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2-13)

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11-02-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공기의 흐름과 압력의 관계를 설명한 베르누이 정리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베르누이 정리는 밀도와는 무관하다.
  2.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정압이 감소한다.
  3. 위치 에너지의 변화에 의한 압력이 동압이다.
  4. 정상 흐름에서 정압과 동압의 합은 일정하지 않다.
(정답률: 66%)
  • 유체의 속도가 증가하면, 유체 입자들은 서로 떨어져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유체 입자들 사이의 충돌 빈도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유체 입자들이 부딪히는 벽면에 가해지는 압력이 감소하게 되고, 이는 정압의 감소로 이어집니다. 이것이 베르누이 정리에서 유체의 속도와 정압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압축성 흐름이고 부분적으로 충격파가 발생하는 흐름으로 가장 적정한 것은?

  1. 아음속
  2. 초음속
  3. 천음속
  4. 극초음속
(정답률: 59%)
  • 정답은 "천음속"입니다.

    천음속은 속도가 음속(340m/s)보다 빠른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속도로 이동하는 유체는 압축성이 높아지며, 이로 인해 부분적으로 충격파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압축성 흐름이면서 부분적으로 충격파가 발생하는 흐름으로는 천음속이 가장 적절합니다.

    아음속은 음속과 비슷한 속도로 이동하는 상태이며, 압축성이 높아지지 않습니다. 초음속은 음속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상태이지만, 충격파가 발생하는 정상충격파 흐름이며, 부분적으로 충격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극초음속은 초음속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상태이며, 이론적으로는 존재하지만 현재까지는 실현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프로펠러 진행율[J]을 나타내는 식 J = V/(nD) 에서 n 이 의미하는 것은?

  1. 프로펠러의 날개수
  2. 프로펠러의 회전반지름
  3. 프로펠러의 1초당 회전수
  4. 프로펠러의 1초당 회전거리
(정답률: 77%)
  • n은 프로펠러의 회전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J = V/(nD)에서 n이 증가하면 J값은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프로펠러의 회전수가 증가하면 프로펠러의 효율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로펠러의 1초당 회전수"입니다. 1초당 회전수가 높을수록 프로펠러의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받음각과 양력과의 관계에서 날개의 받음각이 일정수준을 지나면 양력이 감소하고 항력이 증가하는 현상은?

  1. 경계층
  2. 와류
  3. 내리흐름
  4. 실속
(정답률: 88%)
  • 정답은 "실속"입니다.

    받음각이 일정수준을 지나면 항력이 증가하고 양력이 감소하는 현상을 "실속"이라고 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날개가 공기를 받아들이는 방식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받음각에서는 공기의 흐름이 불안정해지고 항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실속은 비행기의 안전한 비행을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국제표준대기로 정한 해면 고도의 특성값이 틀린 것은?

  1. 온도 20℃
  2. 압력 1013,25hPa
  3. 해면고도 0m
  4. 압력 29.921inHg
(정답률: 70%)
  • 해면 고도의 특성값은 온도, 압력, 해면고도 등으로 정해지는데, 이 중에서 온도 20℃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국제표준대기에서는 온도를 15℃로 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온도 20℃는 국제표준대기에서 정한 특성값과 다른 값이므로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에서 나타내는 항력(Drag)의 종류를 각각 옳게 짝지은 것은?

  1. (A) - 유도항력 (B) - 압력항력
  2. (A) - 표면마찰항력 (B) - 유해항력
  3. (A) - 간섭항력 (B) - 유도항력
  4. (A) - 압력항력 (B) - 표면마찰항력
(정답률: 69%)
  • 그림에서 나타나는 항력은 물체가 공기나 물 등의 유체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항력으로, 이 항력은 주로 압력항력과 표면마찰항력으로 나뉩니다. 그림에서는 물체가 공기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항력이므로, (A)는 압력항력이고, (B)는 표면마찰항력입니다. 압력항력은 물체 주변의 유체가 물체에 가해지는 압력 차이로 발생하며, 표면마찰항력은 물체와 유체 사이의 마찰력으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압력항력 (B) - 표면마찰항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무게가 9000kgf 인 항공기가 30°의 경사각으로 정상선회를 할 때 원심력은 몇 kgf 인가?

  1. 4500
  2. 5196
  3. 7794
  4. 18000
(정답률: 42%)
  • 원심력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원심력 = 질량 × 중력가속도 × 반경

    여기서 질량은 항공기의 무게를 중력가속도로 나눈 값이므로,

    질량 = 9000kgf ÷ 9.8m/s² = 918.37kg

    중력가속도는 지구에서의 표준 중력가속도인 9.8m/s²을 사용합니다.

    반경은 항공기가 회전하는 원의 반지름을 의미합니다. 이 반지름은 항공기의 기체 중심에서 회전 중심까지의 거리입니다. 이 거리는 경사각과 항공기의 길이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항공기의 길이는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항공기의 길이를 가정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항공기의 길이를 30m로 가정하겠습니다.

    이 경우, 항공기가 회전하는 원의 반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반지름 = 항공기의 길이 ÷ (2 × sin(30°)) = 30m ÷ (2 × 0.5) = 30m

    따라서, 원심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원심력 = 918.37kg × 9.8m/s² × 30m = 270,000kgf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5196kgf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단위를 kgf에서 N으로 변환한 값입니다. 1kgf는 9.8N이므로,

    원심력 = 270,000kgf × 9.8N/kgf = 2,646,000N ≈ 5196kgf

    따라서, 정답은 519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비행기의 가로안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동체의 모양
  2. 기관의 장착위치
  3. 날개의 쳐든각
  4. 플랩(flap)의 장착위치
(정답률: 87%)
  • 비행기의 가로안정은 날개의 쳐든각에 가장 큰 영향을 받습니다. 날개의 쳐든각이란 비행기의 날개가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를 말하며, 이 각도가 작을수록 비행기는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날개의 쳐든각을 유지하는 것이 가로안정을 유지하는 데 가장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조종력은 조종사에 의해 조종간이나 페달이 작동되어 조종계통을 통하여 힌지축에 전달된다. 이 때 조종면에서 발생되는 힌지모멘트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Ch : 힌지모멘트게수, b : 조종면의 폭, q : 동압, : 조종면의 평균 시위이다.)

(정답률: 59%)
  • 조종면에서 발생되는 힌지모멘트는 Ch = b*q*Sc 이다. 여기서 Sc는 조종면의 평균 시위에 대한 모멘트 팔의 길이이다. 따라서 Sc = c/4 이므로 Ch = b*q*c/4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헬리곱터에서 주기적 피치 제어간(Cycli pitch control lever)으로 조종할 수 없는 비행은?

  1. 전진비행
  2. 상승비행
  3. 측면비행
  4. 후퇴비행
(정답률: 67%)
  • 주기적 피치 제어간은 헬리콥터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는데 사용됩니다. 상승비행은 주기적 피치 제어간으로 조절할 수 없는 비행입니다. 이는 상승비행 시에는 헬리콥터의 고도가 높아지면서 공기 밀도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로터 블레이드의 추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승비행 시에는 추가적인 조종이 필요하며, 이는 주기적 피치 제어간으로는 조절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헬리곱터의 회전날개 각속도가 50rad/s 이고, 회전축 으로부터 깃 끝까지의 거리가 5m 일 때 회전날개 깃 끝의 회전선속도는 약 몇 m/s 인가?

  1. 125
  2. 250
  3. 300
  4. 500
(정답률: 85%)
  • 회전날개 깃 끝의 회전선속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v = ωr

    여기서, v는 회전선속도, ω는 각속도, r은 회전축으로부터 깃 끝까지의 거리입니다.

    따라서, v = 50rad/s x 5m = 250m/s 입니다.

    정답은 "2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동적 세로안정의 단주기 운동 발생시 조종사가 대처해야 하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조종간을 자유롭게 놓아야 한다.
  2. 즉시 조종간을 작동시켜야 한다.
  3. 받음각이 작아지도록 조작해야 한다.
  4. 비행 불능상태이므로 즉시 탈출해야 한다.
(정답률: 78%)
  • 동적 세로안정의 단주기 운동 발생시에는 비행기의 세로 방향이 불안정해지므로, 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조종간을 자유롭게 놓아야 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세로 방향을 조절하는데 필요한 수직 교차 제어면인 수직 꼬리날개와 수직 안정자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비행기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조종간을 자유롭게 놓는 것이 가장 옳은 대처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기체 세로축과 날개 단면의 시위선이 이루는 각은?

  1. 받음각
  2. 붙임각
  3. 쳐든각
  4. 처진각
(정답률: 52%)
  • 기체 세로축과 날개 단면의 시위선이 이루는 각은 붙임각입니다. 이는 날개가 기체에 붙어있기 때문에, 시위선이 기체와 날개 단면 사이에서 만나는 각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붙임각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항공기의 이착륙 시 양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날개 면적을 크게 한다.
  2. 최대 양력계수를 크게 한다.
  3. 경계층 제어장치를 이용한다.
  4. 에어브레이크(Air brake)를 사용한다.
(정답률: 80%)
  • 에어브레이크는 항공기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양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에어브레이크(Air brake)를 사용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무게가 2000kgf 인 비행기가 고도 5000m 상공에서 급강하 하고 있다면 이때 속도는 약 몇 m/s인가?(단, 항력계수: 0.03, 날개하중: 274kgf/m2, 밀도 0.075kgf×S2/M4 이다)

  1. 494
  2. 1423
  3. 1973
  4. 1777
(정답률: 45%)
  • 비행기가 고도 5000m 상공에서 급강하 하고 있다는 것은 곧 비행기가 받는 중력과 항력이 같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중력과 항력을 구해서 이를 이용해 속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중력은 물체의 무게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중력은 2000kgf가 됩니다.

    항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항력 = 1/2 × 밀도 × 속도의 제곱 × 기체의 단면적 × 항력계수

    여기서 밀도는 0.075kgf×S2/M4, 기체의 단면적은 비행기의 날개하중을 밀도로 나눈 값인 274/0.075 = 3653.33m2 입니다.

    항력 = 1/2 × 0.075 × 속도의 제곱 × 3653.33 × 0.03

    중력과 항력이 같아지므로,

    2000 = 1/2 × 0.075 × 속도의 제곱 × 3653.33 × 0.03

    이를 풀면 속도는 약 494m/s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9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기 윤활유 탱크의 윤활유 점검 시기로 적합한 것은?

  1. 기관작동 중 언제든지
  2. 기관작동 전 24시간 내
  3. 기관이 저속으로 작동할 때
  4. 기관정지 후 정해진 시간 내
(정답률: 80%)
  • 항공기가 기관작동 중일 때는 윤활유가 뜨거워져서 정확한 점검이 어렵기 때문에 기관정지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점검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이 시간은 항공기 제조사나 운영규정에서 정해진 시간이며, 이 시간 내에 점검을 하지 않으면 윤활유가 오염되거나 부식될 가능성이 있어서 안전한 운항을 위해서는 정해진 시간 내에 점검을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스 파스너(Dzus Fastener)에 그림과 같은 표식이 되어 있을 때 “50” 이 의미하는 것은?

  1. 길이가 50/16 in
  2. 몸체의 직경이 50/100 in
  3. 길이가 50/100 in
  4. 몸체의 직경이 50/50 in
(정답률: 56%)
  • 주스 파스너(Dzus Fastener)에 그려진 표식에서 "50"은 길이를 나타냅니다. 이 길이는 인치(in) 단위로 표시되며, 분수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분모인 100은 인치를 나누는 단위이며, 분자인 50은 실제 길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길이가 50/100 i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항공기에 이용되는 고압가스 중 히드라진의 주된 용도는?

  1. 항공기의 화재시 소화제로 사용
  2. 항공기의 독극물 취급시 중화시키는 해독제로 사용
  3. 항공기가 고공비행 중 산소가 없을 때 산소대용으로 사용
  4. 항공기 조종계통의 작동을 위한 비상동력원으로 사용
(정답률: 73%)
  • 히드라진은 고압가스 중 항공기 조종계통의 작동을 위한 비상동력원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항공기가 비상 상황에서 엔진이 작동하지 않을 때, 조종계통을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항공기에 사용되는 고압가스 중 다른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금속튜브의 호칭 치수를 옳게 표기한 것은?

  1. 안지름 x 두께
  2. 바깥지름 x 두께
  3. 두께 x 안지름 x 바깥지름
  4. 바깥지름 x 안지름 x 두께
(정답률: 67%)
  • 정답은 "바깥지름 x 두께"입니다.

    금속튜브의 호칭 치수는 보통 바깥지름과 두께로 표기됩니다. 바깥지름은 튜브의 외부 지름을 의미하며, 두께는 튜브의 벽 두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바깥지름 x 두께로 표기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명료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리벳종류 중 2017, 2024 리벳을 열처리 후 냉장 보관하는 주된 이유는?

  1. 부식방지
  2. 시효경화 지연
  3. 강도경화
  4. 강도변화 방지
(정답률: 82%)
  • 2017, 2024 리벳을 열처리 후 냉장 보관하는 주된 이유는 시효경화 지연입니다. 이는 리벳의 강도와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으로, 열처리 후 냉각하면 리벳 내부의 결정구조가 안정화되어 시간이 지나도 강도와 내구성이 변하지 않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일반적인 스크루드라이버(Screw driver)를 구성하는 3가지 부분이 아닌 것은?

  1. Handle
  2. Ring
  3. Blade(Tip)
  4. Shank
(정답률: 66%)
  • 스크루드라이버의 구성 요소는 핸들, 블레이드(팁), 샹크입니다. 반면에 링은 스크루드라이버에 필수적인 부품이 아니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항공기 기체, 기관 및 정비 등의 사용 시간을 0 으로 환원 시킬 수 있는 정비 작업은?

  1. 항공기 오버홀
  2. 항공기 대수리
  3. 항공기 대검사
  4. 항공기 대개조
(정답률: 92%)
  • 항공기 오버홀은 항공기를 완전히 분해하여 모든 부품을 검사하고 교체 또는 수리하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을 통해 항공기의 모든 부품이 새 것으로 교체되어 기체, 기관 및 정비 등의 사용 시간을 0으로 환원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기 오버홀은 항공기를 새 것으로 만드는 대규모 정비 작업으로, 사용 시간을 0으로 환원시킬 수 있는 유일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Sealing 작업에 사용하는 Sealants의 취급시 안정사항이 아닌 것은?

  1. 2인 1조로 작업할 것
  2. Sealants 를 취급시 보호장구를 착용할 것
  3. Sealants 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마시지 말 것
  4. Sealants 작업은 환기가 잘되는 곳에서 할 것
(정답률: 80%)
  • "2인 1조로 작업할 것"은 안전을 위한 작업 방침 중 하나로, 만약 작업 중에 어떤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작업자가 도와줄 수 있도록 2명 이상의 작업자가 함께 작업하도록 권장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사고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인력과 시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항공기 정비시 품질관리를 위한 과정이 옳게 나열된 것은?

  1. 계획(Plan)→실시(do)→검토(ckeck)→조치(action)
  2. 실시(do)→검토(ckeck)→계획(Plan)→조치(action)
  3. 검토(ckeck)→계획(Plan)→실시(do)→조치(action)
  4. 검토(ckeck)→실시(do)→계획(Plan)→조치(action)
(정답률: 67%)
  • 항공기 정비시 품질관리를 위한 과정은 PDCA 사이클을 따릅니다. 먼저 계획(Plan) 단계에서는 정비 작업에 필요한 자원과 절차를 계획하고, 작업 목표와 기준을 설정합니다. 그 다음 실시(do) 단계에서는 계획에 따라 정비 작업을 수행합니다. 그리고 검토(check) 단계에서는 작업 결과를 평가하고, 목표와 기준에 부합하는지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조치(action) 단계에서는 문제점이나 개선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 계획을 수립합니다. 따라서 "계획(Plan)→실시(do)→검토(check)→조치(action)"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육안검사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경우에 따라서 보조기구를 사용한다.
  2. 비파괴 검사 법 중 가장 오래된 검사방법이다.
  3. 검사자에 상관없이 검사결과는 신뢰수준이 높다.
  4. 비파괴 검사법 중 비교적 빠르고 경제적이며 간편한 편이다.
(정답률: 85%)
  • "검사자에 상관없이 검사결과는 신뢰수준이 높다."는 육안검사에 관한 설명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유는 육안검사는 검사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많이 개입되기 때문에 검사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검사자의 경험과 능력이 검사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알루미늄합금의 표면에 생긴 부식을 제거하기 위하여 철솔(wire brush)이나 철천(steel wool)을 사용하면 안되는 가장 큰 이유는?

  1. 표면이 거칠어지기 때문
  2. 알루미늄 금속까지 제거되기 때문
  3. 부식 제거후 세척작업을 방해하기 때문
  4. 철분이 표면에 남아 전해부식을 일으키기 때문
(정답률: 77%)
  • 알루미늄 합금은 철분과 반응하여 전해부식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솔이나 철천을 사용하여 부식을 제거하면 철분이 표면에 남아 전해부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용하면 안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황동, 공구강, 주철 등과 같이 단면적이 큰 재료를 절단하는 데 가장 적합한 톱날의 종류는?

  1. 앵글 블레이드(Angle blade)
  2. 샤넬 블레이드(Channe blade)
  3. 올-하드 블레이드(All-hard blade)
  4. 플랙시블 블레이드(Flexible blade)
(정답률: 68%)
  • 올-하드 블레이드는 단면적이 큰 재료를 절단할 때 가장 적합한 톱날의 종류입니다. 이는 올-하드 블레이드가 경도가 높은 강철로 만들어져 있어서 높은 절단력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황동, 공구강, 주철 등과 같이 단면적이 큰 재료를 절단할 때는 올-하드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액체침투탐상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면을 자화시켜야 한다.
  2. 침투액과 현상액을 사용한다.
  3. 자외선 탐사등(Black light)을 사용 할 수도 있다.
  4. 표면을 깨끗이 세척하고 페인트를 벗겨 내야 한다.
(정답률: 57%)
  • "표면을 자화시켜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액체침투탐상검사에서는 표면을 자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표면에 있는 결함이나 균열 등을 찾기 위해 침투액과 현상액을 사용하며, 자외선 탐사등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표면을 깨끗이 세척하고 페인트를 벗겨내는 것은 검사를 수행하기 전에 필요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어미자 19mm 를 20등분한 아들자로 구성된 버니어 캘리퍼스의 최소 측정값은 몇 mm 인가?

  1. 0.1
  2. 0.05
  3. 0.01
  4. 0.005
(정답률: 64%)
  • 어미자 19mm를 20등분하면 각 등분은 19mm/20 = 0.95mm 이다. 버니어 캘리퍼스는 아들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최소 측정값은 아들자의 간격과 같다. 따라서, 최소 측정값은 0.95mm/20 = 0.0475mm 이다. 이 값은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05m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제트기관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 EGT의 약어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Engine Gas Turbine
  2. Exhaust Gas Turbine
  3. Engine Gas Temperature
  4. Exhaust Gas Temperature
(정답률: 59%)
  • EGT는 Exhaust Gas Temperature의 약어로, 제트기 엔진에서 배기 가스의 온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Exhaust Gas Temperature"가 정답입니다. "Engine Gas Turbine"은 제트기 엔진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가스 터빈을 의미하지만, EGT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Exhaust Gas Turbine"은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Engine Gas Temperature"은 엔진 내부의 가스 온도를 의미하지만, EGT와는 다른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작업시 작업내용이 틀린 것은?

  1. 볼트와 머리는 비행방향이나 윗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2. 볼트 그립의 길이는 결합 부재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긴 것을 선택한다.
  3. 가급적 가장 큰 힘으로 조여 주어서 풀림을 방지해야 한다.
  4. 자동고정 너트를 사용할 때, 사용 횟수와 사용 온도를 확인하여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73%)
  • "볼트와 머리는 비행방향이나 윗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는 올바른 작업내용이다. 하지만 "가급적 가장 큰 힘으로 조여 주어서 풀림을 방지해야 한다."는 잘못된 작업내용이다. 너무 큰 힘으로 조여주면 볼트나 너트가 손상될 수 있으며, 결합 부재에도 오히려 손상을 줄 수 있다. 적절한 힘으로 조여주어야 하며, 이를 위해 토크렌치나 토크 스프레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균열(Crack)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료에 의한 균열
  2. 과부하에 의한 균열
  3. 피로에 의한 균열
  4. 응력 부식에 의한 균열
(정답률: 74%)
  • 도료에 의한 균열은 도료의 불균일한 수축과 확장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도료가 마르면서 수축하면서 균열이 생기거나, 도료가 확장하면서 인근 재료와의 차이로 인해 균열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도료의 종류나 사용 방법에 따라 발생할 수 있으며, 도료의 불균일한 수축과 확장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방법으로 도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 )안에 가장 알맞은 내용은?

  1. change with a change in density
  2. change with a change in pressure
  3. change with a change in temperature
  4. vari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he sound
(정답률: 67%)
  • 이 그래프는 물의 밀도와 온도 간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물의 밀도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므로, "change with a change in temperatur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인화성 액체에 의한 화재의 종류는?

  1. A급 화재
  2. B급 화재
  3. C급 화재
  4. D급 화재
(정답률: 83%)
  • 인화성 액체는 B급 화재의 원인이 됩니다. 이는 인화성 액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상 쉽게 증발하고 증발한 가스가 공기와 섞여 화염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화성 액체에 의한 화재는 B급 화재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기체의 점검 중 정시점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ISI점검
  2. C점검
  3. D점검
  4. E점검
(정답률: 76%)
  • E점검은 존재하지 않는 점검 항목입니다. 따라서 정시점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ISI점검, C점검, D점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헬리콥터의 동력 전달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기관의 동력은 변속기와 기관 출력 사이에 설치된 오버 러닝 클러치를 거쳐서 전달된다.
  2. 주 회전 날개의 구동축은 한쪽이 프를라인(Spline)으로 되어 있어, 변속기의 출력축에 접속되고, 반대쪽은 테일 로터 구동축에 연결된다.
  3. 꼬리 회전 날개 구동축은 주 회전 날개 구동축과 꼬리 회전 날개 기어박스의 입력축 사이를 연결하는 축이다.
  4. 오버러닝 클러치는 기관 회전수가 주 회전 날개의 회전 수보다 클 때 자동으로 분리하여 파손을 방지한다.
(정답률: 34%)
  • 기관의 동력은 변속기와 기관 출력 사이에 설치된 오버 러닝 클러치를 거쳐서 전달된다는 것은, 기관에서 생성된 동력이 변속기로 전달되기 전에 오버 러닝 클러치를 거쳐서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관과 변속기 사이의 연결을 유지하면서도, 기관의 회전수가 변속기의 회전수를 초과할 경우에는 클러치가 분리되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항공기술 자료의 이용 편의를 위하여 부여한 번호와 해당하는 계통이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1. 21 - Air conditioning
  2. 29 - Landing gear
  3. 33 - Lights
  4. 70 - Power plant
(정답률: 60%)
  • 정답은 "29 - Landing gear" 입니다.

    이유는 항공기의 계통 구성에서 Landing gear(착륙장치)는 항공기의 기체적인 부분에 해당하므로, 29번이 아닌 70번 Power plant(동력장치)와 함께 기체적인 부분에 속합니다. 따라서 29번과 70번은 함께 짝지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트러스형 구조를 가진 헬리곱터의 가장 큰 장점은?

  1. 정비가 용이하다.
  2. 유효공간이 크다.
  3. 정밀하게 제작할 수 있다.
  4.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70%)
  • 트러스형 구조를 가진 헬리콥터는 구조가 단순하고 강도가 높아서 정비가 용이합니다. 트러스형 구조는 구성 요소들이 간단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부품 교체나 수리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헬리콥터의 정비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은 항공기 날개의 어떤 부재의 종류인가?

  1. 응력외피
  2. 리브
  3. 스트링어
  4. 날개보
(정답률: 83%)
  • 그림은 항공기 날개의 "리브" 부재입니다. 이는 항공기 날개의 강도와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부품으로, 날개의 길이 방향으로 놓여져 있습니다. "응력외피"는 날개의 외부를 덮는 부분, "스트링어"는 리브와 응력외피 사이를 연결하는 부품, "날개보"는 날개의 구조를 유지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항공기 기체에서 위치를 표시하는 선 중 동체 중심선을 기준으로 오른쪽과 왼쪽으로 평행한 나비를 나타내는 선은?

  1. 동체 위치선
  2. 동체 수위선
  3. 동체 버턱선
  4. 날개 위치선
(정답률: 59%)
  • 항공기 기체에서 위치를 표시하는 선 중 동체 중심선을 기준으로 오른쪽과 왼쪽으로 평행한 나비를 나타내는 선은 "동체 버턱선"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기체가 공기를 가르며 압력차를 만들어 발생하는 양력의 중심축인 "동체 버턱"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선은 항공기의 안정성과 조종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도면의 특징과 성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정보를 매우 쉽게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2. 아이디어(idea)를 구체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3. 도면의 작성자의 개성이 표출되도록 개별적인 규칙과 규범을 사용한다.
  4. 작성자의 의사와 도면 관련 정보를 간단하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전달한다.
(정답률: 81%)
  • 정답은 "도면의 작성자의 개성이 표출되도록 개별적인 규칙과 규범을 사용한다."입니다. 도면은 일정한 규칙과 규범에 따라 작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작성자의 개성이 표출되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실루민(Silumin)합금의 주성분은?

  1. Al-Si
  2. Mg-Zn
  3. Cu-Sn
  4. Cu-Pb
(정답률: 73%)
  • 실루민 합금은 알루미늄(Al)과 실리콘(Si)의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Al-Si"가 정답입니다. Mg-Zn, Cu-Sn, Cu-Pb은 다른 합금의 주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복합재료를 제작할 때에 사용되는 섬유형 강화재가 아닌 것은?

  1. 유리섬유
  2. 탄소섬유
  3. 보론섬유
  4. 고무섬유
(정답률: 59%)
  • 고무섬유는 강화재로 사용하기에는 충분한 강도와 모듈러스를 갖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복합재료 제작에 사용되는 섬유형 강화재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보론섬유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헬리곱터의 목재로 된 회전날개에서 금속코어를 넣는 가장 큰 이유는?

  1. 깃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2. 깃의 강도를 증가시켜 주기 위해
  3. 깃의궤도를 맞추는 기준점으로 삼기 위해
  4. 무게중심을 맞추어 주는 질량 밸런스 역할을 하기 위해
(정답률: 64%)
  • 헬리콥터의 회전날개는 매우 큰 질량이며, 이것이 회전할 때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속 코어를 넣어 무게중심을 맞추어 주는 질량 밸런스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것은 안전성을 높이고, 비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피로시험에 사용되는 그래프로 응력의 반복횟수와 그 진폭과의 관계를 나타낸 곡선은?

  1. 로그 곡선
  2. S-N 곡선
  3. 응력 곡선
  4. 하중배수 곡선
(정답률: 61%)
  • S-N 곡선은 응력의 반복횟수와 그 진폭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으로, S는 응력의 진폭을 나타내는 stress amplitude, N은 응력의 반복횟수를 나타내는 cycle number를 의미합니다. 이 곡선은 피로시험에서 재료의 피로특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재료의 수명과 안전성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S-N 곡선이 피로시험에서 사용되는 그래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금속재료 규격의 명칭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MIL규격 - 미국재료협회규격
  2. AISI규격 - 미국철강협회규격
  3. SAE규격 - 미국자동차공학회규격
  4. AA규격 - 미국알루미늄협회규격
(정답률: 65%)
  • MIL규격은 미국 군사용품 규격을 의미하며, 미국재료협회가 제정한 규격이 아닙니다. 따라서, MIL규격은 다른 규격들과 다른 분류에 속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이 고정시켜 놓은 가운데 봉을 양쪽으로 당겼을 때 봉에 발생하는 하중의 형태로 옳은 것은?

  1. 인장
  2. 압축
  3. 전단
  4. 비틀림
(정답률: 67%)
  • 고정된 가운데 봉을 양쪽으로 당기면 봉의 양 끝에서는 수평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힘이 작용하면 봉의 중심부분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는 전단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항공기의 구조에서 모노코크구조의 주요부재가 아닌 것은?

  1. 외피
  2. 정형재
  3. 벌크헤드
  4. 스트링어
(정답률: 62%)
  • 스트링어는 모노코크구조에서 주요부재가 아닙니다. 모노코크구조는 외부 외피가 전체 구조를 지탱하므로, 외피와 벌크헤드, 그리고 정형재가 주요부재입니다. 스트링어는 외피와 벌크헤드 사이에 위치한 보조부재로, 구조 강화와 질량 감소를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그림의 꼬리 날개 구성 요소 중 수직(Z)축을 기준 축으로 하며 안정과 관계되는 요소는?

  1. (ㄱ)
  2. (ㄴ)
  3. (ㄷ)
  4. (ㄹ)
(정답률: 62%)
  • 정답은 "(ㄱ)"입니다. 그림의 꼬리와 날개는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력센터와 연결된 축 주변으로 회전해야 합니다. 따라서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안정성 요소는 "(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세라믹 코팅(Ceramic coatung)의 주된 목적은?

  1. 내한성
  2. 내열성과 내마모성
  3. 내충격성
  4. 내열성과 내충격성
(정답률: 80%)
  • 세라믹 코팅의 주된 목적은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내열성은 고온에도 변형이 없는 성질을 의미하며, 내마모성은 마찰에도 내구성이 유지되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성질을 가진 세라믹 코팅은 자동차나 선박 등의 외부 표면에 적용되어 내구성을 높이고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기체구조 전체에 대해 반복하중을 가하는 방법을 통하여 구조의 안전 수명을 결정하는 것이 주목적이며, 부수적으로 2차 구조의 손상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시험은?

  1. 낙하시험
  2. 정하중시험
  3. 피로시험
  4. 지상진동시험
(정답률: 65%)
  • 기체구조에 반복하중을 가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조물의 피로파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피로파손을 검토하기 위한 시험이 바로 "피로시험"입니다. 피로시험은 일정한 주파수와 크기의 하중을 일정한 주기로 가하여 구조물의 피로파손을 검사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이 시험을 통해 2차 구조의 손상 여부를 검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헬리곱터의 스키드 기어형 착륙장치의 구성품에 속하지 않는 것은 ?

  1. 스키드슈(SKid shpe)
  2. 완충버팀대(Shock strut)
  3. 후방가로버팀대(Rear cross tube)
  4. 전방가로버팀대(Forward cross tube)
(정답률: 61%)
  • 완충버팀대는 스키드 기어형 착륙장치의 구성품 중 하나가 아닙니다. 완충버팀대는 주로 기체의 주륙장치나 착륙장치에 사용되는 부품으로, 충격을 완충하여 안전한 착륙이나 이착륙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착륙장치에서 이륙시 안쪽 실린더가 빠져 나오는 길이를 제한하고, 안쪽 실린더가 바깥쪽 실린더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장치는?

  1. 트럭 빔
  2. 드래그 스트럿
  3. 토션링크
  4. 사이드 스트럿
(정답률: 62%)
  • 토션링크는 착륙장치에서 이륙시 안쪽 실린더가 빠져 나오는 길이를 제한하고, 안쪽 실린더가 바깥쪽 실린더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장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착륙장치와는 관련이 없는 부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감항성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1. 하중배수란 극한하중과 제한하중의 비이다.
  2. 종극하중에 안전계수를 곱한 것이 제한하중이다.
  3. 안전계수란 운용상태에서 예상되는 하중보다 큰 하중이 작용한다는 가능성에 대비하여 적용하는 설계계수이다.
  4. 종극하중배수는 항공기의 구조 강도면에서 최소 제한의 기준으로 한다.
(정답률: 67%)
  • 안전계수란, 예상되는 하중보다 큰 하중이 작용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적용하는 설계계수입니다. 이는 구조물이나 기계 등을 설계할 때, 예상되는 하중보다 큰 하중이 작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에 대비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용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안전계수는 구조물이나 기계 등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철강 재료를 탄소 함유량에 따라 분류할 때 탄소함유량이 0.025% 이하인것 은?

  1. 순철
  2. 주철
  3. 주강
(정답률: 65%)
  • 탄소 함유량이 0.025% 이하인 것은 순철입니다. 순철은 탄소 함유량이 매우 적어서 인장강도가 낮고 가공성이 우수합니다. 따라서, 순철은 주로 가공성이 중요한 부품이나 구조물에 사용됩니다. 강, 주철, 주강은 모두 탄소 함유량이 0.025% 이상이므로, 순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미국재료시험규격협회(ASTM)에서 합금의 종별기호 표시에서 질별 기호 중 “O"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가공 경화한 것
  2. 풀림 처리한 것
  3. 주조한 그대로의 상태인 것
  4. 담금질후 시효경화가 진행 중인 것
(정답률: 73%)
  • "O"는 Solution Annealed을 의미하며, 이는 합금을 가열하여 고체 용액 상태로 만든 후 빠르게 냉각하여 결정 구조를 균일하게 만든 상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처리를 풀림 처리라고도 합니다. 따라서 "O"는 "풀림 처리한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동체나 날개에 기관을 장착하기 위한 구조물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카울플랩
  2. 낫셀
  3. 기관마운트
  4. 카울링
(정답률: 68%)
  • 기관마운트는 엔진이나 기타 기계 장치를 동체나 날개에 부착하기 위한 구조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카울플랩, 낫셀, 카울링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비행 중 조종간을 왼쪽과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양쪽의 보조날개(Aileron)는 서로 어떤 방향으로 움직이는가?

  1. 항상 상승한다.
  2. 항상 하강한다.
  3. 서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4.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정답률: 76%)
  • 조종간을 왼쪽으로 움직이면 왼쪽 보조날개는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오른쪽 보조날개는 위쪽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는 비행기의 좌우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헬리곱터 조종시 조종사가 조종 장치에서 손을 떼어도 조종 장치가 중립위치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것은?

  1. 토크 튜브
  2. 동력 부스터
  3. 벨 크랭크
  4. 센터링 장치
(정답률: 78%)
  • 센터링 장치는 조종 장치에서 손을 떼면 스스로 중립위치로 돌아가는 장치입니다. 이는 헬리콥터의 안전한 조종을 위해 필요한 기능으로, 조종사가 조종 장치를 놓치거나 떨어뜨렸을 때도 헬리콥터가 자동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운항자기무게(Operating Empty Weight)에 해당하는 것은?

  1. 승객의 무게
  2. 화물의 무게
  3. 유압게통의 작동유 무게
  4. 연료계통의 사용 가능한 연료의 무게
(정답률: 57%)
  • 운항자기무게(Operating Empty Weight)는 비행기가 운항을 시작하기 전에 필요한 연료, 승객, 화물 등을 제외한 비행기 자체의 무게를 말합니다. 따라서 유압게통의 작동유 무게가 운항자기무게에 해당합니다. 유압게통은 비행기의 조종과 제어에 필수적인 부품으로, 작동유는 유압게통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윤활유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압게통의 작동유 무게는 비행기 자체의 무게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