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임의 구분
1. 다음 보기 중 여름철 남자 평상복으로만 이루어진 것은?
2. 여름철 한복의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옷감은?
3. 깨끼 저고리를 만드는데 가장 적당한 직물은?
4. 흡습성이 적은 섬유의 특징이 아닌 것은?
5. 다음 직물 중 3대 합성직물이 아닌 것은?
6. 합성직물의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7. 다음 섬유 중 반 합성섬유는?
8. 식물성 섬유중에서 강도가 가장 큰 섬유는?
9. 다음 중 재생모가 아닌 것은?
10. 생사가 정련견에 비해 촉감이 거칠고 강경한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11. 전통복식(한복) 중에서 고유의복의 전통을 가장 많이 유지하고 있는 의복은?
12. 다음 중 전통적(재래식) 남자 한복의 색은?
13. 다음 중 한복의 미적 측면에서 완전한 질서에 의한 안정성이 나타나는 좌우상칭균형(Formal balance)에 속하지 않는 것은?
14. 색동저고리나 무지기치마가 주는 형태상의 특징은 디자인의 원리 중 어디에 속하는가?
15. 여자 의복에서 전통적인 배색으로 옳은 것은?
16. 다음 중 키를 커 보이게 하는 디자인 방법이 아닌 것은?
17. 녹의홍상, 황의홍상,녹의청상의 배색은?
18. 한복 저고리의 구성면으로 본 특색이 아닌 것은?
19. 비대칭 균형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20. 검정색과의 조화에 어색한 것은?
2과목: 임의 구분
21. 남자바지의 원형제도에서 바지통은 일반적으로 부리치수의 몇배인가?
22. 성인남자 저고리의 표준치수에서 깃너비는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인가?
23. 일반적으로 한복을 개량하여 평상복으로 만드는 방법 중 가장 알맞은 것은?
24. 삼합(三合)무지기란 무엇인가?
25. 저고리 제작 시 섶솔기 다림질 방법이 맞는 것은?
26. 바지 대님의 적당한 길이와 나비는?
27. 보기와 같은 경우 주름 1개의 전체나비와 속주름의 분량은 얼마정도인가?
28. 새발뜨기는 한복에서 일반적으로 어떤 경우에 많이 사용 하는가?
29. 곱솔로 바느질 해야 하는 옷끼리 묶여진 것은?
30. 치마 제작법 중 옳지 않은 것은?
31. 재봉틀을 사용할 때 윗실이 자주 끊기는 이유 중 가장 옳은 것은?
32. 다음에서 명칭과 기능이 옳은 것은? (단, 미싱의 명칭과 그 기능)
33. 옥양목 바지 저고리를 제작하는데 면사 60수를 사용시 1㎝속의 땀수는 얼마정도가 적당한가?
34. 노방 치마 저고리를 재봉할 때 알맞는 실과 바늘의 호수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
35. 인견(人絹)섬유의 올바른 다림질 방법은?
36. 한복의 세탁법에서 차아지 법이란?
37. 비누나 알칼리성 합성세제로 세탁하는 것이 효과적인 섬유로만 묶인 것은?
38. 다음 중 얼룩빼기에 있어서 주의할 점이 아닌 것은?
39. 한복에 묻은 얼룩 중 수용성 얼룩에 해당되지 아니하는 것은?
40. 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과목: 임의 구분
41. 남자 한복바지를 보관할 때 개키는 방법으로 옳지 않는 것은?
42. 곰팡이가 섬유제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틀린 것은?
43. 삼회장 저고리에서 회장감으로 재단되는 부분은?
44. 다음 중 그늘에서 건조시켜야 할 것은?
45. 여자 저고리의 진동치수로 맞는 것은?
46. 여자속치마의 일종으로 하체를 크게 과장하여 입었던 것으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착용되었던 것은?
47. 조선왕조 시대의 왕, 왕세자복 및 백관복에서 볼 수 있는 흉배는 다음 중 어느 옷에 사용 하였는가?
48. 다음의 복장은 어떤 행사에 착용하는 복사인가?
49. 노리개는 계절에 따라서 패용하는 것이 다른데 가을, 겨울에 패용하는 것은?
50. 삼작 노리개란 무엇인가?
51. 남자옷의 일습은 어떤 것인가?
52. 남자아이의 돌이나 명절에 입혀지는 옷이 아닌 것은?
53. 다음 중 두루치에 대한 설명은?
54. "설문에 경의(脛衣)라 하고, 석명에 두다리 가랭이가 각각 걸터앉게 나누어져 있는 것이다." 이것은 무엇을 지칭하는 말인가?
55. 조선시대 백관복 중 상복과 공복을 구별 짓는 특징적인 것은?
56. 체형에 따른 한복 색감의 선택이 가장 바르게 된 것은?
57. 조선시대 백관이 상복에 착용하였던 관모는?
58. 홍색의 길에 화려한 무늬의 수를 놓은 옷으로, 조선시대 상류 계층의 예복으로 쓰였던 것은?
59. 고구려 복식의 설명 중 틀린 것은?
60. 개화기 이후 여자 속옷에 나타나는 변화를 잘못 설명한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