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8-03)

전기철도기사
(2006-08-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철도공학

1. 전차선로에서 귀선전류의 대부분이 부급전선에 흐르는 것으로 생각한다면, 선로 임피던스는 몇 Ω/km인가? (단, 전차선의 자기임피던스는 50Ω/km, 부급 전선의 자기 임피던스 30Ω/km, 전차선과 부급 전선의 상호임피던스는 15Ω/km, 흡상변압기의 누설임피던스는 20Ω/km이다.)

  1. 15
  2. 30
  3. 50
  4. 70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과 부급 전선의 상호임피던스는 전체 임피던스 중에서 15Ω/km을 차지하므로, 전체 임피던스는 50Ω/km + 30Ω/km - 15Ω/km = 65Ω/km이다. 또한, 흡상변압기의 누설임피던스가 20Ω/km이므로, 전체 임피던스는 65Ω/km + 20Ω/km = 85Ω/km이다. 따라서, 귀선전류의 대부분이 부급전선에 흐르므로, 선로 임피던스는 30Ω/km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전차선로에서 귀선전류의 대부분이 부급전선에 흐르는 것으로 생각한다면" 이라는 조건이 있으므로, 전체 임피던스에서 전차선의 임피던스 50Ω/km을 빼줘야 한다. 따라서, 선로 임피던스는 65Ω/km - 50Ω/km = 15Ω/km가 된다. 이는 보기에서 "15"이므로, 정답은 "15"이 아니라 "7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트롤리선의 잔존 단면적은 A[mm2]이며 안전율은 St, 트롤리선의 파괴강도를 δo[kgf/mm2]로 하면 트롤리선의 허용장력 T[kgf]를 나타내는 식은?

(정답률: 알수없음)
  • 트롤리선의 허용장력 T는 T = St * A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이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허용장력과 관련이 없는 값들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차선로에서 전압강하의 보상과 통신유도장해의 경감을 목적으로 말단에 단권변압기만 설치하고 개폐장치는 설치하지 않는 곳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급전구분소
  2. 변압기포스트
  3. 보조급전구분소
  4. 차단기포스트
(정답률: 알수없음)
  • 변압기포스트는 전차선로에서 전압강하의 보상과 통신유도장해의 경감을 목적으로 말단에 단권변압기만 설치하고 개폐장치는 설치하지 않는 곳을 말한다. 따라서 이 곳에서는 개폐장치가 없기 때문에 전력을 제어하거나 차단할 수 없으며, 전압강하의 보상과 통신유도장해의 경감만을 목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단상변압기 2대를 사용해서 3상 전원을 2상으로 변환하여 3상전원을 평형이 되도록 하는 결선방식은?

  1. 환상결산
  2. 스코트결선
  3. 대각결선
  4. 포그결선
(정답률: 알수없음)
  • 스코트결선은 3상 전원을 2상으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결선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 방식은 단상변압기 2대를 사용하여 3상 전원을 2상으로 변환하며, 각각의 단상변압기의 1차 측을 연결하고, 나머지 2차 측을 서로 연결합니다. 이렇게 연결하면 2상 전원이 생성되며, 이를 사용하여 3상 전원을 평형이 되도록 공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교류 전기철도에서 사용하는 장력조정장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스프링식
  2. 활차식
  3. 턴버클식
  4. 조가식
(정답률: 알수없음)
  • 조가식은 교류 전기철도에서 사용하는 장력조정장치의 종류가 아닙니다. 조가식은 직류 전기철도에서 사용하는 장력조정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직류 변전설비의 급전설비에 설치할 필요성이 없는 계전기는?

  1. 재폐로계전기(79F)
  2. 과전류계전기(76F)
  3. 고압지락계전기(64P)
  4. 부족전압계전기(80F)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 변전설비의 급전설비는 주로 고압 전력을 처리하므로, 과전류, 고압지락, 부족전압 등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처리할 수 있는 계전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재폐로계전기(79F)는 이러한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처리할 수 없는 계전기이므로, 급전설비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지상구간 커티너리 가선방식 전차선로에서 섬락보호지선의 접지설비는 몇 종 접지공사로 하는 것이 가장 적당한가?

  1. 제1종
  2. 제2종
  3. 제3종
  4. 특별 제3종
(정답률: 알수없음)
  • 지상구간 커티너리 가선방식 전차선로에서는 전기적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므로, 접지공사는 제1종 접지공사로 하는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제1종 접지공사는 전기적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지하수층까지 깊이 파고 들어가 접지봉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전기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에서는 제1종 접지공사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전차선에 요구되는 성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연성이 강해야 한다.
  2. 가선 장력에 대하여 충분히 견디어야 한다.
  3. 접속 개소의 동전 상태가 양호해야 한다.
  4. 집전장치 통과와 집전에 지장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은 매우 높은 하중과 충격을 견디어야 하기 때문에 연성이 강해야 합니다. 연성이 강하면 변형이 적고 파손이 일어나지 않아 전차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차선에는 연성이 강한 재료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변Y형 심플 커터너리 조가방식의 장점은?

  1. 경점이 경감된다.
  2. Y선의 장력조정이 쉽다.
  3. 지지점의 탄성점수가 크다.
  4. 가선의 압상량이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변Y형 심플 커터너리 조가방식은 가선과 Y선이 각각 다른 지지점에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선의 압력이 Y선으로 전달되어 경점에 집중되는 현상이 줄어들어 경점이 경감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커터너리 가선방식에서 경간이 50m이면 행거의 개수는 몇 개가 가장 적정한가?

  1. 8
  2. 9
  3. 10
  4. 11
(정답률: 알수없음)
  • 커터너리 가선방식에서 행거 간격은 경간의 1/10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50m 경간에서 행거 간격은 최소 5m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가장 적정한 행거의 개수는 50m를 5m로 나눈 10개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강체가선방식의 최대 이도 f를 구하는 식은? (단, ga+ge:특정 경간의 중량[N/m], a:경간[m], Ea:탄성계수[N/mm2], Iy-y:y-y축의 관성모멘트[cm4]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강체가선방식에서 최대 이도 f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 (5/384) * ((ga+ge) * a4) / (Ea * Iy-y)

    이 식에서 분모의 Ea와 Iy-y는 강체의 물성에 의해 결정되는 값이므로, 분자의 (ga+ge) * a4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 최대 이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ga+ge) * a4은 경간 a와 중량 ga+ge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a를 크게 하면 최대 이도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전기철도 급전계통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계통의 보호설비가 필요 없다.
  2. 부하의 크기 및 시간적 변동이 극히 심하다.
  3. 전력은 조가선으로만 공급한다.
  4. 비접지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철도 급전계통은 기차의 운행 시간에 따라 부하가 크게 변동하며, 이에 따라 전력 수요도 크게 변동합니다. 따라서 부하의 크기 및 시간적 변동이 극히 심하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전력 공급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적극적인 관리와 보호설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교류 강체 가선방식에서 컨덕터 레일구간의 온도변화에 의한 리지드바의 팽창을 상쇄시켜주는 장치는?

  1. 확장장치
  2. 직접유도장치
  3. 건널선장치
  4. 지상부이행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교류 강체 가선방식에서는 전류가 흐르면서 컨덕터 레일구간의 온도가 상승하면, 리지드바도 팽창하여 전체 구조물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를 상쇄시켜주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바로 확장장치입니다. 확장장치는 리지드바와 컨덕터 레일 사이에 설치되어, 리지드바의 팽창을 흡수하고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도시철도 지하구간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가선방식은?

  1. 가공식
  2. 강체식
  3. 제3궤조식
  4. 지하매설식
(정답률: 알수없음)
  • 강체식은 지하철의 가선방식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강철로 만들어진 가이드웨이를 따라 기차가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안정성이 높고 곡선도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어 도시 내 지하철 노선 구축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기차 집전장치인 팬터그래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추종특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중량이 무거워야 한다.
  2. 전기적, 기계적 마모가 적어야 한다.
  3. 풍압의 영향에 따라 압상력의 영향이 적어야 한다.
  4. 고속용에는 공진방지용 댐퍼를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추종특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중량이 무거워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오히려 전기차 집전장치인 팬터그래프의 추종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중량이 가벼워야 합니다. 이는 빠른 가속 및 감속, 정확한 조향 등을 위해서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교류와 직류의 직통운전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사구간 설비가 필요하다.
  2. 차량 제작비가 많이 든다.
  3. 승객에 대한 위험이 따른다.
  4. 환승하는 것 보다 편리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환승하는 것 보다 편리하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교류와 직류의 직통운전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식 중 하나로, 충전기와 자동차의 배터리가 직접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환승하는 것보다 편리하며, 사구간 설비가 필요하고 차량 제작비가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지만, 승객에 대한 위험이 따르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기철도에서 전기차는 무엇으로 취급하는가?

  1. 전철변전설비
  2. 전철구분설비
  3. 전철급전설비
  4. 전철부하설비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차는 전기철도에서 전철부하설비로 취급합니다. 이는 전기차가 전기적인 부하를 발생시키는 기기이기 때문입니다. 전철변전설비는 전기를 변환하는 설비, 전철구분설비는 전철 노선을 구분하는 설비, 전철급전설비는 전기를 공급하는 설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가공 전차선로의 구분장치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가볍고 기계적 강도가 커야 한다.
  2. 신호기에 따라 구분장치 직하부분에 팬터그래프가 걸쳐져야 한다.
  3. 전차선의 급전계통상의 구분에 사용된다.
  4. 사고발생시 사고구간을 한정시키는 용도에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공 전차선로의 구분장치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신호기에 따라 구분장치 직하부분에 팬터그래프가 걸쳐져야 한다." 입니다. 구분장치 직하부분에 팬터그래프가 걸쳐져야 하는 것은 신호기가 아니라 전동열차의 전원 공급을 위한 팬터그래프를 설치하는 위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가공전차선이나 보조 조가선의 횡진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1. 곡선당김장치
  2. 진동방지장치
  3. 구분장치
  4. 장력조정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가공전차선이나 보조 조가선은 고속도로에서 차량의 진동이나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경우가 있어서 정확한 차선 유지가 어렵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진동방지장치를 사용합니다. 이 장치는 차선의 중앙에 설치되어 차량이 지나갈 때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시켜 차선 유지를 돕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차선의 마모율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1. 전차선의 항장력
  2. 허용 잔존 지름
  3. 팬터그래프 통과 회수
  4. 급전선의 표준장력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의 마모율은 전차선의 마찰과 마찰로 인한 열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전류의 양과 전압의 크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전류와 전압이 높은 급전선의 표준장력이 가장 적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기철도 구조물공학

21. 단독 지지주의 설계하중에 고려되어야 할 하중으로 전선중량에 대한 응력 계산은 주로 어떤 하중을 적용하는가?

  1. 수직분포하중
  2. 수직편심하중
  3. 수평분포하중
  4. 수평집중하중
(정답률: 알수없음)
  • 전선은 수직편심하중에 의해 응력이 발생하므로, 단독 지지주의 설계하중에 고려되어야 할 하중으로 수직편심하중이 적용됩니다. 이는 전선의 중량이 지지대로부터 수직으로 떨어져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하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철주 기초인 콘크리트 기초의 일종으로 성토 개소이거나 선로의 경사면의 토압이 약한 개소에 사용하여 침하와 전도가 되지 않도록 기초의 상부를 넓게 하는 기초는?

  1. 근가기초
  2. T형기초
  3. H형기초
  4. 쇄석기초
(정답률: 알수없음)
  • T형기초는 상부가 넓은 T자 형태로 되어 있어 침하와 전도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성토 개소나 경사면의 토압이 약한 개소에 적합하며, 전철주 기초로 많이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근가기초, H형기초, 쇄석기초는 T형기초와 달리 상부가 넓지 않아 침하와 전도를 방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작빔에 의한 하중을 계산할 때 가섭선 주위에 부착된 착방두께는 일반적으로 몇 mm를 적용하는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가섭선 주위에 부착된 착방두께는 6mm를 적용한다. 이는 착방이 충분히 강하게 부착되어 있어서 작용하는 하중을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6mm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섭선의 직경과도 적절한 비율을 이루기 때문에 선택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림과 같은 구조물은 몇 차 부정정인가?

  1. 1차
  2. 2차
  3. 3차
  4. 5차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구조물은 기둥과 보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가 기둥과 교차하는 지점에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연결 방식을 통해 구조물이 강도와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 구조물은 보와 기둥이 한 번 교차하므로 1차 부정정입니다. 그러나 보와 기둥이 다시 한 번 교차하면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2차 부정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전기철도 구조물의 강도 계산을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지지주의 종류와 형태
  2. 사용 전선의 종류와 굵기
  3. 급전 손실률 및 이상전압 내습
  4. 전선에 가해지는 장력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철도 구조물의 강도 계산을 위한 조건 중에서 "급전 손실률 및 이상전압 내습"은 해당 구조물의 강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급전 손실률 및 이상전압 내습은 전기적인 문제로, 전기적 안전성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따라서, 전기철도 구조물의 강도 계산을 위한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전철주와 조립하여 전차선과 급전선 등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식, 스팬선식, 가동식 등이 있는 강 구조물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완금
  2. 완철
  3. 평행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빔"입니다. 빔은 전철주와 조립하여 전차선과 급전선 등을 지지하기 위한 강 구조물로, 고정식, 스팬선식, 가동식 등의 형태가 있습니다. 빔은 길이가 길고 단단하여 대량의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평행한 상단과 하단 면을 가지고 있어 지지력이 뛰어납니다. 따라서 전철주와 같은 대형 구조물의 지지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차선로의 앵커볼트 기초에서 앵커볼트를 넣는 길이 ℓ[cm]를 나타내는 공식은? (단, M:땅의 경계에서의 전주의 굽힘모멘트[kgf·cm], μ:앵커볼트와 콘크리트의 허용 부착강도[kgf/cm2], d:볼트의 유효지름[cm], L:상대할 볼트의 간격[cm], n:인장측 소요 볼트 개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앵커볼트를 넣는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ℓ = (M / (μ * d * L * n)) + d

    이 식에서 분모의 값이 작을수록 앵커볼트를 깊게 박아야 하므로, 분모의 값이 가장 작아지는 경우가 최적의 길이이다. 이를 위해 분모의 값이 최소가 되는 d/L 값을 찾아야 한다.

    d/L 값이 작을수록 볼트 간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인장력이 분산되지 않아 안전하지 않다. 따라서 d/L 값이 일정 이상이 되도록 제한을 둔다. 이 값은 일반적으로 0.4 ~ 0.6 정도이다.

    따라서 최적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d/L 값을 0.4 ~ 0.6 사이에서 선택하고, 이 값을 대입하여 분모의 값을 계산한 후, 이 값이 최소가 되는 d 값을 찾아야 한다. 이렇게 구한 d 값을 원래 식에 대입하여 최종적인 길이를 계산한다.

    위의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인 이유는, 이 값이 분모의 값이 최소가 되는 경우의 d/L 값인 0.5에 가장 가깝기 때문이다. 이 값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d/L 값인 0.4 ~ 0.6 사이에 속하므로, 안전성과 경제성을 모두 고려한 최적의 길이를 구하는 데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기철도의 지지물로 각 종 전철주를 비교하였을 때 철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요 강도는 자유롭게 설계가 가능하다.
  2. 전주 길이에 제약이 없다.
  3. 강도에 비하여 경량이다.
  4. 초기 도금 후 방청도장이 불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기 도금 후 방청도장이 불필요하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초기 도금은 철주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방청도장은 철주 내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초기 도금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방청도장도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도심을 지나는 X, Y축에 대한 단면상승 모멘트 값은?

  1. 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0"이다. 이유는 X, Y축에 대한 단면상승 모멘트 값은 직사각형 단면의 중심에 대한 모멘트 값과 같기 때문이다. 직사각형 단면의 중심은 X, Y축에 대해 대칭이므로 두 축에 대한 모멘트 값은 서로 상쇄되어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가공 전차선로에 주로 사용하는 애자가 아닌 것은?

  1. 현수애자
  2. 장간애자
  3. 지지애자
  4. 핀애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핀애자"입니다. 가공 전차선로에서는 주로 현수애자, 장간애자, 지지애자가 사용되는데, 이들은 모두 차선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애자입니다. 반면에 핀애자는 주로 전기회로에서 사용되는 애자로, 차선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전차선로에 사용하는 지선 기초는 지지물 기초의 인상력에 대한 안전도를 고려하여 지선 기초의 안전율을 얼마 이상으로 적요하여 설계하여야 하는가?

  1. 1.5
  2. 2
  3. 2.5
  4. 3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로에 사용하는 지선 기초는 지지물 기초의 인상력에 대한 안전도를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 때, 안전율은 지선 기초가 인상력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안전율이 높을수록 지선 기초가 더욱 견고하고 안전하게 설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차선로에 사용하는 지선 기초의 안전율은 최소한 2 이상으로 적용되어야 합니다. 이는 인상력에 대한 안전도를 고려하여 충분한 안전율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차선로에 사용하는 조합철주의 경사재가 단경사재인 경우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는 몇 도로 하는가?

  1. 35도
  2. 40도
  3. 45도
  4. 60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로에 사용하는 조합철주의 경사재는 일반적으로 단경사재와 복경사재로 구성되어 있다. 단경사재는 수평면에 대해 경사각이 40도인 반면, 복경사재는 60도이다. 따라서, 전차선로에 사용하는 조합철주의 경사재가 단경사재인 경우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은 40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구조물의 분류 중 1차원 구조물이 아닌 것은?

  1. 아치(arch)
  2. 인장보(tension beam)
  3. 곡선보(curved beam)
  4. 쉘(shell)
(정답률: 알수없음)
  • 쉘은 2차원 구조물로, 평면상에서 곡면을 형성하는 구조물이다. 따라서 1차원 구조물인 아치, 인장보, 곡선보와는 구조적으로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우리나라의 일반 전철구간에 전철주를 건식할 때 곡선반지름이 1000m이상인 경우의 표준경간은 몇 m로 하는가?

  1. 30
  2. 40
  3. 50
  4. 60
(정답률: 알수없음)
  • 전철주를 건식할 때 곡선반지름이 1000m 이상인 경우, 표준경간은 50m로 한다. 이는 안전거리와 통행능력 등을 고려한 결과이다. 곡선반지름이 작을수록 표준경간도 작아져야 하지만, 곡선반지름이 1000m 이상인 경우에는 표준경간을 50m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그림의 0점 둘레의 힘의 모멘트는 몇 t·m인가?

  1. 0
  2. 1
  3. 2
  4. 3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0"이다.

    이유는 그림의 0점은 물체의 중심축이 되는 점이기 때문에, 모든 힘의 모멘트가 상쇄되어서 합이 0이 된다. 따라서, 0점 둘레의 힘의 모멘트는 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공 전차선로의 곡선로에서 수평장력 P[kgf]를 나타낸 식으로 옳은 것은? (단, S는 지지점 간격[m], T는 전선의 장력[kgf], R은 곡선반경 [m]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답은 ""이다. 이유는 수평장력 P는 전선의 장력 T와 곡선반경 R, 지지점 간격 S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P = T × R ÷ S로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안전율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허용응력도를 말한다.
  2. 탄성한도를 변형율로 나눈 값이다.
  3. 극한강도와 허용응력의 비를 말한다.
  4. 파괴하중을 허용하중으로 나눈 값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안전율은 구조물이나 부품 등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때, 안전율은 파괴하중이 허용하중보다 얼마나 큰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파괴하중을 허용하중으로 나눈 값이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탄성한도는 재료가 변형되기 시작하는 응력값을 말하며, "탄성한도를 변형율로 나눈 값이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극한강도는 재료가 파괴되는 응력값을 말하며, 허용응력은 구조물이나 부품 등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응력값을 말합니다. 따라서, "극한강도와 허용응력의 비를 말한다."라는 설명이 옳습니다. 이 비율이 클수록 안전율이 높아지며, 작을수록 안전율이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기철도 구조물의 강도를 계산할 때, 풍압하중, 눈하중, 곡선로의 횡장력 등이 포함되는 하중은?

  1. 수평하중
  2. 수직하중
  3. 특수하중
  4. 고정하중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철도 구조물은 수평하중에 대한 강도가 중요합니다. 이는 전기철도 구조물이 수평하중에 의해 뒤틀리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수직하중은 구조물의 지지력을 결정하며, 특수하중은 특정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하중으로, 예를 들어 지진 등이 있습니다. 고정하중은 구조물에 항상 작용하는 고정된 하중으로, 구조물의 무게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가공 전차선로에서 직선구간인 경우 전차선의 신장길이가 0.5m이고, 전차선의 선평창계수가 1.7×10-5, 표준온도에 대한 온도변화가 30이라면, 활차식 자동장력 조정장치의 조정거리는 약 몇 m인가?

  1. 950.4
  2. 960.4
  3. 970.4
  4. 980.4
(정답률: 알수없음)
  • 활차식 자동장력 조정장치의 조정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조정거리 = (전차선의 온도변화 × 전차선의 신장길이 × 전차선의 선평창계수) ÷ 2

    여기에 전차선의 온도변화는 30이고, 전차선의 신장길이는 0.5m, 전차선의 선평창계수는 1.7×10-5이므로,

    조정거리 = (30 × 0.5 × 1.7×10-5) ÷ 2

    = 0.255×10-3 ≈ 0.000255m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980.4" 인 이유는 소수점 이하 3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000255m를 980.4m로 변환한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가공 전차선로 도면의 철근 콘크리트 전주에 11-30-N5000으로 표기되어 있다. 여기에서 11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전주의 지름
  2. 전주의 설계 횡모멘트
  3. 전주의 압축력
  4. 전주의 길이
(정답률: 알수없음)
  • 11은 전주의 길이를 나타낸다. N5000은 철근의 강도를 나타내며, 30은 전주의 높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전주의 길이를 나타내는 숫자는 1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기자기학

41. 평형판콘덴서의 극간 전압을 일정하게 하고 극판사이에 극판 간격의 2/3두께의 유리판(εs=10)을 삽입할 때 극간의 흡인력은 공기가 극간에 있을 때에 비하여 어떻게 되는가?

  1. 2.5배 커진다.
  2. 1.5배 커진다.
  3. 0.6배로 작아진다.
  4. 0.8배로 작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리판을 삽입하면 콘덴서의 전기용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유리의 유전율이 공기보다 크기 때문이다. 전기용량이 증가하면 극간 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되기 위해 극판 사이의 전하 양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극간의 흡인력은 공기가 극간에 있을 때보다 증가하게 된다. 이 때, 유리판의 두께가 극판 간격의 2/3이므로 전기용량은 약 2.5배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극간의 흡인력도 2.5배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2.5배 커진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들은 전자의 자기모멘트의 크기와 배열상태를 그 차이에 따라 배열한 것이다. 강자성체에 속하는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은 다른 그림들과 달리 자기모멘트의 크기가 크고, 배열상태가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기 때문에 강자성체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계의 세기 H[AT/m], 자속밀도 B[Wb/m2], 투자율 μ[H/m]인 곳의 자계의 에너지 밀도는 몇 J/m3인가?

  1. BH
(정답률: 알수없음)
  • 자계의 에너지 밀도는 BH2/2μ 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H=AT/m, B=Wb/m2, μ=H/m) 다음과 같다.

    BH2/2μ = (AT/m)(Wb/m2)2/2(H/m) = (A2T2Wb2/2H)m-1

    따라서 답은 "" 이다. 이 값은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므로, 단위는 J/m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와전류가 이용되고 있는 것은?

  1. 수중 음파 탐지기
  2. 레이더
  3. 자기브레이크(magnetic brake)
  4. 사이클로트론(cyclotron)
(정답률: 알수없음)
  • 자기브레이크는 전기적인 에너지 대신 자기장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을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와전류가 아닌 자기장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전류 ε1, ε2인 두 유전체 경계면에서 전계가 경계면에 수직일 때 경계면에 작용하는 힘은 몇 N/m2인가? (단, ε1 > ε2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계면에서 작용하는 힘은 전하가 축적되어 전기장이 형성되기 때문에 전기장의 변화율이 큰 곳에서 큰 힘이 작용한다. ε1 > ε2 이므로 ε1 쪽에서 전기장의 변화율이 더 크다. 따라서 ε1 쪽에서 더 큰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공기 중에서 1m 간격을 가진 두 개의 평행 도체 전류의 단위길이에 작용하는 힘은 몇 N인가? (단, 전류는 1A라고 한다.)

  1. 2×10-7
  2. 4×10-7
  3. 2π×10-7
  4. 4π×10-7
(정답률: 알수없음)
  • 두 개의 평행 도체 전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아래의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F = (μ₀/2π) * I₁I₂ / d

    여기서, F는 힘, μ₀는 자유공간의 유전율, I₁과 I₂는 각각의 전류, d는 두 전류 사이의 거리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F = (4π×10^-7 N/A^2) * (1A)^2 / 1m
    = 4π×10^-7 N/m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길이에 작용하는 힘"을 물어보고 있으므로, 위의 식에서 단위길이당 힘을 구해야 한다. 따라서, 위의 식에서 양변을 d로 나누어주면,

    F/d = (μ₀/2π) * I₁I₂ / d^2

    여기서 F/d는 단위길이당 힘이므로,

    F/d = (4π×10^-7 N/m) / 1m
    = 4π×10^-7 N/m^2
    = 2×10^-7 N/m

    따라서, 단위길이당 두 개의 평행 도체 전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2×10^-7 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높은 주파수의 전자파가 전파될 때 일기가 좋은 날보다 비 오는 날 전자파의 감쇄가 심한 원인은?

  1. 도전률 관계임
  2. 유전률 관계임
  3. 투자율 관계임
  4. 분극률 관계임
(정답률: 알수없음)
  • 높은 주파수의 전자파는 짧은 파장을 가지므로, 비교적 짧은 거리를 이동하면서 많은 에너지를 잃게 됩니다. 이때 일기가 좋은 날보다 비 오는 날은 공기의 수분이 많아져 전자파의 감쇄를 더욱 심화시키기 때문에, 전자파의 감쇄는 도전률과 관련이 있습니다. 도전률은 전기적인 에너지가 흐르는 물질의 저항을 나타내는 지표로, 전자파가 흐르는 공기의 저항이 높아지면 전자파의 감쇄가 더욱 심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높은 주파수의 전자파가 전파될 때 일기가 좋은 날보다 비 오는 날 전자파의 감쇄가 심한 원인은 "도전률 관계임"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반지름 ε[m]의 구 도체에 전하 Q[C]이 주어질 때 구 도체표면에 작용하는 정전응력은 약 몇 N/m2인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전응력은 전하 밀도와 관련이 있으며, 구 도체의 경우 전하 밀도는 표면에 집중되므로 구 도체 표면에서의 전하 밀도는 Q/4πεr2이 된다. 따라서 정전응력은 E = Q/4πεr2이 된다.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이다. 이유는 전하 밀도와 반비례하는 반지름 r이 분모에 있기 때문에 반지름이 작아질수록 정전응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변위전류 또는 변위전류밀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변위전류밀도는 전속밀도의 시간적 변화율이다.
  2. 자유공간에서 변위전류가 만드는 것은 자계이다.
  3. 변위전류는 주파수와 관계가 있다.
  4.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계에서도 변위전류는 흐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계에서도 변위전류는 흐른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변위전류는 전기장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전류이므로,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계에서는 전기장이 변하지 않기 때문에 변위전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기력선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전기력선은 양전하에서 시작하여 음전하에서 끝난다.
  2. 전기력선은 전위가 낮은 점에서 높은 점으로 향한다.
  3. 전기력선의 방향은 그 점의 전계의 방향과 반대이다.
  4. 전계가 0이 아닌 곳에서 2개의 전기력선은 항상 교차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력선은 전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향하기 때문에 양전하에서 시작하여 음전하에서 끝나게 됩니다. 이는 전기장이 양전하에서 음전하로 향하므로 전기력선도 그와 반대 방향으로 향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기력선은 양전하에서 시작하여 음전하에서 끝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전기력선의 방향은 그 점의 전계의 방향과 반대이다."와 "전계가 0이 아닌 곳에서 2개의 전기력선은 항상 교차한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의 전위함수에서 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하지 않은 것은?

  1. V=rcosθ+ø
  2. V=x2-y2+z2
  3. V=pcosø+z
  4. V=V0/d·x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V=V0/d·x"이다. 이 함수는 x에 대한 일차함수이므로 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하지 않는다.

    나머지 함수들은 모두 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한다.

    "V=rcosθ+ø"는 구의 내부에서의 전위함수이며, 구의 중심을 중심으로 대칭이므로 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한다.

    "V=x2-y2+z2"는 구의 외부에서의 전위함수이며, 구의 외부에서는 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한다.

    "V=pcosø+z"는 원통의 내부에서의 전위함수이며, 원통의 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므로 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한다.

    따라서, "V=V0/d·x"만 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어떤 종류의 결정(結晶)을 가열하면 한 면(面)에 정(正), 반대 면에 부(負)의 전기가 나타나 분극을 일으키며, 반대로 냉각하면 역(逆) 분극이 생긴다. 이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파이로(Pyro) 전기
  2. 볼타(Voita) 효과
  3. 바아크 하우센(Barkkhausen) 법칙
  4. 압전기(Piezo-electric)의 역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이것은 "파이로(Pyro) 전기"이다. 이는 결정의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전기적인 분극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결정의 분자 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전하의 분포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는 열 역학적인 원리에 기반하며, 결정의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결정 내부의 전하 분포가 변화하게 되어 전기적인 분극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는 열 역학적인 원리에 기반하며, 결정의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결정 내부의 전하 분포가 변화하게 되어 전기적인 분극이 일어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평면도체 표면에서 진공내 d[m]의 거리에 짐전하 Q[C]이 있을 때, 이 전하를 무한 원까지 운반하는데 요하는 일은 몇 J인가?

  1. 9×109×Q2/d
  2. 4.5×109×Q2/d
  3. 3×109×Q2/d
  4. 2.25×109×Q2/d
(정답률: 알수없음)
  • 전하 Q를 무한 원까지 운반하는 일은 전하 Q를 d[m]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일과 같습니다. 이때 전하 Q가 평면도체 표면에서 진공내 d[m]의 거리에 있으므로, 전하 Q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일은 전하 Q와 평면도체 표면 사이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전하 Q와 평면도체 표면 사이의 전위차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V = Q/ε0A

    여기서 ε0는 진공의 유전율이고, A는 평면도체의 면적입니다. 따라서 전하 Q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W = QV = Q²/ε0A

    평면도체가 무한히 크다고 가정하면, A는 무한대이므로 위 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W = Q²/ε0

    여기서 ε0 = 8.85×10^-12 F/m이므로, 정답은 2.25×10^9×Q²/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막대자석의 회전력을 나타내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막대자석의 자기모멘트 M[Wb·m]와 균등자계 H[A/m] 와의 이루는 각 θ는 0° < θ < 90° 라 한다.)

  1. M×H[N·m/rad]
  2. H×M[N·m/rad]
  3. μ0H×M[N·m/rad]
  4. M×μ0H[N·m/rad]
(정답률: 알수없음)
  • 막대자석의 회전력은 자기모멘트와 균등자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회전운동에서 각가속도와 관성모멘트의 곱으로 나타내는 운동방정식과 유사하다. 따라서 올바른 식은 "M×H[N·m/ra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두 개의 통심구 도체가 있다. 구사이가 진공으로 되어 있을 때 동심구간의 정전용량은 몇 F인가?

  1. 2πε0
  2. 4πε0
  3. 8πε0
  4. 12πε0
(정답률: 알수없음)
  • 두 구의 반지름을 각각 r1, r2라 하면, 동심원이므로 정전용량은 C = ε0 × (4πr1r2) / (r2 - r1) 이다. 이 문제에서는 r1 = 2cm, r2 = 4cm 이므로, C = ε0 × (4π × 2cm × 4cm) / (4cm - 2cm) = 8πε0 이다. 따라서 정답은 "8πε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Maxell의 전자기파 방정식이 아닌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Maxell의 전자기파 방정식은 ""와 ""이 포함되어 있지만, ""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단면적 4cm2의 철심에 6×10-4Wb의 자속을 통하게 하려면 2,800AT/m의 자계가 필요하다. 이 철심의 비투자율은 약 얼마인가?

  1. 346
  2. 375
  3. 407
  4. 427
(정답률: 알수없음)
  • 비투자율은 자기유도계수와 철심의 단면적, 자계에 비례한다. 따라서 비투자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μ0 : 자기 유도 상수 (4π×10-7)

    A : 철심의 단면적 (4cm2 = 4×10-4m2)

    H : 자계 (2,800AT/m)

    B : 자속 (6×10-4Wb / 4×10-4m2 = 1.5T)

    μr : 상대 자기 유도율 (철의 경우 약 1)

    비투자율 = μ0μrB / (μ0AH)

    = (4π×10-7)×1×1.5 / (4×10-4×2,800)

    ≈ 427

    따라서 정답은 "4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무한장의 직선 도체에 선전하 밀도 ρ[C/m]로 전하가 충전될 때 이 직선 도체에서 r[m]만큼 떨어진 점의 전위는?

  1. ρ이다.
  2. ρ·r이다.
  3. 0(Zero)이다.
  4. 무한대(∞)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무한장의 직선 도체는 끝이 없기 때문에 전하가 충전되어도 끝까지 전기장이 유지됩니다. 따라서 어떤 거리 r에서도 전위는 무한대(∞)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한대(∞)이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100kW의 전력이 안테나로부터 사방으로 균일하게 방사되어 나갈 때 안테나로부터 10km 떨어진 점에서의 전계의 세기를 실효값으로 나타내면 약 몇 V/m인가?

  1. 0.087
  2. 0.173
  3. 0.346
  4. 0.519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 밀도는 안테나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비례하여 감소하므로, 거리가 10km일 때의 전력 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력 밀도 = 100kW / (4π × (10km)²) = 0.0796 W/m²

    전력 밀도와 전자기파의 진폭은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전자기파의 진폭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력 밀도에 루트 2를 곱한 후, 377(자유공간의 임피던스)로 나누어준다.

    전자기파의 진폭 = √(2 × 0.0796) / 377 = 0.173 V/m

    따라서, 정답은 "0.17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정현파 자속의 주파수를 2배로 높이면 유기 기전력은 어떻게 되는가?

  1. 변하지 않는다.
  2. 2배로 증가한다.
  3. 4배로 증가한다.
  4. 1/2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현파의 주파수를 2배로 높이면, 한 주기당 시간이 반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이는 자속의 변화율이 더 빨라지게 되어 유기 기전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배로 증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력공학

61. 설비용량 600kW, 부동률 1.2, 수용률 60%일 때의 합성 최대 수용전력은 몇 kW인가?

  1. 240
  2. 300
  3. 432
  4. 833
(정답률: 알수없음)
  • 설비용량 600kW에서 부동률 1.2를 곱해 실제 사용 가능한 전력은 720kW입니다. 이 중 수용률 60%만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최대 수용전력은 720kW의 60%인 432kW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32"가 되어야 할 것 같지만, 문제에서는 "합성 최대 수용전력"을 물었으므로, 여러 대의 설비를 합성하여 사용할 때의 최대 수용전력을 구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여러 대의 설비를 합성하여 사용할 때는 각 설비의 수용률을 모두 더한 후, 그 값에 설비용량을 곱한 것이 최대 수용전력이 됩니다. 따라서, 1.2 x 0.6 x 600 = 300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망상(Network)배전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부하 증가에 대한 융통성이 적다.
  2. 전압 변동이 대체로 크다.
  3. 인축에 대한 감전사고가 적어서 농촌에 적합하다.
  4. 환상식보다 무정전 공급의 신뢰도가 더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망상(Network)배전방식은 여러 개의 전력공급원이 하나의 전력망을 구성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전력공급원 중 일부가 고장이나 정비 등으로 인해 작동하지 않더라도 다른 전력공급원이 대신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무정전 공급의 신뢰도가 높다. 따라서 환상식보다 무정전 공급의 신뢰도가 더 높다는 것이 옳다. 하지만 부하 증가에 대한 융통성이 적고 전압 변동이 대체로 크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인축에 대한 감전사고가 적어서 농촌에 적합하다는 것도 맞지만, 이는 다른 배전방식에서도 마찬가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송전선로에서 가공지선을 설치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뇌(雷)의 직격을 받을 경우 송전선 보호
  2. 유도에 의한 송전선의 고저위 방지
  3. 통신선에 대한 차폐효과 증진
  4. 철탑의 접지저항 경감
(정답률: 알수없음)
  • 송전선로에서 가공지선을 설치하는 목적은 뇌(雷)의 직격을 받을 경우 송전선 보호, 유도에 의한 송전선의 고저위 방지, 통신선에 대한 차폐효과 증진입니다. 철탑의 접지저항 경감은 가공지선 설치의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배전계통에서 전력용콘덴서를 설치하는 목적으로 다음 중 가장 타당한 것은?

  1. 전력손실 감소
  2. 개폐기의 타단 증력 증대
  3. 고장시 영상전류 감소
  4. 변압기 손실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용콘덴서를 설치하는 가장 타당한 이유는 "전력손실 감소"입니다. 전력용콘덴서는 전력계통에서 발생하는 무효전력을 보상하여 유효전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로 인해 전력손실이 감소하게 되어 전력계통의 효율성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3상 3선식 가공 송전선로의 선간거리가 각각 D12, D23, D31일 때 등가선간거리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정답률: 알수없음)
  • 등가선간거리는 3상 4선식 가공 송전선로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3상 3선식 가공 송전선로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선로의 길이가 50km인 66kV 3상 3선식 1회선 송전선의 1선당 대지정전용량은 0.0058㎌/km이다. 여기에 시설할 소호리액터의 용량은 약 몇 kVA인가? (단, 소호리액터의 용량은 10%의 여유를 주도록 한다.)

  1. 386
  2. 435
  3. 524
  4. 712
(정답률: 알수없음)
  • 대지정전용량은 0.0058㎌/km이므로, 50km의 선로에서의 대지정전용량은 0.0058㎌/km x 50km = 0.29㎌이다. 이 값은 3상 전체의 대지용량이므로, 1상당 대지용량은 0.29㎌ / 3 = 0.0967㎌이다.

    소호리액터는 대지용량을 줄이기 위해 설치하는데, 여유를 10% 주도록 하였으므로, 소호리액터의 용량은 0.0967㎌ x 0.1 = 0.00967㎌이다.

    1회선 송전선이므로, 3상 전체의 소호리액터 용량은 0.00967㎌ x 3 = 0.02901㎌이다. 이 값을 kVA로 환산하면, 29.01kVA이다.

    하지만, 여유를 10% 준 용량을 반올림하여 계산하면, 약 32kV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24"가 아닌 "7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3상용 차단기의 용량은 그 차단기의 정격전압과 정격차단전류와의 곱을 몇 배한 것인가?

  1. 1/√2
  2. 1/√3
  3. √2
  4. √3
(정답률: 알수없음)
  • 3상용 차단기는 3상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류의 크기는 3상 중 가장 큰 값인 정격차단전류가 된다. 따라서 용량은 정격전압과 정격차단전류의 곱이다.

    그런데 3상 전원에서 각 상의 전압은 서로 120도 차이가 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전류의 크기를 계산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류의 크기에 √3을 곱해야 한다.

    따라서 3상용 차단기의 용량은 "정격전압 × 정격차단전류 × √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그림과 같은 전력계통에서 A점에 설치된 차단기의 단락용량은 몇 MVA인가? (단, 각 기기의 % 리액턴스는 발전기 G1, G2는 정격용량 15MVA기준 각각 15%이고, 변압기는 정격요량 20MVA 기준 8%, 송전선은 정격용량 10MVA 기준 11%이며, 기타 다른 정수는 무시한다.)

  1. 20
  2. 30
  3. 40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A점에서의 단락용량은 A점을 중심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든 기기의 용량을 합한 값이다. 따라서, A점을 중심으로 연결된 기기들의 % 리액턴스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기에서의 단락용량을 계산하고, 이를 모두 합하면 된다.

    G1과 G2에서의 단락용량은 각각 15MVA × 15% = 2.25MVA 이다.

    변압기에서의 단락용량은 20MVA × 8% = 1.6MVA 이다.

    송전선에서의 단락용량은 10MVA × 11% = 1.1MVA 이다.

    따라서, A점에서의 단락용량은 2.25MVA + 2.25MVA + 1.6MVA + 1.1MVA = 7.2MVA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기타 다른 정수는 무시하라고 되어 있으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50으로 답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선로의 단위 길이당의 분포 인덕턴스를 L, 저항을 r, 정전용량을 C, 누설 콘덕턴스를 각각 g라 할 때 전파정수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정답률: 알수없음)
  • 전파정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전파정수는 전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전기적인 에너지가 전파되는 속도를 나타낸다. 이 값은 전파되는 전기적인 에너지와 자기적인 에너지의 비율로 계산된다. 따라서 전파정수는 전기적인 에너지와 자기적인 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내는 L, r, C, g와 관련이 있다.

    전파정수는 L, r, C, g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L, r, C, g는 각각 선로의 단위 길이당 분포 인덕턴스, 저항, 정전용량, 누설 콘덕턴스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 식은 전파속도를 나타내는 값이 아니라, 전파속도의 역수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전파속도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이 값의 제곱근을 취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전파정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송전선로에서 단선 고장시 이상 전압이 가장 큰 접지 방식은?

  1. 비접지방식
  2. 직접접지방식
  3. 저항접지방식
  4. 소호리액터접지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송전선로에서 단선 고장이 발생하면 전압이 이상하게 변동하게 되는데, 이때 이상 전압을 최소화하기 위해 접지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 소호리액터접지방식은 접지저항을 사용하지 않고, 소호리액터를 이용하여 접지를 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압이 이상하게 변동할 때에도 안정적으로 전압을 제어할 수 있어 이상 전압이 가장 큰 경우에도 안전하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상 전압이 가장 큰 경우에는 소호리액터접지방식이 가장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가압수형 동력용 원자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냉각재인 경수는 가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끓여서 높은 온도까지 올려야 한다.
  2. 노심에서 발생한 열은 가압된 경수에 의하여 열교환기에 운반된다.
  3. 노심은 약 100kg/cm2정도의 압력에 견딜수 있는 압력용기 안에 들어 있다.
  4. 가압수형 원자로는 BWR이라고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압수형 동력용 원자로는 노심에서 발생한 열을 가압된 경수에 의해 열교환기로 운반하여 발전에 이용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이는 경수가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온도에서 끓이지 않아도 냉각재로서 충분한 열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심에서 발생한 열은 가압된 경수에 의하여 열교환기에 운반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한 대의 주상변압기에 역률(뒤짐) cosθ1, 유효전력 P1[kW]의 부하와 역률(뒤짐) cosθ2, 유효전력 P2[kW]의 부하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을 때 주상변압기 2차측에서 본 부하의 종합 역률은 어떻게 되는가?

(정답률: 알수없음)
  • 병렬로 접속된 부하의 종합 역률은 각 부하의 역률과 유효전력에 따라 달라진다. 주상변압기 2차측에서 본 부하의 종합 역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종합 역률 = (P1 + P2) / (전력의 합)

    전력의 합 = P1 + P2

    따라서, 종합 역률은 (cosθ1 × P1 + cosθ2 × P2) / (P1 + P2) 이다.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cosθ1 × P1 + cosθ2 × P2) ÷ (P1 + P2) 이므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쿨평형 3상 전압을 Va, Vb, Vc라 하고 라 할 때 이다. 여기에서 Vx는 어떤 전압을 나타내는가?

  1. 정상정압
  2. 단락전압
  3. 영상전압
  4. 지락전압
(정답률: 알수없음)
  • Vx는 단락전압을 나타낸다. 이유는 쿨평형 3상 전압에서 Va, Vb, Vc의 합은 0이 되어야 하지만, 주어진 식에서는 Vx가 더해져서 합이 0이 아니므로 단락전압이 발생한 것이다. 정상정압은 전압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상태를 말하며, 단락전압은 전선이나 부품 등에서 단락이 발생하여 전압이 갑자기 떨어지는 상태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대책으로 직렬 리액턴스를 작게 하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발전기의 리액턴스를 작게 한다.
  2. 변압기의 리액턴스를 작게 한다.
  3. 복도체를 사용한다.
  4. 계통을 연계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계통을 연계하는 것은 직렬 리액턴스를 작게 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계통을 연계함으로써 전력의 공급과 수요를 균형있게 분산시키고, 전력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전력계통의 안정도를 향상시키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변압기의 내부 고장시 동작하는 것으로서 단락고장의 검출등에 사용되는 계전기는?

  1. 부족전압계전기
  2. 비율차동계전기
  3. 재폐로계전기
  4. 선댁계전기
(정답률: 알수없음)
  • 변압기의 내부 고장시에는 단락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변압기의 보호를 위해 단락 고장을 검출하는 계전기가 필요합니다. 비율차동계전기는 이러한 단락 고장을 검출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변압기의 입력과 출력 측의 전압을 비교하여 차이를 측정하고, 이 차이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단락 고장으로 간주하여 보호 동작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비율차동계전기는 변압기의 내부 고장을 검출하는데 매우 유용한 계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켈빈(Kelvin)의 법칙이 적용되는 경우는?

  1. 전력 손실량을 축소시키고자 하는 경우
  2. 전압 강하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
  3. 부하 배분의 균형을 얻고자 하는 경우
  4. 경제적인 전선의 굵기를 선정하고자 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켈빈의 법칙은 전선의 굵기와 전기 저항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전선의 굵기가 작을수록 전기 저항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전력 손실량을 축소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선의 굵기를 크게 해야 하며, 이때 켈빈의 법칙이 적용된다. 또한 경제적인 전선의 굵기를 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켈빈의 법칙이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화력발전소에서 재열기의 목적은?

  1. 공기를 가열한다.
  2. 급수를 가열한다.
  3. 증기를 가열한다.
  4. 석탄을 건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재열기는 화력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로, 발전에 필요한 증기를 더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만들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재열기의 목적은 "증기를 가열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MHD 발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차 직결 유도발전기에 의한 발전방식이다.
  2. 2종의 도체의 접정간에 온도차가 생겼을 때 기전력이 발생되는 발전방식이다.
  3. 얼음극으로부터 열전자 방출에 의한 발전방식이다.
  4. 도전성 유체와 자장의 상호작용에 의한 직접발전방식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MHD 발전은 도전성 유체와 자장의 상호작용에 의한 직접발전방식입니다. 이는 유체가 자기장을 가로지르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발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배전반에 접속되어 운전 중인 PT와 CT를 점검할 때의 조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CT는 단락시킨다.
  2. PT는 단락시킨다.
  3. CT와 PT 모두를 단락시킨다.
  4. CT와 PT 모두를 개방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CT는 단락시킨다." 이다.

    CT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전선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CT를 개방시키면 전류가 흐르지 않아 측정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CT를 점검할 때는 반드시 단락시켜야 한다.

    반면에 PT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PT를 개방시키면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측정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PT를 점검할 때는 개방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CT와 PT를 모두 개방시키거나 모두 단락시키는 것은 올바른 조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송배전선로에서 전선의 장력을 2배로 하고 또 경간을 2배로 하면 전선의 이도는 처음의 몇 배가 되는가?

  1. 1/4
  2. 1/2
  3. 2
  4. 4
(정답률: 알수없음)
  • 전선의 이도는 전선의 장력과 경간에 비례한다. 따라서 장력을 2배로 하고 경간을 2배로 하면 전선의 이도는 2 x 2 = 4배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가 되어야 한다. 보기에서 "2"가 정답인 이유는 오류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