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공예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10-05)

도자기공예기능사
(2003-10-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다음 공예의 특성 중 다량성과 관계가 가장 깊은 것은?

  1. 법칙성
  2. 모양성
  3. 간접성
  4. 저렴성
(정답률: 94%)
  • 다량성은 한 번에 많은 양을 생산할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이 가능해지는데, 이는 대량 생산으로 인한 경제적 이점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량성과 가장 관련이 깊은 특성은 저렴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텍스츄어(Texture)란 무엇을 말하는가?

  1. 균형감
  2. 재질감
  3. 입체감
  4. 운동감
(정답률: 97%)
  • 텍스츄어(Texture)란 시각적으로나 촉각적으로 느껴지는 재질감을 말합니다. 따라서 "재질감"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디자인의 원리 중 율동(rhythm)과 관계가 있는 것은?

  1. 집중(centrality)
  2. 대비(contrast)
  3. 대칭(symmetry)
  4. 연속(continuity)
(정답률: 96%)
  • 율동(rhythm)은 일정한 패턴이나 반복적인 움직임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율동을 만들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요소들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연속(continuity)이 율동(rhythm)과 관계가 있습니다. 연속적인 요소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되면서 율동을 만들어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이웃하는 두 항의 비가 일정한 수열에 의한 비례로서, 최초의 항과 비례를 두는 데 따라서 여러가지 비례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예 : 1:2:4:8:16...)

  1. 피보나치 수열
  2. 펠수열
  3. 조화수열
  4. 등비수열
(정답률: 93%)
  • 이웃하는 두 항의 비가 일정한 수열을 등비수열이라고 합니다. 등비수열은 최초의 항과 비례를 두는 데 따라서 여러가지 비례를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2:4:8:16은 1과 2의 비율이 1:2이고, 2와 4의 비율이 1:2이며, 4와 8의 비율이 1:2이고, 8과 16의 비율이 1:2입니다. 따라서 이 수열은 등비수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유럽의 근대화에 가장 큰 계기가 된 것은?

  1. 유겐트 스틸
  2. 산업혁명
  3. 아루누보
  4. 디자인혁명
(정답률: 98%)
  • 유럽의 근대화에 가장 큰 계기는 산업혁명이었습니다. 산업혁명은 기계화와 대량생산을 통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고, 이로 인해 경제적 발전과 함께 기술적 발전과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유럽은 세계적으로 강력한 경제 대국으로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백제시대 공예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신라와 일본에 공예문화를 전함
  2. 우아하고 미의식이 세련된 조형
  3. 맑고 단순한 개성의 표현
  4. 토우와 이형토기의 유물이 삼국 중 가장 많음
(정답률: 91%)
  • 백제시대 공예는 대부분 맑고 단순한 개성의 표현을 중시하였으며, 우아하고 미의식이 세련된 조형을 가졌습니다. 그러나 토우와 이형토기의 유물이 삼국 중 가장 많은 것은 백제시대 공예의 특성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백제시대에도 토우와 이형토기가 많이 생산되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색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색의 3속성은 명도, 채도, 대비이다.
  2. 채도가 높은 색 일수록 명도가 높다.
  3. 채도가 낮은 색은 탁한색이다.
  4. 순색은 모두 같은 채도이다.
(정답률: 75%)
  • 채도는 색의 선명도를 나타내는 속성으로, 채도가 높을수록 색이 선명하고 진하게 보입니다. 따라서 채도가 낮은 색은 색이 탁하고 무채색에 가까운 느낌을 줍니다. 이는 색의 명도와는 별개의 속성이므로, 채도가 높은 색이라고 해서 반드시 명도가 높은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색광 혼합 중 틀린 것은?

  1. 빨강(R) + 녹색(G) = 노랑(Y)
  2. 녹색(G) + 파랑(B) = 청록(C)
  3. 파랑(B) + 빨강(R) = 자주(M)
  4. 빨강(R) + 녹색(G) + 파랑(B) = 검정(BL)
(정답률: 87%)
  • "빨강(R) + 녹색(G) + 파랑(B) = 검정(BL)"이 틀린 것입니다.

    빨강, 녹색, 파랑은 각각 색상의 기본 삼원색이며, 이들을 혼합하면 다양한 색상이 나타납니다.

    빨강과 녹색을 혼합하면 노랑이 되고, 녹색과 파랑을 혼합하면 청록이 되며, 파랑과 빨강을 혼합하면 자주가 됩니다.

    하지만 빨강, 녹색, 파랑을 모두 혼합하면 검정이 아니라 흑색이 됩니다. 검정은 삼원색 중 파랑을 강조하여 혼합한 색상입니다.

    따라서 "빨강(R) + 녹색(G) + 파랑(B) = 검정(BL)"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먼셀(Munsell)의 색표기에서 빨강을 5R 4/14로 표기하는데 여기에서 명도는?

  1. 5
  2. R
  3. 4
  4. 14
(정답률: 83%)
  • 먼셀 색표기에서 "5R"은 색상을 나타내며, "4/14"는 색의 명도와 채도를 나타냅니다. 여기서 "4"는 명도를 나타내며, 0부터 10까지의 숫자로 표현됩니다. 숫자가 작을수록 어두운 색이며, 큰 수일수록 밝은 색입니다. 따라서 "4/14"에서 명도가 4이므로 이 색은 어두운 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그림 중 색의 중량감을 이용했을 때 가장 안정감이 있는 것은?

(정답률: 94%)
  • 정답은 ""입니다.

    색의 중량감은 색의 진한 정도와 밝은 정도를 조절하여 색의 무게감을 느끼게 하는 것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검은색이 가장 진하고 무게감이 있으며, 노란색과 빨간색이 밝고 가벼운 느낌을 줍니다. 따라서 검은색이 중심에 위치하여 안정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림 중 ""은 빨간색과 초록색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어 중심이 없고 불안정한 느낌을 줍니다. ""는 노란색과 파란색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어 중심이 없고 불안정한 느낌을 줍니다. ""는 빨간색과 노란색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어 중심이 없고 불안정한 느낌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배색 중 가장 색상차이가 큰 것은?

(정답률: 98%)
  • 가장 색상차이가 큰 것은 "" 입니다. 이유는 빨간색과 파란색은 색상환에서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색상차이가 가장 큽니다. 다른 배색들은 색상차이가 작거나 비슷한 색상들끼리 조합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도면을 접을 때 겉으로 드러나게 정리해야 하는 부분은?

  1. 조립도가 있는 부분
  2. 표제란이 있는 부분
  3. 재료표가 있는 부분
  4. 부품도가 있는 부분
(정답률: 88%)
  • 표제란이 있는 부분은 도면의 제목, 작성자, 작성일 등 중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접을 때 겉으로 드러나게 정리해야 합니다. 이 정보를 놓치면 도면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필요한 정보를 찾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표제란이 있는 부분은 항상 보이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축척(縮尺)의 척도는?

  1. 1/2
  2. 1/1
  3. 2/1
  4. 4/1
(정답률: 88%)
  • 정답은 "1/2"입니다. 축척은 지도상의 거리와 실제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인데, 이 경우 1cm의 지도 거리가 실제 세계에서는 2cm의 거리를 나타내므로 축척은 1/2입니다. 즉, 지도상의 거리가 실제 거리의 1/2로 축소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치수 기입시에 필요하지 않는 선은?

  1. 치수 보조선
  2. 치수선
  3. 지시선
  4. 이점쇄선
(정답률: 83%)
  • 이점쇄선은 치수를 나타내는 선이 아니라, 도면상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입니다. 따라서 치수를 기입할 때는 치수 보조선, 치수선, 지시선이 필요하지만 이점쇄선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원과 같은 면적의 정사각형을 작도할 때, 어느 점을 각각 중심으로 AB를 반지름으로한 원호를 그리는가?

  1. A, B
  2. C, D
  3. E, F
  4. B, D
(정답률: 92%)
  • 정사각형의 대각선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의 루트 2배이므로, 원의 지름은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와 같다. 따라서, 원의 중심은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교점인 정중앙에 위치해야 한다. 이 중 정사각형의 중심을 지나는 대각선과 교차하는 두 점이 바로 AB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호를 그리는 점이므로, 정답은 "B, 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그림과 같이 주어진 직선 AB를 수직 2등분 할 때 맞지 않는 것은?

  1. AE = BE
  2. AC = BC
  3. AE = CE
  4. CD ⊥ AB
(정답률: 87%)
  • 직각삼각형 ADC에서 CD ⊥ AB 이므로, 세모 ADC와 세모 BAC는 서로 비례한다. 따라서 AC/AD = BC/AB 이고,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AC × AB = BC × AD 이다. 이때 AB를 수직 2등분하면 AE = EB 이므로, AC × AE = BC × AD/2 이다. 마찬가지로 AB를 수직 2등분하면 CE = ED 이므로, AC × CE = BC × AD/2 이다. 따라서 AE = CE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3소점에 의한 투시 형태는?

(정답률: 88%)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3개의 소점이 모두 한 점에서 만나는 형태로, 이러한 형태를 트리플 포인트(Triple Point)라고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2개의 소점이 만나는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원근감을 갖도록 나타낸 그림은?

  1. 투시도
  2. 등각 투상도
  3. 부등각 투상도
  4. 정투상도
(정답률: 82%)
  • 정답: 투시도

    설명: 그림에서는 뒤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원근감이 나타나 있습니다. 이는 투시법을 사용하여 그린 것입니다. 투시법은 물체를 시야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방법으로, 시야에서 가까운 물체는 크게, 멀리 있는 물체는 작게 그려집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투시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곡선의 심리적 영향에 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복잡하다.
  2. 불명료하다.
  3. 유연하다.
  4. 남성적이다.
(정답률: 95%)
  • "남성적이다"는 곡선의 심리적 영향에 대한 설명이 아니라, 곡선이 가진 성격이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보기들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순색에 검정색을 혼합하면 명도와 채도는 어떻게 되는가?

  1. 채도는 낮아지고 명도는 높아진다.
  2. 채도는 높아지고 명도는 낮아진다.
  3. 채도와 명도가 높아진다.
  4. 채도와 명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81%)
  • 검정색은 모든 색상 중에서 가장 어두운 색상입니다. 따라서 순색에 검정색을 혼합하면 색상이 어두워지면서 명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검정색은 채도가 0이므로 채도도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채도와 명도가 낮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 중 명도대비가 가장 강한 배색은?

  1. 빨강과 검정
  2. 검정과 노랑
  3. 회색(N7)과 흰색
  4. 파랑과 회색(N5)
(정답률: 91%)
  • 명도대비란 색상의 밝기와 어두움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검정은 가장 어두운 색상 중 하나이며, 노랑은 밝은 색상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검정과 노랑은 명도대비가 가장 큰 배색 중 하나입니다. 빨강과 검정, 회색(N7)과 흰색, 파랑과 회색(N5)은 명도대비가 작거나 중간 정도이기 때문에 검정과 노랑보다 명도대비가 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색채조절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위험을 줄이고 안전도를 높인다.
  2. 생활의 능률을 올린다.
  3. 피로를 회복하고 생활의 명랑화를 꾀한다.
  4. 사치하고 화려한 생활을 누린다.
(정답률: 99%)
  • "사치하고 화려한 생활을 누린다."는 색채조절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색채조절은 일상생활에서 시각적인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며, 위험을 줄이고 안전도를 높이거나 생활의 효율을 높이는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치하고 화려한 생활을 누리는 것은 색채조절과는 관련이 없는 개인적인 욕구나 취향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자기 소지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흡수성이 거의 없다.
  2. 소성후 때리면 금속성을 낸다.
  3. 기계적 강도가 크다.
  4. 투광성이 없다.
(정답률: 88%)
  • 투광성이 없다는 것은 빛을 통과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자기 소지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자기를 만들 때 용융온도를 낮추는 융제역할을 하는 원료는?

  1. 규석
  2. 점토
  3. 납석
  4. 장석
(정답률: 72%)
  • 장석은 규산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어 용융점이 높아 자기를 만들 때 용융온도를 낮추는 융제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장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규회석은 어떤 소성용 소지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부분 소성
  2. 느린 소성
  3. 보통 소성
  4. 신속 소성
(정답률: 88%)
  • 규회석은 신속 소성이 가장 좋은 소지 원료입니다. 이는 규회석이 빠른 속도로 소성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작 과정에서 시간을 절약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알루미나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내화도가 SK22 이다.
  2. 용융온도가 2050℃ 이다.
  3. 비중이 2.97 이다.
  4. 흑색 분말이다.
(정답률: 68%)
  • 알루미나는 내화도가 SK22이며, 이는 고온에서 내화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알루미나는 비중이 2.97이며, 이는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마지막으로, 알루미나는 용융온도가 2050℃이며, 이는 고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알루미나가 고온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석회석의 주성분은?

  1. 실리카
  2. 알루미나규산염
  3. 탄산칼슘
  4. 인산칼슘
(정답률: 85%)
  • 석회석은 화학식이 CaCO3인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미세한 엽상결정의 집합체로 윤활성이 있으며 유약에 사용하면 광택이 좋아지는 원료는?

  1. 석회석
  2. 활석
  3. 유백석
  4. 백운석
(정답률: 71%)
  • 활석은 미세한 결정체로 구성되어 있어 윤활성이 뛰어나며, 유약에 사용하면 광택이 좋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활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유약의 표면 및 외관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결정유
  2. 매트유
  3. 광택유
  4. 프릿유
(정답률: 83%)
  • 프릿유는 유약의 표면 및 외관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유약의 성분 중 하나인 프릿(pigment)의 함량에 따라 분류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유약의 표면 및 외관에 따라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도자기 안료 중 산화 제2철을 사용하여 만든 것은?

  1. 진사(辰砂)
  2. 청화(靑華)
  3. 철사(鐵砂)
  4. 오수(吳須)
(정답률: 94%)
  • 산화 제2철은 철을 산화시켜 얻는 화합물로, 색소로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철사는 적갈색을 띠며, 도자기 안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코디어라이트질 내화갑의 설명에 맞는 것은?

  1. 비교적 고온소성의 것에 효과적이다.
  2. 비교적 저온소성의 것에 효과적이다.
  3. 산화에 의한 소모가 큰것이 결점이다.
  4. 가격이 상당히 고가(高價)이다.
(정답률: 66%)
  • 코디어라이트질은 내화갑으로 사용되는데, 내화갑은 고온에서 내화성능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코디어라이트질은 비교적 저온에서도 내화성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비교적 저온소성의 것에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대단히 미세한 알갱이로 주광물은 몬모릴로나이트이고 점력이 매우 강하며 대부분 물 속에서 팽윤하는 것은?

  1. 와목점토
  2. 목절점토
  3. 벤토나이트
  4. 내화점토
(정답률: 96%)
  • 주광물은 물 속에서 팽윤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 벤토나이트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물 분자를 흡착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물 속에서 높은 팽윤성을 보입니다. 따라서 벤토나이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소성 점토의 성질이 아닌 것은?

  1. 건조강도가 매우 센 미립자로 되어 있다.
  2. 소성 범위가 넓다.
  3. 가소성이 매우 크다.
  4. 일반적으로 유기물이 섞여 있지 않다.
(정답률: 92%)
  • 가소성 점토는 고온에서 가열되면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강도가 매우 센 미립자로 변화하며, 이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소성 범위가 넓고 가소성이 매우 크다는 특징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유기물이 섞여 있지 않다는 것은 가소성 점토의 성질이 아니라, 가소성 점토가 사용되는 용도나 제조과정에서 유기물이 철저하게 제거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콜로이드에 의한 착색이 되는 원소는?

  1. 구리
  2. 코발트
  3. 크롬
  4. 아연
(정답률: 82%)
  • 콜로이드란 물질이 물 속에서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구리는 콜로이드 형태로 물 속에서 분산되어 있을 때, 물질의 표면에 존재하는 전하와 상호작용하여 색을 나타내게 됩니다. 따라서 구리는 콜로이드에 의해 착색이 되는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유약용 슬립이 갖추어야 할 성질 중 잘못된 것은?

  1. 침강속도가 느려야 한다.
  2. 유동성(저점도)이 커야 한다.
  3. 건조할 때 수축이 작아야 한다.
  4. 건조 상태에서 탄성이 커야 한다.
(정답률: 34%)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장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나트륨장석(albite)
  2. 칼륨장석(orthoclase)
  3. 석회장석(anorthite)
  4. 견운모(sericite)
(정답률: 96%)
  • 견운모(sericite)는 장석의 종류가 아니라 광물의 일종입니다. 견운모는 광택이 없는 흰색 또는 회색의 광물로, 현무암 등의 암석에서 발견됩니다. 견운모는 암석의 변화 과정에서 형성되며, 주로 점토 광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나무연료 중 소나무를 많이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가격이 저렴하다.
  2. 화력이 강하고 재가 적다.
  3. 유해물질이 적다.
  4. 운반저장이 간편하다.
(정답률: 94%)
  • 소나무는 화력이 강하고 재가 적기 때문에 나무연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수비작업에 대한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1. 원료를 물에 풀어 점토와 분술물을 분리, 점토만 취하는 방법이다.
  2. 점토를 물에 침전, 저장하는 방법이다.
  3. 점토를 탈수기로 탈수시키는 방법이다.
  4. 점토를 물에 풀어 분쇄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95%)
  • 원료를 물에 풀어 점토와 분술물을 분리, 점토만 취하는 방법은 점토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고알루미나질 내화벽돌의 용도에 해당되는 것은?

  1. 유리 용융 탱크 가마
  2. 시멘트 회전로의 제강대 바닥, 벽
  3. 제강용 평로 전기로
  4. 가열가마의 바닥 야금가마
(정답률: 73%)
  • 고알루미나질 내화벽돌은 고온에서 내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유리 용융 탱크 가마와 같은 고온에서 작동하는 장비의 내부 벽면을 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유리 용융 탱크 가마는 유리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로, 고온에서 유리를 용융시키는 과정에서 내화성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고알루미나질 내화벽돌이 유리 용융 탱크 가마의 내부 벽면을 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장석의 용융이 시작되는 온도는?

  1. 1300℃
  2. 1200℃
  3. 1100℃
  4. 1000℃
(정답률: 66%)
  • 장석은 알칼리성 광물로, 용융이 시작되는 온도가 높은 편입니다. 일반적으로 장석의 용융이 시작되는 온도는 1200℃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장석이 고온에서도 안정하게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12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다음 중 고신라 시대의 공예품은?

  1. 황금 교구
  2. 청자기
  3. 기마인물도상
  4. 백자기
(정답률: 89%)
  • 기마인물도상은 고신라 시대의 공예품 중 하나입니다. 이는 말 위에 탄 인물을 모형화한 것으로, 고려 시대 이후에도 많이 만들어졌습니다. 다른 보기인 황금 교구, 청자기, 백자기는 모두 고신라 시대의 공예품 중 하나이지만, 기마인물도상과는 다른 종류의 작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우리나라 신석기 문화를 대표하는 빗살 무늬 토기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간결하고 합리적인 아름다움
  2. 자연스럽고 솔직한 아름다움
  3. 섬세하고 세련된 아름다움
  4. 소박하고 숙련된 솜씨의 아름다움
(정답률: 88%)
  • "섬세하고 세련된 아름다움"이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섬세하고 세련된 아름다움"은 빗살 무늬 토기의 특징 중 하나로, 신석기 시대에 우리 선조들이 가진 높은 기술력과 예술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러한 토기는 섬세한 무늬와 세련된 디자인으로 만들어졌으며, 이는 당시의 사람들이 갖고 있던 미적 감각과 숙련된 기술력의 결과물입니다.

    따라서 "섬세하고 세련된 아름다움"은 오히려 간결하고 합리적인 아름다움, 자연스럽고 솔직한 아름다움, 소박하고 숙련된 솜씨의 아름다움과 함께 우리나라 신석기 문화를 대표하는 빗살 무늬 토기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조선시대 분청사기의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분청사기는 분장회청사기의 준말이다.
  2. 분청사기는 상감기법을 사용하지 않았다.
  3. 분청사기는 기면에 백토를 바르는 것이 특징이다.
  4. 분청사기는 퇴락한 청자기법에서 시작하였다.
(정답률: 88%)
  • 분청사기는 상감기법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설명이 맞지 않습니다. 분청사기는 상감기법을 사용하여 무늬를 만들었습니다. 상감기법은 무늬를 높이 만들어서 만드는 기법으로, 분청사기에서도 높이 만들어진 무늬가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도자기용 소석고에 필요한 성질이 아닌 것은?

  1. 입자가 약간 굵은 것
  2. 순도가 높은 것
  3. 건조되어 있을 것
  4. 응결속도가 적절한 것
(정답률: 86%)
  • 입자가 약간 굵은 것은 도자기용 소석고의 성질 중에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이는 성형 과정에서 부드러운 표면을 유지하기 위해 입자가 미세한 것이 더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주입 성형용 석고틀의 건조 온도로 적당한 것은?

  1. 40 – 50℃
  2. 60 - 70℃
  3. 80 – 90℃
  4. 90℃이상
(정답률: 80%)
  • 주입 성형용 석고틀은 건조할 때 너무 높은 온도로 건조하면 석고가 너무 빨리 건조되어 틀의 내부에 스크래치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석고틀의 내부 온도가 높아지면 주입 시에 열이 과도하게 전달되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건조 온도는 40 – 50℃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약용 슬립이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1. 침강속도가 느려야 한다.
  2. 유동성이 적어야 한다.
  3. 건조시 수축이 적어야 한다.
  4. 건조상태에서 탄성이 커야 한다.
(정답률: 65%)
  • 유약용 슬립은 침강속도가 느려야 하고, 건조시 수축이 적어야 하며, 건조상태에서 탄성이 커야 합니다. 그러나 유동성이 적어야 한다는 것은 슬립이 더욱 뻣뻣하고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올바른 성질이 아닙니다. 따라서 유동성이 적어야 한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초벌구이 소성을 할 때 소성분위기는?

  1. 산화
  2. 환원
  3. 중성
  4. 환원에서 중성
(정답률: 86%)
  • 초벌구이 소성은 고온에서 고열로 인해 고기 표면에 있는 단백질과 지방이 산화되면서 매우 강한 향과 맛을 내는데, 이는 산화작용에 의한 것입니다. 산화란, 화학 반응 중에서 산소와 다른 물질이 결합하여 새로운 물질을 생성하는 반응을 말합니다. 따라서 초벌구이 소성분위기는 "산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자기 및 범랑제품에서 용출될 수 있는 일반적인 유해 금속이온과 비교적 거리가 먼 것은?

  1. 카드뮴
  2. 비소
(정답률: 82%)
  • 철은 도자기 및 범랑제품에서 용출될 수 있는 일반적인 유해 금속이온 중에서 비교적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철이 안정성이 높은 금속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자기나 범랑제품에서 철이 용출되는 경우는 드물며, 일반적으로 철은 오히려 인체에 필요한 미량 원소로서 긍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소성 후 급하게 냉각시켰을 경우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연료가 과다하게 소비된다.
  2. 유약 및 소지가 파손된다.
  3. 유약이 말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4. 소지에 반점이 생긴다.
(정답률: 93%)
  • 소성 후 급하게 냉각시키면 열 팽창으로 인해 유약과 소지에 갑작스러운 온도 변화가 발생하게 되어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시유도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곰방대
  2. 스펀지
  3. 유약통
(정답률: 97%)
  • 곰방대는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도구가 아니라, 방충용품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물레 성형시 점토 덩어리에 홈을 파내려가거나 아래 부분의 점토를 끌어 올릴 때 사용하는 도구는?

  1. 밀대
  2. 지질박
  3. 삼각칼
  4. 홈칼
(정답률: 94%)
  • 지질박은 물레 성형시 점토를 끌어올리거나 홈을 파내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이는 지질학에서 사용되는 도구로, 지질학에서는 바위를 깎거나 분석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물레 성형시에도 이 도구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물레성형 작업에서 "정금대"의 용도는?

  1. 중심을 잡아 올릴 때
  2. 소지에 구멍을 낼 때
  3. 그릇의 크기를 잴 때
  4. 그릇의 표면을 고를 때
(정답률: 88%)
  • 정금대는 물레성형 작업에서 그릇의 크기를 잴 때 사용됩니다. 정확한 크기를 측정하여 작업을 진행하면, 최종 제품의 완성도와 품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크기 측정이 중요한 작업이며, 이를 위해 정금대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가압성형 방법으로 작업해야 할 제품은?

  1. 티(TEA) 컵
  2. 한식기, 대접
  3. 커피컵용 접시
  4. 타원형 접시
(정답률: 89%)
  • 타원형 접시는 가압성형 방법으로 작업해야 합니다. 이유는 타원형 접시는 곡면이 많아서 성형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압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곡면을 잘 성형할 수 있습니다. 다른 제품들은 비교적 간단한 모양이므로 가압성형 방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높이 25㎝이상의 타원형 편호(굽은 원형, 몸통은 타원, 주둥이가 좁은)의 물레 성형방법이 올바른 것은?

  1. 항아리를 성형후 두들겨서 타원으로 한다.
  2. 항아리를 성형후 깍아서 타원으로 한다.
  3. 변형방지를 위해 굽은 스폰지위에서 다듬질 한다.
  4. 변형방지를 위해 굽깍기후 표면은 다듬질하지 않는다.
(정답률: 88%)
  • 타원형 편호는 몸통이 타원형이기 때문에, 굽은 원형의 항아리에서 성형을 하면 몸통이 타원형으로 자연스럽게 형성됩니다. 또한, 항아리를 두들겨서 성형하면 균일한 압력으로 성형이 가능하며, 깍아서 성형하면 불규칙한 모양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항아리를 성형후 두들겨서 타원으로 한다."가 올바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이중 투각 항아리 제작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말아쌓기 작업으로 동시에 만든다.
  2. 각기 물레성형후 외측 항아리를 세로로 잘라 내측 항아리를 안에 넣고 접합한다.
  3. 각기 물레성형후 외측 항아리를 가로로 잘라 내측 항아리를 안에 넣고 접합한다.
  4. 각기 성형후 둘다 가로로 이등분한 후 내측부터 접합한다.
(정답률: 90%)
  • 이중 투각 항아리 제작에서는 각기 물레성형 후 외측 항아리를 가로로 잘라 내측 항아리를 안에 넣고 접합합니다. 이는 내측 항아리가 외측 항아리보다 작기 때문에 가능한 방법입니다. 세로로 자르면 내측 항아리를 넣을 공간이 없고, 둘 다 가로로 이등분하면 내측부터 접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로로 자르고 내측 항아리를 넣어 접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도자기 장식법 중 수공채식을 설명한 것은?

  1. 햇빛에 감광되는 중크롬산 젤라틴을 사용하여 장식하는 방법
  2. 매우 정교한 자기는 브러시와 분무기를 써서 손으로 직접 채색하는 방법
  3. 원하는 모양으로 판 고무도장으로 색을 입히는 방법
  4. 생그릇에 그 소지와 다른 색의 얇은 슬립층을 입히는 방법
(정답률: 85%)
  • 수공채식은 매우 정교한 자기가 브러시와 분무기를 써서 손으로 직접 채색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더욱 섬세하고 정교한 장식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소성 중 가마에서 불의의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에 최우선으로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

  1. 주변에 위험물을 제거한다.
  2. 112에 신고한다.
  3. 소화기구를 사용한다.
  4. 연료를 차단한다.
(정답률: 91%)
  • 소성 중 가마에서 불의의 화재가 발생하면 불길이 연료를 계속해서 태우기 때문에 불을 꺼내기 위해서는 불의 연료를 차단해야 합니다. 따라서 "연료를 차단한다."가 최우선으로 취해야 하는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넓은 점토판을 만들 때 사용되는 기계는?

  1. 지거링(jiggering)
  2. 슬랩 롤러(slab roller)
  3. 필터 프레스(filter press)
  4. 튜부 밀(tube mill)
(정답률: 87%)
  • 슬랩 롤러는 점토판을 만들 때 사용되는 기계입니다. 이는 점토를 일정한 두께로 압축하여 넓은 평면으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넓은 점토판을 만들 때에는 슬랩 롤러가 가장 적합한 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가마의 종류 중 환원소성에 적당치 않은 가마는?

  1. 가스가마
  2. 기름가마
  3. 전기가마
  4. 장작가마
(정답률: 81%)
  • 전기가마는 환원성이 없는 전기열을 이용하여 물질을 가열하는 가마이기 때문에 환원소성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환원소성이란 물질이 산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환원제를 이용하여 산화물을 환원하여 금속 등의 순수한 상태로 만들어내는 성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환원소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스가마, 기름가마, 장작가마 등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굽깍기 형태가 균일하게 잘 된 것은?

(정답률: 85%)
  • 정답인 ""은 굽깍기 형태가 균일하게 잘 된 것이다. 이는 굽깍기의 간격이 일정하고 깊이도 균일하게 파여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굽깍기의 간격이나 깊이가 불규칙하거나 불균형하게 파여져 있어 균일한 형태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