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계산기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10-01)

전자계산기기사
(201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시스템 프로그래밍

1. 프로세스의 정의로 옳은 내용을 모두 고른 것은?

  1. 가, 나
  2. 가, 라
  3. 가, 나, 라
  4. 가, 나, 다, 라
(정답률: 85%)
  • 가.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으로, 메모리에 적재되어 CPU에 의해 실행되는 작업 단위이다.
    - 이 내용은 맞는 정의이다.

    나. 프로세스는 각각 독립된 메모리 영역을 가지며, 다른 프로세스의 메모리에 직접 접근할 수 없다.
    - 이 내용도 맞는 정의이다.

    다. 프로세스는 하나의 스레드만 가질 수 있다.
    - 이 내용은 틀린 정의이다.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스레드를 가질 수 있다.

    라. 프로세스는 운영체제로부터 시스템 자원을 할당받는다.
    - 이 내용도 맞는 정의이다.

    따라서, 옳은 내용을 모두 포함한 정답은 "가, 나, 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주기억장치 관리기법으로 최악 접합(Worst-fit)방법을 이용할 경우 10k 크기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분할되어 있는 주기억장치 중 어느 부분에 할당되어야 하는가?

  1. 영역 번호 Ⓐ
  2. 영역 번호 Ⓑ
  3. 영역 번호 Ⓒ
  4. 영역 번호 Ⓓ
(정답률: 94%)
  • 최악 접합 방법은 가장 큰 빈 공간에 프로그램을 할당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10k 크기의 프로그램은 영역 번호 Ⓓ에 할당되어야 한다. 영역 번호 Ⓐ, Ⓑ, Ⓒ는 이미 다른 프로그램들이 할당되어 있어서 10k 크기의 프로그램을 할당하기에는 공간이 부족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기계어 명령문(machine instruction)의 오퍼랜드가 명령문 수행에 필요한 정보의 메모리 주소를 나타낸다면, 이러한 번지(addressing) 기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immediate addressing
  2. direct addressing
  3. indirect addressing
  4. indexing addressing
(정답률: 48%)
  • 기계어 명령문에서 오퍼랜드가 직접적으로 메모리 주소를 나타내는 경우를 "direct addressing"이라고 한다. 이는 명령문이 직접 해당 메모리 위치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번지 기법들은 간접적으로 메모리 주소를 참조하거나, 인덱스를 이용하여 메모리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Address Space 2100번지에 어떤 명령이 기억되어 있다. 현재 relocation register의 값이 -1000으로 되어있다면 이 명령은 몇 번지에 relocation 되는가?

  1. 변동없음
  2. 2000번지
  3. 1000번지
  4. 1100번지
(정답률: 76%)
  • 주소 공간 2100번지에서 -1000만큼 relocation register가 이동하면 1100번지에 명령이 relocation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00번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Deadlock의 4가지 필요조건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상호 배제 조건
  2. 점유와 대기 조건
  3. 환형 대기 조건
  4. 선점 조건
(정답률: 88%)
  • 선점 조건은 Deadlock의 필요조건 중 하나가 아니며,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 중인 자원을 강제로 빼앗을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는 다른 필요조건들과 달리 Deadlock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선점 조건은 Deadlock을 예방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직접 연결 로더에서 각각의 기능과 수행 주체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1. 연결 - 프로그래머
  2. 재배치 - 로더
  3. 적재 - 로더
  4. 기억장소 할당 - 로더
(정답률: 63%)
  • 연결은 프로그래머가 아닌 링커(Linker)가 수행하는 작업입니다. 링커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 파일을 하나의 실행 파일로 결합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이때 각각의 오브젝트 파일에서 사용하는 주소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실행 파일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연결 - 프로그래머"가 옳지 않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어떤 프로세스가 아무리 기다려도 결코 발생하지 않을 사건을 기다리고 있을 때, 그 프로세스는 어떤 상태라고 볼 수 있는가?

  1. Working Set
  2. Semaphore
  3. Deadlock
  4. Critical Section
(정답률: 93%)
  • 정답: Deadlock

    해설: Deadlock은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어떤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기다리며 무한정 대기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어떤 프로세스가 아무리 기다려도 결코 발생하지 않을 사건을 기다리고 있을 때, 그 프로세스는 Deadlock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Working Set은 메모리 관리 기법, Semaphore은 동기화 기법, Critical Section은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시스템의 성능 평가 기준과 거리가 먼 것은?

  1. 처리능력
  2. 구축비용
  3. 반환시간
  4. 신뢰도
(정답률: 91%)
  • 시스템의 성능 평가 기준은 일반적으로 처리능력, 반환시간, 신뢰도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구축비용은 시스템의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구축비용은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 드는 비용으로,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거나 유지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구축비용은 시스템의 성능 평가 기준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운영체제를 자원 관리자(resource manager)의 관점에서 볼 때, 프로세스가 끝나거나 더 이상 기억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이를 회수하기 위한 전략 관리를 담당하는 부분은?

  1. Memory management
  2. Processor management
  3. Device management
  4. Information management
(정답률: 75%)
  • 정답인 "Memory management"은 자원 관리자의 관점에서 프로세스가 끝나거나 더 이상 기억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이를 회수하기 위한 전략 관리를 담당하기 때문이다. 즉, 기억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들을 수행하며,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어셈블리어에서 라이브러리에 기억된 내용을 프로시저로 정의하여 서브루틴으로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그 내용을 현재의 프로그램 내에 포함시켜 주는 명령은?

  1. INCLUDE
  2. EVEN
  3. ORG
  4. NOP
(정답률: 90%)
  • "INCLUDE" 명령은 다른 어셈블리어 파일에 기록된 코드를 현재의 프로그램 내에 포함시켜 주는 명령입니다. 이를 통해 라이브러리에 저장된 코드를 서브루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따라서 "INCLUDE"가 정답입니다. "EVEN"은 짝수를 검사하는 명령어, "ORG"는 시작 주소를 설정하는 명령어, "NOP"는 아무런 작업도 수행하지 않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유틸리티 프로그램의 정의로 바른 것은?

  1. 운영체제 내에 포함되어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
  2. 주로 사용자 프로그램 개발과 시스템 운용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
  3. 목적 모듈을 연결시켜 하나의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모듈
  4. 주기억 장치와 입출력 장치 사이에 동작하는 프로그램
(정답률: 79%)
  • 유틸리티 프로그램은 주로 사용자 프로그램 개발과 시스템 운용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으로, 예를 들어 파일 관리, 디스크 정리, 보안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은 운영체제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어셈블리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고급언어와 비교하여 가장 큰 장점으로 볼 수 있는 것은?

  1. 명령어들이 간략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간단하게 된다.
  2. 명령어의 종류가 많으므로 초보자가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3. 기능이 단순하므로 프로그램 개발이 용이하다.
  4. 하드웨어를 직접 활용할 수 있어 처리속도가 빠르다.
(정답률: 81%)
  • 어셈블리어는 하드웨어를 직접 다룰 수 있기 때문에, 고급언어보다 처리속도가 빠르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이는 어셈블리어가 명령어들이 간략하고 직접적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인터럽트의 종류 중 시스템 타이머에서 일정한 시간이 만료된 경우나 오퍼레이터가 콘솔상의 인터럽트 키를 입력한 경우 발생하는 것은?

  1. SVC 인터럽트
  2. 외부 인터럽트
  3. 입/출력 인터럽트
  4. 재시작 인터럽트
(정답률: 82%)
  • 시스템 타이머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는 시스템 외부에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외부 인터럽트"이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콘솔상의 인터럽트 키를 입력하는 것도 외부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매크로가 3개의 기계어 명령어로 정의되어 있을 때, 주프로그램에서 매크로 호출을 3번할 경우 확장된 명령어 수는?

  1. 0
  2. 3
  3. 6
  4. 9
(정답률: 85%)
  • 매크로가 3개의 기계어 명령어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매크로 호출 한 번당 3개의 명령어가 확장됩니다. 따라서 매크로 호출을 3번하면 3 x 3 = 9개의 명령어가 확장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로세스보다 더 작은 CPU의 실행단위를 말하며, 다중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시스템하에서 CPU에게 보내져 실행되는 단위를 의미하는 것은?

  1. 페이지
  2. 세그먼트
  3. 태스크
  4. 스레드
(정답률: 73%)
  •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실행 단위로, 다중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CPU에게 보내져 실행되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페이지", "세그먼트", "태스크"는 CPU의 실행 단위가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별도의 로더 없이 언어 번역 프로그램이 로더의 기능까지 수행하는 것은?

  1. Absolute Loader
  2. Direct Linking Loader
  3. Compile And Go Loader
  4. Dynamic Loading Loader
(정답률: 82%)
  • 언어 번역 프로그램이 로더의 기능까지 수행하는 것은 "Compile And Go Loader"이다. 이는 프로그램을 번역하고 컴파일하는 과정을 거친 후, 메모리에 적재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모두 수행하는 로더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별도의 로더가 필요하지 않고, 번역과 실행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어셈블리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어셈블러에 의하여 기계어로 번역됨
  2. 어셈블리어는 기종에 따라 내용의 차이가 없음
  3. 기호로 표시되어 프로그램을 작성하기가 기계어보다 유리함
  4.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보다 처리시간이 일반적으로 빠름
(정답률: 79%)
  • 어셈블리어는 기종에 따라 내용의 차이가 없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각각의 CPU 아키텍처마다 다른 어셈블리어가 존재하며, 이는 명령어 세트와 문법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특정 CPU 아키텍처에 맞는 어셈블리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어셈블리어 명령어 중 어떤 기호적 이름에 상수 값을 할당하는 것은?

  1. ORG
  2. EQU
  3. INCLUDE
  4. END
(정답률: 87%)
  • "EQU"는 "EQUate"의 약자로, 기호적 이름에 상수 값을 할당하는 명령어이다. 예를 들어, "MY_CONST EQU 10"은 "MY_CONST"라는 기호적 이름에 10이라는 상수 값을 할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EQU"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시스템 프로그램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O.S
  2. Compilers
  3. Scheduler
  4. DMBS
(정답률: 72%)
  • DMBS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시스템 프로그램이 아닌 응용 프로그램에 속합니다. O.S는 운영 체제, Compilers는 컴파일러, Scheduler는 스케줄러로 모두 시스템 프로그램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 ) 안의 내용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 LFU, ㉡ FIFO
  2. ㉠ LRU, ㉡ LFU
  3. ㉠ FIFO, ㉡ LRU
  4. ㉠ LRU, ㉡ FIFO
(정답률: 87%)
  • 이미지는 캐시 메모리에서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화면입니다.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은 캐시 메모리에서 공간이 부족해질 때 어떤 페이지를 교체할지 결정하는 알고리즘입니다.

    LRU(Least Recently Used)는 가장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이는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FIFO(First In First Out) 알고리즘보다 성능이 좋습니다.

    LFU(Least Frequently Used)는 가장 적게 사용된 페이지를 교체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이는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FIFO 알고리즘보다 더 세밀한 성능 조절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 LRU, ㉡ LFU"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구조

21. 병렬처리 가운데 처리 단계를 stage라고 하는 몇개의 단계로 나누고 각 stage 사이에는 latch라는 버퍼를 두고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작업을 시간적으로 중첩하여 수행하는 처리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파이프라인 처리기
  2. 배열 처리기
  3. 다중 처리기
  4. VLSI 처리기
(정답률: 47%)
  • 파이프라인 처리기는 처리 단계를 나누어 각 단계를 병렬로 처리하고, 각 단계 사이에는 버퍼를 두어 시간적으로 중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처리기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를 수행하면 전체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병렬 처리를 통해 높은 처리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파이프라인 처리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CPU가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순서로 옳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70%)
  • CPU는 인스트럭션을 가져오고(fetch), 디코딩하고(decode), 실행하고(execute), 결과를 저장한다(store). 따라서, "㉢→㉡→㉣→㉤→㉠" 순서가 옳다.

    1. ㉢(fetch): CPU는 메모리에서 다음 인스트럭션을 가져온다.
    2. ㉡(decode): CPU는 가져온 인스트럭션을 디코딩하여 어떤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지 결정한다.
    3. ㉣(execute): CPU는 결정된 작업을 실행한다.
    4. ㉤(store): CPU는 실행 결과를 메모리나 레지스터에 저장한다.
    5. ㉠(fetch): CPU는 다음 인스트럭션을 가져오기 위해 다시 ㉢로 돌아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인터럽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터럽트란 컴퓨터가 정상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예기치 않은 일들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능이다.
  2. 온라인 실시간 처리를 위해 인터럽트 기능은 필수적이다.
  3. 입ㆍ출력 인터럽트를 이용하면 중앙처리장치와 주변장치 간의 극심한 속도 차이 문제를 해결하여 컴퓨터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4. 인터럽트는 모두 에러(error)에 대한 복구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85%)
  • "인터럽트는 모두 에러(error)에 대한 복구기능만을 가지고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인터럽트는 에러 처리뿐만 아니라 입출력 처리, 타이머 처리, 시스템 호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럽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병렬 처리기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간적 병렬성을 위해 중첩 처리를 행하는 파이프라인 처리기(Pipeline Processor)
  2. 공간적 병렬성을 위해 다수의 동기된 처리기를 사용하는 배열 처리기(Array Processor)
  3. 기억 장치나 데이터베이스 등의 자원은 공유하며 상호 작용하는 처리기들을 통하여 비동기적 병렬성을 얻는 다중 처리기(Multi Processor)
  4. 양방향 처리를 비동기적으로 수행하는 벡터처리기(Vector Processor)
(정답률: 70%)
  • 양방향 처리를 비동기적으로 수행하는 벡터처리기(Vector Processor)는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 벡터처리기는 한 번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양방향 처리를 비동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나 영상 처리에서 벡터처리기는 한 번에 여러 개의 픽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어 처리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8비트 구조에 해당하는 인텔 컴퓨터 프로세서는?

  1. Intel Core i5
  2. Intel 8051
  3. Intel Pentium
  4. Intel Celeron
(정답률: 80%)
  • 인텔 8051은 8비트 구조에 해당하는 인텔 컴퓨터 프로세서입니다. 이는 8051의 데이터 버스가 8비트이며, 레지스터 크기도 8비트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8051은 저전력 소비와 간단한 구조로 인해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8비트 구조의 장점을 살려서 가능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어디에 기준을 두고 실행되는가?

  1. flag
  2. 클록 펄스
  3. 메모리
  4. RAM
(정답률: 80%)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클록 펄스에 기준을 두고 실행됩니다. 클록 펄스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모든 동작을 동기화하는 신호이기 때문에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도 이 신호에 맞춰서 실행됩니다. 따라서 클록 펄스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클록 펄스의 주기에 따라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실행되는 속도가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레지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레지스터는 워드를 구성하는 비트 개수만큼의 플립플롭으로 구성된다.
  2. 여러 개의 플립플롭은 공통 클록의 입력에 의해 동시에 여러 비트의 입력 자료가 저장된다.
  3. 레지스터에 사용되는 플립플롭은 외부입력을 그대로 저장하는 T 플립플롭이 적당한다.
  4.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플립플롭은 저장하는 값을 임의로 설정하기 위해 별도의 입력단자를 추가할 수 있으며, 저장값을 0으로 하는 것을 설정해제(CLR)라 한다.
(정답률: 68%)
  • "레지스터에 사용되는 플립플롭은 외부입력을 그대로 저장하는 T 플립플롭이 적당한다." 이 설명이 틀렸습니다. 레지스터에 사용되는 플립플롭은 일반적으로 D 플립플롭이 사용됩니다. D 플립플롭은 데이터 입력과 클록 입력을 가지고 있으며, 클록이 동작할 때 데이터 입력을 저장합니다. T 플립플롭은 입력이 1일 때만 상태를 변경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레지스터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2진 정보 1001를 그레이 코드로 바꾸면?

  1. 0110
  2. 1110
  3. 1100
  4. 1101
(정답률: 78%)
  • 2진 정보 1001을 그레이 코드로 바꾸려면, 첫 번째 비트는 그대로 두고, 두 번째 비트부터는 이전 비트와 XOR 연산을 해주면 됩니다.

    즉, 1001의 그레이 코드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1 0 0 1 (2진 정보)
    1 1 1 1 (첫 번째 비트는 그대로 둠)
    1 0 0 0 (두 번째 비트: 1 XOR 0 = 1)
    1 1 0 0 (세 번째 비트: 0 XOR 0 = 0, 0 XOR 0 = 0, 0 XOR 1 = 1)
    1 1 0 1 (네 번째 비트: 0 XOR 1 = 1, 1 XOR 0 = 1, 0 XOR 1 = 1)

    따라서, 정답은 "11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컴퓨터 주기억장치의 용량이 256MB라면 주소버스는 최소한 몇 Bit 이상이어야 한다.

  1. 20Bit 이상
  2. 24Bit 이상
  3. 26Bit 이상
  4. 28Bit 이상
(정답률: 59%)
  • 주기억장치의 용량이 256MB이므로, 이를 이진수로 변환하면 2의 28승이 된다. 따라서, 최소한 28Bit 이상의 주소버스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zero-address 명령 형식에 속하는 것은?

  1. 연산의 결과는 누산기에 남는다.
  2. 하나의 명령어 수행을 위하여 최소한 4번 기억장치에 접근하여야 하므로 수행 시간이 길다.
  3. 누산기에 기억된 자료를 사용하여 연산을 수행한다.
  4. 모든 연산은 stack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그 결과도 stack에 보존한다.
(정답률: 79%)
  • zero-address 명령 형식에 속하는 것은 "모든 연산은 stack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그 결과도 stack에 보존한다." 이다.

    이유는 zero-address 명령어는 피연산자가 없는 명령어이기 때문에,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누산기에 기억된 자료를 사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모든 연산은 stack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그 결과도 stack에 보존한다. 이 방식은 기억장치에 접근하는 횟수를 최소화하여 수행 시간을 단축시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음수를 2의 보수로 표현할 때, 16비트로 나타낼 수 있는 정수의 범위는?

  1. -215 ~ +215
  2. -216 ~ +216
  3. -215-1 ~ +215
  4. -215 ~ +215-1
(정답률: 80%)
  • 음수를 2의 보수로 표현할 때, 가장 왼쪽 비트는 부호 비트로 사용되므로 15개의 비트로는 215개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호 비트를 제외한 15개의 비트로는 0부터 215-1까지의 양수만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음수의 범위는 -215부터 0까지입니다. 따라서, 전체 정수의 범위는 -215부터 +215-1까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15 ~ +215-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그림의 진리표에서 출력을 최소화하면?

  1. Y = AB
(정답률: 73%)
  • 진리표에서 출력을 최소화하는 것은 가능한 한 적은 수의 입력 조합으로 원하는 출력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경우, ""가 정답인 이유는 Y = AB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A와 B가 모두 참일 때만 Y가 참이 되기 때문에, 입력 조합이 1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므로 출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컴퓨터의 주 메모리로 사용하며, 휘발성이 있어 전원이 차단될 경우 기억 내용이 지워지는 특성이 있는 메모리는?

  1. ROM
  2. RAM
  3. Register
  4. Flash Memory
(정답률: 89%)
  • RAM은 컴퓨터의 주 메모리로 사용되며, 휘발성이 있어 전원이 차단될 경우 기억 내용이 지워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RAM은 일시적인 데이터 저장에 적합하며, 컴퓨터가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필요한 데이터를 빠르게 읽고 쓰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에 ROM은 읽기 전용 메모리이며, Flash Memory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전원이 차단되어도 기억 내용이 유지됩니다. Register는 CPU 내부에 있는 매우 빠른 메모리로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회로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decoder
  2. multiplexer
  3. encoder
  4. shifter
(정답률: 78%)
  • 이 회로는 입력된 2진수 데이터를 4개의 출력선 중 하나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입력된 데이터를 해석하여 출력하는 "decoder"의 기능과 일치하므로 정답은 "decod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Flynn의 컴퓨터 구조 제안 모델이 아닌 것은?

  1. SISD
  2. MIMD
  3. SIMD
  4. CIMD
(정답률: 89%)
  • CIMD은 Flynn의 분류에서 제안된 컴퓨터 구조 모델이 아니며, Flynn의 분류에서는 SISD, MIMD, SIMD 세 가지 모델이 제안되었다. CIMD는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인 Computer Interface to Message Distribution (CIMD) Protocol의 약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집적회로(IC)의 기본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달 지연 시간(propagation delay time)
  2. 전력 소모(power dissipation)
  3. 팬 아웃(pan out)
  4. 전송 속도(transfer speed)
(정답률: 54%)
  • 전송 속도는 IC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요소이며, 다른 요소들은 전송 속도와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으로는 전송 속도와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송 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상 메모리 체제는 컴퓨터의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다.
  2. 가상 메모리의 보조기억장치는 SASD방식이 적합하다.
  3. 가상 메모리는 데이터를 미리 주기억장치에 저장한 것을 말한다.
  4. 가상 메모리는 메모리의 가용 공간 확대롤 도모한다.
(정답률: 71%)
  • 가상 메모리는 물리적인 메모리보다 큰 용량의 가상적인 메모리 공간을 제공하여,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최소화하고, 메모리의 가용 공간 확대를 도모하는 체제이다. 따라서 "가상 메모리는 메모리의 가용 공간 확대롤 도모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내부 인터럽트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정전
  2. 불법적인 명령의 실행
  3. overflow 또는 0(zero)으로 나누는 경우
  4. 보호 영역내의 메모리 주소를 access 하는 경우
(정답률: 76%)
  • 정전은 내부 인터럽트의 원인이 아닙니다. 내부 인터럽트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예외 상황으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도중에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상황입니다. 반면에 정전은 외부적인 원인으로 인해 전기가 차단되어 시스템 전원이 꺼지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정전은 내부 인터럽트의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컴퓨터의 주기억장치 용량이 8192비트이고, 워드길이가 16비트일 때 PC(program counter), AR(Address register)와 DR(data register)의 크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PC=8, AR=9, DR=16
  2. PC=9, AR=9, DR=16
  3. PC=16, AR=16, DR=16
  4. PC=8, AR=16, DR=16
(정답률: 70%)
  • PC는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8192비트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13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PC의 크기는 최소 13비트 이상이어야 한다. AR은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8192비트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13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AR의 크기는 최소 13비트 이상이어야 한다. DR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므로, 워드길이인 16비트를 저장할 수 있으면 된다. 따라서 DR의 크기는 16비트이다. 따라서, PC=9, AR=9, DR=16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10진 데이터의 입ㆍ출력 시 사용하는 데이터형식은?

  1. 16진수 형태
  2. 2진수 형태
  3. pack 형태
  4. unpack 형태
(정답률: 67%)
  • 10진 데이터의 입출력 시에는 "unpack 형태"를 사용합니다. 이는 데이터를 바이트 단위로 쪼개어 각각의 바이트를 10진수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크기나 형식에 상관없이 일관된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16진수나 2진수 형태는 데이터의 크기나 형식에 따라 처리 방식이 달라지므로 일관된 처리가 어렵습니다. 또한 pack 형태는 데이터를 바이트 단위로 묶어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크기나 형식에 따라 처리 방식이 달라지므로 일관된 처리가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마이크로전자계산기

41.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처리 능력(performance)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clock frequency
  2. data bus width
  3. addressing mode
  4. software compatibility
(정답률: 69%)
  •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처리 능력은 주로 클럭 주파수와 데이터 버스 폭, 주소 지정 모드 등 하드웨어적인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반면에 소프트웨어 호환성은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만, 직접적으로 처리 능력과는 관련이 적습니다. 따라서 "software compatibility"가 가장 관계가 적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매크로(macro)의 설명과 가장 관계없는 것은?

  1. 매크로는 일종의 폐쇄적 서브루틴(closed subroutine)이다.
  2. 매크로 호출은 매크로 이름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3. 매크로는 인수 전달이 가능하다.
  4. 매크로 확장(macro expansion)은 언어번역 전에 행해진다.
(정답률: 57%)
  • 매크로는 일종의 폐쇄적 서브루틴(closed subroutine)이다. 이유는 매크로는 호출되는 코드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매크로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나 함수는 호출하는 코드에서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크로는 호출되는 코드와 완전히 분리된 독립적인 코드 블록으로 동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CPU 내부에 있는 것으로 이 값이 '1'이면 CPU는 인터럽트 동작(enable) 상태가 되는 것은?

  1. PC
  2. IFF
  3. NMI
  4. STAT
(정답률: 61%)
  • IFF는 Interrupt Flip-Flop의 약자로, CPU 내부에 있는 인터럽트 동작을 제어하는 레지스터입니다. IFF 값이 '1'이면 CPU는 인터럽트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0'이면 인터럽트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IFF가 CPU 내부에서 인터럽트 동작을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값이 '1'이면 CPU는 인터럽트 동작(enable)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서브루틴 호출이나 인터럽트 서비스와 같은 동작 후에 되돌아갈 주소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상태 레지스터(Status register)
  2. 프로그램 계수기(Program counter)
  3.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emory address register)
  4. 스택(Stack)
(정답률: 69%)
  •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입니다. 서브루틴 호출이나 인터럽트 서비스와 같은 동작 후에 되돌아갈 주소를 저장하기 위해 스택을 사용합니다. 호출된 서브루틴이나 인터럽트 서비스에서는 되돌아갈 주소를 스택에 저장하고, 동작이 끝난 후에는 스택에서 저장된 주소를 꺼내어 프로그램이 이어서 실행됩니다. 이렇게 스택을 사용하여 되돌아갈 주소를 저장하면, 여러 개의 서브루틴이나 인터럽트 서비스를 중첩해서 호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컴퓨터가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2. 연산장치에서 해독되어 그 동작이 이루어진다.
  3. 컴퓨터가 동작해야 할 명령을 차례대로 모아놓은 것을 프로그램이라 한다.
  4. 명령어의 형식은 OP Code와 Operand로 구성된다.
(정답률: 68%)
  • "명령어의 형식은 OP Code와 Operand로 구성된다."는 명령어의 형식에 대한 설명이므로 틀린 것이 아니다.

    "연산장치에서 해독되어 그 동작이 이루어진다."가 정답인 이유는 명령어는 컴퓨터가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명령어 자체로는 컴퓨터가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연산장치에서 명령어를 해독하여 그에 맞는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주기억 장치와 입ㆍ출력 장치 사이의 전송 속도차를 극복하기 위해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장소는?

  1. 보조기억 장치
  2. 레지스터
  3. 인터페이스
  4. 버퍼
(정답률: 71%)
  • 버퍼는 주기억 장치와 입ㆍ출력 장치 사이의 전송 속도차를 극복하기 위해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장소입니다. 입ㆍ출력 장치가 데이터를 처리할 때 주기억 장치와의 속도 차이로 인해 데이터 전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이때 버퍼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미리 임시저장해두어 입ㆍ출력 장치가 필요할 때 바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캐리 플래그가 리셋 되었을 때 어떤 무부호 2진수를 곱셈 명령을 사용하지 않고 2로 곱하는 효과를 갖고 있는 명령어는?

  1. shift right
  2. shift left
  3. exclusive OR
  4. rotate right
(정답률: 75%)
  • "shift left" 명령어는 이진수를 왼쪽으로 한 자리씩 이동시키는 명령어이며, 이는 2로 곱하는 효과를 갖습니다. 따라서 캐리 플래그가 리셋 되었을 때 2로 곱하는 효과를 갖는 명령어는 "shift left"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동기 또는 비동기식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 간의 원거리 통신을 하려고 한다. 이 때 필요하지 않은 장치는?

  1. MODEM
  2. RS232 Driver/receiver
  3. SIO
  4. PIO
(정답률: 64%)
  • PIO는 입출력 포트를 제어하는 장치로, 마이크로프로세서 간의 원거리 통신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은 장치이다. MODEM은 모뎀, RS232 Driver/receiver는 시리얼 통신을 위한 장치, SIO는 직렬/병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이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 간의 원거리 통신을 위해 필요한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장치 중 8개의 입력키를 3비트 키-코드로 변환하는 장치는?

  1. decoder
  2. multiplexer
  3. encoder
  4. counter
(정답률: 61%)
  • 8개의 입력키를 3비트 키-코드로 변환하는 것은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것이므로, 이는 인코더(encoder)의 역할이다. 따라서 정답은 "encod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DRAM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내부에 커패시터(capacitor)를 사용한다.
  2. 재생(refresh) 시키기 위한 회로가 필요하다.
  3. 집적도가 높아 저장 용량이 크다.
  4. 비트 단위당 가격이 SRAM에 비해 높다.
(정답률: 74%)
  • DRAM은 비트 단위당 가격이 SRAM에 비해 낮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DRAM이 SRAM보다 비용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DRAM은 내부에 커패시터를 사용하고, 재생을 위한 회로가 필요하며, 집적도가 높아 저장 용량이 크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의 정보통신용 버스 중 병렬전송이 아닌것은?

  1. VME bus
  2. RS-232C
  3. Multi bus
  4. IEEE-488 bus
(정답률: 80%)
  • RS-232C는 직렬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정보통신용 버스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병렬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병렬 전송은 여러 비트를 동시에 전송하여 속도가 빠르지만, 전송 거리가 짧고 전송선이 많이 필요하다. 반면에 직렬 전송은 한 비트씩 전송하여 전송 거리가 길어지더라도 전송선이 적게 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RS-232C는 주로 컴퓨터와 주변기기 간의 직렬 통신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비동기(asynchronous) 직렬 전송과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stop bit, start bit
  2. framing error
  3. sync character
  4. information bit
(정답률: 76%)
  • 비동기 직렬 전송에서는 데이터 비트와 함께 start bit와 stop bit가 사용되어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며, framing error는 데이터 비트의 전송 중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반면에 sync character는 동기화를 위해 사용되는 특별한 문자로, 비동기 직렬 전송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sync charac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인스트럭션과 자료의 재배치가 가능한 주소지정방식은 무엇인가?

  1. 간접 주소 방식
  2. 직접 주소 방식
  3. 인덱스 주소 방식
  4. 상대 주소 방식
(정답률: 47%)
  • 상대 주소 방식은 인스트럭션과 자료의 주소를 상대적인 값으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즉, 현재 위치에서 상대적인 거리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주소를 지정한다. 이 방식은 인스트럭션과 자료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대적인 거리만큼만 수정하면 되므로 재배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인스트럭션과 자료의 재배치가 가능한 주소지정방식은 상대 주소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어떤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의 데이터 버스(data bus)가 16비트,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가 24비트로 구성되었을 때, 이 컴퓨터 시스템 주기억 장치의 최대 용량은? (단, KB=Kilo Byte, MB=Mega Byte이다.)

  1. 64 KB
  2. 256 KB
  3. 1 MB
  4. 16 MB
(정답률: 58%)
  • 주소 버스의 크기는 24비트이므로, 이 시스템은 최대 2^24 (약 16.8 백만) 개의 주소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버스의 크기가 16비트이므로, 각 주소에는 2바이트(16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시스템의 최대 용량은 2^24 x 2 바이트 = 16 M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마이크로컴퓨터 운영체제의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파일 보호
  2. 파일 디렉토리 관리
  3. 상주 모니터로의 모드 전환
  4. 사용자 프로그램의 번역 및 실행
(정답률: 58%)
  • 마이크로컴퓨터 운영체제의 기능은 컴퓨터 하드웨어와 사용자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파일 보호, 파일 디렉토리 관리, 상주 모니터로의 모드 전환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사용자 프로그램의 번역 및 실행은 운영체제가 아닌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 등의 프로그램이 수행하는 작업이므로, 마이크로컴퓨터 운영체제의 기능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Cycle steal과 관련 있는 것은?

  1. DMA
  2. Data buffer
  3. Internal bus
  4. Interrupt
(정답률: 63%)
  • Cycle steal은 CPU가 메모리와 입출력 장치를 공유하는 방식에서 CPU가 메모리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때, 입출력 장치가 직접 메모리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DMA(Direct Memory Access)가 사용됩니다. 따라서 DMA가 Cycle steal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디버거인 ICE(In-Circuit Emulator)의 특징에 속하지 않은 것은?

  1. 롬 프로그램만 다운로딩 할 수 있는 기능
  2. 임의의 어드레스로 실행을 정지시키는 브레인크 포인트 기능
  3. 실행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한 리얼타임 트레이스 기능
  4. 레지스터로의 데이터 설정 기능
(정답률: 68%)
  • ICE(In-Circuit Emulator)는 디버깅을 위해 하드웨어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디버깅 도구로, 디버깅 중에 프로그램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롬 프로그램만 다운로딩 할 수 있는 기능"은 ICE의 특징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ICE는 디버깅을 위한 도구로, 디버깅 중에 프로그램의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는 것은 ICE의 주요 기능 중 하나가 아니며, 디버깅을 위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16k 바이트의 기억용량을 갖는 8비트 마이크로컴퓨터에서 필요한 최소 어드레스 라인수는?

  1. 8
  2. 14
  3. 16
  4. 32
(정답률: 52%)
  • 8비트 마이크로컴퓨터에서 16k 바이트의 기억용량을 갖는 경우, 2의 14승 개의 어드레스 라인이 필요하다. 이는 2의 14승이 16,384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1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보조기억장치가 아닌 것은?

  1. Floopy Disk
  2. Hard Disk
  3. RDRAM
  4. Solid State Drive
(정답률: 78%)
  • RDRAM은 주기억장치인 RAM의 일종으로, 보조기억장치가 아닌 주기억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캐시 기억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캐시 기억 장치는 주기억 장치의 유효 액세스 시간을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
  2. 캐시 기억 장치의 관리는 주로 하드웨어에 의하여 구현된다.
  3. 캐시 기억 장치를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실제의 기억 공간보다 더 넓은 주소 공간(address space)을 제공할 수 있다.
  4. 캐시 기억 장치의 구현을 위하여 CAM(content addressable memory)을 많이 사용한다.
(정답률: 63%)
  • 캐시 기억 장치를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실제의 기억 공간보다 더 넓은 주소 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캐시 기억 장치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장치이며, 주기억 장치와는 별개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논리회로

61. 다음 회로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게이트(gate)는?

  1. NAND 게이트
  2. NOR 게이트
  3. EX-OR 게이트
  4. OR 게이트
(정답률: 67%)
  • 입력 A와 B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0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동작은 NOR 게이트의 출력 동작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NOR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회로의 명칭은?

  1. 반감산기
  2. 반가산기
  3. 전감산기
  4. 전가산기
(정답률: 74%)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이다. 하지만 이 회로는 자리올림(Carry) 입력이 없기 때문에 덧셈 결과가 2가 될 경우에는 처리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 회로는 반가산기(Half Adder)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f(X, Y, Z) = (0, 2, 3, 4, 7)인 논리식이 있다. 이것을 f(X, Y, Z) = ( )의 형식으로 표현하면?

  1. (1, 3, 6)
  2. (1, 5, 6)
  3. (1, 6)
  4. (5, 6)
(정답률: 73%)
  • f(X, Y, Z) = (X, Y, Z)의 형식으로 표현하면 f(X, Y, Z) = (1, 5, 6)이 된다. 이유는 논리식에서 f(X, Y, Z)가 참이 되는 경우는 X, Y, Z 중 적어도 두 개가 참일 때이다. 따라서 (1, 5, 6)은 X, Y, Z 중 적어도 두 개가 참이 되는 조합이며, 다른 보기들은 이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의 카르노 맵을 이용해 간략화한 논리식은?

  1. F = AB + BC + CA
(정답률: 68%)
  • 카르노 맵에서 인접한 셀들은 한 비트만 다르므로, 인접한 셀들의 항들을 묶어서 간략화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카르노 맵을 간략화하면 F = AB + BC + CA 가 된다. 이유는, A와 B가 1일 때 F가 1이 되는 셀과, B와 C가 1일 때 F가 1이 되는 셀, 그리고 C와 A가 1일 때 F가 1이 되는 셀이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16bit의 MSB 가중치(weight)는?

  1. 65535
  2. 65536
  3. 32767
  4. 32768
(정답률: 49%)
  • 16bit에서 MSB는 가장 왼쪽 비트를 의미하며, 이 비트의 가중치는 2의 15승 즉 32768입니다. 이는 16bit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내며, 이진수로 표현하면 1000000000000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회로의 논리함수가 다수결 함수(Majority Function)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1. 전가산기
  2. 전감산기
  3. 3-to-8 디코더
  4. 우수 패리티 발생기
(정답률: 71%)
  • 전가산기는 입력된 3개의 비트를 더하고, 그 결과와 carry 비트를 출력하는 회로이다. 이때, 3개의 입력 비트 중에서 2개 이상이 1인 경우 carry 비트가 1이 되므로, 이는 다수결 함수인 Majority Function과 유사한 동작을 한다. 따라서 전가산기는 Majority Function을 포함하고 있는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컴퓨터 시스템에서 기억요소(memory elements)로 사용될 수 없는 것은?

  1. Converter
  2. EEPROM
  3. Register
  4. SRAM
(정답률: 79%)
  • "Converter"는 기억 요소(memory element)로 사용될 수 없는 것입니다. 이유는 "Converter"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기억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Converter"는 입력된 데이터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과는 다른 기능입니다. 반면, "EEPROM", "Register", "SRAM"은 모두 컴퓨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억하는 기억 요소(memory element)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불대수 논리연산에서 교환 법칙에 해당하는 것은?

  1. A · (B · C) = (A · B) · C
  2. A · B = B · A
  3. A · (A + B) = A
  4. A · (B + C) = A · B + A · C
(정답률: 74%)
  • 정답: "A · B = B · A"

    교환 법칙은 연산의 순서를 바꿔도 결과가 같다는 법칙입니다. 불대수 논리연산에서는 AND 연산과 OR 연산이 있습니다. AND 연산에서는 두 항목이 모두 참일 때만 참이 되고, OR 연산에서는 두 항목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이 됩니다.

    "A · B = B · A"는 AND 연산에서 교환 법칙을 나타냅니다. 즉, A와 B를 AND 연산할 때, A를 먼저 쓰고 B를 나중에 써도 결과가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두 항목이 모두 참일 때만 참이 되는 AND 연산에서는 당연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입력 펄스의 수를 세는 회로는?

  1. 카운터
  2. 레지스터
  3. 디코더
  4. 인코더
(정답률: 78%)
  • 카운터는 입력 펄스가 들어올 때마다 내부적으로 값을 1씩 증가시키는 회로이기 때문에 입력 펄스의 수를 세는데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카운터"입니다.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로, 디코더는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출력 신호를 만드는 회로, 인코더는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출력 신호를 만드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램 할 수 없는 ROM은?

  1. Mask ROM
  2. PROM
  3. EPROM
  4. EEPROM
(정답률: 66%)
  • Mask ROM은 제조과정에서 이미 데이터가 새겨진 ROM으로, 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램 할 수 없습니다. 반면 PROM, EPROM, EEPROM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프로그램이 가능한 RO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레이스(Rac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1. 무안정 M/V
  2. M/S Flip-Flop
  3. Schmitt Trigger
  4. JK Flip-Flop
(정답률: 56%)
  • 레이스(Race) 현상은 여러 개의 신호가 동시에 발생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M/S Flip-Flop을 사용합니다. M/S Flip-Flop은 입력 신호가 변경되는 시점에만 출력 신호가 변경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레이스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인 무안정 M/V, Schmitt Trigger, JK Flip-Flop은 레이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과 같은 동작특성을 가진 게이트는?

(정답률: 80%)
  • 이 게이트는 AND 게이트이다.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인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데이터(data) 분배 회로로 사용되는 것은?

  1. 멀티플렉서
  2. 디멀티플렉서
  3. 인코더
  4. 디코더
(정답률: 69%)
  • 디멀티플렉서는 하나의 입력 신호를 여러 개의 출력 신호로 분배하는 회로로, 데이터 분배에 사용된다. 다른 선택지들은 입력 신호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회로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에러(error)를 검출하여 정정할 수 있는 부호는?

  1. 해밍 코드
  2. excess-3 코드
  3. 8421 코드
  4. 2421 코드
(정답률: 82%)
  • 해밍 코드는 에러 검출 및 정정을 위한 부호화 방식 중 하나이다. 이 코드는 데이터 비트에 추가적인 패리티 비트를 더해 에러를 검출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정정까지 가능하다. 따라서, 해밍 코드는 에러 검출 및 정정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부호화 방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논리함수식 X가 유도되었을 때 이 논리식을 간략화 하면?

(정답률: 38%)
  • X = (A+B)(A'+C)(B'+C)로 주어졌다.

    먼저 (A+B)(A'+C)를 전개하면 AA' + AC + AB' + BC가 된다. 여기서 AA'는 항상 거짓이므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AB'와 BC는 C를 포함하므로 AC로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A+B)(A'+C) = AC + AB + BC가 된다.

    이제 X = (A+B)(A'+C)(B'+C)를 위에서 구한 식으로 대체하면 X = AC(B'+C) + AB(B'+C)가 된다. 이를 다시 전개하면 X = ABC' + AB'C + ABC + AB'C' + AB'C + AB'C'가 된다. 여기서 ABC와 AB'C'는 항상 거짓이므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AB'C와 AB'C'는 같은 항이므로 하나만 남겨도 된다. 따라서 X = AB'C + ABC' + AB'C'가 된다.

    이를 간략화하면 X = (A⊕B)C' + (A⊕C)B' + (B⊕C)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플립플롭에서 현재 상태와 다음 상태를 알 때 플립플롭에 어떤 입력을 넣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표는 무엇인가?

  1. 진리표
  2. 여기표
  3. 순차표
  4. 상태표
(정답률: 68%)
  • 여기표는 현재 상태와 다음 상태를 알 때 플립플롭에 어떤 입력을 넣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표이다. 다른 보기들은 플립플롭과 관련된 표지만, 여기표는 입력과 상태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두 입력 A와 B를 비교하여 B>A 및 A=B이면 출력(Y)이 '1', 그리고 A>B이면 출력(Y)이 '0'이 되는 논리회로를 설계할 때 조건을 만족하는 논리회로는?

(정답률: 75%)
  • 입력 A와 B를 XOR 연산한 결과를 AND 연산으로 처리하면 된다. 이유는 XOR 연산은 두 입력이 다를 때 1을 출력하므로, A=B일 때 0을 출력하고, A≠B일 때 1을 출력한다. 그리고 AND 연산은 두 입력이 모두 1일 때 1을 출력하므로, B>A일 때 1을 출력하고, A≥B일 때 0을 출력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3×8 디코더를 이용하여 다음의 논리함수 f를 구현하려고 한다. 이때 추가로 필요한 게이트는? (단, 주어진 디코더의 출력은 active-low이다.)

  1. 5 input NOR
  2. 3 input NOR
  3. 5 input NAND
  4. 3 input NAND
(정답률: 56%)
  • 논리함수 f는 입력값이 010, 011, 100, 101일 때 출력이 1이 되고, 나머지 입력값에 대해서는 출력이 0이 된다. 이를 위해 디코더의 출력값 중에서 1이 되어야 하는 출력값들을 선택하여 AND 게이트로 연결하면 된다. 이때, 디코더의 출력은 active-low이므로, 선택된 출력값들을 NOT 게이트로 인버팅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5 input NAND 게이트를 사용하여 선택된 출력값들을 AND 연산하고, 그 결과를 NOT 게이트로 인버팅하여 논리함수 f를 구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CMOS 회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정전기에 약하여 취급에 주의하여야 한다.
  2. 동작 주파수가 증가하면 팬 아웃도 증가한다.
  3. TTL에 비하여 전력소모가 적다.
  4. DC 잡음 여유는 보통 전원 전압의 40% 정도이다.
(정답률: 68%)
  • "동작 주파수가 증가하면 팬 아웃도 증가한다."는 CMOS 회로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유는 CMOS 회로는 입력부터 출력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든 부분이 MOSFET의 적절한 ON/OFF 동작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입력부터 출력까지의 전기적인 부하가 적어 팬 아웃이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동작 주파수가 증가하더라도 팬 아웃은 크게 증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A 값이 0011, B 값이 0101일 때 그림에서 출력 Y 값은?

  1. 1001
  2. 1100
  3. 0011
  4. 0110
(정답률: 79%)
  •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므로, A와 B의 AND 연산 결과는 0001이 된다. OR 게이트는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이면 출력이 1이 되므로, A와 B의 OR 연산 결과는 0111이 된다. 마지막으로 NOT 게이트는 입력과 반대로 출력을 내므로, OR 연산 결과의 NOT 연산 결과는 1000이 된다. 이진수로 표현하면 8비트 중에서 첫 번째 비트만 1이므로, Y 값은 "01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데이터통신

81. 음성신호 4kHz를 PCM 다중화하기 위한 Nyquist 표본화 주기[μs]는?

  1. 8000
  2. 125
  3. 225
  4. 8
(정답률: 73%)
  • Nyquist-Shannon 샘플링 이론에 따르면, 샘플링 주파수는 원래 신호의 최대 주파수의 2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4kHz 신호를 샘플링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8kHz의 샘플링 주파수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샘플링 주기는 1/8000초, 즉 125 마이크로초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전송하려는 부호어들의 최소 해밍거리가 6일 때 수신시 정정할 수 있는 최대 오류의 수는?

  1. 1
  2. 2
  3. 3
  4. 6
(정답률: 57%)
  • 해밍 거리가 6이라는 것은 어떤 두 부호어 간에 최소 6개의 비트가 다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최대 5개의 비트 오류가 발생하면 수신측에서는 어떤 부호어로부터 전송된 것인지 판단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최대 오류의 수는 2개입니다. 2개 이하의 오류는 수신측에서 정확하게 어떤 부호어로부터 전송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원천 부호화(source coding) 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DPCM
  2. DM
  3. LPC
  4. FDM
(정답률: 72%)
  • 원천 부호화(source coding) 방식은 정보를 압축하는 방식을 말하며, DPCM, DM, LPC는 모두 원천 부호화 방식에 속합니다. 하지만 FDM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정보를 압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한 방식입니다. 따라서 FDM은 원천 부호화 방식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128.107.176.0/22 네트워크에서 호스트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서브넷 마스크는?

  1. 255.0.0.0
  2. 255.248.0.0
  3. 255.255.252.0
  4. 255.255.255.255
(정답률: 73%)
  • 128.107.176.0/22 네트워크에서 /22는 255.255.252.0 서브넷 마스크를 의미합니다. 이는 22비트가 네트워크 부분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호스트 부분에는 10비트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2의 10승인 1024개의 호스트가 사용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8비트 코드(데이터)에 1개의 시작 비트와 2개의 정지 비트를 추가하여 전송하면 전송 효율은 약몇 % 인가?

  1. 62.5
  2. 65.7
  3. 72.7
  4. 82.5
(정답률: 72%)
  • 8비트 코드에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를 추가하면 전송되는 비트 수는 11비트가 된다. 따라서 전송 효율은 8/11 = 0.727 또는 72.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HDLC의 프레임 중 링크의 설정과 해제, 오류회복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Information Frame
  2. Supervisory Frame
  3. Response Frame
  4. Unnumbered Frame
(정답률: 78%)
  • Unnumbered Frame은 HDLC 프로토콜에서 링크의 설정과 해제, 그리고 오류 회복을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프레임에 번호를 할당하지 않고,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Supervisory Frame은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지만, 프레임 번호를 할당하여 오류 검출 및 복구에 사용됩니다. Information Frame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프레임 번호를 할당하여 오류 검출 및 복구에 사용됩니다. Response Frame은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TCP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가 아닌것은?

  1. 긴급 포인터
  2. 호스트 주소
  3. 순서 번호
  4. 체크섬
(정답률: 59%)
  • TCP 헤더에는 출발지 포트, 목적지 포트, 순서 번호, 확인 응답 번호, 데이터 오프셋, 예약 비트, URG, ACK, PSH, RST, SYN, FIN, 윈도우 크기, 체크섬, 긴급 포인터 등의 정보가 포함됩니다. 그러나 호스트 주소는 IP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이므로 TCP 헤더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채널 대역폭이 150 kHz이고 S/N이 15일 때 채널용량(kbps)은?

  1. 150
  2. 300
  3. 450
  4. 600
(정답률: 77%)
  • 채널용량은 채널 대역폭과 S/N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채널 대역폭이 150 kHz이므로, 이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비트 수는 150,000 bps이다. 그러나 S/N 비율이 15로 주어졌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채널용량을 계산해야 한다. 채널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채널용량 = 채널 대역폭 x log2(1 + S/N)

    여기서 log2는 밑이 2인 로그 함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채널용량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채널용량 = 150,000 x log2(1 + 15) = 600,000 bps = 600 kbps

    따라서, 정답은 "6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전송제어 절차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회선 접속 → 데이터 링크 확립 → 회선 절단 → 데이터 링크 해제 → 정보 전송
  2. 데이터 링크 확립 → 회선 접속 → 정보 전송 →회선 절단 → 데이터 링크 해제
  3. 데이터 링크 확립 → 정보 전송 → 회선 접속확립 → 데이터 링크 해제 → 회전 절단
  4. 회선 접속 → 데이터 링크 확립 → 정보 전송 → 데이터 링크 해제 → 회선 절단
(정답률: 93%)
  • 전송제어 절차는 "회선 접속 → 데이터 링크 확립 → 정보 전송 → 데이터 링크 해제 → 회선 절단" 순서로 이루어진다. 먼저 회선에 접속한 후, 데이터 링크를 확립하여 정보를 전송하고, 데이터 링크를 해제한 후에 회선을 절단한다. 따라서 4번 "회선 접속 → 데이터 링크 확립 → 정보 전송 → 데이터 링크 해제 → 회선 절단"이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link-state 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로 옳은 것은?

  1. RIPv2
  2. OSPF
  3. RIP
  4. EIGRP
(정답률: 75%)
  • OSPF는 link-state 방식의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네트워크의 전체 토폴로지 정보를 수집하고, 각 라우터가 이를 분석하여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OSPF는 더욱 정확하고 빠른 라우팅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점대점 링크를 통하여 인터넷 접속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인 PPP(Point to Point Protoco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전송을 통한 오류 복구와 흐름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2. LCP와 NCP를 통하여 유용한 기능을 제공한다.
  3. IP 패킷의 캡슐화를 제공한다.
  4. 동기식과 비동기식 회선 모두를 지원한다.
(정답률: 47%)
  • "동기식과 비동기식 회선 모두를 지원한다."는 PPP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도 모두 PPP의 기능 중 하나를 설명하고 있으므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PP는 재전송을 통한 오류 복구와 흐름제어 기능을 제공한다. 이는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하여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조절하여 수신측의 처리 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은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PSK에서 반송파간의 위상차는? (단, M은 진수이다.)

  1. π/M
  2. π×M
  3. 2π/M
  4. 5π/2M
(정답률: 88%)
  • PSK는 위상 변조 방식 중 하나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반송파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방식이다. 이때, 위상 변화의 크기는 정보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진수(M)에 따라 결정된다.

    PSK에서는 일반적으로 M개의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M개의 위상을 사용한다. 따라서, 반송파간의 위상 차이는 M개의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360도(또는 2π 라디안)를 M등분한 값이 된다.

    즉, 반송파간의 위상 차이는 2π/M 이 된다. 이 값은 M이 증가할수록 작아지며, M=2인 경우에는 π(180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QPSK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 개의 DPSK를 합성한 것이다.
  2. 피변조파의 크기는 일정하다.
  3. 반송파 간의 위상차는 90°이다.
  4. I채널과 Q채널 두 개가 있다.
(정답률: 54%)
  • QPSK는 "두 개의 DPSK를 합성한 것"이 아니라 "두 개의 BPSK를 합성한 것"이다. QPSK는 I채널과 Q채널 두 개가 있으며, 각 채널에서는 BPSK와 같이 0 또는 1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QPSK는 4개의 가능한 심볼을 가지며, 이를 위해 반송파 간의 위상차는 90°이다. 피변조파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토큰링 방식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표준안은?

  1. IEEE 802.2
  2. IEEE 802.3
  3. IEEE 802.5
  4. IEEE 802.6
(정답률: 79%)
  • 토큰링 방식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 토큰이라는 신호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때 사용되는 네트워크 표준안은 IEEE 802.5입니다. 이는 토큰링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IEEE 802.2는 논리적 링크 제어 프로토콜, IEEE 802.3은 이더넷 프로토콜, IEEE 802.6은 망 상호 연결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라우팅 프로토콜 중 EGP(Exterior Gateway Protocol)로 사용되며 AS-Path를 통해 L3 Looping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양한 Attribute값을 통해 best path를 결정하는데 있어 관리자의 의도를 반영할 수 있는 라우팅 프로토콜은?

  1. RIP
  2. OSPF
  3. EIGRP
  4. BGP
(정답률: 65%)
  • BGP는 EGP로 사용되며 AS-Path를 통해 L3 Looping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양한 Attribute값을 통해 best path를 결정하는데 있어 관리자의 의도를 반영할 수 있는 라우팅 프로토콜입니다. RIP, OSPF, EIGRP는 모두 IGP(Interior Gateway Protocol)로 사용되며, BGP와는 달리 AS 경계를 넘어서는 라우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1'은 한 펄스폭을 2개로 나누어서 반구간은 양(+), 펄스의 나머지 구간은 음(-)으로 구성하고 '0'은 '1'과 반대로 구성하는 데이터 전송방법은?

  1. 바이폴라 펄스
  2. 맨체스터 펄스
  3. 차동 펄스
  4. 단극 RZ 펄스
(정답률: 82%)
  • 맨체스터 펄스는 데이터 전송 시간을 반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1'과 '0'을 구분하기 위해 한 펄스폭을 2개로 나누어서 반구간은 양(+), 펄스의 나머지 구간은 음(-)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데이터의 변화를 펄스의 변화로 표현하기 때문에 신호의 동기화가 용이하고, 오류 검출이 쉽습니다. 따라서 맨체스터 펄스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패킷(packet) 교환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패킷 단위로 데이터 전송
  2. 고정적인 전송 대역폭
  3. 가상회선 방식
  4. 데이터그램 방식
(정답률: 66%)
  • 패킷 교환은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전송하는 방식이며, 가상회선 방식과 데이터그램 방식은 패킷 교환 방식의 두 가지 구현 방법입니다. 하지만 고정적인 전송 대역폭은 패킷 교환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개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고정적인 전송 대역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패킷교환망의 경로 배정 중 각 노드에 들어오는 패킷을 도착된 링크를 제외한 다른 모든 링크로 복사하여 전송하는 방식은?

  1. Flooding
  2. Random Routing
  3. Fixed Routing
  4. Adaptive Routing
(정답률: 86%)
  • Flooding은 모든 링크로 패킷을 복사하여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각 노드에 들어오는 패킷을 도착된 링크를 제외한 다른 모든 링크로 복사하여 전송하는 방식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Flood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HDLC 프레임 구성에서 플래그는 전송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낸다. 이 플래그의 고유 비트패턴은?

  1. 01111110
  2. 11111111
  3. 00000000
  4. 10000001
(정답률: 75%)
  • HDLC 프레임 구성에서 플래그는 01111110 비트패턴을 가진다. 이는 1 바이트(8비트)의 이진수로 표현하면 0x7E와 같다. 이 비트패턴은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며, 수신 측에서는 이 비트패턴을 감지하여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파악한다. 이 비트패턴은 다른 비트패턴과 구분하기 쉽고, 프레임 내부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비트패턴이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한 개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 측으로부터 ACK 및 NAK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정보전송을 중지하고 기다리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은?

  1. CRC 방식
  2. Go-back-N 방식
  3. Stop-and-wait 방식
  4. Selective repeat 방식
(정답률: 86%)
  • Stop-and-wait 방식은 한 번에 한 개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수신 측으로부터 ACK(정상 수신 확인) 및 NAK(비정상 수신 확인)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정보전송을 중지하고 기다리는 ARQ 방식입니다. 따라서, 전송한 프레임이 제대로 수신되지 않으면 NAK 신호를 받고 재전송을 하게 됩니다. 이 방식은 전송 중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낮은 경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