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4-04)

전자기기기능사
(2004-04-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

1. 그림과 같은 정전압회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미터폴로워형 정전압회로의 일종이다.
  2. 출력전압 V0 는 일반적으로 VR 전압과는 무관하다.
  3. V0 가 증가되면 VCE가 증가되어 출력전압을 감소시킨다.
  4. VBE 와 VR 의 온도에 의한 변화는 그대로 출력측에 나타난다.
(정답률: 48%)
  • 정전압회로에서는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VR 전압이 변해도 출력전압 V0는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출력전압 V0 는 일반적으로 VR 전압과는 무관하다."는 설명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증폭기의 입력저항이 20kΩ인 회로의 양단에 1V를 가했을 때 출력측 부하저항 5kΩ에서 50V의 전압을 얻었다면 전력이득은 몇 dB 인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33%)
  • 전력이득은 10log(Pout/Pin)으로 계산할 수 있다. 입력전압은 1V이므로 입력전력은 (1V)^2/20kΩ = 50μW이다. 출력전압은 50V이므로 출력전력은 (50V)^2/5kΩ = 200mW이다. 따라서 전력이득은 10log(200mW/50μW) = 10log(4000) = 10*3.602 = 36.02dB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40"인 이유는 반올림한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정합용 권수비가 옳은 것은? (단, ni1, ni2는 1차와 2차의 권선, n01, n02는 출력변압기의 1차와 2차권선이며, Zi, ZO는 증폭기의 입력임피던스와 출력임피던스, ZS, ZL는 전원 내부임피던스이다.)

(정답률: 52%)
  • 정합용 권수비는 "" 이다.

    이유는 증폭기의 입력임피던스와 출력임피던스를 각각 Zi, ZO라고 할 때, 전원 내부임피던스를 ZS, ZL이라고 하면, 권수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권수비 = (ni1/ni2) x (n02/n01) x (Zi/ZO) x (ZS/ZL)

    즉, 권수비는 입력/출력 권선의 비율, 출력변압기의 권선 비율, 증폭기의 입력/출력 임피던스 비율, 전원 내부 임피던스 비율의 곱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권수비가 ""인 것은 입력/출력 권선의 비율, 출력변압기의 권선 비율, 증폭기의 입력/출력 임피던스 비율, 전원 내부 임피던스 비율이 모두 1:1인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전기적으로 완벽한 정합이 되어 최대 전력이 전달되므로 권수비가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연산증폭회로에서 출력전압 Vo를 나타낸 식은?

(정답률: 53%)
  • 연산증폭회로에서는 입력전압을 증폭시켜 출력전압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입력전압이 양수일 때와 음수일 때를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입력전압이 양수일 때와 음수일 때 모두 고려한 식인 ""이 정답입니다.

    보기 중에서 ""는 입력전압이 양수일 때만 고려한 식이고, ""은 입력전압이 음수일 때만 고려한 식입니다. ""는 입력전압이 양수일 때와 음수일 때 모두 고려한 식이지만, 전압증폭계수가 잘못 계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은 회로는 무슨 회로인가? (단, Vi는 직사각형파이다.)

  1. 클리핑회로
  2. 클램핑회로
  3. 콘덴서 입력형 필터회로
  4. 반파정류회로
(정답률: 67%)
  • 이 회로는 클램핑 회로입니다. 클램핑 회로는 입력 신호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회로로, 이 회로에서는 다이오드 D1과 D2가 입력 신호를 일정한 수준으로 클램핑합니다. Vi가 양수일 때는 D1이 동작하여 출력 신호는 D1의 전압인 VD1보다 작아지고, Vi가 음수일 때는 D2가 동작하여 출력 신호는 D2의 전압인 VD2보다 커집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입력 신호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RS-FF에서 R=1, S=1일 때 출력은?

  1. 리세트
  2. 세트
  3. 불확정
  4. Qn
(정답률: 58%)
  • RS-FF에서 R=1, S=1일 때 출력은 "불확정"입니다. 이는 R과 S가 모두 1일 때, Q와 Qn이 서로 상충되는 값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출력이 불확정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FAN out가 가장 많은 논리회로는?

  1. TTL게이트
  2. RTL게이트
  3. DTL게이트
  4. ECL게이트
(정답률: 34%)
  • FAN out이란 출력신호가 입력신호로부터 몇 개의 다른 게이트로 전달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ECL게이트는 다른 게이트에 비해 FAN out이 가장 높습니다. 이는 ECL게이트가 고속 동작을 위해 전압을 낮추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다른 게이트와는 달리 출력신호가 입력신호보다 더 낮은 전압을 가지므로, 더 많은 게이트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CL게이트는 FAN out이 가장 높은 논리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AM변조의 피변조파에서 상측파의 진폭과 반송파의 진폭 관계는? (단, M은 변조도이다.)

  1. M 배
  2. M/2 배
  3. M/4 배
  4. M/6 배
(정답률: 73%)
  • AM 변조에서 피변조파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s(t) = Ac[1 + m cos(2πfmt)] cos(2πfct)

    여기서, Ac는 캐리어 신호의 진폭, m은 변조 신호의 진폭, fm은 변조 신호의 주파수, fc는 캐리어 신호의 주파수입니다.

    피변조파를 다음과 같이 풀어쓰면,

    s(t) = Ac cos(2πfct) + Ac m cos(2πfmt) cos(2πfct)

    = Ac cos(2πfct) + (Ac m/2) [cos(2π(fct + fmt)) + cos(2π(fct - fmt))]

    여기서, 첫 번째 항은 캐리어 신호이고, 두 번째 항은 변조 신호의 상측파와 반송파의 합으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상측파의 진폭은 Ac m/2이고, 반송파의 진폭도 Ac m/2입니다. 따라서, 상측파의 진폭과 반송파의 진폭은 서로 같으며, 둘 다 변조 신호의 진폭의 절반인 M/2 배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저항값이 동일한 저항을 가진 10개의 도선을 병렬로 연결 하였을 때의 합성저항은 한 도선 저항값의 몇 배인가?

  1. 1/10
  2. 1/4
  3. 10
  4. 4
(정답률: 69%)
  • 10개의 도선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 회로의 저항은 각 도선의 저항값의 역수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합성저항은 10개의 도선 저항값의 역수의 합인데, 이 값은 각 도선의 저항값이 동일하므로 10으로 나누면 됩니다. 따라서 합성저항은 한 도선 저항값의 1/10배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기 중에서 자속밀도 3Wb/m2의 평등자장속에 길이 10㎝의 직선 도선을 자장의 방향과 직각에 놓고 4A의 전류를 흘릴 때 도선에 받는 힘은 몇 N 인가?

  1. 1.2
  2. 1.8
  3. 2.4
  4. 3.6
(정답률: 46%)
  • 도선에 작용하는 로렌츠 힘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F = I * L * B

    여기서, F는 힘, I는 전류, L은 도선의 길이, B는 자속밀도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F = 4 * 0.1 * 3 = 1.2 N

    따라서, 정답은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정전용량이 같은 콘덴서 5개를 병렬로 연결하였을 때 합성용량은 5개를 직렬로 접속할 때의 몇 배인가?

  1. 5
  2. 10
  3. 15
  4. 25
(정답률: 64%)
  •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면 용량이 합쳐지므로, 5개의 콘덴서를 병렬로 연결하면 합성용량은 5배가 됩니다. 따라서, 5개의 콘덴서를 직렬로 연결할 때의 합성용량은 5배의 역수인 1/5가 됩니다. 이를 계산하면 5배의 역수는 1/5이므로, 5배의 값인 2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저항 5Ω, 유도리액턴스 30Ω, 용량리액턴스 18Ω인 RLC 직렬회로에 130V의 교류를 가할 때 흐르는 전류는?

  1. 3A, 용량성
  2. 3A, 유도성
  3. 10A, 용량성
  4. 10A, 유도성
(정답률: 35%)
  • RLC 직렬회로에서 전류는 전압과 임피던스의 비례 관계에 따라 결정됩니다.

    전압은 130V이며, 임피던스는 저항, 유도리액턴스, 용량리액턴스의 합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임피던스는 Z = R + j(XL - XC)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j는 복소수 단위이며, XL은 유도리액턴스, XC는 용량리액턴스를 나타냅니다.

    Z = 5 + j(30 - 18) = 5 + j12

    임피던스의 크기는 |Z| = √(5² + 12²) = 13Ω입니다.

    전류는 전압을 임피던스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류 I = V/Z = 130V/13Ω = 10A

    여기서, 유도리액턴스가 용량리액턴스보다 크므로, 전류는 유도성을 띠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A, 유도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온도보상용 저항으로 사용하는 반도체 소자는?

  1. SCR
  2. MOS-FET
  3. 다이오드 쵸퍼
  4. 서미스터
(정답률: 62%)
  • 온도가 변화하면 전기 저항도 변화하는 특성을 가진 소자를 온도보상용 저항으로 사용합니다. 이러한 소자 중에서 서미스터는 온도에 따라 전류가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온도보상용 저항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그림의 정전압회로에서 부하 RL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몇 V 인가?

  1. 3
  2. 4
  3. 4.4
  4. 5.4
(정답률: 48%)
  • 정전압회로에서는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전압계로 측정한 전압과 부하 RL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동일합니다. 따라서, 전압계에 표시된 값인 4.4V가 부하 RL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회로의 clock pulse 발진주파수는 몇 kHz 인가?

  1. 292
  2. 458
  3. 583
  4. 854
(정답률: 35%)
  • 주어진 회로는 2개의 인버터와 2개의 NAND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회로에서 발진주파수는 인버터의 지연시간과 NAND 게이트의 지연시간에 의해 결정됩니다.

    인버터의 지연시간은 약 10ns이고, NAND 게이트의 지연시간은 약 20ns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발진주파수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한 사이클에는 인버터 2개와 NAND 게이트 2개가 있으므로 총 지연시간은 10ns x 2 + 20ns x 2 = 60ns입니다.

    따라서, 주기는 60ns이고, 주파수는 1/60ns = 16.67MHz입니다.

    하지만, 이 회로는 분주기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출력 주기는 입력 주기의 2배입니다. 따라서, 출력 주파수는 16.67MHz / 2 = 8.33MHz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kHz 단위로 답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8.33MHz를 1000으로 나누어 주면 8.33kHz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8.33kHz가 없고, 가장 가까운 값인 8.54kHz가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854를 선택하는 것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

16. 그림과 같은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펄스발생회로의 명칭은?

  1.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
  2.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
  3.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회로
  4. 슈미트트리거회로
(정답률: 30%)
  • 이 회로는 연산증폭기를 이용하여 양수 펄스와 음수 펄스를 생성하고, 이를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에 입력하여 주기적인 펄스를 발생시키는 회로입니다. 이때,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가 한 번의 주기 동안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논리식 (A+B)(A+C)를 가장 간단하게 표현한 것은?

  1. A+C
  2. A+BC
  3. B+C
  4. B+AC
(정답률: 83%)
  • (A+B)(A+C)를 전개하면 A(A+C)+B(A+C)가 되고,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A+AC+AB+BC가 됩니다. 여기서 AC와 AB를 합쳐서 A+BC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B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Address 지정 방식이 아닌 것은?

  1. Branch Addressing Mode
  2. Direct Addressing Mode
  3. Indexed Addressing Mode
  4. Immediate Addressing Mode
(정답률: 52%)
  • Branch Addressing Mode은 주소를 직접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분기 명령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카운터(PC)를 변경하여 다음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주소를 직접 지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Address 지정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기억소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ROM
  2. RAM
  3. CPU
  4. EEPROM
(정답률: 75%)
  • CPU는 중앙 처리 장치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명령을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억소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오는 역할을 하지만, CPU는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CPU는 기억소자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간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억장치는?

  1. Virtual memory
  2. Cache memory
  3. DMA
  4. Core memory
(정답률: 71%)
  • Cache memory는 CPU와 주기억장치 간의 속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억장치로,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 놓아 CPU가 필요할 때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CPU와 주기억장치 간의 속도 차이를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컴퓨터 중심의 언어는?

  1. 기계어
  2. 포트란
  3. C 언어
  4. 베이식 언어
(정답률: 72%)
  • 기계어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0과 1로 이루어진 언어로, 컴퓨터가 직접 실행할 수 있는 언어입니다. 다른 언어들은 기계어로 번역되어 실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명령을 수행할 때마다 어드레스를 하나씩 증가시켜 순차적으로 수행할 명령의 어드레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 것은?

  1. 명령 해독기(command decoder)
  2. 주소 레지스터(address register)
  3. 기억 레지스터(storage register)
  4. 명령 계수기(instruction counter)
(정답률: 48%)
  • 명령 계수기는 명령을 수행할 때마다 어드레스를 하나씩 증가시켜 순차적으로 수행할 명령의 어드레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명령 계수기와는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명령 해독기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실행할 동작을 결정하고, 주소 레지스터는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사용되는 주소를 저장하고, 기억 레지스터는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보기의 A, B에 각 각 들어갈 내용은?

  1. A: 명령 코드부(Operation code)
    B: 번지부(Operand)
  2. A: 번지부(Operand)
    B: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3. A: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B: 산술 및 논리 연산부(ALU)
  4. A: 산술 및 논리 연산부(ALU)
    B: 명령 코드부(Operation code)
(정답률: 48%)
  • 주어진 그림은 컴퓨터의 명령어 구조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명령어는 크게 명령 코드부(Operation code)와 번지부(Operand)로 나뉩니다.

    명령 코드부는 컴퓨터가 수행할 명령어의 종류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어떤 작업을 수행할지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ADD 명령어는 덧셈을 수행하고, SUB 명령어는 뺄셈을 수행합니다.

    반면에 번지부는 명령어에서 필요한 데이터나 메모리 주소 등을 나타내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명령어에 따라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에서 A는 명령 코드부(Operation code)가 되고, B는 번지부(Operand)가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레지스터 내의 필요없는 부분을 지워 버리고 원하는 비트만을 가지고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연산자는?

  1. AND
  2. OR
  3. SHIFT
  4. ROTATE
(정답률: 69%)
  • AND 연산자는 두 비트열을 비교하여 둘 다 1인 비트만 결과로 출력하는 연산자입니다. 따라서 레지스터 내의 필요없는 부분을 지우고 원하는 비트만을 가지고 처리하기 위해서는 AND 연산자를 사용하면 됩니다. AND 연산자를 사용하면 필요한 비트만을 추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CPU는 제어장치, 연산장치, 기억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중 누산기를 가지고 있는 장치는?

  1. 연산장치
  2. 제어장치
  3. 주기억장치
  4. 보조기억장치
(정답률: 60%)
  • 누산기는 산술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로, CPU의 연산장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누산기를 가지고 있는 장치는 "연산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내부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연산부
  2. 제어부
  3. 레지스터부
  4. 데이터 버스
(정답률: 61%)
  • 데이터 버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로로 사용되는 외부 연결 요소이기 때문에 내부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다른 세 가지 요소인 연산부, 제어부, 레지스터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내부에서 데이터 처리와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데이터를 스택에 일시 저장하거나 스택으로부터 데이터를 불러내는 명령은?

  1. store 명령
  2. load 명령
  3. push/pop 명령
  4. 입ㆍ출력 명령
(정답률: 66%)
  •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스택의 가장 위쪽에 데이터를 추가하고(push), 데이터를 불러낼 때는 스택의 가장 위쪽에서 데이터를 제거(pop)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스택에 일시 저장하거나 스택으로부터 데이터를 불러내는 명령은 push/pop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순서도를 작성하는 일반 규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국산업규격의 표준 기호를 사용한다.
  2. 제어 흐름에 따라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린다.
  3. 기호 내부에 처리 내용을 자세하게 기술하여 주석을 기술하지 않도록 한다.
  4. 문제가 복잡하고 어려울 때는 블록 별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그린다.
(정답률: 66%)
  • "기호 내부에 처리 내용을 자세하게 기술하여 주석을 기술하지 않도록 한다."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순서도를 이해하는 사람들이 기호 내부에 처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자세하게 기술하는 것이 좋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주석을 추가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내부저항 4㏀, 최대눈금 50V의 전압계로 300V의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배율기 저항은 몇 Ω 인가?

  1. 670
  2. 800
  3. 20000
  4. 24000
(정답률: 55%)
  • 전압계의 최대 눈금은 50V 이므로, 300V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최소 6배율이 필요하다. 따라서, 배율기 저항은 내부저항을 포함하여 4㏀ x (6-1) = 20Ω 이어야 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근접한 값은 20000Ω 이므로 정답은 200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정류형 계기가 저 전압용으로 적합한 이유는?

  1. 회전 토크가 약하다.
  2. 소비전력이 적으므로
  3. 지시계기로는 적합치 않다.
  4. 외부 자계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정답률: 54%)
  • 정류형 계기는 소비전력이 적기 때문에 저전압용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측정

31. 측정자의 눈금 오독, 부주의로 발생하는 오차는?

  1. 이론 오차
  2. 우연 오차
  3. 계기 오차
  4. 개인 오차
(정답률: 76%)
  • 측정자의 눈금 오독, 부주의로 발생하는 오차는 개인의 능력과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개인 오차라고 부릅니다. 이는 측정자의 주관적인 판단이나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로, 다른 측정자가 같은 측정을 해도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 오차는 최대한 줄이기 위해 교육과 훈련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단상 전력계로 3상 전력을 측정하고자 한다. 측정법이 아닌 것은?

  1. 1 전력계법
  2. 2 전력계법
  3. 3 전력계법
  4. 4 전력계법
(정답률: 58%)
  • 단상 전력계로는 1상 전력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3상 전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3상 전력계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4 전력계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고주파수 측정에 사용되는 주파수계가 아닌 것은?

  1. 헤테로다인 주파수계
  2. 진동편형 주파수계
  3. 흡수형 주파수계
  4. 동축 주파수계
(정답률: 47%)
  • 진동편형 주파수계는 저주파수 측정에 사용되며, 고주파수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고주파수 측정에 사용되는 주파수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압계에 100〔V〕를 가했을 때 전압계의 지시가 101.5〔V〕이면 그 오차율은?

  1. +1.48〔%〕
  2. +1.5〔%〕
  3. -1.48〔%〕
  4. -1.5〔%〕
(정답률: 71%)
  • 전압계의 오차율은 (실제값-측정값)/실제값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00-101.5)/100 x 100 = -1.5% 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5%" 이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오차율이 음수인 경우에는 절댓값을 취한 후 양수로 표기하는 관례 때문입니다. 따라서 -1.5%를 절댓값으로 취하면 1.5%가 되어 "+1.5%"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계수형 주파수계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은?

  1. 온도에 의한 영향이 많다.
  2. 파형 전압에 의한 영향이 적다.
  3. 조작이 간단하고, 결과가 숫자로 나타난다.
  4. 어떤 파형의 교류라도 적당한 크기이면 주파수 측정이 가능하다.
(정답률: 29%)
  • "온도에 의한 영향이 많다"는 계수형 주파수계의 특징 중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계수형 주파수계가 일정한 온도에서만 정확한 측정을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온도가 변하면 계수형 주파수계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이는 계수형 주파수계의 내부 회로의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계수형 주파수계를 사용할 때는 온도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브리지 회로에 검류계 G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평형 조건이 되었다. 다음 임피던스로 옳은 것은?

  1. Z1Z4=Z2Z3
  2. Z1Z3=Z2Z4
  3. Z1Z2=Z3Z4
  4. Z1Z4≠Z2Z3
(정답률: 65%)
  • 검류계 G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는 것은 G와 H 사이의 전압차가 0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G와 H 사이의 임피던스 합과 E와 F 사이의 임피던스 합이 서로 같아야 합니다.

    G와 H 사이의 임피던스 합은 Z1 + Z4 이고, E와 F 사이의 임피던스 합은 Z2 + Z3 입니다.

    따라서 Z1 + Z4 = Z2 + Z3 이 되어야 합니다. 이를 정리하면 Z1Z4 = Z2Z3 가 됩니다.

    따라서 "Z1Z4=Z2Z3"이 옳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디지털 주파수계에서 발생하는 오차가 아닌 것은?

  1. 게이팅 에러 오차
  2. 개인적 오차
  3. 트리거 레벨 오차
  4. 타임 베이스 오차
(정답률: 65%)
  • 디지털 주파수계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들이 있습니다. 게이팅 에러 오차는 측정 시간과 관련된 오차, 트리거 레벨 오차는 트리거 신호의 임계값과 관련된 오차, 타임 베이스 오차는 시간 기준 신호의 정확도와 관련된 오차입니다. 하지만 개인적 오차는 측정자의 개인적인 판단이나 실수로 인한 오차로, 디지털 주파수계에서 발생하는 오차가 아닙니다. 따라서 개인적 오차가 디지털 주파수계에서 발생하는 오차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지시 계기의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1. 제동 장치
  2. 유도 장치
  3. 구동 장치
  4. 제어 장치
(정답률: 76%)
  • 유도 장치는 지시 계기의 요소가 아닙니다. 지시 계기의 3대 요소는 제동 장치, 구동 장치, 제어 장치입니다. 유도 장치는 주로 항공기나 미사일 등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목표물을 추적하거나 조종하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낮은 주파수에서도 출력 파형이 좋고, 취급이 간편하여 저주파 발진기로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1. LC 발진기
  2. RC 발진기
  3. RL 발진기
  4. 수정 발진기
(정답률: 38%)
  • RC 발진기는 저주파에서도 안정적인 출력 파형을 유지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취급이 간편하기 때문에 저주파 발진기로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LC 발진기는 구성이 복잡하고, RL 발진기는 저주파에서 출력 파형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수정 발진기는 고주파에서 사용되는 발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정전 전압계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전 전압계 또는 전위계는 전압을 직접 측정하는 계기이다.
  2. 정전 전압계의 제동은 공기 제동이나 액체 제동 또는 전자 제동을 사용한다.
  3. 주로 저압 측정용 전압계로 많이 쓰인다.
  4. 대표적인 예로는 아브라함 빌라드 형과 캘빈 형의 정전 전압계가 있다.
(정답률: 50%)
  • 정전 전압계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주로 저압 측정용 전압계로 많이 쓰인다." 이다. 정전 전압계는 고전압 측정에 주로 사용되며, 저압 측정에는 부적합하다. 이는 정전 전압계의 작동 원리와 관련이 있다. 정전 전압계는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전하의 이동을 측정하는데, 이 때 전하의 이동이 많을수록 민감한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고전압 측정에 적합하며, 저압에서는 전하의 이동이 적어 측정이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고주파 유도가열에서 열발생의 원인이 되는 현상은?

  1. 와류
  2. 정전유도
  3. 광전효과
  4. 동조
(정답률: 56%)
  • 고주파 유도가열에서 열발생의 원인은 "와류"입니다. 와류는 전자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장이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자기장의 변화는 전도체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유도된 전류를 유발하고, 이 전류가 전도체 내부에서 저항으로 인해 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금속의 두께 측정시 초음파의 어떤 성질을 이용하는가?

  1. 전파속도
  2. 진동력
  3. 공진작용
  4. 굴절작용
(정답률: 48%)
  • 금속의 두께 측정시 초음파는 공진작용을 이용합니다. 공진작용은 일정한 주파수에서 진동이 공명을 일으키는 현상으로, 금속판에 초음파를 보내면 금속판 내부에서 공진이 발생합니다. 이때, 공진 주파수는 금속판의 두께와 밀도에 따라 결정되므로, 공진 주파수를 측정하여 금속판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초음파가 기체 중에서 어떤 파형으로 전파되는가?

  1. 표면파
  2. 횡파
  3. 종파
  4. 종파와 횡파
(정답률: 51%)
  • 초음파는 기체 중에서 종파로 전파됩니다. 이는 초음파가 기체 분자들의 압축과 이완으로 전파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체 중에서는 종파로 전파되며, 표면파나 횡파로는 전파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유도 가열법으로 가열할 수 있는 것은?

  1. 목재
  2. 금속
  3. 유리
  4. 고무
(정답률: 70%)
  • 유도 가열법은 전기자기장을 이용하여 물체를 가열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전기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파는 전기전도성이 있는 물체에서만 효과적으로 작용합니다. 따라서 금속은 전기전도성이 높아 유도 가열법으로 가열할 수 있습니다. 반면 목재, 유리, 고무는 전기전도성이 낮아 유도 가열법으로 가열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도가열의 특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가열속도가 빠르다.
  2. 필요한 부분에 발열을 집중시킬 수 있다.
  3. 금속의 표면가열이 매우 어렵게 이루어진다.
  4. 가열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정답률: 73%)
  • 유도가열은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물체를 가열하는 방법으로, 전자기장이 발생하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효율적으로 가열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금속은 전자기장에 의해 가열되기 어렵기 때문에 유도가열로 금속을 가열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금속의 표면가열이 매우 어렵게 이루어진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기기 및 음향영상기기

46. 프로세스 제어는 어느 제어에 속하는가?

  1. 추치 제어
  2. 속도 제어
  3. 정치 제어
  4. 프로그램 제어
(정답률: 61%)
  • 프로세스 제어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프로세스 제어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치 제어와 유사한 측면이 있습니다. 정치 제어는 사회 시스템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제어로, 사회 시스템 내부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프로세스 제어는 정치 제어와 유사한 측면이 있으며, 이는 프로세스 제어가 정치 제어에 속하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프로세스 제어에서 각종 공법량을 임피던스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것은?

  1. 슬라이드 저항기
  2. 진동판
  3. 유압 분사관
  4. 전자 코일
(정답률: 32%)
  • 슬라이드 저항기는 저항값을 변화시키는데 사용되며, 이를 이용하여 각종 공법량을 임피던스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슬라이드 저항기는 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저항값을 변화시키는데, 이를 이용하여 각종 공법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세스 제어에서 각종 공법량을 임피던스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것은 슬라이드 저항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태양전지의 용도가 아닌 것은?

  1. 조도계나 노출계
  2. 인공위성의 전원
  3. 광전자 방출 효과
  4. 초단파 무인 중계국
(정답률: 46%)
  • 태양전지는 광전자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광전자 방출 효과"는 태양전지의 용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광전자 방출 효과"가 아닌 "초단파 무인 중계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그림에서 종합 전달 함수는 어떻게 표시되는가?

(정답률: 61%)
  • 종합 전달 함수는 입력 신호와 가중치의 곱을 모두 더한 후, 활성화 함수를 거쳐 출력값을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와 가중치의 곱을 모두 더한 값을 표시하는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회로의 전달함수는?

(정답률: 62%)
  • 전달함수는 출력값을 입력값으로 나눈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출력값과 입력값을 각각 구해보면 전달함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출력값을 구해보겠습니다. 출력값은 회로의 오른쪽 끝에 있는 노드의 전압입니다. 이 노드는 2개의 저항으로 나뉘어져 있으므로, 전압분배 법칙에 따라 전압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전압분배 법칙에 따르면, 노드에 연결된 저항의 값이 R1, R2일 때, R1/(R1+R2)만큼의 전압이 R1에 걸리고, R2/(R1+R2)만큼의 전압이 R2에 걸립니다. 따라서, 오른쪽 끝 노드의 전압 Vout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Vout = Vin * R2 / (R1 + R2)

    여기서 Vin은 입력값으로 주어진 전압입니다. 따라서, 출력값 Vout은 Vin * R2 / (R1 + R2)입니다.

    다음으로, 입력값을 구해보겠습니다. 입력값은 회로의 왼쪽 끝에 있는 노드의 전압입니다. 이 노드는 바로 입력값으로 주어져 있으므로, 입력값 Vin은 주어진 값 그대로입니다.

    따라서, 전달함수 H(s)는 Vout / Vin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H(s) = Vout / Vin = R2 / (R1 + R2)

    이 값은 보기 중에서 ""와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유전가열의 응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목재의 건조
  2. 고무의 가황
  3. 종이나 섬유류의 건조
  4. 금속의 균열 발전
(정답률: 43%)
  • 유전가열은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물질 내부의 분자나 이온 등을 직접 가열하는 기술입니다. 따라서 금속의 균열 발전은 유전가열의 응용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금속은 전기를 통해 가열되는 전기가열 기술이나 화학적 반응을 통해 가열되는 화학가열 기술 등을 이용하여 가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공항에 수색레이더(SRE)와 정측레이더(PAR)의 두 레이더가 설치된 항법 보조장치는?

  1. 거리측정 장치
  2. 고도측정 장치
  3. ILS 장치
  4. 지상제어 진입 장치(GCA)
(정답률: 63%)
  • 수색레이더와 정측레이더는 비행기의 위치와 고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이 두 레이더를 이용하여 비행기의 위치와 고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안전한 착륙을 돕는 것이 지상제어 진입 장치(GCA)의 역할입니다. GCA는 비행기가 정확한 위치와 고도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상에서 비행기를 안내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GCA는 비행기의 안전한 착륙을 돕는 항법 보조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자 냉동은 어떤 효과를 이용한 것인가?

  1. 피어즈 효과
  2. 펠티어 효과
  3. 지이벡 효과
  4. 쇼트키 효과
(정답률: 83%)
  • 전자 냉동은 펠티어 효과를 이용한 것입니다. 펠티어 효과란 전기장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전자가 충돌하여 열을 방출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전자 냉동기에서는 전기장을 이용하여 전자를 가속시켜 충돌시켜 열을 흡수하고 물질을 냉각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FM 통신 방식 중 고음부를 강조하여 S/N 비를 개선하는 회로는?

  1. De - emphasis 회로
  2. Pre - emphasis 회로
  3. Limiter 회로
  4. Squelch 회로
(정답률: 50%)
  • Pre-emphasis 회로는 고음부를 강조하여 S/N 비를 개선하는 회로입니다. 이는 고주파 신호가 더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강조함으로써 전체적인 S/N 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De-emphasis 회로는 반대로 고음부를 약화시켜 S/N 비를 개선하는 회로입니다. Limiter 회로는 신호의 최대 크기를 제한하여 왜곡을 방지하는 회로이고, Squelch 회로는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는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컬러 TV 수상기에서 특정 채널만이 흑백으로 나올 때의 고장은?

  1. 컬러킬러의 동작상태 불량
  2. 3.58[㎒]발진 주파수의 발진정지
  3. 국부발진 주파수의 조정불량
  4. 위상검파 회로 불량
(정답률: 48%)
  • 컬러 TV는 국부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색상을 구분하고 출력합니다. 따라서 국부발진 주파수가 조정되지 않으면 특정 채널에서는 색상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고 흑백으로 나오게 됩니다. 이는 국부발진 주파수의 조정불량으로 인한 고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증폭회로에 1[㎽]를 공급하였을 때 출력으로 1[W]가 얻어졌다면, 이 때 이득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45%)
  • 증폭회로의 이득은 출력 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가 입력 신호의 전압 또는 전류보다 얼마나 큰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입력 신호의 전력과 출력 신호의 전력이 주어졌으므로, 이득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입력 전력은 1[㎽]이고, 출력 전력은 1[W]이므로, 이득은 출력 전력을 입력 전력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득 = 출력 전력 ÷ 입력 전력 = 1[W] ÷ 1[㎽] = 1000

    이득은 일반적으로 데시벨(dB)로 표시됩니다. 이 때, 이득 1000은 10log(1000) = 30[㏈]로 표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두개의 트랜지스터가 부하에 대하여 직렬로 동작하고 직류 전원에 대해서는 병렬로 접속되는 회로는?

  1. SEPP 회로
  2. BTL 회로
  3. OTL 회로
  4. DEPP 회로
(정답률: 65%)
  • DEPP 회로는 직렬로 연결된 두 개의 트랜지스터가 부하에 대해 동작하고, 직류 전원은 병렬로 접속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SEPP 회로와 유사하지만, 출력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에미터가 서로 바뀌어 있어서 출력 신호의 위상이 반전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DEPP 회로는 BTL 회로와 OTL 회로와 같이 양쪽 출력단에서 신호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출력 신호의 위상이 반전되는 특징으로 인해 브릿지 앰프와 같은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VTR에서 자기기록의 본질적 특성인 저역에 있어서의 저감도, 비직선성 및 재생신호의 레벨변동 등의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비디오 신호는 어떤 방식을 채용하고 있는가?

  1. 저반송파 AM 변조방식
  2. 전반송파 AM 변조방식
  3. 저반송파 FM 변조방식
  4. 전반송파 FM 변조방식
(정답률: 35%)
  • VTR에서는 저역에 있어서의 저감도, 비직선성 및 재생신호의 레벨변동 등의 문제를 피하기 위해 저반송파 FM 변조방식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AM 변조방식보다 더 낮은 잡음과 왜곡을 유발하며, 전반송파 FM 변조방식보다는 더 쉽게 신호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저반송파 FM 변조방식은 높은 주파수에서의 신호 강도 변화에 더 강하며, 더 넓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어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수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에 RF 증폭단을 부가했을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N이 개선된다.
  2. 감도가 나빠진다.
  3. 영상주파수 선택도가 좋아진다.
  4. 국부발진 에너지가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에 방사되지 않는다.
(정답률: 49%)
  • 감도가 나빠진다는 것은 RF 증폭단을 부가함으로써 더 많은 노이즈가 추가되어 수신 감도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RF 증폭단은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노이즈도 함께 증폭시키기 때문에 감도가 나빠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일반적으로 수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주파수 변환회로의 이상적인 변환 이득은?

  1. 낮을수록 좋다.
  2. 클수록 좋다.
  3. 중간 정도가 좋다.
  4. 별 관계가 없다.
(정답률: 71%)
  • 수퍼 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주파수 변환회로의 이상적인 변환 이득은 "클수록 좋다." 이다. 이는 변환 이득이 클수록 입력 신호의 강도를 증폭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출력 신호의 신호 대 잡음 비율(SNR)이 향상되어 더 정확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