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3-13)

방송통신기사
(2011-03-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평활회로의 기능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콘덴서나 인덕터를 통해 파형을 평탄하게 하여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만든다.
  2. 트랜지스터를 통해 (-)성분을 제거시켜서 평균값을 발생시킨다.
  3. 제너다이오드를 통해 출력전압을 안정화 시켜준다.
  4. 트랜지스터를 통해 출력전압을 안정화 시켜준다.
(정답률: 64%)
  • 콘덴서나 인덕터를 통해 파형을 평탄하게 하여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만든다는 것은, 평활회로가 입력 전압의 변동을 완화시켜서 출력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콘덴서나 인덕터를 사용하여 입력 전압의 변동을 완화시키고,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만들어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정류회로를 평가하는 파라미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최대역전압
  2. 궤환율
  3. 전압변동률
  4. 정류효율
(정답률: 55%)
  • 궤환율은 정류회로를 평가하는 파라미터가 아닙니다. 궤환율은 회전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로, 회전체의 궤도가 얼마나 균일한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정류회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주어진 회로는 어떤 종류의 회로인가?

  1. 클리핑 회로
  2. 중간탭 전파정류회로
  3. 브릿지 전파정류회로
  4. 전압체배회로
(정답률: 60%)
  • 이 회로는 브릿지 전파정류회로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브릿지 전파정류회로는 AC 신호를 DC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로, 4개의 다이오드와 2개의 저항으로 구성된다. 이 회로에서는 다이오드가 양방향으로 전류를 통과할 수 없도록 배치되어 있어, 입력 신호의 양극성에 따라 다이오드 중 2개가 전류를 통과하게 되고, 나머지 2개는 차단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렇게 차단된 신호는 저항을 통해 출력으로 나오게 되는데, 이 출력은 입력 신호의 양극성에 따라 양수 또는 음수의 DC 신호가 된다. 따라서 이 회로는 브릿지 전파정류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트랜지스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컬렉터(collector)와 베이스(base) 단자 사이의 바이어스는?

  1. 순방향 바이어스 되어야 한다.
  2. 역방향 바이어스 되어야 한다.
  3. 도통하지 않아야 한다.
  4. 항복영역에서 동작하지 않아야 한다.
(정답률: 48%)
  • 정답: 역방향 바이어스 되어야 한다.

    이유: 트랜지스터는 컬렉터와 에미터(emitter) 사이에 전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베이스-에미터 결합부를 가지고 있다. 이 결합부에 어느 정도의 전압이 인가되면,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컬렉터와 에미터 사이의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에미터 결합부에 순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여 트랜지스터가 동작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것이며 결국 트랜지스터가 소멸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베이스-에미터 결합부에 역방향 바이어스가 인가되어야 한다. 이는 트랜지스터가 항복영역에서 동작하게 하여 안정적인 전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공통 베이스(common base) 증폭기 회로에서 컬렉터 전류가 4.9[mA]이고, 에미터 전류가 5[mA]이었을 때 직류전류 증폭률은?

  1. 0.98
  2. 0.99
  3. 98
  4. 99
(정답률: 59%)
  • 공통 베이스 증폭기 회로에서 직류전류 증폭률은 일반적으로 약 0.98 ~ 0.99 정도이다. 이는 컬렉터 전류와 에미터 전류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직류전류 증폭률이 0.98이 된다. 이유는 공통 베이스 증폭기 회로에서는 입력 신호가 베이스-에미터 전압에 의해 제어되므로, 출력 신호의 직류 성분은 입력 신호와는 독립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류전류 증폭률은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증폭기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A급 증폭기
  2. AB급 증폭기
  3. C급 증폭기
  4. AC급 증폭기
(정답률: 64%)
  • AC급 증폭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A급, AB급, C급은 모두 증폭기의 종류이지만 AC급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B급 SEPP 증폭기에서 트랜지스터 1개당 최대전력 손실은 약 몇 [W] 인가?

  1. 1.5[W]
  2. 2.5[W]
  3. 3.5[W]
  4. 4.5[W]
(정답률: 46%)
  • B급 SEPP 증폭기에서 각 트랜지스터는 전압이 0.7V인 베이스-에미터 절단전압을 가지고 있으므로, 베이스 전압이 0.7V 이상이어야 트랜지스터가 동작한다. 따라서, 베이스 전압이 0.7V 미만인 경우에는 트랜지스터가 전류를 지나가지 않으므로 전력 손실이 발생한다.

    이 증폭기 회로에서는 각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압이 0.7V 미만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R1과 R2 저항을 조절하여 베이스 전압을 설정한다. 이때, R1과 R2의 값이 클수록 베이스 전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전력 손실이 적어진다.

    따라서, 이 증폭기에서 각 트랜지스터당 최대전력 손실은 R1과 R2의 값에 따라 달라지지만, 보통 3.5W 이하로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정현파 발진기로서 부적합한 것은?

  1. LC 발진기
  2. 수정 발진기
  3. 멀티바이브레이터
  4. CR 발진기
(정답률: 63%)
  • 정현파 발진기는 일정한 주파수를 가진 정현파를 발생시키는 회로이다. 이 중에서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여러 개의 콘덴서와 저항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주파수가 불안정하고 변동이 크기 때문에 정현파 발진기로서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정답은 "멀티바이브레이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발진회로에서 높은 주파수의 동작에 적절한 발진회로 구현을 위한 리액턴스 조건은 무엇인가?

  1. Z1= 용량성, Z2=용량성, Z3=용량성
  2. Z1= 유도성, Z2=유도성, Z3=유도성
  3. Z1= 유도성, Z2=용량성, Z3=용량성
  4. Z1= 용량성, Z2=용량성, Z3=유도성
(정답률: 63%)
  • 높은 주파수에서는 용량성 리액턴스가 작아지고, 유도성 리액턴스가 커지기 때문에 발진회로에서는 용량성 리액턴스를 Z1과 Z2에, 유도성 리액턴스를 Z3에 구현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정답은 "Z1= 용량성, Z2=용량성, Z3=유도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궤환에 의한 발진회로에서 증폭기의 이득을 A, 궤환 회로의 궤환율을 β라고 할 때, 발진이 지속되기 위한 조건은?

  1. βA = 1
  2. βA < 1
  3. βA > 1
  4. βA = 0
(정답률: 49%)
  • 궤환에 의한 발진회로에서는 궤환 회로의 피드백이 증폭기의 입력 신호와 같은 크기이며 반대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때, 발진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궤환을 따라서 다시 입력으로 들어가서 자기 자신을 계속해서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증폭기의 이득과 궤환 회로의 궤환율이 서로 곱해져서 1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βA = 1이 발진이 지속되기 위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FM 검파 방식 중에서 주파수 변화에 의한 전압 제어 발진기의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복조하는 방식은 다음 중 어떤 것인가?

  1. 계수형 검파기
  2. PLL형 검파기
  3. 포스터-실리 검파기
  4. 비 검파기
(정답률: 68%)
  • PLL형 검파기는 주파수 변화에 따라 전압 제어 발진기의 제어 신호를 조절하여 복조하는 방식이다. 이는 PLL(Phase Locked Loop) 회로를 이용하여 입력 신호와 발진기의 출력 신호를 비교하고, 오차 신호를 이용하여 발진기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주파수와 일치하는 발진기의 주파수를 유지하면서 복조를 수행할 수 있어 정확한 검파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파수 변조에서 S/N 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주파수 대역폭을 크게 한다.
  2. 변조지수를 크게 한다.
  3. 프리엠퍼시스 회로를 사용한다.
  4. 주파수 변별회로를 사용한다.
(정답률: 31%)
  • 주파수 변별회로는 주파수를 구별하는 회로이기 때문에 S/N 비를 높이는 방법이 아니다. 주파수 대역폭을 크게 하거나 변조지수를 크게 함으로써 S/N 비를 높일 수 있고, 프리엠퍼시스 회로를 사용하여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여 S/N 비를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펄스 파형에서 턴-오프 시간(turn-off time)은 무엇인가?

  1. 하강시간+축적시간
  2. 상승시간+지연시간
  3. 축적시간+상승시간
  4. 지연시간+상승시간
(정답률: 55%)
  • 트랜지스터가 스위칭 작용을 하면서 전하가 축적되는데, 이 축적된 전하를 제거하는 시간을 턴-오프 시간이라고 한다. 따라서 턴-오프 시간은 하강시간(전하가 제거되는 시간)과 축적시간(전하가 축적되는 시간)의 합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정답은 "하강시간+축적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의 회로는 어떤 동작을 하는가?

  1. OR
  2. NOR
  3. AND
  4. NAND
(정답률: 55%)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A 또는 B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1이 되는 "OR" 게이트이다. 입력이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0이 되고, 그 외에는 항상 출력이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회로의 출력은?

  1. 
(정답률: 46%)
  • 이 회로는 AND 게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된다. 따라서 입력 A와 B가 모두 1인 경우에만 출력이 1이 되므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입력 주파수 512[kHz]를 T형 플립플롭 7개 종속 접속한 회로에 인가했을 때 출력 주파수는 얼마인가?

  1. 256[kHz]
  2. 8[kHz]
  3. 4[kHz]
  4. 2[kHz]
(정답률: 36%)
  • T형 플립플롭 2개를 연속으로 접속하면 주기가 2배가 되므로, 7개를 연속으로 접속하면 주기가 2의 7승(128)배가 된다. 따라서 출력 주파수는 입력 주파수인 512[kHz]를 128로 나눈 값인 4[kHz]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비동기식 카운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리플 카운터라고도 한다.
  2. 고속 카운팅에 주로 사용된다.
  3. 전단의 출력이 다음 단의 트리거 입력이 된다.
  4. 매우 높은 주파수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42%)
  • 비동기식 카운터는 전단의 출력이 다음 단의 트리거 입력이 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때문에 입력 신호의 변화와 상관없이 카운팅이 일어날 수 있어서 불안정한 동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높은 주파수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고속 카운팅에 주로 사용되는 이유는, 비동기식 카운터는 각 단계에서 동시에 여러 비트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병렬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이용하여 고속 카운팅을 구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플립플롭 4개로 구성된 계수기가 가질 수 있는 최대의 2진 상태는 몇 가지인가?

  1. 8가지
  2. 12가지
  3. 16가지
  4. 20가지
(정답률: 67%)
  • 4개의 플립플롭은 각각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가능한 모든 조합의 수는 2의 4승인 16가지이다. 따라서, 계수기가 가질 수 있는 최대의 2진 상태는 16가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n개의 입력으로부터 2진 정보를 2n개의 독자적인 출력으로 변환이 가능한 것은?

  1. 멀티플렉서
  2. 디코더
  3. 계수기
  4. 비교기
(정답률: 55%)
  • 디코더는 n개의 입력에 대해 2n개의 출력을 가지므로, 2진 정보를 2n개의 독자적인 출력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멀티플렉서는 n개의 입력에 대해 2n개의 출력을 가지지 않으며, 계수기와 비교기는 입력값을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문제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계수형 전자계산기(digital computer)의 기억장치 중 보조기억장치가 아닌 것은?

  1. 자기 드럼(magnetic drum)
  2.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3.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4. 자기 코어(magnetic core)
(정답률: 63%)
  • 자기 코어는 주기억장치(RAM)의 일종으로, 자기 드럼,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와는 달리 보조기억장치가 아니라 주기억장치에 속합니다. 따라서 자기 코어가 보조기억장치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송통신 기기

21. 다음 중 음향설비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틀린 것은?

  1. 외부에 대한 누음이 잘 될 것
  2. 사용목적에 적합한 울림의 길이와 음질을 갖출 것
  3. 조용한 환경일 것
  4. 저음역의 고유진동에 부밍(Booming)이나 울림 등이 없을 것
(정답률: 81%)
  • 조용한 환경일 것이 틀린 조건입니다. 음향설비는 주로 소음이 많은 장소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외부에 대한 누음이 잘 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는 외부 소음이 내부 소리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방송에 사용될 영상소재를 컴퓨터 영상장치에 의하여 입력받아 스토리지(Storage)에 저장, 인코딩, 방송소재 검색, 미디어 관리, 캡처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1. Betacam System
  2. Master Control System
  3. ADC System
  4. Capture System
(정답률: 77%)
  • 영상소재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Capture System입니다. Betacam System은 비디오 테이프 포맷을 사용하는 녹화 시스템이며, Master Control System은 방송 채널을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ADC Syste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디지털 HDTV 스튜디오 규격의 영상신호의 표본화 주파수가 가장 적절한 것은?

  1. 휘도신호(Y): 74.25[MHz], 색차신호(R-Y): 37.125[MHz], 색차신호(B-Y): 37.125[MHz]
  2. 휘도신호(Y): 148.5[MHz], 색차신호(R-Y): 74.25[MHz], 색차신호(B-Y): 74.25[MHz]
  3. 휘도신호(Y): 13.5[MHz], 색차신호(R-Y): 6.75[MHz], 색차신호(B-Y): 6.75[MHz]
  4. 휘도신호(Y): 13.5[MHz], 색차신호(R-Y): 13.5[MHz], 색차신호(B-Y): 13.5[MHz]
(정답률: 76%)
  • 디지털 HDTV 스튜디오 규격에서는 휘도신호(Y)와 색차신호(R-Y, B-Y)를 표본화하는 주파수가 모두 같아야 합니다. 이는 YUV 색공간에서 색차신호가 휘도신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색차신호(R-Y, B-Y)의 주파수가 가장 작은 "휘도신호(Y): 74.25[MHz], 색차신호(R-Y): 37.125[MHz], 색차신호(B-Y): 37.125[MHz]"가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우리나라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에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대는?

  1. 중파
  2. 단파
  3. 초단파
  4. 극초단파
(정답률: 69%)
  • 우리나라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에서는 중파, 단파, 초단파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극초단파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는 극초단파의 주파수가 매우 높아서 전파가 짧은 거리에서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극초단파는 지역성이 강하고 전파가 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국내 라디오 방송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변조방식 중 주파수변조(FM) 방식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AM 방식보다 레벨 변동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2. AM 방식보다 손호대 잡음비(S/N)가 좋다.
  3. AM 방식에 비하여 넓은 주파수 대역이 필요하다.
  4. AM 방식에 비하여 잡음이나 혼신에 강하다.
(정답률: 68%)
  • "AM 방식보다 레벨 변동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FM 방식의 특성이 아니다. FM 방식은 주파수 변화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레벨 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이다.

    이유는 FM 방식은 주파수 변화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신호의 진폭이나 레벨이 변해도 주파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레벨 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반면 AM 방식은 진폭 변화에 따라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레벨 변동이 신호의 진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라디오 송신 안테나의 근처에는 강한 전파로 인하여 다른 방송의 수신이 방해를 받게 되는 지역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페이딩(Pading) 지역
  2. 블랭킷(Blanket) 지역
  3. 리전(Region) 지역
  4. 오버랩(Overlap) 지역
(정답률: 77%)
  • 라디오 송신 안테나의 근처에는 매우 강한 전파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강한 전파는 다른 방송의 수신을 방해하게 됩니다. 이때, 이러한 방해가 발생하는 지역을 블랭킷(Blanket) 지역이라고 합니다. 이는 전파가 일정한 강도로 분포되어 다른 방송의 수신을 방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수직 귀선시간 0.08H를 [μs]단위로 환산한 값에 가장 근사한 것은?

  1. 3[μs]
  2. 5[μs]
  3. 7[μs]
  4. 9[μs]
(정답률: 57%)
  • 수직 귀선시간 0.08H을 [μs]단위로 환산하려면 0.08H에 10^6을 곱하고 1초를 10^6으로 나누어야 한다. 따라서 계산하면 0.08H × 10^6 / 10^6 = 80[μs]가 된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가장 5[μs]에 가깝기 때문에 정답은 "5[μ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TV의 음성회로에 디엠퍼시스 회로를 넣어 사용하는 목적은?

  1. 저주파 영역의 특성을 보정하기 위하여
  2. 버즈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3. 고주파 영역의 특성을 보정하기 위하여
  4. 음성신호를 강하게 하기 위하여
(정답률: 63%)
  • 디엠퍼시스 회로는 고주파 영역의 특성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회로는 음성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어하여 왜곡을 줄이고, 음질을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TV의 음성회로에 디엠퍼시스 회로를 넣어 사용하는 것은 음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위성방송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위성 DMB 서비스는 L, S밴드로 서비스한다.
  2. 실시간 방송 서비스시 신호 지연이 발생한다.
  3. Ku 밴드보다 C 밴드에서 강우 감쇄 영향이 크다.
  4. 정지궤도의 유한성으로 위성 수가 제한된다.
(정답률: 62%)
  • "위성 DMB 서비스는 L, S밴드로 서비스한다.", "실시간 방송 서비스시 신호 지연이 발생한다.", "정지궤도의 유한성으로 위성 수가 제한된다."는 모두 위성방송의 특징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Ku 밴드보다 C 밴드에서 강우 감쇄 영향이 크다."는 Ku 밴드와 C 밴드의 주파수 대역이 다르기 때문에 강우 감쇄 영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Ku 밴드는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비가 오면 신호가 약해지는 경향이 크지 않지만, C 밴드는 낮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비가 오면 신호가 약해지는 경향이 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디지털 방송용 위성 전송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넓은 지역을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다.
  2. 광대역 신호를 취급할 수 있다.
  3. 고스트 방해가 크다.
  4. 강우에 의한 신호의 감쇠를 받는다.
(정답률: 75%)
  • 디지털 방송용 위성 전송로는 고스트 방해가 크지 않다. 이는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보다 고스트 방해에 덜 민감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용 위성 전송로는 고화질의 영상과 음성을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디지털 유선방송 송수신 정합표준은 어떤 방식을 기본으로 제정되었는가?

  1. NTSC
  2. ATSC
  3. Open Cable
  4. Packet Cable
(정답률: 55%)
  • 디지털 유선방송 송수신 정합표준은 Open Cable 방식을 기본으로 제정되었습니다. 이는 Open Cable이 케이블 텔레비전 산업에서 사용되는 표준 인터페이스이며,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방적이고 유연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Open Cable은 케이블 텔레비전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로, 다른 표준과의 호환성도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CATV 시스템 중 헤드엔드 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위성방송 재송신시설
  2. 자체방송시설
  3. 중계시설
  4. 모니터 및 제어시설
(정답률: 62%)
  • 헤드엔드 설비는 CATV 시스템에서 신호를 생성하고 처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중계시설은 다른 지역에서 생성된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지역의 가입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중계시설은 헤드엔드 설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HFC(Hybrid Fiber Coaxial)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광케이블로 구성된 유선 방송망을 말한다.
  2. 방송국에서 가입자까지의 선로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된다.
  3.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이 혼합된 선로를 말한다.
  4. 광분배점에서 가입자 댁까지는 광케이블을 사용한다.
(정답률: 70%)
  • HFC는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이 혼합된 선로를 말합니다. 이는 광케이블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동축케이블로 변환하여 가입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유선 방송망입니다. 따라서, "광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이 혼합된 선로를 말한다."가 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TV 자막방송 방식으로 라인21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1초에 60글자의 속도로 전송한다.
  2. 각 가정의 VCR로 녹화, 재생이 가능하다.
  3. 청각 장애인용으로 개발된 시스템이다.
  4. 방송국가는 영국, 호주 등이 있다.
(정답률: 62%)
  • "방송국가는 영국, 호주 등이 있다."는 맞는 설명이다. TV 자막방송 방식으로 라인21 시스템은 1초에 60글자의 속도로 전송되며, 각 가정의 VCR로 녹화, 재생이 가능하며, 청각 장애인용으로 개발된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데이터 방송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제한적 지역 서비스
  2. 단방향/양방향 모두 가능
  3. 이용자 요구의 콘텐츠 제공
  4. 최신 자료의 누적
(정답률: 79%)
  • "제한적 지역 서비스"는 데이터 방송의 특성이 아닙니다. 이는 지역적으로 제한된 서비스를 의미하며, 데이터 방송은 지역에 제한되지 않고 전국적으로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은 재난방송의 특성 및 역할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재난방송은 휴머니즘에 기초를 둔 인명중시사상에 가장 중심적인 가치를 두고 있다.
  2. 방송사에도 재난발생시 보도기관임과 동시에 국가 방재기관으로 어느 공공기관보다도 책임과 역 이 중대하다.
  3. 공영방송인 KBS의 경우 수신료에 의해서 운영되기 때문에 이러한 막강한 소구력으로 시청자에 대한 공적의무를 다해야 한다.
  4. 공영방송을 제외함 매체는 재난방송의 매체가 아니기 때문에 재난방송의 기능 중 보도기능, 방재기능, 부흥기능면에서 다소 약하다.
(정답률: 81%)
  • "공영방송을 제외함 매체는 재난방송의 매체가 아니기 때문에 재난방송의 기능 중 보도기능, 방재기능, 부흥기능면에서 다소 약하다."이 말은, 공영방송인 KBS는 재난방송의 매체로서 막강한 소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재난방송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지만, 다른 매체들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재난방송의 기능 중 보도기능, 방재기능, 부흥기능면에서 다소 약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재난방송은 인명중시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방송사는 국가 방재기관으로서 책임과 역할이 크다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영상신호의 DG(Differential Gain) 측정으로 Modulated 5-Stairstep 신호에서 모든 Burst가 40[IRE]이고, 가장 높은 Step Burst가 38[IRE]이다. 몇 [%]가 되는가?

  1. 5[%]
  2. -5.26[%]
  3. 3.26[%]
  4. 5.26[%]
(정답률: 52%)
  • DG(Differential Gain)는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출력 신호의 크기가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Modulated 5-Stairstep 신호를 사용하여 DG를 측정하고 있다.

    가장 높은 Step Burst가 38[IRE]이므로, 이 값이 정상적인 값인 40[IRE]보다 2[IRE]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DG는 (40-38)/40 = 0.05 = 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공진회로 이외의 다른 회로가 원인이 되어 목적 이외의 다른 주파수 성분이 정궤환에 의해 발진되는 현상은?

  1. 기생발진
  2. 궤환발진
  3. 공진발진
  4. 여진발진
(정답률: 68%)
  • 기생발진은 회로의 일부가 다른 주파수에서 발진되는 현상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회로의 부품이나 구성 요소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진동이 원인입니다. 이러한 진동은 회로의 다른 부분과 상호작용하여 다른 주파수 성분을 발생시키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공진회로와는 다르게 목적 이외의 주파수 성분이 발생하므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웨이브폼 모니터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것은?

  1. 크로미넌스 위상
  2. 크로미넌스 레벨
  3. 휘도 레벨
  4. 동기 신호
(정답률: 45%)
  • 크로미넌스 위상은 색상과 관련된 개념으로, 웨이브폼 모니터에서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웨이브폼 모니터는 주로 휘도 레벨과 크로미넌스 레벨, 그리고 동기 신호를 확인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ATSC 방식의 DTV 송신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R/S Encoder
  2. CIN diplexer
  3. Data Interleaver
  4. Trellis Encoder
(정답률: 73%)
  • ATSC 방식의 DTV 송신기에서 CIN diplexer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CIN diplexer는 유럽의 DVB 방식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로, ATSC 방식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R/S Encoder, Data Interleaver, Trellis Encoder는 모두 ATSC 방식의 DTV 송신기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공학

41. 국내 FM 방송의 주파수대역은 얼마인가?

  1. 75[MHz]~99[MHz]
  2. 80[MHz]~100[MHz]
  3. 88[MHz]~108[MHz]
  4. 90[MHz]~110[MHz]
(정답률: 86%)
  • 국내 FM 방송의 주파수대역은 88[MHz]~108[MHz]이다. 이는 국제적으로 정해진 FM 주파수대역인 VHF 대역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대역으로, 국내에서도 이에 따라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는 88[MHz]~108[MHz]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FM 대역에서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위한 주요 전송방식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DRM
  2. IBOC
  3. Eureka-147
  4. DVB-T
(정답률: 54%)
  • DVB-T는 FM 대역이 아닌 UHF/VHF 대역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TV 방송 전송방식이므로, FM 대역에서 디지털 라디오 방송을 위한 주요 전송방식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NTSC 영상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 Composite Digital Video 신호의 샘플링주파수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4.3[MHz]
  2. 27[MHz]
  3. 6.25[MHz]
  4. 6[MHz]
(정답률: 45%)
  • NTSC 영상신호의 대역폭은 약 4.2MHz이며, 이를 디지털화하기 위해서는 샘플링 주파수가 대역폭의 2배 이상인 Nyquist 주파수 이상으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NTSC 영상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한 Composite Digital Video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는 최소 8.4MHz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적절한 것은 14.3M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지상파 방송시스템에서 갖추어야 될 필수 설비로 볼 수 없는 것은?

  1. 송ㆍ수신 설비
  2. 프로그램제작 설비
  3. 편집 설비
  4. 수신제한 설비
(정답률: 78%)
  • 수신제한 설비는 방송을 송출하는 측에서 아닌, 시청자들이 개인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설비이기 때문에 지상파 방송시스템에서 갖추어야 될 필수 설비로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신제한 설비"입니다. 반면에, 송ㆍ수신 설비, 프로그램제작 설비, 편집 설비는 방송을 제작하고 송출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설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Doppler 효과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주파수가 조금 다른 두 소리가 겹쳐졌을 때, 두 소리가 서로 간섭하여 또 다른 주파수를 발생하며 주기적으로 강약을 되풀이 하는 현상
  2. 파동원과 관측자가 상대적으로 운동할 때 진동수가 정지해 있을 때와 다르게 관측되는 현상
  3. 음파의 압력으로 어떤 물체가 그 음파와 동일한 진동수의 소리를 내는 현상
  4. 어떤 물체에 음파가 부딪쳤다가 되돌아오거나 진행방향이 변하는 현상
(정답률: 61%)
  • 파동원과 관측자가 상대적으로 운동할 때 진동수가 정지해 있을 때와 다르게 관측되는 현상. Doppler 효과는 소리나 빛의 파동이 관측자와 원점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운동할 때, 관측자가 받는 파동의 주파수가 원래 주파수와 다르게 느껴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파동의 진동수가 관측자와 원점 사이의 상대적 속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유럽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디지털 방식의 이동전화 접속방식은 무엇인가?

  1. CDMA
  2. GSM
  3. CDMA2000
  4. FDMA
(정답률: 61%)
  • 정답: GSM

    설명: GSM은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의 약자로, 유럽을 비롯한 많은 지역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이동전화 접속방식이다. GSM은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기반으로 하며, 이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반면 CDMA와 CDMA2000은 주로 미국과 일부 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접속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디지털 음향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표준 샘플링(Sampling) 주파수와 거리가 먼 것은?

  1. 32[kHz]
  2. 44.1[kHz]
  3. 48[kHz]
  4. 86[kHz]
(정답률: 65%)
  • 정답: 86[kHz]

    일반적으로 디지털 음향 분야에서 사용하는 표준 샘플링 주파수는 44.1[kHz] 또는 48[kHz]이다. 이는 CD나 DVD 등에서 사용되는 주파수이다. 32[kHz]는 주로 음성 녹음이나 저전력 디지털 오디오에 사용되며, 86[kHz]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주파수이다. 이유는 86[kHz]는 고주파 영역을 녹음할 때 사용되는데, 대부분의 음원은 이보다 낮은 주파수 범위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주파 영역을 녹음할 때 생기는 문제점들이 있어서 사용이 제한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NTSC 방식에서 색신호인 I 신호 EI와 Q 신호 EQ의 대역폭을 각각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EI : 1.2[MHz], EQ : 0.2[MHz]
  2. EI : 1.3[MHz], EQ : 0.3[MHz]
  3. EI : 1.4[MHz], EQ : 0.4[MHz]
  4. EI : 1.5[MHz], EQ : 0.5[MHz]
(정답률: 75%)
  • NTSC 방식에서 색신호는 삼중색 원색인 R, G, B 신호를 변환하여 얻어진 I, Q 신호로 구성된다. 이때 I 신호는 R-Y, Q 신호는 B-Y 신호를 이용하여 변환된다. 따라서 I 신호는 R-Y 신호의 대역폭인 1.5[MHz]를, Q 신호는 B-Y 신호의 대역폭인 0.5[MHz]를 갖는다. 따라서 정답은 "EI : 1.5[MHz], EQ : 0.5[M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색의 3요소로 적합한 것은?

  1. 밝기, 크기, 색조
  2. 밝기, 채도, 크기
  3. 조도, 채도, 색조
  4. 밝기, 채도, 색조
(정답률: 79%)
  • 색은 밝기, 채도, 색조의 3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밝기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며, 채도는 색의 선명한 정도를 나타내며, 색조는 색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밝기, 채도, 색조"가 색의 3요소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NTSC 방식에서 휘도신호는 컬러(color) 카메라로부터 원색신호를 어떻게 혼합하여 만드는가?

  1. Ey = 0.11ER +0.59EG +0.30EB
  2. Ey = 0.11ER +0.30EG +0.59EB
  3. Ey = 0.30ER +0.11EG +0.59EB
  4. Ey = 0.30ER +0.59EG +0.11EB
(정답률: 51%)
  • NTSC 방식에서는 휘도신호(Ey)를 만들기 위해 원색신호인 빨강(R), 초록(G), 파랑(B)을 혼합합니다. 이때, 인간의 눈은 초록색에 가장 민감하므로 초록색의 가중치를 높게 설정합니다. 따라서, 휘도신호(Ey)를 만드는 공식은 "Ey = 0.30ER +0.59EG +0.11EB"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사람이 직접 교체하지 않아도 원격 조작에 의해 다양한 색상의 컬러 필터를 교체하여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구현하는 전기식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는?

  1. 고보 로테이터(gobo rotator)
  2. 빔 벤더(beam bender)
  3. 컬러 스크롤러(color scroller)
  4. 매트 박스(matte box)
(정답률: 67%)
  • 컬러 스크롤러는 원격 조작에 의해 다양한 색상의 컬러 필터를 교체하여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구현하는 전기식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고보를 회전시켜 이미지를 만드는 장치, 빔을 휘어주는 장치, 카메라 렌즈 앞에 부착하여 빛을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광량을 조정하기 위해 렌즈의 F-stop 수치를 F/2.8에서 F/5.6으로 증가시키면 광량은 몇 배 증가하는가?

  1. 2배
  2. 4배
  3. 8배
  4. 16배
(정답률: 75%)
  • F-stop 수치가 2배씩 증가할 때마다 광량은 2배씩 감소합니다. 따라서 F/2.8에서 F/5.6으로 증가시키면 광량은 2배씩 감소하여 1/2가 됩니다. 그러므로 광량은 2배가 아닌 4배가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의 오디오 효과기의 기능 중에서 주파수 영역을 변화시키는 것은 무엇인가?

  1. Equalizer
  2. Limiter
  3. Digital Delay
  4. Compressor
(정답률: 84%)
  • Equalizer는 주파수 영역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량을 증폭하거나 감소시켜서 원하는 음향 효과를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디지털 방송의 송신과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프로그램 정보의 압축부호화 → 복수정보의 다중화 → 정정부호의 부가 → 디지털 변조
  2. 복수정보의 다중화 → 프로그램 정보의 압축부호화 → 정정부호의 부가 → 디지털 변조
  3. 정정부호의 부가 → 프로그램 정보의 압축부호화 → 복수정보의 다중화 → 디지털 변조
  4. 프로그램 정보의 압축부호화 → 복수정보의 다중화 → 디지털 변조 → 정정부호의 부가
(정답률: 63%)
  • 디지털 방송의 송신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프로그램 정보를 압축하고 부호화합니다. 그 다음 복수정보를 다중화하여 하나의 신호로 만듭니다. 그리고 정정부호를 부가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합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변조를 통해 전파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송신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로그램 정보의 압축부호화 → 복수정보의 다중화 → 정정부호의 부가 → 디지털 변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저장 미디어 중 저장 매체의 형태가 다른 하나는?

  1. CD-R
  2. DVD
  3. Blu-ray
  4. DAT
(정답률: 83%)
  • 정답은 "DAT"입니다.

    "CD-R", "DVD", "Blu-ray"는 모두 광학 디스크 형태의 저장 매체이며, 레이저를 이용해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하지만 "DAT"은 디지털 오디오 테이프 형태의 저장 매체이며, 자기 테이프를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따라서 저장 매체의 형태가 다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우리나라의 위성 DMB 사업자와 가장 관련 깊은 것은?

  1. KT
  2. TU 미디어
  3. U1
  4. LG 유플러스
(정답률: 61%)
  • 우리나라의 위성 DMB 사업자는 TU 미디어입니다. TU 미디어는 2005년에 설립되어 위성 DMB 사업을 전문으로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위성 DMB 사업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KT, U1, LG 유플러스는 모두 지상파 DMB 사업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비디오나 애니메이션 데이터 파일의 저장 포맷이 아닌 것은?

  1. JPEG
  2. MPEG
  3. AVI
  4. FLC
(정답률: 76%)
  • JPEG은 이미지 파일의 저장 포맷이며, 비디오나 애니메이션 데이터 파일의 저장 포맷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MPEG, AVI, FLC은 모두 비디오나 애니메이션 데이터 파일의 저장 포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양자화를 가장 잘 표현한 것은?

  1. 샘플링 주파수의 선정
  2. 샘플링 된 신호를 디지털 양으로 표시
  3. 디지털 신호의 아날로그화
  4. 원신호의 디지털 코드화
(정답률: 78%)
  • 양자화는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중 하나로, 샘플링 된 신호를 디지털 양으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샘플링 주파수의 선정과 함께 이루어지며, 디지털 신호의 아날로그화나 원신호의 디지털 코드화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국내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의 오디오 압축방식 규격으로 적절한 것은?

  1. QPSK
  2. MPEG-3
  3. Dolby AC-3
  4. 8-VSB
(정답률: 75%)
  • 정답: Dolby AC-3

    Dolby AC-3은 국내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에서 사용되는 오디오 압축방식 규격 중 하나입니다. 이 방식은 다른 방식들에 비해 더욱 효율적인 압축을 가능하게 하며, 고음질의 오디오를 제공합니다. 또한, 다양한 채널 수를 지원하여 다양한 오디오 환경에서도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우리나라에서 시판되는 DVD(Digital Video Disk)에서 적용되는 일반적인 음성 및 영상 압축 방식으로 가장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1. AC-3, MPEG II
  2. MP3, AVI
  3. QCELP, MPEG IV
  4. EVRC, JPEG
(정답률: 78%)
  • AC-3은 오디오 압축 방식으로, DVD에서 사용되는 5.1채널 사운드를 지원하기 때문에 DVD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MPEG II는 비디오 압축 방식으로, DVD에서 사용되는 비디오를 압축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AC-3과 함께 DVD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AC-3과 MPEG II가 가장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방송통신 시스템

61. 국내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에 널리 사용되는 변조방식은?

  1. VSB 방식
  2. SSB 방식
  3. DSB 방식
  4. 8-VSB 방식
(정답률: 56%)
  • 국내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에 널리 사용되는 변조방식은 VSB 방식입니다. VSB 방식은 Vestigial Sideband의 약자로, 부분적으로 절단된 측면대역을 이용하여 대역폭을 줄이고, 이를 이용하여 더 많은 채널을 전송할 수 있습니다. 또한, VSB 방식은 노이즈나 다른 외부 간섭에도 강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어떤 신호가 0~25[kHz]로 주파수 대역이 제한되어 있을 때, 나이퀴스트율을 만족하는 최소 표본화 주기는 얼마인가?

  1. 20[μs]
  2. 30[μs]
  3. 40[μs]
  4. 45[μs]
(정답률: 69%)
  • 나이퀴스트-샘플링 정리에 따르면, 최소 표본화 주기는 신호의 최대 주파수의 역수의 2배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최대 주파수가 25[kHz]인 경우 최소 표본화 주기는 1/(2*25[kHz]) = 20[μ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μ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아날로그 변조방식이 아닌 것은?

  1. 주파수변조 방식
  2. 위상변조 방식
  3. 펄스변조 방식
  4. 진폭변조 방식
(정답률: 70%)
  • 펄스변조 방식은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아날로그 신호를 변조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펄스변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아래의 그림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송신 설비의 내부 구조 중 일부이다. 다음 중 빈칸에 들어갈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부호화기(Encoder)
  2. 역다중화기(Demultiplexer)
  3. 변조기(Modulator)
  4. 복조기(Demodulator)
(정답률: 61%)
  • 부호화기(Encoder)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DAB 송신 설비에서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부호화기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라디오 방송시스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마이크
  2. 믹서
  3. 송신기
  4. 조명장치
(정답률: 86%)
  • 조명장치는 라디오 방송시스템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장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마이크는 소리를 받아들이는 장치, 믹서는 여러 음원을 조합하는 장치, 송신기는 송출하는 장치로 모두 라디오 방송시스템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FM 스테레오 방송의 원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L 채널과 R 채널을 합한 L+R 신호를 주신호로 한다.
  2. L 채널과 R 채널의 차 L-R 신호를 부채널로 한다.
  3. 부반송파와 19[kHz]의 파일럿 신호를 하나의 전파로 송신한다.
  4. 수신부에서 L 채널과 R 채널을 함께 증폭한 후 수신한다.
(정답률: 55%)
  • 수신부에서 L 채널과 R 채널을 함께 증폭한 후 수신하는 것은 FM 스테레오 방송의 원리에 적합한 방법이 아닙니다. FM 스테레오 방송에서는 L 채널과 R 채널을 합한 L+R 신호와 L 채널과 R 채널의 차 L-R 신호를 이용하여 스테레오 신호를 전송합니다. 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L+R 신호와 L-R 신호를 분리하고, 각각을 증폭하여 L 채널과 R 채널을 재생해야 합니다. 따라서 L 채널과 R 채널을 함께 증폭한 후 수신하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우리나라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에서 음성신호의 변조방식은?

  1. 주파수변조
  2. 진폭변조
  3. 위상변조
  4. 디지털변조
(정답률: 75%)
  • 우리나라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에서 음성신호의 변조방식은 "주파수변조"이다. 이는 음성신호의 주파수를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음성신호의 크기는 일정하게 유지되며 주파수만 변조되므로 노이즈에 강하고 전송거리가 먼 경우에도 신호의 왜곡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지상파 DTV 전송특징이 아닌 것은?

  1. 적절한 에러정정부호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스튜디오와 동일한 화질과 음성을 보장한다.
  2. 에러정정부호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S/N비가 커서 데이터 복원 가능하여 송신전력 효율이 낮다.
  3. 압축기술과 디지털 전송기술 발전으로 한정된 대역폭에서 영상, 음성, 데이터 등을 고품질로 전송이 가능하다.
  4. 아날로그와 달리 데이터를 Randomizer하고 캐리어를 억압하여 전송하므로 에너지 집중화를 막을 수 있어 상호간섭이 적다.
(정답률: 83%)
  • 에러정정부호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S/N비가 커서 데이터 복원 가능하여 송신전력 효율이 낮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오히려 에러정정부호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복원이 가능해져 송신전력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에러정정부호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S/N비가 커서 데이터 복원 가능하여 송신전력 효율이 낮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아날로그(NTSC) 영상 신호 중 수평동기신호의 레벨은 얼마인가?

  1. 0[IRE]
  2. -10[IRE]
  3. -20[IRE]
  4. -40[IRE]
(정답률: 67%)
  • 수평동기신호의 레벨은 "-40[IRE]" 이다. 이는 NTSC 시스템에서 수평동기신호의 레벨이 -40[IRE]으로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IRE는 International Radio Engineers의 약자로, 비디오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는 단위이다. 따라서 NTSC 시스템에서는 수평동기신호의 레벨이 -40[IRE]으로 표준화되어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다른 비디오 신호의 레벨이 측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CATV 시스템에서 Head end 의 주요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변복조 기능
  2. 감시제어 기능
  3. 자체방송 송신 기능
  4. 중계전송 기능
(정답률: 55%)
  • CATV 시스템에서 Head end의 주요 기능은 변복조 기능, 감시제어 기능, 자체방송 송신 기능입니다. 중계전송 기능은 CATV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Head end의 기능이 아닙니다. 중계전송 기능은 중계국에서 수신한 신호를 증폭하고 변조하여 다시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텔레비전 송신설비 중 VHF 송신 안테나의 종류로 슬롯 안테나(slot antenna)계에 해당되는 것은?

  1. 야기 안테나
  2. 쌍루프 안테나
  3. 진행파형 안테나
  4. 다소자 ring antenna
(정답률: 50%)
  • 슬롯 안테나는 진행파형 안테나에 해당됩니다. 슬롯 안테나는 길쭉한 구멍이 뚫린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구멍을 통해 전파를 방출하거나 수신합니다. 진행파형 안테나는 이러한 슬롯 안테나의 특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안테나로, 슬롯 안테나의 길이와 폭을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하여 배열한 것입니다. 이렇게 배열된 슬롯 안테나는 특정 주파수에서 고방향성을 가지며, 주로 VHF 대역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광섬유 케이블의 전송특성은 광섬유의 손실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다음 중 광섬유 손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산란손실
  2. 흡수손실
  3. 접속손실
  4. 차폐손실
(정답률: 73%)
  • 차폐손실은 광섬유 케이블의 외부로부터의 전자기파 간섭을 막기 위한 차폐재의 손실로, 광섬유의 전송특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차폐손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무궁화위성에서 적용하는 TV 방송의 변조방식으로 옳은 것은?

  1. 8VSB
  2. 16VSB
  3. MPEG-2
  4. QPSK
(정답률: 70%)
  • 무궁화위성에서 적용하는 TV 방송의 변조방식은 QPSK입니다. QPSK는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의 약자로, 2진 데이터를 4개의 상태로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무궁화위성에서도 QPSK 방식을 사용하여 TV 방송을 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디지털 위성방송 송신시스템의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MPEG-2 인코더
  2. 다중화기
  3. 등화기
  4. 저잡음증폭기
(정답률: 63%)
  • 디지털 위성방송 송신시스템의 구성요소 중에서 "저잡음증폭기"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디지털 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아날로그 장비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위성방송에서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기 때문에 디지털 신호처리 장비들이 구성요소로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국내 무궁화위성 3호 방송용 중계기의 대역폭으로 옳은 것은?

  1. 24[MHz]
  2. 27[MHz]
  3. 32[MHz]
  4. 36[MHz]
(정답률: 64%)
  • 국내 무궁화위성 3호는 Ku 대역을 이용하여 방송용 중계를 하고 있으며, 이 때 사용되는 대역폭은 27MHz이다. 이는 Ku 대역의 전파 대역폭이 500MHz~18GHz인데, 이 중에서 27MHz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위성 DMB 서비스에서 오디오 신호의 압축기본 알고리즘은 어떤 방식을 사용하는가?

  1. ISO/IEC 13818-3(MPEG-2 Audio Layer II)
  2. ISO/IEC 11172-3(MPEG-1 Audio Layer II)
  3. ISO/IEC 14496-10(MPEG-4 Part 10) | ITU-T Rec. H.264 Baseline Profile@L1.3
  4. ISO/IEC 13818-7(MPEG-2 AAC) +SBR 방식
(정답률: 62%)
  • 위성 DMB 서비스에서 오디오 신호의 압축 기본 알고리즘은 "ISO/IEC 13818-7(MPEG-2 AAC) +SBR 방식"을 사용한다. 이 방식은 MPEG-2 AAC(Advanced Audio Coding) 압축 방식에 SBR(Spectral Band Replication) 기술을 추가한 것으로, 더욱 효율적인 압축을 가능하게 한다. SBR은 고주파 대역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압축하는 기술로, 오디오 신호의 대역폭을 줄이면서도 음질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위성 DMB 서비스에서는 이 방식을 사용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고품질의 오디오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위성 DMB 서비스 관련하여 위성은 DMB 주파수인 S밴드를 통해 지상의 단말기로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때 S밴드의 주파수는 얼마인가?

  1. 1.630 ~ 2.655[GHz]
  2. 1.232 ~ 1.568[GHz]
  3. 13.824 ~ 13.883[GHz]
  4. 12.214 ~ 12.239[GHz]
(정답률: 58%)
  • 위성 DMB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S밴드의 주파수는 "1.630 ~ 2.655[GHz]" 이다. 이는 S밴드가 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다른 주파수 대역인 "1.232 ~ 1.568[GHz]", "13.824 ~ 13.883[GHz]", "12.214 ~ 12.239[GHz]"는 다른 통신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므로 위성 DMB 서비스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장비는?

  1.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2. DVMCI(Digital Video Media Control Interface)
  3. 벡터 스코프(Vector Scope)
  4. 벡터 모니터(Vector Monitor)
(정답률: 72%)
  • 이 장비는 비디오 신호의 색상 정보를 분석하여 표시하는 장비로, 색상의 밝기와 색상의 살짝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이 장비는 "벡터 스코프(Vector Scope)"입니다. 오실로스코프는 전기 신호를 분석하는 장비이며, DVMCI는 디지털 비디오 장비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벡터 모니터는 비디오 신호의 색상 정보를 표시하는 장비이지만, 벡터 스코프와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낙뢰나 전력설비의 누설에 의한 옥외의 선로 계통에 생긴 이상전압의 진입을 막고 옥내의 전력 계통으로부터 누설된 전력이 CATV 시설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기를 설치한다. 보안기 설치 위치가 맞는 것은?

  1. CATV의 내선설비와 가입자댁내 설비 사이
  2. CATV의 외선설비와 가입자댁내 설비 사이
  3. CATV의 외선설비와 CATV의 내선설비 사이
  4. CATV의 전원공급기
(정답률: 79%)
  • 보안기는 옥외의 이상전압이나 누설된 전력이 CATV 시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CATV 시설과 가입자댁내 설비 사이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CATV의 외선설비와 가입자댁내 설비 사이"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은 케이블의 종류 및 전송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중 동축케이블에 해당하는 것은?

  1. 10 Base T
  2. 10 Base FL
  3. 10 Base 2
  4. 10 Base T2
(정답률: 53%)
  • 동축케이블은 "10 Base 2"에 해당한다. 이는 "10"이라는 숫자는 전송속도가 10Mbps라는 것을 의미하고, "Base"는 기본 대역폭이 10Mbps라는 것을 의미한다. "2"는 동축케이블의 종류를 나타내며, 이는 케이블의 직경이 0.2인치(5mm)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10 Base 2"는 10Mbps의 기본 대역폭을 가지며, 직경이 0.2인치인 동축케이블을 사용하는 이더넷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81.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CPU)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인간의 두뇌에 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2. 각종 프로그램을 해독한 내용에 따라 실제 연산을 수행한다.
  3. 연산장치와 기억장치로 구성된다.
  4. 컴퓨터 내의 각 장치들을 제어, 지시, 감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정답률: 58%)
  • "인간의 두뇌에 해당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가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CPU는 인간의 두뇌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인간의 두뇌와는 다른 원리로 동작합니다.

    CPU는 각종 프로그램을 해독한 내용에 따라 실제 연산을 수행하며, 연산장치와 기억장치로 구성됩니다. 또한 컴퓨터 내의 각 장치들을 제어, 지시, 감독하는 기능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DMA(Direct Memory Access) 제어 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DMA 장치가 입출력 동작을 수행할 때 CPU는 주프로그램을 수행하므로 입출력 전송에 따른 CPU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2. DMA 장치는 블록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3. 직접 제어 방식보다는 고속으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4. DMA 장치와 CPU가 주기억장치를 동시에 사용할 때는 DMA 장치의 우선순위가 낮으므로 CPU가 주기억장치를 접근하며, 이 경우 DMA 장치의 동작은 중지된다.
(정답률: 63%)
  • "DMA 장치와 CPU가 주기억장치를 동시에 사용할 때는 DMA 장치의 우선순위가 낮으므로 CPU가 주기억장치를 접근하며, 이 경우 DMA 장치의 동작은 중지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DMA 장치는 CPU와 별도로 주기억장치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CPU가 주기억장치를 사용하더라도 DMA 장치의 동작은 중지되지 않습니다. DMA 장치는 CPU와 독립적으로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입출력 전송에 따른 CPU의 부하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DMA 장치는 블록으로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직접 제어 방식보다 고속으로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페이징(Paging)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가상 기억장치 관리 기법의 하나이다.
  2. 기억장소를 일정한 블록 크기의 단위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3. 페이지의 크기가 클수록 기억 공간의 낭비가 적어진다.
  4. 페이지의 크기가 작을수록 페이지 테이블의 공간이 더 많이 필요하다.
(정답률: 69%)
  • "페이지의 크기가 클수록 기억 공간의 낭비가 적어진다." 설명은 바르지 않습니다. 페이지의 크기가 클수록 한 페이지에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서 기억 공간의 낭비는 줄어들지만, 작은 크기의 페이지를 사용하면 더 많은 페이지 테이블이 필요하므로 페이지 테이블의 공간이 더 많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페이지의 크기를 결정할 때는 기억 공간의 낭비와 페이지 테이블의 공간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하나의 프로세스가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페이징(Paging)
  2. 에이징(Ageing)
  3. 워킹 셋(Working Set)
  4. 스래싱(Thrashing)
(정답률: 78%)
  • 워킹 셋(Working Set)은 하나의 프로세스가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이는 프로세스의 작업 진행에 필요한 페이지들을 묶어서 관리하고, 메모리 사용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프로세스가 필요로 하는 페이지들이 메모리에 상주하게 되어, 페이지 폴트(Page Fault)가 발생하는 빈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마이크로컴퓨터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마이크로프로세서
  2. 입력장치
  3. 출력장치
  4. Modem
(정답률: 77%)
  • Modem은 마이크로컴퓨터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Modem은 컴퓨터와 인터넷 또는 다른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한 장치이지만, 마이크로컴퓨터의 핵심인 마이크로프로세서, 입력장치, 출력장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자기디스크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읽기 쓰기 헤더(Read Write Head)
  2. 실린더(Cylinder)
  3. 기록 층(Recording layer)
  4. 액세스 암(Access Arm)
(정답률: 48%)
  • 기록 층은 자기 디스크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지만, 기록 층이 없으면 자기 디스크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기록 층은 자기 디스크의 필수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광 채널 SAN에서 IP-SAN으로 이전하기 위하여 제안된 IP 스토리지 프로토콜에 속하지 않는 것 ?

  1. FCIP(Fibre Channel over IP)
  2. iFCP(Internet Fibre Channel Protocol)
  3. iSCSI(Internet SCSI)
  4.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정답률: 65%)
  • ICMP은 IP 스토리지 프로토콜이 아니라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제안된 IP-SAN으로의 이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ICM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인터넷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를 마치 전용회선처럼 사용하여 사설 네트워크에서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및 네트워크를 말하는 것은?

  1. VPN
  2. ISDN
  3. VAN
  4. PSDN
(정답률: 72%)
  • VPN은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로, 인터넷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전용회선과 같은 안정적인 연결을 구성할 수 있으며, 보안성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VPN이 정답이다. ISDN은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약자로, 디지털 회선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 등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VAN은 Value Added Network의 약자로, 기업이나 조직 내에서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구축하는 전용 네트워크를 말한다. PSDN은 Packet Switched Data Network의 약자로, 패킷 교환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UDP 프로토콜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비연결 지향형(Connectionless) 프로토콜이다.
  2. 순차적인 전송을 보장한다.
  3. 데이터 전송 후 확인(Acknowledgements) 과정이 없다.
  4. 흐름제어가 없다.
(정답률: 52%)
  • UDP 프로토콜은 순차적인 전송을 보장하지 않는다. 이는 데이터그램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패킷이 도착하는 순서가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UDP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데이터의 순서가 중요하지 않거나, 애플리케이션 자체에서 순서를 보장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가상 회선(Virtual Circuit) 방식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1. 패킷교환 방식(Packet Switching)의 한 종류이다.
  2. 송신지에서 수신지로 패킷을 보내기 전에 전달될 패킷이 이용할 경로를 미리 예약한다.
  3. 모든 패킷의 송수신 순서가 네트워크 내에서 동일하게 유지된다.
  4. 네트워크 내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패킷 별로 상이한 경로를 채택한다.
(정답률: 63%)
  • "모든 패킷의 송수신 순서가 네트워크 내에서 동일하게 유지된다."는 가상 회선 방식의 특징이 아니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가상 회선 방식은 송신지와 수신지 사이에 경로를 미리 예약하고, 이 예약된 경로를 따라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때, 예약된 경로를 따라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모든 패킷의 송수신 순서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네트워크 내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예약된 경로를 따르지 못하고 패킷 별로 상이한 경로를 채택하여 전송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유선방송의 “수신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입력신호 에너지를 간선에서 지선으로 불균등하게 분리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2. 유선방송을 수신하기 위하여 수신자가 구내에 설치하는 선로, 관로, 증폭기 등을 말한다.
  3. 유선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분배기 및 분기기 등을 말한다.
  4. 유선방송국에서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안테나, 케이블 및 증폭장치 등을말한다.
(정답률: 74%)
  • 유선방송의 “수신설비”는 유선방송국에서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안테나, 케이블 및 증폭장치 등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종합유선방송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는 어느 기관에 허가를 받아야 하는가?

  1. 교육과학기술부
  2. 방송통신위원회
  3. 문화체육관광부
  4. 국토해양부
(정답률: 75%)
  • 종합유선방송사업은 방송통신위원회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방송통신법에 따라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종합유선방송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는 방송통신위원회에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초단파(FM) 방송용 무선설비의 최대 주파수편이는?

  1. ±50[kHz]
  2. ±65[kHz]
  3. ±70[kHz]
  4. ±75[kHz]
(정답률: 80%)
  • 초단파(FM) 방송은 주파수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주파수 변조의 최대 주파수 편이는 최대 음성 주파수의 75%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 주파수 편이는 ±75[kHz]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종합유선방송국시설에서 음성신호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저대역 주파수는 50[Hz]에서 15[kHz] 범위 이내일 것
  2. 동기레벨은 40±2[IRE] 이내일 것
  3. 출력의 레벨은 0[dBm]을 기준으로 하여 ±5[dB]이내일 것
  4. 출력임피던스는 600[Ω] 평형일 것
(정답률: 43%)
  • 음성신호의 특성 중에서 "동기레벨은 40±2[IRE] 이내일 것"은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비디오 신호에서 사용되는 특성으로, 화면의 밝기를 나타내는 단위인 IRE(International Radio Engineers)에서 40±2 이내의 레벨을 유지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음성신호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디지털 유선방송국설비에서 영상신호의 압축방식과 음성신호의 압축방식의 형식은 각각 무엇인가?

  1. 영상신호의 압축방식은 ISO/IEC 13818-2(MPEG-1 Part 2), 음성신호의 압축방식은 AC-3(돌비 디지털 방식)
  2. 영상신호의 압축방식은 ISO/IEC 13818-2(MPEG-2 Part 2), 음성신호의 압축방식은 AC-3(돌비 디지털 방식)
  3. 영상신호의 압축방식은 ISO/IEC 13818-2(MPEG-3 Part 2), 음성신호의 압축방식은 AC-4(돌비 디지털 방식)
  4. 영상신호의 압축방식은 ISO/IEC 13818-2(MPEG-4 Part 2), 음성신호의 압축방식은 AC-4(돌비 디지털 방식)
(정답률: 77%)
  • 영상신호의 압축방식은 MPEG-2 Part 2로, 이는 디지털 비디오 압축 표준 중 하나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음성신호의 압축방식은 AC-3로, 이는 돌비 디지털 방식으로, 다양한 디지털 오디오 압축 표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정보통신공사업에서 시ㆍ도지사가 공고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공사업의 대표자가 파산 선고를 받았을 때
  2. 공사업의 양도 및 법인합병의 신고를 받은 때
  3. 공사업의 상속으로 대표자가 변경된 때
  4. 공사업의 등록을 취소하거나 영업의 정지처분을 한 때
(정답률: 67%)
  • 정보통신공사업에서 시ㆍ도지사가 공고하여야 하는 사항은 공사업의 양도 및 법인합병의 신고를 받은 때, 공사업의 상속으로 대표자가 변경된 때, 공사업의 등록을 취소하거나 영업의 정지처분을 한 때입니다. 그러나 "공사업의 대표자가 파산 선고를 받았을 때"는 공고할 필요가 없는 사항입니다. 이는 파산 선고를 받은 대표자는 이미 공사업의 대표자 자격을 상실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가입자 3만 이상의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확보하여야 할 종사자의 자격과 인원은?

  1. 전파통신기사, 정보통신산업기사, 통신선로산업기사, 무선설비산업기사, 방송통신산업기사 또는 정보통신기술자(초급이상) 2명 이상
  2. 전파통신기사, 정보통신산업기사, 통신선로산업기사, 무선설비산업기사, 방송통신산업기사 또는 정보통신기술자(초급이상) 1명 이상
  3. 정보통신산업기사, 통신선로산업기사, 무선설비기능사, 방송통신기능사 또는 통신기기기능사 1명 이상
  4. 자격 또는 경력인정자 1명 이상
(정답률: 70%)
  • 종합유선방송사업자는 방송 및 통신 기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이 필요하므로, 해당 분야의 자격증을 보유한 인력을 확보해야 합니다. 따라서, 전파통신기사, 정보통신산업기사, 통신선로산업기사, 무선설비산업기사, 방송통신산업기사 또는 정보통신기술자(초급이상) 중에서 2명 이상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들은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요구하는 역량을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유선방송신호를 증폭ㆍ조정ㆍ변환 및 혼합하여 선로에 전송하는 장치 및 이에 부가된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유선방송국설비
  2. 전송선로설비
  3. 주 전송장치
  4. 수신설비
(정답률: 63%)
  • 주 전송장치는 유선방송신호를 증폭, 조정, 변환 및 혼합하여 전송선로에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선방송국설비와 수신설비는 주 전송장치와는 다른 역할을 수행하며, 전송선로설비는 주 전송장치와 함께 사용되어 전송을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종합유선방송 국내전송선로설비에서 동축케이블의 절연저항은 얼마인가?

  1. 1[MΩ/km] 이상
  2. 10[MΩ/km] 이상
  3. 100[MΩ/km] 이상
  4. 1000[MΩ/km] 이상
(정답률: 53%)
  • 동축케이블은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케이블로, 내부에는 중심 도체와 외부 절연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때, 절연저항은 전기적 신호가 케이블 내부에서 유지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절연저항이 높을수록 전기적 신호의 손실이 적어지고, 전송 품질이 좋아집니다.

    종합유선방송 국내전송선로설비에서는 매우 높은 전송 품질이 요구되므로, 동축케이블의 절연저항은 1000[MΩ/k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전기적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전송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종합유선방송 사업자별 시설 중 망사업자(NO) 시설이 아닌 것은?

  1. 광 송ㆍ수신기
  2. 분배센터 설비
  3. 주 전송설비(H/E)
  4. 망 감시시스템
(정답률: 64%)
  • 주 전송설비(H/E)는 유선방송 사업자가 직접 송출하는 방송 채널을 전송하는 시설로, 망사업자(NO) 시설이 아닙니다. 광 송ㆍ수신기는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시설, 분배센터 설비는 방송 신호를 분배하는 시설, 망 감시시스템은 방송망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