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10-10)

한복기능사
(2004-10-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혼례시 신랑 신부의 속적삼 감으로 쓰였던 옷감은?

  1. 레이온
  2. 모시
  3. 인조
(정답률: 알수없음)
  • 혼례시 신랑 신부의 속적삼 감으로 쓰이는 옷감은 모시입니다. 이는 고급스러우면서도 부드러운 질감과 광택이 있어 혼례식의 중요한 순간을 더욱 빛나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필라멘트 섬유에 속하는 것은?

  1. 면섬유
  2. 마섬유
  3. 견섬유
  4. 모섬유
(정답률: 알수없음)
  • 필라멘트 섬유는 긴 실로 이루어진 섬유로, 견섬유는 이러한 필라멘트 섬유에 속합니다. 견섬유는 면실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면과 마찬가지로 자연섬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 직물은?

  1. 나일론 섬유
  2. 견 섬유
  3. 아세테이트섬유
  4. 모섬유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직물의 특성으로 보아, 이 직물은 부드럽고 유연하며 광택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아세테이트섬유의 특징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세테이트섬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섬유 중 섬유자체가 수축되지 않고 가벼우므로 안감으로 가장 적당한 옷감은?

  1. 실크
  2. 아세테이트
  3. 레이온
  4. 린넨
(정답률: 알수없음)
  • 아세테이트는 섬유 자체가 수축되지 않고 가벼우며 부드러운 감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감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또한 흡습성이 좋아서 땀을 잘 흡수하고 건조하기도 빠르기 때문에 여름철에도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레이온이 여름 속옷으로 좋지 않은 이유는?

  1. 통기성이 적기 때문
  2. 열전도성이 크기 때문
  3. 방수 속도가 느리기 때문
  4. 흡습성이 적기 때문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온은 방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땀을 흡수하지 못하고 끈적거리는 불쾌한 느낌이 생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한복의 속치마, 속바지등에 적합한 직물은?

  1. 레이온
  2. 폴리에스테르
  3. 나일론
  4. 비닐론
(정답률: 알수없음)
  • 한복의 속치마와 속바지는 피부와 직접 닿기 때문에 흡수성과 통기성이 좋아야 합니다. 레이온은 천연섬유 중 하나로, 흡수성과 통기성이 뛰어나며 부드러운 감촉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한복의 속치마와 속바지에는 레이온이 적합합니다.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비닐론은 모두 합성섬유로, 흡수성과 통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한복의 속치마와 속바지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습윤시 강도의 저하가 가장 심한 것은?

  1. 양모
  2. 레이온
  3. 아세테이트
  4. 폴리에스테르
(정답률: 알수없음)
  • 습윤시 강도는 재료의 흡수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레이온은 다른 섬유에 비해 높은 습윤시 강도를 가지고 있어서, 습기에 노출되면 빠르게 흡수되어 강도가 저하됩니다. 따라서 레이온은 다른 보기들에 비해 습윤시 강도가 가장 저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섬유 중 비중이 가장 가벼운 섬유는?

  1. 폴리프로필렌
  2. 비닐론
  3. 아크릴
  4. 나일론
(정답률: 10%)
  • 폴리프로필렌은 가장 가벼운 섬유 중 하나입니다. 이는 폴리프로필렌이 밀도가 낮기 때문입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물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서 일상적인 사용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에는 강하나 알칼리에는 약하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하며 , 마찰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여 너무 세게 비벼 빨거나 직사광선에 말려서는 안되는 옷감은?

  1. 모섬유
  2. 마 섬유
  3. 견섬유
  4. 면섬유
(정답률: 알수없음)
  • 산에는 강하나 알칼리에는 약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마찰에 대한 저항력이 약한 옷감은 견섬유입니다. 견섬유는 면섬유와 비슷하지만 더 강하고 내구성이 높아서 마찰에 강하고 내구성이 필요한 옷감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견섬유는 물에 강하고 흡수력이 높아서 땀이 많이 나는 환경에서도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조직 중 구김이 가장 잘 생기고 표면이 거칠고 광택이 적은 조직은?

  1. 평직
  2. 능직
  3. 바스켓직
  4. 수자직
(정답률: 알수없음)
  • 평직은 수직, 수평 모두 같은 간격으로 짜여진 조직으로,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적어 구김이 잘 생기며 거칠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조직들보다 구김이 가장 잘 생기고 표면이 거칠고 광택이 적은 조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한복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입고 벗기에 편하다.
  2. 형태의 변화가 적다.
  3. 한복 구성방법이 쉬운편이다.
  4. 몸의 결점을 감춰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복은 전통적인 디자인과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형태의 변화가 적습니다. 따라서 한복을 입을 때는 일반 의류보다 더 많은 조심과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신라시대의 반지(指環)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신라가 가장 절정기였고,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그다지 중요하게 여기지 않아 별로 사용하지 않았다.
  2. 신라에서는 남녀 구별없이 모두 반지를 꼈다.
  3. 모양은 금, 은 자체로 만든 단순한 형태와 작은 보석을 박은 것이다.
  4. 특징은 얇고 단순하며 조선의 가락지 같이 완전히 통형이 아니고 누구나 낄 수 있게 뒷쪽을 벌릴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신라가 가장 절정기였고,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그다지 중요하게 여기지 않아 별로 사용하지 않았다."는 신라시대의 반지가 중요하게 여겨졌지만, 이후의 시대에는 그 중요성이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신라시대의 반지에 대한 특징과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전통 한복색에서 젊은 부녀자와 늙어도 남편이 살아 있는 사람이 입을 수 있는 치마는?

  1. 다홍치마
  2. 분홍치마
  3. 남치마
  4. 옥색치마
(정답률: 알수없음)
  • 전통 한복에서는 결혼한 여성이나 남편이 살아있는 여성이 입을 수 있는 치마를 "남치마"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남치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전통적(재래식) 남자 한복의 색은?

  1. 흰색바지와 옥색저고리
  2. 보라색바지 저고리
  3. 옥색바지 저고리
  4. 미색바지 저고리
(정답률: 알수없음)
  • 전통적인 남자 한복의 색은 주로 흰색과 검정색이었으며, 저고리는 옥색, 청색, 갈색 등의 어두운 색상이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흰색바지와 옥색저고리"가 전통적인 남자 한복의 색상 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한복의 전통적인 실루엣(silhouette)은?

  1. A-line
  2. 청자항아리
  3. H-line
  4. S-line
(정답률: 알수없음)
  • 한복의 전통적인 실루엣은 청자항아리입니다. 이는 상의와 하의가 모두 넓게 퍼지는 형태로, 특히 청자(襟子, 옷깃)와 소매 부분이 넓게 퍼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실루엣은 여성의 체형을 감추고 우아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에 적합하며, 한복의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대표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바지의 경우 전.후 좌우를 구분하기 위한 명칭은?

  1. 마루폭
  2. 사폭
  3. 허리
  4. 부리
(정답률: 알수없음)
  • 바지의 전면과 후면을 구분하기 위한 명칭은 "사폭"입니다. 이는 바지의 측면을 가로지르는 선을 의미하며, 전면과 후면을 나누는 기준이 됩니다. "마루폭"은 바지와 관련이 없는 용어이고, "허리"는 바지의 상단 부분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부리"는 바지의 밑단을 가리키는 용어이며, 전.후 좌우를 구분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복식 디자인의 원리인 강조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어떠한 질서가 반복됨에 따라 강도가 강해지거나 약해진다.
  2. 착용자의 직업, 연령, 성별, 취미 등 조건에 알맞게 정해야 한다.
  3. 명암의 대조, 색상의 대조, 특수한 장식등이 있으나 어느 방법이든지 통일성을 가져야 한다.
  4. 강조가 여러곳에 있으면 산만하고, 없으면 단조롭다.
(정답률: 알수없음)
  • "착용자의 직업, 연령, 성별, 취미 등 조건에 알맞게 정해야 한다."는 복식 디자인의 원리 중 하나로, 강조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어떠한 질서가 반복됨에 따라 강도가 강해지거나 약해진다."는 복식 디자인에서 패턴, 무늬, 장식 등을 일정한 간격과 규칙에 따라 반복하여 사용할 때, 이러한 반복이 강조 효과를 더해주거나 약화시키는 원리입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패턴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면 강조 효과가 더해지지만, 패턴이 불규칙하게 반복되면 강조 효과가 약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얼굴이 긴 형일 때 저고리의 모양은?

  1. 치마는 길게, 저고리는 짧게, 도련은 완만하게 한다.
  2. 깃은 좁고 짧게 한다.
  3. 깃과 고름에 장식을 한다.
  4. 동정은 좁게 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얼굴이 긴 형은 상체가 길어 보이기 때문에 저고리를 짧게 입으면 상체가 더욱 길어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고리는 짧게 입고, 치마는 길게 입으면 상체와 하체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도련을 완만하게 한다는 것은 너무 복잡하거나 화려한 디자인을 피하고, 깔끔하고 심플한 디자인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얼굴이 긴 형의 스타일을 부각시키기 위해 필요한 조치입니다. 깃은 좁고 짧게 하는 것은 얼굴이 긴 형의 얼굴 비율을 조절하기 위한 것입니다. 고름에 장식을 하는 것은 저고리의 디테일을 더해주어 스타일을 더욱 강조하는 것입니다. 동정은 좁게 단다는 것은 너무 높게 동정을 달지 않고, 적당한 위치에 동정을 달아 얼굴 비율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의 우리 옷에서 황금비를 이루지 않는 옷은?

  1. 색동저고리의 앞뒷길의 차이
  2. 삼국시대의 상의와 하의의 길이
  3. 통치마 저고리
  4. 스란치마와 스란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색동저고리의 앞뒷길의 차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우리 옷에서 황금비를 이루는 요소들이지만, 색동저고리의 앞뒷길의 차이는 황금비와 관련이 없습니다. 색동저고리는 앞과 뒤의 길이가 같은 것이 일반적이지만, 앞뒷길이 다른 디자인도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황금비와는 무관하며, 디자인적인 요소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핑크색(pink)의 이미지에 관계되는 것은?

  1. 낭만적이고 여성적이고 어머니와 같은 색이다.
  2. 태양의 상징색으로 전형적인 난색이다.
  3. 에로시티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색이다.
  4. 불타는 듯한 남국적인 무드를 지니고 있다.
(정답률: 60%)
  • 핑크색은 보통 여성적인 이미지와 연관되며, 부드러운 느낌과 로맨틱한 분위기를 연상시킵니다. 또한 어머니와 같은 따뜻하고 안정적인 이미지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미지는 핑크색이 주로 여성용 제품이나 로맨틱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제품에 많이 사용되는 이유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삼회장 저고리에서 본 바탕감과 다른 색상으로 하는 부분이 아닌 것은?

  1. 곁마기
  2. 끝동
(정답률: 알수없음)
  • 삼회장 저고리는 전통적인 한복으로, 바탕감과 다른 색상으로 하는 부분은 모두 패턴이나 장식물이다. 그러나 "섶"은 저고리의 일부가 아니라, 다리를 감싸는 보호대로서 저고리와는 별개의 것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남자 저고리를 만들려고 한다. 표준치수인 경우 70-75㎝ 너비라면 감은 얼마정도가 필요한가?

  1. 320 – 340㎝
  2. 270 - 280㎝
  3. 230 – 240㎝
  4. 210 - 220㎝
(정답률: 19%)
  • 저고리는 앞과 뒤, 양쪽 옆에 각각 패널이 있으므로 전체 너비는 표준치수인 70-75㎝에 감을 추가한 값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감은 전체 너비의 2/3 정도이므로, 70-75㎝에 2/3 감을 추가하면 대략 270-28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70-2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여자 마고자 치수는?

  1. 여자 저고리와 같게 해야 예쁘다.
  2. 여자 저고리보다 0.5㎝ 정도 크게 한다.
  3. 여자 저고리보다 0.5㎝ 정도 작게 한다.
  4. 저고리 치수와 상관없이 만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여자 마고자는 보통 여자 저고리를 입고 있기 때문에, 마고자 치수를 저고리와 같게 만들면 너무 딱딱하고 불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자 저고리보다 약간 크게 만들어서 편안하게 입을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의 솔기 중 시접에 가위집을 넣어야 하는 부분은 어디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솔기 중 시접에 가위집을 넣어야 하는 부분은 "②"입니다. 이는 시접 부분이 두껍기 때문에 가위집으로 잘라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부분은 가위집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잘라도 괜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도면 중 고름달기가 옳게 된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고름달기는 두 개의 기둥 사이에 있는 보에 달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은 기둥과 보가 만나지 않아 고름달기를 달 수 없습니다. ""는 기둥과 보가 만나지만, 고름달기가 보 위에 위치하지 않아 올바르지 않습니다. ""는 고름달기가 보 위에 위치하지만, 보가 기둥과 만나지 않아 올바르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올바른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75㎝ 너비의 비단으로 통치마를 만들려고 한다. 허리통 90㎝, 겉주름 나비 2㎝로 할려면 주름 1개에 들어가는 천의 분량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4㎝
  2. 5㎝
  3. 2.5㎝
  4. 11㎝
(정답률: 알수없음)
  • 주름을 하나 만들기 위해서는 겉주름 나비 2㎝을 더해줘야 하므로, 허리통 90㎝ + 겉주름 나비 2㎝ = 92㎝의 천이 필요하다. 이때, 주름 한 개에 들어가는 천의 분량은 통치마의 너비 75㎝에서 주름 한 개의 너비 2㎝를 빼준 73㎝이 된다. 따라서, 92㎝을 73㎝으로 나누면 약 1.26이 나오는데, 이를 가장 가까운 정수인 1로 반올림하여 주름 한 개에 들어가는 천의 분량은 73㎝이 된다. 이때, 주름 한 개에 들어가는 천의 분량이 4㎝이면 너무 적어서 주름이 모자라고 하나, 5㎝이면 적당하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모시, 베옷, 적삼과 같은 홑옷의 솔기에 많이 쓰이면서 시접이 풀리기 쉬운 얇고 성긴 옷감에 많이 쓰이는 솔기 방법은?

  1. 통솔
  2. 곱솔
  3. 쌈솔
  4. 휘갑치기
(정답률: 알수없음)
  • 곱솔은 여러 개의 실을 함께 꼬아서 만든 솔기로, 솔이 더욱 두껍고 강하게 만들어져 시접이 풀리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홑옷의 솔기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저고리의 진동, 끝동 달기, 치마폭 박기 등에 많이 사용하는 바느질법은?

  1. 홑솔
  2. 가름솔
  3. 통솔
  4. 쌈솔
(정답률: 알수없음)
  • 가름솔은 바느질할 때 진동이나 끝동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치마폭을 박을 때도 사용됩니다. 이는 가름솔이 다른 솔들보다 뾰족한 모양을 가지고 있어서 끝을 잡아주기에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고리의 진동, 끝동 달기, 치마폭 박기 등에 많이 사용하는 바느질법은 가름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통치마의 제작 설명 중 맞지 않은 것은?

  1. 치마 주름너비는 풀치마보다 조금 크게 약 2-5㎝가 적당하다.
  2. 치마단은 보통 치마보다 많이 접어 올린다.
  3. 치마 길이는 무릎 밑 약 30㎝ 정도가 적당하다.
  4. 치마감은 너무 뻣뻣하지 않으면서도 활동적인 것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치마 길이는 무릎 밑 약 30㎝ 정도가 적당하다." 인 이유는 설명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윗실 거는 순서가 맞게 나열된 것은?

  1. 실패꽂이→윗실조절기→윗실안내→실채기→바늘
  2. 실패꽂이→윗실안내→윗실조절기→실채기→바늘
  3. 실패꽂이→윗실안내→실채기→윗실조절기→바늘
  4. 실패꽂이→실채기→윗실안내→윗실조절기→바늘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실패꽂이→윗실안내→윗실조절기→실채기→바늘" 입니다.

    이유는 실패꽂이는 윗실안내와 윗실조절기를 거쳐야 하며, 윗실조절기는 윗실안내보다 먼저 나와야 합니다. 그리고 윗실조절기를 거치면 실채기를 거쳐야 하며, 마지막으로 바늘에 도달합니다. 따라서 순서는 실패꽂이→윗실안내→윗실조절기→실채기→바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재봉틀을 매일 사용할 경우 기름치는 적당한 시일은?

  1. 매일 또는 격일
  2. 일주일에 한번
  3. 한달에 한번
  4. 1년에 2-3번
(정답률: 알수없음)
  • 재봉틀은 사용할 때마다 기름칠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매일 또는 격일로 기름칠을 해주는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일주일에 한번이나 한달에 한번은 사용 빈도가 적어서 기름이 많이 쌓이거나 마모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1년에 2-3번은 너무 적은 빈도로 기름칠을 하기 때문에 재봉틀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얇은 감의 치마를 견사 100 Denier를 사용 시 1㎝의 땀새는 대략 몇땀 정도인가?

  1. 4 – 6
  2. 7 - 8
  3. 10 – 11
  4. 13 - 14
(정답률: 알수없음)
  • 견사 100 Denier는 일반적으로 두께가 0.1mm 정도이며, 이 치마의 땀새는 1㎝당 약 0.2g 정도라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의 땀새가 몇 땀인지 계산하면, 1㎝당 0.2g의 땀새가 발생한다는 것을 고려하여, 1땀당 약 0.025g의 땀새가 발생한다고 가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1㎝의 땀새는 대략 7~8땀 정도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7 - 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북집에 실이 엉켰을 때 밑실이 끊어지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는 것이 알맞는가?

  1. 윗실의 압력을 알맞게 조절한다.
  2. 풀리콘 나사를 바짝 죈다.
  3. 톱니 높이를 바르게 한다.
  4. 북집을 빼어 밑실을 바르게 감는다.
(정답률: 30%)
  • 북집이 실에 엉켰을 때 밑실이 끊어지는 경우는 북집이 너무 많이 조여서 실이 밑실에 끼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북집을 빼서 실과 밑실 사이의 간격을 넓혀주면 실이 끊어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흘러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의 다림질에서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저고리 마고자 등은 우선 앞길 뒷길의 겉감을 먼저 다리고 수구도련의 안감을 다린다.
  2. 소매는 배래를 먼저 다린 후 소매 모양을 바로 잡은 다음 소매산을 다린다.
  3. 소매는 소매산을 먼저 다리고 소매 모양을 잡은 다음 양쪽 배래를 다린다.
  4. 저고리 마고자 등은 앞길 뒷길의 안감을 먼저 다리고 수구도련의 겉감을 다리고 안감을 다린다.
(정답률: 10%)
  • 가장 적당한 방법은 "소매는 소매산을 먼저 다리고 소매 모양을 잡은 다음 양쪽 배래를 다린다." 입니다. 이유는 소매산을 먼저 다리면 소매의 모양이 잡히기 때문에 배래를 다릴 때 소매의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고 깔끔하게 다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배래를 먼저 다리면 소매 모양이 흐트러져서 깔끔하게 다리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습식세탁으로 비벼 빨기에 적당한 옷감은?

  1. 폴리에스테르
  2. 실크
  3. 순모
  4. 생노방
(정답률: 알수없음)
  • 폴리에스테르는 인공섬유 중 하나로, 물에 잘 적시지 않고 빠르게 건조되는 특성이 있어 습식세탁으로 비벼 빨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내구성이 높아 세탁 후 변형이 적고, 가볍고 편안한 착용감이 있어 일상적인 의류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헹구기가 잘못된 것은?

  1. 비누의 용해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온수를 쓴다.
  2. 온수에 암모니아수를 소량 가한다.
  3. 비누기가 피복에 남아 있으면 피복이 무겁고 곰팡이가 나기 쉽다.
  4. 많은 물로 한번 헹구는 것이 적은 물로 여러번 헹구는 것보다 효과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많은 물로 한번 헹구는 것이 적은 물로 여러번 헹구는 것보다 효과적이다. 이유는 많은 물을 사용하면 물이 피복에 잘 스며들어 모든 부분을 깨끗하게 씻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적은 물을 사용하면 물이 부족하여 피복에 묻은 먼지나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여러번 헹구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더 들어가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섬유자체의 구조와 성질로 사용 중 계속 수축되는 현상은?

  1. 긴장성 수축
  2. 이완 수축
  3. 진행성 수축
  4. 실의 팽윤에 의한 수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진행성 수축

    설명: 섬유 자체의 구조와 성질로 인해 계속해서 수축되는 현상을 진행성 수축이라고 합니다. 이는 섬유 내부의 분자 간 상호작용이 강해져서 발생하는 것으로, 섬유가 늘어나거나 물에 젖어도 계속해서 수축됩니다. 이에 반해, 긴장성 수축은 외부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발생하며, 이완 수축은 처음에는 수축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가는 현상입니다. 또한, 실의 팽윤에 의한 수축은 실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섬유 자체의 구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인견 속치마에 쇠의 녹물이 묻었을 때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암모니아 1% 용액을 사용한다.
  2. 수산 1% 용액을 사용한다.
  3. 가성소다를 사용한다.
  4. 비누로 잘 주물러 빤다.
(정답률: 알수없음)
  • 쇠의 녹물은 산성 물질이기 때문에 알칼리성을 띄는 수산 1% 용액을 사용하여 중화시켜야 한다. 암모니아 1% 용액도 알칼리성을 띄지만, 인견 속치마에 사용하기에는 냄새가 강해서 부적합하다. 가성소다는 중화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인견 속치마에 사용하기에는 세탁 후 잘 헹궈내지 않으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부적합하다. 비누로 잘 주물러 빤다는 방법은 효과가 미미하고, 오히려 물에 녹물이 더 잘 퍼져서 더 큰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부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섬유소를 화학 처리한 것으로 분말과 종이 모양으로 된 풀은?

  1. P.V.A
  2. C.M.C
  3. 젤라틴
  4. 전분풀
(정답률: 알수없음)
  • C.M.C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의 약자로, 섬유소를 화학 처리하여 만든 것입니다. 이것은 분말과 종이 모양으로 된 풀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일반적으로 산에 대하여 목면 섬유는 가수분해되어 수화 섬유소로 변화된다. 아사로 적삼을 만들었을 경우 다음 중 산성성분을 가장 잘 중화하는 약품은?

  1. 암모니아수
  2. 가성소다
  3. 염산
  4. 식초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산성성분은 pH가 낮은 환경을 만들어내며, 이를 중화시키기 위해서는 pH가 높은 환경을 만들어주는 약품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암모니아수는 pH가 높은 알칼리성 용액으로, 산성성분을 효과적으로 중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사로 적삼을 만들 때 산성성분을 가장 잘 중화시키는 약품은 암모니아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피복의 보관에 있어서 깨끗이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 중 청결에 소홀한 점은?

  1. 부분적으로 오염된 것은 즉시 처리한다.
  2. 오염된 피복은 품질, 형상, 색상 등에 관계없이 적당한 세탁법을 선정한다.
  3. 매일 매일 착용한 피복은 먼지를 턴 후 솔질한다.
  4. 오염된 상태로 시간이 경과 하기전 그때 그때 그 얼룩은 제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오염된 피복은 품질, 형상, 색상 등에 관계없이 적당한 세탁법을 선정한다.

    설명: 오염된 피복은 적절한 세탁법으로 세탁하지 않으면 오염물질이 남아 피복의 품질, 형상, 색상 등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깨끗이 세탁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오염된 피복은 적절한 세탁법을 선택하여 깨끗이 세탁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세탁조건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세탁용수의 온도는 60∼70℃가 적당하다.
  2. 세탁용수의 분량은 세탁물 무게의 20배 정도가 적당하다.
  3. 세탁액의 농도는 합성세제가 0.2∼0.3%일 때 가장 효과적이다.
  4. 애벌빨래의 시간은 10분 내외가 적당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세탁용수의 온도는 60∼70℃가 적당하다."

    설명: 세탁용수의 온도가 높을수록 세탁물의 섬유를 손상시키는 위험이 있으므로, 보통 60∼70℃가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세탁물의 종류나 오염도에 따라 적정 온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적정 온도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여자저고리 제작에 필요하지 않은 치수는?

  1. 깃길이
  2. 고대
  3. 화장
  4. 허리둘레
(정답률: 알수없음)
  • 여자저고리는 상의와 하의가 하나로 이어진 옷으로, 허리 부분이 없습니다. 따라서 허리둘레는 제작에 필요하지 않은 치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가슴둘레 84cm, 길이 115cm인 여자두루마기의 진동치수는 얼마 정도인가?

  1. 26cm
  2. 24cm
  3. 21cm
  4. 저고리 진동 - 1cm
(정답률: 알수없음)
  • 여자두루마기의 진동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진동수 = (속도 / 파장)

    여자두루마기의 길이는 파장과 같으므로 파장은 115cm입니다. 여자두루마기의 속도는 손으로 흔들 때의 속도로 가정하면 대략 1초에 2회 정도 흔들리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속도는 2회/초입니다.

    따라서 여자두루마기의 진동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진동수 = (2회/초) / (115cm) = 0.0174 Hz

    진동수를 주파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파수 = 0.0174 Hz * 2π ≈ 0.109 Hz

    주파수를 진동수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진동수 = 1 / (0.109 Hz) ≈ 9.17 s

    따라서 여자두루마기의 진동치수는 약 9.17회/초입니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24cm와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남자바지에서 큰사폭과 작은사폭의 이음솔기 처리는?

  1. 가름솔
  2. 어슨솔기
  3. 곱솔
  4. 홑솔
(정답률: 알수없음)
  • 남자바지에서 큰사폭과 작은사폭의 이음솔기 처리는 "어슨솔기"입니다. 이는 큰사폭과 작은사폭을 이어주는 솔기로, 다른 솔기들보다 더 견고하고 튼튼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음솔기는 바지의 내구성과 핏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조선조 후기의 저고리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적당치 않은 것은?

  1. 깃, 섶, 끝동, 고대 등이 몹시 좁아졌으며, 다만 곁마기 만이 커졌다.
  2. 섶은 여전히 앞섶 겉섶이 함께 넓고, 안섶에 비해 겉섶이 더욱 작아 졌다.
  3. 깃의 형태가 당코깃으로 변하였다.
  4. 저고리 길이가 몹시 짧아졌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섶은 여전히 앞섶 겉섶이 함께 넓고, 안섶에 비해 겉섶이 더욱 작아 졌다." 이유를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면, 조선 후기에는 서구 영향으로 인해 천연섬유의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섬유의 질이 향상되었고, 이에 따라 옷감의 두께가 얇아졌습니다. 따라서 겉섶도 더 얇아졌고, 안섶과 겉섶의 크기 차이가 줄어들면서 겉섶이 더 작아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개화기에 들어서면서 새로 생겨난 복식으로 맞게 짝지워진 것은?

  1. 적삼, 토시
  2. 마고자, 조끼
  3. 조끼, 고이
  4. 토시, 마고자
(정답률: 알수없음)
  • 개화기에 들어서면서 새로 생겨난 복식 중에서 "마고자"는 상의이고 "조끼"는 하의이기 때문에 짝지워져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고자, 조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조선시대 혼례 때 입는 겉치마 색은?

  1. 흰색
  2. 자색
  3. 옥색
  4. 다홍색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선시대에는 혼례 때 신부가 다홍색 겉치마를 입었습니다. 이는 다홍색이 풍요와 행복을 상징하는 색으로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홍색은 왕실에서도 선호되는 색으로, 혼례 때 신부가 다홍색 겉치마를 입는 것은 궁중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구군복(具軍服)의 구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동다리
  2. 전립(戰笠)
  3. 전복(戰服)
  4. 태사혜
(정답률: 알수없음)
  • 구군복은 군사가 착용하는 복장으로, 동다리, 전립, 전복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태사혜는 구군복의 구성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태사혜는 군사가 착용하는 머리띠로, 구군복과는 별개의 복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조선시대 사대부의 편복포제가 아닌 것은?

  1. 단령포
  2. 도포
  3. 천익
  4. 창의
(정답률: 알수없음)
  • 단령포는 조선시대 사대부의 편복포제가 아닙니다. 단령포는 조선 후기에 등장한 복식으로, 단령군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도포, 천익, 창의는 모두 조선시대 사대부의 편복포제에 해당하는 복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3작 노리개는 주로 어느 계절에 즐겨 패용하였는가?

  1. 추.동
  2. 5월 단오날부터
  3. 8월 추석
  4. 6월 - 7월
(정답률: 알수없음)
  • 3작 노리개는 주로 추석 때 즐겨 사용하였습니다. 이는 보리를 수확하는 계절인 6월-7월에는 노리개를 사용하지 않고, 추석 때인 8월에 보리를 깨기 위해 노리개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8월 추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은 댕기에 대한 설명이다. 어떤 댕기를 말한 것인가?

  1. 큰댕기
  2. 제비부리댕기
  3. 앞댕기
  4. 쪽댕기
(정답률: 알수없음)
  • 위 그림에서 머리 부분이 제비 부리처럼 뾰족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몸통 부분이 비교적 길고 둥글다. 이러한 특징으로 보아 "제비부리댕기"라는 종류의 댕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남자한복 착용시 외출을 하거나 예를 갖추어야 할 때 두루마기 착용법은?

  1. 두루마기는 방한용이므로 추울 때 이외에는 입지 않는다.
  2. 외출시나 집안에서나 예를 갖출 때도 반드시 입어야 한다.
  3. 개성에 따라 착용여부를 결정한다.
  4. 기제사 때 이외에는 입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두루마기는 남자한복의 기본 아이템 중 하나로, 외출이나 예를 갖출 때 반드시 입어야 합니다. 이는 남자한복의 전통적인 예복으로서, 예의와 품격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성에 따라 착용여부를 결정하거나, 방한용으로만 입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조선시대 왕비의 법복(法腹)은?

  1. 단삼(團衫)
  2. 노의(露衣)
  3. 국의(鞠衣)
  4. 적의(翟衣)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선시대 왕비의 법복인 적의(翟衣)는 천연색의 비단으로 만들어졌으며, 왕비의 지위와 권위를 상징하는 고급스러운 옷이었습니다. 또한 적의는 왕비가 출산 후 100일 동안 입는 의복으로, 출산 후 회복기를 보호하고 신음을 피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따라서 왕비의 법복 중에서도 가장 귀중하고 중요한 의복으로 여겨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돌이나 명절날에 남자아이의 전복과 함께 사용되는 것은?

  1. 두건
  2. 유건
  3. 복건
  4. 망건
(정답률: 알수없음)
  • 복건은 전복과 함께 사용되는 돌로, 전복을 깔아놓고 그 위에 돌을 올려 놓아 전복을 더욱 맛있게 먹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복건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조선시대의 포의 형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첩리
  2. 백저포
  3. 도포
  4. 창의
(정답률: 알수없음)
  • 백저포는 조선시대에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백저포는 19세기 후반에 일본에서 개발된 무기로, 조선시대의 포의 형태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백저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깨끼 저고리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1. 훤히 비치는 얇은 옷감을 두겹으로 하여 쌈솔로 바느질한 저고리이다.
  2. 바느질이 어렵고 세탁 후 손질이 까다로우나 시원하고 우아해 보여 예전부터 즐겨 입었다.
  3. 곱솔로 바느질하며 근래에는 여름용 외출복이나 예복 등으로 많이 이용된다.
  4. 아름답고 품위가 있어 보이며 다시 제작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깨끼 저고리는 곱솔로 바느질하여 만들어지며, 최근에는 여름용 외출복이나 예복으로 많이 사용된다는 것이 가장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조선시대 부녀자들의 속옷으로 일상복으로는 이 위에 치마를 입었으며 치마보다는 약간 짧은 것으로 양가랭이가 넓으며 밑이 막혀 있던 것은?

  1. 속속곳
  2. 단속곳
  3. 다리속곳
  4. 고쟁이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선시대 부녀자들의 속옷으로 일상복으로는 양가랭이가 넓은 것으로 밑이 막혀 있던 것이 "속속곳"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보기 중에서 "단속곳"이 정답인 이유는 설명할 수 없습니다. 해당 보기는 문맥이 부족하고 정보가 충분하지 않아 정확한 답을 도출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상대복식의 기본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회장
(정답률: 알수없음)
  • "유", "고", "상"은 모두 상대복식의 기본형에 속하는 등급을 나타내는 말이지만, "회장"은 등급이 아닌 직책을 나타내는 말이기 때문에 상대복식의 기본형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중에서 우리나라 남자의 대표적인 머리 모양을 나타내는 용어는?

  1. 피발
  2. 상투
  3. 변발
  4. 곤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상투"입니다.

    이유는 "상투"는 한국에서 오랫동안 대표적인 남성 머리 모양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입니다. "상투"는 머리 윗부분을 짧게 깎고 옆과 뒷부분은 길게 남겨 둔 스타일로, 군인이나 학생 등 다양한 직업군에서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전통적인 가치관에서는 길고 무거운 머리를 가지고 있으면 남성다움을 상징한다고 여겨져 "상투"와 같은 머리 모양이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