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8-26)

식품기사
(2012-08-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품위생학

1. 식품의 방사선 조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Co-60의 감마선이 이용된다.
  2. 식품의 발아 억제, 숙도 조절을 목적으로 사용한다.
  3. 일단 조사한 식품에 문제가 있으며 다시 조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완제품의 경우 조사처리된 식품임을 나타내는 문구 및 조사도안을 표시하여야 한다.
(정답률: 90%)
  • 일단 조사한 식품에 문제가 있으며 다시 조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조사 결과 문제가 발견된 식품은 폐기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람과 동물 사이에 동일한 병원체에 의해 발생되는 질병 또는 감염상태
  2. 병에 걸린 육류 또는 유제품을 섭취 시 감염될 수 있음
  3. 결핵, 파상열 등이 속함
  4. 탄저병은 브루셀라균에 의해 발생됨
(정답률: 78%)
  • "탄저병은 브루셀라균에 의해 발생됨"이 틀린 것은, 탄저병은 브루셀라균이 아닌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식품위생법규에 의거 아래와 같은 직무를 수행하는 자는?

  1. 동업자조합 조합원
  2. 식품위생감시원
  3. 영양사
  4. 식품위생심의위원회 위원
(정답률: 89%)
  • 위 그림에서는 식품을 제조하고 있는 공장의 생산라인을 감시하고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이러한 업무는 식품위생법규에 따라 식품위생감시원이 수행하는 업무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식품위생감시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아래에서 설명하는 경구감염병은?

  1. 콜레라
  2. 장티푸스
  3. 유행성 간염
  4. 세균성 이질
(정답률: 59%)
  • 위 그림은 세균성 이질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세균성 이질" 입니다. 콜레라는 장내 세균인 비브리오 콜레라에 의해 일어나는 질병이며, 장티푸스는 살모넬라균의 일종인 살모넬라 파라티파리에 의해 일어나는 질병입니다. 유행성 간염은 바이러스에 의해 일어나는 감염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기생충에 감염됨으로서 일어나는 피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영양물질의 손실
  2. 조직의 파괴
  3. 자극과 염증유발
  4. 유행성 간염
(정답률: 77%)
  • 정답은 "유행성 간염"입니다. 기생충 감염으로 인한 피해에는 영양물질의 손실, 조직의 파괴, 자극과 염증유발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유행성 간염은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기생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유행성 간염은 간에 염증이 생기며, 발열, 구토,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먹는 물의 수질기준에 의한 잔류염소(유리 잔류염소)의 기준은? (단, 샘물, 먹는샘물, 염지하수, 먹는염지하수, 먹는해양심층수 및 먹는물공동시설의 물의 경우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1. 1.0 mg/L를 넘지 아니할 것
  2. 2.0 mg/L를 넘지 아니할 것
  3. 3.0 mg/L를 넘지 아니할 것
  4. 4.0 mg/L를 넘지 아니할 것
(정답률: 45%)
  • 잔류염소는 소독제로 사용되는 염소가 물 속에서 일정량 남아있는 것을 말한다. 이는 물의 안전성과 위생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지만,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인체에 해로울 수 있다. 따라서 먹는 물의 수질기준에서는 잔류염소의 기준치를 정해놓고 있으며, 이 기준치는 4.0 mg/L를 넘지 않도록 되어있다. 이는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수치를 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식중독의 원인균, 원인물질 및 유형의 관계가 잘못된 것은?

  1. Proteus morganii - 단백질 식품 - allergy 유발성식중독
  2. Clostridium botulinum - 통조림 식품 - 독소형식중독
  3. Staphylococcus epidermidis - entertoxin - 감염형식중독
  4. Vibrio parathaemolyticus - 어패류 - 감염형식중독
(정답률: 75%)
  • Staphylococcus epidermidis는 감염형식중독을 일으키는 원인균이며, entertoxin은 이 균이 분비하는 독소입니다. 따라서 "Staphylococcus epidermidis - entertoxin - 감염형식중독"이 올바른 관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원인균과 원인물질, 유형이 잘못 매칭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식품첨가물을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식품의 성질과 제조 방법을 고려하여 적합한 첨가물을 선택한다.
  2. 어떤 식품이나 관계없이 첨가물의 사용은 법정허용량 만큼을 사용한다.
  3. 식품첨가물공전 총칙에 의해 도량형은 미터법을 준용한다.
  4. 식품의 유통조건(온도, 빛 등)을 고려하여 첨가물의 효과를 과신하지 말아야 한다.
(정답률: 84%)
  • "어떤 식품이나 관계없이 첨가물의 사용은 법정허용량 만큼을 사용한다."는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각 식품의 성질과 제조 방법에 따라 적절한 첨가물의 양을 결정해야 하며, 법정허용량 이하로 사용해야 안전하다. 법정허용량은 최대 사용 가능한 양을 의미하는 것이지, 꼭 그만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포도상구균에 의하여 발생되는 식중독의 원인 물질은?

  1. 프토마인(ptomaine)
  2.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
  3. 에르고톡신(ergotoxin)
  4. 엔테로톡신(enterotoxin)
(정답률: 87%)
  • 포도상구균은 엔테로톡신이라는 독소를 생성하여 식중독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엔테로톡신이 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의 원인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허용된 소포제는?

  1. pyrogallol
  2. sodium L-ascorbate
  3. propylene glycol
  4. silicone resin
(정답률: 41%)
  • 허용된 소포제는 안전성과 효과성이 검증된 것으로, 식품, 의약품 등에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silicone resin"은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안전성이 검증되어 허용된 소포제입니다. 이는 식품에 사용될 경우 식품의 유지, 보호, 향상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의약품에 사용될 경우 제형, 안정성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화장품에 사용될 경우 윤활제, 안정제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식품의 원재료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가공처리공정 중 유입 또는 생성되는 위해인자와 거리가 먼 것은?

  1. 트리코테신(trichothecene)
  2. 다핵방향족 탄화수소(polynuclear aromatic hydrocarbons, PAHs)
  3. 아크릴아마이드(acrylamide)
  4. 모노클로로프로판디올(monochloropropabdiol, MCPD)
(정답률: 67%)
  • 트리코테신은 식물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곡물 등의 가공처리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균류의 대사산물로 인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물의 오염된 정도를 표시하는 지표로 호기성 미생물이 일정기간 동안 물 속에 있는 유기물을 분해할 때 사용하는 산소의 양을 나타내는 것은?

  1.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2. COD(chemical oxygen demand)
  3. SS(suspended solid)
  4. DO(dissolved oxygen)
(정답률: 86%)
  • BOD는 호기성 미생물이 일정기간 동안 물 속에 있는 유기물을 분해할 때 사용하는 산소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물의 오염 정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COD는 화학적 산소 요구량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SS는 물 속에 떠 있는 고체 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DO는 물 속에 용존된 산소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미생물 검사를 요하는 검체의 채취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채취 당시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밀폐되는 용기ㆍ포장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2. 무균적으로 채취하더라도 검체를 소분하여서는 안된다.
  3.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보관ㆍ유통중에 있는 것을 채취하여야 한다.
  4. 검체는 관련정보 및 특별수거계획에 따른 경우와 식품접객업소의 조리식품 등을 제외하고는 완전 포장된 것에서 채취하여야 한다.
(정답률: 79%)
  • "무균적으로 채취하더라도 검체를 소분하여서는 안된다."가 틀린 것이다. 검체를 소분하여 여러 개의 용기에 나누어 보관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대량의 검체를 한 번에 채취한 후, 다양한 미생물 검사를 위해 여러 개의 용기에 나누어 보관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각 용기에 적절한 보존액을 넣어서 보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방사능 물질과 방사선 조사에 의한 인체와 식품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감기가 짧을수록 위험하다.
  2. 동위원소의 침착 장기의 기능 등에 따라 위험도의 차이가 있다.
  3. 혈액 흡수율이 높을수록 위험하다.
  4. 생체기관의 감수성이 클수록 위험하다.
(정답률: 81%)
  • "반감기가 짧을수록 위험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사실 반감기가 짧을수록 방사능 물질의 방사선을 방출하는 속도가 빨라져서 빠르게 감마선 등의 방사선을 방출하게 됩니다. 따라서 반감기가 짧은 물질일수록 위험도가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식품에서 생성되는 acrylamide에 의한 위험을 낮추기 위한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감자는 8 ℃ 이상의 음지에서 보관하고 냉장고에 보관하지 않는다.
  2. 튀김의 온도는 160℃ 이상으로 하고, 오븐의 경우는 200℃ 이상으로 조절한다.
  3. 빵이나 시리얼 등의 곡류 제품은 갈색으로 변하지 않도록 조리하고, 조리 후 갈색으로 변한 부분은 제거한다.
  4. 가정에서 생감자를 튀길 경우 물과 식초의 혼합물(1:1 비율)에 15분간 침지한다.
(정답률: 82%)
  • "빵이나 시리얼 등의 곡류 제품은 갈색으로 변하지 않도록 조리하고, 조리 후 갈색으로 변한 부분은 제거한다."가 잘못된 것입니다.

    튀김의 온도를 160℃ 이상으로 하고, 오븐의 경우는 200℃ 이상으로 조절하는 이유는 acrylamide의 생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입니다. 고온에서 조리하면서 물과 식초의 혼합물에 침지시키는 것도 acrylamide 생성을 줄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빵이나 시리얼 등의 곡류 제품은 갈색으로 변하지 않도록 조리하고, 갈색으로 변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은 acrylamide 생성을 줄이는 방법이 아니라, 빵이나 시리얼 등의 외관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항목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장출혈성대장균의 특징 및 예방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오염된 식품 이외에 동물 또는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 등을 통하여 전파될 수 있다.
  2. 74℃에서 1분 이상 가열하여도 사멸되지 않는 고열에 강한 변종이다.
  3. 신선채소류는 염소계 소독제 100ppm으로 소독 후 3회이상 세척하여 예방한다.
  4. 치료 시 항생제를 사용할 경우, 장출혈성대장균이 죽으면서 독소를 분비하여 요독증후군을 악화시킬 수 있다.
(정답률: 71%)
  • "74℃에서 1분 이상 가열하여도 사멸되지 않는 고열에 강한 변종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실제로는 74℃에서 1분 이상 가열하면 장출혈성대장균도 사멸됩니다. 이외의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입니다. 장출혈성대장균은 오염된 식품 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 등을 통해 전파될 수 있으며, 신선채소류는 염소계 소독제로 소독 후 세척하여 예방할 수 있습니다. 치료 시 항생제를 사용하면 독소 분비로 인해 요독증후군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특수독성시험이 아닌 것은?

  1. 최기형성시험
  2. 번식시험
  3. 변이원성시험
  4. 급성독성시험
(정답률: 81%)
  • 급성독성시험은 독성 물질의 짧은 기간 내에 동물에게 주어서 독성 반응을 관찰하는 시험이다. 반면에 최기형성시험은 독성 물질이 유발하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검사하는 시험, 번식시험은 독성 물질이 동물의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시험, 변이원성시험은 독성 물질이 유전자 변이를 유발하는지 여부를 조사하는 시험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특수독성시험이 아닌 것은 "급성독성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 시 평가항목이 아닌 것은?

  1. 항생제 내성
  2. 해충저항성과 독성
  3. 알레르기성
  4. 미생물 오염수준
(정답률: 83%)
  • 미생물 오염수준은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안전성 평가 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평가항목 중 하나이다. 이는 식품의 생산, 가공, 포장, 운송 등 과정에서 미생물이나 바이러스 등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수준을 적절히 관리하고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차아염소산나트륨 소독 시 비해리형 차아염소산(HCIO)으로 존재하는 양(%)이 가장 많을 때의 pH는?

  1. pH 4.0
  2. pH 6.0
  3. pH 8.0
  4. pH 10.0
(정답률: 84%)
  • HCIO는 산성 환경에서 안정적이므로 pH가 낮을수록 더 많은 양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pH 4.0일 때 HCIO의 양이 가장 많다. pH가 높아질수록 HCIO는 염소 이온(Cl-)과 결합하여 염소 이온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식품 중 미생물 오염여부를 신속하게 검출하는 등에 활용되며, 검출을 원하는 특정 표적 유전물질을 증폭하는 방법은?

  1. Inductively Coupled Plasma(ICP)
  2.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3. Gas Chromatography(GC)
  4. Polymerase Chain Rreaction(PCR)
(정답률: 83%)
  • PCR은 DNA 증폭 기술로, 특정 DNA 조각을 대량으로 증폭하여 검출하는 방법이다. 이를 이용하여 미생물의 DNA를 증폭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들과는 달리 매우 높은 감도와 정확도를 보인다. 따라서 식품 중 미생물 오염 여부를 신속하게 검출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품화학

21. 조지방 정량을 위한 soxhlet에 사용되는 용매는?

  1. 에테르
  2. 에탄올
  3. 황산
  4. 암모니아수
(정답률: 87%)
  • Soxhlet 추출에서는 지방을 용해시키기 위해 비극성 용매가 필요하며, 에테르는 이러한 비극성 용매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에테르가 조지방 정량을 위한 Soxhlet에 사용되는 용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견과류 중 같은 중량일 때 가장 열량을 적게 내는 것은?

  1. 호두
  2. 아몬드
(정답률: 77%)
  • 밤은 다른 견과류에 비해 지방 함량이 낮아서 같은 중량일 때 가장 적은 열량을 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포르피린 링(porphyrin ring) 구조 안에 Mg2+을 함유하고 있는 색소 성분은?

  1. 미오글로빈
  2. 헤모글로빈
  3. 클로로필
  4. 헤모시아닌
(정답률: 69%)
  • 포르피린 링 구조 안에 Mg2+을 함유하고 있는 색소 성분은 엽록소와 클로로필입니다. 그 중에서도 엽록소는 Mg2+를 함유하지만 녹색 식물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고, 대부분이 클로로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클로로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밀가루 풀과 같은 전분 gel은 교반하면 쉽게 액상인 sol로 되고 또 방치하면 다시 gel을 형성하는 성질은 어떤 유체의 특성인가?

  1. 뉴톤(Newton) 유체
  2. 슈도플라스틱(Pseudoplastic) 유체
  3. 딜라턴트(Dilatant) 유체
  4. 틱소트로픽(Thixotrophic) 유체
(정답률: 44%)
  • 틱소트로픽 유체는 교반이나 외부적인 힘에 의해 점성이 낮아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체는 방치하면 다시 점성이 높아지는데, 이는 유체 내부의 분자나 입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구조를 형성하고 이 구조가 교반에 의해 파괴되어 점성이 낮아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밀가루 풀과 같은 전분 gel이 틱소트로픽 유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식품성분분석에 있어서 검체의 채취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1. 미생물검사를 요하는 검체는 멸균된 기구, 용기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점도가 높은 시료는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점도를 낮추어 채취할 수 있다.
  3. 냉동식품은 상온으로 해동시켜 검체를 채취해야만 한다.
  4. 수분측정시료는 검체를 밀폐용기에 넣고 온도변화를 최소화한다.
(정답률: 83%)
  • "냉동식품은 상온으로 해동시켜 검체를 채취해야만 한다."는 옳지 않은 것이다. 냉동식품은 냉동 상태에서 검체를 채취해야 한다. 냉동식품을 해동하면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고, 식품 내부의 화학적 성분이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냉동식품의 경우에는 냉동 상태에서 검체를 채취하거나, 냉동 상태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분쇄하여 검체를 채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단백질의 열변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백질 중에서 알부민과 글로불린이 가장 열변성이 쉽게 일어난다.
  2. 단백질에 수분이 많으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일어난다.
  3.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등전점에서 가장 열변성이 일어나기 어렵다.
  4. 단백질은 전해질이 있으면 변성온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65%)
  • 정답은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등전점에서 가장 열변성이 일어나기 어렵다." 이다.

    단백질의 열변성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알부민과 글로불린은 열변성이 쉽게 일어나는 단백질 중 하나이지만, 모든 단백질이 그렇지는 않다. 또한, 단백질에 수분이 많으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열변성이 일어날 수 있다. 전해질이 있는 경우에도 열변성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등전점에서 가장 열변성이 일어나기 어렵다. 등전점은 단백질의 전기적 중성을 유지하는 pH 값이다. 이 pH 값에서는 단백질의 구조가 가장 안정적이기 때문에 열변성이 일어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관능검사 방법 중 종합적 차이 검사는 전체적 관능 특성의 차이유무를 판별하고자 기준 시료와 비교하는 것인데 이때 사용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일-이점 검사
  2. 삼점 검사
  3. 단일 시료 검사
  4. 이점 비교 검사
(정답률: 70%)
  • 종합적 차이 검사는 기준 시료와 비교하여 전체적인 관능 특성의 차이를 판별하는 방법이지만, 이점 비교 검사는 두 시료 간의 특정한 관능적 차이를 비교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종합적 차이 검사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즉석밥 제조 시 밥맛이 좋고 영양가가 높은 제품을 만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도정을 미리 해 둔 쌀을 이용하지 않고 밥을 짓기 2 ~ 3일전에 도정한 쌀을 이용하여 밥을 만든다.
  2. 쌀을 보관함에 있어 수분과 온도가 매우 중요하므로 수분함량 16%와 온도 20℃를 유지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0분도정을 실시하면 현미를 확보할 수 있으나 밥맛에 영향을 주고, 10분도정을 하면 하얀 백미를 확보할 수 있으나 영양 손실이 우려되어 7 ~ 9분 정도 도정을 실시하는것이 좋다.
  4. 쌀바구미가 생성되면 밥맛에 영향을 주므로 해충의 침투를 차단하고 곡류의 수분을 13% 이하로 유지하며 적정온도 조건을 유지하도록 한다.
(정답률: 7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우유의 주된 단백질은?

  1. 락토알부민(lactalbumin)
  2. 락토글로블린(lactoglobulin)
  3. 카제인(casein)
  4. 뮤신(mucin)
(정답률: 76%)
  • 우유의 주된 단백질은 카제인(casein)입니다. 이는 우유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우유의 흰색 부분에 해당합니다. 카제인은 우유의 유전자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우유가 음식물로부터 영양을 공급하는 데 필수적인 아미노산을 제공합니다. 또한 카제인은 소화가 느리게 일어나기 때문에, 우유를 마시면 오랫동안 포만감을 느끼게 해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식품 중 비뉴턴 유체의 성질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1. 대두유
  2. 포도당용액
  3. 전분용액
  4. 소금용액
(정답률: 76%)
  • 전분은 물에 녹지 않고 덩어리를 이루다가 열을 가하면 물에 잘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전분을 물에 넣고 가열하면 비뉴턴 유체의 성질을 나타내게 됩니다. 따라서 전분용액이 비뉴턴 유체의 성질을 가장 잘 나타내는 식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햄을 만들 때 돼지고기에 질산염을 첨가하면 생성되는 선홍색 물질은?

  1. 미오글로빈(myoglobin)
  2. 옥시미오글로빈(oxymiglobin)
  3. 메트미오글로빈(metmyoglobin)
  4. 니트로소미오글로빈(nitrosomyglobin)
(정답률: 72%)
  • 질산염은 돼지고기의 미오글로빈과 반응하여 니트로소미오글로빈을 생성합니다. 이것은 선홍색 물질로, 햄의 색상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서류 중 주요 고형성분이 다른 하나는?

  1. 돼지감자
  2. 카사바
  3. 감자
(정답률: 79%)
  • 정답은 "카사바"입니다. 카사바는 전분이 주요 고형성분이지만, 나머지 세 가지는 전분 외에도 당질, 식이섬유 등 다양한 고형성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돼지감자는 감자와 비슷하지만 당분이 적고 단백질이 많아서 맛과 질감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버터나 생크림을 수저로 떠서 접시에 올려놓았을 때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는 물리적 성질은?

  1. 점성
  2. 탄성
  3. 소성
  4. 점탄성
(정답률: 73%)
  • 정답은 "소성"입니다.

    소성은 고체가 압력이나 온도의 영향을 받아 변형되는 물리적 성질입니다. 버터나 생크림은 고체 상태이며, 수저로 떠서 올려놓았을 때 압력이 가해지면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버터나 생크림은 소성이 높아 압력이 가해져도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버터나 생크림은 소성이 높은 물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식물성 카로티노이드(carotenoid)색소 중에서 프로비타민 A가 아닌 것은?

  1. α -carotene
  2. β -carotene
  3. cryptoxanthin
  4. xanthophyll
(정답률: 67%)
  • xanthophyll은 프로비타민 A를 생산하지 않는 카로티노이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프로비타민 A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콩에 가장 많은 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이다.
  2. 콩에 가장 많은 단백질은 글로블린(globulin) 이다.
  3. 콩에는 쌀에 비해 트립토판과 메티오닌이 많이 들어있다.
  4. 콩에는 무기질 중에서 K와 P가 많이 들어 있다.
(정답률: 76%)
  • "콩에 가장 많은 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이다."가 틀린 것이다. 콩은 지방 함량이 낮고, 대부분의 지방은 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콩에는 리놀레산보다는 오메가-3 지방산인 알파-리놀레산이 더 많이 들어있다.

    "콩에는 쌀에 비해 트립토판과 메티오닌이 많이 들어있다."는 맞는 설명이다. 콩은 쌀보다 아미노산 구성이 다양하며, 특히 필수 아미노산 중에서도 트립토판과 메티오닌 함량이 높다.

    "콩에 가장 많은 단백질은 글로블린(globulin) 이다."는 일부 맞는 설명이다. 콩은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글로블린은 그 중 하나이다. 하지만 콩에 가장 많은 단백질은 레진(legumin)과 비글로불린(vicilin)이다.

    "콩에는 무기질 중에서 K와 P가 많이 들어 있다."는 맞는 설명이다. 콩은 칼륨과 인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서, 심장 건강과 뼈 건강에 도움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산화방지제로 사용되는 화합물의 종류와 주요 항산화 메카니즘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비타민 C - 수소공여 혹은 전자공여체
  2. β-카로틴 - 일중항산소(singlet oxygen) 제거
  3. 세사몰 - 수소공여 혹은 전자공여체
  4. EDTA - 산소제거
(정답률: 70%)
  • EDTA는 산화방지제로 사용되지 않고, 대신 금속 이온의 존재를 감지하고 금속 이온을 적극적으로 제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EDTA는 금속 이온의 산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식품의 텍스처 특성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

  1. 저작성은 '무르다, 단단하다'라고 표현되는 특성이다.
  2. 부착성은 '미끈미끈하다, 끈적끈적하다' 등으로 표현된다.
  3. 응집성은 '기름지다, 미끈미끈하다'라고 표현되는 특성이다.
  4. 견고성은 '부스러지다, 깨지다'라고 표현되는 특성이다
(정답률: 59%)
  • 부착성은 표면에 달라붙는 정도를 나타내는 특성으로, 미끈미끈하거나 끈적끈적한 느낌을 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30%의 수분과 30%의 설탕(C12H22O11)을 함유하고 있는 식품의 수분활성도는?

  1. 0.98
  2. 0.95
  3. 0.82
  4. 0.90
(정답률: 60%)
  • 수분활성도는 식품 내부의 수분이 식품 외부의 수분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수분활성도는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1에 가까울수록 식품 내부의 수분이 외부의 수분과 자유롭게 교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식품이 30%의 수분과 30%의 설탕을 함유하고 있다고 하였다. 설탕은 수분과 결합하여 분자 내부에서 수분을 가둬놓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설탕 함량이 높을수록 수분활성도는 낮아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설탕 함량이 30%이므로 수분활성도는 0.95가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산패(rancidity)가 가장 빠른 지방산은?

  1. arachidonic acid
  2. linoleic acid
  3. stearic acid
  4. palmitic acid
(정답률: 67%)
  • 산패는 지방산의 산화에 의해 발생하는데, arachidonic acid는 다른 세 지방산에 비해 더 많은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어서 산화에 더 취약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rachidonic acid는 가장 빠르게 산패가 일어나는 지방산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식품의 회분분석에서 검체의 전처리가 필요 없는 것은?

  1. 액상식품
  2. 당류
  3. 곡류
  4. 유지류
(정답률: 82%)
  • 곡류는 이미 가공되어 있지 않은 원료로서, 전처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 액상식품과 유지류는 혼합물이기 때문에 전처리가 필요하며, 당류는 당의 함량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전처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식품가공학

41. 수분 함량이 83%(wet base)인 100kg의 감자 절편을 열풍 건조기로 함수량을 5%까지 줄이고자 한다. 건조 개시 때의 외부 공기와 감자 절편의 온도는 똑같이 25℃이고 건조 종료 시의 배출 공기와 건조된 감자 제품의 온도는 모두 80℃이다. 건조에 필요한 열량은? (단. 감자의 평균 비열은 0.8 kcal/kgㆍ℃이고 80℃에서의 증발 잠열은 551kcal/kg이다.)

  1. 45733kcal
  2. 49640kcal
  3. 59133kcal
  4. 55340kcal
(정답률: 41%)
  • 먼저, 초기 상태에서 감자 절편의 수분 함량은 83%이므로, 수분의 질량은 83kg이고, 고체 물질의 질량은 17kg입니다.

    건조 후에는 수분 함량이 5%가 되므로, 수분의 질량은 5kg이고, 고체 물질의 질량은 95kg가 됩니다.

    증발에 필요한 열량은 수분의 질량에 증발 잠열을 곱한 값입니다. 따라서, 증발에 필요한 열량은 5kg × 551kcal/kg = 2755kcal입니다.

    고체 물질의 열량 변화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변화량 = 질량 × 비열 × 온도 변화량
    = 95kg × 0.8kcal/kg℃ × (80℃ - 25℃)
    = 3800kcal

    따라서, 건조에 필요한 총 열량은 증발에 필요한 열량과 고체 물질의 열량 변화량을 합한 값입니다.

    총 열량 = 2755kcal + 3800kcal = 6555kcal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kcal이 아니라 kcal/kg로 주어졌으므로, 총 열량을 고체 물질의 질량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따라서, 건조에 필요한 열량은 6555kcal ÷ 95kg = 69kcal/kg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을 kcal로 주어졌으므로, 고체 물질의 질량을 100kg으로 바꾸어야 합니다.

    따라서, 건조에 필요한 열량은 69kcal/kg × 100kg = 6900kcal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건조에 필요한 열량을 kcal이 아니라 kcal로 주어졌으므로, 6900kcal을 1000으로 나누어야 합니다.

    따라서, 건조에 필요한 열량은 6900kcal ÷ 1000 = 6.9 Mcal입니다.

    마지막으로, Mcal을 kcal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6.9 Mcal = 6.9 × 10^6 kcal

    따라서, 정답은 6.9 × 10^6 kcal = 6900000 kcal이며, 보기에서는 이 값이 49640kcal로 주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지에 수소를 첨가하는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

  1. 안정성을 높임
  2. 불포화지방산에 기인한 냄새를 제거함
  3. 융점을 높임
  4. 유리지방산을 제거함
(정답률: 74%)
  • 유지에 수소를 첨가하는 주요 목적은 안정성을 높이고, 불포화지방산에 기인한 냄새를 제거하며, 융점을 높이는 것입니다. 유리지방산을 제거하는 것은 부수적인 효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수분함량이 12%인 초자질밀 1000kg을 수분함량이 15.4%되도록 조질(tempering)하려고 할 때 첨가하여야 할 물의 무게는 약 얼마인가?

  1. 36kg
  2. 40kg
  3. 120kg
  4. 154kg
(정답률: 3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식육의 사후경직과 숙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후 경직 - 도살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근육이 굳어지는 현상
  2. 식육 냉동 - 사후경직 억제
  3. 식육 숙성 - 육의 연화과정, 보수력 증가
  4. 숙성 속도 - 온도가 높으면 신속
(정답률: 65%)
  • "숙성 속도 - 온도가 높으면 신속"이 틀린 것입니다. 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속도가 느려지는 것이 맞습니다.

    식육 냉동은 사후경직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입니다. 냉동은 근육 내의 물분자를 얼리고, 얼어붙은 물분자가 근육 섬유를 끌어당기면서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식육 숙성은 육의 연화과정과 보수력 증가를 위해 시행됩니다. 숙성은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진행되며, 온도가 낮을수록 숙성 속도가 느리고, 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속도가 빨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세균액화효소를 이용한 녹말액화 과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온도를 80 ~ 85℃로 유지한다.
  2. 지하전분(고구마, 감자 등의 녹말)을 사용한다.
  3. 요오드 반응이 “청색→적색→무색”으로 변한다.
  4. pH를 3정도로 조절한다.
(정답률: 54%)
  • pH를 3정도로 조절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녹말액화 과정에서는 pH를 4.5 ~ 5.5 정도로 조절합니다. 이는 세균액화효소가 최적으로 활성화되는 pH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pH를 낮게 조절하면 세균액화효소의 활성화가 억제되어 액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지를 추출할 때 착유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용매로 먼저 추출한 후 기계적 압착을 한다.
  2. 기계적 압착을 한 후 용매로 추출한다.
  3. 용매 추출 방법으로만 추출한다.
  4. 기계적 압착 방법으로만 추출한다.
(정답률: 71%)
  • 기계적 압착을 한 후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은, 기계적 압착으로 인해 유지 내부의 세포벽이 파괴되어 유지 내부의 성분이 용이하게 용매로 추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매로 먼저 추출한 후 기계적 압착을 하는 것보다는 기계적 압착을 한 후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착유율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도살 후 일반적으로 최대경직시간이 가장 짧은 고기는?

  1. 닭고기
  2. 쇠고기
  3. 양고기
  4. 돼지고기
(정답률: 87%)
  • 닭고기는 다른 고기에 비해 근육이 작고 얇아서 도살 후 빠르게 식힐 수 있기 때문에 최대경직시간이 가장 짧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시유의 살균방법 중 고온단시간살균법(HTST 법)과 초고온순간살균법(UHT 법)의 일반적인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은?

  1. 130 ~ 150℃에서 1 ~ 2분, 130 ~ 150℃에서 1 ~ 5초
  2. 95 ~ 98℃에서 5초, 150 ~ 160℃에서 0.1 ~ 0.2초
  3. 72 ~ 75℃에서 15 ~ 20초, 130 ~ 150℃에서 0.5 ~ 5초
  4. 60 ~ 65℃에서 30초, 150 ~ 160℃에서 3 ~ 5초
(정답률: 72%)
  • 고온단시간살균법(HTST 법)은 72 ~ 75℃에서 15 ~ 20초 동안 열처리를 하여 세균을 살균하는 방법이며, 초고온순간살균법(UHT 법)은 130 ~ 150℃에서 0.5 ~ 5초 동안 열처리를 하여 세균을 살균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세균을 살균하기에 충분한 온도와 시간이며, 높은 온도와 짧은 시간으로 세균을 살균할 수 있어 식품의 영양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72 ~ 75℃에서 15 ~ 20초, 130 ~ 150℃에서 0.5 ~ 5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심온 냉동장치(cryogenic freezer)에서 사용되는 냉매가 아닌 것은?

  1. 에틸렌가스
  2. 액화질소
  3. 프레온-12
  4. 이산화황가스
(정답률: 77%)
  • 이산화황가스는 심온 냉동장치에서 사용되는 냉매가 아닙니다. 이유는 이산화황가스는 냉매로 사용될 때 화재와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산화황가스는 대체 냉매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마요네즈 제조 시 첨가하는 재료가 아닌 것은?

  1. 달걀 흰자
  2. 샐러드오일
  3. 식초
  4. 달걀 노른자
(정답률: 78%)
  • 마요네즈는 샐러드오일, 식초, 달걀 노른자를 섞어 만드는데, 달걀 흰자는 마요네즈 제조 시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달걀 흰자는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마요네즈 제조 시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오렌지 주스의 농축에 가장 부적합한 농축기는?

  1. 자연 순환식 증발기(natural circulation evaporator)
  2. 박막식 증발기(film evaporator)
  3. 플레이트식 증발기(plate evaporator)
  4. 원심식 증발기(centrifugal evaporator)
(정답률: 46%)
  • 오렌지 주스는 농축 과정에서 많은 양의 섬유질과 과일 산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농축기의 내부에 쉽게 끼어붙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연 순환식 증발기는 농축 과정에서 섬유질과 과일 산이 끼어붙어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오렌지 주스의 농축에는 자연 순환식 증발기가 가장 부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발효를 생략하고 기계적으로 반죽을 형성시키는 제빵공정(no time dough method)에서 cystein을 첨가하면 cystein은 어떤 작용을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gluten의 -NH2 기에 작용하여 -N=N- 로 산화한다.
  2. gluten의 -SH 기에 작용하여 -S-S-로 산화한다.
  3. gluten의 -S-S- 결합에 작용하여 -SH 로 환원한다.
  4. gluten의 -N=N- 결합에 작용하여 -NH2로 환원한다.
(정답률: 67%)
  • cystein은 -SH기를 가지고 있어서, 반죽에서 gluten의 -SH기와 반응하여 -S-S- 결합을 형성시킵니다. 이것은 반죽의 강도와 탄력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갈조류가 아닌 것은?

  1. 미역
  2. 다시마
(정답률: 78%)
  • 갈조류는 해조류 중에서도 녹조류에 속하는데, "톳", "미역", "다시마"는 모두 갈조류에 속하고, "김"은 녹조류에 속하기 때문에 정답은 "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분무건조법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열변성하기 쉬운 물질도 용이하게 건조 가능하다.
  2. 제품형상을 구형의 다공질 입자로 할 수 있다.
  3. 연속으로 대량 처리가 가능하다.
  4. 재료의 열을 빼앗아 승화시켜 건조한다.
(정답률: 64%)
  • 분무건조법은 액체 상태의 재료를 분무기로 분사하여 고체 상태로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의 특징은 연속으로 대량 처리가 가능하며, 제품형상을 구형의 다공질 입자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열변성하기 쉬운 물질도 용이하게 건조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재료의 열을 빼앗아 승화시켜 건조하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냉각된 브라인(brine)을 흘려 냉각한 금속판 사이에 피동결물을 끼워서 동결하는 방법은?

  1. 침지식 동결법
  2. 공기 동결법
  3. 접촉식 동결법
  4. 가스 동결법
(정답률: 84%)
  • 접촉식 동결법은 냉각된 브라인을 흘려 냉각한 금속판 사이에 피동결물을 끼워서 동결하는 방법으로, 피동결물과 금속판 사이의 접촉으로 열이 전달되어 빠르게 동결이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식품의 저온저장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최대빙결정생성대를 느리게 통과할수록 냉동식품의 품질이 좋다.
  2. 빙결정의 크기가 작고 고르게 분포되어야 품질이 좋다.
  3. 냉동식품의 T.T.T.의 계산값이 1.0이하이면 품질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4. 냉동식품은 드립(drip)을 줄이는 방향으로 해동해야 한다.
(정답률: 77%)
  • "최대빙결정생성대를 느리게 통과할수록 냉동식품의 품질이 좋다."이 말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최대빙결정생성대를 빠르게 통과할수록 냉동식품의 품질이 좋다. 이유는 빙결과정에서 물분자가 얼어서 빙결결정을 형성하는데, 이 과정에서 빙결결정이 크게 형성되면 식품 내부의 세포구조가 파괴되고 식품의 질감과 맛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대빙결정생성대를 빠르게 통과시켜 빙결결정이 작고 고르게 분포되도록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우유에 함유되어 있는 미량성분 중에서 가장 부족한 것은?

  1. 칼슘
  2. 요오드
  3. 마그네슘
  4. 철분
(정답률: 46%)
  • 우유에는 칼슘, 요오드, 마그네슘, 철분 등 다양한 미량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철분은 우유에 함유되어 있는 미량성분 중에서 가장 부족한 것입니다. 이는 우유가 철분을 함유하고 있지만, 그 양이 다른 미량성분에 비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철분 섭취가 필요한 경우에는 우유 외에 다른 식품을 섭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명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북어는 장시간 천천히 말린 명태
  2. 코다리는 꾸들꾸들하게 반쯤 말린 명태
  3. 황태는 겨울내 자연적으로 동결건조된 명태
  4. 노가리는 명태 새끼
(정답률: 46%)
  • "노가리는 명태 새끼"가 틀린 것이다.

    북어는 장시간 천천히 말린 명태인 이유는, 명태는 지방이 많아서 빠르게 상하기 쉽기 때문에, 오랫동안 말리면서 지방이 빠져나가고 맛과 향이 진하게 된다.

    코다리는 반쯤 말린 명태인 이유는, 명태를 완전히 말리면 지방이 너무 많이 빠져나가서 맛이 좋지 않기 때문에, 반쯤 말리고 꾸덕꾸덕한 식감을 유지시킨다.

    황태는 겨울내 자연적으로 동결건조된 명태인 이유는, 겨울에 바다에서 잡힌 명태를 바로 말리기 어렵기 때문에, 동결건조를 통해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노가리는 명태의 새끼가 아니라, 명태와는 다른 종류의 물고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통조림의 가열 살균을 위하여 살균 솥에 원료를 삽입할 때 그 통조림의 초기 온도를 중요시하는 주요 이유는?

  1. 통조림의 내용물의 조리 상태가 변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2. 유해 미생물의 계속적인 번식을 방지하기 위해
  3. 작업의 진도를 쉽게 알아보기 위해
  4. 통조림의 관내 중심온도가 살균온도로 유지되는 시간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정답률: 84%)
  • 통조림의 관내 중심온도가 살균온도로 유지되는 시간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살균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살균 온도와 유지 시간이 적절하지 않으면 효과적인 살균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 온도가 적절하게 설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젤리가 생성되는데 필요한 성분이 아닌 것은?

  1. 당분
  2. 펙틴
  3. 일가 금속이온
(정답률: 83%)
  • 일가 금속이온은 젤리 생성에 필요한 성분이 아닙니다. 젤리 생성에 필요한 성분은 산, 당분, 그리고 젤링제인 펙틴입니다. 일가 금속이온은 젤리 생성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품미생물학

61. 당류의 발효성 실험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Lindner 법
  2. Durham tube 법
  3. Einhorn tube 법
  4. Pilsner 법
(정답률: 68%)
  • Pilsner 법은 맥주 제조에 사용되는 발효법이며, 당류의 발효성 실험법으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Pilsner 법은 효모를 이용한 발효법이 아니라, 낮은 온도에서 균주를 이용한 발효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ilsner 법은 당류의 발효성 실험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killer yeast가 자신이 분비하는 독소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이유는?

  1. 항독소를 생산한다.
  2. 독소 수용체를 변형시킨다.
  3. 독소를 분해한다.
  4. 독소를 급속히 방출시킨다.
(정답률: 74%)
  • killer yeast는 자신이 분비하는 독소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이유는 독소 수용체를 변형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는 독소가 yeast의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자신의 생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메주에서 흔히 발견되는 균이 아닌 것은?

  1. Rhizopus oryzae
  2. Aspergillus flavus
  3. Bacillus subtilis
  4. Aspergillus oryzae
(정답률: 69%)
  • "Aspergillus flavus"는 메주에서 흔히 발견되지 않는 균으로, 메주 제조에 사용되는 "Aspergillus oryzae"와는 다른 종류의 균이기 때문입니다. "Rhizopus oryzae"와 "Bacillus subtilis"는 메주 제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균으로, 메주에서 자주 발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미생물 세포내에서 단백질의 직접 합성에 관여하는 것은?

  1. DNA
  2. RNA
  3. ribosome
  4. plasmid
(정답률: 76%)
  • 단백질 합성은 mRNA가 ribosome에 결합하여 이루어지는데, ribosome은 mRNA를 읽어가며 tRNA가 가져온 아미노산을 연결하여 단백질을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ribosome은 미생물 세포내에서 단백질의 직접 합성에 관여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세균의 DNA가 phage에 혼합된 후 이 phage가 다른 세균에 침입하여 세균의 유전적 성질을 변화시키는 현상은?

  1. recombination
  2. transformation
  3. transduction
  4. heterocaryon
(정답률: 72%)
  • 이 현상은 transduction이라고 불린다. Transduction은 phage가 세균의 DNA를 취득하고, 이 DNA가 다른 세균에 전달되어 유전적 성질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transduc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층을 용해하는 효소는?

  1. 인버타아제(invertase)
  2. 찌마아제(zymase)
  3. 펩티다아제(peptidase)
  4. 라이소자임(lysozyme)
(정답률: 53%)
  • 펩티도글리칸은 세균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중요한 성분 중 하나입니다. 라이소자임은 이러한 펩티도글리칸 층을 용해하는 효소로,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여 세균의 생존을 방해합니다. 따라서 라이소자임은 세균을 제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그람음성세균의 세포벽 구성 물질로써 사람이나 동물에게 독소활성을 보이는 내독소는?

  1. 핍티도글리칸(peptidoglycan)
  2. 테이코산(teichoic acid)
  3. 지질 A(lipid A)
  4. 포린(porin)
(정답률: 62%)
  • 그람음성세균의 세포벽 구성물질 중 지질 A는 내독소로 작용한다. 이는 지질 A가 세포벽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균이 죽거나 세포벽이 파괴될 때 지질 A가 방출되어 염증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지질 A는 그람음성세균의 세포벽 구성물질 중 하나로, 지질과 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독소 활성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효모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의 주요작용은?

  1. 호흡작용
  2. 단백질 생합성 작용
  3. 효소 생합성 작용
  4. 지방질 생합성 작용
(정답률: 78%)
  • 효모 미토콘드리아는 호흡작용을 담당합니다. 호흡작용은 산소를 이용하여 ATP(아디노신 트리포스페이트)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생명 활동에 필수적인 에너지를 공급합니다. 이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 내부의 효소와 전자 수송체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독버섯의 유독성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neurine : 호흡곤란, 설사, 경력, 마비를 일으킨다.
  2. muscaridine : 복통, 강직 및 콜레라 같은 심한 설사로 탈수증을 유발한다.
  3. phaline : 일광대버섯에 함유된 강한 용혈작용을 갖는 맹독성분이다.
  4. muscarine : 발한, 구토, 위경련을 일으키며 사람에 0.5g 경구투여가 치사량이다.
(정답률: 54%)
  • "muscaridine : 복통, 강직 및 콜레라 같은 심한 설사로 탈수증을 유발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 muscaridine은 독버섯에 함유된 성분 중 하나이지만, 탈수증을 유발하는 것은 아닙니다. muscaridine은 주로 두통, 어지러움, 구토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빛에너지와 유기탄소원을 사용하는 미생물의 종류는?

  1. 광독립영양균
  2. 화학독립영양균
  3. 광종속영양균
  4. 화학종속영양균
(정답률: 65%)
  • 광종속영양균은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유기탄소원을 사용하는 미생물로, 광합성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빛이 없는 환경에서는 생존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세포융합의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세포의 protoplast화
  2. 융합체의 재생
  3. 세포분열
  4. protoplast의 응집
(정답률: 73%)
  • 정답: 세포분열

    세포분열은 세포가 나누어져 두 개 이상의 세포로 분리되는 과정이며, 세포융합과는 반대되는 과정입니다. 세포융합은 두 개 이상의 세포가 합쳐져 하나의 큰 세포가 되는 과정으로, 세포의 protoplast화, 융합체의 재생, protoplast의 응집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액체 식품 중의 생존균수를 희석평찬 배양법으로 아래와 같이 측정하였을 때 식품 1mL 중의 colony 수는?

  1. 6.0 × 103
  2. 6.3 × 103
  3. 1.5 × 105
  4. 1.6 × 105
(정답률: 64%)
  • 주어진 액체 식품 1mL을 10배씩 희석하여 10-1 ~ 10-6까지의 희석액을 만들고, 각각을 페트리젤에 도말하여 배양한 결과, 10-5 희석액에서 63개의 colony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1mL에는 105개의 생존균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10배씩 희석한 것을 고려하여 계산하면, 1mL에는 6.3 × 103개의 생존균이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6.3 × 1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세균의 포자에 특징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물질은?

  1. peptidoglycan
  2. dipicolinic acid
  3. lysozyme
(정답률: 54%)
  • 세균의 포자는 내부에 많은 양의 dipicolinic acid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포자가 형성될 때 세포 내부의 물을 제거하고, 포자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dipicolinic acid은 세균의 포자에 특징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세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원시핵 세포를 하고 있다.
  2. 운동을 하는 세균은 편모를 갖고 있다.
  3. 일반적으로 분열법과 출아법으로 증식하고 내생포자를 형성하는 균도 있다.
  4. 일반적으로 세균의 포자는 곰팡이, 효모의 포자보다 내열성이 강하다.
(정답률: 5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생육 최저 수분활성도가 높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타낸 것은?

  1. 곰팡이 > 효모 > 세균
  2. 효모 > 곰팡이 > 세균
  3. 세균 > 효모 > 곰팡이
  4. 세균 > 곰팡이 > 효모
(정답률: 81%)
  • 미생물의 생육 최저 수분활성도는 미생물이 최소한으로 필요로 하는 수분의 양을 말하는데, 이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세균은 높은 생육 최저 수분활성도를 가지고 있어서, 적은 양의 수분으로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곰팡이는 낮은 생육 최저 수분활성도를 가지고 있어서, 많은 양의 수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세균 > 효모 > 곰팡이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특정유전자 서열에 대하여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도록 합성된 짧은 DNA 조각을 일컫는 용어는?

  1. 프라이머(primer)
  2. 벡터(vector)
  3. 마커(marker)
  4. 중합효소(polymerase)
(정답률: 67%)
  • 프라이머는 특정 유전자 서열을 복제하기 위해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도록 합성된 짧은 DNA 조각으로, 중합효소가 복제할 DNA 서열의 시작점으로 인식하여 복제과정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벡터는 유전자 조작 실험에서 외부 DNA 조각을 운반하고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DNA 분자를 의미하며, 마커는 유전자 조작 실험에서 특정 유전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표지자를 의미합니다. 중합효소는 DNA 분자를 복제하는데 사용되는 효소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간장이나 된장발효에 관여하는 효모로 높은 염농도(18% NaCl)에서도 자라는 것은?

  1. Saccharomyces cerevisiae
  2. Saccharomyces carlsbergensis
  3. Saccharomyces fragilis
  4. Saccharomyces rouxii
(정답률: 68%)
  • Saccharomyces rouxii는 고염분 환경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할로필릭(halophilic) 효모로, 간장이나 된장과 같은 고염분 발효에 관여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Saccharomyces cerevisiae, Saccharomyces carlsbergensis, Saccharomyces fragilis는 고염분 환경에서는 성장하지 못하므로 정답은 Saccharomyces rouxii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대장균(E.coli)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장내에 서식하며 그람음성, 통성혐기성균이다.
  2. 유당을 분해한다.
  3. 대장균군에 속해 있으며 대부분이 매우 유해한 식중독균이다.
  4. 식품위생 지표로 사용된다.
(정답률: 77%)
  • 대장균은 대장 내에 서식하는 그람음성, 통성혐기성균으로 유당을 분해한다. 그러나 대장균군에는 유해한 식중독균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유용한 균주도 존재한다. 따라서 "대장균군에 속해 있으며 대부분이 매우 유해한 식중독균이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glucose Saccharomyces cerevisiae을 접종하여 호기적으로 배양하였을 경우의 결과는?

  1. 6CO2 + 6H2O
  2. CH3CH2OH
  3. CO2
  4. 2CH3CH2OH + 2CO2
(정답률: 74%)
  • Saccharomyces cerevisiae은 글루코스를 대사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 과정에서 산소가 없으면 발효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이 때 발생하는 화학 반응식은 "글루코스 → 2CH3CH2OH + 2CO2" 입니다. 이는 즉, 글루코스가 2개의 에탄올과 2개의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반응식에서 1분자의 글루코스가 분해될 때 1분자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므로, 6분자의 글루코스가 분해될 때는 6분자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Saccharomyces cerevisiae을 접종하여 호기적으로 배양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화학 반응식은 "6CO2 + 6H2O"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Bergey의 초산균 분류 중 초산을 산화하지 않으며 포도당 배양기에서 암갈색 색소를 생성하는 균주는?

  1. Acetobacter roseum
  2. Acetobacter oxydans
  3. Acetobacter melanogenum
  4. Acetobacter aceti
(정답률: 63%)
  • 문제에서 언급한 균주는 초산을 산화하지 않으며 포도당 배양기에서 암갈색 색소를 생성한다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Acetobacter melanogenum에만 해당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초산을 산화하거나 다른 색소를 생성하는 등의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cetobacter melanogenu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생화학 및 발효학

81. 다음의 과정에서 ⓐ, ⓑ에 해당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은?(순서대로 ⓐ, ⓑ)

  1. 복제(replication), 번역(translation)
  2. 전사(transcription), 복제(replication)
  3. 번역(translation), 전사(transcription)
  4. 전사(transcription), 번역(translation)
(정답률: 75%)
  • ⓐ 전사(transcription)는 DNA 염기서열을 RNA 염기서열로 복사하는 과정이다.
    ⓑ 번역(translation)은 RNA 염기서열을 아미노산 서열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정답은 "전사(transcription), 번역(transla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cholesterol 합성에 관여하는 HMG - CoA reductase의 인산화(불활성화)와 탈인산화(활성화)에 관여하는 호르몬이 순서대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glucagon - insulin
  2. insulin - glucagon
  3. thyroxine - 'thyrotropin-releasing hormone(TRH)'
  4. 'thyrotropin-releasing hormone(TRH)' - thyroxine
(정답률: 44%)
  • 정답은 "glucagon - insulin" 입니다.

    HMG-CoA reductase는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로, 인산화되면 불활성화되고 탈인산화되면 활성화됩니다. 이 때, 인슐린은 혈당이 높아지면서 콜레스테롤 합성이 필요하지 않아지므로 HMG-CoA reductase를 억제하여 콜레스테롤 합성을 감소시킵니다. 반면, 글루카곤은 혈당이 낮아지면서 콜레스테롤 합성이 필요해지므로 HMG-CoA reductase를 활성화하여 콜레스테롤 합성을 촉진합니다. 따라서, "glucagon - insulin"이 올바른 짝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핵단백질의 가수분해 순서로 옳은 것은?

  1. 핵단백질 - 뉴클레오티드 - 핵산 - 뉴클레오시드 - 당
  2. 핵단백질 - 핵산 - 뉴클레오티드 - 뉴클레오시드 - 당
  3. 핵단백질 - 당 - 뉴클레오시드 - 뉴클레오티드 - 핵산
  4. 핵단백질 - 뉴클레오시드 - 핵산 - 뉴클레오티드 - 당
(정답률: 68%)
  • 핵단백질은 핵산과 결합하여 핵산을 보호하고, 핵산은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뉴클레오티드는 뉴클레오시드와 인산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핵단백질 - 핵산 - 뉴클레오티드 - 뉴클레오시드 - 당"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탄화수소에서의 균체생산과 관련이 없는 균주는?

  1. Candida 속
  2. Torulopsis 속
  3. Pseudomonas 속
  4. Chlorella 속
(정답률: 61%)
  • Chlorella 속은 탄화수소에서의 균체생산과 관련이 없는 균주입니다. 이는 Chlorella 속이 광합성 미생물로서 탄화수소를 이용하지 않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자신의 에너지를 생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hlorella 속은 탄화수소 분해에 관여하지 않으며, 다른 세균과는 달리 균체생산과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유기물 농도가 높은 폐수처리 시에 메탄발효에 의하여 유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은?

  1. 활성오니법
  2. 살수여상법
  3. 혐기적 처리법
  4. 호기적 처리법
(정답률: 77%)
  • 유기물 농도가 높은 폐수를 처리할 때는 혐기적 처리법이 적합합니다. 이는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으로,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혐기적 처리법은 폐수 처리 시에 많은 양의 유기물을 처리할 수 있으며, 발생하는 메탄가스는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α-Amylase의 성질이 아닌 것은?

  1. 전분의 α-1, 4 및 α-1, 6 결합을 임의의 위치에서 분해한다.
  2. 전분의 점도를 급격히 저하시킽다.
  3. 최종 분해생성물은 dextrin, 맥아당, 소량의 포도당이다.
  4. 액화형 amylase 이다.
(정답률: 67%)
  • 정답은 "액화형 amylase 이다." 이다.

    α-Amylase는 전분을 분해하는 효소로, 전분의 α-1, 4 및 α-1, 6 결합을 임의의 위치에서 분해하여 전분의 점도를 급격히 저하시키고, 최종 분해생성물은 dextrin, 맥아당, 소량의 포도당이 된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α-Amylase는 식품 산업에서 맥아당 제조, 맥주 제조 등에 이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DNA가 반보존적으로 유전된다는 Meselson 실험에서 2세대후 14N 과 15N 의 비율은?

  1. 1 : 1
  2. 1 : 2
  3. 1 : 3
  4. 2 : 1
(정답률: 59%)
  • Meselson 실험에서 2세대 후에는 14N과 15N이 섞여 있으며, 이 비율은 1:2가 됩니다. 이는 1세대에서 15N이 포함된 DNA가 2개의 14N을 가진 DNA로 분리되어 2세대에서는 14N과 15N이 반반씩 섞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후 2세대에서 14N과 15N이 섞인 DNA가 1개씩 있는 경우, 3세대에서는 14N이 3개, 15N이 1개인 DNA가 1개 생성되므로 비율은 1:3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mRN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RNA 중 양이 가장 많다.
  2. nucleotide의 수가 가장 적다.
  3. 활성화된 아미노산의 운반체로 작용한다.
  4.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유전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정답률: 71%)
  • mRNA는 messenger RNA의 약자로, DNA에서 전사된 RNA 중 하나입니다. mRNA는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유전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정보는 mRNA가 ribosome에 결합되어 tRNA와 함께 아미노산을 결합시켜 단백질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mRNA는 단백질 합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내열성 α-amylase 생산에 이용되는 균은?

  1. Aspergillus niger
  2. Bacillus licheniformis
  3. Rhizopus oryzae
  4. Trichoderma reesei
(정답률: 48%)
  • Bacillus licheniformis는 내열성 α-amylase를 생산하는 데 특화된 균주 중 하나입니다. 이 균주는 고온과 고압에서도 안정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내열성 α-amylase를 생산하며,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합니다. 따라서 Bacillus licheniformis는 내열성 α-amylase 생산에 이용되는 균주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효소 중에서 전분의 α-1.6-glucoside 결합을 가수 분해하는 것은?

  1. α-amylase
  2. cellulase
  3. β-amylase
  4. glucoamylase
(정답률: 71%)
  • 정답은 "glucoamylase"입니다.

    전분은 α-1.4-glucoside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이지만, 일부 전분 분자는 α-1.6-glucoside 결합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결합은 α-amylase나 β-amylase 등의 일부 효소로는 분해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glucoamylase는 α-1.6-glucoside 결합을 가수 분해할 수 있는 효소입니다. 따라서, 전분을 완전히 분해하기 위해서는 glucoamylase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퓨젤유(fusel oil)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원리 또는 방법은?

  1. 증류와 비중
  2. 증류와 염석
  3. 비중과 염석
  4. 침전과 추출
(정답률: 48%)
  • 퓨젤유는 에탄올 등의 알코올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 다양한 화학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화학물질들은 각각의 끓는 점이 다르기 때문에, 증류를 통해 분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퓨젤유는 다른 물질들과 비교하여 비중이 높기 때문에, 비중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퓨젤유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증류와 비중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주정 제조 시 단식 증류기와 비교하여 연속식 증류기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연료비가 많이 든다.
  2. 일정한 농도의 주정을 얻을 수 있다.
  3. 알데히드(aldehyde)의 분리가 가능하다.
  4. fusel유의 분리가 가능하다.
(정답률: 61%)
  • 연속식 증류기는 단식 증류기와 달리 연속적으로 주정을 공급받아 일정한 농도의 주정을 얻을 수 있으며, 알데히드와 fusel유의 분리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연료비가 많이 든다."는 일반적인 특징이 아닙니다. 이는 증류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회수하여 재사용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열 회수 시스템을 도입하면 연료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효소의 미켈리스-멘텐 반응속도에서 기질농도 [S] = Km일 때 효소 반응속도 값이 15mM / min이다. Vmax는?

  1. 5 mM / min
  2. 7.5 mM / min
  3. 15 mM / min
  4. 30 mM / min
(정답률: 62%)
  • 미켈리스-멘텐 반응속도식은 V = Vmax[S] / (Km + [S]) 이다. 여기서 [S] = Km 이므로 V = Vmax[S] / (2Km). 따라서 Vmax = V x 2Km / [S] = 15 x 2Km / Km = 30 mM / min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 mM / min"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생산균주의 보관방법이 아닌 것은?

  1. 저온(냉장)보관
  2. 상온보관
  3. 냉동보관
  4. 동결건조
(정답률: 82%)
  • 일반적으로 생산균주는 저온(냉장)보관, 냉동보관, 동결건조 등의 방법으로 보관됩니다. 그러나 상온보관은 생산균주의 생존율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상온보관 시 생산균주는 빠르게 증식하고 활성화되어 불쾌한 냄새와 맛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산균주를 보관할 때는 저온(냉장)보관, 냉동보관,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리보솜에서 단백질이 합성될 때 아미노산이 ATP에 의하여 일단 활성화된 후에 한 종류의 핵산에 특이적으로 결합된다. 이 활성화된 아미노산이 결합되는 핵산 수용체는?

  1. m-RNA
  2. r-RNA
  3. t-RNA
  4. DNA
(정답률: 63%)
  • 활성화된 아미노산은 t-RNA에 결합되어 mRNA에 존재하는 코돈과 상보적으로 결합하여 단백질 합성에 참여합니다. 따라서 이 활성화된 아미노산이 결합되는 핵산 수용체는 t-RN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당밀을 원료로 한 주정 제조 시 고농도의 알코올 발효에 가장 적합한 균은?

  1. Saccharomyces robustus
  2. Saccharomyces formosensis
  3. Saccharomyces ellipsoideus
  4. Saccharomyces cerevisisae
(정답률: 33%)
  • 당밀은 고농도의 당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효과적으로 발효시키기 위해서는 고농도의 알코올에도 잘 적응하는 균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Saccharomyces robustus는 고농도의 알코올에도 잘 적응하며, 또한 당밀에서 발효하는 데에도 적합한 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당밀을 원료로 한 주정 제조 시에는 Saccharomyces robustus가 가장 적합한 균으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지용성 비타민이 아닌 것은?

  1. 비타민 A
  2. 비타민 C
  3. 비타민 D
  4. 비타민 E
(정답률: 86%)
  • 비타민 C는 지용성이 아닌 수용성 비타민이기 때문입니다. 지용성 비타민은 지방에 녹아 운반되며 체내에 저장될 수 있지만, 수용성 비타민은 물에 녹아 운반되며 체내에 장기간 저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지방산의 생합성 속도를 결정하는 효소는?

  1. 시트르산 분해효소(citrate lyase)
  2. 아세틸-CoA 카르복실화효소(acetyl-CaA carboxylase)
  3. ACP-아세틸기 전이효소(ACP-acetyl transferase)
  4. ACP-말로닐기 전이효소(ACP-malonul transferase)
(정답률: 81%)
  • 아세틸-CoA 카르복실화효소는 지방산 합성의 첫 단계에서 아세틸-CoA를 말로닐-CoA로 전환시키는 효소이다. 따라서 이 효소의 활성화 수준이 지방산 생합성 속도를 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ergosterol이 자외선에 의해 변하는 물질의 이름은?

  1. 비타민 D2
  2. 비타민 B2
  3. 비타민 E
  4. 비타민 B6
(정답률: 72%)
  • ergosterol은 자외선에 노출되면 비타민 D2로 변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타민 D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제빵에 사용되는 효모의 아밀라아제(amylas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온에서 열안정성이 높아야 한다.
  2. 고온에서 열안정성에 관계가 없다.
  3. 고온에서 pH 안정성이 열안정성보다 더 중요하다.
  4. 고온에서 열안정성이 낮아야 한다.
(정답률: 44%)
  • 고온에서 열안정성이 낮아야 한다. 이는 제빵 과정에서 반죽이 오븐 내부에서 높은 온도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아밀라아제는 반죽 내부의 전분을 분해하여 당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온에서 열안정성이 낮아야 반죽 내부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