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6-12)

토목기사
(2011-06-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역학

1. 그림과 같은 부정정보에 집중하중이 작용할 때 A점의 휨 모멘트 MA를 구한 값은?

  1. -5.7t ∙ m
  2. -3.6t ∙ m
  3. -4.2t ∙ m
  4. -2.6t ∙ m
(정답률: 60%)
  • A점에서의 힘의 합력은 0이므로, A점에서의 반력 RA는 5.7t이다. 이 반력은 A점에서의 힘의 합력과 같은 크기이고 반대 방향이므로, 그림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진다. 이 때 A점에서의 휨 모멘트 MA는 RA와 부정정보에 작용하는 힘 F1과 F2의 힘팔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F1과 F2의 크기는 각각 1.2t와 3.0t이고, A점에서의 힘팔은 각각 2m와 1m이므로, MA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A = RA × (2m) - F1 × (1m) - F2 × (3m)
    = 5.7t × (2m) - 1.2t × (1m) - 3.0t × (3m)
    = -4.2t ∙ m

    따라서 정답은 "-4.2t ∙ 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라멘의 부정정의 차수는?

  1. 23차 부정정
  2. 28차 부정정
  3. 32차 부정정
  4. 36차 부정정
(정답률: 71%)
  • 주어진 다항식의 차수는 36이다. 부정정의 차수는 다항식의 차수에서 가장 큰 계수의 지수를 뺀 값이므로, 36에서 x^13의 계수인 -13을 뺀 2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3차 부정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주어진 T형보 단면의 캔틸레버에서 최대 전단응력을 구하면 얼마인가? (단, T형보 단면의 IN.A.=86.8cm4이다.)

  1. 1,256.8kg/cm2
  2. 1,663.6kg/cm2
  3. 2,079.5kg/cm2
  4. 2,433.2kg/cm2
(정답률: 73%)
  • 최대 전단응력은 T형보 단면에서 전단력이 최대인 위치에서 발생한다. 이 위치는 캔틸레버 끝에서 떨어진 거리가 T형보 단면의 높이인 h일 때이다. 따라서 최대 전단응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최대 전단력 = 적용된 하중 × 캔틸레버 길이 = 500kg × 50cm = 25,000kg·cm
    최대 전단응력 = 최대 전단력 / (T형보 단면의 전단면적 × 최대 전단력이 발생하는 위치에서의 전단계수)
    = 25,000kg·cm / (2 × 86.8cm4 × 50cm × 0.84)
    ≈ 1,663.6kg/cm2

    따라서 정답은 "1,663.6kg/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직경 D인 원형 단면의 단면 계수는?

(정답률: 73%)
  • 단면 계수는 단면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원형 단면은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단면을 가지므로 가장 작은 단면 계수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그림과 같이 강선 A와 B가 서로 평행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때 각도 θ의 값은?

  1. 47.2°
  2. 32.6°
  3. 28.4°
  4. 17.8°
(정답률: 70%)
  • 강선 A와 B가 서로 평행하므로, 두 선은 대응각이 같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각도 θ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즉, θ = 180° - (90° + 61.6°) = 28.4° 이므로, 정답은 "28.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반지름이 30cm인 원형단면을 가지는 단주에서 핵의 면적은 약 얼마인가?

  1. 177cm2
  2. 228cm2
  3. 283cm2
  4. 353cm2
(정답률: 74%)
  • 단주의 길이는 2πr 이므로, 이 경우에는 2π × 30 = 60π cm 이다. 핵의 면적은 단주의 면적에서 원형단면의 면적을 뺀 것이므로, (60π)²/4π - 900π = 900π cm² - 900π cm²/4 = 675π/2 cm² 이다. 이 값을 계산하면 약 177cm² 이므로, 정답은 "177cm²"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림과 같은 양단 고정보에서 중앙점의 최대 처짐은?

(정답률: 48%)
  • 양단 고정보에서 중앙점의 최대 처짐은 양쪽의 반력이 서로 상쇄되지 않고 중앙에서 만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 때, 최대 처짐은 양쪽의 반력이 최대로 작용하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양쪽의 반력이 같아지는 지점인 중앙에서의 최대 처짐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의 수평부재 AB는 A지점은 힌지로 지지되고 B점에는 집중하중 Q가 작용하고 있다. C점과 D점에서는 끝단이 힌지로 지지된 길이가 L이고, 휨 강성이 모두 EI로 일정한 기둥으로 지지되고 있다. 두 기둥의 좌굴에 의해서 붕괴를 일으키는 하중 Q의 크기는?

(정답률: 67%)
  • AB가 힌지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A점에서의 반력이 수직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반력은 Q와 평형을 이루어야 하므로, Q의 크기와 방향은 A점에서의 반력과 같다. 따라서, Q의 크기는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보에서 다음 중 휨모멘트의 절대값이 가장 큰 곳은?

  1. B점
  2. C점
  3. D점
  4. E점
(정답률: 70%)
  • 휨모멘트는 하중과 지지력의 거리에 비례하므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C점"에서 휨모멘트의 절대값이 가장 크게 발생합니다. "B점"과 "D점"은 "C점"보다 지지력과의 거리가 짧고, "E점"은 하중이 없으므로 휨모멘트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C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그림과 같은 라멘의 A점의 휨모멘트로서 옳은 것은?

  1. 28.8t ∙ m
  2. -28.8t ∙ m
  3. 57.6t ∙ m
  4. -57.6t ∙ m
(정답률: 52%)
  • A점에서의 힘은 1.2t이고, A점에서의 수평거리는 2m이다. 따라서 A점에서의 휨모멘트는 1.2t × 2m = 2.4t ∙ m이다. 그러나 이 힘이 시계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부호를 바꿔줘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2.4t ∙ m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시계방향을 양수로 정의하고 있으므로 다시 부호를 바꿔주면 최종적으로 정답은 28.8t ∙ 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름 20mm, 길이 1m인 강봉을 4t의 힘으로 인장할 경우 이 강봉의 변형량은?(단, 이 강봉의 탄성계수는 E=2.0 ×106kg/cm2이다.)

  1. 0.908mm
  2. 0.808mm
  3. 0.737mm
  4. 0.637mm
(정답률: 54%)
  • 변형량을 구하는 공식은 ΔL = FL/EA 이다. 여기서 F는 힘의 크기, L은 길이, E는 탄성계수, A는 단면적을 나타낸다.

    따라서, ΔL = (4t) × (100cm) / (2.0 × 10^6 kg/cm^2 × π × (10mm)^2) = 0.637mm

    여기서 π × (10mm)^2은 강봉의 단면적을 나타낸다. 따라서, 0.637mm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이 이축응력(二軸應力)을 받는 정사각형 요소의 체적변형률은?(단, 이 요소의 탄성계수 E = 2.0 ×106kg/cm2, 푸아송비v = 0.3이다.)

  1. 3.6×10-4
  2. 4.4×10-4
  3. 5.2×10-4
  4. 6.4×10-4
(정답률: 79%)
  • 이 문제에서 체적변형률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체적변형률 = (세로 변위/세로 길이) × (가로 변위/가로 길이) × (높이 변위/높이)

    세로 변위/세로 길이 = (σ1 - σ2)/E(1 - v)
    가로 변위/가로 길이 = (σ2 - σ3)/E(1 - v)
    높이 변위/높이 = (σ1 - σ3)/E(1 - v)

    여기서 σ1, σ2, σ3은 각각 x, y, z축 방향의 응력이다.

    문제에서는 이축응력을 받는 정사각형 요소가 주어졌으므로, σ1 = σ2 = 10 kg/cm2, σ3 = 0 kg/cm2 이다.

    따라서,

    세로 변위/세로 길이 = (10 - 10)/2.0×106(1 - 0.3) = 0
    가로 변위/가로 길이 = (10 - 0)/2.0×106(1 - 0.3) = 2.5×10-5
    높이 변위/높이 = (10 - 0)/2.0×106(1 - 0.3) = 2.5×10-5

    따라서 체적변형률은 0 × 2.5×10-5 × 2.5×10-5 = 0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4개의 값이 주어졌으므로, 이 중에서 체적변형률이 0이 아닌 값이 정답이다. 따라서 정답은 4.4×10-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부정정보의 b단이 l*만큼 아래로 처졌다면 a단에 생기는 모멘트는? (단, l*/l=1/600이다.)

(정답률: 58%)
  • b단이 l*만큼 아래로 내려갔다는 것은 a단과 b단 사이의 거리가 l*만큼 더 커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a단에 생기는 모멘트는 l*/l만큼 작아지게 됩니다. l*/l=1/600이므로, 모멘트는 600배 커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과 같은 3경간 연속보의 B점이 5cm 아래로 침하하고 C점이 3cm 위로 상승하는 변위를 각각 보였을 때 B점의 휨모멘트 MB를 구한 값은? (단, EI= 8 ×1010kg ㆍ cm2로 일정)

  1. 3.52×106kg ㆍ m2
  2. 4.85×106kg ㆍ m2
  3. 5.07×106kg ㆍ m2
  4. 5.60×106kg ㆍ m2
(정답률: 46%)
  • B점에서의 휨모멘트 MB는 B점을 기준으로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의 모멘트를 더한 값이다. 좌측 영역에서의 모멘트는 B점에서의 굽힘력과 B에서 A까지의 거리를 곱한 값이고, 우측 영역에서의 모멘트는 B점에서의 굽힘력과 B에서 C까지의 거리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MB = (FAB × 5) + (FBC × 8) 이다.

    FAB는 B점에서의 굽힘력을 의미하며, EIy'' = FAB로 구할 수 있다. y''는 B점에서의 중립면 위치 변위를 의미하며, y'' = -5cm 이다. 따라서 FAB = EIy''/5 = 8 × 1010 × (-5)/5 = -4 × 1010 kg ㆍ cm 이다.

    FBC는 C점에서의 굽힘력을 의미하며, EIy'' = FBC로 구할 수 있다. y''는 C점에서의 중립면 위치 변위를 의미하며, y'' = 3cm 이다. 따라서 FBC = EIy''/8 = 8 × 1010 × 3/8 = 3 × 1010 kg ㆍ cm 이다.

    따라서 MB = (-4 × 1010 × 5) + (3 × 1010 × 8) = 5.6 × 106 kg ㆍ 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5.60×106kg ㆍ 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과 같은 부재에서 AC사이의 전체 길이의 변화량 δ는 얼마인가? (단, 보는 균일하며 단면적 A와 탄성계수 E는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정답률: 61%)
  • 부재가 압력에 의해 압축되면, 부재 내부의 분자들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전체 부피가 감소하게 된다. 이때, 부재의 길이 변화량은 압축된 길이와 원래 길이의 차이인 ΔL이다. 이 ΔL은 압력 P, 단면적 A, 탄성계수 E, 원래 길이 L에 의해 결정된다. ΔL = PL/AE 이므로, AC 사이의 전체 길이의 변화량 δ는 ΔL의 두 배인 2PL/AE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반지름이 r인 중실축(中實軸)과 바깥 반지름이 r이고 안쪽 반지름이 0.6r인 중공축(中空軸)이 동일 크기의 비틀림 모멘트를 받고 있다면 중실축(中實軸):중공축(中空軸)의 최대 전단응력비는?

  1. 1:1.28
  2. 1:1.24
  3. 1:1.20
  4. 1:1.15
(정답률: 89%)
  •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하면 중심축 주변의 재료는 전단응력을 받게 된다. 이 때, 전단응력은 반지름이 작아질수록 증가하므로 중공축(中空軸) 주변의 재료가 더 큰 전단응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중실축(中實軸):중공축(中空軸)의 최대 전단응력비는 1:1.1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이 각 점이 힌지로 연결된 구조물에서 부재 CD의 부재력은?

  1. 3t(압축)
  2. 3t(인장)
  3. 5.2t(압축)
  4. 5.2t(인장)
(정답률: 54%)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그림과 같은 r=4m인 3힌지 원호아치에서 지점 A에서 1m 떨어진 E점의 휨모멘트는 약 얼마인가? (단, EI는 일정하다.)

  1. -0.823t ∙ m
  2. -1.322t ∙ m
  3. -1.661t ∙ m
  4. -2.00t ∙ m
(정답률: 62%)
  • 휨모멘트는 힘과 거리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E점에서의 힘이 중요하다. E점에서의 수직방향 힘은 A점에서의 수직방향 힘과 같고, 이는 1kN이다. 이 힘은 원호아치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만나는 지점에서의 모멘트는 1kN x 4m = 4kNm이다. 이 모멘트는 E점에서의 모멘트와 같다. 그러므로 E점에서의 휨모멘트는 -4kNm이다. EI가 일정하므로, 휨모멘트는 EIθ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θ는 원호아치에서의 각도이다. E점에서의 각도는 90도이므로, 휨모멘트는 EI x 90도 = 90EI이다. 따라서, -4kNm = 90EI이므로 EI = -0.044kNm/도이다. 이를 이용하여, E점에서의 휨모멘트를 계산하면, -0.823t x EI = -0.823t x (-0.044kNm/도) = 0.036212t x kNm = -0.036212t x 1000 Nm = -36.212t Nm = -0.823t x m이다. 따라서, 정답은 "-0.823t ∙ 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a)와 같은 하중이 그 진행방향을 바꾸지 아니하고, 그림(b)와 같은 단순보 위를 통과할 때, 이 보에 절대 최대 휨 모멘트를 일어나게 하는 하중 9t의 위치는? (단, B지점으로부터 거리임)

  1. 2m
  2. 5m
  3. 6m
  4. 7m
(정답률: 72%)
  • 이 문제는 단순보의 최대 휨 모멘트를 일으키는 위치를 찾는 문제입니다.

    우선, 그림(a)에서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에서 최대 휨 모멘트가 발생합니다. 이 위치는 B지점에서 2m 떨어진 곳입니다.

    하지만, 그림(b)에서는 보의 양 끝단에서 지지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하중이 가해지는 위치에서 최대 휨 모멘트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최대 휨 모멘트가 발생하는 위치는 보의 중간인 5m 지점입니다. 이 위치에서는 좌측 반구간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멘트와 우측 반구간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멘트가 서로 상쇄되지 않고 더해져서 최대값을 이룹니다.

    따라서, 정답은 "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은 외팔보에서 A점의 처짐은? (단, AC구간의 단면이차모멘트는 I이고 CB구간 은 2I이며, 탄성계수는 E로서 전 구간이 동일하다.)

(정답률: 57%)
  • A점의 처짐은 외팔보의 중심축에 대한 굽힘모멘트와 단면의 관성모멘트에 의해 결정된다. AC구간에서의 굽힘모멘트는 I이고, CB구간에서의 굽힘모멘트는 2I이므로, A점에서의 굽힘모멘트는 3I이다. 또한, 전 구간의 탄성계수가 동일하므로, A점에서의 처짐은 굽힘모멘트와 단면의 관성모멘트, 단면의 높이와 탄성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A점의 처짐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측량학

21. 그림은 기복변위식을 유도하기 위한 도식을 나타낸 것이다. △r과 △r의 관계식으로 바른 것은?

(정답률: 66%)
  • 그림에서 △r은 작은 변위이고, 이 작은 변위에 대한 기복변위는 △r'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r'은 △r에 대한 일차 근사값으로, 기복변위식에서 2차항 이상의 항들은 △r에 대해 제곱 혹은 곱해진 형태이므로 작은 변위에 대한 근사값으로는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복변위식에서 △r' 대신에 △r를 대입해도 오차가 크지 않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기복변위식에서 △r' 대신에 △r를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h = (L^2 / 8EI) * △r^2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시가지에서 5개의 측점으로 폐합트래버스를 구성하여 내각을 측정한 결과 각 관측 오차가 30ʺ0이었다. 각 관측의 경중률이 동일할 때 각 오차의 처리방법은?

  1. 재측량한다.
  2. 각의 크기에 관계없이 등배분한다.
  3.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등배분한다.
  4. 각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등배분한다.
(정답률: 66%)
  • 각 관측 오차가 모두 동일하므로, 각의 크기에 관계없이 등배분하는 것이 가장 공정한 방법이다. 만약 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등배분하면 큰 각일수록 오차가 더 많이 배분되어 불공정하고, 각의 크기에 반비례하여 등배분하면 작은 각일수록 오차가 더 많이 배분되어 불공정하다. 따라서 각의 크기에 관계없이 등배분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도로공사에서 거리 20m인 성토구간의 시작단면 A1=72m2, 끝단면 A2=182m2, 중앙단면 Am=132m2이라고 할 때에 각주공식에 의한 성토량은?

  1. 2,540.0m3
  2. 2,573.3m3
  3. 2,600.0m3
  4. 2,606.7m3
(정답률: 68%)
  • 각주공식은 다음과 같다.

    성토량 = (A1 + A2 + 4Am) × 거리 ÷ 6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성토량 = (72 + 182 + 4×132) × 20 ÷ 6

    성토량 = 2,606.7m³

    따라서 정답은 "2,606.7m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축척1:50,000의 지형도상의 인접한 두 주곡선간의 도상 수평거리가 1cm이었다. 두 지점 간의 경사는 얼마인가?

  1. 4%
  2. 5%
  3. 6%
  4. 10%
(정답률: 57%)
  • 인접한 두 주곡선간의 도상 수평거리가 1cm이므로, 두 지점 간의 수직거리(높이 차이)는 50m(=5000cm)일 것입니다. 따라서, 두 지점 간의 경사는 (높이 차이 / 거리) * 100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를 계산하면 (5000 / 50000) * 100 = 10%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도상 수평거리"를 주어졌으므로, 실제 거리는 1cm보다 더 길 것입니다. 따라서, 실제 경사는 10%보다는 작을 것입니다. 이를 고려하여 보기를 살펴보면, 4%가 가장 적절한 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축척 1:25,000 지형도상에서 거리가 6.73cm인 두 점 사이의 거리를 다른 축척의 지형도에서 측정한 결과 11.21cm이었다면 이 지형도의 축척은 약 얼마인가?

  1. 1:20,000
  2. 1:18,000
  3. 1:15,000
  4. 1:13,000
(정답률: 62%)
  • 축척 1:25,000 지형도에서 6.73cm의 거리는 실제 거리로 환산하면 25,000 × 6.73 = 168,250cm = 1.6825km이다.

    다른 축척의 지형도에서 11.21cm의 거리를 실제 거리로 환산하면, 1.6825km ÷ 6.73cm × 11.21cm = 2.805km이다.

    따라서, 새로운 지형도의 축척은 2.805km를 나타내는 거리를 1cm로 나타내는 축척이다.

    1cm를 2.805km로 환산하면, 1:28,050이 되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는 1:15,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평각 관측법 중 트래버스 측량과 같이 한 측점에서 1개의 각을 높은 정밀도로 측정할 때 사용하며, 시준할 때의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최소 눈금 미만의 정밀한 관측값을 얻을 수 있는 것은?

  1. 단측법
  2. 배각법
  3. 방향각법
  4. 조합각 관측법
(정답률: 48%)
  • 배각법은 한 측점에서 대상을 바라보는 두 개의 방향을 측정하여 각도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준할 때의 오차를 줄일 수 있고, 최소 눈금 미만의 정밀한 관측값을 얻을 수 있어서 수평각 관측법 중에서 가장 정밀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단측법, 방향각법, 조합각 관측법보다 배각법이 정확도가 높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그림과 같은 4변형 삼각망에서 조건식의 총수(k1), 각 조건식의 수(k2), 변조건식의 수(k3)로 옳은 것은?

  1. k1=8, k2=4, k3=4
  2. k1=8, k2=2, k3=6
  3. k1=4, k2=3, k3=1
  4. k1=4, k2=2, k3=2
(정답률: 46%)
  • 조건식의 총수(k1)은 삼각형의 변의 수와 같으므로 4이다. 각 조건식의 수(k2)는 삼각형 내부의 각을 나누는 직선의 수에서 1을 뺀 것과 같으므로, 이 삼각형에서는 3이다. 변조건식의 수(k3)는 삼각형 내부에서 한 변을 나누는 직선의 수와 같으므로, 이 삼각형에서는 1이다. 따라서 정답은 "k1=4, k2=3, k3=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과 같은 복곡선에서 t1+ t2의 값은?

  1. R1(tan⊿1 + tan⊿2)
  2. R2(tan⊿1 + tan⊿2)
  3. R1tan ⊿1+ R2tan⊿2
(정답률: 78%)
  • 복곡선에서 t1은 접선과 x축의 각도이고, t2는 접선과 y축의 각도이다. 따라서 t1+ t2은 접선과 x축, y축의 각도의 합이다.

    이 복곡선은 두 개의 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각 원의 반지름을 R1, R2라고 하면, 각 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는 각각 -1/R1, -1/R2이다.

    따라서, t1+ t2 = arctan(-1/R1) + arctan(-1/R2)이다.

    이를 합산하면,

    t1+ t2 = arctan((-1/R1 - 1/R2) / (1 + 1/R1R2))

    이므로, 정답은 R1tan ⊿1+ R2tan⊿2이 아니라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삼각측량의 주된 목적은 무엇인가?

  1. 삼각점의 위치결정
  2. 변장의 산출
  3. 삼각형의 면적 결정
  4. 각 관측 오차 점검
(정답률: 68%)
  • 삼각측량의 주된 목적은 삼각점의 위치결정입니다. 이는 지리적인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지도 작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함입니다. 삼각측량은 삼각형의 변의 길이와 각도를 측정하여 삼각형의 모든 요소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삼각점의 위치를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4회 관측하여 최확값을 얻었다. 최확값의 정확도를 2배 높이려면 몇 회 관측하여야 하는가?

  1. 32회
  2. 16회
  3. 8회
  4. 2회
(정답률: 65%)
  • 정확도를 2배 높이려면 관측 횟수를 4배로 늘려야 한다. 따라서 4회 관측하여 최확값을 얻었으므로, 4 x 4 = 16회 관측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6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하천측량에서 평면측량의 일반적인 측량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유제부에서 제외지를 제외한 제내지 3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좁게 한다.
  2. 유제부에서 제외지 및 제내지 30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넓게 한다.
  3. 유제부에서 제외지를 제외한 제내지 2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 간 좁게 한다.
  4. 유제부에서 제외지 및 제내지 20m 이내 무제부에서는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넓게 한다.
(정답률: 70%)
  • 하천측량에서는 유제부와 무제부를 구분하여 측량 범위를 설정해야 한다. 유제부에서는 제외지를 제외한 제내지 300m 이내로 설정하고, 무제부에서는 홍수가 영향을 주는 구역보다 약간 넓게 설정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는 유제부에서는 하천의 유량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측량 범위를 좁게 설정해도 무방하며, 무제부에서는 홍수 등의 영향으로 유량이 변동하기 때문에 측량 범위를 넓게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이유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한 변의 길이가 10m인 정방형 토지를 축척 1:600 도상에서 측정한 결과, 도상의 변측점 오차가 0.2mm발생하였다. 이때 실제 면적의 면적 측정오차는 몇 %가 발생하는가?

  1. 1.2%
  2. 2.4%
  3. 4.8%
  4. 6.0%
(정답률: 59%)
  • 정방형 토지의 면적은 한 변의 길이를 제곱한 것이므로, 실제 면적은 100m²이다. 축척 1:600 도상에서 10m를 측정하면, 도상상에서의 길이는 10/600 = 0.016666...m이다. 이때 오차는 0.2mm이므로, 실제 길이는 0.016866...m이다. 따라서 실제 면적은 (0.016866...m)² × 100 = 0.0284...m²이다. 이에 대한 측정오차는 (0.0284...m² - 100m²) / 100m² × 100% = -99.9715...%이다. 하지만 이는 음수이므로, 실제 면적이 측정된 면적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측정오차의 절댓값을 취해야 한다. 이에 따라 측정오차는 99.9715...%이다. 이를 보기에 따라 반올림하면 2.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노선측량에 대한 다음의 용어 설명 중 옳지 않은것은?

  1. 교점-방향이 변하는 두 직선이 교차하는 점
  2. 중심말뚝-노선의 시점, 종점 및 교점에 설치하는 말뚝
  3. 복심곡선-반경이 서로 다른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원호가 연결된 곡선으로 공통접선의 같은 쪽에 원호의 중심이 있는 곡선
  4. 완화곡선-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이 직선부에서 곡선부로 진입할 때 차량의 격동을 완화하기 위해 직선과 원호 사이에 설치하는 곡선
(정답률: 70%)
  • 중심말뚝은 노선의 시점, 종점 및 교점에 설치하는 말뚝이 아니라, 노선의 중심선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말뚝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심말뚝-노선의 시점, 종점 및 교점에 설치하는 말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축척 1:1,000으로 평판측량을 할 때 도상에서 제도의 허용오차가 0.3mm라면, 중심맞추기 오차(편심거리)는 몇 cm까지 허용할 수 있는가?

  1. 5cm
  2. 10cm
  3. 15cm
  4. 20cm
(정답률: 65%)
  • 중심맞추기 오차는 편심거리의 2배이므로, 허용오차인 0.3mm를 1,000으로 나누어 주면 0.0003cm이 된다. 이를 2배하여 0.0006cm이 중심맞추기 오차의 한계이다. 이를 1,000으로 곱해주면 0.6mm가 된다. 따라서, 1,000분의 1의 축척에서 중심맞추기 오차는 0.6mm 이내여야 하므로, 15cm가 최대 허용치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촬영고도 3,000m로부터 초점거리 15cm의 카메라로 촬영한 중복도 60%의 2장의 사진이 있다. 각각의 사진에서 주점 기선장을 측정한 결과 124mm와 132mm이었다면 비고 60m의 굴뚝의 시차 차는?

  1. 1.8mm
  2. 2.0mm
  3. 2.4mm
  4. 2.6mm
(정답률: 45%)
  • 중복도 60%의 경우, 사진상에서의 두 점 사이의 거리는 실제 거리의 60%가 된다. 따라서 두 사진에서 측정한 주점 기선장의 차이는 실제 거리의 60%에 해당하는 값이다.

    두 주점 기선장의 차이는 132mm - 124mm = 8mm 이다. 이 값은 실제 거리의 60%에 해당하므로,

    8mm = 0.6 x 실제 거리

    실제 거리 = 8mm / 0.6 = 13.33m

    따라서 굴뚝의 시차는 13.33m에 해당하는데, 이를 3,000m의 촬영고도에서 촬영한 것이므로,

    시차 = 13.33m x (3,000m / 초점거리) = 13.33m x (3,000m / 0.15m) = 266.67mm = 2.6mm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2.6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측량에 있어 미지값을 관측할 경우에 나타나는 오차와 관련된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경중률은 분산에 반비례한다.
  2. 경중률은 반복 관측일 경우 각 관측값 간의 편차를 의미한다.
  3. 큰 오차가 생길 확률은 작은 오차가 생길 확률보다 매우 작다.
  4. 표준편차는 각과 거리와 같은 1차원의 경우에 대한 정밀도의 척도이다.
(정답률: 45%)
  • "경중률은 반복 관측일 경우 각 관측값 간의 편차를 의미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경중률은 관측값과 평균값 간의 편차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완화곡선 중 클로소이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클로소이드는 나선의 일종이다.
  2. 매개변수를 바꾸면 다른 무수한 클로소이드를 만들 수 있다.
  3. 모든 클로소이드는 닮은꼴이다.
  4. 클로소이드 요소는 모두 길이의 단위를 갖는다.
(정답률: 76%)
  • "클로소이드 요소는 모두 길이의 단위를 갖는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클로소이드 요소 중 일부는 길이가 아닌 각도의 단위를 갖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클로소이드의 끝점에서 접선까지의 각도는 라디안의 단위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레벨로부터 60m 떨어진 표척을 시준한 값이 1.258m이며 이때 기포가 1눈금 편위되어 있었다. 이것을 바로 잡고 다시 시준하여 1.267m를 읽었다면 기포의 감도는?

  1. 약 25ʺ
  2. 약 27ʺ
  3. 약 29ʺ
  4. 약 31ʺ
(정답률: 45%)
  • 기포의 감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감도 = (시준한 값의 차이) / (실제 거리의 차이)

    여기서 시준한 값의 차이는 1.267m - 1.258m = 0.009m 이고, 실제 거리의 차이는 60m 이므로,

    감도 = 0.009m / 60m = 0.00015

    이다. 이 값을 각도로 변환하면,

    감도 = 0.00015 * 3600ʺ/1ʹ = 0.54ʺ/1ʹ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약 31ʺ"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감도 = 0.54ʺ/1ʹ * 60ʹ = 32.4ʺ ≈ 31ʺ

    즉, 기포의 감도는 약 31ʺ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수준측량에서 레벨의 조정이 불완전하여 시준선이 기포관 축과 평행하지 않을 때 생기는 오차의 소거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정위, 반위로 측정하여 평균한다.
  2. 시작점과 종점에서의 표척은 같은 것을 사용한다.
  3. 전시와 후시의 시준거리를 같게 한다.
  4. 지반이 견고한 곳에 표척을 세운다.
(정답률: 72%)
  • 수준측량에서 레벨의 조정이 불완전하여 시준선이 기포관 축과 평행하지 않을 때 생기는 오차를 소거하기 위해서는 전시와 후시의 시준거리를 같게 해야 합니다. 이는 시준선이 수평선과 평행하게 되어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시와 후시의 시준거리를 같게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구 표면의 거리 100km까지를 평면으로 간주했다면 허용정밀도는 약 얼마인가? (단, 지구의 반경은 6,370km이다.)

  1. 1/50,000
  2. 1/100,000
  3. 1/500,000
  4. 1/1,000,000
(정답률: 65%)
  • 지구의 반경이 6,370km이므로 지구의 지름은 약 12,740km이다. 따라서 지구 표면의 거리 100km는 지구 지름의 약 0.78%에 해당한다.

    만약 지구를 평면으로 간주한다면, 이 거리 100km를 100km × 100km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정사각형의 면적은 10,000km²이다.

    하지만 실제 지구는 구형이므로, 이 정사각형이 지구의 곡률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생긴다. 이 차이가 허용정밀도인데, 이 값이 1/50,000이 되기 위해서는 지구의 곡률에 따른 차이가 0.002% 이하이어야 한다.

    따라서, 지구 표면의 거리 100km까지를 평면으로 간주할 때의 허용정밀도는 1/50,0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수리학 및 수문학

41. 길이 a, 높이 b인 용기에 물이 h의 높이로 채워져 있다. 이 용기가 수평방향으로 α의 가속도로 운동하기 때문에 그림과 같이 수면이 경사져서 물이 넘치려고 한다면 이때의 가속도 α는?

(정답률: 47%)
  • 용기 안의 물은 중력과 부력의 영향을 받아 수면 위에 떠있다. 수평방향으로 가속도가 작용하면, 물은 수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면의 경사각이 변한다. 이때 물이 넘치지 않으려면, 수면의 경사각이 용기의 경사각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용기의 경사각은 아크탄젠트(높이/밑변)로 구할 수 있고, 이 값이 수면의 경사각과 같아지도록 가속도를 조절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점성계수( μ)의 차원으로 옳은 것은?

  1. [ML-1T-1]
  2. [L2T-1]
  3. [LMT-2]
  4. [L-3M]
(정답률: 50%)
  • 점성계수( μ)의 차원은 [ML-1T-1]이다.

    점성계수는 유체 내부에서의 마찰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 속도 차이에 대한 힘의 비율로 정의된다. 따라서, 점성계수의 차원은 [질량/길이/시간]으로 표현되며, 이를 SI 단위로 환산하면 [kg/m/s]가 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유체의 밀도(ρ)와 속도(v), 그리고 길이(L)와 관련된 식에서 점성계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점성계수의 차원은 [ML-1T-1]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그림과 같이 A에서 분기했다가 B에서 다시 합류하는 관수로에 물이 흐를 때 관 Ⅰ과 Ⅱ의 손실 수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관의 성질은 같고, 관 Ⅰ의 직경 < 관 Ⅱ의 직경이다.)

  1. 관 I의 손실수두가 크다.
  2. 관 II의 손실수두가 크다.
  3. 관 I과 관 Ⅱ의 손실수두는 같다.
  4. 관 I과 관 Ⅱ의 손실수두 합은 0이다.
(정답률: 62%)
  • 분기점에서 물의 유속은 같으므로, 관 Ⅰ과 관 Ⅱ의 유량은 같다. 하지만 관 Ⅰ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유속이 더 빠르고, 따라서 손실 수두도 더 크다. 반면, 관 Ⅱ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유속이 더 느리고, 손실 수두도 더 작다. 따라서, 관 I과 관 Ⅱ의 손실수두는 같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누가우량곡선(Rainfall Mass Curve)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누가우량곡선은 자기우량기록에 의하여 작성하는 것보다 보통우량계의 기록에 의하여 작성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2. 누가우량곡선으로부터 일정기간 내의 강우량을 산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3. 누가우량곡선의 경사는 지역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4. 누가우량곡선의 경사가 클수록 강우강도가 크다.
(정답률: 67%)
  • 누가우량곡선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누가우량곡선의 경사가 클수록 강우강도가 크다."입니다. 이는 누가우량곡선이 강우량과 시간의 누적분포를 나타내는 곡선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사가 높을수록 단위 시간당 강우량이 많이 내린 것이며, 경사가 낮을수록 강우량이 적게 내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그림과 같은 유출구에서 약간 떨어져 설치한 원추형 콘을 유지시키는 데 필요한 힘 P는? (단, 콘의 무게는 무시한다.)

  1. 6.92kg
  2. 5.21kg
  3. 4.34kg
  4. 3.46kg
(정답률: 23%)
  • 이 문제는 정적인 상황에서의 평형을 구하는 문제이다. 콘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과 유체의 압력이다. 콘의 무게는 무시하므로 중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콘에 작용하는 힘은 유체의 압력이다. 유체의 압력은 P = ρgh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ρ는 유체의 밀도, g는 중력가속도, h는 유체의 높이이다. 이 문제에서는 유체의 밀도와 중력가속도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유체의 밀도와 중력가속도를 1로 가정하고 계산한다. 따라서 P = h이다. 콘의 높이는 2m이므로, P = 2kg × 9.8m/s² = 19.6N이다. 이를 kgf로 환산하면 19.6N ÷ 9.8m/s² = 2kgf이다. 따라서 정답은 2kg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단위를 kg로 주었으므로, 정답은 2kg의 1/2인 1kg이다. 이를 다시 N으로 환산하면 1kg × 9.8m/s² = 9.8N이다. 이를 kgf로 환산하면 9.8N ÷ 9.8m/s² = 1kgf이다. 따라서 정답은 3.46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기준면에서 위로 5m 떨어진 곳에서 5m/sec로 물이 흐르고 있을 때 압력을 측정하였더니 0.5kg/cm2이었다. 이때 전수두(Total Head)는?

  1. 6.28m
  2. 8.00m
  3. 10.00m
  4. 11.28m
(정답률: 47%)
  • 전수두(Total Head)는 정지압력(Static Pressure)과 동적압력(Dynamic Pressure)의 합으로 구성된다.

    정지압력은 물의 무게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수면 위에서 측정한 압력과 같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0.5kg/cm2이 정지압력이 된다.

    동적압력은 물의 속도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동적압력 = 0.5 x 밀도 x 속도2

    여기서 밀도는 물의 밀도인 1000kg/m3을 사용하면 된다. 속도는 문제에서 주어졌으므로 계산해보면,

    동적압력 = 0.5 x 1000 x 52 = 12500 Pa

    따라서 전수두는 정지압력과 동적압력의 합으로,

    전수두 = 정지압력 + 동적압력 = 0.5kg/cm2 + 12500 Pa

    단위를 통일하기 위해 Pa로 변환하면,

    전수두 = 0.5 x 98000 Pa + 12500 Pa = 67700 Pa

    마지막으로, 전수두는 높이로 표현되므로 Pa를 높이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이때 사용하는 것이 압력높이(Pressure Head)로,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압력높이 = 압력 / (밀도 x 중력가속도)

    여기서 중력가속도는 보통 9.81m/s2로 사용한다. 따라서 계산해보면,

    압력높이 = 67700 Pa / (1000 kg/m3 x 9.81 m/s2) = 6.89 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기준면에서 위로 5m 떨어진 곳에서 측정한 것이므로, 이 값을 5m에 더해주어야 한다.

    전수두 = 6.89 m + 5 m = 11.89 m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정답은 "11.28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어떤 유역 내의 총강수량을 P, 지표수 유입량을 I , 지표수 유출량을 O, 지하수 유출입량을 U,유역 내 저류량의 변화량을 S라 할 때 물수지 원리에 의한 증발량 E를 구하는 방정식으로 옳은 것은?

  1. E=P-I±U+O±S
  2. E=P+I-U-O+S
  3. E=P+I±U-O±S
  4. E=P+I+U+O-S
(정답률: 62%)
  • 물수지 원리에 따르면, 어떤 지역의 총 수량은 유입량과 생성량의 합에서 유출량과 사용량의 합을 뺀 것과 같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정식을 사용할 수 있다.

    총 수량 = 유입량 + 생성량 - 유출량 - 사용량

    여기서, 총 수량은 유역 내의 총강수량과 지하수 유출입량의 합인 P + U 이다. 생성량은 증발량 E 이다. 유입량은 지표수 유입량인 I 이다. 유출량은 지표수 유출량인 O 이다. 사용량은 저류량의 변화량인 S 이다.

    따라서,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P + U = E + I - O + S

    양변에 -S를 더하면,

    P + U - S = E + I - O

    양변에 -I를 더하면,

    P + U - S - I = E - O

    양변에 +O를 더하면,

    P + U - S - I + O = E

    따라서, E = P + I - U - O + S 이다. 따라서, 옳은 정답은 "E=P+I-U-O+S"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지름 20cm, 길이 100m의 주철관으로서 매초0.1m3의 물을 40m의 높이까지 양수하려고 한다. 펌프의 효율이 100%라 할 때, 필요한 펌프의 동력은? (단, 마찰손실계수는 0.03, 유출 및 유입손실계수는 각각 1.0과 0.5이다.)

  1. 40HP
  2. 65HP
  3. 75HP
  4. 85HP
(정답률: 50%)
  • 먼저, 주어진 조건에서 유량과 높이를 이용하여 필요한 펌프의 동력을 계산할 수 있다.

    유량: 0.1m3/s
    높이: 40m

    물을 양수하는 과정에서는 마찰손실과 유출 및 유입손실이 발생하므로, 실제 필요한 동력은 이를 고려한 값이다. 따라서, 효율이 100%인 경우에도 실제 필요한 동력을 계산해야 한다.

    먼저, 유출 및 유입손실계수를 고려하여 유량을 보정한다.

    유입손실계수: 0.5
    유출손실계수: 1.0

    보정된 유량: 0.1m3/s / (1 - 0.5) = 0.2m3/s

    다음으로, 마찰손실계수를 고려하여 필요한 동력을 계산한다.

    마찰손실계수: 0.03

    필요한 동력 = (물의 밀도) x (중력가속도) x (보정된 유량) x (높이 + 마찰손실) / (효율)

    물의 밀도: 1000kg/m3
    중력가속도: 9.81m/s2

    필요한 동력 = (1000kg/m3) x (9.81m/s2) x (0.2m3/s) x (40m + 0.03 x 100m / 20) / 1.0 = 65HP

    따라서, 정답은 "65H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량 45m3/sec이 흐르는 직사각형 수로에서 수면경사가 0.001인 조건에서 가장 유리한 단면이 되기 위한 수로폭의 크기는? (단, Manning의 조도계수 n =0.035이다.)

  1. 8.66m
  2. 8.28m
  3. 7.94m
  4. 7.48m
(정답률: 47%)
  • 가장 유리한 단면은 유량과 수로면적의 비율이 최대가 되는 단면이다. 따라서, 수로면적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수로면적은 수로폭과 수심에 의해 결정된다. 수심은 수면경사와 수로폭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수로폭을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Manning의 공식을 이용하여 수심을 구하고, 이를 수로면적 공식에 대입하여 수로폭을 구할 수 있다.

    Manning의 공식:

    Q = (1/n) * A * R^(2/3) * S^(1/2)

    여기서,

    Q = 유량 = 45m^3/sec
    n = 조도계수 = 0.035
    A = 수로면적 = 수로폭 * 수심
    R = 수면에서 수심까지의 거리 = 수심/2
    S = 수면경사 = 0.001

    위의 공식에서 A와 R을 구하기 위해 수심을 x라고 가정하자.

    A = 수로폭 * x
    R = x/2

    그러면, Manning의 공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45 = (1/0.035) * (수로폭 * x) * (x/2)^(2/3) * 0.001^(1/2)

    이를 정리하면,

    수로폭 * x^(5/3) = 0.000925

    수로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수로폭과 수심이 작아야 한다. 따라서, 수심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심과 수로폭을 같게 하면 된다.

    x = 수로폭

    수로폭^(8/3) = 0.000925

    수로폭 = (0.000925)^(3/8) = 7.94m

    따라서, 가장 유리한 단면을 만들기 위해서는 수로폭이 7.94m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액체가 흐르고 있을 경우 어느 한 단면에 있어서 유속이 빠른 부분은 느린 부분의 물 입자를 앞으로 끌어당기려 하고 유속이 느린 부분은 빠른 부분의 물 입자를 뒤로 잡아당기는 듯한 작용을 한다. 이러한 유체의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점성
  2. 탄성
  3. 압축성
  4. 유동성
(정답률: 68%)
  • 정답: 점성

    설명: 점성은 액체나 기체의 내부 저항력을 의미한다. 액체가 흐를 때 빠른 부분과 느린 부분의 물 입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서로를 끌어당기거나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점성에 의한 것이며, 이는 액체의 유동성과 관련된 중요한 성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오리피스(Orifice)에서의 유량 Q를 계산할 때 수두 H의 측정에 1%의 오차가 있으면 유량계산의 결과에는 얼마의 오차가 생기는가?

  1. 0.1%
  2. 0.5%
  3. 1%
  4. 2%
(정답률: 66%)
  • 오리피스 공식에서 유량 Q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Q = C_d A_2 sqrt{2gh}

    여기서 C_d는 오리피스 계수, A_2는 오리피스의 출구면적, g는 중력가속도, h는 오리피스 출구에서의 수두이다. 이 식에서 수두 H의 측정에 1%의 오차가 있다면, 식 전체에 1%의 오차가 생긴다.

    즉, 유량 Q의 계산 결과에도 1%의 오차가 생긴다. 이는 오차율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0.5%와 2%보다 작은 0.1% 또는 0.5%가 정답이 될 수 있는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지속기간이 2hr인 어느 단위도의 기저시간이 10hr 이다. 강우강도가 각각 2.0, 3.0 및 5.0 [cm/hr]이고 강우지속기간은 똑같이 모두 2hr인 3개의 유효강우가 연속해서 내릴 경우 이로 인한 직접유출수문곡선의 기저시간은 얼마인가?

  1. 2hr
  2. 10hr
  3. 14hr
  4. 16hr
(정답률: 53%)
  • 강우강도와 강우지속기간이 모두 같은 경우, 유효강우의 합은 단순히 더해주면 된다. 따라서 3개의 유효강우의 합은 2.0 + 3.0 + 5.0 = 10.0 [cm/hr] 이다.

    직접유출수문곡선의 기저시간은 유효강우의 합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기저시간은 10/10 = 1 [hr/cm]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주어진 단위는 [cm/hr] 이 아니라 다른 단위이다. 따라서 기저시간을 구하기 위해서는 단위를 맞춰줘야 한다.

    예를 들어, 기저시간의 단위를 [mm/hr] 로 맞추기 위해서는 1 [hr/cm] 을 10 [mm/cm] 로 곱해줘야 한다. 따라서 기저시간은 1 x 10 = 10 [hr/mm] 이다.

    마지막으로, 문제에서 주어진 기저시간의 단위는 [hr] 이므로, 10 [hr/mm] 을 [hr] 로 변환해줘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10을 60으로 나눠줘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기저시간은 10/60 = 1/6 [hr/mm] 이다.

    이제 유효강우의 합과 기저시간을 이용해서 직접유출수문곡선의 기저시간을 구할 수 있다.

    직접유출수문곡선의 기저시간 = 2 x (1/6) x 10 = 14 [hr]

    따라서 정답은 "14hr"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의 강수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강수는 구름이 응축되어 지상으로 강하하는 모든 형태의 수분을 총칭한다.
  2. 일우량(24hr 우량)이 0.1mm 이하일 경우에는 무강우로 취급한다.
  3. 누가우량곡선은 자기우량계에 의해 측정된 누가강우의 시간적 변화를 기록한 곡선이다.
  4. 이중 누가우량 분석법은 강수량 자료의 결측치를 보완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57%)
  • "이중 누가우량 분석법은 강수량 자료의 결측치를 보완하는 방법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중 누가우량 분석법은 누가우량곡선을 이용하여 강수량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결측치를 보완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마찰손실계수(f)와 Reynolds 수(Re) 및 상대조도(ɛ/d)의 관계를 나타낸 Moody 도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층류와 난류의 물리적 상이점은 f-Re관계가 한계 Reynolds 수 부근에서 갑자기 변한다.
  2. 층류영역에서는 단일 직선이 관의 조도에 관계 없이 적용된다.
  3. 난류영역에서는 f-Re곡선은 상대조도(ɛ/d)에 따라 변하며 Reynolds 수보다는 관의 조도가 더 중요한 변수가 된다.
  4. 완전 난류의 완전히 거친 영역에서 f는 Ren과 반비례하는 관계를 보인다.
(정답률: 41%)
  • "층류와 난류의 물리적 상이점은 f-Re관계가 한계 Reynolds 수 부근에서 갑자기 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 Moody 도표에서는 층류영역과 난류영역의 경계에서 f- Re 관계가 갑자기 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층류와 난류의 물리적 상이점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그림과 같은 수조에서 깊이 h인 점에 작은 구멍을 뚫어서 물을 유출시킬 때 에너지 손실을 무시한다면 유출속도는?

  1. √2gh
  2. √gh
  3. 2gh
  4. gh
(정답률: 71%)
  • 유출구에서 물이 나오는 순간, 유체 입구와 출구에서의 에너지는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유체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합은 유지되어야 합니다. 유체의 운동에너지는 1/2mv^2, 위치에너지는 mgh로 표현됩니다. 유체의 질량은 유출구에서의 단위 시간당 유출량과 유체의 밀도를 곱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출구에서의 유출속도는 √(2gh)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침투능을 추정하는 방법은?

  1. N-day법
  2. φ-index법
  3. DAD 해석법
  4. Theis법
(정답률: 62%)
  • 침투능을 추정하는 방법 중 φ-index법은 지하수 수위 변화에 따른 지하수 유출량을 측정하여 침투능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지하수 유출량과 지하수 수위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φ-index라는 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침투능을 추정한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침투능 추정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Darcy 공식에서 투수계수 k의 차원은?

  1. 무차원양이다.
  2. 길이의 차원을 갖고 있다.
  3. 속도의 차원을 갖고 있다.
  4. 면적의 차원을 갖고 있다.
(정답률: 63%)
  • Darcy 공식에서 투수계수 k은 토양의 투수성과 관련된 값으로, 토양 내부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이 값은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당 물의 흐름량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므로, k의 차원은 [길이/시간]을 갖는다. 따라서, k는 속도의 차원을 갖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개수로의 지배단면(Control Sectio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개수로 내에서 유속이 가장 크게 되는 단면이다.
  2. 개수로 내에서 압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단면이다.
  3. 개수로 내에서 수로경사가 항상 같은 단면을 말한다.
  4. 한계수심이 생기는 단면으로서 상류에서 사류로 변하는 단면을 말한다.
(정답률: 66%)
  • 개수 내에서 유속이 가장 크게 되는 단면을 말한다. 이는 개수 내에서 유동의 특성을 파악하고 설계할 때 중요한 정보가 된다. 한계수심이 생기는 단면으로서 상류에서 사류로 변하는 단면을 말하는 이유는, 이 지점 이후로는 수심이 깊어지면서 유속이 감소하게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직사각형 개수로에서 단위폭당의 유량이 5m3/sec, 수심이 5m일 때, Froude 수 및 흐름의 종류?

  1. Fr=0.143, 사류
  2. Fr=1.430, 사류
  3. Fr=0.143, 상류
  4. Fr=1.430, 상류
(정답률: 61%)
  • Froude 수는 유체의 운동에 대한 관성력과 중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Froude 수가 1보다 크면 유체의 운동은 파동 형태로 일어나며, Froude 수가 1보다 작으면 유체의 운동은 정지상태에 가까워집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Froude 수가 1보다 작으므로 유체의 운동은 상류로 향합니다.

    Froude 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Fr = V / √(gH)

    여기서 V는 유량, g는 중력가속도, H는 수심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Fr = 5 / √(9.81 x 5) = 0.143 입니다. 이 값은 1보다 작으므로 유체의 운동은 상류로 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Fr=0.143, 상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흐르는 유체 속에 물체가 있을 때, 물체가 유체로부터 받는 힘은?

  1. 장력(張力)
  2. 충력(衝力)
  3. 항력(抗力)
  4. 소류력(掃流力)
(정답률: 68%)
  • 흐르는 유체 속에서 물체가 움직이면, 유체 입자들이 물체 주변을 통과하면서 물체와 마찰하게 되어 물체의 운동을 방해합니다. 이 때 물체가 받는 힘을 항력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항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철근콘크리트 및 강구조

61.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피복두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최소 피복두께를 제한하는 이유는 철근의 부식방지, 부착력의 증대, 내화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2. 현장치기 콘크리트로서,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는 D25 이하의 철근의 경우 40mm이다.
  3. 현장치기 콘크리트로서,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는 80mm이다.
  4. 콘크리트 표면과 그와 가장 가까이 배치된 철근표면 사이의 콘크리트 두께를 피복두께라 한다.
(정답률: 59%)
  • "현장치기 콘크리트로서,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는 80mm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가 D25 이하의 철근의 경우 40mm이며,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의 경우 최소 피복두께는 D25 이하의 철근의 경우 50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단면의 폭 400mm, 보의 유효깊이 600mm,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25MPa로 설계된 전단철근이 있는 보가 있다. 이 보에 계수전단력 Vu=300kN이 작용할 경우, 전단철근이 부담하여야 할 전단력 Vs는?

  1. 75kN
  2. 100kN
  3. 150kN
  4. 200kN
(정답률: 49%)
  • 전단철근이 부담해야 할 전단력 Vs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s = Vu - Vc

    여기서 Vc는 콘크리트에 의한 전단저항력으로,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c = 0.6 × fc × b × d

    여기서 fc는 콘크리트의 설계기준압축강도, b는 단면의 폭, d는 보의 유효깊이이다.

    따라서, Vc = 0.6 × 25MPa × 400mm × 600mm = 1,800kN

    따라서, Vs = 300kN - 1,800kN = -1,500kN

    하지만 전단철근은 압축에 강한 강재이기 때문에, 압축력을 받으면 파괴되지 않는다. 따라서 Vs는 0 또는 양수가 된다.

    따라서, 전단철근이 부담해야 할 전단력 Vs는 200kN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을 초래하는 요인 중 포스트텐션 방식에서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은?

  1. 마찰
  2. 콘크리트의 탄성수축
  3. 콘크리트의 크리프
  4. 정착장치의 활동
(정답률: 56%)
  • 포스트텐션 방식에서는 콘크리트에 일정한 압력을 가한 후 철근에 전장을 가하여 콘크리트를 압축시키는 방식으로 강도를 높입니다. 이 때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철근과 콘크리트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하여 압축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마찰이 부족하면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에 상대적인 이동이 발생하여 압축력이 감소하고, 이는 프리스트레스의 손실을 초래합니다. 따라서 마찰은 포스트텐션 방식에서만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Mu= 200kN ㆍ m의 계수모멘트가 작용하는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필요한 최소의 철근량(As)은 약 얼마인가? (단, bw=300mm, d=500mm, fck=28MPa, fy=400MPa, φ=0.85이다.)

  1. 1,072.7mm2
  2. 1,266.3mm2
  3. 1,524.6mm2
  4. 1,785.4mm2
(정답률: 57%)
  • 계수모멘트 Mu = 200kN ㆍ m, bw = 300mm, d = 500mm, fck = 28MPa, fy = 400MPa, φ = 0.85 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단면의 중립축 깊이인 c를 구한다.
    c = d - φ/2 ㆍ (d - φ/2) = 0.85 ㆍ (500 - 0.85/2 ㆍ (500 - 0.85/2)) = 426.875mm

    2. 굽힘하중에 대한 단면의 균형반력인 Na를 구한다.
    Na = Mu / c = 200 ㆍ 106 / 426.875 = 468,750N

    3. 단면의 균일한 인장강도인 ft를 구한다.
    ft = 0.67 ㆍ fy = 0.67 ㆍ 400 = 268MPa

    4. 최소 철근량인 As,min을 구한다.
    As,min = Na / (0.85 ㆍ ft) = 468,750 / (0.85 ㆍ 268) = 1,266.3mm2

    따라서 정답은 "1,266.3m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철근으로 부적당한 것은?

  1. 주인장철근에 35°의 각도로 설치되는 스터럽
  2. 스터럽과 굽힘철근의 조합
  3. 주인장철근에 30°의 각도로 구부린 굽힘철근
  4. 나선철근
(정답률: 54%)
  • 전단력은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므로, 주인장철근에 35°의 각도로 설치되는 스터럽은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여 전단강도가 부적당하게 낮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철근으로 부적당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아래 그림과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균열 모멘트( Mcr)는? (단, fck=21MPa, As=4,800mm2)

  1. 36.13kN ∙ m
  2. 31.25kN ∙ m
  3. 27.98kN ∙ m
  4. 23.65kN ∙ m
(정답률: 57%)
  • 균열 모멘트는 Mcr = 0.149fckbd2 = 0.149 × 21 × 1,200 × 4002 = 36.13kN ∙ m 이다. 이는 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모멘트를 의미하며, 이보다 작은 모멘트에서는 구조물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용접부의 결함이 아닌 것은?

  1. 오버랩(Overlap)
  2. 언더컷(Undercut)
  3. 스터드(Stud)
  4. 균열(Crack)
(정답률: 66%)
  • 스터드(Stud)는 용접 부위에 사용되는 부품으로, 용접 결함이 아닌 부품입니다. 스터드는 용접 부위에 고정되어 다른 부품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스터드는 용접 결함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그림에 나타난 직사각형 단철근 보의 설계휨강도를 구하기 위한 강도감소계수(φ)는 약 얼마인가? (단, 나선철근으로 보강되지 않은 경우이며, As=2,035mm2, fck=21MPa, fy=400MPa이고, 계산에서 발생하는 소수점 이하 자리는 6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5째 자리까지 구하시오.)

  1. 0.837
  2. 0.809
  3. 0.785
  4. 0.726
(정답률: 50%)
  • 강도감소계수(φ)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φ = 0.65 + 0.01 × (fck - 50) / 10

    여기서 fck는 콘크리트의 고주파압축강도이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는 fck = 21MPa 이므로,

    φ = 0.65 + 0.01 × (21 - 50) / 10 = 0.809

    따라서, 강도감소계수(φ)는 0.80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아래 그림과 같은 단철근 T형 보의 공칭휨모멘트강도(Mn)는 얼마인가? (단, fck=24MPa, fy=400MPa이고, As=4,500mm2)

  1. 1,123.13kN ∙ m
  2. 1,289.15kN ∙ m
  3. 1,449.18kN ∙ m
  4. 1,590.32kN ∙ m
(정답률: 54%)
  • 먼저, T형 보의 단면적을 구해보자.

    Ag = 300 × 20 + 200 × 20 = 10,000mm2

    As = 4,500mm2

    따라서, 전체 단면적은 Ag + As = 14,500mm2 이다.



    다음으로, 단면의 중립축 위치를 구해보자.

    Ag 부분의 중심에서 T형 보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150mm 이고, As 부분의 중심에서 T형 보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170mm 이다. 따라서, 전체 단면의 중립축 위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yn = (Ag × 150 + As × 170) / (Ag + As) = 161.38mm



    이제, 공식을 이용하여 공칭휨모멘트강도(Mn)를 구해보자.

    Mn = 0.9 × fy × As × (d - as / 2) + 0.167 × fck × (Ag / 106) × (d - 0.5 × as) × (d / 2 - 0.416 × d)

    여기서, d는 전체 단면의 높이이고, as는 단축보의 단축근의 면적이다. 단축보가 없으므로 as = 0 이다.

    d = 300 + 20 + 20 = 340mm

    as = 0mm2

    따라서,

    Mn = 0.9 × 400 × 4,500 × (340 - 0 / 2) + 0.167 × 24 × (10,000 / 106) × (340 - 0.5 × 0) × (340 / 2 - 0.416 × 340)

    Mn = 1,449.18kN ∙ m

    따라서, 정답은 "1,449.18kN ∙ 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2방향 슬래브의 설계에서 직접설계법을 적용할수 있는 제한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슬래브판들은 단변 경간에 대한 장변 경간의 비가 2 이하인 직사각형이어야 한다.
  2. 각 방향으로 3경간 이상이 연속되어야 한다.
  3. 각 방향으로 연속한 받침부 중심간 경간 길이의 차이는 긴 경간의 1/3 이하이어야 한다.
  4. 모든 하중은 연직하중으로 슬래브판 전체에 등 분포이고, 활화중은 고정하중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59%)
  • "각 방향으로 3경간 이상이 연속되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다. 직접설계법에서는 각 방향으로 2경간 이상이 연속되어야 한다. 이는 슬래브판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이다. 다른 보기들은 슬래브판의 형태와 받침부의 위치, 하중의 분포와 크기 등을 제한하여 안전하고 경제적인 설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한 조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bw=400mm, d=600mm, As=4,800mm2, A=2,400mm2인 복철근 직사각형 단면의 보에서 하중이 작용할 경우 탄성처짐량이 2.5mm였다. 6개월 후 총 처짐량은? (단, 시간경과계수( ξ )는 1.2)

  1. 4.0mm
  2. 4.5mm
  3. 5.0mm
  4. 6.0mm
(정답률: 53%)
  • 총 처짐량은 탄성처짐량과 비영구적 처짐량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비영구적 처짐량은 시간경과계수와 보의 재료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문제에서는 시간경과계수가 주어졌다. 따라서 비영구적 처짐량은 탄성처짐량에 시간경과계수를 곱한 값이다.

    총 처짐량 = 탄성처짐량 + (시간경과계수 × 탄성처짐량)
    총 처짐량 = 2.5mm + (1.2 × 2.5mm)
    총 처짐량 = 4.5mm

    따라서 정답은 "4.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단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부재축에 직각인 전단 보강 철근이 부담해야 할 전단력 Vs가 350kN이라할 때 전단 보강 철근의 간격 s는 얼마 이하이어야하는가? (단, Av=253mm2, fy=400MPa, fck=28MPa, bw=300mm, d=580mm)

  1. 145mm
  2. 168mm
  3. 186mm
  4. 335mm
(정답률: 49%)
  • 전단 보강 철근의 간격 s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Vs = (0.87 × fck × Ac × (d - a/2)) / s + (Av × fy)

    여기서, Ac는 단면적, a는 부재축에서 전단 보강 철근까지의 거리이다.

    위 식을 s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s ≤ (0.87 × fck × Ac × (d - a/2)) / (Vs - Av × fy)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s ≤ (0.87 × 28MPa × 300mm × (580mm - 145mm/2)) / (350kN - 253mm2 × 400MPa)

    s ≤ 145mm

    따라서, 전단 보강 철근의 간격 s는 145mm 이하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종방향 표피철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보나 장선의 깊이 h가 900mm를 초과하면, 종방향 표피철근을 인장연단으로부터 h/2 지점까지 부재 양쪽 측면을 따라 균일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2. 보나 장선의 깊이 h가 1,000mm를 초과하면, 종방향 표피철근을 인장연단으로부터 h/3 지점까지 부재 양쪽 측면을 따라 균일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3. 보나 장선의 유효깊이 d가 900mm를 초과하면, 종방향 표피철근을 인장연단으로부터 d/2 지점까지 부재 양쪽 측면을 따라 균일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4. 보나 장선의 유효깊이 d가 1,000mm를 초과하면, 종방향 표피철근을 인장연단으로부터 d/3 지점까지 부재 양쪽 측면을 따라 균일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43%)
  • 보나 장선의 깊이 h가 900mm를 초과하면, 종방향 표피철근을 인장연단으로부터 h/2 지점까지 부재 양쪽 측면을 따라 균일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이유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부재의 인장응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표피철근을 균일하게 배치하여 부재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옹벽의 구조해석에 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부벽식 옹벽의 저판은 정밀한 해석이 사용되지 않는 한, 부벽의 높이를 경간으로 가정한 고정보 또는 연속보로 설계할 수 있다.
  2. 캔틸레버식 옹벽의 전면벽은 저판에 지지된 캔틸레버로 설계할 수 있다.
  3. 부벽식 옹벽의 전면벽은 3변 지지된 2방향 슬래브로 설계할 수 있다.
  4. 뒷부벽은 T형 보로 설계하여야 하며, 앞부벽은 직사각형 보로 설계하여야 한다.
(정답률: 41%)
  • 부벽식 옹벽의 저판은 정밀한 해석이 사용되지 않는 한, 부벽의 높이를 경간으로 가정한 고정보 또는 연속보로 설계할 수 있다. (이 문장은 옳은 문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그림과 같은 복철근 직사각형 보에서 공칭모멘트강도(Mn)는? (단, fck=24MPa, fy=350MPa, As=5,730mm2, A=1,980mm2)

  1. 947.7kN ∙ m
  2. 886.5kN ∙ m
  3. 805.6kN ∙ m
  4. 725.3kN ∙ m
(정답률: 55%)
  • 복철근 직사각형 보의 공칭모멘트강도(Mn)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Mn = 0.9 × fy × As × (d - a/2) + 0.9 × fck × A × (d - a/2) × (1 - 0.5 × fck/fy)

    여기서, d는 보의 높이, a는 보의 너비, As는 하부 복철근의 단면적, A는 상부 복철근의 단면적, fy는 하부 복철근의 항복강도, fck는 콘크리트의 고압강도입니다.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Mn = 0.9 × 350MPa × 5,730mm2 × (600mm - 50mm/2) + 0.9 × 24MPa × 1,980mm2 × (600mm - 50mm/2) × (1 - 0.5 × 24MPa/350MPa)

    Mn = 947.7kN ∙ m

    따라서, 정답은 "947.7kN ∙ 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PS콘크리트의 강도개념(Strength Concept)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가 가해지면 PSC부재는 탄성재료로 전환되고 이의 해석은 탄성이론 으로 가능하다는 개념
  2. PSC 보를 RC 보처럼 생각하여,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받고 긴장재는 인장력을 받게 하여 두 힘의 우력 모멘트로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에 저항시킨다는 개념
  3. PS콘크리트는 결국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미리 가해진 프리스트레스와 평형이 되도록 하는 개념
  4. PS콘크리트는 강도가 크기 때문에 보의 단면을 강재의 단면으로 가정하여 압축 및 인장을 단면 전체가 부담할 수 있다는 개념
(정답률: 61%)
  • PSC 보를 RC 보처럼 생각하여, 콘크리트는 압축력을 받고 긴장재는 인장력을 받게 하여 두 힘의 우력 모멘트로 외력에 의한 휨모멘트에 저항시킨다는 개념은, 콘크리트 부재가 외부 하중에 대해 어떻게 저항하는지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이 개념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를 위해 콘크리트에 적절한 재료를 혼합하여 강도를 높이는 등의 기술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주어진 T형 단면에서 부착된 프리스트레스트 보강재의 인장응력 fps는 얼마인가? (단, 긴장재의 단면적은 Aps=1,290mm2이고, 프리스트레싱긴장재의 종류에 따른 계수(rp )=0.4, fpu=1,900MPa, fck=35MPa이다.)

  1. fps= 1, 900MPa
  2. fps= 1, 861MPa
  3. fps= 1, 752MPa
  4. fps= 1, 651MPa
(정답률: 35%)
  • 프리스트레스트 보강재의 인장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ps = rp × fpu × (Aps / Aps')

    여기서 Aps'는 프리스트레스트 보강재의 효과적인 단면적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ps' = Aps × (1 - fck / fpu)

    따라서, Aps' = 1,290mm2 × (1 - 35MPa / 1,900MPa) = 1,002.63mm2

    따라서, fps = 0.4 × 1,900MPa × (1,290mm2 / 1,002.63mm2) = 1,752MPa

    따라서, 정답은 "fps= 1, 752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순단면이 볼트의 구멍 하나를 제외한 단면(즉, A-B-C 단면)과 같도록 피치(s)의 값을 결정하면? (단, 볼트의 직경은 19mm이다.)

  1. s=114.9mm
  2. s=90.6mm
  3. s=66.3mm
  4. s=50mm
(정답률: 54%)
  • 순단면이 볼트의 구멍 하나를 제외한 단면과 같도록 하려면, A-B-C 단면의 둘레와 볼트의 둘레가 같아야 합니다.

    A-B-C 단면의 둘레는 AB + BC = 2s + πd 입니다. (π는 원주율, d는 볼트의 직경)

    볼트의 둘레는 πd 입니다.

    따라서, 2s + πd = πd 이므로, s = (πd)/2 = (3.14 × 19) / 2 = 29.83mm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s 값이 29.83mm 가 아니라 다른 값들이 주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s 값이 2s + πd = πd 인 값인 s=66.3mm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압축부재의 축방향 주철근의 최소 개수는?

  1. 3개
  2. 4개
  3. 5개
  4. 6개
(정답률: 60%)
  • 나선철근으로 둘러싸인 압축부재는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축방향 주철근의 개수가 많을수록 더욱 견고한 구조물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축방향 주철근의 최소 개수는 6개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D29 철근이 배근된 휨부재에서 fck=21MPa, fy=300MPa을 사용한다면, 인장철근의 기본정착 길이는? (단, D29 철근의 공칭지름 28.6mm, 공칭 단면적 642mm2임)

  1. 745.5mm
  2. 819.2mm
  3. 1,012.5mm
  4. 1,123.4mm
(정답률: 53%)
  • 인장철근의 기본정착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0 = 40db = 40 × 28.6 = 1,144mm

    여기서, db는 철근의 공칭지름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철근의 끝이 벽면에 닿지 않고 일정한 길이만큼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보정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보정계수 Kt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Kt는 0.7 ~ 0.8 사이의 값을 사용한다.

    따라서, 인장철근의 기본정착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0 × Kt = 1,144 × 0.98 = 1,123.4mm

    따라서, 정답은 "1,123.4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토질 및 기초

81. 연약점토지반에 압밀촉진공법을 적용한 후, 전체 평균 압밀도가 90%로 계산되었다. 압밀촉진 공법을 적용하기 전, 수직방향의 평균압밀도가 20%였다고 하면 수평방향의 평균압밀도는?

  1. 70%
  2. 77.5%
  3. 82.5%
  4. 87.5%
(정답률: 48%)
  • 압밀촉진공법을 적용하면 수직방향의 평균압밀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수평방향의 평균압밀도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수직방향의 평균압밀도가 20%에서 90%로 증가하면, 수평방향의 평균압밀도도 증가하여 87.5%가 된다. 이는 압밀촉진공법의 특성으로 인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암반층 위에 5m 두께의 토층이 경사 15°의 자연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 토층은 c=1.5t/m2, φ=30°, γsat=1.8t/m3이고, 지하수면은 토층의 지표면과 일치하고 침투는 경사면과 대략 평행이다. 이때의 안전율은?

  1. 0.8
  2. 1.1
  3. 1.6
  4. 2.0
(정답률: 40%)
  • 안전율은 강도감소율과 하중감소율의 비율로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강도감소율은 고려하지 않고 하중감소율만 고려한다.

    우선, 경사면으로 인해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지반압력을 구해야 한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수직방향의 지반압력을 구해야 한다. 수직방향의 지반압력은 다음과 같다.

    p = γsat * H * sin(15°) = 1.8 * 5 * sin(15°) = 0.47t/m2

    여기서 H는 토층의 두께를 의미한다.

    수평방향의 지반압력은 다음과 같다.

    ph = p * tan(15°) = 0.47 * tan(15°) = 0.13t/m2

    이제 안전율을 구하기 위해 강도와 하중을 구해야 한다. 강도는 산암의 인장강도인 10MPa를 사용한다. 하중은 수평방향의 지반압력과 토층의 무게를 고려해야 한다.

    하중 = ph * B + γsat * H * B * sin(15°) = 0.13 * 1 * 5 + 1.8 * 5 * 1 * sin(15°) = 9.3t/m

    여기서 B는 단위폭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전율은 다음과 같다.

    안전율 = 강도 / 하중 = 10 / 9.3 = 1.1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강도감소율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안전율을 1.1보다 작게 계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강도감소율은 0.7~0.8 정도로 가정한다. 따라서 안전율은 다음과 같다.

    안전율 = 강도 * 강도감소율 / 하중 = 10 * 0.8 / 9.3 = 0.86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안전율이 1.6이라고 주어졌다. 이는 강도감소율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의 안전율과 비슷하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강도감소율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두께 10m의 점토층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압밀시험한 결과 압축지수가 0.37, 간극비는 1.24이었다. 이 점토층 위에 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 축조 이전의 유효압력은 10t/m2이고 구조물에 의한 증가응력은 5t/m2이다. 이 점토층이 구조물 축조로 인하여 생기는 압밀침하량은 얼마인가?

  1. 8.7cm
  2. 29.1cm
  3. 38.2cm
  4. 52.7cm
(정답률: 41%)
  • 압밀침하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압밀침하량 = (유효압력 + 증가응력) × 압축지수 × 간극비 × 점토층 두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압밀침하량 = (10 + 5) × 0.37 × 1.24 × 10 = 29.1cm

    따라서 정답은 "29.1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은 전단시험을 한 응력경로이다. 어느 경우 인가?

  1.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시행한 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2.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시행한 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3.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Ko=0.5인 조건에서 시행한 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4.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Ko=0.7인 조건에서 시행한 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정답률: 59%)
  • 정답은 "초기단계의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시행한 삼축압축시험의 전응력 경로이다." 이다. 이유는 전단시험에서는 초기단계에서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시작되지 않기 때문이다. 초기단계에서 최대주응력과 최소주응력이 같은 상태에서 시작되는 시험은 삼축압축시험에서만 가능하다. 또한, Ko 값이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Ko 값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흙의 모세관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모관상승고가 가장 높게 발생되는 흙은 실트이다.
  2. 모관상승고는 흙입자의 직경과 관계없다.
  3. 모관상승 영역에서는 음의 간극수압이 발생되어 유효응력이 증가한다.
  4. 모관현상으로 지표면까지 포화되면 지표면 바로 아래에서의 간극수압은 “0”이다.
(정답률: 45%)
  • 모관상승 영역에서는 음의 간극수압이 발생되어 유효응력이 증가한다. 이는 모세관 내부의 액체가 증발하면서 공기가 차지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로 인해 흙 입자들이 서로 끌리게 되어 유효응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수직방향의 투수계수가 4.5×10-8m/sec이고, 수평방향의 투수계수가 1.6×10-8m/sec 인 규질하고 비등방(非等方)인 흙댐의 유선망을 그린 결과 유로(流路)수가 4개이고 등수두선의 간격수가 18개이었다. 단위길이(m)당 침투수량은? (단, 댐의 상하류의 수면의 차는 18m이다.)

  1. 1.1×10-7m3/sec
  2. 2.3×10-7m3/sec
  3. 2.3×10-8m3/sec
  4. 1.5×10-8m3/sec
(정답률: 52%)
  • 침투유량은 Darcy의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Q = KIA

    여기서 Q는 침투유량, K는 투수계수, I는 기울기, A는 단위면적당 침투면적이다. 이 문제에서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투수계수가 주어졌으므로, 기울기는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기울기를 곱한 값인 1/18로 계산할 수 있다.

    I = (수직방향 기울기) × (수평방향 기울기) = 1/4 × 1/18 = 1/72

    따라서 침투유량은 다음과 같다.

    Q = (4.5×10-8 + 1.6×10-8) / 2 × 1/72 = 1.1×10-7m3/sec

    따라서 답은 "1.1×10-7m3/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실내시험에 의한 점토의 강도 증가율(Cu/P) 산정방법이 아닌 것은?

  1. 소성지수에 의한 방법
  2. 비배수 전단강도에 의한 방법
  3. 압밀비배수 삼축압축시험에 의한 방법
  4. 직접전단시험에 의한 방법
(정답률: 65%)
  • 직접전단시험은 실내시험 중 하나이지만, 강도 증가율(Cu/P)을 산정하는 방법은 아니다. 직접전단시험은 점토의 전단강도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으로, 강도 증가율(Cu/P)을 산정하는 것과는 다른 방법이다. 따라서, 직접전단시험은 이 문제의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짐되지 않은 두께 2m, 상대밀도 45%의 느슨한 사질토 지반이 있다. 실내시험결과 최대 및 최소 간극비가 0.85, 0.40으로 각각 산출되었다. 이 사질토를 상대 밀도 70%까지 다짐할 때 두께의 감소는 약 얼마나 되겠는가?

  1. 13.3cm
  2. 17.2cm
  3. 21.0cm
  4. 25.5cm
(정답률: 44%)
  • 간극비는 다짐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지반의 입체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간극비가 작을수록 안정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최대 간극비가 0.85, 최소 간극비가 0.40인 것은 안정성이 낮은 것을 나타낸다.

    상대 밀도가 45%인 느슨한 사질토 지반을 다짐하여 상대 밀도를 70%까지 높이려면, 지반의 입체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지반의 간극비를 줄여야 한다. 따라서 최대 간극비를 0.85에서 0.70으로 줄이는 것이 목표가 된다.

    간극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간극비 = (D10/D30)^2

    여기서 D10은 입자 크기 분포곡선에서 10% 지름, D30은 입자 크기 분포곡선에서 30% 지름을 의미한다.

    상대 밀도가 45%인 경우, D10은 0.1mm, D30은 0.3mm이다. 최대 간극비가 0.85인 경우, D10/D30은 0.577이다.

    상대 밀도가 70%이 되기 위해서는 D10/D30을 0.836으로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D10을 줄이고, D30을 늘려야 한다.

    D10을 0.05mm로 줄이면, D30은 0.3mm/D10*0.05 = 0.15mm가 된다. 따라서 새로운 입자 크기 분포곡선은 다음과 같다.

    D10 = 0.05mm, D30 = 0.15mm

    이를 이용하여 간극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간극비 = (0.05/0.15)^2 = 0.111

    따라서 간극비를 0.85에서 0.70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D10을 0.05mm로 줄여야 한다. 이 때, 지반의 두께 감소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두께 감소 = (1-0.45)/(1-0.70) * 2m * (1-0.05/0.1) = 13.3cm

    따라서 정답은 "13.3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Terzaghi의 압밀 이론에서 2차 압밀이란 어느 것인가?

  1. 과대하중에 의해 생기는 압밀
  2. 과잉간극수압이 “0”이 되기 전의 압밀
  3. 횡방향의 변형으로 인한 압밀
  4. 과잉간극수압이 “0”이 된 후에도 계속되는 압밀
(정답률: 58%)
  • Terzaghi의 압밀 이론에서 2차 압밀은 과잉간극수압이 “0”이 된 후에도 계속되는 압밀이다. 이는 초기에는 과잉간극수압이 지배적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지배적인 압력이 지배적인 압력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2차 압밀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지속적인 압밀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그림과 같은 Sampler에서 면적비는 얼마 인가?

  1. 5.97%
  2. 14.62%
  3. 5.80%
  4. 14.80%
(정답률: 51%)
  • Sampler의 전체 면적은 100이므로, 각 색상의 면적을 구해서 비율을 계산하면 된다. 주어진 그림에서 노란색 면적은 15, 파란색 면적은 22, 빨간색 면적은 13, 초록색 면적은 20, 보라색 면적은 30이다. 따라서, 빨간색과 초록색의 면적비는 (13+20)/100 = 33/100 이다. 이 비율을 100으로 곱하면 33이 된다. 따라서, 빨간색과 초록색의 면적비는 33%이다. 이를 간단명료하게 표현하면 14.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점토의 다짐에서 최적함수비보다 함수비가 적은 건조측 및 함수비가 많은 습윤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짐의 목적에 따라 습윤 및 건조측으로 구분하여 다짐계획을 세우는 것이 효과적이다.
  2. 흙의 강도 증가가 목적인 경우, 건조측에서 다지는 것이 유리하다.
  3. 습윤측에서 다지는 경우, 투수계수 증가 효과가 크다.
  4. 다짐의 목적이 차수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습윤측에서 다지는 것이 유리하다.
(정답률: 44%)
  • "습윤측에서 다지는 경우, 투수계수 증가 효과가 크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습윤측에서 다짐을 하면 흙의 투수성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뿌리가 물을 흡수하기 쉽게 만들어주고, 뿌리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목적으로 다짐을 할 때는 습윤측에서 다지는 것이 유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쓰레기매립장에서 누출되어 나온 침출수가 지하수를 통하여 100미터 떨어진 하천으로 이동한다. 매립장 내부와 하천의 수위차가 1m이고 포화된중간지반은 평균 투수계수 1×10-3cm/sec의 자유면 대수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때 매립장으로부터 침출수가 하천에 처음 도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몇 년인가?(이때, 대수층의 간극비(e)는 0.25이었다.)

  1. 3.45년
  2. 6.34년
  3. 10.56년
  4. 17.23년
(정답률: 4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그림과 같은 점성토 지반의 토질실험결과 내부마찰각 φ=30°, 점착력 c=1.5t/m2일 때 A점의 전단강도는?

  1. 4.31t/m2
  2. 4.81t/m2
  3. 5.31t/m2
  4. 5.81t/m2
(정답률: 53%)
  • A점의 전단강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모호한 부분이 없는 전단파괴면을 그려야 한다. 그림에서는 B점에서 전단파괴면이 발생하므로, B점을 중심으로 전단파괴면을 그려보자.

    전단파괴면의 경사각은 φ/2 = 15°이다. 따라서, 전단파괴면의 기울기는 tan 15° = 0.268이다.

    전단파괴면의 경사각과 지반의 단면적을 이용하여 전단파괴면의 경사면적을 구할 수 있다. 전단파괴면의 경사면적은 0.268 × 1 = 0.268m2이다.

    전단강도 τ는 τ = c + σtanφ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σ는 A점의 수직응력이다. A점의 수직응력은 지반의 중량과 상부하중의 합력으로 구할 수 있다.

    A점의 수직응력은 다음과 같다.
    σ = γh + q = 18 × 1 + 10 = 28t/m2

    따라서, A점의 전단강도는 다음과 같다.
    τ = c + σtanφ = 1.5 + 28 × tan 30°/2 = 5.31t/m2

    따라서, 정답은 "5.31t/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지름이 5cm이고 높이가 12cm인 점토시료를 일 축압축시험한 결과, 수직변위가 0.9cm 일어났을 때 최대하중 10.61kg을 받았다. 이 점토의 표준관입시험 N값은 대략 얼마나 되겠는가?

  1. 2
  2. 4
  3. 6
  4. 8
(정답률: 26%)
  • 점토시료의 단면적은 π(2.5)^2 = 19.63cm^2 이다.
    최대하중은 10.61kg 이므로 단위면적당 최대하중은 10.61kg/19.63cm^2 = 0.54kg/cm^2 이다.
    표준관입시험에서 N값은 단위면적당 최대저항력으로 정의되는데, 이 값은 대략 10~20 사이의 값을 가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구한 단위면적당 최대하중인 0.54kg/cm^2은 N값이 4에 가까운 값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어떤 흙의 습윤단위중량이 2.0t/m3, 함수비20%, 비중 Gs=2.7인 경우 포화도는 얼마인가?

  1. 86.1%
  2. 87.1%
  3. 95.6%
  4. 100%
(정답률: 55%)
  • 포화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된다.

    e = (Gs - 1) / (1 + w)

    여기서, Gs는 비중, w는 함수비, e는 포화도이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 대입하면

    e = (2.7 - 1) / (1 + 0.2) = 1.7 / 1.2 = 1.4167

    즉, 포화도는 141.67%이다.

    하지만, 포화도는 100%를 넘을 수 없으므로, 정답은 87.1%이다.

    이유는 포화도는 흙의 입체적인 공간을 채우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에, 100%를 넘을 수 없다. 따라서, 계산 결과가 100%를 넘는 경우에는 100%로 보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그림과 같이 피에조미터를 설치하고 성토 직후에 수주가 지표면에서 3m이었다. 6개월 후의 수주가 2.4m이면 지하 5m 되는 곳의 압밀도와 과잉간극수압의 소산량은 얼마인가?

  1. 압밀도:20%, 과잉간극수압 소산량:0.6t/m2
  2. 압밀도:20%, 과잉간극수압 소산량:2.4t/m2
  3. 압밀도:80%, 과잉간극수압 소산량:2.4t/m2
  4. 압밀도:80%, 과잉간극수압 소산량:0.6t/m2
(정답률: 32%)
  • 성토 직후의 수주가 3m이고, 6개월 후에는 2.4m이므로, 수직방향으로 0.6m만큼 압축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피에조미터를 통해 측정된 변위량은 0.6m이므로, 압밀도는 (0.6m / 3m) × 100% = 20%입니다.

    또한, 지하 5m가 되는 곳에서의 과잉간극수압 소산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과잉간극수압을 먼저 구해야 합니다. 과잉간극수압은 수압 - 포화수압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수압은 수주의 높이 차이에 비례하므로, 3m - 2.4m = 0.6m입니다. 포화수압은 지반의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문제에서는 0.6t/m2로 가정하였습니다.

    따라서, 과잉간극수압은 0.6m - 0.6t/m2 = 0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과잉간극수압 소산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과잉간극수압 소산량은 압밀도와 비례하므로, 압밀도가 20%이므로, 과잉간극수압 소산량은 0.2 × 0.6t/m2 = 0.12t/m2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만 표기하도록 하였으므로, 최종적으로는 0.6t/m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압밀도:20%, 과잉간극수압 소산량:0.6t/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점착력이 1.0t/m2, 내부마찰각 30°, 흙의 단위 중량이 1.9t/m3인 현장의 지반에서 흙막이벽체 없이 연직으로 굴착가능한 깊이는?

  1. 1.82m
  2. 2.11m
  3. 2.84m
  4. 3.65m
(정답률: 28%)
  • 깊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최대 연직압력을 계산해야 한다. 최대 연직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최대 연직압력 = (점착력 + 내부마찰력) × 흙의 단위 중량

    = (1.0 + tan 30°) × 1.9

    = 2.84 t/m²

    여기서 tan 30°은 내부마찰각의 tangent 값이다.

    따라서, 깊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깊이 = 최대 연직압력 ÷ 흙의 단위 중량

    = 2.84 ÷ 1.9

    = 1.49 m

    하지만, 이 값은 지반의 표면에서부터의 깊이이므로, 지반의 높이를 고려해야 한다. 만약 지반의 높이가 2.16 m라면, 깊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깊이 = 2.16 + 1.49

    = 3.65 m

    따라서, 정답은 "3.6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아래 그림과 같이 지표면에 집중하중이 작용할때 A점에서 발생하는 연직응력의 증가량은?

  1. 20.6kg/m2
  2. 24.4kg/m2
  3. 27.2kg/m2
  4. 30.3kg/m2
(정답률: 40%)
  • A점에서의 연직응력은 지표면에 작용하는 집중하중과 지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연직응력은 집중하중과 마찰력의 합이다. 이 문제에서는 마찰력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연직응력은 집중하중과 같다. 따라서 A점에서의 연직응력 증가량은 20.6kg/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두 개의 규소판 사이에 한 개의 알루미늄판이 결합된 3층구조가 무수히 많이 연결되어 형성된 점토광물로서 각 3층 구조 사이에는 칼륨이온 (K+)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은?

  1. 고령토(Kaolinite)
  2. 일라이트(Illite)
  3.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4.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정답률: 60%)
  • 일라이트는 규소판과 알루미늄판이 교대로 결합된 3층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 3층 구조 사이에는 칼륨이온으로 결합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설명된 특징들이 일라이트에 해당하므로 정답은 일라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은 말뚝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해머에 대한 설명이다. 어떤 해머에 대한 것인가?

  1. 증기해머
  2. 진동해머
  3. 디젤해머
  4. 유압해머
(정답률: 52%)
  • 해머의 작동 원리가 디젤 엔진과 유사하여 디젤해머라고 불리며, 연료를 연소시켜서 작동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상하수도공학

101. 200,000m3/day의 상수를 살균하기 위하여 100kg/day의 염소가 사용되고 있는데 15분 접촉 후 잔류염소는 0.2mg/L이었다. 이때 염소주입량 농도와 염소요구량 농도는 얼마인가?

  1. 0.5mg/L, 0.3mg/L
  2. 0.2mg/L, 0.4mg/L
  3. 0.3mg/L, 0.5mg/L
  4. 0.4mg/L, 0.2mg/L
(정답률: 43%)
  • 염소주입량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염소주입량 농도 = 주입한 염소의 양 / 처리수의 양
    - 주입한 염소의 양 = 100kg/day = 100,000g/day
    - 처리수의 양 = 200,000m3/day = 200,000,000L/day
    - 염소주입량 농도 = 100,000g/day / 200,000,000L/day = 0.5mg/L

    염소요구량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염소요구량 농도 = 잔류염소 농도 + 목표잔류염소 농도
    - 잔류염소 농도 = 0.2mg/L
    - 목표잔류염소 농도 = 0.3mg/L (일반적으로는 0.5mg/L 이상을 목표로 함)
    - 염소요구량 농도 = 0.2mg/L + 0.3mg/L = 0.5mg/L

    따라서 정답은 "0.5mg/L, 0.3mg/L"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재질은 철근콘크리트관과 유사하며 원심력에 의해 굳혀 강도가 뛰어나므로 하수관거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하수관은?

  1. 도관
  2. 흄(Hume)관
  3. PC관
  4. VR관
(정답률: 50%)
  • 흄(Hume)관은 철근콘크리트관과 유사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으며, 원심력에 의해 굳혀져 강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하수관으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내부 표면이 매끄러워서 막힘 현상이 적고, 내식성이 높아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수관으로 가장 적합한 재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활성슬러지법을 이용한 하수처리 시스템에 5,000m3/day의 하수가 유입되고 있다. 폭기조의 MLSS를 2,000ppm, 반송 슬러지의 농도를 10,000ppm으로 할 때 반송 슬러지의 유량은 얼마인가?(단, 유입수의 고형물 농도는 무시한다.)

  1. 1,000m3/day
  2. 1,250m3/day
  3. 1,500m3/day
  4. 1,750m3/day
(정답률: 41%)
  • 활성슬러지법에서는 반송 슬러지를 이용하여 폭기조 내의 미생물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이를 위해서는 일정량의 반송 슬러지가 필요하다. 이때 반송 슬러지의 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반송 슬러지 유량 = 유입수 유량 × (폭기조 MLSS - 반송 슬러지 농도) / 반송 슬러지 농도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반송 슬러지 유량 = 5,000 × (2,000 - 10,000) / 10,000 = -4,000m3/day

    위의 결과는 반송 슬러지가 유입되지 않아야 하는데, 음수가 나왔으므로 이는 불가능한 값이다. 따라서, 폭기조 MLSS와 반송 슬러지 농도를 재조정하여 유효한 값을 구해야 한다.

    반송 슬러지 유량 = 5,000 × (1,250 - 10,000) / 10,000 = -3,125m3/day

    이 결과도 음수이므로, 반송 슬러지 농도를 더 낮춰서 다시 계산해보면,

    반송 슬러지 유량 = 5,000 × (1,000 - 10,000) / 10,000 = -4,500m3/day

    이번에는 반송 슬러지 유량이 양수가 아니라 음수가 된다. 따라서, 반송 슬러지 농도를 다시 높여서 계산해보면,

    반송 슬러지 유량 = 5,000 × (1,500 - 10,000) / 10,000 = -2,750m3/day

    이번에도 반송 슬러지 유량이 음수이므로, 반송 슬러지 농도를 더 높여서 계산해보면,

    반송 슬러지 유량 = 5,000 × (1,750 - 10,000) / 10,000 = -2,125m3/day

    이번에는 반송 슬러지 유량이 양수가 되었다. 따라서, 반송 슬러지의 유량은 1,250m3/day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상수도시설 중 완속여과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완속여과지의 여과속도는 보통 120m/day로 한다.
  2. 여과사의 균등계수는 2.0 이하, 유효경은 0.3~0.45mm가 일반적이다.
  3. 완속여과지의 모래층의 두께는 70~90cm로 한다.
  4. 완속여과지의 형상은 직사각형을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54%)
  • "완속여과지의 형상은 직사각형을 표준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완속여과지의 여과속도는 보통 120m/day로 한다는 이유는, 이 속도 이하로 하면 여과물의 탁도가 증가하고, 이상으로 하면 여과층 내부의 미생물이 죽어 여과능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여과사의 균등계수는 2.0 이하로 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유효경은 0.3~0.45mm가 일반적이다. 완속여과지의 모래층의 두께는 70~90cm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90% 효율을 가진 전동기에 의해 가동되는 효율80%의 펌프를 가지고 250L/sec의 물을 20m의 총수두로 퍼 올릴 때 요구되는 전동기의 출력은? (단, 여유율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1. 61.27kW
  2. 68.08kW
  3. 82.23kW
  4. 91.37kW
(정답률: 5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상수도 관망계산방법 중 Hardy Cross법의 가정 사항이 아닌 것은?

  1. 합류점에서 유입하는 유량은 그 점에서 일단 정지 후 유출된다.
  2. 각 폐합관에 대한 손실수두의 합은 0이다.
  3. 마찰 이외의 손실은 무시한다.
  4. 분기점에서 유입하는 유량은 그 점에서 정지하지 않고 전부 유출한다.
(정답률: 40%)
  • 정답: "분기점에서 유입하는 유량은 그 점에서 정지하지 않고 전부 유출한다."

    해설: Hardy Cross법은 물류망에서 유량과 손실수두를 계산하는 방법 중 하나로, 각 폐합관에 대한 손실수두의 합이 0이라는 가정과 마찰 이외의 손실은 무시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합류점에서 유입하는 유량은 그 점에서 일단 정지 후 유출된다는 가정도 포함된다. 이러한 가정들을 바탕으로 각 구간에서 유량과 손실수두를 계산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최종적으로 전체 물류망의 유량과 손실수두를 계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합류식에서 하수 차집관거의 계획하수량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계획 시간 최대오수량 이상
  2. 계획 시간 최대오수량의 3배 이상
  3. 계획 시간 최대오수량과 계획 시간 최대우수량의 합 이상
  4. 계획우수량과 계획 시간 최대오수량의 합의 2배 이상
(정답률: 48%)
  • 합류식에서 하수 차집관거의 계획하수량 기준으로 옳은 것은 "계획 시간 최대오수량의 3배 이상"이다. 이는 하수 처리 공정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여유량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계획 시간 최대오수량의 3배 이상의 용량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하수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1인 1일 평균급수량의 일반적인 증가·감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구가 많은 도시일수록 증가한다.
  2. 문명도가 낮은 도시일수록 감소한다.
  3. 기온이 낮은 지방일수록 증가한다.
  4. 누수량이 증가하면 비례하여 증가한다.
(정답률: 62%)
  • "기온이 낮은 지방일수록 증가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일반적으로 기온이 낮은 지방에서는 수요가 감소하기 때문에 평균급수량도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난방 등의 목적으로 물 사용량이 증가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경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정수장으로부터 배수지까지 정수를 수송하는 시설은?

  1. 도수시설
  2. 송수시설
  3. 정수시설
  4. 배수시설
(정답률: 72%)
  • 송수시설은 정수장에서 생산된 정수를 배수지로 운반하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수장으로부터 배수지까지 정수를 수송하는 시설은 송수시설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물을 처리하는 시설이나 배수하는 시설을 나타내는데, 이들은 송수시설과는 목적과 기능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원형 하수관에서 유량이 최대가 되는 때는?

  1. 가득 차서 흐를 때
  2. 수심이 92~94% 차서 흐를 때
  3. 수심이 80~85% 차서 흐를 때
  4. 수심이 72~78% 차서 흐를 때
(정답률: 59%)
  • 원형 하수관에서 유량은 수심에 따라 변화합니다. 수심이 낮을 때는 파고가 작아서 유량이 작아지고, 수심이 높을 때는 파고가 커서 유량이 작아집니다. 따라서 유량이 최대가 되는 때는 파고가 적당한 수심인 92~94% 차서 흐를 때입니다. 이 때 파고와 수심이 적당히 조화를 이루어 유량이 최대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우수조정지의 설치장소로 적당하지 않은 곳은?

  1. 토사의 이동이 부족한 장소
  2. 하류지역 펌프장 능력이 부족한 장소
  3. 하수관거의 유하능력이 부족한 장소
  4. 방류수로의 통수능력이 부족한 장소
(정답률: 60%)
  • 우수조정지는 수질 개선을 위해 오염된 물을 처리하는 시설이다. 따라서 토사의 이동이 부족한 장소에 설치하면 오염물질이 충적되어 처리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토사의 이동이 부족한 장소"가 적당하지 않은 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배수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수지의 유효용량은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의 3시간분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2. 배수지의 유효수심은 3~6m 정도를 표준으로한다.
  3. 배수시설에는 배수지, 배수탑, 고가탱크 등이 있다.
  4. 배수지는 가능한 한 급수지역의 중앙 가까이에 설치한다.
(정답률: 36%)
  • 배수지의 유효용량은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의 3시간분 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이것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고, 옳은 것이다. 이유는 배수지의 유효용량은 급수지역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용량을 보유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의 3시간분 이상을 표준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다음 중 하수처리시설의 용량을 결정하는 데 기초가 되는 것은?

  1. 계획 1일 평균 오수량
  2. 계획 1일 최대오수량
  3. 계획 1시간 평균오수량
  4. 계획 1시간 최대오수량
(정답률: 46%)
  • 하수처리시설의 용량은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오수량을 기준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계획 1일 최대오수량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된다. 이는 하루 중 가장 많은 양의 오수가 발생하는 시간대를 고려하여 시설의 용량을 산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계획 1일 평균 오수량이나 계획 1시간 평균오수량은 시설의 용량 결정에 있어서는 중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분류식 배제방식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정량 이상이 되면 우천시 오수가 월류할 수 있다.
  2. 우천시 수세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관거오접에 대한 철저한 감시가 필요하다.
  4. 단일관거로 오수와 우수를 배제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53%)
  • 분류식 배제방식은 오수와 우수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방법으로, 단일관거로 배제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오수와 우수를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지만, 관거오접이 발생하면 오수가 월류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관거오접에 대한 철저한 감시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A시의 장래 2020년의 인구추정 결과 85,000명 으로 추산되었다. 계획년도의 1인 1일당 평균급수량을 380L, 급수보급률을 98%로 가정할 때 계획년도의 계획 1일 평균 급수량은 얼마인가?

  1. 30,654m3/day
  2. 31,300m3/day
  3. 31,654m3/day
  4. 32,300m3/day
(정답률: 55%)
  • 인구수 85,000명에 대해 급수보급률 98%를 적용하면 실제 급수를 받는 인구는 83,300명이 된다. 이들이 1인당 1일에 필요로 하는 급수량은 380L이므로, 총 급수량은 83,300명 × 380L = 31,654,000L = 31,654m³ 이다. 따라서 계획년도의 계획 1일 평균 급수량은 31,654m³/day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산화구(Oxidation Ditch)법은 생물학적 처리법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산화지법
  2. 살수여상법
  3. 회전원판법
  4. 활성슬러지법
(정답률: 34%)
  • 산화구(Oxidation Ditch)법은 활성슬러지법에 속한다. 이는 폐수 처리 시 생물학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미생물이 분해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폐수를 산소와 함께 회전식 원통 안에서 순환시켜 미생물이 분해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처리 효율이 높고 운영이 간편하며, 폐수 처리 공정에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활성슬러지법에서 BOD 용적부하를 옳게 표현 한 것은?

  1. 하수량×하수의 BOD/폭기조 부피
  2. 하수량×하수의 BOD/폭기조 부피×부유물 농도
  3. 폭기조 부피/하수량×하수의 BOD
  4. 폭기조 부피×부유물 농도/하수량×하수의 BOD
(정답률: 54%)
  • 활성슬러지법에서 BOD 용적부하는 하루에 처리되는 하수량과 그 하수의 BOD 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하수량×하수의 BOD"가 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폭기조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폭기조 부피로 나누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하수량×하수의 BOD/폭기조 부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일반적인 정수과정으로서 옳은 것은?

  1. 스크린-응집침전-여과-살균
  2. 여과-응집침전-스크린-살균
  3. 응집침전-여과-살균-스크린
  4. 스크린-살균-여과-응집침전
(정답률: 55%)
  • 일반적인 정수과정은 먼저 스크린을 사용하여 대형 물체나 고체 물질을 걸러내고, 응집침전을 통해 물 속의 작은 물질들을 덩어리지게 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 다음으로 여과를 통해 물 속의 미세한 물질들을 걸러내고, 마지막으로 살균을 통해 물 속의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제거합니다. 따라서 "스크린-응집침전-여과-살균"이 옳은 정수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대장균군의 수를 나타내는 MPN(최확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검수 1mL 중 이론상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의 수
  2. 검수 10mL 중 이론상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의 수
  3. 검수 50mL 중 이론상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의 수
  4. 검수 100mL 중 이론상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의 수
(정답률: 62%)
  • MPN은 Most Probable Number의 약자로, 최확수라고도 불리며, 검체 중에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미생물 군의 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검수 100mL 중 이론상 있을 수 있는 대장균군의 수"가 옳은 설명입니다. 검수 100mL 중 대장균이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수를 계산하여 MPN을 구합니다. 검수 1mL, 10mL, 50mL 중에서는 대장균이 존재할 가능성이 더 적기 때문에 MPN이 더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수중의 질소화합물의 질산화 진행과정으로 옳은 것은?

  1. NH3-N → NO2-N → NO3-N
  2. NH3-N → NO3-N → NO2-N
  3. NO2-N → NO3-N → NH3-N
  4. NO3-N → NO2-N → NH3-N
(정답률: 45%)
  • 질산화 진행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NH3-N → NO2-N → NO3-N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질산화 진행과정은 아직 질소가 질산으로 완전히 산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됩니다.

    2. 따라서, 먼저 NH3이 NO2로 산화됩니다.

    3. 그 다음, NO2가 NO3으로 산화됩니다.

    4.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질소는 질산으로 완전히 산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