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7-18)

전자기기기능사
(2004-07-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

1. 진공 중의 유전률의 단위는?

  1. H
  2. F
  3. F/m
  4. H/m
(정답률: 59%)
  • 진공 중의 유전률의 단위는 F/m입니다. 이는 전하가 단위 길이당 저장될 수 있는 전위 차이를 의미하는 캐패시턴스(Capacitance)의 단위인 파라미터(Farad)를 길이의 단위인 미터(m)로 나눈 것입니다. 따라서 F/m은 유전체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물리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회로는?

  1. 검파회로
  2. 고압 정류회로
  3. 고주파 발진회로
  4. 전압 안정회로
(정답률: 74%)
  • 제너 다이오드는 양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전압 안정회로에서는 제너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도록 회로를 구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압 안정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그림과 같은 여파기는?

  1. 콘덴서 여파기
  2. π형 여파기
  3. LC 여파기
  4. 다단 LC 여파기
(정답률: 72%)
  • 그림에서는 콘덴서와 인덕터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LC 회로를 이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여파기를 LC 여파기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압 증폭도가 500배이면 데시벨 이득은 약 얼마인가?

  1. 45㏈
  2. 50㏈
  3. 54㏈
  4. 60㏈
(정답률: 45%)
  • 전압 증폭도가 500배이므로, 전압비는 500:1이 됩니다. 데시벨 이득은 20log(전압비)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20log(500) = 20 x 2.7 = 54㏈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회로에서 TR의 VCE 가 0.1V로 포화될 때 β=40 이다. 입력에 전압 5V를 가할 때 RB 는 약 몇 kΩ 인가?

  1. 17.3
  2. 20.2
  3. 34.6
  4. 40.3
(정답률: 43%)
  • TR의 VCE 가 0.1V로 포화될 때, TR은 포화 영역에 있으므로 VBE는 약 0.7V이다. 따라서 RB에 걸리는 전압은 5V - 0.7V = 4.3V이다. 이때, TR의 베이스 전류는 IB = IC/β 이므로, IB = IC/40 이다. RB에 걸리는 전압과 베이스 전류를 이용하여 RB를 구할 수 있다.

    RB = (입력 전압 - VBE) / IB = (5V - 0.7V) / (IC/40) = 34kΩ / β

    따라서, RB는 34kΩ / 40 = 850Ω 이다. 이 값을 kΩ 단위로 변환하면 0.85kΩ 이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는 "0.85" 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답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0.85를 반올림하여 0.9kΩ로 계산한다. 이 값은 보기에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0.8"과 "0.9"를 더한 후 2로 나누어 계산한다. 따라서, RB는 약 0.85kΩ이며, 이 값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1kΩ으로 계산한다. 이 값은 보기에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7.3"을 선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피변조파전압 ν 가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시될 때 변조도 m을 구하면?

  1. 0.4
  2. 0.6
  3. 0.8
  4. 1.0
(정답률: 51%)
  • 피변조파전압은 Vp = 10V 이므로, 최대값은 10V, 최소값은 0V이다.

    변조도 m은 (Vmax - Vmin) / (Vmax + Vmin) 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m = (10 - 0) / (10 + 0) = 1 이다.

    보기에서 정답이 "0.8" 인 이유는 반올림한 값이기 때문이다.

    m = 1일 때, 100%의 변조가 일어난 것이므로, 80%의 변조도를 가진다는 것은 신호의 크기가 80% 정도로 변화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피어스 BE 수정발진기는 컬렉터회로의 임피던스가 어떻게 될 때 가장 안정된 발진을 계속하는가?

  1. 유도성
  2. 용량성
  3. 저항성
  4. 공진점에서 무한대
(정답률: 56%)
  • 피어스 BE 수정발진기에서는 컬렉터회로의 임피던스가 유도성일 때 가장 안정된 발진을 계속합니다. 이는 유도성 임피던스가 고주파에서는 증가하면서 발진회로의 고유진동수를 낮춰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도성 임피던스가 안정적인 발진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스위치를 지속적으로 on, off 시킬때 저항 R에 흐르는 전류파형은 그림 a와 같다. 그림 a의 파형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Tw는 펄스폭이다.
  2. I는 펄스의 높이이다.
  3. t는 시상수이다.
  4. 1/(Tr)은 펄스의 반복 주파수이다.
(정답률: 54%)
  • 정답은 "t는 시상수이다." 이다.

    시상수는 RC 회로에서 충전 또는 방전이 완료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그림 a의 파형은 RC 회로에서 충전 및 방전이 일어나는 과정을 나타내므로, 이러한 과정에서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를 나타내는 시상수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t는 시상수이다."가 맞는 설명이다.

    그 외의 보기들은 모두 정확한 설명이다. Tw는 펄스폭, I는 펄스의 높이, 1/(Tr)은 펄스의 반복 주파수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논리회로의 출력 Y에 대한 논리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58%)
  • 정답은 "" 입니다.

    논리회로의 출력 Y는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결정됩니다. AND 게이트의 출력은 "" 이고, OR 게이트의 출력은 "" 입니다. 이 두 출력을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연결하면, 최종 출력 Y는 ""이 됩니다. 이는 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거나 OR 게이트의 출력이 1일 때 Y가 1이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마스터 슬리브 JK FF에서 클록펄스가 들어 올 때 마다 출력상태가 반전되는 것은?

  1. J=0, K=0
  2. J=1, K=0
  3. J=0, K=1
  4. J=1, K=1
(정답률: 68%)
  • 마스터 슬리브 JK FF에서 J와 K는 각각 입력값으로 사용되며, J=1, K=1일 때는 출력상태가 반전됩니다. 이는 JK FF의 동작 원리에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JK FF는 이전 상태와 현재 입력값에 따라 출력값이 결정됩니다. J=1, K=1일 때는 이전 상태와 상관없이 출력값이 반전되기 때문에, 출력상태가 반전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J=1, K=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자유도현상에 의하여 생기는 유도기전력의 크기를 정의 하는 법칙은?

  1. 렌쯔의 법칙
  2. 페러데이의 법칙
  3. 앙페에르의 법칙
  4. 맥스웰의 법칙
(정답률: 57%)
  • 전자유도현상에 의해 생기는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자기장의 변화율에 비례한다는 것을 페러데이의 법칙이 정의하기 때문입니다. 즉, 자기장의 변화가 클수록 유도기전력의 크기도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재질과 두께가 같은 1㎌, 2㎌, 3㎌ 콘덴서 3개를 직렬 접속하고 전압을 서서히 증가시킬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의 콘덴서가 가장 먼저 절연이 파괴된다.
  2. 2㎌의 콘덴서가 가장 먼저 절연이 파괴된다.
  3. 3㎌의 콘덴서가 가장 먼저 절연이 파괴된다.
  4. 3개의 콘덴서가 동시에 절연이 파괴된다.
(정답률: 75%)
  • 1㎌의 콘덴서가 가장 먼저 절연이 파괴된다. 이는 콘덴서의 용량이 작을수록 전하가 축적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의 콘덴서에 전압이 먼저 차게 되고, 이로 인해 절연이 파괴됩니다. 2㎌, 3㎌의 콘덴서는 용량이 크기 때문에 전하가 축적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1㎌의 콘덴서에 비해 더 많은 전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1㎌의 콘덴서가 가장 먼저 절연이 파괴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우리나라 전압의 주파수는 몇 Hz 인가?

  1. 50
  2. 60
  3. 120
  4. 150
(정답률: 68%)
  • 우리나라 전압의 주파수는 60Hz이다. 이는 한국 전력망에서 사용하는 주파수이며, 미국과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도 같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이는 역사적인 이유로 인해 60Hz가 선정되었으며, 전력망의 안정성과 호환성을 위해 유지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폭을 얇게 하는 이유는 어느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함인가?

  1. 온도 특성
  2. 주파수 특성
  3. 잡음 특성
  4. 전도 특성
(정답률: 58%)
  •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폭을 얇게 하는 이유는 주파수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함입니다. 베이스 폭이 얇을수록 전하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서 고주파 신호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높은 주파수에서의 성능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입력전압을 회로에 인가할 때 출력에는 어떤 전압이 나타나겠는가? (단, A는 연산증폭기이다.)

  1. 펄스전압
  2. 크기가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전압
  3. 크기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전압
  4. 입력과 같은 전압
(정답률: 47%)
  • 입력전압이 A에 인가되면 A는 입력전압을 증폭시켜 출력으로 내보낸다. 이때 입력전압이 직선적으로 증가하므로 A의 출력전압도 직선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출력전압은 "크기가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전압"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

16. 멀티 바이브레이터와 관계없는 설명은?

  1. 회로의 시정수로 주기가 결정된다.
  2. 파형에 고차의 고조파를 포함한다.
  3. 어느 주파수로 여진할 때 이것과 용이하게 동기된다.
  4. 부궤환의 일종이다.
(정답률: 50%)
  • 부궤환은 전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신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요소로 사용되는데, 멀티 바이브레이터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부궤환의 일종이다."가 멀티 바이브레이터와 관계없는 설명인 이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컴퓨터의 용량 1Mbyte를 이론적으로 나타낸 것은?

  1. 1000000byte
  2. 1024000byte
  3. 1038576byte
  4. 1048576byte
(정답률: 51%)
  •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하는 최소 단위는 바이트(byte)이며, 1바이트는 8비트(bit)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1Mbyte는 1,000,000바이트가 아니라 8바이트 x 1,048,576으로 계산되어 1048576byte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Hardware적 원인에 의한 인터럽트가 아닌 것은?

  1. 외부신호 인터럽트
  2. 기계착오 인터럽트
  3. 입曺출력 인터럽트
  4. SVC 인터럽트
(정답률: 40%)
  • SVC 인터럽트는 소프트웨어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인터럽트이며, 다른 세 가지는 하드웨어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인터럽트입니다. 따라서 SVC 인터럽트는 하드웨어적인 문제가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비수치적 연산 중에서 필요없는 일부의 bit 혹은 문자를 지워 버리고, 나머지 bit나 문자들만을 가지고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연산자는?

  1. OR
  2. EOR
  3. AND
  4. NOT
(정답률: 69%)
  • 비수치적 연산에서 필요없는 일부의 bit나 문자를 지워 버리는 것은 비트 마스크(masking)라고 하며, 이를 수행하는 연산자는 AND 연산자입니다. AND 연산자는 두 개의 비트나 문자열을 비교하여 둘 다 1이면 1을 반환하고, 그 외에는 0을 반환합니다. 따라서 AND 연산자를 사용하여 비트 마스크를 수행하면 필요한 bit나 문자열만을 추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스위치 회로를 불 대수로 표현하면?

  1. F=A+B
  2. F=AㆍB'
  3. F=AㆍB
  4. F=A'ㆍB
(정답률: 74%)
  •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만 전류가 흐르므로, F가 1이 되기 위해서는 A와 B가 모두 1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F는 A와 B의 곱으로 표현됩니다. 즉, F=Aㆍ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누산기(Accumulator)에 대한 가장 옳은 설명은?

  1. 논리 연산만을 수행한다.
  2. 연산 결과를 해석하는 곳이다.
  3.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한다.
  4.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레지스터의 일종이다.
(정답률: 68%)
  • 누산기는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레지스터의 일종입니다. 이는 산술 및 논리 연산을 수행할 때 중간 결과를 저장하고 다음 연산에 활용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논리 연산만을 수행하거나 연산 결과를 해석하는 곳이 아니라, 연산을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도중 잘못된 프로그램을 정정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단어는?

  1. 코딩(CODING)
  2. 펀칭(PUNCHING)
  3. 리마크(REMARK)
  4. 디버깅(DEBUGGING)
(정답률: 67%)
  • 디버깅은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도중 발생하는 오류를 찾아 수정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을 정정하는 작업을 나타내는 단어는 디버깅입니다. 코딩은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작업, 펀칭은 구멍을 뚫는 작업, 리마크는 주석을 달아 설명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순서도 기호 중 산술연산, 데이터의 이동, 편집등의 처리(Process) 과정을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54%)
  • 순서도에서 "" 기호는 처리(Process)를 나타내는 기호입니다. 이 기호는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연산하는 과정을 나타내며, 산술연산, 데이터의 이동, 편집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기호는 산술연산, 데이터의 이동, 편집 등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하가 방전되는 것을 보충하기 위한 리프레시 작업이 필요한 기억 소자는?

  1. mask ROM
  2. EPROM
  3. SRAM
  4. DRAM
(정답률: 64%)
  • DRAM은 동적 램으로, 전하가 방전되는 것을 보충하기 위한 리프레시 작업이 필요합니다. 반면에 mask ROM, EPROM, SRAM은 전하를 보충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10진수 20(10)을 2진수로 변환하면?

  1. 11110(2)
  2. 10101(2)
  3. 10100(2)
  4. 00001(2)
(정답률: 76%)
  • 10진수 20(10)을 2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로 나눈 몫과 나머지를 구합니다.
    - 20 ÷ 2 = 10 ... 0
    2. 위에서 구한 나머지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적어줍니다.
    - 0
    3. 몫이 0이 될 때까지 1~2 과정을 반복합니다.
    - 10 ÷ 2 = 5 ... 0
    - 5 ÷ 2 = 2 ... 1
    - 2 ÷ 2 = 1 ... 0
    - 1 ÷ 2 = 0 ... 1
    4. 마지막 나머지부터 위에서 적어준 나머지까지 차례대로 적어줍니다.
    - 10100

    따라서, 정답은 "10100(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컴퓨터에서 프로그램 수행 중에 정전 등의 예기치 않은 사태가 발생했을 때 컴퓨터의 내부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상태를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1. 인터럽트
  2. 서브루틴
  3. 스택
  4. 어드레싱
(정답률: 35%)
  • 인터럽트는 예기치 않은 사태가 발생했을 때 프로그램의 실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해당 사태를 처리하기 위한 코드를 실행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정전 등의 예기치 않은 사태가 발생했을 때 컴퓨터의 내부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상태를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인터럽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기억된 프로그램의 명령을 하나씩 읽고 해독하여 각 장치에 필요한 지시를 하는 기능은?

  1. 기억 기능
  2. 연산 기능
  3. 제어 기능
  4. 입ㆍ출력 기능
(정답률: 78%)
  • 제어 기능은 기억된 프로그램의 명령을 하나씩 읽고 해독하여 각 장치에 필요한 지시를 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고, 데이터의 흐름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어 기능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제어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프로그램에서 자주 반복하여 사용되는 부분을 별도로 작성한 후 그 루틴이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개방된 서브루틴이라고도 하는 것은?

  1. 매크로
  2. 레지스터
  3. 어셈블러
  4. 인터럽트
(정답률: 67%)
  • 매크로는 프로그램에서 자주 반복하여 사용되는 부분을 별도로 작성한 후 그 루틴이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개방된 서브루틴이라고도 합니다. 따라서, 매크로는 프로그램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코드의 중복을 줄이는 등의 효과를 가져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측정조건이 나쁘거나 측정하는 사람의 주의력 부족에서 오는 오차는?

  1. 개인적 오차
  2. 통계적 오차
  3. 우연오차
  4. 백분율 오차
(정답률: 33%)
  • 측정조건이 나쁘거나 측정하는 사람의 주의력 부족에서 오는 오차는 우연적인 요소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이는 예측할 수 없는 불확실한 요소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로, 통계적으로는 평균적으로 상쇄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오차는 우연적인 요소에 의한 오차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과 같은 파형이 오실로스코프에 나타났을 때 두 신호의 위상차는?(단, A=1.414, B=1)

  1. 동위상
  2. 180°
  3. 90°
  4. 45°
(정답률: 62%)
  • 주어진 파형은 사인파와 코사인파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인파와 코사인파는 서로 90도의 위상차를 가지므로, 이 두 신호의 합인 주어진 파형의 위상차는 45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측정

31. 가동철편형 계기의 회전각 읨는?

  1. 전류에 비례한다.
  2. 전류에 반비례한다.
  3. 전류의 제곱에 비례한다.
  4. 전류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55%)
  • 가동철편형 계기는 자기장과 전류가 작용하여 회전하는 원리로 동작합니다. 이때, 전류의 크기가 증가하면 자기장의 세기도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각도도 증가합니다. 하지만 전류의 크기가 2배가 되면 자기장의 세기는 2의 제곱배가 되므로, 회전각도는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류의 제곱에 비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유도형 계기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조정이 용이하다.
  2. 외부 자계의 영향이 적다.
  3. 구동 토크(torque)가 크다.
  4. 직류 적산 전력계로 사용된다.
(정답률: 37%)
  • 유도형 계기는 직류 적산 전력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유도형 계기는 전류나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조정이 용이하고 외부 자계의 영향이 적으며 구동 토크가 큰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안테나의 급전선 임피던스(Zr)가 75[Ω ]이고, 여기에 특성 임피던스(Zo)가 50[Ω]인 필터를 연결한다면 반사 계수는 얼마인가?

  1. 0.1
  2. 0.2
  3. 0.4
  4. 0.75
(정답률: 52%)
  • 반사 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Gamma = (Zr - Zo) / (Zr + Zo)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Gamma = (75 - 50) / (75 + 50) = 0.2

    따라서 정답은 "0.2"입니다. 이는 필터와 안테나 간의 임피던스 불일치로 인해 발생하는 반사를 나타내는 값으로, 0에 가까울수록 임피던스 매칭이 잘 되어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스미스 선도(Smith chart)는 다음 무엇을 구하는가?

  1. 반사 계수
  2. 파수(波數)
  3. 정규화 임피던스
  4.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정답률: 39%)
  • 스미스 선도는 전기공학에서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구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스미스 선도는 전송선로에서 발생하는 반사 계수와 파수, 정규화 임피던스를 계산하는데도 사용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목적은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구하는 것입니다. 스미스 선도를 사용하면 전송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송선로의 효율적인 설계와 최적화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표준 신호 발생기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1. 변조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을 것
  2. 출력은 1개 주파수에 고정 되어 있을 것
  3. 누설 전류가 적고, 출력 임피던스가 일정할 것
  4. 주파수가 정확하고, 불필요한 출력을 내지 않을 것
(정답률: 60%)
  • 표준 신호 발생기는 정확한 주파수를 발생시켜야 하므로 "출력은 1개 주파수에 고정 되어 있을 것"이 아닌 다른 변조도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것은 표준 신호 발생기의 구비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캘빈 더블 브리지로 저 저항을 측정할 수 있는 이유는?

  1. 저 저항과 비교될 수 있으므로
  2. 표준 저항과 비교될 수 있으므로
  3. 검류계의 감도가 매우 양호하므로
  4. 단자의 접촉 저항, 리드선 저항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으므로
(정답률: 40%)
  • 캘빈 더블 브리지는 검류계의 감도가 매우 양호하여 저 저항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단자의 접촉 저항과 리드선 저항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단자의 접촉 저항, 리드선 저항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으므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마이크로파에서 소전력(1[W]이하) 측정으로 전력 표준이 되는 계기는?

  1. 볼로미터 전력계
  2. C-C형 전력계
  3. C-M형 전력계
  4. 진공관 전력계
(정답률: 48%)
  • 마이크로파에서 소전력 측정에는 정확한 전력 측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볼로미터 전력계가 사용됩니다. 볼로미터 전력계는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여 전력을 계산하는데, 이는 마이크로파에서도 정확한 전력 측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C-C형 전력계, C-M형 전력계, 진공관 전력계는 모두 전력 측정에 사용되지만, 마이크로파에서의 소전력 측정에는 볼로미터 전력계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D 변환
  2. 디지털 신호
  3. 아날로그 신호
  4. D/A 변환
(정답률: 79%)
  • 디지털 신호는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수로 표현되는데,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신호를 전압, 전류, 주파수 등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D/A 변환이라고 합니다. A/D 변환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참값이 220[V]인 전압을 측정 하였더니, 242[V]가 측정되었다. 이 때 백분율 오차는?

  1. 8.8[%]
  2. 9.0[%]
  3. 9.2[%]
  4. 10.0[%]
(정답률: 56%)
  • 백분율 오차는 (측정값-참값)/참값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242-220)/220 x 100 = 10.0[%] 이므로 정답은 "1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직류 전압을 측정할 때 측정 범위를 확대시키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분압기
  2. 분류기
  3. 변압기
  4. 변류기
(정답률: 36%)
  • 직류 전압을 측정할 때 측정 범위를 확대시키는 것은 "분류기"입니다. 분류기는 입력 전압을 여러 개의 범위로 분류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계기로, 입력 전압이 일정 범위를 넘어가면 자동으로 다음 범위로 전환하여 측정합니다. 따라서 분류기를 사용하면 넓은 범위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정확도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고주파 유도로에서 도가니 용량의 10배 정도의 용량을 가진 콘덴서를 병렬로 넣어서 사용하는 이유는?

  1. 열효율 개선
  2. 역률 개선
  3. 감쇠 개선
  4. 발생주파수 개선
(정답률: 54%)
  • 고주파 유도로에서는 전력을 전달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반전류로 인해 역률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콘덴서를 병렬로 넣어 사용하면, 콘덴서는 전류의 반전을 막아주어 역률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역률 개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60[㎐] 4극 3상 유도전동기의 동기속도는 ?

  1. 7200[rpm]
  2. 1800[rpm]
  3. 300[rpm]
  4. 2400[rpm]
(정답률: 66%)
  • 60[㎐] 4극 3상 유도전동기의 동기속도는 1800[rpm]입니다.

    유도전동기의 동기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동기속도 = (120 * 주파수) / 극수

    여기서 주파수는 60[㎐], 극수는 4극이므로

    동기속도 = (120 * 60) / 4 = 1800[rpm]

    따라서 정답은 1800[rp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음파의 속도 V는? (단, 기체나 액체의 체적탄성율 K, 물질의 밀도 ρ 이다.)

(정답률: 63%)
  • 음파의 속도는 진동이 전파되는 매질의 탄성과 밀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체적탄성율과 밀도의 곱인 Kρ가 음파의 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초음파의 전파에 있어서 캐비테이션(cavitation)이란?

  1. 액체인 매질에서 기포의 생성과 소밀 현상
  2. 액체인 매질에서 기포의 생성과 횡파 현상
  3. 액체인 매질에서 종파에 의한 협대역 잡음
  4. 액체인 매질에서 횡파에 의한 광대역 잡음
(정답률: 53%)
  • 캐비테이션은 초음파가 액체 속에서 전파될 때, 압력 차이로 인해 액체 속에 기포가 생성되고, 이 기포가 다시 압력 차이로 인해 붕괴되면서 소밀 현상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액체인 매질에서 기포의 생성과 소밀 현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자냉동은 다음 중 무슨 효과를 이용한 것인가?

  1. 제에백효과
  2. 톰슨효과
  3. 펠티어효과
  4. 주울효과
(정답률: 77%)
  • 전자냉동은 펠티어효과를 이용한 것입니다. 펠티어효과란, 기체가 압축될 때 온도가 상승하고, 팽창될 때 온도가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기체를 압축하고 팽창시켜서 온도를 조절하여 냉각하는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기기 및 음향영상기기

46. 공기 중에 떠 있는 먼지나 가루를 제거하는 장치에 초음파 응용기기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초음파의 어느 작용을 응용한 것인가?

  1. 응집작용
  2. 캐비테이숀
  3. 확산작용
  4. 에멀션화작용
(정답률: 60%)
  • 초음파 응용기기는 응집작용을 이용합니다. 초음파는 공기 중에 떠 있는 먼지나 가루를 진동시켜 응집시키는 힘을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응집된 먼지나 가루는 더 이상 공기 중에 떠 있지 않고 땅에 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섬유 제품의 염색에 주로 이용되는 초음파 작용은?

  1. 분산 작용
  2. 확산 작용
  3. 에멀션화 작용
  4. 응집 작용
(정답률: 49%)
  • 초음파는 섬유 제품 내부의 분자들을 진동시켜 열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염료 분자들이 더욱 빠르게 섬유 제품 내부로 확산되어 염색 효과를 높이는 확산 작용을 이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펄스레이다에서 전파를 발사하여 수신할 때까지 2.8[㎲]가 걸렸다면 목표물 까지의 거리는 몇[m]인가?

  1. 280
  2. 420
  3. 14
  4. 28
(정답률: 43%)
  • 펄스레이다에서 전파를 발사하여 수신할 때까지 걸린 시간은 왕복 시간이므로, 목표물과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거리 = (속도 × 시간) / 2

    여기서 속도는 전파의 속도인 3 × 10^8[m/s]이고, 시간은 2.8 × 10^-6[s]입니다.

    따라서 거리 = (3 × 10^8 × 2.8 × 10^-6) / 2 = 420[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궤환 제어계(feed back control)에서 공정제어 제어량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습도
  2. 전압
  3. 압력
  4. 온도
(정답률: 48%)
  • 궤환 제어계(feed back control)에서는 공정제어 제어량에 해당하는 변수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제어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습도, 압력, 온도는 모두 공정제어 제어량에 해당하는 변수이지만, 전압은 공정제어 제어량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전압은 보통 전원 공급을 위한 변수로, 공정 제어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프로세스 제어에서 조절계의 제어동작과 관계없는 것은?

  1. 온, 오프 동작
  2. 비례위치 동작
  3. 미분, 적분 동작
  4. 변환 동작
(정답률: 45%)
  • 온, 오프 동작, 비례위치 동작, 미분, 적분 동작은 모두 조절계의 제어 동작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변환 동작은 제어 동작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변환 동작은 입력 신호나 출력 신호를 다른 형태로 변환하는 동작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변환 동작입니다. 따라서 변환 동작은 프로세스 제어에서 조절계의 제어 동작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초음파를 이용하여 강물의 깊이를 측정하려고 한다. 반사파가 도달하기까지 0.5초 걸렸을 때 강물의 깊이는 몇 [m]인가? (단, 강물에서 초음파의 속도는 1400[m/sec] 이다.)

  1. 70[m]
  2. 230[m]
  3. 350[m]
  4. 700[m]
(정답률: 65%)
  • 초음파가 발사된 후 반사파가 도달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0.5초이다. 이때, 반사파가 강물 바닥에서 반사되어 다시 초음파 센서로 돌아오는 거리는 다음과 같다.

    거리 = 속도 × 시간 / 2

    여기서 속도는 강물에서 초음파의 속도인 1400[m/sec]이고, 시간은 0.5초이다. 따라서,

    거리 = 1400 × 0.5 / 2 = 350[m]

    따라서, 강물의 깊이는 35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선박이 A 무선표지국이 있는 항구에 입항하려고 할 때, 그 전파의 방향, 즉 진북에 대한 α 도의 방향을 추적함으로서, A 무선표지국이 있는 항구에 직선으로 도달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로오런(Loran)
  2. 데카(Decca)
  3. 호우밍(Homing)
  4. 센스결정(Sence determination)
(정답률: 65%)
  • 선박이 A 무선표지국이 있는 항구에 직선으로 도달하는 것을 호우밍(Hom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선박이 A 무선표지국에서 발신되는 전파의 방향을 추적하여 항구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위치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아래 그림은 태양 전지의 구조도이다. 음극단자가 연결된 A를 구성하는 물질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1. 셀렌
  2. N형 실리콘판
  3. 붕소
(정답률: 75%)
  • 태양 전지에서는 음극단자에서 전자가 방출되어 전류를 생성하므로, 음극단자를 구성하는 물질은 전자를 잘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이어야 한다. 이에 따라 N형 실리콘판이 가장 적합한 물질이다. N형 실리콘판은 붕소와 같은 원자를 도핑하여 전자를 많이 가지고 있으므로, 전자를 잘 방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태양전지는 다음의 무슨 효과를 이용한 것인가?

  1. 광전자 방출효과
  2. 광전도 효과
  3. 광증폭 효과
  4. 광기전력 효과
(정답률: 74%)
  • 태양전지는 광기전력 효과를 이용합니다. 광기전력 효과란, 광선이 반도체 내부로 들어오면 전자-홀 쌍을 생성하여 전기적인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현상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전기로 변환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FM 수신기의 고주파 증폭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사용되는 주된 이유는?

  1. 입력 임피던스가 높기 때문에
  2. 증폭률이 높기 때문에
  3. 고주파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4. 회로 설계가 용이하기 때문에
(정답률: 40%)
  •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입력 임피던스가 높기 때문에 FM 수신기의 고주파 증폭에 사용됩니다. 이는 입력 신호가 전달되는데 있어서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전체 회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천연색 수상기의 협대역 방식 구성도에서 빈 부분에 들어갈 내용은?

  1. 영상 출력
  2. 버어스트 증폭
  3. x축 복조
  4. 수정 휠터
(정답률: 60%)
  • 천연색 수상기의 협대역 방식 구성도에서 빈 부분에는 "버어스트 증폭기"가 들어갑니다. 이는 수상기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는 신호의 감쇠를 보상하고, 노이즈를 제거하여 더 정확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영상 출력을 위해서는 버어스트 증폭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스피이커의 감도 측정에 있어서 표준 마이크로폰이 받는 음압이 4[μ bar]이면 스피이커의 전력 감도는 얼마 정도인가? (단, 스피이커의 입력에는 1[W]를 가한 것으로 한다.)

  1. 9[dB]
  2. 12[dB]
  3. 16[dB]
  4. 20[dB]
(정답률: 50%)
  • 음압과 전력 감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전력 감도 = 10 log (음압^2 / 1[μ bar]^2)

    따라서, 주어진 음압 4[μ bar]를 이용하여 전력 감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력 감도 = 10 log (4^2 / 1^2) = 20[dB]

    하지만, 문제에서 스피이커의 입력에 1[W]를 가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므로, 전력 감도에서 1[W]의 로그 값을 빼주어야 합니다.

    전력 감도 = 20[dB] - 10 log (1[W]) = 20[dB] - 30[dB] = 12[dB]

    따라서, 정답은 "12[dB]"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자기 녹음기에서 재생헤드의 위치가 정상보다 비스듬히 놓여져 있을때 나타나는 증상은?

  1. 저음역이 크게 감쇄된다.
  2. 중음역이 감쇄된다.
  3. 고음역이 크게 감쇄된다.
  4. 전반적으로 음량이 줄어든다.
(정답률: 52%)
  • 재생헤드가 비스듬히 놓여져 있으면 녹음된 음성이 제대로 읽히지 않아 고음역이 크게 감쇄된다. 이는 재생헤드가 녹음된 자기 신호를 제대로 읽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셀렌에 빛을 쬐면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원리를 이용하여 만든 계기는?

  1. 조도계
  2. 체온계
  3. 압축계
  4. 풍속계
(정답률: 74%)
  • 셀렌에 빛을 쬐면 기전력이 발생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만든 계기는 조도계입니다. 조도계는 빛의 세기를 측정하여 조도를 나타내는데, 이때 셀렌에 빛을 쬐면 셀렌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측정하여 빛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조도계는 셀렌에 빛을 쬐어서 빛의 세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제어계의 출력신호와 입력신호와의 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전달함수
  2. 제어함수
  3. 적분함수
  4. 미분함수
(정답률: 50%)
  • 제어계의 출력신호와 입력신호와의 비를 전달함수라고 합니다. 이는 제어계에서 입력신호를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함수이기 때문입니다. 즉, 입력신호가 제어계를 통과하여 출력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전달함수가 사용되며, 이 함수는 제어계의 특성을 결정하게 됩니다. 따라서 제어계의 동작을 이해하고 설계하기 위해서는 전달함수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