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상담사 3급(1교시)(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3-28)

청소년상담사 3급(1교시)(구)
(2015-03-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발달심리

1. 3세 아동들을 표집하여 이 아동들을 6세, 9세, 12세에 반복 측정함으로써 각 연령단계에서 인지능력의 변화를 살펴보는 연구 설계는?

  1. 종단적 설계
  2. 시간-지연 설계
  3. 계열적 설계
  4. 비교연구 설계
  5. 횡단적 설계
(정답률: 78%)
  • 이 연구 설계는 종단적 설계이다. 종단적 설계는 특정한 시점에서 표본을 추출하여 그 이후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 측정하여 변화를 관찰하는 설계이다. 이 연구에서는 3세 아동들을 표집하여 6세, 9세, 12세에 반복 측정함으로써 각 연령단계에서 인지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고 있으므로 종단적 설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유아기 신체발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두미 방향, 중심에서 말단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2. 영아기만큼 빠른 속도는 아니지만 신장과 체중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3. 성장함에 따라 활동량과 활동반경이 확대된다.
  4. 뇌와 머리는 신체의 다른 부분보다 느리게 성장한다.
  5. 신체성장과 발달에는 개인차와 문화적 차이가 있다.
(정답률: 88%)
  • "뇌와 머리는 신체의 다른 부분보다 느리게 성장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뇌와 머리는 다른 신체 부위와 마찬가지로 개인차와 문화적 차이가 있지만, 유아기에 뇌와 머리는 빠르게 성장하며 중요한 발달 단계를 거친다. 뇌와 머리의 성장은 유아기에 매우 중요하며, 이 시기에 적절한 자극과 영양소가 제공되지 않으면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정신장애진단통계편람(DSM-5)에서 품행장애의 진단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타인에 대한 공격성
  2. 언어 폭력
  3. 기물 파괴
  4. 사기나 절도
  5. 심각한 규칙위반
(정답률: 68%)
  • 품행장애의 진단기준에는 "타인에 대한 공격성", "기물 파괴", "사기나 절도", "심각한 규칙위반"이 포함되어 있지만, "언어 폭력"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언어 폭력이 행동이 아닌 언어적인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태내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아기는 주요 신체기관과 신경계가 형성되는 시기이다.
  2. 배아기는 기형발생물질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시기이다.
  3. 태아기는 신체기관의 분화가 일어나는 시기이다.
  4. 태아기는 배아기보다 중추신경계가 더 빠르게 발달하는 시기이다.
  5. 태아기는 모든 기관 체계가 정교해지는 시기이다.
(정답률: 57%)
  • "태아기는 신체기관의 분화가 일어나는 시기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태아기는 이미 신체기관의 분화가 일어나고, 이제는 그 기관들이 성장하고 발달하는 시기이다. 배아기가 주요 신체기관과 신경계가 형성되는 시기이고, 기형발생물질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시기이다. 태아기는 중추신경계가 더 빠르게 발달하는 시기이며, 모든 기관 체계가 정교해지는 시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증후군이 아닌 것은?

  1. 터너 증후군(Turner's syndrome)
  2. 다운 증후군(Down's syndrome)
  3. 영아돌연사 증후군(sudden infant death syndrome)
  4. 수퍼남성 증후군(supermale syndrome)
  5. 클라인펠터 증후군(Klinefelter's syndrome)
(정답률: 81%)
  • 영아돌연사 증후군은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증후군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는 유일하게 염색체 이상과는 무관한 증후군인 영아돌연사 증후군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유아기 대근육 운동기능의 발달이 연령대별로 바르게 연결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64%)
  • 정답은 "ㄱ, ㄴ, ㄷ, ㄹ" 입니다.

    - "ㄱ"은 유아기 초반에 발달하는 대근육 운동기능으로, 머리를 들어 일어서는 것부터 시작하여 네발 기어다니기, 또는 두발로 걷기 등의 기능을 의미합니다.
    - "ㄴ"은 유아기 중반에 발달하는 대근육 운동기능으로, 뛰기, 높이 뛰기, 공을 던지기, 잡기 등의 기능을 의미합니다.
    - "ㄷ"은 유아기 후반에 발달하는 대근육 운동기능으로, 뛰어오르기,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기, 자전거 타기 등의 기능을 의미합니다.
    - "ㄹ"은 유아기 말기에 발달하는 대근육 운동기능으로, 복싱, 레슬링, 농구, 축구 등의 스포츠 활동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대근육 운동기능의 발달이 연령대별로 바르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ㄱ, ㄴ, ㄷ, ㄹ"이 모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의 진단적 특징을 보이는 정신장애는?

  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2. 분리불안장애
  3. 지적장애
  4. 강박장애
  5. 자폐장애
(정답률: 64%)
  • 이 그림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 반복적인 행동 및 관심, 언어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 등 자폐장애의 진단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자폐장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학습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45%)
  • 학습장애란 학습능력이 저하되어 학습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말한다. 이 중에서도 "ㄱ"은 독해력이 저하되어 글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을 말하고, "ㄴ"은 쓰기나 철자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말한다. "ㄷ"은 수리능력이 저하되어 수학 문제를 푸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ㄱ, ㄴ, ㄷ"이 모두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놀이에 관한 파튼(M. Parten)의 이론에서 다음에 해당하는 놀이 유형은?

  1. 연합 놀이
  2. 비몰입 놀이
  3. 평행 놀이
  4. 방관자 놀이
  5. 협동 놀이
(정답률: 60%)
  • 이미지에서 보이는 아이들은 함께 놀이를 하며 서로의 역할을 협력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서로의 행동에 대해 대화하고 조율하며 놀이를 즐기고 있다. 따라서 이는 "협동 놀이"가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을 설명하는 현상은?

  1. 신속표상대응
  2. 어휘대조
  3. 과잉확대
  4. 과잉축소
  5. 상호배타성
(정답률: 76%)
  • 이 그림은 과잉확대 현상을 보여줍니다. 즉, 실제로는 작은 것이나 크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는 인지적 왜곡 중 하나로, 우리가 어떤 것에 대해 과도한 관심이나 감정을 가지고 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마샤(J. Marcia)가 자아정체감 수준을 네 가지 지위로 구분하는데 적용한 두 가지 기준(차원)은?

  1. 유실(foreclosure), 유예(moratorium)
  2. 유실(foreclosure), 관여(commitment)
  3. 위기(crisis), 혼미(diffusion)
  4. 위기(crisis), 관여(commitment)
  5. 혼미(diffusion), 유예(moratorium)
(정답률: 77%)
  • 마샤가 자아정체감 수준을 구분하는 두 가지 기준은 위기(crisis)와 관여(commitment)입니다. 위기란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새로운 가치관이나 역할을 탐색하며 불안과 혼란을 겪는 상태를 말하며, 관여는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확고한 신념과 가치관을 가지고, 그것을 바탕으로 행동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위기(crisis), 관여(commitmen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길리건(C. Gilligan)은 남성과 여성이 지향하고 선호하는 도덕성이 다르다고 본다. 다음에서 남성과 여성의 도덕성 특징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남성: 정의, 여성: 배려
  2. 남성: 원칙, 여성: 친밀감
  3. 남성: 책임감, 여성: 우정
  4. 남성: 정의, 여성: 친밀감
  5. 남성: 우정, 여성: 배려
(정답률: 74%)
  • 길리건은 여성이 남성보다 타인의 감정에 민감하고 배려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특징이 도덕적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남성: 정의, 여성: 배려"가 정답이다. 남성은 보통 원칙과 정의를 중시하고, 여성은 친밀감과 배려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덕적 갈등 상황을 제시하고 응답자의 도덕적 판단에 대한 설명에 근거해서 발달단계를 구분한다.
  2. 도덕발달은 일정한 순서에 따라 진행된다.
  3. 법 체계에 근거하여 도덕적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은 후인습적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본다.
  4. 인지적 능력은 도덕발달의 필수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5. 사회적 경험은 도덕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률: 58%)
  • "법 체계에 근거하여 도덕적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은 후인습적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본다."가 옳지 않은 것은,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에서는 법 체계에 근거하여 도덕적 의사결정을 하는 것은 후인습적 수준이 아닌, 사회인식적 수준에 해당한다고 본다. 후인습적 수준은 개인이 도덕적 의사결정을 할 때 자신의 가치관과 사회적 규범을 모두 고려하여 판단하는 수준을 말하며, 이는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에서는 높은 수준의 도덕성으로 평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정서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서적 유능성은 사회적 유능성 발달의 중요한 요인이다.
  2. 남아에 비해 여아가 실망스러운 선물을 받은 후 자신의 속마음을 감추는 데 더 능숙하다.
  3. 수치심, 죄책감, 질투심, 자부심 등은 인류가 보편적으로 경험하는 기본 정서이다.
  4. 불확실한 상황을 인식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정서적 반응에 의존하는 것을 사회적 참조라고 한다.
  5. 감정이입이 항상 친절과 도움 행동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정답률: 50%)
  • 수치심, 죄책감, 질투심, 자부심 등은 인류가 보편적으로 경험하는 기본 정서이다. -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모든 인간이 이러한 정서를 경험하는 것은 아니며, 문화나 개인의 경험 등에 따라 다양한 정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의 특징을 나타내는 발달 개념은?

  1. 성숙(maturation)
  2. 가소성(plasticity)
  3. 연속성(continuity)
  4. 특수화(specification)
  5. 최적화(optimization)
(정답률: 75%)
  • 이 개념은 가소성(plasticity)이다. 이는 뇌가 경험과 학습에 따라 구조와 기능을 조정하고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즉, 뇌는 발달 과정에서 유연하게 변화하며, 환경에 적응하고 학습에 따라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양한 맥락의 영향을 받지만 발달의 결과는 동일하다.
  2. 발달은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를 포함한다.
  3. 기능과 구조가 쇠퇴하는 부정적 변화도 포함된다.
  4. 신체적, 도덕적, 사회적 발달은 독립적이기보다는 통합적이고 총체적이다.
  5. 수정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개인의 체계적인 연속성과 변화를 말한다.
(정답률: 85%)
  • "다양한 맥락의 영향을 받지만 발달의 결과는 동일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발달은 개인의 경험과 환경,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맥락의 영향을 받아 개인마다 결과가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공격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응적 공격성은 타인의 행동을 적대적으로 해석하고 그것에 대한 보복으로 활용되는 공격성을 의미한다.
  2. 관계적 공격성은 남아에 비해 여아에게 많이 나타난다.
  3. 부모의 비일관적 훈육과 애정철회는 자녀의 공격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4. 관계적 공격성은 사회적 배척을 통하여 또래관계에 손상을 가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5. 적대적 공격성은 개인적 목표를 획득하거나 힘을 과시하기 위한 전략으로 활용되는 공격성을 의미한다.
(정답률: 72%)
  • "관계적 공격성은 남아에 비해 여아에게 많이 나타난다."는 성별에 대한 설명이므로 옳지 않다.

    적대적 공격성은 개인적 목표를 획득하거나 힘을 과시하기 위한 전략으로 활용되는 공격성을 의미한다. 이는 다른 사람을 상대로 공격적인 행동을 취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으며, 자신의 이익을 위해 상대방을 해치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아동기와 청소년기 학교 부적응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ㄴ, ㄷ
  5. ㄴ, ㄷ, ㄹ
(정답률: 72%)
  • - "ㄴ"은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학교 부적응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 중 하나인 가정환경과 관련된 요인이다. 가정 내 갈등, 부모의 이혼, 가정폭력 등이 아동의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ㄷ"는 학교 내에서의 대인관계 문제와 관련된 요인이다. 학교 내 괴롭힘, 차별, 친구 관계 등이 아동의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ㄹ"은 학업적인 부적응과 관련된 요인이다. 학습장애, 학습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학교생활에 대한 무관심 등이 아동의 학교 부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ㄴ, ㄷ, ㄹ"이 모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발달은 연속적인가, 비연속적인가?” 라는 기본 쟁점에 대한 입장을 기준으로 발달이론을 구분할 경우, 비연속적 발달이론에 해당하는 이론은?

  1. 브론펜브레너(U.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이론
  2.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3. 스키너(B. F. Skinner)의 행동주의이론
  4. 반두라(A.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5. 다지(K. Dodge)의 사회정보처리이론
(정답률: 59%)
  •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발달이 연속적이지 않고, 단계적으로 비연속적으로 일어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이론은 인간의 인지 발달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이러한 발달은 일정한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단계는 각각 다른 인지 능력을 나타내며, 이러한 능력은 성장과 함께 발전한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은 비연속적 발달이론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또래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신의 가치관과 또래집단의 기대 간 불일치가 크면 긴장과 갈등이 초래된다.
  2. 또래집단은 사회적 비교를 통해 자신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한다.
  3. 또래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극복 양상은 우정을 지속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4. 인기있는 아동은 많은 또래들이 좋아하지만, 또래집단 내에서 높은 지위를 유지하는 것은 아니다.
  5. 또래압력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정답률: 63%)
  • "인기있는 아동은 많은 또래들이 좋아하지만, 또래집단 내에서 높은 지위를 유지하는 것은 아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인기있는 아동은 높은 지위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가드너(H. Gardner)의 다중지능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능을 하나의 일반 지능으로 기술하는 것을 비판한다.
  2. 타인의 기분이나 동기를 읽어내는 대인관계 지능이 포함되어 있다.
  3. 석학증후군(savant syndrome)은 지능이 독립되어 있다는 증거가 된다.
  4. 전통적 지능에서 다루지 않았던 맥락, 경험, 정보처리 기술의 세 가지 요인을 강조한다.
  5. 자연의 패턴을 관찰하고 자연의 체계를 이해할 수 있는 자연주의적 지능이 포함되어 있다.
(정답률: 58%)
  • 석학증후군(savant syndrome)은 지능이 독립되어 있다는 증거가 된다. - 이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가드너는 다중지능 이론에서 석학증후군을 다루며, 이들이 특정 분야에서 높은 능력을 보이는 것은 다중지능 이론의 일부로 해석됩니다. 그러나 이는 지능이 독립되어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 중 하나일 뿐입니다.

    전통적 지능에서 다루지 않았던 맥락, 경험, 정보처리 기술의 세 가지 요인을 강조한다. - 이는 옳은 설명입니다. 가드너는 다중지능 이론에서 전통적인 지능 개념을 비판하며, 맥락, 경험, 정보처리 기술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이 지능을 구성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들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에릭슨(E.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에서 다음의 아동에 해당되는 단계는?

  1. 주도성 대 죄의식
  2. 정체감 확립 대 정체감 혼란
  3. 근면성 대 열등감
  4. 자율성 대 수치심
  5. 신뢰 대 불신
(정답률: 69%)
  • 이 단계는 "근면성 대 열등감"이 아닌 "주도성 대 죄의식"입니다. 이유는 이 단계에서 아동은 자신의 능력과 역할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며, 주도성을 발휘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부모나 교사의 규율과 규제에 대한 죄의식도 갖게 됩니다. 따라서 "주도성 대 죄의식"이라는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이론가와 발달에 관한 주장이 바르게 연결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5. ㄴ, ㄷ, ㄹ
(정답률: 63%)
  • 이론가와 발달에 관한 주장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ㄴ, ㄷ" 입니다.

    - "ㄱ, ㄴ"은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과 베이지안 인지론으로 이론가와 발달에 관한 주장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 "ㄱ, ㄹ"은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과 비헤이비어주의 발달 이론으로 이론가와 발달에 관한 주장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 "ㄷ, ㄹ"은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 이론과 비헤이비어주의 발달 이론으로 이론가와 발달에 관한 주장이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 "ㄴ, ㄷ, ㄹ"은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 이론, 비헤이비어주의 발달 이론으로 이론가와 발달에 관한 주장이 연결되어 있지만, 보기에서는 "ㄴ, ㄷ"만이 바르게 연결된 것으로 주어졌습니다.

    따라서, "ㄴ, ㄷ"은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과 베이지안 인지론으로 이론가와 발달에 관한 주장이 바르게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발테스와 발테스(P. Baltes & M. Baltes)의 SOC(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생애적 관점에서 연령에 따른 획득의 최대화와 상실의 최소화를 적응적 발달로 본다.
  2. 선택, 최적화, 보상을 발달적 조절의 세 가지 중심적 과정으로 제안한다.
  3. 노화에 따른 내적ㆍ외적 자원의 제약과 상실로 인해 선택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본다.
  4. 노화에 따른 상실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도움이나 부가적 자원의 동원 없이 스스로 대응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5. 선택한 목표 달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최적화를 중시한다.
(정답률: 64%)
  • "노화에 따른 상실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도움이나 부가적 자원의 동원 없이 스스로 대응해야 한다고 제안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발테스와 발테스의 SOC 이론은 노화에 따른 내적ㆍ외적 자원의 제약과 상실로 인해 선택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본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스스로 대응해야 하며, 타인의 도움이나 부가적 자원의 동원 없이 대처해야 한다는 것이 이론의 핵심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을 묻는 문제에서는 이 보기가 옳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성인기 이후의 인지 발달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결정화된 지능은 성인기 동안 감퇴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기도 한다.
  2. 크레이머(D. Kramer)의 절대주의자 단계는 후형식적 사고 유형에 해당된다.
  3. 작업기억은 성인 후기가 될수록 급격하게 감퇴한다.
  4. 후형식적 사고는 성인기 이후에 발달한다.
  5. 유동성 지능은 대체로 성인 초기 이후 감소한다.
(정답률: 30%)
  • "작업기억은 성인 후기가 될수록 급격하게 감퇴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크레이머(D. Kramer)의 절대주의자 단계는 후형식적 사고 유형에 해당된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이는 개념적 추론과 추상적 사고가 가능해지는 단계로, 성인기 이후에 발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작업기억은 성인기 이후에도 계속해서 유지되며, 일상 생활에서 필요한 정보를 기억하고 활용하는 능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만 노화와 함께 작업기억 용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을 뿐이다.

    따라서 "작업기억은 성인 후기가 될수록 급격하게 감퇴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기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달은 영아의 기질과 부모의 기질 간 상호작용의 산물이다.
  2. 영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행동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부모와 영아 모두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3. 토마스와 체스(S. Thomas & A. Chess)의 연구를 통해 세 가지 기질 유형이 발견되었다.
  4. 순한 아동은 수면이 규칙적이고 낯선 사람에게도 미소를 잘 짓는다.
  5. 까다로운 아동은 낯선 상황에서 처음에는 움츠러들지만 곧바로 불안이 없어지고 흥미를 갖는다.
(정답률: 75%)
  • "까다로운 아동은 낯선 상황에서 처음에는 움츠러들지만 곧바로 불안이 없어지고 흥미를 갖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기질은 개인의 성격, 행동, 반응 등을 결정하는 유전적인 요소와 환경적인 요소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발달은 영아의 기질과 부모의 기질 간 상호작용의 산물이며, 영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행동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토마스와 체스의 연구를 통해 세 가지 기질 유형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순한, 중립적, 까다로운 유형이다. 순한 아동은 수면이 규칙적이고 낯선 사람에게도 미소를 잘 짓는 반면, 까다로운 아동은 처음에는 움츠러들지만 곧바로 불안이 없어지고 흥미를 갖는다. 따라서 "순한 아동은 수면이 규칙적이고 낯선 사람에게도 미소를 잘 짓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의 사고방식에 해당되는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는?

  1. 감각운동기
  2. 전조작기
  3. 구체적 조작기
  4. 형식적 조작기
  5. 후형식적 사고기
(정답률: 70%)
  • 이 사고방식은 "전조작기"에 해당된다. 이유는 아이가 물체의 위치를 바꾸어도 물체의 양상이 변하지 않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2-7세 사이의 아이들이 보이며, 인지발달 단계 중 "전조작기"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비고츠키(L.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71%)
  • -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은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인간의 발달을 이해하고자 하는 이론이다.
    - 언어와 문화가 인간의 인지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이론의 핵심이다.
    - "ㄱ, ㄴ, ㄹ"이 정답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ㄱ, ㄴ, ㄷ"는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인 "존재하는 것"과 "말하는 것"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들이다.
    - "ㄱ, ㄴ, ㄹ"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인 "실제 발달 수준", "잠재 발달 수준", "근시안적 발달 수준"을 나타내는 개념들이다.
    - "ㄱ, ㄴ, ㄹ"은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인 "사회적 지지"와 "자기주도적 학습"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애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할로우(H. Harlow)와 동료들은 인공어미 연구를 통해 접촉의 중요성을 발견하였다.
  2. 영아가 지니고 있는 귀여운 모습은 애착을 이끌어내는 한 요인이 된다.
  3. 낯선이 불안과 분리불안은 주양육자에 대한 인지적 표상이 형성되었음을 말해준다.
  4. 양육자와 분리될 때 아동이 보이는 반응은 양육방식의 문화적 차이로 인해 달라질 수 있다.
  5. 양육방식은 애착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아동의 기질은 애착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률: 85%)
  • "아동의 기질은 애착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사실 아동의 기질은 애착형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아동의 성격, 기질, 유전적 특성 등은 애착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프로이트(S. Freud)의 심리성적 발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성적 에너지가 집중된 신체 부위는 구강, 남근, 항문의 순으로 바뀐다.
  2. 각 단계에서 심리적 욕구가 상당히 결핍되어도 아동은 다음 단계로 순탄하게 나아간다.
  3. 항문폭발적 성격은 배변훈련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 형성된다.
  4. 남아는 자신을 아버지와 동일시함으로써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한다.
  5. 거세불안은 아버지가 아동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일상생활에 간섭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정답률: 75%)
  •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이론에서는 인간의 성적 에너지가 구강, 남근, 항문의 순으로 집중되며, 각 단계에서 심리적 욕구가 결핍되어도 아동은 다음 단계로 나아간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또한, 항문폭발적 성격은 배변훈련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 형성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남아는 자신을 아버지와 동일시함으로써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극복하게 되며, 거세불안은 아버지가 아동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일상생활에 간섭하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집단상담의 기초

31. 감수성 훈련집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간관계 훈련집단으로도 불린다.
  2. 대부분 구조화 집단의 형태로 진행된다.
  3. '지금 여기'에서의 정서적 경험에 초점을 맞춘다.
  4. 집단의 역동과 조직에 대한 이해ㆍ개선을 도모한다.
  5. 학습방법을 학습하기 위한 실험실과 같은 기능을 한다.
(정답률: 64%)
  • "대부분 구조화 집단의 형태로 진행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감수성 훈련집단은 비구조화 집단의 형태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감정을 표현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강박적이고 반복적인 행동들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도록 장기간의 훈습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상담의 이론적 접근은?

  1. 정신분석
  2. 현실치료
  3. 인지치료
  4. 교류분석
  5. 중다양식치료
(정답률: 53%)
  • 정신분석은 강박적이고 반복적인 행동들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장기간의 훈습과정을 거치는 집단상담의 이론적 접근입니다. 이는 과거 경험과 무의식적인 요소들이 현재의 문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가정에 기반하며, 이를 인식하고 해결함으로써 개인의 심리적 안정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인간중심치료 집단상담자의 역할에 대한 진술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단원들과 심리적 접촉상태를 형성ㆍ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
  2. 지성적인 면보다는 감성적인 면에 초점을 맞춘다.
  3. 집단원이 처한 문제보다는 집단원에게 초점을 맞춘다.
  4. 진지하고 일관성 있는 해석을 통해 집단원의 인격 변화를 꾀한다.
  5. 문제 해결보다는 촉진적인 분위기 조성에 중점을 둔다.
(정답률: 63%)
  • "진지하고 일관성 있는 해석을 통해 집단원의 인격 변화를 꾀한다."이 옳지 않은 진술입니다. 인간중심치료 집단상담자는 집단원들과 심리적 접촉상태를 형성ㆍ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며, 지성적인 면보다는 감성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고, 집단원이 처한 문제보다는 집단원에게 초점을 맞춥니다. 또한, 문제 해결보다는 촉진적인 분위기 조성에 중점을 둡니다. 인격 변화를 꾀하는 것은 인간중심치료 개인상담에서의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의 설명에 적합한 집단상담의 이론적 접근은?

  1. 현실치료
  2. 정신분석
  3. 실존치료
  4. 분석심리학
  5. 게슈탈트치료
(정답률: 48%)
  • 이 그림에서는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문제가 발생한 현실에 집중하고, 그 현실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실존치료의 이론적 접근과 일치한다. 실존치료는 개인이 현실을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며, 개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실적인 대처 방법을 찾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실존치료의 이론적 접근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55%)
  • - "ㄱ, ㄷ":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집단상담은 개인의 내면적인 고민과 갈등을 집단적으로 다루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상황에 맞게 맞춤형 상담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개인의 특성과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집단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 "ㄷ": 또한, 집단상담에서는 집단 내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그에 따른 상호작용의 영향력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집단 내 갈등이나 감정의 변화 등을 파악하고, 이를 해소하거나 조절하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 "ㄹ": 마지막으로, 개인심리학에 근거한 집단상담에서는 상담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상담자는 집단 내 구성원들의 심리적 특성과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집단상담을 진행하며, 집단 내 갈등이나 감정의 변화 등을 적극적으로 관찰하고 대처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상담자의 전문성과 능력이 집단상담의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심리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금 여기'에서의 진솔한 참만남을 강조한다.
  2. 일반적으로 워밍업, 실연, 종결 단계로 진행된다.
  3. 집단 내의 개인과 개인 혹은 집단과 집단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4. 창조성에 대한 인간의 잠재력을 성격의 핵심요인으로 간주한다.
  5. 언어보다는 행동을 기반으로 한 실연을 통해 문제해결을 꾀한다.
(정답률: 54%)
  • "'지금 여기'에서의 진솔한 참만남을 강조한다."는 심리극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이다.

    심리극은 참여자들이 실제 상황에서 겪을 수 있는 감정과 문제를 연출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의 심리적인 성장과 발전을 돕는 교육적인 방법이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워밍업, 실연, 종결 단계로 진행되며, 창조성에 대한 인간의 잠재력을 성격의 핵심요인으로 간주하고 언어보다는 행동을 기반으로 한 실연을 통해 문제해결을 꾀한다.

    따라서, 집단 내의 개인과 개인 혹은 집단과 집단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라자루스(A. Lazarus)의 BASIC-ID 모형의 요소와 그 내용이 옳게 연결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34%)
  • BASIC-ID 모형은 Behavior, Affect, Sensation, Imagery, Cognition, Interpersonal, and Drugs/Drinking의 약자로, 각각 행동, 감정, 감각, 상상, 인지, 대인관계, 약물/음주에 대한 요소를 나타냅니다.

    그림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이 각각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이 "ㄴ, ㄷ" 인 이유는, 녹색으로 표시된 감각(Sensation)과 보라색으로 표시된 인지(Cognition)가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다른 요소들이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불필요한 요소가 추가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게슈탈트치료에 근거한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과거는 현재와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중시된다.
  2. 유기체의 자각 또는 알아차림을 통한 접촉 결여를 주요 문제로 간주한다.
  3. 집단상담자는 집단원이 언젠가 자신이 죽는다는 것을 스스로 알아차리도록 돕는다.
  4. 집단원의 전체행동은 행동하기, 생각하기, 느끼기, 생리적 반응으로 구성된다.
  5. 집단원 자신과의 합일, 동시에 인류와의 합일을 집단상담의 목표로 삼는다.
(정답률: 75%)
  • 게슈탈트치료에 근거한 집단상담은 과거와 현재의 관련성을 중시하며, 유기체의 자각 또는 알아차림을 통한 접촉 결여를 주요 문제로 간주합니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감정, 욕구, 필요성 등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집단상담자는 집단원이 자신의 죽음에 대해 스스로 인식하도록 돕고, 집단원의 전체행동은 행동하기, 생각하기, 느끼기, 생리적 반응으로 구성됩니다. 또한, 집단원 자신과의 합일과 동시에 인류와의 합일을 목표로 삼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교류분석 집단상담자의 역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ㄷ
  2. ㄴ, ㄹ
  3. ㄱ, ㄴ,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32%)
  • - ㄱ: 집단의 대화를 이끌어가며 집단원들의 의견을 적극 수용하고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
    - ㄴ: 집단원들의 감정을 수용하고 이해하며, 갈등이나 감정적인 충돌이 발생할 경우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 ㄹ: 집단원들의 발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집단의 문제점을 분석하며, 집단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ㄱ, ㄴ, ㄹ 모두가 집단상담자의 역할에 필요한 역할들이므로 정답은 "ㄱ, ㄴ, ㄹ"이다. ㄷ와 ㄴ, ㄱ과 ㄷ는 서로 반대되는 역할이므로 함께 선택할 수 없다. ㄱ, ㄴ, ㄷ, ㄹ 모두가 필요한 역할이지만, 문제 상황에 따라 필요한 역할이 다르므로 "ㄱ, ㄴ, ㄷ, ㄹ"을 선택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행동치료 집단상담을 다문화상담에 적용할 때의 이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단기적이며 구조화된다.
  2. 교육과 예방을 할 수 있다.
  3. 집단원들에 대한 개인적 평가와 집단과정에서의 행동평가 등을 근거로 집단원 개인별로 접근방향을 맞춘다.
  4. 집단원들에게 문화적 금지령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5. 강렬한 감정표현을 중시하지 않으므로, 감정표현 억제를 미덕으로 하는 문화권의 집단원은 감정을 드러내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34%)
  • 집단원들에게 문화적 금지령을 인식할 수 있게 한다. - 이는 다문화상담에서만 해당되는 이점이며, 다문화상담에서는 집단원들의 문화적 배경과 관련된 금지된 주제나 행동 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이해와 대처 방법을 함께 고민하게 된다. 다문화상담에서는 문화적인 이해와 존중이 중요한 가치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점이 존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집단상담자가 지켜야 할 윤리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단원들에게 집단의 성격과 목표, 특성, 과정 등을 분명하게 안내해야 한다.
  2. 비자발적 집단인 경우, 특정 활동을 거부할 수 있는 권리, 적극적인 집단참여가 집단 밖의 생활에 미칠 수 있는 영향 등에 대해 명확하게 알려 주어야 한다.
  3. 집단과 관련된 훈련이나 교육, 수퍼비전을 받는 등 집단상담자로서의 최소한의 준비와 자격을 갖춘 후에 진행해야 한다.
  4. 집단원을 대상으로 실시된 연구의 결과물은 해당 집단원의 요구가 있더라도 제공해서는 안 된다.
  5. 집단원의 자료를 연구, 교육, 출판의 목적으로 사용할 때 집단원의 신원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률: 74%)
  • "집단원을 대상으로 실시된 연구의 결과물은 해당 집단원의 요구가 있더라도 제공해서는 안 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집단상담자가 지켜야 할 윤리에 관한 내용으로는 포함되지 않는다. 오히려 집단원의 동의를 받고 연구를 실시하고 결과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집단상담에 적용되는 규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집단의 규칙이므로 변경되어서는 안 된다.
  2. 집단의 유지, 발전과 관련된 요소로 구성된다.
  3. 집단원 개개인의 목표 달성에 필수 요소가 된다.
  4. 집단은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진행하는 것이므로 규범은 명시화하지 않아야 한다.
  5. 집단원들 스스로 규범을 정하는 것보다 집단상담 초기에 집단상담자가 정하여 제시해야 한다.
(정답률: 67%)
  • 집단상담에 적용되는 규범은 집단의 유지, 발전과 관련된 요소로 구성된다. 이는 집단이 목표를 달성하고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규칙과 행동 방식을 정하는 것이며, 집단원 개개인의 목표 달성에도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집단의 규칙은 변경되어서는 안 되며, 집단원들 스스로 규범을 정하는 것보다는 집단상담 초기에 집단상담자가 정하여 제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집단 역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도성 경쟁: 집단에서 관심을 얻고자 집단원 사이에서 일어나는 현상
  2. 집단응집력: 집단원들이 집단에 갖는 매력의 정도와 관심도
  3. 주제의 회피: 집단에서 다루어야 할 주제는 회피하면서 어색하지 않은 주제를 다루는 것
  4. 하위집단: 집단 내에서 주도권을 잡거나 파벌을 형성하는 무리
  5. 숨겨진 안건: 집단에서 노출하지는 않고 있지만 집단활동에 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 관심거리나 문제
(정답률: 57%)
  • "지도성 경쟁: 집단에서 관심을 얻고자 집단원 사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 옳지 않은 것이다.

    지도성 경쟁은 집단 내에서 지도자가 되고자 하는 욕구가 일어나는 현상으로, 다른 집단원들과 경쟁하면서 지도자의 위치를 차지하려는 경쟁이다. 이는 집단 내에서 지도자가 되고자 하는 욕구가 있을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집단의 역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집단상담 중 피드백 제공 시 고려사항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ㄹ
  3. ㄷ, ㄹ
  4. ㄱ, ㄴ, ㄷ
  5. ㄱ, ㄴ, ㄷ, ㄹ
(정답률: 74%)
  • - "ㄱ"은 피드백을 제공할 때 개인적인 감정이나 평가를 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과 관찰을 통해 피드백을 제공해야 합니다.
    - "ㄴ"은 피드백을 제공할 때 상대방의 감정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대방이 받아들일 수 있는 방식으로 피드백을 제공하고, 상대방의 감정을 존중하며 대화를 이어나가야 합니다.
    - "ㄷ"는 피드백을 제공할 때 명확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모호하거나 추상적인 피드백은 상대방이 이해하기 어렵고 대처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체적인 예시나 사례를 들어 피드백을 제공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상황에서 집단원들에게 한 집단상담자의 반응에 해당하는 기법은?

  1. 반영(reflection)
  2. 직면(confrontation)
  3. 해석(interpretation)
  4. 명료화(clarification)
  5. 행동제한(cutting-off)
(정답률: 67%)
  • 집단상담자가 감정적으로 과열되어 발언을 멈추지 않을 때, 상담자의 발언을 중단시키는 기법인 "행동제한(cutting-off)" 기법을 사용한다. 이 기법은 상담자의 발언을 제한함으로써 상황을 진정시키고, 상담자가 다시 발언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집단상담을 실시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중학생을 대상으로 집단상담을 실시할 때는 구조화 집단상담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2. 집단원의 수가 5명 이상이면 협동집단상담자를 두어야 한다.
  3. 남자 중학생들에게는 강렬한 정서체험이 필요하므로 12시간 이상의 마라톤 집단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4. 기능 수준이 낮은 사람을 대상으로 할 경우 쉬운 수준의 활동으로 3시간 연속 진행하는 것이 좋다.
  5. 자발성 향상을 돕기 위해 개방집단의 형태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67%)
  • "중학생을 대상으로 집단상담을 실시할 때는 구조화 집단상담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이유는 중학생들은 발달적으로 구체적이고 명확한 지시와 구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구조화 집단상담은 목표와 계획이 명확하며 집단원들의 참여도 높아지기 때문에 중학생들에게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집단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단상담에서 집단의 목표는 집단원 개인의 목표 달성과 동일하다.
  2. 비교적 정상 범위에 속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
  3. 집단상담의 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한다.
  4. 집단원에게 집단의 특성과 목적, 내용 등을 명확하게 안내하여야 한다.
  5. 경제성, 실용성, 다양한 자원의 제공, 문제 예방 등의 강점이 있다.
(정답률: 73%)
  • "집단상담에서 집단의 목표는 집단원 개인의 목표 달성과 동일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집단상담에서 집단의 목표는 집단원 개인의 목표와 상호작용하면서 집단 전체의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집단상담 과정에서 저항으로 해석할 수 있는 행동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ㄴ, ㄷ, ㄹ
  3. ㄱ, ㄴ, ㄹ, ㅁ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70%)
  • 집단상담 과정에서 저항은 클라이언트가 변화를 거부하거나 방해하는 행동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음의 보기에서 "ㄱ, ㄴ, ㄷ, ㄹ, ㅁ"은 모두 클라이언트가 변화를 거부하거나 방해하는 행동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행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ㄱ": 집단상담에 참여하지 않거나 불참을 하려는 의사를 보이는 행동
    - "ㄴ": 다른 참여자들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거나 반대하는 행동
    - "ㄷ":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지 않거나 부정하는 행동
    - "ㄹ": 집단상담에서 다른 참여자들과 대화를 하지 않거나 대화에 참여하지 않는 행동
    - "ㅁ": 상담자의 질문에 대답하지 않거나 회피하는 행동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종결회기의 과제로 옳은 것은?

  1. 미진한 사항을 심층적으로 다루기
  2. 목표 달성 점검과 학습 내용 개관하기
  3. 새로운 행동 목표를 정하고 변화 계획세우기
  4. 변화해야 할 행동에 대해 부정적 피드백하기
  5. 집단상담에 대한 기대감 말하기
(정답률: 74%)
  • 종결회기는 그룹 상담이 끝나기 전에 마무리하는 단계로, 그동안의 학습 내용을 돌아보고 목표 달성 여부를 점검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목표 달성 점검과 학습 내용 개관하기"가 옳은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종결회기에서 다루는 내용이 아니거나, 부가적인 내용으로서는 중요하지만 핵심적인 내용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집단상담자의 자질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ㄷ, ㄹ, ㅁ
  3. ㄱ, ㄴ, ㄹ, ㅁ
  4. ㄴ, ㄷ, ㄹ, ㅁ
  5. ㄱ, ㄴ, ㄷ, ㄹ, ㅁ
(정답률: 71%)
  • 집단상담자의 자질에 해당하는 것은 다양한데, 이 보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ㄱ, ㄴ, ㄷ, ㄹ, ㅁ"이 정답이 됩니다.

    - "ㄱ, ㄴ, ㄷ": 이들은 집단상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선택될 수 있습니다.
    - "ㄷ, ㄹ, ㅁ": 이들은 각각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볼 수 있는 다양성과 융통성, 그리고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선택될 수 있습니다.
    - "ㄱ, ㄴ, ㄹ, ㅁ": 이들은 위의 두 그룹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어서, 집단상담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선택될 수 있습니다.
    - "ㄴ, ㄷ, ㄹ, ㅁ": 이들은 "ㄱ"이 없어서 리더십 능력이 부족할 수 있지만, 그 대신 다양성과 공감 능력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선택될 수 있습니다.
    - "ㄱ, ㄴ, ㄷ, ㄹ, ㅁ": 이들은 모든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집단상담에서 가장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선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법원의 명령에 의해 집단상담에 참여하게 된 청소년을 위한 개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45%)
  • 법원의 명령에 의해 집단상담에 참여하게 된 청소년을 위한 개입은 "ㄱ. 상담자는 법원의 명령에 따라 상담을 진행해야 한다"와 "ㄷ. 상담자는 청소년의 개인정보를 보호해야 한다"가 옳은 것입니다. 또한, "ㄹ. 상담자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화를 이끌어 나가야 한다"도 옳은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ㄷ, 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집단상담보다는 개인상담 참여를 권유해야 할 청소년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66%)
  • 이유는 집단상담은 다수의 참여자들이 함께하는 상담으로, 개인적인 문제나 고민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누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인상담 참여를 권유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ㄱ, ㄷ, ㄹ"은 개인적인 문제나 고민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누기 어려워하는 청소년들을 대표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청소년상담사 윤리강령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청소년 내담자 상담 시 사전에 상담에 대한 동의를 받는다.
  2. 기록 및 녹음에 관해 내담자의 사전 동의를 구한다.
  3. 수퍼바이저에게 자문을 받기 위해 내담자의 동의를 구한다.
  4. 관계법령에서 따로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내담자의 동의없이 상담의 기록을 제3자나 기관에 공개하지 않는다.
  5. 퇴직, 이직 등의 이유로 상담을 중단해야 할 경우 기록과 자료를 절차에 따라 상담자가 보관한다.
(정답률: 74%)
  • "퇴직, 이직 등의 이유로 상담을 중단해야 할 경우 기록과 자료를 절차에 따라 상담자가 보관한다."는 옳은 내용이다.

    해당 내용을 설명하자면, 상담자가 퇴직하거나 이직하는 경우에도 내담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상담 기록과 자료를 보관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상담자의 동의를 받은 것이 아니라도 법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이다. 따라서 상담자의 동의를 구하지 못한 상황에서도 상담 기록과 자료를 보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집단상담에서 구조화된 활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정답률: 72%)
  • - "ㄱ"은 구조화된 활동 중 하나인 "그림 그리기"가 집단상담에서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옳은 설명이다.
    - "ㄴ"은 구조화된 활동 중 하나인 "역할극"이 집단상담에서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옳은 설명이다.
    - "ㄷ"는 "ㄱ"과 "ㄴ" 모두에 해당하는 구조화된 활동인 "그림 그리기"와 "역할극"이 집단상담에서 자주 사용되기 때문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집단상담 개입기술과 그 예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결짓기(linking): “반짝이와 궁금이는 자신들의 생각을 포기하고 다른 사람이 원하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 때 자신에게 화를 내는 것으로 보이네요.”
  2. 보편화하기(universalizing): “감정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느껴본 사람 있어요?”
  3. 격려하기(encouraging): “반짝이가 남학생들과 이야기할 때 잘 할 것으로 믿어요.”
  4. 정보제공하기(information-giving): “지금 말하는 것은 화가 난다는 것을 말하는 거죠?”
  5. 차단하기(blocking): “어렸을 때의 일이 현재 삶에 영향을 많이 주어서 계속 이야기를 하는군요. 그렇지만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도 들어보는 것이 어떨까요?”
(정답률: 57%)
  • 정답은 "정보제공하기(information-giving): “지금 말하는 것은 화가 난다는 것을 말하는 거죠?”" 이다. 이는 집단상담에서 클라이언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 개입기술은 클라이언트의 감정을 무시하고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옳지 않은 개입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청소년이 개인상담보다 집단상담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아닌 것은?

  1. 청소년기의 개인적 우화(personal fable)가 자연스럽게 해소될 수 있다.
  2. 개인상담에서 느껴지는 성인 상담자와의 힘의 불균형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3. 의존성과 독립성을 연습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4. 또래 집단원들도 자신과 비슷한 감정이나 경험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5. 또래 집단원들과의 연대감을 통해 자아를 강화시킨다.
(정답률: 55%)
  • 청소년이 개인상담보다 집단상담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개인상담에서 느껴지는 성인 상담자와의 힘의 불균형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의존성과 독립성을 연습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또래 집단원들도 자신과 비슷한 감정이나 경험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또래 집단원들과의 연대감을 통해 자아를 강화시킨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개인적 우화(personal fable)가 자연스럽게 해소될 수 있다."는 집단상담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협동집단상담자들이 집단상담을 운영할 때의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단원의 상호작용을 관찰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진다.
  2. 서로 다른 접근과 전략을 통해 집단원으로 하여금 자신에게 맞는 접근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3. 집단원의 전이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4. 한 집단상담자가 부득이하게 불참할 경우 다른 집단상담자가 집단을 진행할 수 있다.
  5. 집단상담자가 신체적, 정서적으로 소진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80%)
  • 서로 다른 접근과 전략을 통해 집단원으로 하여금 자신에게 맞는 접근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은 협동집단상담의 장점 중 하나이다. 이는 집단원들이 각자 다른 문제와 상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담보다 더 많은 선택과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집단상담자의 자기노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집단원과 대화하는 동안 집단상담자가 자신에 대한 감정이나 집단원에 대한 감정을 진솔하게 말해주는 것이다.
  2. 현재 집단원이 경험하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자신이 알고 있는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다.
  3. 집단상담자의 부정적인 정서는 표현하지 않아야 한다.
  4. 집단상담자에 대한 존경심이 생겨 오히려 집단원의 개방을 어렵게 한다.
  5. 집단원이 생각하고 느끼는 수준보다 높게 표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률: 63%)
  • 집단상담자가 자신에 대한 감정이나 집단원에 대한 감정을 진솔하게 말해주는 것은 집단원들과의 관계를 더욱 신뢰하고 친밀하게 만들어주며, 집단원들도 자신들의 감정을 더욱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따라서 "집단원과 대화하는 동안 집단상담자가 자신에 대한 감정이나 집단원에 대한 감정을 진솔하게 말해주는 것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얄롬(I. Yalom)이 제안한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1. 과업촉진
  2. 직면
  3. 집단응집력
  4. 동일시
  5. 자기개방
(정답률: 60%)
  • 얄롬은 집단상담의 치료적 요인으로 "집단응집력"을 제안했습니다. 이는 집단 내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친밀감을 느끼고 상호작용을 즐기며, 집단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집단응집력은 집단 내 구성원들이 서로를 지지하고 공감하는 데 도움을 주며, 집단 상담의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대화를 독점하는 집단원을 다루는 집단상담자의 반응으로 옳은 것은?

  1. 문제행동의 특성을 표현하는 용어로 진단한다.
  2. 다른 집단원들이 불안해 할 수 있으므로 그냥 넘어간다.
  3. 다른 집단원들의 부정적인 피드백을 유도한다.
  4. 집단원이 대화를 독점하기 전에 가졌던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탐색하게 한다.
  5. 다른 집단원들이 관심을 가질 때까지 기다려 준다.
(정답률: 81%)
  • 집단상담자는 대화를 독점하는 집단원을 다룰 때, 집단원이 대화를 독점하기 전에 가졌던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탐색하게 한다. 이는 집단원이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고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공유함으로써 대화를 독점하는 행동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집단원이 대화를 독점하기 전에 가졌던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탐색하게 한다."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심리측정 및 평가

61. 검사의 문항 간 정답과 오답의 일관성을 종합적으로 추정한 상관계수로 나타내는 신뢰도 유형은?

  1. 문항내적 합치도
  2. 동형검사 신뢰도
  3. 반분 신뢰도
  4. 검사-재검사 신뢰도
  5. 채점자 신뢰도
(정답률: 57%)
  • "문항내적 합치도"는 같은 검사 내에서 각 문항들이 서로 얼마나 일관성 있게 답변을 받는지를 측정하는 신뢰도 유형이다. 즉, 한 문항에 대한 응답이 다른 문항에 대한 응답과 일관성이 있는지를 측정하여 검사의 신뢰도를 평가한다. 이는 동일한 내용을 다루는 문항들이 서로 일관성 있게 답변을 받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검사의 내적 일관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성격검사 중 객관적 검사들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ㄹ
  2. ㄱ, ㄷ, ㄹ
  3. ㄴ, ㄷ, ㄹ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률: 69%)
  • "ㄱ, ㄷ, ㄹ"은 모두 객관적인 검사들이기 때문입니다. "ㄱ"은 MMPI(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와 같은 성격검사로, 대상자가 직접 답변하는 방식으로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합니다. "ㄷ"는 Rorschach Test와 같은 프로젝션 검사로, 대상자가 보는 이미지를 해석하여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합니다. "ㄹ"은 TAT(Thematic Apperception Test)와 같은 이야기 검사로, 대상자가 주어진 이야기를 해석하여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합니다. 따라서 이들을 모두 선택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문항난이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검자의 능력수준에 따라 문항의 정답을 맞힐 확률을 나타낸다.
  2. 고전검사이론에서 지수의 범위는 0.0에서 1.0이다.
  3. 성취검사나 적성검사에 주로 사용된다.
  4. 문항난이도를 측정하는 이유는 적절한 난이도 수준의 문항을 선택하기 위해서이다.
  5. 수검자의 문항에 대한 본래 지식과 추측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30%)
  • "수검자의 능력수준에 따라 문항의 정답을 맞힐 확률을 나타낸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문항난이도는 수험자들이 해당 문항을 맞출 확률을 나타내는 것이며, 수험자의 능력수준은 문항난이도와는 별개의 개념이다. 즉, 문항난이도는 해당 문항이 어려운지 쉬운지를 판단하는 지표이며, 수험자의 능력수준은 해당 문항을 맞출 수 있는 능력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심리검사 제작과정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ㄴ → ㄷ → ㄹ → ㄱ → ㅁ
  2. ㄷ → ㄹ → ㄱ → ㄴ → ㅁ
  3. ㄷ → ㄹ → ㄴ → ㄱ → ㅁ
  4. ㄹ → ㄷ → ㄴ → ㄱ → ㅁ
  5. ㄹ → ㄷ → ㄱ → ㄴ → ㅁ
(정답률: 63%)
  • 정답은 "ㄷ → ㄹ → ㄴ → ㄱ → ㅁ" 입니다.

    - ㄷ: 심리검사의 목적과 대상을 정합니다.
    - ㄹ: 검사의 내용과 방법을 결정합니다.
    - ㄴ: 검사 문항을 작성하고 검사를 실시합니다.
    - ㄱ: 검사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합니다.
    - ㅁ: 검사 보고서를 작성합니다.

    이 순서대로 진행하면 심리검사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정규분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검자 수가 적을수록 정규분포에 가까워진다.
  2. 심리검사 결과가 정규분포를 이룬다면, 평균으로부터 2표준편차 이내에 전체 사례의 68.26%가 포함된다.
  3. 측정 특성이 동질적일수록 정규분포에 가까워진다.
  4. 한 점수를 다른 유형의 점수로 전환할 때 정규분포의 속성들을 활용할 수 있다.
  5. 정규분포에서 최빈치는 평균과 일치하지 않는다.
(정답률: 48%)
  • 정규분포는 대표적인 연속형 확률분포로, 평균과 표준편차에 의해 모양이 결정된다. 수검자 수가 적을수록 정규분포에 가까워지는 것은 오히려 반대이다. 정규분포를 이룬다면, 평균으로부터 2표준편차 이내에 전체 사례의 68.26%가 포함된다는 것은 맞다. 측정 특성이 동질적일수록 정규분포에 가까워지는 것은 옳다. 한 점수를 다른 유형의 점수로 전환할 때 정규분포의 속성들을 활용할 수 있는 이유는, 다른 점수들과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정규분포의 표준화 점수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정규분포에서 최빈치는 평균과 일치하는 것이 맞다. 따라서 옳은 설명은 "한 점수를 다른 유형의 점수로 전환할 때 정규분포의 속성들을 활용할 수 있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신뢰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뢰도는 검사점수의 안정성 정도를 나타낸다.
  2. 신뢰도에서 측정의 표준오차는 검사점수에 어느 정도의 오차가 있는가를 알려준다.
  3. 전체검사의 신뢰도는 하위검사의 신뢰도와 동일하다.
  4. 진변량과 오차변량들 간의 관계에서 신뢰도를 추정할 수 있다.
  5. 다양한 신뢰도 추정방법에 따른 측정오차의 종류는 서로 다르다.
(정답률: 67%)
  • "전체검사의 신뢰도는 하위검사의 신뢰도와 동일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전체검사의 신뢰도는 하위검사의 신뢰도와는 다른 개념으로, 전체검사에서 각 하위검사의 신뢰도와 그들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전체검사의 신뢰도는 하위검사의 신뢰도와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비율척도에 해당하는 것은?

  1. 출생지
  2. 섭씨 온도계
  3. 운동선수의 등번호
  4. 장기자랑의 순위
  5. 몸무게
(정답률: 66%)
  • 비율척도는 각 항목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고, 0이 의미하는 바가 명확하며, 비율을 계산할 수 있는 척도를 말합니다. 몸무게는 비율척도에 해당하는데, 몸무게가 0이면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이며, 무게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60kg인 사람은 80kg인 사람보다 몸무게가 3/4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을 비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심리평가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면담
  2. 심리검사
  3. 행동관찰
  4. 의학적 평가
  5. 정신병리에 대한 전문지식
(정답률: 69%)
  • 심리평가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과정으로, 면담, 심리검사, 행동관찰, 정신병리에 대한 전문지식 등이 포함됩니다. 그러나 의학적 평가는 심리평가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의학적 평가는 질병이나 상태를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과정으로, 의료 전문가들이 수행합니다. 따라서 의학적 평가는 심리평가와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백분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50%)
  • 백분위는 어떤 값이 전체 값 중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위의 그림에서 80점은 전체 점수 중 상위 20%에 해당하는 값이므로 80점의 백분위는 80%입니다. 따라서, "ㄴ"은 80%의 백분위를 의미하고, "ㄷ"는 50%의 백분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백분위점수, 표준점수, 편차IQ가 속하는 규준의 종류는?

  1. 발달규준
  2. 집단내규준
  3. 전국규준
  4. 하위집단규준
  5. 특수규준
(정답률: 61%)
  • 백분위점수, 표준점수, 편차IQ는 모두 해당 테스트를 실시한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산출된 점수이다. 따라서 이들 규준은 해당 집단 내에서 상대적인 위치나 성취도를 파악하는 데에 유용하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이들 규준은 집단내규준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주제통각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그림 자극을 제시하여 이야기를 구성해보도록 한다.
  2. 카드는 총 31장으로 흑백과 칼라 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3. 성인용(TAT)과 아동용(CAT)이 있다.
  4. 지각-이해-추측-상상의 과정을 통해 대상에 반응하게 된다.
  5. 반응은 환경 압력과 욕구 간의 갈등에 의해서 나타난다.
(정답률: 54%)
  • "카드는 총 31장으로 흑백과 칼라 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설명은 옳은 것이다. 주제통각검사는 그림 카드를 이용하여 대상의 내면을 파악하는 심리검사이다. 카드는 흑백과 칼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인용(TAT)과 아동용(CAT)이 있다. 대상은 카드를 보고 지각-이해-추측-상상의 과정을 거쳐 반응하게 되며, 이 반응은 환경 압력과 욕구 간의 갈등에 의해서 나타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검사자가 지켜야 할 윤리적 의무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사규준 및 검사도구와 관련된 최근 동향과 연구방향을 민감하게 파악해야 한다.
  2. 심리검사 결과 해석 시 수검자의 연령과 교육수준에 맞게 설명해야 한다.
  3. 심리검사 결과가 수검자의 삶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4. 컴퓨터로 실시하는 심리검사는 특정한 교육과 자격이 없어도 된다.
  5. 검사의 필요성과 검사 유형 및 용도를 설명해야 한다.
(정답률: 72%)
  • "컴퓨터로 실시하는 심리검사는 특정한 교육과 자격이 없어도 된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심리검사는 수행하는 검사자가 적절한 교육과 자격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컴퓨터로 실시하는 심리검사도 예외는 아니다. 검사자는 검사규준 및 검사도구와 관련된 최근 동향과 연구방향을 파악하고, 검사 결과를 수검자의 연령과 교육수준에 맞게 설명하며, 검사 결과가 수검자의 삶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검사의 필요성과 검사 유형 및 용도를 설명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정신상태평가(mental status examination)의 주요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수검자의 지남력(orientation)
  2. 수검자의 외모와 행동
  3. 수검자의 기분
  4. 수검자의 환각 유무
  5. 수검자의 취미
(정답률: 60%)
  • 정신상태평가에서는 수검자의 취미는 평가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정신상태평가는 주로 수검자의 인지, 감정, 인격, 사고, 인간관계 등을 평가하는데, 이러한 측면들과 관련이 없는 취미는 평가 대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능을 맥락적 지능이론, 경험적 지능이론, 성분적 지능이론으로 구성된 것으로 가정한 지능모형은?

  1. 젠센(A. Jensen)의 2수준 지능이론
  2. 케텔-혼(Cattell and Horn)의 유동성-결정성 지능모형
  3. 버논-버트(Vernon and Burt)의 위계적 모형
  4. 스턴버그(R. Sternberg)의 삼원지능모형
  5. 써스톤(L. Thurstone)의 기본정신능력 모형
(정답률: 63%)
  • 스턴버그의 삼원지능모형은 맥락적, 경험적, 성분적 지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지능을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모형은 지능을 단순히 인지능력만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 실제 성취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지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모형은 다양한 지능 요소를 고려하여 지능을 분석하는데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심리검사 선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검사 제작 연도
  2. 검사자의 선호도
  3. 검사의 타당도
  4. 검사 실시의 실용성
  5. 수검자의 학력
(정답률: 58%)
  • 검사자의 선호도는 객관적이지 않은 요소이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아야 합니다. 검사 제작 연도, 검사의 타당도, 검사 실시의 실용성, 수검자의 학력 등은 검사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지능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네(A. Binet)가 제작한 지능검사의 목적은 아동의 학습 능력을 감별하기 위해서였다.
  2. 스피어만(C. Spearman)은 지능을 일반요인 g(general factor)와 특수요인 s(special factor)로 구분하였다.
  3. 써스톤(L. Thurstone)은 요인분석을 통해서 지능을 8개의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4. 가드너(H. Gardner)는 지능요인에 운동능력(신체-운동지능), 음악적인 재능 등을 포함시켰다.
  5. 길포드(J. Guilford)는 써스톤(L. Thurstone)의 지능요인들을 확장시켜 지능구조모형 SOI (Structure-of-Intellect Model)를 만들었다.
(정답률: 63%)
  • 써스톤(L. Thurstone)은 요인분석을 통해서 지능을 8개의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써스톤은 요인분석을 통해 지능을 7개의 요인으로 구분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웩슬러(Wechsler) 지능검사의 해석지침으로 옳은 것은?

  1. 지능검사를 통해 사고로 인한 뇌손상과 인지능력 손상정도를 평가하여 해석할 수 있다.
  2. 언어성 검사와 동작성 검사는 평가하는 영역이 다르므로 점수 간 비교를 하지 말아야 한다.
  3. 언어성 지능이 동작성 지능보다 높은 경우, 낯선 상황에 대한 순발력이나 대응력이 높은 편이다.
  4. 소검사 간에 2점 이상의 차이가 났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본다.
  5. 지능검사는 투사적 검사이기 때문에 해석 시 수검자의 과거 성장배경을 살펴봐야 한다.
(정답률: 55%)
  • "Wechsler 지능검사를 통해 사고로 인한 뇌손상과 인지능력 손상정도를 평가하여 해석할 수 있다." 이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Wechsler 지능검사는 인지능력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검사 중 하나이며, 뇌손상 등으로 인한 인지능력 손상 정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Wechsler 지능검사의 특징이나 해석 방법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Wechsler 지능검사의 해석지침으로 옳은 것"이므로, "지능검사를 통해 사고로 인한 뇌손상과 인지능력 손상정도를 평가하여 해석할 수 있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웩슬러(Wechsler) 지능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동용 지능검사(K-WISC-IV)의 평균은 100이고, 표준편차는 15이다.
  2. 아동용 지능검사(K-WISC-IV)의 실시 연령은 6세에서 16세 11개월이다.
  3. 성인용 지능검사(K-WAIS-IV)의 실시 연령은 16세에서 76세 11개월이다.
  4. 소검사 간 점수들의 분산을 통해 각 소검사가 표상하는 인지적 특성을 추론할 수 있다.
  5. 지능의 분포에서 평균 상(High Average)에 속하는 지능지수(IQ)는 110에서 119이다.
(정답률: 56%)
  • "성인용 지능검사(K-WAIS-IV)의 실시 연령은 16세에서 76세 11개월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K-WAIS-IV는 16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며, 상한 연령 제한이 없다. 따라서 76세 11개월 이상의 노인도 검사를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심리검사의 시행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검사 시행 중 비정상적인 행동이 발생할 경우 그 내용을 기록한다.
  2. 어린 아동이나 장애인의 경우에도 효율성의 측면에서 집단검사를 실시한다.
  3. 투사적 검사는 집단검사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4. 객관적 검사시행을 위해 라포형성은 배제한다.
  5. 어린 아동은 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한 번에 검사를 완성해야 한다.
(정답률: 64%)
  • 검사 시행 중 비정상적인 행동이 발생할 경우 그 내용을 기록하는 이유는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록을 통해 검사 결과를 분석할 때 해당 행동을 고려할 수 있으며,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K-WISC-IV) 실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검사 시간 전에 도구들을 손에 쉽게 닿게 배치하여, 아동의 눈에 띄도록 한다.
  2. 오답을 한 경우 정답을 알려주고, 다음 문항을 실시한다.
  3. 심리검사 기록용지를 아동이 볼 수 있도록 한다.
  4. 검사문항이나 실시 지시문을 변경하지 않아야 한다.
  5. 정답을 말할 때까지 추가적인 질문을 한다.
(정답률: 60%)
  • 검사문항이나 실시 지시문을 변경하면, 아동의 반응이나 답변이 검사자의 개입에 의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검사자는 원래의 검사문항과 지시문을 그대로 따라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진로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홀랜드의 진로탐색검사는 RIASEC이라는 육각형 모형을 통해 진로결정을 위한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2. 스트롱의 진로탐색검사 중 진로성숙도 척도는 진로정체감, 가족일치도, 진로준비도, 진로합리성, 정보습득률을 측정한다.
  3. 스트롱의 직업흥미검사는 개인의 흥미 영역을 세분화하여 진로탐색, 진로계획, 경력개발에 사용할 수 있다.
  4. 직업흥미검사는 어떤 특정한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흥미패턴과 유사성을 측정한다.
  5. 직업흥미검사는 수검자가 세부적인 전공을 선택하거나 직업능력을 측정하는데 효과적이다.
(정답률: 46%)
  • "직업흥미검사는 수검자가 세부적인 전공을 선택하거나 직업능력을 측정하는데 효과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직업흥미검사는 개인의 흥미와 관련된 직업군을 추천해주는데, 이는 직업 선택의 출발점이 될 뿐 세부적인 전공이나 직업능력을 측정하는데는 직접적인 도움을 주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MMPI에서 MMPI-2로 개정된 부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판에서는 특정지역의 집단으로 규준이 제작되어, 여러 지역의 표본을 추가하여 규준의 대표성을 확보하였다.
  2. 시대에 뒤떨어지는 단어나 표현은 현대적인 표현으로 수정하였다.
  3. 원판에서는 예비문항의 부족으로 성격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내용차원을 확충하였다.
  4. 원판에서는 성인용과 아동용으로 구분되어 있었으나 성인용과 청소년용으로 개정되었다.
  5. 수검태도 평가의 중요성이 인식되어 몇 가지 타당도 척도가 추가되었다.
(정답률: 71%)
  • "원판에서는 성인용과 아동용으로 구분되어 있었으나 성인용과 청소년용으로 개정되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MMPI-2는 성인용으로 개정되었으며, MMPI-A가 청소년용으로 개정되었다.

    따라서, 정답은 "원판에서는 성인용과 아동용으로 구분되어 있었으나 성인용과 청소년용으로 개정되었다." 이유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성격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채점과정과 표준화 유무에 따라 개방형 검사와 폐쇄형 검사로 나뉜다.
  2. 임상자료를 바탕으로 성격검사를 개발하는 경험적 접근법은 준거집단 방법이다.
  3. 개인의 공통적인 요인을 추출하는 요인분석법은 이론적인 접근 방법이다.
  4. 성격검사는 개인의 성취, 흥미, 성격의 구조 등을 측정한다.
  5. 검사자가 검사의 제작과정, 해석, 활용방법을 아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정답률: 19%)
  • 임상자료를 바탕으로 성격검사를 개발하는 경험적 접근법은 준거집단 방법이다. 이는 일정한 기준을 가진 집단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검사를 개발하는 방법으로, 경험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표준화된 방법보다는 제작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SCT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개인의 지능 구조에 대한 추론을 할 수 있다.
  2. 미완성문장은 직접적인 질문에 비해 수검자가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도록 한다.
  3. 가족, 직업, 대인관계, 자기개념 4가지 영역을 측정한다.
  4. 표준적인 실시방법은 검사자가 읽어주고 수검자가 반응을 쓰도록 하는 것이다.
  5. 단어연상 검사로부터 발전된 투사적 검사이다.
(정답률: 61%)
  • SCT검사는 단어연상 검사로부터 발전된 투사적 검사이다. 이 검사는 가족, 직업, 대인관계, 자기개념 4가지 영역을 측정하며, 표준적인 실시방법은 검사자가 읽어주고 수검자가 반응을 쓰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검사를 통해 개인의 지능 구조에 대한 추론을 할 수 있으며, 미완성문장은 직접적인 질문에 비해 수검자가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MMPI-A를 해석할 때 검토해야 할 질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검자의 반응 태도는 어떠한가?
  2. 수검자의 쓰기 능력은 어떠한가?
  3. 수검자의 강점은 어떠한가?
  4. 수검자의 대인관계는 어떠한가?
  5. 수검자의 학교생활은 어떠한가?
(정답률: 55%)
  • MMPI-A는 성격 및 정신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이므로, 수검자의 쓰기 능력과 같은 학업적인 측면은 평가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수검자의 쓰기 능력은 어떠한가?"는 MMPI-A 해석 시 고려해야 할 질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로르샤하 검사의 채점에서 결정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형태
  2. 운동
  3. 반응영역
  4. 형태차원
  5. 유채색
(정답률: 43%)
  • 로르샤하 검사에서 결정인은 개인의 성격, 정서, 인지 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10개의 추상적인 이미지입니다. 이 중 "반응영역"은 로르샤하 검사에서 결정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검사자가 특정한 반응 영역을 지정하거나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전체에 대한 인식과 해석을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반응영역"은 로르샤하 검사에서 결정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MMPI-2와 비교하여 MMPI-A에만 있는 내용척도는?

  1. 기태적 정신상태 척도
  2. 냉소적 태도 척도
  3. 품행문제 척도
  4. 낮은 자존감 척도
  5. 반사회적 특성 척도
(정답률: 68%)
  • MMPI-A에는 청소년의 행동 문제와 관련된 내용을 측정하기 위한 품행문제 척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척도는 MMPI-2에는 없으며, 청소년의 행동 문제와 관련된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척도는 청소년의 행동 문제를 평가하고,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심리검사의 준거타당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53%)
  • - ㄱ: 내용타당도를 충족하는지 검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 ㄴ: 검사 대상자의 특성과 상황에 맞게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 ㄷ: 검사 결과가 일관성 있고 안정적인지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 ㄹ: 검사 결과가 다른 유사한 검사와 비교하여 일관성이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ㄱ, ㄴ, ㄷ, ㄹ"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MBTI의 ST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장기적인 계획을 선호하고, 분명하지 않은 상황에 개방적이다.
  2. 사회적인 면과 대인관계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
  3. 어려운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 인내할 줄 알고 지구력이 있다.
  4. 능률적이고 실질적이며 신뢰로운 특성을 보인다.
  5. 과정지향적인 작업환경에서 일할 때 사기가 증진된다.
(정답률: 64%)
  • ST 유형은 능률적이고 실질적인 특성을 보이며, 문제 해결에 대한 분석적인 능력이 뛰어나다. 또한, 일 처리에 있어서 신뢰성이 높으며, 어려운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 인내력과 지구력이 있다. 그러나, 분명하지 않은 상황에 대해서는 개방적이며, 장기적인 계획을 선호한다. 사회적인 면과 대인관계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어, 과정지향적인 작업환경에서 일할 때 사기가 증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특성-다방법 행렬(multitrait-multimethod matrix)에 따른 실험설계를 통해 확인하는 타당도는?

  1. 예언타당도
  2. 수렴변별타당도
  3. 준거타당도
  4. 내용타당도
  5. 안면타당도
(정답률: 60%)
  • 다특성-다방법 행렬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측정한 여러 가지 특성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각 특성들이 서로 다른 방법으로 측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일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일관성이 있다면, 이는 해당 특성들이 실제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를 수렴변별타당도라고 한다. 따라서, 다특성-다방법 행렬을 통해 실험설계를 확인하는 타당도는 수렴변별타당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상담이론

91. 꿈에 관한 게슈탈트 상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꿈에 실존적 의미가 있다고 본다.
  2. 꿈에 고정된 의미가 있다고 본다.
  3. 꿈을 통해 미해결과제가 드러난다.
  4. 꿈을 통해 내면의 통합을 이룰 수 있다.
  5. 성격의 일부가 현실에 투사된 것으로 본다.
(정답률: 44%)
  • 옳지 않은 것은 "꿈에 고정된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이유는 꿈은 개인의 경험과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으며, 고정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꿈 해석은 개인의 경험과 상황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상담 과정(초기-중기-종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ㄹ
  3. ㄱ, ㄷ, ㄹ
  4. ㄱ, ㄹ, ㅁ
  5. ㄴ, ㄹ, ㅁ
(정답률: 34%)
  • 상담 과정은 초기-중기-종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상담자와 상담 대상자가 서로를 알아가는 단계이며, 상담 대상자의 문제를 파악하고 목표를 설정합니다. 중기 단계에서는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단계입니다. 마지막으로 종결 단계에서는 상담 결과를 평가하고, 상담 대상자의 성장과 변화를 확인합니다.

    따라서, "ㄱ, ㄴ, ㄹ"이 정답인 이유는 초기-중기-종결로 나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상담 대상자와 상담자가 서로를 알아가는 단계이며, 중기 단계에서는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단계입니다. 마지막으로 종결 단계에서는 상담 결과를 평가하고, 상담 대상자의 성장과 변화를 확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사례에서 혜민이가 보이는 인지오류는?

  1. 마음읽기
  2. 선택적 추상화
  3. 흑백논리
  4. 의미 확대
  5. 파국화
(정답률: 62%)
  • 혜민이가 보이는 인지오류는 "선택적 추상화"이다. 이는 그가 사실과 다른 것을 보고 있지만, 자신이 믿고 싶은 것만을 선택적으로 추상화하여 인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림에서는 물고기가 물 위에 떠있지만, 혜민이는 물고기가 물 속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그가 자신의 선입견이나 믿음에 따라 인식을 왜곡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행동주의 원리 가운데 프리맥(Premack)원리에 적용된 것은?

  1. 강화의 원리
  2. 소거의 원리
  3. 변별의 원리
  4. 일반화의 원리
  5. 연합의 원리
(정답률: 63%)
  • 프리맥 원리는 높은 확률로 발생하는 행동을 보상으로 사용하여 낮은 확률로 발생하는 행동을 강화하는 원리입니다. 이는 강화의 원리에 해당합니다. 즉, 더 많이 일어나는 행동을 보상으로 사용하여 덜 일어나는 행동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상담자-내담자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ㄹ
  2. ㄱ, ㄷ, ㄹ
  3. ㄴ, ㄷ, ㅁ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률: 39%)
  • - "ㄴ"은 상담자와 내담자가 서로 동등한 관계를 가지며, 상호적인 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 "ㄹ"은 상담자가 내담자를 이해하고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내담자는 상담자에게 의지하고 신뢰하는 관계를 의미한다.
    - "ㅁ"은 상담자가 내담자를 지배하거나 통제하는 관계를 의미한다. 이는 건강한 상담 관계가 아니며, 내담자의 자율성과 존엄성을 침해할 수 있다.

    따라서, "ㄴ, ㄹ, ㅁ"이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게슈탈트 상담의 주요 개념이 아닌 것은?

  1. 미해결과제
  2. 전행동
  3. 알아차림
  4. 접촉
  5. 전경과 배경
(정답률: 71%)
  • 전행동은 게슈탈트 상담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아닙니다. 전행동은 개인이 특정한 행동을 하기 전에 미리 예측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상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게슈탈트 상담에서는 미해결과제, 알아차림, 접촉, 전경과 배경이 주요 개념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상담자 윤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청소년상담사 자격증을 취득했더라도 상담자는 상담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담관련 교육에 참여한다.
  2. 상담자는 자신이 상담한 사례를 공개 사례 발표할 경우 내담자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3. 상담과정에서 내담자가 타인을 살해할 의도를 명백하게 밝혔더라도 내담자 보호를 위해 비밀을 유지한다.
  4. 상담자는 성별, 인종, 장애 등을 이유로 내담자를 차별해서는 안 된다.
  5. 상담자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상담역량 이상으로 상담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거나 광고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73%)
  • "상담과정에서 내담자가 타인을 살해할 의도를 명백하게 밝혔더라도 내담자 보호를 위해 비밀을 유지한다." 이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상담자는 내담자가 타인을 살해할 의도를 밝힌 경우, 내담자의 안전과 타인의 안전을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는 법적으로도 요구되는 사항입니다. 따라서 내담자 보호를 위해 비밀을 유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제시된 상담자 반응 중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

(정답률: 63%)
  • 정답: ③

    이유: 상담자의 감정을 부정하고 비난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왜 그렇게 못하냐"는 비난적인 톤으로 상담자를 비판하고 있으며, 이는 상담자의 자존감을 해치고 긍정적인 대화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지 못한 반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교류분석의 상담단계를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ㄱ → ㄹ → ㄴ → ㄷ → ㅁ → ㅂ
  2. ㄱ → ㄹ → ㄴ → ㅁ → ㄷ → ㅂ
  3. ㄱ → ㄹ → ㄷ → ㄴ → ㅁ → ㅂ
  4. ㄱ → ㄹ → ㄷ → ㅁ → ㄴ → ㅂ
  5. ㄱ → ㄹ → ㅁ → ㄴ → ㄷ → ㅂ
(정답률: 41%)
  • 정답은 "ㄱ → ㄹ → ㄴ → ㄷ → ㅁ → ㅂ" 입니다.

    - ㄱ 단계: 문제 상황 파악 및 문제 정의
    - ㄹ 단계: 문제 해결을 위한 목표 설정
    - ㄴ 단계: 문제 해결을 위한 자료 수집 및 분석
    - ㄷ 단계: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도출 및 평가
    - ㅁ 단계: 최종 대안 선택 및 실행 계획 수립
    - ㅂ 단계: 실행 및 평가, 개선

    이 순서대로 진행하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상담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상담이 진행되는 동안 성격이 변화되는 단계를 설명한 게슈탈트 상담의 다섯 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상층: 서로 피상적이고 형식적으로 교류하는 단계
  2. 공포층: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자신의 욕구를 억압하고 주위의 기대에 맞추어 행동하는 단계
  3. 난국층: 지금까지 해 왔던 연기를 그만두고 자립을 시도하지만 아직은 힘이 약해서 실존적 딜레마에 빠져 꼼짝하지 못하는 단계
  4. 내파층: 자신의 문제에 대한 통찰을 얻고 증상의 의미 등이 명료화되는 단계
  5. 폭발층: 환경과 접촉하여 게슈탈트를 형성하고 이를 해소하는 단계
(정답률: 60%)
  • 옳지 않은 것은 "내파층: 자신의 문제에 대한 통찰을 얻고 증상의 의미 등이 명료화되는 단계"가 아닌 "폭발층: 환경과 접촉하여 게슈탈트를 형성하고 이를 해소하는 단계"이다.

    내파층은 상담을 통해 자신의 문제에 대한 깊은 이해와 새로운 시각을 얻게 되는 단계이며, 이를 통해 증상의 의미가 명확해지고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폭발층은 내파층 이후에 나타나는 단계로, 상담을 통해 얻은 통찰과 새로운 시각을 바탕으로 환경과 접촉하여 새로운 행동을 시도하고 게슈탈트를 형성하며,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1. 실존적 심리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의미 추구를 인간의 기본 동기로 본다.
  2. 인간은 유한성을 의식하는 존재라고 본다.
  3. 실존적 불안은 인간이 피할 수 없는 것이라고 본다.
  4. 인간은 독자적 존재이므로 관계를 맺는 것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본다.
  5. 무의미감은 전통가치의 영향력이 약화된 현대사회에서 더 문제가 된다고 본다.
(정답률: 63%)
  • "인간은 독자적 존재이므로 관계를 맺는 것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본다."는 실존적 심리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이는 오히려 실존주의의 반대 개념인 인간관계론에서 주장하는 것입니다. 실존주의는 인간의 존재 자체를 중요시하며, 인간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의미를 찾는다고 보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인간관계는 실존적 심리치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상담 중 내담자의 침묵에 관한 상담자 대응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ㄴ, ㄷ
  2. ㄱ, ㄹ, ㅁ
  3. ㄴ, ㄷ, ㄹ
  4. ㄴ, ㄷ, ㅁ
  5. ㄴ, ㄷ, ㄹ, ㅁ
(정답률: 64%)
  • - "ㄴ"은 내담자의 침묵을 존중하고 대기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ㄷ"는 내담자의 침묵을 깨기 위해 강제적인 질문이나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ㅁ"은 내담자의 침묵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ㄴ, ㄷ, ㅁ"이 모두 옳은 대응 방법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여성주의 상담의 목표로 옳지 않은 것은?

  1. 역량강화: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행동범위를 넓히도록 돕기
  2. 성역할 획득: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성역할을 획득하도록 돕기
  3. 다양성 수용: 남녀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데서 벗어나 다양성을 인정하고 수용하도록 돕기
  4. 사회변화 실현: 사회적 불평등 개선을 위한 실천적 행동을 하도록 돕기
  5. 심리적 문제 재정의: 문제를 사회ㆍ정치적 차원에서 재구성해서 이해하도록 돕기
(정답률: 53%)
  • 성역할 획득은 여성주의 상담의 목표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성역할에 대한 사회적인 기대와 제한을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에, 여성주의 상담의 목표는 역량강화, 다양성 수용, 사회변화 실현, 심리적 문제 재정의 등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상담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심리적 고통 해소
  2. 대인관계 욕구 충족
  3. 삶의 문제 해결
  4. 정신병리 발생 예방
  5. 자기 성장 촉진
(정답률: 50%)
  • 대인관계 욕구 충족은 상담의 기능 중 하나가 아니라 상담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목표 중 하나입니다. 상담의 기능으로는 심리적 고통 해소, 삶의 문제 해결, 정신병리 발생 예방, 자기 성장 촉진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합리정서행동치료에서 주목하는 비합리적 신념의 예가 아닌 것은?

  1. 현재의 나는 과거 행동으로 결정된 것이어서 변화시킬 수 없다.
  2. 내가 바라는 것을 이루지 못하면 절대 행복할 수 없다.
  3. 나쁜 사람들한테는 합당한 처벌이 있어야만 한다.
  4. 나를 아는 사람들에게 항상 사랑받아야 한다.
  5. 내가 바라는 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노력해야 한다.
(정답률: 65%)
  • "내가 바라는 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노력해야 한다."가 아닌 것은 "현재의 나는 과거 행동으로 결정된 것이어서 변화시킬 수 없다."입니다.

    "내가 바라는 것을 이루기 위해서는 노력해야 한다."는 합리적인 신념으로, 우리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절충적 상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두 가지 이상의 상담이론과 기법을 사용하는 접근법이다.
  2. 내담자의 발달수준에 따라 다양한 상담이론을 활용하는 데 유리하다.
  3. 이론적 근거 없이 여러 상담이론의 기법을 단순히 조합하는 것으로는 절충적 상담의 장점을 발휘할 수 없다.
  4. 상담성과를 높이기 위해 특정 상담이론의 기법을 수정하기도 한다.
  5. 특정 상담이론에 숙달된 전문가 집단에서는 절충적 접근을 취하지 않는다.
(정답률: 67%)
  • "특정 상담이론에 숙달된 전문가 집단에서는 절충적 접근을 취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절충적 상담은 두 가지 이상의 상담이론과 기법을 사용하는 접근법으로, 특정 상담이론에 숙달된 전문가도 절충적 접근을 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합리정서행동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서적 문제를 일으키는 비합리적 행동의 수정을 목표로 한다.
  2. 신념의 합리성 기준은 사회적 합의 여부이다.
  3. 치료과정은 ABCDE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4. 비합리적 신념의 원인을 탐색하여 제거한다.
  5. 비합리적 신념의 논박이 핵심이기 때문에 상담관계는 중시하지 않는다.
(정답률: 66%)
  • 합리정서행동치료는 비합리적인 신념과 생각으로 인해 발생하는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치료 방법이다. 이를 위해 비합리적 행동을 수정하고, 비합리적 신념의 원인을 탐색하여 제거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때, 신념의 합리성 기준은 사회적 합의 여부이다. 치료과정은 ABCDE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A는 상황, B는 믿음, C는 결과, D는 논리적 분석, E는 효과적인 대처이다. 따라서, 정답은 "치료과정은 ABCDE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정신분석 상담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담 중 내담자의 말과 행동에 내담자의 신경증적 증상이 표현된다.
  2. 상담자는 내담자의 언어적 보고와 행동 등에서 내담자 갈등의 원인을 추론한다.
  3. 내담자는 상담자의 해석을 수용하면서 부정적 감정의 해소를 경험한다.
  4. 상담자는 내담자가 보이는 상담자에 대한 감정을 주목해서 표면화시킨다.
  5. 전이현상으로 인해 내담자는 상담자와 신뢰로운 관계를 맺지 못한다.
(정답률: 64%)
  • "전이현상으로 인해 내담자는 상담자와 신뢰로운 관계를 맺지 못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전이현상은 내담자가 상담자에게 자신의 과거 경험에서 나타난 감정이나 관계를 옮겨붙이는 현상으로, 이를 통해 내담자는 상담자와 더욱 깊은 신뢰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다음은 실존적 심리치료의 어떤 기법을 적용한 것인가?

  1. 부정적 실행기법
  2. 역설적 의도
  3. 탈숙고
  4. 유머 사용
  5. 변증법적 시도
(정답률: 58%)
  • 이 그림은 "탈숙고" 기법을 적용한 것이다. "탈숙고"란, 고집적인 부정적 사고를 바꾸기 위해 일부러 그것을 지적하고 반대로 생각하게 만드는 기법이다. 이 그림에서는 "나는 실패할 것이다"라는 부정적 사고를 "나는 성공할 수 있다"라는 긍정적 사고로 바꾸기 위해, "왜 실패할까?"라는 질문을 하고, 그것을 반대로 생각해보게 한다. 이를 통해 부정적인 사고를 긍정적인 사고로 바꾸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접수면접 전 상담자가 검토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상담자 선호 접근법에 따른 상담 계획
  2. 상담 신청 경위
  3. 이전 상담 경험과 성과
  4. 상담에 대한 내담자의 기대
  5. 상담신청서에 내담자가 작성하지 않고 비워둔 것
(정답률: 59%)
  • 상담자 선호 접근법에 따른 상담 계획은 상담자가 내담자와 상호작용하는 방식과 접근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접수면접 전 상담자가 검토해야 할 사항입니다. 이에 반해, 상담 신청 경위, 이전 상담 경험과 성과, 상담에 대한 내담자의 기대, 상담신청서에 내담자가 작성하지 않고 비워둔 것은 내담자의 상황과 요구사항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이지만, 상담자 선호 접근법에 따른 상담 계획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인간중심상담의 기본 개념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ㄴ, ㄷ, ㄹ
  4. ㄴ, ㄷ, ㅁ
  5. ㄷ, ㄹ, ㅁ
(정답률: 53%)
  • 인간중심상담의 기본 개념은 클라이언트 중심적 접근, 비판적 태도, 공감적 태도, 비평적 태도, 자기결정권 강조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ㄴ, ㄷ, ㅁ"은 모두 공감적 태도, 비판적 태도, 자기결정권 강조와 관련된 개념입니다. 따라서 이들이 인간중심상담의 기본 개념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상담의 목표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체적인 상담개입과 전략은 목표에 의해 결정된다.
  2. 뚜렷하고 구체적인 목표는 상담과정에 추진력을 제공한다.
  3. 최종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하위목표들을 설정할 수 있다.
  4. 초기에 목표를 설정하면 수정하지 않고 이행해야 한다.
  5. 내담자와 목표를 협의함으로써 내담자가 상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정답률: 67%)
  • "초기에 목표를 설정하면 수정하지 않고 이행해야 한다."는 옳지 않은 내용이다. 초기에 설정한 목표가 상황에 따라 수정되거나 보완되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의 상황이나 요구사항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상담목표 설정이 효과적인지를 검토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ㄹ
  2. ㄱ, ㄴ, ㄷ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72%)
  • 정답은 "ㄱ, ㄴ, ㄷ" 입니다.

    - 상담목표는 구체적이고 명확해야 합니다. (ㄱ)
    - 상담목표는 고객의 요구와 필요에 부합해야 합니다. (ㄴ)
    - 상담목표는 달성 가능성이 있어야 합니다. (ㄷ)

    따라서, 이 세 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것이 효과적인 상담목표 설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현실치료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담자가 현재 잘 기능하지 못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긍정적인 행동을 하도록 격려한다.
  2. 내담자가 자주 사용하는 언어적 표현을 사용하여 내담자와 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3. 내담자의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것을 인식시켜서 자신의 말과 행동을 책임지게 한다.
  4. 내담자와 유머를 나누면서 수평적인 관계를 재확인하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솔직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5. 내담자가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새로운 행동을 실천하고자 할 때 역할연기를 활용한다.
(정답률: 28%)
  • "내담자가 현재 잘 기능하지 못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긍정적인 행동을 하도록 격려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현실치료에서는 내담자가 현재 잘 기능하지 못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내담자가 원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내담자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행동을 격려하는 것이 현실치료의 핵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개인심리학의 상담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ㄷ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5%)
  • - "ㄴ"은 상담자가 클라이언트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나타내며, 상담자는 클라이언트의 말에 대해 공감하고 이해하는 자세를 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ㄷ"는 클라이언트와 함께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을 나타내며, 상담자는 클라이언트와 함께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책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ㄴ, ㄷ"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상담기법인 해석을 할 때 고려해야 할 내용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ㅁ
  2. ㄱ, ㄷ, ㄹ
  3. ㄴ, ㄷ, ㅁ
  4. ㄱ, ㄴ, ㄷ, ㄹ
  5. ㄱ, ㄴ, ㄷ, ㅁ
(정답률: 61%)
  • - 상담기법인 해석을 할 때 고려해야 할 내용:
    1. 상담 내용의 비밀보호
    2. 상담자의 심리적 안정과 안전
    3. 상담자의 자기결정권 존중
    4. 상담자의 인권 보호

    - "ㄱ, ㄴ, ㄷ, ㅁ"이 정답인 이유:
    이 보기는 상담자의 인권 보호와 관련된 내용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모두 고르는 것이 옳다. "ㄱ"은 상담 내용의 비밀보호와 관련된 내용, "ㄴ"은 상담자의 심리적 안정과 안전을 고려한 내용, "ㄷ"은 상담자의 자기결정권 존중과 관련된 내용, "ㅁ"은 상담자의 인권 보호와 관련된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인지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이성적 판단을 중시한다.
  2. 증상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중시하며 심리검사를 활용한다.
  3. 개인의 행동이 정서와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다.
  4. 자가치료(self-treatment)를 강조한다.
  5. 상담자와 내담자의 협동적 관계를 강조한다.
(정답률: 17%)
  • "자가치료(self-treatment)를 강조한다."는 인지치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개인의 행동이 정서와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은 인지치료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인지치료는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이성적 판단을 중시하며, 증상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중시하며 심리검사를 활용합니다. 또한, 상담자와 내담자의 협동적 관계를 강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개인심리학의 상담기법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ㄴ, ㄹ
  2. ㄱ, ㄴ, ㄹ
  3. ㄱ, ㄷ, ㅁ
  4. ㄱ, ㄴ, ㄹ, ㅁ
  5. ㄴ, ㄷ, ㄹ, ㅁ
(정답률: 11%)
  • "ㄱ, ㄴ, ㄹ"은 모두 개인심리학의 상담기법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ㄴ, ㄹ"은 인지행동치료와 관련된 기법으로, 문제 해결과 자기 개선을 위한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ㄱ"은 대화기법 중 하나로, 상담자가 상대방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이는 상대방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고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인간중심상담의 상담과정이나 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담자는 내담자의 감정, 사고, 행동에 대하여 어떠한 평가도 하지 않는다.
  2. 상담자는 내담자를 대신하여 상담에 관하여 결정하지 않는다.
  3. 상담자는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하도록 분위기를 만든다.
  4. 상담자는 공감적인 자세를 유지하고 자신의 내면세계를 노출하지 않는다.
  5. 내담자는 '지금 여기'에서 느끼는 것을 표현하면서 자기의 감정에 솔직해지려는 노력을 하게 된다.
(정답률: 63%)
  • "상담자는 공감적인 자세를 유지하고 자신의 내면세계를 노출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인간중심상담에서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상담자는 공감적인 자세를 유지하면서 내면세계를 노출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내담자의 이익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만 한다. 상담자는 내담자의 이해와 발전을 위해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공유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전문적 자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개인의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을 이해한다.
  2. 청소년수련기관의 활동 등 사회환경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3. 개인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행동을 이해한다.
  4. 자신이 극복하지 못한 문제를 가진 내담자를 상담함으로써 전문적 역량을 강화한다.
  5. 전문가의 감독 하에 상담실습을 경험한다.
(정답률: 72%)
  • 자신이 극복하지 못한 문제를 가진 내담자를 상담함으로써 전문적 역량을 강화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상담자는 자신의 개인적인 문제를 내담자에게 노출시키거나 내담자의 문제를 자신의 문제와 연결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상담자의 전문성과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