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4-03)

전자기기기능장
(2005-04-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부하 임피던스 Z를 얼마로 할 때 부하에 최대 전력이 공급되는가?

  1. 5+j2
  2. 5-j2
  3. 5+j8
  4. 5-j8
(정답률: 82%)
  • 부하에 최대 전력이 공급되려면 전송선로의 효율이 최대가 되어야 합니다. 전송선로의 효율은 전송선로의 내부 임피던스와 부하 임피던스가 일치할 때 최대가 됩니다. 따라서 부하 임피던스는 전송선로의 내부 임피던스와 일치해야 합니다. 이 회로에서 전송선로의 내부 임피던스는 50Ω이므로 부하 임피던스는 50Ω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5+j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CPU의 동작속도를 결정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어드레스 버스의 길이
  2. 명령의 구성형식 및 종류
  3. CPU의 클럭 주파수
  4. 기억장치와 제어장치
(정답률: 92%)
  • CPU의 클럭 주파수는 CPU가 일정 시간 동안 명령어를 처리하는 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클럭 주파수가 높을수록 CPU는 더 많은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더 빠른 속도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PU의 동작속도를 결정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CPU의 클럭 주파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VTR 헤드의 클리닝 방법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전용의 클리닝 테이프를 사용한다.
  2. 다이프론, 솔벤트 나프사 등을 캐라코와 같은 천에 스며들게 하여 닦아 낸다.
  3. 문지르는 방향은 헤드 회전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한다.
  4. 헤드에 이물질이 응고되어 있으면 손가락 끝으로 다소 힘을 가하여 문지른다.
(정답률: 92%)
  • "다이프론, 솔벤트 나프사 등을 캐라코와 같은 천에 스며들게 하여 닦아 낸다." 가장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유는 다이프론, 솔벤트 나프사 등의 화학물질은 VTR 헤드를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용 클리닝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알코올 등의 안전한 청소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문지르는 방향은 헤드 회전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한다." 이유는 VTR 헤드의 회전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문지르면 먼지나 이물질이 헤드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문지르면 먼지나 이물질이 더욱 밀착되어 제거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푸시풀(push-pull)B급 Tr 전력 증폭기에 사용되는 Tr의 컬렉터 손실(Pc)은 희망 최대 출력의 몇 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1. 2배
  2. 1/2배
  3. 5배
  4. 1/5배
(정답률: 98%)
  • 푸시풀 B급 증폭기에서는 두 개의 Tr이 180도 위상차를 이루어서 신호를 증폭시키는데, 이때 두 Tr의 출력이 합쳐지는 곳에서 손실이 발생합니다. 이 손실은 최대 출력의 약 1/2배 정도가 됩니다. 따라서 컬렉터 손실이 희망 최대 출력의 1/5배 이상이어야 하는 것은 넉넉한 여유를 가지고 설계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저항 4[Ω], 유도 리액턴스 3[Ω]이 직렬일 때 5[A]의 전류가 흐른다면 이 회로에 가한 전압은?

  1. 15[V]
  2. 20[V]
  3. 25[V]
  4. 35[V]
(정답률: 85%)
  • 전압 = 전류 x 임피던스 = 전류 x (저항 + 리액턴스)

    여기서 임피던스는 전기적으로 흐르는 전류에 대한 장애물의 총합으로, 저항과 리액턴스의 합입니다.

    따라서 전압 = 5[A] x (4[Ω] + 3[Ω]) = 35[V]

    따라서 정답은 "35[V]"가 되지만, 보기에서는 "25[V]"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이 근사치이기 때문에,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하여 계산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반가산기에서 자리 올림 신호(Co)의 논리식은?

  1. A + B  
  2. A ⋅ B
  3. A⊕B
(정답률: 87%)
  •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A, B)과 두 개의 출력(S, Co)를 가지며, S는 덧셈 결과를, Co는 자리 올림 신호를 나타냅니다.

    자리 올림 신호는 A와 B가 모두 1일 때 발생하므로, 논리곱(AND) 연산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마이크의 감도(sensitivity)를 말할 때 0[dB]는 개방단 전압이 얼마인 때인가?

  1. 1 [mV]
  2. 1 [μA]
  3. 1 [V]
  4. 0.775 [V]
(정답률: 73%)
  • 0[dB] 감도는 개방단 회로에서 1[V]의 입력 신호에 대해 출력 신호가 0[dB]인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T 플립-플롭을 사용하여 8분주 회로를 만들 때 최소 몇 개가 필요한가?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95%)
  • 8분주 회로를 만들기 위해서는 3개의 T 플립-플롭이 필요합니다. 이는 T 플립-플롭이 2진수 카운터를 구성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3개의 T 플립-플롭을 사용하면 2^3=8개의 서로 다른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8분주 회로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N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불순물이 아닌 것은?

  1. P
  2. As
  3. B
  4. Sb
(정답률: 85%)
  • 정답은 "B"입니다. N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전자를 기증하는 불순물이 필요합니다. "P", "As", "Sb"는 모두 전자를 기증하는 불순물이지만, "B"는 전자를 받아들이는 불순물입니다. 따라서 "B"는 N형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COLOR TV에서 흑백 방송은 정상으로 수상되지만 COLOR 방송을 수상했을 때는 색이 전혀 나타나지 않을 경우의 고장은?

  1. Y신호 증폭 회로
  2. 대역 증폭 회로
  3. 매트릭스 회로
  4. 컨버전스 회로
(정답률: 91%)
  • 대역 증폭 회로는 색상 신호를 전달하는 데 필요한 색상 정보를 담고 있는 색차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대역 증폭 회로가 고장이 나면 색상 정보가 전달되지 않아 색이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라운드니스 컨트롤 회로의 특성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저역 특성만을 올려주기 위한 회로이다.
  2. 고역 특성만을 올려주기 위한 회로이다.
  3. 저역과 고역 특성을 올려주기 위한 회로이다.
  4. 중역 특성을 올려주기 위한 회로이다.
(정답률: 87%)
  • 라운드니스 컨트롤 회로는 저역과 고역 특성을 모두 올려주는 회로입니다. 이는 고역에서는 콘덴서가 저항으로 작용하여 저역을 올리고, 저역에서는 인덕터가 저항으로 작용하여 저역을 올려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역과 고역 특성을 올려주기 위한 회로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란?

  1. 직접 호출방식이다.
  2. 종합 호출 통신망이다.
  3. 종합 정보 통신망이다.
  4. 개별 호출 통신망이다.
(정답률: 88%)
  • ISDN은 여러 종류의 통신 서비스를 하나의 통신망으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디지털 신호에서 표본화정리(샘플링주파수)로 원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식은? (여기서 fS는 샘플링주파수, f0는 원신호주파수이다.)

  1. fS ≤ 1/2f0
  2. fS ≥ 1/2f0
  3. fS ≤ 2f0
  4. fS ≥ 2f0
(정답률: 78%)
  • 원신호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샘플링 주파수가 원신호의 최대 주파수인 f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이는 나이퀴스트-샘플링 정리에 의해 증명된 사실이다. 따라서 정답은 "fS ≥ 2f0"이다. 만약 샘플링 주파수가 f0보다 작으면, 원신호의 일부 주파수成분이 잃어버리게 되어 원신호를 완벽하게 복원할 수 없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제어계의 출력신호와 입력신호와의 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미분함수
  2. 적분함수
  3. 제어함수
  4. 전달함수
(정답률: 98%)
  • 제어계의 출력신호와 입력신호와의 비를 전달함수라고 합니다. 이는 제어계에서 입력신호를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함수이기 때문입니다. 즉, 입력신호가 제어계를 통과하여 출력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전달함수가 사용되며, 이 함수는 제어계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달함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아래의 논리식을 간략화 하면?

  1. Y = A 
  2. Y = B 
  3.  
(정답률: 81%)
  • 논리식을 간략화하면 Y = B  이다. 이유는 AND 게이트의 입력이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므로, A와 B 중에서 B가 참일 때만 Y가 참이 된다. 따라서 Y = B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PM 방식의 원리 설명으로 FM 변조기 앞에 어떤 회로를 삽입하면 PM파를 얻을 수 있는가?

  1. 적분회로
  2. 미분회로
  3. 위상 변조기
  4. 평형 변조기
(정답률: 82%)
  • PM 방식은 주파수 변조 방식 중 하나로, 변조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변조 신호의 위상 변화량에 따라 변조된 신호의 진폭이 변화하게 됩니다.

    따라서, FM 변조기 앞에 미분회로를 삽입하면 변조 신호의 위상 변화량을 미분하여 변조된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PM파를 생성하는 원리와 일치하므로, 미분회로를 삽입하면 PM파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적분회로를 삽입하면 위상 변화량이 아닌 위상 자체를 변화시키는 효과를 얻으므로 PM파를 얻을 수 없습니다. 위상 변조기와 평형 변조기는 PM 방식과는 다른 방식의 변조를 수행하므로, PM파를 얻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같은 보빈위에 동일한 권수로 인덕턴스 L[H]의 코일 2개를 접근해서 감고 이것을 직렬로 접속했을 때 합성 인덕턴스는? (단, 결합계수는 0.8로 한다.)

  1. 0.4L[H]
  2. 2L[H]
  3. 3.6L[H]
  4. 4L[H]
(정답률: 89%)
  • 두 코일의 합성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L_total = L1 + L2 + 2M

    여기서 M은 두 코일의 결합 인덕턴스이며, 결합계수가 0.8이므로 M = 0.8√(L1L2)입니다.

    따라서,

    L_total = L1 + L2 + 1.6√(L1L2)

    같은 보빈위에 있으므로 L1 = L2 = L라고 가정하면,

    L_total = 2L + 1.6√(L^2) = 2L + 1.6L = 3.6L

    따라서 정답은 "3.6L[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저주파 증폭기에서 다루는 측정 내용과 가장 관계없는 것은?

  1. 주파수 특성
  2. 위상 특성
  3. 의율 특성
  4. 변조 특성
(정답률: 72%)
  • 저주파 증폭기는 주로 저주파 신호를 증폭하는데 사용되며, 이때 측정하는 내용으로는 주파수 특성, 위상 특성, 의울 특성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변조 특성은 저주파 증폭기에서 다루는 내용과는 크게 관련이 없습니다. 변조 특성은 일반적으로 고주파 신호를 다루는 데 사용되며, 저주파 증폭기에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측정 내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변조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모뎀(Modem)이란?

  1. 위성통신 변조기
  2. 지구국 복조기
  3. 무선항로 표시기
  4. 데이터통신 변Χ복조기
(정답률: 95%)
  • 모뎀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변조기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복조기로 구성된 데이터통신 변조복조기입니다. 따라서 "데이터통신 변Χ복조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 고주파 증폭 회로를 부가하면?

  1. 감도가 나빠진다.
  2. 선택도가 좋아진다.
  3. 영상신호 방해가 증가한다.
  4. 신호대 잡음비가 낮아진다.
(정답률: 91%)
  •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 고주파 증폭 회로를 부가하면 선택도가 좋아진다. 이는 고주파 증폭 회로가 수신기의 선택도를 향상시켜주기 때문이다. 선택도란 수신기가 원하는 주파수 신호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능력을 말하며, 고주파 증폭 회로는 이 선택도를 높여주어 원하는 신호를 더 잘 받아들일 수 있게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입력 신호 없이 펄스(pulse) 출력을 만드는 회로는?

  1.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2.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3.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4. 플립-플롭(Flip-Flop) 회로
(정답률: 69%)
  •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양수 피드백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펄스를 생성하는 회로이기 때문에 입력 신호 없이도 펄스 출력을 만들 수 있습니다. 즉, 회로 내부에서 자가진동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출력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 없이도 펄스를 만들 수 있는 회로는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역율이 0.001인 콘덴서 Q의 값은?

  1. 100
  2. 1000
  3. 1
  4. 10
(정답률: 94%)
  • 역율은 Q의 손실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역율이 작을수록 Q의 손실이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역율이 0.001인 콘덴서 Q의 값은 손실이 매우 크다는 것을 나타내며, 보기 중에서 손실이 가장 적은 값은 100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인터럽트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입ㆍ출력을 행할 경우 데이터 하나하나에 대해 CPU가 제어하기 때문에 고속처리를 할 때는 비효율적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PU를 통하지 않고 입ㆍ출력장치와 메모리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CTC
  2. PIPO
  3. DMA
  4. NMI
(정답률: 98%)
  • 정답은 "DMA"입니다. DMA는 Direct Memory Access의 약자로, CPU를 거치지 않고 입ㆍ출력장치와 메모리 사이에서 데이터를 직접 주고받는 방식입니다. CPU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처리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에서 데이터의 입ㆍ출력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DMA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녹음기에서 테이프를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게 하는 것은?

  1. 캡스턴과 핀치롤러
  2. 핀치롤러와 텐션암
  3. 캡스턴과 테이프 가이드
  4. 테이프 가이드와 테이프 패드
(정답률: 88%)
  • 녹음기에서 테이프를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게 하는 것은 캡스턴과 핀치롤러입니다. 캡스턴은 테이프를 감아주는 역할을 하고, 핀치롤러는 테이프를 잡아 끌어당겨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게 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부품이 함께 작동하여 테이프를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아래의 논리회로와 등가인 논리회로는?

(정답률: 87%)
  •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를 통과하여 출력이 1이 되고, 이 출력이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서 출력이 1이 됩니다. 따라서, A와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등가인 논리회로는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순차처리만 가능한 보조기억장치는?

  1. 자기디스크
  2. 자기드럼
  3. 자기테이프
  4. 플로피디스크
(정답률: 88%)
  • 자기테이프는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방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순차처리만 가능한 보조기억장치입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임의로 접근하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가 불가능하며,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정류 회로의 직류 전압이 300[V]이고, 리플 전압이 3[V]이었다. 이 회로의 리플 함유율은?

  1. 1[%]
  2. 2[%]
  3. 3[%]
  4. 10[%]
(정답률: 88%)
  • 리플 함유율은 리플 전압과 직류 전압의 비율로 나타낸 값입니다. 따라서 리플 함유율은 (리플 전압 / 직류 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3[V] / 300[V]) x 100 = 1[%]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 혹은 인터페이스 장치간의 정보를 교환하는 통로로서 양쪽 방향 모두 정보전달이 가능한 것은?

  1. 어드레스 버스
  2. 데이터 버스
  3. I/O 버스
  4. 모뎀
(정답률: 85%)
  • 데이터 버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 혹은 인터페이스 장치간의 정보를 양방향으로 전달하는 통로입니다. 따라서 데이터 버스는 정보를 주고받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16개의 address을 가진 processor를 이용한 장비에서 직접적으로 addressing을 할 수 있는 address 수는 몇 개인가?

  1. 65,536
  2. 65,535
  3. 256
  4. 255
(정답률: 100%)
  • 16개의 address를 가진 processor는 2^16 (65536) 개의 주소를 직접적으로 addressing할 수 있습니다. 이는 16개의 address bit로 표현 가능한 모든 주소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5,53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자동제어에서 제어량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압력
  2. 속도
  3. 시간
  4. 주파수
(정답률: 79%)
  • 압력, 속도, 주파수는 모두 제어량의 종류로 사용될 수 있지만, 시간은 제어량이 아니라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매개 변수입니다. 시간은 제어량이 아니라 제어 시스템의 입력 또는 출력 신호의 시간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시간은 자동제어에서 제어량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아래의 동기 카운터는 몇 진으로 동작하는가?

  1. 2진
  2. 3진
  3. 4진
  4. 5진
(정답률: 91%)
  • 동기 카운터는 3개의 플립플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플립플롭은 2진수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전체 동기 카운터는 2진수 3자리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플립플롭은 0부터 2까지의 값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총 3진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기 카운터는 3진으로 동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순서 논리 회로(sequential logic circuit)의 구성을 나타낸 것은?

  1. 감산 회로와 논리곱 회로
  2. 가산 회로와 논리합 회로
  3. 조합 회로와 논리 소자
  4. 조합 회로와 기억 소자
(정답률: 91%)
  • 순서 논리 회로는 이전 상태에 따라 현재 상태가 결정되는 회로로, 이전 상태를 기억하는 기억 소자와 조합 회로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조합 회로와 기억 소자"가 정답입니다. 감산 회로와 논리곱 회로, 가산 회로와 논리합 회로는 조합 회로에 해당하며, 논리 소자는 순서 논리 회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공진 회로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R-L-C 직렬공진회로에서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늦다.
  2. R-L-C 직렬공진회로에서 전압확대비 Q는 R/wL 이다.
  3. R-L-C 병렬공진회로의 임피던스(Impedance)는 최대가 된다.
  4. R-L-C 병렬공진회로에는 최대의 전류가 흐른다.
(정답률: 73%)
  • R-L-C 병렬공진회로에서 임피던스는 R, L, C의 값에 따라 변화하며, 특정 주파수에서는 최소가 되는데 이를 공진주파수라고 합니다. 이 때, 공진주파수에서는 R의 영향을 받지 않고 L과 C의 반작용으로 인해 임피던스가 최소가 되므로, 최대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R-L-C 병렬공진회로의 임피던스(Impedance)는 최대가 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서브루틴(subroutine)호출시 복귀 주소를 저장하는 곳은?

  1. ROM
  2. pointer
  3. stack
  4. program counter
(정답률: 90%)
  • 서브루틴 호출시에는 현재 실행중인 코드의 주소를 저장하고, 서브루틴이 끝나면 이전 코드로 돌아가야 합니다. 이를 위해 호출한 코드의 주소를 저장하는 곳이 필요한데, 이를 스택(stack)이라고 합니다. 스택은 후입선출(LIFO) 구조로 되어 있어서, 가장 최근에 저장된 주소가 가장 먼저 꺼내지게 됩니다. 따라서 서브루틴이 끝나면 스택에서 저장된 주소를 꺼내어 이전 코드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AB 단자에 V=Vm sinwt[V]를 공급했을 때, AC 양단의 전압은?

  1. 2Vm
  2. 3Vm
  3. 4Vm
  4. 5Vm
(정답률: 98%)
  • AC 양단은 전압이 공급되는 AB 단자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AB 단자에 공급된 전압과 동일한 전압이 AC 양단에도 걸리게 됩니다. 따라서 AC 양단의 전압은 Vm sinwt[V]입니다.
    즉, 정답은 "2Vm"이 아닌 "Vm sinwt[V]"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Vm"이 아닌 "Vm sinwt[V]"가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마이크로컴퓨터(microcomputer) 명령의 분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전송 명령
  2. 연산 명령
  3. 제어 명령
  4. 승산 명령
(정답률: 88%)
  • 승산 명령은 마이크로컴퓨터 명령의 분류 중에서는 연산 명령에 속하지만, 보기에서는 연산 명령과 구분하여 나열되어 있으므로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입출력 장치와 주기억 장치를 연결하는 중개 역할을 하는 것은?

  1. Bus
  2. Buffer
  3. Channel
  4. Device
(정답률: 83%)
  • 입출력 장치와 주기억 장치를 연결하는 중개 역할을 하는 것은 "Channel" 입니다. 이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경로로, 데이터를 주기억 장치와 입출력 장치 사이에서 전송하며,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고, 데이터 전송 중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Channel은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fα=2[MHz]인 Tr를 이미터 접지로 사용한 경우 β 차단 주파수 fβ는? (단, hfb=0.98)

  1. 10 [kHz]
  2. 20 [kHz]
  3. 30 [kHz]
  4. 40 [kHz]
(정답률: 63%)
  • β 차단 주파수 fβ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fβ = fα / (β + 1)

    여기서 β는 전류 증폭 계수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β = hfb x (Rc / re)

    여기서 hfb는 전류 증폭도, Rc는 콜렉터 저항, re는 에미터 저항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Tr을 이미터 접지로 사용하므로, Rc = ∞, re = 0이 됩니다. 따라서 β는 무한대가 되고, fβ는 0에 수렴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 [kHz]", "20 [kHz]", "30 [kHz]"가 아니라, "40 [kHz]"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10진수 5에 대한 3초과 코드로 올바른 것은?

  1. 1010
  2. 0001
  3. 1000
  4. 0101
(정답률: 91%)
  • 10진수 5를 3초과 코드로 나타내면 1000입니다. 이유는 3초과 코드는 2진수로 나타내었을 때 첫 번째 자리가 항상 1이고, 나머지 자리는 해당 숫자의 2진수와 같습니다. 5의 2진수는 101이므로, 첫 번째 자리에 1을 더해주면 3초과 코드인 10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시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회로의 응용 회로가 아닌 것은?

  1. 전압 비교회로
  2. D-A 변환회로
  3. 쌍안정회로
  4. A-D 변환회로
(정답률: 92%)
  • 시미트 트리거 회로는 주로 전압 비교 회로, 쌍안정 회로, A-D 변환 회로 등에 응용됩니다. 그러나 D-A 변환 회로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이므로 시미트 트리거 회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D-A 변환 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VU 미터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음량계이다.
  2. 단위로는 데시벨을 사용한다.
  3. 음향기기의 음성 전압의 크기를 감시한다.
  4. 일종의 정류형 전압계이다.
(정답률: 56%)
  • 정답은 "일종의 정류형 전압계이다."이다. VU 미터는 일종의 평균값 측정기이며, 음향기기의 음성 전압의 크기를 감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측정된 값은 데시벨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에서 스위치(S.W)를 닫을 때의 충전전류 i(t)[A]는?

(정답률: 86%)
  • 스위치가 닫혀있을 때, 전기회로는 완전한 회로가 되어 전기가 흐를 수 있습니다. 이 때, 전기는 전지에서 출발하여 전구를 통해 다시 전지로 돌아가게 됩니다. 따라서 전류는 전지에서 출발하여 전구를 통해 다시 전지로 돌아가는데, 이 때 전류의 크기는 전지의 전압과 전구의 저항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i(t)는 전지의 전압과 전구의 저항에 따라 결정되며, 이 값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고출력의 연속망을 얻을 수 있고, 주로 전기 방전에 의하여 펌핑이 행해지는 LASER는?

  1. 고체
  2. 액체
  3. 기체
  4. 반도체
(정답률: 92%)
  • LASER는 전기 방전에 의해 에너지가 고체, 액체, 기체, 반도체 등의 활성 매체에 전달되어 발광하는데, 기체 LASER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서, 기체 내 분자들이 에너지를 흡수하고 방출함으로써 빛을 발생시킵니다. 또한, 기체 LASER는 다른 형태의 LASER에 비해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의 회로에서 교류전압 110[V]를 인가하였을 때 전류[I]는?

  1. 3+j11
  2. 3-j11
  3. 1.5+j5.5
  4. 16.5-j5.5
(정답률: 91%)
  • 이 문제는 복소수 전기학의 개념을 이해해야 풀 수 있습니다.

    먼저, 회로를 분석하기 위해 복소수 전기학에서 사용하는 임피던스(impedance)를 계산해야 합니다. 임피던스는 전기회로에서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전압과 전류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저항(resistance)과 리액턴스(reactance)의 합으로 구성됩니다.

    이 회로에서는 저항이 3옴이고, 코일의 리액턴스는 j11옴, 콘덴서의 리액턴스는 -j6옴입니다. 콘덴서의 리액턴스는 용량이 커질수록 작아지므로, 이 경우에는 음수값을 가집니다.

    따라서, 전체 임피던스는 3 + j11 - j6 = 3 + j5옴이 됩니다.

    이제, 인가된 교류전압은 110[V]이므로, 전류는 전압을 임피던스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류 = 110 / (3 + j5) = 16.5 - j5.5 [A]

    따라서, 정답은 "16.5-j5.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은 흑백 TV CRT 회로의 일부이다. 이 회로에서 C와 R의 작용으로 적당한 것은?

  1. 휘도 조정회로
  2. 포커스 회로
  3. 귀선 소거회로
  4. 스포트 킬러회로
(정답률: 77%)
  • C와 R은 스포트 킬러회로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스포트 킬러회로는 화면에 나타나는 밝은 점(스포트)을 제거하기 위한 회로로, C와 R을 이용하여 스포트가 발생하는 부분의 전압을 감소시켜 스포트를 제거한다. 따라서 정답은 "스포트 킬러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AM 수신기의 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고주파 증폭을 크게 하면 발진이 일어난다. 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1. 저주파 증폭을 크게 한다.
  2. 저주파 증폭을 작게 한다.
  3. 수신 주파수를 영상 주파수로 바꾸어 증폭한다.
  4. 수신 주파수를 중간 주파수로 바꾸어 증폭한다.
(정답률: 92%)
  • 고주파 증폭을 크게 하면 발진이 일어나는 이유는, 수신기에서 받은 신호가 고주파 신호로 변환되어 증폭되기 때문입니다. 이 때, 증폭된 신호가 다시 수신 안테나로 되돌아가면서 발진이 일어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신 주파수를 중간 주파수로 바꾸어 증폭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고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여 증폭하므로, 발진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인가전압에 따라 용량이 변화하는 성질을 갖는 반도체는?

  1. 쇼트키 다이오드
  2. 포토 다이오드
  3. 터널 다이오드
  4. 바랙터 다이오드
(정답률: 89%)
  • 바랙터 다이오드는 인가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용량이 감소하는 성질을 갖습니다. 이는 바랙터 다이오드 내부의 pn 접합에서 전하가 모이는 현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인가전압에 따라 용량이 변화하는 성질을 갖는 반도체는 바랙터 다이오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콘(Cone)형 스피커의 저음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임피던스가 커야 한다.
  2. 진동계의 스티프니스(stiffness)를 작게 하고, 진동판의 실효 중량을 크게 한다.
  3. 진동판의 두께를 증가시키고, 보이스 코일을 굵게 한다.
  4. 구경을 작게 하고, 콘에 코루게이션(corrugation)을 많이 넣는다.
(정답률: 95%)
  • 콘형 스피커의 저음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진동판이 더욱 큰 진폭으로 진동할 수 있도록 진동계의 스티프니스를 작게 하고, 진동판의 실효 중량을 크게 해야 합니다. 이는 저음의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더욱 깊고 강력한 저음을 만들어내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진동계의 스티프니스(stiffness)를 작게 하고, 진동판의 실효 중량을 크게 한다."가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직류 전동기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유도 전동기
  2. 직권 전동기
  3. 분권 전동기
  4. 복권 전동기
(정답률: 98%)
  • 유도 전동기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인덕션 모터의 일종으로, 직류 전동기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직권 전동기, 분권 전동기, 복권 전동기는 모두 직류 전동기의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초음파의 응집 작용을 이용한 것이 아닌 것은?

  1. 초음파 집진기
  2. 기름이나 타르의 탈수
  3. 공장에서 나온 폐수의 처리
  4. 화장품 제조
(정답률: 89%)
  • 화장품 제조는 초음파의 응집 작용을 이용한 것이 아닙니다. 초음파 집진기는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초음파를 이용하고, 기름이나 타르의 탈수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과 분리시키는 작업입니다. 또한 공장에서 나온 폐수의 처리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 속에 떠 있는 미세한 먼지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JK 플립플롭에서 J=K=1이고, 클럭 펄스가 가해진 뒤의 출력 상태는? (단, 클럭 펄스가 가해지기 전의 상태를 Q라고 한다.)

  1. 0
  2. 1
  3. Q
(정답률: 91%)
  • JK 플립플롭은 J와 K의 입력에 따라 출력이 변화하는데, J=K=1일 때는 이전 상태의 반대값이 출력된다. 즉, Q가 0이면 1이 출력되고, Q가 1이면 0이 출력된다. 따라서 클럭 펄스가 가해지기 전의 Q 값에 따라 출력이 결정되는데, Q가 0이면 1이 출력되고, Q가 1이면 0이 출력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게이트에 역 바이어스를 가하여 전도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턴-오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이리스터는?

  1. UJT
  2. SUS
  3. GTO
  4. SCS
(정답률: 80%)
  • GTO는 Gate Turn-Off Thyristor의 약자로, 게이트에 역 바이어스를 가하여 전도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턴-오프 시킬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UJT, SUS, SCS는 모두 사이리스터의 일종이지만, GTO만이 게이트에 역 바이어스를 가하여 턴-오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GTO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검파 방식 중에서 진폭 제한기가 필요 없고, 왜율이 가장 낮은 방식은?

  1. 비검파 방식
  2. 슬로프 검파 방식
  3. 게이터드 검파 방식
  4. 포스터실리 검파 방식
(정답률: 72%)
  • 비검파 방식은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전송하는 방식으로, 진폭 제한기가 필요하지 않으며 왜율이 가장 낮습니다. 슬로프 검파 방식은 신호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검파하는 방식으로, 진폭 제한기가 필요하지만 왜율은 비교적 높습니다. 게이터드 검파 방식은 특정 시간대에만 신호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진폭 제한기가 필요하며 왜율은 중간 정도입니다. 포스터실리 검파 방식은 신호를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검출하는 방식으로, 진폭 제한기가 필요하며 왜율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아래의 논리 회로를 논리 식으로 표시하면?

  1. Z=A+B 
  2.  
  3. Z=A+AB
(정답률: 76%)
  • 논리 회로를 보면 A와 B가 OR 게이트로 연결되어 있고, 그 결과가 NOT 게이트로 연결되어 Z를 출력하고 있다. 따라서 A와 B 중 하나라도 1이면 OR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되고, NOT 게이트에 의해 0으로 변환되지 않고 그대로 출력되어 Z가 1이 된다. 반대로 A와 B가 모두 0이면 OR 게이트의 출력이 0이 되고, NOT 게이트에 의해 1로 변환되어 Z가 0이 된다. 이를 논리식으로 표현하면 Z=A+B'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B' 대신 AB가 사용되었으므로 Z=A+AB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원재료가 제품화 되어가는 과정 즉 가공, 검사, 운반, 지연, 저장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검토를 행하는 것은?

  1. 사무공정 분석표
  2. 작업자공정 분석표
  3. 제품공정 분석표
  4. 연합작업 분석표
(정답률: 83%)
  • 제품공정 분석표는 원재료가 제품화 되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공정과정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점을 도출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품공정 분석표는 원재료가 제품화 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파레토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부적합품(불량), 클레임 등의 손실금액이나 퍼센트를 그 원인별, 상황별로 취해 그림의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비중이 작은 항목부터 큰 항목 순서로 나열한 그림이다.
  2. 현재의 중요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발견할 수 있으므로 관리방침을 수립할 수 있다.
  3. 도수분포의 응용수법으로 중요한 문제점을 찾아내는 것으로서 현장에서 널리 사용된다.
  4. 파레토그림에서 나타난 1∼2개 부적합품(불량) 항목만 없애면 부적합품(불량)률은 크게 감소된다.
(정답률: 75%)
  • "파레토그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부적합품(불량), 클레임 등의 손실금액이나 퍼센트를 그 원인별, 상황별로 취해 그림의 왼쪽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비중이 작은 항목부터 큰 항목 순서로 나열한 그림이다."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주세요."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파레토그림의 특징이나 활용 방법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보기는 파레토그림의 구성 요소와 그림의 의미에 대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검사를 판정의 대상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관리 샘플링검사
  2. 로트별 샘플링검사
  3. 전수검사
  4. 출하검사
(정답률: 82%)
  • 출하검사는 제품이 생산되고 나서 최종적으로 제품이 출하되기 전에 수행하는 검사로, 제품의 품질을 확인하고 불량 제품이 출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검사를 판정의 대상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내용은 설비보전조직에 대한 설명이다. 어떤 조직의 형태인가?

  1. 집중보전
  2. 지역보전
  3. 부문보전
  4. 절충보전
(정답률: 82%)
  •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설비보전조직은 각 부문별로 담당자를 두어 부문별 보전을 담당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정답은 "부문보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nP관리도에서 시료군마다 n=100 이고, 시료군의 수가 k=20이며, ΣnP=77이다. 이때 nP관리도의 관리상한선 UCL을 구하면 얼마인가?

  1. UCL = 8.94
  2. UCL = 3.85
  3. UCL = 5.77
  4. UCL = 9.62
(정답률: 67%)
  • UCL = μ + 3σ, 여기서 μ는 평균값, σ는 표준편차를 의미한다. nP관리도에서 μ는 ΣnP/k = 77/20 = 3.85이다. nP관리도에서 σ는 sqrt(ΣnP(1-p)/k)이다. 여기서 p는 불량률이므로, nP관리도에서는 p=0이므로 σ=sqrt(ΣnP/k) = sqrt(77/20) = 2.48이다. 따라서, UCL = 3.85 + 3(2.48) = 9.62이다. 따라서, 정답은 "UCL = 9.6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수요예측 방법의 하나인 시계열분석에서 시계열적 변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추세변동
  2. 순환변동
  3. 계절변동
  4. 판매변동
(정답률: 82%)
  • 시계열적 변동은 추세변동, 순환변동, 계절변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 판매변동은 시계열적 변동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판매변동은 일시적인 이벤트나 행사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단기적인 변동으로, 예측 모델에서는 고려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시계열분석에서는 판매변동을 제외한 추세변동, 순환변동, 계절변동을 고려하여 수요를 예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