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7-21)

전자기기기능사
(2002-07-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

1. 자체인덕턴스가 100mH, 상호인덕턴스가 70mH이며, 누설 자속이 없는 2개의 코일을 차동으로 접속하면 합성 인덕턴스는 몇 mH 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5
  2. 10
  3. 15
  4. 50
(정답률: 38%)
  • 두 코일을 차동으로 접속하면, 합성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L = L1 + L2 ± 2M

    여기서 L1은 자체인덕턴스, L2는 상호인덕턴스, M은 상호인덕턴스의 부호에 따라 다릅니다. 차동 접속에서는 M이 음수가 되므로,

    L = 100mH + 100mH - 2×70mH
    = 60mH

    따라서 합성 인덕턴스는 60mH이며,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0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는 오류가 있으므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피상전력은?

  1. 전압의 실효값×전류의 실효값이며 단위는 VA이다.
  2. 전압의 최대값×전류의 최대값이며 단위는 VA이다.
  3. 전압의 실효값×전류의 실효값이며 단위는 W이다.
  4. 전압의 최대값×전류의 최대값이며 단위는 W이다.
(정답률: 48%)
  • 피상전력은 전기 회로에서 사용되는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전압과 전류의 최대값이 아닌 실효값을 사용하여 계산합니다. 이는 전압과 전류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교류 회로에서 전력을 계산할 때 사용되며, 전압과 전류의 최대값을 사용하면 실제 전력보다 더 큰 값이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피상전력의 단위는 전압의 실효값과 전류의 실효값을 곱한 VA(Volt-Ampere)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회로는?

  1. 검파회로
  2. 고압 정류회로
  3. 고주파 발진회로
  4. 전압 안정회로
(정답률: 66%)
  • 제너 다이오드는 양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전압 안정회로에서는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도록 회로를 구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압 안정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은 연산증폭회로의 출력전압은?

(정답률: 45%)
  • 입력 전압이 V1일 때, 출력 전압은 Vout = -Rf/Rin * V1 이다. 따라서 Rf/Rin의 값이 가장 큰 ""이 선택지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은 이미터 접지형 증폭기에서 콘덴서 C2를 제거하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가?

  1. 발진
  2. 충실도 감소
  3. 잡음 감소
  4. 이득 감소
(정답률: 53%)
  • 콘덴서 C2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교류를 차단하여 DC 신호만 증폭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2를 제거하면 출력 신호에 AC 성분이 추가되어 이득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증폭기의 주요 기능인 입력 신호의 이득 증폭을 방해하므로 이득 감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푸쉬풀 전력증폭기에서 찌그러짐이 작아지는 이유는?

  1. 기본파가 상쇄되기 때문에
  2. 기수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에
  3. 우수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에
  4. 우수 및 기수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에
(정답률: 72%)
  • 푸쉬풀 전력증폭기에서는 우수고조파와 기수고조파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때 우수고조파와 기수고조파가 서로 상쇄되면 찌그러짐이 작아지게 됩니다. 그 중에서도 푸쉬풀 전력증폭기에서는 우수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에 찌그러짐이 작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은 미분회로의 입력에 장방형파 ei가 공급될 때 출력 eo 의 파형 모양은? (단, 일 경우로 한다.)

(정답률: 57%)
  • 입력 신호인 ei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압이므로, 미분 회로의 입력으로 공급되면 출력 신호 eo는 입력 신호의 변화율에 비례하는 전압이 된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상승할 때 출력 신호는 양의 전압을 가지며, 입력 신호가 하강할 때 출력 신호는 음의 전압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보기에서 ""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를 간략화 하면?

(정답률: 57%)
  • ""는 ""과 ""를 합친 것입니다. 이유는 ""은 입금, ""는 출금을 나타내는데, 이 두 가지를 함께 보여주는 것이 ""이기 때문입니다. ""과 ""는 다른 기능을 나타내므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주어진 표는 논리 게이트의 진리값 표 중 일부를 보인 것이다. 빈칸 ( )에 해당되는 것은?

  1. OR
  2. NAND
  3. 플립플롭
  4. 인버터
(정답률: 78%)
  • 논리 게이트의 진리값 표를 보면, 입력 A와 B가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출력을 가지는 게이트는 NAND 게이트이다. NAND 게이트는 AND 게이트의 출력을 인버트한 것이므로,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0이 되는 AND 게이트의 출력을 인버트한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NAN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원자핵의 구속력을 벗어나 물질내에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한 것은?

  1. 양자
  2. 중성자
  3. 분자
  4. 자유전자
(정답률: 87%)
  • 원자핵에 의한 전자의 구속력을 벗어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은 자유전자입니다. 이는 원자핵과 결합되어 있지 않고, 전자 구름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양자와 중성자는 원자핵에 결합되어 있으며, 분자는 원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구조체이기 때문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위상 일그러짐의 원인으로 옳은 것은?

  1. CRL 등의 영향으로 신호가 주파수에 따라서 시간의 늦어짐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2. 동작특성이 비직선성이기 때문에
  3. 증폭소자에서 잡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4. 출력의 진폭이 입력신호진폭에 정비례하지 않기 때문에
(정답률: 33%)
  • 위상 일그러짐은 신호가 주파수에 따라서 시간의 늦어짐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는 CRL 등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러한 영향은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서 발생하는 시간 지연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위상 일그러짐은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서 발생하는 시간 지연의 불규칙성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회로망에서 임의의 접속점으로 흘러 들어오고 흘러나가는 전류의 대수합은 0 이다"라는 법칙은?

  1. 옴의 법칙
  2. 키르히호프의 법칙
  3. 패러데이의 법칙
  4. 가우스의 법칙
(정답률: 82%)
  • "키르히호프의 법칙"은 회로망에서 전류의 대수합이 0이 되는 법칙입니다. 이는 전류의 보존 법칙으로, 어떤 회로에서든 전류가 흐르는 양은 어디서든지 항상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회로망에서 임의의 접속점으로 흘러 들어오고 흘러나가는 전류의 대수합은 0이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2x10-6 C의 전하에 5x10-3N의 힘이 가해졌다면 그 때의 전계의 세기는 몇 V/m 인가?

  1. 1×104
  2. 2.5×103
  3. 1×1010
  4. 2.5×109
(정답률: 62%)
  • 전하 Q = 2x10^-6 C
    힘 F = 5x10^-3 N
    전계의 세기 E = F/Q

    E = (5x10^-3 N) / (2x10^-6 C) = 2.5x10^3 V/m

    따라서 정답은 "2.5×10^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반도체 소자들 중 광전효과와 관계없는 것은?

  1. 광다이오드(photo diode)
  2. 태양전지(solar cell)
  3.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
  4. 홀 제너레이터(hole generator)
(정답률: 59%)
  • 홀 제너레이터는 광전효과와는 관련이 없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홀 제너레이터는 전기적인 방법으로 전자와 양공을 생성하는 소자로, 광전효과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반면, 광다이오드, 태양전지, 포토 트랜지스터는 모두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정류기의 어느 점에 교류입력을 연결하여야 하는가?

  1. A-B점
  2. C-D점
  3. A-C점
  4. B-D점
(정답률: 52%)
  • 정류기는 교류입력을 직렬로 연결된 C-D점에 연결해야 합니다. 이는 정류기의 작동 원리 때문입니다. 정류기는 교류입력을 직렬로 연결된 다이오드를 통해 반파전압을 만들어내고, 이를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정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입력신호가 C-D점을 통해 직렬로 연결되어야만, 다이오드가 올바르게 작동하여 입력신호를 정상적으로 정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

16. 블로킹 발진회로의 진동(back-swing)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1. 변압기를 밀결합시킨다.
  2. 트랜지스터의 증폭률을 높인다.
  3. 다이오드를 접속한다.
  4. 콘덴서의 용량을 크게 한다.
(정답률: 40%)
  • 블로킹 발진회로에서 발생하는 진동 현상은 스위칭 작동 시 발생하는 에너지의 반복적인 축적과 방출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진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의 방출을 막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이오드를 접속하여 에너지의 방출을 차단하고, 안정적인 작동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컴퓨터가 어떤 변환을 거치지 않고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언어는?

  1. COBOL
  2. FORTRAN
  3. Machine language
  4. PASCAL
(정답률: 82%)
  • Machine language은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 코드로 작성된 언어이기 때문에 어떤 변환도 거치지 않고 직접 이해할 수 있습니다. COBOL, FORTRAN, PASCAL은 모두 고급 언어로,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작성되어 있으며,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1byte는 8개의 데이터 bit로 되어 있다. 8 bit를 서로 조합하면 몇 종류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가?

  1. 16
  2. 32
  3. 64
  4. 256
(정답률: 52%)
  • 1byte는 8개의 데이터 bit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각 bit마다 2가지의 상태(0 또는 1)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8 bit를 모두 조합하면 2의 8승, 즉 256가지의 서로 다른 문자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비수치적 연산 중에서 필요없는 일부의 bit 혹은 문자를 지워 버리고, 나머지 bit나 문자들만을 가지고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연산자는?

  1. OR
  2. EOR
  3. AND
  4. NOT
(정답률: 71%)
  • 비수치적 연산에서 필요없는 일부의 bit나 문자를 지워 버리는 것은 비트 마스크(masking)라고 하며, 이를 수행하는 연산자는 AND 연산자입니다. AND 연산자는 두 개의 비트나 문자열을 비교하여 둘 다 1이면 1을 반환하고, 그 외에는 0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AND 연산자를 사용하여 비트 마스크를 수행하면 필요한 bit나 문자열만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자료의 입력 및 출력 형태가 FIFO로 되는 것은?

  1. 트리
  2. 데큐
  3. 스택
(정답률: 58%)
  • 큐는 데이터를 먼저 입력한 것이 먼저 출력되는 FIFO(First-In-First-Out)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력된 데이터는 뒤쪽으로 이동하면서 출력 대기열에서 앞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구조는 큐에서만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중앙처리장치를 크게 두 부분으로 분류하면?

  1. 연산장치와 기억장치
  2. 제어장치와 기억장치
  3. 연산장치와 논리장치
  4. 연산장치와 제어장치
(정답률: 74%)
  • 중앙처리장치는 연산과 제어를 담당하는 두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합니다. 연산장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계산하는 역할을 하며, 제어장치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를 크게 두 부분으로 분류하면 "연산장치와 제어장치"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에서 CPU와 주변장치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지며 창구 역할을 하는 것은?

  1. Memory map
  2. Address bus
  3. I/O port
  4. System clock
(정답률: 48%)
  • CPU와 주변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해 입출력(I/O) 포트가 사용됩니다. 이 포트는 CPU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창구 역할을 하며, CPU는 입출력 포트를 통해 주변장치에게 명령을 내리고, 주변장치는 입출력 포트를 통해 CPU에게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I/O por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거리, 속도, 가속도, 온도 등 물리적인 양을 입ㆍ출력으로 처리하는 컴퓨터는?

  1. 디지털 컴퓨터
  2. 아날로그 컴퓨터
  3. 전용 컴퓨터
  4. 범용 컴퓨터
(정답률: 54%)
  • 아날로그 컴퓨터는 입력되는 물리적인 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고, 출력되는 결과도 전기 신호로 표현합니다. 이에 비해 디지털 컴퓨터는 입력되는 양을 이진수로 변환하여 처리하고, 출력되는 결과도 이진수로 표현합니다. 따라서 아날로그 컴퓨터는 연속적인 값에 대한 처리에 적합하며, 거리, 속도, 가속도, 온도 등과 같은 물리적인 양을 처리하는 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데이터의 흐름을 중심으로 시스템 전체의 작업 내용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는?

  1. 개략 순서도
  2. 세부 순서도
  3. 시스템 순서도
  4. 프로그램 순서도
(정답률: 61%)
  • 시스템 순서도는 데이터의 흐름을 중심으로 시스템 전체의 작업 내용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순서도들은 보다 세부적인 작업 내용을 나타내는데 초점을 둔다면, 시스템 순서도는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조와 작업 흐름을 파악하는데 더욱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제어장치의 구성 요소 중에서 다음에 실행 할 명령어가 기억되어 있는 주기억 장치의 주소를 갖고 있는 것은?

  1. Program Counter
  2. Instruction Register
  3. Memory Address Register
  4. Memory Buffer Register
(정답률: 58%)
  • 제어장치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가 저장된 주기억장치의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구성 요소는 Program Counter입니다. Program Counter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가 저장된 주기억장치의 주소를 가리키는 레지스터입니다. 따라서 Program Counter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가 저장된 주기억장치의 주소를 갖고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누산기(Accumulator)의 용도는?

  1. 명령을 저장
  2. 명령을 해독
  3. 명령의 주소를 저장
  4.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
(정답률: 87%)
  • 누산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즉, 누산기는 CPU가 수행하는 모든 산술 및 논리 연산의 결과를 저장하고 다음 명령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누산기는 CPU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이며,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서브루틴의 복귀 어드레스가 보관되는 곳은?

  1. 스택
  2. 프로그램 카운터
  3. 데이터 버스
  4. 입ㆍ출력 버스
(정답률: 72%)
  • 서브루틴이 호출될 때, 현재 실행 중인 메인 루틴의 복귀 어드레스는 스택에 저장됩니다. 서브루틴이 실행을 마치고 반환될 때, 스택에서 복귀 어드레스를 꺼내어 메인 루틴으로 돌아갑니다. 따라서 서브루틴의 복귀 어드레스가 보관되는 곳은 스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컴퓨터를 이용하여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와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프로그램
  2. 입曺출력 설계 단계
  3. 알고리즘
  4. 프로그램 실행 단계
(정답률: 59%)
  • 알고리즘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와 방법을 말합니다. 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단계들을 정의하고 이를 순서대로 실행하는 것이 알고리즘입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을 만들기 전에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게 됩니다. 프로그램 실행 단계는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입니다. 입출력 설계 단계는 프로그램이 입력을 받고 출력을 내보내는 방법을 설계하는 단계이며, 이는 알고리즘과는 조금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알고리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동 철편형 계기의 구동 토크는 전류 I와 어떤 관계를 갖는가?(단, I는 코일에 흐르는 전류임.)

  1. I에 비례
  2. I2에 비례
(정답률: 70%)
  • 가동 철편형 계기는 코일과 자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코일에 전류 I가 흐르면, 자석과 코일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발생합니다. 이 작용하는 힘은 로렌츠 힘으로, 이 힘은 I와 자석의 자기장 B, 그리고 코일의 길이 l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토크는 IBL에 비례합니다. 하지만, 자석의 자기장 B와 코일의 길이 l은 계기의 구조에 따라 일정하므로, 토크는 I에 비례하지 않고, I2에 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P형 진공관 전압계의 구성부가 아닌 것은?

  1. 정류부
  2. 증폭부
  3. 전원부
  4. 발진부
(정답률: 48%)
  • P형 진공관 전압계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계기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전원부, 정류부, 증폭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발진부는 진공관 내에서 진동을 일으키는 부품으로, 전압계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발진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측정

31. 전류력계형 계기 구조에 관계없는 것은?

  1. 고정코일
  2. 가동코일
  3. 제어스프링
  4. 영구자석
(정답률: 47%)
  • 전류력계는 전류가 흐르는 동안에만 작동하므로, 영구자석은 전류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자기장을 유지하기 때문에 전류의 크기나 방향과는 무관하게 작동합니다. 따라서, 전류력계형 계기 구조에 관계없는 것은 영구자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A-D 컨버터는 무슨 회로인가?

  1. 저항 측정회로
  2. 아날로그 양을 디지털 양으로 변환하는 회로
  3. 전류의 양을 전압의 양으로 변환하는 회로
  4. 전력을 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
(정답률: 87%)
  • A-D 컨버터는 아날로그 양을 디지털 양으로 변환하는 회로입니다. 이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기 위한 회로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하고 양자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참값이 100[㎃]이고, 측정값이 102[㎃]일 때 오차율은?

  1. -2 [%]
  2. 2 [%]
  3. -1.96 [%]
  4. 1.96 [%]
(정답률: 77%)
  • 오차율은 (측정값-참값)/참값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102-100)/100 x 100 = 2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오실로스코프로 직류에 포함된 리플(ripple)만을 측정하고자 할 때 INPUT MODE로 옳은 것은?

  1. DC
  2. AC
  3. GND
  4. DUAL
(정답률: 53%)
  • 정답은 "AC"입니다.

    리플(ripple)은 전원 공급 장치에서 발생하는 교류 성분으로, 직류 전압에 더해져서 전압이 변동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리플을 측정하려면 직류 성분을 제거해야 합니다.

    오실로스코프의 INPUT MODE 중 AC 모드는 입력 신호의 교류 성분만을 측정하고 직류 성분은 차단합니다. 따라서 AC 모드를 사용하면 직류에 포함된 리플만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신기의 감도를 올리기 위하여 사용되고, 신호대 잡음비 및 선택도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회로는?

  1. 검파회로
  2. 중간주파 증폭회로
  3. 고주파 증폭회로
  4. 주파수 변환회로
(정답률: 43%)
  • 수신기에서 신호를 수신할 때, 신호가 약하면 감도를 높여야 합니다. 이때 고주파 증폭회로를 사용하면 신호를 증폭시켜 감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고주파 증폭회로는 신호대 잡음비와 선택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고주파 증폭회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동 코일형 계기로 교류 전압을 측정하고자 한다. 어떤 장치가 필요한가?

  1. 정류기
  2. 증폭기
  3. 혼합기
  4. 발진기
(정답률: 65%)
  • 가동 코일형 계기는 교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데, 이때 교류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류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정류기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정현파와 구형파 발진기에서 정현파가 만들어진 상태에서 구형파를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회로는?

  1. 적분 회로
  2. 미분 회로
  3. 필터(Filter) 회로
  4. 시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회로
(정답률: 72%)
  • 시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의 잡음에 강하고, 입력 신호가 일정 임계값을 넘어서면 출력 신호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정현파와 같은 입력 신호를 안정적으로 처리하면서, 구형파와 같은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미트 트리거 회로가 정현파와 구형파 발진기에서 정현파가 만들어진 상태에서 구형파를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회로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회로시험기로는 측정이 곤란한 것은?

  1. 직류전압
  2. 직류전류
  3. 교류전압 및 저항
  4. 교류전압의 주파수
(정답률: 64%)
  • 회로시험기는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기로, 대부분의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교류전압의 주파수는 회로시험기로 측정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회로시험기의 측정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교류전압의 주파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용 측정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정전 흡인력 또는 반발력을 이용하며, 주로 전압계로 쓰이는 계기는?

  1. 가동 코일형 계기
  2. 전류력계형 계기
  3. 유도형 계기
  4. 정전형 계기
(정답률: 62%)
  • 정전형 계기는 전기적인 정전 흡인력 또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계기입니다. 이는 전압이 증가하면 정전 흡인력이 증가하고, 전압이 감소하면 정전 반발력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전형 계기는 전압계로 쓰이며, 다른 보기들은 전류나 유도 등 다른 물리량을 측정하는 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중저항을 측정할 때 널리 쓰이며, 정확도가 가장 높은 측정법은?

  1. 휘스톤 브리지법
  2. 캘빈더블 브리지법
  3. 코올라우시 브리지법
  4. 맥스웰 브리지법
(정답률: 52%)
  • 휘스톤 브리지법은 중저항을 측정할 때 가장 정확도가 높은 측정법입니다. 이는 휘스톤 브리지법이 다른 측정법에 비해 더 많은 보정을 거쳐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휘스톤 브리지법은 4개의 저항기와 1개의 미지 저항기를 사용하여 측정하는데, 이때 저항기들의 값을 조절하여 미지 저항기와 같은 값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여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초음파를 이용한 측심기로 바다 깊이를 측정한 결과 4초의 왕복시간이 걸렸다. 바다속의 깊이는 얼마인가? (단, 바닷물 온도는 15℃, 초음파속도는 1527[m/sec])

  1. 6108[m]
  2. 38.1[m]
  3. 3054[m]
  4. 1527[m]
(정답률: 77%)
  • 초음파가 발사되어 바닷속을 통과하고 다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때, 왕복시간은 발사되어 돌아오는 두 번의 시간을 모두 합한 것이므로,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왕복시간을 2로 나누어야 합니다.

    따라서, 4초의 왕복시간은 초음파가 발사되어 바다속을 통과하고 다시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의 합이므로, 실제 거리는 4초/2 x 1527[m/sec] = 3054[m]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54[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초음파 가습기의 원리는 초음파의 어떤 작용을 이용한 것인가?

  1. 소우나
  2. 펠티어효과
  3. 회절작용
  4. 캐비테이숀
(정답률: 72%)
  • 초음파 가습기는 캐비테이션 작용을 이용합니다. 캐비테이션은 초음파 파동이 액체나 고체 내부에서 진행될 때,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져서 액체나 고체 내부에 기포가 생성되고, 이 기포가 폭발하면서 작용하는 현상입니다. 이 작용으로 인해 미세한 물방울이 분사되어 공기 중 습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초음파 응용기기의 기능을 이용하는데 알맞지 않은 곳은?

  1. 공기속
  2. 물속
  3. 기름속
  4. 진공인 곳
(정답률: 68%)
  • 초음파는 공기나 기체에서는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진공인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초음파는 고체나 액체에서만 전달되며, 물속이나 기름속에서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응용기기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초음파 가공기에서 호온(horn)의 역할은?

  1. 공구의 진폭을 크게 하기 위해
  2. 진동을 강하게 하기 위해
  3. 공구와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4. 발진기와 임피던스 매칭을 하기 위해
(정답률: 52%)
  • 초음파 가공기에서 호온(horn)은 공구의 진폭을 크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호온은 초음파 발생기에서 발생한 진동을 받아서 진폭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진폭이 증폭된 공구는 물질 내부로 침투하여 가공 작업을 수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호온은 초음파 가공기에서 가공 효율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섬유 제품의 염색에 주로 이용되는 초음파 작용은?

  1. 분산 작용
  2. 확산 작용
  3. 에멀션화 작용
  4. 응집 작용
(정답률: 55%)
  • 초음파는 섬유 제품 내부의 분자들을 진동시켜 열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염료 분자들이 더욱 빠르게 섬유 제품 내부로 확산되어 염색 효과를 높이는 확산 작용을 이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기기 및 음향영상기기

46. 펄스레이다에서 전파를 발사하여 수신할 때까지 2.8[㎲]가 걸렸다면 목표물 까지의 거리는 몇[m]인가?

  1. 280
  2. 420
  3. 14
  4. 28
(정답률: 47%)
  • 펄스레이다에서 전파를 발사하여 수신할 때까지 걸린 시간은 왕복 시간이므로, 목표물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거리 = 속도 × 시간 / 2

    여기서 속도는 전파의 속도인 3 × 10^8[m/s]이고, 시간은 2.8 × 10^-6[s]입니다.

    따라서 거리 = 3 × 10^8 × 2.8 × 10^-6 / 2 = 420[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유도 가열법으로 가열할 수 있는 것은?

  1. 목재
  2. 금속
  3. 유리
  4. 고무
(정답률: 79%)
  • 유도 가열법은 전기자기장을 이용하여 물체를 가열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전기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파는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체에서만 효과적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금속은 전기전도성이 높아 유도 가열법으로 가열할 수 있습니다. 반면 목재, 유리, 고무는 전기전도성이 낮아 유도 가열법으로 가열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궤환 제어계(feed back control)에서 공정제어 제어량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습도
  2. 전압
  3. 압력
  4. 온도
(정답률: 42%)
  • 궤환 제어계(feed back control)에서는 공정제어 제어량에 해당하는 변수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제어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습도, 압력, 온도와 같은 변수는 제어량에 해당하며, 이들을 측정하여 제어를 수행합니다. 반면에 전압은 공정제어 제어량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전압은 공정에서 발생하는 변수 중 하나이지만, 이는 제어량이 아닌 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변수입니다. 따라서 궤환 제어계에서는 전압을 측정하여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전압을 조절하여 제어기의 동작을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자 냉동기의 기본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ㄷ"점에서 발열이 있었다면 흡열현상이 나타나는 곳은?

(정답률: 74%)
  • 전자 냉동기는 열을 흡수하여 냉각하는데, 이를 위해 냉매가 압축되면서 열이 발생하고, 이후 냉매가 팽창되면서 열이 흡수됩니다. 따라서 "ㄷ"점에서 발생한 열은 냉매가 압축되면서 발생한 것이므로, 이후 냉매가 팽창되면서 열이 흡수되는 곳인 "ㄴ"점에서 흡열현상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자 냉동기의 효율은?

  1. 흡열량/발열량
  2. 발열량/흡열량
  3. 흡열량/소비전력
  4. 발열량/소비전력
(정답률: 50%)
  • 전자 냉동기는 외부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내부에서 열을 흡수하여 냉장을 유지합니다. 이때 전기를 소비하는 만큼 발생하는 열도 있기 때문에, 전자 냉동기의 효율은 "흡열량/소비전력"으로 나타냅니다. 즉, 전자 냉동기가 흡수한 열의 양에 비해 소비한 전기의 양이 얼마나 적은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값이 클수록 전자 냉동기의 효율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FM 수신기의 고주파 증폭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사용되는 주된 이유는?

  1. 입력 임피던스가 높기 때문에
  2. 증폭률이 높기 때문에
  3. 고주파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4. 회로 설계가 용이하기 때문에
(정답률: 43%)
  •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입력 임피던스가 높기 때문에 FM 수신기의 고주파 증폭에 사용됩니다. 이는 입력 신호를 받을 때 신호원의 내부 임피던스와 일치하기 때문에 신호의 손실이 적어지고, 전체 회로의 효율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텔레비젼의 미세조정(화인,튜우닝)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브라운관의 직류 바이어스
  2. 국부 발진기의 주파수 변화
  3. 저주파 증폭기의 주파수 특성
  4. 영상신호의 이득 또는 레벨
(정답률: 52%)
  • 미세조정(화인,튜우닝)은 텔레비젼 수신기에서 국부 발진기의 주파수를 조정하여 영상신호를 더욱 선명하게 받아들이기 위한 작업입니다. 따라서 국부 발진기의 주파수 변화가 가장 관계가 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안테나 전력을 100(W)에서 400(W)로 증가하면 동일 지점의 전계강도는 몇배로 변하는가?

  1. 1.4배
  2. 1.7배
  3. 2배
  4. 2.8배
(정답률: 62%)
  • 안테나 전력과 전계강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전력 ∝ 전계강도²

    즉, 전력이 4배 증가하면 전계강도는 2배 증가합니다. 따라서, 안테나 전력이 100(W)에서 400(W)로 증가하면 전력은 4배 증가하므로 전계강도는 2배 증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특성 임피던스 75[Ω]의 선로에 100[Ω]의 저항 부하를 접속하였다. 반사계수를 구하면?

  1. 1/7
  2. 1/8
  3. 1/9
  4. 1/10
(정답률: 53%)
  •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Gamma = frac{Z_L - Z_0}{Z_L + Z_0}$$

    여기서 $Z_L$은 부하의 임피던스, $Z_0$은 전송선의 특성 임피던스입니다. 문제에서는 $Z_L = 100,Omega$, $Z_0 = 75,Omega$이므로,

    $$Gamma = frac{100 - 75}{100 + 75} = frac{1}{7}$$

    따라서 정답은 "1/7"입니다. 이는 부하 임피던스와 전송선의 특성 임피던스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반사파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작을수록 반사파가 적게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주파수 50[MHz]인 전파의 1/4파장에 대한 값은?

  1. 1.5[m]
  2. 3[m]
  3. 15[m]
  4. 30[m]
(정답률: 41%)
  • 전파의 속도는 공기 중에서 약 3x10^8[m/s]이며, 주파수가 50[MHz]인 전파의 파장은 약 6[m]입니다. 1/4파장은 파장의 1/4인 약 1.5[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증폭회로에 1[㎽]를 공급하였을 때 출력으로 1[W]가 얻어졌다면, 이 때 이득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46%)
  • 증폭회로의 이득은 출력 신호의 전력과 입력 신호의 전력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를 dB로 변환하면 10log(출력 전력/입력 전력)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이득은 10log(1[W]/1[μW]) = 10log(1,000,000) = 60[dB]입니다. 이를 보기에서 선택할 수 있는 값으로 변환하면, 60[dB] = 10[㏈] × 6 = 20[㏈] × 3 = 30[㏈] × 2 = 40[㏈] × 1.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VTR의 재생 화면에 하나 또는 다수의 흰 수평선이 나타나는 드롭아웃(Drop Out) 현상은 무엇 때문에 생기는가?

  1. 수평 동기가 정확히 잡히지 않기 때문에
  2. 영상 신호에 강한 잡음 신호가 혼입되기 때문에
  3. 전원전압이 순간적으로 불안정 하기 때문에
  4. 테이프와 헤드 사이에 먼지 등이 끼기 때문에
(정답률: 71%)
  • 흰 수평선이 나타나는 드롭아웃 현상은 테이프와 헤드 사이에 먼지 등이 끼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헤드가 테이프를 정확하게 읽지 못하고, 영상 신호가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TV 전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영상전파는 잔류측파대의 진폭 변조파이며 음성전파는 주파수 변조파이다.
  2. 영상전파는 잔류측파대의 주파수 변조파이며 음성전파는 진폭 변조파이다.
  3. 영상전파는 양측파대의 위상변조파이며 음성전파는 진폭 변조파이다.
  4. 영상전파는 진폭 변조파이며 음성전파는 양측파대의 주파수 변조파이다.
(정답률: 25%)
  • 영상전파는 이미 생성된 전파를 변조하여 전달하는 것이므로, 잔류측파대의 진폭을 변조하는 진폭 변조파이다. 반면에 음성전파는 소리를 전달하기 위해 주파수를 변조하는 주파수 변조파이다. 따라서 "영상전파는 잔류측파대의 진폭 변조파이며 음성전파는 주파수 변조파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치 증폭기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량 조절 회로가 있다.
  2. 음질(tone)조정 회로가 있다.
  3. 마이크로폰이나 테이프헤드 등으로 부터 나오는 비교적 작은 신호 전압을 증폭한다.
  4. 전력 증폭을 하는 회로이다.
(정답률: 37%)
  • 전치 증폭기는 작은 신호 전압을 증폭하는 회로이지만, 전력 증폭을 하는 회로는 아닙니다. 전력 증폭을 하는 회로는 파워 앰프(power amplifi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조절계에서 P동작이라고 하는 것은?

  1. 온/오프 동작
  2. 비례 동작
  3. 적분 동작
  4. 미분 동작
(정답률: 63%)
  • P동작은 조절계에서 비례 동작을 의미합니다. 이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비례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입력 신호가 증가하면 출력 신호도 비례해서 증가하고, 입력 신호가 감소하면 출력 신호도 비례해서 감소합니다. 이러한 비례 동작은 조절계에서 가장 기본적인 동작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