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3-06)

식품기사
(2016-03-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품위생학

1. 식품 중 미생물 오염여부를 신속하게 검출하는 등에 활용되며, 검출을 원하는 특정 표적 유전물질을 증폭하는 방법은?

  1.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2.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3. GC(Gas Chromatography)
  4.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정답률: 87%)
  • PCR은 DNA 증폭 기술로, 특정 DNA 조각을 대량으로 증폭하여 검출하는 방법이다. 이를 이용하여 미생물의 DNA를 증폭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식품 중 미생물 오염 여부를 신속하게 검출하는 데에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미생물에 의한 부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미생물에 의하여 식품의 변색, 가스발생, 점액생성, 조직연화 등 부패 현상이 나타난다.
  2. 식품의 부패를 예방하기 위하여 보존료를 사용할 수 있다.
  3. 냉동처리를 하면 식품의 표면건조를 통해 미생물의 생육을 정지시키며,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
  4. 부패균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다.
(정답률: 92%)
  • "냉동처리를 하면 식품의 표면건조를 통해 미생물의 생육을 정지시키며,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냉동은 미생물의 생육을 일시적으로 멈추게 하지만, 냉동이 풀린 후에는 다시 생육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냉동은 식품의 유통기한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완전한 부패 예방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식품공전에서 멸균식품의 세균 발육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균시험하기 전에 실시하는 가온보존시험을 할 때 보존 온도와 기간은?

  1. 25 ~ 27℃, 5일
  2. 25 ~ 27℃, 10일
  3. 35 ~ 37℃, 5일
  4. 35 ~ 37℃, 10일
(정답률: 62%)
  • 가온보존시험은 멸균식품의 세균 발육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이며, 보존 온도와 기간은 세균이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세균의 최적 생존 온도는 35 ~ 37℃이며, 이 온도에서 10일간 보존하면 세균의 생존과 번식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5 ~ 37℃, 10일"입니다. 다른 보존 온도와 기간은 세균의 생존과 번식에 적합하지 않은 조건이므로 선택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식품공전상 세균수 측정법이 아닌 것은?

  1. 직접현미경법
  2. 건조필름법
  3. 저온세균수 측정법
  4. 호기성세균수 측정법
(정답률: 52%)
  • 식품공전상 세균수 측정법 중에서 호기성세균수 측정법은 아닙니다. 이유는 호기성세균수 측정법은 식품공전상 세균수 측정법이 아니라, 식품공전상 이외의 다른 분야에서 사용되는 세균수 측정법입니다. 직접현미경법, 건조필름법, 저온세균수 측정법은 모두 식품공전상 세균수 측정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식품의 신선도 측정 시 실시하는 검사가 아닌 것은?

  1. 휘발성 염기질소(VBN) 측정
  2. 당도 측정
  3. 트리메틸아민(TMA) 측정
  4. 생균수 측정
(정답률: 89%)
  • 당도 측정은 식품의 맛과 당 함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신선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당도 측정은 신선도 측정과 관련이 없는 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구운 육류의 가열ㆍ분해에 의해 생성되기도 하고, 마이야르(Maillard) 반응에 의해서도 생성되는 유독성분은?

  1. 휘발성아민류(volatile amines)
  2. 이환방향족아민류(heterocyclic amines)
  3. 아질산염(N-nitrosoamine)
  4. 메틸알코올(methyl alcohol)
(정답률: 83%)
  • 구운 육류의 가열ㆍ분해에 의해 아미노산과 당류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마이야르 반응 생성물 중 일부는 이환방향족아민류(heterocyclic amines)로, 이들은 유독성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경구감염병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감염은 미량의 균으로도 가능하다.
  2. 대부분 예방접종이 가능하다.
  3. 잠복기가 비교적 식중독보다 길다.
  4. 2차 감염이 어렵다.
(정답률: 8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공장폐수에 의한 식품오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도금공장의 폐수는 주로 유기성 폐수로서 유해물질이 농ㆍ수산물 등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
  2. 식품공장의 폐수는 주로 무기성 폐수로서 BOD가 높고 부유물질을 다량 함유하며, 용수를 오염시켜 2차적인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
  3. BOD란 물 속에 있는 오염물질이 생물학적으로 산화되어 유기성 산화물과 가스가 되기 위해 소비되는 산소량을 ppm으로 표시한 것이다.
  4. 미나마타병은 공장폐수 중 메틸수은 화합물에 오염된 어패류를 장기간 섭취하여 발생한 것이다.
(정답률: 73%)
  • 식품공장의 폐수는 BOD가 높고 부유물질을 다량 함유하여 용수를 오염시키고, 이로 인해 무기성 오염물질이 농ㆍ수산물 등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공장폐수 중 메틸수은 화합물에 오염된 어패류를 장기간 섭취하면 미나마타병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식품의 기준 및 규격 고시 총칙으로 틀린 것은?

  1.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찬물은 15℃ 이하, 온탕 60 ~ 70℃, 열탕은 약 100℃의 물이다.
  2. 상온은 20℃, 표준온도는 15 ~ 25℃, 실온은 1 ~ 30℃, 미온은 35 ~ 40℃로 한다.
  3. 차고 어두운 곳(냉암소)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0 ~ 15℃의 빛이 차단된 장소를 말한다.
  4. 감압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g 이하로 한다.
(정답률: 83%)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표준온도 - 20c 상온 - 15~20c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산화방지제의 중요 메카니즘은?

  1. 지방산 생성 억제
  2. 히드로퍼옥시드(hydroperoxide) 생성 억제
  3. 아미노산(amino acid) 생성 억제
  4. 유기산 생성 억제
(정답률: 73%)
  • 산화방지제는 식품이나 화장품 등에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중요한 메카니즘 중 하나는 히드로퍼옥시드 생성 억제입니다. 히드로퍼옥시드는 산화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화학물질로, 이것이 더 많이 생성되면 더 많은 산화가 일어나게 되어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산화방지제는 이러한 히드로퍼옥시드 생성을 억제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방사선 조사(food irradiatio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어떤 원재료가 방사선 조사처리 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방사선 조사 처리된 원재료 일부 함유” 또는 “일부 원재료 방사선 조사처리” 등의 내용으로 표시할 수 있다.
  2. 60Co 감마선으로 식품의 특성과 목적에 따라 정해진 방사선량을 식품에 쪼이는 것이다.
  3. 식품이 흡수한 에너지는 Free radical을 형성하여 미생물을 죽이거나 다른 식품분자와 반응을 한다.
  4. 식품에는 100kGy의 에너지를 주로 사용한다.
(정답률: 82%)
  • 식품에는 100kGy의 에너지를 주로 사용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식품에 사용되는 방사선량은 식품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1kGy 이하의 방사선량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식품등의 표시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유통기한 : 제품의 제조일로부터 소비자에게 판매가 허용되는 기한
  2. 트랜스지방 : 트랜스구조를 1개 이상 가지고 있는 비공액형의 모든 불포화지방산
  3. 품질유지기한 : 식품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보존방법이나 기준에 따라 보관할 경우 해당식품 고유의 품질이 유지될 수 있는 기한
  4. 당류 : 식품내에 존재하는 모든 단당류와 이당류, 다당류의 합
(정답률: 73%)
  • 정답은 "당류 : 식품내에 존재하는 모든 단당류와 이당류, 다당류의 합"이다. 이유는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는 각각 다른 종류의 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모두 합한 것이 당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류"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당의 종류가 아니라, 여러 종류의 당을 합한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황색포도상구균 검사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종균배양 : 35 ~ 37℃에서 18 ~ 24시간 종균배양
  2. 분리배양 : 35 ~ 37℃에서 18 ~ 24시간 배양(황색불투명 집락 확인)
  3. 확인시험 : 35 ~ 37℃에서 18 ~ 24시간 배양
  4. 혈청형시험 : 35 ~ 37℃에서 18 ~ 24시간 배양
(정답률: 78%)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 시험평가항목이 아닌 것은?

  1. 항생제 내성
  2. 해충저항성과 독성
  3. 알레르기성
  4. 미생물 오염수준
(정답률: 83%)
  • 미생물 오염수준은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안전성 평가 시험평가항목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는 식품의 생산, 가공, 포장, 유통 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로, 유전자 재조합 식품의 안전성 평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미생물 오염수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수공통감염병을 일으키는 병명과 병원균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결핵 : Mycobacrerium tuberculosis
  2. 파상열 : Brucella
  3. 야토병 : Francisella tularensis
  4. 광우병 : Listeria monocytogenes
(정답률: 81%)
  • 광우병은 Listeria monocytogenes가 원인균이 아니라, 주로 소가 감염되어 발생하는 Prion 질환입니다. Listeria monocytogenes는 식품에서 발생하는 식중독균으로, 인수공통감염병 중 하나인 식중독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식품공장에서의 미생물 오염 원인과 그에 대한 대책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작업복 - 에어 샤워(air shower)
  2. 작업자의 손 - 자외선등
  3. 공중낙하균 - 클린 룸(clean room) 도입
  4. 포장지 - 무균포장장치
(정답률: 89%)
  • 작업자의 손은 식품공장에서 가장 많은 미생물 오염원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등을 사용하여 손을 살균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업복과 에어 샤워, 공중낙하균과 클린 룸 도입, 포장지와 무균포장장치는 모두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지만, 작업자의 손을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그 효과가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손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식품첨가물 공전에 의거하여 “미산성”의 pH범위는?

  1. 약 3 이하
  2. 약 3 ~ 약 5
  3. 약 7.5 ~ 약 9
  4. 약 5 ~ 약 6.5
(정답률: 68%)
  • 미산성은 pH가 7보다 낮은 산성물질을 말합니다. 식품첨가물 공전에서는 미산성 첨가물의 pH 범위가 약 3에서 약 5까지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 범위는 식품첨가물 공전 이전에는 약 5에서 약 6.5까지로 정의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전 정의를 따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미산성의 pH 범위는 약 5에서 약 6.5까지로 정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PCB(Poly Chloride Biphenyls)가 동물 체내에서 가장 많이 축적되는 부위는?

  1. 근육
  2. 혈액
  3. 지방층
(정답률: 71%)
  • PCB는 지방에 우선적으로 축적되기 때문에, 동물 체내에서 가장 많이 축적되는 부위는 지방층입니다. 이는 PCB가 지방에 높은 용해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CB 오염이 발생한 지역에서는 지방 함량이 높은 동물일수록 높은 농도의 PCB가 축적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감염병 중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지 않는 것은?

  1. 장티푸스
  2. 폴리오
  3. 인플루엔자
  4. 유행성 간염
(정답률: 78%)
  • 장티푸스는 박테리아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이며,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이 아니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지 않는다. 따라서, "장티푸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버섯류의 독성분이 아닌 것은?

  1. 무스카린(muscarine)
  2. 팔린(phaline)
  3. 아미그달린(amygdalin)
  4. 아마니타독서(amanitatoxin)
(정답률: 84%)
  • 아미그달린은 버섯류의 독성분이 아닙니다. 이는 사과, 복숭아, 살구 등과 같은 과일에도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에 대한 독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식품화학

21. 밀가루의 레올로지 특성을 분석하는 장치가 아닌 것은?

  1. 페리노그래프(farinograph)
  2. 엑스텐소그래프(extensograph)
  3. 텍스처 측정기(texture analyzer)
  4. 시차주사열량분석기(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정답률: 85%)
  • 시차주사열량분석기는 밀가루의 레올로지 특성을 분석하는 장치가 아니라, 열적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화학 반응, 열적 안정성, 결정화 등의 특성을 분석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밀가루의 레올로지 특성을 분석하는 장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효소에 의한 과실 및 채소의 갈변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데치기(blanching)
  2. 2% 소금물에 담금
  3. NaHCO3 용액에 처리
  4. 설탕으로 처리
(정답률: 70%)
  • 설탕은 효소에 의한 과실 및 채소의 갈변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설탕이 물 분자와 결합하여 채소의 수분을 유지하고, 또한 설탕이 채소의 세포 구조를 보호하여 효소의 작용을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설탕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관계가 먼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곡류의 지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배아부보다 배유부에 더 많이 분포되어 있다.
  2. 주요지방산은 올레산(oleic acid)과 리놀레산(linoleic acid)이다.
  3. 포화지방산이 많아 산패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4. 소량의 콜레스테롤이 들어있다.
(정답률: 65%)
  • 곡류의 지방은 주로 배유부에 분포되어 있으며, 주요지방산은 올레산과 리놀레산입니다. 이는 인체에 필수적인 지방산으로, 식이로 섭취해야 합니다. 곡류의 지방은 포화지방산보다는 덜 함유되어 있어서 산패가 쉽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콜레스테롤은 소량만 들어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양파를 가열 조리할 경우 자극적인 방향과 맛이 사라지고 단맛을 나타내는 원인은?

  1. propyl allyl disulfide가 가열로 분해되어 propyl mercaptan으로 변했기 때문이다.
  2. quercetin이 가열에 의해 mercaptan으로 변했기 때문이다.
  3. 섬유질이 amylase 효소에 분해를 받아 포도당을 생성했기 때문이다.
  4. carotene이 가열에 의해 단맛을 내는 lycopene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정답률: 82%)
  • 양파에는 propyl allyl disulfide라는 화합물이 있습니다. 이 화합물은 가열에 의해 분해되어 propyl mercaptan으로 변합니다. 이 변화로 인해 양파는 자극적인 맛이 사라지고 단맛을 내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propyl allyl disulfide가 가열로 분해되어 propyl mercaptan으로 변했기 때문이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화제 분자 내의 친수기와 소수기의 균형을 나타내는 것은?

  1. HLB
  2. HPCL
  3. acetyl value
  4. Hener value
(정답률: 73%)
  • HLB는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의 약자로, 유화제 분자 내의 친수기와 소수기의 균형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HLB 값이 높을수록 유화제 분자는 물에 녹는 성질이 강해지고, HLB 값이 낮을수록 유화제 분자는 기름에 녹는 성질이 강해집니다. 따라서 HLB 값은 유화제의 성질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HPCL, acetyl value, Hener value는 유화제의 성질을 나타내는 지표가 아니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나트륨(Na)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칼슘과 함께 뼈의 주요 구성성분이다.
  2. 혈액의 완충작용을 하여 pH를 유지한다.
  3. 근육 수축 및 신경 흥분과 관련이 있다.
  4. 담즙, 췌액, 장액 등의 알칼리성 소화액의 성분이며, 대부분 재흡수된다.
(정답률: 77%)
  • "칼슘과 함께 뼈의 주요 구성성분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나트륨은 혈액의 완충작용을 하여 pH를 유지하고, 근육 수축 및 신경 흥분과 관련이 있습니다. 또한 담즙, 췌액, 장액 등의 알칼리성 소화액의 성분이며, 대부분 재흡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과일주스 제조 공정 중 “살균온도, 살균시간, 살균 pH” 변화에 의한 제품의 맛을 관능 검사하였다. 그 결과 위의 3가지 요인들을 이용하여 제품 맛에 대한 함수식을 만들었다. 이와 같이 여러 개의 독립변수들로 하나의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함수식을 만들 때 사용되는 통계 분석법은?

  1. 주성분분석
  2. 분산분석
  3. 요인분석
  4. 회귀분석
(정답률: 76%)
  • 여러 개의 독립변수들로 하나의 종속변수를 설명하는 함수식을 만들 때 사용되는 통계 분석법은 회귀분석이다. 회귀분석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를 수학적 모델로 표현하는 분석법이다. 따라서 위의 예시에서도 살균온도, 살균시간, 살균 pH와 제품 맛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함수식으로 표현하는데 회귀분석이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과일에 함유된 펙틴 성분을 가공처리 할 때 펙틴 성분의 특성과 변화를 잘못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불용성 프로토펙틴은 끓는 물에서 가열처리에 의하여 수용성 펙틴으로 변한다.
  2. 펙틴 분자속의 카르복실기 일부가 카르복실메칠기로 변한 상태에서 설탕과 유기산이 있다면 겔을 형성할 수 있다.
  3. 저메톡실펙틴(low methoxyl pectin)의 경우 나트륨 이온이 존재한다면 펙틴겔이 잘 만들어진다.
  4. 고메톡실펙틴(high methoxyl pectin)의 겔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pH, 설탕 등이다.
(정답률: 67%)
  • "불용성 프로토펙틴은 끓는 물에서 가열처리에 의하여 수용성 펙틴으로 변한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불용성 프로토펙틴은 가열처리에 의해 수용성 펙틴으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산화나 효소처리 등의 방법으로 메틸화된 펙틴으로 변환된 후 수용성을 가지게 됩니다.

    "저메톡실펙틴(low methoxyl pectin)의 경우 나트륨 이온이 존재한다면 펙틴겔이 잘 만들어진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나트륨 이온은 저메톡실펙틴의 겔화를 돕는 역할을 하며, pH나 설탕 등의 영향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효소반응을 위한 buffer를 제조하고자 한다. 최종 buffer는 A, B, C 용액성분이 각각 0.1, 0.05, 0.5mM이 함유되어 있다. A, B, C 용액이 각각 1.0M 있다면 buffer 1L 제조 시 각각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1. A 용액: 0.1L, B 용액: 0.2L, C 용액: 0.45L, 물: 0.35L
  2. A 용액: 0.1L, B 용액: 0.05L, C 용액: 0.5L, 물: 0.35L
  3. A 용액: 0.2L, B 용액: 0.1L, C 용액: 0.5L, 물: 0.2L
  4. A 용액: 0.2L, B 용액: 0.4L, C 용액: 0.1L, 물: 0.3L
(정답률: 78%)
  • Buffer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용액의 몰농도와 부피를 이용하여 적절한 양의 용액을 혼합해야 한다. 이 문제에서는 A, B, C 용액의 최종 농도와 부피가 주어졌으므로, 각 용액에서 필요한 몰의 양을 계산하여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면 된다.

    A 용액의 몰농도가 1.0M 이므로, 0.1L의 부피에서는 0.1 mol의 A 용액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최종 buffer에서 A 용액의 몰농도가 0.1mM 이 되기 위해서는 0.1L * 0.1mM = 0.00001 mol의 A 용액이 필요하다.

    B 용액의 몰농도가 1.0M 이므로, 0.05L의 부피에서는 0.05 mol의 B 용액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최종 buffer에서 B 용액의 몰농도가 0.05mM 이 되기 위해서는 0.05L * 0.05mM = 0.0000025 mol의 B 용액이 필요하다.

    C 용액의 몰농도가 1.0M 이므로, 0.5L의 부피에서는 0.5 mol의 C 용액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최종 buffer에서 C 용액의 몰농도가 0.5mM 이 되기 위해서는 0.5L * 0.5mM = 0.00025 mol의 C 용액이 필요하다.

    따라서, A 용액 0.00001 mol, B 용액 0.0000025 mol, C 용액 0.00025 mol을 혼합하여 최종 buffer를 제조할 수 있다. 이를 부피로 환산하면, A 용액 0.1L, B 용액 0.05L, C 용액 0.5L이 필요하다. 나머지 부피는 물로 채우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A 용액: 0.1L, B 용액: 0.05L, C 용액: 0.5L, 물: 0.35L"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밀가루의 단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필수아미노산 중 트립토판 함량이 가장 적다.
  2. 글리아딘(gliadin)은 글루텔린(glutelin)에 속하며 글루텐(gluten)에 견고성을 부여한다.
  3. 글루테닌(glutenin)은 프롤라민에 속하며 글루텐(gluten)에 점착성을 부여한다.
  4. 반죽을 하면 프롤라민 단백질인 글루텐(gluten)이 형성된다.
(정답률: 47%)
  • 정답은 "필수아미노산 중 트립토판 함량이 가장 적다." 이다. 밀가루는 단백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지만, 그 중에서도 필수아미노산 중 트립토판 함량이 가장 적다. 이는 밀가루를 주요 단백질원으로 사용하는 채식주의자들이 다른 식품과 함께 섭취해야 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글리아딘(gliadin)은 글루텔린(glutelin)에 속하며 글루텐(gluten)에 견고성을 부여하고, 글루테닌(glutenin)은 프롤라민에 속하며 글루텐(gluten)에 점착성을 부여한다. 반죽을 하면 프롤라민 단백질인 글루텐(gluten)이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식품첨가물 지정 절차의 기본원칙에서 사용의 기술적 필요성 및 정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타 의료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포함
  2. 식품의 품질 유지, 안정성 향상 또는 관능적 특성 개선
  3. 식품의 영양가 유지
  4. 식품 제조, 가공, 저장, 처리의 보조적 역할
(정답률: 87%)
  • 식품첨가물 지정 절차의 기본원칙에서는 기술적 필요성과 정당성이라는 기준을 사용하여 식품첨가물의 사용을 검토합니다. 이 중 "기타 의료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포함"은 기술적 필요성과 정당성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식품첨가물은 식품의 품질 유지, 안정성 향상 또는 관능적 특성 개선, 식품의 영양가 유지, 식품 제조, 가공, 저장, 처리의 보조적 역할 등과 같은 식품과 관련된 목적으로만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식품첨가물은 의료효과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과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섬유상 단백질이 아닌 것은?

  1. 콜라겐
  2. 엘라스틴
  3. 케라틴
  4. 헤모글로빈
(정답률: 84%)
  • 헤모글로빈은 혈액 속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단백질이므로 섬유상 단백질이 아닙니다. 콜라겐, 엘라스틴, 케라틴은 모두 섬유상 단백질로서 각각 피부, 탄력성 조직, 털 등에서 발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적색을 가진 카로티노이드에 속하지 않는 색소는?

  1. lycopene
  2. trans-β-carotene
  3. capsanthin
  4. astaxanthin
(정답률: 54%)
  • 적색을 가진 카로티노이드에 속하지 않는 색소는 "trans-β-carotene"입니다. 이는 카로티노이드 중에서도 노란색을 띄는 색소이며, 적색을 띄는 "lycopene", "capsanthin", "astaxanthin"과는 구조적으로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콩에 가장 많은 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n acid)이다.
  2. 콩에 가장 많은 단백질은 글로불린(globulin)이다.
  3. 콩에는 쌀에 비해 트립토판과 메티오닌이 많이 들어 있다.
  4. 콩에는 무기질 중에서 K와 P가 많이 들어있다.
(정답률: 66%)
  • "콩에 가장 많은 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n acid)이다."가 틀린 것이다. 콩은 지방 함량이 낮고, 대부분의 지방은 불포화 지방산이다.

    콩에는 쌀에 비해 트립토판과 메티오닌이 많이 들어있다는 이유는 콩이 아미노산 구성이 다양하고, 특히 이 두 가지 아미노산이 부족한 곡물류와 함께 섭취하면 영양소 흡수가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식품의 관능검사에서 종합적 차이검사에 해당하는 것은?

  1. 이점비교검사
  2. 일-이점검사
  3. 순위법
  4. 평점법
(정답률: 78%)
  • 종합적 차이검사는 여러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차이를 검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일-이점검사는 하나의 제품을 기준으로 다른 제품들과의 차이를 일-이점으로 비교하여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즉, 하나의 제품을 기준으로 다른 제품들과의 차이를 일-이점으로 비교하여 차이를 검사하는 방법이 종합적 차이검사 중 일-이점검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감자를 절단한 후 공기 중에 방치하여 표면의 색이 흑갈색으로 변하는 것은 어떤 기작에 의한 것인가?

  1. Maillard reaction에 의한 갈변
  2. tyrosinase에 의한 갈변
  3. NADH oxidase에 의한 갈변
  4. ascorbic acid oxidation에 의한 갈변
(정답률: 74%)
  • 감자를 절단한 후 공기 중에 방치하면 표면에 있는 티로신이라는 아미노산이 타이로신아제(tyrosinase) 효소의 작용에 의해 멜라닌이라는 색소로 변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tyrosinase에 의한 갈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식품공전의 시약ㆍ시액ㆍ표준용액 및 용량분석용 규정용액에서 시약이 잘못된 것은?

  1. 과망간산칼륨 - KMnO4
  2. 붕산 - H3BO 99.5%
  3. 염화암모늄 - NH3Cl
  4. 질산 - HNO3
(정답률: 53%)
  • 염화암모늄(NH3Cl)은 시약으로 사용되는 암모늄염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것은 식품공전에서 시약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이유는 염화암모늄이 식품에 대해 독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품공전에서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다른 암모늄염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분의 가수분해 과정으로 옳은 것은?

  1. starch - oligosaccharide - maltose - dextrin - glucose
  2. starch - dextrin - oligosaccharide - maltose - glucose
  3. starch - dextrin - glucose - maltose - oligosaccharide
  4. starch - maltose - oligosaccharide - glucose - dextrin
(정답률: 78%)
  • 전분은 긴 포도당 분자인 글리코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글리코겐은 아밀로스와 아미로펙틴으로 나뉘며, 아밀로스는 짧은 포도당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고, 아미로펙틴은 긴 포도당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밀로스는 덱스트린으로 분해되고, 덱스트린은 단순당인 글루코스로 분해됩니다. 아미로펙틴은 올리고당으로 분해되고, 올리고당은 말토오스로 분해되고, 말토오스는 글루코스로 분해됩니다. 따라서 옳은 가수분해 과정은 "starch - dextrin - oligosaccharide - maltose - glucose"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표면장력과 관련된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액체 계면에 자리 잡은 분자들은 불균형한 인력을 받아 액체 내부 쪽으로 끌리게 된다.
  2. 여러 분자들이 액체의 표면을 떠나 내부 쪽으로 향하려는 경향이 있어 표면을 수축하려고 한다.
  3. 표면에 작용하는 인력을 표면 장력이라고 하며 단위는 N/m2으로 표시한다.
  4. 표면 활성제는 극성부분과 비극성부분을 함께 가진 양쪽 친매성 분자이다.
(정답률: 70%)
  • "여러 분자들이 액체의 표면을 떠나 내부 쪽으로 향하려는 경향이 있어 표면을 수축하려고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액체 분자들은 서로 인력을 받아 모여있는데, 표면에 위치한 분자들은 위쪽으로만 인력을 받기 때문에 내부 쪽으로 끌리는 힘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표면 분자들은 내부 쪽으로 향하는 경향보다는 오히려 바깥쪽으로 향하는 경향이 더 큽니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액체의 표면은 수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팽창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관능검사에서 사용되는 정량적 평가 방법 중 3개 이상 시료의 독특한 특성 강도를 순서대로 배열하는 방법은?

  1. 분류
  2. 등급
  3. 순위
  4. 척도
(정답률: 79%)
  • 순위는 시료들의 독특한 특성 강도를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순서대로 배열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시료들 간의 상대적인 강도 차이를 명확하게 보여주기 때문에 관능검사에서 자주 사용된다. 분류는 시료들을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방법이고, 등급은 시료들을 몇 개의 등급으로 나누는 방법이다. 척도는 시료들의 특성을 수치화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식품가공학

41. 지름 5cm인 원통관을 통해 밀도 1015kg/m3, 점도 5.25Paㆍs인 시럽이 0.15m3/s의 속도로 흐르고 있다. 이 조건에서 Reynolds 수는 약 얼마인가?

  1. 740
  2. 1070
  3. 2140
  4. 4280
(정답률: 31%)
  • Reynolds 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e = (밀도 x 속도 x 직경) / 점도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Re = (1015 kg/m^3 x 0.15 m^3/s x 0.05 m) / 5.25 Paㆍs
    = 740

    따라서 정답은 "740"이다.

    Reynolds 수는 유체의 흐름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로, 일정 값 이상이면 유동이 난잡해지고, 이에 따라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Re 값이 2300 이상이면 유동이 난잡해지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를 경계층 분리라고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시럽이 원활하게 흐르고 있으므로, Re 값이 2300보다 작아야 한다. 계산 결과, Re 값이 740으로 매우 작으므로, 시럽의 흐름이 원활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C.A 저장에 가장 유리한 식품은?

  1. 곡류
  2. 과채류
  3. 어육류
  4. 우유류
(정답률: 81%)
  • 과채류는 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고,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영양가가 높습니다. 또한, 저장하기 쉽고 가격이 저렴하여 C.A 저장에 가장 유리한 식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밀가루의 물리적 시험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아밀로그래프로 아밀라아제의 역가를 알 수 있다.
  2. 아밀로그래프로 최고점도와 호화개시 온도를 알 수 있다.
  3. 익스텐소그래프로 반죽의 신장도와 항력을 알 수 있다.
  4. 익스텐소그래프로 강력분과 중력분을 구별할 수 있다.
(정답률: 73%)
  • "익스텐소그래프로 강력분과 중력분을 구별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는 밀가루의 물리적 시험법 중 하나인 익스텐소그래프에서 가능한 것입니다. 익스텐소그래프는 밀가루의 반죽을 늘려가며 그에 따른 힘의 변화를 측정하는 시험법으로, 이를 통해 강력분과 중력분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아이스크림의 제조 시 균질효과가 아닌 것은?

  1. 믹스의 기포성을 좋게 하여 overrun을 증가한다.
  2. 아이스크림의 조직을 부드럽게 한다.
  3. 믹스의 동결공정으로 교동(churning)에 의해 일어나는 응고된 덩어리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4. 숙성(aging)시간을 단축한다.
(정답률: 77%)
  • 믹스의 동결공정으로 교동(churning)에 의해 일어나는 응고된 덩어리의 생성을 촉진시킨다는 것은 아이스크림 제조 과정에서 믹스를 동결시키면서 교동을 가하는 과정에서 믹스 내부의 지방과 단백질이 응고되어 덩어리가 생성되는데, 이 과정이 균질효과와는 다른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믹스의 동결공정으로 교동(churning)에 의해 일어나는 응고된 덩어리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젤리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펙틴, 산, 당분의 양이 일정 비율이 될 때 젤리화가 일어난다.
  2. 펙틴 양이 일정할 때 산의 양이 적어질수록 당분의 양이 적어도 젤리화가 일어난다.
  3. 산의 양이 일정할 때 펙틴 양이 증가할수록 당분의 양이 적어도 젤리화가 일어난다.
  4. 펙트산은 젤리 형성에 직접 작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62%)
  • 정답은 "산의 양이 일정할 때 펙틴 양이 증가할수록 당분의 양이 적어도 젤리화가 일어난다." 이다.

    펙틴은 식물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섬유질로, 젤리화를 일으키는 주요 성분이다. 산은 젤리화를 일으키는 데 필요한 조건 중 하나이며, 당분은 젤리화의 두 번째 조건이다. 따라서 펙틴, 산, 당분의 양이 일정 비율이 될 때 젤리화가 일어난다.

    그러나 펙틴 양이 일정할 때 산의 양이 적어질수록 당분의 양이 적어도 젤리화가 일어난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이다. 산의 양이 적어지면 pH가 높아지기 때문에 당분이 젤리화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의 양이 적어질수록 당분의 양이 더 많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펙트산은 젤리 형성에 직접 작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두부 제조 시 두유를 응고시키는 가장 적합한 온도는?

  1. 30 ~ 40℃
  2. 50 ~ 60℃
  3. 70 ~ 80℃
  4. 90 ~ 100℃
(정답률: 59%)
  • 두유를 응고시키는 과정은 두유 단백질이 응고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적합한 온도는 70 ~ 80℃입니다. 이는 두유 단백질이 이 온도에서 가장 잘 응고되기 때문입니다. 더 높은 온도에서는 단백질이 불안정해지고, 낮은 온도에서는 응고가 불완전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70 ~ 80℃가 가장 적합한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소시지 가공제품 제조 시 염지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근육단백질의 용해성을 증가시킨다.
  2. 보수성과 결착성을 증진시킨다.
  3. 방부성과 독특한 맛을 갖게 한다.
  4.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살균한다.
(정답률: 74%)
  • 단백질을 변성시키고 살균하는 것은 염지의 주요 효과 중 하나입니다. 이는 소시지 가공 과정에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제품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합니다. 단백질을 변성시키는 것은 열처리를 통해 단백질의 구조를 변경하여 보존성을 높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과일, 채소류를 블랜칭(blanching)하는 목적이 아닌 것은?

  1. 향미성분을 보호한다.
  2. 박피를 용이하게 한다.
  3. 변색을 방지한다.
  4. 산화효소를 불활성화 시킨다.
(정답률: 81%)
  • 블랜칭은 과일이나 채소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과정으로, 변색을 방지하고 박피를 용이하게 하며 산화효소를 불활성화 시킵니다. 따라서 "향미성분을 보호한다."는 옳지 않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설탕에 비하여 약 200배의 감미를 가지고 있다.
  2. pH 변화와 열에 안정하다.
  3. 장시간 가열시 산성에서는 안정하나 알칼리성에서는 침전이 형성된다.
  4. 비발효성이다.
(정답률: 64%)
  • 스테비오사이드는 pH 변화와 열에 안정하며, 설탕에 비해 약 200배의 감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장시간 가열시 산성에서는 안정하지만 알칼리성에서는 침전이 형성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스테비오사이드가 알칼리성 환경에서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스테비오사이드는 산성 조건에서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알칼리성 조건에서는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스테비오사이드는 비발효성을 가지고 있어 발효음료나 알코올 음료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유통기한 설정 시 품질변화의 지표물질이 갖추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이화학적인 지표로 객관적이어야 하며 관능적인 지표는 제외한다.
  2. 측정이 용이하고 재현성이 있어야 한다.
  3. 위생적인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4. 영양적인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정답률: 75%)
  • 정답은 "영양적인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입니다. 유통기한 설정 시 품질변화의 지표물질은 이화학적인 지표로 객관적이어야 하며, 측정이 용이하고 재현성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위생적인 특성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영양적인 특성은 제품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지표로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영양적인 특성은 유통기한 설정 시 고려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장맥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10 ~ 15℃에서 14 ~ 17일간 발아한다.
  2. 유아의 길이가 보리알의 길이와 동일하다.
  3. 단맥아보다 amylase의 역가가 크다.
  4. 맥주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정답률: 65%)
  • 장맥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유아의 길이가 보리알의 길이와 동일하다." 이다. 실제로는 유아의 길이가 보리알의 길이보다 훨씬 길다. 보리알은 대략 2~3mm 정도이지만, 장맥아는 5~7mm 정도이다. 이는 장맥아가 보리알에서 발아된 후에 성장하면서 길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유지의 경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불포화지방산을 포화지방산으로 만드는 것이다.
  2. 쇼트닝, 마가린 등이 대표적인 제품이다.
  3. 산화와 풍미변패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준다.
  4. 질소첨가반응으로 융점을 낮추어준다.
(정답률: 76%)
  • "질소첨가반응으로 융점을 낮추어준다."가 틀린 것이다. 유지의 경화는 질소첨가반응을 통해 불포화지방산을 포화지방산으로 만들어주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쇼트닝, 마가린 등의 제품이 만들어지며, 산화와 풍미변패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준다. 하지만 융점을 낮추어주는 역할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발효유 제품 제조 시 젖산균스타터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우리가 원하는 절대적 다수의 미생물을 발효시키고자 하는 기질 또는 식품에 접종시켜 성장하도록 하므로 원하는 발효가 일어나도록 해 준다.
  2. 원하지 않는 미생물의 오염과 성장의 기회를 극소화한다.
  3. 균일한 성능의 발효미생물을 사용함으로서 자연발효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제품보다 품질이 균일하고, 우수한 제품을 많이 생산할 수 있다.
  4. 발효미생물의 성장속도를 조정할 수 없어서 공장에서 제조계획에 맞출 수 없다.
(정답률: 85%)
  • "발효미생물의 성장속도를 조정할 수 없어서 공장에서 제조계획에 맞출 수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발효유 제조 시에는 젖산균스타터를 사용하여 원하는 미생물을 발효시키고, 원하지 않는 미생물의 오염과 성장을 극소화합니다. 또한 균일한 성능의 발효미생물을 사용하여 품질이 균일하고 우수한 제품을 많이 생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효미생물의 성장속도를 조정하여 공장에서 제조계획에 맞출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라면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분의 α화는 100 ~ 105℃ 정도의 증기를 불어 넣어 2 ~ 5분간 찐다.
  2. 전분의 α화 고정은 열풍건조한 면을 튀김용의 용기에 일정량 넣어 130 ~ 150℃의 온도에서 2 ~ 3분간 튀긴다.
  3. 튀긴 후의 면을 충분히 냉각하지 않고 포장하면 포장지 내면에 응축수가 생겨 유지의 산패가 촉진된다.
  4. 반죽은 밀가루의 50%에 해당하는 물에 원료를 넣고 혼합, 반죽하여 수분함량을 20%로 조절한다.
(정답률: 76%)
  • "전분의 α화는 100 ~ 105℃ 정도의 증기를 불어 넣어 2 ~ 5분간 찐다."가 틀린 것이다.

    전분의 α화는 60 ~ 70℃ 정도의 물에 전분을 넣고 혼합하여 일어나는 과정으로, 라면 제조 과정에서는 전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내용은 라면 제조 과정과 관련이 없다.

    반죽은 밀가루의 50%에 해당하는 물에 원료를 넣고 혼합, 반죽하여 수분함량을 20%로 조절하는 이유는, 라면 면의 탄력과 식감을 조절하기 위해서이다. 물의 양과 반죽 시간 등을 조절하여 적절한 수분함량을 유지하면서 면의 탄력과 식감을 조절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건조방법 중에서 건조시간이 대단히 짧고, 제품의 온도를 비교적 낮게 유지할 수 있으며 액상식품을 분말로 건조하는데 가장 적합한 건조법은?

  1. rotary drying
  2. drum drying
  3. freeze drying
  4. spray drying
(정답률: 84%)
  • "Spray drying"은 액상식품을 분말로 건조하는데 가장 적합한 건조법입니다. 이는 건조시간이 짧고, 제품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액상식품을 분말로 만들기 위해 고체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도관을 통하여 흐르는 뉴턴액체(Newtonian fluid)의 Reynolds 수를 측정한 결과 2500이었다. 이 액체의 흐름의 형태는?

  1. 유선형(streamline)
  2. 전이형(transition region)
  3. 교류형(turbulent)
  4. 정치형(static state)
(정답률: 55%)
  • Reynolds 수가 2500인 경우, 액체의 흐름 형태는 전이형(transition region)이다. 이는 Reynolds 수가 2300보다 크고 4000보다 작은 범위에 해당하는데, 이 범위에서는 유동이 교류형(turbulent)과 유선형(streamline) 사이에서 전이하는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이 액체의 흐름은 유선형과 교류형 중간 형태인 전이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유리되는 지방산을 비누화하여 제거하는 유지정제법은?

  1. 알칼리법
  2. 흡착법
  3. 황산법
  4. 여과법
(정답률: 79%)
  • 알칼리법은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지방산을 비누화시키고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지방산이 알칼리성 환경에서 비누화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알칼리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훈연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향기의 부여
  2. 제품의 색 향상
  3. 보존성 향상
  4. 조직의 연화
(정답률: 75%)
  • 훈연은 조직의 연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에 향기를 부여하고 보존성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색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42% 전분유 1L를 산분해시켜 DE값이 42가 되는 물엿을 만들었을 때 생성된 환원당의 양은?

  1. 420.0g
  2. 176.4g
  3. 100.8g
  4. 84.0g
(정답률: 47%)
  • DE값은 물엿의 당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높을수록 당분이 많은 것을 의미합니다. 전분유 1L에는 전분이 420g 들어있으므로, DE값이 42인 물엿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분의 일부가 당으로 변환되어야 합니다. DE값이 42이므로, 전체 중 42%가 당으로 변환된 것입니다. 따라서 생성된 물엿의 당분 양은 420g x 0.42 = 176.4g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밀감을 통조림으로 가공할 때 속껍질 제거 방법으로 적합한 것은?

  1. 산처리
  2. 알칼리처리
  3. 열탕처리
  4. 산, 알칼리 병용처리
(정답률: 80%)
  • 밀감의 속껍질은 산성 환경에서 녹아내리는 성질이 있으므로 산처리가 가능하다. 하지만 산처리만으로는 속껍질의 모든 부분을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알칼리처리와 병용하여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알칼리는 속껍질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산과 알칼리를 병용하여 처리하면 더욱 효과적으로 속껍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열탕처리는 밀감의 맛과 질감을 변화시키므로 속껍질 제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식품미생물학

61. bacteriophage에 대한 오염방지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발효공정을 rotation system으로 이용한다.
  2. 훈증 또는 장치가열살균을 철저히 행한다.
  3. 혐기적으로 발효를 행한다.
  4. 공정에 대해 약제살균을 하거나 내성균을 이용한다.
(정답률: 73%)
  • "혐기적으로 발효를 행한다."가 틀린 것이다.

    박테리오파지는 혐기성 환경에서 번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혐기적으로 발효를 행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박테리오파지의 오염이 더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박테리오파지 오염방지 대책에서는 발효공정을 aerobic한 환경으로 유지하거나, anaerobic한 환경에서도 오염이 일어나지 않도록 적절한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리스테리아의 세균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건조한 환경에서도 비교적 잘 견딘다.
  2. 일반미생물보다 냉동조건에 강하다.
  3. 식중독 발생 시 감염형 특성을 나타낸다.
  4. 최적온도가 25℃ 정도이다.
(정답률: 59%)
  • "최적온도가 25℃ 정도이다."가 틀린 것이다. 리스테리아는 최적온도가 30-37℃ 정도이다.

    리스테리아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비교적 잘 견딘다. 일반미생물보다 냉동조건에 강하며, 식중독 발생 시 감염형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최적온도는 30-37℃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단백질의 생합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DNA의 염기 배열순에 따라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순위가 결정된다.
  2. 단백질 생합성에서 RNA는 m-RNA → r-RNA → t-RNA 순으로 관여한다.
  3. RNA에는 H3PO4, D-ribose가 있다.
  4. RNA에는 adenine, guanine, cytosine, tymine이 있다.
(정답률: 76%)
  • 정답은 "RNA에는 adenine, guanine, cytosine, tymine이 있다." 이다. RNA에는 uracil이 있고, DNA에만 thymine이 있다.

    RNA는 DNA에서 정보를 복사하여 mRNA로 만들어지고, 이 mRNA는 ribosome에서 rRNA와 함께 tRNA와 결합하여 단백질을 합성한다. 이때 mRNA의 염기 배열순서에 따라서 아미노산의 배열순서가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대장균(E.coli)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장내에 서식하며 그람음성, 통성혐기성균이다.
  2. 유당을 분해한다.
  3. 대장균군에 속해 있으며 대부분이 매우 유해한 식중독균이다.
  4. 식품위생 지표로 사용된다.
(정답률: 77%)
  • 대장균은 대장 내에 서식하는 그람음성, 통성혐기성균으로 유당을 분해한다. 그러나 대장균군에는 유해한 식중독균도 있지만, 모든 대장균이 유해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대장균군에 속해 있으며 대부분이 매우 유해한 식중독균이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killer yeast가 자신이 분비하는 독소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이유는?

  1. 항독소를 생산한다.
  2. 독소 수용체를 변형시킨다.
  3. 독소를 분해한다.
  4. 독소를 급속히 방출시킨다.
(정답률: 68%)
  • killer yeast는 자신이 분비하는 독소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이유는 독소 수용체를 변형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는 독소가 세포 내부로 들어갈 수 없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치즈 숙성에 관련된 균이 아닌 것은?

  1. Penicillum camemberti
  2. Aspergillus oryzae
  3. Penicillum roqueforti
  4.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정답률: 82%)
  • "Aspergillus oryzae"는 치즈 숙성에 관련된 균 중 하나이지만, 이 균은 일본의 전통적인 발효식품인 미소와 소스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균으로, 치즈 숙성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Aspergillus oryzae"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일반적으로 그람염색에서 사용되지 않는 화학물질은?

  1. 말라카이트 그린(malachite green)
  2.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3. 에틸알코올(ethyl alcohol)
  4. 사프라닌(safranin)
(정답률: 77%)
  • 말라카이트 그린은 일반적으로 그람염색에서 사용되지 않는 화학물질입니다. 이는 말라카이트 그린이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 모두에게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람염색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다른 화학물질들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전분의 비환원성 말단으로부터 포도당 단위로 가수분해하는 효소는?

  1. cellulase
  2. glucoamylase
  3. β-galactosidase
  4. glucose isomerase
(정답률: 76%)
  • 전분은 긴 포도당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분의 비환원성 말단을 가수분해하여 포도당 단위로 분해하는 효소는 glucoamylase입니다. 이는 전분을 소화하여 포도당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전분을 분해하는 효소가 아니거나, 다른 종류의 당을 분해하는 효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haematometer는 미생물 실험 시 어떤 용도인가?

  1. 총균수 측정
  2. 효소활성 측정
  3. 흡광도 측정
  4. 균체의 크기 측정
(정답률: 69%)
  • haematometer는 미생물의 총균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미생물의 성장을 추적하고, 실험 결과를 분석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haematometer가 사용되는 다른 용도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버섯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포자가 착생하는 자실체가 육안으로 볼 수 있을 정도로 크게 발달한 대형 자실체를 형성하는 것을 버섯이라고 한다.
  2. 분류학적으로 담자균류와 자낭균류에 속하지만 대부분 담자균류에 속한다.
  3. 담자균류에는 동담자균류와 이담자균류가 있다.
  4. 담자균류에서 무성생식포자는 드물게 나타나며, 유성생식포자로는 핵융합과 감수분열을 거쳐 담자기에 보통 4개의 자낭포자가 형성된다.
(정답률: 67%)
  • 정답은 "분류학적으로 담자균류와 자낭균류에 속하지만 대부분 담자균류에 속한다."이다.

    버섯은 대개 대형 자실체를 형성하며, 이 자실체를 버섯이라고 한다. 버섯은 분류학적으로 담자균류와 자낭균류에 속하지만 대부분 담자균류에 속한다. 담자균류에서 무성생식포자는 드물게 나타나며, 유성생식포자로는 핵융합과 감수분열을 거쳐 담자기에 보통 4개의 자낭포자가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세균의 생육곡선 중 생균수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최대의 세포수를 나타내는 시기는?

  1. 유도기(lag phase)
  2. 정지기(stationary phase)
  3. 산화기(oxidation phase)
  4. 대수기(logarithmic phase)
(정답률: 80%)
  • 정지기는 세균이 생장하면서 소모하는 영양분이 고갈되어 생장속도가 둔화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새로운 세포가 생성되는 속도와 죽는 세포의 수가 균형을 이루어 생균수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최대의 세포수를 나타내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식염(NaCl)이 미생물 생육을 저해하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삼투압에 의해 원형질 분리가 일어난다.
  2. 탈수작용으로 세포내 수분을 뺏는다.
  3. 산소용해도가 증가한다.
  4. 세포의 탄산가스 감수성을 높인다.
(정답률: 64%)
  • 식염은 미생물의 세포막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에 세포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고 세포외부에 머무르게 됩니다. 따라서, 미생물의 생리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그러나, 삼투압에 의해 원형질 분리가 일어나거나 탈수작용으로 세포내 수분을 뺏는 등의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반면, 식염이 증가하면 산소용해도가 증가하게 되어 미생물이 산소를 더 많이 흡수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산소를 필요로 하는 미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미생물 중 원핵생물에 속하는 것은?

  1. yeast
  2. bacteria
  3. protozoa
  4. algae
(정답률: 71%)
  • "Bacteria"는 원핵생물에 속하는 미생물로, 단일 세포 생물체이며 핵이 하나뿐인 세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달리 "yeast", "protozoa", "algae"는 다핵생물이거나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효모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의 주요작용은?

  1. 호흡작용
  2. 단백질 생합성 작용
  3. 효소 생합성 작용
  4. 지방질 생합성 작용
(정답률: 80%)
  • 효모 미토콘드리아는 호흡작용을 담당합니다. 호흡작용은 산소를 이용하여 ATP(아디노신 트리포스페이트)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생명 활동에 필수적인 에너지를 공급합니다. 이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 내부의 효소와 전자 수송체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Brevibacterium ammoniagenes를 변이시켜 adenine 요구 균주를 분리하였다. adenine 요구 균주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완전 배지에 잘 자란다.
  2. 최소배지에 adenine을 첨가한 배지에서 자란다.
  3. 최소배지에 adenine을 첨가하거나 하지 않았거나 관계없이 자란다.
  4. 최소배지에 adenine과 guanine을 첨가한 배지에서 자란다.
(정답률: 71%)
  • "최소배지에 adenine을 첨가하거나 하지 않았거나 관계없이 자란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adenine 요구 균주는 adenine을 스스로 합성하지 못하므로 완전 배지에는 자라지 않습니다. 따라서 최소배지에 adenine을 첨가한 배지에서만 자랄 수 있습니다. guanine은 adenine과는 관련이 없는 뉴클레오타이드이므로 guanine을 첨가한 배지에서는 자라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세포융합의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세포의 protoplast화
  2. 융합체의 재생
  3. 세포분열
  4. protoplast의 융합
(정답률: 78%)
  • 세포분열은 세포의 분열과정으로, 세포의 수를 증가시키는 과정이지만, 세포융합은 두 개 이상의 세포가 합쳐져서 하나의 큰 세포가 되는 과정이므로, 세포분열은 세포융합의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DNA를 bacteriophage를 매개체로 하여 옮기는 유전적 재조합 현상은?

  1. 형질전환(transformation)
  2. 세포융합(cell fusion)
  3. 형질도입(transduction)
  4. 접합(conjugation)
(정답률: 75%)
  • 형질도입은 bacteriophage가 감염한 호스트 세포의 DNA 일부를 포함하여 새로운 호스트 세포로 전달하는 유전적 재조합 현상입니다. 이 과정에서 bacteriophage는 호스트 세포의 DNA를 패키징하여 새로운 호스트 세포로 전달하게 됩니다. 이러한 형질도입은 세균 간의 유전자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Bacillus subtilis(1개)가 30분마다 분열한다면 5시간 후에는 몇 개가 되는가?

  1. 10
  2. 512
  3. 1024
  4. 2048
(정답률: 85%)
  • Bacillus subtilis는 30분마다 분열하므로 1시간에 2배씩 증가합니다. 따라서 5시간 후에는 2의 10승(=1024)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포자 중 무성포자가 아닌 것은?

  1. 난포자
  2. 분생포자
  3. 포자낭포자
  4. 후막포자
(정답률: 65%)
  • 정답은 "난포자"입니다. "난포자"는 성적 생식이 아닌 무성 생식을 하는 진균류로서, 생식세포 대신에 포자를 생성하여 번식합니다. 따라서 "난포자"는 무성포자가 아닙니다. 반면에 "분생포자", "포자낭포자", "후막포자"는 모두 성적 생식을 하는 진균류로서, 생식세포를 생성하여 번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그람양성균에 존재하지 않는 세포성분은?

  1. peptidoglycan
  2. lipopolysaccharide
  3. teichoic acid
  4. phospholipid
(정답률: 59%)
  • 그람양성균은 peptidoglycan, teichoic acid, phospholipid을 가지고 있지만, lipopolysaccharide는 그람양성균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Lipopolysaccharide는 그람음성균의 세포벽 구성 성분 중 하나이며, 그람양성균과는 구조적으로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생화학 및 발효학

81. 제빵 발효 시 어떤 아밀라아제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가?

  1. 효모의 아밀라아제
  2. 곰팡이의 아밀라아제
  3. 세균의 아밀라아제
  4. 식물 아밀라아제
(정답률: 89%)
  • 제빵 발효 시에는 효모의 아밀라아제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이는 효모가 분해한 전분을 당분으로 변환시켜주기 때문입니다. 곰팡이나 세균의 아밀라아제는 발효 과정에서 유해한 물질을 생성할 수 있으며, 식물 아밀라아제는 효모의 아밀라아제보다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gluconeogenesis(당신생경로)에서 젖산으로부터 glucose를 재합성할 때 조직세포의 미토콘드리아로부터 세포질로 운반되는 중간물질은?

  1. pyruvate
  2. oxaloacetate
  3. malate
  4. phosphoenolpyruvate
(정답률: 43%)
  • 젖산은 미토콘드리아에서 pyruvate로 변환되고, 이 pyruvate는 oxaloacetate로 합성된다. 그리고 oxaloacetate는 malate로 변환되어 세포질로 운반된다. 따라서 중간물질은 "malat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활성오니법에 의한 폐수처리공정의 순서는?

  1. 스크린 - 침전지 - 폭기조 - 제1침전조 - 제2침전조
  2. 스크린 - 침전지 - 제1침전조 - 폭기조 - 제2침전조
  3. 스크린 - 폭기조 - 침전지 - 제1침전조 - 제2침전조
  4. 스크린 - 폭기조 - 제1침전조 - 제2침전조 - 침전지
(정답률: 73%)
  • 활성오니법에 의한 폐수처리공정의 순서는 먼저 스크린으로 고형물을 걸러내고, 침전지에서 미생물이 붙어서 덩어리를 이루어 침전시키고, 제1침전조에서 더 많은 미생물이 붙어서 침전시키고, 폭기조에서 공기를 넣어 미생물이 붙어있는 덩어리를 분해시키고, 마지막으로 제2침전조에서 남아있는 미생물을 침전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스크린 - 침전지 - 제1침전조 - 폭기조 - 제2침전조"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DNA 염기쌍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adenine - thymine
  2. adenine - guanine
  3. thymine - guanine
  4. thymine - cytosine
(정답률: 81%)
  • DNA 염기쌍은 항상 특정한 방식으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Adenine과 Thymine은 서로 상보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중 고리 구조를 이루는 Purine과 Pyrimidine이 서로 연결됩니다. 따라서 Adenine은 항상 Thymine과 연결되어야 하며, 이것이 "adenine - thymine"이 정답인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알코올 증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비(共沸)혼합물의 알코올 농도는 97.2%(v/v)또는 96%(w/w)이다.
  2. 공비점 78.15℃에서는 용액의 조성과 증기의 조성이 일치한다.
  3. 99%의 알코올을 끓이면 이 때 발생하는 증기의 농도는 낮아진다.
  4. 공비 혼합물을 만드는 용액에서는 분류에 의해서 성분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정답률: 51%)
  • "공비 혼합물을 만드는 용액에서는 분류에 의해서 성분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공비 혼합물은 공비점에서 성분들의 증기압이 같아져서 분리가 어렵기 때문에, 완전한 분리는 어렵다. 따라서, 보통은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분리를 시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세포벽 합성(cell wall synthesis)에 영향을 주는 항생물질은?

  1. streptomycin
  2. oxytetracycline
  3. mitomycin
  4. penicillin G
(정답률: 78%)
  • 세포벽 합성은 세포벽을 구성하는 펩티드글리칸을 합성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 과정에 영향을 주는 항생물질은 펩티드글리칸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억제하거나 파괴하여 세포벽의 합성을 방해합니다. 이 중에서도 penicillin G는 펩티드글리칸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페니실린 결합 단백질을 억제하여 세포벽 합성을 방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알코올 발효 시 당화 방법이 아닌 것은?

  1. 국법
  2. 맥아법
  3. amylo법
  4. yeast법
(정답률: 63%)
  • 알코올 발효 시 당화 방법 중에서 yeast법은 직접적으로 당화를 하는 방법이 아니라, 효모를 이용하여 당을 분해하고 알코올을 생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yeast법은 당화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비오틴의 결핍증이 잘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1. 지용성 비타민으로 인체 내에 저장되므로
  2. 일상생활 중 자외선에 의해 합성되므로
  3. 아비딘 등의 당단백질의 분해산물이므로
  4. 장내세균에 의해서 합성되므로
(정답률: 76%)
  • 비오틴은 장내세균에 의해서 합성되기 때문에 결핍증이 잘 나타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고체배양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1. 곰팡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2. 공정에서 나오는 폐수가 적다.
  3. 시설비가 적게 들어 소규모생산에 유리하다.
  4. 배지조성이 단순하다.
(정답률: 65%)
  • 고체배양에서는 곰팡이가 성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곰팡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고체배양의 일반적인 특징 중 하나가 아니며, 다른 보기들은 고체배양의 일반적인 특징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세균 세포벽의 성분은?

  1.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
  2.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3. 키틴(chitin)
  4. 콘드로이틴(chondroitin)
(정답률: 86%)
  • 세균 세포벽의 주요 성분은 펩티도글리칸(peptidoglycan)입니다. 이는 당과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격자 구조로, 세균의 형태를 유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히알루론산, 키틴, 콘드로이틴은 다른 생물의 세포벽에서 발견되는 성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지용성 비타민이 아닌 것은?

  1. 비타민 A
  2. 비타민 B1
  3. 비타민 D
  4. 비타민 E
(정답률: 85%)
  • 비타민 B1은 지용성이 아닌 수용성 비타민이다. 지용성 비타민은 비타민 A, D, 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α-amylase의 성질이 아닌 것은?

  1. 전분의 α-1, 4 및 α-1, 6 결합을 임의의 위치에서 분해한다.
  2. 전분의 점도를 급격히 저하시킨다.
  3. 최종 분해생성물은 dextrin, 맥아당, 소량의 포도당이다.
  4. 액화형 amylase 이다.
(정답률: 65%)
  • 정답은 "액화형 amylase 이다." 이다.

    α-amylase는 전분을 분해하는 효소로, 전분의 α-1, 4 및 α-1, 6 결합을 임의의 위치에서 분해하여 최종 분해생성물로 dextrin, 맥아당, 소량의 포도당을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전분의 점도를 급격히 저하시킨다. 하지만 α-amylase가 액화형인지 아닌지는 그 성질과는 무관하다. 액화형이라는 것은 효소가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α-amylase도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액화형 amylase"는 α-amylase의 성질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전자수송사슬(ETC)에서 전자를 획득하는 경향이 가장 큰 것은?

  1. 산소
  2. 보조효소 Q
  3. 사이토크롬 c
  4. 니코틴아마이드 아데닌 다이뉴클레오타이드
(정답률: 55%)
  • 전자수송사슬에서는 산소가 가장 큰 전자 수용체이기 때문에 전자를 획득하는 경향이 가장 큽니다. 산소는 전자를 받아들이고 이를 이용하여 ATP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ETC에서는 산소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대장균에서 단백질 합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인자가 아닌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rRNA
  2. tRNA
  3. mRNA
  4. DNA
(정답률: 76%)
  • 정답은 "DNA"입니다. DNA는 단백질 합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습니다.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인자는 mRNA, rRNA, tRNA입니다. mRNA는 DNA에서 정보를 복사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rRNA와 tRNA는 mRNA를 이용하여 단백질 합성에 참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효소의 반응속도 및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온도
  2. 수소이온농도
  3. 기질의 농도
  4. 반응액의 용량
(정답률: 78%)
  • 효소의 활성은 화학 반응속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효소의 반응속도 및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모두 화학 반응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온도는 화학 반응속도를 증가시키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온도가 높을수록 효소의 반응속도와 활성이 증가합니다.

    수소이온농도는 pH값으로 나타내며, 효소의 활성은 pH값에 따라 변화합니다. 따라서 수소이온농도가 높을수록 효소의 활성이 감소합니다.

    기질의 농도는 효소가 작용하는 환경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기질의 농도가 높을수록 효소의 활성이 증가합니다.

    반응액의 용량은 효소의 반응속도 및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에서는 가장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이는 반응액의 용량이 적더라도 효소의 활성은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만, 반응액의 용량이 적을 경우 반응속도는 느려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균체 단백질 생성 미생물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미생물과 미생물 균체가 유해하지 않아야 한다.
  2. 회수가 쉬워야 한다.
  3. 생육최적온도가 낮아야 한다.
  4. 영양가가 높고 소화성이 좋아야 한다.
(정답률: 71%)
  • 생육최적온도가 낮아야 하는 이유는 균체 단백질 생성 미생물이 대부분은 저온균으로서, 생육최적온도가 낮은 환경에서 최적의 성장을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육최적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균체 단백질 생성 미생물의 성장이 둔화되거나 멈추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구연산 발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spergillus niger 를 사용한다.
  2. 배지의 pH 2.0 ~ 4.0에서 구연산의 생산이 좋다.
  3. 배지의 pH가 비교적 높은 곳에서는 gluconic acid와 수산의 생산량이 증가한다.
  4. 발효할 때 산소의 존재여부와 관계가 없다.
(정답률: 72%)
  • 구연산 발효는 혐기성 발효로서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산소의 존재여부와 관계가 없다. 산소가 존재하면 구연산 대신에 다른 물질이 생산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분자량(MW) 75000인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mRNA의 분자량은 얼마인가?

  1. 600000
  2. 75000
  3. 25000
  4. 225000
(정답률: 43%)
  • 단백질의 분자량은 mRNA의 분자량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단순히 단백질의 분자량이 아닌, 암호화하는 mRNA의 분자량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mRNA의 분자량은 아미노산의 수와 RNA 분자의 분자량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단백질의 분자량이 75000이므로, 이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아미노산의 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아미노산 하나의 분자량은 약 110이며, 따라서 75000 / 110 = 약 682.

    하지만, mRNA는 아미노산을 코돈으로 변환하여 합성되므로, 각 아미노산을 코돈으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RNA 분자의 분자량도 고려해야 합니다.

    평균적으로 코돈 하나의 분자량은 약 330이며, 따라서 682 x 3 x 330 = 약 674,000.

    하지만, mRNA는 5' UTR, 3' UTR, 및 다양한 조절 요소 등의 추가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약간의 여유를 두어 600000이라는 답이 나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단백질의 생합성이 이루어지는 장소는?

  1.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2. 리보솜(ribosome)
  3. 핵(nucleus)
  4. 액포(vacuole)
(정답률: 84%)
  • 단백질의 생합성은 리보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리보솜은 세포 내에서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구조체로, mRNA를 읽어서 아미노산을 결합하여 단백질을 합성합니다. 따라서 단백질의 생합성은 리보솜에서 이루어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DNA에는 함유되어 있으나 RNA에는 함유되어 있지 않은 성분은?

  1. 아데닌(adenine)
  2. 티아민(thymine)
  3. 구아닌(guanine)
  4. 시토신(cytosine)
(정답률: 71%)
  • RNA는 DNA와 달리 티아민 대신 우라실(uracil)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RNA에는 티아민이 함유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티아민은 DNA에만 함유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