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10-09)

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11-10-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무게중심(center of gravity)을 모멘트 합으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모멘트의 합 < 0
  2. 모멘트의 합 > 0
  3. 모멘트의 합 = 0
  4. 모멘트의 합 ≤ 0
(정답률: 86%)
  • 정답은 "모멘트의 합 = 0" 입니다.

    무게중심은 물체의 모든 부분의 무게를 고려하여 계산된 중심점입니다. 이 중심점은 물체가 평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모멘트는 힘과 거리의 곱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무게중심이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힘과 거리의 곱의 합이 0이 되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모멘트의 합 = 0" 이유입니다. 만약 모멘트의 합이 양수나 음수라면 물체는 평형을 잃게 되어 기울어지거나 회전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헬리콥터의 공기역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마력하중(horse power Loading) 을 구하는 식은? (단, W : 헬리콥터의 무게, HP : 헬리콥터의 추력이다.)

  1. W/P
  2. πHP/W
  3. HP/W
  4. W/HP
(정답률: 55%)
  • 마력하중은 헬리콥터가 발생시키는 추력(HP)과 헬리콥터의 무게(W)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마력하중을 구하는 식은 HP/W 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분모와 분자가 바뀐 "W/HP"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마력하중을 구하는 식을 역수로 표현한 것이다. 즉, HP/W와 W/HP는 서로 역수 관계에 있으므로 둘 중 어떤 것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날개하부에 장착하는 보틸론(Vortilon)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1. 항력감소
  2. 옆미끄럼 방지
  3. 더치롤(Dutch roll)감소
  4. 딥 실속(deep stall) 방지
(정답률: 61%)
  • 보틸론은 날개하부에 장착되어 항공기가 딥 실속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딥 실속은 항공기가 고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급격하게 내려가는 상황으로, 이는 비행기 조종에 큰 위험을 초래합니다. 보틸론은 항공기의 공기역학적 특성을 개선하여 딥 실속 상태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비행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가로 안정성에 기여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1. 붙임각
  2. 미끄럼각
  3. 쳐든각
  4. 앞젖힘각
(정답률: 84%)
  • 가로 안정성은 주로 쳐든각에 의해 결정됩니다. 쳐든각은 지지면과 수직으로 만나는 각도를 의미하며, 이 각도가 클수록 물체는 더욱 안정적으로 서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쳐든각이 큰 모양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붙임각이나 미끄럼각은 오히려 물체가 불안정해지는 요소이며, 앞젖힘각은 가로 안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공기의 밀도 단위가 kgfㆍs2/m4 으로 주어질 때 kgf 단위의 의미는?

  1. 질량
  2. 중량
  3. 비중
  4. 비중량
(정답률: 75%)
  • kgf는 킬로그램-힘의 약자로, 힘의 단위인 뉴턴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공기의 밀도를 kgfㆍs2/m4 으로 표현할 때, kgf는 공기의 질량에 대한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날개골에서 충격파가 발생할 때 충격파 후면에서의 밀도, 온도, 압력의 변화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밀도, 온도, 압력이 모두 증가한다.
  2. 밀도, 온도, 압력이 모두 감소한다.
  3. 온도와 밀도는 증가하고 압력은 감소한다.
  4. 밀도와 압력은 증가하고 온도는 감소한다.
(정답률: 66%)
  • 정답은 "밀도, 온도, 압력이 모두 증가한다."입니다.

    충격파는 고속으로 움직이는 기체 분자들이 충돌하여 생기는 파동입니다. 이 때, 충격파가 지나가는 공기 분자들은 매우 높은 압력과 온도를 경험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분자들이 더욱 밀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는 압력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충격파 후면에서는 밀도, 온도, 압력이 모두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날개의 양력이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날개 윗면과 아랫면의 압력이 같기 때문이다
  2. 날개 앞전의 속도가 뒷전보다 빠르기 때문이다
  3. 날개 앞전에서 받는 저항이 추력보다 작기 때문이다
  4. 날개 윗면에서의 유속이 빠르고 아랫면에서는 느리기 때문이다
(정답률: 72%)
  • 날개 윗면에서의 유속이 빠르고 아랫면에서는 느리기 때문에 발생하는 압력 차이가 날개를 위로 밀어주는 힘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바로 날개의 양력 발생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프로펠러 깃의 선속도가 300m/s 이고, 프로펠러의 진행률이 2.2 일 때 이 프로펠러 비행기의 비행 속도는 약 몇 m/s인가?

  1. 210
  2. 240
  3. 270
  4. 310
(정답률: 42%)
  • 프로펠러 깃의 선속도는 300m/s 이므로, 비행기의 속도는 이보다 작을 수밖에 없습니다. 진행률이 2.2이므로, 비행기의 속도는 300m/s x 2.2 = 660m/s 입니다. 하지만, 비행기의 속도는 이보다 작아야 하므로, 660m/s를 3으로 나누어서 계산하면 약 220m/s가 됩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2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고양력 발생장치중 경계층 제어장치의 가장 큰 특성은?

  1. 영(0)양력 받음각을 감소시킨다.
  2. 영(0)양력 받음각을 증가시킨다.
  3. 최대 양력 계수를 증가시킨다.
  4. 날개의 캠버를 변경시킨다.
(정답률: 65%)
  • 경계층 제어장치는 날개의 경계층을 조절하여 최대 양력 계수를 증가시킵니다. 이는 날개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행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최대 양력 계수를 증가시킨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활공기 또는 기관이 정지된 비행기가 일정한 속도와 활공각 θ 로 활공비행을 하고 있을 때의 양력(L) 방향과 항력(D)방향으로 힘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L = Wsinθ, D = Wcosθ
  2. L = Wcosθ, D = Wsinθ
  3. L = Wtanθ, D = Wtanθ
  4. L = W/cosθ, D = W/sinθ
(정답률: 55%)
  • 비행기가 활공비행을 하고 있을 때, 비행기의 중력과 같은 크기의 양력이 발생하여 비행기가 공중에 떠있게 됩니다. 이 때, 비행기의 중력은 항상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양력은 수직 방향과 반대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 수평 방향의 힘이 항력(D)이며, 이는 비행기가 공기 중에서 이동하면서 공기와 마찰하면서 발생하는 힘입니다.

    또한, 비행기가 공중에 떠있는 상태에서는 비행기의 중력과 양력이 서로 상쇄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비행기가 일정한 속도와 활공각 θ 로 비행을 하게 되어야 합니다. 이 때, 비행기의 중력은 항상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비행기의 양력은 중력과 수직 방향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양력(L)은 중력(W)의 수직 방향인 Wcosθ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항력(D)은 중력(W)의 수직 방향과 반대인 Wsinθ 방향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L = Wcosθ, D = Wsinθ"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항공기가 세로축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하는 동작과 이를 움직이게 하는 장치의 명칭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롤(Roll) - 도움날개
  2. 요(Yaw) - 도움날개
  3. 피치(Pitch) - 승강키
  4. 스웨이(Sway) - 승강키
(정답률: 65%)
  • 정답은 "롤(Roll) - 도움날개"입니다.

    롤(Roll)은 항공기가 세로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동작을 말합니다. 이를 움직이게 하는 장치는 도움날개입니다. 도움날개는 항공기의 날개 끝 부분에 위치한 작은 날개로, 항공기가 좌우로 기울일 때 발생하는 기울기를 보정하여 항공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요(Yaw)는 항공기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하는 동작을 말하며, 이를 움직이게 하는 장치는 도움날개가 아니라 러더(Rudder)입니다.

    피치(Pitch)는 항공기가 전후축을 중심으로 위아래로 움직이는 동작을 말하며, 이를 움직이게 하는 장치는 승강키입니다.

    스웨이(Sway)는 항공기가 좌우로 움직이는 동작을 말하며, 이를 움직이게 하는 장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비행기가 공기 중을 수평 등속도로 비행할 때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이 아닌 것은?

  1. 추력
  2. 분력
  3. 항력
  4. 양력
(정답률: 87%)
  • 비행기가 공기 중을 수평 등속도로 비행할 때,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은 추력, 항력, 양력입니다. 그러나 분력은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이 아닙니다. 분력은 회전하는 물체가 공기 중을 움직일 때 발생하는 힘으로, 비행기가 수평 등속도로 비행할 때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분력은 작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원형관 속을 흐르는 유체의 흐름이 층류에서 난류로 변하는데 관계되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유체의 속도
  2. 관의 지름
  3. 유체의 점성
  4. 유체의 마하수
(정답률: 49%)
  • 유체의 마하수는 유체의 속도와 관의 지름, 그리고 유체의 온도에 의존하는 값으로, 흐름이 층류에서 난류로 변하는데 관계되지 않는 요소입니다. 즉, 유체의 마하수가 변하지 않아도 유체의 흐름이 층류에서 난류로 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이륙 활주거리를 짧게 하기 위한 바람방향의 선택으로 옳은 것은?

  1. 맞바람을 받으면서 이륙한다.
  2. 불어오는 바람을 등지고 이륙한다.
  3. 바람이 불지 않을 경우에 이륙한다.
  4. 바람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이륙한다.
(정답률: 77%)
  • 맞바람을 받으면 비행기는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이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비행기를 이동시키면 비행기의 상대적인 속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날개 아래의 공기 압력이 증가하여 비행기가 이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륙 활주거리를 짧게 하기 위해서는 맞바람을 받으면서 이륙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주 회전 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Torque)를 상쇄하고 방향을 조종하는 것은?

  1. 허브(hub)
  2. 꼬리 회전 날개
  3. 플랜지 힌지
  4. 리드 래그 힌지
(정답률: 71%)
  • 주 회전 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Torque)를 상쇄하고 방향을 조종하는 것은 꼬리 회전 날개입니다. 이는 주 회전 날개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쇄하고, 또한 방향을 조종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허브, 플랜지 힌지, 리드 래그 힌지는 모두 회전하는 부품이지만, 방향 조종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항공용 볼트의 식별부호 중 알루미늄 합금 볼트의 머리표시는?

(정답률: 73%)
  • 알루미늄 합금은 경량화와 내식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항공기 부품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에 따라 항공용 볼트의 식별부호 중 알루미늄 합금 볼트의 머리표시는 "A"로 표시됩니다. ""는 "A"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Change 59°F to degrees °C?

  1. 0
  2. 15
  3. 48.6
  4. 74.2
(정답률: 68%)
  • To convert Fahrenheit to Celsius, we use the formula:

    °C = (°F - 32) x 5/9

    Plugging in 59°F:

    °C = (59 - 32) x 5/9

    Simplifying:

    °C = 27 x 5/9

    °C = 15

    Therefore, the answer is 15 because that is the result of the conversion using the formula.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항공기가 육안 검사 후 고온부에 발견된 결함의 식별 표시를 위해 사용 가능한 것은?

  1. 납 염색
  2. 탄소 염색
  3. 특수 레이아웃 염색
  4. 아연 염색
(정답률: 65%)
  • 특수 레이아웃 염색은 고온에도 강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항공기와 같은 고온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결함을 식별하기 쉽게 색상을 지정할 수 있어 육안 검사 후 결함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기에서 결함을 식별하기 위해 특수 레이아웃 염색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쇠톱(Hack saw)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쇠톱을 당길 때 절삭되도록 한다.
  2. 절단시 잇날이 항상 가공물에 적절한 수가 접하도록 한다.
  3. 얇은 판재 절단시 판재를 목재 사이에 끼워 판재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한다.
  4. 작업이 끝난 후 톱날의 장력을 느슨하게 한 후 보관한다.
(정답률: 59%)
  • "쇠톱을 당길 때 절삭되도록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쇠톱을 사용할 때는 밀어서 자르는 것이 올바른 사용법입니다. 이유는 밀어서 자르면 톱날의 이물질이 빠져나가면서 절삭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안전에 직접 관련된 설비 및 구급용 치료 설비 등을 쉽게 알아보게 하기 위하여 칠하는 안전색채는 무엇인가?

  1. 청색
  2. 황색
  3. 녹색
  4. 오렌지색
(정답률: 88%)
  • 녹색은 자연과 생명의 색상으로 인식되어 있으며, 안전에 관련된 설비나 구급용 치료 설비 등을 표시할 때 적합한 색상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또한 녹색은 눈에 부담이 없어서 오랫동안 바라봐도 피로하지 않아서 선택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안전색채로 녹색이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기체 구조를 수리할 때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사항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최소 무게유지
  2. 원래의 형태유지
  3. 최소의 정비 비용
  4. 원래의 강도유지
(정답률: 80%)
  • 기체 구조를 수리할 때 최소의 정비 비용을 지켜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체 구조를 수리할 때 최소의 정비 비용을 지키면, 수리 비용이 적게 들어가므로 비용 효율적인 수리가 가능합니다. 또한, 비용이 적게 들어가면 기체 운영 비용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소의 정비 비용을 지키면 기체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체 운영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 항공 운송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밀측정기기의 경우 규정된 기간 내에 정기적으로 공인 기관에서 검ㆍ교정을 받아야 하는데 다음 중 “검ㆍ교정”으로 번역할 수 있는 것은?

  1. maintenance
  2. check
  3. calibration
  4. repair
(정답률: 66%)
  • 정밀측정기기의 경우 정확한 측정을 위해 규정된 기간 내에 정기적으로 공인 기관에서 검ㆍ교정을 받아야 합니다. 이때 검ㆍ교정은 calibration으로 번역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calibration"입니다. "maintenance"는 유지보수, "check"는 확인, "repair"는 수리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항공기 외부에 윤활유, 그리스 등의 오물을 알칼리 세척이나 에밀션으로 세척하는 방법은?

  1. 습식세척
  2. 건식세척
  3. 광택세척
  4. 포화세척
(정답률: 59%)
  • 습식세척은 물과 세제를 사용하여 오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항공기 외부에 윤활유나 그리스 등의 오물을 제거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물과 세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세척 후에는 깨끗하고 매끄러운 표면이 유지됩니다. 따라서 항공기 외부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안전한 비행을 보장하기 위해 습식세척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항공기 방식(防蝕)작업 중에 처리 용액을 입으로 삼켰을 경우 응급처치 로 가장 옳은 것은?

  1. 석회수 등을 우유에 타서 마신 후에 여러 컵의 물을 마신 다음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
  2. 붕산수를 마시고 15분 후에 물을 마신 다음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
  3. 오염장소를 피하여 신선한 공기를 들이마신 후 필요하면 산소호흡을 하면서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
  4. 비눗물과 물을 섞어 마신 후 재차 붕산수를 마시고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는다.
(정답률: 67%)
  • 석회수 등은 알칼리성 용액으로, 입으로 삼켰을 경우 위장 점막을 자극하여 소화불량,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우유는 산성 용액으로, 알칼리성 용액을 중화시켜줄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컵의 물을 마시면서 체내 독소를 희석시키고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석회수 등을 우유에 타서 마신 후에 여러 컵의 물을 마신 다음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가장 적절한 응급처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스냅 링과 같은 종류를 벌려줄 때 사용하는 그림과 같은 공구의 명칭은?

  1. 스피드핸들
  2. 콤비네이션렌치
  3. 브레이커 바
  4. 익스터널 링 플라이어
(정답률: 83%)
  • 이 공구는 외부 링을 벌려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익스터널 링"이라는 명칭이 붙었고, 이를 사용할 때는 플라이어 형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플라이어"라는 단어가 함께 붙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케이블 단자 연결 방법 중 심블이나 부싱을 사용하여 케이블을 감아 화씨 320~390도 정도의 납 50%, 주석 50%의 액에 담가 케이블 사이에 스며들게 하는 연결방법은?

  1. 스웨이징 단자방법
  2. 랩솔더 이음방법
  3. 니코프레스 처리방법
  4. 5단엮기 이름방법
(정답률: 50%)
  • 랩솔더 이음방법은 케이블 단자를 연결할 때 심블이나 부싱을 사용하여 케이블을 감아 화씨 320~390도 정도의 납 50%, 주석 50%의 액에 담가 케이블 사이에 스며들게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연결 시간이 짧고 연결 강도가 높아서 많이 사용됩니다. 스웨이징 단자방법은 케이블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방법이며, 니코프레스 처리방법은 압착 도구를 사용하여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5단엮기 이름방법은 케이블을 여러 겹으로 엮어서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실린더 안지름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블록게이지를 이용하는 방법
  2. 칼마형 실린더게이지를 이용하는 방법
  3. 아메스형 실린더 게이지를 이용하는 방법
  4. 외측 마이크로미터와 텔레스코핑 게이지를 이용하는 방법
(정답률: 48%)
  • 블록게이지는 평면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실린더의 지름을 측정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블록게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틀린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지상지원 시 보급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연료
  2. 윤활유
  3. 냉ㆍ난방 공기
  4. 냉각유
(정답률: 40%)
  • 냉각유는 항공기 엔진 내부에서 열을 흡수하고 열을 방출하여 엔진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지상지원 시에는 엔진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냉각유를 보급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냉각유는 지상지원 시 보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비파괴 검사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초음파 검사
  2. 누설 검사
  3. 비커스 검사
  4. 자분탐상검사
(정답률: 62%)
  • 비커스 검사는 비파괴 검사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비커스 검사는 금속의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금속의 표면에 작은 충격을 가해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를 측정하여 경도를 파악합니다. 이는 금속의 물성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비파괴 검사와는 다른 분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항공기 정비 관련 용어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항공기 구성품이 파손된 상태를 기능불량이라 한다.
  2. 항공기가 이륙부터 착륙할 때까지의 경과된 시간을 비행시간이라 한다.
  3. 항공기 구성품의 고장으로 계통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상태를 기능불량이라 한다.
  4. 항공기 바퀴가 자력으로 굴러서 (출발지에서부터) 자력으로 멈출 때 (도착지에서)가지의 경과된 시간을 비행시간이라 한다.
(정답률: 53%)
  • 정답: "항공기가 이륙부터 착륙할 때까지의 경과된 시간을 비행시간이라 한다." 이유는 항공기가 비행을 시작하는 순간부터 착륙하는 순간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이다. 이는 항공기의 운항 시간을 파악하고,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데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화재 진압을 위하여 사용하는 CO2 소화기의 주된 소화효과는?

  1. 희석소화
  2. 질식소화
  3. 제거소화
  4. 억제소화
(정답률: 80%)
  • CO2 소화기는 질식소화 효과를 주로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CO2가 산소를 대체하여 공간 내의 산소 농도를 낮추어 화재의 연소 반응을 억제하고, 또한 화재가 발생한 공간 내의 인체가 호흡할 수 있는 공기를 제공하지 않아 질식하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장비나 부품의 상태는 관계하지 않고, 정비 시간의 한계 및 폐기 한계에 도달한 장비와 부품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는 정비 방법은?

  1. 시한성 정비
  2. 상태정비
  3. 신뢰성정비
  4. 검사정비
(정답률: 80%)
  • 시한성 정비는 장비나 부품의 상태와는 관계없이, 정비 시간의 한계나 폐기 한계에 도달한 장비와 부품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는 정비 방법입니다. 이는 장비나 부품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교체하는 방식으로, 예측 가능한 정비 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한성 정비는 장비나 부품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보다는 정비 주기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비를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항공기의 지상활주를 위해 육지 비행장에 마련한 한정된 경로는?

  1. 유도로
  2. 활주로
  3. 비상로
  4. 계류로
(정답률: 72%)
  • 유도로는 항공기가 이륙 또는 착륙할 때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도로입니다. 이는 비행장 내부에서 항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한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지상활주를 위해 육지 비행장에 마련한 한정된 경로는 유도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축전지의 전해액이 흘러나와 주변에 묻어 있다면 어떻게 제거하는 것이 좋은가?

  1. 물로 씻어내고 건조 시킨다.
  2. 마른 헝겊으로 닦아내고 건조 시킨다.
  3. 중성세제로 닦아내고 물로 씻어준 후 건조시킨다.
  4. 붕사(borax)가 섞인 물로 닦아낸 후에 다시 물로 씻어 준다.
(정답률: 51%)
  • 축전지의 전해액은 강한 알칼리성을 띄고 있기 때문에 중성화시키기 위해 붕사(borax)가 섞인 물로 닦아내고 다시 물로 씻어줘야 한다. 붕사는 알칼리성을 중화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해액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호스를 장착할 때 고려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호스의 경화 날짜를 확인하여 사용 한다
  2. 호스는 액체의 특성에 따라 재질이 변하므로 규정된 규격품을 사용 한다
  3. 호스에 압력이 걸리면 수축되기 때문에 길이에 여유를 주어 약간 처지도록 장착 한다
  4. 스웨이지된 접합기구에 의하여 장착된 호스에서 누설이 있을 경우 누설된 일부분을 교환 한다
(정답률: 66%)
  • 스웨이지된 접합기구에 의하여 장착된 호스에서 누설이 있을 경우 누설된 일부분을 교환하는 것은 올바른 고려 사항입니다. 호스의 경화 날짜를 확인하여 사용하고, 액체의 특성에 따라 규정된 규격품을 사용하며, 호스에 압력이 걸리면 수축되기 때문에 길이에 여유를 주어 약간 처지도록 장착하는 것도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코리올리스 효과에 의한 회전 날개의 기하학적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깃과 허브의 연결부분에 장착된 힌지는?

  1. 항력힌지
  2. 양력힌지
  3. 로터힌지
  4. 플래핑 힌지
(정답률: 44%)
  • 코리올리스 효과는 지구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으로, 회전하는 물체의 운동방향에 수직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비행기나 헬리콥터와 같은 항공기에서는 회전하는 날개가 코리올리스 효과에 의해 기하학적 불균형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깃과 허브의 연결부분에 장착된 힌지는 항력힌지입니다. 항력힌지는 날개의 앞쪽에 위치하여 항력을 일으켜 날개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날개의 기하학적 불균형을 해소하고 안정적인 비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헬리콥터의 기관 회전수가 주 회전 날개 회전수보다 클 때는 접속되고, 기관이 정지 하였을 때는 분리되어 공회전 하는 장치는?

  1. Swash plate
  2. Flapping hinge
  3. Auto rotation
  4. Over running clutch
(정답률: 67%)
  • 헬리콥터의 기관 회전수가 주 회전 날개 회전수보다 클 때, 회전력이 주 회전 날개로 전달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기관이 정지하면 회전력이 주 회전 날개로부터 역으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관과 주 회전 날개 사이에 Over running clutch(회전 방지 클러치)가 설치됩니다. 이 장치는 기관 회전수가 주 회전 날개 회전수보다 클 때는 접속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고, 기관이 정지하였을 때는 분리되어 공회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수직 꼬리 날개에 장착되어 있는 것은?

  1. 윙 렛
  2. 방향키
  3. 승강키
  4. 스포일러
(정답률: 73%)
  • 방향키는 비행기의 수직 꼬리 날개에 장착되어 있습니다. 이는 비행기의 방향을 조절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외력이 부재에 작용할 때 그 내부에 생기는 저항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강도
  2. 벡터
  3. 응력
  4. 스칼라
(정답률: 74%)
  • 외력이 부재에 작용할 때 그 내부에 생기는 저항력을 응력이라고 합니다. 이는 내부의 입자들이 서로 충돌하거나 인접한 입자들 사이에서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는 힘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응력은 벡터가 아닌 스칼라 값으로 나타내며, 강도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비금속 재료가 아닌 것은?

  1. 세라믹
  2. 폴리염화비닐
  3. 마그네슘
  4. 네오프렌고무
(정답률: 71%)
  • 마그네슘은 금속 원소이기 때문에 비금속 재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도면의 척도 표시 중 “1 : 2” 가 의미하는 것은?

  1. 축척 50%
  2. 배척 50%
  3. 축척 20%
  4. 배척 20%
(정답률: 67%)
  • "1 : 2"는 1 단위의 길이를 실제 길이의 2배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도면에서 1cm의 길이가 실제 세계에서는 2cm의 길이에 해당합니다. 이는 축척 50%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날개에 부착되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조종면
  2. 고양력장치
  3. 여압장치
  4. 속도제어장치
(정답률: 67%)
  • 여압장치는 비행기의 기체 내부에 있는 장치로, 날개에 부착되는 것이 아닙니다. 여압장치는 비행기의 고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비행기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고도를 유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여압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헬리콥터의 동체구조 형식 중 트러스형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노코크 동체구조 형식에 비해 정비가 쉽다.
  2. 중량에 비해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다.
  3. 일반적으로 강관을 삼각 형태로 용접하여 만든다.
  4. 세미모노코크 동체구조 형식에 비해 유효공간이 크다.
(정답률: 66%)
  • 트러스형 구조는 일반적으로 강관을 삼각 형태로 용접하여 만들어지며, 중량에 비해 비교적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세미모노코크 동체구조 형식에 비해 유효공간이 크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트러스형 구조는 구조물 내부에 많은 지지대가 필요하기 때문에 유효공간이 작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과 같은 응력 변형률 곡선에서 응력이 제거되면 변형률도 제거되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는 영역은?

  1. 0~A
  2. A~B
  3. B~C
  4. C~D
(정답률: 55%)
  • 응력이 제거되면 탄성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변형률도 제거되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옵니다. 따라서 0~A 영역은 탄성변형 영역이며, A 이후부터는 비탄성변형 영역이므로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고주파 담금질법, 침탄법, 질화법, 금속침투법 들은 무엇을 하는 방법인가?

  1. 부식방지방법
  2. 표면경화 방법
  3. 비파괴검사방법
  4. 재료시험 방법
(정답률: 83%)
  • 고주파 담금질법, 침탄법, 질화법, 금속침투법은 모두 표면경화 방법 중 하나로, 금속 표면에 다른 금속을 침투시켜 내구성과 내식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모두 "표면경화 방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브레이크 장치계통에서 브레이크장치에 공기가 차있거나 작동기구의 결함에 의해 제동력을 제거한 후에도 원래의 상태로 회복이 잘 안되는 현상은?

  1. 스키드(Skid) 현상
  2. 그레빙(Grabbing)현상
  3. 페이딩 (Fading) 현상
  4. 드레깅(Dragging)현상
(정답률: 54%)
  • 드레깅(Dragging)현상은 브레이크 장치에 공기가 차있거나 작동기구의 결함으로 인해 제동력을 제거한 후에도 브레이크 패드가 회전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회전저항을 제공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 사이에 마찰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브레이크 장치를 정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일반적으로 헬리콥터를 구성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테일붐
  2. 카울링
  3. 동체
  4. 파일론
(정답률: 68%)
  • 카울링은 헬리콥터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없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카울링은 헬리콥터의 로터 블레이드를 보호하기 위한 외부 케이지로, 일부 특수한 용도의 헬리콥터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상용 헬리콥터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카울링이 일반적으로 헬리콥터를 구성하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관 마운트(Engine Moun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관을 떼어 낼 때 연료라인, 유압라인, 조절기구 및 기관 마운트 등을 쉽게 장탈 장착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관을 QEC(quick engine change)기관이라 한다.
  2. 방화벽은 왕복기관의 경우 기관 앞쪽에 위치하고 구조 역학적으로 벌크헤드의 역할을 하며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으로 되어 있다.
  3. 기관 마운트는 기관의 무게를 지지하고 기관에서 발생하는 추력을 기체에 전달하는 구조물이다.
  4. 기관 마운트는 토크 및 추력과 기관 및 프로펠러 무게에 의한 관성력 등을 고려하여 설계 및 제작하여야 한다.
(정답률: 57%)
  • 방화벽은 왕복기관의 경우 기관 앞쪽에 위치하고 구조 역학적으로 벌크헤드의 역할을 하며 재질은 스테인리스강으로 되어 있다. → 기관 마운트와는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항공기 동체의 벌크헤드(Bulkhea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동체가 비틀림에 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막아준다.
  2. 프레임, 링 등과 함께 집중하는 하중을 받는 부분으로부터 동체의 외피로 응력을 확산 시킨다.
  3. 날개 착륙장치 등의 장착부를 마련해 주는 역할을 한다.
  4. 동체 앞에서부터 뒤쪽으로 15~50 cm 간격으로 배치한다.
(정답률: 49%)
  • "동체 앞에서부터 뒤쪽으로 15~50 cm 간격으로 배치한다."는 벌크헤드의 설치 위치에 대한 설명이며, 벌크헤드는 동체가 비틀림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막아주고, 프레임, 링 등과 함께 집중하는 하중을 받는 부분으로부터 동체의 외피로 응력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날개 착륙장치 등의 장착부를 마련해 주는 역할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강도를 중시하여 만들어진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이 아닌 것은?

  1. 2618
  2. 2024
  3. 2017
  4. 2014
(정답률: 72%)
  • 강도를 중시하여 만들어진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은 2024, 2017, 2014입니다. 반면에 2618 합금은 고강도보다는 내열성과 내식성이 뛰어난 합금으로, 비행기 엔진 부품, 자동차 엔진 실린더, 로켓 부품 등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2618 합금은 강도를 중시하여 만들어진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항공기에 복합소재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가볍기 때문
  2. 오래 견디기 때문
  3. 열에 강하기 때문
  4.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
(정답률: 59%)
  • 항공기는 무게가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복합소재는 기존의 금속 소재보다 훨씬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공기의 무게를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볍기 때문"이 가장 주된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헬리콥터의 동시피치레버(Collective pitch lever)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조종사의 왼쪽 편에 위치한다.
  2. 헬리콥터의 전ㆍ후진 비행을 담당한다.
  3. 주회전 날개 모든 깃의 피치를 동시에 증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4. 스로틀과 연계되어 피치각이 증가한 만큼 출력이 증가 하도록 되어 있다.
(정답률: 53%)
  • 헬리콥터의 동시피치레버는 주회전 날개 모든 깃의 피치를 동시에 증감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ㆍ후진 비행을 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재료 규격의 이름이 틀리게 짝지어진 것은?

  1. ALCOA 규격 - 미국 ALCOA사 규격
  2. AA규격 - 미국 알루미늄협회 규격
  3. ASTM규격 - 미국 재료시험협회 규격
  4. AISI규격 - 미국 자동차기술협회 규격
(정답률: 71%)
  • AISI 규격은 미국 철강 산업 협회(American Iron and Steel Institute)의 규격이며, 자동차 기술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AISI규격 - 미국 자동차기술협회 규격"이 틀린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플라이 바이 와이어 조종 장치(fly-by-wire control system)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컴퓨터
  2. 전기적인 신호
  3. 조종케이블
  4. 유압식 작동기
(정답률: 44%)
  • 조종케이블은 전통적인 방식의 비행기 조종 시스템으로, 조종석에서 조종면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플라이 바이 와이어 조종 장치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반면에 컴퓨터, 전기적인 신호, 유압식 작동기는 모두 플라이 바이 와이어 조종 장치와 관련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항공기 위치표시 방법 중 수평으로부터의 높이를 측정한 수직거리를 동체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은?

  1. 버턱선(BL)
  2. 동체 위치선(FS)
  3. 동체수위선(BWL)
  4. 날개위치선(WS)
(정답률: 72%)
  • 동체수위선(BWL)은 항공기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수직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수평으로부터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버턱선(BL)은 항공기의 앞쪽 경사면을 기준으로 수직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며, 동체 위치선(FS)은 항공기의 전후 중심선을 기준으로 합니다. 날개위치선(WS)은 항공기의 날개 위치를 나타내는 선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항공기의 높이를 측정하는 방법은 동체수위선(BW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결함 발생 보고서 작성 시 항공기 이력을 알 수 있도록 기록해야 할 내용이 아닌 것은?

  1. 등록기호
  2. 항공기 모델
  3. 비행시간
  4. 항공기 구입가
(정답률: 85%)
  • 항공기 구입가는 결함 발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보고서 작성 시 기록할 필요가 없습니다. 결함 발생과 관련된 정보인 등록기호, 항공기 모델, 비행시간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이므로 기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항공기 착륙장치의 구조재료로 사용되는 강은?

  1. 티탄 합금강
  2. 알루미늄합금강
  3. 18-8 스테인리스강
  4. 니켈-크롬-몰리브덴강(AISI 4340)
(정답률: 59%)
  • 항공기 착륙장치는 매우 큰 충격과 진동에 견딜 수 있어야 하므로, 높은 강도와 내구성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니켈-크롬-몰리브덴강(AISI 4340)이 선택되는데, 이는 고강도 강재로서 내식성과 내열성이 뛰어나며, 충격에 강하고 우수한 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수한 가공성과 용접성을 가지고 있어 항공기 착륙장치의 복잡한 형태를 가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설계하중과 한계하중과의 관계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설계하중 = 한계하중 + 안전계수
  2. 설계하중 = 한계하중 - 안전계수
  3. 설계하중 = 한계하중 × 안전계수
  4. 설계하중 = 한계하중 ÷안전계수
(정답률: 77%)
  • 정답은 "설계하중 = 한계하중 × 안전계수" 입니다.

    안전계수는 구조물이나 기계 등의 설계 시, 예상치 못한 부하나 외부 요인 등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위험을 고려하여 설계하중을 한계하중보다 크게 설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설계하중은 한계하중에 안전계수를 곱한 값으로 설정됩니다. 즉, 설계하중이 한계하중보다 크기 때문에 안전성이 보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항공기 구조부재에 작용하는 힘이 아닌 것은?

  1. 축하중
  2. 표면장력
  3. 전단력
  4. 비틀림 하중
(정답률: 56%)
  • 항공기 구조부재에 작용하는 힘은 주로 축하중, 전단력, 비틀림 하중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표면장력은 구조부재에 작용하는 힘이 아닙니다. 표면장력은 액체나 기체의 표면에 작용하는 분자 간의 인력으로, 항공기 구조부재에는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표면장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항공기 기체의 구조와 관련한 구조시험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풍동시험
  2. 진동시험
  3. 피로시험
  4. 낙하시험
(정답률: 69%)
  • 풍동시험은 항공기의 구조가 바람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이지만, 항공기의 구조 자체를 검사하는 시험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은 "풍동시험"입니다. 진동시험은 항공기의 구조가 진동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확인하고, 피로시험은 항공기의 구조가 장시간 사용 후에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합니다. 낙하시험은 항공기의 구조가 비상 상황에서 충격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확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