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임의 구분
1. 혼례시 신랑 신부의 속적삼 감으로 쓰였던 옷감은?
2. 필라멘트 섬유에 속하는 것은?
3.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 직물은?
4. 다음 섬유 중 섬유자체가 수축되지 않고 가벼우므로 안감으로 가장 적당한 옷감은?
5. 레이온이 여름 속옷으로 좋지 않은 이유는?
6. 한복의 속치마, 속바지등에 적합한 직물은?
7. 습윤시 강도의 저하가 가장 심한 것은?
8. 다음 섬유 중 비중이 가장 가벼운 섬유는?
9. 산에는 강하나 알칼리에는 약하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하며 , 마찰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여 너무 세게 비벼 빨거나 직사광선에 말려서는 안되는 옷감은?
10. 다음 조직 중 구김이 가장 잘 생기고 표면이 거칠고 광택이 적은 조직은?
11. 한복의 장점이 아닌 것은?
12. 신라시대의 반지(指環)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3. 전통 한복색에서 젊은 부녀자와 늙어도 남편이 살아 있는 사람이 입을 수 있는 치마는?
14. 다음 중 전통적(재래식) 남자 한복의 색은?
15. 한복의 전통적인 실루엣(silhouette)은?
16. 바지의 경우 전.후 좌우를 구분하기 위한 명칭은?
17. 복식 디자인의 원리인 강조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8. 얼굴이 긴 형일 때 저고리의 모양은?
19. 다음의 우리 옷에서 황금비를 이루지 않는 옷은?
20. 핑크색(pink)의 이미지에 관계되는 것은?
2과목: 임의 구분
21. 삼회장 저고리에서 본 바탕감과 다른 색상으로 하는 부분이 아닌 것은?
22. 남자 저고리를 만들려고 한다. 표준치수인 경우 70-75㎝ 너비라면 감은 얼마정도가 필요한가?
23. 여자 마고자 치수는?
24. 다음의 솔기 중 시접에 가위집을 넣어야 하는 부분은 어디인가?
25. 다음 도면 중 고름달기가 옳게 된 것은?
26. 75㎝ 너비의 비단으로 통치마를 만들려고 한다. 허리통 90㎝, 겉주름 나비 2㎝로 할려면 주름 1개에 들어가는 천의 분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27. 모시, 베옷, 적삼과 같은 홑옷의 솔기에 많이 쓰이면서 시접이 풀리기 쉬운 얇고 성긴 옷감에 많이 쓰이는 솔기 방법은?
28. 저고리의 진동, 끝동 달기, 치마폭 박기 등에 많이 사용하는 바느질법은?
29. 통치마의 제작 설명 중 맞지 않은 것은?
30. 다음 중 윗실 거는 순서가 맞게 나열된 것은?
31. 재봉틀을 매일 사용할 경우 기름치는 적당한 시일은?
32. 얇은 감의 치마를 견사 100 Denier를 사용 시 1㎝의 땀새는 대략 몇땀 정도인가?
33. 북집에 실이 엉켰을 때 밑실이 끊어지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는 것이 알맞는가?
34. 다음의 다림질에서 가장 적당한 방법은?
35. 습식세탁으로 비벼 빨기에 적당한 옷감은?
36. 헹구기가 잘못된 것은?
37. 다음 중 섬유자체의 구조와 성질로 사용 중 계속 수축되는 현상은?
38. 인견 속치마에 쇠의 녹물이 묻었을 때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39. 섬유소를 화학 처리한 것으로 분말과 종이 모양으로 된 풀은?
40. 일반적으로 산에 대하여 목면 섬유는 가수분해되어 수화 섬유소로 변화된다. 아사로 적삼을 만들었을 경우 다음 중 산성성분을 가장 잘 중화하는 약품은?
3과목: 임의 구분
41. 피복의 보관에 있어서 깨끗이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 중 청결에 소홀한 점은?
42. 다음 세탁조건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43. 여자저고리 제작에 필요하지 않은 치수는?
44. 가슴둘레 84cm, 길이 115cm인 여자두루마기의 진동치수는 얼마 정도인가?
45. 남자바지에서 큰사폭과 작은사폭의 이음솔기 처리는?
46. 조선조 후기의 저고리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적당치 않은 것은?
47. 다음 중 개화기에 들어서면서 새로 생겨난 복식으로 맞게 짝지워진 것은?
48. 조선시대 혼례 때 입는 겉치마 색은?
49. 구군복(具軍服)의 구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50. 다음 중 조선시대 사대부의 편복포제가 아닌 것은?
51. 3작 노리개는 주로 어느 계절에 즐겨 패용하였는가?
52. 다음은 댕기에 대한 설명이다. 어떤 댕기를 말한 것인가?
53. 남자한복 착용시 외출을 하거나 예를 갖추어야 할 때 두루마기 착용법은?
54. 조선시대 왕비의 법복(法腹)은?
55. 다음 중 돌이나 명절날에 남자아이의 전복과 함께 사용되는 것은?
56. 조선시대의 포의 형태에 속하지 않는 것은?
57. 깨끼 저고리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58. 조선시대 부녀자들의 속옷으로 일상복으로는 이 위에 치마를 입었으며 치마보다는 약간 짧은 것으로 양가랭이가 넓으며 밑이 막혀 있던 것은?
59. 상대복식의 기본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60. 다음중에서 우리나라 남자의 대표적인 머리 모양을 나타내는 용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