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1-26)

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14-01-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날개의 양력은 받음각이 커지면서 함께 증가하는데 이렇게 증가를 하다가 급격히 감소하게 되는 받음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항각
  2. 실속각
  3. 쳐든각
  4. 영각
(정답률: 86%)
  • 실속각은 날개의 양력이 받음각이 커지면서 함께 증가하다가 급격히 감소하는 각도를 말합니다. 이는 날개가 공기를 받아들이는 각도가 일정 수준 이상 커지면 공기가 날개를 벗어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실속각은 비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현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프로펠러 비행기에서 제동이력(BHP)이 300HP 이고 프로펠러의 효율이 0.8 이면 이용마력은 몇 HP 인가?

  1. 120
  2. 240
  3. 360
  4. 480
(정답률: 86%)
  • 이용마력 = 제동이력 × 효율
    이용마력 = 300HP × 0.8
    이용마력 = 240HP
    따라서 정답은 "2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헬리콥터의 조종에서 회전날개의 피치를 동시에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조작하는 장치는?

  1. 페달
  2. 주기적피치제어간
  3. 리드래그힌지
  4. 동시피치제어간
(정답률: 84%)
  • 헬리콥터의 회전날개는 피치를 조절하여 상승, 하강, 전진, 후진 등의 운동을 수행합니다. 이때, 회전날개의 피치를 동시에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은 동시피치제어간입니다. 이 장치를 사용하면 헬리콥터의 운동을 더욱 정확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720km/h 의 속도로 고도 10km 상공을 비행하는 비행기의 속도측정 피토관 입구에 작용하는 동압은 몇 kg/mㆍs2 인가? (단, 고도 10km 에서 공기dml 밀도는 0.5kg/m3 이다.)

  1. 10000
  2. 20000
  3. 40000
  4. 72000
(정답률: 53%)
  • 속도측정 피토관은 비행기가 비행할 때 공기를 받아들이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에서는 공기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동압을 측정합니다. 이때, 속도가 빠를수록 동압이 낮아지는데, 이는 베르누이 원리에 의한 것입니다.

    속도측정 피토관 입구에서 작용하는 동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동압 = 0.5 x 밀도 x 속도의 제곱

    여기서 밀도는 고도 10km에서의 공기 밀도인 0.5kg/m3이고, 속도는 720km/h를 m/s로 변환하여 계산합니다.

    720km/h = 200m/s

    따라서, 동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동압 = 0.5 x 0.5kg/m3 x (200m/s)2 = 10000kg/mㆍs2

    따라서, 정답은 "10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정상비행중인 비행기가 의도하지 않은 스핀(Spin)상태를 만드는 원인은?

  1. 등속
  2. 감속
  3. 돌풍
  4. 급상승
(정답률: 87%)
  • 정상비행중인 비행기가 의도하지 않은 스핀 상태를 만드는 원인은 주로 공기의 움직임에 의한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돌풍은 비행기 주변의 공기가 갑자기 급격하게 움직이는 현상으로, 비행기의 날개나 꼬리 등에 큰 압력을 가해 비행기의 균형을 깨뜨리고 스핀 상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돌풍은 비행기에게 가장 위험한 상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헬리콥터가 정지비행시 회전날개를 지나는 공기의 일반적인 흐름을 옳게 나타낸 것은?(그림이 많이 흐립니다. 정답은 3번 입니다.)

(정답률: 89%)
  • 헬리콥터의 회전날개는 공기를 밀어내며 회전하므로, 회전날개 위쪽의 공기는 아래쪽으로 흐르게 되고, 회전날개 아래쪽의 공기는 위쪽으로 흐르게 됩니다. 이에 따라 3번 그림과 같이 회전날개 위쪽의 공기는 회전날개 아래쪽의 공기보다 더 빠르게 흐르게 되어 회전날개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3차원 날개에 양력이 발생하면 날개 끝에서 수직방향으로 하향흐름이 만들어지는데 이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항력은 무엇이라 하는가?

  1. 형상항력
  2. 간섭항력
  3. 조파항력
  4. 유도항력
(정답률: 55%)
  • 3차원 날개에서 발생하는 하향흐름은 날개 끝에서 수직 방향으로 흐르면서 날개 주변의 공기를 이끌어내고, 이로 인해 날개 주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됩니다. 이 압력차에 의해 발생하는 항력을 유도항력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스포일러(Spoiler)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착륙 시 항력을 증가시켜 착륙거리를 단축시킨다.
  2. 고속 비행 중 대칭적으로 작동하여 에어브레이크의 기능을 한다.
  3. 보조 날개와 연동하여 작동하면서 보조날개의 역할을 보조한다.
  4. 항공기 주변의 공기흐름을 유지하여 양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71%)
  • "항공기 주변의 공기흐름을 유지하여 양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스포일러의 기능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틀린 것입니다. 스포일러는 비행 중 항력을 증가시켜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항공기 주변의 공기흐름을 유지하여 양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비행기의 기준축과 이에 대한 회전 각운동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세로축 - X축 - 키놀이(Pitching)
  2. 가로축 - Z축 - 옆놀이(Rolling)
  3. 세로축 - X축 - 옆놀이(Rolling)
  4. 가로축 - Z축 - 키놀이(Pitching)
(정답률: 72%)
  • 비행기의 세로축은 비행기의 앞뒤 방향을 나타내는 축이며, 이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키놀이(Pitching)이라고 합니다. 비행기의 X축은 비행기의 좌우 방향을 나타내는 축이며, 이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을 옆놀이(Rolling)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기준축과 이에 대한 회전 운동을 나열한 정답은 "세로축 - X축 - 옆놀이(Roll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선회 자유운동
  2. 옆놀이 자유운동
  3. 승강키 자유운동
  4. 빗놀이 자유운동
(정답률: 62%)
  • 이미지에서 보이는 인물이 승강키를 밟고 있는 모습이므로, 정답은 "승강키 자유운동"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해면에서의 대기온도가 15℃ 일 때 그 지역의 해면고도 2000m 에서의 대기온도는 약 몇 ℃ 인가?

  1. 2
  2. 4
  3. 13
  4. 15
(정답률: 69%)
  • 해수면에서 해면고도가 2000m 상승하면 대기온도는 약 2℃씩 감소한다는 규칙이 있습니다. 따라서, 해면에서의 대기온도가 15℃이고 해면고도가 2000m 상승하면 대기온도는 15℃ - (2℃ × 1000) = 13℃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3"이 아닌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공기 흐름 중에 전파되는 파동의 일종으로 음속보다도 빨리 전파되어 압력, 밀도, 온도 등이 급격히 변화하는 파는?

  1. 전파
  2. 충격파
  3. 압축파
  4. 대기파
(정답률: 84%)
  • 공기 흐름 중에 전파되는 파동 중에서 음속보다도 빨리 전파되어 압력, 밀도, 온도 등이 급격히 변화하는 파는 충격파입니다. 이는 파동이 움직이는 속도가 음속보다 빠르기 때문에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고, 이로 인해 공기 분자들이 밀도가 높아지고 온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폭발, 번개, 비행기 속도 등 다양한 상황에서 관찰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수평꼬리날개의 기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력의 일부를 담당한다.
  2. 비행기의 세로안정을 유지한다.
  3. 키놀이 운동에서 감쇄 모멘트를 준다.
  4. 승강키의 역할을 하는 경우 받음각을 변화시켜 비행기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정답률: 41%)
  • "양력의 일부를 담당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수평꼬리날개는 비행기의 양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이는 주로 날개와 슬랫, 플랩 등이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로펠러항공기의 항속거리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프로펠러효율이 커야한다.
  2. 연료소비율이 작아야한다.
  3. 연료를 많이 실을 수 있어야한다.
  4. 양항비가 최소인 받음각으로 비행한다.
(정답률: 60%)
  • 양항비란 비행기가 공기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추력과 공기저항의 비율을 말합니다. 이 비율이 작을수록 비행기는 더 효율적으로 비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양항비가 최소인 받음각으로 비행하는 것이 항속거리를 높이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이는 곧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고, 추력을 최대화하여 연료소비율을 줄이고, 연료를 많이 실을 수 있게 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로펠러 회전력(kgfm)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기관의 출력 PHP, 각속도 w rad/s, 회전수 N rpm 이다.)

  1. 75P/w
  2. P/75w
  3. 75P/N
  4. P/75N
(정답률: 49%)
  • 프로펠러 회전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프로펠러 회전력 = 출력 / 각속도

    각속도는 회전수를 라디안으로 변환한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각속도 = 2πN / 60

    따라서, 프로펠러 회전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프로펠러 회전력 = 출력 / (2πN / 60)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프로펠러 회전력 = 60P / 2πN

    이때, 2π는 약 6.28이므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프로펠러 회전력 = 9.55P / N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kgfm으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변환할 수 있습니다.

    프로펠러 회전력 = 9.55P / N * 10.2 (1 kgfm = 10.2 Nm)

    따라서, 최종적으로 프로펠러 회전력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프로펠러 회전력 = 75P / w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정비계획의 정확성을 유지하고 항공기의 고장을 예방하기 위해 철저한 정비가 수행되어 계획된 시간에 차질없이 운항되도록 하기 위한 정비 목적은?

  1. 정시성
  2. 안전성
  3. 쾌적성
  4. 경제성
(정답률: 83%)
  • 정비가 철저하게 수행되어 정비계획에 따라 항공기가 정시에 운항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정시성"이라는 목적이 있습니다. 이는 항공기 운항의 기본적인 요건 중 하나이며, 승객들의 여행 일정을 지키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볼트나 너트를 죌 때 먼저 개구부위로 조이고 마무리는 박스부분으로 조이도록 된 공구는?

  1. 박스 렌치
  2. 소켓 렌치
  3. 조합 렌치
  4. 오픈 엔드 렌치
(정답률: 60%)
  • 조합 렌치는 개구부와 박스부분이 모두 있는 공구로, 볼트나 너트를 조이는 순서에 따라 개구부분이나 박스부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먼저 개구부분으로 조이고 마무리는 박스부분으로 조이는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높이게이지에서 금긋기를 하거나 높이 측정시 측정표면을 지시 또는 접촉하도록 하여 사용되는 부분은?

  1. 앤빌
  2. 스크라이버
  3. 측정바
  4. 테이퍼 너트
(정답률: 55%)
  • 스크라이버는 높이게이지나 측정바와 같은 도구에서 측정표면을 지시하거나 접촉시키는 부분으로, 금긋기를 하거나 높이를 측정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크라이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항공기의 지상 취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항공기 견인시 속도는 최소한 사람의 보행 속도보다는 빨라야 한다.
  2. 항공기가 들어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항공기에 출입할 때에는 최대한 조용하게 올라가며, 운동 범위를 최소화한다.
  3. 격납고의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보다 높을 때에는 연료 탱크에 연료 보급을 가득 채워 격납고에 보관한다.
  4. 항공기 견인시 항공기의 옆바퀴가 움직이는 각도가 일정각도 이상이 되면 토션링크를 연결하여 토잉 한다.
(정답률: 57%)
  • 항공기가 들어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출입할 때에는 최대한 조용하게 올라가며, 운동 범위를 최소화해야 하는 이유는 항공기의 안전을 위해서입니다. 항공기가 움직이거나 흔들리면서 출입하면, 항공기의 균형을 맞추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불안정한 상태에서 출입하면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항공기 지상 취급 시에는 항상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과 같은 너트의 식별표기에서 재질을 의미하는 것은?

  1. AN
  2. 310
  3. D
  4. R
(정답률: 60%)
  • 너트의 식별표기에서 "D"는 재질을 의미합니다. 이는 보기에서 "AN"은 알루미늄, "310"은 스테인리스 스틸, "R"은 구리를 나타내는 반면, "D"는 강철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다음 영문의 밑줄 친 부분의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표현은?

  1. 일부분
  2. 전부분
  3. 표면(휠)
  4. 내면(베어링)
(정답률: 68%)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휠과 베어링 중 일부분이기 때문에 "일부분"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표면 결함의 검사가 주 목적인 것은?

  1. 인장시험검사
  2. 방사선투과검사
  3. 형광침투탐상검사
  4. 초음파탐상검사
(정답률: 77%)
  • 형광침투탐상검사는 표면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 중 하나로, 검사 대상에 형광액을 침투시켜 UV 램프로 조사하여 결함을 발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표면 결함의 검사가 주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인화성 액체나 고체의 유지류 등의 화재는?

  1. A급 화재
  2. B급 화재
  3. C급 화재
  4. D급 화재
(정답률: 86%)
  • 인화성 액체나 고체의 유지류 등의 화재는 B급 화재입니다. 이는 B급 화재가 인화성 액체나 고체의 화재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B급 화재는 A급 화재보다는 낮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지만,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큰 피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스트링어(Stringer)가 절단되어 수리를 할 경우 수리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장착할 리벳의 수는 경우에 따라 다르다.
  2. 스트링어의 보강 방식은 형태에 따라 적정하게 결정한다.
  3. 손상길이는 각각 플랜지 길이를 고려하여 계산한다.
  4. 보강하는 재료의 단면적이 스트링어의 단면적보다 작아야 한다.
(정답률: 78%)
  • 보강하는 재료의 단면적이 스트링어의 단면적보다 작을 경우, 보강재가 충분한 강도를 제공하지 못하고 스트링어의 부분이 더 많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강재의 단면적은 스트링어의 단면적보다 크거나 같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와셔(Washer)의 종류에 따른 주된 역할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고정(lock)와셔는 볼트, 너트의 풀림을 방지한다.
  2. 고정(lock)와셔는 부품의 장착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한다.
  3. 평(Flat)와셔는 볼트나 스크루의 그립 길이를 조정하는데 사용한다.
  4. 평(Flat)와셔는 구조물과 장착 부품을 충격과 부식으로 부터 보호한다.
(정답률: 59%)
  • "평(Flat)와셔는 구조물과 장착 부품을 충격과 부식으로 부터 보호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고정(lock)와셔는 부품의 장착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고정(lock)와셔가 부품을 고정시켜 풀림을 방지하기 때문입니다. 평(Flat)와셔는 볼트나 스크루의 그립 길이를 조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또한, 평(Flat)와셔는 부품과 구조물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계기계통의 배관을 식별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색깔로 구분된 테이프를 감아두는데 이 때 붉은 갈색은 어떤 계통의 배관을 나타내는가?

  1. 윤활계통
  2. 압축공기계통
  3. 연료계통
  4. 화재방지계통
(정답률: 57%)
  • 분홍색 또는 붉은 갈색은 화재방지계통을 나타냅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에 대처하기 위한 물 스프링클러, 소화기, 화재경보 등의 시스템이 설치된 배관을 가리키며, 적절한 대처가 필요한 계통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항공기의 부식 방지 방법이 아닌 것은?

  1. 세척작업
  2. 방식작업
  3. 도장작업
  4. 용접작업
(정답률: 78%)
  • 용접작업은 부식 방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작업입니다. 용접은 부품을 결합하거나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부식 방지를 위한 특별한 처리나 코팅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작업은 부식 방지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연장공구를 장착한 토크렌치를 이용하여 볼트를 죌 때 토크렌치의 유효길이가 8 인치, 연장공구의 유효길이가 7인치, 볼트에 가해져야 할 필요 토크값이 900 in-lb라면 토크렌치의 눈금 지시값은 몇 in-lb 인가?

  1. 60
  2. 90
  3. 420
  4. 480
(정답률: 38%)
  • 토크렌치의 유효길이와 연장공구의 유효길이를 합한 총 유효길이는 15인치입니다. 따라서 볼트에 가해져야 할 필요 토크값인 900 in-lb를 15로 나누면, 토크렌치의 눈금 지시값은 60 in-lb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이 되며, 이유는 위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강제의 얇은 편으로 되어 있으며, 접점 또는 작은 홈의 간극 등의 점검과 특정에 사용되는 측정기는?

  1. 필러게이지
  2. 버니어캘리퍼스
  3. 단체형 내측 마이크로미터
  4. 캘리퍼형 내측 마이크로미터
(정답률: 67%)
  • 필러게이지는 강제의 얇은 편으로 되어 있어서 접점 또는 작은 홈의 간극 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정에 사용되는 측정기로서 필러게이지가 선택됩니다. 버니어캘리퍼스, 단체형 내측 마이크로미터, 캘리퍼형 내측 마이크로미터는 필러게이지와는 다른 측정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블라스트 세척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확한 치수가 필요한 부품에는 적용해서는 안된다.
  2. 작업방법은 증식, 건식, 습식 3가지가 주로 이용된다.
  3. 습식 블라스트 세척에서 슬러리 탱크는 사용되지 않는다.
  4. 건식 블라스트 세척에 사용되는 연마제로는 물에 잘 희석되는 화공약품을 사용한다.
(정답률: 47%)
  • 정확한 치수가 필요한 부품은 블라스트 세척 작업으로 인해 치수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적용해서는 안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얇은 패널에 너트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특수 너트는?

  1. 앵커너트
  2. 평너트
  3. 캐슬너트
  4. 자동고정너트
(정답률: 61%)
  • 앵커너트는 얇은 패널에 부착하기 위해 고안된 너트로, 패널 내부에 들어가는 부분이 확장되어 패널 내부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얇은 패널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 너트이며, 다른 보기들과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물음에 대하여 옳은 것은?

  1. between the compressor and the turbine sections
  2. between the manifold and the diffuser
  3. between the turbine and the manifold
  4. between the blade and the blade
(정답률: 62%)
  • 주어진 그림에서, 압축기와 터빈 사이에 위치한 부분이 컴버스터(Compressor)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between the compressor and the turbine section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항공기 공장정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항공기 기체 오버홀
  2. 항공기 원동기 정비
  3. 항공기 기체 정시 점검
  4. 항공기 장비품 정비
(정답률: 55%)
  • 항공기 기체 정시 점검은 항공기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점검으로, 항공기의 시스템, 구조, 전기, 전자 등을 검사하여 이상이 있는 부분을 발견하고 조치하는 작업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예방 정비에 해당하며, 항공기 공장정비에 속하지 않습니다. 반면, 항공기 기체 오버홀, 항공기 원동기 정비, 항공기 장비품 정비는 항공기의 부품이나 엔진 등을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등의 대규모 정비 작업으로, 항공기 공장정비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기 급유 및 배유시의 안전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3점 접지는 급유 중 정전기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2. 연료차량은 항공기와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였으면 3점접지를 생략한다.
  3. 급유 및 배유 장소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서 흡연이나 인화성 물질을 취급해서는 안된다.
  4. 3점 접지란 항공기와 연료차, 항공기와 지면, 지면과 연료차의 접지를 말한다.
(정답률: 90%)
  • 정답: "연료차량은 항공기와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였으면 3점접지를 생략한다."

    해설: 3점 접지는 정전기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며, 연료차량과 항공기 사이에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면 연료차량의 접지가 항공기에 전달되어 화재 예방 효과가 있기 때문에 3점 접지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정밀한 광학 기계로써 특수한 형태의 망원경을 이용한 검사로 육안으로 직접 검사할 수 없는 곳의 결함 발견에 이용되는 검사법은?

  1. 코인 검사
  2. 보어스코프 검사
  3. 와전류 검사
  4. 텔레스코핑 검사
(정답률: 80%)
  • 보어스코프 검사는 정밀한 광학 기계로써 특수한 형태의 망원경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직접 검사할 수 없는 좁은 구멍이나 파이프 내부 등의 공간에서 결함을 발견하는 검사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검사법들과는 달리 좁은 공간에서의 검사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기체구조의 형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노코크 구조형식은 응력외피 구조형식에 속한다.
  2. 외피가 얇고 동체의 길이 방향으로 보강재가 적용된 것은 세미모노코크구조 형식이다.
  3. 기체의 무게를 감소시켜 무게 대비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형식은 트리러스구조 형식이다.
  4. 트러스구조, 응력외피구조, 샌드위치구조 등의 형식이 있다.
(정답률: 64%)
  • 정답은 "기체의 무게를 감소시켜 무게 대비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형식은 트리러스구조 형식이다."입니다. 이유는 기체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은 구조 형식이 아니라 재료 선택이나 제작 방법 등의 기술적인 요소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항공기 기체 결함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손상 부위를 표시하려고 할 때 항공기 뒤에서 앞쪽을 보고 스케치했다면 도면에 표시할 내용은?

  1. LOOKING OUT
  2. LOOKING FWD
  3. LOOKING AFT
  4. LOOKING INBD
(정답률: 63%)
  • "LOOKING FWD"는 항공기 뒤에서 앞쪽을 보고 스케치했기 때문에, 손상 부위를 앞쪽에서 본 시점에서 표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LOOKING OUT"은 항공기 바깥쪽을 보고 스케치한 경우를 나타내며, "LOOKING AFT"는 항공기 앞쪽을 보고 스케치한 경우를 나타냅니다. "LOOKING INBD"는 항공기 내부를 보고 스케치한 경우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금속의 열처리법 중 표면강화 열처리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마렌칭
  2. 침탄법
  3. 질화법
  4. 화염 경화법
(정답률: 68%)
  • 마렌칭은 금속의 경도를 높이기 위한 열처리 방법 중 하나이지만, 표면강화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마렌칭은 금속을 고온에서 냉각하여 금속 내부의 성분 구조를 변화시켜 경도를 높이는 방법입니다. 반면에 표면강화 열처리는 금속의 표면을 특수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경도를 높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마렌칭은 표면강화 열처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알루미늄합금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틀린 것은?

  1. 시효경화가 없다.
  2. 내식성이 양호하다.
  3. 전성이 우수하여 가공성이 좋다.
  4. 상온에서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정답률: 79%)
  • 알루미늄합금은 시효경화가 있는 합금으로, 시간이 지나면 물성이 변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시효경화가 없다."는 특성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헬리콥터의 회전날개 중 플래핑힌지, 패더링힌지. 항력힌자를 모두 갖춘 회전날개의 형식은?

  1. 반고정형 회전날개
  2. 고정식 회전날개
  3. 베어링리스 회전날개
  4. 관절형 회전날개
(정답률: 65%)
  • 플래핑힌지, 패더링힌지, 항력힌지를 모두 갖춘 회전날개는 관절형 회전날개입니다. 이는 회전날개의 각 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관절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관절형 회전날개는 헬리콥터의 안정성과 조종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설계하중을 가장 옳게 표현한 것은?

  1. 설계하중 = 한계하중 + 안전계수
  2. 설계하중 = 한계하중 ÷ 안전계수
  3. 설계하중 = 한계하중 × 안전계수
  4. 설계하중 = 한계하중 - 안전계수
(정답률: 74%)
  • 정답은 "설계하중 = 한계하중 × 안전계수" 입니다.

    설계하중은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인 한계하중에 안전을 고려한 안전계수를 곱한 값입니다. 안전계수는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적용되는 계수로, 구조물의 재료, 사용 용도, 설계 기준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설계하중은 한계하중과 안전계수를 고려하여 산출되는 값이며, 이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항공기에서 급속과 비교하여 복합소재를 사용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무게당 강도비가 높다.
  2. 전기 화학 작용에 의한 부식을 줄일 수 있다.
  3. 유연성이 크고 진동이 작아 피로 강도가 감소된다.
  4. 복잡한 형태나 공기 역학적인 극선 형태의 부품 제작이 쉽다.
(정답률: 45%)
  • 복합소재는 유연성이 크고 진동이 작아 피로 강도가 감소되기 때문에 항공기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항공기가 비행 중에 많은 압력과 진동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무게당 강도비가 높다는 것은 더 가벼운 무게로 더 강한 재질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고, 전기 화학 작용에 의한 부식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은 재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복잡한 형태나 공기 역학적인 극선 형태의 부품 제작이 쉽다는 것은 제작 과정에서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헬리콥터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프리휠링장치(free wheeling unit)는?

  1. 헤드 클러(Head clutch)
  2. 리드 클러치(Lead clutch)
  3. 드레그 클러치(Drag clutch)
  4. 스프레그 클러치(Sprag clutch)
(정답률: 48%)
  • 헬리콥터에서는 엔진과 로터 사이에 프리휠링장치를 사용하여 로터가 멈추었을 때도 엔진이 계속 회전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리휠링장치는 리드 클러치입니다. 리드 클러치는 엔진의 회전 방향과 로터의 회전 방향이 같을 때는 클러치가 작동하지 않고, 로터의 회전 방향이 역방향일 때는 클러치가 작동하여 엔진의 회전력을 로터로 전달합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안전하고 신뢰성이 높아 헬리콥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리휠링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브레이크에서 블리드 밸브(Bleed valve)의 주된 역할은?

  1. 비상시 비상 브레이크 작동을 위해 사용된다.
  2. 계류 브레이크로 가는 유로를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3. 브레이크 유압계통에 섞여 있는 공기를 빼낼 때 사용된다.
  4. 브레이크 유압계통의 과도한 압력을 제거할 때 사용된다.
(정답률: 60%)
  • 브레이크 유압계통에 공기가 섞이면 브레이크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블리드 밸브를 사용하여 공기를 제거해야 한다. 따라서 블리드 밸브는 브레이크 유압계통에 섞여 있는 공기를 빼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기관 마운트를 날개에 장착할 경우 발생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저항의 증가
  2. 날개의 강도 증가
  3. 공기 역학적 성능 저하
  4. 파일론으로 인한 무게의 증가
(정답률: 55%)
  • 기관 마운트를 날개에 장착할 경우, 날개의 강도는 증가하지 않습니다. 이는 기관 마운트가 날개에 부착되는 것이기 때문에, 날개의 구조나 재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날개의 강도 증가"는 영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항공기에서 폴리염화비닐(PVC)의 사용처로 적당한 곳은?

  1. 전선 피복제
  2. 엔진 개스킷
  3. 항공기 창문 유리
  4. 타이어용 튜브
(정답률: 64%)
  • PVC는 내열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전선 피복제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항공기 도면의 표제란에 'ASSy' 로 표시하며 조립체나 부분 조립체를 이루는 방법과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은?

  1. 조립도면
  2. 상세도면
  3. 공정도면
  4. 부품도면
(정답률: 80%)
  • 'ASSy'는 'Assembly'의 약어로 조립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ASSy'로 표시된 도면은 조립체나 부분 조립체를 이루는 방법과 절차를 설명하는 도면인 조립도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헬리콥터의 동력구동장치 중 기관에서 전달받은 구동력의 회전수와 외전방향을 변환시킨 후에 각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장치는?

  1. 변속기
  2. 동력구동축
  3. 중간기어박스
  4. 꼬리기어박스
(정답률: 59%)
  • 헬리콥터의 기관에서 전달받은 구동력은 고정된 회전수와 방향으로 전달됩니다. 하지만 헬리콥터는 상승, 하강, 전진, 후진 등 다양한 운동을 해야하기 때문에 구동력의 회전수와 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변속기입니다. 변속기는 구동력을 받아 회전수와 방향을 변환시킨 후 각 구동축으로 전달하여 헬리콥터의 운동을 제어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변속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가장 무거운 항공기 무게는?

  1. 최대착륙무게
  2. 기본자기무게
  3. 최대영연료무게
  4. 최대이륙무게
(정답률: 74%)
  • 정답은 "최대이륙무게"입니다. 이는 항공기가 이륙할 때 필요한 최대 무게를 의미합니다. 이는 항공기가 안전하게 이륙하고 비행할 수 있는 최대 무게를 나타내며, 이를 초과하면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크기와 무게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항공기 출입문 중 동체 외벽의 안으로 여는 형식은?

  1. 티형(T Type)
  2. 팽창형(Expand Type)
  3. 밀폐형(Seal Type)
  4. 플러그형(Plug Type)
(정답률: 63%)
  • 플러그형 출입문은 동체 외벽에 있는 구멍에 플러그를 끼워서 밀착시키는 형식으로, 밀폐성이 뛰어나고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용이하며, 비행 중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항공기 출입문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지름이 5cm 인 원형단면인 봉에 1000kg 의 인장하중이 작용할 때 단면에서의 인장응력은 약 몇 kg/cm2 인가?

  1. 50.9
  2. 63.7
  3. 101.8
  4. 200
(정답률: 49%)
  • 인장응력은 인장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인장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인장응력 = 인장하중 / 단면적

    원형단면의 넓이는 반지름의 제곱에 파이(π)를 곱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단면적 = 반지름의 제곱 × π

    반지름은 지름의 절반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반지름은 2.5cm 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단면적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면적 = 2.52 × π ≈ 19.63cm2

    따라서 인장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인장응력 = 1000kg / 19.63cm2 ≈ 50.9kg/cm2

    따라서 정답은 "50.9"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림과 같은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극한응력을 나타낸 곳은?

  1. A
  2. B
  3. G
  4. H
(정답률: 77%)
  • 극한응력은 재료가 파괴되기 시작하는 지점으로, 이는 곡선의 끝 부분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극한응력을 나타낸 곳은 "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고체의 금속재를 상온 또는 가열상태에서 해머 등으로 두들기거나 가압하여 일정한 모양을 만드는 가공법은?

  1. 압출
  2. 압연
  3. 주조
  4. 단조
(정답률: 58%)
  • 고체의 금속재를 해머 등으로 두들기거나 가압하여 일정한 모양을 만드는 가공법은 "단조"입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금속재를 가열하거나 상온에서 가공하는 방법으로, 압출, 압연, 주조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헬리콥터에서 회전날개의 깃이 전후로 움직이는 현상은?

  1. 플래핑
  2. 리드래그운동
  3. 호버링
  4. 오토 오테이션
(정답률: 72%)
  • 헬리콥터에서 회전날개의 깃이 전후로 움직이는 현상은 리드래그운동입니다. 이는 회전날개의 앞쪽이 공기를 먼저 만나서 공기 압력이 증가하고, 뒷쪽은 공기를 나누어 받아 압력이 감소하여 깃이 앞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리드래그운동은 회전날개의 효율을 높이고, 헬리콥터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지상 활주 중 항공기 앞 착륙장치에 많이 발생하는 불안정한 좌우 진동현상을 감쇠 및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1. 안티스키드
  2. 토션링크
  3. 드래그 스트럿
  4. 시미댐퍼
(정답률: 73%)
  • 항공기가 지상에 착륙할 때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감쇠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시미댐퍼입니다. 시미댐퍼는 항공기의 앞 착륙장치에 부착되어 있으며, 유압식 댐퍼와 스프링식 댐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장치는 항공기가 지면과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여 항공기의 안정성을 높이고, 안전한 착륙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은 헬리콥터의 구조에서 ㉠이 지시하는 곳의 명칭은?

  1. 동체
  2. 테일붐
  3. 테일스키드
  4. 파일론
(정답률: 77%)
  • 헬리콥터의 구조에서 테일붐은 헬리콥터의 뒷부분에 위치한 수직으로 세워진 꼬리 모양의 부분을 말합니다. 이 부분은 회전력을 조절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지시하는 곳은 헬리콥터의 테일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조종계통의 조종방식 중 기체에 가해지는 중력가속도나 기울기를 감지한 결과를 컴퓨터로 계산하여 조종사의 감지 능력을 보충하도록 하는 방식의 조종장치는?

  1. 수동조종장치(Manual control)
  2. 유압조종장치(Hydraulic control)
  3. 플라이바이와이어(Fly-by-wire)
  4. 동력조중장치(Powered control)
(정답률: 75%)
  • 플라이바이와이어(Fly-by-wire)는 조종사의 조종 입력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가 이를 해석하고 기체의 상태를 감지하여 적절한 제어 입력을 계산하여 기체를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기체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분석하여 조종사의 감지 능력을 보충하며, 더욱 정확하고 안전한 조종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날개의 단면이 공기역학적인 날개골을 유지 할 수 있도록 날개의 모양을 형성해 주는 구조부재는?

  1. Skin
  2. Rib
  3. Spar
  4. Stiffener
(정답률: 75%)
  • 날개의 단면이 공기역학적인 날개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강한 구조적 지지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날개 내부에는 강화봉인 스패와 스티프너가 있지만, 이 중에서도 날개의 모양을 형성해 주는 구조부재는 리브입니다. 리브는 날개의 곡률을 유지하고, 날개의 강도와 유연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날개의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리브가 필수적인 구조부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단순보를 나타낸 것은?

(정답률: 64%)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단순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자율이 고정되어 있고 만기일에 원금과 이자를 함께 상환하는 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복리보, 할인채권, 제로쿠폰채권 등 다른 유형의 채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철강 재료를 탄소함유량에 따라 분류하는데 탄소의 함유량이 적은것에서 많은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주철 < 강 < 순철
  2. 주철 < 순철 < 강
  3. 순철 < 주철 < 강
  4. 순철 < 강 < 주철
(정답률: 56%)
  • 철강 재료를 탄소함유량에 따라 분류할 때, 탄소 함유량이 적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순철, 강, 주철 순서가 됩니다. 이는 탄소 함유량이 적은 순서대로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순철은 탄소 함유량이 가장 적어 강도가 가장 낮고, 강은 순철보다 탄소 함유량이 높아 강도가 높으며, 주철은 탄소 함유량이 가장 높아 강도가 가장 높습니다. 따라서, 순철 < 강 < 주철 순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