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8-07)

식품기사
(2005-08-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품위생학

1.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표백제가 아닌 물질은?

  1. 차아황상나트륨(sodium hyposulfite)
  2. 안식향산나트륨(sodium benzoic acid)
  3. 무수아황산(sulfur dioxide)
  4. 메타중아황산칼륨(potassium metabisulfite)
(정답률: 70%)
  • 안식향산나트륨은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방부제로 사용되며, 표백 작용은 없습니다. 따라서 표백제가 아닌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독버섯 중에서 주로 검출되는 유독성분은?

  1. 솔라닌(solanine)
  2. 무스카린(muscarine)
  3. 테물린(temuline)
  4. 아크로핀(atropine)
(정답률: 85%)
  • 무스카린은 독버섯 중에서 가장 흔하게 검출되는 유독성분 중 하나입니다. 이는 무스카리법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모방하여 신경계를 자극하고, 이로 인해 눈의 동공 수축, 심장박동 증가, 땀샘 분비 증가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증상은 중독이 심각해질수록 더욱 악화되며, 심한 경우에는 호흡곤란, 경련, 혼수 상태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식품의 포장이나 용기에 가장 대표적인 플라스틱은 유기고분자화합물로서 단량체의 중합반응을 통해 합성된다. 다음 중 인체에 미칠 수 있는 플라스틱 성분이 아닌 것은?

  1. 염화비닐
  2. styrene dimer
  3. DOP
  4. Malathion
(정답률: 40%)
  • Malathion은 농약으로서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성분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식품공장의 위생관리를 위한 새로운 기법으로 위해분석을 기초로 전체 제조공정 중 엄격한 미생물 관리를 할 부분을 정하여 합리적이고 조직적으로 관리하려는 제도는?

  1.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제도
  2. Quality Control제도
  3. Cold Chain제도
  4.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제도
(정답률: 80%)
  • HACCP제도는 위해요인 분석을 통해 제조과정 중 위험한 지점을 파악하고, 그 지점에서 엄격한 관리를 통해 위생적인 제품을 생산하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식품공장의 위생관리를 위한 새로운 기법으로 적합합니다. GMP제도는 제조과정 전반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Quality Control제도는 제품의 품질을 검사하는 제도입니다. Cold Chain제도는 제품의 온도를 유지하는 제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독미나리의 독성분인 것은?

  1. 솔라닌(solanine)
  2. 셉신(sepsin)
  3.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
  4. 시큐톡신(cicutixin)
(정답률: 80%)
  • 독미나리의 독성분은 시큐톡신(cicutixin)입니다. 이는 식물의 뿌리, 줄기, 잎에 존재하는 강력한 신경독소로, 중추신경계를 마비시켜 호흡을 멈추게 하거나 경련을 일으키는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식중독 세균과 주요원인식품의 연결이 부적절한 것은?

  1. 병원성 대장균 - 생과일주스
  2. 살모넬라균 - 계란
  3.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늄 - 통조림식품
  4. 바실러스 세레우스 - 햄
(정답률: 57%)
  • 정답은 "바실러스 세레우스 - 햄"이다. 바실러스 세레우스는 햄과 같은 가공육류에서 발견되는 세균으로, 식중독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이 세균은 고온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에, 가공육류를 충분히 익히지 않고 섭취하면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햄과 같은 가공육류는 충분히 익혀서 섭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환자의 소변에 균이 배출되어 소독에 유의해야 되는 전염병은?

  1. 장티푸스
  2. 콜레라
  3. 이질
  4. 디프테리아
(정답률: 80%)
  • 장티푸스는 장관 내에 있는 살모넬라균이 원인인 전염병으로, 환자의 소변에 균이 배출됩니다. 따라서 소독에 유의해야 합니다. 콜레라는 대장균이 원인이며, 이질은 대장균, 살모넬라균 등이 원인입니다. 디프테리아는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박테리아가 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대장균의 존재를 추정하는 시험은 어떻게 하는가?

  1. 포도당 부이온(glucose bouillon) 배지에서 배양하여 가스발생 유무를 본다.
  2. 포도당 부이온(glucose bouillon) 배지에서 배양하여 변색 유무를 본다.
  3. 유당 부이온(lactose bouillon) 배지에서 배양하여 가스 발생유무를 본다.
  4. 엔도 (Endo)배지에서 배양하여 변색 유무를 본다.
(정답률: 70%)
  • 대장균은 유당을 분해하여 가스를 발생시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유당 부이온(lactose bouillon) 배지에서 배양하여 가스 발생유무를 본다. 포도당 부이온(glucose bouillon) 배지에서는 대장균이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변색 유무를 본다는 것은 대장균과는 관련이 없는 시험 방법이므로 선택지에서 제외된다. 엔도(Endo) 배지는 대장균을 검출하기 위한 배지 중 하나이지만, 유당 부이온(lactose bouillon) 배지보다는 검출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선택지에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저온 유통이 식품의 품질에 미치는 바람직한 영향이 아닌 것은?

  1. 산화반응속도 저하
  2. 효소반응속도 저하
  3. 미생물 번식 억제
  4. 식품보존료 사용
(정답률: 83%)
  • 식품보존료 사용은 저온 유통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식품의 보존에 다른 방법으로 기여합니다. 따라서 저온 유통이 식품의 품질에 미치는 바람직한 영향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복어중독의 독소는?

  1. 솔라닌
  2. 테트로톡신
  3. 미틸로톡신
  4. 무스카린
(정답률: 91%)
  • 복어중독의 독소는 테트로톡신입니다. 이는 복어의 내장과 가시에 존재하는 박테리아가 생성하는 신경독소로, 인체 신경계에 영향을 주어 마비와 호흡장애를 일으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부패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1. 탈수
  2. 훈연
  3. 염장 및 담장
  4. 자외선 및 방사선의 차단
(정답률: 75%)
  • 자외선 및 방사선의 차단은 부패를 억제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식품을 건조시켜 부패를 억제하는 방법이므로 부적당한 것이다. 탈수는 물분자를 제거하여 식품 내의 물분자 비율을 줄이는 것이고, 훈연은 연기를 이용하여 식품 표면에 묻은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염장 및 담장은 소금이나 식초 등의 조미료를 이용하여 식품 내의 미생물을 억제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사용 허가된 유화제가 아닌 것은?

  1. Glycerin fatty acid ester
  2. Sucrose fatty acid ester
  3. Sorbitan fatty acid ester
  4. Mannose fatty acid ester
(정답률: 35%)
  • Mannose fatty acid ester은 사용 허가가 되지 않은 유화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이타이이타이 질환은 카드뮴이 인체에 축적되어 나타나는 만성적 질환이다. 카드뮴에 의해 가장 큰 해를 받는 기관은 무엇인가?

  1. 중추신경계
  2. 심장
  3. 신장
(정답률: 59%)
  • 카드뮴은 신장에서 가장 많이 축적되며, 신장 기능을 저해하여 이타이이타이 질환을 유발한다. 따라서 신장이 가장 큰 해를 받는 기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경구전염 되어 유행성 간염을 일으키는 병원체로서 주로 오염된 음식물 섭취로 인해 발생되는 것은?

  1. HIV 바이러스
  2. Noro 바이러스
  3. Hepatitis A 바이러스
  4. Poilo 바이러스
(정답률: 51%)
  • Hepatitis A 바이러스는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인체에 침입하여 간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이기 때문입니다. HIV 바이러스는 성적 접촉이나 혈액을 통한 감염으로 전파되며, Noro 바이러스는 손으로 전파되는 위장관 감염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입니다. Polio 바이러스는 손으로 전파되는 소아마비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방사능 핵종 중 식품을 경유하여 인체에 들어왔을 때 특히 반감기가 길고 뼈의 칼슘성분과 친화성이 있어서 문제되는 것은?

  1. 스트론튬 90(Sr-90)
  2. 세시움 137(Cs-137)
  3. 요오드 131(I-131)
  4. 코발트 60 (Co-60)
(정답률: 74%)
  • 스트론튬 90(Sr-90)은 뼈의 칼슘성분과 친화성이 높아서 뼈에 쉽게 흡수되고, 반감기가 길어서 인체 내에 오랫동안 머무르기 때문에 인체에 큰 문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장염비브리오균에 의한 식중독의 가장 큰 원인식품이라고 볼 수 있는 식품은?

  1. 우유
  2. 음료수
  3. 어패류
  4. 연제품
(정답률: 95%)
  • 장염비브리오균은 주로 해산물이나 어패류에서 발견되며, 이들 식품이 적절한 조리나 보관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패류가 식중독의 가장 큰 원인식품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정수시설(正數施設)의 침전지에서 약품침전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1. 명반
  2. 붕산
  3. 염소
  4. 표백분
(정답률: 72%)
  • 약품침전의 목적은 불순물을 제거하여 더 깨끗한 물을 얻기 위함입니다. 이 중에서도 명반은 물 속에 떠다니는 불순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정수시설에서 약품침전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붕산은 살균제로 사용되고, 염소와 표백분은 소독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유해 합성 착색료는?

  1. 둘신(dulcin)
  2. 아우라민(auramine)
  3. 사이클라메이트(cyclamate)
  4. 포르말린(formalin)
(정답률: 63%)
  • 아우라민은 항암제로 사용되는 화합물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해 합성 착색료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식품공장에서 사용하는 용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본적인 처리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여과
  2. 경화
  3. 연화
  4. 침전
(정답률: 66%)
  • 정답인 "경화"는 용수 처리 방법 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용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여과, 연화, 침전과는 달리, 용수를 경화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식품공장에서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경화란 용수를 고체 상태로 만드는 것으로, 식품공장에서는 오히려 용수를 액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노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분변 오염의 지표로 이용되는 대장균의 MPN(Most Probable Number) 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검체에 10ml 중 있을 수 있는 대장균균수
  2. 검체에 100ml 중 있을 수 있는 대장균균수
  3. 검체에 10g 중 있을 수 있는 대장균균수
  4. 검체에 100g 중 있을 수 있는 대장균균수
(정답률: 83%)
  • 정답은 "검체에 100ml 중 있을 수 있는 대장균균수"입니다. MPN 검사는 대장균의 존재 여부와 더불어 대장균의 수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이 때, 검체의 양이 많을수록 대장균의 수가 더 정확하게 파악될 수 있기 때문에 검체의 양은 많을수록 좋습니다. 따라서, 검체에 100ml 중 있을 수 있는 대장균균수가 MPN 검사에서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품화학

21. 지방을 많이 함유한 식품이 저장 중에 향이 변화하여 먹기 전에 다음에 설명하는 방법으로 보관하였더니 신선한 향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 경우에 처리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식품을 냉동 칸에 보관하였다.
  2. 식품 용기의 헤드스페이스(head space)에 산소를 충진하였다.
  3. 진공포장을 해 두었다.
  4. BHT와 BHA를 첨가하였다.
(정답률: 63%)
  • 지방을 많이 함유한 식품을 보관할 때, 식품 용기의 헤드스페이스에 산소를 충진하는 것은 오히려 지방이 산화되어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처리한 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식품 용기의 헤드스페이스(head space)에 산소를 충진하였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어류의 비린내 성분과 거리가 먼 것은?

  1. 피페리딘(piperidine)
  2.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3. δ-아미노바레르산(δ-aminovaleric acid)
  4.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iocyanate)
(정답률: 58%)
  • 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어류에서 발생하는 비린내 성분 중에서 화학 구조가 다른 성분들과는 거리가 먼 성분입니다. 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화학적으로 활발한 성분으로,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다른 비린내 성분들과는 구조와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거리가 먼 성분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콜로이드(colloid)입자가 나타내는 성질이 아닌 것은?

  1. 반투성
  2. 틴달(Tyndall)
  3. 브라운(brown) 운동
  4. 삼투압
(정답률: 59%)
  • 정답: 삼투압

    설명: 콜로이드 입자는 반투성이며, 빛을 산란시켜 틴달 현상을 나타내며, 브라운 운동을 보입니다. 하지만 삼투압은 콜로이드 입자의 크기와 농도에 따라 달라지는 압력 차이를 의미하는데, 이는 콜로이드 입자의 성질이 아니라 콜로이드 용액의 물리적 특성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펙틴분자내의 고메톡실 펙틴함량(high methoxyl pectin content)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20 ~ 26%
  2. 7 ~ 14%
  3. 3 ~ 6%
  4. 1 ~ 2%
(정답률: 89%)
  • 고메톡실 펙틴은 메톡실화된 카르복시기를 가지고 있어 젤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과도한 메톡실화는 젤 형성을 방해하고, 젤의 안정성을 감소시킵니다. 따라서 고메톡실 펙틴 함량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됩니다. 일반적으로 고메톡실 펙틴 함량은 7 ~ 14%가 가장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7 ~ 1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산성용액에서 광분해 앴을 때 lumichrome 이 되는 것은?

  1. 비타민 B1
  2. 비타민 B2
  3. 비타민 B
  4. 나이아신(naiacin)
(정답률: 63%)
  • 산성용액에서 광분해되어 lumichrome이 되는 것은 비타민 B2이다. 이는 비타민 B2가 빛에 노출되면 분해되어 lumichrome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비타민 B1, 비타민 B, 나이아신은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사후 경직이 일어나는 경우 생성되는 육류단백질은?

  1. 엑토미오신
  2. 미오글로빈
  3. 트리메틸아민
  4. 젤라틴
(정답률: 75%)
  • 사후 경직이 일어나면 근육 내 섬유아구가 근육 내 칼슘 이온 농도 상승으로 인해 근육 수축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ATP가 소모되어 근육 내 pH가 떨어지면서 미오글로빈이 생성됩니다. 이 미오글로빈은 산성 조건에서 엑토미오신으로 변화하게 되는데, 이는 근육 내에서 생성되는 가장 주요한 육류단백질 분해물질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엑토미오신"입니다. 젤라틴은 육류에서 추출되는 단백질이지만, 사후 경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트리메틸아민은 비타민 B4로서, 육류에서는 많이 발견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지방의 소화 · 흡수에 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지방은 비극성 물질이기 때문에 소화 · 흡수 및 체내이동에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는 다른 특별한 수송 기구를 요구한다.
  2. 담즙산염은 지방성분이 위 내용물과 잘 섞이게 유화시켜 주기 때문에 소화 효소의 작용을 쉽게 받게 한다.
  3. 섭취된 유지의 약 20%는 소화되지 않고 체외로 배설된다.
  4. 수용성 지방산은 소장 점막을 통해 직접 문맥으로 흡수되어 간장으로 운반된다.
(정답률: 56%)
  • 섭취된 유지의 약 20%가 소화되지 않고 체외로 배설되는 이유는 지방이 소화되기 위해서는 담즙산염과 소화효소의 작용이 필요한데, 일부 지방은 이러한 과정에서 소화되지 못하고 배설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감자 칩이나 마요네즈와 같이 지방이 함유되거나 갈변화가 예상되는 식품에서 지방 산패나 갈변화 반응을 억제할 목적으로 효소를 이용한다면 어떤 종류의 효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1. polyphenol oxidase, peroxidase
  2. glucose oxidase, catalase
  3. naringinase, tyrosinase
  4. papain, lipoxygenase
(정답률: 49%)
  • 지방 산패나 갈변화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효소가 필요하다. glucose oxidase는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효소로서, 지방 산패를 방지할 수 있다. catalase는 산화반응을 억제하는 효소로서, 지방의 갈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glucose oxidase와 catalas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떫은 맛과 관계가 있는 것은?

  1. 당분 응결제
  2. 배당체 응고제
  3. 지방 응고제
  4. 단백질 응고제
(정답률: 58%)
  • 떫은 맛은 대부분 식물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식물 내부에 있는 단백질이 응고되어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떫은 맛과 관련된 것은 "단백질 응고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분상상이 기체이고 분산매가 액체인 콜로이드 분산 시스템은?

  1. 거품
  2. 팽윤
  3. 유화
  4. 반투성
(정답률: 74%)
  • 콜로이드 분산 시스템에서 분상상이 기체이면서 분산매가 액체인 경우, 분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작은 기포 형태로 분산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포를 거품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거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효모에 의하여 발효되지 않으며 핵산계조미료인 IMP, GMP등의 구성성분을 이루는 당은?

  1. 리보오스(ribose)
  2. 만노오스(mannose)
  3. 갈락토오스(galactose)
  4. 글루코오스(glucose)
(정답률: 50%)
  • IMP와 GMP은 핵산의 구성성분으로, 핵산은 리보오스 당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리보오스(ribose)"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핵산의 구성성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단백질의 열 번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밸질 중에서 알부민과 글로불린이 가장 열 번성이 쉽게 일어난다.
  2. 단백질에 수분이 많으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일어난다.
  3.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동전점에서 가장 열변성이 일어나기 어렵다.
  4. 단백질은 전해질이 있으면 번성온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66%)
  • 정답은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동전점에서 가장 열변성이 일어나기 어렵다." 이다. 이유는 단백질의 동전점은 매우 높은 온도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생물학적 조건에서는 동전점에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백질의 열변성은 일반적으로 동전점보다는 더 낮은 온도에서 일어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채소류의 특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옳지 못한 것은?

  1. 시금치에 많이 함유된 옥살산은 칼슘과 결합하여 불용성 물질을 만들기도 한다.
  2. 채소류에 많이 함유된 비타민 C는 홍당무에 함유된 아스콜베이트 옥시다아제(ascorbate oxidase)에 의해 산화된다.
  3. 무에 함유된 디아스타아제는 단백질의 가수분해를 촉진시키므로 고기류와 함께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선회에 무가 함께 나오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기도 하다.
  4. 갓에 함유된 매운 맛 성분인 시니그린(sinigrin)으로 종자는 겨자분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정답률: 43%)
  • "무에 함유된 디아스타아제는 단백질의 가수분해를 촉진시키므로 고기류와 함께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선회에 무가 함께 나오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기도 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무에 함유된 디아스타아제는 단백질의 가수분해를 촉진시키는 것이 아니라, 탄수화물을 분해하는 효소이다. 따라서 고기류와 함께 먹는 것이 바람직한 이유는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우유에 68% 알콜을 첨가하였을 때 응고 침전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가공품은?

  1. 치즈
  2. 마가린
  3. 발효유
  4. 버터
(정답률: 57%)
  • 알콜을 첨가하면 우유 단백질이 응고되어 침전되는 성질을 가지게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유가공품은 발효유입니다. 발효유는 우유에 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제품으로, 우유 단백질이 응고되어 침전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알콜을 첨가하여 우유 단백질을 응고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발효유를 제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과실류의 이화학적 특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감이 떫은 것은 탄닌 성분 때문이며, 탈삽에 의하여 탄닌 성분을 당분으로 전환하여 단맛을 부여한다.
  2. 귤은 펙틴 성분이 많고 쓴맛을 내는 헤스페리딘(hesperidin)성분이 통조림 제조 시에는 백탄의 원인이 된다.
  3. 과실이 익어감에 따라 연해지는 것은 불용성의 프로토펙틴(protopectin)이 가용성의 펙틴(pectin)으로 변화되기 때문이다.
  4. Climacteric rise란 과실을 수확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호흡량이 특이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정답률: 39%)
  • "귤은 펙틴 성분이 많고 쓴맛을 내는 헤스페리딘(hesperidin)성분이 통조림 제조 시에는 백탄의 원인이 된다."가 틀린 것이다.

    감이 떫은 것은 탄닌 성분 때문이며, 탈삽에 의하여 탄닌 성분을 당분으로 전환하여 단맛을 부여한다는 것은 감의 특징이다.

    귤은 펙틴 성분이 많고 쓴맛을 내는 헤스페리딘(hesperidin)성분이 통조림 제조 시에는 백탄의 원인이 된다는 것은 귤의 특징이다.

    과실이 익어감에 따라 연해지는 것은 불용성의 프로토펙틴(protopectin)이 가용성의 펙틴(pectin)으로 변화되기 때문이며, Climacteric rise란 과실을 수확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호흡량이 특이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는 것도 과일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우유의 응고에 관계하는 금속 이온은?

  1. Mg2+
  2. Mn2+
  3. Ca2+
  4. Cu2+
(정답률: 60%)
  • 우유의 응고는 칼슘 이온에 의해 유발된다. 칼슘 이온은 우유 단백질 중 카제인과 결합하여 응고를 유발한다. 따라서 정답은 "Ca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 식품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효소는? (밀가루 25%, 설탕 4%, 당면 25%, 코코넛유 13%, 생크림 9%, 비타민C 1%, 계면활성제 1%, 수분 2%)

  1. Amylase, cellulase
  2. Lipoxygenase, lipase
  3. Polyphenol oxidase, tyrosinase
  4. Ascorbate oxidase, lactate oxidase
(정답률: 37%)
  • 밀가루, 당면, 코코넛유, 생크림 등 지방이 많은 식품에는 지방 분해 효소인 리파제(lipase)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식품에는 지방이 많아서 저장이나 가공 과정에서 지방이 분해되어 맛이나 질감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또한, 코코넛유는 지방산이 많아서 산화되기 쉬운데, 이때 산화를 촉진하는 효소인 리폭시제(lipoxygenase)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식품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효소는 리파제와 리폭시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고유 광회전도(specific rotation) [α]20d가 좌선성인 단당류는?

  1. α-glucose
  2. β-glucose
  3. galagactose
  4. fructose
(정답률: 24%)
  • 고유 광회전도가 좌선성인 단당류는 fructose입니다. 이는 fructose가 광학적으로 활성인 단당류 중에서 유일하게 5번 탄소에 대해 불규칙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단당류들은 대체로 6면체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고유 광회전도가 우선적으로 나타나는 α- 또는 β- 형태로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육류 단백질을 과잉으로 섭취하게 되면 가수분해 되는 과정에서 완전한 분해가 이루어지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또 한편으로는 우리 몸에 축적이 되는 데 이런 경우 과잉 섭취된 단백질의 최종 주 대사산물인 것은 어느 것인가?

  1. 암모니아 가스
  2. 탄산가스
  3. 크레아틴
  4. 요소
(정답률: 57%)
  • 정답은 "요소"입니다. 과잉 섭취된 단백질은 가수분해 과정에서 아미노산으로 분해되고, 이 아미노산은 간에서 암모니아 가스로 변환됩니다. 암모니아 가스는 우리 몸에서 독성이 있기 때문에 간에서 요소로 변환되어 배출됩니다. 따라서, 과잉 섭취된 단백질의 최종 주 대사산물은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인체 내에서 칼슘(Ca)이 관여하는 기능이 아닌 것은?

  1. ATP의 생성과 함께 근육의 이완을 촉진시킨다.
  2. 알파 아밀라아제와 같은 효소의 활성을 촉진시킨다.
  3. 혈액이 응고될 때 꼭 필요한 성분 중에 하나이다.
  4. 뼈나 치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구성성분이 된다.
(정답률: 28%)
  • 칼슘은 ATP의 생성과 함께 근육의 이완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지 않는다. 칼슘은 알파 아밀라아제와 같은 효소의 활성을 촉진시키고, 혈액이 응고될 때 꼭 필요한 성분 중에 하나이며, 뼈나 치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구성성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식품가공학

41. 된장 숙성의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1. 탄수화물은 아밀라아제의 당화작용으로 단맛이 생성된다.
  2. 당분은 효모의 알콜발효로 알콜 등의 방향물질이 생성된다.
  3. 단백질은 프로테아제에 의하여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어 구수한 맛이 생성된다.
  4. 60~65℃에서 3~5시간 유지하여야 숙성이 잘 된다.
(정답률: 66%)
  • 다른 보기들은 된장 숙성과 관련된 성분들의 역할에 대한 설명이지만, "60~65℃에서 3~5시간 유지하여야 숙성이 잘 된다."는 숙성 조건에 대한 설명이다. 이는 숙성 과정에서 온도와 시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식품의 냉동 저장 중 일어나는 변화로서 냉동해(freezr burn)와 거리가 먼 것은?

  1. 내부의 산화방지
  2. 미세한 구멍 생성
  3. 풍미저하
  4. 단백질의 탈수변형
(정답률: 71%)
  • 냉동 저장 중에는 냉동해(freezer burn)와 함께 미세한 구멍이 생성되고, 풍미가 저하되며, 단백질이 탈수변형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내부의 산화방지"는 냉동 저장 중에 식품 내부의 산화를 방지하여 식품의 신선도와 영양가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냉동 저장 중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햄 제조공정에서 간 먹이기 조작을 하는 주된 이유는?

  1. 저장성 및 풍미 부여
  2. 미생물의 발육 억제
  3. 혈액 제거
  4. 색소 부여
(정답률: 73%)
  • 간 먹이기 조작은 햄 제조과정에서 저장성 및 풍미를 부여하기 위해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소금, 소금물, 설탕, 향신료 등을 사용하여 제품의 맛과 향을 개선하고, 유지하기 위해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합니다. 또한 혈액 제거와 색소 부여도 일부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는 주된 이유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발효유 제품 제조 시 젖산균스타터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우리가 원하는 절대적 다수의 미생물을 발효시키고자 하는 기질 또는 식품에 접종시켜 성장하도록 하므로 원하는 발효가 반드시 일어나도록 해 준다.
  2. 원하지 않는 미생물의 오염과 성장의 기회를 극소화한다.
  3. 균일한 성능의 발효미생물을 사용함으로서 자연발효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제품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우수한 제품을 많이 생산할 수 있다.
  4. 발효미생물의 성장속도를 조정할 수 없어서 공장에서 제조계획에 맞출 수 없다.
(정답률: 86%)
  • 발효유 제품 제조 시 젖산균스타터를 사용하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발효미생물의 성장속도를 조정할 수 없어서 공장에서 제조계획에 맞출 수 없다." 이다. 이유는 발효미생물의 성장속도는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공장에서는 이를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발효미생물의 성장속도를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미생물 자체를 이용한 것은?

  1. 잎단백질 농축물
  2. 단세포 단백질
  3. 어류 단백질 농축물(분말의 단백)
  4. 유량 종자 단백질
(정답률: 73%)
  • 미생물 자체를 이용하는 것은 위험성이 있을 수 있으므로, 대신 단백질을 추출하여 이용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다. 그 중에서도 단세포 단백질은 미생물에서 추출한 단백질 중에서도 안전성과 효능이 검증되어 있어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지의 탈취공정에 가장 알맞은 조건은?

  1. 2~3mmHg의 감압하에서 150~200℃로 가열한 후 수증기 주입
  2. 2~3mmHg의 감압하에서 200~250℃로 가열한 후 수증기 주입
  3. 3~6mmHg의 감압하에서 100~150℃로 가열한 후 수증기 주입
  4. 3~6mmHg의 감압하에서 200~250℃로 가열한 후 수증기 주입
(정답률: 32%)
  • 유지의 탈취공정에서는 유지 내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수증기를 이용한 증류 공정을 사용합니다. 이때 가장 적합한 조건은 적절한 감압과 온도입니다. 3~6mmHg의 감압하에서 가열한 후 수증기를 주입하는 것은 적절한 감압과 온도를 유지하면서도 증류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건입니다. 더 높은 감압이나 낮은 온도는 증류 효율을 저하시키고, 더 높은 온도는 유지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3~6mmHg의 감압하에서 200~250℃로 가열한 후 수증기를 주입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열처리시 온도에 대한 민감성이 가장 큰 것은?

  1. Z값에 10℃인 포자
  2. Z값에 25℃인 효소
  3. Z값에 35℃인 비타민
  4. Z값이 50℃인 색소
(정답률: 71%)
  • Z값은 열처리 과정에서 미생물의 생존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Z값이 낮을수록 미생물은 열에 민감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Z값에 10℃인 포자는 다른 보기들보다 더 높은 민감성을 가지고 있어, 열처리 시 온도에 대한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5℃에서 저장중인 양배추 5000kg의 호흡열 방출에 의한 냉동부하는? (단 5℃에서 양배추의 저장 시 열 방출량은 63W/ton이다.)

  1. 315kJ/h
  2. 454kJ/h
  3. 778kJ/h
  4. 1134kJ/h
(정답률: 25%)
  • 양배추 1톤당 63W의 열 방출량이 있으므로, 5000kg의 양배추는 5000/1000 = 5톤이므로 5 x 63 = 315W의 열을 방출합니다. 이를 시간으로 환산하면 315/1000 = 0.315kW = 315W입니다. 이 값을 1시간 동안 계산하면 315 x 1 = 315kWh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kJ/h로 주어졌으므로, 315kWh를 kJ/h로 변환해야 합니다. 1kWh는 3600kJ이므로, 315kWh는 315 x 3600 = 1134000kJ입니다. 이를 1시간으로 나누면 1134000/1 = 1134000kJ/h = 1134kJ/h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134kJ/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터널형 열풍건조기에 있어서 열풍과 식품이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병류식(竝流式)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건조속도는 입구에서나 출구에서나 큰 차이가 없이 거의 일정하다.
  2. 공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어 소요증발량에 비하여 공기량을 비교적 적게 할 수 있다.
  3. 식품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면 건조의 차가 심한 제품이 되기 쉽다.
  4. 건조속도는 일반적으로 향류식(恒流式)의 것에 비하여 빠르다.
(정답률: 46%)
  • "건조속도는 일반적으로 향류식(恒流式)의 것에 비하여 빠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열풍건조기에서는 열풍과 식품이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병류식(竝流式)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공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어 소요증발량에 비하여 공기량을 비교적 적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건조속도는 입구에서나 출구에서나 큰 차이가 없이 거의 일정합니다. 하지만, 식품의 크기가 균일하지 못하면 건조의 차가 심한 제품이 되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20℃의 물 1톤을 24시간 동안 -15℃의 얼음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냉동능력은 약 얼마인가?

  1. 2.36 냉동톤
  2. 2.10 냉동톤
  3. 1.78 냉동톤
  4. 1.35 냉동톤
(정답률: 35%)
  • 물의 비열은 1kg당 1℃ 온도 상승에 필요한 열량이다. 물의 비열은 1kcal/kg℃ 이므로, 1톤(1000kg)의 물을 20℃에서 -15℃로 냉각하는데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다.

    열량 = 1000kg × 35℃ × 1kcal/kg℃ = 35,000 kcal

    냉동기의 냉동능력은 1시간에 냉각할 수 있는 열량을 나타내는데, 이를 냉동톤으로 표시한다. 1냉동톤은 1시간에 1톤 얼음을 만들 수 있는 냉동능력이다. 따라서 24시간 동안 35,000 kcal의 열량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냉동능력이 필요하다.

    냉동능력 = 35,000 kcal ÷ 24시간 ÷ 1000kg/톤 = 1.458 냉동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1.35 냉동톤"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쌀의 도정 정도를 표시하는 도정률(盜情率)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쌀의 왕겨층이 벗겨진 정도에 따라 표시된다.
  2. 도정된 정미의 무게가 현미 무게의 몇 %인가로 표시된다.
  3. 도정된 쌀알이 파괴된 정도로 표시된다.
  4. 도정과정 중에 손실된 영양소의 %로 표시된다.
(정답률: 74%)
  • 도정률은 쌀의 왕겨층이 벗겨진 정도가 아니라, 도정된 정미의 무게가 현미 무게의 몇 %인가로 표시된다. 이는 쌀의 실제 무게와 도정된 무게를 비교하여 쌀의 품질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통조림의 저장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변질 중 flat sour와 관계가 없는 사항은?

  1. 가스를 생성하지 않는다.
  2. Bacillus 속의 세균에 의한 변질이다.
  3. 한쪽 뚜껑을 누르면 반대쪽 뚜껑이 튀어나온다.
  4. 내용물이 신맛이 난다.
(정답률: 64%)
  • 한쪽 뚜껑을 누르면 반대쪽 뚜껑이 튀어나오는 것은 통조림 내부에 압력이 쌓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통조림 내부의 공기와 내용물의 열팽창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는 flat sour와 관련이 없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알칼리 성분이 달걀흰자를 투명한 적갈색으로 응고시키고, 노른자의 내부는 황갈색으로 되는 계란 가공품은?

  1. 달걀가루
  2. 피단
  3. 동결달걀
  4. 달걀음료
(정답률: 87%)
  • 알칼리 성분인 피단이 달걀흰자를 응고시키고 노른자의 내부를 황갈색으로 만들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만든 계란 가공품이 피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달걀가루는 달걀을 가루로 만든 것이고, 동결달걀은 달걀을 얼린 것이며, 달걀음료는 달걀을 이용하여 만든 음료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유지의 정제공정 중 탈색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원유에는 카로티노이드계 색소, 엽록소 등이 함유되어 보통 황적색을 띠고 있다.
  2. 탈산공정에서도 어느 정도 탈색이 되기는 하나 엽록소 등은 흡착법이 아니면 제거하기 어려우므로 특별히 탈색공정이 필요하다.
  3. 가열탈색법은 손테 기름을 넣고 50℃ 전후로 가열하여 색소를 산화 · 분해시키는 방법이다.
  4. 흡착탈색법은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게 산성백토, 활성백토 및 활성탄소 등의 흡착제를 주로 사용한다.
(정답률: 41%)
  • "가열탈색법은 손테 기름을 넣고 50℃ 전후로 가열하여 색소를 산화 · 분해시키는 방법이다."가 바르지 않은 것이다.

    유지의 정제공정 중 탈색은 원유에 함유된 색소를 제거하는 과정이다. 원유에는 카로티노이드계 색소, 엽록소 등이 함유되어 보통 황적색을 띠고 있다. 탈산공정에서도 어느 정도 탈색이 되기는 하나 엽록소 등은 흡착법이 아니면 제거하기 어려우므로 특별히 탈색공정이 필요하다. 가열탈색법은 손테 기름을 넣고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색소를 산화 · 분해시키는 방법이다. 흡착탈색법은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게 산성백토, 활성백토 및 활성탄소 등의 흡착제를 주로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D값(demical reduction time)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어진 미생물을 일정온도에서 100% 사멸시키는 데 요하는 가열시간이다.
  2. 주어진 미생물을 일정온도에서 90% 사멸시키는 데 요하는 가열시간이다.
  3. 주어진 미생물을 일정온도에서 50% 사멸시키는 데 요하는 가열시간이다.
  4. 주어진 미생물을 일정온도에서 10% 사멸시키는 데 요하는 가열시간이다.
(정답률: 78%)
  • D값은 주어진 미생물을 일정온도에서 90% 사멸시키는 데 요하는 가열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음료용 코코아에 알칼리 처리와 레시틴 코팅(lecithin coating)을 한다면 여기서 레시틴(lecithin)의 주된 기능은?

  1. 향기 부여
  2. 용해성 증가
  3. 흡습성 방지
  4. 색깔 부여
(정답률: 74%)
  • 레시틴은 지질과 수분을 동시에 용해시키는 능력이 있어, 알칼리 처리된 코코아의 용해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음료용 코코아에 레시틴 코팅을 하는 것은 용해성을 높여 더욱 부드러운 맛과 질감을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미생물에 의한 변질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살균 부족
  2. 수소 팽창
  3. 패널링
  4. 관 내면의 부식
(정답률: 74%)
  • 미생물은 살균이 되지 않은 환경에서 번식하고 성장하기 때문에, 살균 부족은 미생물에 의한 변질과 가장 관계가 깊습니다. 살균이 부족하면 미생물이 증식하여 식품이나 의료용품 등에서 부패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수소 팽창, 패널링, 관 내면의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살균은 미생물에 의한 변질을 예방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밀제분에 쓰이는 일반적인 공정 중 옳은 순서인 것은?

  1. 정선 - 순화 - 조질 - 조분쇄 - 사별 - 미분쇄
  2. 정선 - 순화 - 조분쇄 - 사별 - 조질 - 미분쇄
  3. 정선 - 조질 - 순화 - 조분쇄 - 사별 - 미분쇄
  4. 정선 - 조질 - 조분쇄 - 사별 - 순화 - 미분쇄
(정답률: 36%)
  • 밀제분의 일반적인 공정 순서는 "정선 - 순화 - 조질 - 조분쇄 - 사별 - 미분쇄" 입니다.

    - 정선: 밀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선별하는 과정입니다.
    - 순화: 밀을 물에 담가서 부피를 늘리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입니다.
    - 조질: 물기를 제거하고, 밀을 덩어리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 조분쇄: 밀을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과정입니다.
    - 사별: 분쇄된 밀을 크기별로 분류하는 과정입니다.
    - 미분쇄: 분류된 밀을 다시 작은 입자로 분쇄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밀제분의 일반적인 공정 순서는 위와 같이 정선부터 시작하여 미분쇄까지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콩을 이용한 발효식품이 아닌 것은?

  1. 된장
  2. 청국장
  3. 템페
  4. 유부
(정답률: 84%)
  • 유부는 콩을 이용한 발효식품이 아닙니다. 유부는 된장, 청국장, 템페와는 달리 콩을 가공하여 만든 식품입니다. 콩을 끓여 물과 함께 갈아서 두꺼운 판 모양으로 만들고, 이를 잘라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아이스크림 제조 시 냉동기에서 동결할 대 부피 증가율은 연질 아이스크린인 경우 어느 정도가 가장 적당한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70~80%
  2. 90~100%
  3. 10~20%
  4. 30~50%
(정답률: 12%)
  • 연질 아이스크림은 공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동결 시 부피가 증가합니다. 그러나 너무 많이 증가하면 제조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당한 부피 증가율은 30~50%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 범위 안에서는 공기가 적절하게 포함되어 부드러운 식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품미생물학

61. Saccharomyces cerevisiae를 포도 착즙액에 접종하고 협기적으로 배양할 때 주로 생성되는 물질은?

  1. 초산, 물
  2. 젖산, 이산화탄소
  3. 에탄올, 젖산
  4. 이산화탄소, 에탄올
(정답률: 66%)
  • Saccharomyces cerevisiae는 포도당을 발효하여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이 미생물을 포도 착즙액에 접종하고 협기적으로 배양할 때 주로 생성되는 물질은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Pasteur effec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Saccharmyces cerevisiae와 같은 미생물이 발효와 호흡을 모두 하는 현상
  2. 효모의 호기 배양시에는 에탄올 생산량이 낮고 당을 이산화탄소와 물로 완전히 산화시킴
  3. 협기상태에서는 호기상태에서 보다 당 소비속도가 3~4배 증가됨
  4. 호기상태에서는 기질이 TCA 회로를 통하여 완전히 산화되어 adenylate energy charge가 낮게 유지됨
(정답률: 29%)
  • "호기상태에서는 기질이 TCA 회로를 통하여 완전히 산화되어 adenylate energy charge가 낮게 유지됨"이 옳지 않은 것이다. 오히려 호기상태에서는 기질이 부분적으로만 산화되어 에너지 생산이 적어지기 때문에 adenylate energy charge가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당으로부터 알콜을 생성하는 능력은 약하나 내염성이 강한 효모는?

  1. Saccharomyces
  2. Debartomyces
  3. Kluyveromyces
  4. Shizosaccharomyces
(정답률: 27%)
  • Debartomyces는 알콜을 생성하는 능력은 약하지만 내염성이 강한 효모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답은 Debartomyces입니다. 다른 보기들도 알콜을 생성하는 능력이 있지만 내염성이 강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미생물의 순수 분리 방법이 아닌 것은?

  1. 평판 배양법
  2. Lindner의 소적 배양법
  3. Micromanipulater를 이용하는 방법
  4. 모래배양법(토양배양법)
(정답률: 62%)
  • 모래배양법(토양배양법)은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이 아니라, 토양에서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Bacillus subtills의 성질이 아닌 것은?

  1. 바시트라신(bacitracin)이라는 항생물질을 만든다.
  2. 프로테아제(protease)를 생산한다.
  3. 포자를 생성하지 않는다.
  4. 주로 밥이나 빵에서 증식하여 부패하는 경우가 많다.
(정답률: 68%)
  • Bacillus subtillis는 포자를 생성하는 그람 양성균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포자를 생성하지 않는다."는 성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우유를 냉장고에서 장시간 저장 시에 부패취와 쓴맛의 생성, 산패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저온균은?

  1. Pseudomonas 속
  2. Aeromonas 속
  3. Bacillus 속
  4. Clostridium 속
(정답률: 71%)
  • 우유는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등이 함유되어 있어 높은 영양가를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높은 수분 함량으로 인해 빠르게 부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우유의 부패와 산패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저온균 중 하나는 Pseudomonas 속입니다. 이 균은 우유의 단백질과 지방을 분해하여 산성물질을 생성하고, 이로 인해 우유가 산성화되어 쓴맛이 생기며 부패취가 발생합니다. 또한 이 균은 냉장고에서도 적극적으로 번식하여 우유의 유통기한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버섯류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버섯은 분류학적으로 담자균류에 속한다.
  2. 유성적으로는 담자포자 형성에 의해 증식을 하며, 무성적으로는 균사 신장에 의해 증식한다.
  3. 건강보조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동충하초(Cordyceps sp.)도 분류학상 담자균류에 속한다.
  4. 우리가 식용하는 부위인 자실체는 3차균사에 해당된다.
(정답률: 36%)
  • 정답은 "건강보조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동충하초(Cordyceps sp.)도 분류학상 담자균류에 속한다." 이다. 이유는 동충하초는 분류학적으로 담자균류에 속하지만, 실제로는 곤충의 체내에서 생장하는 곤충균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충하초는 담자균류와 곤충균류의 중간에 위치한 특이한 버섯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세포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로 인지질과 단백질로 구성된 이중막이다.
  2. 세포막의 이중막 외부는 소수성을 띄며 내부는 친수성을 띈다.
  3. 세균의 세포막에는 호파노이드(hopanoid)가 존재한다.
  4. 진핵세포의 세포막에는 스테롤(sterol)이 존재한다.
(정답률: 43%)
  • "세포막의 이중막 외부는 소수성을 띄며 내부는 친수성을 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인지질과 단백질로 구성된 이중막이며, 인지질은 지질 분자 중 하나로서 수소 이온을 받아들이지 않아 소수성을 띄고, 단백질은 수분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친수성을 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의 물질 중 mono sodium glutamate의 발효배지에 사용되는 것만 열거한 것은?

  1. ①, ②, ④, ⑥
  2. ①, ②, ③, ④
  3. ①, ②, ⑤, ⑥
  4. ①, ④, ⑤, ⑥
(정답률: 46%)
  • Mono sodium glutamate은 글루타민산과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조미료이며, 발효배지에 사용되는 것은 글루타민산입니다. 따라서, 글루타민산을 생산하는 미생물인 쌀과일배양분(①), 효모추출물(②), 콩단백질수송체(⑤), 콩단백질분해물(⑥)이 mono sodium glutamate의 발효배지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 ②, ⑤, 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라이소자인(lysozyme)과 페니실린은 세균의 어느 부분에 작용하는가?

  1. 세포막
  2. 세포벽
  3. 협막
  4. 점질물
(정답률: 59%)
  • 라이소자인과 페니실린은 세균의 세포벽에 작용합니다. 라이소자인은 세포벽의 당분 분해 효소로 작용하여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고, 페니실린은 세포벽의 합성을 억제하여 세균의 세포벽을 약화시킵니다. 이로 인해 세균은 쉽게 파괴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유황세균은?

  1. Thiobacillus thioxidans
  2. Aspergillus flavus
  3. Penicillium oxalicum
  4. Streptomyces griseus
(정답률: 60%)
  • 유황세균은 환경에서 유황을 산화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세균을 말합니다. 이 중 Thiobacillus thioxidans는 유황을 산화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특화된 세균으로, 유황산화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유황산화세균이라고도 불립니다. Aspergillus flavus, Penicillium oxalicum, Streptomyces griseus는 유황산화능이 없는 다른 종류의 미생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세균의 증식에서 볼 수 있는 유도기(lag phase)가 생기는 이유는?

  1.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2. dipicolinic acid를 합성하기 위하여
  3. 편모를 형성하기 위하여
  4. 캡슐(capsule)을 형성하기 위하여
(정답률: 78%)
  • 세균이 새로운 환경에 처음 노출되면, 그들은 그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적절한 유전자를 활성화하고 적절한 대사 경로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유도기(lag phase)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글루타민산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주로 세균이다.
  2. 당질을 원료로 한 구연산 발효에는 주로 곰팡이를 이용한다.
  3. 항생물질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의 발효 생산은 주로 곰팡이를 이용한다.
  4. 초산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주로 세균이다.
(정답률: 43%)
  • "항생물질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의 발효 생산은 주로 곰팡이를 이용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스트렙토마이신은 세균 Streptomyces griseus에 의해 생산되며, 곰팡이가 아닌 세균이 발효 생산에 관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Aspergillus 속과 Penicillium 속 곰팡이의 가장 큰 형태적 차이점은?

  1. 분생포자와 균사의 격벽
  2. 영양균사와 경자
  3. 정낭과 병족세포
  4. 자낭과 기균사
(정답률: 42%)
  • Aspergillus 속과 Penicillium 속 곰팡이의 가장 큰 형태적 차이점은 정낭과 병족세포입니다. Aspergillus 속은 정낭을 형성하고, Penicillium 속은 병족세포를 형성합니다. 정낭은 곰팡이의 생식구조로서, 분생포자를 형성하는데 사용됩니다. 병족세포는 곰팡이의 생장구조로서, 균사를 형성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두 곰팡이 속은 생식구조와 생장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형태적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포도당을 과당으로 전환시킬 때 주로 사용되는 미생물효소는?

  1. Bacillius subtills의 α-amylase
  2. Aspergillus oryzae의 α-amylase
  3. Aspergillus niger의 β-amylase
  4. Streptomyces cinens의 glucose isomerase
(정답률: 59%)
  • 포도당을 과당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는 glucose isomerase가 필요합니다. 이 중 Streptomyces cinens의 glucose isomerase는 특히 고온과 고압에서도 안정적으로 작용하며, 대량 생산에도 적합한 미생물효소입니다. 따라서 포도당을 과당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는 Streptomyces cinens의 glucose isomerase가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살아있는 미생물의 수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방법은?

  1. Haematometer에 개체 수 측정
  2. 현미경으로 보아 살아 움직이는 균수의 측정
  3. 평판배양법에 의한 집락 수 측정
  4. 광학적 측정
(정답률: 32%)
  • 평판배양법은 미생물을 배양하여 집락을 형성하고, 이를 측정하여 살아있는 미생물의 수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정확하며, 대량의 샘플을 처리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식품으로부터 곰팡이를 분리하여 맥아즙 한천(Malt agar)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관찰하였다. 균층의 색은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백색에서 점차 청록색으로 변화하였으며, 현미경 시야에서 격벽이 있는 분생자두, 구형의 분생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추정할 수 있는 이 곰팡이의 속명은?

  1. Aspergillus 속
  2. Mucor 속
  3. Penicillium 속
  4. Trichoderma 속
(정답률: 49%)
  • 균층의 색이 청록색으로 변화하고, 격벽이 있는 분생자두와 구형의 분생자를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은 Penicillium 속의 곰팡이를 나타낸다. Aspergillus 속은 균사체가 굵고, Mucor 속은 균사체가 빈틈없이 붙어있으며, Trichoderma 속은 균사체가 빽빽하게 붙어있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효모의 세포벽을 분석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검출될 수 있는 화합물은?

  1. mannan
  2. Protein
  3. Lipid and fats
  4. Glucosamine
(정답률: 57%)
  • 효모의 세포벽은 주로 다당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것이 매넌(mannan)입니다. 매넌은 당분 분자의 일종으로, 효모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효모의 세포벽을 분석할 때 가장 많이 검출되는 화합물은 매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돌연변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자연돌연변이와 변이원 처리에 의한 인공 돌연변이가 있다.
  2. 돌연변이의 근본적 원인은 DNA의 nucleotide 배열의 변화이다.
  3. 염기배열의 변화에는 염기첨가, 염기결손, 염기치환 등이 있다.
  4. 점돌연변이(point mutation)는 frame shift에 의한 변이에 의해 복귀돌연변이(back mutation)가 되기 어렵다.
(정답률: 65%)
  • 점돌연변이는 frame shift에 의한 변이와는 관련이 없으므로, "점돌연변이는 frame shift에 의한 변이에 의해 복귀돌연변이가 되기 어렵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점돌연변이는 한 개의 염기가 다른 염기로 대체되는 것으로, 염기의 수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frame shift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복귀돌연변이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세포융합(cell fusion)의 실험절차로 올바른 것은?

  1. 재조합체 선택 및 분리 → protopiast의 융합 → 융합체의 재생 → 세포의 protoplast화
  2. protoplast의 융합 → 세포의 protoplast화 → 융합체의 재생 → 재조합체 선택 및 분리
  3. 세포의 protoplast화 → protoplast의 융합 → 융합체의 재생 → 재조합체 선택 및 분리
  4. 융합체의 재생 → 재조합체 선택 및 분리 → protoplast의 융합 → 세포의 protoplast화
(정답률: 79%)
  • 세포융합 실험의 올바른 절차는 "세포의 protoplast화 → protoplast의 융합 → 융합체의 재생 → 재조합체 선택 및 분리"입니다. 이는 먼저 세포를 protoplast로 분해한 후, 이들을 융합하여 융합체를 재생시키고, 이 중에서 원하는 재조합체를 선택하고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생화학 및 발효학

81. Hetero 젖산발효를 함으로서 공업적 젖산 생산에 부적합한 젖산균은?

  1. Lactobacillus casei
  2. Lactobacillus plantarum
  3. Lactobacillus bulgaricus
  4. Lactobacillus brevis
(정답률: 49%)
  • Lactobacillus brevis는 공업적 젖산 생산에 부적합한 젖산균입니다. 이는 Hetero 젖산발효를 함으로서 생산되는 젖산의 양이 적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젖산균인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bulgaricus는 공업적 젖산 생산에 적합한 젖산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사람의 간(Liver)에서 일어나지 않는 반응은?

  1. 지방산에서 케톤체(ketone body) 생성
  2. 지방산에서 글루코오스의 생성
  3. 아미노산에서 글루코오스의 합성
  4. 암모니아로부터 요소(urea)의 생성
(정답률: 47%)
  • 간은 지방산을 글루코오스로 전환하는 능력이 없습니다. 지방산은 대신 케톤체로 분해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당밀의 알콜발효시 밀폐식 발효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잡균 오염이 적다.
  2. 소량의 효모로 발효가 가능하다.
  3. 운전경비가 적게 든다.
  4. 개방식 발효보다 수율이 높다.
(정답률: 51%)
  • 운전경비가 적게 든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발효 과정에서 적극적인 관리와 감독이 필요하며, 밀폐식 발효는 개방식 발효보다 더 많은 관리와 감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운전경비가 적게 든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오히려 부적절한 관리로 인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단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전자 전달계(elctorn transport system)에서 사이토크롬(cytochrome) C는 금속이온을 가지고 있는 단백질이다. 사이토크롬 C가 가지고 있는 금속성분은?

  1. Fe
  2. Mn
  3. Cu
  4. Mo
(정답률: 53%)
  • 사이토크롬 C가 가지고 있는 금속성분은 철(Fe)이다. 이는 사이토크롬 C가 전자 전달 과정에서 전자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Fe는 전자를 잘 운반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전자 전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은 어떤 것과 가장 관계가 깊은가?

  1. 효소정제장치
  2. 증류장치
  3. 발효탱크
  4. 클로렐라 배양기
(정답률: 44%)
  • 위 그림은 맥주 제조 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발효탱크는 맥주의 발효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장비 중 하나이기 때문에 "발효탱크"가 가장 관계가 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에너지 생성 반응이 아닌 것은?

  1. 광합성 반응
  2. 산화적 인산화 반응
  3. 당 신생 반응
  4. 기질수준 인산화 반응
(정답률: 67%)
  • 당 신생 반응은 에너지 생성 반응이 아닙니다. 이는 당분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반응이 아니라, 당분을 합성하는 반응입니다. 즉, 에너지를 소비하는 반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비오틴(Biotin) 과잉배지에서 glutamic acid 발효시 첨가하여 주는 물질은 무엇인가?

  1. 비타민(Vitamin) B12
  2. 티아민(Thiamin)
  3. 페니실린(Penicillin)
  4. 비타민(Vitamin) C
(정답률: 52%)
  • 페니실린은 비오틴(Biotin) 과잉배지에서 glutamic acid 발효시 첨가하여 주는 물질이다. 이는 페니실린이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잉배지에서 발생하는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생산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페니실린은 비오틴 과잉배지에서의 발효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핵 단백질의 가수분해 순서로 올바른 것은?

  1. 핵 단백질 → 핵산 → 뉴클레오티드 → 뉴클레오사이드 → 염기
  2. 핵 단백질 → 핵산 → 뉴클레오사이드 → 뉴클레오티드 → 염기
  3. 핵산 → 핵 단백질 → 뉴클레오티드 → 뉴클레오사이드 → 염기
  4. 핵산 → 뉴클레오사이드 → 핵 단백질 → 뉴클레오티드 → 염기
(정답률: 61%)
  • 정답은 "핵 단백질 → 핵산 → 뉴클레오티드 → 뉴클레오사이드 → 염기"입니다.

    핵 단백질은 핵산을 둘러싸고 있으며, 핵산은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뉴클레오티드는 뉴클레오사이드와 인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뉴클레오사이드는 염기와 당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핵 단백질부터 시작하여 염기까지의 순서가 올바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페닐케톤뇨증(Phenylketonuria)은 유전적 질병으로 오줌에 페닐피루브산(Phenylpyruvate)이 많아 검은 오줌을 누게 된다. 이 병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것은?

  1. 간에서 당의 대사가 원활치 못하여 오줌으로 페닐피루브산이 나오기 때문이다.
  2. 티로신(tyrosine) 대사 효소의 결핍 때문이다.
  3. 페닐알라닌 하드록실화 효소(Phenylalanine hydroxylase)가 없기 때문이다.
  4. 간에서 암모니아를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48%)
  • 페닐케톤뇨증은 페닐알라닌 하드록실화 효소(Phenylalanine hydroxylase)가 없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 효소는 페닐알라닌을 티로신으로 대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효소가 결핍되면 페닐알라닌이 과도하게 쌓이게 되고, 이는 페닐피루브산을 생성하여 검은 오줌을 유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활성오니법(activated sludge process)으로 폐수를 활성오니를 구생하는 미생물이 아닌 것은?

  1. Bacillus 속
  2. Clostridium 속
  3. Pseudomonas 속
  4. Nitrosomonas 속
(정답률: 42%)
  • Clostridium 속은 활성오니법에서 구생하는 미생물이 아닙니다. 이는 Clostridium 속이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생존하며, 활성오니법은 산소가 풍부한 환경에서 미생물이 활동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lostridium 속은 활성오니법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균체내 효소를 추출하는 방법 중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초음파 파쇄법
  2. 기계적 마쇄법
  3. 염석법
  4. 동결 융해법
(정답률: 67%)
  • 염석법은 균체를 염석으로 처리하여 세포벽을 파괴하고 내부의 효소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균체 내부의 효소 외에도 다른 불순물들이 함께 추출되어 정확한 분석이 어렵고, 효소의 활성도가 감소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이 더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일반적으로 아미노산 발효공업과 관계 없는 것은?

  1. 야생주(野生株)를 이용하는 방법
  2. 영양요구변이주(營養要求變異株)를 이용하는 방법
  3. 전구물질(前矩物質)첨가법
  4. 활성오니(活性汚泥)법
(정답률: 47%)
  • 활성오니법은 아미노산 발효공정과는 관련이 없는 방법으로, 하수처리 공정에서 오니(쓰레기와 물이 섞인 물)를 이용하여 오니 안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아미노산 발효공업과 관련된 방법들이지만, 활성오니법은 그렇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5'-IMP를 직접 생산하기 위해 생산균이 갖추어야 할 조건이 아닌 것은?

  1. SAMP synthetase와 IMP dehydrogenase의 두 효소활성의 결여
  2. 5'-IMP의 생합성계에 대한 조절기구의 해제
  3. 5'-nucleotidase 등의 5'-IMP 분해효소의 결여
  4. 5'-IMP에 대한 세포투과성의 결여
(정답률: 28%)
  • 정답은 "5'-IMP에 대한 세포투과성의 결여"입니다. 5'-IMP는 세포 내부에서 생산되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균이 갖추어야 할 조건 중 하나는 세포투과성입니다. 5'-IMP에 대한 세포투과성이 결여되면 생산균 내부에서 5'-IMP가 축적되지 않고 세포 밖으로 누출되어 생산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5'-IMP 생산에 필요한 조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Fusel oil 성분이 아닌 것은?

  1. amyl alcohol
  2. butyl alcohol
  3. methyl alcohol
  4. propyl alcohol
(정답률: 70%)
  • Fusel oil은 일반적으로 아밀 알코올, 부틸 알코올, 프로필 알코올 등의 긴 사슬을 가진 알코올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메틸 알코올은 짧은 사슬을 가진 알코올 성분으로 Fusel oil의 성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생체내 산화 환원반응이 일어나는 곳은?

  1.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2. 골지체(Golgi apparatus)
  3. 세포벽(Cell wall)
  4. 핵(Nucleus)
(정답률: 77%)
  •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 생산을 위한 산화 환원반응이 일어나는 곳입니다. 이 곳에서는 ATP(아데노신 삼인산)을 생산하는데, 이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알콜 발효에 있어서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가 환원하여 에탄올(ethanol)이 생성된다. 이 때 관여하는 효소는?

  1. 포스파타아제(phosphatase)
  2. 피루베이트 키나아제(pyruvate kinase)
  3. 카르복실라아제(carboxylase)
  4. 알콜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정답률: 56%)
  • 알콜 탈수소효소는 아세트알데히드를 환원하여 에탄올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 효소는 알코올을 대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간의 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알콜 발효에 있어서 아세트알데히드가 환원되어 에탄올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알콜 탈수소효소가 관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탁 ·약주의 발효형식으로 적당한 것은?

  1. 단발효
  2. 단행복 발효
  3. 병행복 발효
  4. 비당화 발효
(정답률: 56%)
  • 탁 ·약주는 주로 병행복 발효 방식으로 발효됩니다. 이는 두 가지 이상의 미생물이 함께 발효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미생물이 서로 상생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이러한 병행복 발효 방식은 맛과 향이 풍부하며, 건강에도 좋은 미생물이 함유되어 있어 인기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일반적으로 당의 발효성을 갖지 않는 효모는 어느 것인가?

  1. Schizosaccharomyces 속
  2. Rhodotorula 속
  3. glucose isomerase
  4. glucose dehydeogenase
(정답률: 46%)
  • Rhodotorula 속의 효모는 일반적으로 당의 발효성을 갖지 않습니다. 이는 이들 효모가 대부분 유기산 및 유기화합물을 대사하는 데 더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Schizosaccharomyces 속의 효모는 당을 발효할 수 있지만, Rhodotorula 속의 효모는 그렇지 않습니다. Glucose isomerase 및 glucose dehydeogenase는 효모가 아니며, 당의 발효성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HFCS(High Fructose Corn Syrup)55의 생산에 이용되는 효소는?

  1. amylase
  2. glucoamylase
  3. glucose isomerase
  4. glucose dehydrogenase
(정답률: 57%)
  • HFCS 55은 55%의 프루토스와 45%의 글루코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글루코스를 프루토스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 변환에 사용되는 효소가 glucose isomerase입니다. glucose isomerase는 글루코스를 프루토스로 변환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HFCS 55의 생산에는 glucose isomerase가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정미성 핵산의 제조방법이 아닌 것은?

  1. RNA 분해법
  2. DNA 분해법
  3. 생화학적 변이주를 이용하는 방법
  4. Purine nucleotide 합성의 중간체를 축적시켜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방법
(정답률: 60%)
  • 정미성 핵산은 RNA 분해법, 생화학적 변이주를 이용하는 방법, Purine nucleotide 합성의 중간체를 축적시켜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DNA 분해법으로는 제조할 수 없습니다. DNA 분해법은 DNA를 분해하여 작은 조각으로 만드는 방법이며, 이는 정미성 핵산을 만드는 과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