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2-01)

전자기기기능사
(2004-02-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

1. 트랜지스터의 h파라메터 중hfe는?

  1. 이미터 접지시의 전류궤환률
  2. 베이스 접지시의 전류궤환률
  3. 이미터 접지시의 전류증폭도
  4. 베이스 접지시의 전류증폭도
(정답률: 53%)
  • hfe는 "이미터 접지시의 전류증폭도"입니다. 이는 베이스 전류의 작은 변화에 따라 출력 전류가 얼마나 크게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는 트랜지스터의 전류증폭기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파라미터입니다. 따라서 hfe가 높을수록 트랜지스터는 더 큰 전류증폭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이오드를 이용한 반파 정류회로의 맥동률은 얼마인가?

  1. 1.21
  2. 1.57
  3. 3.45
  4. 3.57
(정답률: 34%)
  • 반파 정류회로에서 맥동률은 다이오드가 전류를 허용하는 시간과 차단하는 시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비율은 다이오드의 특성과 부하 저항에 따라 달라집니다.

    반파 정류회로에서 다이오드는 양의 반주기에서만 전류를 허용하고, 음의 반주기에서는 차단합니다. 따라서 맥동률은 양의 반주기에서 다이오드가 전류를 허용하는 시간과 전체 주기에서의 시간 비율로 계산됩니다.

    반파 정류회로에서 부하 저항이 없다면, 맥동률은 0.5입니다. 이는 양의 반주기와 음의 반주기에서 다이오드가 전류를 허용하는 시간이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부하 저항이 존재한다면, 다이오드가 전류를 허용하는 시간이 달라지므로 맥동률도 달라집니다. 이때 부하 저항이 클수록 맥동률은 작아지고, 부하 저항이 작을수록 맥동률은 커집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맥동률이 "1.21"인 이유는 다이오드와 부하 저항의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값이며, 다른 보기들은 이와 다른 조건에서의 맥동률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은 정전압회로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ZD는 기준전압을 얻기 위한 제너다이오드이다.
  2. 부하전류가 증가하여 Vo가 저하될 때에는 TR의 BE간 순방향 전압이 낮아진다.
  3. 직렬제어형 정전압회로이다.
  4. TR은 제어석이고, R은 ZD와 함께 제어석의 베이스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56%)
  • 정전압회로에서는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부하전류가 증가하면 TR의 BE간에 더 큰 전압이 걸리게 되어 TR의 전류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출력전압이 유지되도록 조절된다. 따라서 부하전류가 증가하여 Vo가 저하될 때에는 TR의 BE간 순방향 전압이 높아지는 것이 맞다. 따라서 "부하전류가 증가하여 Vo가 저하될 때에는 TR의 BE간 순방향 전압이 낮아진다." 라는 설명은 잘못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중간주파 증폭기로 사용할 때 주파수 대역폭이 가장 넓은 결합방식은?

  1. 쵸크 결합
  2. 저항 결합
  3. 스태거동조 결합
  4. 저항용량 결합
(정답률: 43%)
  • 스태거동조 결합은 중간주파 증폭기에서 주파수 대역폭이 가장 넓은 결합방식입니다. 이는 스태거를 이용하여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위상차를 조절하여 증폭기의 대역폭을 넓히기 때문입니다. 스태거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위상차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증폭기의 대역폭을 넓힐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태거동조 결합은 주파수 대역폭이 넓은 신호를 처리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준레벨보다 높은 부분을 평탄하게 하는 회로는?

  1. 게이트회로
  2. 미분회로
  3. 적분회로
  4. 리미터회로
(정답률: 62%)
  • 리미터회로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제한하여 기준레벨보다 높은 부분을 평탄하게 만드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기준레벨 이상의 신호를 제한하고, 이를 평탄화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에 반해 게이트회로는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 미분회로는 입력 신호의 변화율을 출력하는 회로, 적분회로는 입력 신호의 적분값을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플립플롭회로의 출력 Q 및 Q'는 리세트(reset)상태에서 어떠한 논리값을 갖는가?

  1. Q=0, Q'=0
  2. Q=1, Q'=1
  3. Q=0, Q'=1
  4. Q=1, Q'=0
(정답률: 35%)
  • 플립플롭회로의 출력 Q 및 Q'는 리세트(reset) 상태에서 모두 0이기 때문에 "Q=0, Q'=0"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리세트 상태에서는 입력값에 상관없이 출력이 0으로 고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Q=0, Q'=1"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에서 출력 Y 는?

  1. A'B
  2. AB+B'
  3. (AB)'+B
  4. A'+BB
(정답률: 35%)
  • AND 게이트의 출력은 입력이 모두 참일 때 참이므로, 입력 A와 B가 모두 참일 때 출력 Y가 참이 됩니다. 따라서, 출력 Y는 A와 B의 논리곱인 A'B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회로망 중의 어떤 접속점에 유입하고 유출하는 전류의 대수합은 0 이다." 라는 것은?

  1. 테브난의 정리
  2. 노튼의 정리
  3. 패러데이의 법칙
  4. 키르히호프의 법칙
(정답률: 80%)
  • "회로망 중의 어떤 접속점에 유입하고 유출하는 전류의 대수합은 0 이다."는 전기회로에서 전류의 보존 법칙을 의미합니다. 이 법칙은 전류가 어떤 회로를 통해 흐를 때, 그 회로의 모든 지점에서 전류의 양이 보존된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전류의 대수합이 0이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법칙은 키르히호프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발진을 이용하지 않는 검파방식은?

  1. 헤테로다인검파회로
  2. 링검파회로
  3. 다이오드검파회로
  4. 평형검파회로
(정답률: 40%)
  • 다이오드검파회로는 반도체 소자인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양/음의 반파만을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검파를 수행합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저렴하며, 전력 손실이 적어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에 헤테로다인검파회로, 링검파회로, 평형검파회로는 다이오드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방식으로 검파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R-L 직렬회로의 시정수에 해당되는 것은?

  1. 1/(2R)
  2. 2R
  3. R/L
  4. L/R
(정답률: 70%)
  • R-L 직렬회로의 시정수는 L/R에 해당됩니다. 이는 시간상수인 τ=L/R과 관련이 있으며, 시간상수는 회로의 시간적인 반응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R-L 직렬회로의 시정수는 L/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SC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게이트 전류로 통전 중의 전압을 가변한다.
  2. 게이트 전류로 통전 중의 전류를 가변한다.
  3. 대전류 제어의 정류용으로 사용된다.
  4. 역저지 1단자 다이리스터이다.
(정답률: 45%)
  • SCR은 게이트 전류로 통전 중의 전류를 가변하여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이는 게이트 전류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SCR 내부에서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며, 이후에는 게이트 전류의 크기에 따라 전류가 가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SCR은 게이트 전류를 이용하여 대전류를 제어하는 정류용 소자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내부저항이 12.5kΩ, 최대지시눈금이 150V인 전압계에 50kΩ의 배율기 저항을 접속하면 몇 V 까지 측정할 수 있는가?

  1. 250
  2. 500
  3. 650
  4. 750
(정답률: 42%)
  • 배율기 저항을 접속하면 전압계의 내부저항은 12.5kΩ/50kΩ = 0.25배가 되고, 최대지시눈금은 150V × 0.25 = 37.5V가 된다. 따라서, 배율기 저항을 접속하면 최대 37.5V까지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배율기 저항을 접속하면 전압계의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가능한한 작은 값을 측정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정답은 750이 아닌 650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공심 환상솔레노이드의 단면적이 10cm2, 자로의 평균 길이 50cm, 감은 회수 1000회라면 자체인덕턴스는 약 몇 mH 인가?

  1. 25
  2. 35
  3. 250
  4. 350
(정답률: 23%)
  • 자체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L = (μ₀μᵣN²A)/l

    여기서,
    μ₀ = 공기의 자기 투자율 (4π × 10^-7 H/m)
    μᵣ = 환경의 상대 자기 투자율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1로 가정)
    N = 감은 수
    A = 단면적
    l = 평균 길이

    따라서,

    L = (4π × 10^-7 × 1 × 1000² × 10^-4) / 0.5
    = 25 × 10^-3 H
    = 25 mH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공기 중의 점전하 1μC에서 3m와 5m사이의 전위차는 몇 V 인가?

  1. 120
  2. 240
  3. 1200
  4. 2400
(정답률: 39%)
  • 전위차는 전하량에 비례하므로, 점전하 1μC가 만든 전위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위차 = 전하량 / 전기용량

    공기는 집전성이 없으므로 전기용량은 공기의 유전율에 비례합니다. 공기의 유전율은 약 8.85 × 10^-12 F/m입니다. 따라서, 3m와 5m 사이의 전기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기용량 = 8.85 × 10^-12 F/m × (5m - 3m) = 17.7 × 10^-12 F

    따라서, 전위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위차 = 1μC / 17.7 × 10^-12 F = 56,497 V

    하지만, 문제에서는 전위차를 V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답을 56,497 V에서 1,000으로 나누어 56.497 V로 변환합니다. 이 값은 보기에서 제시된 값 중에서는 1200에 가장 가깝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2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병렬공진회로에서 공진시의 임피던스는?

  1. R
  2. R/(CL)
  3. L/(CR)
  4. C/(LR)
(정답률: 37%)
  • 병렬공진회로에서 공진 주파수일 때, 즉 X_L = X_C 일 때, 전체 임피던스는 R과 X_L, X_C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1/Z = 1/R + 1/X_L + 1/X_C

    = 1/R + 1/(jωL) + jωC

    = (1/R - jωC)/(jωL)

    따라서 전체 임피던스 Z는 다음과 같습니다.

    Z = R/(1 - jωCR)

    여기서 공진 주파수일 때, 즉 임피던스가 순수허수인 경우에는 실수부가 0이 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1 - jωCR = 0

    ω = 1/CR

    따라서 공진 주파수일 때의 임피던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Z = R/(1 - j)

    = R/(1 - j)/(1 + j)

    = R/(1 + j)

    = R/(√2∠45°)

    = R/√2(cos45° + jsin45°)

    = R/√2(1 + j)

    = R/(1 + j)/√2

    = R/√2 - R/√2j

    = R/√2 - jR/√2

    = L/(CR)

    따라서 정답은 "L/(C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

16. 평행 변조기의 출력에 나오는 스펙트럼은?

  1. 3fc - fm
  2. fc ± fm
  3. 2fc ± fm
  4. fc ± 2fm
(정답률: 65%)
  • 평행 변조기는 주파수 변조 방식 중 하나로, 원래의 캐리어 신호와 변조 신호를 병합하여 출력하는 방식입니다. 이때 변조 신호의 주파수가 fm이고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가 fc일 때, 출력 신호는 fc ± fm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fc ± f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어떤 컴퓨터의 주기억장치 용량이 4096 word로 구성 되어 있고, word 당 16bits 라면 이 컴퓨터의 MAR은 몇 bit 레지스터인가?

  1. 8
  2. 12
  3. 16
  4. 4096
(정답률: 32%)
  • MAR은 주소 레지스터로, 주기억장치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이 컴퓨터의 주기억장치 용량이 4096 word이므로, 주소의 범위는 0부터 4095까지입니다. 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12 bit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컴퓨터의 MAR은 12 bit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중앙처리장치에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1. 누산기
  2. 제어신호
  3. 스위치
  4. 레지스터
(정답률: 58%)
  • 중앙처리장치에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하려면 각 오퍼레이션의 실행 시점과 종료 시점을 제어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제어신호입니다. 제어신호는 각 오퍼레이션의 실행 시점과 종료 시점을 제어하며, 이를 통해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제어신호는 중앙처리장치에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순서적으로 일어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에 열거하는 논리 연산 가운데 관심이 없는 일부분을 지우고 필요한 것만 가지고 처리하기 위한 연산은?

  1. AND
  2. OR
  3. 보수 연산
  4. MOVE
(정답률: 68%)
  • AND 연산은 두 개의 입력 값 중 하나라도 0이면 결과가 0이 되는 연산입니다. 따라서, 관심이 없는 일부분을 0으로 만들어서 필요한 부분만 가지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AND 0 = 0 이므로 A의 일부분이 0인 경우 결과는 항상 0이 됩니다. 이와 달리 OR 연산은 두 개의 입력 값 중 하나라도 1이면 결과가 1이 되는 연산이므로, 관심이 없는 일부분을 1로 만들어서 필요한 부분만 가지고 처리할 수 없습니다. 보수 연산과 MOVE 연산은 입력 값에 대한 변환만을 수행하므로, 관심이 없는 일부분을 지우는 연산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ND 연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마이크로 컴퓨터 시스템에서 CPU와 주변장치 사이의 통신이 이루어지며 창구 역할을 하는 것은?

  1. Memory map
  2. Address bus
  3. I/O port
  4. System clock
(정답률: 52%)
  • CPU와 주변장치 사이의 통신을 위해 입출력(I/O) 포트가 사용됩니다. 이 포트는 CPU와 주변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며, 입출력 장치들은 이 포트를 통해 CPU와 통신합니다. 따라서, I/O port가 CPU와 주변장치 사이의 창구 역할을 하게 됩니다. Memory map은 메모리 주소를 나타내는 것이고, Address bus는 CPU와 메모리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합니다. System clock은 컴퓨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서브루틴 호출 시 데이터나 주소의 임시 저장이 가능한 것은?

  1.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2. 프로그램 카운터
  3. 스택 지시기
  4. 번지 해독기
(정답률: 47%)
  • 서브루틴 호출 시에는 호출한 함수의 실행을 일시 중단하고 호출된 함수의 실행을 시작해야 합니다. 이때 호출한 함수의 데이터나 주소를 임시로 저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스택 지시기를 사용합니다. 스택 지시기는 메모리 상의 스택 영역을 가리키는 포인터로, 호출한 함수의 데이터나 주소를 스택에 저장하고 다시 불러올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서브루틴 호출 시에는 스택 지시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나 주소의 임시 저장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8진수 174(8)를 10진수로 변환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114
  2. 115
  3. 124
  4. 125
(정답률: 66%)
  • 8진수 174(8)을 10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8진수 174(8)의 각 자리수를 10진수로 변환합니다.
    - 4(8) = 4(10)
    - 7(8) = 7(10) × 8¹ = 56(10)
    - 1(8) = 1(10) × 8² = 64(10)
    2. 각 자리수를 합하여 최종 결과를 구합니다.
    - 4(10) + 56(10) + 64(10) = 124(10)

    따라서, 정답은 "12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컴퓨터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기억기능
  2. 연산기능
  3. 제어기능
  4. 창의기능
(정답률: 88%)
  • "창의기능"은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기능 중 하나가 아닙니다. 컴퓨터는 기억, 연산,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창의성은 인간의 독특한 능력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창의기능"은 컴퓨터의 기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논리 연산 명령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OR
  2. AND
  3. ADD
  4. XOR
(정답률: 84%)
  • ADD는 산술 연산 명령어이며, 나머지는 논리 연산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ADD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기억장치의 성능을 평가할 때 가장 큰 비중을 두는 것은?

  1. 기억장치의 용량과 모양
  2. 기억장치의 크기와 모양
  3. 기억장치의 용량과 접근속도
  4. 기억장치의 모양과 접근속도
(정답률: 90%)
  • 기억장치의 용량은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고, 접근속도는 데이터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속도를 결정하기 때문에 기억장치의 성능을 평가할 때 가장 큰 비중을 두는 것은 기억장치의 용량과 접근속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기억장치의 성능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지만, 용량과 접근속도보다는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정해진 데이터를 입력하여 원하는 출력 정보를 얻기 위하여 적용할 처리 방법과 순서를 설계하는 과정은?

  1. 문제 분석
  2. 입ㆍ출력 설계
  3. 순서도 작성
  4. 프로그램 코딩
(정답률: 72%)
  • 정해진 데이터를 처리하여 원하는 출력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먼저 문제를 분석하고, 입력과 출력을 어떻게 설계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순서도를 작성하여 처리 방법과 순서를 명확하게 정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순서도 작성"입니다. 프로그램 코딩은 순서도를 기반으로 하여 실제로 코드를 작성하는 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순서도의 기본 유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직선형 순서도
  2. 회전형 순서도
  3. 분기형 순서도
  4. 반복형 순서도
(정답률: 68%)
  • 회전형 순서도는 기본 유형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순서도의 기본 유형으로는 직선형, 분기형, 반복형이 있지만, 회전형은 이들과는 다른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회전형 순서도는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구성되며, 순서도의 시작점과 끝점이 연결되어 있어 순환적인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회전형 순서도는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작업이나 프로세스를 표현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연산장치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보수의 계산
  2. 2진 가감산
  3. 정보의 기억
  4. 논리연산
(정답률: 82%)
  • 연산장치는 주어진 명령어를 실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보의 기억"은 연산장치의 기능이 아닙니다. 정보의 기억은 주기억장치나 보조기억장치 등 다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서 담당하는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동 코일형 전류계는 측정하고자 하는 전류가 대체로 50[㎃] 이하로 작을 때는 가동 코일에 직접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으며 그 이상의 전류를 측정 하고자 할 때에는 계기에 무엇을 접속하여 측정하는 것이 옳은가?

  1. 분류기
  2. 배율기
  3. 검류기
  4. 정류기
(정답률: 47%)
  • 가동 코일형 전류계는 작은 전류를 측정할 때는 가동 코일에 직접 전류를 흐르게 하여 측정할 수 있지만, 50[㎃] 이상의 큰 전류를 측정하고자 할 때에는 계기에 접속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분류기"입니다. 분류기는 큰 전류를 작은 전류로 분류하여 가동 코일에 흐르게 하여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가동 코일형 전류계에서 50[㎃] 이상의 큰 전류를 측정할 때에는 분류기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진공관 전압계의 프로부(Probe)의 기능은?

  1. 발진
  2. 정류
  3. 증폭
  4. 변조
(정답률: 41%)
  • 진공관 전압계의 프로브는 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정류 기능을 수행합니다. 이는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변동을 방지하여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정류 기능이 없으면 전압 측정이 불안정하고 부정확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측정

31. 계기 정수가 2400[회/kWh]의 적산 전력계가 30초에 20회전 하였을 때, 전력은?

  1. 500[W]
  2. 750[W]
  3. 1000[W]
  4. 1250[W]
(정답률: 30%)
  • 적산 전력계의 회전수는 전력과 비례하므로, 30초에 20회전한 경우 1초당 회전수는 20/30 = 2/3 회전이다. 이는 1초당 2/3 × 2400 = 1600[W]의 전력이 사용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력은 1000[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소인(sweep) 발진기는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1. 주기적으로 주파수가 반복한다.
  2. 주기적으로 전압이 변화한다.
  3. 주기적으로 전류가 변화한다.
  4. 주기적으로 위상이 변화한다.
(정답률: 52%)
  • 소인(sweep) 발진기는 "주기적으로 주파수가 반복한다."에 해당합니다. 이는 발진기 내부의 회로에서 일정한 주기로 발진 주파수가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주파수 변화는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며, 이를 이용해 다양한 신호를 생성하거나 측정하는 등의 용도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교류 브리지에서 평형이 이루어졌을 때 Cx의 값은?

  1. 10 [㎌]
  2. 100[㎌]
  3. 0.1[㎌]
  4. 0.01[㎌]
(정답률: 3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Q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는데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코일의 인덕턴스와 분포용량
  2. 저주파 케이블의 전송이득
  3. 콘덴서의 정전용량과 손실
  4. 절연물의 유전율과 역율
(정답률: 34%)
  • 저주파 케이블의 전송이득은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전송이득이 전기적인 신호가 케이블을 통과할 때 감쇠되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는 미터로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전송이득은 일반적으로 데시벨(dB) 단위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회전 자기장 내에 금속편을 놓으면 여기에 맴돌이 전류가 생겨서 자기장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금속편을 이동시키는 토크가 발생하는데 이 원리를 이용한 계기는?

  1. 가동코일형 계기
  2. 가동철편형 계기
  3. 전류력계형 계기
  4. 유도형 계기
(정답률: 67%)
  • 회전 자기장 내에 금속편을 놓으면 금속편 내부에 맴돌이 전류가 생기게 되고, 이 전류는 자기장과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이 때, 전류의 크기는 회전 자기장의 세기와 금속편의 저항값에 비례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원리를 이용하여 회전 자기장의 세기를 측정하는 계기를 유도형 계기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참값이 100[mA]이고, 측정값이 102[mA]일 때 오차율은?

  1. -2[%]
  2. 2[%]
  3. -1.96[%]
  4. 1.96[%]
(정답률: 78%)
  • 오차율은 (측정값-참값)/참값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102-100)/100 x 100 = 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A-D 컨버터는 어떤 회로인가?

  1. 디지털 양을 디지털 양으로 변환하는 회로
  2. 아날로그 양을 디지털 양으로 변환하는 회로
  3. 디지털 양을 아날로그 양으로 변환하는 회로
  4. 아날로그 양을 아날로그 양으로 변환하는 회로
(정답률: 85%)
  • A-D 컨버터는 아날로그 양을 디지털 양으로 변환하는 회로입니다. 이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기 위한 회로로,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샘플링하고 양자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합니다. 따라서, 디지털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회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지시 계기의 구비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눈금이 균등하거나 대수 눈금일 것
  2. 절연 내력이 낮고, 취급이 편리할 것
  3. 확도가 높고,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
  4. 지시가 측정 값의 변화에 신속히 응답할 것
(정답률: 64%)
  • "절연 내력이 낮고, 취급이 편리할 것"은 옳은 조건이 아닙니다. 지시 계기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기 때문에 절연 내력이 높아야 하며, 취급이 편리하다는 것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것이지 정확한 측정을 위한 조건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표준전지의 기전력과 미지전지의 기전력을 비교하여 1[V] 이하의 직류 전압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계기는?

  1. 실효값 응답형 전압계
  2. 볼로미터 전압계
  3. 전자식 검류계
  4. 직류전위차계
(정답률: 49%)
  • 표준전지와 미지전지의 기전력을 비교하여 정밀한 직류 전압을 측정해야 할 때, 직류전위차계를 사용합니다. 이는 두 전지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여 직류 전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직류 전압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실효값 응답형 전압계는 교류 전압 측정에 적합하며, 볼로미터 전압계는 저항 측정에 적합합니다. 전자식 검류계는 전류 측정에 적합하며, 직류 전압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고주파 전력 측정에서 동축케이블로 전달되는 초단파대의 전력 측정에 사용되는 전력계는?

  1. C-M 형 전력계
  2. C-C 형 전력계
  3. 볼로미터 전력계
  4. 마이크로파 전력계
(정답률: 44%)
  • 고주파 전력 측정에서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측정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전력계는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초단파대의 전력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전력계는 C-M 형 전력계입니다. C-M 형 전력계는 고주파 전력 측정에 적합하며, 동축케이블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M 형 전력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유전가열의 응용 중 잘못된 것은?

  1. 목재의 건조 및 접착
  2. 농어산물의 가공
  3. 생란의 살충 및 건조
  4. 금속 합금의 융해
(정답률: 40%)
  • 금속 합금의 융해는 유전가열의 응용 중 하나이지만, 이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이유는 유전가열은 전기장을 이용하여 전자의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물질을 가열하는 기술인데, 금속 합금은 전기를 통해 가열되는 전기가열 방법을 사용하여 융해됩니다. 따라서, 금속 합금의 융해는 유전가열의 응용이 아니라 전기가열의 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초음파 가습기의 원리는 초음파의 어떤 작용을 이용한 것인가?

  1. 소나
  2. 펠티어효과
  3. 회절작용
  4. 캐비테이션
(정답률: 75%)
  • 초음파 가습기는 캐비테이션 작용을 이용합니다. 캐비테이션은 초음파 파동이 액체나 고체 내부에서 진행될 때,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져서 액체나 고체 내부에 있는 공기나 기체가 폭발적으로 확장하면서 작은 기포를 만들어내는 현상입니다. 이 작은 기포들이 터지면서 미세한 물방울이 공기 중으로 분사되어 가습기의 가습 효과를 발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유전손에 의한 전력 소비는 콘덴서의 용량 C 와 주파수 및 전압 V 가 일정할 경우, 유전체 손실각 δ 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1. δ 가 클수록 작아진다.
  2. δ 에 무관하다.
  3. δ 가 클수록 커진다.
  4. δ 2 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55%)
  • 유전체 손실각 δ는 전기 에너지가 유전체 내부에서 소모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δ가 클수록 전기 에너지가 더 많이 소모되어 전력 소비가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δ 가 클수록 커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서보 기구에서 요구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추종속도가 빨라야 한다.
  2. 서보 모터의 관성은 작아야 한다.
  3. 일반적으로 조작력이 약해야 한다.
  4. 제어계 전체의 관성이 클 경우에는 관성의 비가 적을 지라도 토오크가 큰편이 좋다.
(정답률: 67%)
  • 일반적으로 조작력이 약해야 하는 것은 서보 기구가 정확한 위치 제어를 위해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조작력이 강할 경우, 위치 제어가 불안정해지고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서보 기구에서는 조작력이 약한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과 같이 저항을 직렬로 연결했을 때의 전달 함수는 ?

  1. 6.33
  2. 0.85
  3. 0.174
  4. 0.15
(정답률: 54%)
  • 전달 함수는 각 저항의 전압을 합산하여 입력 전압에 대한 출력 전압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경우,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였으므로 전류는 각 저항을 순차적으로 흐르게 되고, 따라서 각 저항의 전압은 입력 전압에 비례하여 감소합니다. 따라서, 전달 함수는 각 저항의 전압 비율을 합산하여 전체 전압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각 저항의 전압 비율을 구하고 합산하면 됩니다.

    각 저항의 전압 비율은 저항 값과 전류에 비례하므로, 입력 전압에 대한 각 저항의 전압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R1: 100 / (100 + 150 + 220) = 0.255
    - R2: 150 / (100 + 150 + 220) = 0.383
    - R3: 220 / (100 + 150 + 220) = 0.562

    따라서, 전달 함수는 0.255 + 0.383 + 0.562 = 1.2 이며, 이를 입력 전압으로 나누면 1.2 / 1.41 = 0.85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8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기기 및 음향영상기기

46. 목표값이 변화하지만 그 변화가 알려진 값이며, 예정된 스케쥴에 따라 변화할 경우의 제어는?

  1. 프로그램 제어
  2. 추치 제어
  3. 비율 제어
  4. 정치 제어
(정답률: 53%)
  • 목표값이 변화하지만 예정된 스케쥴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제어가 필요합니다. 프로그램 제어는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목표값을 계산하고, 이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예정된 스케쥴에 따라 목표값이 변화할 경우에도 프로그램 제어를 사용하여 목표값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펠티어 효과는 어떤 장치에 이용되는가?

  1. 자동 제어
  2. 온도 제어
  3. 전자 냉동기
  4. 태양 전지
(정답률: 88%)
  • 펠티어 효과는 전자 냉동기에서 이용됩니다. 이는 전자가 열을 흡수하거나 방출할 때 발생하는 열전도율의 변화를 이용하여 냉각을 실현하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전자 냉동기에서는 펠티어 효과를 이용하여 냉각을 유지하고 온도를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반도체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물질에 전장을 가하면 발광 현상을 일으키는 것은?

  1. 충전 발광
  2. 자장 발광
  3. 전장 발광
  4. 정전 발광
(정답률: 82%)
  • 전장을 가하면 전자와 양공이 재결합하면서 에너지가 방출되어 발광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물질을 발광체라고 하며, 반도체가 대표적인 발광체입니다. 따라서 전장 발광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자 냉동기의 기본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ㄷ"점에서 발열이 있었다면 흡열현상이 나타나는 곳은?

(정답률: 75%)
  • 전자 냉동기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팽창구를 통해 확장되면서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이용하여 냉방을 하는 기계이다. "ㄷ"점에서 발열이 일어나면, 냉매가 압축되면서 열이 발생하므로 "ㄱ"점에서 발열이 일어난다. 그리고 냉매가 팽창구를 통해 확장되면서 온도가 낮아지므로 "ㄴ"점에서 흡열이 일어난다. 따라서 정답은 "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수신기에서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 사용의 주된 목적은?

  1. 페이딩(fading) 방지
  2. 주파수 편이 방지
  3. S/N 저하방지
  4. 이득저하 방지
(정답률: 77%)
  • 주파수 다이버시티는 여러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하여 페이딩(fading) 현상을 방지하는 기술입니다. 페이딩은 신호가 전파 경로에서 감쇠되거나 반사되어 신호 강도가 갑자기 약해지는 현상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안정적인 통신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파수 다이버시티는 페이딩 방지를 위한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그림은 수퍼헤테로다인 수신기의 구성도이다. ①과 ③에 적합한 것은?

  1. 국부발진 회로, 중간주파증폭 회로
  2. 국부발진 회로, 혼합 회로
  3. 혼합 회로, 중간주파증폭 회로
  4. 혼합 회로, 저주파증폭 회로
(정답률: 71%)
  • ①은 국부발진 회로이고, ③은 중간주파증폭 회로입니다.

    국부발진 회로는 고주파 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로, 송신기에서 발진기로 사용됩니다. 이 회로는 고주파 진동회로와 증폭회로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간주파증폭 회로는 혼합회로에서 생성된 중간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고주파 신호를 낮은 주파수로 변환하고, 이후에 증폭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따라서, ①은 국부발진 회로, ③은 중간주파증폭 회로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안테나 전력을 100(W)에서 400(W)로 증가하면 동일 지점의 전계강도는 몇배로 변하는가?

  1. 1/2배
  2. 1/4배
  3. 2배
  4. 4배
(정답률: 45%)
  • 안테나 전력과 전계강도는 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안테나 전력이 4배 증가하면 전계강도도 4배 증가합니다. 따라서, 안테나 전력이 100(W)에서 400(W)로 증가하면 전계강도는 4배 증가하므로 정답은 "2배"가 아니라 "4배"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배"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특성 임피던스 75[Ω]의 선로에 100[Ω]의 저항 부하를 접속하였다. 반사계수를 구하면?

  1. 1/7
  2. 1/8
  3. 1/9
  4. 1/10
(정답률: 48%)
  •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Gamma = frac{Z_L - Z_0}{Z_L + Z_0}$$

    여기서 $Z_L$은 부하의 임피던스, $Z_0$은 전송선의 특성 임피던스입니다. 문제에서는 $Z_L = 100,Omega$, $Z_0 = 75,Omega$이므로,

    $$Gamma = frac{100 - 75}{100 + 75} = frac{1}{7}$$

    따라서 정답은 "1/7"입니다. 이는 부하 임피던스와 전송선의 특성 임피던스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반사파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작을수록 반사파가 적게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녹음기 회로에서 전체의 주파수 특성을 평탄하게 하기 위하여 주파수 보상을 하게 되는데, 녹음시에는 어떤 주파수 특성을 보상하게 되는가?

  1. 고역 보상
  2. 저역 보상
  3. 중간 주파수 보상
  4. 잡음 보상
(정답률: 56%)
  • 녹음기에서는 고역 보상을 하게 됩니다. 이는 인간의 청각 특성상 고역대의 소리가 낮은 주파수대의 소리보다 더 크게 들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녹음시에는 고역대의 소리를 강조하기 위해 고역 보상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기본파 진폭 20[㎃], 제 2고조파 진폭 4[㎃]인 고조파 전류의 왜율은 몇[%]인가?

  1. 10
  2. 20
  3. 50
  4. 80
(정답률: 57%)
  • 고조파 전류의 왜율은 (제 2고조파 진폭/기본파 진폭)² ×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4/20)² × 100 = 16 × 100/400 = 4% 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0"이 아니라 "4"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AVC 회로에 R = 3[㏁], C = 0.05[㎌] 가 사용되고 있다. R = 5[㏁] 로 증가시키면 시정수는 얼마로 변하는가?

  1. 0.15에서 0.25초로
  2. 0.25에서 0.15초로
  3. 0.15에서 1초로
  4. 0.25에서 1초로
(정답률: 56%)
  • AVC 회로의 시정수는 R과 C의 곱으로 결정되는데, 시정수 = R x C 이다. 따라서 R을 5[㏁]로 증가시키면 시정수는 5 x 0.05 = 0.25[초]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15에서 0.25초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그림과 같은 수상관 회로에서 콘덴서 C가 단락되었을 때의 고장 증상은 ?

  1. 라스터는 나오나 화면이 나오지 않는다.
  2. 라스터가 나오지 않는다.
  3. 밝아진 채로 어두워지지 않는다.
  4. 수평,수직 동기가 불안정하다.
(정답률: 71%)
  • 콘덴서 C가 단락되면 수상관 회로에서 수직 동기 신호가 발생하지 않아 라스터가 나오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라스터가 나오지 않는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주파수 변별기의 사용 목적은?

  1. 다중 통신에서 누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2. FM파에서 원래의 신호파를 꺼내기 위하여
  3. 자동적으로 발진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4. 외래잡음에 의해 생긴 진폭변조파를 제거하기 위하여
(정답률: 52%)
  • 주파수 변별기는 FM파에서 원래의 신호파를 꺼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FM파는 주파수 변조를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때 주파수 변조된 신호에는 여러 주파수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파수 변별기는 이러한 다양한 주파수 성분 중에서 원래의 신호파를 선택하여 꺼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누화를 방지하고 외래잡음에 의해 생긴 진폭변조파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출력이 500W 인 송신기의 공중선에 5A 의 전류가 흐를 때 복사저항은?

  1. 10[Ω]
  2. 20[Ω]
  3. 30[Ω]
  4. 40[Ω]
(정답률: 58%)
  • 복사저항은 전력과 전류, 전압의 관계식인 P=VI^2/R 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전력은 500W, 전류는 5A 이므로 전압은 V=500/5=100V 입니다. 따라서 복사저항은 R=V^2/P=100^2/500=20[Ω]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바닷물 속에서 초음파의 속도는 15[℃]에서 1527[m/sec] 이다. 초음파를 발사하여 왕복하는 시간이 4초 소요되었다. 바닷물의 깊이는?

  1. 1527m
  2. 3054m
  3. 4581m
  4. 6108m
(정답률: 71%)
  • 초음파가 발사되고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은 왕복시간의 절반인 2초이다. 따라서 초음파가 이동한 거리는 다음과 같다.

    거리 = 속도 × 시간 = 1527 × 2 = 3054[m]

    따라서 바닷물의 깊이는 305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