부드러운 마감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정전 페인팅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실린더 게이지 측정작업시 안전 및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실린더 게이지로 측정할 때는 특히 실린더 중심선의 손잡이 부분을 평행하게 유지해야 한다.
  2. 측정하고자 하는 실린더의 안지름 크기를 대략적으로 파악하여, 이에 적정한 측정자를 선택해야 한다.
  3. 측정자를 실린더 게이지에 고정시킬 때 느슨하게 죄어 측정자의 파손을 방지한다.
  4. 측정기구를 사용할 때는 무리한 힘을 주어서는 안된다.
(정답률: 81%)
  • "측정자를 실린더 게이지에 고정시킬 때 느슨하게 죄어 측정자의 파손을 방지한다."가 틀린 것이 아닌 올바른 유의사항입니다. 이유는 측정자를 너무 단단히 고정시키면 실린더 게이지나 측정자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강도로 고정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항공기 운항정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항공기 기체 오버홀
  2. 항공기의 비행 전 점검
  3. 항공기 기체의 A점검
  4. 항송기의 비행 후 점검
(정답률: 65%)
  • 항공기 기체 오버홀은 항공기의 정비 중 가장 규모가 큰 작업으로, 항공기의 모든 부품을 분해하고 점검하며 교체 또는 수리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항공기 운항정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형광침투 검사에서 현상제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1. 표면을 건조시키기 위해
  2. 유화제의 잔량을 흡수하기 위해
  3. 침투제의 침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4. 결함속에 침투된 침투제를 빨아내어 결함을 나타내기 위해
(정답률: 62%)
  • 형광침투 검사에서 현상제를 사용하는 주된 목적은 결함속에 침투된 침투제를 빨아내어 결함을 나타내기 위해입니다. 현상제는 결함에 침투된 침투제를 빨아내어 결함을 뚜렷하게 보이게 하기 때문에 검사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항공정비도서 기술자료의 번호 “12 - 34 - 56”중 “12” 가 의미하는 것은?

  1. 유닛(Unit)
  2. 서브젝트(Subject)
  3. 계통(System)
  4. 서브계통(Sub-system)
(정답률: 60%)
  • 항공정비도서에서의 번호 “12 - 34 - 56”에서 “12”는 해당 기술자료가 속하는 계통(System)을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기술자료가 어떤 시스템의 일부분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유닛(Unit)은 해당 시스템의 최소 단위를 나타내며, 서브젝트(Subject)는 해당 시스템 내에서 특정 주제를 다루는 기술자료를 의미합니다. 서브계통(Sub-system)은 시스템 내에서 더 작은 규모의 하위 시스템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12”가 의미하는 것은 해당 기술자료가 속하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영문에서 밑줄친 부분의 의미로 가장 옳은 것은?

  1. 표면
  2. 내면
  3. 손상
  4. 윤활
(정답률: 91%)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기계 부품의 단면이며, 밑줄친 부분은 "damage"로 번역됩니다. 따라서 "손상"이 가장 옳은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원통 모양의 물건을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고 돌리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의 명칭은?

  1. 벨트(Belt)렌치
  2. 크로우 풋(Crow foot)
  3. 브레이킹 바(Breaking bar)
  4.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
(정답률: 49%)
  • 원통 모양의 물건을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고 돌리기 위해서는 원통 모양에 딱 맞는 고정된 크기의 렌치를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이때 벨트 렌치는 원통 모양의 물건을 감싸는 벨트를 이용하여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벨트 렌치가 원통 모양의 물건을 손상 없이 돌리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화학적으로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에 0.00001~0.00005 인치의 크로메이트 처리를 하여 내식성과 도장 작업의 접착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부식 방지 처리 작업은?

  1. 양극 산화 처리
  2. 크롬산 처리
  3. 인산염 피막 처리
  4. 알로다인 처리
(정답률: 52%)
  • 알로다인 처리는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에 알로다인이라는 화합물을 코팅하여 부식 방지 처리를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도장 작업의 접착 효과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알로다인 처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안절 결선 와이어의 재료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모넬
  2. 고탄소강
  3. 인코넬
  4. 알루미늄합금
(정답률: 44%)
  • 안절 결선 와이어는 고온과 압력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고탄소강은 내구성은 높지만, 고온에 대한 내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안절 결선 와이어의 재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 모넬과 인코넬은 고온과 압력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안절 결선 와이어의 재료로 적합합니다. 알루미늄합금은 경량화와 내식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지만, 안절 결선 와이어의 재료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강풍이 부는 기상상태에서 항공기를 계류시킬 경우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모든 바퀴에 굄목을 끼운다
  2. 항공기를 바람방향으로 주기 시킨다
  3. 항공기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이 좋다.
  4. 항공기를 계류밧줄이나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른 항공기와 단단히 연결한다.
(정답률: 55%)
  • 강풍이 부는 기상상태에서 항공기를 계류시킬 경우, 항공기를 계류밧줄이나 케이블을 이용하여 다른 항공기와 단단히 연결하는 것은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강풍에 의해 연결된 항공기가 흔들리거나 불안정해지면, 다른 항공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항공기를 계류시킬 경우에는 바람방향으로 주기 시키고, 모든 바퀴에 굄목을 끼우며,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토크렌치를 이용하여 정확한 토크로 조이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나사산에 기름을 바르고 조인다.
  2. 보통 너트쪽에 조임을 원칙으로 한다.
  3. 지시서에 규정된 조임값에 상관없이 조인다.
  4. 연장공구를 사용시 토크값의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정답률: 78%)
  • 보통 너트쪽에 조임을 원칙으로 한다는 이유는 너트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나사가 풀리는 반면, 너트와 같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나사가 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너트쪽에 조임을 원칙으로 하면 정확한 토크로 조이기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계기계통의 배관을 식별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색깔로 구분된 테이프를 감아두는데, 이 때 노란색은 어떤 계통의 배관을 나태는가?

  1. 윤활계통
  2. 압축공기계통
  3. 연료계통
  4. 화재방지계통
(정답률: 61%)
  • 노란색 테이프는 윤활계통의 배관을 나타냅니다. 이는 윤활유와 같은 윤활제가 흐르는 배관이므로, 윤활유의 오염이나 혼입을 방지하기 위해 색깔로 구분하여 식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어떤 물체의 충돌에 의해 표면에 생기는 둥근 모양의 홈이나 움푹 패인 홈을 표현하는 손상용어는?

  1. 덴트(Dent)
  2. 닉크(Nicked)
  3. 벤트(Bent)
  4. 쉐어(Sheared)
(정답률: 46%)
  • 정답은 "덴트(Dent)"입니다. 덴트는 물체의 충돌로 인해 표면에 생긴 둥근 모양의 홈이나 움푹 패인 홈을 의미합니다. 이는 영어 단어 "dent"에서 유래한 것으로, "눌러서 움푹 패인 것"을 뜻하는 동사입니다. 따라서 덴트는 충격이나 압력으로 인해 물체의 표면이 움푹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손상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과 같은 너트의 식별표기에서 나사산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1. AN
  2. 310
  3. D
  4. R
(정답률: 62%)
  • "R"은 나사산이 오른쪽 방향으로 나선을 돌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는 방향을 나타내며, "L"은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너트의 나사산은 시계 방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항공기의 지상취급시 작업자가 취하여 할 안전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작업시 반드시 규정과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
  2. 작업시 보호 장구가 필요할 대에는 반드시 보호 장구를 착용해야 한다.
  3. 작업장 및 주위 환경보다는 자기가 하고 있는 작업에만 몰두한다.
  4. 작업장의 상태를 청결히 하고 정리, 정돈하여 사고의 잠재 요인을 제거하도록 노력한다.
(정답률: 93%)
  • "작업장 및 주위 환경보다는 자기가 하고 있는 작업에만 몰두한다."는 적절하지 않은 안전사항입니다. 이는 작업자가 주변 환경과 상황을 감지하지 못하고 작업에만 집중하게 되어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작업자는 항상 주변 환경과 상황을 주시하며 안전한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항공기 정비의 목적 중 쾌적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승객에게 만족과 신뢰감을 주기 위해 안전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는 것
  2. 승객에게 만족과 신뢰감을 주기 위해 청결과 미관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는 것
  3. 승객에게 만족과 신뢰감을 주기 위한 효율적 정비작업의 서비스
  4. 승객이 필요한 시간에 항공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항공기를 정비하는 것
(정답률: 74%)
  • 항공기 정비의 목적 중 쾌적성은 승객에게 만족과 신뢰감을 주기 위해 청결과 미관상태를 최대한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는 승객들이 항공기를 이용할 때 편안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여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포말 소화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 후 재충전 한다.
  2. B급 및 C급 화재 진화시 사용한다.
  3. 소화 작용제 방출시 산소를 공급한다.
  4. 알코올, 아세톤 화재에는 사용을 금한다.
(정답률: 45%)
  • 소화 작용제 방출시 산소를 공급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포말 소화기는 소화 작용제를 방출하여 화재를 진압하는데, 이때 소화 작용제는 화재 부분의 산소를 차단하여 화염을 진압합니다. 따라서 소화 작용제 방출시 산소를 공급하는 것은 오히려 화재를 더 크게 만들 수 있으므로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기 구조부분 손상 수리 시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본래의 윤곽 유지
  2. 도색의 보호
  3. 본래의 강도 유지
  4. 부식에 대한 보호
(정답률: 76%)
  • 항공기 구조부분 손상 수리 시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도색의 보호"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외부에 있는 도색이 부식, 자외선, 기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수리 과정에서 이를 보호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보호 필름이나 적절한 도장재료를 사용하여 도색의 보호를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스냅링(Snap ring)을 축 위의 홈에 맞도록 벌려주기 위하여 제작된 공구는?

  1. 롱노즈 플라이어(Longnose plier)
  2. 커넥터 플라이어(Connector plier)
  3. 인터널 링 플라이어(Internal plier)
  4. 익스터널 링 플라이어(External plier)
(정답률: 66%)
  • 스냅링은 축의 외부에 위치하므로, 외부에서 작업할 수 있는 익스터널 링 플라이어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익스터널 링 플라이어(External pli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한계하중 배수가 4.4인 실용기(U)의 전체 무게가 2000kgf 일 때 최대설계 하중은 몇 kgf 인가?

  1. 3000
  2. 6000
  3. 10000
  4. 13200
(정답률: 39%)
  • 한계하중 배수가 4.4이므로, 최대설계 하중은 2000kgf x 4.4 = 8800kgf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은 13200kgf 이므로, 이는 실용기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최대하중의 1.5배인 값으로 설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32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항공기 위치표시 방식 중 동체 수위선을 나타내는 것은?

  1. BBL
  2. BWL
  3. FS
  4. WS
(정답률: 70%)
  • BWL은 "Body Water Line"의 약자로, 항공기의 동체 수위선을 나타내는 방식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수평선을 그어 그 위쪽이 상부, 아래쪽이 하부로 나뉘며, 이 수위선을 기준으로 항공기의 위치를 표시합니다. BWL은 항공기의 안정성과 운항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도면관련문서인 적용목록에 기록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부품번호
  2. 조립도해목록
  3. 항공기 모델
  4. 일렬번호 및 개정부호
(정답률: 50%)
  • 적용목록은 부품번호, 항공기 모델, 일렬번호 및 개정부호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해당 부품이나 도면이 어떤 항공기 모델에 적용되는지, 어떤 일렬번호와 개정부호를 가지는지 등을 기록합니다. 반면에 조립도해목록은 도면에 포함된 부품들을 어떤 순서로 조립해야 하는지를 기록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조립도해목록은 적용목록에 기록되는 내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기둥에서 축 압축력에 의하여 굽힘이 되어 파괴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좌굴
  2. 크리프
  3. 피로
  4. 응력집중
(정답률: 57%)
  • 기둥에서 축 압축력에 의해 굽힘이 생기면서, 기둥의 왼쪽 면에서는 압축응력이 발생하고 오른쪽 면에서는 인장응력이 발생합니다. 이 때, 왼쪽 면에서의 압축응력이 오른쪽 면에서의 인장응력보다 크면 기둥이 왼쪽으로 굽히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좌굴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보기]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회전날개 항공기는?

  1. 자이로플레인
  2. 헬리곱터
  3. 전환식 항공기
  4. 글라이더
(정답률: 46%)
  • 회전날개 항공기는 회전하는 날개를 가지고 있어서 공기의 힘으로 회전하면서 비행할 수 있는 항공기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자이로플레인은 회전하는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엔진과 프로펠러가 있어서 직진 비행도 가능합니다. 또한,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자세를 유지하므로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보기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항공기는 자이로플레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니켈계 합금인 제품을 철제 볼트를 사용해서 조립하였더니 철제 볼트가 심하게 부식되었다면 이에 속하는 부식의 종류는?

  1. 표면 부식
  2. 입자 부식
  3. 이질 금속 간 부식
  4. 응력 부식
(정답률: 81%)
  • 이질 금속 간 부식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금속이 접촉하여 발생하는 부식으로, 전기적인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경우 철제 볼트와 니켈계 합금이 접촉하여 부식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항공기 도면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설계배치도면은 생산도면의 기본이 될 수 있는 개력적인 배치 도면이다.
  2. 조립도면은 조립체를 항공기에 장착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도면이다.
  3. 기본 배치도면은 항공기 부품의 기본 윤곽과 형상을 정의하는 종합적인 도면이다.
  4. 실물 모형도면은 실물 크기의 모형을 제작할 수 있도록 상세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도면이다.
(정답률: 27%)
  • 정답: "설계배치도면은 생산도면의 기본이 될 수 있는 개력적인 배치 도면이다."

    설명: 설계배치도면은 생산도면의 기본이 될 수 있는 강인적인 배치 도면이 아니라, 항공기 부품의 기본 윤곽과 형상을 정의하는 종합적인 도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지상진동시험에 관계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진동할 때 변위의 폭을 진폭이라 한다.
  2. 구조재료와 같은 탄성 재료는 외부의 하중과는 상관없이 고유한 진동수를 가지고 있다.
  3. 진폭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교대로 한번씩 나타나는 구간을 1사이클(cycle)이라 한다.
  4. 외부 하중의 진동수가 고유진동수보다 클 때를 공진 이라 한다.
(정답률: 47%)
  • "외부 하중의 진동수가 고유진동수보다 클 때를 공진 이라 한다."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 "진동할 때 변위의 폭을 진폭이라 한다." : 맞는 설명입니다.
    - "구조재료와 같은 탄성 재료는 외부의 하중과는 상관없이 고유한 진동수를 가지고 있다." : 맞는 설명입니다.
    - "진폭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교대로 한번씩 나타나는 구간을 1사이클(cycle)이라 한다." : 맞는 설명입니다.
    - "외부 하중의 진동수가 고유진동수보다 클 때를 공진 이라 한다." :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틀린 설명이 없습니다.

    공진은 외부 하중의 진동수와 구조물의 고유진동수가 일치할 때, 구조물의 진동이 크게 증폭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구조물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공진 주파수를 피해 설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항공기 구조부재의 표면에 평행하게 작용하거나,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전단응력
  2. 굽힘응력
  3. 집중응력
  4. 분포응력
(정답률: 57%)
  • 전단응력은 평행하게 작용하거나,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항공기 구조부재의 표면에 평행하게 작용하거나, 접선 방향으로 작용하는 응력을 전단응력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중량비로 볼 때 항공기 기체 구조재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금속은?

  1. 플라스틱
  2. 철강 재료
  3. 알루미늄 합금
  4. 티탄 합금
(정답률: 77%)
  • 알루미늄 합금은 경량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중량비를 고려하는 항공기 기체 구조재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내식성과 내부 공기압력에 대한 강도가 높아 안전성이 뛰어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헬리곱터의 착륙장치 중 휠 기어형에 비해 스키드 기어(Skid gear)형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구조가 간단하다.
  2. 정비가 용이하다.
  3. 지상운전과 취급에 불리하다.
  4. 대형 헬리곱터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67%)
  • 스키드 기어형의 특징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지상운전과 취급에 불리하다"입니다. 이는 스키드 기어형이 착륙 시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지면의 상태에 따라 안정성이 떨어지고, 착륙 시 진동이 발생하여 지상운전과 취급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대형 헬리콥터에 주로 사용되는 이유는 구조가 간단하고 정비가 용이하며, 무게가 가벼워 대형 헬리콥터의 비행성능에 영향을 덜 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헬리콥터의 테일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구조는 알루미늄합금과 마그네슘합금으로 만들어진다.
  2. 꼬리회전날개의 구동축은 테일붐 위쪽에 베어링으로 장착되어 덮개로 보호해 주고 있다.
  3. 안정판은 수평안정판과 수직안정판으로 구성되며 허니콤으로 되어 있다.
  4. 수평안정판은 테일붐 좌 · 우측에 각각 따로 설치한다.
(정답률: 53%)
  • 수평안정판은 테일붐 좌 · 우측에 각각 따로 설치한다. - 이유: 헬리콥터의 테일붐은 회전하는 날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평안정판을 테일붐 양쪽에 따로 설치하여 회전하는 날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헬리곱터의 로터 헤드에서 발생하는 추력하중(Thurst load)에 적합한 베어링의 형식은?

  1. 볼 베어링(Ball bearing)
  2. 평면 베어링(Plain bearing)
  3. 롤러 베어링(Roller bearing)
  4. 직선 롤러 베어링(Straight roller bearing)
(정답률: 47%)
  • 헬리콥터의 로터 헤드에서 발생하는 추력하중은 매우 크고 빠른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베어링에 대한 요구사항이 매우 높습니다. 이러한 조건에서 가장 적합한 베어링은 볼 베어링입니다. 볼 베어링은 작은 접촉면적으로 많은 회전수를 감당할 수 있으며, 내구성과 정밀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헬리콥터의 로터 헤드에서 발생하는 추력하중에 대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볼 베어링은 윤활유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간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날개에 장착되는 1차 조종장치는?

  1. 방향키(Rudder)
  2. 승강키(Elevator)
  3. 도움날개(Aileron)
  4. 앞전날개(Leading edge flap)
(정답률: 68%)
  • 도움날개는 비행기의 롤 제어를 담당하는 조종장치입니다. 비행기의 날개에 부착되어 있으며, 좌우로 움직여서 비행기의 좌우 기울임을 조절합니다. 따라서 날개에 장착되는 1차 조종장치는 도움날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헬리콥터의 공회전(Free wheel)클러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오버러닝 클러치라고도 한다.
  2. 롤러형과 스프래그형이 있다.
  3. 기관의 회전이 주 회전 날개보다 빠를때 공회전 클러치가 분리된다.
  4. 다발헬리콥터의 작동되지 않는 기관을 회전날개와 분리하도록 한다.
(정답률: 39%)
  • "기관의 회전이 주 회전 날개보다 빠를때 공회전 클러치가 분리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 설명은 올바릅니다. 공회전 클러치는 오버러닝 클러치라고도 불리며, 기관의 회전이 주 회전 날개보다 빠를 때 분리되어 작동되지 않는 기관을 회전날개와 분리하도록 합니다. 롤러형과 스프래그형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길이가 L 이고 선팽창계수가 α 인 구조재에 t ℃ 만큼 온도를 증가시켰다면 온도의 변화에 의해 늘어난 부재의 길이를 구하는 식은?

  1. αxLxT
  2. α(Lxt)2
  3. α2xLxT
  4. (αxL)/t
(정답률: 47%)
  • 선팽창계수는 단위 온도당 길이 변화량을 의미하므로, 길이 L의 구조재가 온도가 T만큼 증가하면 변화한 길이는 αL×T이다. 따라서 정답은 "αxLx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항공기의 착륙장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테일형
  2. 플로트형
  3. 스키형
  4. 타이어 바퀴형
(정답률: 65%)
  • 테일형은 착륙장치가 아니라 항공기의 형태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항공기의 꼬리 부분이 뾰족하게 솟아오르는 형태를 가리키며, 이는 항공기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테일형은 착륙장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동체와 수직꼬리 날개 앞부분이 만나는 곳에 항공기의 방 향안정성을 주기위한 구성품은?

  1. 도살핀
  2. 카울링
  3. 스포일러
(정답률: 80%)
  • 도살핀은 항공기의 방향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품 중 하나입니다. 동체와 수직꼬리 날개 앞부분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여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고, 항공기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도살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조종용 케이블에서 와이어나 스트랜드가 굽어져 영구 변형되어 있는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버디 케이지(Bird cage)
  2. 킹크 케이블(Kink cable)
  3. 와이어 절단(Broken wire)
  4. 와이어 부식(Corrosin wire)
(정답률: 69%)
  • 조종용 케이블에서 와이어나 스트랜드가 굽어져 영구 변형되어 있는 상태를 "킹크(Kink)"라고 합니다. 이는 와이어나 스트랜드가 강제로 굽혀져서 그 형태가 영구적으로 변형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킹크 케이블(Kink cable)"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허니컴 구조(Honeycomb structure)에서 외피 (Skin)가 들떠 있거나, 떨어지는 현상을 점검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1. 치수검사
  2. 촉각에 의한 검사
  3. 코인(Coin) 검사
  4. 확대경에 의한 검사
(정답률: 76%)
  • 코인은 평평하고 무게가 일정하여 외피가 들떠 있거나 떨어지는 현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허니컴 구조에서 외피가 들떠 있거나 떨어지는 현상을 확인하기 위해 코인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SAE 4130에서 “30"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 를 30% 포함한다.
  2. C 를 0.3% 포함한다.
  3. Ni 를 30% 포함한다.
  4. Ni 를 0.3% 포함한다.
(정답률: 61%)
  • SAE 4130은 크롬-몰리브덴 강으로, "30"은 이 강의 탄소 함량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C 를 0.3% 포함한다."는 이 강의 탄소 함량이 0.3%인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열가소성 수지 중 유압 백업링(Backup Ring), 호스(Hose), 패킹(Packing), 전선피복(Coating)등에 사용되는 수지는?

  1. 아크릴수지
  2. 염화비닐수지
  3. 폴리에틸렌수지
  4. 테프론(Teflon)
(정답률: 43%)
  • 테프론(Teflon)은 고온, 고압, 강한 화학적 부식에도 강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압 백업링, 호스, 패킹, 전선피복 등에 사용됩니다. 또한, 테프론은 비점착성과 높은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어서 윤활유나 기름 등이 묻어나오는 부품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알루미늄합금 2024-H2에서 H2가 의미하는 것은?

  1. 뜨임(Tempering)을 했다.
  2. 가공경화 후 풀림을 했다.
  3. 담금질을 한 후 인공시효경화 했다.
  4. 용액내 열처리해서 6% 정도 연화시키기 위하여 냉간가공 했다.
(정답률: 38%)
  • H2는 2024 알루미늄 합금의 가공경화 후 풀림을 나타냅니다. 이는 합금을 가공하고 경화시킨 후, 다시 가열하여 내부 응력을 완화시키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공경화 후 풀림을 했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높은 인장 강도와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비중이 작기 때문에 높은 응력과 진동을 받는 항공기의 부품에 가장 이상적이고 노란색 천으로 구성된 강화 섬유는?

  1. 유리 섬유
  2. 탄소 섬유
  3. 아라미드 섬유
  4. 보론 섬유
(정답률: 67%)
  • 아라미드 섬유는 높은 인장 강도와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비중이 작기 때문에 높은 응력과 진동을 받는 항공기의 부품에 가장 이상적입니다. 또한 노란색 천으로 구성되어 있어 시각적으로도 구별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항공기 부품 제작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항공기 기관 및 기관의 장착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관의 무게를 지지하는 구조물은 기관 마운트이고, 기관의 추력을 기체에 전달하는 것은 나셀이다.
  2. 기관의; 무게를 지지하는 구조물은 나셀이고, 기관의 추력을 기체에 전달하는 것은 기관 마운트이다.
  3. 날개 하부에 파이론을 이용하여 기관을 장착 할 경우 공기 역학적 성능 저하 없이 부수적인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아서 무게를 경감 시킬 수 있다.
  4. 기관 장탈시 연료계통, 유압계통의 라인, 전기계통, 조절기구(Control linkage) 및 기관 마운트 등도 쉽고 신속하게 분리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관을 QEC(Quick engine change)기관이라 한다.
(정답률: 39%)
  • 기관 장탈시 연료계통, 유압계통의 라인, 전기계통, 조절기구(Control linkage) 및 기관 마운트 등도 쉽고 신속하게 분리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관을 QEC(Quick engine change)기관이라고 하는 이유는 기관 교체 작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기관의 장착 구조가 설계되어 있으며, QEC 기관은 이러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