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4-17)

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11-04-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다음 중 비행기의 세로 안정에서 평형(trim) 상태를 나타낸 것은? (단, CM은 키놀이 모멘트 계수이다.)

  1. CM = 0
  2. CM > 0
  3. CM < 0
  4. CM ≠ 0
(정답률: 85%)
  • 정답: CM = 0

    이유: 비행기의 세로 안정에서 평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울기나 회전이 없어야 하며, 따라서 어떤 힘에 의해서도 비행기의 세로 방향이 바뀌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비행기의 중심축과 공기 역학적인 중심축이 일치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CM 값이 0이 되어야 한다. CM 값이 양수이면 비행기의 세로 방향이 위로 기울어지고, 음수이면 아래로 기울어진다. 따라서 CM 값이 0이어야 비행기의 세로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평균 공력시위(MAC : mean aerodynamic chord)란 무엇인가?

  1. 한쪽 날개 끝에서 다른 쪽 날개 끝까지의 투영의 길이
  2. 날개의 윗면과 아랫면에 작용하는 압력이 작용하는 점
  3. 주날개의 항공역학적 특성을 대표하는 부분의 시위
  4. 날개골의 기준이 되는 점으로 받음각이 변하더라도 모멘트 값이 일정한 점
(정답률: 47%)
  • MAC는 주날개의 항공역학적 특성을 대표하는 부분의 시위입니다. 이는 주날개의 중심선에서 날개의 윗면과 아랫면이 만나는 지점부터 날개 끝까지의 평균 길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MAC는 주요한 항공기 설계 요소 중 하나로, 항공기의 안정성과 조종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행기에 작용하는 공기력 중에서 압력항력과 마찰 항력을 합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조파항력
  2. 유도항력
  3. 형상항력
  4. 와류항력
(정답률: 66%)
  • 비행기가 공기를 이동하면서 만나는 공기의 압력 차이와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항력을 형상항력이라고 합니다. 이는 비행기의 형상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결정되며, 비행기의 날개, 몸통, 꼬리날개 등의 형상이 항력의 크기와 방향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비행기가 공기를 이동하면서 만나는 압력항력과 마찰항력을 합한 것을 형상항력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중량이 2500kgf, 날개면적 20m2인 비행기가 120㎞/h의 속도로 비행할 때 양력계수는? (단, 공기의 밀도는 0.125 kgfㆍs/m4이다.)

  1. 0.71
  2. 1.8
  3. 2.0
  4. 7.8
(정답률: 55%)
  • 양력계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L = 1/2 x ρ x v2 x S x CL

    여기서 L은 양력, ρ는 공기의 밀도, v는 비행기의 속도, S는 날개면적, CL은 양력계수입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공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 = 1/2 x 0.125 x (120/3.6)2 x 20 x CL
    L = 1/2 x 0.125 x 33.332 x 20 x CL
    L = 1/2 x 0.125 x 1111.1 x CL
    L = 69.44 x CL

    여기서 L은 2500kgf이므로, 69.44 x CL = 2500kgf입니다.

    따라서, CL = 2500kgf / 69.44 = 36.01입니다.

    하지만, 양력계수는 단위 없는 값이므로, kgf를 N으로 변환해주어야 합니다.

    1kgf = 9.81N 이므로, 2500kgf = 24525N입니다.

    따라서, CL = 24525N / 69.44 = 353.3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시되어 있으므로, CL = 1.8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비행기의 기수가 회전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틀어져 있는 움직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스핀(spin)
  2. 역틀림(adverse yaw)
  3. 젖힘효과(sweep back effect)
  4. 가로진동(lateral oscillation)
(정답률: 85%)
  • 역틀림(adverse yaw)은 비행기가 회전할 때, 기체의 앞쪽 날개가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공기 저항으로 인해 비행기의 궤도가 회전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틀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주로 비행기의 좌우 날개에 차이를 두어 발생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루더(rudder)를 사용하여 궤도를 보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절대압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기압과 계기압력의 차이다.
  2. 해면에서의 절대압력은 항상 0(zero)이다.
  3. 완전진공을 0(zero) 압력으로 하여 측정한 압력이다.
  4. 압력이 측정되는 곳에 대기압을 0(zero) 압력으로 하여 측정된 압력이다.
(정답률: 59%)
  • 완전진공은 공기 분자가 전혀 없는 상태를 말하며, 이 상태에서 측정한 압력을 절대압력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완전진공을 0(zero) 압력으로 하여 측정한 압력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항공기의 상승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중량이 적을수록 상승률은 감소한다.
  2. 이용마력이 클수록 상승률은 감소한다.
  3. 필요마력이 클수록 상승률은 감소한다.
  4. 프로펠러의 효율이 클수록 상승률은 감소한다.
(정답률: 70%)
  • 항공기가 상승하는 과정에서는 필요한 마력이 있습니다. 이 마력은 항공기의 중량과 공기 저항 등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중량이 적을수록 상승률은 높아지고, 이용마력이 클수록 상승률은 높아질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필요한 마력이 클수록 상승률은 감소합니다. 이는 필요한 마력이 많아질수록 항공기가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필요한 마력이 클수록 상승률은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회전익 항공기에서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날개 깃의 하나의 수평축에 대해 위 아래로 움직이는 운동은?

  1. 스핀 운동
  2. 리드 - 래그 운동
  3. 플래핑 운동
  4. 자동 회전 운동
(정답률: 76%)
  • 회전익 항공기에서 회전축에 연결된 회전날개 깃의 하나의 수평축에 대해 위 아래로 움직이는 운동은 "플래핑 운동"입니다. 이는 날개 깃의 앞쪽을 내리고 뒷쪽을 올리는 운동으로, 비행기의 상승 및 감속을 조절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비행기가 항력을 이기고 앞으로 움직이기 위한 동력은? (단, T:추력 , V:비행기 속도이다.)

  1. T/V
  2. V/T
  3. TV
  4. TV/2
(정답률: 75%)
  • 비행기가 항력을 이기고 앞으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추력(T)과 비행기의 속도(V)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비행기가 항력을 이기고 앞으로 움직이기 위한 동력은 T와 V의 곱인 T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날개 끝 실속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아닌 것은?

  1. 실속펜스를 부착한다.
  2. 와류 발생창치를 설치한다.
  3. 크루거 앞전 형태를 갖춘다.
  4. 워시 아웃 형상을 갖도록 해준다.
(정답률: 51%)
  • 크루거 앞전 형태를 갖춘다는 것은 날개 끝 부분을 올려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실속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날개 끝 부분을 내려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실속을 방지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입구의 지름이 10cm이고, 출구의 지름이 20cm인 원형관에 액체가 흐르고 있다. 지름이 20cm 되는 단면적에서의 속도가 2.4m/s 일 때 지름 10cm 되는 단면적에서의 속도는 약 m/s인가?

  1. 4.8
  2. 9.6
  3. 14.4
  4. 19.2
(정답률: 68%)
  • 원형관에서 액체의 체적 유지를 위해서는 유속과 단면적의 곱이 일정해야 합니다. 즉, $v_1A_1=v_2A_2$가 성립합니다. 여기서 $v_1$은 지름이 10cm인 단면에서의 속도, $v_2$는 지름이 20cm인 단면에서의 속도입니다. $A_1$은 지름이 10cm인 단면의 면적, $A_2$는 지름이 20cm인 단면의 면적입니다.

    지름이 20cm 되는 단면에서의 속도는 2.4m/s이므로, $v_2=2.4$입니다. $A_1$과 $A_2$는 각각 $pi times (0.1m)^2=0.01pi m^2$와 $pi times (0.2m)^2=0.04pi m^2$입니다.

    따라서, $v_1=frac{v_2A_2}{A_1}=frac{2.4times 0.04pi}{0.01pi}=9.6$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9.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진속도가 없을 때 헬리콥터의 자동회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관의 정지 시의 비행이다.
  2. 점차 일정한 속도로 하강한다.
  3. 자동 회전의 회전은 풍차가 돌아가는 원리와 같다.
  4. 자동 회전에 의한 항력은 같은 면적의 낙하산 항력의 2배 이다.
(정답률: 59%)
  • 자동 회전에 의한 항력은 같은 면적의 낙하산 항력의 2배 이다. - 이 설명은 옳다. 자동 회전은 헬리콥터의 로터 블레이드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여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로터 블레이드의 기울기에 따라 공기가 흐르는 방향이 바뀌어 항력이 발생한다. 이 항력은 낙하산의 항력과 같은 원리로 작용하지만, 로터 블레이드의 면적이 낙하산보다 크기 때문에 항력도 더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자동 회전에 의한 항력은 같은 면적의 낙하산 항력의 2배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밸런스 탭(balance ta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동 비행을 가능하게 한다.
  2. 조종석의 조종장치와 직접 연결되어 탭만 작동시켜 조종면을 움직인다.
  3. 조종사가 조종석에서 임의로 탭의 위치를 조정 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4. 1차 조종면과 반대 또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조타력을 가볍게 한다.
(정답률: 59%)
  • 1차 조종면과 반대 또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조타력을 가볍게 한다. - 밸런스 탭은 주로 비행기의 수평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주 조종면과 반대 또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기체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조종력을 가볍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날개 위에 수직 충격파와 충격 실속이 발생되면 항력이 급증하게 되는 마하수는?

  1. 임계 마하수
  2. 순항 마하수
  3. 충격 마하수
  4. 항력 발산 마하수
(정답률: 61%)
  • 날개 위에서는 공기의 밀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수직 충격파와 충격 실속이 발생하면 항력이 급증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항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항력 발산 마하수를 사용합니다. 이는 날개의 디자인이나 기체의 형태를 조절하여 항력을 최소화하고, 고속 비행에 적합한 형태로 만들어진 마하수를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항력 발산 마하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실속 이내의 선형 구간에서 받음각이 증가함에 따라 압력중심 (c.p)의 위치변화로 옳은 것은?

  1. R3 → R1 → R2
  2. R1 → R3 → R2
  3. R3 → R2 → R1
  4. R1 → R2 → R3
(정답률: 72%)
  • 압력중심(c.p)은 받음각이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R1에서는 c.p가 가장 뒤쪽에 위치하고, R3에서는 c.p가 가장 앞쪽에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R1 → R2 → R3 순서로 이동할 경우, c.p는 앞으로 이동하면서 최종적으로 가장 앞쪽에 위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항공기 정비방식이 아닌 것은?

  1. 하드타임
  2. 온 - 모니터링
  3. 온 - 컨디션
  4. 컨디션 모니터링
(정답률: 64%)
  • 온 - 모니터링은 항공기 정비방식이 아닙니다. 이유는 "온 - 모니터링"은 항공기의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문제가 발생하면 조치를 취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상황을 파악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항공기 정비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영문의 내용에 대한 옳은 값은?

  1. 0.25
  2. 2.5
  3. 20
  4. 25
(정답률: 64%)
  • 위 그림은 1/4 를 의미합니다. 그림에서 붉은색으로 칠해진 부분이 전체에서 1/4 이므로, 이를 소수로 나타내면 0.25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2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게이지 블록 (gauge block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하기 전에 마른 걸레나 솔벤트로 방청제 등의 이물질을 닦아낸다.
  2. 사용 시 손가락 끝으로 잡아 접촉면적을 되도록 작게 한다
  3. 이론상 측정력은 접촉 면적에 비례하여 증가되어야 하며, 실제로는 표준이 되는 측정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4. 측정할 때 정밀도는 온도와는 관련이 없고, 링킹(wringking)작업과 가장 관련이 깊다.
(정답률: 69%)
  • "측정할 때 정밀도는 온도와는 관련이 없고, 링킹(wringking)작업과 가장 관련이 깊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온도는 게이지 블록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링킹 작업은 게이지 블록의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온도와 링킹 작업은 게이지 블록의 정밀도와 관련이 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활주로 횡단 시 관제탑에서 사용하는 신호등의 신호로 녹색등이 켜져 있을 때의 의미와 그에 따른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위험 - 정차
  2. 안전 - 횡단가능
  3. 안전 - 빨리 횡단하기
  4. 위험 - 사주를 경계한 후 횡단가능
(정답률: 90%)
  • 안전 - 횡단가능은 활주로를 횡단할 수 있는 안전한 상황이라는 뜻입니다. 이 경우에는 비행기가 이륙하거나 착륙하는 중이 아니며, 활주로를 횡단해도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신호가 켜져 있을 때에는 안전하게 활주로를 횡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물림 턱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물림 턱이 깊어서 강력하게 잡을 수 있는 그림과 같은 공구의 명칭은?

  1. 커넥터 플라이어
  2. 콤비네이션 플라이어
  3. 워터펌프 플라이어
  4. 익스터널 링 플라이어
(정답률: 72%)
  • 물림 턱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물림 턱이 깊어서 강력하게 잡을 수 있는 공구는 워터펌프 플라이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커넥터를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 플라이어, 다양한 작업에 사용되는 콤비네이션 플라이어, 외부 링을 잡는데 사용되는 익스터널 링 플라이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다음 중 전기화학적 부식(galvanic corrosion)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배터리 충전액이 넘쳐 흐를 때
  2. 항공기 전기계통에 습기가 침투할 때
  3. 서로 같은 금속 사이에 윤활유가 침투 할 때
  4. 서로 다른 금속 사이에 오염된 습기가 침투할 때
(정답률: 43%)
  • 배터리 충전액이 넘쳐 흐를 때는 서로 다른 금속이 만나게 되어 전기화학적 부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충전액은 전해질 역할을 하며, 금속 간 전기적인 차이가 발생하여 부식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항공기에 관한 영문 용어가 한글과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airframe - 원동기
  2. unit - 단위 구성품
  3. structure - 장비품
  4. power plant - 기체구조
(정답률: 86%)
  • 항공기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 중에서도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부품을 "unit"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항공기의 엔진은 하나의 "power plant"이지만, 이 엔진을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 중에서도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부품을 "unit"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unit"은 항공기의 구성품 중에서도 하나의 단위 구성품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과 같은 부품 번호를 갖는 스크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길이는 4/16 이다.
  2. 길이는 2/16 이다.
  3. 커팅 둥근머리 스크루이다.
  4. 100도 평머리 나사 합금강 스크루이다.
(정답률: 67%)
  • 이 스크루는 번호 100으로 시작하므로 "100도 평머리 나사 합금강 스크루"입니다. 길이는 보기에서 제공되지 않으므로 알 수 없습니다. 커팅 둥근머리 스크루는 번호 200으로 시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항공기 기체의 정시점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A점검
  2. C점검
  3. D점검
  4. E점검
(정답률: 86%)
  • E점검은 항공기의 대대적인 수리 및 점검을 포함하는 주기적인 점검으로, 일반적으로 1년에 한 번 이상 수행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A, C, D점검은 항공기 기체의 정시점검 종류에 해당하지만, E점검은 주기적인 점검으로 분류되어 정시점검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항공기 세제 중 메틸클로로포름(methyl chloroform)이라고도 하며, 일반 세척과 그리스 세척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장시간 사용하면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할 세제는?

  1. 건식 세척 솔벤트
  2. 케로신
  3. 메틸에틸케튼 (MEK)
  4. 안전 솔벤트
(정답률: 48%)
  • 메틸클로로포름은 피부염을 일으키는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하지 않은 세제입니다. 반면에 안전 솔벤트는 안전성이 검증되어 있으며, 건식 세척 솔벤트나 케로신, MEK와 같은 다른 세제들과는 달리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들어있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 솔벤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접촉되어 있는 2개의 재료가 녹아서 다른 쪽에 들러붙은 형태의 손상은?

  1. 융착(gall)
  2. 스코어(score)
  3. 균열(crack)
  4. 가우징(gouging)
(정답률: 92%)
  • 두 재료가 접촉하여 마찰력이 발생하면서 생긴 열로 인해 녹아서 서로 다른 쪽에 들러붙는 손상을 융착(gall)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래칫 핸들이나 스피드 핸들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어댑터
  2. 익스텐션 바
  3. 브레이커 바
  4. 유니버셜 조인트
(정답률: 66%)
  • 브레이커 바는 래칫 핸들이나 스피드 핸들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브레이커 바 자체가 도구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브레이커 바는 다른 도구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응력 외피 수리 시 리벳을 이용하여 패치를 부탁할 때 리벳 끝거리로 옳은 것은?

  1. 사용 리벳지름의 1.5배로 한다.
  2. 사용 리벳지름의 2.5배로 한다.
  3. 사용 리벳길이의 1.5배로 한다.
  4. 사용 리벳길이의 2.5배로 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사용 리벳지름의 2.5배로 한다." 입니다. 이유는 리벳을 사용할 때, 리벳의 지름이 클수록 더 많은 힘을 버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응력 외피 수리 시에는 보통 사용 리벳지름의 2.5배로 한다고 권장합니다. 이렇게 하면 리벳이 끝거리로 빠져나가거나, 부식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비파괴검사방법 중 표면에 열린 결함만 검출할 수 있는 것은?

  1. 침투탐상검사
  2. 와전류탐상검사
  3. 자분탐상검사
  4. 초음파탐상검사
(정답률: 69%)
  • 침투탐상검사는 표면에 열린 결함을 검출하는 비파괴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검사 대상에 액체나 가스 상태의 페네트란트를 침투시켜 결함 내부로 침투시킨 후, 페네트란트를 제거하고 개시제(발색액)를 칠하여 결함을 시각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표면에 열린 결함만 검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항공기 유관 (hose)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표(decal)는 무엇을 표시하기 위한 것인가?

  1. 호스의 재질
  2. 호스의 제작번호
  3. 호스의 사용 가는 압력
  4. 호스의 흐르는 액체의 종류
(정답률: 74%)
  • 항공기 유관에 부착된 식별표는 호스의 흐르는 액체의 종류를 표시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는 호스가 운반하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 호스의 재질, 제작번호, 사용 가능한 압력 등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호스의 흐르는 액체의 종류를 식별표로 표시함으로써 호스를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안전한 항공기 운항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A급 화재의 진화에 사용되며 유류나 전기화재에 사용해서는 안되는 소화기는?

  1. 분말 소화기
  2. 이산화탄소 소화기
  3. 물 펌프 소화기
  4. 할로겐화합물 소화기
(정답률: 82%)
  • 물 펌프 소화기는 물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화시키는데, A급 화재는 유류나 전기화재 등에서 발생하는 화재로 물을 사용하여 진화시키면 오히려 불을 키울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따라서 A급 화재에는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로겐화합물 소화기 등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계류 앵커(tie-down ancho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패드 아이(pad eye)
  2. 계류 앵커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는 일반적으로 적색 페인트 표시를 한다.
  3. 소형 단발 항공기의 계류 앵커는 정해진 최소 장력을 갖고 있어야 한다.
  4. 주기장을 만들 때 설치되는 고리모양의 피팅을 말한다.
(정답률: 51%)
  • "계류 앵커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는 일반적으로 적색 페인트 표시를 한다."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패드 아이는 계류 앵커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 중 하나입니다.

    소형 단발 항공기의 계류 앵커는 정해진 최소 장력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이는 계류 앵커가 비행 중에도 안전하게 고정되어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주기장을 만들 때 설치되는 고리모양의 피팅은 승객이나 화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입니다. 이는 계류 앵커와는 다른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항공기 정비에서 오버홀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시한성 정비방법이다.
  2. 신뢰성 정비방법이다.
  3. 사용시간이 0으로 환원된다.
  4. 기체와 장비 모두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정답률: 68%)
  • 오버홀은 사용시간이 일정 기준에 도달하면 항공기 엔진이나 부품을 분해하여 점검하고 교체 또는 수리하는 정비방법이다. 따라서 "신뢰성 정비방법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수리를 위해 사용되는 리벳의 지름은 무엇을 기준으로 정하는가?

  1. 판의 두께
  2. 리벳을 섕크의 길이
  3. 리벳 간의 거리
  4. 리벳 작업할 판의 모양
(정답률: 71%)
  • 리벳은 판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판의 두께를 기준으로 선택됩니다. 리벳의 지름은 판의 두께보다 크면 고정이 안되고, 작으면 강도가 충분하지 않아 고정이 불안정해집니다. 따라서 판의 두께에 맞는 적절한 리벳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리 섬유와 수지를 반복해서 겹쳐 놓고 가열장치나 오토 클레이브 안에 그것을 넣고 열과 압력으로 경화시켜 복합 소재를 제작하는 방법은?

  1. 압축 주형방식
  2. 필라멘트 권선방식
  3. 습식 적층방식
  4. 유리 섬유 적층방식
(정답률: 73%)
  • 유리 섬유와 수지를 반복해서 겹쳐 놓고 가열장치나 오토 클레이브 안에 그것을 넣고 열과 압력으로 경화시켜 복합 소재를 제작하는 방법은 "유리 섬유 적층방식"입니다. 이는 유리 섬유를 적층하여 제작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설계하중 값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한계하중 + 안전계수
  2. 한계하중 × 안전계수
  3. 종극하중 + 안전계수
  4. 종극하중 × 안전계수
(정답률: 73%)
  • 정답은 "한계하중 × 안전계수"입니다.

    한계하중은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보다 안전한 하중을 적용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안전계수를 곱해줍니다. 안전계수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1.5 ~ 2.5 사이의 값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한계하중에 안전계수를 곱한 값이 설계하중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헬리콥터의 꼬리 회전날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플래핑이 불가능하다.
  2. 리드래그 운동이 가능하다.
  3. 피치각의 변화가 가능하다.
  4. 오토 로테이션(auto rotation) 상태에서는 피치각을 변화시킬 수 없다.
(정답률: 45%)
  • 헬리콥터의 꼬리 회전날개는 헬리콥터의 방향을 제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회전날개는 피치각을 조절하여 방향을 바꿀 수 있습니다. 피치각은 회전날개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회전날개의 추력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치각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헬리콥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헬리콥터의 동력 구동축에 대한 설명으로 관계가 먼 것은?

  1. 동력 구동축은 기관 구동축, 주회전날개 구동축 및 꼬리 회전날개 구동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2. 구동축의 양끝은 스플라인으로 되어 있거나 스플라인으로 된 유연성 커플링이 장착되어 있다.
  3.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동적인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4. 지지 베어링에 의해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회전을 고려한 베어링의 편심을 이뤄야 한다.
(정답률: 61%)
  • "동력 구동축은 기관 구동축, 주회전날개 구동축 및 꼬리 회전날개 구동축으로 구성되어 있다."와 "구동축의 양끝은 스플라인으로 되어 있거나 스플라인으로 된 유연성 커플링이 장착되어 있다."는 동력 구동축의 구성과 관련된 내용이므로 관계가 있습니다.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동적인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는 동력 구동축의 설계 목적과 관련된 내용이므로 관계가 있습니다. 하지만 "지지 베어링에 의해서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회전을 고려한 베어링의 편심을 이뤄야 한다."는 동력 구동축의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베어링의 설계와 관련된 내용이므로 다른 내용과는 관계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에서 기체 손상 부분의 외피(skin) 두께는 몇 in인가?

  1. 2.5
  2. 2.4
  3. 0.071
  4. 0.030
(정답률: 51%)
  • 그림에서 보이는 부분은 인치 단위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답은 인치 단위로 표시되어야 합니다. 그림에서 보이는 외피의 두께는 0.071 in입니다. 이는 그림에서 보이는 부분의 길이를 측정하고, 그 길이에 해당하는 외피의 두께를 계산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그림에서 보이는 부분의 길이와는 무관한 다른 값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나셀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방화벽
  2. 스킨
  3. 카울링
  4. 쇽 스트러트
(정답률: 76%)
  • 나셀의 구성요소는 방화벽, 스킨, 카울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쇽 스트러트"는 나셀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쇽 스트러트"가 어떤 기술이나 제품인지 명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기계재료에 필요한 일반적인 성질이 아닌 것은?

  1. 재료의 보급과 소량생산이 가능해야 한다.
  2. 주조성, 소성, 절삭성 등이 양호해야 한다.
  3. 열처리성이 우수하며, 표면처리성이 좋아야 한다.
  4. 기계적 성질, 화학적 성질이 우수하고 경량화가 가능해야 한다.
(정답률: 74%)
  • "재료의 보급과 소량생산이 가능해야 한다."는 기계적, 화학적 성질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성질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계재료의 성질이 아닙니다. 이 성질은 생산과 관련된 측면에서 중요한 요소이며, 재료의 보급과 소량생산이 가능해야만 적절한 가격으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항공기가 이ㆍ착륙할 때 받는 추가적인 하중과 관련된 힘은?

  1. 구심력
  2. 원심력
  3. 관성력
  4. 표면장력
(정답률: 52%)
  • 항공기가 이ㆍ착륙할 때 받는 추가적인 하중과 관련된 힘은 관성력입니다. 이는 항공기가 운동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변화하려는 물체의 성질인 관성에 의해 발생하는 힘입니다. 이 때문에 항공기는 이ㆍ착륙 시에는 관성력에 대한 안전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일반적인 항공기에서 조종간을 당기면 항공기의 자세는 어떻게 변하는가?

  1. 기수 상승
  2. 좌선회
  3. 기수 하강
  4. 우선회
(정답률: 91%)
  • 조종간을 당기면 항공기의 앞쪽 날개인 상승면이 올라가게 되어 공기의 압력 차이로 인해 항공기의 기울기가 올라가게 됩니다. 이를 기수 상승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비행기의 날개 길이가 10m,날개 면적이 20m2일 때, 이 날개의 가로세로비는?

  1. 2
  2. 3
  3. 4
  4. 5
(정답률: 54%)
  • 가로세로비는 날개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날개 면적은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로 길이를 x, 세로 길이를 y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xy = 20

    여기서, 날개 길이는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의 합과 같습니다.

    x + y = 10

    이 두 식을 이용하여 가로세로비를 구해보겠습니다.

    y = 20/x

    x + 20/x = 10

    x^2 - 10x + 20 = 0

    (x - 5)(x - 4) = 0

    따라서, x = 5 또는 x = 4입니다. 하지만, x는 가로 길이를 의미하므로 x > y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x = 5이고 y = 4입니다. 따라서, 가로세로비는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항공기 재료 중 알클래드(alclad) 판의 특징은?

  1. 라이트 홀 구조
  2. 강화 탄소 섬유 피복
  3. 순수 알루미늄 피복
  4. 순수 스테인리스 피복
(정답률: 78%)
  • 알클래드 판은 알루미늄 합금과 순수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로, 알루미늄 합금 내부에 순수 알루미늄 피복이 코팅되어 있습니다. 이는 알루미늄 합금의 내식성과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외부에서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순수 알루미늄 피복"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고(高)고도를 비행하는 항공기는 고도에 따른 기압 차에 의한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데 이렇게 설계된 동체 내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여압실
  2. 고장력실
  3. 내부응력실
  4. 트러스실
(정답률: 74%)
  • 고(高)고도에서 비행하는 항공기는 기압이 낮아져서 기압 차에 의한 압력이 커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항공기의 동체 내부에는 고압과 저압 사이의 압력 차이를 견딜 수 있는 구조물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구조물을 여압실이라고 합니다. 여압실은 항공기의 동체 내부에 위치하며, 고압과 저압 사이의 압력 차이를 완화시켜 항공기가 안전하게 비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과 같은 철강 재료 식별표시에서 각각의 표시와 의미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SAE : 미국 철강협회 규격
  2. 1 : 탄소강
  3. 0 : 5대 기본원소 이외의 합급 원소가 없음
  4. 25 : 탄소 0.25% 함유
(정답률: 65%)
  • 정답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0 : 5대 기본원소 이외의 합급 원소가 없음"입니다. 이는 오히려 "1 : 탄소강"에 해당합니다. SAE는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의 약자로, 미국의 자동차 산업을 대표하는 단체입니다. SAE 규격은 자동차 부품 및 재료 등에 대한 표준 규격을 제공하며, 이 중에서도 철강 재료에 대한 규격이 있습니다. 따라서 SAE 규격은 미국 철강협회 규격이 아니라, 자동차 산업을 대표하는 단체인 SAE의 규격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플라스틱 가운데 투명도가 가장 높으며, 광학적 성질이 성질이 우수하여 항공기용 창문유리로 사용되는 재료는?

  1. 폴리염화비닐(PVC)
  2. 에폭시 수지(epoxy resin)
  3. 페놀 수지(phenolic resin)
  4. 폴리메타크릴산메틸 (polymethyl methacrylate)
(정답률: 62%)
  • 폴리메타크릴산메틸은 투명도가 높고 광학적 성질이 우수하여 빛을 잘 투과시키고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기용 창문유리로 사용됩니다. 반면, PVC는 투명도가 낮고, 에폭시 수지와 페놀 수지는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항공기용 창문유리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패브릭 (fabric)으로 둘러싸여 있는 강철 와이어(steel wire)가 고무 사이에 끼어 있는 구조로써 휠플랜지에 접촉하는 타이어의 끝단 부분은?

  1. 트레드 리브
  2. 비드
  3. 트레드 그루브
  4. 사이드 월
(정답률: 53%)
  • 타이어의 끝단 부분은 휠플랜지에 접촉하는 부분으로, 이 부분은 타이어가 바퀴에 장착될 때 고정되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패브릭으로 둘러싸여 있는 강철 와이어가 고무 사이에 끼어져 있어서 강력한 고정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부분을 비드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헬리콥터의 착륙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휠형 착륙장치는 자신의 동력으로 지상 활주시 가능하다.
  2. 스키드형의 착륙장치는 자신의 동력으로 지상 활주가 가능하다.
  3. 스키드형은 접개들이식 장치를 갖고 있어 이ㆍ착륙이 용이 하다.
  4. 휠형 착륙장치는 지상에서 취급이 어려운 대형 헬리콥터에 주로 사용된다.
(정답률: 51%)
  • 스키드형은 접개들이식 장치를 갖고 있어 이ㆍ착륙이 용이 하다. 이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스키드형 착륙장치는 접개들이식 장치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스키드형은 지면에 직접 착륙하는 방식으로, 접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헬리콥터의 꼬리부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핀(fin)
  2. 테일붐
  3. 연료 및 오일 탱크
  4. 파일론
(정답률: 74%)
  • 핀, 테일붐, 파일론은 모두 헬리콥터의 꼬리부분에 해당하는 구성요소입니다. 그러나 연료 및 오일 탱크는 헬리콥터의 몸통 부분에 위치하며, 엔진을 구동하기 위한 연료와 오일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연료 및 오일 탱크는 꼬리부분이 아닌 몸통 부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물체의 외력이 작용하면 내력이 발생하는데, 내력을 단위면적당의 크기로 표시한 것은?

  1. 응력
  2. 하중
  3. 변형
  4. 탄성
(정답률: 73%)
  • 내력은 물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힘이므로 크기를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외력이 작용하여 물체가 변형될 때, 이 변형에 대한 내부 저항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내력이라고 합니다. 이 내력은 물체의 단면적에 비례하는 크기를 가지므로, 단위면적당 내력의 크기를 응력이라고 정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응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금속재료의 열처리 목적이 아닌 것은?

  1. 충격저항 감소
  2. 기계적 성질 개선
  3. 재료의 가공성 개선
  4. 내마멸성 및 내식성 향상
(정답률: 54%)
  • 충격저항 감소는 열처리의 목적이 아닙니다. 오히려 열처리는 기계적 성질 개선, 재료의 가공성 개선, 내마멸성 및 내식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합니다. 충격저항은 재료의 내구성과 관련된 성질 중 하나이며, 열처리로 인해 충격저항이 감소할 수 있지만, 이는 의도된 결과가 아니며, 오히려 재료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두 겹 또는 그 이상의 보강재를 사용하여 서로 겹겹이 덧붙이는 형태로 각겹(ply)은 서로 다른 재질이고, 한 방향 혹은 두 방향 형태의 직물이 사용된 혼합 복합 소재의 구조 부재는?

  1. 탄소 섬유(carbon fiber)
  2. 선택적 배치(selective placement)
  3. 인터 플라이 혼합재(inter - ply hybrid)
  4. 인트라 플라이 혼합재(intra - ply hybrid)
(정답률: 62%)
  • 인터 플라이 혼합재는 서로 다른 재질의 직물을 겹겹이 덧붙여 만든 혼합재로, 각 겹마다 다른 방향으로 직물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강도와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선택적 배치 기술과 함께 사용되어 더욱 효율적인 구조 부재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겹(ply)이 서로 다른 재질이고, 한 방향 혹은 두 방향 형태의 직물이 사용된 혼합 복합 소재의 구조 부재는 인터 플라이 혼합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프리휠 클러치(freewheel clutch)라 고도 하며, 헬리콥터에서 기관 브레이크의 역할을 방지하기 위한 클러치는?

  1. 오버러닝 클러치(over running clutch)
  2. 원심 클러치(centrifugal clutch)
  3. 스파이더 클러치(spider clutch)
  4. 드라이브 클러치(drive clutch)
(정답률: 76%)
  • 프리휠 클러치는 회전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며, 역회전 시에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관 브레이크의 역할을 방지하기 위해 헬리콥터에서 사용되는 클러치는 역회전 시에도 회전을 허용하는 오버러닝 클러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세미 모노코크 (semi monocoque) 구조에서 벌크 헤드에 대한 설명은?

  1. 동체 앞뒤에 배치되어 동체가 비틀림 하중에 의한 변형을 막아주며, 동체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을 외피에 전달하여 분산시킨다.
  2. 날개 단면의 기본 모양을 유지하며 하중의 대부분을 담당한다.
  3. 알루미늄 합금판으로 항공기 동체의 외관을 덮고 있으며, 동체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비틀림 하중을 담당한다.
  4. 동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동체의 기본 모양을 형성하며, 동체에 작용하는 휨 모멘트와 축방향의 인장력과 압축력을 담당한다.
(정답률: 56%)
  • 세미 모노코크 구조에서 벌크 헤드는 동체 앞뒤에 배치되어 동체가 비틀림 하중에 의한 변형을 막아주며, 동체에 작용하는 집중하중을 외피에 전달하여 분산시킨다. 즉, 벌크 헤드는 동체의 구조적인 강도와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동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조종계통의 조종방식 중 기체에 가해지는 중력가속도나 기울기를 감지한 결과를 컴퓨터로 계산하여 조종사의 감지 능력을 보충하도록 하는 방식의 조종장치는?

  1. 수동 조종장치(manual control)
  2. 유압 조종장치(hydraulic control)
  3. 플라이 바이 와이어(fly - by - wire)
  4. 동력 조종장치(powered control)
(정답률: 78%)
  • 플라이 바이 와이어는 조종사가 조종 장치를 조작하면 그 신호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컴퓨터가 이를 해석하고 기체의 상태를 감지하여 적절한 제어 신호를 보내어 기체를 조종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조종사의 감지 능력을 보충하고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항공기 도면에서 다음의 표시는 어떤 공차의 종류인가?

  1. 경사공차
  2. 위치공차
  3. 자세공차
  4. 끼움공차
(정답률: 49%)
  • 위 그림에서 표시된 것은 각각의 부품이 어느 위치에 있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위치공차와는 다르게, 부품의 자세나 방향에 대한 공차를 나타내는 자세공차입니다. 자세공차는 부품의 회전, 기울기, 평행 등과 같은 자세적인 요소를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부품의 회전에 대한 공차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세공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한쪽 끝은 힌지 지지점이고, 다른쪽은 롤러 지지점인 보는?

  1. 단순보
  2. 외팔보
  3. 고정보
  4. 고정지지보
(정답률: 43%)
  • 한쪽 끝이 힌지 지지점이고, 다른쪽이 롤러 지지점인 보는 단순한 형태의 보이기 때문에 "단순보"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는 고정 지지점이나 외팔보와 같은 특이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항공기 구조부재 중 지름이 10cm, 길이가 250cm인 원형기둥의 세장비는?

  1. 50
  2. 75
  3. 100
  4. 125
(정답률: 49%)
  • 원형기둥의 부피는 πr²h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반지름이 5cm(지름이 10cm이므로)이고 높이가 250cm인 원형기둥의 부피는 3.14 x 5² x 250 = 19,625cm³입니다. 세장비는 부피의 0.5%를 의미하므로 19,625 x 0.005 = 98.125cm³입니다. 이 값을 가장 가까운 보기로 반올림하면 10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