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임의 구분
1. 춘추용 한복재료로 사용하기에 가장 좋은 옷감은?
2. 다음중에서 섬유를 감별할 때 연소법으로 감별하기가 어려운 섬유는?
3. 여름철 한복감으로 제일 적당한 것은?
4. 워시앤드웨어 (wash and wear)성을 가진 대표적인 섬유로 혼방 직물에 많이 이용되는 섬유는?
5. 섬유의 강도 단위로 나타내는 것은?
6. 견직물의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7. 다음 옷감의 성질 중 서로 관계없이 짝지어진 것은?
8. 천연섬유 중 동물성 섬유로 조직이 치밀하여 , 촉감이 좋고 우아한 윤택으로 품위가 있어 고급 옷감으로 많이 쓰이는 것은?
9. 물에 담구었을 때 가장 많이 강도가 저하되는 섬유는?
10. 다음의 섬유중에서 탄성 회복율이 가장 작은 섬유는?
11. 다음 중 조선초기 여자저고리의 특징이 아닌 것은?
12. 다음의 색료을 서로 혼합할 때 틀린 것은?
13. 전통적 여자 어린이 의복의 색은 어느 것인가?
14. 다음은 저고리의 깃 만드는 방법이다. 옳지 않은 것은?
15. 다음은 적의에 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16. 다음 남자 한복중에서 전통적인 배색인 것은?
17. 지초에서 추출되는 천연 염료의 색상은?
18. 다음 중 오방색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19. 한복에서의 대칭 균형에 속하는 것은?
20. 색의 삼속성이 아닌 것은?
2과목: 임의 구분
21. 얇은 견직물(뉴텐)로 저고리 제작시 견사 80 D(데니어)를 사용할 때 1㎝ 간의 땀새로 가장 적당한 것은?
22. 모시 손질법으로 틀린 것은?
23. 다리미대는 다림질을 쉽게 하도록 한다. 다리미대의 덮개가 가장 부적당한 것은?
24. 치마 제작 시 겉주름 너비 2㎝, 허리통 80㎝, 치마폭을 210㎝ 라 하면, 주름 하나의 너비는?
25. 재봉틀로 바느질할 때 주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26. 재봉틀의 기구(sewing motion) 중 보내기 기구는?
27. 경수(센물)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28. 두루마기의 밑단 시접은?
29. 저고리를 만들 때 시접이 가름솔인 것은?
30. 다음 저고리 중 세탁시 시접이 가장 안전하게 된 것은?
31. 저고리의 제도를 설명한 것으로 옳지 못한 것은?
32. 한복 겹치마 단의 시접 방향은?
33. 얼룩빼기 방법으로 틀리게 설명된 것은?
34. 면이나 마직물의 엷은 감을 재봉할 때 실의 굵기는 얼마가 적당한가?
35. 재봉틀에서 최후에 실을 끼는 것은?
36. 두루마기를 재봉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아닌 것은?
37. 전복의 옆트임 치수로 적합한 것은?
38. 장식을 겸한 바느질로 홑옷의 가름솔 위, 조끼의 장식박음 적삼이나 고의 등 박이옷에 많이 쓰이는 바느질은?
39. 양단으로 홑치마를 만들 때 치마단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40. 수산에 처리하여 가장 깨끗하게 될 수 있는 얼룩은?
3과목: 임의 구분
41. 가장자리를 장식하는 상침으로 손바느질의 명칭은?
42. 옷을 장기간 보관시 푸새를 하지 않는 이유는 ?
43. 남자 조끼 마름질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44. 한복감에 풀먹이는 방법이 맞지 않는 것은?
45. 레이온을 세탁할 때 반드시 피해야 할 것은?
46. 한복에 맞는 장신구의 종류가 아닌 것은?
47. 오방장이란 무엇인가?
48. 조선시대 문무관이 융복으로 착용했던 포의 명칭은?
49. 예장을 갖출 때 착용하는 치마가 아닌 것은?
50. 신라 태종 때 당(唐)의 복식이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조선 조까지 전승된 부녀예복은?
51. 고려시대 민서 여복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52. 다음 중 조선왕조시대 백관의 조복과 관계가 없는 것은?
53. 다음 중 조선조 백관복의 제도에 속하지 않는 것은?
54. 치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의복을 착용하게 되었다고 보는 견해는?
55. 다음 중 조선시대의 왕의 조복(朝服)은?
56. 남자(男子)바지 입는 법으로 옳은 것은?
57. 전통적인 한복의 배색이 아닌 것은?
58. 노리개는 계절에 따라 패용하는 것이 다르다. 8월 보름에 패용했던 노리개는?
59. 다음 중 치마색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60. 조선조 백관의 조복(朝服)과 제복(祭服)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