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4-03)

한복기능사
(2005-04-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춘추용 한복재료로 사용하기에 가장 좋은 옷감은?

  1. 숙고사, 관사, 부사견 등
  2. 생모시, 항라, 모시 등
  3. 자미사, 명주, 뉴똥 등
  4. 숙고사, 항라, 자미사 등
(정답률: 알수없음)
  • 춘추용 한복은 고급스러움과 품격을 나타내야 하므로, 숙고사, 관사, 부사견 등의 고급스러운 옷감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들은 모두 비싼 가격과 높은 품질로 유명하며, 특히 숙고사는 광택이 뛰어나고 부드러운 감촉이 특징입니다. 또한 관사와 부사견은 귀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반면, 숙고사는 화려하면서도 우아한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이들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중에서 섬유를 감별할 때 연소법으로 감별하기가 어려운 섬유는?

  1. 아세테이트
  2. 합성섬유
(정답률: 알수없음)
  • 합성섬유는 연소 시에도 플라스틱과 같은 냄새와 함께 녹거나 불타지 않는 경우가 많아 연소법으로 감별하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여름철 한복감으로 제일 적당한 것은?

  1. 명주
  2. 모시
  3. 아세테이트
  4. T/C혼방
(정답률: 60%)
  • 한복감은 통기성이 좋아야 하고, 여름철에는 시원하고 흡습성이 좋은 모시가 가장 적합합니다. 명주는 겨울철에 적합하며, 아세테이트와 T/C혼방은 흡습성이 좋지 않아 여름철에는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워시앤드웨어 (wash and wear)성을 가진 대표적인 섬유로 혼방 직물에 많이 이용되는 섬유는?

  1.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2. 폴리아미드계 섬유
  3. 폴리프로필렌계 섬유
  4. 폴리아크릴계 섬유
(정답률: 알수없음)
  •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빠른 건조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혼방 직물에 많이 이용되며, 워시앤드웨어 성질을 가지고 있어 세탁 후에도 쉽게 건조되고 다리미 필요 없이 바로 입을 수 있어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섬유의 강도 단위로 나타내는 것은?

  1. %
  2. g/tex
  3. ㎏/㎜2
  4. denier
(정답률: 알수없음)
  • 섬유의 강도는 단위 길이당 얼마나 많은 힘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강도 단위는 "g/tex"와 같이 그 길이에 대한 단위로 표시됩니다. 즉, "g/tex"는 1텍스(1,000미터당 질량 1그램)의 섬유가 얼마나 많은 힘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다른 보기인 "%", "㎏/㎜2", "denier"는 섬유의 무게나 직경 등을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견직물의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1. 흡습성이 좋고, 강력이 강하나 쉽게 구겨진다.
  2. 내구력이 강하고, 비교적 보온력이 있고, 세탁이 용이하다.
  3. 조직이 치밀하고, 촉감이 좋고, 우아한 광택이 있다.
  4. 일광에 취화가 적고, 보온력이 강하여 따뜻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견직물은 조직이 치밀하고 촉감이 좋으며, 우아한 광택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견직물의 원사가 높은 밀도로 짜여져 있어서 조직이 빽빽하고, 원사의 표면이 매끄러워서 광택이 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옷감의 성질 중 서로 관계없이 짝지어진 것은?

  1. 강도 -- 내구성
  2. 흡습성 -- 땀
  3. 드레이프성 -- 맵시
  4. 내추성 -- 필링
(정답률: 알수없음)
  • 내추성과 필링은 서로 관계없는 성질입니다. 내추성은 옷감이 물러지는 성질을 나타내며, 필링은 옷감 표면에서 보푸라기가 생기는 성질을 나타냅니다. 반면에 강도와 내구성은 모두 옷감의 내구성과 관련된 성질이며, 흡습성과 땀은 모두 옷감의 수분 관련 성질이며, 드레이프성과 맵시는 모두 옷감의 늘어남과 관련된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천연섬유 중 동물성 섬유로 조직이 치밀하여 , 촉감이 좋고 우아한 윤택으로 품위가 있어 고급 옷감으로 많이 쓰이는 것은?

  1. 면직물
  2. 마직물
  3. 모직물
  4. 견직물
(정답률: 알수없음)
  • 견직물은 동물성 섬유 중에서도 가장 조직이 치밀하고 튼튼하여 내구성이 뛰어나며, 촉감이 부드럽고 우아한 윤택으로 품위가 있기 때문에 고급 옷감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물에 담구었을 때 가장 많이 강도가 저하되는 섬유는?

  1. 양모
  2. 무명
  3. 나일론
  4. 레이온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온은 셀룰로오스(나무)에서 만들어지는 인공섬유로, 물에 젖으면 섬유 내부의 구조가 불안정해져 강도가 크게 저하됩니다. 따라서 물에 담그면 가장 많이 강도가 저하되는 섬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의 섬유중에서 탄성 회복율이 가장 작은 섬유는?

  1. 나이론
  2. 레이온
(정답률: 알수없음)
  • 탄성 회복율이 작다는 것은 늘어난 상태에서 원래 길이로 돌아오는 능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면은 다른 섬유에 비해 탄성 회복율이 가장 낮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는 면이 물에 젖으면 더욱 늘어나고, 열에 의해 변형되기 쉬우며, 세탁 후에도 변형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조선초기 여자저고리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등길이가 짧다.
  2. 소매는 직배래에 통수이며 길이가 길다.
  3. 수구에는 넓은 끝동이 있었다.
  4. 깃, 섶, 겨드랑이 끝동 등이 동색이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선초기 여자저고리의 특징은 소매가 직배래에 통수이며 길이가 길고, 수구에는 넓은 끝동이 있었으며, 깃, 섶, 겨드랑이 끝동 등이 동색이었다. 따라서 등길이가 짧다는 것은 조선초기 여자저고리의 특징이 아니다. 이는 단순히 문제에서 제시한 사실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의 색료을 서로 혼합할 때 틀린 것은?

  1. 자주 + 노랑 = 빨강
  2. 자주 + 청록 = 파랑
  3. 노랑 + 청록 = 녹색
  4. 자주 + 녹색 = 검정
(정답률: 알수없음)
  • 자주와 녹색을 혼합하면 검정색이 나오지 않습니다. 이는 빛의 3원색과는 달리, 인쇄물의 3원색은 각각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주와 녹색을 혼합하면 갈색 또는 어두운 보라색이 나올 수 있지만 검정색은 나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전통적 여자 어린이 의복의 색은 어느 것인가?

  1. 노랑색 저고리, 다홍색 치마
  2. 노랑색 저고리, 초록색 치마
  3. 미색 저고리, 다홍색 치마
  4. 연분홍색 저고리, 꽃분홍색 치마
(정답률: 알수없음)
  • 전통적 여자 어린이 의복의 색은 노랑색과 다홍색이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노랑색은 햇빛을 받으면 더욱 빛나는 색으로, 건강하고 밝은 이미지를 상징합니다. 다홍색은 여성다운 우아하고 고상한 이미지를 상징합니다. 따라서 노랑색 저고리와 다홍색 치마가 전통적인 여자 어린이 의복의 대표적인 색상 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은 저고리의 깃 만드는 방법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깃감의 안쪽에 심감을 대고 시침한 다음 깃본을 대고 그린다.
  2. 깃머리의 홈질한 실을 잡아당겨서 한쪽으로 주름이 몰리게 꺽어 눌러 다린다.
  3. 깃의 모양을 예쁘게 만들려면 빳빳한 종이로 깃본을 떠서 사용한다.
  4. 깃머리부분의 시접을 0.5㎝정도 남기고 둥글게 베어낸 후 시접을 촘촘하게 홈질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깃머리의 홈질한 실을 잡아당겨서 한쪽으로 주름이 몰리게 꺽어 눌러 다린다."입니다.

    이유는 깃머리의 홈질한 실을 잡아당겨서 주름이 몰리게 꺽어 눌러 다리는 것은 깃머리를 고정시켜주는 작업으로, 깃의 모양을 예쁘게 만들기 위한 것이 아니라 깃을 제대로 착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깃머리를 고정시키지 않으면 깃이 뒤집어지거나 헐거워져 착용이 불편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은 적의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1. 내, 외명부의 대례복이었다.
  2. 바탕색이 검정색과 연두색이 있다.
  3. 세자 가례와 세손 가례 때에 빈궁법복으로 입었던 대례복이다.
  4. 장삼이라고도 하였다.
(정답률: 70%)
  • 세자 가례와 세손 가례 때에 빈궁법복으로 입었던 대례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남자 한복중에서 전통적인 배색인 것은?

  1. 옥색바지 저고리, 청옥색 조끼 마고자, 초록색 두루마기
  2. 흰바지, 옥색 저고리, 남색 조끼, 옥색 두루마기
  3. 회색 바지, 옥색 저고리, 자주색 조끼 마고자, 진회색 두루마기
  4. 살색 바지 저고리, 갈색 조끼 마고자, 짙은 수박색 두루마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흰바지, 옥색 저고리, 남색 조끼, 옥색 두루마기"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한복의 색상 중 하나인 옥색을 사용하고 있으며, 조화롭게 어우러진 색상 조합으로 인해 전통적인 느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흰색 바지와 남색 조끼는 전통적인 한복에서 자주 사용되는 색상이며, 옥색 저고리와 두루마기는 전통적인 한복의 디자인 요소 중 하나인 "강살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초에서 추출되는 천연 염료의 색상은?

  1. 자색
  2. 적색
  3. 황색
  4. 남색,청색
(정답률: 알수없음)
  • 지초에서 추출되는 천연 염료는 대개 안식향류로, 안식향류는 주로 자색색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색상이 자색인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오방색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 개성 있는 색상이면 오방색이다.
  2. 음양 오행을 바탕으로 하였다.
  3. 황, 홍, 청, 녹, 백이다.
  4. 계절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음양 오행을 바탕으로 하였다.

    오방색은 중국의 오행론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다섯 가지 원색인 황, 홍, 청, 녹, 백이 각각 하나의 오행과 연관되어 있다. 황색은 토(土), 홍색은 화(火), 청색은 수(水), 녹색은 목(木), 백색은 금(金)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를 음양 오행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오방색은 음양 오행을 바탕으로 하였다는 설명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한복에서의 대칭 균형에 속하는 것은?

  1. 조끼, 마고자, 전복
  2. 두루마기
  3. 저고리 여밈
  4. 숙고사 치마에 모시 적삼
(정답률: 알수없음)
  • 한복에서의 대칭 균형은 왼쪽과 오른쪽이 대칭을 이루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조끼, 마고자, 전복"이 대칭 균형에 속하는 이유는 이들은 왼쪽과 오른쪽이 대칭을 이루는 옷으로, 한쪽에 있는 디자인이 다른 쪽에도 동일하게 반영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색의 삼속성이 아닌 것은?

  1. 색광
  2. 색상
  3. 명도
  4. 채도
(정답률: 알수없음)
  • 색의 삼속성은 색상, 명도, 채도입니다. "색광"은 색의 속성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광원의 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색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얇은 견직물(뉴텐)로 저고리 제작시 견사 80 D(데니어)를 사용할 때 1㎝ 간의 땀새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 - 3땀
  2. 3 - 5땀
  3. 6 - 7땀
  4. 11 - 12땀
(정답률: 알수없음)
  • 견사 80 D는 얇은 견직물에 적합한 두께이며, 1㎝ 간의 땀새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땀흡수력이 필요합니다. "1 - 3땀"은 너무 적은 땀흡수력으로 땀이 바로 올라오게 되어 불편하며, "11 - 12땀"은 너무 많은 땀흡수력으로 땀이 너무 많이 흡수되어 무거워지고 불편합니다. 따라서, "3 - 5땀"보다는 땀흡수력이 좀 더 높은 "6 - 7땀"이 가장 적당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모시 손질법으로 틀린 것은?

  1. 섬유 조직상 심하게 문질러 빨지 않는다.
  2. 식물성 섬유지만 면보다 알칼리에 약함에 유의한다.
  3. 가볍게 눌러 탈수한다.
  4. 다림질은 옷감 안쪽에서 다린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림질은 옷감 안쪽에서 다리는 것이 옷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깔끔하게 다릴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옷감의 표면에서 다릴 경우 옷감이 더러워지거나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안쪽에서 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리미대는 다림질을 쉽게 하도록 한다. 다리미대의 덮개가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매끈하고 딱딱하여 주름이 없어야 한다.
  2. 다리미대의 덮개는 고온에 잘 견디어야 한다.
  3. 얼룩이 생기지 않고, 냄새나 좀벌레를 타지 않아야한다.
  4. 담요위에 목면천을 싸고 다리는 것이 이상적이다.
(정답률: 30%)
  • 다리미는 옷감의 주름을 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리미대의 덮개도 매끈하고 딱딱하여 주름이 없어야 옷감을 펴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다리미는 고온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다리미대의 덮개는 고온에 잘 견디어야 하며, 얼룩이 생기지 않고 냄새나 좀벌레를 타지 않아야 한다. 담요 위에 목면천을 싸고 다리는 것은 이상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치마 제작 시 겉주름 너비 2㎝, 허리통 80㎝, 치마폭을 210㎝ 라 하면, 주름 하나의 너비는?

  1. 5.8㎝
  2. 5.25㎝
  3. 4.75㎝
  4. 4.9㎝
(정답률: 알수없음)
  • 겉주름의 너비는 치마폭에서 허리통을 뺀 값의 절반입니다.

    따라서,

    겉주름 너비 = (치마폭 - 허리통) / 2

    = (210 - 80) / 2

    = 65

    그러나, 문제에서 주어진 단위는 cm 이므로,

    겉주름 너비 = 65cm / 12.4

    ≈ 5.25cm

    따라서, 정답은 "5.2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재봉틀로 바느질할 때 주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풀치마 주름너비는 1㎝ 정도가 알맞다.
  2. 주름은 겉자락쪽에서 안자락쪽으로 넘어지게 만든다.
  3. 통치마 아귀가 있는 맨끝은 겹쳐지므로 주름을 잡지 않는다.
  4. 주름 방향은 오른편으로 잡는 것이 잡기에 편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름 방향은 오른편으로 잡는 것이 잡기에 편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주름 방향은 개인의 선호나 편리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주름을 잡는 방법은 개인의 기술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유를 간단명료하게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재봉틀의 기구(sewing motion) 중 보내기 기구는?

  1. 바늘대기구
  2. 루우퍼기구
  3. 나이프기구
  4. 노루발기구
(정답률: 알수없음)
  • 보내기 기구는 바늘을 끌어올리고 내려서 실을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 바늘을 끌어올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 노루발기구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노루발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경수(센물)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표면 장력이 큰 물을 뜻한다.
  2. 비누의 용해도가 큰 물을 뜻한다.
  3. Ca, Mg, Fe 등의 금속을 함유하는 물을 뜻한다.
  4. 일반적으로 빗물을 뜻한다.
(정답률: 34%)
  • 경수(센물)은 Ca, Mg, Fe 등의 금속을 함유하는 물을 뜻합니다. 이는 이러한 금속들이 지하수나 지반에서 용해되어 녹아 나온 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두루마기의 밑단 시접은?

  1. 1.5∼2㎝
  2. 2∼3㎝
  3. 5∼6㎝
  4. 8∼9㎝
(정답률: 알수없음)
  • 두루마기의 밑단은 보통 바닥에 닿는 부분이므로 마찰이 많이 일어나고 또한 자주 세탁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시접 부분이 너무 짧으면 빠르게 풀리거나 찢어질 수 있으며, 너무 길면 불필요한 무게가 생겨 헐거워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두루마기의 밑단 시접은 5∼6㎝ 정도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저고리를 만들 때 시접이 가름솔인 것은?

  1. 겉섶
  2. 어깨솔기
  3. 진동
(정답률: 31%)
  • 저고리를 만들 때 시접이 가름솔인 이유는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시접이 가름솔이면 소재가 더 많이 겹쳐져서 두껍기 때문에 바늘을 꽂을 때 진동이 발생합니다. 이 진동은 바늘이 소재를 뚫을 때 발생하는 진동과는 다른 형태의 진동으로, 시접이 깔때 발생하는 진동입니다. 이러한 진동은 바늘이 소재를 뚫을 때 발생하는 진동보다 더 크기 때문에 시접이 가름솔인 경우 소재가 미끄러워져 바늘이 잘 밀리지 않고, 바늘 구멍이 커져서 시접이 풀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접이 가름솔인 경우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저고리 중 세탁시 시접이 가장 안전하게 된 것은?

  1. 솜 저고리
  2. 겹 저고리
  3. 박이 겹저고리
  4. 모시 적삼
(정답률: 알수없음)
  • 모시 적삼은 섬유의 구조가 빽빽하게 짜여져 있어 세탁 시 시접이 풀리지 않고 안전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모시 적삼이 다른 저고리들보다 세탁 시에 더욱 안전하게 유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저고리의 제도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삼회장 저고리는 진동선이 길 쪽으로 옮겨져 소매길이가 길다.
  2. 민저고리의 화장은 치수 그대로 사용한다.
  3. 곁마기는 제도를 해 옷감 위에 놓고 식서에 맞춰서 마름질한다.
  4. 깨끼저고리를 색동으로 제도할 때 색동선은 꼭 그려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깨끼저고리를 색동으로 제도할 때 색동선은 꼭 그려서 한다."가 옳지 못한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깨끼저고리는 일반적으로 색동으로 제도되며, 색동선은 꼭 그려서 제도합니다. 이는 깨끼저고리의 디자인과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은 설명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한복 겹치마 단의 시접 방향은?

  1. 가름솔로 한다.
  2. 쌈솔로 한다.
  3. 단쪽으로 꺾는다.
  4. 겉쪽으로 꺾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한복 겹치마 단은 허리에서 시작하여 발목까지 내려오는 긴 치마입니다. 이 치마의 시접은 허리 부분에서 만들어지며, 이때 단을 접는 방향에 따라 시접 방향이 결정됩니다. 겹치마 단의 경우, 단쪽으로 꺾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는 겹치마 단을 입었을 때 자연스러운 모양을 만들기 위함입니다. 겹치마 단을 단쪽으로 꺾으면 허리 부분에서는 더 많은 움직임이 가능해지며, 발목 부분에서는 자연스러운 흐름을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겹치마 단의 시접 방향은 단쪽으로 꺾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얼룩빼기 방법으로 틀리게 설명된 것은?

  1. 파라핀: 신문지를 놓고 다린 다음 증열 처리한다.
  2. 혈액: 암모니아수로 닦은 다음 흰색은 표백한다.
  3. 홍차: 비눗물로 닦은 뒤 증열 처리한다.
  4. 잉크: 3%정도의 수산용액으로 처리한다.
(정답률: 50%)
  • 홍차는 얼룩을 제거하기 위해 증열 처리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세탁 시 사용하는 비눗물로 닦은 뒤 세탁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증열 처리는 일부 옷감에는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면이나 마직물의 엷은 감을 재봉할 때 실의 굵기는 얼마가 적당한가?

  1. 면사 60 - 80번수
  2. 모사 50 - 60번수
  3. 견사 100 - 80 Denier
  4. 면사 40 - 60 Denier
(정답률: 알수없음)
  • 면이나 마직물의 엷은 감을 재봉할 때는 실의 굵기가 얇아야 하며, 이는 면사 60 - 80번수가 적당하다. 면사 번수는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번수가 작을수록 실이 얇아지고, 번수가 클수록 실이 두꺼워진다. 따라서 면이나 마직물의 엷은 감을 재봉할 때는 얇은 실인 면사 60 - 80번수가 적당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재봉틀에서 최후에 실을 끼는 것은?

  1. 실채기
  2. 바늘
  3. 실조절기
(정답률: 알수없음)
  • 재봉틀에서 실을 끼우기 위해서는 바늘이 필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실을 다루는데 필요한 도구이지만, 바늘은 실을 재봉틀에 꿰는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최후에 실을 끼우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두루마기를 재봉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아닌 것은?

  1. 무는 사선을 길 쪽에 단다.
  2. 무재단 길이는 두루마기 길이에서 진동을 뺀 후 위 아래 시접을 준 길이로 재단한다.
  3. 필요치수는 가슴둘레, 두루마기길이, 화장 등이다.
  4. 깃, 섶 등에 심을 넣지 않는 것이 바느질에 편안하고 옷을 완성 후 반반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깃, 섶 등에 심을 넣지 않는 것이 바느질에 편안하고 옷을 완성 후 반반하다."가 정답입니다. 이유는 깃이나 섶 등에 심을 넣으면 바느질이 불편해지고 옷을 완성한 후에도 깃이나 섶이 불규칙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깃이나 섶을 사용하지 않고 바느질을 하면 옷을 완성한 후에도 깔끔하고 균일한 모양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전복의 옆트임 치수로 적합한 것은?

  1. 2‾3cm
  2. 3‾4cm
  3. 7‾8cm
  4. 10‾18cm
(정답률: 알수없음)
  • 전복의 옆트임 치수는 전복의 크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치수는 전복의 껍데기의 가장 긴 부분과 가장 짧은 부분의 길이 차이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전복의 옆트임 치수가 작으면 전복의 크기가 작고, 크면 전복의 크기가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의 보기에서는 "2‾3cm", "3‾4cm", "7‾8cm", "10‾18cm"의 네 가지 옵션이 주어졌습니다. 이 중에서 전복의 크기가 적당한 것은 "7‾8cm"입니다.

    이유는, "2‾3cm"과 "3‾4cm"은 전복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상업적으로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합니다. 반면에 "10‾18cm"은 전복의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고, 조리하기도 어렵습니다.

    따라서, "7‾8cm"은 전복의 크기가 적당하며, 상업적으로 이용하기에도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장식을 겸한 바느질로 홑옷의 가름솔 위, 조끼의 장식박음 적삼이나 고의 등 박이옷에 많이 쓰이는 바느질은?

  1. 가름솔
  2. 통솔
  3. 곱솔
  4. 상침박기
(정답률: 알수없음)
  • 상침박기는 장식을 겸한 바느질로, 옷의 가장자리나 장식 부분에 사용됩니다. 가름솔은 옷의 가운데를 가르는 선을 만드는 바느질, 통솔은 옷의 솔기를 잡아주는 바느질, 곱솔은 옷의 주름을 잡아주는 바느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양단으로 홑치마를 만들 때 치마단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1. 상침박기
  2. 홈질하기
  3. 공그르기
  4. 감치기
(정답률: 알수없음)
  • 양단으로 홑치마를 만들 때 치마단은 공그르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양단의 신축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치마단의 모양을 잡아주기 때문입니다. 상침박기나 홈질하기는 양단의 신축성을 제한하고, 감치기는 치마단의 모양을 잡아주지 못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수산에 처리하여 가장 깨끗하게 될 수 있는 얼룩은?

  1. 쇠녹
  2. 곰팡이
  3. 고추장
  4. 단백질
(정답률: 25%)
  • 쇠녹은 곰팡이와 달리 물에 녹아들어가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수산에서 가장 깨끗하게 처리될 수 있습니다. 고추장과 단백질은 수산과는 관련이 없는 보기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가장자리를 장식하는 상침으로 손바느질의 명칭은?

  1. 고운 홈질
  2. 온 박음질
  3. 보통 시침
  4. 장식 상침
(정답률: 알수없음)
  • 문제에서 언급한 것처럼, 이 질문은 "가장자리를 장식하는" 것에 대한 것입니다. "장식 상침"은 가장자리를 장식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장식 상침"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옷을 장기간 보관시 푸새를 하지 않는 이유는 ?

  1. 구김살을 막기 위해
  2. 접는 부분이 부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3. 빳빳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4. 해충의 피해를 막기 위해
(정답률: 알수없음)
  • 옷을 장기간 보관할 때, 해충이 옷에 먹이를 먹거나 알을 낳아 옷을 파손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옷을 보관할 때는 해충의 피해를 막기 위해 적절한 방법으로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남자 조끼 마름질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조끼는 옷 본 모양대로 곡선 재단한다.
  2. 겉감으로 안단과 주머니 입술 감을 마른다.
  3. 110cm 폭 소요량은 조끼 길이 × 2 + 시접
  4. 각 부분의 시접은 1∼1.5cm정도로 한다.
(정답률: 20%)
  • "조끼는 옷 본 모양대로 곡선 재단한다.", "겉감으로 안단과 주머니 입술 감을 마른다.", "각 부분의 시접은 1∼1.5cm정도로 한다."는 모두 적당한 설명이지만, "110cm 폭 소요량은 조끼 길이 × 2 + 시접"은 설명이 부족합니다. 이유는 왜 110cm 폭이 필요한지, 그리고 조끼 길이와 시접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한복감에 풀먹이는 방법이 맞지 않는 것은?

  1. 풀을 곱게 개어 고운체에 받쳐 놓는다.
  2. 풀 먹일 옷감은 바짝 마른 것이 좋다.
  3. 옷감을 넣고 풀이 속까지 베어 들도록 골고루 문질러 꼭 짠다.
  4. 다듬이질 할 것은 풀의 농도를 세게하고 다림질 할 것은 약하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풀 먹일 옷감은 바짝 마른 것이 좋다."는 옷감에 풀을 먹이는 과정에서 옷감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풀을 먹이는 과정에서 옷감이 축소되면 옷의 크기나 모양이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바짝 마른 옷감을 사용하여 축소를 최소화하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레이온을 세탁할 때 반드시 피해야 할 것은?

  1. 중성 세제
  2. 직사 일광
  3. 심하게 비틀어짜기
  4. 드라이클리닝
(정답률: 알수없음)
  • 레이온은 섬유 자체가 약하기 때문에 심하게 비틀어짜면 섬유가 손상되어 변형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탁 시에는 부드럽게 짜서 물기를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한복에 맞는 장신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반지
  2. 노리개
  3. 비녀
  4. 목걸이
(정답률: 알수없음)
  • 한복에 맞는 장신구는 대개 얼굴 주변에 착용하는 것이 많은데, 반지, 노리개, 비녀는 모두 얼굴 주변에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한복에 잘 어울립니다. 하지만 목걸이는 얼굴과는 거리가 있어서 한복에 어울리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오방장이란 무엇인가?

  1. 머리에 쓰는 관이다.
  2. 방한용 덧저고리이다.
  3. 어린이 두루마기이다.
  4. 예복용 신의 일종이다.
(정답률: 40%)
  • 오방장은 어린이들이 입는 두루마기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어른들이 입는 의류나 액세서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조선시대 문무관이 융복으로 착용했던 포의 명칭은?

  1. 전복
  2. 철릭
  3. 답호
  4. 창의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선시대 문무관이 융복으로 착용했던 포의 명칭은 "철릭"입니다. 이는 포의 모양이 철릭(철사를 꼬아 만든 물건)과 비슷하다는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예장을 갖출 때 착용하는 치마가 아닌 것은?

  1. 대란치마
  2. 스란치마
  3. 두루치
  4. 대슘치마
(정답률: 알수없음)
  • 예장을 갖출 때 착용하는 치마는 대란치마, 스란치마, 대슘치마이지만, 두루치는 예장을 갖출 때 착용하지 않는 치마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신라 태종 때 당(唐)의 복식이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조선 조까지 전승된 부녀예복은?

  1. 원삼
  2. 당의
  3. 대란치마
  4. 활옷
(정답률: 알수없음)
  • 신라 태종 때 당나라와의 교류가 활발했고, 이에 따라 당나라의 복식이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습니다. 이 중에서도 부녀예복은 특히 유명하며, 조선 시대까지 전승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당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고려시대 민서 여복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머리모양은 출가하기 전에는 흑라로 묶었고 그 나머지는 뒤에 내렸다.
  2. 몽수는 귀녀들만 사용하는 쓰개였다.
  3. 민서 부녀들도 선군을 입었다.
  4. 선군은 7합무지기 속치마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민서 부녀들도 선군을 입었다는 것은, 고려시대 민서 지방의 여성들도 전쟁에 참여하며 선군을 입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고려시대 여성들이 사회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이 넓었음을 보여주는 사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조선왕조시대 백관의 조복과 관계가 없는 것은?

  1. 폐슬
  2. 적초의상
  3. 흉배
  4. 백초중단
(정답률: 60%)
  • 흉배는 조선왕조시대 백관의 조복과 관계가 없습니다. 흉배는 신분이 낮은 사람들이 입던 옷으로, 백관들은 입지 않았습니다. 폐슬은 왕과 왕비가 입었던 겉옷, 적초의상은 백관들이 입었던 겉옷, 백초중단은 백관들이 입었던 속옷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조선조 백관복의 제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조복
  2. 편복
  3. 제복
  4. 상복
(정답률: 19%)
  • 조선조 백관복의 제도에 속하지 않는 것은 "편복"입니다. 편복은 일반적으로 민간인들이 입는 옷으로, 백관들이 입는 공식적인 의복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조선시대 백관들은 주로 조복, 제복, 상복을 입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치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의복을 착용하게 되었다고 보는 견해는?

  1. 비정숙설
  2. 정숙설
  3. 장식설
  4. 보호설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견해는 사람들이 의복을 착용하는 이유를 단순히 장식이나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해서라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장식설"이라고 부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조선시대의 왕의 조복(朝服)은?

  1. 원유관에 곤룡포
  2. 면류관에 곤복
  3. 원유관에 강사포
  4. 익선관에 곤룡포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선시대 왕의 조복은 원유관, 면류관, 익선관으로 나뉘며, 각각에 맞는 포(袍)를 입었습니다. 원유관은 대궐에서 열리는 대제(大祭)나 대왕대(大王臺)에서 입는 의복으로, 강사포는 그 중에서도 가장 현저한 특징을 가진 포였습니다. 강사포는 청색의 포로, 가운데에 금색으로 무늬를 그려 넣었으며, 이를 통해 왕의 위엄과 권위를 상징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남자(男子)바지 입는 법으로 옳은 것은?

  1. 큰 사폭
  2. 작은 사폭
  3. 마루폭
  4. 사폭솔기
(정답률: 알수없음)
  • "큰 사폭"은 허리와 엉덩이 부분이 넓게 떨어지는 바지로, 허리와 엉덩이가 넓은 사람이 입기에 편안하며 더욱 스타일리시한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남자 바지를 입는 방법으로는 "큰 사폭"이 옳은 선택입니다. "작은 사폭"은 반대로 허리와 엉덩이 부분이 좁게 떨어지는 바지로, 날씬한 체형의 사람이 입기에 적합합니다. "마루폭"은 바지의 밑단이 넓게 퍼지는 디자인으로, 부츠와 같은 신발과 함께 매치하기 좋습니다. "사폭솔기"는 바지의 밑단이 좁게 떨어지는 디자인으로, 슬림한 신발과 함께 매치하기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통적인 한복의 배색이 아닌 것은?

  1. 다홍색 치마에 초록색 저고리
  2. 남색 치마에 분홍색 저고리
  3. 자주색 치마에 옥색 저고리
  4. 초록색 치마에 노랑 저고리
(정답률: 알수없음)
  • 전통적인 한복의 배색은 주로 대비가 강한 색상을 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초록색과 노랑색은 대비가 적어 조화롭지 않은 조합으로 여겨집니다. 따라서 초록색 치마에 노랑 저고리는 전통적인 한복의 배색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노리개는 계절에 따라 패용하는 것이 다르다. 8월 보름에 패용했던 노리개는?

  1. 비취 노리개
  2. 옥 노리개
  3. 삼작 노리개
  4. 옥장도 노리개
(정답률: 알수없음)
  • 8월 보름은 추석이기 때문에, 추석에 많이 사용되는 삼작 노리개를 패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치마색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출가해서 아기를 낳을때까지는 주로 남치마를 입는다
  2. 중년이 되면 옥색계통을 주로 입는다.
  3. 내외가 공존하는 이는 아무리 늙어도 큰 일이 있을 때에는 남치마로 입는다.
  4. 과부는 회색계통을 입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외가 공존하는 이는 아무리 늙어도 큰 일이 있을 때에는 남치마로 입는다."는 결혼한 여성이라면 언제나 남편의 지위와 권력을 대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전통적인 생각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따라서 큰 일이 있을 때에는 남편의 지위와 권력을 대변하는 남치마를 입는 것이 적절하다고 여겨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조선조 백관의 조복(朝服)과 제복(祭服)은?

  1. 조복에는 적초의, 제복에도 적초의
  2. 조복에는 적초의, 제복에는 청초의
  3. 조복에는 청초의, 제복에도 청초의
  4. 조복에는 청초의, 제복에는 적초의
(정답률: 알수없음)
  • 조선조 백관의 조복은 일상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적초의 색상을 사용하였고, 제복은 국가의 중요한 행사나 제례에서 착용하는 것이므로 청초의 색상을 사용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복에는 적초의, 제복에는 청초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