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10-05)

전자기기기능사
(2003-10-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

1. 주어진 회로를 테브낭의 등가회로로 바꾸면 Vx와 Rx는?

  1. Vx=6V, Rx=50Ω
  2. Vx=10V, Rx=50Ω
  3. Vx=6V, Rx=24Ω
  4. Vx=10V, Rx=24Ω
(정답률: 43%)
  • 주어진 회로는 병렬저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등가저항을 구하기 위해서는 각 저항의 역수를 더한 후 다시 역수를 취해주면 됩니다. 따라서,

    1/Rx = 1/30 + 1/40 + 1/60 = 1/24

    Rx = 24Ω

    등가저항을 구했으므로, 등가전압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압분배법칙을 사용하면 됩니다. 따라서,

    Vx = (40/(30+40+60)) * 12V = 6V

    따라서, 정답은 "Vx=6V, Rx=24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운동하고 있는 전자에 자장을 가하면 운동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만약 전자의 운동방향이 자장의 운동방향과 직각이면 전자는 무슨 운동을 하는가?

  1. 수직운동
  2. 수평운동
  3. 원운동
  4. 지그재그운동
(정답률: 60%)
  • 전자의 운동방향이 자장의 운동방향과 직각이면 전자는 원운동을 한다. 이는 로렌츠 힘의 영향으로 인해 전자가 자장에 의해 힘을 받아 중심을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자체인덕턴스가 20mH인 코일에 60Hz의 전압을 가하면 코일의 유도리액턴스는 몇 Ω 인가?

  1. 2.44
  2. 3.76
  3. 5.48
  4. 7.54
(정답률: 39%)
  • 인덕턴스 L과 각주파수 ω에 대한 유도리액턴스 X는 다음과 같이 주어집니다.

    X = ωL

    주파수 f와 각주파수 ω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ω = 2πf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 유도리액턴스 X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X = 2πfL = 2π(60Hz)(20mH) = 7.54Ω

    따라서, 정답은 "7.5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가정용 전등선의 전압이 실효값으로 100V라고 할 때 이 교류의 최대값은 몇 V 인가?

  1. 110
  2. 121
  3. 130
  4. 141
(정답률: 66%)
  • 가정용 전압의 실효값은 최대값의 0.707배이므로, 최대값은 실효값의 역수에 0.707을 곱한 값이 됩니다. 따라서, 최대값은 100V의 역수에 0.707을 곱한 약 141V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N형 반도체는 Ge나 Si에 무슨 물질을 섞는가?

  1. 인듐(In)
  2. 알루미늄(Al)
  3. 붕소(B)
  4. 안티몬(Sb)
(정답률: 63%)
  • N형 반도체는 Ge나 Si에 안티몬(Sb)을 섞어 만듭니다. 안티몬은 Ge나 Si의 결정 구조에 적합하게 들어가며, 그 결과로 전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추가 전자를 제공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N형 반도체는 전기 전도성이 높아지며,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은 브리지 전파정류회로에서 교류입력을 인가하여야 할 단자는?

  1. ① - ②
  2. ① - ③
  3. ① - ④
  4. ② - ④
(정답률: 59%)
  • 이 브리지 전파정류회로는 교류 입력 신호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나누어 측정하여 차이를 구하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교류 입력을 인가해야 할 단자는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나누어진 ①과 ③입니다. ②와 ④는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교류 입력을 인가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궤환증폭기에서 궤환을 시켰을 때의 증폭도 라면 이 식에서 일 때 나타나는 특성 중 틀린 것은?

  1. 주파수 특성이 양호하다.
  2. 증폭기의 잡음이 감소된다.
  3. 증폭도가 감소된다.
  4. 출력 임피던스가 커진다.
(정답률: 48%)
  • 정답은 "증폭도가 감소된다."입니다.

    궤환증폭기에서 궤환을 시켰을 때의 증폭도는 궤환의 반복주파수와 증폭기의 주파수 특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주파수 특성이 양호하다는 것은 궤환의 반복주파수와 증폭기의 주파수 특성이 잘 일치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궤환을 시켜서 잡음이 감소되는 것은 궤환의 특성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출력 임피던스가 커진다는 것은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외부 회로로 전달될 때, 증폭기와 외부 회로 간의 임피던스 불일치가 커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외부 회로로 전달될 때, 일부 신호가 반사되어 증폭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출력 임피던스가 커진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차동증폭기에서 두 입력신호의 전압이 V1=V2=1V일 때 차신호 이득 Ad는 어떻게 되는가?

  1. 전압은 0 이다.
  2. 전압은 2V가 된다.
  3. 입력전압과 같게 된다.
  4. 출력전압과 같게 된다.
(정답률: 39%)
  • 차동증폭기는 두 입력신호의 차이만을 증폭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두 입력신호의 전압이 모두 1V로 같을 경우, 차신호는 0V이 됩니다. 이에 따라 출력전압도 0V이 되므로 정답은 "전압은 0 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회로의 출력파형은?

(정답률: 54%)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입력신호가 0V에서 5V로 변할 때, 출력신호가 5V에서 0V로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인버터 회로의 특징으로, 입력신호와 반대로 출력신호가 나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입력신호가 0V일 때 출력신호는 5V이며, 입력신호가 5V일 때 출력신호는 0V가 되어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적분기에 사용하는 콘덴서의 절연저항이 커야 하는 이유는?

  1. 연산이 끝나면 전하가 방전하기 때문에
  2. 회로 동작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3. 단락시켜도 잔류전압이 방전되지 않기 때문에
  4. 연산의 정밀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정답률: 29%)
  • 적분기에서 사용하는 콘덴서는 전하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콘덴서의 절연저항이 낮으면 저장된 전하가 빠르게 방전되어 연산의 정밀도가 저하됩니다. 따라서 적분기에 사용하는 콘덴서의 절연저항은 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그림과 같은 회로의 출력 Y는?

  1. A+B
  2. A
  3. (AB)'+AB
  4. AB'+A'B
(정답률: 45%)
  • 입력 A와 B 중 하나는 항상 참이므로, OR 게이트의 출력은 항상 참입니다. 따라서 AND 게이트의 출력은 NOT 게이트의 입력에 따라 결정됩니다. NOT 게이트의 입력이 A'B'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은 참이고, 입력이 AB' 또는 A'B일 때는 거짓입니다. 따라서 출력 Y는 AB'+A'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어진 진리값 표는 무슨 회로인가?

  1. AND회로
  2. OR회로
  3. NOT회로
  4. NAND회로
(정답률: 69%)
  • 주어진 진리값 표에서 입력 A와 입력 B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1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OR(논리합) 회로의 동작 방식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OR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정류회로에서 직류전압이 100V이고 리플전압이 0.2V 이었다. 이 회로의 맥동률은 몇 % 인가?

  1. 0.2
  2. 0.3
  3. 0.5
  4. 0.8
(정답률: 56%)
  • 맥동률은 리플전압과 평균전압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평균전압은 직류전압과 같으므로 100V이다. 따라서 맥동률은 (0.2V / 100V) x 100% = 0.2% 이다. 따라서 정답은 "0.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4㎌의 콘덴서에 100V의 전압을 가할 때 콘덴서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몇 J 인가?

  1. 1×10-3
  2. 1×10-2
  3. 2×10-3
  4. 2×10-2
(정답률: 39%)
  • 콘덴서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E = frac{1}{2}CV^2$

    여기서 C는 콘덴서의 용량, V는 전압입니다. 문제에서 용량은 4㎌, 전압은 100V로 주어졌으므로,

    $E = frac{1}{2} times 4times10^{-6} times 100^2 = 2times10^{-2}$

    따라서 정답은 "2×10-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에서 C의 양단에는 톱니파형이 나타난다. 개방전압비를 η라 할 때 파형의 주기 T는?

  1. T=ηRC
  2. T=(RC)/η
  3. T=RC log(η-1)
  4. T=RC log(l/(1-η))
(정답률: 39%)
  • 톱니파형은 주기가 2T인 사각파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따라서 사각파의 주기 T는 톱니파형의 주기의 절반인 T/2이다.

    사각파의 주기 T는 충전 시간과 방전 시간의 합과 같다. 즉, T = RC + RC = 2RC이다.

    따라서 톱니파형의 주기는 T = 2RC/2 = RC이다.

    또한, 개방전압비는 톱니파형에서 양전압과 음전압의 비율을 의미한다.

    양전압의 크기는 전압원에서 공급되는 전압 V0이고, 음전압의 크기는 V0*η이다.

    따라서 톱니파형에서 음전압이 나타나는 시간은 전체 주기 중에 (1-η)만큼이고, 양전압이 나타나는 시간은 (1-(1-η))=η만큼이다.

    따라서 톱니파형의 주기 T는 양전압이 나타나는 시간인 RC*η와 음전압이 나타나는 시간인 RC*(1-η)의 합과 같다.

    즉, T = RC*η + RC*(1-η) = RC이다.

    따라서 정답은 T=RC log(l/(1-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

16. 수정발진기의 주파수가 안정된 이유는?

  1. 수정발진기에는 피에조 전기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2. 수정진동자는 Q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3. 수정발진기는 출력이 적기 때문이다.
  4. 수정진동자의 진동수는 전원전압과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정답률: 63%)
  • 수정진동자의 Q값이 매우 높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안정된 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그림의 연산 결과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1000
  2. 1010
  3. 1110
  4. 1001
(정답률: 76%)
  • 두 개의 2진수를 더할 때, 같은 자리의 수가 모두 1이면 그 자리의 결과는 0이 되고, 자리 올림이 발생한다. 따라서, 1+1은 0이 되고 자리 올림이 발생하여 다음 자리에서 더해지게 된다. 이를 반복하여 최종 결과는 11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순서도 기호 중에서 각종 처리 기능을 표시하는 것은?

(정답률: 46%)
  • ""은 처리 기능을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이 기호는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조작하는 작업을 나타내며, 예를 들어 계산, 비교, 복사 등의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연산의 기능 중 LOAD나 STORE 명령은 어디에 속하는가?

  1. 함수연산 기능
  2. 제어 기능
  3. 전달 기능
  4. 입曺출력 기능
(정답률: 55%)
  • LOAD와 STORE 명령은 전달 기능에 속합니다. 이는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어와 레지스터에 저장하거나, 레지스터에 있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전달 기능은 데이터를 다른 부분으로 전달하거나 저장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순차 액세스(sequential access)만이 가능한 보조기억장치는?

  1. 자기디스크
  2. 자기테이프
  3. 자기드럼
  4. 플로피디스크
(정답률: 50%)
  • 자기테이프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고 쓰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순차 액세스만 가능한 보조기억장치입니다. 따라서 자기디스크, 자기드럼, 플로피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가 가능하므로 순차 액세스뿐만 아니라 임의의 위치에 있는 데이터에도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10진수 (755)10를 16진수로 변환하면?

  1. 1F3
  2. 1F5
  3. 2F3
  4. 2F5
(정답률: 54%)
  • 10진수 755를 16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16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
    755 % 16 = 11 (나머지는 B)

    2. 16으로 나눈 몫을 구합니다.
    755 // 16 = 47

    3. 16으로 나눈 몫이 0이 될 때까지 위의 과정을 반복합니다.
    47 % 16 = 15 (나머지는 F)
    47 // 16 = 2
    2 % 16 = 2 (나머지는 2)

    4. 나머지를 역순으로 나열합니다.
    2F3

    따라서, 정답은 "2F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중앙처리장치인 CPU의 구성으로 옳은 것은?

  1. 메모리, I/O
  2. 본체, 주변장치
  3. 연산장치, 제어장치
  4. 기억장치, 입曺출력장치
(정답률: 78%)
  • CPU는 연산과 제어를 담당하는 중앙처리장치입니다. 따라서 CPU의 구성은 연산장치와 제어장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연산장치는 산술 연산과 논리 연산을 수행하며, 제어장치는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메모리, I/O, 본체, 주변장치, 기억장치, 입출력장치는 CPU의 구성 요소가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패리티 비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착오 검색용 부호이다.
  2. 착오 교정을 할 수 있다.
  3. 1 비트(bit)로 이루어진다.
  4. 짝수, 홀수 패리티비트 방식이 있다.
(정답률: 58%)
  • 패리티 비트는 착오 검색용 부호이며,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한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착오 교정을 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패리티 비트는 1 비트(bit)로 이루어지며, 짝수, 홀수 패리티비트 방식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주기억장치의 용량을 보다 크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하드디스크 장치의 용량을 주기억장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는?

  1. Flash Memory
  2. Virtual Memory
  3. Associate Memory
  4. Josephson Memory
(정답률: 63%)
  • Virtual Memory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여 용량을 보다 크게 확장할 수 있는 메모리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는 Virtual Memory가 주어진 보기 중 정답인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주기억 장치의 속도를 중앙처리장치에 접근시키기 위해 개발된 기억장치는?

  1. 가상 기억장치
  2. 캐시 기억장치
  3. 자기코어 기억장치
  4. 하드디스크 기억장치
(정답률: 83%)
  • 캐시 기억장치는 중앙처리장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주기억장치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제공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은 어떤 명령어 실행 주기인가?

  1. 덧셈(ADD)
  2. 뺄셈(SUB)
  3. 로드(LDA)
  4. 스토어(STA)
(정답률: 62%)
  • 해당 명령어는 "ADD"이다. 그 이유는 명령어 코드의 앞 4비트가 "0000"으로 시작하고, 이는 덧셈 연산을 나타내는 코드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CPU가 어떤 작업을 하고 있는 도중 외부로부터의 요구가 있으면 작업을 잠시 중단하고, 요구된 일을 처리한 후 다시 원래의 작업으로 되돌아오는 기능을 무엇이라 하는 가?

  1. 직접메모리 접근(DMA)
  2. 시분할(time sharing)
  3. 인터럽트(interrupt)
  4. 서브루틴(subroutine)
(정답률: 43%)
  • CPU가 현재 작업을 중단하고 외부로부터의 요구를 처리한 후 다시 원래의 작업으로 돌아오는 것을 인터럽트라고 합니다. 인터럽트는 CPU의 작업을 중단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프로그램의 처리 방법과 순서를 논리적인 흐름에 따라 단계적으로 일정한 기호를 사용하여 일관성 있게 그림으로 나타낸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프로그래밍
  2. 알고리즘
  3. 순서도
  4. 코딩
(정답률: 77%)
  • 순서도는 프로그램의 처리 방법과 순서를 일관성 있게 그림으로 나타내는 도구이다. 따라서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은 순서도를 작성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며, 코딩은 순서도를 바탕으로 실제 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열전형 계기에서 주파수가 높아지면 발생하는 오차 중 관계없는 것은?

  1. 공진 오차
  2. 표피 오차
  3. 파형 오차
  4. 전위 오차
(정답률: 28%)
  • 열전형 계기에서 주파수가 높아지면 발생하는 오차 중 관계없는 것은 "파형 오차"입니다. 이는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파형이 왜곡되어 측정값이 오차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오차는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 중 하나이며, 각각 공진, 표피, 전위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오실로스코프로 다음과 같은 도형이 얻어졌다. 이 회로의 위상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69%)
  • 이 도형은 삼각파 형태이므로, 이 회로의 위상은 삼각파의 위상과 같다. 삼각파의 위상은 30도이므로, 이 회로의 위상도 30도이다.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측정

31. 계통 오차를 유발하는 원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부적당한 적용
  2. 부품의 마멸
  3. 외부자기장
  4. 환경의 영향
(정답률: 49%)
  • 계통 오차는 측정 시스템 자체의 오차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므로, 부적당한 적용은 계통 오차를 유발하는 원인에 속하지 않습니다. 부적당한 적용은 측정 시스템을 잘못 사용하거나 적용하는 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가동코일형 계기로 측정할 수 없는 것은?

  1. 직류전류
  2. 직류전압
  3. 교류전압
  4. 직류저항
(정답률: 47%)
  • 가동코일형 계기는 직류전류나 직류전압, 직류저항을 측정할 수 있지만, 교류전압은 측정할 수 없습니다. 이는 가동코일형 계기가 움직이는 가동코일과 고정되어 있는 자석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이 교류전압에서는 계속해서 바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교류전압을 측정하려면 다른 측정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은 가동코일(coil)형 계기에서 미터의 축에는 아래위로 인청동으로 된 스프링이 장치되어 있다. 이것의 역할은?

  1. 구동력
  2. 제어력
  3. 제동력
  4. 가동력
(정답률: 51%)
  • 스프링은 미터의 축을 아래로 당기는 힘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가동코일에 전달되어 가동코일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의 인청동 속성에 따라 회전하는 가동코일에 전기적인 제어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하고 계기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스프링은 미터의 제어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안테나의 실효 저항은 희망주파수에서 공진시킨 상태에서 측정해야 한다. 실효 저항 측정법이 아닌 것은?

  1. 저항 삽입법
  2. 작도법(Pauli의 방법)
  3. coil 삽입법
  4. 치환법
(정답률: 64%)
  • 안테나의 실효 저항은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에서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안테나 회로에 다른 부품을 삽입하거나 치환하는 방법은 실효 저항 측정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coil 삽입법은 실효 저항 측정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10[㎒] 정도의 전파 파장을 측정하고자 한다. 최소 레헤르선의 길이가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34%)
  • 전파의 파장과 최소 레헤르선의 길이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최소 레헤르선의 길이 = 파장 / 2

    따라서, 10[㎒]의 전파 파장을 측정하고자 한다면,

    최소 레헤르선의 길이 = 10[㎒] / 2 = 5[m]

    하지만, 최소 레헤르선의 길이는 전파의 파장보다는 길어야 한다. 이는 최소 레헤르선의 길이가 전파의 파장보다 짧으면 전파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소 레헤르선의 길이는 10[㎒]의 전파 파장보다는 길어야 한다. 이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은 15[m]이므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유도형 적산 전력계의 구동 토크 TD는?

  1. 저항에 비례한다.
  2. 전류에 비례한다.
  3. 전류 자승에 비례한다.
  4. 전압 자승에 비례한다.
(정답률: 47%)
  • 유도형 적산 전력계의 구동 토크 TD는 전류에 비례합니다. 이는 유도형 적산 전력계의 작동 원리 때문입니다. 유도형 적산 전력계는 전류가 흐르면 회전자에 유도전류가 발생하고, 이 유도전류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류가 강할수록 유도전류가 강해지고, 회전자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므로 구동 토크도 전류에 비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표준 신호발생기가 갖추어야 할 조건 중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선택도의 지시가 정확할 것
  2. 출력 레벨이 가변적이고 정확할 것
  3. 누설 전류가 적고, 장기 사용에 견딜 것
  4. 발진 주파수가 정확하고, 파형이 양호할 것
(정답률: 19%)
  • "선택도의 지시가 정확할 것"은 표준 신호발생기가 발생시키는 신호의 종류와 주파수, 출력 레벨 등을 선택하는 기능이 정확하게 작동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표준 신호발생기가 다양한 실험 및 측정에 사용되는데, 이때 선택된 신호의 특성이 정확하게 일치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택도의 지시가 정확하지 않으면 측정 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를 숫자로 표시하는 장치는?

  1. C-A 변환기
  2. A-C 변환기
  3. D-A 변환기
  4. A-D 변환기
(정답률: 56%)
  •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를 숫자로 표시하는 장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때 A-D 변환기가 사용됩니다. A-D 변환기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전압이나 전류의 크기를 숫자로 표시하는 장치에서는 A-D 변환기가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압 측정에서 계측기 접속에 의한 부하 효과의 원인은?

  1. 주위 습도
  2. 주위 온도
  3. 계기의 내부 저항
  4. 측정시 충격
(정답률: 68%)
  • 전압 측정 시 계기와 측정 대상 사이에 접속되는 전선은 내부 저항이 존재하게 됩니다. 이 내부 저항은 전압 측정 시 전압 값을 왜곡시키는 원인이 되며, 이를 부하 효과라고 합니다. 따라서 계기의 내부 저항이 부하 효과의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정전용량이나 유전체 손실각의 측정에 사용되는 브리지는?

  1. 하트숀 브리지
  2. 셰링 브리지
  3. 헤이 브리지
  4. 헤비 사이드
(정답률: 76%)
  • 셰링 브리지는 정전용량이나 유전체 손실각의 측정에 사용되는 브리지입니다. 이는 셰링 컨덴서를 사용하여 측정하는데, 셰링 컨덴서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삽입된 저항과 콘덴서를 조합한 것으로, 높은 정확도와 안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셰링 브리지는 정전용량이나 유전체 손실각의 측정에 적합한 브리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고주파 가열에 이용되지 않는 손실은?

  1. 유전체 손실
  2. 주울열 손실
  3. 히스테리시스 손실
  4. 맴돌이 전류 손실
(정답률: 43%)
  • 고주파 가열에서는 전자기파가 물체 내부로 들어가면서 물체 내부의 분자들이 진동하면서 열을 발생시킵니다. 이때 발생하는 손실 중에서 주울열 손실은 물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이 물체 표면으로 전달되지 않고 내부에 머무르는 손실을 말합니다. 따라서 고주파 가열에서는 주울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물체의 내부 구조와 고주파 발생기의 주파수, 전력 등을 조절하여 최적의 가열 효율을 얻으려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압력 - 변위 변환기에 속하는 것은?

  1. 전자석
  2. 스프링
  3. 전자코일
  4. 슬라이드저항
(정답률: 80%)
  • 스프링은 압력을 변위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변환기입니다. 스프링은 압력이 가해지면 그에 따라 변위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변위는 압력의 크기와 비례합니다. 따라서 스프링은 압력을 변위로 변환하는데 적합한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초음파 진동자에서 자기 왜형 진동자에 적합한 진동자는?

  1. 니켈
  2. 연강
  3. 수정
  4. 압전결정체
(정답률: 62%)
  • 자기 왜형 진동자는 자기장과 상호작용하여 진동하는데, 이 때 자기장에 대한 민감도가 중요합니다. 니켈은 자기장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 자기 왜형 진동자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니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레이더의 초단파 발진관으로 사용되는 것은?

  1. 자전관(magnetron)
  2. TR 관
  3. ATR 관
  4. 전자호온
(정답률: 54%)
  • 자전관은 전자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초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장치로, 레이더에서 초단파를 발생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레이더에서 사용되는 장치는 아니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캐비테이션(공동작용)을 이용한 것은?

  1. 소오나
  2. 초음파 세척
  3. 초음파 납땜
  4. 고주파 가열
(정답률: 61%)
  • 캐비테이션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액체나 고체의 표면에 작용하여 물리적인 충격과 진동을 일으키는 현상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초음파 세척이 가능하며, 세척 대상에 적용된 초음파는 물질 표면에 부착된 노폐물을 제거하고 깨끗하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캐비테이션을 이용한 것 중 초음파 세척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기기 및 음향영상기기

46. 초음파 응용기기의 기능을 이용하는데 알맞지 않은 곳은?

  1. 공기속
  2. 물속
  3. 기름속
  4. 진공인 곳
(정답률: 70%)
  • 초음파는 공기나 기체에서는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진공인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진공인 곳은 초음파 응용기기의 기능을 이용하는데 알맞지 않은 곳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자동제어 장치 중 서어보기구에 속하는 것은?

  1. 선박의 자동운항장치
  2. 발전기의 전압조정
  3. 자동온수기
  4. 전동기의 속도제어
(정답률: 37%)
  • 서어보기구는 선박의 항해 중에 사용되는 장치로, 선박의 위치, 방향, 속도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해를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선박의 자동운항장치"가 서어보기구에 속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자기 왜형 진동자를 만들 때 철심을 엷은 판 모양으로 하고 절연하여 겹쳐 쌓아 만드는 이유는?

  1. 공진 주파수 조절을 위해서
  2. 맴돌이 전류를 적게 하기 위해서
  3. 진동을 크게 하기 위해서
  4. 제작비를 적게 들이기 위해서
(정답률: 60%)
  • 철심을 엷은 판 모양으로 만들고 절연하여 겹쳐 쌓으면, 전류가 맴돌면서 진동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때 맴돌이 전류가 적게 되면, 진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일어나게 되어 자기 왜형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레이더에 초단파가 사용되는 이유로서 옳은 것은?

  1. 지향성이 강하므로
  2. 굴절이 많아지므로
  3. 발사파와 반사파 사이에 상호간섭이 많아지므로
  4. 페이딩이 많아지므로
(정답률: 39%)
  • 레이더에서 초단파가 사용되는 이유는 "지향성이 강하므로"입니다. 초단파는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어서 공기 분자와 충돌할 때 굴절이 적게 일어나며, 이로 인해 발사된 파가 일직선으로 진행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초단파를 이용하면 레이더에서 발사한 파가 일정한 방향으로 진행되어 탐지 대상물에 대한 지향성이 강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선박에 이용되며 방향 탐지기가 없이 보통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방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은?

  1. AN 레인지 비이컨
  2. 무지향성 비이컨
  3. 회전 비이컨
  4. 초고주파 전방향성 비이컨
(정답률: 57%)
  • 선박에서는 방향 탐지기가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보통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방위를 측정합니다. 이때 회전 비이컨은 방향성이 있는 비이컨으로, 회전하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방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박에서 방향 탐지기가 없는 경우에는 회전 비이컨을 이용하여 방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슈우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전파 형식에 따라 통과 대역폭을 변화시킬 수 있다.
  2. 감도가 좋다.
  3. 선택도가 좋다.
  4. 영상혼신이 있다.
(정답률: 67%)
  • 슈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의 장점은 전파 형식에 따라 통과 대역폭을 변화시킬 수 있고, 감도와 선택도가 좋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영상혼신이 있다는 것은 단점입니다. 영상혼신이란 원래의 신호와 다른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신호가 혼입되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수신기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신호의 정확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영상혼신이 있다는 것은 슈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의 단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콘트라스트(Contras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 잡음지수를 말한다.
  2. 화면의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에 대한 밝기의 비를 말한다.
  3. 음성신호의 이득을 말한다.
  4. 국부발진기의 주파수 조정 정도를 나타낸다.
(정답률: 79%)
  • 콘트라스트는 화면의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에 대한 밝기의 비를 말합니다. 이는 이미지나 영상에서 대비를 강조하여 더욱 선명하고 생동감 있는 화면을 만들어줍니다. 예를 들어, 검은 배경에 흰 글씨를 쓰면 콘트라스트가 높아져 글씨가 더욱 두드러지게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라스터가 가로 한 줄로 되었을 때 고장 진단의 대상이 아닌 것은?

  1. 수직발진관의 그리드 전압
  2. 적분회로의 동기신호 전압파형
  3. 수직출력관의 그리드 전압파형
  4. 수직발진관의 플레이트 전압
(정답률: 43%)
  • 라스터가 가로 한 줄로 되었을 때, 적분회로의 동기신호 전압파형은 고장 진단의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적분회로의 동기신호 전압파형이 라스터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적분회로는 입력 신호의 시간적인 누적을 통해 출력을 생성하는 회로이므로, 동기신호의 전압파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적분회로의 동기신호 전압파형은 고장 진단의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무선 수신기의 공중선 회로를 밀 결합했을 때, 생길 수 있는 현상은?

  1. 발진을 일으킨다.
  2. 동조점이 2개 나온다.
  3. 내부잡음이 많아진다.
  4. 영상혼신이 없어진다.
(정답률: 56%)
  • 무선 수신기의 공중선 회로를 밀 결합하면, 회로의 주파수 특성이 변화하게 되어 동조점이 2개 나오게 됩니다. 이는 수신기에서 원하는 신호가 아닌 다른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발진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자기 녹음기의 자기헤드에 대한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기헤드의 임피던스는 유도성이다.
  2. 주파수에 비례하여 임피던스가 감소한다.
  3. 높은 주파수에서는 헤드에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여 특성이 나빠진다.
  4. 녹음할 때는 주파수가 변하더라도 전류가 일정하도록 한다.
(정답률: 31%)
  • "주파수에 비례하여 임피던스가 감소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자기헤드의 임피던스는 주파수에 따라 변화합니다. 일반적으로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자기헤드의 임피던스는 증가합니다. 이는 자기헤드 내부의 코일의 인덕턴스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자기헤드의 특성은 나빠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푸시풀(push - pull) 전력 증폭기에서 출력파형의 찌그러짐이 작아지는 주요 이유는?

  1. 두개의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의 위상이 동상이기 때문이다.
  2. 직류성분이 증폭되지 않기 때문이다.
  3. 기수차의 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4. 우수차의 고조파가 상쇄되기 때문이다.
(정답률: 52%)
  • 푸시풀 전력 증폭기에서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가 동시에 작동하여 출력을 증폭시키는데, 이 때 두 트랜지스터의 출력이 상반되는 파형을 만들어내게 됩니다. 이러한 파형은 우수차의 고조파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 고조파는 서로 상쇄되어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출력파형의 찌그러짐이 작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VTR의 영상헤드는 회전 운동을 하고 있다. 어떤 수단을 통하여 안전하게 영상 신호를 전달하는가?

  1. 용량 결합
  2. 빛 센서에 의한 결합
  3. 로우타리 트랜스에 의한 결합
  4. 순금 슬립 링에 의한 결합
(정답률: 41%)
  • VTR의 영상헤드는 회전 운동을 하기 때문에 안전하게 영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회전 운동을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합니다. 이때, 로우타리 트랜스는 회전 운동을 전달할 수 있는 전기적인 수단으로, 안전하게 영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로우타리 트랜스에 의한 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VTR의 재생 화면에 하나 또는 다수의 흰 수평선이 나타나는 드롭아웃(Drop Out) 현상은 무엇 때문에 생기는가?

  1. 수평 동기가 정확히 잡히지 않기 때문에
  2. 영상 신호에 강한 잡음 신호가 혼입되기 때문에
  3. 전원전압이 순간적으로 불안정 하기 때문에
  4. 테이프와 헤드 사이에 먼지 등이 끼기 때문에
(정답률: 78%)
  • 흰 수평선이 나타나는 드롭아웃 현상은 테이프와 헤드 사이에 먼지 등이 끼어서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영상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수평 동기가 정확히 잡히지 않게 되어 흰 수평선이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합성동기 신호에서 수평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회로는?

  1. 미분 회로
  2. 적분 회로
  3. 캐소우드 플로어 회로
  4. 디엠파시스 회로
(정답률: 30%)
  • 미분 회로는 입력 신호를 미분하여 출력하는 회로로, 입력 신호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합성동기 신호에서 수평동기 신호를 분리하는데에 적합한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전치 증폭기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량 조절 회로가 있다.
  2. 음질(tone)조정 회로가 있다.
  3. 마이크로폰이나 테이프헤드 등으로 부터 나오는 비교적 작은 신호 전압을 증폭한다.
  4. 전력 증폭을 하는 회로이다.
(정답률: 38%)
  • 전치 증폭기는 작은 신호 전압을 증폭하는 회로이지만, 전력 증폭을 하는 회로는 아닙니다. 전력 증폭을 하는 회로는 파워 앰프(power amplifi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