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10-09)

방송통신기사
(2011-10-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교류입력에 대해 브리지 정류기의 다이오드 동작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한 개의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이다.
  2. 두 개의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이다.
  3. 모든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이다.
  4. 모든 다이오드가 역방향 바이어스이다.
(정답률: 67%)
  • 두 개의 다이오드가 순방향 바이어스이다. 교류입력이 양 극성으로 바뀔 때마다 브리지 정류기의 다이오드들 중 두 개는 항상 순방향 바이어스가 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를 통해 교류입력이 직류로 변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회로에서 맥동률을 개선하고자 한다. 가장 관련 있는 것은?

  1. RL
  2. N
  3. Vi
  4. Vm
(정답률: 64%)
  • 정답은 "RL"이다.

    이유는 RL 회로는 저항과 인덕턴스로 구성되어 있어서, 전류가 흐를 때 인덕턴스에 의해 에너지가 저장되고, 전류가 끊어질 때 에너지가 방출되어 맥동률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RL 회로를 추가하여 맥동률을 개선할 수 있다.

    "N", "Vi", "Vm"은 회로의 다른 요소들이며, 맥동률을 개선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정류회로의 부하에 병렬로 연결한 용량성 평활회로에서 부하저항의 감소에 따른 리플 전압의 변화로 적절한 것은?

  1. 리플의 증가
  2. 리플의 감소
  3. 리플의 증가와 감소가 반복
  4. 변화가 없다.
(정답률: 60%)
  • 리플 전압은 부하저항의 감소에 따라 증가합니다. 이는 부하저항이 감소하면 전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용량성 평활회로에서 충전되는 전하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리플 전압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등가회로와 관련된 트랜지스터 증폭기 회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전압이득은 공통 이미터 증폭기 회로와 동일하다.
  2. 전류이득은 공통 이미터 증포기 회로와 동일하다.
  3. 입력저항 Ri가 매우 크다.
  4. 출력저항 Ro가 매우 크다.
(정답률: 34%)
  • 정답은 "전압이득은 공통 이미터 증폭기 회로와 동일하다."가 아닙니다.

    이 회로는 공통 컬렉터 증폭기 회로로, 전압이득은 입력과 출력 전압의 비율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입력 전압이 출력 전압보다 크기 때문에 전압이득은 1보다 작습니다. 이는 공통 이미터 증폭기 회로와는 다른 특징입니다.

    입력저항 Ri는 매우 작고, 출력저항 Ro는 매우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이상적인 차동증폭기의 동상제거비(CMRR)는?

  1. 0
  2. 1
  3. -1
(정답률: 51%)
  • 이상적인 차동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공통모드 성분을 제거하고 차동모드 성분만 증폭하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공통모드 성분이 증폭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나타내는 동상제거비(CMRR)는 공통모드 전압과 차동모드 전압의 비율로 정의되며, 이상적인 차동증폭기에서는 공통모드 전압이 완전히 제거되므로 동상제거비는 무한대(∞)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BJT 증폭기 회로를 나타내었다. 커패시터 CE를 사용한 목적으로 적절한 것은?

  1. 증폭기의 이득을 증가시킨다.
  2. 리플성분을 감소시킨다.
  3. 직류성분을 통과시킨다.
  4. 병렬궤환을 발생한다.
(정답률: 45%)
  • 커패시터 CE는 직류성분을 차단하고, 교류성분만을 통과시키기 때문에 증폭기의 입력 신호에 포함된 직류성분을 차단하여 이득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증폭기의 이득을 증가시킨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궤환율이 0.04인 부궤환 증폭기 회로이다. 저항 Rf는?

  1. 200[kΩ]
  2. 20[kΩ]
  3. 24[kΩ]
  4. 240[kΩ]
(정답률: 45%)
  • 부궤환 증폭기 회로에서 궤환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궤환율 = -Rf/Ri

    여기서 Ri는 입력 임피던스, Rf는 피드백 임피던스이다. 이 회로에서 입력 임피던스는 R1과 R2 병렬 연결한 값인 10kΩ이다. 따라서 궤환율을 0.04로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해야 한다.

    0.04 = -Rf/10kΩ

    이를 풀면 Rf = -10kΩ × 0.04 = 400Ω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kΩ로 주어졌으므로 400Ω을 0.4kΩ로 변환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0.4kΩ × 600 = 240kΩ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회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콜피츠 발진회로이다.
  2. VHF대나 UHF대에서 많이 사용된다.
  3. 부궤환을 적용하였다.
  4. 하틀리 발진회로이다.
(정답률: 60%)
  • 정답은 "하틀리 발진회로이다." 이다. 이 회로는 하틀리(Hartley) 발진회로로, 코일과 커패시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이다. 콜피츠(Colpitts) 발진회로와는 다르게 부궤환을 적용하지 않고, VHF대나 UHF대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은 콜피츠 발진회로를 변형한 클랩 발진회로이다. 안정한 주파수를 얻기 위해 C1,C2를 C3에 비해 매우 크게 하였을 때, 이 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는? (단, C3=0.001[μF], L=1[mH])

  1. 약 150[kHz]
  2. 약 153[kHz]
  3. 약 156[kHz]
  4. 약 159[kHz]
(정답률: 41%)
  • 클랩 발진회로는 콜피츠 발진회로를 변형한 회로로, C1, C2가 매우 크게 되어 안정한 주파수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발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1 / (2π√(LC))

    여기서 L=1[mH], C3=0.001[μF]이므로,

    f = 1 / (2π√(1[mH] × 0.001[μF]))

    f = 1 / (2π × 1000[Hz])

    f ≈ 159[kHz]

    따라서, 이 발진회로의 발진주파수는 약 159[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변조도 80[%]로 진폭변조한 피변조파에서 반송파의 전력 Pc와 상측파대 또는 하측파대의 전력 Ps와의 비율은?

  1. 1 : 0.8
  2. 1 : 0.55
  3. 1 : 0.33
  4. 1 : 0.16
(정답률: 49%)
  • 진폭변조된 피변조파에서 반송파의 전력은 원래의 진폭이 1/2가 되므로 원래의 전력의 1/4가 된다. 따라서 반송파의 전력은 원래의 전력의 1/4이다.

    상측파대 또는 하측파대의 전력은 원래의 전력의 1/2가 된다. 따라서 상측파대 또는 하측파대의 전력은 원래의 전력의 1/2이다.

    따라서 반송파의 전력과 상측파대 또는 하측파대의 전력의 비율은 (1/4) / (1/2) = 1/2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전력 비율을 소수점 형태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1/2를 소수점으로 나타내면 0.5이다.

    따라서 반송파의 전력과 상측파대 또는 하측파대의 전력의 비율은 1 : 0.5 = 2 : 1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1 : 0.16로 주어져 있으므로, 2 : 1의 비율을 1 : 0.16로 변환해야 한다.

    2 : 1의 비율을 분수 형태로 나타내면 2/1이고, 이를 1.0으로 나누면 2.0이 된다.

    따라서 2 : 1의 비율을 1 : 0.16로 변환하면, 2.0을 1.0으로 나누고 0.16을 곱해주면 된다.

    즉, 2.0 / 1.0 * 0.16 = 0.32 이므로, 반올림하여 0.16으로 나타내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 : 0.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DPSK 복조에 주로 이용되는 방식은?

  1. 포락선 검파
  2. 동기 검파
  3. 비동기식 검파
  4. 차동위상 검파
(정답률: 39%)
  • DPSK에서는 이전 심볼의 위상 차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차동위상 검파 방식이 주로 이용됩니다. 이 방식은 이전 심볼과 현재 심볼의 위상 차이를 검출하여 정보를 복조하는 방식으로, 이전 심볼과 현재 심볼의 위상 차이가 180도이면 정보가 반대로 전송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회로 중 결합상태가 직류로 구성된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는?

  1.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3.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4. 비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정답률: 57%)
  • 정답은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입니다.

    이 회로는 양쪽에 콘덴서가 있고, 각각의 콘덴서가 충전되고 방전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압 변화가 서로 상쇄되어 결합상태가 유지됩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회로는 쌍안정 상태를 유지하며, 입력 신호에 따라 주기적으로 진동합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그림과 같은 클램핑 회로의 출력 파형은?

(정답률: 59%)
  • 클램핑 회로는 입력 신호를 양 끝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회로에서는 다이오드가 양쪽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 신호가 양수일 때는 D1이 열리고 D2가 닫혀서 출력 신호는 입력 신호와 같은 양수값이 됩니다. 반대로 입력 신호가 음수일 때는 D1이 닫히고 D2가 열리므로 출력 신호는 입력 신호와 같은 절댓값의 양수값이 됩니다. 따라서 출력 파형은 입력 신호의 양수 부분과 음수 부분을 모두 양수값으로 클램핑한 형태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플립플롭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Decoder
  2. RAM
  3. Register
  4. Counter
(정답률: 42%)
  • 플립플롭은 디지털 논리 회로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저장소 요소이며, RAM, Register, Counter 모두 플립플롭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Decoder는 입력 신호를 받아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논리 회로입니다. 따라서 플립플롭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불 대수식 를 간단히 하면?

  1. A
  2. B
  3. AB
  4. A+B
(정답률: 39%)
  • 불 대수식을 간단히 하면 A+B 이다. 이유는 OR 게이트의 진리표를 보면, 두 입력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A와 B 중 하나 이상이 참이면 출력이 참이 되므로 A+B로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A+B"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이 "AB"인 것은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은 다이오드 게이트의 출력값은?

  1. 0[V]
  2. 5[V]
  3. 약 4.3[V]
  4. 10[V]
(정답률: 51%)
  • 다이오드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도록 만들어진 반도체 소자입니다. 그림에서 입력값이 5[V]인데, 다이오드는 입력값이 양수일 때만 출력값을 내보내므로 출력값은 0[V]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논리도는 무슨 회로인가?

  1. 멀티플렉서(multiplexer)
  2.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3. 인코더(encoder)
  4. 디코더(decoder)
(정답률: 47%)
  • 이 회로는 여러 개의 입력 중에서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이다.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선택선(select line)을 사용하며, 선택선의 이진수 값에 따라서 해당 입력이 출력으로 나오게 된다. 따라서 멀티플렉서는 다수의 입력 중에서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보수 발생기가 필요한 회로는?

  1. 일치 회로
  2. 가산 회로
  3. 나눗셈 회로
  4. 곱셈 회로
(정답률: 50%)
  • 나눗셈 회로는 입력 신호를 나누는 연산을 수행하기 때문에 보수 발생이 필요하다. 보수 발생기는 입력 신호의 보수를 구하는 회로로, 나눗셈 회로에서는 입력 신호의 보수를 구한 후 연산을 수행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나눗셈 회로가 보수 발생기가 필요한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8[MHz] 구형파를 카운터의 입력으로 인가할 때, 250[kHz]를 얻기 위해 필요한 카운터의 비트수 얼마인가?

  1. 2비트
  2. 3비트
  3. 5비트
  4. 4비트
(정답률: 44%)
  • 주파수의 비율은 입력 주파수를 카운터의 최대 계수로 나눈 것과 같습니다. 따라서 8[MHz] 구형파를 카운터의 입력으로 사용하면 최대 계수는 8,000,000입니다. 250[kHz]를 얻기 위해서는 최대 계수를 32,000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32,000을 2진수로 나타내면 100111000000입니다. 따라서 5비트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회로는 무엇을 가리키는가?

  1. 배타적 논리합 회로(Exclusive-OR)
  2. 감산기(Subtracter)
  3. 반가산기(Half adder)
  4. 전가산기(Full adder)
(정답률: 43%)
  • 이 회로는 두 입력 비트 중 하나만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배타적 논리합 회로(Exclusive-OR)를 가리킨다. 이 회로는 두 비트의 차이를 계산하는 감산기(Subtracter)나 두 비트의 합을 계산하는 반가산기(Half adder)나 전가산기(Full adder) 등의 회로에서도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송통신 기기

21. 다음 중 방송국의 부조정실 기기 구성품이 아닌 것은?

  1. 편집기
  2. 자동송출장비
  3. CCU, VCR, CG
  4. 파형측정기, 믹서
(정답률: 71%)
  • 자동송출장비는 방송국의 부조정실 기기 구성품이 아닙니다. 이는 방송국의 송출실에서 사용되는 장비로, 방송 신호를 자동으로 전환하고 송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부조정실은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고 편집하는 공간으로, 편집기, CCU, VCR, CG, 파형측정기, 믹서 등의 장비가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비디오 조명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밝기가 충분할 것
  2. 플리커(flicker)가 있을 것
  3. 조명의 효율이 좋을 것
  4. 연출의도에 따라 상황이나 분위기를 만들어 낼 것
(정답률: 76%)
  • "플리커(flicker)가 있을 것"이 틀린 조건입니다. 플리커란 조명이 주는 깜빡임 현상을 말하며, 이는 촬영 시 화면이 떨리거나 깜빡이는 현상을 초래합니다. 따라서 비디오 조명에서는 플리커가 없는 조명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HDTV, DMB 등 디지털방송에도 사용하는 영상압축방식이 아닌 것은?

  1. AC-3
  2. H.264
  3. MPEG-4
  4. MPEG-2
(정답률: 80%)
  • AC-3은 오디오 압축 방식이며, H.264, MPEG-4, MPEG-2는 모두 비디오 압축 방식이다. 따라서 AC-3은 영상압축방식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송신 신호파의 고역을 강조해서 높은 주파수에 대한 S/N비를 개선시키는 회로는?

  1.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회로
  2. 순시 주파수 편이 제어회로
  3. 자동 주파수 제어회로
  4. 지연 이득 제어회로
(정답률: 75%)
  • 송신 신호파의 고역을 강조해서 높은 주파수에 대한 S/N비를 개선시키는 회로는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고역 대역폭을 가진 신호를 송신할 때, 고역 부분의 진폭을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고역 부분의 진폭을 높이면, 수신측에서는 고역 부분의 신호를 더 잘 받아들일 수 있게 되어 S/N비를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를 변환 시 주요 과정이 아닌 것은?

  1. 표본화
  2. 복호화
  3. 양자화
  4. 부호화
(정답률: 73%)
  • 정답: "복호화"

    설명: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주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표본화: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2. 양자화: 표본화된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할하여 각 구간에서 가장 가까운 값을 선택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합니다.
    3. 부호화: 양자화된 디지털 값에 부호를 부여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복호화"는 디지털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주요 과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주사선수가 1,125개, 필드 주파수를 60[Hz]라 할 때, 수평 주파수[Hz]는?

  1. 15,750[Hz]
  2. 33,750[Hz]
  3. 49,710[Hz]
  4. 68,680[Hz]
(정답률: 48%)
  • 주사선수가 1,125개이므로, 화면의 수평 방향에 1,125개의 점이 찍히게 됩니다. 이때, 필드 주파수가 60[Hz]이므로, 화면이 1초에 60번 갱신됩니다. 따라서, 수평 주파수는 1,125 x 60 = 67,500[Hz]가 됩니다. 하지만, 이는 화면 전체를 대상으로 한 주파수이므로, 수평 주파수의 절반인 33,750[Hz]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변조된 신호의 한쪽 측파대의 대부분과 다른 쪽 측파대의 일부를 전송하는 TV 신호전송 방식은?

  1. 양측파대 방식
  2. 잔류측파대 방식
  3. 단측파대 방식
  4. 상측파대 방식
(정답률: 69%)
  • 잔류측파대 방식은 변조된 신호의 한쪽 측파대의 대부분과 다른 쪽 측파대의 일부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신호의 일부가 손실되더라도 다른 측파대에서 잔류하는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이 가능하므로 신호의 안정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안테나 중 쌍곡면 반사면을 이용하여 두 번 반사시켜 신호를 초점에 모아주는 방식의 안테나는?

  1. 카세그레인(Bassegrain) 안테나
  2. 구면 반사경 안테나
  3. 평면 안테나
  4. 그레고리안(Gregorian) 안테나
(정답률: 73%)
  • 카세그레인 안테나는 쌍곡면 반사면을 이용하여 두 번 반사시켜 신호를 초점에 모아주는 방식의 안테나이기 때문입니다. 이 안테나는 구면 반사경 안테나와 달리 초점에서 수신기를 배치할 수 있어서 설치가 용이하며, 그레고리안 안테나보다도 더 넓은 수신각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평면 안테나보다도 더 높은 이득을 가지고 있어서 장거리 통신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위성방송에서 정지궤도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구자전과 동일한 방향과 속도로 공전하는 궤도이다.
  2. 24시간 한 지점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3. 궤도가 한 개뿐이므로 위성수가 제한된다.
  4. 고도가 약 36,000[km] 정도로서 전파지연은 나타나지 않는다.
(정답률: 60%)
  • 고도가 약 36,000[km] 정도인 정지궤도에서도 전파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약 0.24초의 지연이 발생한다. 따라서 "고도가 약 36,000[km] 정도로서 전파지연은 나타나지 않는다."는 설명이 틀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인터넷 방송을 위하여 필요한 핵심 기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디오/오디오 압축 및 복원 기술
  2. 미러링(Mirroring) 기술
  3. OP 멀티캐스팅(IP Multicasting) 기술
  4. 푸시(Push) 및 스트리밍(Streaming) 기술
(정답률: 74%)
  • 미러링 기술은 인터넷 방송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이 아니며, 다른 기술들과는 달리 데이터를 복제하여 여러 대의 서버에 분산 저장하는 기술로, 대규모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IPTV의 디지털 영상 압축 기술로 사용되는 것은?

  1. MPEG-1
  2. MPEG-2
  3. H.261
  4. H.264
(정답률: 73%)
  • H.264는 다른 보기들보다 더 효율적인 압축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IPTV의 디지털 영상 압축 기술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더 적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더 높은 화질의 영상을 전송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국내 케이블 TV 시스템의 주된 설치 방식은?

  1. LMDS 방식
  2. LMDS 방식
  3. STAR 방식
  4. HFC 방식
(정답률: 75%)
  • 정답: HFC 방식

    HFC 방식은 광케이블과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인터넷, 전화, TV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광케이블로 신호를 전송하면서 동시에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TV 신호를 전달합니다. 이 방식은 대역폭이 넓고 신호 간 간섭이 적어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광케이블과 동축 케이블을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비교적 저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한국형 DMB 방송은 6[MHz]밴드에서 3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진다. 1블럭의 대역폭은?

  1. 1.536[MHz]
  2. 1.537[MHz]
  3. 1.538[MHz]
  4. 1.539[MHz]
(정답률: 60%)
  • 한국형 DMB 방송은 6[MHz] 밴드에서 3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진다고 했으므로, 각 블록은 2[MHz]의 대역폭을 가진다. 따라서 1블럭의 대역폭은 2[MHz]이다.

    그러나, 한 블록 내에서는 가드 밴드와 실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대역폭이 존재한다. 한 블록 내에서 가드 밴드는 256[kHz]이며, 실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대역폭은 1.28[MHz]이다.

    따라서, 1블럭의 실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대역폭은 1.28[MHz]이다. 하지만, 데이터 전송을 위한 대역폭 외에도 가드 밴드가 존재하므로, 1블럭의 총 대역폭은 1.536[MHz]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36[M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위성 DMB 방송 시스템에서 지상 중계기가 송출하는 주파수대는?

  1. Ka Band
  2. S Band
  3. Ku Band
  4. L Band
(정답률: 55%)
  • 위성 DMB 방송 시스템에서 지상 중계기가 송출하는 주파수대는 S Band이다. 이는 위성 통신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중 하나로, 2~4GHz의 주파수를 가지며, 대기권 내에서의 신호 간섭이 적고 전파가 잘 전달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위성 통신에 적합하다. 또한, S Band는 중간 크기의 위성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으로, 위성 DMB 방송 시스템에서 적합한 주파수 대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SCS(Sub Carrier System) 음성다중방식 중에서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아날로그 방식은?

  1. AM-FM 방식
  2. FM-FM 방식
  3. One-carrier 방식
  4. Two-carrier 방식
(정답률: 58%)
  •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SCS 음성다중방식은 Two-carrier 방식이다. 이는 음성신호를 2개의 캐리어 주파수에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한 캐리어는 음성신호의 상부분을, 다른 캐리어는 하부분을 전송한다. 이 방식은 전송 대역폭을 줄이면서도 음질을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주파수 응답, 과도현상, 포락선 지연 및 위상 등의 판독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테스트 신호는?

  1. Sine-squared Test Signal
  2. Vertical Interval Signal
  3. Window Signal
  4. Monoburst Signal
(정답률: 74%)
  • "Sine-squared Test Signal"은 주파수 응답, 과도현상, 포락선 지연 및 위상 등의 판독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테스트 신호입니다. 이는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사인파를 제곱하여 생성된 신호로,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이 신호는 과도현상을 검출하고 포락선 지연 및 위상을 측정하는 데에도 유용합니다. 따라서, "Sine-squared Test Signal"은 다양한 테스트에 사용되며, 특히 비디오 및 오디오 장비의 성능 테스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벡터스코프에서 확인할 수 없는 것은?

  1. 크로미넌스 레벨
  2. 블랙 밸런스
  3. 휘도 레벨
  4. 화이트 밸런스
(정답률: 63%)
  • 벡터스코프에서는 휘도 레벨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벡터스코프는 주로 영상의 색상과 밝기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며, 크로미넌스 레벨, 블랙 밸런스, 화이트 밸런스 등과 같은 색상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휘도 레벨은 영상의 밝기와 관련된 정보이기 때문에 벡터스코프에서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음향 측정을 위한 무향실과 잔향실의 특성이 잘못 설명된 것은?

  1. 무향실은 벽, 천정, 마루에 두꺼운 흡음재의 층을 만들어 주위로부터 음의 반사가 없는 자유공간을 근사적으로 만든다.
  2. 무향실은 스피커나 마이크 등 음원의 특성르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3. 잔향실은 벽면을 완전 반사에 가깝게 처리하며 정재파가 발생되지 않도록 마주보는 벽이 평행하게 만든다.
  4. 잔향실은 실내 모든 지점의 음압 레벨이 같은 값이 되도록 만든다.
(정답률: 7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스펙트럼분석기의 용도가 아닌 것은?

  1. 전송률(Bit rate) 측정
  2. FM 편차 측정
  3. RF 간섭 측정
  4. RF Power 측정
(정답률: 68%)
  • 스펙트럼 분석기는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의 주파수, 주파수 성분, 주파수 간격, 주파수 분포 등을 분석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전송률(Bit rate) 측정"은 스펙트럼 분석기의 용도가 아닙니다. 전송률 측정은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주로 비트/초 단위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광섬유 케이블은 물질 사이에서 일어나는 빛의 어떤 성질을 이용한 것인가?

  1. 전반사
  2. 회절
  3. 파동성
  4. 입자성
(정답률: 79%)
  • 광섬유 케이블은 빛의 전반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전반사란,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광섬유 케이블은 빛을 케이블 안으로 전송하고, 케이블 안에서 전반사를 일으켜 빛을 전달합니다. 이는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을 이용한 것이 아니라, 빛의 전반사 현상을 이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송미디어 공학

41. 다음 중 디지털 변조방식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PM
  2. ASK
  3. FSK
  4. PSK
(정답률: 80%)
  • PM은 위상 변조 방식이고, 나머지는 진폭 변조 방식이기 때문에 PM이 가장 거리가 먼 디지털 변조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에서 19.4[Mbps]에 해당하는 전송스트림(Transport Stream) 신호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MPEG-2로 압축된 영상신호
  2. AC-3로 압축된 음성신호
  3. PSIP 데이터신호
  4. 8-VSB 변조신호
(정답률: 67%)
  • 8-VSB 변조신호는 전송스트림을 이루는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전송스트림은 MPEG-2로 압축된 영상신호, AC-3로 압축된 음성신호, PSIP 데이터신호로 이루어지며, 8-VSB 변조신호는 디지털 TV 신호를 전파하기 위한 변조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NTSC TV 신호의 신호대역폭인 6[MHz] 내에 있는 신호 중 가장 높은 주파수에 위치하는 신호는 무엇인가?

  1. Picture carrier
  2. Color Video 신호
  3. Color subcarrier
  4. Audio carrier
(정답률: 55%)
  • 정답은 "Audio carrier"입니다. NTSC TV 신호에서 가장 높은 주파수에 위치하는 신호는 오디오 캐리어입니다. 이는 텔레비전에서 듣는 소리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주파수입니다. Picture carrier는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주파수이며, Color Video 신호와 Color subcarrier는 컬러 정보를 전송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NTSC TV 신호의 신호대역폭 내에서 가장 높은 주파수에 위치하는 신호는 오디오 캐리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라디오방송 편성에서 단일포맷 편성의 장점과 관련 없는 것은?

  1. 다양한 청취층 확보
  2. 프로그램 제작의 용이
  3. 고정 청취율 확보
  4. 광고주 확보 용이
(정답률: 65%)
  • 단일포맷 편성은 특정한 장르나 스타일의 프로그램을 일정한 시간대에 일관되게 방송함으로써 청취자들의 선호도를 파악하고 고정 청취율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는 광고주들에게도 매력적인 홍보 효과를 제공하며, 프로그램 제작도 편리해집니다. 따라서 다양한 청취층 확보는 단일포맷 편성의 장점과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여러 음원이 존재할 때 인간은 자신이 듣고 싶은 음을 선별해서 들을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이 음향효과를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1. 칵테일 파티 효과
  2. 하스 효과
  3. 마스킹 효과
  4. 바이노럴 효과
(정답률: 81%)
  • 정답: 칵테일 파티 효과

    칵테일 파티 효과는 여러 음원이 동시에 재생될 때, 인간이 원하는 음을 선택하고 듣는 능력을 말한다. 이는 마치 파티에서 여러 사람들이 말하는 소리 중에서도 자신이 원하는 사람의 목소리를 듣고 구분할 수 있는 것과 비슷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원통자석 둘레에 가동 코일을 놓고 이 코일을 진동판으로 진동시켜 코일에 발생하는 전류를 이용한 마이크는 다음 중 어는 것인가?

  1. 콘덴서 마이크로폰
  2. 무빙코일 마이크로폰
  3. 크리스털 마이크로폰
  4. 카본 마이크로폰
(정답률: 63%)
  • 정답은 "무빙코일 마이크로폰"이다.

    원통자석 둘레에 가동 코일을 놓고 이 코일을 진동판으로 진동시켜 코일에 발생하는 전류를 이용하여 소리를 감지하는 것이 무빙코일 마이크로폰의 원리이다. 이는 전자기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소리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반면, 콘덴서 마이크로폰은 전기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소리를 감지하는데,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전하의 변화를 감지하여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크리스털 마이크로폰은 압전 효과를 이용하여 소리를 감지하고, 카본 마이크로폰은 탄소 입자의 진동을 이용하여 소리를 감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텔레비전 비디오 스위칭 기법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필라이트(Fill Light)
  2. 페이드인/아웃(Fade In/Out)
  3. 디졸브(Dissolve)
  4. 슈퍼임포즈(super Impose)
(정답률: 71%)
  • 필라이트(Fill Light)는 조명 기법 중 하나로, 어두운 부분을 밝게 만들어주는 기법이다. 이는 텔레비전 비디오 스위칭 기법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필라이트(Fill Ligh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HDTV 방식의 규격을 기술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주사선수 : 1,125
  2. 베이스밴드 대역 : 30[MHz]
  3. 어스펙트비 : 16:9
  4. 음성신호 변조방식 : FM
(정답률: 54%)
  • 음성신호 변조방식은 HDTV 규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HDTV 규격에서는 음성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됩니다. 따라서 "음성신호 변조방식 : FM"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의 카메라 shot 중 전경(全景)을 찍기 위한 shot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full shot
  2. pull figure
  3. up figure
  4. close-up shot
(정답률: 80%)
  • 정답: full shot

    전경을 찍기 위해서는 넓은 범위를 담을 수 있는 촬영 각도가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카메라 shot이 전경을 담을 수 있는 full shot입니다. full shot은 인물이나 물체를 전체적으로 담을 수 있는 촬영 각도로, 인물이나 물체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경을 찍기 위해서는 full shot이 가장 적절한 카메라 sho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CIE 색상 도표에서 A, B, C 점에 해당하는 색상들이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적생, 청색, 녹색
  2. 녹색, 적색, 청색
  3. 녹색, 청색, 적색
  4. 적색, 녹색, 청색
(정답률: 77%)
  • 정답은 "적색, 녹색, 청색" 입니다. 이유는 CIE 색상 도표에서 A, B, C 점은 각각 적색, 녹색, 청색의 순서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순서대로 나열한 "적색, 녹색, 청색"이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무대 조명에 의한 전환 기법 중 순간적으로 무대 조명에 불을 켜는 기교를 의미하며 매우 강한 인상을 주는 기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스위치 인(Switch In)
  2. 라이트 커튼(Light Curtain)
  3. 페이드 인(Fade In)
  4. 라이트 오픈(Light Open)
(정답률: 73%)
  • 스위치 인은 순간적으로 무대 조명에 불을 켜는 기교로, 매우 강한 인상을 주는 기법입니다. 다른 기법들은 점진적으로 무대 조명을 밝혀나가는 방식이나 일정한 패턴으로 조명을 전환하는 방식이므로, 스위치 인이 가장 적절한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1분 동안 16비트, 44.1[kHz]로 스테레오 사운드를 저장한다면 약 얼마의 공간이 필요한가?

  1. 2,646,000[byte]
  2. 5,292,000[byte]
  3. 10,584,000[byte]
  4. 21, 168,000[byte]
(정답률: 69%)
  • 1초 동안 스테레오 사운드를 저장하는데 필요한 비트 수는 다음과 같다.

    16비트 x 2(스테레오) x 44,100[Hz] = 1,411,200[bit/sec]

    1분 동안 저장하는데 필요한 비트 수는 다음과 같다.

    1,411,200[bit/sec] x 60[sec] = 84,672,000[bit]

    이를 바이트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84,672,000[bit] ÷ 8 = 10,584,000[byte]

    따라서, 1분 동안 16비트, 44.1[kHz]로 스테레오 사운드를 저장한다면 약 10,584,000[byte]의 공간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디지털방송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여 가상채널 정보, 자막, 데이터방송과 같은 기타 부가서비스 정보 그리고 EPG 정보 등 DTV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STT
  2. VCT
  3. DVB-SI
  4. PSIP
(정답률: 69%)
  • PSIP는 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의 약자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이다. STT는 자막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토콜, VCT는 가상 채널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토콜, DVB-SI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DTV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은 PSI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레스터 방식이라고도 하며, 여러 개의 점들로 이미지를 구성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비트맵 이미지
  2. 벡터 이미지
  3. 스칼라 이미지
  4. 포스트스크립트 이미지
(정답률: 71%)
  • 비트맵 이미지는 픽셀 단위로 이미지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각 픽셀의 색상 정보를 저장하여 이미지를 표현한다. 따라서 이미지를 확대하면 픽셀이 커져 깨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벡터 이미지는 수학적 공식으로 이미지를 구성하기 때문에 확대해도 깨지지 않는다. 스칼라 이미지는 흑백 이미지를 의미하며, 포스트스크립트 이미지는 벡터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페이지 설명 언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LZW 압축방식을 사용하고 256색상까지 지원하며, 인터레이싱 이미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저장방식은 무엇인가?

  1. BMP
  2. PCX
  3. JPEG
  4. GIF
(정답률: 71%)
  • GIF 이미지 저장방식은 LZW 압축방식을 사용하고 256색상까지 지원하며, 인터레이싱 이미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BMP는 압축을 지원하지 않고, PCX는 256색상까지만 지원하며 인터레이싱 이미지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JPEG는 LZW 압축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256색상까지 지원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영상미디어 압축방식 중 인접화소 사이의 상관성이 높은 특징을 이용하는 공간적 중복성 압축방식으로 대표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1. PCM 방식
  2. DCT 변환 부호화
  3. ADPCM 방식
  4. 호프만 부호화
(정답률: 58%)
  • DCT 변환 부호화는 이미지나 영상의 공간적 중복성을 이용하여, 인접한 화소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압축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압축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JPEG 이미지 압축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1. 채널 부호화
  2. 신호원 부호화
  3. MPEG 부호화
  4. AC-3 부호화
(정답률: 69%)
  • 위 그림은 채널 부호화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채널 부호화는 오디오나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중 하나입니다. 이 과정에서 신호가 압축되어 전송 효율이 높아지며, 오디오나 비디오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저장되고 전송됩니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채널 부호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MPEG-2의 프레임 구조 중 순방향 프레임간 예측화면은 무엇인가?

  1. I 프레임
  2. S 프레임
  3. P 프레임
  4. B 프레임
(정답률: 58%)
  • 순방향 프레임간 예측화면은 이전에 인코딩된 P 프레임을 참조하여 현재 프레임을 예측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전 프레임과의 차이점만을 저장하므로 압축률이 높아지고 전송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다. 이에 반해 I 프레임은 전체 화면 정보를 저장하고, B 프레임은 이전과 다음 프레임을 참조하여 예측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S 프레임은 MPEG-2에서 사용되지 않는 프레임 구조이다. 따라서 순방향 프레임간 예측화면은 P 프레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ATSC, DVB-T 등) 방식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는 비디오압축(Encoding) 방식은?

  1. MPEG-1
  2. MPEG-2
  3. MPEG-4
  4. MPEG-7
(정답률: 72%)
  •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는 비디오압축 방식은 MPEG-2이다. 이는 MPEG-2가 고화질의 영상을 압축할 수 있으면서도 전송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MPEG-2는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 채택되어 있어서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디오압축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단위 면적당 압력으로 측정된 음압이 기준음압의 2배일 때 음압레벨은 얼마인가?

  1. 12[dB]
  2. 9[dB]
  3. 6[dB]
  4. 3[dB]
(정답률: 71%)
  • 음압레벨은 20log(P/P0)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P는 측정된 압력, P0는 기준압력이다. 음압은 기준압력보다 작으므로 P/P0는 1보다 작다. 따라서 20log(P/P0)는 음수이다.

    음압이 기준음압의 2배일 때, P/P0는 1/2이다. 따라서 20log(P/P0) = 20log(1/2) = -6dB이다.

    따라서 정답은 "6[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방송통신 시스템

61. 표본화 주파수가 Nyquist 주파수보다 낮을 경우에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Aliasing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입력단에 Low pass FILTER를 단다.
  2. 출력단에 Low pass FILTER를 단다.
  3. 입력단에 Hight pass FILTER를 단다.
  4. 출력단에 Hight pass FILTER를 단다.
(정답률: 74%)
  • Aliasing은 입력 신호의 주파수가 Nyquist 주파수보다 높을 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를 낮춰야 합니다. 이를 위해 입력단에 Low pass FILTER를 달아서 Nyquist 주파수 이상의 신호를 차단하고, 낮은 주파수의 신호만을 통과시킵니다. 이렇게 하면 샘플링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만을 샘플링하게 되어 Aliasing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력단에 Low pass FILTER를 단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가입자 100명에 대한 연결을 매쉬형 회선망으로 구성시 필요한 최소 회선수는?

  1. 4,950개
  2. 6,950개
  3. 8,900개
  4. 9,900개
(정답률: 73%)
  • 매쉬형 회선망은 모든 가입자 간에 직접적인 연결을 갖는 구조이므로, 가입자 수가 n일 때 필요한 회선 수는 n(n-1)/2이다. 따라서, 가입자 100명에 대한 연결을 매쉬형 회선망으로 구성할 때 필요한 최소 회선 수는 100(100-1)/2 = 4,95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PCM(Pulse Code Modulation)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점유 대역폭이 넓다.
  2. 잡음에 강하다.
  3. 고급 여파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4. 전송 중 잡음이 축적되지 않는다.
(정답률: 56%)
  • 답: "점유 대역폭이 넓다."

    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 중 하나로, 신호를 일정한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양자화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때, 샘플링 주파수가 높을수록 높은 주파수 성분까지 표현할 수 있으므로 대역폭이 넓어집니다. 따라서 "점유 대역폭이 넓다"는 PCM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중파 송신기에 사용되는 고주파 출력회로 중 탱크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전력증폭기가 필요로 하는 최적 부하로 변환한다.
  2. 전력 증폭기의 고주파 전력을 급전선 또는 안테나에 전송한다.
  3. 전력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대역 이외의 고주파를 막을 수 있다.
  4. 연주소에서 보내온 적은 음성신호가 큰 전압증폭도를 얻도록 한다.
(정답률: 63%)
  •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전력증폭기가 필요로 하는 최적 부하로 변환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중파 송신기에서는 탱크회로를 사용하여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전력증폭기가 필요로 하는 최적 부하로 변환합니다. 탱크회로는 고주파 전류와 전압을 변환하여 안테나와 전력증폭기 사이에서 적절한 매칭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안테나의 임피던스를 전력증폭기가 필요로 하는 최적 부하로 변환한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연주소에서 보내온 적은 음성신호가 큰 전압증폭도를 얻도록 한다."는 탱크회로의 역할 중 하나입니다. 탱크회로는 안테나와 전력증폭기 사이에서 적절한 매칭을 제공하면서도, 연주소에서 보내온 적은 음성신호가 큰 전압증폭도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이를 위해 탱크회로는 고주파 전류와 전압을 변환하여 전력증폭기에 적절한 입력 신호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라디오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조정실
  2. 송신소
  3. 촬영카메라
  4. 부조정실
(정답률: 83%)
  • 라디오 방송은 음성을 전송하는 것이므로 촬영카메라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촬영카메라"가 옳지 않은 구성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AM 방송국 송신기의 주파수 허용편차로 옳은 것은?

  1. 10[Hz]
  2. 100[Hz]
  3. 1[kHz]
  4. 2[kHz]
(정답률: 59%)
  • AM 방송국 송신기의 주파수 허용편차는 일반적으로 10[Hz] 이다. 이는 AM 방식에서 주파수 변조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AM 방식에서는 주파수 변조를 통해 송신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는데, 이 때 주파수 편차가 너무 크면 신호가 서로 간섭하여 수신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적절한 범위 내에서 주파수 변조를 해야 한다. 이 범위가 대체로 10[Hz] 이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컬러 TV 방송의 국제 표준이 아닌 것은?

  1. SECAM 방식
  2. NTSC 방식
  3. PAL 방식
  4. FDM 방식
(정답률: 66%)
  • FDM 방식은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으로, 컬러 TV 방송의 국제 표준이 아니라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FDM 방식은 컬러 TV 방송의 국제 표준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디지털 전송시스템의 등화기(Equalizer) 기능을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디지털 신호의 전송에서 입력의 잡음을 제거하여 신호의 출력 레벨을 높게하는 장치
  2. 디지털 신호의 전소에서 신호의 왜곡을 줄여 비트오류를 줄이는 장치
  3. 디지털 신호의 전송에서 신호의 비선형성을 줄여 비트오류를 증가시키는 장치
  4. 디지털 신호의 전송에서 신호의 대역폭 효율을 최대화하는 장치
(정답률: 62%)
  • 디지털 신호의 전송에서 신호의 왜곡을 줄여 비트오류를 줄이는 장치입니다. 이는 디지털 신호가 전송되는 동안 발생하는 채널 잡음, 다중 경로 간섭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보정하여 신호의 정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색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3가지 정보가 아닌 것은?

  1. 색상
  2. 포화도
  3. 밝기
  4. 압축
(정답률: 73%)
  • 압축은 색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색상은 색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포화도는 색의 진하고 연한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밝기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입니다. 하지만 압축은 이미지나 동영상 등의 파일 크기를 줄이기 위한 기술로, 색을 전송하는데 직접적으로 필요한 정보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CATV 방송국에서 가입자까지의 전송로를 옳게 구성한 것은?

  1. 초간선 → 간선 → 분배선 → 인입선
  2. 간선 → 초간선 → 분배선 → 인입선
  3. 인입선 → 초간선 → 간선 → 분배선
  4. 인입선 → 간선 → 초간선 → 분배선
(정답률: 78%)
  • CATV 방송국에서 가입자까지의 전송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1. 초간선: 방송국에서 가까운 지역의 중계소까지의 전송로
    2. 간선: 중계소에서 더 멀리 있는 지역의 중계소까지의 전송로
    3. 분배선: 중계소에서 가입자들에게 방송 신호를 전달하는 전송로
    4. 인입선: 가입자의 집까지 연결되는 전송로

    따라서, 가입자까지의 전송로를 옳게 구성한 것은 "초간선 → 간선 → 분배선 → 인입선"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CATV 센터계 설비인 헤드엔드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신 설비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채널변환
  2. 다수의 주파수 분할된 신호 분리 및 혼합기능
  3. 전송로에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
  4. 도청방지를 위한 비화신호의 해독기능
(정답률: 75%)
  • CATV 센터계 설비인 헤드엔드의 기능 중 도청방지를 위한 비화신호의 해독기능은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헤드엔드가 수신한 신호를 채널변환하고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도청방지를 위한 비화신호의 해독은 다른 보안 시스템에서 수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CATV 광단국 장치 중 AM 광전송 장치를 설치하면 개별 특성시험과 종합시험을 해야 한다. 다음 중 개별특성 시험이 아닌 것은?

  1. 광원의 파장측정
  2. 광수신감도 측정
  3. 주파수 응답 시험
  4. RF 송신조정 및 시험
(정답률: 52%)
  • 주파수 응답 시험은 AM 광전송 장치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다른 시험들과는 달리 개별적인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는 종합 시험이다. 따라서 개별 특성 시험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은 지상국 안테나를 위해 안테나 서브시스템에 요구되는 사양을 열거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안테나의 중심방향으로 높은 지향성(directivity)을 가지고 목적하는 위성의 위치를 가리켜야 한다.
  2. 원하는 위성 이외의 방향에 대하여는 높은 지향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3. 업링크와 다운링크 모두에 대하여 가능한 한 높은 안테나 효율을 가져야 한다.
  4. 직각 방향 편파에 대하여 높음 고립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정답률: 69%)
  • "원하는 위성 이외의 방향에 대하여는 높은 지향성을 유지하여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안테나의 중심방향으로 높은 지향성을 유지하여 목적하는 위성의 위치를 가리켜야 하지만, 다른 방향에 대해서도 일정한 수준의 지향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는 안테나가 원치 않는 신호나 잡음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방송방식 중 방송신호를 전송하는데 가장 넓은 신호대역폭을 필요로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1. 지상파방송
  2. 위성방송
  3. 케이블방송
  4. DMB방송
(정답률: 72%)
  • 위성방송은 지구 상공에서 위성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지상파방송이나 케이블방송과 달리 지리적 제약이 없습니다. 따라서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데 가장 넓은 신호대역폭을 필요로 하며, 이는 위성방송이 가장 넓은 신호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방식이라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설명으로 맞는 것은? (문제 복원 오류로 그림이 없습니다. 정답은 2번 입니다. 정확한 그림 내용을 아시는분 께서는 오류신고 또는 게시판에 작성 부탁드립니다.)

  1. 빔 안테나
  2. 다이폴 안테나
  3. 탑재형 안테나
  4. 탑재형 안테나
(정답률: 74%)
  • 정답은 "다이폴 안테나"입니다. 다이폴 안테나는 두 개의 반대 방향으로 뻗은 막대 모양의 안테나로, 방향성이 없는 균일한 방사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비해 다른 안테나들은 방향성이 있거나 특정한 방사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상파 DMB 방송의 오디오신호 부호화 중 맞는 것은?

  1. 오디오 신호의 대역은 20,300[kHz] 이하로 할 것
  2. 오디오 신호의 표본화 주파수는 최대 48,000[Hz]로 할 것
  3. 오디오 신호의 표본당 비트 수는 최대 28 이하일 것
  4. 오디오 신호의 표본당 비트 수는 초대 25 이하일 것
(정답률: 72%)
  • 오디오 신호를 표본화할 때는 나이퀴스트-샘플링 정리에 따라 표본화 주파수는 신호 대역의 2배 이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오디오 신호의 대역이 20,300[kHz] 이하로 설정되었으므로 표본화 주파수는 최대 48,000[Hz]로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위성 디지털 미디어방송에 있어 변조 및 송신조건과 관련한 기술기준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변조는 QPSK 및 BPSK 방식으로, 전송은 CDM 방식으로 할 것
  2. 변조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은 30[MHz]로 할 것
  3. 펄스정형 필터의 롤-오프 계수는 0.22로 할 것
  4. 송신장치의 방송파 신호 주파수 허용 편차는 50[ppm]으로 할 것
(정답률: 51%)
  • "변조된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은 30[MHz]로 할 것"은 위성 디지털 미디어방송에서 사용하는 대역폭이 일반적으로 36[MHz] 이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0[MHz]로 설정하는 것은 적절한 기술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종합 유선 방송국의 예비전원 설비는 전원 공급이 중단된 경우, 최대 부하를 기준으로 몇 시간 이상 공급할 수 있어야 하는가?

  1. 1시간 이상
  2. 2시간 이상
  3. 3시간 이상
  4. 4시간 이상
(정답률: 74%)
  • 종합 유선 방송국은 대규모 전기 소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예비전원 설비는 매우 큰 용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전원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최대 부하를 기준으로 3시간 이상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방송국이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기 때문에, 긴급 상황에서도 방송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지상파 방송 송신용 급전선의 선택시 고려할 주요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성 임피던스
  2. 철탑의 부하
  3. 동작 주파수
  4. 송신기의 접지상태
(정답률: 59%)
  • 송신기의 접지상태는 지상파 방송 송신용 급전선의 선택시 고려할 주요사항 중 하나입니다. 이는 안정적인 전파를 위해 필요한 것으로, 송신기와 지상파 방송 탑의 접지 상태가 일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송신기의 접지상태"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공동시청 안테나 시설의 설비구성 중 단독주택의 설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안테나
  2. 분배(분기)기
  3. 혼합기
  4. 직렬단자
(정답률: 66%)
  • 혼합기는 여러 개의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를 하나로 합쳐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단독주택에서는 필요하지 않은 설비이기 때문에, 단독주택의 설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안테나, 분배(분기)기, 직렬단자는 단독주택에서도 사용되는 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 일반 및 방송설비기준

81. 액정 디스플레이(LCD)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네온 전구와 아르곤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현상에 의해 정보를 표시한다.
  2. 디지털 계산기나 노트북, 컴퓨터 등의 표시장치에 사용된다.
  3. 비발광체이기 때문에 눈의 피로가 적고 전력소모가 적다.
  4. CRT에 비해 표시속도가 느리고, 보는 각도에 따라 선명도가 달라진다.
(정답률: 68%)
  • LCD는 네온 전구나 아르곤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현상이 아닌 액정을 이용하여 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네온 전구와 아르곤 가스를 이용한 플라즈마 현상에 의해 정보를 표시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시스템 버스(System Bus)
  2. 제어 장치(Control Unit)
  3. 논리 연산 장치(ALU)
  4. 레지스터(Register)
(정답률: 72%)
  • 시스템 버스(System Bus)는 중앙처리장치 내부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중앙처리장치와 다른 장치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로이기 때문입니다. 중앙처리장치의 구성요소는 제어 장치(Control Unit), 논리 연산 장치(ALU), 레지스터(Regis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현 상태에서 다음 상태로 코드의 그룹이 변화할 때 단지 하나의 비트만이 변화되는 최소 변화 코드의 일종이며, 또한 비트의 위치가 특별한 가중치를 갖지 않는 비가중치 코드로서 산술 연산에는 부적합하고 응용장치에 많이 사용하는 코드는?

  1. 패리티 체크
  2. 해밍 코드
  3. 3초과 코드
  4. 그레이 코드
(정답률: 58%)
  • 그레이 코드는 인접한 두 코드의 차이가 단 하나의 비트만 바뀌는 최소 변화 코드이기 때문에, 회로에서 신호가 변할 때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가중치 코드이기 때문에 산술 연산에는 부적합하지만, 응용장치에서는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주기억장치에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각 byte의 위치를 지정해 주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register
  2. base register
  3. index register
  4. address
(정답률: 62%)
  • 주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기억할 때, 각 byte의 위치를 지정해 주는 것을 "address"라고 한다. 이는 해당 데이터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컴퓨터가 데이터를 찾아서 읽거나 쓸 때 필요한 정보이다. 따라서 주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다룰 때는 반드시 해당 데이터의 주소를 알고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명령어 자체의 기억장소를 기준으로 하여 유효 주소를 계산한 후 연산수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은?

  1. 기본 어드레스
  2. 간접 어드레스
  3. 직접 어드레스
  4. 상대 어드레스
(정답률: 64%)
  • 상대 어드레스는 명령어 자체의 기억장소를 기준으로 하여 유효 주소를 계산한 후 연산수의 위치를 지정하는 방식이다. 즉, 명령어가 위치한 주소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방식은 프로그램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이식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채널(channel)이 위치하는 곳은 어디인가?

  1. 중앙처리장치와 연산장치 양쪽
  2. 주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 사이
  3.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사이
  4. 연산장치와 레지스터 중간
(정답률: 60%)
  • 채널은 주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 사이에 위치합니다. 이는 채널이 입출력장치와 주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기 때문입니다. 즉, 채널은 입출력장치와 주기억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개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입출력장치와 주기억장치 간의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자료의 병렬전송을 직렬전송으로 변경하는 레지스터는?

  1. 명령 레지스터(IR)
  2.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MAR)
  3.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MBR)
  4.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정답률: 72%)
  • 자료의 병렬전송을 직렬전송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여러 비트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재배치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레지스터가 쉬프트 레지스터입니다. 쉬프트 레지스터는 여러 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레지스터로, 데이터를 한 비트씩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병렬전송된 데이터를 직렬전송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분산 처리 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앙 집중식 운영체제의 개념과는 반대되는 시스템이다.
  2. 한 업무를 여러 컴퓨터로 작업을 분담시킴으로써 처리량을 높일 수 있다.
  3. 보안성이 매우 높다.
  4. 업무량 증가에 따른 점진적인 확장이 용이하다.
(정답률: 78%)
  • 보안성이 매우 높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분산 처리 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작업을 분산 처리하기 때문에 보안 위협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안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처리능력 향상
  2. 응답시간 단축
  3. 신뢰도 향상
  4. 사용자 편의 극소화
(정답률: 74%)
  • 운영시스템의 목적은 사용자 편의 극소화가 아닙니다. 운영시스템은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하며, 자원 할당과 보호, 데이터 관리 등을 수행하여 처리능력 향상, 응답시간 단축, 신뢰도 향상을 목적으로 합니다. 사용자 편의는 운영시스템의 기능 중 하나이지만, 목적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오퍼레이팅 시스템에서 제어 프로그램에 속하는 것은?

  1. 데이터관리 프로그램
  2. 어셈블러
  3. 컴파일러
  4. 서브루틴
(정답률: 67%)
  • 오퍼레이팅 시스템에서 제어 프로그램은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데이터관리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고 데이터를 저장, 검색, 수정, 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데이터관리 프로그램은 제어 프로그램에 속합니다. "어셈블러", "컴파일러", "서브루틴"은 모두 프로그래밍 언어를 해석하거나 실행하는 역할을 하지만, 제어 프로그램에 속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종합유선방송국설비에서 주파수변조방식에 의해 광케이블로 전송하는 경우 분계점은?

  1. 진폭변조기와 동축케이블의 최초 접속점
  2. 주파수변조기와 무선송신기의 최초 접속점
  3. 주파수변조기와 광송신기의 최초 접속점
  4. 텔레비전 인코더와 광송신기의 최초 접속점
(정답률: 77%)
  • 주파수변조방식으로 광케이블로 전송하는 경우,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해주는 광송신기와 주파수를 변조해주는 주파수변조기가 필요합니다. 이 두 기기의 최초 접속점이 분계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주파수변조기와 광송신기의 최초 접속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유선방송설비 및 전송설비의 기호로 잘못 연결된 것은?

  1. 채널변환장치(Convertor) :
  2. 수신공중선(Antenna) :
  3. 증폭기(Amplifier) :
  4. 주 전송장치(Head End) :
(정답률: 68%)
  • 채널변환장치(Convertor)의 기호는 수신공중선(Antenna)의 기호와 잘못 연결되었다. 채널변환장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신공중선이 아닌 주 전송장치(Head End)와 연결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방송프로그램을 종합유선방송국으로부터 시청자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유ㆍ무선전송ㆍ선로설비를 설치ㆍ운영하는 사업은?

  1. 전송망사업
  2. 종합유선방송사업
  3. 중계유선방송사업
  4. 음악유선방송사업
(정답률: 75%)
  • 전송망사업은 방송프로그램을 종합유선방송국으로부터 시청자에게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유ㆍ무선전송ㆍ선로설비를 설치ㆍ운영하는 사업이다. 따라서, 이는 방송프로그램을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종합유선방송사업, 중계유선방송사업, 음악유선방송사업 등과 함께 방송산업의 핵심 사업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방송통신위원회가 전파자원의 공평하고 효율적인 이용을 촉직하기 위하여 시행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주파수분배의 변경
  2. 주파수 회수 또는 주파수 재배치
  3. 새로운 기술방식으로의 전환
  4. 무선국 공동 운영
(정답률: 83%)
  • 무선국 공동 운영은 전파자원의 공평하고 효율적인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방송통신위원회의 시행사항 중 하나가 아닙니다. 무선국 공동 운영은 두 개 이상의 무선국이 같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주파수분배의 변경, 주파수 회수 또는 주파수 재배치, 새로운 기술방식으로의 전환과 함께 전파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입력신호 에너지를 간선에서 지선으로 불균등하게 분리시키는 장치는?

  1. 분기기
  2. 분배기
  3. 합파기
  4. 분파기
(정답률: 79%)
  • 입력신호 에너지를 간선에서 지선으로 불균등하게 분리시키는 장치는 "분기기"입니다. 이는 입력신호를 여러 개의 지선으로 나누어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지선에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을 조절하여 불균등한 분배가 가능합니다. 이와 달리 "분배기"는 입력신호 에너지를 여러 개의 지선으로 균등하게 분배시키는 장치이며, "합파기"는 여러 개의 입력신호를 하나의 출력신호로 합치는 장치, "분파기"는 하나의 입력신호를 여러 개의 출력신호로 분할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종합유선방송국의 진폭변조기의 출력 특성임피던스는 몇 [Ω]인가?

  1. 30[Ω]
  2. 50[Ω]
  3. 75[Ω]
  4. 600[Ω]
(정답률: 78%)
  • 종합유선방송국에서 사용하는 진폭변조기는 일반적으로 75[Ω]의 출력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방송국에서 전송하는 신호가 75[Ω]의 케이블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출력 임피던스를 가진 진폭변조기를 사용하여 최적의 신호 전달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방송법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방송의 자유와 독립을 보장
  2. 시청자의 권익 보호와 민주적 여론형성
  3. 방송의 발전과 공공복리의 증진
  4. 국민경제 발전 도모와 자율적 방송편성 보장
(정답률: 65%)
  • "국민경제 발전 도모와 자율적 방송편성 보장"은 방송법의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다. 방송법의 목적은 방송의 자유와 독립을 보장하고, 시청자의 권익 보호와 민주적 여론형성, 방송의 발전과 공공복리의 증진이다. 따라서 "국민경제 발전 도모와 자율적 방송편성 보장"은 방송법의 목적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방송법에 의한 방송사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지상파방송사업
  2. 위성방송사업
  3. 방송채널사용사업
  4. 중계유선사업
(정답률: 74%)
  • 중계유선사업은 방송을 직접 생산하지 않고, 다른 방송사의 콘텐츠를 중계하는 사업이므로 방송법에 의한 방송사업의 종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의 용어 정의에서 괄호 안에 알맞은 것은?

  1. 신고ㆍ등록ㆍ승인ㆍ허가
  2. 인증ㆍ등록ㆍ승인ㆍ허가
  3. 신고ㆍ공인ㆍ승인ㆍ허가
  4. 신고ㆍ등록ㆍ인가ㆍ허가
(정답률: 78%)
  • 기관이나 당국에 어떤 사항을 알리거나 승인을 받는 과정을 말하는데, 이 중에서도 "신고ㆍ등록ㆍ승인ㆍ허가"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 과정을 거치면 해당 사항이 법적으로 인정받게 되어 안정적인 활동이 가능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중계유선방송에서 해당 채널의 채널잡음에 대한 반송파의 비율을 데시벨로 나타낸 것을 무엇이 라 하는가?

  1. S/N
  2. C/N
  3. CTB
  4. D/U
(정답률: 69%)
  • 정답은 "C/N"이다.

    C/N은 Carrier-to-Noise ratio의 약자로, 채널잡음에 대한 반송파의 비율을 데시벨로 나타낸 것이다. 이는 중계유선방송에서 채널의 신호와 잡음의 강도를 비교하여 채널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즉, C/N이 높을수록 채널의 품질이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S/N은 Signal-to-Noise ratio의 약자로, 신호와 잡음의 강도 비율을 데시벨로 나타낸 것이다. CTB는 Composite Triple Beat의 약자로, 다중 주파수 신호가 섞여서 발생하는 왜곡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D/U는 Desired-to-Undesired ratio의 약자로, 원하는 신호와 원하지 않는 신호의 강도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