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동화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10-09)

생산자동화기능사
(2011-10-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대략구분)

1. 다음 중 보통 보링머신을 분류한 것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테이블형
  2. 플레이너형
  3. 플로어형
  4. 코어형
(정답률: 65%)
  • 정답: "코어형"

    설명: "코어형"은 일반적으로 보링머신의 분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테이블형"은 작은 작업물을 가공할 때 사용되며, "플레이너형"은 대형 작업물을 가공할 때 사용됩니다. "플로어형"은 대형 작업물을 가공할 때 사용되며, 바닥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코어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며, 보통 "코어드리븐형"이라는 용어로 대체됩니다. "코어드리븐형"은 고속 및 고정밀 가공을 위해 설계된 보링머신으로, 고속 회전하는 코어를 사용하여 가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기계 장치의 안전에 대한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일감과 절삭 공구가 회전하는 기계작업을 할 때에는 장갑을 끼지 않는다.
  2. 기계의 전원장치에는 동력 차단장치가 있어야 한다.
  3. 연삭기의 숫돌에는 견고한 안전커버가 있어야 한다.
  4. 선반의 공구대 위에 공구를 올려놓고 작업을 해야 한다.
(정답률: 88%)
  • 선반의 공구대 위에 공구를 올려놓고 작업을 해야 한다는 것은 안전에 적합하지 않은 사항입니다. 이는 공구가 떨어져 다른 사람이나 기계에 부딪히거나 작업자가 다치는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 시에는 공구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곳에 놓거나 고정시켜 작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선반 작업에서 절삭가공시 회전수를 구하는 공식은? (단, d = 공작물 직경(㎜), n = 주축의 회전수(rpm), v = 절삭속도이다.)

  1. n = 1000v
  2. n = 1000πd
  3. n = (1000v)/(πd)
  4. n = (πd)/(1000v)
(정답률: 74%)
  • 절삭속도(v)는 공작물의 직경(d)과 주축의 회전수(n)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절삭속도(v)를 구하기 위해서는 공식을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v = πdn/1000

    이 식에서 n을 구하기 위해 양변을 d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n = (1000v)/(πd)

    따라서, 회전수(n)를 구하기 위해서는 절삭속도(v)와 공작물 직경(d)가 필요하며, 위의 공식을 사용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절삭 공구재료의 구비조건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내마모성이 클 것
  2. 형상을 만들기 쉬울 것
  3. 고온에서 경도가 낮고 취성이 클 것
  4. 피삭재보다 단단하고 인성이 있을 것
(정답률: 82%)
  • 고온에서 경도가 낮고 취성이 클 것은 절삭 시에 열이 발생하여 재료가 변형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조건으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선반 작업에서 원통의 지름이 1/2로 줄어들 때 회전수의 변화는?

  1. 일정하다.
  2. 2배로 증가한다.
  3. 22배로 증가한다.
  4. 감소한다.
(정답률: 80%)
  • 선반 작업에서 원통의 지름이 1/2로 줄어들면 원주도 1/2로 줄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회전수는 단위 시간당 회전하는 횟수이므로, 원주가 줄어들면 회전수는 그 반대로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원주가 1/2로 줄어들면 회전수는 2배로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광물성유를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원액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표면활성제와 부식방지제를 첨가하여 사용하는 절삭유제는?

  1. 등유
  2. 라드유
  3. 스핀들유
  4. 에멀젼
(정답률: 52%)
  • 절삭유는 광물성유를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만들어지며, 이를 원액과 물을 혼합하여 사용합니다. 이때 표면활성제와 부식방지제를 첨가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성질을 가진 유체를 에멀젼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에멀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밀링 커터 중 기어의 이 모양과 같이 공작물의 형상과 동일한 윤곽을 가진 커터는?

  1. T형 밀링커터
  2. 정면 밀링커터
  3. 플라이 커터
  4. 총형 밀링커터
(정답률: 68%)
  • 총형 밀링커터는 공작물의 윤곽을 따라가며 절삭하는 형태의 커터로, 기어와 같은 복잡한 형상을 가진 부품을 가공할 때 유용합니다. 따라서 이 모양과 같이 공작물의 형상과 동일한 윤곽을 가진 커터는 총형 밀링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선반에서 가공할 수 없는 작업은?

  1. 나사 가공
  2. 기어 가공
  3. 테이퍼 가공
  4. 구멍 가공
(정답률: 75%)
  • 선반은 회전하는 작업대로 회전하는 원통형 물체를 가공하는데 적합한 기계입니다. 따라서 기어 가공과 같이 회전하는 작업물을 가공하는 작업은 선반에서 가능합니다. 하지만 기어 가공은 복잡한 형태의 기어를 가공하는 작업으로, 선반만으로는 모든 부분을 가공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기어 가공은 보다 전문적인 기계나 가공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나사 마이크로미터는 나사의 어느 부분을 측정하는 가?

  1. 피치
  2. 바깥지름
  3. 골지름
  4. 유효지름
(정답률: 58%)
  • 나사 마이크로미터는 나사의 유효지름을 측정합니다. 이는 나사의 나사심과 나사피치에 의해 결정되는 나사의 실제 직경으로, 기계 요소의 정확한 측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나사 마이크로미터는 유효지름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밀링머신에서 사용하는 절삭공구가 아닌 것은?

  1. 엔드밀
  2. 정면커터
  3. 총형커터
  4. 브로치
(정답률: 80%)
  • 브로치는 회전하는 절삭공구가 아니라,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원통형 공구로서, 주로 내부면을 가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밀링머신에서 사용하는 절삭공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기계제도(대략구분)

11. 한 부품에 같은 종류의 구멍이 여러 개가 있다. 구멍의 지시선 위에 “20 - 10 드릴”이라는 구멍 표시의 올바른 해석은?

  1. 구멍의 지름이 20㎜이고, 구멍의 수가 10개이다.
  2. Ø20㎜의 드릴 구멍과 Ø10㎜의 드릴 구멍이 있다.
  3. Ø10㎜의 드릴 구멍이 20㎜ 간격으로 있다.
  4. Ø10㎜의 드릴 구멍이 20개 있다.
(정답률: 68%)
  • 정답은 "Ø10㎜의 드릴 구멍이 20개 있다."입니다.

    이유는 문제에서 "20 - 10 드릴"이라는 구멍 표시가 여러 개의 구멍에 적용되어 있으며, 이는 Ø10㎜의 드릴 구멍이 20개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구멍의 지름, 수, 간격 등을 언급하고 있지만, "20 - 10 드릴"이라는 구멍 표시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올바른 해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은 면의 지시기호에서 A부에 기입하는 내용은 무엇인가?

  1. 가공 방법
  2. 산술 평균거칠기 값
  3. 컷오프 값
  4. 줄무늬 방향의 기호
(정답률: 77%)
  • A부에 기입하는 내용은 "가공 방법"입니다. 이는 그림에서 보이는 면의 가공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지시기호와 함께 해당 부품의 제조 과정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A부에 기입하는 내용은 가공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도면에 사용된 치수가 아닌 것은?

  1. 참고 치수
  2. 모떼기 치수
  3. 지름 치수
  4. 반지름 치수
(정답률: 85%)
  • 정답은 "지름 치수"입니다. 도면에서는 원의 지름이 아닌 반지름이 주어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지름 치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베어링 호칭번호가 6205인 경우 안지름은 몇 mm인가?

  1. 15
  2. 20
  3. 25
  4. 205
(정답률: 73%)
  • 베어링 호칭번호에서 첫 두 자리는 시리즈를 나타내고, 마지막 숫자는 크기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6205에서 마지막 숫자 5는 안지름을 5배한 값이므로, 안지름은 5m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투상도법에서 그림과 같이 경사진 부분의 실제 모양을 도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투상도의 명칭은?

  1. 부분 투상도
  2. 국부 투상도
  3. 부분 확대도
  4. 보조 투상도
(정답률: 57%)
  • 이 그림은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주 투상도와 함께, 경사진 부분의 실제 모양을 더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보조적인 투상도를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보조 투상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도면에서 A 치수는 얼마인가?

  1. 26
  2. 27
  3. 28
  4. 29
(정답률: 80%)
  • A 치수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길이이므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빗변의 길이는 √(15²+20²) = √625 = 25 이므로, A 치수는 25의 1.16배인 약 29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기계 제도에서 도형에 나타나지 않으나 공작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공 전 형상이나, 공구의 위치 등을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선은?

  1. 파단선
  2. 숨은선
  3. 중심선
  4. 가상선
(정답률: 76%)
  • 가공 전 형상이나 공구의 위치 등을 나타내는 선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적인 선이기 때문에 "가상선"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가상선은 기계 제도에서 도형에 나타나지 않지만, 공작시에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과 같은 입체도에서 화살표 방향이 정면도일 경우 평면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정답률: 87%)
  • 정면도에서 화살표 방향이 위쪽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평면도에서도 위쪽으로 향하는 "" 이 가장 적합하다. 다른 보기들은 화살표 방향과 반대 방향이거나, 다른 면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구멍 Ø80에 대해 h5, h6, h7, h8 끼워 맞춤 공차를 적용할 때, 치수공차 값이 가장 작은 것은?

  1. h5
  2. h6
  3. h7
  4. h8
(정답률: 78%)
  • 치수공차는 제품의 치수가 어느 정도의 오차 범위 내에서 허용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치수공차 값이 작을수록 제품의 치수가 정확하게 제작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구멍의 경우, 더 작은 치수공차를 적용할수록 더 정확한 크기의 구멍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5가 가장 작은 치수공차를 가지므로, h5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기하공차의 종류를 성격에 따라 구분하고자 할 때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흔들림 공차
  2. 위치 공차
  3. 자세 공차
  4. 허용 공차
(정답률: 59%)
  • 허용 공차는 성격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이나 부품의 허용 범위 내에서 허용되는 공차를 의미하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공차들은 기하학적인 성격에 따라 구분됩니다.

    - 흔들림 공차: 부품이나 제품의 축과 수직선 사이의 최대 거리 차이를 의미합니다.
    - 위치 공차: 부품이나 제품의 위치와 관련된 공차로, 위치 공차가 크면 부품이나 제품의 위치가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 자세 공차: 부품이나 제품의 자세와 관련된 공차로, 자세 공차가 크면 부품이나 제품의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내경이 20mm인 실린더에 6㎏f/cm2의 유압이 공급될 때 실린더 로드에 작용하는 힘(㎏f)은 약 얼마인가? (단, 내부 마찰력은 무시한다.)

  1. 9.9
  2. 18.8
  3. 24.4
  4. 37.6
(정답률: 66%)
  • 유압의 원리에 따라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실린더 내부의 압력은 6㎏f/cm2이다. 따라서 실린더 로드에 작용하는 힘은 압력과 면적의 곱인데, 면적은 반지름의 제곱에 파이를 곱한 값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힘 = 압력 × 면적
    = 6 × (20/2)² × 3.14
    = 9.42 × 20²
    = 18,840 (약 18.8)

    따라서 정답은 "18.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진운동과 후진운동을 할 때 실린더 피스톤이 낼 수 있는 힘의 크기가 같은 실린더는?

  1. 단동 실린더
  2. 편로드 복동 실린더
  3. 양로드 복동 실린더
  4. 쿠션 내장형 실린더
(정답률: 84%)
  • 양로드 복동 실린더는 전진운동과 후진운동을 할 때 실린더 내부의 압력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피스톤이 낼 수 있는 힘의 크기가 같습니다. 이는 실린더 내부에 두 개의 작동 유닛이 있어 전진운동과 후진운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양방향으로 작동하는 기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그림의 밸브 기호에서 제어 위치의 개수는?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75%)
  • 밸브 기호에서 제어 위치는 밸브 상단, 하단, 그리고 중간에 위치한 세 개의 점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제어 위치의 개수는 3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2압 밸브”를 “AND 밸브”라고도 하는 이유를 설명한 것이다. 옳은 것은?

  1. 공기 흐름을 정지 또는 통과시켜 주므로
  2. 두 개의 공기 입구 모두에 공압이 작용해야만 출력이 나오므로
  3. 독립적으로 사용되므로
  4. 역류를 방지하기 때문에
(정답률: 88%)
  • 2압 밸브는 두 개의 공기 입구 모두에 공압이 작용해야만 출력이 나오기 때문에 "AND" 밸브라고도 불린다. 즉, 두 개의 신호가 동시에 들어와야만 출력이 나오는 논리 회로의 AND 연산과 유사한 원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유압유에 비해 압축공기의 특성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탱크 등에 저장이 용이하다.
  2. 온도에 극히 민감하다.
  3. 폭발과 인화의 위험이 거의 없다.
  4. 먼 거리까지도 쉽게 이송이 가능하다.
(정답률: 68%)
  • 온도에 극히 민감하다는 것은 압축공기가 온도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온도가 변하면 압축공기의 압력, 부피, 밀도 등이 변화하게 되어 시스템의 작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압축공기 시스템에서는 온도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제어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회로의 최고 압력을 제어하는 밸브로써, 유압 시스템 내의 최고 압력을 유지시켜 주는 밸브는?

  1. 릴리프 밸브
  2. 체크 밸브
  3. 압력 스위치
  4. 카운터 밸런스 밸브
(정답률: 77%)
  • 릴리프 밸브는 유압 시스템 내의 최고 압력을 제어하는 밸브로, 시스템 내의 압력이 정해진 한계치를 초과할 경우 밸브가 열려 압력을 제어하여 시스템 내의 과압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유압 시스템 내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릴리프 밸브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공압 조정 유닛의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필터
  2. 냉각기
  3. 압력 조절 밸브
  4. 윤활기
(정답률: 52%)
  • 공압 조정 유닛은 압력을 조절하고 윤활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필터, 압력 조절 밸브, 윤활기가 포함됩니다. 하지만 냉각기는 공기 압축기나 유압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기 위한 부속품으로, 공압 조정 유닛의 구성요소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냉각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고온의 압축공기를 공기건조기 입구 온도 조건에 알맞게 냉각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는?

  1. 애프터 쿨러
  2. 자동 배출기
  3. 스트레이너
  4. 공기 필터
(정답률: 81%)
  • 애프터 쿨러는 압축기에서 나온 고온의 압축공기를 냉각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이 장치를 사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키면 공기건조기 입구 온도 조건에 알맞게 수분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유압 시스템의 압력제어 밸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릴리프 밸브
  2. 감압 밸브
  3. 카운터 밸런스 밸브
  4. 체크 밸브
(정답률: 64%)
  • 체크 밸브는 유체의 일방향 흐름만을 허용하는 밸브로, 압력을 제어하는 기능이 없습니다. 따라서 유압 시스템의 압력제어 밸브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공압 장치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압축 공기의 에너지를 쉽게 얻을 수 있다.
  2. 동력 전달 방법이 간단하고 용이하다.
  3. 힘의 증폭 및 속도 조절이 용이하다.
  4. 정확한 위치 결정 및 중간 정지가 용이하다.
(정답률: 67%)
  • 공압 장치는 유체 전달 방식이 아닌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결정 및 중간 정지가 용이하다. 유체 전달 방식인 유압 장치는 유체의 특성상 정확한 위치 결정이 어렵고 중간 정지가 어렵기 때문에 이와 달리 공압 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메카트로닉스 일반(대략구분)

31. 다음 중 수치제어 공작기계(NC 공작기계)는 자동 생산 시스템의 어떤 분야에 속하는가?

  1. 자동 가공
  2. 자동 조립
  3. 자동 설계
  4. 자동 검사
(정답률: 84%)
  • 수치제어 공작기계는 컴퓨터로 제어되어 자동으로 부품을 가공하는 기계로, 자동 가공 분야에 속합니다. 이 기계는 사람의 개입 없이 정확한 크기와 모양으로 부품을 가공할 수 있으며, 생산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 가공 분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CCD 카메라로 읽은 화상을 보고 대상 물체의 모양이나 양호 또는 불량 상태를 판별하는 센서는?

  1. 로드 셀
  2. 광전 센서
  3. 비전 센서
  4. 근접 센서
(정답률: 56%)
  • CCD 카메라로 읽은 화상을 분석하여 대상 물체의 모양, 크기, 색상 등을 인식하고 판별하는 센서를 비전 센서라고 합니다. 따라서, 비전 센서가 대상 물체의 모양이나 양호 또는 불량 상태를 판별하는 센서입니다. 로드 셀은 무게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 광전 센서는 빛의 세기나 색상을 감지하는 센서, 근접 센서는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공장 자동화의 추진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산성 향상
  2. 품질의 균일화
  3. 제품 고급화
  4. 원가 절감
(정답률: 76%)
  • 공장 자동화의 주요 목적은 생산성 향상, 품질의 균일화, 원가 절감입니다. 그러나 제품 고급화는 자동화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목적입니다. 따라서 제품 고급화는 공장 자동화의 추진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래더 다이어그램에 따라 PLC 명령문을 코딩할 때 잘못된 것은?

  1. 001 : AND 001로 코딩한다.
  2. 002 : OR 002로 코딩한다.
  3. 003 : AND NOT으로 코딩한다.
  4. 012 : OUT 012로 코딩한다.
(정답률: 60%)
  • 잘못된 것은 "003 : AND NOT으로 코딩한다." 입니다.
    이유는 AND NOT은 논리곱과 NOT 연산을 수행하는 명령어이지만, 래더 다이어그램에서는 NOT 연산이 없기 때문에 AND 명령어만 사용하여 "001 : AND 001로 코딩한다."라고 코딩해야 합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래더 다이어그램에서 표현된 논리회로와 일치하므로 올바른 코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산업용 다관절 로봇이 3차원 공간에서 임의의 위치와 방향에 있는 물체를 잡는데 필요한 자유도는?

  1. 3
  2. 4
  3. 5
  4. 6
(정답률: 79%)
  • 물체를 잡기 위해서는 위치와 방향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위치를 나타내는 자유도는 3개이고, 방향을 나타내는 자유도는 3개입니다. 따라서 산업용 다관절 로봇이 3차원 공간에서 임의의 위치와 방향에 있는 물체를 잡는데 필요한 자유도는 총 6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로봇이 경제적이고 실질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기준이 아닌 것은?

  1. 위험한 작업
  2. 간단한 반복 작업
  3. 검사가 필요하지 않는 작업
  4. 변화가 자주 일어나는 작업
(정답률: 86%)
  • 로봇은 반복적이고 예측 가능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 가장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변화가 자주 일어나는 작업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로봇이 적용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건설 현장에서는 지형이나 날씨 등의 요인으로 인해 작업 환경이 계속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로봇이 적용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변화가 자주 일어나는 작업은 로봇이 경제적이고 실질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분야에 대한 기준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불연속 동작의 대표적인 것으로 제어량이 목표값에서 어떤 양만큼 벗어나면 미리 정해진 일정한 조작량이 대상에 가해지는 제어는?

  1. 온 오프 제어
  2. 비례 제어
  3. 미분 동작 제어
  4. 적분 동작 제어
(정답률: 49%)
  • 온 오프 제어는 제어량이 목표값에서 벗어나면 미리 정해진 일정한 조작량이 대상에 가해지는 제어 방식입니다. 이는 제어량이 목표값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지만, 제어량이 목표값과 크게 벗어나면 일정한 조작량이 대상에 가해지므로 제어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온 오프 제어는 불연속 동작의 대표적인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자동제어의 종류를 신호 특성에 따라 분류할 때 이에 속하는 것은?

  1. 서보기구
  2. 아날로그 제어
  3. 자력 제어
  4. 타력 제어
(정답률: 66%)
  • 신호 특성에 따라 분류할 때, 아날로그 제어는 연속적인 신호를 사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으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연속적인 값으로 변화합니다. 따라서 이에 속하는 것은 아날로그 제어입니다. 서보기구는 제어 장치의 일종으로, 제어 대상의 위치나 속도 등을 측정하여 제어하는 방식이며, 자력 제어와 타력 제어는 입력 신호에 따라 제어 대상에 작용하는 힘의 종류에 따라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PLC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입력 조건 없이는 모선에 출력을 지정할 수 없다.
  2. 동일한 출력 코일을 두 번 이상 사용할 수 있다.
  3. 더미 접점을 사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4. 신호의 흐름은 좌에서 우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흐르게 한다.
(정답률: 73%)
  • "동일한 출력 코일을 두 번 이상 사용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LC 프로그램에서는 하나의 출력 코일은 하나의 출력 신호를 제어하기 때문에 동일한 출력 코일을 두 번 이상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출력 신호의 충돌이나 모순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금속체나 자성체에서 발생되는 전계나 자계의 변화를 감지하여 접점을 개폐하며 물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검출하는 스위치는?

  1. 수동 스위치
  2. 근접 스위치
  3. 광전 스위치
  4. 액면 스위치
(정답률: 74%)
  • 근접 스위치는 금속체나 자성체에서 발생되는 전계나 자계의 변화를 감지하여 접점을 개폐하며, 물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검출하는 스위치입니다. 따라서, 근접 스위치는 물체와의 접촉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물체의 형태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일반적인 PLC 제어와 릴레이 제어의 특성을 비교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PLC 제어는 릴레이 제어보다 고장 부위 발견이 어렵다.
  2. PLC 제어는 릴레이 제어보다 제어반의 크기는 작다.
  3. PLC 제어는 릴레이 제어보다 고속 동작이 가능하다.
  4. PLC 제어는 릴레이 제어보다 시스템 구성 시간이 짧다.
(정답률: 71%)
  • "PLC 제어는 릴레이 제어보다 고장 부위 발견이 어렵다."가 틀린 것입니다. PLC 제어는 릴레이 제어보다 고장 부위 발견이 쉽습니다. 이는 PLC 제어는 모니터링 기능이 있어서 운전 중에도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고장 발생 시 해당 부분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알려주기 때문입니다. 반면 릴레이 제어는 수동으로 모든 부분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고장 부위 발견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PLC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입, 출력 데이터 처리 기능
  2. 서보 기능
  3. 시퀀스 처리 기능
  4. 타이머와 카운터 기능
(정답률: 60%)
  • PLC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컨트롤러로, 입, 출력 데이터 처리 기능, 시퀀스 처리 기능, 타이머와 카운터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PLC는 서보 기능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서보 기능은 모션 컨트롤러 등 다른 장비에서 수행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서보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시퀀스 제어와 되먹임 제어를 비교할 때 되먹임 제어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제어요소는?

  1. 구동장치
  2. 신호처리 및 제어장치
  3. 입, 출력 비교장치
  4. 응답속도 가속장치
(정답률: 83%)
  • 되먹임 제어는 이전에 발생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비교하여 오차를 검출하고 보정하는 제어 방식입니다. 따라서 입력과 출력을 비교할 수 있는 입, 출력 비교장치는 되먹임 제어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제어요소입니다. 구동장치는 시스템을 움직이는 역할을 하고, 신호처리 및 제어장치는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응답속도 가속장치는 시스템의 응답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지만, 되먹임 제어를 위해서는 입, 출력 비교장치가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PLC하드웨어 구조에서 외부 입, 출력 기기의 노이즈가 PLC의 CPU쪽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소자는?

  1. 다이오드
  2. 트랜지스터
  3. LED
  4. 포토 커플러
(정답률: 66%)
  • 포토 커플러는 빛을 이용하여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소자로, 외부 입, 출력 기기와 PLC의 CPU쪽을 빛으로 분리하여 노이즈가 전달되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따라서 PLC 하드웨어 구조에서 외부 입, 출력 기기의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해 포토 커플러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 장치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수치 제어 선반
  2. PLC
  3. 무인 운반차
  4. 범용 밀링
(정답률: 82%)
  • 범용 밀링은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 장치 중에서 가장 수동적인 장치로, 사람이 직접 조작하여 가공 작업을 수행하는 기계입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장치들과는 달리 자동화된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며,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 요소로서는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1 또는 0과 같이 하나의 입력에 대하여 항상 그에 대응하는 출력을 발생하게 하고, 다음에 새로운 입력이 주어질 때까지 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회로로서 컴퓨터 집적 회로 속에서 기억 소자로 사용되는 것은?

  1. 금지 회로
  2. 플립 플롭 회로
  3. 인터록 회로
  4. 선행 우선 회로
(정답률: 80%)
  • 플립 플롭 회로는 하나의 입력에 대해 항상 그에 대응하는 출력을 발생시키고, 다음에 새로운 입력이 주어져도 이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회로이기 때문에 기억 소자로 사용됩니다. 이는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 필수적인 기능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플립 플롭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유접점 회로와 비교하여 무접점 회로의 특징을 설명한 것 중 옳지 않은 것은?

  1. 수명이 길다.
  2. 응답 속도가 빠르다.
  3. 소형화에 적합하다.
  4. 전기적 노이즈에 강하다.
(정답률: 76%)
  • 전기적 노이즈에 강하다는 것은 무접점 회로의 특징 중 하나가 아닙니다. 오히려 유접점 회로와 비교하여 무접점 회로는 전기적 노이즈에 민감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무접점 회로에서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들이 민감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그림과 같은 계전기 접점 회로를 간단히 한 논리식은?

  1. A
  2. A'
  3. AㆍB
  4. A+B
(정답률: 49%)
  • 이 회로에서는 A와 B가 모두 닫혀있어야 전류가 흐르므로, A와 B가 AND 조건을 만족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논리식은 AㆍB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Aㆍ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자석에 의해 접점을 개폐하는 전자 접촉기와 부하의 과전류에 의해 동작하는 열동 계전기가 조합된 장치는?

  1. 보조 계전기
  2. 시간 계전기
  3. 플리커 계전기
  4. 전자 개폐기
(정답률: 82%)
  • 전자 접촉기는 전자석에 의해 접점을 개폐하는 기기이고, 열동 계전기는 부하의 과전류에 의해 동작하는 기기입니다. 이 두 기기가 조합된 장치에서는 전자 접촉기가 부하의 과전류를 감지하여 접점을 개폐함으로써 전기 회로를 제어합니다. 따라서 이 장치는 "전자 개폐기"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두 개 이상의 전자 계전기가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회로는?

  1. 자기 유지회로
  2. 인터록 회로
  3. 경보 회로
  4. 검출 회로
(정답률: 86%)
  • 인터록 회로는 두 개 이상의 전자 계전기가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하나의 계전기가 동작하면 다른 계전기의 동작을 차단하여 충돌을 방지합니다. 따라서 여러 개의 계전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인터록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동작 특성을 여러 가지 기호로 표현할 때 다음 중 그 특성이 다른 하나는?

(정답률: 61%)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다른 기호들은 모두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있지만, ""는 화살표가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호는 동작의 방향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입력 신호 주파수의 1/2의 출력 주파수를 얻는 플립 플롭은?

  1. JK 플립플롭
  2. D 플립플롭
  3. T 플립플롭
  4. RS 플립플롭
(정답률: 59%)
  • T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가 T 입력에 의해 토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T 입력에 주기가 입력 신호 주파수의 1/2인 신호를 주면 출력 주파수는 입력 신호 주파수의 1/2이 됩니다. JK 플립플롭, D 플립플롭, RS 플립플롭은 모두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이 결정되는데, 입력 신호 주파수의 1/2의 출력 주파수를 얻기 위해서는 입력 신호를 적절하게 조작해야 합니다. 따라서 T 플립플롭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그림과 같은 기호의 명칭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수동 복귀 접점
  2. 한시 복귀 접점
  3. 전자접촉기 접점
  4. 제어기 접점(드럼형)
(정답률: 40%)
  • 이 기호는 "수동 복귀 접점"으로 불립니다. 이는 장비나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할 때, 수동으로 정상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접점을 의미합니다. 이 기호는 일반적으로 비상 정지나 재가동을 위한 버튼 등과 연결되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시퀀스 제어회로에서 기동 스위치를 ON하여도 제어 회로가 인칭회로처럼 동작하여 연속적으로 정상 동작을 할 수 없다. 이 때 어떤 회로를 추가로 구성하면 연속적으로 정상동작을 시킬 수 있는가?

  1. 인터록 회로
  2. 자기유지 회로
  3. 부정 회로
  4. 지연 회로
(정답률: 70%)
  • 기동 스위치를 ON하여 시퀀스 제어회로를 동작시키면, 제어회로는 일정한 시간동안만 동작하고 다시 정지하게 된다. 이때 자기유지 회로를 추가로 구성하면, 제어회로가 동작한 후에도 계속해서 동작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자기유지 회로가 제어회로의 출력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서, 해당 신호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자기 자신을 유지하는 회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기유지 회로를 추가로 구성하면, 시퀀스 제어회로를 연속적으로 정상동작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그림에 대한 논리식으로 맞는 것은?

(정답률: 66%)
  • 논리식: (A∨B) ∧ (¬A∨C) ∧ (¬B∨D) ∧ (¬C∨¬D)

    이유:
    - A와 B 중 하나는 참이어야 하므로 (A∨B)
    - A가 거짓이면 C는 참이어야 하므로 (¬A∨C)
    - B가 거짓이면 D는 참이어야 하므로 (¬B∨D)
    - C와 D는 모두 거짓이어야 하므로 (¬C∨¬D)

    따라서, ""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계전기 문자 기호에서 유지 계전기에 해당하는 것은?

  1. BR
  2. GR
  3. KR
  4. PR
(정답률: 69%)
  • 유지 계전기는 전기 신호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며, KR은 "Keep Relay"의 약자로 유지 계전기를 나타냅니다. BR은 브레이크 계전기, GR은 그라운드 계전기, PR은 프로텍션 계전기를 나타내므로 유지 계전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K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입력 신호가 하이(High)이면 출력은 로우(Low)이고, 입력 신호가 로우(Low)이면 출력이 하이(High)가 나오는 논리 회로는?

  1. AND
  2. OR
  3. NOT
  4. NAND
(정답률: 79%)
  •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가 반대로 나오는 논리 회로를 인버터(inverter)라고 합니다. NOT은 인버터의 다른 이름이며, 입력 신호를 반대로 출력하는 논리 게이트입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하이(High)이면 출력은 로우(Low)이고, 입력 신호가 로우(Low)이면 출력이 하이(High)가 나오는 논리 회로는 NOT 게이트입니다. AND, OR, NAND 게이트는 입력 신호를 조합하여 출력 신호를 결정하는 다른 종류의 논리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논리식이 틀린 것은?

(정답률: 52%)
  • 논리식이 틀린 것은 "" 입니다. 이유는 논리식에서 AND 연산자(&&)는 두 개의 조건이 모두 참일 때 참을 반환하는데, 논리식에서는 A가 3보다 크거나 같고 B가 5보다 작거나 같을 때 참을 반환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에서는 A가 2이므로 A가 3보다 크거나 같은 조건을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 논리식은 거짓을 반환해야 합니다. 따라서 논리식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진행하는 제어방식은?

  1. 자동 제어
  2. 시퀀스 제어
  3. 조건 제어
  4. 피드백 제어
(정답률: 89%)
  • 시퀀스 제어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어의 각 단계를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다른 제어 방식들과는 달리 순서에 따라 단계를 진행하며, 이를 위해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화된 생산 라인에서 제품을 생산할 때, 각 단계를 순서대로 진행하여 최종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이 시퀀스 제어의 예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그림의 기호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직류 전동기
  2. 유도 전동기
  3. 직류 발전기
  4. 교류 발전기
(정답률: 72%)
  • 위 그림의 기호는 유도 전동기를 나타냅니다. 이는 회전자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이 자기장에 의해 고정자에 유도전류가 발생하여 회전력을 만들어내는 전동기입니다. 따라서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전기적인 연결이 없으며, 회전자가 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