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4-02)

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06-04-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조냉동안전관리

1. 아세틸렌 용접기에서 가스가 새어 나오는 경우에 검사하는 적당한 방법은?

  1. 냄새를 맡아본다.
  2. 모래를 뿌려본다.
  3. 비눗물을 칠해 검사해 본다.
  4. 성냥불을 가져다가 검사한다.
(정답률: 93%)
  • 아세틸렌은 불안정한 가스이기 때문에 가스가 새어 나오는 경우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가스 누출을 검사하는 방법 중에서도 안전하고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비눗물을 칠해 검사하는 방법은 가스 누출 부위에 비눗물을 바르고, 가스가 새어 나오면 비눗물이 거품이 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이 방법은 가스 누출 부위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거품이 생기는 것으로 가스 누출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스용접 작업에서 일어나는 재해가 아닌 것은?

  1. 전격
  2. 화재
  3. 가스폭발
  4. 가스중독
(정답률: 90%)
  • 전격은 가스용접 작업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일반적인 안전사고이기 때문입니다. 가스용접 작업에서는 화재, 가스폭발, 가스중독 등의 위험이 있지만 전격은 전기 작업과 관련된 위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스패너를 힘주어 돌릴 때 지켜야 할 안전사항이 아닌 것은?

  1. 스패너를 밀지 말고 당기는 식으로 사용한다.
  2. 주위를 살펴보고 나서 조심성 있게 사용한다.
  3. 스패너 자루에 파이프 등을 끼워 사용한다.
  4. 스패너는 조금씩 돌려가며 사용한다.
(정답률: 86%)
  • 스패너 자루에 파이프 등을 끼워 사용하는 것은 올바른 사용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스패너와 파이프 등의 결합 부분에서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패너를 사용할 때는 파이프 등을 끼우지 않고 직접 회전시켜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안전모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통풍이 잘 되어야 한다.
  2. 낡았거나 손상된 것은 교체한다.
  3. 턱끈은 반드시 조여 매지 않아도 된다.
  4. 각 개인별 전용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정답률: 92%)
  • "턱끈은 반드시 조여 매지 않아도 된다."가 틀린 것입니다. 안전모를 착용할 때는 턱끈을 꼭 조여 매야 안전합니다. 턱끈이 너무 느슨하면 안전모가 머리에서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해머 작업시 안전작업에 위배되는 것은?

  1. 장갑을 끼지 않고 작업
  2. 해머 작업 중에 해머상태 확인
  3. 해머 공동작업은 호흡을 맞출 것.
  4. 열처리 된 것은 강하게 때릴 것.
(정답률: 84%)
  • 열처리 된 것은 강하게 때릴 것은 안전작업에 위배되는 것입니다. 이는 열처리로 강화된 재질은 더욱 단단해져서 해머로 강하게 때리면 파손되거나 깨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열처리된 재질은 다른 방법으로 가공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보일러 버너 방폭문을 설치하는 이유는?

  1. 역화로 인한 폭발의 방지
  2. 연소의 촉진
  3. 연료절약
  4. 화염의 검출
(정답률: 85%)
  • 보일러 버너 방폭문은 역화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역화란 연소가 일어나는 과정에서 연소체가 화염을 끌어들여 연소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역화가 발생하면 보일러 내부에서 폭발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방폭문을 설치하여 이를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피복 아크 용접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가스는?

  1. 수소
  2. 이산화탄소
  3. 일산화탄소
  4. 수증기
(정답률: 62%)
  • 피복 아크 용접은 고열로 금속을 용융시키는 과정에서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되는데, 이때 일산화탄소가 발생합니다.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이며 매우 유독한 가스로,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피복 아크 용접시 일산화탄소 중독에 대한 예방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냉동장치 내압시험의 설명으로 적당한 것은?

  1. 물을 사용한다.
  2. 공기를 사용한다.
  3. 질소를 사용한다.
  4. 산소를 사용한다.
(정답률: 43%)
  • 냉동장치 내부에는 냉매가 들어있는데, 이 냉매는 고압으로 압축되어 있습니다. 내압시험은 이 냉매가 누출되지 않도록 냉동장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이때 물을 사용하는 이유는 물은 압력이 증가해도 액체로 유지되기 때문에 냉동장치 내부에서 누출되지 않고, 또한 물은 비교적 안전하게 다룰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냉동장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물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공조실에서 가스용접을 하던 중 산소조정기에서 자연발화가 되었다. 그 원인은?

  1. 불똥이 조정기에 튀었을 때
  2. 직사광선을 받을 때
  3. 급격히 용기밸브를 열었을 때
  4. 산소가 새는 곳에 기름이 묻어 있을 때
(정답률: 50%)
  • 산소는 매우 산성성분이기 때문에, 기름과 같은 불연성 물질과 접촉하면 자연발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조실에서 가스용접을 하던 중 산소조정기에서 자연발화가 된 것은, 산소가 새는 곳에 기름이 묻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산소가 결핍되어 있는 장소에서 사용되는 마스크는?

  1. 송풍 마스크
  2. 방진 마스크
  3. 방독 마스크
  4. 격리식 방진마스크
(정답률: 82%)
  • 송풍 마스크는 공기 중의 먼지나 유해 물질을 걸러내는 기능이 있어서,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방진 마스크나 방독 마스크는 공기 중의 유해 물질을 걸러내는 것뿐만 아니라, 공기를 정화하여 숨을 쉬는 데 필요한 산소를 공급해주는 기능도 있어서 산소 부족한 환경에서는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격리식 방진마스크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병 예방을 위한 마스크로, 산소 부족한 환경에서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사용하는 마스크는 송풍 마스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용접작업 중 감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응급조치 방법이 아닌 것은?

  1. 즉시 냉수를 먹인다.
  2. 인공호흡을 시킨다.
  3. 전원을 차단한다.
  4. 119에 전화한다.
(정답률: 82%)
  • 용접작업 중 감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즉시 냉수를 먹이는 것은 올바른 응급조치가 아닙니다. 이는 감전으로 인한 심장마비 등 심각한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올바른 응급조치는 전원 차단 후 인공호흡을 시키고 119에 신속하게 연락하여 응급처치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수면계가 파손될 경우 제일 먼저 취해야 할 조치는?

  1. 물 콕을 먼저 닫는다.
  2. 증기 콕을 먼저 닫는다.
  3. 기름 밸브를 먼저 닫는다.
  4. 급수밸브를 먼저 닫는다.
(정답률: 49%)
  • 수면계는 물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물 콕을 먼저 닫지 않으면 물이 계속해서 새어나가게 되어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업장에서 안전사고 발생시 안전사고를 조사하는 목적은?

  1. 안전사고의 분석 자료로 물적 증거를 수집하기 위함이다.
  2. 사고의 원인을 파악하여 책임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3. 불안전한 행동과 상태의 사실을 알고 시정책을 강구하기 위함이다.
  4. 관계자들의 활동을 조사하여 상, 벌을 주기 위함이다.
(정답률: 73%)
  • 안전사고를 조사하는 목적은 불안전한 행동과 상태의 사실을 파악하여 이를 개선하고,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불안전한 행동과 상태의 사실을 알고 시정책을 강구하기 위함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유해한 광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적외선
  2. 자외선
  3. 레이저광선
  4. 가시광선
(정답률: 51%)
  • 가시광선은 인간의 눈으로 볼 수 있는 범위의 광선으로, 일반적으로 유해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적외선과 자외선은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레이저광선은 직접 노출될 경우 눈에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시광선이 가장 거리가 먼 유해한 광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고압가스가 충전되어 있는 용기는 몇 ℃ 이하에서 보관해야 하는가?

  1. 40℃
  2. 45℃
  3. 50℃
  4. 55℃
(정답률: 76%)
  • 고압가스가 충전된 용기는 안전상의 이유로 40℃ 이하에서 보관해야 합니다. 이는 고압가스가 높은 압력과 온도에서 폭발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40℃ 이하의 서늘한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기계

16. 압축기에서 냉매를 압축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1. 저압으로 하기 위하여
  2. 액화하기 위하여
  3. 저열원으로 하기 위하여
  4. 팽창하기 위하여
(정답률: 54%)
  • 압축기에서 냉매를 압축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냉매를 액화시키기 위함입니다. 냉매가 액화되면 냉매의 부피가 작아지기 때문에 냉매를 냉장고나 에어컨 안에 더 많이 넣을 수 있습니다. 또한, 액화된 냉매는 냉장고나 에어컨 안에서 열을 흡수하여 냉각 작용을 하기 때문에 냉장고나 에어컨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주파수 80Hz의 사인파 교류의 각속도는?

  1. 160.2[rad/sec]
  2. 251.2[rad/sec]
  3. 461.2[rad/sec]
  4. 502.4[rad/sec]
(정답률: 25%)
  • 주파수 80Hz는 1초당 80번의 주기를 갖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한 주기당 걸리는 시간은 1/80초입니다.

    사인파의 각속도는 주파수에 2π를 곱한 값입니다. 따라서,

    각속도 = 2π x 주파수 = 2π x 80 = 160π [rad/sec]

    이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가 라디안/초이므로, π를 대입하여 계산합니다.

    각속도 = 160π [rad/sec] ≈ 502.4 [rad/sec]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따라서, 정답은 "502.4[rad/s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과 같은 P-h선도에서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74%)
  • P-h선도에서 온도는 등압선과 수직으로 그려진다. 따라서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등압선과 가장 가까운 곳이다. B 지점은 등압선과 가장 가까운 곳으로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이다. 따라서 정답은 "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증발기내의 압력에 의해서 작동하는 팽창밸브는?

  1. 저압측 플로우트밸브
  2. 정압식 자동팽창밸브
  3. 온도식 자동팽창밸브
  4. 수동 팽창밸브
(정답률: 74%)
  • 증발기 내부의 압력이 변화하면, 정압식 자동팽창밸브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작동하여 증발기 내부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합니다. 따라서 정압식 자동팽창밸브가 증발기 내부의 압력에 의해 작동하는 팽창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나사식 강관 이음쇠(파이프 조인트)에 대한 다음 글 중 맞는 것은?

  1. 소구경(小口經)이고 저압의 파이프에 사용한다.
  2. 관로의 방향을 일정하게 할 때 사용한다.
  3. 저압 대구경의 파이프에 사용한다.
  4. 파이프의 분기점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49%)
  • 정답은 "소구경(小口經)이고 저압의 파이프에 사용한다."입니다. 이유는 나사식 강관 이음쇠는 작은 구경의 파이프와 저압의 파이프에 사용되며, 이음점에서 파이프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대구경의 파이프나 분기점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2단 압축 냉동장치에 있어서 중간냉각기의 역할에 관한 사항 중 틀린 것은?

  1. 증발기에 공급하는 액을 과냉각 시켜 냉동효과를 증대시킨다.
  2. 고압압축기의 흡입가스 압력을 저하시키고 압축비를 감소시킨다.
  3. 저압 압축기의 과열도를 저하시킨다.
  4. 고압압축기의 흡입가스의 온도를 내리고 냉동장치의 성적계수를 향상시킨다.
(정답률: 38%)
  • 고압압축기의 흡입가스 압력을 저하시키고 압축비를 감소시킨다는 것이 틀린 것입니다. 중간냉각기는 고압압축기에서 나온 냉매를 냉각하여 액화상태로 만들어 증발기에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중간냉각기는 고압압축기의 흡입가스 압력을 저하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냉매를 냉각하여 압축기의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원심식(Turbo) 압축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임펠러(impeller)에 의해 압축된다.
  2. 보통 전동기로 구동되지만, 증속장치가 필요하다.
  3. 부하가 증가하면 서어징이 일어난다.
  4. 주로 공기냉각용으로 직접팽창방식을 사용한다.
(정답률: 43%)
  • 원심식(Turbo) 압축기는 주로 공기냉각용으로 직접팽창방식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직접팽창방식은 압축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으로, 공기냉각용으로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 공기냉각용으로는 간접팽창방식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냉매에 대하여 다음 각 항 중 맞는 것은?

  1. NH3는 물과 기름에 잘 녹는다.
  2. R-12는 기름과 잘 용해하나 물에는 잘 녹지 않는다.
  3. R-12는 NH3 보다 전열이 양호하다.
  4. NH3의 비중은 R-12 보다 작지만 R-22 보다 크다.
(정답률: 55%)
  • R-12는 기름과 잘 용해하는데, 물과는 잘 녹지 않는 이유는 R-12가 비극성 분자이기 때문입니다. 물은 극성 분자이므로 비극성인 R-12와는 상호작용이 적어 녹지 않습니다. 하지만 기름은 비극성 분자이므로 R-12와 잘 용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냉동장치에 이용되는 부속기기 중 직접 압축기의 보호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온도자동 팽창밸브
  2. 안전밸브
  3. 유압보호 스위치
  4. 액 분리기
(정답률: 39%)
  • 온도자동 팽창밸브는 냉동장치 내부의 압력과 온도를 감지하여 냉매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직접 압축기를 보호하는 역할은 안전밸브와 유압보호 스위치가 담당하며, 액 분리기는 냉매 내부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냉매 순환을 원활하게 합니다. 따라서 온도자동 팽창밸브는 직접 압축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유압보호 스위치의 종류는 바이메탈식과 가스통식이 있다.
  2. 단수릴레이는 수냉응축기 및 브라인 냉각기의 단수 및 감수시 압축기를 차단시키는 스위치이다.
  3. 왕복동식 압축기 기동시 유압보호스위치의 차압 접점은 붙어있다.
  4. 파열판은 일단 동작된 후 내부압력이 낮아지면 가스의 방출이 정지된다.
(정답률: 52%)
  • "파열판은 일단 동작된 후 내부압력이 낮아지면 가스의 방출이 정지된다."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닙니다. 파열판은 일정한 압력 이상이 발생하면 파열하여 가스를 방출하는데, 이후 내부압력이 낮아지면 가스 방출이 정지됩니다. 이는 파열판의 작동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냉매 중 원심식 냉동기에 알 맞는 냉매는?

  1. R-11
  2. R-22
  3. R-290
  4. R-717
(정답률: 33%)
  • 원심식 냉동기는 고온과 고압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냉매의 높은 증발온도와 높은 압축비를 필요로 합니다. 이에 따라 R-11은 적합한 냉매입니다. R-11은 높은 증발온도와 높은 압축비를 가지고 있어 원심식 냉동기에서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드라이어(dryer)에 관한 사항 중 맞는 것은?

  1. 암모니아 가스관에 설치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2. 냉동장치 내에 수분이 존재하는 것은 좋지 않으므로 냉매 종류에 관계없이 설치하여야 한다.
  3. 프레온은 수분과 잘 용해하지 않으므로 팽창밸브에서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4. 건조제로는 황산, 염화칼슘 등의 물질을 사용한다.
(정답률: 66%)
  • 프레온은 수분과 잘 용해하지 않으므로 팽창밸브에서의 동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이유는 프레온이 수분과 잘 용해하지 않기 때문에, 팽창밸브에서 냉매가 확장될 때 수분이 함께 확장되어 얼어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무기질 보온재로서 원통상으로 가공하며 400℃ 이하의 파이프, 덕트, 탱크 등의 보온보냉용으로 사용하는 것은?

  1. 규조토
  2. 글라스울
  3. 암면
  4. 경질 폴리우레탄 폼
(정답률: 40%)
  • 암면은 높은 내화성과 내열성을 가지고 있어 400℃ 이하의 고온 환경에서도 보온보냉에 우수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또한 원통상으로 가공이 가능하여 파이프, 덕트, 탱크 등의 다양한 형태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른 보온재들과 달리 고온 환경에서의 사용 가능성과 다양한 형태에 적용 가능성 등의 이유로 암면이 정답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고체에서 기체가 될 때에 필요한 열을 증발열이라 한다.
  2. 온도의 변화를 일으켜 온도계에 나타나는 열을 잠열이라 한다.
  3. 기체에서 액체로 될 때 제거해야 하는 열은 응축열 또는 감열이라 한다.
  4. 기체에서 액체로 될 때 필요한 열은 응축열이며, 이를 잠열이라 한다.
(정답률: 57%)
  • 기체에서 액체로 될 때 분자 간 거리가 줄어들어서 발생하는 열을 응축열이라고 하며, 이는 기체에서 액체로 변할 때 필요한 열이다. 이를 잠열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기체에서 액체로 변할 때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체에서 액체로 될 때 필요한 열은 응축열이며, 이를 잠열이라 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2원 냉동기의 저온측 냉매로 사용이 적당치 않은 것은?

  1. R-12
  2. 프로판
  3. R-13
  4. R-14
(정답률: 30%)
  • R-12는 염화물 냉매로, 오존층 파괴와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있어 사용이 금지되었습니다. 따라서 환경보호를 위해 R-12는 사용이 적당치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왕복동 압축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압축이 단속적이다.
  2. 진동이 크다.
  3. 크랭크 케이스 내부압력이 저압이다.
  4. 압축능력이 적다.
(정답률: 51%)
  • 압축기의 주요 기능은 공기를 압축하여 저장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압축기의 압축능력이 적다는 것은 공기를 충분히 압축하지 못하고 저장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압축능력이 적다"는 왕복동 압축기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역률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전력과 피상전력과의 비이다.
  2. 저항만 있는 교류회로에서는 1이다.
  3. 유효전류와 전전류의 비이다.
  4. 값이 0인 경우는 없다.
(정답률: 65%)
  • 잘못된 설명은 "저항만 있는 교류회로에서는 1이다." 입니다. 저항만 있는 교류회로에서는 역률이 1이 아닌 0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저항만 있는 회로에서는 전압과 전류가 같은 위상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이 같아지며, 역률은 0이 됩니다. 값이 0인 경우는 없다는 것은 모든 회로에서 유효합니다. 이는 역률이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로 정의되기 때문입니다. 유효전력이 0이 되는 경우는 없으므로, 역률이 0이 되는 경우도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저항이 50Ω인 도체에 100V의 전압을 가할 때, 그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몇 A인가?

  1. 0.5[A]
  2. 2[A]
  3. 5000[A]
  4. 5[A]
(정답률: 62%)
  • 전압(V) = 전류(A) x 저항(Ω) 이므로, 전류(A) = 전압(V) ÷ 저항(Ω) 입니다. 따라서, 100V ÷ 50Ω = 2A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배관재료 부식방지를 위하여 사용하는 도료가 아닌 것은?

  1. 래커
  2. 아스팔트
  3. 페인트
  4. 아교
(정답률: 46%)
  • 정답은 "아교"입니다. "래커", "아스팔트", "페인트"는 모두 배관재료 부식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도료입니다. 하지만 "아교"는 도료가 아니라, 농작물의 씨앗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배관재료 부식방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양모나 우모를 사용한 피복재료이며, 아스팔트로 방습피복한 보냉용 또는 곡면의 시공에 사용되는 것은?

  1. 펠트
  2. 콜크
  3. 기포성수지
  4. 암면
(정답률: 51%)
  • 펠트는 양모나 우모를 사용한 피복재료이며, 아스팔트로 방습피복한 보냉용 또는 곡면의 시공에 사용됩니다. 콜크는 석탄을 가열하여 얻은 물질로서, 보통 절연재료로 사용됩니다. 기포성수지는 발포제를 첨가하여 만든 수지로서, 보통 절연재료나 패킹재료로 사용됩니다. 암면은 암석을 가공하여 만든 절연재료로서, 보통 건축재료나 열차량 내부 재료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펠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프레온계 냉매의 특성이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2. 독성이 없다.
  3. 가연성, 폭발성이 없다.
  4. 강관에 대한 부식성이 크다.
(정답률: 62%)
  • 정답: 강관에 대한 부식성이 크다.

    해설: 프레온계 냉매는 일반적으로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독성이 없으며 가연성과 폭발성이 없습니다. 그러나 강관에 대한 부식성이 크기 때문에 냉매 회로 내부의 강관에 부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냉매 누출 및 시스템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냉매 회로 내부의 강관은 프레온계 냉매에 대한 내식성이 높은 재질로 제작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일반적으로 벽코일 동결실의 선반으로 많이 사용되는 증발기 형식은?

  1. 헤링 본식(herring-bone)증발기
  2. 핀 튜브식(finned tube type)증발기
  3. 평판식(plate type)증발기
  4. 캐스캐이드식(cascade type)증발기
(정답률: 55%)
  • 캐스캐이드식 증발기는 냉매를 두 개 이상의 단계로 압축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냉매의 압력과 온도를 조절하여 냉동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벽코일 동결실의 선반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어떤 냉동 사이클의 증발온도가 -15℃이고, 포화액의 엔탈피가 100kcal/kg, 건조포화 증기의 엔탈피가 160kcal/kg, 증발기에 유입되는 습증기의 건조도 X=0.25일 때 냉동효과는?

  1. 15kcal/kg
  2. 35kcal/kg
  3. 45kcal/kg
  4. 75kcal/kg
(정답률: 32%)
  • 냉동 사이클에서 냉동효과는 증발기에서의 엔탈피 감소량과 압축기에서의 엔탈피 증가량의 차이로 계산됩니다.

    증발기에서의 엔탈피 감소량은 건조포화 증기의 엔탈피와 포화액의 엔탈피의 차이로 계산됩니다.

    즉, 엔탈피 감소량 = 160 - 100 = 60kcal/kg 입니다.

    압축기에서의 엔탈피 증가량은 건조포화 증기의 엔탈피와 압축기 출구에서의 엔탈피의 차이로 계산됩니다.

    습증기의 건조도가 X=0.25이므로, 압축기 출구에서의 엔탈피는 건조포화 증기의 엔탈피와 0.25의 비율로 혼합된 습기의 엔탈피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습기의 엔탈피는 건조포화 증기의 엔탈피보다 작으므로, 혼합된 습기의 엔탈피는 건조포화 증기의 엔탈피보다 작을 것입니다. 따라서, 압축기 출구에서의 엔탈피는 건조포화 증기의 엔탈피보다 작을 것입니다.

    즉, 엔탈피 증가량은 160보다 작을 것입니다.

    따라서, 냉동효과는 60 - (160 - 압축기 출구에서의 엔탈피)로 계산됩니다.

    압축기 출구에서의 엔탈피가 작을수록 냉동효과는 커집니다.

    보기에서 냉동효과가 45kcal/kg인 것은, 압축기 출구에서의 엔탈피가 115kcal/kg일 때 계산된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5kcal/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에서 분해 조립이 가능한 배관연결 부속은?

  1. 붓싱, 티이
  2. 플러그, 캡
  3. 소켓, 엘보
  4. 플렌지, 유니온
(정답률: 70%)
  • 플렌지와 유니온은 모두 분해 조립이 가능한 부속품으로, 파이프나 튜브를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플렌지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를 연결할 때 사용되며, 유니온은 두 개의 파이프를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두 부속품은 분해 조립이 가능하고, 유지 보수나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기체를 액화시키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임계압력 이하로 압축한 후 냉각시킨다.
  2. 임계온도 이상으로 가열한 후 압력을 높인다.
  3. 임계온도 이하로 냉각하고 임계압력 이상으로 가압한다.
  4. 임계온도 이하로 냉각하고 임계압력 이하로 감압한다.
(정답률: 40%)
  • 기체를 액화시키기 위해서는 기체의 온도와 압력을 일정한 범위 내로 조절해야 합니다. 이 범위를 넘어서면 기체는 액체 상태로 변합니다. 이 범위를 임계온도와 임계압력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기체를 액화시키기 위해서는 임계온도 이하로 냉각하고 임계압력 이상으로 가압해야 합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기체 분자들이 서로 가까워져서 액체 상태로 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입형 쉘앤 튜브식 응축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과부하에 잘 견딘다.
  2. 운전 중에도 냉각관 청소가 용이하다.
  3. 과냉각이 양호하다.
  4. 옥외 설치가 가능하다.
(정답률: 31%)
  • 입형 쉘앤 튜브식 응축기는 과냉각이 적은 편이며, 따라서 과냉각이 양호하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오히려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과냉각이 많은 경우에는 냉각수의 온도가 너무 낮아져서 응축기 내부의 수증기가 응축되지 않고 흐르게 되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과냉각이 적은 것이 오히려 장점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회전 날개형 압축기에서 회전 날개의 부착은?

  1.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실린더에 부착한다.
  2. 원심력에 의하여 실린더에 부착한다.
  3. 고압에 의하여 실린더에 부착한다.
  4. 무게의 의하여 실린더에 부착한다.
(정답률: 82%)
  • 회전 날개형 압축기에서 회전 날개는 회전하면서 공기를 압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회전 날개는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므로, 회전 중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실린더에 부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원심력에 의하여 실린더에 부착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냉동장치의 운전 상태에 관한 사항이다. 옳은 것은?

  1. 증발기내의 냉매는 피냉각물체로부터 열을 흡수함으로서 증발기 내를 흘러감에 따라 온도가 상승한다.
  2. 응축온도는 냉각수 입구온도보다 약간 높다.
  3. 크랭크 케이스 내의 유온은 흡입가스에 의하여 냉각되므로 흡입가스 온도보다 낮아지는 경우도 있다.
  4. 압축기 토출직후의 증기온도는 응축과정중의 냉매온도보다 낮다.
(정답률: 35%)
  • 정답은 "증발기내의 냉매는 피냉각물체로부터 열을 흡수함으로서 증발기 내를 흘러감에 따라 온도가 상승한다."입니다.

    증발기 내에서 냉매는 피냉각물체로부터 열을 흡수하면서 증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냉매의 온도가 상승하게 됩니다. 따라서 증발기 출구에서의 냉매 온도는 증발기 입구에서의 냉매 온도보다 높아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응축기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과정에서는 냉각수 입구온도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 응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왕복동식 암모니아(NH3)압축기에서 워터 자켓을 사용하는 설명 중에서 옳은 것은?

  1. 암모니아(NH3)냉매는 다른 냉매에 비하여 비열비가 크기 때문이다.
  2. 암모니아(NH3)냉매는 다른 냉매에 비하여 저온에 사용되기 때문이다.
  3. 암모니아(NH3)냉매는 다른 냉매에 비하여 비체적이 크기 때문이다.
  4. 암모니아(NH3)냉매는 다른 냉매에 비하여 압력 범위가 넓기 때문이다.
(정답률: 55%)
  • 정답은 "암모니아(NH3)냉매는 다른 냉매에 비하여 비열비가 크기 때문이다."입니다.

    암모니아(NH3)는 비열비가 크기 때문에 냉매로서 매우 효율적입니다. 비열비란 단위 질량당 열용량을 의미하며, 냉매의 냉각 능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암모니아는 다른 냉매에 비해 냉각 능력이 뛰어나며, 냉각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흡수식 냉동장치에서 냉매인 물이 5℃ 전후의 온도로 증발하고 있다. 이때 증발기 내부의 압력은?

  1. 약 7㎜Hg.a 정도
  2. 약 32㎜Hg.a 정도
  3. 약 75㎜Hg.a 정도
  4. 약 108㎜Hg.a 정도
(정답률: 39%)
  • 물의 증발압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며, 5℃에서의 물의 증발압은 약 7㎜Hg.a 정도이다. 따라서 흡수식 냉동장치에서 냉매인 물이 5℃ 전후의 온도로 증발할 때, 증발기 내부의 압력은 약 7㎜Hg.a 정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

46. 다음 중 냉각탑과 응축기 사이에 순환되는 물의 명칭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정수
  2. 냉각수
  3. 응축수
  4. 온수
(정답률: 36%)
  • 냉각탑에서는 열을 제거하기 위해 냉각수를 사용합니다. 이 냉각수는 냉각탑에서 열을 흡수한 후 응축기로 이동하게 됩니다. 응축기에서는 냉각수가 냉각된 공기와 접촉하여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로 변합니다. 이렇게 응축된 물이 바로 응축수입니다. 응축수는 다시 냉각탑으로 돌아가 열을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100RT의 터보 냉동기에 순환되는 냉수량(ℓ/min)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단, 냉각기 입구에서 냉수의 온도는 12℃, 출구에서는 6℃이며, 또 응축기로 들어오는 냉각수의 온도는 32℃, 출구의 온도는 37℃이다.)

  1. 1,922ℓ/min
  2. 1,439ℓ/min
  3. 1,107ℓ/min
  4. 922ℓ/min
(정답률: 37%)
  • 냉각기에서는 열이 흡수되므로 냉각수의 온도가 상승하고, 응축기에서는 열이 방출되므로 냉각수의 온도가 더욱 상승한다. 따라서 냉각수의 순환량은 냉각기와 응축기에서 각각 필요한 냉각수량의 합과 같다.

    냉각기에서는 1분당 (32℃-12℃) × 100RT = 2000RT의 열이 흡수되므로, 냉각수의 순환량은 2000RT / (37℃-6℃) = 1,439ℓ/min이 된다.

    응축기에서도 같은 원리로 계산하면, 1분당 (6℃-(-10℃)) × 100RT = 1600RT의 열이 방출되므로, 냉각수의 순환량은 1600RT / (32℃-(-10℃)) = 1,107ℓ/min이 된다.

    따라서 냉각수의 총 순환량은 1,439ℓ/min + 1,107ℓ/min = 2,546ℓ/min이 되며, 이 중 냉각기에서 필요한 냉각수량이 1,439ℓ/min이므로 정답은 "1,439ℓ/min"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면적이 100m2이고, 열통과율이 3.0kcal/m2h℃인 서쪽 외벽을 통한 손실열량은 얼마인가? (단, 실내공기와 외기의 온도차는 20℃이고, 방위계수는 동쪽 1.05, 서쪽 1.05, 남쪽 1.00, 북쪽 1.10이다.)

  1. 3,714kcal/h
  2. 5,000kcal/h
  3. 6,300kcal/h
  4. 7,600kcal/h
(정답률: 1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공기를 가습하는 방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1. 직접팽창 코일의 이용
  2. 공기세정기의 이용
  3. 증기의 직접분무
  4. 온수의 직접분무
(정답률: 30%)
  • 직접팽창 코일의 이용은 공기를 가습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직접팽창 코일은 냉난방기나 에어컨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 냉난방기나 에어컨에서 냉방을 할 때 사용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공기를 가습하는 방법으로는 부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구조가 간단하고, 내부청소가 쉬우며, 전열면적이 적은데다 수부가 크므로 증기발생은 느리나 취급이 용이한 특징을 갖는 보일러는 어느 것인가?

  1. 노통보일러
  2. 연관식 보일러
  3. 주철제보일러
  4. 기관차형 보일러
(정답률: 62%)
  • 노통보일러는 구조가 간단하고 내부청소가 쉬우며 전열면적이 적은데다 수부가 크므로 증기발생은 느리나 취급이 용이한 특징을 갖는 보일러입니다. 이는 노통보일러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내부 청소가 쉽고, 전열면적이 적어서 증기발생이 느리지만 수부가 크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노통보일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조명부하를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취출구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아네모스텟
  2. 축류형 취출구
  3. 웨이형 취출구
  4. 라이트 트로퍼
(정답률: 28%)
  • 조명부하를 쉽게 처리할 수 있는 취출구는 아네모스텟입니다. 아네모스텟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조명을 설치할 수 있으며, 쉽게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조명부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축류형 취출구와 웨이형 취출구는 조명부하를 처리하기에는 제한적이며, 라이트 트로퍼는 조명부하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중앙 공기조화방식으로 각 실내의 온도조절이 가장 잘되는 방식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멀티존 유니트 방식
  2. 패케이지 방식
  3. 팬 코일 유니트 방식
  4. 단일 덕트 방식
(정답률: 20%)
  • 단일 덕트 방식은 하나의 중앙 시스템으로 여러 개의 실내 공간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각 실내에 설치된 덕트를 통해 공기를 전달하여 온도를 조절합니다. 따라서 각 실내의 온도를 일관되게 조절할 수 있어 가장 효율적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복사난방에 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복사난방은 주야를 계속 난방해야 하는 곳에 유리하다.
  2. 단열층 공사비가 많이 들고 배관의 고장발견이 어렵다.
  3. 대류난방에 비하여 설비비가 많이 든다.
  4. 방열체의 열용량이 적으므로 외기온도에 따라 방열량의 조절이 쉽다.
(정답률: 51%)
  • "방열체의 열용량이 적으므로 외기온도에 따라 방열량의 조절이 쉽다."가 맞지 않는 것입니다. 방열체의 열용량이 적다는 것은 열을 저장하는 능력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외기온도에 따라 방열량을 조절하기 어렵다는 것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냉, 난방에 필요한 전 송풍량을 하나의 주덕트 만으로 분배하는 방식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단일 덕트 방식
  2. 이중 덕트 방식
  3. 멀티존 유니트 방식
  4. 팬 코일 유니트 방식
(정답률: 17%)
  • 냉, 난방에 필요한 전송풍량을 하나의 주덕트로 분배하는 방식 중 팬 코일 유니트 방식은, 냉, 난방을 위한 냉매나 뜨거운 물을 팬 코일에 흐르게 하여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단일 덕트 방식보다 설치가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이중 덕트 방식보다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효율적인 냉, 난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팬 코일 유니트 방식이 선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공기조화에는 크게 보건용 공기조화와 산업용(공업용) 공기조화로 구분될 수 있다. 아래의 설명 중 보건용 공기조화로만 취급하기 어려운 것은?

  1. A라는 사람이 근무하는 전자계산기실의 공기조화
  2. B라는 사람이 근무하는 일반사무실의 공기조화
  3. C라는 사람이 쇼핑하는 백화점의 공기조화
  4. D라는 사람이 살고 있는 주택의 공기조화
(정답률: 70%)
  • A라는 사람이 근무하는 전자계산기실의 공기조화는 산업용(공업용) 공기조화에 해당한다. 이는 전자기기 등을 사용하는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열, 먼지, 냄새 등을 제거하고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시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건용 공기조화로만 취급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상대습도(ø)을 옳게 표시한 것은?

  1. ø = 수증기압/포화수증기압 × 100
  2. ø = 포화수증기압/수증기압 × 100
  3. ø = 수증기중량/포화수증기압 × 100
  4. ø = 포화수증기중량/수증기중량 × 100
(정답률: 50%)
  • "ø = 수증기압/포화수증기압 × 100"이 옳은 표기입니다. 상대습도는 대기 중의 수증기의 양을 포화수증기압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수증기압은 대기 중의 수증기의 압력을, 포화수증기압은 해당 온도에서 포화 상태일 때의 수증기 압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상대습도는 수증기압을 포화수증기압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열전도율의 단위로 맞는 것은?

  1. kcal/hm2
  2. kcal/hkgm2
  3. kcal/h℃m
  4. kcal/hm
(정답률: 47%)
  • 열전도율은 단위 면적당 열의 전달량과 온도차이에 대한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므로, 단위는 "열량/시간 × 온도차이/면적"으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kcal/h℃m"이 단위로 맞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면적이나 질량 등의 요소가 불필요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상대습도 (RH)가 100%일 때 동일하지 않는 온도는?

  1. 건구온도
  2. 습구온도
  3. 효과온도
  4. 노점온도
(정답률: 37%)
  • 상대습도가 100%일 때는 공기 중에 수증기가 포화 상태이므로 더 이상 수증기가 공기 중에 농축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물체의 온도가 효과온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수증기가 공기 중에 응축되어 이슬이 생기게 됩니다. 이 때, 효과온도는 이슬점 온도와 같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효과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폐회로식 수 열원 히트 유닛방식의 장점으로 알맞은 것은?

  1. 소음이 크다.
  2. 열회수가 용이하다.
  3. 고정률이 높고 수명이 짧다.
  4. 운전전문 기술자가 필요 없다.
(정답률: 69%)
  • 폐회로식 수 열원 히트 유닛은 열을 전달하는 부분과 전기적인 부분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열회수가 용이합니다. 따라서 유지보수나 수리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공기는 건공기로 취급된다.
  2. 공기 중에 수증기가 많이 함유될수록 상대습도는 높아진다.
  3. 지구상의 공기는 질소, 산소, 알곤, 이산화탄소 등으로 이루어졌다.
  4. 공기 중에 함유될 수 있는 수증기의 한계는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정답률: 81%)
  •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공기는 건공기로 취급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대기 중에는 건조한 공기뿐만 아니라 수증기가 함유된 습한 공기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건공기와 습한 공기로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