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3-05)

식품기사
(2006-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품위생학

1. Polyvinyl chloride(PVC)에서 위생상 문제가 되는것은?

  1. 단량체(monomer)
  2. 2량체(dimer)
  3. 3량체(trimer)
  4. 다량체(polymer)
(정답률: 52%)
  • PVC는 다량체(polymer)로 이루어져 있지만, 제조과정에서 사용되는 단량체(monomer) 중 하나인 비닐클로라이드(Vinyl chloride)는 위험물질로 분류되며,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VC 제품이 사용되는 환경에서는 단량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Salmenella속균의 일반 성상 중 잘못된 것은?

  1. 아포가 없는 Gram 음성의 간균이다.
  2. 통성 혐기성 균이다.
  3. 생육 최적온도는 37℃,최적 pH는 7~8이다.
  4. 보통 배지에서 잘 자라지 않으며 indole을 생산한다.
(정답률: 43%)
  • Salmonella 속균은 보통 배지에서 잘 자라지 않는다는 것이 잘못된 것이다. 이 균은 일반적으로 매우 빠르게 자라며, 대부분의 일반 배지에서도 잘 자라는 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관능검사실의 조건을 설명한 것 중 틀린것은?

  1. 일반적으로 실내온도는 20~25℃가 적당하다
  2. 습도는 50~60%로 유지한다.
  3. 태양광선과 인공조명을 함꼐 사용하여서는 안되고 100Lux에 반드시 조도를 맞추어야 한다.
  4. 환기시설이 있어야한다.
(정답률: 83%)
  • "태양광선과 인공조명을 함께 사용하여서는 안되고 100Lux에 반드시 조도를 맞추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조건이다. 이유는 관능검사실에서는 조명이 너무 밝거나 어둡다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조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태양광선과 인공조명을 함께 사용하면 조도가 불안정해지므로 함께 사용해서는 안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부패 미생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식품의 내적인자가 아닌 것은?

  1. pH
  2. 산화환원전위
  3. 상대습도
  4. 수분활성도
(정답률: 53%)
  • 상대습도는 식품의 내부적인 성질이 아니라 외부적인 환경 요인으로, 부패 미생물의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pH, 산화환원전위, 수분활성도는 식품 내부적인 성질로, 부패 미생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콜레라의 일반적인 증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로 고열을 동반한다.
  2. 탈수 증상이 일어난다.
  3. 수양성 설사를 동반한다.
  4. 잠복기는 보통 수 시간에서 5일이다.
(정답률: 47%)
  • 답: 수양성 설사를 동반한다.

    콜레라는 장내 세균에 의해 일어나는 질병으로, 주로 고열과 탈수 증상이 나타납니다. 수양성 설사는 콜레라의 특징적인 증상 중 하나이지만, 모든 환자가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잠복기는 수 시간에서 5일이며, 이후에 급격한 설사와 구토가 시작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안전한 급식을 이루기 위하여 실시하는 단체급식 종사원에 대한 정기 건강진단 항목이 아닌 것은?

  1. 매독혈청검사
  2. 결핵검사
  3. 화농성 피부질환 검사
  4. 갑상선검사
(정답률: 84%)
  • 갑상선검사는 급식 종사원의 건강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정기 건강진단 항목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손에 화농성 상처가 있는 사람이 만든 식품을 먹고 식중독이 일어났다면 그 원인은?

  1. 장염 비브리오균
  2. 포도상구균
  3. 살모넬라균
  4.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늄
(정답률: 82%)
  • 손에 화농성 상처가 있는 사람이 만든 식품을 먹으면, 상처에서 나오는 박테리아인 포도상구균이 식품에 전파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박테리아는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손을 깨끗하게 씻고 식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보존료의 사용 목적을 설명한 것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식품의 부패방지로 인한 선도 유지를 위하여 사용한다.
  2. 부패 미생물에 대한 정균작용보다 살균작용 때문에 사용한다.
  3. 식품중의 효소작용 억제의 목적도 있다.
  4. 식품의 유통단계에 있어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80%)
  • "부패 미생물에 대한 정규작용보다 살균작용 때문에 사용한다"는 가장 거리가 먼 목적이다. 이유는 보존료는 주로 부패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여 식품의 유통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이다. 살균작용은 보존료의 일부에 해당하지만, 부패 미생물에 대한 정규작용보다는 보존료의 주요 목적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싹이난 감자를 먹고 식중독이 발생되었다면 다음 중 어느 독소에 의한 것인가?

  1. 테트로도톡신 (tetrodotoxin)
  2. 테물린 (temuline)
  3. 무스카린 (muscarine)
  4. 솔라닌(solanine)
(정답률: 85%)
  • 싹이난 감자에는 솔라닌이라는 독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솔라닌은 감자의 녹색 부분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녹색 부분을 제거하지 않고 먹으면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솔라닌은 중독 증상으로는 구토, 설사, 복통, 두통 등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1952년 일본에서 발생한 미나마타병은 수은에 의한 중독사고였는데 그 유래는?

  1. 식품의 용기 및 포장에서 용출된 수은에 의하여
  2. 식품첨가물중에 협잡물로 존재하는 수은에 의하여
  3. 공장의 폐수에서 배출된 수은이 어패류에 농축되어서
  4. 농약중의 수은에 의하여
(정답률: 92%)
  • 미나마타병은 일본의 공장에서 배출된 수은이 바다에 흘러들어 어패류에 농축되어 인간이 섭취함으로써 발생한 중독사고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장의 폐수에서 배출된 수은이 어패류에 농축되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식품의 점도를 증가시키고 교질상의 미각을 향상시키는 고분자의 천연물질과 그 유도체인 식품첨가물과 거리가 먼 것은?

  1. methyl cellulose
  2. sodium carboxymethyl starch
  3. sodium alginate
  4. glycerin fatty acid ester
(정답률: 72%)
  • 첫째, "methyl 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 starch", "sodium alginate"은 모두 고분자 첨가제로 식품의 점도를 증가시키고 교질상의 미각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둘째, "glycerin fatty acid ester"은 식품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교질상의 미각을 향상시키는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glycerin fatty acid ester"은 다른 세 가지 성분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알레르기성 식중독의 원인물질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1. histamine
  2. glutamic acid
  3. solanine
  4. aflatoxin
(정답률: 93%)
  • 알레르기성 식중독의 원인물질과 가장 관계 깊은 것은 "histamine"입니다. 이는 일부 해산물, 즉 생선, 조개, 게 등에서 발생하는 생물학적인 화학물질로, 이러한 식품을 먹으면 체내에서 과도한 반응을 일으켜 알레르기성 식중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유해성 보존료는?

  1. 롱갈릿 (rongalite)
  2. 포름알데히드 (formaldehyde)
  3. 아우라민 (auramine)
  4. 둘신 (dulcin)
(정답률: 51%)
  • 포름알데히드는 유해한 기체로, 공기 중에서 쉽게 증발하여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보존료로 사용될 때는 암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질중에서 가장 강력한 독성을 가진 화학물질의 하나인 다이옥신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1. 다이옥신의 발생원인에는 자동차 배출가스나 제지공장 등이 있다.
  2. 다이옥신 중 독성이 가장 큰 TCDD는 생식계 독성을 나타낸다.
  3. 다이옥신은 색과 냄새가 없는 고체물질로 물에 대한 용해도 및 증기압이 높다.
  4. 선진국이나 CODEX등 국제기구에서는 잔류 허용기준을 설정하지 않고 1일 섭취허용량만을 기준으로 정하고 있다.
(정답률: 45%)
  • "다이옥신은 색과 냄새가 없는 고체물질로 물에 대한 용해도 및 증기압이 높다."라는 설명이 적절치 않은 것이다. 이유는 다이옥신은 고체물질이 아니라 유기화합물로서, 물에 대한 용해도는 낮고 오히려 지방에 높은 용해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증기압도 낮은 편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살균제중 차아염소산나트륨 (sodium hypo chlorite)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광선에 의해 유해 염소가 분해 되므로 냉암소에 보관한다.
  2. pH가 높을수록 비해리형 차아염소산의 양이 커지므로 살균력도 높아진다.
  3. 단백질이나 탄수화물 등의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으면 소독 효과가 저하된다.
  4. 유효 염소란 차아염소산 나트륨에 산을 가할 때 발생하는 염소이다.
(정답률: 80%)
  • "pH가 높을수록 비해리형 차아염소산의 양이 커지므로 살균력도 높아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오히려 pH가 낮을수록 살균력이 높아진다는 것이 맞다. 이유는 살균력은 염소 이온(Cl-)의 농도에 의존하기 때문인데, pH가 낮을수록 염소 이온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pH가 낮은 산성 환경에서 살균제의 효과가 더욱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가주성이면서 부엌이나 하수구에 서식하는 쥐로서 식품에 병원성 균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가장 높은 쥐는?

  1. 생쥐
  2. 집쥐
  3. 곰쥐
  4. 등줄쥐
(정답률: 78%)
  • 집쥐는 가장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쥐 중 하나이며, 가주성이면서 부엌이나 하수구 등에서 발견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살아가면서 식품에 병원성 균을 오염시키는 가능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집쥐가 가장 위험한 쥐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방사선 조사는 식품 내 세균을 사멸시키고 식물의 발아억제 등의 효과로 위생적인 식품가공기술에 사용된다. 다음 중 방사선 조사에 대한 설명 중 적절치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감마선 조사 처리 후 방사능이 식품에 잔류하지 않는다.
  2. 방사선 조사식품과 방사능 오염식품은 서로 다르다.
  3.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방사선 조사에 대한 내성이 크다.
  4. 방사선 조사된 원료를 사용한 경우 제품을 조사처리하지 않더라도 방사선 조사 마크를 표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38%)
  •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방사선 조사에 대한 내성이 크다."는 적절치 않은 설명입니다. 사실 바이러스와 세균은 모두 방사선 조사에 대해 내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된 원료를 사용한 경우 제품을 조사처리하지 않더라도 방사선 조사 마크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이는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할 때 방사선 조사가 이루어졌다는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식품에 대한 대장균 검사에서 최확수법(MPN법) 에 의한 정량시험 때 쓰이는 배지는?

  1. EMB 배지
  2. Endo 배지
  3. BGLB 배지
  4. SS 배지
(정답률: 61%)
  • 최확수법(MPN법)은 대장균의 수를 추정하는 방법 중 하나로, BGLB 배지는 대장균을 선별적으로 배양하기 위한 배지이기 때문에 대장균 검사에서 최확수법에 의한 정량시험 때 쓰이는 배지로 선택됩니다. EMB 배지는 그람 음성균을 선별하기 위한 배지이고, Endo 배지는 대장균과 일부 기타 세균을 선별하기 위한 배지입니다. SS 배지는 산성 세균을 선별하기 위한 배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제1군 법정 전염병이 아닌 것은?

  1. 발진티푸스
  2. 파라티푸스
  3. 세균성 이질
  4. 장티푸스
(정답률: 46%)
  • 발진티푸스는 세균이 원인인 질병이지만, 제1군 법정 전염병은 아닙니다. 제1군 법정 전염병은 장티푸스와 파라티푸스, 그리고 세균성 이질입니다. 이들은 모두 장내 세균이나 분비물을 통해 전파되는 질병으로, 발진티푸스와는 전파 경로와 원인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곰팡이가 생성하는 독소가 아닌 것은?

  1. aflatoxin
  2. citrinin
  3. citreoviridin
  4. atropin
(정답률: 50%)
  • 곰팡이가 생성하는 독소 중에서 atropin은 곰팡이가 생성하지 않습니다. Atropin은 벨라돈나 알칼로이드로서, 벨라돈나 식물에서 추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품화학

21. 생선이 변질되면서 생성되는 불쾌취가 아닌 것은?

  1. 트리메틸아민 (trimethylamine)
  2. 카다베린 (cadaverine)
  3. 피페리딘 (piperidine)
  4. 옥사졸린 (oxazoline)
(정답률: 59%)
  • 옥사졸린은 생선의 변질과는 관련이 없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불쾌취가 생성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칼슘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젖산과 유당은 칼슘의 흡수를 억제하는 요인이다.
  2. 식이섬유소와 시금치는 칼슘의 흡수를 증가 시키는 요인이다.
  3. 혈 중 칼슘농도 조절인자에는 비타민 D,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이 있다.
  4. 칼슘은 상처회복을 돕고 면역기능을 원활히 한다.
(정답률: 54%)
  • 혈 중 칼슘농도 조절인자에는 비타민 D,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이 있다는 설명이 옳은 것은, 칼슘 대사에 관련된 호르몬들이 혈중 칼슘 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비타민 D는 칼슘 흡수를 촉진시키고, 칼시토닌은 칼슘의 혈중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며, 부갑상선 호르몬은 칼슘의 혈중 농도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에르고스테롤이 자외선을 받으면 활성화되는 이 비타민의 기능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혈액이 응고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2. 이것이 부족하면 골다공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3. 인(P)의 흡수 및 침착을 도와준다.
  4. 뼈의 석회화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78%)
  • 에르고스테롤은 자외선을 받으면 비타민 D로 활성화되어 인(P)의 흡수 및 침착을 도와주며, 뼈의 석회화를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혈액이 응고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자연식품의 주요한 감미성분으로 존재하는 과당의 특징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설탕, 맥아당, 유당 중에서 단맛이 가장 강하다.
  2. 설탕, 맥아당, 유당 중에서 용해도가 가장 크다.
  3. 과포화 되기 쉽고, 점도가 포도당이나 설탕 보다 작다.
  4. 흡습 조해성이 아주 약하다.
(정답률: 47%)
  • "흡습 조해성이 아주 약하다"는 과당의 특징이 아닙니다. 과당은 습기를 빨리 흡수하고, 고체물질과 결합하여 물성이 변화하는 흡습 조해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흡습 조해성이 아주 약하다"가 아니라 "흡습 조해성이 강하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설탕에 소금 0.15%를 가했을 때 단맛이 증가되는 현상은?

  1. 맛의 강화현상
  2. 맛의 소실현상
  3. 맛의 변조현상
  4. 맛의 탈삽현상
(정답률: 85%)
  • 설탕에 소금을 가하면 소금이 설탕의 단맛을 강화시키는데, 이는 이온간 상호작용에 의한 것입니다. 이온간 상호작용은 맛의 강도와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 경우에는 단맛이 강화되는 것이므로 "맛의 강화현상"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지방의 산패와 관련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1몰의 트리글리세라이드가 가수분해 되면 2몰의 유리 지방산과 글리세롤이 생성된다.
  2. 산패가 되면서 공액 이중결합이 비공액이 중결합으로 변하게 된다.
  3. 점도가 점차로 감소하게 된다.
  4. 지방산이 산패하는 과정에서 과산화물가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면 저급의 알데히드나 저급의 알콜이 생성된다.
(정답률: 45%)
  • 지방산이 산패하는 과정에서 과산화물가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면 저급의 알데히드나 저급의 알콜이 생성된다. 이는 과산화물이 지방산의 산화에 참여하여 생성되기 때문이다. 과산화물은 일시적으로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과산화물이 자체적으로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저급의 알데히드나 저급의 알콜이 생성되는데, 이는 지방산의 산패에 따른 부산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훈제품 제조시 일어나는 변화와 특성을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연기성분 중에는 인체에 해로운 페놀 성분도 포함되어 있다.
  2. 연기성분 중 포름알데히드, 크레졸은 환원성 물질로 지방산화를 막아준다.
  3. 질산칼륨을 첨가하는 이유는 아질산염을 거쳐서 산화질소가 유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4. 생성된 산화질소는 미오글로빈과 결합 후 가열과정을 통하여 니트로소미오크로모겐으로 변화한다.
(정답률: 4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메밀에는 혈관의 저항력을 향상시켜 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다음 중 이 성분은?

  1. 라이신 (lysine)
  2. 루틴 (rutin)
  3. 트립토판 (tryptophan)
  4. 글루텐(gluten)
(정답률: 53%)
  • 루틴은 혈관을 강화시켜주는 항산화제이다. 이로 인해 혈관의 저항력이 향상되어 혈액순환에 도움을 준다. 따라서 메밀에 함유된 루틴은 혈액순환 개선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양파를 잘랐을 때 나는 유황화합물의 향기 성분은?

  1. sedanolide
  2. taurine
  3. propylmercaptan
  4. piperidine
(정답률: 72%)
  • 양파를 자르면 유황화합물이 발생하는데, 이 중에서도 propylmercaptan이 가장 강한 향기를 냅니다. 이는 유황과 프로필기를 결합한 화합물로, 양파의 특유의 향기를 만드는 주요 성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겨자과 식물의 주된 향기성분은?

  1. allyl isothiocyanate
  2. sedanolide
  3. allicin
  4. lenthionine
(정답률: 74%)
  • 겨자과 식물의 주된 향기성분은 "allyl isothiocyanate"이다. 이는 겨자나 무순 등의 식물에서 발생하는 화합물로, 강한 자극적인 향기와 매운 맛을 가지고 있다. 이 화합물은 식물이 상처를 입을 때 발생하는 효소인 미로시나아제와 화학 반응을 일으켜 생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우유나 두류식품의 제한 아미노산으로 문제시 되는 것은?

  1. 메티오닌(methionine)
  2. 라이신(lysine)
  3. 아르기닌(arginine)
  4. 트레오닌(threonine)
(정답률: 71%)
  • 메티오닌은 우유나 두류식품에서 제한적으로 함유되는 아미노산으로, 인체에서 필수적인 아미노산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메티오닌이 부족하면 단백질 합성이 어려워지고, 성장이 저해될 수 있습니다. 라이신, 아르기닌, 트레오닌은 모두 인체에서 필수적인 아미노산이지만, 우유나 두류식품에서는 충분히 함유되므로 제한 아미노산으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식품 중 결합수 (bound water)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미생물의 번식은 물론 포자의 발아에도 이용할 수 없다.
  2. 미생물의 번식에는 이용이 안되나 포자의 발아에는 이용이 가능하다.
  3. 0℃이하가 되면 동결한다.
  4. 식품의 유용성분을 녹이는 용매의 구실을 한다.
(정답률: 62%)
  • 결합수는 식품 내부에 존재하는 물 분자 중 일부가 식품 성분과 결합하여 물 분자가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미생물의 번식은 물론 포자의 발아에도 이용할 수 없다."의 이유는 미생물과 포자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물이 필요하다. 하지만 결합수는 물 분자가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에 미생물과 포자가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물 분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인 유수분은 미생물과 포자의 생존에 필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식품의 표면적 특성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분말 재료의 경우 표면적이 적으면 용해도가 증가한다.
  2. 표면적이 커지면 커질수록 다른 물질과의 반응성이 떨어진다.
  3. 입자의 크기를 작게 하면 반응성이 높아진다.
  4. 우유의 균질화 시키는 목적은 지방 입자를 크게 만들어 맛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정답률: 62%)
  • 입자의 크기를 작게 하면 표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다른 물질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반응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분말 재료의 경우에도 입자의 크기를 작게 만들면 용해도가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지방질의 불포화도를 나타내 주는 것은?

  1. 비누화 값 (saponification value)
  2. 요오드가 (iodine value)
  3. 산가 (acid value)
  4. 폴렌스케 값 (polenske value)
(정답률: 73%)
  • 지방질의 불포화도는 지방질 내에 존재하는 이중결합의 양을 나타내는데, 이중결합은 요오드와 반응하여 첨가되기 때문에 요오드가 (iodine value)를 사용하여 지방질의 불포화도를 나타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계란을 가공하면서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를 설명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1. 계란 음료 제조 시 가열 살균에 의하여 응고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파파인을 첨가하면 효과적이다.
  2. 마요네즈 제조시 식초는 미생물에 위한 변화를 최소화시키나 유화가 완전하지 못하면 저장 중 분리현상이 일어난다.
  3. 동결란 제조를 위해 난백을 -20℃에서 -30℃ 조건에서 신속하게 동결시키면 미생물이 멸균되므로 별도의 살균처리는 하지 않아도 된다.
  4. 난황이 유화능은 친수성기와 소수성기가 뚜렷하게 구분 되어 있어 계면활성제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한다.
(정답률: 74%)
  • "난황이 유화능은 친수성기와 소수성기가 뚜렷하게 구분 되어 있어 계면활성제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한다."가 잘못된 것이다.

    동결란 제조를 위해 난백을 -20℃에서 -30℃ 조건에서 신속하게 동결시키면 미생물이 멸균되므로 별도의 살균처리는 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유는, 미생물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온도와 습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난백을 극저온에서 빠르게 동결시키면 미생물이 죽게 되어 멸균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포화지방산이 아닌 것은?

  1. lauric acid
  2. palmic acid
  3. stearic acid
  4. linoleic acid
(정답률: 70%)
  • 포화지방산은 모든 결합 위치에 수소 원자가 포화된 지방산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linoleic acid는 이중결합이 포함된 다중불포화지방산으로, 포화지방산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마늘의 생리활성 및 효능을 나타낸 것이다. 틀린 것은?

  1. 항당뇨병 작용
  2. 항암 작용
  3. 혈(血)중 콜레스테롤 감소 작용
  4. 항혈전 작용
(정답률: 60%)
  • 정답: "항당뇨병 작용"

    설명: 마늘은 항암 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작용, 항혈전 작용 등의 생리활성 및 효능이 있지만, 항당뇨병 작용은 아직 충분한 연구 결과가 나오지 않아서 일반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TBA(thiobarbituric acid) 시험은 무엇을 측정하고자 하는 것인가?

  1. 필수 지방산의 함량
  2. 지방의 함량
  3. 유지의 불포화도
  4. 유지의 산패도
(정답률: 66%)
  • TBA 시험은 유지의 산화 산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TBA 시험은 유지 내의 산화된 지방산을 측정하여 유지의 산패 정도를 파악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유지의 산패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일반적으로 육류의 맛은 단백질 가수분해물인 아미노산에 의해 지미(旨味)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들 아미노산 외에 중요한 또 하나의 맛 성분은 ATP가 분해되어 생성된 것이다. 이것은 어떤 물질인가?

  1.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
  2. 구아닐산
  3. 이노신산
  4. 아스파라진산
(정답률: 60%)
  • ATP는 에너지 분자이며, 육류의 맛을 형성하는 물질 중 하나인 이노신산은 ATP 분해 과정에서 생성된다. 따라서 이노신산이 육류의 맛을 형성하는 중요한 성분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아미노산인 알라닌(alanine)이 스트렉커(Strecker) 반응을 거치면 어느 것으로 변하는가?

  1. 초산 (acetic acid)
  2. 에탄올 (ethanol)
  3. 아세트아마이드 (acetamide)
  4. 아세트알데히드 (acetaldehyde)
(정답률: 67%)
  • 알라닌이 스트렉커 반응을 거치면 시안화나트륨과 반응하여 시안화알킬을 생성하고, 이것이 물과 반응하여 아세트알데히드와 초산을 생성한다. 따라서 정답은 "아세트알데히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식품가공학

41. 다음의 막분리공정 중 치즈훼이(whey)로부터 유당(lactose)을 회수하는데 적합한 공정은 어느 것인가?

  1. 정밀여과
  2. 한외여과
  3. 전기투석
  4. 역삼투
(정답률: 43%)
  • 유당은 치즈훼이에서 매우 작은 분자 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밀여과나 한외여과와 같은 물리적 분리 공정으로는 회수하기 어렵습니다. 전기투석은 전기장을 이용하여 분자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공정이지만, 유당은 전기적으로 중성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 전기투석으로는 회수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유당 회수에 가장 적합한 공정은 역삼투입니다. 역삼투는 반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용액을 통과시키는 공정으로, 유당과 같은 작은 분자 크기의 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크림과 버터의 유화상태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크림은 지방이 65%이고 물이 35%이다.
  2. 크림은 지방이 35%이고 물이 65%이다.
  3. 버터는 물이 85%이고 지방이 15%이다.
  4. 버터는 물이 35%이고 지방이 65%이다.
(정답률: 31%)
  • 정답은 "크림은 지방이 35%이고 물이 65%이다." 이다.

    크림은 우유에서 분리된 지방을 농축시켜 만든 제품이다. 따라서 크림은 지방이 높고 물이 낮은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판매되는 생크림은 지방이 35%이고 물이 65%이다.

    반면 버터는 우유의 지방과 물을 분리한 후, 지방을 농축시켜 만든 제품이다. 따라서 버터는 지방이 높고 물이 낮은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버터는 물이 15%이고 지방이 85%이다.

    따라서 "크림은 지방이 35%이고 물이 65%이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콩의 영양을 저해하는 인자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트립신 저해제 (trypsin inhibitor) : 단백질 분해효소인 트립신의 작용을 억제 하는 물질
  2. 리폭시게나제 (lipoxygenase) : 비타민과 지방을 결합시켜 비타민의 흡수를 억제하는 물질
  3. Phytate (inositol hexaphosphate) : - Ca, P, Mg, Fe, Zn 등과 불용성 복합체를 형성하여 무기물의 흡수를 저해 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
  4. 라피노스(raffinose),스타키오스(stachyose) : 우리 몸속에 분해효소가 없어 소화되지 않고, 대장내의 혐기성 세균에 의해 분해되어 N2, CO2, H2, CH4 등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장내 가스인자
(정답률: 51%)
  • 리폭시게나제는 비타민과 지방을 결합시켜 비타민의 흡수를 억제하는 물질이지만, 콩의 영양을 저해하는 인자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우유의 살균여부를 판정하는데 이용되는 적당한 방법은?

  1. 알콜 테스트
  2. 산도측정
  3. 비중검사
  4. 포스파타아제 테스트
(정답률: 74%)
  • 우유에는 포스파타아제라는 효소가 존재하며, 이 효소는 우유가 살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포스파타아제 테스트는 이러한 효소의 활성화 여부를 측정하여 우유의 살균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포스파타아제 테스트가 우유의 살균 여부를 판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동결건조의 원리를 가장 잘 나타낸 것은?

  1. 증발에 의한 건조
  2. 동결에 의한 건조
  3. 승화에 의한 건조
  4. 진공에 의한 건조
(정답률: 76%)
  • 동결건조는 물질을 얼리고 그것을 진공 상태에서 가열하여 얼어있는 물을 기체로 바꾸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비해 승화에 의한 건조는 물질을 가열하여 그것을 기체 상태로 만들고, 그 기체를 냉각하여 물로 바꾸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승화에 의한 건조가 동결건조의 원리를 가장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통조림 제조 시 탈기 방법이 아닌 것은?

  1. 가열 탈기법
  2. 기계적 탈기법
  3. 증기 분사법
  4. 가스 분사법
(정답률: 57%)
  • 통조림 제조 시에는 식품 내의 지방과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 탈기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가열 탈기법, 기계적 탈기법, 증기 분사법은 모두 식품 내부의 지방과 기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통조림 제조에 널리 사용됩니다. 그러나 가스 분사법은 식품 내부의 지방과 기름을 제거하는 방법이 아니라, 가스를 이용하여 식품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가스 분사법은 통조림 제조 시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의 살균기술 중 비열살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마이크로웨이브 살균
  2. 초고압 살균
  3. 고전장 펄스 살균
  4. 방사선 살균
(정답률: 56%)
  • 정답은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입니다. 마이크로웨이브 살균은 비열살균이 아닌 전자파살균에 해당됩니다. 마이크로웨이브는 전자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여 세균을 죽이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안지름 2.5㎝의 파이프안으로 21℃의 우유가 0.10m3/min의 유속으로 흐를 때 이 흐름의 상태를 어떻게 판정하는가? (단, 우유의 점도 및 밀도는 각각 2.1 × 10-3PaㆍS 및 1029㎏/m3이다.)

  1. 층류
  2. 중간류
  3. 난류
  4. 경계류
(정답률: 52%)
  • Reynolds 수를 계산하여 이 흐름의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Reynolds 수는 유체의 밀도, 속도, 파이프 지름, 점도 등의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

    Re = (밀도 × 속도 × 지름) / 점도

    여기서, 밀도는 1029㎏/m3, 속도는 0.10m3/min = 0.00167m3/s, 지름은 2.5㎝ = 0.025m, 점도는 2.1 × 10-3PaㆍS 이다.

    Re = (1029 × 0.00167 × 0.025) / (2.1 × 10-3) ≈ 102

    Reynolds 수가 2300 이상이면 난류, 2300 미만이면 정상류(층류)로 판정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Reynolds 수가 102로 2300 미만이므로 정상류(층류)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층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지의 정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채취한 원유에 있는 불순물들은 유지 중에 뜨거나 가라 앉아서 유지를 흐리게 하고 산패를 촉진하여 결국 불쾌한 냄새와 맛을 띠게 된다.
  2. 원유 중에 들어 있는 불순물 중에 흙, 모래, 원료의 조각 등과 같이 침전된 상태로 섞여 있는 것은 정치법, 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이 방법으로 비교적 쉽게 제거 할 수 있다.
  3. 단백질, 점질물, 검질 등과 같이 유지 중에 교질상태로 있는 것은 기계적인 처리만으로 분리하기 어렵다.
  4. 지방산, 색소, 냄새나는 물질 등은 기름에 녹아 있으므로 이들 성분은 화학적인 방법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정답률: 56%)
  • "지방산, 색소, 냄새나는 물질 등은 기름에 녹아 있으므로 이들 성분은 화학적인 방법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지방산, 색소, 냄새나는 물질 등은 유지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들을 제거하면 유지의 맛과 향이 크게 변하게 된다. 따라서 유지의 정제 과정에서는 이들 성분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목표이지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고기의 해동강직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골격으로부터 분리되어 자유수축이 가능한 근육은 60~80% 까지의 수축을 보인다.
  2. 가죽처럼 질기고 다즙성이 떨어지는 저품질의 고기를 얻게 된다.
  3. 해동강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후강직이 완료된 후에 냉동해야 한다.
  4. 냉동 및 해동에 의하여 고기의 칼슘결합력이 높아져서 근육수축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67%)
  • 냉동 및 해동에 의하여 고기의 칼슘결합력이 높아져서 근육수축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이 설명은 올바르지 않음)

    해동 강직은 고기가 냉동 상태에서 빠르게 해동되어 근육 내부의 수분이 증발하고 근육 섬유가 파괴되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고기의 식감과 품질이 저하됩니다. 따라서 해동 강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고기를 냉동하기 전에 사후강직을 완료시키고, 냉동 및 해동 과정에서 고기의 온도를 천천히 조절해야 합니다. 칼슘 결합력과 근육 수축은 해동 강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경화유 제조에 사용되는 수소 첨가용 촉매는?

  1. Cu
  2. Ni
  3. Mg
  4. Fe
(정답률: 79%)
  • 수소 첨가용 촉매로는 Ni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는 Ni가 수소를 흡수하고 방출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Ni는 경화유 제조에 필요한 적절한 화학적 안정성과 열 안정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Ni는 경화유 제조에 가장 적합한 촉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소시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기구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초퍼
  2. 연합기
  3. 혼합기
  4. 교동기
(정답률: 63%)
  • 소시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기구는 혼합기와 연합기입니다. 이들은 고기와 조미료를 섞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초퍼는 고기를 다지는 기구이며, 교동기는 소시지를 만들 때 사용되지 않습니다. 교동기는 주로 반죽을 만들 때 사용되며, 소시지와는 거리가 먼 기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과채류를 블랜칭(blanching)하는 목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조직을 유연하게 한다.
  2. 박피를 용이하게 한다.
  3. 산화효소를 불활성화 시킨다.
  4. 향미성분을 보호한다.
(정답률: 87%)
  • 블랜칭은 과채류의 색, 향, 맛을 보존하기 위해 향미성분을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향미성분을 보호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저산성 식품의 통조림은 일반적으로 어떤 방법으로 살균하는가?

  1. 저온살균
  2. 상압살균
  3. 고압살균
  4. 간헐살균
(정답률: 53%)
  • 저산성 식품의 통조림은 고압살균 방법으로 살균합니다. 이는 고압으로 인해 박테리아나 곰팡이 등의 미생물이 죽게 되는 것입니다. 고압살균은 다른 살균 방법에 비해 높은 효과를 보이며, 식품의 영양소와 맛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마카로니는 무슨 면인가?

  1. 냉면
  2. 선절면
  3. 연면
  4. 압출면
(정답률: 78%)
  • 마카로니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압출면입니다. 압출기는 반죽을 압축하여 특정한 모양으로 만들어주는 기계로, 마카로니는 이 압출기를 사용하여 튜브 모양으로 만들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식품의 냉동 저장중에 일어나는 변화 중 freezer burn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표면수분의 승화로 표면이 다공질이 되고, 이에 따라 유지의 산화, 변색, 단백질의 변성, 풍미의 저하 등을 심하게 일으킨 상태.
  2. 표면이 승화되어도 내부의 수분은 얼어 있는 상태이므로 외부만 부슬부슬하게 된 상태
  3. 표면의 승화로 건조 , 중량감소, 이취 등을 심하게 일으키는 경우
  4. 표면 수분의 승화로 내부유지의 유화상태의 파괴, 육질의 손상 등으로 외부적 변색이 심 한 경우
(정답률: 63%)
  • Freezer burn은 냉동 저장 중에 식품의 표면수분이 승화되어 표면이 다공질이 되고, 이에 따라 유지의 산화, 변색, 단백질의 변성, 풍미의 저하 등을 심하게 일으킨 상태를 말한다. 즉, 냉동 저장 중에 식품의 표면이 건조하고 부스러지며, 내부의 수분은 얼어 있는 상태이므로 외부만 부슬부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식품의 육질을 손상시키고, 내부유지의 유화상태를 파괴하여 외부적 변색을 일으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농축장치를 사용하여 오렌지 주스를 농축하고자 한다. 원료인 오렌지 주스는 7.08%의 고형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농축이 끝난 제품 은 58%의 고형분을 함유하도록 한다. 원료주 스를 500㎏/h의 속도로 투입할 때 증발 제거되는 수분의 양(W)과 농축주스의 양(C)은 얼마인가?

  1. W=375.0㎏/h, C=125.0㎏/h
  2. W=125.0㎏/h, C=375.0㎏/h
  3. W=439.0㎏/h, C=61.0㎏/h
  4. W=61.0㎏/h, C=439.0㎏/h
(정답률: 44%)
  • 원료인 오렌지 주스의 고형분 함량은 7.08%이므로, 100kg당 7.08kg의 고형분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500kg/h의 속도로 투입할 때, 고형분의 양은 500kg/h x 7.08kg/100kg = 35.4kg/h 이다.

    농축이 끝난 제품은 58%의 고형분을 함유하므로, 100kg당 58kg의 고형분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농축주스의 고형분 양은 35.4kg/h / 58kg/100kg = 61.0kg/h 이다.

    농축과정에서 증발 제거되는 수분의 양은 원료 주스의 양과 농축주스의 양의 차이와 같다. 따라서 증발 제거되는 수분의 양은 500kg/h - 61.0kg/h = 439.0kg/h 이다.

    따라서 정답은 "W=439.0㎏/h, C=61.0㎏/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냉동란 제조시 첨가하는 첨가물과 그 기능이 아닌 것은?

  1. Gum - 전란을 진하게 한다.
  2. Phosphates - 저온에서 살균할 수 있게 한다.
  3. Citric acid - pH를 조정한다.
  4. Triethycitrate - 열처리를 받는 난백의 거품 성질을 개선한다.
(정답률: 26%)
  • Citric acid는 냉동란 제조시 pH를 조정하는 역할을 하지 않는다. Citric acid는 식품에서 산성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냉동란 제조시에는 거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밀의 제분공정에서 조질(調質)이란?

  1. 외피와 배유의 분리를 쉽게 하기 위한 것
  2. 밀가루의 품질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것
  3. 외피의 분쇄를 쉽게 하기 위한 것
  4.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
(정답률: 63%)
  • 조질(調質)은 밀의 제분공정에서 외피와 배유를 분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 밀가루에 물을 첨가하여 반죽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외피와 배유가 분리되어 밀가루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피와 배유의 분리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우유의 균질화(homogenization)시키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지방구의 분리를 방지한다.
  2. 미생물의 발육이 저지된다.
  3. 커드(curd)가 연하게 되며 소화가 잘 된다.
  4. 지방구가 가늘게 된다.
(정답률: 74%)
  • 우유의 균질화는 지방과 물질이 섞이도록 하는 과정으로, 지방구의 크기를 작게 만들어 지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커드가 연하게 되어 소화가 잘 되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하지만 미생물의 발육을 저지하는 효과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품미생물학

61. 다음 효모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산막효모에는 Debaryomyces속, Pichia속, Hansenula속이 있다.
  2. 산막효모는 산화능이 강하고 비산막효모는 알콜 발효능이 강하다.
  3. 맥주상면발효효모는 raffinose를 완젼발효하고 맥주 하면 발효효모는 raffinose를 1/3만 발효한다.
  4. 야생효모는 자연에 존재하는 효모이고, 배양효모는 유용한 순수 분리한 효모이다.
(정답률: 76%)
  • "맥주상면발효효모는 raffinose를 완젼발효하고 맥주 하면 발효효모는 raffinose를 1/3만 발효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맥주상면발효효모와 맥주 하면 발효효모 모두 raffinose를 완전히 발효합니다. 이유는 두 효모 모두 raffinase 효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세균 중 외막(outer membrane)을 갖고 있는 것은?

  1. Lactobacillus속
  2. Staphylococcus속
  3. Escherichia속
  4. Corynebacterium속
(정답률: 42%)
  • Escherichia속은 그람 음성균으로, 외막을 갖고 있습니다. Lactobacillus속, Staphylococcus속, Corynebacterium속은 모두 그람 양성균으로 외막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곰팡이의 형태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자실체는 성숙한 균사체에서 균사가 갈라져 가지가 위로 뻗고 그 끝에 포자를 갖는 구조를 말한다
  2. 균사체는 균사들의 집합체를 말한다.
  3. 규사는 주로 키틴의 주성분인 세포벽이 세포질을 보호하고 있으며, 영양물질이 수송되는 통로가 된다.
  4. 영양균사는 기질 표면에서 공기 중으로 직립한 균사를 말한다.
(정답률: 45%)
  • 영양균사는 기질 표면에서 공기 중으로 직립한 균사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기질 내부로 침투하여 영양분을 흡수하는 균사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미생물 세포의 핵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미생물이 함유하는 DNA의 양은 항상 RNA의 양보다 많고 DNA의 함량은 균의 배양 시기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다.
  2. RNA는 단백질의 합성이 왕성할 때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 하지만 DNA의 양은 거의 일정하다.
  3. DNA는 세포의 분열 증식 등 유전에 관여한다.
  4. RNA는 단백질의 합성과 효소의 생산에 관여한다.
(정답률: 51%)
  • 정답은 "미생물이 함유하는 DNA의 양은 항상 RNA의 양보다 많고 DNA의 함량은 균의 배양 시기에 따라 차이를 나타낸다." 이다. 이유는 미생물의 종류와 상황에 따라 DNA와 RNA의 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DNA는 세포의 분열과 증식에 관여하고, RNA는 단백질 합성과 효소 생산에 관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장균 O157:H7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것은?

  1. 100℃에서 30분 가열하여도 파괴되지 않을 만큼 열에 강하다.
  2. 베로톡신을 생산하며 감염 후 용혈성 요독 증후군을 일으키기도 한다.
  3. pH3.5 정도의 산성조건에서도 살아남는다.
  4. 장관출혈성 대장균으로 혈변과 설사가 주증상으로 나타난다.
(정답률: 49%)
  • "100℃에서 30분 가열하여도 파괴되지 않을 만큼 열에 강하다."가 맞지 않는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대장균 O157:H7이 열에 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장균 O157:H7은 일반적으로 60℃ 이상의 열 처리나 적절한 조리로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을 섭취하기 전에 충분히 조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홍조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클로로필 이외에 피코빌린이라는 색소를 갖고 있다.
  2. 열대 및 아열대 지방의 해안에 주로 서식하며 한천을 추출하는 원료가 된다.
  3. 세포벽은 주로 셀룰로오스와 알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가 다른 2개의 편모를 갖고 있다.
  4. 엽록체를 갖고 있어 광합성을 하는 독립영양 생물이다.
(정답률: 53%)
  • 홍조류는 세포벽이 주로 규조포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가 다른 2개의 편모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세포벽은 주로 셀룰로오스와 알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길이가 다른 2개의 편모를 갖고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내생포자(endospore)를 형성하는 균 중 빵이나 밥에서 증식하며 청국장 제조에 관여하는 것은?

  1. Bacillus속
  2. Sporosarcina속
  3. Desulfotomaculum속
  4. Sporolactobacillus속
(정답률: 78%)
  • Bacillus속은 내생포자(endospore)를 형성하는 균 중 하나이며, 빵이나 밥에서 증식하며 청국장 제조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내생포자를 형성하지 않거나 다른 분야에서 활동하는 균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파이지(phage)에 오염되었다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상발효를 일으키는 인자가 세균여과기를 통과한다.
  2. 살아있어서 대사가 왕성한 세균의 세포내에 서만 증식한다.
  3. 이상 발효를 일으키는 인자를 가해 주면 발효가 빨라지거나 탁도가 증가한다.
  4. 숙주균 특이성이 있다.
(정답률: 50%)
  • "이상 발효를 일으키는 인자를 가해 주면 발효가 빨라지거나 탁도가 증가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파이지는 세균을 감염시켜 증식하는 바이러스이다. 이 때, 파이지가 세균을 감염시키면 세균은 파괴되어 죽게 된다. 따라서 파이지에 오염된 세균은 살아있지 않고, 대사도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파이지가 세균을 감염시키면 이상 발효를 일으키는 인자를 가해 주는 것이 아니라, 세균을 파괴하여 발효가 일어나지 않게 만든다. 따라서 "이상 발효를 일으키는 인자를 가해 주면 발효가 빨라지거나 탁도가 증가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맥주효모 세포의 기본적인 형태는?

  1. 계란형(cerevisiae type)
  2. 타원형(ellipsoideus type)
  3. 소시지형(pastorianus type)
  4. 레몬형(apiculatus type)
(정답률: 64%)
  • 맥주효모 세포의 기본적인 형태는 계란형(cerevisiae type)이다. 이는 세포가 중심부에서 약간 부풀어 오른 형태로, 양 끝이 뾰족한 형태를 띄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형태는 맥주효모의 생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맥주 제조에 적합한 효모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유전암호에서 1개의 암호단위인 codon은 몇 개의 핵산 염기로 되어 있는가?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68%)
  • 유전암호에서 1개의 암호단위인 codon은 3개의 핵산 염기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DNA나 RNA에서 3개의 연속된 염기가 하나의 amino acid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odon 하나는 3개의 핵산 염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간장용 종국균은?

  1. Aspergillus niger
  2. Aspergillus oryzae
  3. Aspergillus kawachi
  4. Aspergillus shirousami
(정답률: 68%)
  • 간장용 종국균은 Aspergillus oryzae인 이유는 이 균주가 일본의 전통적인 발효식품인 간장, 된장, 미소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주요한 균주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Aspergillus oryzae는 맛과 향을 개선시키는 효소를 분비하며, 이로 인해 간장 등의 발효식품의 풍미를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탄소원으로서 CO2를 이용하지 못하고 다른 동식물에 의해서 생성된 유기탄소화합물을 이용하는 미생물을 일반적으로 무엇이라 하는가?

  1. 독립영양 미생물
  2. 호기성 미생물
  3. 호염성 미생물
  4. 종속영양 미생물
(정답률: 78%)
  • 종속영양 미생물은 자신이 필요로 하는 유기탄소화합물을 직접 합성하지 못하고, 다른 동식물이나 미생물로부터 공급받아야 하는 미생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CO2를 이용하지 못하고 다른 동식물에 의해서 생성된 유기탄소화합물을 이용하는 미생물은 종속영양 미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에 열거해 놓은 세균들이 속 중 Entero bacteriaceae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Eschrichia 속
  2. Klebslella 속
  3. Pseudomonas 속
  4. Shigella 속
(정답률: 38%)
  • Pseudomonas 속은 Entero bacteriaceae과에 속하지 않는 이유는, 이 속은 그람 음성균으로 분류되지만, Entero bacteriaceae과는 그람 음성균과 그람 양성균 모두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세균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seudomonas 속은 Entero bacteriaceae과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곰팡이의 분류나 동정하는데 적용되지 않는 항목은?

  1. 균사의 격벽의 유무
  2. 편모의 존재와 형태 및 위치
  3. 유성포자 형성 여부 및 종류
  4. 무성포자의 종류
(정답률: 70%)
  • 편모는 곰팡이의 분류나 동정에 적용되지 않는 항목입니다. 이는 편모가 곰팡이의 특징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편모는 곰팡이의 생식기관 중 하나로, 생식과 관련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곰팡이의 분류나 동정에는 편모의 존재와 형태 및 위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Clostridium butyricum이 장내에서 정장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1. 강한 포자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2. 유기산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3. 항생물질을 내기 때문이다.
  4. 길항세균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정답률: 42%)
  • Clostridium butyricum은 유기산을 생성하여 장내 pH를 낮추고, 이로 인해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하고 유해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정장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유기산을 생성하기 때문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미생물과 그 이용에 대한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Bacillus subtilis - 단백분해력이 강하여 메주에서 번식한다.
  2. Aspergillus oryzae - amylase와 protease 활성이 강하여 코오지(koji)균으로 사용된다.
  3. Propionibacterium shermanii - 치즈눈을 형성시키고, 독특한 풍미를 내기 위하여 스위스치즈에 사용된다.
  4. Kluyveromyces lactis - 내염성이 강한 효모로 간장의 후숙에 중요하다.
(정답률: 70%)
  • Kluyveromyces lactis - 내염성이 강한 효모로 간장의 후숙에 중요하다. -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Kluyveromyces lactis는 간장의 후숙에 사용되는 효모가 아니라, 유제품 발효에 이용되는 효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알콜 발효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은 것은?

  1. 미생물이 알콜을 발효하는 경로는 EMP경로와 ED경로가 알려져 있다.
  2. 알콜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미생물 세포는 포도당 1분자로 부터 2분자의 ATP를 생산한다.
  3. 효모가 알콜 발효하는 과정에서 아황산나트륨을 적당량 첨가하면 알콜 대신 글리세롤이 축적되는데, 그 이유는 아황산나트륨이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을 저해하기 때문이다.
  4. EMP경로에서 생산된 pyruvic acid는 decar boxylase에 의해 탈탄산되어 acetaldehyde로 되고 다시 NADH로부터 alcohol dehyd rogenase에 의해 수소를 수용하여 ethanol 로 환원된다.
(정답률: 42%)
  • "효모가 알콜 발효하는 과정에서 아황산나트륨을 적당량 첨가하면 알콜 대신 글리세롤이 축적되는데, 그 이유는 아황산나트륨이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을 저해하기 때문이다." 이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아황산나트륨은 alcohol dehydrogenase 활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아황산나트륨을 첨가하면 알콜 발효가 더욱 촉진되어 알콜이 더 많이 생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세균의 증식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부분의 세균은 이분법으로 증식한다.
  2.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것도 있다.
  3. 균종에 따라 세포벽 형성방법이 차이가 있 다.
  4. 출아에 의하여 증식한다.
(정답률: 69%)
  • "출아에 의하여 증식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대부분의 세균은 이분법으로 증식하며, 일부 세균은 내생포자를 형성합니다. 세균의 균종에 따라 세포벽 형성 방법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출아는 일부 원생 동물이나 식물에서 나타나는 증식 방법으로, 세균에서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효모의 생육억제 효과가 가장 적은 것은?

  1. glucose 50%
  2. glucose 30%
  3. sucrose 50%
  4. sucrose 30%
(정답률: 44%)
  • 효모는 당분을 이용하여 생장하므로, 당분이 많이 함유된 환경에서는 생육이 활발하게 일어납니다. 따라서, 당분 함량이 적은 환경에서는 효모의 생육억제 효과가 높아집니다. 이 중에서도 sucrose 30%는 당분 함량이 가장 적기 때문에, 효모의 생육억제 효과가 가장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파아지(phage)의 피해와 관계가 없는 발효는?

  1. ethanol 발효
  2. cheese 발효
  3. glutamic acid 발효
  4. acetone-butanol발효
(정답률: 46%)
  • Ethanol 발효는 세포내부에서 일어나는 발효로, 파아지(phage)와 같은 외부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파아지(phage)의 피해와 관계가 없는 발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생화학 및 발효학

81. 빵효모 배양 시 배양관리 방법이 옳은 것은?

  1. 균체 수득율을 높이기 위해서 배양액 중의 당농도를 10% 이상으로 높게 한다.
  2. 충분한 증식을 위해 배양 종료시까지 질소원을 충분히 공급하여 준다.
  3. 인산농도가 너무 많으면 효모의 발효력이 저하되어 품질이 나빠진다.
  4. 능률적으로 효모균체를 생산하기 위해서 배양초기에는 충분한 산소공급을 해야 한다.
(정답률: 24%)
  • 인산은 효모의 성장과 발효에 필요한 영양소 중 하나이지만, 너무 많은 양의 인산이 배양액에 존재하면 효모의 발효력이 저하되어 품질이 나빠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양의 인산을 배양액에 첨가하여 효모의 발효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청주 양조시 발효 후기에 향기성분을 생성하여 발효에 유익한 효모는?

  1. Saccharomyces 속
  2. Pichia 속
  3. Hansenula 속
  4. Rhodotorula 속
(정답률: 17%)
  • 청주 양조시 발효 후기에는 에스터, 알데히드, 페놀 등의 향기성분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향기성분은 Hansenula 속의 효모에 의해 생성됩니다. Hansenula 속의 효모는 특히 알코올과 에스터 생성에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어 청주 양조에 적합한 효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맥아의 좋은 품질을 나열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맥아의 어린 뿌리가 잘 제거되어 있다.
  2. 수분 함량이 10% 정도이다.
  3. 약한 감미는 있으나 산미가 없어야 한다.
  4. 당화력이 강해야 한다.
(정답률: 36%)
  • "수분 함량이 10% 정도이다."가 틀린 것이다. 맥아는 수분 함량이 10% 미만인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맥아가 건조한 상태에서 저장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현재의 주정 제조방법을 이용시 원료로서 적합지 않은 것은?

  1. 당밀
  2. 고구마 전분
  3. 자일란(xylan)
  4. 타피오카 전분
(정답률: 56%)
  • 주정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는 주로 전분류 원료이며, 이들은 전분의 함량이 높고 당분이 적은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자일란은 전분보다 당분 함량이 높아 주정 제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자일란은 주정 제조에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광합성의 암반응(Calvin reaction)으로부터 포도당이 합성될 때 관련된 중간산물이 아닌 것은?

  1. 3-phosphoglycerate
  2. xylose-5-phsphate
  3. ribulose-1,5-diphosphate
  4. glyceraldehyde-3-phosphate
(정답률: 63%)
  • 광합성의 암반응에서는 탄소가 6개인 분자인 ribulose-1,5-diphosphate가 탄소가 3개인 분자인 glyceraldehyde-3-phosphate와 탄소가 2개인 분자인 3-phosphoglycerate로 분해됩니다. 이 중간산물들은 다시 다른 경로를 통해 포도당으로 합성됩니다. 하지만 xylose-5-phosphate는 광합성 경로에서 생성되는 중간산물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푸마르산(fumaric acid)의 생산균은?

  1. Aspergillus niger
  2. Aspergillus oryzae
  3. Rhizopus oryzae
  4. Rhizopus nigricans
(정답률: 40%)
  • 푸마르산은 Rhizopus nigricans에 의해 생산됩니다. 이 균주는 과일과 채소에서 발견되며, 이산화탄소와 함께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성장합니다. 이 균주는 푸마르산 생산에 필요한 효소를 생산하므로 산업적으로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Nucleotide 의 화학구조와 정미성을 나타낸것 중 맞는 것은?

  1. Ribose의 3‘ 위치에 인산기를 가진다.
  2. Ribose의 5‘ 위치에 인산기를 가진다.
  3. 염기가 pyrimidine계의 것이어야 한다.
  4. Trinucleotide에만 정미성이 있다.
(정답률: 77%)
  • 정답은 "Ribose의 5‘ 위치에 인산기를 가진다." 이다.

    Nucleotide은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Nitrogenous base, pentose sugar, phosphate group 이다. Pentose sugar는 Ribose 또는 Deoxyribose가 될 수 있으며, Ribose의 경우 5‘ 위치와 3‘ 위치에 OH기를 가지고 있다. 이 중 5‘ 위치에 인산기가 결합하여 Nucleotide의 정미성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Ribose의 5‘ 위치에 인산기를 가진다."가 맞는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주정제조시 단식 증류기에 비교하여 연속식 증류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연료비가 많이 든다.
  2. 일정한 농도의 주정을 얻을 수 있다.
  3. 알데히드의 분리가 가능하다.
  4. Fusel유의 분리가 가능하다.
(정답률: 64%)
  • 연속식 증류기는 단식 증류기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어서 일정한 농도의 주정을 얻을 수 있고, 알데히드와 Fusel유의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연료비가 많이 든다."는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이는 연속식 증류기가 많은 양의 열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Acetyl-CoA로부터 만들 수 없는 것은?

  1. 담즙산
  2. 엽산
  3. 지방산
  4. 콜레스테롤
(정답률: 56%)
  • 엽산은 Acetyl-CoA로부터 직접 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Acetyl-CoA를 출발물로 사용하여 합성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진핵세포에서 생체에너지 형성 대사과정이 일어나는 기관은?

  1. 메소좀
  2. 골지체
  3. 미토콘드리아
(정답률: 79%)
  •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내에서 생체에너지인 ATP를 생성하는 기관으로, 호흡과 산소소비를 통해 대사과정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진핵세포에서도 미토콘드리아가 존재하여 생체에너지 형성 대사과정이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homoserine 영양요구주에 의해 주로 공업적으로 생산되는 아미노산은?

  1. 라이신(lycine)
  2. 글리신(glycine)
  3. 메티오닌(methionine)
  4. 글루탐산(glutamic acid)
(정답률: 25%)
  • Corynebacterium glutamicum은 homoserine을 영양요구하는데, homoserine을 이용하여 라이신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세틸-CoA와 결합하여 라이신을 합성합니다. 따라서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homoserine 영양요구주에 의해 주로 공업적으로 생산되는 아미노산은 라이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비타민 C를 만들 때 발효미생물을 사용하여 발효시키는 공정은?

  1. D-glucose → D-sorbitol
  2. D-sorbitol → D-sorbose
  3. L-sobose → diacetone-L-sorbose
  4. diacetone-L-gluconic acid → 비타민 C
(정답률: 46%)
  • 비타민 C는 D-sorbose로부터 생산되는데, D-sorbose는 D-sorbitol을 산화하여 얻어진다. 따라서 D-sorbitol → D-sorbose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포도주 양조시 아황산을 첨가하는 이유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포도즙의 청징화
  2. 포도즙의 색깔 생성
  3. 포도즙의 산화를 방지
  4. 유해미생물의 살균과 오염방지
(정답률: 55%)
  • 아황산은 포도즙의 산화를 방지하고 유해미생물의 살균과 오염방지를 위해 첨가됩니다. 하지만 포도즙의 색깔 생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2분자의 피루빈산(pyruvate)에서 한분자의 글루코오스(glucose)가 만들어질 때 소모되는 고에너지 인산결합(High energy phosphate bond)의 수는?

  1. 2
  2. 4
  3. 3
  4. 6
(정답률: 31%)
  • 한 분자의 피루빈산에서 글루코오스 하나를 만들기 위해서는 6개의 고에너지 인산결합이 소모됩니다. 이는 글루코오스 합성과정에서 일어나는 에너지 소모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IMP는 어떤 물질의 전구체인가>

  1. guanosine과 adenosine
  2. uracil과 thymine
  3. uridylic acid와 cytidylic acid
  4. adenylic acid와 guanylic acid
(정답률: 50%)
  • IMP는 nucleotide의 중간체로, nucleotide의 구성 요소인 nitrogenous base, sugar, phosphate group 중 nitrogenous base와 sugar가 합쳐진 형태이다. Adenylic acid와 guanylic acid는 nucleotide의 nitrogenous base인 adenine과 guanine이 sugar인 ribose와 결합하여 만들어진 형태이다. 따라서 IMP는 adenine과 guanine이 ribose와 결합하여 만들어진 nucleotide의 중간체인 adenylic acid와 guanylic acid의 전구체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활성 물질과 균주간에 관련이 없는 것은?

  1. Vitamin B2 - Eremothecium ashbyii
  2. Ascorbic acid - Acetobacter suboxydans
  3. Isovitamin C -Pseudomonas fluorescens
  4. Carotenoid - Gluconobacter roseus
(정답률: 37%)
  • Carotenoid는 Gluconobacter roseus와 관련이 없는 활성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균체내 효소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1. 염석법
  2. 투석법
  3. 초음파처리법
  4. 흡착법
(정답률: 28%)
  • 초음파처리법은 고주파 진동을 이용하여 세포벽을 파괴하고 내부의 효소를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에 비해 적은 시간과 에너지로 효소를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효소의 활성도도 높아집니다. 따라서 균체내 효소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에서 초음파처리법이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비타민과 조효소의 관계가 틀린 것은?

  1. 비타민 B1 - TPP
  2. 비타민 B2 - FAD
  3. 비타민 B6 - THF
  4. Niacin - NAD
(정답률: 58%)
  • 비타민 B6은 조효소의 활성화에 필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비타민 B6 - THF"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항생물질인 페니실린의 세포내 작용 기작으로 옳은 것은?

  1. 영양물질 수송에 관여하는 세포막 합성저해
  2. 세포벽, 세포질에 존재하는 지질(lipid) 생합성 저해
  3. 세포벽 합성과정중의 transpeptidation 저해
  4. 리보솜에 작용하여 단백질 합성 저해
(정답률: 45%)
  • 페니실린은 세포벽 합성과정 중의 transpeptidation을 저해하여 세포벽의 형성을 방해합니다. 이로 인해 세균의 세포벽이 약해지고 파괴되어 세균이 죽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가수분해 에너지가 가장 큰 인산화합물은?

  1. phosphoenolpyruvate
  2. 1,3-diphosphoglycerol phosphate
  3. phosphocreatine
  4. ATP
(정답률: 27%)
  • 가수분해 과정에서 인산화합물이 분해되면서 에너지가 생성되는데, 이때 가장 많은 에너지를 생성하는 인산화합물은 인산화효소를 통해 인산을 떼어내기 어려운 분자일수록 에너지가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phosphoenolpyruvate"가 가장 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인산화합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