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4-06)

항공기체정비기능사
(2014-04-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행원리

1. 프로펠러 비행기가 순항할 때 경제속도란 다음 중 어떠한 상태로 비행하는 것을 말하는가?

  1. 필요동력이 최소인 상태
  2. 필요동력이 최대인 상태
  3. 이용동력이 최소인 상태
  4. 이용동력이 최대인 상태
(정답률: 69%)
  • 프로펠러 비행기가 순항할 때 경제속도는 "필요동력이 최소인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비행기가 공기 저항과 중력을 균형적으로 이길 수 있는 속도로, 이 때 필요한 동력이 최소화되기 때문입니다. 이용동력이 최소인 상태는 아니지만, 필요한 동력이 최소화되어 연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방향키(Rudd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좌우 방향 전환의 조종 목적뿐만 아니라 옆바람이나 도움날개의 조종에 따른 빗놀이 모멘트를 상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2. 이륙이나 착륙기 비행기의 양력을 증가시켜 주는데 목적이 있다.
  3. 비행기의 세로축(longitudinal axis)을 중심으로 한 옆놀이 운동(rolling)을 조종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조종면이다.
  4. 비행기의 가로축(lateral axis)을 중심으로 한 키놀이 운동(pitching)을 조종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조종면이다.
(정답률: 71%)
  • 방향키(Rudder)는 좌우 방향 전환의 조종 목적뿐만 아니라 옆바람이나 도움날개의 조종에 따른 빗놀이 모멘트를 상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비행기의 방향안정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수직꼬리날개
  2. 주날개
  3. 수평꼬리날개
  4. 스포일러
(정답률: 72%)
  • 비행기의 방향안정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수직꼬리날개입니다. 이는 비행기의 수평적인 안정성을 제공하며, 비행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직꼬리날개는 비행기의 공기저항을 줄이고, 비행기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안전한 비행을 위해서는 수직꼬리날개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행기의 기준축과 각 축에 대한 회전 각운동이 옳게 연결된 것은?

  1. 세로축 - X축 - 키놀이(Pitching moment)
  2. 세로축 - Z축 - 빗놀이(Yawing moment)
  3. 수직축 - Y축 - 키놀이(Pitching moment)
  4. 수직축 - Z축 - 빗놀이(Yawing moment)
(정답률: 72%)
  • 비행기의 기준축은 수직축, 즉 X축입니다. 이 축을 중심으로 비행기는 좌우로 기울어지는 키놀이 운동과 앞뒤로 움직이는 롤링 운동을 합니다. 따라서 X축과 관련된 운동은 키놀이 운동입니다.

    그리고 비행기의 빗놀이 운동은 비행기의 수평축, 즉 Z축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 축을 중심으로 비행기는 좌우로 회전하는 빗놀이 운동을 합니다. 따라서 Z축과 관련된 운동은 빗놀이 운동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직축 - Z축 - 빗놀이(Yawing momen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과 같은 5자 계열 날개골에서 각 숫자의 의미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항은 최대 캠버의 크기가 시위의 20% 임을 의미한다.
  2. ⓑ항은 최대 캠버의 위치가 시위의 15% 에 위치함을 의미한다.
  3. ⓒ항은 최대 캠버 위치 이후 평균 캠버선이 3차 곡선임을 의미한다.
  4. ⓓ항은 최대 두께가 시위의 1.5% 임을 의미한다.
(정답률: 60%)
  • 답은 ⓑ항입니다. 이유는 "날개골에서 각 숫자의 의미"를 보면, 항목 B는 "최대 캠버의 위치"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위치가 "시위의 15%에 위치함을 의미한다"고 설명되어 있습니다. 다른 항목들은 최대 캠버의 크기, 평균 캠버선의 곡률, 최대 두께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비행기가 500ft/s 의 속도로 수평선에 대해 30° 의 각도로 상승하고 있을 때 상승률은 몇 ft/s 인가?

  1. 152
  2. 171
  3. 234
  4. 250
(정답률: 52%)
  • 비행기의 상승률은 비행기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입니다. 이 문제에서 비행기는 30°의 각도로 상승하고 있으므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는 500ft/s * cos(30°) = 433ft/s 입니다.

    따라서 비행기의 상승률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 즉 500ft/s * sin(30°) = 250ft/s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비행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도가 증가하면 상승률이 감소한다.
  2. 활공각이 크면 활공 거리가 길어진다.
  3. 고도가 증가하면 비행 속도와 필요 마력은 증가한다.
  4. 정상 등속도 수평비행이란 항력과 추력이 같고 양력과 무게가 같다.
(정답률: 54%)
  • "활공각이 크면 활공 거리가 길어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을 찾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고도가 증가하면 상승률이 감소한다."라는 설명은 맞습니다. 고도가 증가하면 공기 밀도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날개와 프로펠러 등의 부품들이 받는 공기 압력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상승을 위해 필요한 추력도 감소하게 되어 상승률이 감소합니다.

    또한 "고도가 증가하면 비행 속도와 필요 마력은 증가한다."라는 설명도 틀린 것은 아닙니다. 고도가 증가하면 공기 밀도가 감소하므로, 같은 비행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마력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정상 등속도 수평비행이란 항력과 추력이 같고 양력과 무게가 같다."라는 설명도 맞습니다. 정상 등속도 수평비행에서는 항력과 추력이 양력과 무게와 같아지므로, 비행기가 일정한 속도와 고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날개의 시위 길이가 2m, 공기의 흐름속도가 720km/h, 공기의 동점성계수가 0.2cm2/s 일 때 레이놀즈수는 약 얼마인가?

  1. 2 × 106
  2. 4 × 106
  3. 2 × 107
  4. 4 × 107
(정답률: 74%)
  • 레이놀즈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e = (밀도 × 속도 × 길이) / 동점성계수

    여기서 밀도는 대기압에서의 공기밀도인 1.2kg/m3을 사용합니다.

    속도는 720km/h를 m/s로 변환하여 계산합니다.

    720km/h = 200m/s

    길이는 2m이므로,

    Re = (1.2 × 200 × 2) / (0.2 × 10-4)

    Re = 2 × 107

    따라서 정답은 "2 × 10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비행기의 날개에 작용하는 양력의 크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력계수에 비례한다.
  2. 비행속도에 반비례한다.
  3. 날개의 면적에 비례한다.
  4. 공기의 밀도의 크기에 비례한다.
(정답률: 64%)
  • 비행속도가 높을수록 공기의 압력 차이가 커져서 양력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비행속도에 반비례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행속도에 반비례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마하수로 분류한 속도의 명칭과 범위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아음속 : 마하수 < 0.75
  2. 천음속 : 0.5 < 마하수 < 0.99
  3. 초음속 : 1.2 < 마하수 < 5.0
  4. 극초음속 : 5.0 < 마하수
(정답률: 76%)
  • 정답은 "아음속 : 마하수 < 0.75"입니다.

    마하수는 소리의 속도를 기준으로 한 단위이며, 소리의 속도는 온도와 밀도에 따라 변화합니다.

    천음속은 0.5 ~ 0.99 마하수로, 소리의 속도보다 느리지만 여전히 매우 빠른 속도를 나타냅니다.

    반면, 아음속은 0.75 마하수보다 느리기 때문에 천음속 범위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아음속 : 마하수 < 0.75"가 잘못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헬리콥터의 깃끝의 선속도(v)와 각속도(w)의 관계가 옳은 것은? (단, 헬리콥터 깃의 반지름은 r 이다.)

  1. v=rw
  2. v=r2w
  3. v=w/r
  4. v=w/r2
(정답률: 55%)
  • 헬리콥터 깃은 원운동을 하고 있으므로, 깃끝의 이동거리인 선속도(v)는 깃의 반지름(r)과 각속도(w)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원주율(pi)를 사용하여 v=rw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v=r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720km/h 로 비행하는 비행기의 마하계 눈금이 0.6 을 지시했다면 이 고도에서의 음속은 몇 m/s 인가?

  1. 322
  2. 327
  3. 333
  4. 340
(정답률: 58%)
  • 음속은 마하수(Mach number)에 따라 결정되며, 마하수는 비행기의 속도를 음속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음속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음속 = 비행기의 속도 / 마하수

    비행기의 속도는 720km/h 이므로, 이를 m/s 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720 km/h = 200 m/s

    마하계 눈금이 0.6 이므로, 마하수는 0.6 입니다. 따라서, 음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음속 = 200 m/s / 0.6 = 333.33... (소수점 이하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33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천음속 이상의 속도로 비행하는 항공기의 조파항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비행기의 날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직사각형 날개
  2. 테이퍼 날개
  3. 타원 날개
  4. 뒤젖힘 날개
(정답률: 70%)
  • 뒤젖힘 날개는 항공기가 초음속 비행을 할 때 조파항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날개 뒷부분이 위로 올라가는 형태로 되어 있어서, 공기의 압력이 낮아져서 조파항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천음속 이상의 속도로 비행하는 항공기에 적합한 날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헬리콥터 로터조종기구인 사이클릭(Cyclic) 조종간과 콜렉티브(Collective) 조종간에 연결되어 로터 깃각을 변경시키는 장치는?

  1. 댐퍼(Damper)
  2. 에일러론(Aileron)
  3. 회전 경사판(Swash plate)
  4. 수직 안정판(Vertical stabilizer)
(정답률: 55%)
  • 회전 경사판은 로터조종기구인 사이클릭과 콜렉티브 조종간에 연결되어 로터 깃각을 변경시키는 장치입니다. 회전 경사판은 로터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로터 블레이드의 깃각을 변경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회전 경사판을 조작함으로써 헬리콥터의 방향과 고도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로펠러의 자이로 모멘트(Gyro moment) 특성은 자이로스코프의 어떤 특성에 기인하는가?

  1. 강직성(Rigidity)
  2. 진자효과(Pendulum effect)
  3. 섭동성(Precession)
  4. 회전효과(Rotation effect)
(정답률: 55%)
  • 프로펠러의 자이로 모멘트 특성은 섭동성(Precession)에 기인합니다. 섭동성은 회전하는 물체의 축이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할 때, 회전축이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자이로스코프에서 발생하는데, 프로펠러도 회전하는 물체이므로 섭동성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프로펠러의 자이로 모멘트 특성은 섭동성에 기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볼트나 너트의 육면 중 2면 만이 공구의 개구 부분에 걸려 장ㆍ탈착하는데 쓰이는 공구는?

  1. 박스 렌치
  2. 스트랩 렌치
  3. 소켓 렌치
  4. 오픈엔드 렌치
(정답률: 70%)
  • 볼트나 너트의 육면 중 2면만 걸쳐서 사용할 수 있는 공구는 오픈엔드 렌치입니다. 다른 보기인 박스 렌치, 스트랩 렌치, 소켓 렌치는 모두 여러 면을 사용하여 볼트나 너트를 잡아서 사용하는 공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부분의 내용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연료
  2. 중력
  3. 양력
  4. 추력
(정답률: 85%)
  • 발전기의 원리는 회전하는 자석과 고정된 코일 사이에서 자기장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것입니다. 이 때 회전하는 자석을 움직이는 힘이 필요한데, 이 힘이 바로 추력입니다. 따라서 발전기에서는 추력이 필요하므로 정답은 "추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접지된 페인팅 대상물과 페인팅 기구간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페인팅하는 기법은?

  1. 정전 페인팅
  2. 스프레이(Spray) 페인팅
  3. 터치 업(Touch up) 페인팅
  4. 에어리스 스프레이(Airless spray) 페인팅
(정답률: 82%)
  • 정전 페인팅은 접지된 대상물과 페인팅 기구간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페인팅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페인트 입자를 분사시키는 방식으로, 페인트 입자가 정전기적으로 충전되어 대상물에 부착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전 페인팅은 페인트 입자의 분산과 부착성이 뛰어나며, 높은 품질의 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항공기 정비의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청결과 미관상의 상태를 개선함으로써 승객에게 쾌적성을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
  2. 항공 정비 인력의 탄력적인 운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3. 운항에 저해가 되는 고장의 원인을 미리 제거함으로써 정시성을 확보한다.
  4. 항공기의 강도, 구조, 성능에 관한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정답률: 74%)
  • "청결과 미관상의 상태를 개선함으로써 승객에게 쾌적성을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항공기 정비의 목적은 항공기의 안전성과 정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항공 정비 인력의 탄력적인 운용은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청결과 미관상의 상태 개선은 승객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지, 항공기 정비의 목적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부품을 파괴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검사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내부검사
  2. 비파괴검사
  3. 내구성검사
  4. 오버홀검사
(정답률: 93%)
  • 부품을 파괴하거나 손상시키지 않고 검사하는 방법을 비파괴검사라고 합니다. 이는 부품의 내부나 외부를 검사하면서 부품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검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부품을 파괴하거나 손상시키는 방법이 필요한 검사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항공기정비

21. 항공기 정비를 위한 전기 장비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소화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건조사
  2. 물펌프소화기
  3. 포말소화기
  4. 이산화탄소소화기
(정답률: 70%)
  • 항공기 정비를 위한 전기 장비는 전기적인 부품들이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물을 사용한 소화기로는 화재를 진압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폭발이나 화재로 인한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이산화탄소소화기는 물 대신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합니다. 이산화탄소는 산소를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특성이 있으며, 전기적인 부품들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공기 정비를 위한 전기 장비에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이산화탄소소화기가 가장 적합한 소화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A system used to prevent the forming of ice is an (괄호) system 에서 다음 (괄호)안에 알맞은 용어는?

  1. de-icing
  2. refrigeration
  3. anti-icing
  4. combustion
(정답률: 70%)
  • 정답은 "anti-icing"입니다.

    이유는 "anti-icing" 시스템은 얼음이 형성되기 전에 표면을 보호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de-icing" 시스템은 이미 얼음이 형성된 표면에서 얼음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refrigeration"은 냉각 시스템을 의미하며, "combustion"은 연소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예방 정비의 모순점에 대한 내용이 아닌 것은?

  1. 부품에 이상이 있을 경우 즉각적인 원인 파악과 조치가 가능하다.
  2. 장기간 만족스럽게 작동되는 장비나 부품을 고의로 장탈한다.
  3. 부품의 분해 조립 과정에서 고장 발생의 가능성이 조성된다.
  4. 부품 본래의 결점을 파악하기 어려워 품질 개선에 어려움이 있다.
(정답률: 59%)
  • "부품에 이상이 있을 경우 즉각적인 원인 파악과 조치가 가능하다."는 예방 정비의 장점으로, 부품에 이상이 있을 때 빠르게 대처할 수 있어서 장비의 작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예방 정비의 모순점에 대한 내용이며, 예방 정비를 하면서 장기간 만족스럽게 작동되는 장비나 부품을 고의로 장탈하거나, 부품의 분해 조립 과정에서 고장 발생의 가능성이 조성되거나, 부품 본래의 결점을 파악하기 어려워 품질 개선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복합소재의 수리 작업시 압력을 가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그림과 같은 방법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2,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클레코
  2. 숏백
  3. 진공백
  4. 스프링 클램프
(정답률: 79%)
  • 복합소재의 수리 작업시에는 부품들을 고정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부품을 압착시켜 고정시키는 것입니다. 그 중에서도 숏백은 부품을 강하게 압착시키는 힘이 가장 크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마이크로미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측정물과 직접 닿는 부분은 앤빌과 스핀들이다.
  2. 보통 0.01mm 와 0.001mm 까지 측정 할 수 있다.
  3. 하나의 측정기로 외측, 내측, 깊이 및 단차를 모두 측정할 수 있다.
  4. 심블과 슬리브라는 명칭이 사용되는 구조부분이 있다.
(정답률: 71%)
  • 정답은 "하나의 측정기로 외측, 내측, 깊이 및 단차를 모두 측정할 수 있다."가 아닙니다. 마이크로미터는 외측, 내측, 깊이 측정에는 이용이 가능하지만, 단차 측정에는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이유는 마이크로미터는 두 개의 이빨로 이루어진 측정기기이기 때문에, 단차 측정 시에는 별도의 도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MS20470AD4-5" 리벳의 배치 작업시 최소 리벳피치는 몇 in 인가?

  1. 5/16
  2. 3/8
  3. 1/4
  4. 7/32
(정답률: 43%)
  • MS20470AD4-5 리벳의 diameter는 1/8 in 이므로, 최소 리벳피치는 diameter의 2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최소 리벳피치는 1/8 in x 2 = 1/4 in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3/8"이 아닌 "1/4" 또는 "7/32"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리벳피치는 1/4 in보다 큰 값을 사용하므로, "3/8"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가요성 호스에 NO.7 이 표시되어 있다면 호스의 치수는?

  1. 안지름이 7/8 인치이다.
  2. 안지름이 7/16 인치이다.
  3. 바깥지름이 7/8 인치이다.
  4. 바깥지름이 7/16 인치이다.
(정답률: 62%)
  • 가요성 호스의 NO.7은 안지름이 7/16 인치임을 나타냅니다. 이는 가요성 호스의 규격 표기 방식 중 하나로, NO.7은 안지름이 7/16 인치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바깥지름이나 다른 치수를 나타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항공기의 지상 활주를 위해 육지 비행장에 마련한 한정된 경로는?

  1. 유도로
  2. 활주로
  3. 비상로
  4. 계류로
(정답률: 65%)
  • 유도로는 항공기가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도로입니다. 이는 항공기가 비행장 내에서 안전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항공기의 지상 활주를 위해 육지 비행장에 마련한 한정된 경로는 유도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물림 턱에 락(lock)장치가 되어 있어 한번 조절되어 락(lock)되면 작은 바이스처럼 잡아주는 공구는?

  1. 롱노즈 플라이어(Long nose plier)
  2. 워터 펌프 플라이어(Water pump plier)
  3. 바이스 그립 플라이어(Vise grip plier)
  4. 콤비네이션 플라이어(Combination plier)
(정답률: 83%)
  • 바이스 그립 플라이어는 물림 턱에 락(lock)장치가 되어 있어 한번 조절되어 락(lock)되면 작은 바이스처럼 잡아주는 공구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롱노즈 플라이어, 워터 펌프 플라이어, 콤비네이션 플라이어는 이와 같은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항공기 구조수리의 기본 원칙 4가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본래의 재료 유지
  2. 본래의 윤곽 유지
  3. 중량의 최소 유지
  4. 부식에 대한 보호
(정답률: 61%)
  • "본래의 재료 유지"가 항공기 구조수리의 기본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항공기 구조물이 설계되었을 때 사용된 재료의 물성과 특성을 최대한 유지하고, 가능한 한 원래의 형태와 크기를 유지하여 구조물의 강도와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구조물의 부분적인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한 경우, 해당 부분을 본래의 재료로 복원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대체재료를 사용하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안전결선 작업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안전결선의 절단은 직각이 되도록 자른다.
  2. 와이어를 꼴 때에는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3. 안전결선은 한번 사용한 것은 다시 사용하지 못한다.
  4. 안전결선을 신속하고 일관성 있게 하기 위해서는 티 핸들을 사용한다.
(정답률: 76%)
  • 안전결선 작업에서 티 핸들은 작업자가 안전결선을 빠르고 일관성 있게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티 핸들을 사용하면 안전결선을 꼬이지 않고 꼬임이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안전결선 작업에서 티 핸들을 사용하는 것은 안전성과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비자성체의 표면균열을 탐지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법은?

  1. 자분탐상검사
  2. 초음파탐상검사
  3. 침투탐상검사
  4. 방사선투과검사
(정답률: 62%)
  • 비자성체의 표면균열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침투탐상검사법을 사용합니다. 이는 표면에 침투시킨 액체나 가스를 이용하여 균열이나 결함을 찾아내는 방법으로, 비파괴검사법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자분탐상검사는 균열이나 결함이 있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자성을 이용하여 검사하는 방법이며, 초음파탐상검사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균열이나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방사선투과검사는 X선이나 감마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항공기의 지상안전에서 안전색은 작업자에게 여러 종류의 주의나 경고를 의미하는데 주황색은 무엇을 의미할 때 표시하는가?

  1. 기계 설비의 위험이 있는 곳이다.
  2. 방사능 유출의 위험경고 표시이다.
  3. 건물 내부의 관리를 위하여 표시한다.
  4. 장비 및 기기가 수리, 조절 및 검사 중이다.
(정답률: 65%)
  • 주황색은 기계 설비의 위험이 있는 곳을 나타내는 안전색입니다. 이는 작업자들이 해당 구역에서 작업할 때 더욱 주의를 기울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경고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주황색은 작업자들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색상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볼트 헤드에 × 기호가 새겨져 있다면 이 기호의 의미는?

  1. 열처리 볼트
  2. 내식강 볼트
  3. 합금강 볼트
  4. 정밀 공차 볼트
(정답률: 54%)
  • 볼트 헤드에 새겨진 × 기호는 합금강 볼트를 나타냅니다. 합금강은 일반적인 강보다 높은 강도와 내식성을 가지고 있어서, 고온이나 극한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합금강 볼트는 열처리 볼트나 내식강 볼트보다 더욱 강력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정밀 공차 볼트보다는 덜 정교하지만 일반적인 기계나 구조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급작스러운 강풍이나 기상상황을 고려하여 바람에 의한 항공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상에 정지시키는 지상작업의 명칭은?

  1. 항공기 견인(Towing)
  2. 항공기 계류(Mooring)
  3. 항공기 활주(Taxing)
  4. 항공기 주기(Parking)
(정답률: 77%)
  • 항공기 계류는 바람에 의한 항공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지상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항공기 계류가 정답인 이유는 바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항공기 견인은 항공기를 끌어서 이동시키는 작업, 항공기 활주는 항로를 따라 이륙하거나 착륙하는 작업, 항공기 주기는 항공기를 주차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수직 구조 부재와 수평 구조 부재로 이루어진 구조에 외피를 부착한 구조를 이루며 대부분의 헬리콥터 동체 구조로 사용되는 구조 형식은?

  1. 일체형
  2. 트러스형
  3. 모노코크형
  4. 세미모노코크형
(정답률: 59%)
  • 세미모노코크형은 수직 구조 부재와 수평 구조 부재로 이루어진 구조에 외피를 부착한 구조 형식 중에서도 수평 구조 부재가 일부만 사용되는 형태이다. 이는 헬리콥터의 회전 날개가 부착되는 부분이 수직 구조 부재에 직접 부착되기 때문에 수평 구조 부재가 일부만 사용되어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항공기 재료 중 먼지나 수분 또는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누설을 방지하며 소음방지를 하기 위한 부분에 주로 사용되는 재료는?

  1. 섬유
  2. 유리
  3. 고무
  4. 세라믹
(정답률: 75%)
  • 고무는 유연성과 탄성이 뛰어나며, 밀폐성이 좋아 먼지나 수분, 공기 등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음방지에도 효과적이며, 누설을 방지하는데에도 사용됩니다. 따라서 항공기 재료 중 먼지나 수분,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누설을 방지하며 소음방지를 위해 고무가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나셀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방화벽
  2. 스킨
  3. 카울링
  4. 쇽스트러트
(정답률: 73%)
  • 나셀의 구성요소는 방화벽, 스킨, 카울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쇽스트러트는 나셀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쇽스트러트는 웹 서버에서 정적인 파일을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로, 나셀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정하중 시험에 해당하지 않는 항공기 구조시험은?

  1. 강성시험
  2. 한계하중시험
  3. 피로시험
  4. 극한하중시험
(정답률: 55%)
  • 피로시험은 항공기 구조물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로 파손을 예방하기 위한 시험입니다. 따라서 정적인 하중을 가해주는 강성시험, 한계하중시험, 극한하중시험과는 달리 항공기가 실제로 운용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로 파손을 예방하기 위한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안전 여유(Margin of Safety)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허용하중/실제하중 + 1
  2. 허용하중/실제하중 - 1
  3. 실제하중/허용하중 + 1
  4. 실제하중/허용하중 - 1
(정답률: 54%)
  • 안전 여유는 구조물이나 장비 등이 예상되는 최대 하중을 견딜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입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허용하중과 실제하중을 비교해야 합니다.

    허용하중은 구조물이나 장비 등이 설계되어서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을 말합니다. 이에 비해 실제하중은 실제로 구조물이나 장비 등에 가해지는 하중을 말합니다.

    따라서, 안전 여유를 구하는 식은 "허용하중/실제하중 - 1"이 됩니다. 이는 실제하중이 허용하중보다 작을 경우에는 양수가 되어 안전 여유가 얼마나 있는지를 나타내고, 실제하중이 허용하중보다 클 경우에는 음수가 되어 구조물이나 장비 등이 안전한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항공기체

41. 다음 중 날개보(Wing spa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공기 역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날개 단면의 형태를 유지해준다.
  2. 날개에 작용하는 대부분의 하중을 담당하며 날개와 동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구실을 한다.
  3. 날개의 양력을 감소시키며 기체의 횡 방향 운동을 일으킨다.
  4. 날개의 비틀림 하중을 감당하기 위해 날개코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보강재 이다.
(정답률: 60%)
  • 날개보는 날개에 작용하는 대부분의 하중을 담당하며 날개와 동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구실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과 같이 항공기 부재에 크기가 같고 장향이 반대인 50N 의 두 힘이 수직거리가 10 m 만큼 떨어져 작용하고 있다면 이러한 짝힘(Couple Force)에 의한 모멘트는 몇 N-m 인가?

  1. 250
  2. 500
  3. 2500
  4. 5000
(정답률: 63%)
  • 두 힘이 수직거리 10m 만큼 떨어져 있으므로, 이 두 힘에 의한 모멘트는 각각 M1 = 50N × 10m = 500 N-m, M2 = -50N × 10m = -500 N-m 이다. 이때, 두 모멘트의 합은 M1 + M2 = 500 N-m - 500 N-m = 0 이므로, 이 짝힘에 의한 모멘트는 0 N-m 이다. 따라서 정답은 500이 아닌 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헬리콥터의 동력전달장치에서 기관의 동력을 회전날개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는?

  1. 구동축
  2. 변속기
  3. 클러치
  4. 기어박스
(정답률: 52%)
  • 헬리콥터의 동력전달장치에서는 기관의 동력을 회전날개에 전달하기 위해 클러치가 사용됩니다. 클러치는 기관과 회전날개 사이에 위치하여 기관의 동력을 회전날개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클러치가 없으면 기관의 동력을 회전날개에 전달할 수 없으므로 헬리콥터가 비행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앞착륙장치에서 불안전한 진동현상을 방지하는 장치는?

  1. 시미댐퍼
  2. 센터링 캠
  3. 바이패스 밸브
  4. 안전 스위치
(정답률: 82%)
  • 앞착륙장치에서 발생하는 불안정한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는 시미댐퍼입니다. 시미댐퍼는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안정적인 착륙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앞착륙장치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시미댐퍼가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모노코크형(Monocoque Type) 동체의 구성요소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외피(Skin), 정형재(Former), 튜브(Tube)
  2. 외피(Skin), 정형재(Former), 벌크헤드(Bullkhead)
  3. 외피(Skin), 론저론(Longeron), 스트링어(Stringer)
  4. 프레임(Frame), 론저론(Longeron), 스트링어(Stringer)
(정답률: 76%)
  • 모노코크형 동체는 외부에서 받는 압력을 동체 전체가 분산시키는 구조로, 외피(Skin)는 동체의 외부를 덮는 부분으로 압력을 받아내는 역할을 하고, 정형재(Former)는 외피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벌크헤드(Bulkhead)는 동체 내부를 구획으로 나누어 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외피(Skin), 정형재(Former), 벌크헤드(Bulkhea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헬리콥터에서 전진비행은 어떤 조정 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지는가?

  1. 주기 조종간
  2. 동시피치레버
  3. 방향조종페달
  4. 플랩 작동 스위치
(정답률: 65%)
  • 헬리콥터에서 전진비행은 주기 조종간에 의해서 이루어집니다. 주기 조종간은 메인 로터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헬리콥터의 전진 방향으로 공기를 밀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헬리콥터는 전진비행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금속으로 된 헬리콥터의 회전날개 깃에서 깃의 뿌리에 부착되어 있어 깃이 받는 하중을 허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그립 플레이트
  2. 팁포켓
  3. 깃 얼라이먼트핀
  4. 트림태브
(정답률: 38%)
  • 그립 플레이트는 회전날개 깃의 뿌리에 부착되어 깃이 받는 하중을 허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그립 플레이트가 깃과 허브 사이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립 플레이트가 정답입니다. 팁포켓은 회전날개 깃의 끝 부분에 위치한 작은 주머니로, 추가적인 부하를 담당합니다. 깃 얼라이먼트핀은 깃의 위치를 정확히 조정하기 위한 핀으로, 회전날개 깃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트림태브는 회전날개 깃의 각도를 조절하여 비행 중에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지름 2cm 인 원형 단면봉에 3000kgf 의 인장하중이 작용할 때 단면에서의 응력은 약 몇 kgf/cm2 인가?

  1. 477
  2. 750
  3. 955
  4. 1910
(정답률: 43%)
  • 원형 단면봉의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A = frac{pi d^2}{4}$

    여기서 $d$는 지름입니다. 따라서,

    $A = frac{pi times 2^2}{4} = pi$ (단위: $cm^2$)

    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sigma = frac{F}{A}$

    여기서 $F$는 인장하중입니다. 따라서,

    $sigma = frac{3000}{pi} approx 955$ (단위: $kgf/cm^2$)

    따라서 정답은 "95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과 같은 철강재료 식별 표시에서 각각의 표시와 의미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SAE - 미국 철강협회 규격
  2. 1 - 탄소강
  3. 0 - 5대 기본원소 이외의 합금 원소가 없음
  4. 25- 탄소 0.25% 함유
(정답률: 64%)
  • 정답은 "JIS - 일본 산업규격"과 "0 - 5대 기본원소 이외의 합금 원소가 없음"입니다. JIS는 일본 산업규격을 나타내는데, 이는 미국 철강협회 규격인 SAE와는 다른 규격입니다. 따라서 "SAE - 미국 철강협회 규격"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항공기의 구조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한 소재로 제작하였을 때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많은 화물을 수용할 수 있다.
  2.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다.
  3. 경제적인 동력장치의 선정이 가능하다.
  4. 연료소비 효율이 감소하여 운항경비가 감소한다.
(정답률: 60%)
  • 연료소비 효율이 감소하여 운항경비가 감소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항공기의 구조무게를 가볍게 하면 연료소비 효율은 향상되지만, 이로 인해 운항경비가 감소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구조무게를 가볍게 하면 소모되는 연료의 양이 줄어들어 운항경비가 증가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조종케이블의 방향을 바꿀때 사용되는 구성품은?

  1. 턴버클
  2. 풀리
  3. 페어리드
  4. 케이블 컨넥터
(정답률: 50%)
  • 조종케이블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연결 방향을 바꿔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구성품은 풀리입니다. 풀리는 케이블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부품으로, 케이블을 끼우고 회전시켜 연결 방향을 바꿀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종케이블의 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항공기 위치표시 방식 중 동체 버턱선을 나타내는 것은?

  1. BBL
  2. BWL
  3. FS
  4. WS
(정답률: 55%)
  • 동체 버턱선은 항공기의 몸통 부분에서 위아래로 나뉘는 가상의 선으로, 항공기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위쪽에 위치한 부분은 상부 동체 버턱선(BBL)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BBL이 항공기 위치표시 방식 중 동체 버턱선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재료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금속을 높은 온도로 가열했다가 물이나 기름에서 급랭시키는 열처리 방법은?

  1. 담금질
  2. 뜨임
  3. 풀림
  4. 불림
(정답률: 82%)
  • 담금질은 금속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결정 구조를 세밀하게 만들고, 물이나 기름에서 급격히 냉각시켜 강도를 증가시키는 열처리 방법입니다. 이는 금속 내부의 결정 구조를 세밀하게 만들어서 결함이 적고 강도가 높은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항공기 조종계통에 사용되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조종드럼
  2. 데릭붐
  3. 쿼드런트
  4. 트림감각장치
(정답률: 61%)
  • 데릭붐은 항공기 조종계통에 사용되는 장치가 아닙니다. 데릭붐은 선박에서 사용되는 장치로, 선박의 방향을 조절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도면에서 부식이 발생한 곳은?

  1. 리브(Rib)와 근접한 부분
  2. 날개골(Airfoil)과 근접한 부분
  3. 세로대(Longeron)와 근접한 부분
  4. 스트링거(Stringer)와 근접한 부분
(정답률: 60%)
  • 도면에서 보이는 부식은 스트링거와 근접한 부분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스트링거는 비행기의 구조물 중 하나로, 날개나 몸통 등의 외부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스트링거와 근접한 부분에서 부식이 발생하면 비행기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헬리콥터가 전진비행을 할 때 수평안정판이 하는 역할로 옳은 것은?

  1. 주 회전날개의 수평을 유지시킨다.
  2. 꼬리회전날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3. 수평안정판의 공기력이 아래로 작용하여 수평을 유지시킨다.
  4. 수평안정판의 회전력으로 헬리콥터의 회전을 방지한다.
(정답률: 58%)
  • 헬리콥터가 전진비행을 할 때는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으로 공기가 밀려오게 됩니다. 이때 수평안정판은 공기력이 아래로 작용하여 수평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헬리콥터가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항공기의 재료로 쓰이는 가장 가벼운 금속으로 전연성, 절삭성이 우수한 것은?

  1. 알루미늄
  2. 티탄
  3. 마그네슘
  4. 니켈
(정답률: 58%)
  • 마그네슘은 알루미늄보다 더 가벼우면서도 전기전도성과 열전도성이 높아 항공기의 재료로 적합합니다. 또한 절삭성이 우수하여 가공이 용이하며, 강도와 경도가 높아서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복합 소재 중 사용 온도 범위가 가장 넓은 것은?

  1. FRP
  2. FRM
  3. FRC
  4. C/C 복합재
(정답률: 62%)
  • C/C 복합재는 탄소 섬유 강화 탄소 복합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고온에서도 높은 강도와 내열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 온도 범위가 가장 넓습니다. FRP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어 고온에서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며, FRM과 FRC는 각각 금속과 콘크리트와 같은 재료와 결합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될 때보다는 사용 온도 범위가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급속의 기계적 성질 중 외부에서 힘을 받았을 때 물체가 소송 변형을 거의 보이지 아니하고 파괴되는 현상은?

  1. 인성
  2. 전성
  3. 취성
  4. 연성
(정답률: 74%)
  • 취성은 급속한 충격이나 외부 힘에 대해 물체가 소성 변형을 거의 보이지 않고 바로 파괴되는 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외부에서 힘을 받았을 때 물체가 소성 변형을 거의 보이지 아니하고 파괴되는 현상"이 취성에 해당하므로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보기]는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열변형 원리
  2. 훅의 법칙
  3. 파스칼 원리
  4. 관성의 법칙
(정답률: 58%)
  • 보기에서 "훅의 법칙"은 탄성력과 관련된 법칙으로, 물체에 작용하는 탄성력은 그 물체가 변형된 크기에 비례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즉, 물체가 변형될 때 그 크기에 따라 작용하는 힘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