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캐드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1-25)

전자캐드기능사
(2015-01-2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전자공학(대략구분)

1. 다이오드-트랜지스터 논리회로(DTL)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소비전력이 적다.
  2. 잡음여유도가 크다.
  3. 응답속도가 비교적 빠르다.
  4. 저속도 및 중속도에서 동작이 안정하다.
(정답률: 47%)
  • DTL 회로의 특징 중에서 "응답속도가 비교적 빠르다."는 옳은 특징입니다. 이는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이오드는 전류가 흐를 때의 저항이 매우 작기 때문에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며, 트랜지스터는 작은 전압으로도 큰 전류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동작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DTL 회로는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전동기에서 전기자에 흐르는 전류와 자속, 회전방향의 힘을 나타내는 법칙은?

  1. 렌츠의 법칙
  2. 플레밍 왼손 법칙
  3. 플레밍 오른손 법칙
  4. 앙페르의 오른손 법칙
(정답률: 68%)
  • 전동기에서 전기자에 흐르는 전류와 자속, 회전방향의 힘을 나타내는 법칙은 "플레밍 왼손 법칙"입니다. 이는 왼손의 엄지, 검지, 중지를 각각 전류의 방향, 자기장의 방향, 힘의 방향으로 놓고 엄지가 자기장을 향하도록 손가락을 굽히면 중지가 가리키는 방향이 힘의 방향이 되는 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이미터 접지회로에서 I B = 10[㎂], I C = 1[㎃] 일 때 전류 증폭률 β 는 얼마인가?

  1. 10
  2. 50
  3. 100
  4. 120
(정답률: 63%)
  • β = IC / IB = 1[㎃] / 10[㎂] = 100

    이유: 전류 증폭률 β는 컬렉터 전류 IC와 베이스 전류 IB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IC와 IB의 단위를 맞춘 후 나누어주면 β 값을 구할 수 있다. 주어진 값에서 IC는 1[㎃], IB는 10[㎂]이므로 β는 1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5[㎌]의 콘데서에 1[㎸]의 전압을 가할 때 축적되는 에너지[J]는?

  1. 1.5[J]
  2. 2.5[J]
  3. 5.5[J]
  4. 10[J]
(정답률: 69%)
  • 콘덴서의 에너지 저장량은 1/2CV^2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C는 콘덴서의 용량, V는 전압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C=5[㎌], V=1[㎸]이므로, 1/2 x 5 x 10^-6 x 1^2 = 2.5 x 10^-6[J] = 2.5[J]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J]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펄스 증폭회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역특성이 양호하면 새그가 감소한다.
  2. 결합콘덴서를 크게 하면 새그가 감소한다.
  3. 고역특성이 양호하면 입상의 기울기가 개선된다.
  4. 고역보상이 지나치면 언더슈트가 발생한다.
(정답률: 59%)
  • 고역보상이 지나치면 언더슈트가 발생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펄스 증폭회로에서 고역보상이 지나치게 크면, 증폭기의 출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출력이 포화되어 더 이상 증폭되지 않는 상태가 되는데, 이를 언더슈트라고 합니다. 이는 증폭기의 동작을 방해하고, 출력 신호의 왜곡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역보상은 적절한 수준에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주파수 대역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 ~ 100 [㎑]
  2. 100 ~ 1000 [㎑]
  3. 1000 ~ 2000 [㎑]
  4. 무한대(∞)
(정답률: 79%)
  • 이상적인 연산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모든 주파수를 왜곡 없이 증폭해야 합니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폭이 무한대(∞)일 때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입력 신호의 모든 주파수를 증폭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주파수 대역폭이 제한되어 있다면, 입력 신호의 일부 주파수가 왜곡되거나 손실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9[㎌]의 같은 콘덴서 3개를 병렬로 접속하면 콘덴서의 합성용량은?

  1. 3[㎌]
  2. 9[㎌]
  3. 27[㎌]
  4. 81[㎌]
(정답률: 79%)
  • 콘덴서를 병렬로 접속하면 각 콘덴서의 용량이 더해진다는 것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9[㎌]의 콘덴서를 3개 병렬로 접속하면 9[㎌] + 9[㎌] + 9[㎌] = 27[㎌]의 용량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자체 인덕턴스가 10[H]인 코일에 1[A]의 전류가 흐를 때 저장되는 에너지는?

  1. 1[J]
  2. 5[J]
  3. 10[J]
  4. 20[J]
(정답률: 56%)
  • 인덕턴스(L)는 전류가 변화할 때 자기장을 생성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코일의 인덕턴스가 10[H]이므로, 1[A]의 전류가 흐를 때 코일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W = 1/2 * L * I^2
    = 1/2 * 10[H] * (1[A])^2
    = 5[J]

    따라서, 코일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5[J]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N형 반도체를 만드는 불순물은?

  1. 붕소(B)
  2. 인듐(In)
  3. 갈륨(Ga)
  4. 비소(As)
(정답률: 79%)
  • N형 반도체는 전자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전자공급체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반도체 내에 불순물을 첨가하여 전자를 공급해야 합니다. 이때, 비소(As)는 5가 원자로 이루어져 있어서 반도체 구조에 적합합니다. 비소는 반도체 내에 첨가되면 5가 전자를 기부하여 전자공급체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N형 반도체를 만드는 불순물로 비소가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연산 증폭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직렬 차동 증폭기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2. 연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낮은 증폭도가 필요하다.
  3. 차동 증폭기에서 TR 특성의 불일치로 출력에 드리프트가 생긴다.
  4. 직류에서 특정 주파수 사이의 되먹임 증폭기를 구성, 일정한 연산을 할 수 있도록 한 직류 증폭기이다.
(정답률: 63%)
  • 연산 증폭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연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낮은 증폭도가 필요하다." 입니다. 연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증폭도가 필요합니다. 낮은 증폭도는 연산의 정확도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TR을 A급 증폭기(활성영역)로 사용할 때 바이어스 상태를 옳게 표현한 것은?

  1. B-E : 순방향 Bias, B-C : 순방향 Bias
  2. B-E : 역방향 Bias, B-C : 역방향 Bias
  3. B-E : 순방향 Bias, B-C : 역방향 Bias
  4. B-E : 역방향 Bias, B-C : 순방향 Bias
(정답률: 74%)
  • TR을 A급 증폭기로 사용할 때, B-E 사이에는 순방향 Bias가 필요하고, B-C 사이에는 역방향 Bias가 필요합니다. 이는 각각 B-E 사이에는 양극과 음극이 올바르게 연결되어야 하며, B-C 사이에는 역전되는 전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B-E : 순방향 Bias, B-C : 역방향 Bia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진공관에서 음극 표면의 상태가 고르지 못해 전자의 방사가 시간적으로 일정하지 않아 발생하는 잡음으로 가청 주파수대에서만 일어나는 잡음은?

  1. 열잡음
  2. 산탄 잡음
  3. 플리커 잡음
  4. 트랜지스터 잡음
(정답률: 69%)
  • 플리커 잡음은 전원 공급이 불안정하여 전압이나 전류가 일정하지 않아 발생하는 잡음으로, 진공관에서 음극 표면의 상태가 고르지 못해 전자의 방사가 시간적으로 일정하지 않아 발생하는 가청 주파수대에서만 일어나는 잡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플리커 잡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평활회로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회로는?

  1. 안정화(정전압)회로
  2. 브리지정류회로
  3. 전파정류회로
  4. 정류회로
(정답률: 75%)
  • 안정화(정전압)회로는 입력 전압의 변동에도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회로입니다. 이를 위해 안정화(정전압)회로는 피드백 회로를 이용하여 출력 전압을 측정하고, 이를 입력으로 사용하여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킵니다. 따라서 평활회로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회로는 안정화(정전압)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주파수 변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반송파의 주파수를 신호파의 크기에 따라 변화 시킨다.
  2. 신호파의 주파수를 반송파의 크기에 따라 변화 시킨다.
  3. 반송파와 신호파의 위상을 동시에 변화 시킨다.
  4. 신호파의 크기에 따라 반송파의 크기를 변화 시킨다.
(정답률: 46%)
  • 주파수 변조 방식은 반송파의 주파수를 신호파의 크기에 따라 변화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는 신호파의 크기가 변화하면 반송파의 주파수도 함께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변조된 신호는 수신측에서 반송파를 복원하여 원래의 신호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회로에서 공진을 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은?

(정답률: 81%)
  • 공진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회로의 공진 주파수가 발생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회로의 총 전기적인 길이가 공진 주파수의 반파장의 정수배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자계산기일반(대략구분)

16. 다음 연산증폭기 회로에서 Z = 50[㏀], Z 1 = 500[㏀] 일 때 전압증폭도(Avf)는?

  1. 0.5
  2. -0.5
  3. 10
  4. -10
(정답률: 56%)
  • 입력신호는 R1과 C1을 통해 차단되고, R2와 R3을 통해 양쪽 입력단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회로는 비-인버팅 증폭기로 동작한다. 따라서 전압증폭도(Avf)는 R2/R1 = 10이다. 그러나 출력단의 부하저항 Z와 입력단의 저항 Z1이 있으므로, 전압증폭도는 R2/(R1+Z1) x (Z/(Z+Z1)) = 10/(1+500/50) x (50/(50+500)) = -1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읽기 전용 메모리로서 전원이 끊어져도 기억된 내용이 소멸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는?

  1. ROM
  2. I/O
  3. control Unit
  4. register
(정답률: 84%)
  • ROM은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읽기 전용 메모리이며 전원이 끊어져도 내용이 유지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문장에 해당하는 정답은 RO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이용하여 컴퓨터를 설계할 때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소비전력의 증가
  2. 제품의 소형화
  3. 시스템 신뢰성 향상
  4. 부품의 수량 감소
(정답률: 72%)
  •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컴퓨터를 설계할 때의 장점은 제품의 소형화, 시스템 신뢰성 향상, 부품의 수량 감소입니다. 그러나 소비전력의 증가는 장점이 아닌 단점입니다. 이는 높은 성능을 위해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비전력을 줄이는 기술 개발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에서 기억장치로 저장하는 마이크로명령어는?

(정답률: 75%)
  • 정답은 "" 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기억장치로 저장하는 마이크로명령어인 "메모리 쓰기"를 나타냅니다. 이유는 "메모리 쓰기"가 데이터를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데이터 이동", "연산", "제어"를 나타내는 마이크로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서브루틴의 복귀 주소(Return Address)가 저장되는 곳은?

  1. Stack
  2. Program Counter
  3. Data Bus
  4. I/O Bus
(정답률: 65%)
  • 서브루틴이 호출될 때, 현재 실행 중인 메인 루틴의 주소를 저장하기 위해 복귀 주소가 스택에 저장됩니다. 이후 서브루틴이 실행을 마치고 반환(return)되면, 스택에서 복귀 주소를 꺼내어 메인 루틴으로 돌아갑니다. 따라서 서브루틴의 복귀 주소는 스택에 저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 C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는?

  1. tot
  2. 600
  3. 두 수의 합 = 600
  4. 두 수의 합 = tot
(정답률: 83%)
  • 이유는 변수 tot에 먼저 300을 대입하고, 그 다음에 tot에 300을 더해서 출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tot의 값은 600이 되고, "두 수의 합 = 600"이 출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누산기(accumulator)의 용도는?

  1.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삭제
  2. 오퍼레이션 코드를 인출
  3. 오퍼레이션의 주소를 저장
  4.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
(정답률: 86%)
  • 누산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입니다. 이는 다음 연산을 위해 이전 연산 결과를 유지하거나, 연산 결과를 다른 레지스터나 메모리에 저장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컴퓨터의 주변장치에 해당되는 것은?

  1. 연산장치
  2. 제어장치
  3. 주기억장치
  4. 보조기억장치
(정답률: 73%)
  • 보조기억장치는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기억장치나 연산장치, 제어장치와는 달리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변장치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자료의 단위가 작은 크기에서 큰 크기순으로 나열된 것은?

  1. 니블 < 비트 < 바이트 < 워드 < 풀워드
  2. 비트 < 니블 < 바이트 < 하프워드 < 풀워드
  3. 비트 < 바이트 < 하프워드 < 풀워드 < 니블
  4. 풀워드 < 더블워드 < 바이트 < 니블 < 비트
(정답률: 66%)
  • 정답은 "비트 < 니블 < 바이트 < 하프워드 < 풀워드"입니다. 이는 데이터의 크기가 작은 비트에서 큰 풀워드까지 나열된 것입니다. 비트는 0 또는 1의 값을 가지는 가장 작은 데이터 단위이며, 니블은 4개의 비트로 이루어진 데이터 단위입니다. 바이트는 8개의 비트로 이루어진 데이터 단위이며, 하프워드는 2바이트(16비트)로 이루어진 데이터 단위입니다. 마지막으로 풀워드는 4바이트(32비트)로 이루어진 데이터 단위입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크기가 작은 비트에서 큰 풀워드까지 나열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명령어의 오퍼랜드 부분과 프로그램카운터의 내용이 더해져 실제 데이터의 위치를 찾는 주소지정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직접주소 지정 방식
  2. 간접주소 지정 방식
  3. 상대주소 지정 방식
  4. 레지스터주소 지정 방식
(정답률: 47%)
  • 상대주소 지정 방식은 명령어의 오퍼랜드 부분과 프로그램 카운터의 내용을 더해 실제 데이터의 위치를 찾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위치에 따라 데이터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상대주소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지정합니다. 따라서 상대주소 지정 방식은 프로그램의 위치에 상관없이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은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코드 내에 패리티 비트(parity bit)가 있어 전송 시에 오류 검사가 가능한 코드는?

  1. ASCII 코드
  2. gray 코드
  3. EBCDIC 코드
  4. BCD 코드
(정답률: 53%)
  • ASCII 코드는 7비트로 이루어져 있고, 8번째 비트를 패리티 비트로 사용하여 오류 검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ASCII 코드는 코드 내에 패리티 비트가 있어 전송 시에 오류 검사가 가능한 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플립플롭으로 구성되는 레지스터는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가?

  1. 기억
  2. 연산
  3. 입력
  4. 출력
(정답률: 62%)
  •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레지스터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플립플롭은 0 또는 1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1비트의 기억장치이며, 이를 여러 개 연결하여 더 많은 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레지스터를 구성합니다. 따라서 레지스터는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필요할 때 출력하여 다른 회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2진수 (11001)2에서 1의 보수는?

  1. 00110
  2. 00111
  3. 10110
  4. 11110
(정답률: 81%)
  • 1의 보수란,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값입니다. 따라서 2진수 (11001)2의 1의 보수는 (00110)2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1001)2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값은 (00110)2입니다.
    - (00110)2은 (11001)2의 각 비트를 반전시킨 값이므로, (11001)2의 1의 보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01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도면에서 표제란(Title panel)의 위치로 옳은 것은?

  1. 오른쪽 아래
  2. 오른쪽 위
  3. 왼쪽 아래
  4. 왼쪽 위
(정답률: 82%)
  • 도면에서 표제란은 일반적으로 오른쪽 아래에 위치합니다. 이는 도면의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오른쪽 아래에 위치하면 도면의 크기와 비례하여 표제란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거버(Gerber) 파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거버 형식은 파일 파라미터와 기능 명령의 2가지 요소로만 되어 있다.
  2. PCB 필름과 마스터 포토 툴을 생성하는데 쓰이는 표준이다.
  3. 거버 형식은 단순히 회로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4. 인터프리터를 이용하여 포토 플로터나 레이저 이미지를 필름이나 다른 미디어에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하는 형식이다.
(정답률: 47%)
  • "거버 형식은 파일 파라미터와 기능 명령의 2가지 요소로만 되어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거버 파일은 파일 파라미터, 기능 명령, 그리고 회로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자제도(CAD) 이론(대략구분)

31. PC CAD의 도입에 따른 장점이 아닌 것은?

  1. PCB 재료의 원가 절감을 할 수 있다.
  2. 회로의 오류 및 오차를 줄일 수 있다.
  3. 정확하고 효율적인 작업으로 개발기간이 단축된다.
  4.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고 불량률이 저하된다.
(정답률: 75%)
  • PCB 재료의 원가 절감을 할 수 있다는 것은 PC CAD를 도입하면 PCB 설계 과정에서 불필요한 재료 낭비를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CB 제작 비용이 절감되어 원가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설계 규칙 검사를 나타내는 용어는?

  1. Back Annotate
  2. DRC
  3. Netlist
  4. Export
(정답률: 75%)
  • 설계 규칙 검사를 나타내는 용어는 "DRC"입니다. DRC는 Design Rule Check의 약자로, 디자인 규칙을 검사하여 디자인 오류를 찾아내는 과정을 말합니다. 디자인 규칙은 회로 설계 시 지켜야 할 규칙으로, 이를 검사하여 회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Layout 작업 시 실장밀도를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도면의 크기
  2. 사용부품의 치수
  3. 배선폭과 배선간격
  4. Through Hole의 위치와 치수
(정답률: 53%)
  • 도면의 크기는 실장밀도를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도면의 크기는 레이아웃 디자인의 완성도와 가시성을 높이기 위한 요소이지, 회로의 기능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도면의 크기는 레이아웃 디자인의 편의성과 가시성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A/D변환기 회로와 같이 아날로그와 디지털 부분이 같이 있는 경우 도면에서 회로를 격리하고 접지 등 전원선을 별도로 그리는 것이 일반적인데, 다음 중 어떤 현상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인가?

  1. 유도 현상
  2. 발진 현상
  3. 스위칭 현상
  4. 증폭 현상
(정답률: 63%)
  • A/D변환기 회로에서는 아날로그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전기적인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노이즈는 회로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때, 회로 내부의 아날로그 부분과 디지털 부분이 격리되어 있지 않으면, 외부에서 유입되는 노이즈가 아날로그 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유도 현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회로를 격리하고 전원선을 별도로 그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자캐드(CAD)에 주로 사용되는 출력장치로 적합한 것은?

  1. 레이저 프린터, 스캐너, 포토 플로터
  2. 포토 플로터, X-Y 플로터, 타블렛
  3. 레이저 프린터, 포토 플로터, X-Y 플로터
  4. ZIP 드라이브, 레이저 프린터, 스캐너
(정답률: 72%)
  • 전자캐드(CAD)는 2차원 또는 3차원 모델링을 위한 소프트웨어이며, 이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크기와 해상도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레이저 프린터는 고해상도와 정확한 출력이 가능하며, 포토 플로터는 고해상도와 큰 출력물을 만들 수 있으며, X-Y 플로터는 정확한 위치와 크기를 출력할 수 있어 전자캐드에 적합한 출력장치입니다. 따라서 "레이저 프린터, 포토 플로터, X-Y 플로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PCB 제조공정은 어떤 방법에 의해 소정의 배선만 남기고, 다른 부분의 패턴을 제거할 것인가 하는 점이 중요하다. 다음 중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에칭(패턴제거방법)방법이 아닌 것은?

  1. 사진 부식법
  2. 실크 스크린법
  3. 플렉시블 인쇄법
  4. 오프셋 인쇄법
(정답률: 57%)
  • 플렉시블 인쇄법은 PCB 제조공정에서 사용되지 않는 방법이다. 이는 주로 유연한 PCB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PCB의 패턴을 인쇄기를 사용하여 직접 인쇄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PCB 제조공정에서는 사진 부식법, 실크 스크린법, 오프셋 인쇄법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자기장이 분포되어 있어 평판에 버튼커서 또는 스타일러스 펜이라고 불리는 위치 검출기를 이동시켜 도면위치에 대응하는 X, Y 좌표를 입력하는 장치는?

  1. 트랙볼
  2. X-Y 플로터
  3. 디지타이저
  4. 이미지 스캐너
(정답률: 63%)
  • 디지타이저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위치 검출기를 이용해 도면위치에 대응하는 X, Y 좌표를 입력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디지타이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시퀀스 제어용 기호와 설명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PT : 계기용 변압기
  2. TS : 과전류 계전기
  3. OCR : 텀블러 스위치
  4. ACB :유도 전동기
(정답률: 60%)
  • 정답은 "PT : 계기용 변압기"입니다.

    PT는 Potential Transformer의 약자로,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계기용 변압기입니다. 전압을 측정할 때는 직접 전압을 측정하기보다는 PT를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PT는 고압측의 전압을 저압측으로 변압하여 측정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정확한 전압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PT는 전력계량기, 보호장치, 제어장치 등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그림의 세라믹 콘덴서이다. 용량 값은?

  1. 0.01[㎌]
  2. 10[㎊]
  3. 1000[㎊]
  4. 0.0001[㎌]
(정답률: 63%)
  • 세라믹 콘덴서의 용량 값은 색 코드로 표시된 것으로, 갈색(1), 검정(0), 빨강(×100)의 순서로 읽으면 10×10^-3=0.01[㎌]이 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0.01[㎌]"가 아닌 "0.000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드레인(D) 소스(S) 게이트(G) 3개의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n채널과 p채널로 나누는 부품은?

  1. PUT
  2. FET
  3. SCR
  4. 트랜지스터
(정답률: 64%)
  • FET은 Field Effect Transistor의 약자로, 전극인 드레인(D), 소스(S), 게이트(G) 중 게이트(G) 전극에 전압을 가해 전류를 제어하는 부품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n채널과 p채널로 나누어져 있으며, 드레인(D)과 소스(S) 사이의 전압에 따라 전류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주어진 전극들과 n채널, p채널로 나누어지는 부품은 FE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PCB에서 패턴의 폭이 10[mm], 두께가 2[mm]이고 길이가 3[㎝]일 때 패턴의 저항(R)은? (단, 20[℃]에서 구리의 저항률은 1.72×10-8 [Ω]이다.)

  1. 0.258×10-6 [Ω]
  2. 2.58×10-8 [Ω]
  3. 5.16×10-6 [Ω]
  4. 5.16×10-8 [Ω]
(정답률: 57%)
  • 저항(R)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R = (ρ × L) / A

    여기서, ρ는 구리의 저항률, L은 길이, A는 단면적입니다.

    단면적 A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A = 폭 × 두께

    따라서, 저항(R)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R = (ρ × L) / (폭 × 두께)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R = (1.72×10-8 × 0.03) / (10 × 2×10-3) = 2.58×10-8 [Ω]

    따라서, 정답은 "2.58×10-8 [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사용 부품이나 소자를 실물 크기로 기호화 하고, 단자와 단자 사이를 선으로 직접 연결하는 접속 도면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연속선 접속도
  2. 피드선 접속도
  3. 고속도형 접속도
  4. 기선 접속도
(정답률: 58%)
  • 사용 부품이나 소자를 실물 크기로 기호화하고, 단자와 단자 사이를 선으로 직접 연결하는 접속 도면을 연속선 접속도라고 부릅니다. 이는 접속 도면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간단하고 직관적인 구성으로 인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자응용기기의 전체적인 동작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를 그리고자 할 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블록은 직사각형으로 그리며 선의 굵기는 0.3 ~ 0.5㎜ 정도로 한다.
  2. 블록안에는 전자 소자의 명칭이나 기능 등을 간단하게 표시한다.
  3. 블록도의 신호는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흐르도록 한다.
  4. 블록도에는 전원 및 보조 회로를 포함하여 그리기도 한다.
(정답률: 80%)
  • "블록도의 신호는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흐르도록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는 전자기기 설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규칙 중 하나입니다. 이유는 전자기기의 동작이나 신호의 흐름이 일반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는 것이 아니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블록도에서도 이러한 흐름을 따르는 것이 보다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전자 CAD를 사용하는 기능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1. 회로도를 쉽게 수정할 수 있다.
  2. 효율적인 부품배치 및 배선이 용이하다.
  3. 부품을 스캔하여 모델링 할 수있다.
  4. 부품과 선간에 이루어지는 상호간섭과 같은 잡음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정답률: 60%)
  • 전자 CAD는 회로도를 그리고 부품을 배치하고 배선을 연결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도구이다. 따라서 "부품을 스캔하여 모델링 할 수 있다."는 전자 CAD를 사용하는 기능이 아니라, 부품을 모델링하는 작업 자체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출력 장치인 펜 플로터 중 전기, 전자, 통신 분야에서 배선도, 접속도 등의 선도를 그리는 경우에 주로 사용 되는 것은?

  1. X-Y형
  2. 드럼(drum)형
  3. 잉크젯(Inkjet)형
  4. 플레이트 베드(plate bed)형
(정답률: 56%)
  • 정답은 "X-Y형"입니다.

    X-Y형 펜 플로터는 두 개의 축(X, Y축)을 이용하여 선을 그리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는 선을 정확하게 그리기에 적합하며, 배선도나 접속도 등의 선도를 그리는 데 많이 사용됩니다. 반면에 드럼형, 잉크젯형, 플레이트 베드형은 각각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며, X-Y축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이미지나 색상 등을 더욱 정교하게 표현하는 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전자 CAD 프로그램에서 편집 기능 명령과 거리가 먼 것은?

  1. 이동
  2. 복사
  3. 붙이기
  4. 호출
(정답률: 80%)
  • 편집 기능은 객체를 수정하거나 이동시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에 비해 "호출"은 다른 기능이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으로, 편집 기능과는 목적이 다릅니다. 따라서 "호출"이 편집 기능 명령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층 PCB 구조에서 층과 층을 통과하여 신호 패턴을 연결하는데, 이 때 층간을 접속하기 위한 것은?

  1. Pad hole
  2. Land hole
  3. Pin hole
  4. Via hole
(정답률: 65%)
  • 다층 PCB에서 층과 층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멍은 Via hole입니다. Via hole은 PCB의 층 간 연결을 위해 구멍을 뚫고, 구멍 안쪽에 도금을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물입니다. 따라서 다층 PCB에서 층 간 연결을 위해서는 Via hole이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도면작성 후 PCB Artwork 또는 시뮬레이션을 하기 위해 부품 간의 연결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파일이 생성되는데, 이 파일의 명칭은?

  1. Library
  2. Netlist
  3. Component
  4. Symbol
(정답률: 67%)
  • Netlist는 부품 간의 연결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파일의 명칭이다. 이 파일은 PCB Artwork 또는 시뮬레이션을 위해 사용되며, 부품의 핀과 핀을 연결하는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Netlist는 부품 간의 연결 정보를 나타내는 명칭으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고주파를 사용하는 회로도를 설계 시 유의할 점이 아닌 것은?

  1. 배선의 길이는 될 수 있는 대로 짧아야 한다.
  2. 회로의 중요 요소에는 바이패스 콘덴서를 붙여야 한다.
  3. 배선이 꼬인 것은 코일로 간주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4. 유도될 수 있는 고주파 전송 선로는 다른 신호선과 평행하게 한다.
(정답률: 63%)
  • 고주파 신호는 전기적인 노이즈를 매우 쉽게 유도하기 때문에, 다른 신호선과 평행하게 배선을 하면 노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유도될 수 있는 고주파 전송 선로는 다른 신호선과 평행하지 않도록 배선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PCB의 설계 시 고주파 부품 및 노이즈에 대한 대책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부품을 세워 사용한다.
  2. 가급적 표면 실장형 부품(SMD)을 사용한다.
  3. 고주파 부품을 일반회로와 혼합하여 설계한다.
  4. 아날로그와 디지털 회로는 어스 라인을 통합한다.
(정답률: 67%)
  • 가급적 표면 실장형 부품(SMD)을 사용하는 이유는 PCB의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SMD 부품은 작고 밀도가 높아 PCB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짧은 연결선으로 인해 노이즈가 발생할 확률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SMD 부품은 고주파 신호를 처리하는 데 더 효과적이며, PCB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PCB 설계 시 제품의 케이스(CASE)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는 것은?

  1. 높이 제한
  2. 부품실장 금지대
  3. 패턴의 금지대
  4. 패턴의 폭
(정답률: 49%)
  • 패턴의 폭은 PCB의 두께와 관련이 있으며, 케이스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PCB 설계 시 케이스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는 것은 패턴의 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CAD 시스템 좌표계가 아닌 것은?

  1. 역학 좌표
  2. 절대 좌표
  3. 상대 좌표
  4. 극 좌표
(정답률: 77%)
  • 역학 좌표는 CAD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좌표계가 아니라,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좌표계입니다. 따라서 역학 좌표는 CAD 시스템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기 신호의 중계, 제어 등을 행하는 기구 부품(electro-mechanical component)이 아닌 것은?

  1. 커넥터
  2. 소켓
  3. 스위치
  4. 다이오드
(정답률: 52%)
  • 다이오드는 전기 신호를 중계하거나 제어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 반도체 부품으로,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다이오드는 전기 신호의 중계나 제어를 행하는 기구 부품이 아니며, 주어진 보기 중에서 다이오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 2 S A 562 B)는 반도체 소자의 형명을 나타낸 것이다. 3번째 항의 문자 A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NPN형 저주파
  2. PNP형 저주파
  3. PNP형 고주파
  4. NPN형 고주파
(정답률: 67%)
  • 3번째 항의 문자 A는 반도체 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데, PNP형과 NPN형으로 구분된다. PNP형은 양극성이 양-음-양으로 되어 있으며, 고주파용 소자는 PNP형이 더 적합하다. 따라서 (2SA562B)는 PNP형 고주파용 소자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 ) 안에 알맞은 용어는?

  1. 적층
  2. 본딩
  3. 프리플레그
  4. 계층구조블럭
(정답률: 50%)
  • 이미지에서 보이는 구조가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층은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를 가지고 있어 계층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를 구성하는 블럭들을 계층구조블럭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5색 저항의 값과 오차가 옳은 것은?

  1. 10[㏀], ±5%
  2. 100[㏀], ±5%
  3. 10[㏀], ±1%
  4. 100[㏀], ±1%
(정답률: 58%)
  • 다섯 번째 색깔이 금색이므로 저항의 값은 10[㏀]이다. 두 번째 색깔이 검은색이므로 두 번째 자리는 0이다. 세 번째 색깔이 검은색이므로 세 번째 자리는 0이다. 네 번째 색깔이 갈색이므로 곱해야 할 값은 10^1 = 10이다. 따라서 저항의 값은 10 x 10 = 100[㏀]이다. 그러나 다섯 번째 색깔이 금색이므로 오차는 ±5%가 된다. 따라서 "10[㏀], ±1%"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주문 받은 사람이 주문한 사람과 검토를 거쳐서 승인을 받아 계획 및 제작을 하는데 기초가 되는 도면은?

  1. 제작도
  2. 주문도
  3. 승인도
  4. 견적도
(정답률: 58%)
  • 주문 받은 사람이 주문한 사람과 검토를 거쳐서 승인을 받아야 계획 및 제작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때 기초가 되는 도면은 승인도입니다. 승인도는 주문한 사람과 주문 받은 사람이 협의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승인한 도면으로, 제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따라서 승인도가 없으면 제작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인쇄회로기판 설계 시에 사용하는 단위가 아닌 것은?

  1. grid
  2. inch
  3. mils
(정답률: 72%)
  • "grid"는 인쇄회로기판 설계 시에 사용하는 단위가 아닙니다. "grid"는 그리드(grid)라는 용어로, 디자인 소프트웨어에서 그리드를 설정하여 디자인 요소들을 정렬하거나 배치할 때 사용하는 단위입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 설계 시에 사용하는 단위는 "㎜", "inch", "mil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인쇄회로기판 설계 시 배선에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 고려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기판의 재질과 두께
  2. 배선의 폭과 동박의 두께
  3. 동박의 두께와 배선의 모양
  4. 배선의 배열과 기판의 두께
(정답률: 55%)
  • 배선에 흐르는 전류량이 많을수록 배선의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전압강하가 발생하고, 이는 회로 동작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전류량이 많은 배선은 저항을 줄이기 위해 넓은 폭으로 배선을 설계하고, 동박의 두께를 늘려 전류가 흐르는 면적을 늘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전류가 흐르는 경로를 넓히고, 열 발생을 줄여 기판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플렉시블 PCB의 재료로 사용하는 것은?

  1. 종이페놀 인쇄회로기판
  2. 유리에폭시 인쇄회로기판
  3. 세라믹 인쇄회로기판
  4. 폴리이미드 필름 인쇄회로기판
(정답률: 58%)
  • 플렉시블 PCB는 유연성이 뛰어나고 고온에 강한 재료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폴리이미드 필름은 열에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높은 절연성과 가벼운 무게를 가지고 있어 플렉시블 PCB의 재료로 적합합니다. 따라서 폴리이미드 필름이 플렉시블 PCB의 재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