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3-08)

전자계산기기사
(2015-03-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시스템 프로그래밍

1. 의사 코드 명령(Pseudo Instru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셈블러가 원시 프로그램을 번역할 때 어셈블러에게 필요한 작업을 지시하는 명령이다.
  2. 어셈블러 명령(Assembler Instruction)이라고도 한다.
  3. 데이터 정의, 세그먼트와 프로시저 정의, 매크로 정의, 세그먼트 레지스터 할당, 리스트 파일의 지정 등을 지시할 수 있다.
  4. 어셈블리어 명령과 같이 기계어로 번역된다.
(정답률: 57%)
  • 정답은 "어셈블리어 명령과 같이 기계어로 번역된다."가 아니다.

    의사 코드 명령은 어셈블러가 원시 프로그램을 번역할 때 어셈블러에게 필요한 작업을 지시하는 명령이다. 이 명령은 어셈블러 명령(Assembler Instruction)이라고도 불린다. 데이터 정의, 세그먼트와 프로시저 정의, 매크로 정의, 세그먼트 레지스터 할당, 리스트 파일의 지정 등을 지시할 수 있다.

    하지만 의사 코드 명령은 어셈블리어 명령과 같이 기계어로 번역되지 않는다. 대신 어셈블러가 이 명령을 해석하여 기계어 코드를 생성한다. 따라서 의사 코드 명령은 어셈블리어 명령과는 구분되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매크로는 "MACRO"라는 어셈블리어 명령으로 정의한다. 매크로 정의의 마지막을 의미하는 것은?

  1. END
  2. MEND
  3. ENDM
  4. INCR
(정답률: 60%)
  • 매크로 정의의 마지막을 의미하는 것은 "MEND"이다. "MEND"는 "MACRO END"의 약자로, 매크로 정의의 끝을 나타내는 명령어이다. "MEND"를 사용하여 매크로 정의를 마치면, 이후에는 매크로를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END"나 "ENDM"은 어셈블리어에서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예약어이므로, 매크로 정의의 마지막을 나타내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INCR"은 매크로와는 관련이 없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디렉토리 구조는?

  1. 일반적인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
  2. 1단계 디렉토리 구조
  3. 2단계 디렉토리 구조
  4. 트리 디렉토리 구조
(정답률: 70%)
  • 정답: 트리 디렉토리 구조

    이유: 트리 디렉토리 구조는 하나의 루트 디렉토리에서 시작하여 하위 디렉토리가 계층적으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위의 그림에서도 루트 디렉토리인 "/"에서 시작하여 하위 디렉토리가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트리 디렉토리 구조가 정답이다.

    일반적인 그래프 디렉토리 구조는 디렉토리 간의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구조이며, 1단계 디렉토리 구조와 2단계 디렉토리 구조는 각각 하나의 디렉토리에 모든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모여있는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어셈블리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실행을 위하여 어셈블러를 통해 목적 프로그램으로 어셈블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다.
  2. CPU마다 사용되는 어셈블리어가 다를 수 있다.
  3. 프로그램에 기호화된 명령 및 주소를 사용한다.
  4. 명령 기능을 쉽게 연상할 수 있는 기호를 기계어와 1:1로 대응시켜 코드화한 기호 언어이다.
(정답률: 69%)
  • "실행을 위하여 어셈블러를 통해 목적 프로그램으로 어셈블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어셈블리어는 기계어와 1:1로 대응되는 기호 언어이기 때문에 컴퓨터가 직접 실행할 수 없다. 따라서 어셈블러를 통해 목적 프로그램으로 어셈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언어의 유효한 구조에 관한 규칙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yntax
  2. Compile
  3. DBMS
  4. Link
(정답률: 75%)
  • 언어의 유효한 구조에 관한 규칙을 Syntax라고 한다. Syntax는 컴파일러나 링커 등에서 사용되며, 코드의 구문이 올바른지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Syntax"이다. "Compile"은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DBMS"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의미하며, "Link"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결합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프로세스의 정의로 거리가 먼 것은?

  1.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
  2. 프로그램을 동일한 크기로 나눈 단위
  3. 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4. PCB를 가진 프로그램
(정답률: 53%)
  • 프로세스는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입니다. 프로그램을 동일한 크기로 나눈 단위라는 것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자원과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실행 가능한 코드의 단위를 말합니다. 이 단위는 운영체제에 의해 스케줄링되고, 메모리와 CPU 등의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됩니다. 따라서 프로세스는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이며, 프로그램을 동일한 크기로 나눈 단위입니다. "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나 "PCB를 가진 프로그램"은 프로세스의 특징이나 속성을 나타내는 것이지 프로세스의 정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어셈블러를 두 개의 패스(Pass)로 구성하는 이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기호를 정의하기 전에 사용할 수 있어 프로그램 작성이 쉽기 때문이다.
  2. 한 개보다 두 개의 패스가 처리속도 측면에서 빠르기 때문이다.
  3. 두 개의 패스가 프로그램을 작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4. 두 개의 패스가 메모리 사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답률: 82%)
  • 어셈블러를 두 개의 패스로 구성하는 이유는 "기호를 정의하기 전에 사용할 수 있어 프로그램 작성이 쉽기 때문이다." 이다. 첫 번째 패스에서는 기호를 정의하고, 두 번째 패스에서는 실제 기계어 코드를 생성하기 때문에, 기호를 사용한 코드를 작성할 때에도 미리 정의된 기호를 사용할 수 있어서 프로그램 작성이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라이브러리에 기억된 내용을 프로시저로 정의하여 서브루틴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그 내용을 현재의 프로그램 내에 포함시켜 주는 어셈블리어 명령은?

  1. CREF
  2. ORG
  3. INCLUDE
  4. EVEN
(정답률: 80%)
  • INCLUDE 명령은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코드를 현재의 프로그램에 포함시켜주는 명령입니다. 따라서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코드를 서브루틴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어셈블러에 의하여 독자적으로 번역된 여러 개의 목적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내장 함수들을 하나로 모아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linkage editor
  2. library program
  3. pseudo instruction
  4. reserved instruction set
(정답률: 68%)
  • linkage editor는 여러 개의 목적 프로그램과 내장 함수들을 하나로 모아서 실행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여러 개의 모듈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하나로 연결하여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반해 library program은 여러 개의 함수들을 묶어서 라이브러리로 제공하는 것이고, pseudo instruction은 가상의 명령어를 의미하며, reserved instruction set은 예약된 명령어 집합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일반적인 기능의 로더(general loader)에 가장 근접한 것은?

  1. absolute loader
  2. direct linking loader
  3. dynamic loading loader
  4. compile and go loader
(정답률: 66%)
  • "Direct linking loader"는 프로그램의 모듈들을 컴파일할 때, 다른 모듈들과의 연결 정보를 바로 주소값으로 처리하여 로드하는 로더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기능의 로더 중에서 가장 근접한 것이다. "Absolute loader"는 주소값이 고정된 프로그램을 로드하는 로더이고, "Dynamic loading loader"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필요한 모듈을 동적으로 로드하는 로더이다. "Compile and go loader"는 컴파일과 로드를 동시에 수행하는 로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어떤 기호적 이름에 상수값을 할당하는 어셈블리어 명령은?

  1. EQU
  2. ORG
  3. INCLUDE
  4. END
(정답률: 75%)
  • "EQU" 명령은 어셈블리어에서 기호적 이름에 상수값을 할당하는 명령이다. 이 명령을 사용하면 코드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상수값을 기호적 이름으로 정의하여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MAX_VALUE EQU 100"이라는 명령을 사용하면 코드에서 "100"이라는 상수값을 사용할 때마다 "MAX_VALUE"라는 기호적 이름을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코드를 이해하기 쉬워지고, 상수값을 변경할 때도 한 번에 모든 코드에서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어떤 프로세스가 아무리 기다려도 결코 발생하지 않을 사건을 기다리고 있을 때, 그 프로세스는 어떤 상태라고 볼 수 있는가?

  1. Deadlock
  2. Working Set
  3. Semaphore
  4. Critical Section
(정답률: 86%)
  • 정답: "Deadlock"

    Deadlock은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서로 상대방의 자원을 기다리며 무한정 대기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어떤 프로세스가 아무리 기다려도 발생하지 않을 사건을 기다리고 있을 때, 그 프로세스는 Deadlock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다른 프로세스들이 자원을 계속 사용하고 있어서 해당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자원을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Bench Mark Program이란?

  1. 저급 언어를 고급 언어로 변환시키는 프로그램
  2. 컴퓨터의 성능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3. 고급 언어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
  4. 컴퓨터 시스템을 초기화시키는 프로그램
(정답률: 73%)
  • Bench Mark Program은 컴퓨터의 성능을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너무 자주 페이지 교환이 일어나는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서 어떤 프로세스가 프로그램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페이지 교환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큰 경우를 의미하는 것은?

  1. locality
  2. thrashing
  3. working set
  4. spooling
(정답률: 68%)
  • "thrashing"은 페이지 교환에 소요되는 시간이 프로그램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더 큰 경우를 말한다. 이는 메모리에 적재된 페이지들이 너무 자주 교환되어 CPU가 실제 작업보다 페이지 교환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은 메모리 부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용량을 늘리거나 프로세스의 페이지 교환 빈도를 줄이는 등의 대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어셈블리어의 구성에서 명령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 또는 그것이 들어있는 주소나 기준 주소로부터 떨어져 있는 정도(offset)를 나타내는 부분은?

  1. 레이블부(Label part)
  2. 명령 코드부(Operation part)
  3. 오퍼랜드부(Operand part)
  4. 주석부(Command part)
(정답률: 78%)
  • 오퍼랜드부는 명령의 대상이 되는 데이터나 그것이 들어있는 주소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명령어가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나 주소를 지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부분이 명령어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므로 오퍼랜드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Loader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Allocation
  2. Loading
  3. Translation
  4. Linking
(정답률: 75%)
  • Loader의 주요 기능은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할당하고 로드하며, 필요한 경우 링킹을 수행하여 실행 가능한 형태로 만드는 것입니다. 따라서 "Allocation", "Loading", "Linking"은 Loader의 기능에 해당합니다. 반면에 "Translation"은 Loader의 기능이 아닙니다. Translation은 번역이라는 뜻으로, 프로그램 코드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 등의 다른 도구에서 수행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3개의 페이지 프레임을 갖는 시스템에서 페이지 참조 순서가 아래와 같다. FIFO 페이지 대치 알고리즘을 적용할 때 페이지 부재와 발생하는 총 횟수는?

  1. 10
  2. 12
  3. 13
  4. 15
(정답률: 53%)
  • FIFO 페이지 대치 알고리즘은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먼저 교체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페이지 참조 순서대로 페이지를 삽입하다가 페이지 프레임이 모두 차면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를 교체한다.

    초기에는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여 페이지 1, 2, 3이 차례로 삽입된다. 이후 페이지 1, 2, 3이 모두 페이지 프레임에 존재하므로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페이지 4가 삽입되면 페이지 프레임이 모두 차게 되므로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 1을 교체한다. 이후 페이지 5, 6, 7, 8, 9, 10이 차례로 삽입되면서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고, 페이지 프레임이 모두 차게 되면 다시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 2를 교체한다. 이후 페이지 11, 12, 13, 14, 15가 차례로 삽입되면서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고, 페이지 프레임이 모두 차게 되면 다시 가장 먼저 들어온 페이지 3을 교체한다.

    따라서 페이지 부재가 발생한 총 횟수는 12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해 주는 프로그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Editor
  2. Compiler
  3. Assembler
  4. Interpreter
(정답률: 58%)
  •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해 주는 프로그램은 Compiler, Assembler, Interpreter이다. Editor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수정하는 도구로, 번역 기능은 없다. 따라서 Editor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기계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종마다 기계어가 동일하므로 언어의 호환성이 높다.
  2.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이다.
  3. 0과 1의 2진수 형태로 표현된다.
  4. 수행 시간이 빠르다.
(정답률: 78%)
  • 기종마다 기계어가 동일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각각의 CPU(중앙처리장치)는 자신만의 기계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호환성이 높다는 것은 맞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인텔과 AMD의 CPU는 각각 다른 기계어를 사용하므로 호환성이 높다고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교착상태의 해결 방법 중 은행원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은?

  1. 회피 기법
  2. 예방 기법
  3. 발견 기법
  4. 회복 기법
(정답률: 80%)
  • 은행원 알고리즘은 회피 기법에 해당한다. 이는 교착 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미리 예측하여 회피하는 방법으로, 각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청할 때 다른 프로세스가 이미 해당 자원을 점유하고 있으면 대기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자원을 점유하지 않은 프로세스에게 우선적으로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를 통해 교착 상태를 예방하고, 자원 할당을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구조

21. 패리티 비트(parity bit)는 다음 중 어느 것과 가장 관련이 깊은가?

  1. 머신 체크(machine check)
  2. 프로그램 체크 인터럽트
  3. SVC 인터럽트
  4. 익스터널(external) 인터럽트
(정답률: 66%)
  • 패리티 비트는 데이터 전송 중에 오류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비트이다. 이와 관련하여 머신 체크(machine check)는 하드웨어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기능으로, 하드웨어에서 발생한 오류를 감지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머신 체크와 패리티 비트는 모두 데이터 전송 중에 오류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CPU에 두 개의 범용 레지스터와 하나의 상태 레지스터가 존재할 때 두 범용 레지스터의 값이 동일한지 조사하기 위한 방법으로 옳은 것은?(단, 그림에 보이는 상태 레지스터 내용을참조하시오.)

  1. 두 개의 레지스터의 내용을 뺀 후, Zero 여부를 조사한다.
  2. 두 개의 레지스터의 내용을 더한 후, Zero 여부를 조사한다.
  3. 두 개의 레지스터의 내용을 뺀 후, Overflow 여부를 조사한다.
  4. 두 개의 레지스터의 내용을 더한 후, Carry 여부를 조사한다.
(정답률: 56%)
  • 정답은 "두 개의 레지스터의 내용을 뺀 후, Zero 여부를 조사한다."이다. 이유는 두 개의 범용 레지스터의 값이 동일한지 조사해야 하므로, 두 레지스터의 값을 뺀 결과가 0이면 두 값이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Zero 여부를 조사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I/O 장치 인터페이스와 컴퓨터시스템 사이에 데이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장치는?

  1. I/O 장치 인터페이스
  2. I/O 버스
  3. I/O 제어기
  4. I/O 장치
(정답률: 66%)
  • I/O 제어기는 컴퓨터 시스템과 I/O 장치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데이터의 이동을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즉, I/O 장치와 컴퓨터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I/O 제어기는 I/O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I/O 버스를 사용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어합니다. 따라서 I/O 제어기가 없으면 I/O 장치와 컴퓨터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전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비수치 데이터에서 마스크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연산은?

  1. OR
  2. XOR
  3. AND
  4. NOT
(정답률: 74%)
  • 마스크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연산은 AND 연산입니다. AND 연산은 두 입력 값이 모두 참일 때만 출력 값이 참이 되므로, 마스크를 이용하여 1로 표시된 부분만 남기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0으로 만들어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컴퓨터의 메모리 용량이 16K × 32bit라 하면 MAR(Memory Address Register)와 MBR(Memory Buffer Register)은 각각 몇 비트인가?

  1. MAR: 12, MBR: 16
  2. MAR: 32, MBR: 14
  3. MAR: 12, MBR: 32
  4. MAR: 14, MBR: 32
(정답률: 55%)
  • MAR은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메모리 용량이 16K(2^14)이므로 MAR은 14비트여야 한다. MBR은 메모리에서 읽어온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메모리의 데이터는 32비트이므로 MBR도 32비트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MAR: 14, MBR: 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과 데이터 중에서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부분을 주기억장치로 옮길 때 부족한 주기억장치의 용량을 확장하기 위해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마치 주기억장치의 일부로 사용하는 것은?

  1. cache memory
  2. virtual memory
  3. auxiliary memory
  4. associative memory
(정답률: 68%)
  • 가장 간단하게 설명하면, 부족한 주기억장치 용량을 보조기억장치 일부를 이용해 확장하는 것을 가상 메모리라고 합니다. 즉,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더 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되며,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기 때문에 가상 메모리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DMA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PU를 거치지 않고 I/O와 메모리 사이 데이터를 직접 전송한다.
  2. 대량의 데이터를 저속으로 전송할 때 유리하다.
  3. 메모리 장치와 통신에서 CPU보다 우선권을 가지고 있다.
  4. 사이클스틸링 방식을 사용으로 CPU 상태의 보존이 필요없다.
(정답률: 68%)
  • "대량의 데이터를 저속으로 전송할 때 유리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DMA는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때 유리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10진수 3은 3-초과 코드(Excess-3 code)에서 어떻게 표현되는가?

  1. 0011
  2. 0110
  3. 0101
  4. 0100
(정답률: 72%)
  • 10진수 3은 3을 2진수로 표현하면 "0011"이 된다. 그러나 3-초과 코드에서는 각 자리수에 3을 더한 값을 2진수로 표현한다. 따라서 3에 3을 더한 값인 6을 2진수로 표현한 "011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10진수 741을 2진화 10진 코드(BCD code)로 표시하면?

  1. 0010 1110 0101
  2. 0111 0100 0001
  3. 0010 1111 0101
  4. 0111 0110 0001
(정답률: 83%)
  • BCD 코드는 10진수를 4비트씩 나누어 각각을 2진수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7, 4, 1을 각각 4비트씩 나누어 0111, 0100, 0001로 표현하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111 0100 0001"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10진수 741을 2진수로 변환한 결과이지만, BCD 코드로 표현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 단위를 8비트, 16비트, 32비트, 64비트 등으로 구분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크기를 결정하는 가장 대표적인 요소는?

  1. CPU내부 버스 크기
  2. 외부버스 크기
  3. ALU 크기
  4. 레지스터 크기
(정답률: 64%)
  • 레지스터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레지스터의 크기가 크면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이 많아지므로 연산 속도가 빨라집니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크기를 결정하는 가장 대표적인 요소는 레지스터 크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사용되는 레지스터는?

  1. PC(program counter)
  2. AC(accumulator)
  3. MBR(memory buffer register)
  4. MAR(memory address register)
(정답률: 64%)
  •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사용되는 레지스터는 PC(program counter)입니다. 이는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이 끝나면 다시 해당 주소부터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PC는 인터럽트 처리에 필수적인 레지스터입니다. AC(accumulator), MBR(memory buffer register), MAR(memory address register)는 인터럽트 처리에 필수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16진수 A4D를 8진수로 바꾸면?

  1. 5115
  2. 5116
  3. 1557
  4. 5118
(정답률: 71%)
  • 16진수 A4D를 10진수로 변환하면 10*16^2 + 4*16^1 + 13*16^0 = 2624 + 64 + 13 = 2701이 된다. 이를 8진수로 변환하면 5*8^3 + 1*8^2 + 1*8^1 + 5*8^0 = 2560 + 64 + 8 + 5 = 2637이 된다. 하지만 8진수에서는 8 이상의 숫자가 나오지 않으므로 2637을 10진수로 다시 변환한 후 8진수로 변환해야 한다. 2637을 8진수로 변환하면 5115가 되므로 정답은 "51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대칭적 다중프로세서(SM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능력이 비슷한 프로세서들로 구성됨
  2. 모든 프로세서들은 동등한 권한을 가짐
  3. 노드들 간의 통신은 message-passing 방식을 이용함
  4. 프로세서들이 기억장치와 I/O 장치들을 공유함
(정답률: 53%)
  • 노드들 간의 통신은 message-passing 방식을 이용함이 틀린 설명입니다. SMP에서는 프로세서들이 기억장치와 I/O 장치들을 공유하며, 이를 통해 노드들 간의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message-passing 방식은 분산형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페이징(paging)에 의한 메모리 주소를 매핑하는 방법으로 활용하는 형태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캐시 메모리
  2. 가상 메모리
  3. 연상 메모리
  4. 스택 메모리
(정답률: 29%)
  • 페이징(paging)에 의한 메모리 주소를 매핑하는 방법은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를 구현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가상 메모리는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메모리 공간을 물리적인 메모리보다 크게 할당하여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이때, 물리적인 메모리에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 페이지들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페이지들을 미리 가져와 캐시 메모리(cache memory)에 저장해 놓으면, 이후에 해당 페이지가 필요할 때 물리적인 메모리에서 가져오는 것보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페이징에 의한 메모리 주소 매핑 방법은 캐시 메모리를 활용하는 데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복수 개의 프로세서가 하나의 제어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며 주로 배열이나 벡터 처리에 적합한 구조로 높은 처리능력을 갖는 명령 및 데이터 스트림(stream) 처리기는?

  1. SISD
  2. SIMD
  3. MISD
  4. MIMD
(정답률: 73%)
  • SIMD는 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의 약자로, 하나의 명령어로 여러 개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말합니다. 따라서 배열이나 벡터 처리와 같은 반복적인 작업에 적합하며, 병렬 처리를 통해 높은 처리능력을 갖게 됩니다. 이에 반해 SISD는 하나의 프로세서가 하나의 명령어와 하나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조이며, MISD와 MIMD는 각각 여러 개의 명령어와 하나의 데이터, 여러 개의 명령어와 여러 개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중앙처리장치가 모든 명령어(instruction0의 종류에 관계없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상태는?

  1. 간접 사이클(indirect cycle)
  2. 인출 사이클(fetch cycle)
  3. 직접 사이클(direct cycle)
  4. 인터럽트 사이클(interrupt cycle)
(정답률: 78%)
  • 중앙처리장치가 모든 명령어를 실행하기 전에 먼저 해당 명령어를 메모리에서 가져와야 합니다. 이때 인출 사이클(fetch cycle)이 필요합니다. 인출 사이클은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가져와서 중앙처리장치 내부의 명령어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모든 명령어를 실행하기 전에 인출 사이클을 거쳐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컴퓨터를 구성하는 주변장치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는 특정 영역의 쓰기 횟수의 제한이 있어 빈번한 쓰기가 일어나는 환경에서는 내구성의 한계가 있다.
  2. 광학식 마우스는 볼의 회전 속도와 방향에 따라 X축과 Y축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roller에 의해서 위치를 감지한다.
  3. Touch screen은 화면내부나 근처에 손가락 접촉 감지 장치를 두어 전달되는 무게와 힘의 변화에 의해 접촉 위치를 계산하거나 적외선을 사용해서 위치를 파악한다.
  4. 컬러 스캐너는 영상에 빛을 비춰 각 점에 반사되는 빛의 강도를 감지해서 영상을 인식하는데 각 점의 색 성분을 삼원색으로 분리한다.
(정답률: 65%)
  • 광학식 마우스는 볼의 회전 속도와 방향에 따라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마우스 밑면에 위치한 광학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를 파악한다. 따라서 "광학식 마우스는 볼의 회전 속도와 방향에 따라 X축과 Y축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roller에 의해서 위치를 감지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데이터를 디스크에 분산 저장하는 기술로 데이터가 다수의 블록들로 이루어져 있을 때 블록들을 라운드 로빈(round-robin) 방식으로 디스크에 균등하게 분산 저장하는 것은?

  1. 페이징
  2. 블록킹
  3. 세그먼트
  4. 디스크 인터리빙
(정답률: 59%)
  • 디스크 인터리빙은 블록들을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디스크에 균등하게 분산 저장하는 기술이다. 이는 디스크의 헤드가 한 번에 한 블록만 읽을 수 있기 때문에, 블록들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디스크의 헤드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따라서 디스크 인터리빙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부동소수점 산술연산에서 나눗셈을 위한 과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레지스터를 초기화시키고 부호를 결정한다.
  2. 피젯수를 위치 조정한다.
  3. 지수는 덧셈을 행한다.
  4. 가수는 나눗셈을 행한다.
(정답률: 56%)
  • 정답은 "지수는 덧셈을 행한다."입니다.

    부동소수점 수는 가수와 지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나눗셈을 위한 과정에서는 가수를 나누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가수의 나눗셈을 행합니다. 하지만 지수는 나눗셈과는 무관하며, 따라서 나눗셈을 위한 과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지수는 나눗셈을 위한 과정 이전에 위치 조정을 위해 사용됩니다. 부동소수점 수는 소수점의 위치를 조정하여 정규화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때 지수를 이용하여 소수점의 위치를 조정합니다. 이후에는 가수의 나눗셈을 통해 나눗셈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입출력 장치와 기억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입출력 제어기가 필요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1. 동작 속도
  2. 인터럽트
  3. 정보의 단위
  4. 메모리의 관리
(정답률: 67%)
  • 입출력 장치와 기억장치는 각각 다른 속도로 동작하므로, 데이터 전송 시에는 이 두 장치 간의 속도 차이를 조절해주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입출력 제어기가 필요한데, 이 제어기는 입출력 장치와 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하여 시스템 전체의 동작 속도를 최적화합니다. 따라서 "동작 속도"가 입출력 제어기가 필요한 가장 중요한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마이크로전자계산기

41. 스택 작동 명령어의 번지 지정 방식은?

  1. 묵시적 기법(implied mode)
  2. 레지스터 기법(register mode)
  3. 상대 번지(relative addressing) 기법
  4. 실효 번지(effective addressing) 기법
(정답률: 57%)
  • 스택 작동 명령어에서는 명령어 자체가 스택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번지 지정 방식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묵시적 기법(implied mode)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어느 프로그램 중 0123 번지에 CALL A 명령이 있다. 이 CALL A를 수행한 후 PC에 기억된 값은? (단, 명령어의 길이는 8비트이다.)

  1. 0123
  2. 0124
  3. 0131
  4. 1300
(정답률: 68%)
  • CALL A 명령은 현재 PC 값을 스택에 저장하고, A 주소로 분기한다. 따라서 PC 값은 012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마이크로프로그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마이크로 인스트럭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제어장치에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
  3. 마이크로프로그램은 중앙처리장치에 기억된다.
  4. 대규모 집적회로의 이용이 가능해서 제어기의 비용이 절감된다.
(정답률: 50%)
  • 정답은 "마이크로프로그램은 중앙처리장치에 기억된다." 이다. 이유는 마이크로프로그램은 제어장치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처리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실행된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1K × 1 비트 용량의 RAM에 사용되는 어드레스 디코더의 입력 어드레스 라인의 개수는?

  1. 10
  2. 9
  3. 8
  4. 7
(정답률: 65%)
  • 1K × 1 비트 용량의 RAM은 1024 개의 비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주소화하기 위해서는 10 개의 비트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입력 어드레스 라인의 개수는 10 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주변장치에 대하여 isolated I/O 방식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동작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N, OUT 등의 특정한 I/O 명령어를 가진다.
  2. 메모리 전송인지 입출력 전송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별도의 분리된 제어선이 필요하다.
  3. 동일 어드레스가 메모리와 I/O 장치에 중복 사용될 수 있다.
  4. 메모리 요구 명령어로 I/O 장치요구 명령을 할 수 있다.
(정답률: 20%)
  • 정답은 "메모리 요구 명령어로 I/O 장치요구 명령을 할 수 있다."가 아닌 "동일 어드레스가 메모리와 I/O 장치에 중복 사용될 수 있다."이다.

    Isolated I/O 방식은 입출력 장치와 메모리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입출력 명령어는 IN, OUT 등의 특정한 I/O 명령어를 사용한다. 또한, 입출력 전송인지 메모리 전송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동일한 어드레스가 메모리와 I/O 장치에 중복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Direct Memory Access (DMA) 방식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DMA 방식에서는 입출력 장치가 직접 메모리에 접근하기 때문에, 메모리와 입출력 장치가 동일한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마이크로컴퓨터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다른 컴퓨터를 이용하여 타겟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의 시스템 및 응용소프트웨어 등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1. cross assembler
  2. debugger
  3. screen editor
  4. simulator
(정답률: 72%)
  • "cross assembler"는 다른 컴퓨터에서 작성된 소스 코드를 타겟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기계어 코드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타겟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의 시스템 및 응용소프트웨어 등을 개발할 때, 다른 컴퓨터에서 작성된 소스 코드를 "cross assembler"를 이용하여 타겟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기계어 코드로 변환할 수 있으므로, 개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CMOS형 IC의 특징은?

  1. 소비 전력이 크다.
  2. 잡음 여유도가 크다.
  3. P형이나 N형보다 공정이 간단하다.
  4. 전원 전압 범위가 적다.
(정답률: 50%)
  • CMOS형 IC의 특징 중 하나는 소비 전력이 적다는 것입니다. 이는 CMOS 기술이 전기적으로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에 반해, 잡음 여유도가 크다는 것은 CMOS 기술이 높은 잡음에도 불구하고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CMOS 기술이 높은 내부 잡음을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연계 편집 프로그램(linking editor)이 목적 프로그램을 입력으로 읽을 때 출력으로 생성하는 프로그램은?

  1. 로드 프로그램(load program)
  2. 유틸리티 프로그램(utility program)
  3. 매칭 프로그램(matching program)
  4. 서비스 프로그램(service program)
(정답률: 55%)
  • 연계 편집 프로그램은 여러 개의 소스 코드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때,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소스 코드 파일들을 메모리에 로드해야 합니다. 이를 담당하는 프로그램이 "로드 프로그램(load progra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로드 프로그램(load progr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자계산기의 제어 상태 중 명령을 인출하여 해독하는 단계인 Fetch State에 대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다. ( )안의 가, 나에 들어갈 내용이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가 - PC : 나 - PC ← PC + 1
  2. 가 - IR : 나 - IR ← IR + 1
  3. 가 - MBR : 나 - PC ← PC + 1
  4. 가 - PC : 나 - MAR ← PC + 1
(정답률: 52%)
  • Fetch State에서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PC(Program Counter)가 가리키고, 해당 주소에 있는 명령어를 인출하여 IR(Instruction Register)에 저장합니다. 그리고 PC를 1 증가시켜 다음 명령어를 가리키도록 합니다. 따라서 "가 - PC : 나 - PC ← PC + 1"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256×2램(RAM)으로 주소 (1000)16 ~ (17FF)16사이의 기억장치를 구성하려면, 필요한 램의 개수는? (단, 기억장치 한 번지는 8비트로 되어 있다.)

  1. 8
  2. 16
  3. 32
  4. 64
(정답률: 49%)
  • 256×2램은 총 512 바이트의 기억장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주소 (1000)16 ~ (17FF)16는 4096 바이트의 기억장치를 필요로 하므로, 512 바이트의 램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4096 바이트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4096 ÷ 512 = 8개의 램이 필요하다. 각 램은 256 바이트를 가지므로, 8개의 램이면 총 256×8 = 2048 바이트의 기억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4096 바이트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16개의 램이 필요하다. 하지만 256×2램은 한 개당 256 바이트를 가지므로, 16개의 램이면 총 256×16 = 4096 바이트의 기억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한 램의 개수는 "16"이 아니라 "3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누산기(accumulator)를 clear 하고자 할 때 사용하면 효과적인 명령어는?

  1. EX-OR
  2. SHIFT
  3. ROTATE
  4. EXCHANGE
(정답률: 53%)
  • EX-OR 명령어는 누산기의 모든 비트를 0으로 만들어 clear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EX-OR 연산은 두 비트가 서로 다를 때 1을 반환하므로, 누산기의 모든 비트를 0으로 만들기 위해 0으로 된 레지스터나 메모리와 EX-OR 연산을 수행하면 됩니다. SHIFT, ROTATE, EXCHANGE 명령어는 누산기를 clear하는 명령어가 아니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순서도는 일반적으로 표시되는 정보에 따라 종류를 크게 구분하게 되는데 다음 중 순서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시스템 순서도(system flowchart)
  2. 일반 순서도(general flowchart)
  3. 세부 순서도(detail flowchart)
  4. 실체 순서도(entity flowchart)
(정답률: 68%)
  • 정답: "일반 순서도(general flowchart)"

    일반 순서도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순서도로, 특정한 정보나 시스템에 대한 표현이 아니라 일반적인 프로세스나 절차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일반 순서도는 특정한 시스템이나 업무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반면에, 시스템 순서도는 특정한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그들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세부 순서도는 시스템 순서도에서 각 구성 요소의 상세한 동작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실체 순서도는 시스템이나 업무의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며, 데이터의 원천과 목적지, 그리고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일반적으로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라 할 때 그 길이가 8비트인 것은?

  1. 누산기(Accumulator)
  2. 프로그램 카운터(Program Counter)
  3. 스택 포인터(Stack Pointer)
  4. 어드레스 레지스터(Address Register)
(정답률: 47%)
  • 일반적으로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는 8비트 길이의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누산기(Accumulator)"가 정답입니다. 누산기는 데이터를 더하거나 빼는 등의 연산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며, 이러한 연산은 대개 8비트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프로그램 카운터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고, 스택 포인터는 함수 호출과 반환 등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영역을 가리키는 포인터입니다. 어드레스 레지스터는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마이크로컴퓨터를 구성하는 주요 버스가 아닌 것은?

  1. 검사 버스(test bus)
  2. 데이터 버스(data bus)
  3. 주소 버스(address bus)
  4. 제어 버스(control bus)
(정답률: 58%)
  • 검사 버스(test bus)는 마이크로컴퓨터의 구성 요소들을 테스트하고 디버깅하는 데 사용되는 버스이지만, 실제로 데이터, 주소,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주요 버스는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ontent Addressable 메모리이다.
  2. 전원이 끊어져도 메모리 상태는 지워지지 않는다.
  3. 주기적으로 메모리를 refresh 해야 한다.
  4. Dynamic Relocation이 용이한 메모리이다.
(정답률: 70%)
  • DRAM은 주기적으로 메모리를 refresh 해야 하는 이유는 충전된 전하가 시간이 지나면서 누설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누설로 인해 저장된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refresh를 해서 전하를 다시 충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데이터의 저장 명령으로부터 기억 장치에 저장하기 위하여 기억 장치에 데이터가 전송될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1. data transmission time
  2. access time
  3. seek time
  4. latency time
(정답률: 65%)
  • 저장 명령으로부터 기억 장치에 데이터가 전송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access time"이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과정에서의 다른 시간들을 측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가변 헤드 디스크(moving head disk)에서의 탐색(Seek) 시간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디스크의 초당 회전 시간을 말한다.
  2. 첫 번째 트랙에서 마지막 트랙까지 헤드를 옮기는 시간이다.
  3. 원하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실린더에 접근하기 위해서 헤드를 옮기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4. 트랙과 이웃 트랙까지 헤드를 옮기는 시간이다.
(정답률: 66%)
  • 원하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실린더에 접근하기 위해서 헤드를 옮기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이는 디스크의 회전 속도와는 관계가 없으며, 디스크의 물리적인 구조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가변 헤드 디스크에서의 탐색 시간은 고정 헤드 디스크보다 더 빠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입/출력 방법은?

  1. 메모리 맵에 의한 입/출력
  2. DMA에 의한 입/출력
  3. 인터럽트 제어에 의한 입/출력
  4. 프로그램 제어에 의한 입/출력
(정답률: 74%)
  • DMA(Direct Memory Access)는 입/출력 장치가 직접 메모리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입/출력 작업이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DMA에 의한 입/출력이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입/출력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CPU와 주변장치 사이의 입ㆍ출력 방법이 아닌 것은?

  1. Handshaking
  2. DMA
  3. Polling
  4. Load on Call
(정답률: 37%)
  • "Load on Call"은 입ㆍ출력 방법이 아니라 프로그램 실행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필요한 데이터를 미리 메모리에 로드해놓는 방식으로, 실행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CPU와 주변장치 사이의 입ㆍ출력 방법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MAR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프로그램 카운터의 일부이다.
  2. 프로그램 카운터와 관계 없다.
  3. 프로그램 카운터와 MAR의 기능은 전혀 다르다.
  4. 프로그램 카운터의 내용이 MAR로 전달된다.
(정답률: 58%)
  • MAR은 Memory Address Register의 약자로,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프로그램 카운터는 다음에 실행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카운터의 내용이 MAR로 전달되는 것은, 다음에 실행될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를 MAR에 전달하여 해당 주소에 있는 명령어를 가져오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CPU는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가져와 실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논리회로

61. 10진수 0.8125를 2진수로 변환한 것으로서 옳은 것은?

  1. 0.1011
  2. 0.1110
  3. 0.1001
  4. 0.1101
(정답률: 64%)
  • 0.8125를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0.8125를 2로 나눕니다.
    2. 몫은 다시 2로 나누고, 나머지는 0 또는 1로 기록합니다.
    3. 나누기를 반복하며 나머지를 기록합니다.
    4. 나머지를 역순으로 나열합니다.

    위 방법을 따라 계산하면 0.8125의 2진수는 0.1101입니다.

    0.8125 ÷ 2 = 0.40625 (나머지 1)
    0.40625 ÷ 2 = 0.203125 (나머지 0)
    0.203125 ÷ 2 = 0.1015625 (나머지 1)
    0.1015625 ÷ 2 = 0.05078125 (나머지 1)
    0.05078125 ÷ 2 = 0.025390625 (나머지 0)
    0.025390625 ÷ 2 = 0.0126953125 (나머지 1)
    0.0126953125 ÷ 2 = 0.00634765625 (나머지 0)
    0.00634765625 ÷ 2 = 0.003173828125 (나머지 1)

    나머지를 역순으로 나열하면 0.1101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16진수 FF를 10진수로 변환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244
  2. 245
  3. 254
  4. 255
(정답률: 78%)
  • 16진수 FF는 10진수로 255에 해당합니다. 이는 16진수에서 F가 15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6진수 FF를 10진수로 변환하면 25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순서 논리회로와 조합 논리회로에 모두 포함되는 것은?

  1. 플립플롭(flip-flop)
  2. 궤환(feedback)
  3. 상태(state)
  4. 논리 게이트(logic gate)
(정답률: 62%)
  • 논리 게이트는 순서 논리회로와 조합 논리회로 모두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논리 요소이다. 논리 게이트는 입력 신호를 받아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를 통해 논리적인 계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논리 게이트는 순서 논리회로에서는 플립플롭과 같은 상태 요소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고, 조합 논리회로에서는 논리적인 계산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디지털 IC의 내부 오류(internal fault)가 아닌 것은?

  1. 두 핀간의 단락
  2. 입출력의 개방
  3. 신호 라인의 개방
  4. 입출력의 Vcc 또는 접지와의 단락
(정답률: 50%)
  • 신호 라인의 개방은 디지털 IC의 내부 오류가 아닌 것이다. 이는 신호 라인이 외부 요인에 의해 끊어졌을 때 발생하는 문제로, IC 자체의 결함이 아니라 외부 연결 상태에 의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는 디지털 IC의 내부 오류가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에 주어진 상태도를 순차 논리 회로로 구현하고자 한다. JK 플립플롭의 입력 논리식은?

  1. J=Q, K=A'
  2. J=A, K=A
  3. J=A', K=A'
  4. J=A', K=A
(정답률: 40%)
  • 주어진 상태도를 보면, Q의 현재 상태가 0이고 A가 1인 상태에서, 클럭 신호가 도달하면 Q의 상태가 1로 바뀌고, A가 0이 된다. 이를 JK 플립플롭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J 입력이 Q의 상태가 0일 때 1이 되어야 하고, K 입력이 Q의 상태가 1일 때 1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J=A' (Q의 상태가 0일 때 A의 반대값)이 되고, K=A (Q의 상태가 1일 때 A와 같은 값)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J=A', K=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제어논리 설계방법 중 한 상태마다 한 플립플롭을 쓰는 방법(a flip-flop/state)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완전한 순차회로를 만드는데 필요한 조합회로가 감소한다.
  2. 회로가 동작하는 단순성이 증가한다.
  3. 설계의 노력이 절감되나 단가가 높아진다.
  4. 변경해야 할 상황이 발생했을 때 재배선을 해야한다.
(정답률: 29%)
  • 설계의 노력이 절감되나 단가가 높아진다는 것은, 한 상태마다 한 플립플롭을 사용하면 회로의 복잡도가 감소하여 설계하는 데 필요한 노력이 줄어들지만, 플립플롭의 개수가 증가하므로 단가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장점이 아닌 단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정보 전송시에 발생하는 오류의 검색이 용이하도록 된 7bit 코드는?

  1. excess-three
  2. biquinary
  3. 8421
  4. BCD
(정답률: 61%)
  • 7bit 코드는 2의 제곱수인 128개의 가능한 값 중에서 7개의 비트만 사용하여 표현하는 코드이다. 이 중에서 오류 검색이 용이하도록 설계된 코드는 "biquinary"이다. 이 코드는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수가 아니라, 0과 5로 이루어진 5진수를 이용하여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표현한다. 이진수와 달리 이 코드에서는 한 비트의 오류가 전체 값을 크게 바꾸지 않으며, 오류 검출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논리회로의 논리식으로 옳은 것은?

  1. X=AB
  2. X=A+B
  3. X=A'+B
  4. X=AB'
(정답률: 54%)
  •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로 이루어진 논리회로이다. A와 B가 AND 게이트에 입력되어 AB가 출력되고, A와 B가 OR 게이트에 입력되어 A+B가 출력된다. 따라서 전체 논리회로의 출력은 X=A+B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영어의 대소문자 52가지와 숫자 0부터 9를 표현하려면 최소한 몇 비트가 필요한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72%)
  • 영어 대소문자 52개와 숫자 0부터 9까지 총 62개의 문자를 표현하려면, 2의 몇 제곱수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2의 6제곱은 64이므로, 최소한 6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한 개의 입력과 최대 2n 개의 출력 및 n 개의 선택 선으로 구성된 조합논리회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인코더
  2. 3상 버퍼
  3. 멀티플렉서
  4. 디멀티플렉서
(정답률: 58%)
  • 디멀티플렉서는 하나의 입력에 대해 최대 2n 개의 출력을 가지며, n 개의 선택 선을 통해 출력을 선택하는 조합논리회로이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디멀티플렉서가 가장 적합한 답이다. 인코더는 입력 신호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회로이고, 3상 버퍼는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회로이며, 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A⋅B'+B+A⋅C 를 간단히 하면?

  1. A+B
  2. A'+B
  3. A+B'
  4. A'+B'
(정답률: 39%)
  • A⋅B'+B+A⋅C를 간단히 하면 A⋅B'+A⋅C+B이다. 이를 다시 A(B'+C)+B로 정리할 수 있는데, 이는 A+B'와 같다. 따라서 정답은 "A+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그림과 같은 논리게이트의 출력은?

  1. A + B + C + D
  2. (A + B)+ CD
  3. AB + (C + D)
  4. AB + CD
(정답률: 70%)
  • 이 그림은 OR 게이트와 AND 게이트가 결합된 형태의 논리회로이다. OR 게이트의 입력 A와 B는 OR 게이트의 출력으로 연결되고, 입력 C와 D는 AND 게이트의 입력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출력은 OR 게이트의 출력과 AND 게이트의 출력이 AND 연산되어 결정된다. OR 게이트의 출력은 A와 B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1이 되고, AND 게이트의 출력은 C와 D가 모두 1일 때 1이 된다. 따라서 출력은 AB + CD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디코더의 출력선이 8개라면 입력선은 몇 개인가?

  1. 4개
  2. 3개
  3. 2개
  4. 1개
(정답률: 70%)
  • 디코더의 출력선이 8개라면 입력선은 3개이다. 이는 2의 3승이 8이기 때문이다. 즉, 입력선이 하나씩 증가할 때마다 출력선은 2배씩 증가한다. 따라서 2의 거듭제곱 수를 구하는 것으로 입력선의 개수를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과 같은 구성도는 어떤 플립플롭인가?

  1. RST 플립플롭
  2. JK 플립플롭
  3. D 플립플롭
  4. T 플립플롭
(정답률: 65%)
  • 그림에서는 D 플립플롭의 구성요소들이 보이고, D 플립플롭은 데이터 입력과 클럭 입력을 받아서 출력을 결정하는 플립플롭이기 때문에 정답은 D 플립플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논리군 중에서 게이트 당 소모 전력(mW)이 가장 적은 것은?

  1. CMOS
  2. MOS
  3. TTL
  4. R시
(정답률: 57%)
  • 정답은 "CMOS"입니다.

    CMOS는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약자로,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을 이용한 논리회로입니다. MOSFET은 전력 소모가 적고,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가지기 때문에 게이트 당 소모 전력이 가장 적습니다.

    반면에 MOS는 MOSFET을 이용한 논리회로이지만, CMOS보다 전력 소모가 높습니다.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논리회로로, 전력 소모가 높아 CMOS보다 소모 전력이 많습니다. R시는 레지스터 전송 논리회로로, CMOS나 TTL보다 전력 소모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1"이 연속으로 4개 들어올 때마다 출력을 "1"로 해주는 순서논리회로를 설계하고자 한다. JK플립플롭을 사용할 경우 최소 몇 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한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37%)
  • JK플립플롭은 현재 상태와 입력값에 따라서 출력값을 결정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1"이 연속으로 4개 들어올 때마다 출력을 "1"로 해주는 순서논리회로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이전 상태를 기억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JK플립플롭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JK플립플롭 하나로는 이전 상태를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최소 두 개의 JK플립플롭이 필요하다. 하나는 현재 상태를 기억하고, 다른 하나는 이전 상태를 기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제 "1"이 연속으로 4개 들어올 때마다 출력을 "1"로 해주는 순서논리회로를 설계해보자. 먼저, 두 개의 JK플립플롭을 사용하여 현재 상태와 이전 상태를 기억한다. 그리고 입력값이 "1"인 경우에는 현재 상태와 이전 상태가 모두 "1"인지 확인한다. 만약 그렇다면 출력을 "1"로 설정하고, 그렇지 않다면 출력을 "0"으로 설정한다. 이렇게 하면 "1"이 연속으로 4개 들어올 때마다 출력이 "1"로 설정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출력이 "0"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최소 두 개의 JK플립플롭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병렬 가산기(Parallel Adder)의 동작을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1. 2진수 각 자리의 덧셈을 2자리씩 끊어서 행하는 동작을 한다.
  2. 2진수 각 자리의 덧셈을 4자리씩 끊어서 행하는 동작을 한다.
  3. 2진수 각 자리의 덧셈을 동시에 행하여 그 답을 내는 동작을 한다.
  4. 반가산기를 병렬로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동작은 2자리씩 끊어서 행한다.
(정답률: 41%)
  • 병렬 가산기는 입력된 두 개의 2진수를 각 자리별로 동시에 덧셈하여 그 답을 내는 동작을 합니다. 따라서 "2진수 각 자리의 덧셈을 동시에 행하여 그 답을 내는 동작을 한다."가 올바른 표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2진수를 끊어서 덧셈을 하는 방식이나 반가산기를 병렬로 접속하여 구성하는 방식 등으로 병렬 가산기의 동작 방식과는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2진수 (0101)2의 3초과 코드 값은?

  1. 0111
  2. 0110
  3. 1001
  4. 1000
(정답률: 64%)
  • 2진수 (0101)2의 3초과 코드 값은 "1000"입니다. 이유는 2진수 (0101)2를 4비트로 표현하면 "0101"이 되는데, 이 중에서 3번째 비트는 0입니다. 따라서 3초과 코드 값은 1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이에 해당하는 보기는 "1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가산기 구성 요소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반가산기 1개, AND 게이트 1개
  2. 반가산기 2개, OR 게이트 1개
  3. 반가산기 1개, AND 게이트 2개
  4. 반가산기 2개, OR 게이트 2개
(정답률: 75%)
  • 전가산기는 입력으로 2개의 이진수와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자리올림 값을 받아서, 각 자리별로 덧셈과 자리올림을 계산하여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반가산기는 덧셈만 가능하고 자리올림을 계산하지 못하는 반면,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 회로입니다.

    따라서 전가산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각 자리별로 덧셈과 자리올림을 계산할 수 있는 반가산기가 필요합니다. 또한, 이전 단계에서 전달된 자리올림 값을 고려하여 자리올림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OR 게이트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반가산기 2개, OR 게이트 1개"가 가장 적절한 구성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불 대수의 정리 중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56%)
  • ""이 옳지 않은 것은 논리곱과 논리합의 분배 법칙이 아니라, 논리곱과 논리합의 결합 법칙이다. 논리곱과 논리합의 결합 법칙은 A∨(B∨C) = (A∨B)∨C, A∧(B∧C) = (A∧B)∧C와 같이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데이터통신

81. 다음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잡음에 대한 설명이다. 어떤 잡음에 대한 설명인가?

  1. 열잡음
  2. 누화잡음
  3. 충격잡음
  4. 상호변조 잡음
(정답률: 61%)
  • 이 그래프는 시간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데, 갑작스러운 큰 전압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큰 전압 변화는 충격잡음으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피기백(piggyback) 응답이란 무엇인가?

  1. 송신측이 대기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낸 테스터 프레임용 응답을 말한다.
  2. 송신측이 일정한 시간 안에 수신측으로부터 ACK가 없으면 오류로 간주하는 것이다.
  3. 수신측이 별도의 ACK를 보내지 않고 상대편으로 향하는 데이터 전문을 이용하여 응답하는 것이다.
  4. 수신측이 오류를 검출한 후 재전송을 위한 프레임 번호를 알려주는 응답이다.
(정답률: 62%)
  • 피기백(piggyback) 응답은 수신측이 별도의 ACK를 보내지 않고 상대편으로 향하는 데이터 전문을 이용하여 응답하는 것이다. 즉, 데이터 전송과 동시에 ACK를 함께 전송하여 대기시간을 줄이고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자동재전송요청(ARQ) 기법 중 데이터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전송해 나가다가 NAK를 수신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에 전송된 모든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것은?

  1. Selective-Repeat
  2. Stop-and-wait
  3. Go-back-N
  4. Turbo Code
(정답률: 71%)
  • Go-back-N은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 이후에 전송된 모든 데이터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ARQ 기법으로, 다른 ARQ 기법인 Selective-Repeat는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만 재전송하고, Stop-and-wait는 한 번에 하나의 프레임만 전송하고 수신 확인을 받아야 다음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Turbo Code는 오류 정정 기능을 강화한 채널 부호화 기법으로 ARQ 기법이 아니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디지털 전송 신호의 부호화 방식은?

  1. Alternating Mark Inversion 코드
  2. Manchester 코드
  3. Bipolar 코드
  4. Non Return to Zero 코드
(정답률: 71%)
  • Manchester 코드는 0과 1을 각각의 시간 구간에서 전압의 상승과 하강으로 표현하는 부호화 방식이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는 0과 1이 번갈아가며 전압의 상승과 하강으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Manchester 코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다중화 방식은?

  1. 주파수 분할 다중화
  2.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3. 코드 분할 다중화
  4. 파장 분할 다중화
(정답률: 68%)
  • 이 그림은 시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각 시간마다 다른 사용자에게 접속 기회를 부여하는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 방식을 보여줍니다. 즉, 시간을 분할하여 각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할 수 없으므로 시간을 나누어 순차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표에서 A, B, C, D 문자 전송 시 수직 짝수 패리티 비트 검사에서 패리티 비트 값이 옳은 문자는?

  1. A
  2. B
  3. C
  4. D
(정답률: 78%)
  • 패리티 비트 검사에서는 전송할 데이터의 비트 중에서 1의 개수가 홀수인지 짝수인지를 검사하여, 짝수 패리티 비트는 1의 개수가 홀수일 때 1이 되고, 홀수 패리티 비트는 1의 개수가 짝수일 때 1이 된다.

    A 문자의 경우, 1의 개수가 2개이므로 짝수 패리티 비트는 1이 되어야 하지만, 표에서는 0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옳지 않다.

    B 문자의 경우, 1의 개수가 3개이므로 홀수 패리티 비트는 1이 되어야 하지만, 표에서는 0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옳지 않다.

    C 문자의 경우, 1의 개수가 4개이므로 짝수 패리티 비트는 0이 되어야 하고, 표에서도 0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옳다.

    D 문자의 경우, 1의 개수가 1개이므로 홀수 패리티 비트는 0이 되어야 하지만, 표에서는 1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옳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HDLC 프레임 형식 중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정보영역
  2. 제어영역
  3. 주소영역
  4. 플래그
(정답률: 29%)
  • HDLC 프레임 형식에서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제어영역입니다. 제어영역은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플래그와 함께 전송 제어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를 통해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어영역은 HDLC 프로토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점-대-점 링크뿐만 아니라 멀티 포인트 링크를 위하여 ISO에서 개발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은?

  1. HDLC(High Level Data Link Control)
  2. BSC(Binary Synchronous Control)
  3. SWFC(Sliding Window Flow Control)
  4. LLC(Logic Link Control)
(정답률: 68%)
  • HDLC는 점-대-점 링크뿐만 아니라 멀티 포인트 링크를 위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이다. 이는 다중 접속 환경에서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데이터 전송 중 오류 검출 및 복구,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멀티 포인트 링크를 위한 국제 표준 프로토콜로 HDLC가 선택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IP addres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5개의 클래스(A, B, C, D, E)로 분류되어 있다.
  2. A, B, C 클래스만이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 체계의 구조를 가진다.
  3. D 클래스 주소는 멀티캐스팅(multicasting)을 사용하기 위해 예약되어 있다.
  4. E 클랙스는 실험적 주소로 공용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63%)
  • E 클래스는 실험적 주소로 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예약되어 있지만 사용되지 않는 주소 범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양자화 잡음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PAM 펄스의 아날로그 값을 양자화 잡음이라 한다.
  2. PAM 펄스의 디지털 값은 양자화 잡음이라 한다.
  3. PAM 펄스의 아날로그 값과 양자화된 PCM 펄스의 디지털 값의 합을 양자화 잡음이라 한다.
  4. PAM 펄스의 아날로그 값과 양자화된 PCM 펄스의 디지털 값의 차이를 양자화 잡음이라 한다.
(정답률: 50%)
  • 양자화 잡음은 PAM 펄스의 아날로그 값과 양자화된 PCM 펄스의 디지털 값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즉, 아날로그 값과 디지털 값 사이의 오차로 인해 발생하는 잡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AM 펄스의 아날로그 값과 양자화된 PCM 펄스의 디지털 값의 차이를 양자화 잡음이라 한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조방식은?

  1. ASK
  2. PSK
  3. PCM
  4. F나
(정답률: 66%)
  •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조 방식 중에 PCM은 Pulse Code Modulation의 약자로,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각 샘플마다 해당하는 아날로그 신호의 크기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정확하고 안정적인 디지털 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서 음성 및 영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PCM이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경로 지정 방식에서 각 노드에 도착하는 패킷을 자신을 제외한 다른 모든 것을 복사하여 전송하는 방식은?

  1. 고정 경로 방식
  2. 플러딩
  3. 임의 경로 방식
  4. 적응 경로 방식
(정답률: 62%)
  • 플러딩은 모든 노드에게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목적지를 모르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각 노드는 자신을 제외한 모든 노드에게 패킷을 전송하므로,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패킷이 전체 네트워크를 퍼져나가게 됩니다. 이 방식은 목적지를 찾을 수 없는 경우에도 패킷이 전송될 가능성이 높아서 신뢰성이 높지만, 네트워크 대역폭을 낭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주파수 분할 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사람의 음성이나 데이터가 아날로그 형태로 전송된다.
  2. 인접채널 사이의 간섭을 막기 위해 보호대역을 둔다.
  3. 터미널의 수가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4. 주로 유선방송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정답률: 72%)
  • 주파수 분할 방식은 통신 채널을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여 각 채널마다 고유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터미널의 수가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은 채널의 수가 유연하게 조절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통신 환경이 변화할 때 채널 수를 적절히 조절하여 최적의 통신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IPv4에서 IPv6로 천이하는데 사용되는 IETF에서 고안한 천이 전략 3가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Dual Stack
  2. Tunneling
  3. Header Translation
  4. IP Control
(정답률: 53%)
  • IP Control은 IETF에서 고안한 천이 전략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Dual Stack은 IPv4와 IPv6를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 Tunneling은 IPv6 패킷을 IPv4 패킷에 실어서 전송하는 방법, Header Translation은 IPv4 패킷 헤더를 IPv6 패킷 헤더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에러 체크 방식은?

  1. LRC(Longitudinal Redundancy Check)
  2. VRC(Vertical Redundancy Check)
  3. CRC(Cyclic Redundancy Check)
  4. ARQ(Automatic Repeat Request)
(정답률: 65%)
  • 이 그림은 데이터 전송 중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 방식을 보여줍니다. CRC는 데이터에 추가적인 비트를 붙여서 생성된 숫자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한 오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오류가 발생한 경우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CRC(Cyclic Redundancy Check)"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네트워크에서 두 호스트가 성공적으로 통신하기 위하여 각 하드웨어의 물리적인 주소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
  2. 목적지 호스트의 IP 주소를 MAC 주소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3. MAC 주소를 발견하면 이 MAC 주소가 통신을 위해 바로 사용된다.
  4. ARP 캐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TTL 값이 0이 되면 이 주소는 ARP 캐시에서 영구히 보존된다.
(정답률: 69%)
  • "ARP 캐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TTL 값이 0이 되면 이 주소는 ARP 캐시에서 영구히 보존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ARP 캐시에서는 TTL 값이 0이 되면 해당 주소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삭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중접속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FDMA
  2. QDMA
  3. TDMA
  4. CDMA
(정답률: 60%)
  • QDMA은 존재하지 않는 접속방식이기 때문에 다중접속방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FDMA, TDMA, CDMA는 모두 다중접속방식으로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비트 방식의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HDLC
  2. SDLC
  3. LAPB
  4. SYN
(정답률: 58%)
  • "SYN"은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 아니라 TCP/IP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플래그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HDLC, SDLC, LAPB은 모두 비트 방식의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패킷교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송데이터를 패킷이라 부르는 일정한 길이의 전송 단위로 나누어 교환 및 전송한다.
  2. 패킷교환은 저장-전달 방식을 사용한다.
  3. 가상회선 패킷교환은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 그램 패킷교환은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4. 메시지 교환이 갖는 장점을 그대로 취하면서 대화형 데이터 통신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교환방식이다.
(정답률: 61%)
  • 가상회선 패킷교환은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 그램 패킷교환은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가상회선 패킷교환은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데이터 그램 패킷교환은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는 가상회선 패킷교환에서는 먼저 가상회선을 설정하고, 이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반면, 데이터 그램 패킷교환에서는 각 패킷이 독립적으로 전송되며, 패킷들은 독립적으로 경로를 선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OSI 7 계층 중 응용 프로세스 간에 데이터 표현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통신이 가능하도록 독립성을 제공(코드 변환, 데이터 압축 등)하는 계층은?

  1. 물리 계층
  2. 표현 계층
  3. 데이터링크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53%)
  • 표현 계층은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정의하고, 이를 응용 프로세스 간에 독립적으로 변환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독립성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코드 변환, 데이터 압축, 암호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응용 프로세스 간에 데이터 표현상의 차이에 상관없이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